KR20110047400A -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400A
KR20110047400A KR1020090104011A KR20090104011A KR20110047400A KR 20110047400 A KR20110047400 A KR 20110047400A KR 1020090104011 A KR1020090104011 A KR 1020090104011A KR 20090104011 A KR20090104011 A KR 20090104011A KR 20110047400 A KR20110047400 A KR 20110047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ethod
counterpart mobile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930B1 (ko
Inventor
유승동
장우용
함성일
박세준
문민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4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930B1/ko
Priority to US12/910,499 priority patent/US20110105028A1/en
Priority to PCT/KR2010/007407 priority patent/WO2011052983A2/en
Priority to CN201510564584.XA priority patent/CN105120510A/zh
Priority to JP2012536670A priority patent/JP5992830B2/ja
Priority to CN2010800539708A priority patent/CN102640540A/zh
Priority to AU2010314011A priority patent/AU2010314011A1/en
Priority to EP10827067.9A priority patent/EP2494821A4/en
Publication of KR20110047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400A/ko
Priority to JP2015106734A priority patent/JP2015181279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2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with access to wir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1Transcoding devices; Rate adapta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통신방식으로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처리된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복수의 통신방식 중에서 최적의 통신방식으로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통신방식 중 최적의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이 제공된다.
3G, Wi-Fi, 커뮤니티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NG METHDO OF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뮤니티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방식의 다변화 및 다양한 프로토콜의 등장으로 인하여 단말기 간의 통신형태는 매우 다양해 졌다.
이런 통신 방식은 무선 인터넷의 보급을 확산시키고 있으며, 이동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휴대용 전화기에 제공되고 있다.
한편, 통신 방식은 다양해지고 있지만 서비스를 받고 있는 단말기 사용자들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의 통신 방식을 쉽게 인지할 수 없고 어떠한 통신방식이 최적의 통신방식인지 알 수 없다.
본 발명은 복수의 통신방식 중 최적의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신방식이 변경되었을 때 통신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른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모바일 단말기 간의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른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모바일 단말기 간의 정보를 라우팅 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통신방식으로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처리된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복수의 통신방식 중에서 최적의 통신방식으로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의 통신환경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된 통신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최적의 통신방식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의 통신환경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통신방식 중 신호 전송속도가 가장 빠른 통신방식을 상기 최적의 통신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적의 통신방식이 변경되면, 변경된 통신방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 통신방식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통신방식의 변경을 수락하 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통신방식 변경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된 통신방식으로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통신방식에는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통신방식으로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1통신방식으로 소정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제1통신방식과 상이한 제2통신방식으로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 서버와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 사이의 정보를 라우팅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에 IP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DNS 요청을 상기 인터넷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수신된 DNS응답을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 서버에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상기 커뮤니티에 공유된 정보를 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방식은 3G 망 통신이고, 상기 제2통신방식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제1통신방식으로 통신하고, 제2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제1통신방식과 상이한 제2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제2상대방 모바일 단말기 로 전송하고, 상기 제1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제2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통신방식으로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방법은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의 통신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모니터링된 통신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최적의 통신방식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최적의 통신방식으로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통신방식 중 최적의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방식이 변경되었을 때 통신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모바일 단말기 간의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모바일 단말기 간의 정보를 라우팅 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블럭도이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신호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와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는 음성 및 영상 통화가 가능한 전화기로 마련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랩탑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MPEG Audio Layer-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통신방식으로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특정 하나의 통신방식이 아닌 복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 가능하고, 통신 환경 또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통신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통신 등을 수행하여, 복수의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와 애드 혹(Ad-Hoc)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10)는 Wi-Fi, Bluetooth, Zigbee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와이파이, 무선랜(WLAN) 통신 등을 수행하여, 복수의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와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Wi-Fi, WLAN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이동통신망사업자(mobile network operator; MNO)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과 통신할 수 있으며, 현재 3G 망으로 통신한다.
신호처리부(120)는 통신부(110)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처리부(120)는 신호의 인코딩, 디코딩, 복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신호처리부(120)에 의하여 처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은 도시하지 않은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는 통신 및 인터넷 접속, 예를 들어 통신을 개시하고, 커뮤니티를 개설하고, 통신을 종료하는 등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부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및 키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복수의 통신방식 중에서 최적의 통신방식으로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즉 통신이 이루어지는 통신환경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0)가 취할 수 있는 통신방식은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다. 물론 통신 환경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0)는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와의 통신환경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된 통신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최적의 통신방식을 판단한다. 복 수개의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경우 제어부(140)는 통 신에 따른 비용, 예를 들어 통신 비용이 유료인지 무료인지 또는 어떠한 통신방식이 더 저렴한지 여부, 데이터 전송 속도, 통신 주파수 대역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통신방식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가 모니터링한 결과, 현재 모바일 단말기(100)와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 간에는 3G 망 방식과 와이파이 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하다고, 현재 양 모바일 단말기(100, 200)가 와이파이 중계기를 중심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 존재한다면, 제어부(140)는 통신 속도, 즉 신호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우수한 와이파이 방식으로 양 모바일 단말기(100, 200)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와의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탐침(proving) 패킷을 주고 받을 수도 있고, 임의의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신호의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통신환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별도의 신호 채널을 지원하는 통신방식의 경우 제어부(1400)는 정해진 신호 채널을 이용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별도의 전용 채널이 지원되지 않는 통신방식의 경우 공지된 다양한 프루밍 방법을 적용하여 통신환경을 모니터링 한다. 제어부(140)는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통신환경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통신방식을 설정할 수도 있고, 통신환경이 특정 조건에 해당하면 다른 통신방식을 검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100)과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가 3G망으로 통신하고 있다면 주기적으로 와이파이 통신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단말기(100)와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가 와이파이 방식으로 통신하고 있다면, 신호의 송수신 속도가 매우 낮아지거나 수신되는 신호의 세 기가 급격히 감소하면 제어부(140)는 통신환경이 변경된 것으로 파악하고 새로운 통신방식을 검색할 수 있다. 즉, 현재의 통신환경에 급격히 변할 경우, 제어부(140)는 최적의 통신방식을 새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통신방식을 검색할 수도 있다.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는 현재의 통신방식 이외에 다른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경우 또는 현재의 통신방식으로는 더 이상 통신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와 같은 특별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런 정보를 수신한 제어부(140)는 현재의 통신환경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통신방식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현재 최적의 통신방식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이동이나 통신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최적의 통신방식이 변경되면, 제어부(140)는 변경된 통신방식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고,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로 통신방식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특정 건물이나 공간 내부에서 모바일 단말기(100)가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와 와이파이 방식으로 통신하던 중 사용자의 이동으로 인하여 더 이상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할 수 없어 3G 망을 이용하여 통신해야 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이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여 통신방식이 변경되어야 함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이를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에 알림으로써 변경된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을 계속 유지할지 여부를 상대방이 선택할 수도 있도록 한다. 만약, 와이파이 방식에 의한 무료 통신을 이용하다가 유료인 3G 방식으로 통신방식이 변경되면 상대방이 통신을 유지하는 것을 원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제어부(140)는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통신방식의 변경을 수락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방식을 와이파이 방식에서 3G망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통신이 가능한 최적의 통신방식을 판단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방식을 변경한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에 따른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140)는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는 곳의 통신환경에서 통신 가능한 통신방식을 모니터링하고(S10), 이 중 최적의 통신방식을 판단한다(S20). 최적의 통신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의 상태가 가장 양호하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른 것과 같은 기술적 기준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통신 비용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복 수의 통신방식에는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으며, 제어부(140)는 우선순위가 높은 통신방식으로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우선순위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조단계에서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우선순위가 정해져 있는 경우, 통신부(110)는 우선순위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며, 모니터링 된 최적의 통신방식으로 통신하지 않을 수 있다.
최적의 통신방식이 결정되면, 제어부(14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결정된 최적의 통신방식으로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한다(S30).
한편, 사용자의 이동 등에 의하여 통신환경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최적의 통신방식이 변경되면(S40),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변경된 통신방식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S50), 통신방식이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송한다(S60).
제어부(140)는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통신방식 변경을 수락하는 신호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통신방식 변경을 수락하는 신호가 전송되면, 통신방식을 변경하여 통신을 유지한다(S80).
반면,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통신방식 변경을 거절하는 신호가 전송되면, 제어부(140)는 통신을 종료한다(S90).
도 3은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에 따른 다른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제어부(140)에 의하여 최적의 통신방식으로 통신되는 과정은 도 2의 S10 내지 S30과 동일하다.
최적의 통신방식으로 통신되고 있던 중,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가 아닌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의 통신환경이 변경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제어부(140)는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통신방식 변경에 따른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100).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제어부(140)는 현재의 통신방식에서 요청된 통신방식으로 변경한다(S110). 만약, 사용자가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요청된 통 신방식을 원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40)는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에 또 따른 다른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제1통신방식으로 인터넷 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제1통신방식과 상이한 제2통신방식으로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통신방식은 이동통신망사업자에 의한 3G 망 통신이고, 제2통신방식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모바일 단말기(100)는 제1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버에 접속한다(S200). 모바일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사업자의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 뒤, 인터넷 연결 공유(internet connection sharing; ICS) 기능을 실행한다. 사용자는 특정 인터넷 서버를 통하여 다른 사용자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사이트에 접속할 수도 있고, 대화하기(chatting room)나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런 후, 모바일 단말기(100)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제2통신방식으로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을 시작한다 (S210).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와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의 최적의 통신방식은 제1통신방식이 아닌 제2통신방식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통신방식으로 접속한 인터넷 환경을 제 2통신방식으로 상대방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에 IP 어드레스를 할당한다(S220). 사용자는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면서,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로 자신이 접속한 인터넷 서버 또는 커뮤니티에 접속할 것을 요청할 수 있 다.
IP 어드레스를 할당 받은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는 DNS를 요청하고(S230), 이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100)는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의 DNS 요청 신호를 인터넷 서버로 전송한다(S240).
그런 후, 모바일 단말기(100)는 인터넷 서버로부터 DNS 응답을 수신하고(S250), 이를 다시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송한다(S260). 즉, 모바일 단말기(100)는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에 대하여 DHCP 서버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는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게 되고, 사용자와 상대방은 커뮤니티 공간에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만약, 상대방이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하여 커뮤니티 정보를 입력하면(S270), 모바일 단말기(100)는 인터넷 연결 공유 기능에 포함되어 있는 네트워크 어드레스 트랜스레이터(network address translator; NAT) 기능을 이용하여 커뮤니티 정보를 트랜스레이트 한다(S280). 즉, 모바일 단말기(100)는 인터넷 서버와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 사이의 공유된 정보를 라우팅 한다. 트랜스레이트된 정보는 제1통신방식으로 인터넷 서버로 전송된다(S290).
또한, 사용자 역시 커뮤니티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커뮤니티 정보는 서버로 전송되고(S300), 트랜스레이트되어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된다(S310).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대방은 유료 서비스인 3G 망을 이용하지 않고 무료 서비스인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사용자와 인터넷 서버를 통한 정보 교환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에 따른 또 다른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는 제1상대방 모바일 단말기(300) 및 제2상대방 모바일 단말기(400)와 서로 다른 통신방식을 통하여 통신한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제2상대방 모바일 단말기(300)와는 3G 망을 통하여 통신하고 제2상대방 모바일 단말기(400)과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를 통하여 서로 통신한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어부(140)는 제1상대방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제2상대방 모바일 단말기(400)로 전송하고, 제1상대방 모바일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제2상대방 모바일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트랜스레이터 기능을 수행한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제1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300)와 제2상대방 모바일 단말기(400)의 통신에 있어서 호스트 또는 서버의 역할을 한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세 개의 단말기(100, 300, 400)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제1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300)와 제2상대방 모바일 단말기(400)로 채팅룸과 같은 UI를 생성하여 각 단말기(300, 400)로 전송하고, 각 단말기(300, 40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서로 다른 통신방식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전송한다.
이런 통신이 이루어지는 동안 어느 한 단말기(100, 300, 400)의 통신환경이 변경되면, 도 2 및 도 3의 통신방식 변경 방법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가 최적의 통신방 식을 판단하고, 서로 다른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모바일 단말기 간의 정보를 라우팅하는 발명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에 따른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3은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에 따른 다른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4는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에 또 따른 다른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5는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에 따른 또 다른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모바일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신호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제어부 200 :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

Claims (26)

  1.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통신방식으로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처리된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복수의 통신방식 중에서 최적의 통신방식으로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의 통신환경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된 통신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최적의 통신방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의 통신환경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통신방식 중 신호 전송속도가 가장 빠른 통신방식을 상기 최적의 통신방식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적의 통신방식이 변경되면, 변경된 통신방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적의 통신방식이 변경되면,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 통신방식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통신방식의 변경을 수락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방식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통신방식 변경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된 통신방식으로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방식에는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통신방식으로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제1통신방식으로 소정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제1통신방식과 상이한 제2통신방식으로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 서버와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 사이의 정보를 라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에 IP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DNS 요청을 상기 인터넷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수신된 DNS응답을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 서버에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상기 커뮤니티에 공유된 정보를 라우팅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방식은 3G 망 통신이고, 상기 제2통신방식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제1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제1통신방식으로 통신하고, 제2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제1통신방식과 상이한 제2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제2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1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제2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5.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통신방식으로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의 통신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모니터링된 통신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최적의 통신방식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최적의 통신방식으로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통신방식을 판단하는 단계는 복수의 통신방식 중 신호 전송속도가 가장 빠른 통신방식을 상기 최적의 통신방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의 통신방식이 변경되면, 변경된 통신방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통신방식이 변경되면,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 통신방식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통신방식의 변경을 수락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방식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통신방식 변경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된 통신방식으로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제1통신방식으로 소정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제1통신방식과 상이한 제2통신방식으로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넷 서버와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 사이의 정보를 라우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에 IP주소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DNS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DNS 요청을 상기 인터넷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1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수신된 DNS응답을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버에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우팅하는 단계는 상기 커뮤니티에 공유된 정보를 라우팅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방식은 3G 망 통신이고, 상기 제2통신방식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방법.
  26. 제15항에 있어서,
    제1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제1통신방식으로 통신하고, 제2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제1통신방식과 상이한 제2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상기 제1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제2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1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제2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방법.
KR1020090104011A 2009-10-30 2009-10-30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KR101625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011A KR101625930B1 (ko) 2009-10-30 2009-10-30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US12/910,499 US20110105028A1 (en) 2009-10-30 2010-10-22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determining a communication protocol
CN201510564584.XA CN105120510A (zh) 2009-10-30 2010-10-27 用于确定通信协议的移动终端和通信方法
JP2012536670A JP5992830B2 (ja) 2009-10-30 2010-10-27 通信方式を判断するモバイル端末機及び通信方法
PCT/KR2010/007407 WO2011052983A2 (en) 2009-10-30 2010-10-27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determining a communication protocol
CN2010800539708A CN102640540A (zh) 2009-10-30 2010-10-27 用于确定通信协议的移动终端和通信方法
AU2010314011A AU2010314011A1 (en) 2009-10-30 2010-10-27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determining a communication protocol
EP10827067.9A EP2494821A4 (en) 2009-10-30 2010-10-27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determining a communication protocol
JP2015106734A JP2015181279A (ja) 2009-10-30 2015-05-26 通信方式を判断するモバイル端末機及び通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011A KR101625930B1 (ko) 2009-10-30 2009-10-30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400A true KR20110047400A (ko) 2011-05-09
KR101625930B1 KR101625930B1 (ko) 2016-06-01

Family

ID=43922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011A KR101625930B1 (ko) 2009-10-30 2009-10-30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105028A1 (ko)
EP (1) EP2494821A4 (ko)
JP (2) JP5992830B2 (ko)
KR (1) KR101625930B1 (ko)
CN (2) CN102640540A (ko)
AU (1) AU2010314011A1 (ko)
WO (1) WO201105298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839B1 (ko) * 2012-04-04 2014-10-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최적 환경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930B1 (ko) * 2009-10-30 2016-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US8767554B2 (en) 2011-11-21 2014-07-01 Maxlinear, In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bandwidth utilization in an in-home network
WO2015063771A1 (en) * 2013-11-03 2015-05-07 Cardo Systems, Inc. A method of extending an intercom communication range and device thereof
JP6512791B2 (ja) * 2014-11-06 2019-05-15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オーディオ再生装置、及びオーディオ再生システム
CN104780626A (zh) * 2015-04-15 2015-07-15 陈包容 混合多跳移动自组织网络通讯装置及通讯方法
CN105392213B (zh) * 2015-11-27 2019-07-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连接被控智能设备的方法及装置
JP2017112408A (ja) * 2015-12-14 2017-06-22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互いに異なる通信方式を有する装置間の中継機器及びその中継機器における制御方法
JP6524004B2 (ja) * 2016-03-18 2019-06-05 Kddi株式会社 通信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873637B2 (en) * 2016-05-02 2020-12-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rolling service discovery and activation among peers
US20180197501A1 (en) * 2017-01-06 2018-07-12 Intel Corporation Display connection switching
CN109729040B (zh) * 2017-10-27 2022-04-29 伊姆西Ip控股有限责任公司 协议的选择的方法、设备以及计算机可读介质
CN108924875A (zh) * 2018-08-14 2018-11-30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优先级设置方法、装置、用户设备及存储介质
JP7326860B2 (ja) * 2019-05-17 2023-08-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システム、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8059A1 (en) * 2004-09-15 2006-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terminal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hanging WLAN standard and method thereof
WO2009020284A1 (en) * 2007-08-09 2009-02-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and managing mobility protocol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0257B2 (ja) * 1991-04-22 1999-08-03 株式会社東芝 携帯可能電子装置
US5535334A (en) * 1993-01-29 1996-07-09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Fault-tolerant system-to-system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tilizing multiple communications methods to transfer a single message
US7924783B1 (en) * 1994-05-06 2011-04-12 Broadcom Corporation Hierarchical communications system
US5635940A (en) * 1994-02-02 1997-06-03 Hickman; Paul L. Communication configurator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US6314469B1 (en) * 1999-02-26 2001-11-06 I-Dns.Net International Pte Ltd Multi-language domain name service
US6728520B2 (en) * 1999-08-31 2004-04-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onstant loop gain in a closed loop circuit
JP3631208B2 (ja) * 1999-12-28 2005-03-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局
JP2002304333A (ja) * 2001-04-03 2002-10-18 Sony Corp 伝送方法及び伝送装置
JP4801849B2 (ja) * 2001-06-25 2011-10-26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方式切替方法
JP2003198568A (ja) * 2001-10-16 2003-07-11 Sony Corp 送受信装置、送受信方法および送受信システム
JP2004064375A (ja) * 2002-07-29 2004-02-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手段選択方法
JP4792692B2 (ja) * 2002-10-10 2011-10-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移動通信装置、モバイルルータ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2004260503A (ja) * 2003-02-26 2004-09-16 Nec Corp 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通信モード選択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100703264B1 (ko) * 2003-08-2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양한 억세스망들이 중첩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음성 및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4269162B2 (ja) * 2004-01-07 2009-05-2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の無線経路選択方法およびその携帯通信端末並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
JP4396296B2 (ja) * 2004-01-30 2010-01-13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該携帯電話機を用いる通信経路中継システム及び方法
JPWO2005086373A1 (ja) * 2004-03-05 2008-0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ロトコル切替え可能な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005158B1 (ko) * 2004-03-30 2011-01-04 소니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교섭을 위한 무선 장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0662607B1 (ko) * 2004-09-15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규격 자동설정기능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장치 및방법
JP4382636B2 (ja) * 2004-11-11 2009-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
US7532907B2 (en) * 2004-12-22 2009-05-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 Ab Method of providing multiple data paths using a mobile terminal and related devices
US20060194596A1 (en) * 2005-02-26 2006-08-31 Li Deng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peer to peer mobile messaging
US7774505B2 (en) * 2005-03-05 2010-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data in real-time
KR100767421B1 (ko) * 2006-01-05 2007-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4366608B2 (ja) * 2006-02-17 2009-11-18 村田機械株式会社 通信装置
JP4709046B2 (ja) * 2006-03-27 2011-06-2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77322B1 (ko) * 2006-04-17 2007-11-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크로스 레이어 프로토콜을이용한 효율적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JP2009538043A (ja) * 2006-05-16 2009-10-29 オートネット・モバイ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リンクを監視するモバイル・ルータ
US8081958B2 (en) * 2006-12-01 2011-12-20 Yahoo! Inc. User initiated invite for automatic conference participation by invitee
US8102852B2 (en) * 2006-12-14 2012-01-24 Oracle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time-stamping data packets from a network
KR100907507B1 (ko) * 2007-03-05 2009-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 단말의 bwa 네트워크 연동시 사용자 인증 방법및 그 시스템
JP2008236079A (ja) * 2007-03-16 2008-10-02 Kyocera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321191B1 (ko) * 2007-03-29 2013-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품질정보 전송방법
TWI507061B (zh) * 2007-06-18 2015-11-01 Interdigital Tech Corp 執行胞元重選的無線發射接收單元及其方法
KR100902752B1 (ko) * 2007-08-02 2009-06-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다중 이동 통신망 환경에서의 접속망 선택 시스템 및 방법
JP4475328B2 (ja) * 2007-12-26 2010-06-09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I20080032A0 (fi) * 2008-01-16 2008-01-16 Joikusoft Oy Ltd Älypuhelin WLAN-tukiasemana
JP5064255B2 (ja) * 2008-01-30 2012-10-31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09101994A1 (ja) * 2008-02-14 2009-08-20 Nec Corporation 通信端末、通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085734B2 (en) * 2008-03-14 2011-12-27 Lantiq Deutschland Gmbh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receive diversity allocation
JP2010041670A (ja) * 2008-08-08 2010-02-18 Brother Ind Ltd 通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の主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の副通信装置
CN101388819A (zh) * 2008-10-17 2009-03-18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网络接入方法、系统及移动终端
KR101625930B1 (ko) * 2009-10-30 2016-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8059A1 (en) * 2004-09-15 2006-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terminal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hanging WLAN standard and method thereof
WO2009020284A1 (en) * 2007-08-09 2009-02-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and managing mobility protocol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839B1 (ko) * 2012-04-04 2014-10-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최적 환경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81279A (ja) 2015-10-15
CN105120510A (zh) 2015-12-02
WO2011052983A2 (en) 2011-05-05
US20110105028A1 (en) 2011-05-05
EP2494821A4 (en) 2017-06-07
JP2013509781A (ja) 2013-03-14
JP5992830B2 (ja) 2016-09-14
EP2494821A2 (en) 2012-09-05
AU2010314011A1 (en) 2012-05-17
KR101625930B1 (ko) 2016-06-01
WO2011052983A3 (en) 2011-09-09
CN102640540A (zh) 2012-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930B1 (ko)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JP6026668B2 (ja) マルチバンドサービスディスカバリを実行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26471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essions from one or more devices
US20040162027A1 (en)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notifying users of devices connectable to ad-hoc networks to establish effective connections based on a user&#39;s selection
KR102113060B1 (ko) 와이파이 네트워크 환경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7318141B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设备及系统
JP2022543005A (ja) 距離測定方法、ユーザ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KR20130127690A (ko)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인접 노드들을 디스커버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50031454A (ko) 무선 통신 시스템
CA27137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on of an uplink resource
KR20060122782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무선 기지국 장치, 및핸드오프 제어 방법
KR20110087974A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68344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연결 제어 방법
JP4649295B2 (ja) 通信機器及び通信方法
WO2024060930A1 (zh) 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8035960A1 (zh) 一种中继网络连接方法及相关设备
CN108390824B (zh) 自组网络路径构筑系统及节点
KR101632753B1 (ko) 단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개 단말 및 방법
WO2014174893A1 (ja) 通信機器及びBluetooth通信システム
KR100883073B1 (ko)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653656B1 (ko) 와이파이-블루투스 브릿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와이파이-블루투스 연결 방법
KR1013146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 방식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057638A (ko) 통신망 관리 시스템 및 통신망 관리 방법
KR20090084764A (ko) 블루투스 기반 인터넷 서비스 지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지원방법과 컨텐츠 제공 방법
JP201317598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