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789B1 -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789B1
KR102309789B1 KR1020200092467A KR20200092467A KR102309789B1 KR 102309789 B1 KR102309789 B1 KR 102309789B1 KR 1020200092467 A KR1020200092467 A KR 1020200092467A KR 20200092467 A KR20200092467 A KR 20200092467A KR 102309789 B1 KR102309789 B1 KR 102309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air
wall
wire
supporting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2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789B1/ko
Priority to EP20195833.7A priority patent/EP3943797B1/en
Priority to US17/023,282 priority patent/US1158548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05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integral with the apparatus or articles to be suppo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0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comprising a wall member cooperating with a corresponding picture member
    • A47G1/1613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comprising a wall member cooperating with a corresponding picture member and being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66Devices for connecting a suspension wire to a pic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8Picture loop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본체; 본체에 양 단이 연결된 와이어; 및 벽에 고정되고 와이어가 걸려 본체를 지지하는 벽걸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벽걸이 어셈블리는, 와이어를 지지하며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서포팅 바; 한 쌍의 서포팅 바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1링크; 서포팅 바에 관통 형성되며 서포팅 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제1링크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한 제2링크; 제2링크의 양 단에서 돌출되어 장공으로 삽입된 돌출부; 및 돌출부를 관통하여 벽에 고정된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서포팅 바는, 장공을 따라 돌출부에 대해 슬라이딩되며 기울기가 가변될 수 있다.

Description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WALL MOUNT TYP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등이 있다.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의 일 예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발광 소자이기 때문에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백라이트가 없고 응답 속도, 시야각 등에서 장점이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치 방법에 따라 스탠드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가 용이하고 스탠드가 불필요하며 벽에 대한 설치 브라켓이 전방에서 보이지 않아 디자인이 미려한 이점이 있다.
다만, 종래의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치 브라켓의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 방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KR 10-2014-0009633A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2014.01.23.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양 단이 연결된 와이어; 및 벽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가 걸려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벽걸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걸이 어셈블리는,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며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서포팅 바;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1링크; 상기 서포팅 바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서포팅 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상기 제1링크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한 제2링크; 상기 제2링크의 양 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장공으로 삽입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벽에 고정된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는, 상기 장공을 따라 상기 돌출부에 대해 슬라이딩되며 기울기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 바는, 상기 서포팅 바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1기울기와, 상기 서포팅 바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기울기 사이에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가 상기 제1기울기일 때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2링크의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가 상기 제2기울기일 때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2링크와 인접하거나 접할 수 있다.
상기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래치; 및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가 상기 제2기울기일 때 상기 래치가 끼워지는 래치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팅 바의 둘레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며 상기 서포팅 바의 둘레면을 따라 연장된 와이어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한 쌍의 고정 부재의 헤드부와 상기 한 쌍의 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한 한 쌍의 와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의 전면에는 상기 와셔가 위치하는 단차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은 상기 단차홈의 내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링크의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는,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의 후방에 위치한 리어 플레이트;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양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부에 체결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에는, 외면에 대해 단차지고 상기 프론트 커버 또는 리어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는,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의 상단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강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본체의 배면에 고정되고, 외둘레에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와이어 홈이 형성된 한 쌍의 와이어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단과 상기 와이어 연결부 사이의 상하 거리는, 상기 본체의 상단과 상기 제2링크 사이의 상하 거리보다 멀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와이어 연결부 간 거리는, 상기 제2링크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벽걸이 어셈블리에 포함된 한 쌍의 서포팅 바는, 장공을 따라 돌출부에 대해 슬라이딩되며 기울기가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좌우폭이 좁아지고 상측으로 솟아오른 상태의 벽걸이 어셈블리에 용이하게 와이어를 거치시킬 수 있다. 이후, 벽걸이 어셈블리는 좌우폭이 넓어지고 높이가 완만해져 와이어 및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서포팅 바가 제1기울기인 상태이면, 한 쌍의 서포팅 바의 상단부가 본체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서포팅 바의 상단부를 눈으로 확인하며 거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거치 작업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서포팅 바가 제2기울기이면 벽걸이 어셈블리 전체가 본체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고, 전방에 대해 본체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디자인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래치가 래치홀에 끼워져, 한 쌍의 서포팅 바가 제2기울기에서 제1기울기로 원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서포팅 바의 둘레면에 형성된 와이어 수용홈에 와이어가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와이어가 벽걸이 어셈블리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고 본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와이어 연결부에 형성된 와이어 홈에 와이어를 감거나 풀음으로써, 한 쌍의 와이어 연결부 사이에 위치한 와이어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벽걸이 어셈블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체결" 또는 "연결"된다고 기재된 것은, 두 요소가 직접 체결되거나 연결된 것을 의미하거나,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고 상기 제3의 요소에 의해 두 요소가 서로 연결되거나 체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직접 체결" 또는 "직접 연결"된다고 기재한 것은,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에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연결된 와이어(W)와, 벽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W)가 걸려 본체(10)를 지지하는 벽걸이 어셈블리(20)(Wall Mount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벽걸이 어셈블리(20)는 우선적으로 벽에 고정될 수 있고, 이후 본체(10)에 연결된 와이어(W)를 벽에 장착된 상태의 벽걸이 어셈블리(20)에 걸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는 와이어(W)에 의해 벽걸이 어셈블리(20)에 매달려 지지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체(10)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면(11)과, 벽걸이 어셈블리(20)와 연결되는 배면(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면(12)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벽을 향할 수 있다.
본체(10)의 둘레는 한 쌍의 장변(13)(14)과 한 쌍의 단변(15)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장변(13)(14)은 본체(10)의 상변(13)과 하변(1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단변(15)은 본체(10)의 양 측변(15)일 수 있다.
와이어(W)의 양 단은 본체(10), 좀 더 상세히는 배면(12)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본체(10)의 배면(12)에는 와이어(W)의 양 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 연결부(16)가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 연결부(16)는 좌우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 연결부(16)에 연결된 와이어(W)는 느슨한 상태일 수 있고, 이후 벽걸이 어셈블리(20)에 걸려 팽팽해질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 연결부(16) 및 벽걸이 어셈블리(20)는 본체(10)의 상변(13)과 하변(14) 중 상변(13)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와이어 연결부(16) 및 벽걸이 어셈블리(20)는 좌우 방향에 대해 본체(1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와이어 연결부(16)는 대략 원판 형상일 수 있다. 와이어 연결부(16)의 외둘레에는 와이어(W)가 권취되는 와이어 홈(16a)(도 2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와이어 홈(16a)에 와이어(W)를 감거나 풀음으로써, 한 쌍의 와이어 연결부(16) 사이에 위치한 와이어(W)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벽걸이 어셈블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좀 더 상세히,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 및 체결부재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와셔 및 프론트 커버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한 쌍의 서포팅 바 및 보강 바디를 제거한 도면이다.
벽걸이 어셈블리(20)는, 와이어(W)를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팅 바(30)와,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30)를 서로 연결하는 제1링크(40) 및 제2링크(50)와, 벽걸이 어셈블리(20)를 벽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서포팅 바(30)는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서포팅 바(3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서포팅 바(30)는 좌우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서포팅 바(30)의 상단은 좌우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각 서포팅 바(30)는 플라스틱 재질, 좀 더 상세히는 폴리아세탈(poly oxy methylene, POM)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즉, 서포팅 바(30)는 사출 성형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각 서포팅 바(30)는 전방을 향하는 전면과, 벽을 향하는 배면과, 상기 전면과 배면을 연결하는 둘레면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W)는, 서포팅 바(30)의 상측에서부터, 서포팅 바(30)의 둘레면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서포팅 바(30)의 둘레면에는 와이어(W)의 일부가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홈(33)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수용홈(33)은 서포팅 바(3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와이어 수용홈(33)에 의해, 와이어(W)가 벽걸이 어셈블리(20)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고 본체(10)(도 1 참조)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각 서포팅 바(30)에는 장공(32)이 형성될 수 있다. 장공(32)은 서포팅 바(30)에 전후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장공(32)은 서포팅 바(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장공(32)에는 후술할 제2링크(50)의 돌출부(52)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팅 바(30)는 장공(32)을 따라 제2링크(50)의 돌출부(52)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고, 한 쌍의 서포팅 바(30)의 기울기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장공(32)은 서포팅 바(30)의 이동 궤적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각 서포팅 바(30)에는 연결공(35)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공(35)은 서포팅 바(30)에 전후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연결공(35)은 각 서포팅 바(3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공(35)은, 서포팅 바(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장공(32)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공(35)에는 후술할 제1링크(40)의 삽입부(42)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팅 바(30)는 제1링크(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링크(40) 및 제2링크(50)는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링크(40) 및 제2링크(50)는 수평 방향, 좀 더 상세히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벽걸이 어셈블리(20)는 대략 'A'자 형상일 수 있다.
제1링크(40)는 한 쌍의 서포팅 바(30)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링크(40)의 양 단은 한 쌍의 서포팅 바(3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링크(40)는 리어 플레이트(41)와, 삽입부(42)와, 프론트 커버(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40)는 보강 바디(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41)는 제1링크(40)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41)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41)는 좌우로 연장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41)는 한 쌍의 서포팅 바(3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리어 플레이트(41)는 한 쌍의 서포팅 바(30)의 상단부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각 서포팅 바(30)의 배면에는 리어 플레이트(41)의 양 단부가 안착되는 리어 단차부(37)가 구비될 수 있다. 리어 단차부(37)는 서포팅 바(30)의 배면에서 전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단차부(37)는, 서포팅 바(30)의 가동 범위 내에서, 서포팅 바(30)와 리어 플레이트(41)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42)는 리어 플레이트(41)의 양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삽입부(42)는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42)는 서포팅 바(30)의 연결공(35)으로 삽입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일 삽입부(42)는 일 서포팅 바(30)의 연결공(35)으로 삽입되고, 타 삽입부(42)는 타 서포팅 바(30)의 연결공(35)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42)는 중공통 형상일 수 있다. 삽입부(42)의 내둘레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체결부재(70)는 삽입부(42)에 체결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43)는 제1링크(4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43)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43)는 좌우로 연장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43)는 한 쌍의 서포팅 바(3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론트 커버(43)는 한 쌍의 서포팅 바(30)의 상단부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43)는 한 쌍의 삽입부(42)를 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43)는 한 쌍의 삽입부(42)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크류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70)는 프론트 커버(43)를 관통하여 삽입부(42)에 체결될 수 있다.
각 서포팅 바(30)의 전면에는 프론트 커버(41)의 양 단부가 안착되는 프론트 단차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 단차부(34)는 서포팅 바(3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단차부(34)는, 서포팅 바(30)의 가동 범위 내에서, 서포팅 바(30)와 프론트 커버(43)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서포팅 바(30)에는 외면에 대해 단차지고 상기 프론트 커버(43) 또는 리어 플레이트(41)가 안착되는 단차부(34)(37)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바디(44)는 제1링크(4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보강 바디(44)는 플라스틱 재질, 좀 더 상세히는 폴리아세탈(poly oxy methylene, POM)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즉, 보강 바디(44)의 재질은 리어 플레이트(41) 및 프론트 커버(43)의 재질(금속)과 상이할 수 있다.
보강 바디(44)는 한 쌍의 서포팅 바(30)의 상단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강 바디(44)는 한 쌍의 서포팅 바(30)의 둘레면에 접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바디(44)는 리어 플레이트(4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프론트(43) 커버는 보강 바디(44)를 커버할 수 있다. 즉, 보강 바디(44)는 전후로 리어 플레이트(41)와 프론트 커버(4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2링크(50)는 제1링크(40)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링크(5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링크(50)는 한 쌍의 서포팅 바(3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각 서포팅 바(30)의 배면에는 제2링크(50)의 양 단부가 안착되는 로어 단차부(36)가 구비될 수 있다. 로어 단차부(36)는 서포팅 바(30)의 배면에서 전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단차부(36)는 앞서 설명한 리어 단차부(37)와 연통될 수 있다.
로어 단차부(36)는, 서포팅 바(30)의 가동 범위 내에서, 서포팅 바(30)와 제2링크(5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링크(50)의 양 단부는 서포팅 바(30)에 형성된 장공(3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링크(50)의 양 단부에는 장공(32)으로 삽입된 돌출부(52)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52)는 제2링크(52)의 양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52)는 중공통 형상일 수 있다.
돌출부(52)는 제2링크(5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일 돌출부(52)는 일 서포팅 바(30)의 장공(32)에 삽입될 수 있고, 타 돌출부(52)는 타 서포팅 바(30)의 장공(32)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50)에는 보강 리브(53)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53)는 제2링크(5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보강 리브(53)는 제2링크(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강 리브(53)는 한 쌍의 서포팅 바(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고정 부재(60)는 못이나 스크류일 수 있고, 제2링크(50)를 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고정 부재(60)는 제2링크(50)의 돌출부(52)를 관통하여 벽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60)는, 한 쌍의 돌출부(52)를 관통하여 벽에 고정되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부재(60)의 헤드부(61)는 돌출부(52)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 부재(60)의 헤드부(61)와 돌출부(52)의 사이에는 와셔(62)가 구비될 수 있다.
와셔(62)는 서포팅 바(30)가 제2링크(5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서포팅 바(30)의 슬라이딩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각 서포팅 바(30)의 전면에는 상기 와셔(62)가 위치하는 단차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단차홈(31)은 서포팅 바(3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장공(32)은 단차홈(31)의 내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단차홈(31)은 장공(3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차홈(31)의 크기는 장공(32)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한편, 벽걸이 어셈블리(20)는 래치(45) 및 상기 래치(45)가 끼워지는 래치홀(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래치(45)는 제1링크(40) 및 제2링크(5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고, 래치홀(55)은 제1링크(40) 및 제2링크(5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래치(45)는 제1링크(40)에 연결되고 래치홀(55)은 제2링크(50)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래치(45)는 제1링크(40)의 하측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래치(45)는 제1링크(40)의 리어 플레이트(41)의 하측 가장자리에 힌지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래치(45)는 제1링크(40)에 대해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래치(45)는 래치홀(55)의 전방에서 래치홀(55)에 끼워질 수 있다.
래치(45)는 제1링크(40)의 중앙부에 연결될 수 있다. 래치(45)는 한 쌍의 서포팅 바(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래치(45)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래치홀(55)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부(45a)가 형성될 수 있다.
래치홀(55)은 제2링크(50)에 전후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래치홀(55)은 제2링크(5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제2링크(5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링크(50)에는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54)가 형성될 수 있고, 래치홀(55)은 상기 돌출부(54)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링크(50)의 전면보다 전방에 래치홀(55)이 위치하게 되므로 래치(45)가 래치홀(55)에 더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래치(45) 및 래치홀(55)에 의해 제1링크(40)와 제2링크(50)가 서로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서포팅 바(30)가 의도치 않게 슬라이딩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 쌍의 서포팅 바(30)는, 서포팅 바(30)의 상단부가 본체(10)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1기울기(A1)와, 서포팅 바(30)의 상단부가 본체(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기울기(A2) 사이에서 가변될 수 있다.
제2기울기(A2)는 제1기울기(A1)보다 완만할 수 있다.
한 쌍의 서포팅 바(30)가 제1기울기(A1)이면, 벽걸이 어셈블리(20)의 좌우폭이 좁아지고 상측으로 솟아오른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체(10)에 연결된 와이어(W)를 벽걸이 어셈블리(20)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서포팅 바(30)가 제2기울기(A1)이면, 벽걸이 어셈블리(20)의 좌우폭이 넓어지고 높이가 완만해진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벽걸이 어셈블리(20)는 본체(10)에 연결된 와이어(W)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작업자는, 한 쌍의 서포팅 바(30)가 제1기울기(A1)인 상태에서, 와이어(W)를 벽걸이 어셈블리(20)에 거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서포팅 바(30)의 상단부가 본체(1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서포팅 바(30)의 상단부를 눈으로 확인하며 거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거치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와이어(W)가 벽걸이 어셈블리(20)에 거치된 이후, 작업자는 한 쌍의 서포팅 바(30)가 제2기울기(A2)가 되도록 벽걸이 어셈블리(20)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또는, 작업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본체(10)의 하중에 의해 한 쌍의 서포팅 바(30)가 제2기울기(A2)로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서포팅 바(30)가 제2기울기(A2)이면 서포팅 바(30)의 상단부가 본체(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벽걸이 어셈블리(20) 전체가 본체(1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고, 전방에 대해 본체(1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디자인이 향상될 수 있다.
한 쌍의 서포팅 바(30)가 제1기울기(A1)이면 제2링크(50)의 돌출부(52)(도 5 참조)는 장공(32)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서포팅 바(30)가 제2기울기(A1)이면 제2링크(50)의 돌출부(52)는 장공(32)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서포팅 바(30)가 제1기울기(A1)이면 제1링크(40)는 제2링크(50)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서포팅 바(30)가 제2기울기(A2)일 때 제1링크(40)는 제2링크(50)와 인접하거나 접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서포팅 바(30)가 제1기울기(A1)인 상태이면, 와이어(W)는 한 쌍의 서포팅 바(30)의 상단부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반면, 한 쌍의 서포팅 바(30)가 제2기울기(A2)인 상태이면 와이어(W)는 한 쌍의 서포팅 바(30)에 형성된 와이어 수용홈(33)(도 2 참조)에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서포팅 바(30)가 제1기울기(W1)에서 제2기울기(A2)로 가변되면 한 쌍의 서포팅 바(30)에 대한 와이어(W1)와 접촉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벽걸이 어셈블리(20)는 와이어(W) 및 본체(10)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래치(45)는 한 쌍의 서포팅 바(30)가 제2기울기(A2)일 때 래치홀(55)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2기울기(A2)인 한 쌍의 서포팅 바(30)가 제1기울기(A1)로 원복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본체(10) 및 와이어(W)가 벽걸이 어셈블리(20)에 거치된 상태에서, 본체(10)의 상단과 와이어 연결부(16) 사이의 상하 거리(V1)는, 본체(10)의 상단과 제2링크(50) 사이의 상하 거리(V2)보다 멀 수 있다. 즉, 와이어 연결부(16)는 제2링크(50)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와이어 연결부(16) 간 거리(D1)는, 제2링크(50)의 길이(D2)보다 길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 연결부(16)는 본체(10)의 배면에 고정되고 제2링크(50)는 벽에 고정되므로, 상기 위치관계는 한 쌍의 서포팅 바(30)의 기울기와 무관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벽걸이 어셈블리(20)에 거치된 와이어(W)에 의해 본체(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6: 와이어 연결부
20: 벽걸이 어셈블리 30: 서포팅 바
32: 장공 35: 연결공
40: 제1링크 41: 리어 플레이트
42: 삽입부 43: 프론트 커버
44: 보강 바디 45: 래치
50: 제2링크 52: 돌출부
53: 보강 리브 55: 래치홀
W: 와이어

Claims (13)

  1.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양 단이 연결된 와이어; 및
    벽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가 걸려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벽걸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벽걸이 어셈블리는,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며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서포팅 바;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1링크;
    상기 서포팅 바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서포팅 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상기 제1링크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한 제2링크;
    상기 제2링크의 양 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장공으로 삽입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벽에 고정된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는, 상기 장공을 따라 상기 돌출부에 대해 슬라이딩되며 기울기가 가변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바는,
    상기 서포팅 바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1기울기와, 상기 서포팅 바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기울기 사이에서 가변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가 상기 제1기울기일 때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2링크의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가 상기 제2기울기일 때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2링크와 인접하거나 접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래치; 및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가 상기 제2기울기일 때 상기 래치가 끼워지는 래치홀을 더 포함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바의 둘레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며 상기 서포팅 바의 둘레면을 따라 연장된 와이어 수용홈이 형성된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 부재의 헤드부와 상기 한 쌍의 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한 한 쌍의 와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의 전면에는 상기 와셔가 위치하는 단차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은 상기 단차홈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링크의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된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의 후방에 위치한 리어 플레이트;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양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부에 체결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에는, 외면에 대해 단차지고 상기 프론트 커버 또는 리어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단차부가 형성된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한 쌍의 서포팅 바의 상단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강 바디를 더 포함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면에 고정되고, 외둘레에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와이어 홈이 형성된 한 쌍의 와이어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과 상기 와이어 연결부 사이의 상하 거리는, 상기 본체의 상단과 상기 제2링크 사이의 상하 거리보다 먼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 연결부 간 거리는, 상기 제2링크의 길이보다 긴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92467A 2020-07-24 2020-07-24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9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467A KR102309789B1 (ko) 2020-07-24 2020-07-24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EP20195833.7A EP3943797B1 (en) 2020-07-24 2020-09-11 Wall mount type display device
US17/023,282 US11585481B2 (en) 2020-07-24 2020-09-16 Wall mount typ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467A KR102309789B1 (ko) 2020-07-24 2020-07-24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789B1 true KR102309789B1 (ko) 2021-10-08

Family

ID=72474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467A KR102309789B1 (ko) 2020-07-24 2020-07-24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85481B2 (ko)
EP (1) EP3943797B1 (ko)
KR (1) KR1023097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633A (ko) 2012-07-12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1439A (en) * 1997-03-13 1999-08-03 Lemire; Robert Frame support
US5947438A (en) * 1998-02-12 1999-09-07 Lemire; Robert Picture frame hanger having vertical and horizontal adjustability
US6062525A (en) * 1998-03-18 2000-05-16 Lemire; Robert Picture frame hanger
US20050139747A1 (en) * 2003-12-24 2005-06-30 Lemire Robert J. Plain sight hanging
US20060250347A1 (en) * 2004-01-08 2006-11-09 Bell'o International, L.L.C. Flat panel display mounting system
US7607631B2 (en) * 2005-05-28 2009-10-27 Newman Arnold L Frame leveler
KR101217123B1 (ko) * 2008-05-08 2012-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0975575B1 (ko) * 2008-07-10 2010-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US7883069B2 (en) * 2008-05-08 2011-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fting device of a display apparatus
KR101126197B1 (ko) * 2009-09-29 2012-03-22 (주)센트로닉스 리프트장치
KR20110071547A (ko) * 2009-12-21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벽걸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CN201561250U (zh) * 2009-12-23 2010-08-25 苏州泽海电子塑胶有限公司 便携式电视壁挂支架
US20130270407A1 (en) * 2012-04-11 2013-10-17 Sung I. Oh Universal Mount System For A Monitor
US8814105B2 (en) * 2013-01-02 2014-08-26 Morris Azad Apparatus for hanging an article
US10278524B2 (en) * 2014-05-27 2019-05-07 Dean N. Greve Hanger
US9107520B1 (en) * 2014-09-08 2015-08-18 Laurence Davies Picture frame hang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633A (ko) 2012-07-12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43797B1 (en) 2022-12-21
US20220026950A1 (en) 2022-01-27
US11585481B2 (en) 2023-02-21
EP3943797A1 (en)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71614A1 (en) Display apparatus
EP3078896B1 (en) Display apparatus and wall moun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US20130306816A1 (en) Mount bracket system
KR20110054091A (ko) 영상표시장치
EP2550803A2 (en) Video screen mounting system
US20100133409A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US10711502B2 (en) Wire type window regulator
US9282833B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KR102309789B1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
CA2530845A1 (en) Self-supporting electrical outlet box
US5065968A (en) Electrical box mounting apparatus
US20130270407A1 (en) Universal Mount System For A Monitor
KR101443558B1 (ko) 스크린 루바용 브라켓
JP2008129390A (ja) 薄型表示装置
KR100633259B1 (ko) 케이블 고정용 밴드
JP2010094430A (ja) 棚板保持装置
KR100601441B1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브라켓 구조
KR100886169B1 (ko) 터치버튼 장착구조
JP3583365B2 (ja) 配線器具取付具
US20210216113A1 (en) Display device
KR100922155B1 (ko) 박스의 브라켓
CN210600957U (zh) 电器装置、安装板及电器本体
KR20010037732A (ko) 모니터의 피씨비 브래킷
JP5502057B2 (ja) 棚板
JP2023045966A (ja) キャビネット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