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919A -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4919A KR20110034919A KR1020090092408A KR20090092408A KR20110034919A KR 20110034919 A KR20110034919 A KR 20110034919A KR 1020090092408 A KR1020090092408 A KR 1020090092408A KR 20090092408 A KR20090092408 A KR 20090092408A KR 20110034919 A KR20110034919 A KR 201100349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bracket
- moving
- wire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7—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리프트장치가 개시될 수 있다. 벽면에 설치되는 브라켓; 브라켓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 이동부에 결합되는 권취부; 권취부에 권취되는 와이어; 및 이동부가 이동되도록 와이어를 권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는, 보다 슬림한 디자인을 구현하면서도 중량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전동, 리프트, 디스플레이, 풀리, 와이어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LCD TV나 PDP TV와 같이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브라운관 TV를 대체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이러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의 활용과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 이러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박형화 됨에 따라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장치 또한, 박형화 또는 슬림화 되어 가는 추세이다.
특히, 그 내부에 전동 장치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장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보다 큰 구동력을 구비해야 하는 상황에 있다.
결국,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면으로부터 크게 이격되지 않도록 박형의 형태를 가지면서도, 보다 큰 구동력을 구비한 지지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지지장치의 구동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큰 토크를 구현할 수 있는 구동부를 구비해야 하나, 이는 지지장치의 박형화에 장애가 되어, 지지장치의 박형화에 기술적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보다 슬림한 형태를 가지면서도 중량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면에 설치되는 브라켓; 브라켓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 이동부에 결합되는 권취부; 권취부에 권취되는 와이어; 및 이동부가 이동되도록 와이어를 권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으며, 브라켓은 이동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권취부는 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풀리일 수 있으며, 이 때, 이동풀리는 복수 개이며, 리프트 장치는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복수의 이동풀리 사이에 개재되며, 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고정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 다.
또한, 이동부는 브라켓에 의해 이동부의 이동이 가이드 되도록 상하로 연장될 수 있으며, 브라켓에는 브라켓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주행홈이 형성되며, 이동부는 주행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부재; 및 내측이 브라켓의 외측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커버하는 지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는 이동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브라켓은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 고정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브라켓은 이동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에는 브라켓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권취부는 가이드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장치는 브라켓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이동부에 결합되는 이동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는 와이어의 양단을 각각 권취하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구동력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평기어를 포함하는 평기어부; 및 와이어를 권취하도록 평기어부와 치합되는 권취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리프트 장치는 와이어의 권출을 방지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스톱퍼는 일단이 와이어와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바와 가압바의 일단이 와이어를 홀딩 하도록 가압바의 타단에 압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에 권취되는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권취가이드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리프트 장치는 구동부에 동작펄스신호를 인가하는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이동부가 브라켓의 이동 범위의 상한점과 하한점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동작펄스신호를 카운트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트 장치는 브라켓의 상측의 상한점에 결합되는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리미트스위치의 이동부의 위치신호에 의해 상한점을 인식할 수 이따.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하한점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이동부의 상면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걸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슬림한 디자인을 구현하면서도 중량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1000)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1000)의 일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1000)는 브라켓(300), 이동부(100), 와이어(wire, 105) 및 구동부(110, 120)를 포함함으로써, 보다 슬림한 디자인을 구현하면서도 중량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리프트장치(1000)는 중량체를 벽면(20)에 설치시키고,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중량체는 예를 들어, 대형 평면형 TV와 같이 영상물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리프트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설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용 리프트장치(1000)일 수 있다.
브라켓(300)은 그 자체가 벽면(20)에 설치되어 리프트 장치(10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벽면(20)에 설치시킬 수 있다. 브라켓(300)은 이동부(100)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브라켓(300)은 이동부(1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일종의 가이드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브라켓은(300) 벽면에 설치되기 위해 나사구멍 또는 벽면(20)에 설치 가능한 체결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브라켓(300)의 내부에는 브라켓(30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홀(guide hall, 31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310)의 내부에는 후술할 이동풀리(115)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가이드홀(310)의 내벽이 이동풀리(115)의 양측을 지지함으로써, 이동부(100)의 이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브라켓(300)의 상단에는 풀리프레임(pullet frame, 400)이 결합될 수 있다. 풀리프레임(400)에는 고정풀리(410, 4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풀리(410, 420)에는 와이어(105)가 권취되며, 와이어(105)는 고정풀리(410, 420)에 의해 그 이동 방향이 반대로 변하게 된다.
고정풀리(410, 420)는 그 사이에 후술할 이동부(100)의 이동풀리(115)가 배치되도록 풀리프레임(400)의 양측에 이격되어 2개가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100)는 브라켓(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00)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결합될 수 있으며, 그 타면은 브라켓(300)에 결합될 수 있다. 결국, 이동부(10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브라켓(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동부(100)의 중앙에는 와이어(105)가 권취되는 권취부, 즉 이동풀리(11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이동풀리(115)는 이동부(100)의 타면에 형성되는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이 샤프트는 가이드홀(31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이동풀리(115)는 가이드홀(31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동부(100)에는 브라켓(300)의 양측을 지지하는 이동가이드롤러(1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롤러(111)는 브라켓(300)의 양측을 지지함으로써, 이동부(100)의 보다 안정적인 상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와이어(105)는 이동부(100)가 이동되도록 상술한 이동풀리(115)와 고정풀리(410, 420)에 권취될 수 있다. 와이어(105)의 중앙부는 이동부(100)를 지지하도 록 이동풀리(115)에 권취되며, 그 양측은 와이어(105)의 양단이 하향 배치되도록 고정풀리(410, 420)에 권취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105)의 양단은 브라켓(300)와 이동가이드롤러(111) 사이를 지나,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에 권취될 수 있다. 이 때, 이동가이드롤러(111)의 외주면에는 와이어(105)가 권취될 수 있도록 이동가이드롤러(111)의 둘레 방향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동가이드롤러(111)는 일종의 풀리(pulley)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동부(100)의 양측에는 제1 구동부(110)와 제2 구동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110, 120)는 와이어(105)를 권취함으로써, 이동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부분이다.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는 와이어(105)의 양단을 각각 권취함으로써, 이동부(100)에 보다 증가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트장치(1000)는 이동부(100)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을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에 각각 분산시켜,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가 구비해야 할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부(110, 120)는 구동모터(112), 평기어부(114) 및 권취풀리(116)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12)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평기어부(114)에 전달할 수 있다. 평기어부(114)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평기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평기어부(114)를 거치는 동안 구동모터(112)의 구동력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는 커버(12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10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기어부(114)는 구동모터(112)의 구동력을 증가시키면서도 구동부(110, 120)의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리프트장치(1000)의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권취풀리(116)는 평기어부(114)와 치합되며, 와이어(105)가 권취될 수 있다. 권취풀리(116) 또한, 평기어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구동부(110, 120)의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1000)의 동작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00)가 브라켓 (300)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가 작동하여, 와이어(105)를 권취하면, 이동풀리(115)가 상승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풀리(115)가 결합되는 이동부(100)가 상승하게 되어, 이동부(100)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장치(10)가 상승하게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프트장치(1000)는 와이어(105)와 이동풀리(115)를 이용하여 일종의 움직도르래와 같은 동력전달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를 승강시키는데 보다 작은 용량을 가지는 동력원의 적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리프트장치(1000)는 보다 효율적인 동력전달 구조를 구비함으로 인해, 보다 작은 용량의 구동모터(112)를 이용할 수 있으며, 더구나 여기에 평기어부(114)를 이용함으로써, 구동부(110, 120)의 동력전달 효율을 보다 향상시켜 보다 박형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1000)의 스톱퍼(200)의 동작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200)는 이동부(100)가 정지되어 있는 동안, 귄취풀리에 권취된 와이어(105)의 권출을 방지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구동부(110, 1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톱퍼(200)는 가압바(220), 엑츄에이터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바(220)는 일단이 이동가이드롤러(111)와 인접하여 회전축(24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동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바(220)의 일단의 와이어(105)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마찰부재(230)가 결합될 수 있다. 마찰부재(230)는 예를 들어 러버(rubber)와 같이 그 표면의 마찰력이 큰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가압바(220)의 타단에는 엑츄에이터부(210)가 결합될 수 있다. 엑츄에이터부(210)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와 같은 구동원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10, 120)가 동작하여 와이어(105)가 권취풀리(116)에 귄취 또는 권출되는 동안에, 엑츄에이터부(210)는 후퇴하여 와이어(105)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10, 120)가 동작하지 않고, 이동부(100)가 정지되어 있을 때, 엑츄에이터부(210)는 전진하여 가압바(220)의 타단을 회전시키면, 가압바(220)의 일단은 회전축(24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마찰부재(230)가 와이어(105)를 이동가이드롤러(111) 측으로 가압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105)는 이동가이드롤러(111)와 가압바(220) 사이에 개재되어, 가압바(220)에 의해 홀딩(holding) 될 수 있다. 이 때, 이동부(100)에 외부의 충격이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와이어(105)는 스톱퍼(200)에 의해 홀딩되어, 권취풀리(116)로부터 권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구동부(110, 120)를 보호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2000)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20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2000)는 브라켓(300)의 일단에 결합되는 구동부(110, 120)를 포함함으로써, 보다 슬림한 디자인을 구현하면서도, 디스플레이장치(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브라켓(300)은 벽면(20)에 설치되며, 브라켓(300)의 상단에는 구동프레임(450)이 결합될 수 있다. 구동프레임(450)에는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브라켓(300) 전면가이드바(340)와 후면가이드바(3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부(100)는 전면가이드바(340)와 후면가이드바(35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브라켓(30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의 리프트장치(2000)는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를 브라켓(300)의 일단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배치되는 이동부(100)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가 벽 면(20)에 보다 밀착하여 설치되도록 하여, 보다 향상된 외관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2000)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00)의 상단에 구동프레임(450)이 결합되며, 구동프레임(450)에는 고정풀리(415)가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100)에는 예를 들어 2개의 이동풀리(11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와이어(105)의 중앙부는 고정풀리(410, 420)에 권취되며, 그 양측은 이동부(1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이동풀리(115)에 각각 권취될 수 있다.
와이어(105)의 양단은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에 각각 권취되며,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와 이동풀리(115) 사이에는 권취가이드풀리(130)가 구동프레임(4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에 각각 권취되는 와이어(105)의 양단을 가이드 할 수 있다.
결국, 리프트장치(2000)는 와이어(105)와 이동풀리(115)를 이용하여 일종의 움직도르래와 같은 동력전달구조를 구비함과 동시에,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를 브라켓(300)의 일단에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에 리프트 장치(2000)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가 벽면(20)에 보다 근접하여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300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리프트장치(3000)는 고정풀리(410, 420)를 생략하고, 와이어(105)가 이동부(1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이동풀리(115) 에 권취되며, 그 와이어(105)의 양단을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가 권취함으로써, 제1 구동부(110)와 제2 구동부(120) 사이에 개재되는 와이어(105)의 이동 경로를 단축시킴으로써, 와이어(105)의 권취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이동부(100)의 이동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400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리프트 장치(40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리프트 장치(3000)에 리미트 스위치(600), 셋업 스위치(setup switch, 650) 및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600)는 이동부(100)의 이동 범위에 있어서, 이동부(100)의 이동의 상한점을 인식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600)는 브라켓(300)의 상측인 구동프레임(450)의 하단에 결합되어, 이동부(100)가 브라켓(300)의 상단에 도달했을 때, 이동부(100)의 위치를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구동부(110), 제2 구동부(120), 리미트 스위치(600) 및 후술할 셋업 스위치(650)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에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일종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일 수 있다.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의 구동모터(112)가 예를 들어 BLDC 모터(brushless DC motor)인 경우, 제어부는 구동모터(112)에 동작펄스신호를 인가하여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셋업 스위치(650)는 사용자가 이동부(100)의 이동 범위에 있어서, 이동 부(100) 이동의 하한점을 리프트 장치(4000)에 입력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셋업 스위치(650)는 구동프레임(45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리프트 장치(4000)가 벽면(20)에 설치되면, 사용자는 리프트 장치(40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때, 셋업 스위치(650)가 리프트 장치(4000)의 동작 스위치를 겸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셋업 스위치(650)를 이용하여 리프트 장치(4000)를 설치 후, 최초 동작시킬 수 있다.
셋업 스위치(650)로부터 리프트 장치(4000)의 동작 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면, 제어부는 구동모터(112)에 이동부(100)가 상승하도록 동작펄스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동작펄스신호는 제어부가 구동모터(112)를 구동시키기 위해 제어부가 구동모터(112)에 인가하는 펄스신호를 말할 수 있다.
이 동작펄스신호에 의해 이동부(100)가 상승하여, 이동부(100)가 리미트스위치(600)를 터치하면, 제어부는 리미트 스위치(600)가 제어부에 송신하는 이동부(100)의 위치신호에 의해 이동부(100)의 이동의 상한점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구동모터(112)에 이동부(100)가 하강하도록 동작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 동작펄스신호에 의해 이동부(100)가 하강하고, 사용자는 이동부(100)가 그 하한점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도달했을 때, 셋업 스위치(650)를 이용하여 이동부(100)의 이동의 하한점을 제어부에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이동부(100)가 상한점으로부터 하한점으로 이동하는 동안, 구동모터(112)에 인가한 동작펄스신호의 개수를 카운트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이 동작펄스신호의 개수를 이용하여 상한점과 하한점 간의 거리를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이동부(100)가 상승하도록 구동모터(112)에 동작펄스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이동부(100)는 다시 상승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부(100)가 상한점과 하한점 사이의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할 때(예를 들어, 상한점과 하한점의 중간에 위치할 때),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110, 120)에 동작펄스신호 인가를 중단하여, 이동부(100)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리프트 장치(4000)의 셋업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 후, 사용자가 리프트 장치(4000)의 이동부(10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경우, 제어부는 이동부(100)가 상한점과 하한점을 이동하는 동안 구동모터(112)에 인가한 동작펄스신호의 총 개수에서, 사용자에 의해 구동모터(112)에 인가한 동작펄스신호를 가감하여, 이동부(100)의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프트 장치(4000)의 이동부(100)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는 이동부(100)가 상한점과 하한점을 이동하는 동안 구동모터(112)에 인가한 동작펄스신호의 총 개수에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동작펄스신호의 개수를 가감하여,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 위치(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50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50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5000)를 나타낸 분해 정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5000)는,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가 브라켓(300)에 결합되며, 이동부(1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에 결합되며, 브라켓(300)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부(100)는 이동부 바디(140), 걸이부(142) 및 권취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 바디(140)는 브라켓(300)에 의해 이동부(100)의 이동이 가이드 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동부 바디(140)의 상단에는 걸이부(142)가 결합된다. 걸이부(142)는 이동부 바디(14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며, 그 상면에는 걸이부(142)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걸이홈(14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배면에는 고정단(14)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와이어(12)가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와이어(12)가 걸이홈(144)에 걸림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리프트 장치(5000)에 편리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00)의 베이스(302)의 양측에는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100)의 베이스(302)의 양측에는 고정풀리(410, 420)가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105)는 이동부(100)의 하단의 권취부(115)와 고정풀리(410, 420)를 거쳐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의 권취풀리(116)에 권취될 수 있다.
이 때, 와이어(105)는 권취부(115)와 고정풀리(410, 420)에 의해 움직도르래의 형태로 권취되어, 제1 구동부(110)와 제2 구동부(120)의 구동력을 보다 효율적 으로 이동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의 구동모터(112)의 용량과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동부(100)의 박형화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5000)의 이동부 바디를 나타내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5000)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5000)의 일부를 나타내 분해 정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 바디(140)의 중앙에는, 이동부의 바디(14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주행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300)의 베이스(302)의 중앙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는 가이드부재(304)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304)는 주행홈(141)에 삽입되어, 주행홈(141)의 내주면을 슬라이딩 할 수 있다. 결국, 이동부(100)는 브라켓(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브라켓(300)은 이동부(10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304)와 이동부 바디(140)는, 이동부 바디(14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커버(supporting cover, 600)가 이동부 바디(14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커버(600)는 상면커버(620)와 측면커버(61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커버(610)는 이동부 바디(14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브라켓(300) 베이스(302)에 결합되며, 상면커버(620)는 양 측면커버(61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브라 켓(300) 베이스(30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배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스톱퍼의 동작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분해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이동부 바디를 나타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 분해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부 200: 스톱퍼
300: 브라켓 400: 풀리프레임
450: 구동프레임 1000, 2000, 3000, 4000, 5000: 리프트장치
Claims (22)
- 벽면에 설치되는 브라켓;상기 브라켓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상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권취부;상기 권취부에 권취되는 와이어; 및상기 이동부가 이동되도록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동부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브라켓은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권취부는 상기 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풀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이동풀리는 복수 개이며,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상기 복수의 이동풀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고정풀리를 더 포함하는 리프트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이동부는 상기 브라켓에 의해 상기 이동부의 이동이 가이드 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브라켓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주행홈이 형성되며,상기 이동부는상기 주행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부재; 및내측이 상기 브라켓의 외측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커버하는 지지커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브라켓은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상기 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 고정풀리를 더 포함하는 리프트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브라켓은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브라켓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되며,상기 권취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브라켓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이동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리프트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동부는 상기 와이어의 양단을 각각 권취하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동부는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상기 구동력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평기어를 포함하는 평기어부; 및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도록 상기 평기어부와 치합되는 권취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와이어의 권출을 방지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스톱퍼는일단이 상기 와이어와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바와상기 가압바의 일단이 상기 와이어를 홀딩 하도록 상기 가압바의 타단에 압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동부에 권취되는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권취가이드풀리를 더 포함하는 리프트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동부에 동작펄스신호를 인가하는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리 프트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이동부가 상기 브라켓의 이동 범위의 상한점과 하한점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상기 동작펄스신호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브라켓의 상측의 상기 상한점에 결합되는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상기 이동부의 위치신호에 의해 상기 상한점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하한점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동부의 상면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걸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2408A KR101126197B1 (ko) | 2009-09-29 | 2009-09-29 | 리프트장치 |
US13/498,045 US20120175480A1 (en) | 2009-09-29 | 2009-11-24 | Lift apparatus |
JP2012530757A JP2013505181A (ja) | 2009-09-29 | 2009-11-24 | リフト装置 |
EP09850106A EP2485113A1 (en) | 2009-09-29 | 2009-11-24 | Lift apparatus |
CN2009801626626A CN102640072A (zh) | 2009-09-29 | 2009-11-24 | 提升装置 |
PCT/KR2009/006941 WO2011040674A1 (ko) | 2009-09-29 | 2009-11-24 | 리프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2408A KR101126197B1 (ko) | 2009-09-29 | 2009-09-29 | 리프트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4919A true KR20110034919A (ko) | 2011-04-06 |
KR101126197B1 KR101126197B1 (ko) | 2012-03-22 |
Family
ID=4382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2408A KR101126197B1 (ko) | 2009-09-29 | 2009-09-29 | 리프트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175480A1 (ko) |
EP (1) | EP2485113A1 (ko) |
JP (1) | JP2013505181A (ko) |
KR (1) | KR101126197B1 (ko) |
CN (1) | CN102640072A (ko) |
WO (1) | WO201104067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71547A (ko) * | 2009-12-21 | 2011-06-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용 벽걸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CA2868097A1 (en) * | 2012-03-30 | 2013-10-03 | Ergotron, Inc. | Counterbalancing lift mechanisms and methods |
CN104713951B (zh) | 2013-12-13 | 2018-05-22 | 通用电气公司 | 改进的提降装置以及使用其的超声检测系统 |
CN108291893A (zh) | 2015-08-19 | 2018-07-17 | 通用电气公司 | 提升设备和超声检测系统 |
CN106555923B (zh) * | 2015-09-24 | 2020-03-17 | 通用电气公司 | 一种显示器悬挂装置及显示器装置 |
CN106814830B (zh) * | 2016-12-28 | 2019-10-11 | 亳州学院 | 抗电磁干扰式网络信息服务器 |
USD960147S1 (en) | 2019-01-25 | 2022-08-09 | Kiosk Group, Inc. | Kiosk display apparatus |
KR102143083B1 (ko) * | 2019-04-26 | 2020-08-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21091198A1 (ko) * | 2019-11-06 | 2021-05-14 | 한시스템 주식회사 | 카메라의 승하강을 구현하는 폴 시스템 |
KR102309789B1 (ko) * | 2020-07-24 | 2021-10-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
CN112850550A (zh) * | 2021-02-23 | 2021-05-28 | 中建八局第四建设有限公司 | 一种重型风管提升机 |
CN113012564A (zh) * | 2021-03-02 | 2021-06-22 | 吉林建筑科技学院 | 一种单片机和计算机远程控制绿色校园智能多媒体宣传栏 |
WO2024096982A1 (en) * | 2022-10-31 | 2024-05-10 | Ergotron, Inc. | Lift mechanism with selectable lift force ranges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581605T1 (de) * | 1994-04-06 | 1997-03-27 | Eun Ok Lee | Vorrichtung zum Einstellen von Möbeln auf veränderbare erhöhte Stellungen |
JP3881139B2 (ja) * | 1999-10-19 | 2007-02-14 | アスモ株式会社 | 家具昇降装置 |
JP2001302186A (ja) * | 2000-04-20 | 2001-10-31 | Daifuku Co Ltd | ワイヤー巻取り式昇降搬送装置 |
JP2001310897A (ja) * | 2000-04-28 | 2001-11-06 | Fuji Hensokuki Co Ltd | 格納装置 |
KR100443990B1 (ko) * | 2002-09-16 | 2004-08-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
KR100593059B1 (ko) * | 2004-03-19 | 2006-06-26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승강 구조 |
JP2008033004A (ja) * | 2006-07-28 | 2008-02-14 | Berutekku Kk | 平面型表示装置の移動装置 |
JP2008185708A (ja) * | 2007-01-29 | 2008-08-14 | Canon Inc | 薄型表示装置の固定装置の構造、及び固定装置を備えた薄型表示装置の構造 |
-
2009
- 2009-09-29 KR KR1020090092408A patent/KR10112619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11-24 CN CN2009801626626A patent/CN102640072A/zh active Pending
- 2009-11-24 EP EP09850106A patent/EP2485113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9-11-24 WO PCT/KR2009/006941 patent/WO201104067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11-24 US US13/498,045 patent/US2012017548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11-24 JP JP2012530757A patent/JP2013505181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3505181A (ja) | 2013-02-14 |
KR101126197B1 (ko) | 2012-03-22 |
CN102640072A (zh) | 2012-08-15 |
WO2011040674A1 (ko) | 2011-04-07 |
EP2485113A1 (en) | 2012-08-08 |
US20120175480A1 (en) | 2012-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6197B1 (ko) | 리프트장치 | |
US10314183B2 (en) | Display device | |
EP3796074B1 (en) | Display device | |
KR10244022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JP5267064B2 (ja) | ドアガラス昇降装置 | |
JP6635962B2 (ja) | カーテン開閉装置及びカーテン開閉システム | |
JP2008033004A (ja) | 平面型表示装置の移動装置 | |
US11132019B1 (en) | Display apparatus | |
KR20090117163A (ko) |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 |
WO2006101338A1 (en) | Apparatus for lifting large display | |
JP4746605B2 (ja) | 繰り出し装置 | |
KR102330323B1 (ko) | 전동식 승강 콘센트 장치 | |
KR101657911B1 (ko) | 전동식 승하강 칠판장치 | |
WO2021079963A1 (ja) | 駆動装置及び窓ガラス昇降装置 | |
JP2005004139A (ja) | 平面型表示装置の支持台 | |
JP2012158893A (ja) | ロールスクリーン | |
JP6193636B2 (ja) | 昇降装置 | |
KR101991778B1 (ko)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
KR101080760B1 (ko) | 차량용 차양장치 | |
CN213237433U (zh) | 联动排丝轮结构及升降装置 | |
KR101160685B1 (ko) | 모니터 오토리프트 | |
CN111051638B (zh) | 移动装置 | |
KR101445701B1 (ko) | 와이어의 장력조절수단이 마련된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
JP2014239593A (ja) | 充電ケーブル巻取装置 | |
KR20100077067A (ko) | 티브이 승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