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9002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9002A
KR20110039002A KR1020090096248A KR20090096248A KR20110039002A KR 20110039002 A KR20110039002 A KR 20110039002A KR 1020090096248 A KR1020090096248 A KR 1020090096248A KR 20090096248 A KR20090096248 A KR 20090096248A KR 20110039002 A KR20110039002 A KR 20110039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image
photosensitive drum
transfer roller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장희
김정환
이세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9002A/ko
Priority to US12/725,695 priority patent/US8306465B2/en
Publication of KR2011003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94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the final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3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vertic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04Main transfer electrode
    • G03G2215/1614Transfer ro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신호에 따라 변조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광주사기, 복수의 광주사기로부터 각각 출사된 광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드럼, 복수의 감광드럼에 각각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 복수의 감광드럼에 각각 현상된 토너화상들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 복수의 감광드럼에 각각 대응하도록 중간전사벨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토너화상을 중간전사벨트에 전사시키는 전사전압을 인가하는 복수의 제1전사롤러, 중간전사체에 형성된 현상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제2전사롤러와, 용지에 전사된 현상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포함하며, 복수의 제1전사롤러는 중간전사벨트의 주행방향을 따라 하류측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의 감광드럼 각각과 이격거리가 순차적으로 짧아지는 1군의 제1전사롤러와, 1군의 제1전사롤러의 이격거리변화와 독립적인 2군의 제1전사롤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간접전사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에 광주사 장치를 이용하여 광빔을 주사함으로써 정전잠상을 형성한 뒤,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이용하여 현상하여 현상화상을 형성하고, 생성된 현상화상을 인쇄매체 상에 전사하고, 전사된 현상화상을 그 인쇄매체 상에 정착시킴으로써 화상을 현상한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의 현상화상이 용지에 직접 전사되어 정착되는 방식과, 감광체의 현상화상이 중간전사체로 전사되어 중첩된 후, 중첩화상이 용지에 전사되어 정착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후자는 중간전사체로 현상화상이 전사될 때 감광체와 전사롤러가 서로 가압된 상태로 압력전사와 전계전사가 동시에 발생하는 직접전사와, 중간전사체로 현상화상이 전사될 때 감광체와 전사롤러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전계전사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간접전사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간접전사는 칼라화상이 중간전사체로 순차적으로 전사됨에 따라 토너층이 점점 두꺼워지므로 효율적인 전사제어를 위해 전사롤러에 인가되는 전압이 순 차적으로 커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칼라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감광체로부터 중간전사체로의 토너전사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신호에 따라 변조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광주사기;
상기 복수의 광주사기로부터 각각 출사된 광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드럼;
상기 복수의 감광드럼에 각각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
상기 복수의 감광드럼에 각각 현상된 토너화상들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
상기 복수의 감광드럼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중간전사벨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토너화상을 상기 중간전사벨트에 전사시키는 전사전압을 인가하는 복수의 제1전사롤러;
상기 중간전사체에 형성된 현상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제2전사롤러와;
상기 용지에 전사된 현상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전사롤러는 상기 중간전사벨트의 주행방향을 따라 하류측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의 감광드럼 각각과 이격거리가 순차적으로 짧아지는 1군의 제1전사롤러와, 상기 1군의 제1전사롤러의 이격거리변화와 독립적인 2군의 제1전사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1군의 제1전사롤러는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에 각각 대응하도록 구성 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전사벨트의 주행방향을 따라 하류방향으로 임의적인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1군의 제1전사롤러는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에 대응하는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2군의 제1전사롤러는 블랙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2군의 제1전사롤러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감광드럼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1군의 제1전사롤러중 어느 하나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감광드럼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2군의 제1전사롤러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감광드럼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1군의 제1전사롤러중 어느 하나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감광드럼 사이의 이격거리 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전사롤러 각각에 연결되어 전사전압을 인가하는 단일고압전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아래에 예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광체와 전사롤러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을 고정전압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는 광주사기(110), 감광드럼(120), 대전롤러(121), 현상유닛(130), 중간전사벨트(140), 제1전사롤러(150), 제2전사롤러(160) 및 정착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주사기(110)는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120)의 표면에 주사한다.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폴리곤미러를 이용하여 주주사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드럼(120)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광주사기로 채용될 수 있다.
감광드럼(110)은 감광체의 일 예로서, 원통형 금속파이프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의 감광층이 형성된 것이다. 감광드럼(110)의 외주면은 광주사기(130)에서 주사되는 광이 결상되는 피주사면에 해당된다. 감광체로서 벨트형태의 감광벨트가 적용될수 있다.
대전롤러(111)는 감광드럼(110)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예이다. 대전롤러(111)에는 대전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111)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현상유닛(130)은 그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며, 토너는 현상유닛(130)과 감광드럼(120)사이에 인가되는 현상 전압에 의하여 감광드럼(120)으로 이동되어,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다.
중간전사벨트(Intermediate Transfer Belt, 140)는 감광드럼(120)의 토너화상이 전사되어 칼라 또는 모노화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롤러(141)(142)에 지지되어 회전되며, 그 바깥쪽 표면은 감광드럼(120)에 접촉된다. 중간전사벨트(140)는 일정한 표면저항값과 체적저항값을 가질수 있다.
제1전사롤러(150)는 감광드럼(120)과 중간전사벨트(140)사이에 제1전사 전압을 인가하여, 감광드럼(120)의 토너화상을 중간전사벨트(140)로 전사시킨다. 제1전사롤러(150)는 저항이 0 또는 0에 가까운 도전성금속소재가 사용된다.
제2전사롤러(160)는 중간전사벨트(140)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용지에 전사되도록 제2전사 전압을 인가한다. 용지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히팅롤러(171)와 가압롤러(172)로 이루어진 정착유닛(170)을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을 받아 용지에 정착되며, 배지롤러(180)를 통해 배지대(190)로 배지된다.
화상형성장치의 하측에는 복수의 용지(P)를 적재한 용지카세트(10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용지(P)는 용지카세트(101)의 상측에 마련된 픽업롤러(102)에 의하여 낱장씩 픽업되어 내측으로 이송된다.
칼라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광주사기(110), 감광드럼(120), 대전롤러(121), 현상유닛(130)과 제1전사롤러(150)는 4개씩 배치된다. 4개의 광주사기(110Y)(110M)(110C)(110K)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색상의 화상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광을 4개의 감광드럼(120Y)(120M)(120C)(120K)에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4개의 현상유닛(130Y)(130M)(130C)(130K)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색상의 토너를 대응하는 4개의 감광드 럼(120Y)(120M)(120C)(120K)에 각각 공급하여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색상의 토너화상을 형성시킨다. 4개의 제1전사롤러(150Y)(150M)(150C)(150K)는 4개의 감광드럼(120Y)(120M)(120C)(120K)에 각각 형성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색상의 토너화상을 중간전사벨트(140)에 전사시키기 위한 제1전사전압을 인가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중간전사벨트가 적용된 간접전사방식으로, 용지이송벨트가 적용된 직접전사방식에 비하여 다음과 같이 대별되는 장점이 있다.
직접전사방식에 적용되는 용지이송벨트(Paper Transfer Belt)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대적으로 큰 고전압(통상 2000V이상)을 필요로 한다. 이는 직접전사방식은 용지를 흡착시키기 위한 흡착전계와, 토너이미지 전사를 위한 전사전계가 동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용지이송벨트가 적용된 직접전사방식은 토너 커버리지(%)별로 서로 대별되는 전사효율 저감특징이 있다. 즉, Full-Solid Image를 충분히 전사시키기 위해서는 토너층에 비례되는 큰 전사전계를 필요하게 되는데, 동일한 전사전계가 Low-Coverage의 Image에 인가되었을 경우 용지가 전사닙으로부터 박리되는 시점에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박리방전에 의한 토너비산과 역전사에 의한 효율저감이 수반된다. 따라서, 토너 커버리지(%)별로 각각 최적화된 전사전계가 서로 이원화되어 있기 때문에 고압설계에 어려움이 많다.
용지이송벨트를 사용하는 전사시스템은 환경에 따른 시스템 임피던스 변화가 크므로 환경에 따른 다음과 같은 점들 때문에 최적화된 전사품질 확보가 난이하다.
첫째, 전계형성과 더불어 용지반송기능을 수반하기 위한 제1전사롤러는 발포성 고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온도 및 습도 환경에 따라 그 저항에 큰 변화를 갖게 되며, 이온전도 타입의 물성구성일 경우 고온고습 대비 저온저습환경에서 약 100배의 저항상승을 갖게 된다.
둘째, 용지전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의 경우에도 환경에 따라 저항을 포함한 다양한 물성 및 강성변화를 갖게 된다. 특히 용지는 섬유질로 구성되어 있어 고습환경에서의 국부적 함습에 따른 전계누설특성이 매우 강하며, 저온저습환경에서는 강성이 크게 상승하여 용지전송벨트에 안착되어 운송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용지흡착전계를 필요로 한다.
셋째, 용지전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가 서로 다른 전사유닛를 진입, 경유 및 이탈하는 다양한 경우에 따라서 용지를 매개로 하는 시트템유기(시스템 서로 간의 전류흐름의 교호간섭현상)문제점이 크게 대두된다.
넷째, 용지전송벨트 및 용지전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는 용지흡착부 및 복수개의 전사유닛을 순차적으로 경유하게 되면서 벨트 및 용지상에 다양한 정전기들이 누적되게 되므로, 이러한 정전기들을 제거하기 위한 복잡한 제전구조를 수반할 필요가 있다. 이때, 제전장치를 통한 제전전류량이 과다 또는 부족할 경우 물방울 , 뜯김, 조족무늬 및 번짐등의 다양한 화상결함들이 수반되게 되므로 그 설계가 매우 난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용지전송벨트를 적용한 직접전사방식의 결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중간전사벨트를 적용한 간접전사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간접전사방식에 의한 전사를 결정하는 변수는 중간전사체의 고유물성에 의해서 결정되는 표면저항(ρs), 체적저항(ρv) 및 감광드럼과 제1전사롤러사이의 거리(L)이다. 표면저항(ρs)과 체적저항(ρv)은 중간전사체의 고유물성이어서 일정한 값을 가지므로 변화시키기가 어렵다. 따라서, 감광드럼과 제1전사롤러사이의 거리(L)를 조절하여 토너화상의 전사를 조정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간전사벨트(140)가 주행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색상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유닛들이 배치되어 있다. 화상형성유닛들의 배치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색상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유닛들은 임의적인 순서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옐로우 --> 마젠타 --> 시안, 마젠타--> 시안--> 옐로우, 시안-->옐로우-->마젠타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블랙(K)색상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유닛은 다른 색상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유닛들의 양쪽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마젠타--> 시안-->옐로우, 블랙--> 시안--> 옐로우--> 마젠타, 마젠타--> 시안--> 옐로우-->블랙, 시안--> 옐로우--> 마젠타--> 블랙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제1전사롤러(150Y)(150M)(150C)(150K)는 단일고압전원(HVPS, 200)에 연결되어 있으며, 4개의 감광드럼(120Y)(120M)(120C)(120K)은 각각 접지(ground)되어 있으며, 4개의 제1전사롤러(150Y)(150M)(150C)(150K)와 4개의 감광드 럼(120Y)(120M)(120C)(120K)은 중간전사벨트(140)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폐회로를 구성한다.
4개의 제1전사롤러(150Y)(150M)(150C)(150K)는 각각 대응하는 4개의 감광드럼(120Y)(120M)(120C)(120K)과의 거리가 서로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옐로우(Y)색상에 대응하는 감광드럼(120Y)과 제1전사롤러(150Y)와의 거리를 LY라 하고, 마젠타(M)색상에 대응하는 감광드럼(120M)과 제1전사롤러(150M)와의 거리를 LM라 하고, 시안(C)색상에 대응하는 감광드럼(120C)과 제1전사롤러(150C)와의 거리를 LC라 하고, 블랙(K)색상에 대응하는 감광드럼(120K)과 제1전사롤러(150K)와의 거리를 LK라 할 때, LY, LM 및 LC와의 대소 관계는 LY 〉LM 〉LC 이다. 즉, 중간전사체(140)가 주행되는 방향을 따라 하류방향으로 갈수록 감광드럼과 제1전사롤러와의 사이의 거리가 점차 작아진다. 그리고, LK는 LY, LM 및 LC와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전사롤러(150Y)(150M)(150C)(150K), 감광드럼(120Y)(120M)(120C)(120K) 및 중간전사벨트(140)를 하나의 저항체라 할 때, 옐로우(Y)색상에 대응하는 저항체의 고정전압은 Vy 로 표현되고, 마젠타(M)색상에 대응하는 저항체의 고정전압은 Vm 으로 표현되고, 시안(C)색상에 대응하는 저항체의 고정전압은 Vc 로 표현되고, 블랙(K)색상에 대응하는 저항체의 고정전압은 Vk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개별고정전압에 의하여 감광드럼상의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화상이 중간전사체로 전사된다.
이때, 각 색상에 대응하는 개별고정전압은 감광드럼과 제1전사롤러와의 거리 에 대응하여 달라진다. 즉, 감광드럼과 제1전사롤러와의 거리가 멀면 전압이 작아지고, 가까워지면 전압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감광드럼상의 토너를 중간전사체로 전사시키기 위한 고정전압은 감광드럼과 제1전사롤러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달라질 수 있다.
이처럼, LY, LM 및 LC는 중간전사체(140)가 주행되는 방향을 따라 하류방향으로 갈수록 감광드럼과 제1전사롤러와의 사이 거리가 점차 작아지지만, LK는 이와는 별도의 개별적인 크기를 가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옐로우(Y)색상, 마젠타(M)색상 및 시안(C)색상은 중간전사체(140)의 주행방향을 따라 하류방향으로 가면서 서로 중첩되면서 칼라화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하류방향으로 갈수록 인가되는 제1전사전압(Vy, Vm, Vc)이 순차적으로 커져야 한다. 하지만, 블랙(K)색상은 다른 색상과 중첩되지 않고 혼자서 모노화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인가되는 제1전사전압(Vk)이 옐로우(Y)색상, 마젠타(M)색상 및 시안(C)색상에 대응하면서 순차적으로 커질 필요는 없으며, 옐로우(Y)색상, 마젠타(M)색상, 또는 시안(C)색상을 각각 전사하기 위한 제1전사전압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들보다 작아도 상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옐로우(Y)색상, 마젠타(M)색상 및 시안(C)색상이 중첩되는 동작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블랙(K)색상이 전사되는 동작은 옐로우(Y)색상, 마젠타(M)색상 또는 시안(C)색상이 각각 전사되는 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옐로우색상이 전사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젠타색상이 전사되어 옐로우색상에 중첩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안색상이 전사되어 마젠타색상에 중첩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제1전사롤러(150Y)는 감광드럼(120Y)과 이격거리(LY)만큼 떨어져 있다. 단일고압전원(HVPS, 200)으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은 이격거리(LY)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1전사전압(Vy)이 제1전사롤러(150Y)에 인가된다. 이때, 제1전사전압(Vy)에 의하여 감광드럼(120Y)의 표면에 부착된 옐로우토너화상(102)이 중간전사체(140)로 전사된다.
도 2, 3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1전사롤러(150M)는 감광드럼(120M)과 이격거리(LM)만큼 떨어져 있다. 거리(LM)는 제1전사롤러(150Y)와 감광드럼(120Y)사이의 이격거리(LY)보다 작다. 단일고압전원(HVPS, 200)으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은 이격거리(LM)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1전사전압(Vm)이 제1전사롤러(150M)에 인가된다. 이때, 제1전사전압(150M)에 의하여 감광드럼(120M)의 표면에 부착된 마젠타토너화상(103)이 중간전사체(140)로 전사되어 옐로우토너화상(102)에 중첩된다.
도 2, 3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1전사롤러(150C)는 감광드럼(120C)과 이격거리(LC)만큼 떨어져 있다. 거리(LC)는 제1전사롤러(150M)와 감광드럼(120M)사이의 이격거리(LM)보다 작다. 단일고압전원(HVPS, 200)으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은 이격거리(LC)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1전사전압(Vc)이 제1전사롤러(150C)에 인가된다. 이때, 제1전사전압(150C)에 의하여 감광드럼(120C)의 표면에 부착된 시안토너화상(104)이 중간전사체(140)로 전사되어 옐로우토너화상(102)과 마젠타토너화 상(103)에 중첩된다.
전술한 본 발명인 화상형성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광체와 전사롤러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을 고정전압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옐로우색상이 전사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젠타색상이 전사되어 옐로우색상에 중첩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안색상이 전사되어 마젠타색상에 중첩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화상형성장치 101...용지카세트
110...광주사기 120...감광드럼
121...대전롤러 130...현상기
140...중간전사벨트 150...제1전사롤러
160...제2전사롤러 170...정착장치
180...배지롤러 200...고압전원

Claims (7)

  1. 화상신호에 따라 변조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광주사기;
    상기 복수의 광주사기로부터 각각 출사된 광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드럼;
    상기 복수의 감광드럼에 각각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
    상기 복수의 감광드럼에 각각 현상된 토너화상들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
    상기 복수의 감광드럼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중간전사벨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토너화상을 상기 중간전사벨트에 전사시키는 전사전압을 인가하는 복수의 제1전사롤러;
    상기 중간전사체에 형성된 현상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제2전사롤러와;
    상기 용지에 전사된 현상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전사롤러는
    상기 중간전사벨트의 주행방향을 따라 하류측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의 감광드럼 각각과 이격거리가 순차적으로 짧아지는 1군의 제1전사롤러와, 상기 1군의 제1전사롤러의 이격거리변화와 독립적인 2군의 제1전사롤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군의 제1전사롤러는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에 각각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전사벨트의 주행방향을 따라 주행방향으로 임의적인 순서로 배치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1군의 제1전사롤러는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에 대응하는 순서로 배치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군의 제1전사롤러는 블랙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화상형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군의 제1전사롤러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감광드럼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1군의 제1전사롤러중 어느 하나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감광드럼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화상형성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군의 제1전사롤러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감광드럼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1군의 제1전사롤러중 어느 하나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감광드럼 사이의 이격거리 보다 작은 화상형성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전사롤러 각각에 연결되어 전사전압을 인가하는 단일고압전원을 더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90096248A 2009-10-09 2009-10-09 화상형성장치 KR20110039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248A KR20110039002A (ko) 2009-10-09 2009-10-09 화상형성장치
US12/725,695 US8306465B2 (en) 2009-10-09 2010-03-17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varying distances between photosensitive drums and transfer roll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248A KR20110039002A (ko) 2009-10-09 2009-10-09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002A true KR20110039002A (ko) 2011-04-15

Family

ID=43854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248A KR20110039002A (ko) 2009-10-09 2009-10-09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06465B2 (ko)
KR (1) KR201100390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5538A (ja) * 2012-03-28 2013-10-07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6271845B2 (ja) * 2012-04-04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中間転写ユニット
WO2016067840A1 (ja) * 2014-10-31 2016-05-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8010175A (ja) * 2016-07-14 2018-01-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3031869A (ja) 2021-08-25 2023-03-09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1839A (en) 1988-03-11 1990-06-05 Colorocs Corporation Transfer system for electrophotographic print engine
US5119139A (en) 1989-01-06 1992-06-02 Tokyo Electric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printing stations
US5469248A (en) * 1993-02-01 1995-11-2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applying a common transfer bias voltage to first and second transfer rollers
JP2908344B2 (ja) 1996-09-18 1999-06-21 米沢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489781B2 (ja) * 1999-06-14 2010-06-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820840B2 (ja) * 2000-03-14 2006-09-1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WO2002056118A1 (ja) 2001-01-12 2004-05-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方法
CN1292315C (zh) * 2001-05-31 2006-12-27 富士施乐株式会社 彩色图像的形成方法以及彩色图像的形成装置
JP2003098800A (ja) 2001-09-20 2003-04-0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314944B2 (ja) * 2003-09-18 2009-08-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078750A (ja) * 2005-09-12 2007-03-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020516B2 (ja) * 2006-01-30 2012-09-05 株式会社リコー 転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939166B2 (ja) * 2006-10-24 2012-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064931A (ja) * 2009-09-17 2011-03-3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85826A1 (en) 2011-04-14
US8306465B2 (en)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9426B2 (ja) 画像形成装置
US655319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lural image transfer operation modes including different transfer charging features
EP089088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54870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effectively conducting a process control
US6564021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ransfer voltage control for transferring toner patterns
US20110217085A1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28481A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681094B2 (e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belt/roller configuration for single-pass color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200822495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EP3214501B1 (en) Image formation device
KR20110039002A (ko) 화상형성장치
JP2001183916A (ja) 画像形成装置
US2016019583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0284613A (ja) 画像形成装置
US7945190B2 (en) Cleanerless image forming apparatus
US857145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harge eliminating device
JPH11161055A (ja) 画像形成装置
US7593675B2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ischarging unit to discharge an electrical charge of a toner image transferred on a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US2003022816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25150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86270A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16207B2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251046A (ja) 画像形成装置
US648738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ransfer member for carrying a recording medium
JP4077194B2 (ja) 画像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