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804A - 넥킹캔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넥킹캔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804A
KR20110042804A KR1020090099640A KR20090099640A KR20110042804A KR 20110042804 A KR20110042804 A KR 20110042804A KR 1020090099640 A KR1020090099640 A KR 1020090099640A KR 20090099640 A KR20090099640 A KR 20090099640A KR 20110042804 A KR20110042804 A KR 20110042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ing
holder
manufacturing apparatus
pres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8778B1 (ko
Inventor
유일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1020090099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778B1/ko
Priority to CN201080046031.0A priority patent/CN102574193B/zh
Priority to JP2012535110A priority patent/JP5439600B2/ja
Priority to PCT/KR2010/006899 priority patent/WO2011049308A2/ko
Priority to US13/502,644 priority patent/US8935947B2/en
Publication of KR20110042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38Making inlet or outlet arrangements of cans, tins, baths, bottles, or other vessels; Making can ends; Mak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14Spi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4Reducing;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15Edge treatment of cans or tins
    • B21D51/2638Ne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넥킹캔 제조장치는, 드로잉 완료된 캔의 입구를 가공하는 넥킹캔 제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스 하판; 상기 프레스 하판에 대해 상하 직선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프레스 상판; 상기 프레스 하판에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홀더 및 상기 프레스 상판에 설치되는 다수의 금형으로 구성되는 성형부; 상기 가이드를 따라 홀더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프레스 상판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드로잉이 완료된 캔을 다수의 실린더에 의해 직선 이송시켜 고속으로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네킹캔, 프레스, 제조

Description

넥킹캔 제조장치{NECKING CAN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넥킹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로잉 가공(바닥면이 형성된 원통체)이 완료된 금속 캔의 입구를 가공하는 넥킹캔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의 저장용기로 사용되는 금속제 캔은 주로 알루미늄이나 철을 소재로 제조된다.
이러한 금속제 캔은 알루미늄판이나 철판에 드로잉(drawing) 가공이나 아이어닝(ironing) 등의 가공을 다단계로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금속제 캔은 이지 오픈 앤드(Easy open end)형 캔과 병목이 형성된 캔으로 나누어지며, 병목이 형성된 금속제 캔은 넥킹캔(Necking Can), 보틀캔(Bottle Can) 및 넥크인캔(Neck-in Can) 등으로 불린다.(이하, '넥킹캔')
이러한 넥킹캔은 입구에 마개를 결합할 수 있도록 입구를 줄여줌과 동시에 나사를 형성시키는 넥크인가공(Neck-in)을 하게 된다(도 1 참고).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종래의 넥킹캔 제조장치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넥킹캔 제조장치(10)는, 상하 직선운동을 하는 프레스 상판(11)과, 캔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도록 회전하는 프레스 하판(1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스 상판(11)에는 드로잉 가공이 완료된 캔의 입구를 점차 줄여주도록 다수의 금형(13)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스 하판(12)에는 캔이 삽입되는 다수의 홀더(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 하판(12)에는 원형의 가이드(15)가 구비되어 그 위에 홀더(14)를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프레스 하판(12)은 모터(16)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넥킹캔 제조장치(10)는, 프레스 상판(11)의 상하 직선 운동에 의해 금형(13)은 캔의 입구를 점차적으로 줄여주며, 프레스 하판(12)은 홀더(14)에 고정된 캔을 다음 공정(다음 금형)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원형으로 돌아가며 캔을 이송시킨다.
따라서, 입구가공 및 이송 동작을 연속으로 실행함으로써 원통형 형태의 캔이 점차 입구가 줄어들면서 병 형태의 캔으로 가공되고, 병 형태로 가공된 캔은 밀봉립금형에 의해 도 1의 (c)와 같이 마개를 밀봉할 수 있도록 캔 상부에 나사를 내어줌과 동시에 도 1의 (d)와 같이 끝 단부를 커링(Curling) 마감하여 넥킹캔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넥킹캔 제조장치(10)는 캔의 이송방법이 로터리 방식으로 구 성됨으로써 홀더(14)는 관성에 의해 요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홀더(14)의 요동을 멈추기 위해 프레스 하판(12)의 회전이송속도를 제한하거나 홀더(14)와 가이드(15)의 사이에 연질의 보강재(가죽, 합성수지) 등을 덧대어 요동을 줄일 수는 있지만 이로 인해 생산성의 저하 및 보강재의 마모로 인한 교체 사용이 발생하므로 소모품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넥킹캔 제조장치는 다수의 금형(13)과 홀더(14)를 일일이 교체 및 세팅하여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사이즈의 넥킹캔을 가공하기에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덧붙여, 금형(13)과 홀더(14)의 교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로잉이 완료된 캔을 직선 이송시켜 고속으로 가공할 수 있는 넥킹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형 및 홀더의 교체가 용이한 넥킹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형부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더욱 빠른 속도로 넥킹캔의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서로 다른 사이즈들의 넥킹캔이 동시에 가공할 수 있는 넥킹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넥킹캔 제조장치는, 드로잉 완료된 캔의 입구를 가공하는 넥킹캔 제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스 하판; 상기 프레스 하판에 대해 상하 직선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프레스 상판; 상기 프레스 하판에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홀더 및 상기 프레스 상판에 설치되는 다수의 금형으로 구성되는 성형부; 상기 가이드를 따라 홀더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프레스 상판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프레스 하판에 부착되는 가이드프레임에 의해 제 1,2가이드로 구분형성되며, 상기 제1,2가이드의 양측 끝단은 상기 홀더가 순환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제1가이드를 따라 홀더를 이송시키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2가이드를 따라 홀더를 이송시키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제1,2가이드 양측 끝단에 위치한 홀더를 이송시키는 제3,4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4실린더에는 푸시블록이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력이 발생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캠 및 상기 구동캠에 연동하여 상기 프레스 상판을 상하 직선 운동시키는 종동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홀더를 지지하는 홀더지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홀더지지수단은, 상기 프레스 하판과 수평지지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홀더 방향으로 수평이동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며 베어링이 구비되는 홀더종동체 및 상기 프레스 상판에 고정되며 상기 베어링이 삽입되는 테이퍼홈과 직선홈이 형성되는 홀더이송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홀더에 대응되는 반원형의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금형이 설치되는 금형포켓이 더 구비되되, 상기 금형포켓은 금형포켓핀에 의해 상기 프레스 상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금형은 외측금형과 내측금형으로 구성되며 높이조절너트·볼트에 의해 상기 금형포켓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형부는 드로잉 완료된 캔을 각각 성형할 수 있도록 제1,2성형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넥킹캔 제조장치에 따르면, 드로잉이 완료된 캔을 다수의 실린더에 의해 직선 이송시켜 고속으로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형의 하부이동에 연동하여 지지플레이트가 캔이 고정된 홀더를 지지하여 홀더의 유동을 방지한다.
또한, 다수의 금형이 장착된 금형포켓과 홀더를 빠르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2성형부에서 각각 넥킹캔을 가공할 수 있어 빠른 속도로 넥킹캔을 가공하여 더욱 빠른 생산력을 기대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사이즈가 각기 다른 금형을 제1,2성형부에 별도로 장착하여 두 가지의 제품을 하나의 설비로 제조할 수 있어 설비를 운영하는데 있어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사이즈들의 넥킹캔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넥킹캔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프레스 상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금형포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금형포켓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의 이송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은 도 3의 홀더지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넥킹캔 제조장치의 홀더순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로잉 완료된 캔(C)의 입구를 가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넥킹캔 제조장치(A)는, 프레스 하판(100)과, 상기 프레스 하판(100)에 대해 상하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되는 프레스 상판(200)과, 캔(C)의 상부 입구를 점차적으로 줄여주도록 가공하는 성형부(300)와, 상기 캔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400) 및 상기 프레스 상판(200)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5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프레스 하판(100)에는 상판지지대(101)가 설치되며, 상기 상판지지대(101)는 프레스 상판(200)을 관통설치되어 상기 프레스 상판(200)의 상하 이동을 지지함과 동시에 요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성형부(300)는 상기 프레스 하판(100)에 형성되는 가이드(310)와, 상기 가이드(310)에 이송되도록 설치되며 캔(C)이 삽입되는 다수의 홀더(320) 및 상기 프레스 상판(200)에 설치되며 캔(C)의 입구를 가공하는 다수의 금형(3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310)는 상기 프레스 하판(100)에 부착되는 가이드프레임(110)에 의해 제1,2가이드(311,312)로 구분형성되며, 상기 제1,2가이드(311,312) 의 양측 끝단은 상기 홀더(320)가 순환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즉, 상기 가이드(310)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수단(400)은 상기 제1가이드(311)를 따라 홀더(320)를 이송시키는 제1실린더(410)와, 상기 제2가이드(312)를 따라 홀더(320)를 이송시키는 제2실린더(420) 및 상기 제1,2가이드(311,312) 양측 끝단에 위치한 홀더(320)를 이송시키는 제3,4실린더(430,440)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10과 같이 캔(C)이 삽입되는 홀더(320)는 상기 제1~4실린더에 의해 가이드(310)를 순환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금형(330)에 의해 3~20회 이상의 프레스 공정이 이뤄지게 된다. 덧붙여, 상기 제1~4실린더(410,420,430,440)에 의해 홀더(320)를 직선으로 이송시켜줌에 따라 고속으로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4실린더(410,420,430,440)에는 홀더(320)의 외주면을 일부 감싸도록 원형의 밀착부(미도시)가 형성된 푸시블록(450)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500)은 구동력이 발생되는 모터(510)와, 상기 모터(510)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축(520)과, 상기 구동축(520)에 축결합되는 구동캠(530) 및 상기 구동캠(530)에 연동하여 상기 프레스 상판(200)을 상하 직선 운동시키는 종동체(5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종동체(540)는 프레스 상판(200)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상기 모터(510)와 구동축(520)은 벨트풀리(501) 및 벨트(502)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홀더(320)를 지지하는 홀더지지수단(600)이 더 구비되며, 상기 홀더지지수단(600)은 상기 프레스 하판(100)과 수평지지부(611)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홀더(320) 방향으로 수평이동되는 지지플레이트(61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610)에 설치되며 베어링(621)이 구비되는 홀더종동체(620) 및 상기 프레스 상판(200)에 고정되며 상기 베어링(621)이 삽입되는 테이퍼홈(631)과 직선홈(632)이 형성되는 홀더이송캠(6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610)에는 홀더(320)에 대응되는 반원형의 지지홈(6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캔(C)을 가공하기 위해 프레스 상판(200)이 하강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610)는 홀더(32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수평이동하여 홀더(32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홀더(320)에 안착 되어있는 캔(C)을 가공할 때, 가공시 받는 충격을 방지함으로써 캔(C)은 안정적인 가공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금형(310)이 설치되는 금형포켓(700)이 더 구비되되, 상기 금형포켓(700)은 금형포켓핀(710)에 의해 상기 프레스 상판(200)에 설치된다. 이때, 금형포켓(700)은 프레스 상판(200)에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거나 일반적인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형포켓(700)에는 다수개의 금형(33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금형(310)을 하나씩 교체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였다.
즉, 금형(13)을 하나씩 교체하는 종래의 넥킹캔 제조장치(10)와는 달리 다수의 금형(330)이 설치된 금형포켓(700)을 교체함으로써 교체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 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금형(330)은 외측금형(331)과 내측금형(332)으로 구성되며, 상기 금형은 높이조절너트·볼트(333,334)로 높이를 조절한 후에 상기 금형포켓(700)에 설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금형(330)은 넥크인(Neck-in) 가공에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성형부(300)는 드로잉 완료된 캔(C)을 각각 가공할 수 있도록 제1,2성형부(300a,300b)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2성형부(300a,300b)는 프레스 상,하판(100,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성형부(300a,300b)에서 각각 캔(C)을 가공할 수 있어 빠른 속도로 캔(C)을 가공하여 더욱 빠른 생산력을 기대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사이즈가 각기 다른 금형(330)을 제1,2성형부(300a,300b)에 별도로 장착하여 두 가지의 제품을 하나의 설비로 제조할 수 있어 설비를 운영하는 데 있어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즉, 서로 다른 사이즈들의 캔(C)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넥킹캔의 성형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넥킹캔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넥킹캔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프레스 상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금형포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금형포켓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이송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3의 홀더지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넥킹캔 제조장치의 홀더순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A - 넥킹캔 제조장치 100 - 프레스 하판
200 - 프레스 상판 300 - 성형부
400 - 이송수단 500 - 구동수단

Claims (11)

  1. 드로잉 완료된 캔의 입구를 가공하는 넥킹캔 제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스 하판;
    상기 프레스 하판에 대해 상하 직선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프레스 상판;
    상기 프레스 하판에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홀더 및 상기 프레스 상판에 설치되는 다수의 금형으로 구성되는 성형부;
    상기 가이드를 따라 홀더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프레스 상판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킹캔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프레스 하판에 부착되는 가이드프레임에 의해 제1,2가이드로 구분형성되며, 상기 제1,2가이드의 양측 끝단은 상기 홀더가 순환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킹캔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제1가이드를 따라 홀더를 이송시키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2가이드를 따라 홀더를 이송시키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제1,2가이드 양측 끝단에 위치한 홀더를 이송시키는 제3,4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킹캔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4실린더에는 푸시블록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킹캔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력이 발생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캠 및 상기 구동캠에 연동하여 상기 프레스 상판을 상하 직선 운동시키는 종동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킹캔 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를 지지하는 홀더지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킹 캔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지지수단은,
    상기 프레스 하판과 수평지지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홀더 방향으로 수평이동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며 베어링이 구비되는 홀더종동체 및 상기 프레스 상판에 고정되며 상기 베어링이 삽입되는 테이퍼홈과 직선홈이 형성되는 홀더이송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킹캔 제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홀더에 대응되는 반원형의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킹캔 제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이 설치되는 금형포켓이 더 구비되되, 상기 금형포켓은 금형포켓핀에 의해 상기 프레스 상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킹캔 제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외측금형과 내측금형으로 구성되며 높이조절너트·볼트에 의해 상기 금형포켓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킹캔 제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드로잉 완료된 캔을 각각 성형할 수 있도록 제1,2성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킹캔 제조장치.
KR1020090099640A 2009-10-20 2009-10-20 넥킹캔 제조장치 KR101058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640A KR101058778B1 (ko) 2009-10-20 2009-10-20 넥킹캔 제조장치
CN201080046031.0A CN102574193B (zh) 2009-10-20 2010-10-08 用于制造缩颈罐的装置
JP2012535110A JP5439600B2 (ja) 2009-10-20 2010-10-08 ネッキング缶の製造装置
PCT/KR2010/006899 WO2011049308A2 (ko) 2009-10-20 2010-10-08 넥킹캔 제조장치
US13/502,644 US8935947B2 (en) 2009-10-20 2010-10-08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ecking c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640A KR101058778B1 (ko) 2009-10-20 2009-10-20 넥킹캔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804A true KR20110042804A (ko) 2011-04-27
KR101058778B1 KR101058778B1 (ko) 2011-08-24

Family

ID=4390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640A KR101058778B1 (ko) 2009-10-20 2009-10-20 넥킹캔 제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35947B2 (ko)
JP (1) JP5439600B2 (ko)
KR (1) KR101058778B1 (ko)
CN (1) CN102574193B (ko)
WO (1) WO201104930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780B1 (ko) * 2014-06-17 2015-03-25 유일한 금속제 캔의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778B1 (ko) 2009-10-20 2011-08-24 주식회사 파세코 넥킹캔 제조장치
US8127588B1 (en) 2011-03-23 2012-03-06 Halpin Harold W Apparatus and methods for forming a finger-engaging portion in a stay-on-tab of a lid of a container
WO2014150705A1 (en) 2013-03-15 2014-09-25 Station 4 Llc Devices and methods for bending a tab on a container
US10391541B2 (en) 2014-02-27 2019-08-27 Belvac Production Machinery, Inc. Recircul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an and bottle making machinery
CN103878200B (zh) * 2014-03-20 2015-09-23 浙江正邦汽车模具有限公司 一种汽车真空助力器壳体成型机
ITUB20155832A1 (it) * 2015-11-23 2017-05-23 Spl Soluzioni S R L Apparecchiatura per la lavorazione di corpi metallici.
CN108043990B (zh) * 2016-01-05 2020-05-22 苏州斯莱克精密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直线式罐口成形设备
DE102017123544B4 (de) * 2017-10-10 2022-09-08 Mall + Herlan Gmbh Bearbeitungsvorrichtung und Bearbeitungsverfahren
CN108262408B (zh) * 2017-12-27 2019-05-17 天津万通包装有限公司 一种双缩颈的饮料罐生产装置
US10934104B2 (en) 2018-05-11 2021-03-02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Infeed assembly quick change features
CN112118920B (zh) * 2018-05-11 2023-04-14 斯多里机械有限责任公司 驱动组件
CN112105916B (zh) 2018-05-11 2024-01-02 斯多里机械有限责任公司 馈入组件全面检查组件
WO2019217667A1 (en) 2018-05-11 2019-11-14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Quick change tooling assembly
BR112020023034A2 (pt) 2018-05-11 2021-02-02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coletor rotativo
WO2019217614A1 (en) 2018-05-11 2019-11-14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Quick change transfer assembly
WO2019217645A1 (en) 2018-05-11 2019-11-14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Process shaft tooling assembly
CN109332466A (zh) * 2018-11-09 2019-02-15 王洁 罐体成型装置、系统和方法
CN109304400B (zh) * 2018-11-09 2020-12-29 苏州茵楚机械科技有限公司 罐体成型装置和系统
US11420242B2 (en) 2019-08-16 2022-08-23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Reform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05843A (en) 1926-02-19 1929-03-19 American Can Co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interiorly beaded or looped tearing-strip can
US1912258A (en) 1932-03-31 1933-05-30 Continental Can Co Machine for flanging can bodies
CH600985A5 (ko) * 1975-09-22 1978-06-30 Km Engineering Ag
US4070888A (en) 1977-02-28 1978-01-31 Coors Containe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ly necking and flanging a can body member
DE2732263A1 (de) 1977-07-16 1979-02-01 Schuler Gmbh L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sicke am umfang eines hohlzylinders
DE2847736A1 (de) 1978-11-03 1980-05-22 Schuler Gmbh L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sicke am umfang eines hohlzylinders
US4207761A (en) 1978-12-06 1980-06-17 Weyerhaeuser Company Apparatus for flanging can bodies
US4747287A (en) 1981-02-05 1988-05-31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Inclined axes spin flanging head and method for using same
JPS6246806A (ja) * 1985-08-26 1987-02-28 Yoshino Kogyosho Co Ltd 搬送装置とその駆動方法
JP2977973B2 (ja) * 1991-10-28 1999-11-15 大和製罐株式会社 多連しごき成形機
CN2246578Y (zh) * 1996-02-15 1997-02-05 涂小波 旋合瓶盖成型滴塑机
US5775161A (en) 1996-11-05 1998-07-07 American National Can Co. Staggered die method and apparatus for necking containers
JP3973277B2 (ja) 1997-12-01 2007-09-12 三菱製鋼株式会社 変速機用センターリング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US5899109A (en) * 1998-03-23 1999-05-04 Rapindex Incorporated Indexing conveyor for a die transfer system and method
JP4507318B2 (ja) * 1999-12-03 2010-07-21 曙機械工業株式会社 裁断機
KR100316130B1 (ko) 2000-01-25 2001-12-12 채현수 통장 입금시 자동통보 시스템
KR100448150B1 (ko) * 2001-11-27 2004-09-10 (주)대성후드텍 과립충전기 및 과립충전방법
JP4608189B2 (ja) 2003-03-28 2011-01-05 大和製罐株式会社 異形缶製造方法、及びエキスパンド型
US8037728B2 (en) 2003-08-28 2011-10-18 Universal Can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bottle can
JP4113188B2 (ja) 2005-02-08 2008-07-09 リンナイ株式会社 偏平ガスバーナ
US7765848B2 (en) * 2006-04-14 2010-08-03 Honda Motor Co., Ltd. Press working method and press working apparatus
JP2008043965A (ja) * 2006-08-11 2008-02-28 Daiwa Can Co Ltd ボトル型缶の製造装置
JP4850783B2 (ja) 2007-06-04 2012-01-11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金属製ボトル缶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0970433B1 (ko) 2008-01-08 2010-08-26 (주)씨엠케이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KR20090099640A (ko) 2008-03-18 2009-09-23 주식회사 동우아엠텍 방음벽 조립장치
KR101058778B1 (ko) 2009-10-20 2011-08-24 주식회사 파세코 넥킹캔 제조장치
WO2011093601A2 (ko) 2010-01-28 2011-08-04 (주)파세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및 상기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금속제 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780B1 (ko) * 2014-06-17 2015-03-25 유일한 금속제 캔의 제조장치
US9744583B2 (en) 2014-06-17 2017-08-29 Il Han Yoo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tallic c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778B1 (ko) 2011-08-24
CN102574193A (zh) 2012-07-11
CN102574193B (zh) 2014-08-20
WO2011049308A2 (ko) 2011-04-28
US20120198905A1 (en) 2012-08-09
WO2011049308A3 (ko) 2011-09-01
JP2013508166A (ja) 2013-03-07
JP5439600B2 (ja) 2014-03-12
US8935947B2 (en) 201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778B1 (ko) 넥킹캔 제조장치
CN1287927C (zh) 用于容器开口端缩颈的方法和装置
CN110394389A (zh) 一种气动拉伸模具
CN110523836A (zh) 一种带旋转自锁装置的联动冲压模具
CN201871600U (zh) 立式三旋轮气体钢瓶收口机
KR101505780B1 (ko) 금속제 캔의 제조장치
CN1219608C (zh) 弯边方法及其设备
CN110126455B (zh) 一种设有二合一烫金头的多功能烫金机
CN109351938A (zh) 一种具有间歇输送功能的压铸机
US9370893B2 (en) Blow mold unit and blow molding device
EP2703145B1 (en) Preform conveying device and preform manufacturing equipment
CN215554679U (zh) 一种异型精油弹力素瓶套膜机
CN109304442A (zh) 一种自动化铝制品铸造设备
KR100801146B1 (ko) 아이스크림 용기의 뚜껑 공급장치
CN210683151U (zh) 一种封口机用导向装置
CN209582060U (zh) 一种固化剂罐装机
KR101823233B1 (ko) 넥킹캔 제조장치
CN101633413B (zh) 铝盒包装机的封口装置
CN216638879U (zh) 胶水罐上料灌装结构
CN217437718U (zh) 一种酱卤肉封口装置
CN219133206U (zh) 一种新型直线式吹瓶装置
CN215101867U (zh) 一种高效旋转式压盖机
CN217512704U (zh) 一种容器开口加工模具
KR100984558B1 (ko) 캔 성형장치
CN216785710U (zh) 一种表面活性剂灌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