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5311A -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5311A
KR20110035311A KR1020090092964A KR20090092964A KR20110035311A KR 20110035311 A KR20110035311 A KR 20110035311A KR 1020090092964 A KR1020090092964 A KR 1020090092964A KR 20090092964 A KR20090092964 A KR 20090092964A KR 20110035311 A KR20110035311 A KR 20110035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hours
tablets
turn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9546B1 (ko
Inventor
이규성
이가순
김현호
김관후
Original Assignee
이규성
이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성, 이가순 filed Critical 이규성
Priority to KR1020090092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5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35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은, 수삼과 수삼 중량의 2배 중량의 물을 용기에 넣고, 100±5 ℃에서 5~10 분 끓여 데친 후 9~10 시간 방치하는 제1공정과, 용기내에 있는 용액을 수삼 중량만큼 빼낸 후, 수삼 중량의 1.2~1.3배 중량의 설탕을 용기에 넣는 제2공정과, 중약불에서 1~2 시간동안 1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24 시간 방치하는 제3공정과, 중약불에서 1~2 시간동안 2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24 시간 방치하는 제4공정과, 중약불에서 1~2 시간동안 3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24 시간 방치하는 제5공정과, 약불에서 1~2 시간동안 4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24 시간 방치하는 제6공정과, 제6공정 후 거름망을 이용하여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을 분리수득하는 제7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며, 또한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과 조사포닌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이 제공된다.
진세노사이드, 인삼정과, 인삼정과액, 수삼, 설탕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PRODUCING GINSENG JEONGGWA AND SOLUTION THAT CONTAIN HIGH GINSENOSIDE-RF}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다년생의 반음지성 숙근초로서, 식물학적으로 오가과 인삼속(Panax)에 속한다.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7 가지 인삼속 식물 중 약용으로 이용되는 것은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죽절삼(Panax japonicum C.A. Meyer), 전칠삼(Panax notoginseng Burk. F.H. Chen) 및 화기삼(Panax quinquefolium L.)의 4종이 있다.
인삼은 당뇨증상 개선 및 치료, 심신안정, 두뇌활력, 소화기계 및 호흡기계 장애개선 및 치료, 항암예방효과, 지질과산화억제작용과 알콜유도 뇌발육장해 방어 작용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효과는 인삼에 함유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의 종류와 함량 및 조사포닌의 함량에 따라 달라지며, 또한 이러한 진세노사이드의 종류와 함량은 품종과 재배지에 따라 달라지는데,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경우 미국에서 재배되는 인삼에는 함량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정과(正果)는 수분이 적은 뿌리나 줄기 또는 열매를 설탕시럽과 조청에 장시간 졸여서 쫄깃졸깃하고 달콤하게 만든 한과를 지칭한다.
전통적인 인삼정과는, 수삼을 잠깐동안 데쳐 쓴맛을 제거한 후 물과 설탕을 넣고 약한불에 졸이다가, 거의 졸았을 때 꿀을 넣고 다시 윤기가 나도록 더 졸여서 만든다.
최근, 전통적인 인삼정과를 개량한 다양한 인삼정과의 제조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특허출원 10-1997-0066811(인삼정과 제조방법)에는, 세정된 인삼을 데치고 설탕을 첨가하여 조림하고, 꿀을 혼합하여 인삼정과를 제조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방법은 전통적인 인삼정과의 제조방법의 일부 조건을 개량한 정도에 그치는 점이 있다.
한국특허출원 10-2003-0024338(고품질 인삼정과 제조방법)에는, 인삼을 증숙하고, 증숙된 인삼과 당을 넣고 저압진공에서 당침투시킨 후 풍건하여 인삼정과를 제조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 10-2006-0010977(인삼정과의 제조방법)에는, 인삼의 세미를 제거하고, 증숙한 후, 탈피한 것에 사과 과즙과 봉밀을 혼합한 당침액으로 당침 후 건조하여 인삼정과를 제조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여러가지 인삼정과 제조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인삼의 특정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시도는 없었다.
인삼은 가공방법에 따라 함유성분이 달라지는데, 수삼에 진세노사이드-Rb1, Re, Rf 등 20 여종의 사포닌(saponin)이, 홍삼에는 진세노사이드-Rg3 , Rh3 등 30 여종의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다.
이처럼 인삼에는 다양한 종류의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 진세노사이드-알에프(ginsenoside-Rf)는 지질과산화억제작용과 알콜유도 뇌발육장해 방어작용 등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진세노사이드-알에프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과 조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알에프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은, 수삼과 수삼 중량의 2배 중량의 물을 용기에 넣고, 100±5 ℃에서 5 ~ 10 분 끓여 데친 후 9 ~ 10 시간 방치하는 제1공정과, 용기내에 있는 용액을 수삼 중량만큼 빼낸 후, 수삼 중량의 1.2 ~ 1.3배 중량의 설탕을 용기에 넣는 제2공정과, 중약불에서 1 ~ 2 시간동안 1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 ~ 24 시간 방치하는 제3공정과, 중약불에서 1 ~ 2 시간동안 2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 ~ 24 시간 방치하는 제4공정과, 중약불에서 1 ~ 2 시간동안 3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 ~ 24 시간 방치하는 제5공정과, 약불에서 1 ~ 2 시간동안 4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 ~ 24 시간 방치하는 제6공정과, 제6공정 후 거름망을 이용하여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을 분리수득하는 제7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정에서 3차 졸이면 인삼정과의 수분함량은 21 ~ 25 %가 되며, 4차 졸이는 제6공정에서 인삼정과의 수분함량이 17 ~ 19 %가 되어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나의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알에프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6공정을 거친 후 용기에 올리고과당을 수삼 중량의 4 ~ 5 중량%을 넣고, 약불에서 1 ~ 2 시간동안 5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 ~ 24 시간 방치하는 제7공정과, 제7공정 후 거름망을 이용하여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을 분리수득하는 제8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7공정에서 올리고 과당을 추가하는 것은 설탕으로 졸인 인삼정과가 끈적거리지 않도록 물성을 좋게하고, 색택을 보기좋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인삼정과를 제조하는 당업자들에 있어서, 졸이는 과정의 화력의 세기를 일반적으로 센불, 중불, 중약불, 약불로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화력의 세기를 센불로 했을 경우 그 내용물의 온도가 100 ℃ 이상이 되는 것을 의미하며, 중불로 했을 경우에는 그 내용물의 온도가 95 ± 2 ℃ 가 되는 것을 의미하며, 중약불로 했을 경우에는 그 내용물의 온도가 90 ± 2 ℃가 되는 것을 의미하며, 약불로 했을 경우에는 그 내용물의 온도가 85 ± 2 ℃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보통의 미국 재배삼에서는 함유되어 있지 않은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을 높이고, 또한 조사포닌 함량을 높인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을 제조하기 위해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본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료준비 : 수삼, 설탕, 올리고과당을 준비한다.
수삼을 깨끗이 세척한다.
수삼에 당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바늘로 다수 개의 구멍을 낼 수 도 있다.
제1공정 : 데치기
수삼의 쓴맛을 제거하기 위해 데치기를 한다.
즉, 용기에 수삼과 수삼 중량 2 배의 물을 넣고 100±5 ℃ 에서 5~10 분 데친 후 9~10 시간 방치한다.
제2공정 : 설탕 첨가
용기내에 있는 용액을 수삼중량만큼 빼낸다.
수삼 중량의 1.2~1.3 배 중량의 설탕을 용기에 넣는다.
제3공정 : 1차 졸임
중약불에서 1~2 시간동안 1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24 시간 방치한다.
제4공정 : 2차 졸임
중약불에서 1~2 시간동안 2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24 시간 방치한다.
제5공정 : 3차 졸임
중약불에서 1~2 시간동안 3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24 시간 방치한다.
제6공정 : 4차 졸임
약불에서 1~2 시간동안 수분함량이 17 ~ 19 %가 되도록 4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24 시간 방치한다.
제7공정 :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분리수득
제6공정후 거름망을 이용하여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을 분리수득한다.
한편, 인삼정과의 색택을 좋게하기 위하여 4차 졸임 후 올리고과당을 첨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6공정(4차 졸임) 다음에, 올리고과당을 수삼 중량의 4~5 %를 넣고, 중약불에서 1~2 시간동안 졸인 후, 불을 끄고 22~24 시간 방치한다.
그 다음, 거름망을 이용하여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을 분리수득한다.
제조된 인삼정과는 그대로 식용으로 할 수 있다.
제조된 인삼정과액은 그대로 음용하거나, 희석하여 음용할 수 있다. 또한 과즙이나 탄산음료 또는 시럽 등의 식품에 첨가하여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과 조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 1
본 실험에 사용한 수삼은 금산 인삼약초시험장에서 재배한 4년근(중량 95±3 g, 지름 3.0±0.1 cm)를 사용하였다.
당첨가용으로 설탕(제일제당)을 사용하였다.
수삼을 깨끗이 세척하였다.
세척한 수삼을 대바늘을 이용하여 0.5 cm 깊이로 20 여차례 몸체를 균등하게 찔러 구멍을 내어 당액의 침투가 용이하도로 하였다.
구멍낸 수삼 9 kg을 가지런하게 찜솥(stainless, 지름 60 cm, 높이 30 cm)에 담은 후, 물 18 kg을 붓고 100 ℃의 온도에서 6 분간 끓여 데친 후, 불을 끄고 10 시간 방치하였다.
그 다음, 데친 용액을 수삼 중량만큼인 9 kg을 찜솥에서 빼냈다.
데친 인삼이 들어있는 찜솥에 설탕 11 kg을 넣고, 중약불에서 1.5 시간동안 졸인후, 불을 끄고 24시간 방치하였다(1차 졸임).
그다음, 중약불에서 1.5 시간동안 졸인 후, 불을 끄고 24시간 방치하였다(2차 졸임).
그다음, 중약불에서 1.5 시간동안 졸인 후, 불을 끄고 24시간 방치하였다(3차 졸임).
그다음, 약불에서 1.5 시간동안 수분함량이 18.49 %가 되도록 졸인 후 , 불을 끄고, 불을 끄고 24시간 방치하였다(4차 졸임).
그다음, 거름망을 이용하여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을 분리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2
본 실험에 사용한 수삼은 금산 인삼약초시험장에서 재배한 4년근(중량 95±3 g, 지름 3.0±0.1 cm)를 사용하였다.
당첨가용으로 설탕(제일제당) 및 올리고과당(해표)을 사용하였다.
수삼을 깨끗이 세척하였다.
세척한 수삼을 대바늘을 이용하여 0.5 cm 깊이로 20 여차례 몸체를 균등하게 찔러 구멍을 내어 당액의 침투가 용이하도로 하였다.
구멍낸 수삼 8 kg을 가지런하게 찜솥(stainless, 지름 60 cm, 높이 30 cm)에 담은 후, 물 16 kg을 넣고 100 ℃의 온도에서 5 분간 끓여 데친 후 10 시간 방치하였다.
그다음, 용액을 수삼 중량만큼인 8 kg을 찜솥에서 빼냈다.
데친 인삼이 들어있는 찜솥에 설탕 10 kg을 넣고, 중약불에서 1 시간동안 졸인후, 불을 끄고 24시간 방치하였다(1차 졸임).
그다음, 중약불에서 1 시간동안 졸인후, 불을 끄고 24시간 방치하였다(2차 졸임).
그다음, 중약불에서 1 시간동안 졸인후, 불을 끄고 24시간 방치하였다(3차 졸임).
그다음, 약불에서 1 시간동안 졸인 후, 불을 끄고 24시간 방치하였다(4차 졸임).
찜솥에 올리고과당 350 g 을 넣은 후, 중불에서 1 시간동안 수분함량이 18.44 %가 되도록 졸인 후, 불을 끄고 24시간 방치하였다(5차 졸임).
그다음, 거름망을 이용하여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을 분리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제조과정에서 얻어진 인삼정과의 진세노사이드와 조사포닌 함량변화
실시예 2의 인삼정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인삼정과의 진세노사이드와 조사포닌 함량은 아래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Rg1 Rf Re Rd Rc Rb2 Rb1 Total Crude
saponin
세척한
수삼
1.47
±0.101
0.43
±0.12
1.91
±0.20
0.41
±0.07
1.38
±0.22
1.24
±0.12
1.59
±0.20
8.43
±0.18
54.02
데친
수삼
1.49
±0.15
0.67
±0.15
1.57
±0.17
0.26
±0.05
1.32
±0.31
1.07
±0.14
2.28
±0.23
8.66
±0.17
50.41
1차
졸인삼
0.32±0.08 0.84±0.16 0.30±0.05 0.32±0.05 0.46±0.16 trace - 2.24±0.09 70.42
2차
졸인삼
.0.26±0.05 2.59±0.11 0.26±0.05 0.55±0.10 0.29±0.09 0.28±0.09 - 3.97±0.08 105.11
3차
졸인삼
0.12±0.02 8.03±0.10 0.13±0.04 1.42±0.10 0.17±0.02 0.14±0.10 - 10.01±0.09 212.07
4차
졸인삼
.0.09±0.01 36.17±1.24 - 7.38±0.71 0.12±0.08 0.09±0.08 - 43.76±1.08 234.14
5차
졸인삼
- 33.37±1.22 - 6.61±0.74 0.16±0.10 0.14±0.08 - 40.28±0.84 233.60
인삼정과 제조시 졸임 횟수에 따라 얻어지는 인삼정과의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은 4차 졸인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즉, 세척한 수삼의 0.43 mg/g에서 4차 졸인삼은 36.17 mg/g 로 증가하였다.
또한, 인삼정과 제조시 졸임 횟수에 따라 얻어지는 인삼정과의 조사포닌 함량은 4차 졸인삼까지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즉, 세척한 수삼의 조사포닌 함량 54.02 mg/g에서 4차 졸인삼은 234.14 mg/g 로 증가하였다.
한편, 5차 졸임전에 제품의 색택을 좋게하기 위해 올리고과당을 첨가하여 졸인삼에서는 정과표면에 올리고과당액이 흡착되어 상대적으로 Rf의 함량이 다소 감소하였다.
<실험예 2> 제조과정에서 얻어진 인삼정과액의 진세노사이드와 조사포닌의 함량 변화
실시예 2의 인삼정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인삼정과액의 진세노사이드와 조사포닌 함량은 아래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Rg1 Rf Re Rd Rc Rb2 Rb1 Total Crude
saponin
데친
용액
0.11
±0.061)
0.03
±0.02
0.07
±0.03
0.02
±0.01
0.06
±0.02
0.07
±0.03
0.09
±0.02
0.45
±0.06
2.00
1차졸인
정과액
0.11±0.04 0.14±0.07 0.06±0.03 0.04±0.02 0.05±0.02 0.04±0.04 0.05±0.03 0.49±0.08 21.91
2차 졸인 정과액 0.12±0.09 0.50±0.11 0.10±0.03 0.11±0.02 0.09±0.02 0.06±0.02 0.09±0.02 1.07±0.12 35.22
3차 졸인 정과액 0.06±0.05 1.81±0.10 0.05±0.03 0.33±0.04 0.05±0.01 0.02±0.02 - 2.32±0.10 42.36
4차졸인
정과액
0.04±0.02 15.02±0.11 0.04±0.02 3.54±0.05 0.03±0.01 0.02±0.01 - 18.69±0.14 61.88
졸임 횟수에 따라 얻어지는 인삼정과액의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과 조사포님의 함량 증가는 인삼정과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즉, 데친 용액의 0.11 mg/g에서 4차 졸인 인삼정과액은 15.02 mg/g 로 증가하였다.
또한, 졸임 횟수에 따라 얻어지는 인삼정과액의 조사포닌 함량은 4차 졸인 인삼정과액까지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즉, 데친 용액의 조사포닌 함량 2.00 mg/g에서 4차 졸인 인삼정과액은 61.88 mg/g 로 증가하였다.
< 실험예 3 > 졸이는 과정에서 얻어진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수분함량
실시예2의 제조과정에서 얻어진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수분함량은 아래 표3과 같다.
인삼정과 수분함량
(Moisture, %)
인삼정과액 수분함량
(Moisture, %)
당도
(°Brix)
세척 수삼 72.99±1.631 데친 물 98.49±0.08 1.20±0.09
데친 수삼 77.31±0.77 1차 졸인 인삼정과액 34.45±0.22 58.0±2.42
1차 졸인삼 38.76±0.54 2차 졸인 인삼정과액 27.06±0.23 66.1±1.16
2차 졸인삼 32.34±0.37 3차 졸인 인삼정과액 23.69±0.18 78.0±0.11
3차 졸인삼 22.47±0.16 4차 졸인 인삼정과액 16.44±0.24 82.0±0.12
4차 졸인삼 18.48±0.10
5차 졸인삼 18.44±0.10
즉, 인삼정과의 진세노사이드-알에프 함량이 최대가 되도록 인삼정과의 수분함량이 17 ~ 19 %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발람직하다.
또한, 인삼정과액의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이 최대가 되도록 인삼정과액의 수분함량이 16 ~ 17 % 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과정 단계별 인삼정과의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과정 단계별 인삼정과액의 사진.

Claims (5)

  1. 수삼과 수삼 중량의 2배 중량의 물을 용기에 넣고, 100±5 ℃에서 5 ~ 10 분 끓여 데친 후 9 ~ 10 시간 방치하는 제1공정;
    용기내에 있는 용액을 수삼 중량만큼 빼낸 후, 수삼 중량의 1.2 ~ 1.3배 중량의 설탕을 용기에 넣는 제2공정;
    중약불에서 1 ~ 2 시간동안 1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 ~ 24 시간 방치하는 제3공정;
    중약불에서 1 ~ 2 시간동안 2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 ~ 24 시간 방치하는 제4공정;
    중약불에서 1 ~ 2 시간동안 3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 ~ 24 시간 방치하는 제5공정;
    약불에서 1 ~ 2 시간동안 수분함량이 17 ~ 19 %가 되도록 4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 ~ 24 시간 방치하는 제6공정;
    제6공정 후 거름망을 이용하여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을 분리수득하는 제7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
  2. 수삼과 수삼 중량의 2배 중량의 물을 용기에 넣고, 100±5 ℃에서 5 ~ 10 분 끓여 데친 후 9 ~ 10 시간 방치하는 제1공정;
    용기내에 있는 용액을 수삼 중량만큼 빼낸 후, 수삼 중량의 1.2 ~ 1.3배 중량의 설탕을 용기에 넣는 제2공정;
    중약불에서 1 ~ 2 시간동안 1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 ~ 24 시간 방치하는 제3공정;
    중약불에서 1 ~ 2 시간동안 2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 ~ 24 시간 방치하는 제4공정;
    중약불에서 1 ~ 2 시간동안 3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 ~ 24 시간 방치하는 제5공정;
    약불에서 1 ~ 2 시간동안 인삼정과의 수분함량이 17 ~ 19 %가 되도록 4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 ~ 24 시간 방치하는 제6공정;
    용기에 올리고과당을 수삼 중량의 4 ~ 5 중량%를 넣고, 중약불에서 1 시간 동안 5차 졸인 후, 불을 끄고 22 ~ 24 시간 방치하는 제7공정;
    제7공정 후 거름망을 이용하여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을 분리수득하는 제8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공정에 사용되는 수삼은 대바늘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구멍이 뚫려있는 것이 특징인,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으며,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과 조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
  5.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으며,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과 조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액.
KR1020090092964A 2009-09-30 2009-09-30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 KR101199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964A KR101199546B1 (ko) 2009-09-30 2009-09-30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964A KR101199546B1 (ko) 2009-09-30 2009-09-30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311A true KR20110035311A (ko) 2011-04-06
KR101199546B1 KR101199546B1 (ko) 2012-11-12

Family

ID=4404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964A KR101199546B1 (ko) 2009-09-30 2009-09-30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274B1 (ko) * 2017-03-20 2018-08-01 주식회사 비엔지삶 수삼과 끄라차이담을 이용한 정과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507B1 (ko) 2003-04-17 2005-03-10 박의석 고품질 인삼정과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274B1 (ko) * 2017-03-20 2018-08-01 주식회사 비엔지삶 수삼과 끄라차이담을 이용한 정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9546B1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847B1 (ko) 홍삼 절편의 제조 방법
JP2011062199A (ja) 甘酒の製造方法
KR20090053229A (ko) 대추를 주재료로 한 정과 및 그 제조방법
KR101120296B1 (ko) 홍삼정과액에 호박을 졸인 홍삼호박정과의 제조방법
CN104602542B (zh) 烤红参的制造方法及用该方法制造的烤红参
KR100678869B1 (ko) 지구자나무를 포함한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의제조방법
KR20190059628A (ko) 법제, 발효 및 증숙 과정을 이용한 증숙 도라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21266B1 (ko)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CN104068153A (zh) 一种酸爽口感茶叶及其制备方法
CN102100381A (zh) 枣蔬汁及其制法
KR101376794B1 (ko) 백하수오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651652A (zh) 菊苣复合代用茶
KR101199546B1 (ko) 진세노사이드-알에프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정과와 인삼정과액의 제조방법
CN106509526A (zh) 一种杂粮果汁及其制备方法
KR20110035835A (ko)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젤리의 제조방법
KR102323687B1 (ko) 은행 견과와 도라지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 방법
CN104222440A (zh) 一种杞菊冰枣茶
CN106721848A (zh) 一种降血压脱脂小麦胚芽袋泡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942449A (zh) 一种三华李果脯及制作方法
CN102978091B (zh) 用沙棘和绞股蓝制作保健酒的工艺
KR20220087888A (ko) 흑도라지청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982260A (zh) 荞麦枸杞生姜膏及其制备方法
CN103989099A (zh) 一种凉拌爽口的莲藕脆饼及其制备方法
KR102505329B1 (ko) 인지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소재를 이용한 홍삼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KR101804747B1 (ko)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유탕 수삼을 이용한 정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