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974A -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974A
KR20110087974A KR1020100007670A KR20100007670A KR20110087974A KR 20110087974 A KR20110087974 A KR 20110087974A KR 1020100007670 A KR1020100007670 A KR 1020100007670A KR 20100007670 A KR20100007670 A KR 20100007670A KR 20110087974 A KR20110087974 A KR 20110087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mmunication device
mobile
data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059B1 (ko
Inventor
이생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7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059B1/ko
Priority to US13/014,024 priority patent/US8610756B2/en
Publication of KR20110087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974A/ko
Priority to US14/095,286 priority patent/US914400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8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received calls from one subscriber to another; Arrangements affording interim conversations between either the calling or the called party and a thir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04W36/035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in self-organis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은 이동통신망과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한 제1 휴대 단말기 및 제2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에게 통화 호를 이양하는 과정과, 통화 호를 이양 받은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가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에게 통화 호를 이양하지 않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CALL SERVICE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 절환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화의 끊김이 발생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그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화상 통화 서비스,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휴대 단말기와 같은 전통적인 통신기기 이외의 다양한 전자기기들에 특정 주소체계, 예를 들면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 주소를 부여하여 상기 전자기기들이 데이터 통신기기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주소체계를 부여받아 데이터 통신기기로서 기능하는 상기 전자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음성 및 화상 통화 서비스와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음성 및 화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던 중 상기 데이터 통신기기를 통해 통화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려 하는 경우, 먼저 통화를 중단한 후 상기 데이터 통신기기를 이용해 통화 연결을 다시 시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기기간의 통화 절환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방법의 제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기기가 통화의 중단 없이 상호간 통화 절환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은 이동통신망과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한 제1 휴대 단말기 및 제2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에게 통화 호를 이양하는 과정과, 통화 호를 이양 받은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가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에게 통화 호를 이양하지 않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통신망을 통한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 기능이 있고,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제1 휴대 단말기 및 제2 휴대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 기능이 있고,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통신기기 및 제2 데이터 통신기기와, 제1 휴대 단말기 및 제2 휴대 단말기와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호간의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지원하고, 상기 제1 휴대 단말기 및 제2 휴대 단말기가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로의 통화 절환을 요청하면 이에 따른 통화 절환 절차를 수행하는 이동통신망과, 상기 이동통신망 및 제1 데이터 통신기기 및 제2 데이터 통신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호간의 데이터 패킷 교환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망과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주파수부와, 인접한 거리에 있는 다른 통신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와, 상기 무선주파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통신망과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위한 통화 데이터 및 통화 절환 서비스를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제어하여 통화 호를 이양할 데이터 통신기기의 아이피 주소, 도메인 네임 및 맥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기기가 통화의 중단 없이 상호간의 통화 절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기기간의 통화 절환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시스템의 통화 절환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게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게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시스템(100)은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제2 휴대 단말기(103)와,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와,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와, 이동통신망(109) 및 통신 네트워크(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제2 휴대 단말기(103)간의 음성 및 화상 통화를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가 통화 호를 이양한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간의 통화로 절환하거나, 상기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간의 음성 및 화상 통화를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간의 통화로 절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 절환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간의 음성 및 화상 통화를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가 통화 호를 이양한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간의 통화로 절환하거나,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간의 음성 통화 및 화상 통화를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간의 통화로 절환할 수 있다. 즉, 상기 통화 절환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상기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간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와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간의 통화 절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통화 절환 서비스 시스템(100)은 통화를 절환하는 과정에서 통화의 끊어짐이 없이 상술한 통화 절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가 상기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로 통화 호를 이양하고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가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로 통화 호를 이양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와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 사이에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통화 절환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 및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가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통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시스템(100)의 각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 및 제2 휴대 단말기(103)는 상기 이동통신망(109)을 통한 음성 통화 기능, 화상 통화 기능, 메시지 서비스(SMS) 기능 및 각종 데이터 송수신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단말기이다.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 및 제2 휴대 단말기(103)는 이동통신망(109)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다른 통신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및 적외선 통신 장치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다른 통신기기들과 직접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는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의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는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가 도메인 네임을 획득한 경우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는 도메인 네임 서버(Domain name server, DNS)를 통해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아이피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가 이더넷(Ethernet)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는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대신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 및 제2 휴대 단말기(103)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획득한 상기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가 이더넷(Ethernet)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획득한 상기 맥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는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부터 통화 절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 수행중인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 및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한 음성 통화 기능, 화상 통화 기능 및 데이터 송수신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통신기기이다. 상기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 및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와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함으로써 상술한바와 같은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및 적외선 통신 장치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다른 통신기기들과 직접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는 제1 휴대 단말기(101)의 전화번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는 제2 휴대 단말기(103)의 전화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 및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획득한 상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이동통신망(109)으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부터 통화 절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 수행중인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 및 제2 휴대 단말기(103)와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 및 제2 휴대 단말기(103)가 상호간의 이동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통신 네트워크(111)와 접속되어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에 접속된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에 접속된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절환 서비스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 및 제2 휴대 단말기(103)로부터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통화중인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 및 제2 휴대 단말기(103)의 통화 경로를 상기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아이피 주소 또는 맥 어드레스로 절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제2 휴대 단말기(103)가 이동통신망(109)을 통해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수행하던 중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가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아이피 주소 또는 맥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수신 준비 상태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가 수신 준비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데이터를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상술한 통화 절환 절차를 수행한 후 통화 절환 확인 메시지를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로 전송하여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가 수행중인 통화를 종료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지국(201)과, 제2 기지국(209)과, 제1 이동전화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203)와, 제2 이동전화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207)와, 공중전화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2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201)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와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상기 제1 이동전화교환기(203)간의 통화 데이터 교환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지국(209)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와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와 상기 제2 이동전화교환기(207)간의 통화 데이터 교환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전화교환기(203)는 상기 제1 기지국(201)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의 음성 또는 화상 통화 및 각종 부가서비스를 제어하고 통화 경로를 설정하며 여러 다른 장비들 및 외부망과의 연결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전화교환기(207)는 상기 제2 기지국(209)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의 음성 또는 화상 통화 및 각종 부가서비스를 제어하고 통화 경로를 설정하며 여러 다른 장비들 및 외부망과의 연결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중전화교환망(205)은 상기 제1 이동전화교환기(203) 및 상기 제2 이동전화교환기(207)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전화교환기(203)와 상기 제2 이동전화교환기(207)간의 각종 데이터 교환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는 이동통신망(109)과,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 및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 사이에 데이터 통신채널을 확보하여 각종 정보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109)이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아이피 주소를 가리키는 데이터 패킷을 통신 네트워크(111)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가 상기 이동통신망(109)의 아이피 주소를 가리키는 데이터 패킷을 통신 네트워크(111)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와 통신채널로 연결된 통신기기들이 서로간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는 이더넷(Ethernet)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는 상기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 및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를 식별하기 위해 아이피 주소 대신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109)이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맥 어드레스를 가리키는 데이터 패킷을 통신 네트워크(111)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가 상기 이동통신망(109)의 맥 어드레스를 가리키는 데이터 패킷을 통신 네트워크(111)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시스템(100)의 통화 절환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은 통화를 전달하는 기기인 제2 휴대 단말기(103)가 통화를 전달받는 기기인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주소를 획득한 후 통화를 절환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①번 절차에서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제2 휴대 단말기(103)는 이동통신망(109)을 통해 통화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다. 이때, ②번 절차에서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에게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통신 네트워크(111)가 이더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는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맥 어드레스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를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에 가까이 접근시키거나 또는 블루투스 등의 구성을 통해 검색된 인접한 데이터 통신기기들 중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를 선택하는 조작이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을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맥 어드레스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는 ③번 절차에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 중 하나를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에게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에게 도메인 네임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는 도메인 네임 서버(Domain name server, DNS)를 통해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아이피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는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아이피 주소 또는 맥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는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사용자로부터 직접 상기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 중 하나를 입력받거나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에 기 저장된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들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방식으로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주소를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주소를 획득한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는 ④번 절차에서 이동통신망(109)으로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의 정보 및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⑤번 절차에서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로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통화 준비 상태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준비 상태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는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통화 준비 상태를 확인한 후 ⑥번 절차에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통화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가 통화 준비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은 사용자로부터 상술한 통화 절환을 수락하는 입력을 받는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통화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⑦번 절차에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가 송신하는 통화 데이터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 송신하는 통화 데이터를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간의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간의 통화로 절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제1 이동전화교환기(203)를 통해 상기 ⑦번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제2 이동전화교환기(207)를 통해 상기 ⑦번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⑦번 절차를 통해 통화 절환이 이루어진 이후의 통화 데이터 교환 경로는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가 제1 기지국(201), 제1 이동전화교환기(203),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와 통화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1 통화 경로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가 제1 기지국(201), 제1 이동전화교환기(203), 공중전화교환망(205), 제2 이동전화교환기(207),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와 통화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통화 경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통화 경로 또는 제2 통화 경로에 대한 선택은 이동통신망(109) 설계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이동전화교환기(203) 및 제2 이동전화교환기(207)의 통화 부하량에 따라 적은 통화 부하량을 가지는 이동전화교환기를 경유하여 통신 네트워크(111)에 접속하는 통화 경로가 선택될 수 있다. 즉, 상기 ⑦번 절차에서 상기 제1 이동전화교환기(203)의 통화 부하량이 상기 제2 이동전화교환기(207)의 통화 부하량보다 많은 경우 이동통신망(109)은 상기 제2 통화 경로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제2 이동전화교환기(207)의 통화 부하량이 상기 제1 이동전화교환기(203)의 통화 부하량보다 많은 경우 이동통신망(109)은 상기 제1 통화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⑧번 절차에서 통화 절환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가 통화를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4는 통화를 전달받는 기기인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가 통화를 전달하는 기기인 제2 휴대 단말기(103)의 전화번호를 획득한 후 통화를 절환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①번 절차에서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제2 휴대 단말기(103)는 이동통신망(109)을 통해 통화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다. 이때, ②번 절차에서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에게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를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에 가까이 접근시키거나 또는 블루투스 등의 구성을 통해 검색된 인접한 휴대 단말기들 중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를 선택하는 조작이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는 ③번 절차에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의 전화번호를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는 상기 휴대 단말기(103)의 전화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는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사용자로부터 직접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받거나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에 기 저장된 전화번호들 가운데 상기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방식으로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의 전화번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의 전화번호를 획득한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는 ④번 절차에서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이동통신망(109)으로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정보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⑤번 절차에서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로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의 통화 준비 상태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준비 상태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는 통화 준비 상태를 확인한 후 ⑥번 절차에서 통화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가 통화 준비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은 사용자로부터 상술한 통화 절환을 수락하는 입력을 받는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통화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⑦번 절차에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가 송신하는 통화 데이터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 송신하는 통화 데이터를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간의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간의 통화로 절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제1 이동전화교환기(203)를 통해 상기 ⑦번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제2 이동전화교환기(207)를 통해 상기 ⑦번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⑦번 절차를 통해 통화 절환이 이루어진 이후의 통화 데이터 교환 경로는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가 제1 기지국(201), 제1 이동전화교환기(203),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와 통화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1 통화 경로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가 제1 기지국(201), 제1 이동전화교환기(203), 공중전화교환망(205), 제2 이동전화교환기(207),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와 통화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통화 경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통화 경로 또는 제2 통화 경로에 대한 선택은 이동통신망(109) 설계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이동전화교환기(203) 및 제2 이동전화교환기(207)의 통화 부하량에 따라 적은 통화 부하량을 가지는 이동전화교환기를 경유하여 통신 네트워크(111)에 접속하는 통화 경로가 선택될 수 있다. 즉, 상기 ⑦번 절차에서 상기 제1 이동전화교환기(203)의 통화 부하량이 상기 제2 이동전화교환기(207)의 통화 부하량보다 많은 경우 이동통신망(109)은 상기 제2 통화 경로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제2 이동전화교환기(207)의 통화 부하량이 상기 제1 이동전화교환기(203)의 통화 부하량보다 많은 경우 이동통신망(109)은 상기 제1 통화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⑧번 절차에서 통화 절환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가 통화를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통화 절환 절차는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 사이에서도 수행 가능하며, 상기 통화 절환 절차를 수행한 결과 상기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와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가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하게 되는 경우, 상기 통화를 위한 통화 데이터는 이동통신망(109)을 경유하지 않고 통신 네트워크(111)만을 통해서 상호 교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시스템(100)의 통화 절환 절차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휴대 단말기(101) 및 제2 휴대 단말기(103)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제2 휴대 단말기(103)는 그 구성과 기능이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휴대 단말기(101) 또는 제2 휴대 단말기(103)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용어로서 특정 휴대 단말기(500)를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 휴대 단말기(101) 또는 제2 휴대 단말기(103)를 개별적으로 설명할 수도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이하 설명에서는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 또는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용어로서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를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 또는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를 개별적으로 설명할 수도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가 다른 통신기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블루투스부(507)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특정 휴대 단말기(50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특정 휴대 단말기(500)로서,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장치, 지그비(zigbee)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 적외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활용한 응용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를 그 구성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휴대 단말기(500)는 표시부(503), 무선주파수부(505), 블루투스부(507), 저장부(509), 입력부(511) 및 제어부(5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특정 휴대 단말기(500)는 무선주파수부(505)를 통해 이동통신망(109)과 무선채널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109)에 접속된 다른 통신기기들과 음성 통화 및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블루투스부(507)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다른 통신기기와 직접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는 본 발명의 통화 절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503)는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503)는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통화 화면 및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표시부(503)는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503)로는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또는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표시부(503)는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통화 절환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획득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503)는 제2 휴대 단말기(103)가 상기 통화 절환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획득한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에는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 중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가 통화 절환 기능 수행을 위한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 경우, 상기 표시부(503)는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503)는 제1 휴대 단말기(101)에서도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주파수부(505)는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통신기능을 지원한다. 즉, 상기 무선주파수부(505)는 제어부(501)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망(109)과 설정된 방식의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무선통신(음성 통신, 영상 통신)과,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과 관련한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무선주파수부(505)는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등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주파수부(505)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고,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주파수부(505)는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통화 절환 절차 수행을 위한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이동통신망(109)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주파수부(505)는 상기 이동통신망(109)로부터 통화 준비 상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통화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상술한 통화 절환 절차 수행 과정에서 제2 휴대 단말기(103)가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주소를 획득하여 이동통신망(109)으로 통화 절환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무선주파수부(505)는 상기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이동통신망(109)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 절환 절차 수행 과정에서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의 전화번호를 획득하여 이동통신망(109)으로 통화 절환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무선주파수부(505)는 상기 이동통신망(109)로부터 통화 준비 상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통화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주파수부(505)는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상기 이동통신망(109)사이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부(507)는 다른 통신기기의 블루투스부와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여 특정 휴대 단말기(500)가 상기 다른 통신기기와 직접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블루투스부(507)는 본 발명의 통화 절환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 중 하나 또는 전화번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통화 절환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2 휴대 단말기(103)가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 중 하나를 획득하여 이동통신망(109)으로 통화 절환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을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맥 어드레스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로부터 상기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 중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 절환 절차 수행 과정에서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가 제2 휴대 단말기(103)의 전화번호를 획득하여 이동통신망(109)으로 통화 절환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부(507)는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로부터 상기 제2 휴대 단말기(103)의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부(507)는 제1 휴대 단말기(101)와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사이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0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통화 서비스 지원을 위해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데이터 및 상기 프로그램들의 운용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다양한 기능을 운용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 예를 들면,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프로그램, 동영상 재생을 위한 응용프로그램 및 게임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통화 절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화 절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화 절환 프로그램은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가 상기 통화 절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 중 하나를 획득하고 상기 아이피 주소 또는 맥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 절환 프로그램은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가 상기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이동통신망(109)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부터 통화 절환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수행중인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종료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MP3 파일, 사진 파일 및 동영상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특정 휴대 단말기(500)가 상기 통화 절환 프로그램을 통해 획득한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휴대 단말기(101)의 데이터 영역은 제1 데이터 통신기기(105)의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 중 하나를 저장할 수 있고, 제2 휴대 단말기(103)의 데이터 영역은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 중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511)는 다양한 숫자 및 문자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신호와,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각 기능들의 설정 및 각 기능들의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501)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부(511)는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상기 각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511)는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 및 쿼티 방식의 키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511)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주소를 입력받아 제어부(5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휴대 단말기(103)가 통화 절환 기능 수행을 위한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주소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511)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통신기기(107)의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 중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1)는 상술한 각 구성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동작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1)는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 내의 상기 각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1)는 표시부(503), 무선주파수부(505), 블루투스부(507), 저장부(509) 및 입력부(511) 등과 같은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각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50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을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맥 어드레스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로 송신하도록 블루투스부(507)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부(507)가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로부터 상기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 중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1)는 상기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 중 하나를 포함하는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이동통신망(109)으로 전송하도록 무선주파수부(505)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무선주파수부(505)가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부터 통화 절환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1)는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가 수행중인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종료하도록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501)는 블루투스부(507)가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로부터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를 송신한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블루투스부(507)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주파수부(505)가 이동통신망(109)으로부터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통화 준비 상태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1)는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통화 준비 상태를 확인한 후 통화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주파수부(505)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과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휴대 단말기(500)와 이동통신망(111)의 운용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601 단계에서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제어부(501)는 통화 호를 이양할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통화 호를 이양할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화 호를 이양할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로 송신하도록 블루투스부(507)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통신 네트워크(111)가 이더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1)는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맥 어드레스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화 호를 이양할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블루투스부(507)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부(507)가 상기 통화 호를 이양할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로부터 상기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 중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501)는 상기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 중 하나를 저장부(509)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부(509)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통화 절환 기능 수행을 위한 통화 호를 이양할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 중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어부(501)는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입력부(51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통화 호를 이양할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 또는 맥 어드레스 중 하나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데이터 영역에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부(509)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가 상기 통화 호를 이양할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도메인 네임을 획득했을 경우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는 도메인 네임 서버(Domain name server, DNS)를 통해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아이피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603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501)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상기 아이피 주소 또는 맥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이동통신망(109)으로 전송하도록 무선주파수부(505)를 제어함으로써 통화 절환 요청을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501)는 605 단계에서 상기 무선주파수부(505)가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부터 통화 절환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화 절환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1)는 607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 통화 전환 불가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1)는 도 6의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607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501)는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가 수행중인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종료하도록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휴대 단말기(5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화 호를 이양할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는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주소를 포함하는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이동통신망(109)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로의 통화 절환을 요청할 수 있고, 상기 이동통신망(109)로부터 통화 절환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행 중인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중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망(109)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701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특정 휴대 단말기(500)로부터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통화 절환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703 단계에서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상기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주소로 통화 준비 상태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로부터 통화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705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로부터 통화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709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705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로 전달되는 통화 데이터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에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111)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109)으로 수신되는 통화 데이터를 상기 다른 통신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상기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특정 휴대 단말기(500)가 수행 중인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의 통화 호를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로 이양할 수 있다.
다음으로 707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통화 절환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통화 절환을 요청한 특정 휴대 단말기(5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가 수행 중인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703 단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로부터 통화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109)은 709 단계에서 통화 절환 불가 메시지를 상기 특정 휴대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망(109)은 상기 이동통신망(109)에 접속된 통신기기로부터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통화 절환을 요청한 상기 통신기기가 수행 중인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상기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아이피 주소 또는 맥 어드레스를 가지는 통신기기로 절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게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103, 500 : 휴대 단말기 105, 107 : 데이터 통신기기
109 : 이동통신망 111 : 통신 네트워크

Claims (15)

  1. 이동통신망과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한 제1 휴대 단말기 및 제2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에게 통화 호를 이양하는 과정과;
    통화 호를 이양 받은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가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에게 통화 호를 이양하지 않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호를 이양하는 과정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 및 제2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가 통화 호를 이양할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주소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주소를 획득한 휴대 단말기가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주소를 포함하는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주소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아이피 주소, 도메인 네임 및 맥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주소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상기 데이터 통신기기의 아이피 주소, 도메인 네임 및 맥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호를 이양하는 과정은
    통화 호를 이양 받을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가 제1 휴대 단말기 또는 제2 휴대 단말기 중 통화 호를 이양할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를 획득한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가 상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통화 절환 요청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호를 이양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망이 상기 제1 휴대 단말기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간의 통화 경로를 통화 호를 이양하지 않은 휴대 단말기와 통화 호를 이양 받은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간의 통화 경로 또는 통화 호를 이양 받은 데이터 통신기기들 간의 통화 경로로 통화 절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호를 이양하지 않은 휴대 단말기와 통화 호를 이양 받은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간의 통화 경로는
    상기 통화 호를 이양하지 않은 휴대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와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한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연결된 이동전화교환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화 호를 이양 받은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와 통화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1 통화 경로와;
    상기 통화 호를 이양하지 않은 휴대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와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한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연결된 이동전화교환기와, 공중전화교환망과, 통화 호를 이양한 휴대 단말기가 소속된 이동전화교환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화 호를 이양 받은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와 통화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통화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호를 이양하는 과정 이후
    상기 이동통신망이 상기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의 통화 준비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망이 통화 호를 이양한 휴대 단말기에게 통화 절환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 호를 이양한 휴대 단말기가 상기 통화 절환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수행 중인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중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호를 이양하는 과정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기가 서로 다른 데이터 통신기기에게 각각 통화 호를 이양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를 이양 받은 데이터 통신기기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를 이양 받은 데이터 통신기기와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은
    이동통신망을 포함하지 않고 통신 네트워크만을 통해 상기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12. 이동통신망을 통한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 기능이 있고,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제1 휴대 단말기 및 제2 휴대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 기능이 있고,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통신기기 및 제2 데이터 통신기기와;
    제1 휴대 단말기 및 제2 휴대 단말기와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호간의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지원하고, 상기 제1 휴대 단말기 및 제2 휴대 단말기가 특정 데이터 통신기기로의 통화 절환을 요청하면 이에 따른 통화 절환 절차를 수행하는 이동통신망과;
    상기 이동통신망 및 제1 데이터 통신기기 및 제2 데이터 통신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호간의 데이터 패킷 교환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와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제1 휴대 단말기와 제1 이동전화교환기간의 통화 데이터 교환을 지원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휴대 단말기와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제2 휴대 단말기와 제2 이동전화교환기간의 통화 데이터 교환을 지원하는 제2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휴대 단말기의 음성 또는 화상 통화 및 각종 부가서비스를 제어하고 통화 경로를 설정하며 여러 다른 장비들 및 외부망과의 연결기능을 제공하는 제1 이동전화교환기와;
    상기 제2 기지국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휴대 단말기의 음성 또는 화상 통화 및 각종 부가서비스를 제어하고 통화 경로를 설정하며 여러 다른 장비들 및 외부망과의 연결기능을 제공하는 제2 이동전화교환기와;
    상기 제1 이동전화교환기 및 제2 이동전화교환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전화교환기 및 제2 이동전화교환기간의 각종 데이터 교환을 지원하는 공중전화교환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시스템.
  14. 이동통신망과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주파수부와;
    인접한 거리에 있는 다른 통신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와;
    상기 무선주파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통신망과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위한 통화 데이터 및 통화 절환 서비스를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제어하여 통화 호를 이양할 데이터 통신기기의 아이피 주소, 도메인 네임 및 맥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직접 상기 아이피 주소, 도메인 네임 및 맥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아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상기 아이피 주소, 도메인 네임 및 맥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00007670A 2010-01-28 2010-01-28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69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670A KR101669059B1 (ko) 2010-01-28 2010-01-28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13/014,024 US8610756B2 (en) 2010-01-28 2011-01-26 Method,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call switching service
US14/095,286 US9144005B2 (en) 2010-01-28 2013-12-03 Method,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call switch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670A KR101669059B1 (ko) 2010-01-28 2010-01-28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974A true KR20110087974A (ko) 2011-08-03
KR101669059B1 KR101669059B1 (ko) 2016-10-25

Family

ID=44308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670A KR101669059B1 (ko) 2010-01-28 2010-01-28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610756B2 (ko)
KR (1) KR101669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601A1 (ko) * 2011-11-21 2013-05-30 Kim Min Kyoum 음성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14499A (ko) * 2012-10-18 2015-02-06 시아오미 아이엔씨. 통신 처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1954B1 (en) 2005-10-31 2014-08-19 Genband Us Llc Network domain selection
US8600006B2 (en) * 2006-12-27 2013-12-03 Genband Us Llc Voice continuity among user terminals
US8644298B1 (en) 2007-09-12 2014-02-04 Genband Us Llc Adding a service control channel after session establishment
US8412185B2 (en) * 2009-09-14 2013-04-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evic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WI487364B (zh) * 2011-12-01 2015-06-01 Amtran Technology Co Ltd 裝置間切換通話之方法及通訊電子裝置
CN103379304A (zh) * 2012-04-20 2013-10-30 宏碁股份有限公司 视频通话切换方法和系统
CN103905770A (zh) * 2012-12-25 2014-07-02 夏普株式会社 移动通信设备、显示设备以及相应的方法
CN103052121B (zh) * 2013-01-04 2016-08-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本地通信网络业务切换方法、装置和系统
TWI540903B (zh) * 2014-06-03 2016-07-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視訊通話轉換方法、行動終端及智慧電視
CN104917996A (zh) * 2015-06-19 2015-09-16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视频通话切换方法和系统
CN106332209B (zh) * 2015-09-22 2019-11-29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切换方法及切换装置
CN105721728A (zh) * 2016-02-16 2016-06-29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WiFi的呼叫转移方法及智能终端
CN108668098B (zh) * 2017-03-30 2021-04-23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多方通话的建立方法、装置及多通终端
US10630844B1 (en) * 2018-12-19 2020-04-21 T-Mobile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video call transf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2471B2 (ja) * 1998-02-19 2009-10-2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6750897B1 (en) * 2001-08-16 2004-06-15 Verizon Data Servic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internet video conferencing using standard phone calls
US7283154B2 (en) * 2001-12-31 2007-10-16 Emblaze V Con Ltd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conference and/or data collaboration initiation
JP3791504B2 (ja) * 2003-03-13 2006-06-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0590867B1 (ko) * 2003-12-05 2006-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 피 기반의 화상/음성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호전환/호 픽업 방법
WO2006066610A1 (en) * 2004-12-23 2006-06-29 Telecom Italia S.P.A. Method and system for video telephone communications set up, related equipment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1929832A1 (de) * 2006-09-25 2008-06-11 Siemens Home and Office Communications Devices GmbH & Co. KG Verfahren zum aufbau einer telefonverbindung und vorrichtungen
EP2168402B1 (fr) * 2007-07-17 2018-09-05 Orange Appropriation dynamique d'au moins un equipement multimedia lors d'une mise en communication
US8294747B1 (en) * 2009-07-14 2012-10-23 Juniper Networks, Inc. Automated initiation of a computer-based video conference using a mobile phone telephony sess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601A1 (ko) * 2011-11-21 2013-05-30 Kim Min Kyoum 음성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14499A (ko) * 2012-10-18 2015-02-06 시아오미 아이엔씨. 통신 처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92841A1 (en) 2014-04-03
US8610756B2 (en) 2013-12-17
US20110181681A1 (en) 2011-07-28
US9144005B2 (en) 2015-09-22
KR101669059B1 (ko) 201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7974A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5293618B2 (ja) 無線通信装置
CN101288317B (zh) 用于利用无线手机进行通信的系统和方法
CN111698772B (zh) 5g系统的注册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10064118B2 (en) Method for operating communicatio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2021192521A (ja) ホットスポット接続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端末デバイス
KR20120068275A (ko) 휴대 단말기의 AP(Access Point)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2504893A (ja) 近距離無線通信網を介してデータ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と、このためのcpnsサーバと移動通信端末
KR20080075297A (ko)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US11596014B2 (en) Multimode base station and cordless communication system
RU2536876C2 (ru) Система голосовой связи по ip-протоколу, использующая безлицензионные частоты и включающая мобильный телефон
US20090061858A1 (en) System and Method to Manage Communication Handoff
JP2007221381A (ja) 移動端末、リソース配置マネージャ、及び通信制御方法
KR100722472B1 (ko) 엑세스 포인트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5369920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17135607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05828412A (zh) 一种网络连接方法及装置
JP3762129B2 (ja) 携帯電話機
KR101303020B1 (ko) 음성통화와 메신저 서비스의 동시 실행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0028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선전화망 자동 접속 방법
JP6262003B2 (ja) スマートフォン用アダプタ
KR2011010158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영상통화 방법 및 장치
KR100620226B1 (ko) 통합 액세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 접속 방법과 그시스템
JP6211778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54059B2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