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006A -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의 냉매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의 냉매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006A
KR20110032006A KR1020117005424A KR20117005424A KR20110032006A KR 20110032006 A KR20110032006 A KR 20110032006A KR 1020117005424 A KR1020117005424 A KR 1020117005424A KR 20117005424 A KR20117005424 A KR 20117005424A KR 20110032006 A KR20110032006 A KR 20110032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harging
target space
refrigerant charging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3240B1 (ko
Inventor
히로무네 마츠오카
토시유키 쿠리하라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2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25B9/008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09/00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 F25B2309/06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 F25B2309/06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with cycle highest pressure above the supercritical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1Charging refrigerant to a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1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CO2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의 냉매 충전에 있어서, 냉매 충전 시간의 단축이나 냉매 충전 후에 운전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의 단축을 도모한다. CO2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10)에 있어서의 냉매 충전 방법은, 접속 스텝과 냉매 충전 스텝을 구비한다. 접속 스텝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10)의 냉매 충전 대상 공간에 대하여, 냉매를 봉입한 봄베(81)를 히터(83)를 통하여 접속한다. 냉매 충전 스텝에서는, 봄베(81)로부터 히터(83)를 통하여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냉매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냉매 충전 스텝에서는,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들어갈 때의 냉매의 비엔탈피가 430KJ/kg 이상이 되도록, 봄베(81)를 나온 냉매를 히터(83)에 의하여 가열한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의 냉매 충전 방법{REFRIGERANT LOADING METHOD FOR REFRIGERATION DEVICE USING CARBON DIOXIDE AS REFRIGERAN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의 냉매 충전 방법, 특히, 실내 유닛과 실외 유닛을 연락 배관으로 연결한 후에 현지에 있어서 냉동 장치에 대하여 냉매의 충전을 행할 때의 냉매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동 장치에 있어서는, 냉매로서 주로 탄화플루오르(fluorocarbon, 프레온)가 사용되고 있지만, 근래에는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카 에어컨의 분야에서는,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이산화탄소 냉동 사이클이 공지가 되어 있고, 급탕기의 분야에서는 이산화탄소를 냉매로 하는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한편, 가정용 에어컨이나 업무용 에어컨의 분야에 있어서는, 현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단계이며, 제품화에는 이르지 않았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74342호
이미 제품화되어 있는 급탕기에 있어서는, 그 냉동 사이클에 냉매(이산화탄소)를 충전하는 작업이 제조자의 제조 공장에서 행하여지고 있다. 현재로서는, 이산화탄소를 냉매로 하는 급탕기가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있다고까지는 말할 수 없고, 제조 공장에 있어서도, 대량 생산을 위한 냉매 충전 작업의 시간 단축이라고 하는 요망은 작다.
그러나, 보급이 진행되면 냉동 사이클에 이산화탄소 냉매를 충전하는 작업의 효율화라고 하는 과제가 생겨난다고 생각된다.
또한, 탄화플루오르를 냉매로 하는 현재의 업무용 에어컨 등에서는, 설치 장소인 건물에 있어서, 그 현지에서 실내외를 연결하는 냉매 연락 배관이 시공되고, 현지에 있어서 냉매 충전 작업이 행하여지는 일이 많다. 에어컨의 실외기에 미리 소정량의 냉매가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도, 현지에서 시공한 냉매 연락 배관의 길이 등에 따라서, 추가 냉매의 충전 작업이 현지에서 행하여지게 된다. 현지에서의 냉매 충전 작업에 있어서는, 배관 내의 공간을 진공 펌프 등을 사용하여 진공 상태로 하여, 거기에 봄베(bombe)로부터 냉매를 보내는 수법이 채용된다.
그러나, 이 현지에서의 냉매 충전 작업에 관하여, 이산화탄소 냉매의 경우도 종래의 탄화플루오르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작업 수순을 이용하여 버리면, 작업 시간이 길어져 버리거나 충전 완료 후 얼마 동안은 공조 운전을 개시할 수 없게 되거나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의 냉매 충전 방법이고, 냉매 충전 시간의 단축이나 냉매 충전 후에 운전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냉매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은, 실내 유닛 및 실외 유닛을 가지고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를 현지에 설치하고, 실내 유닛과 실외 유닛을 연락 배관으로 연결한 후에, 현지에 있어서 냉동 장치에 대하여 냉매의 충전을 행할 때에 이용하는 냉매 충전 방법이다. 이 냉매 충전 방법은 냉각 스텝과 냉매 충전 스텝을 구비하고 있다. 냉각 스텝에서는, 냉매가 봉입되어 있고 냉동 장치의 냉매 충전 대상 공간에 대하여 냉매를 내보내는 용기를, 31℃ 이하가 되도록 냉각한다. 냉매 충전 스텝에서는, 냉각 스텝을 거쳐 31℃ 이하로 된 용기로부터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냉매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냉매 충전 스텝에서는, 우선 용기 내의 기상(氣相) 상태의 냉매를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이동시키고, 다음으로 용기 내의 액상(液相) 상태의 냉매를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현재, 제조자의 제조 공장 등의 제조 현장에서는, 이산화탄소 냉매를 채용하는 냉동 사이클을 가지는 급탕기 유닛 등의 냉동 장치로의 냉매 충전 작업이 행하여지고 있지만, 업무용 에어컨 등의 냉동 장치의 설치 현장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냉매를 충전하는 것과 같은 일은 행하여지고 있지 않다. 바꾸어 말하면, 현상에 있어서는, 설치 현장에서의 충전 작업이 없는 냉동 장치에만 이산화탄소 냉매가 이용되고 있는 것이 많아, 제조 현장에 있어서 이미 냉매 충전이 완료되어 있는 냉동 장치만이 판매되고 있는 상태에 있다.
그러나, 설치 장소인 건물에 있어서 실내외를 연결하는 냉매 연락 배관이 시공되고, 현지에 있어서 냉매 충전 작업이 행하여지는 일이 많은 업무용 에어컨 등의 냉동 장치에서 이산화탄소 냉매를 채용하는 것을 검토하는 경우에는, 냉매 충전 작업의 적정화나 효율화가 요구되게 된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이산화탄소 냉매의 냉동 장치로의 충전 작업에 관하여 여러 가지의 검토를 행하였다. 우선,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는, 그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냉매를 충전할 때에, 봄베로부터 대략 진공 상태로 되어 있는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냉매를 공급하기 시작하면, 냉매가 가지는 열량에 따라서는, 압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에 의하여 냉매가 드라이아이스 상태(고체 상태)로 변화하는 일이 일어난다. 그리고, 냉매가 냉매 충전 대상 공간에 있어서 고체 상태로 변이하면, 그 고체로 된 냉매에 의하여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의 후속의 냉매의 흐름이 저해되어 냉매 충전 완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거나, 냉매 충전 후에 운전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고체 상태의 냉매가 녹을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거나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1 발명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에서는 냉매 충전 스텝의 전에 냉각 스텝을 마련하고, 그 냉각 스텝에 있어서, 냉동 장치의 냉매 충전 대상 공간에 대하여 냉매를 내보내는 용기를 31℃ 이하가 되도록 냉각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용기 안의 냉매는 초임계 상태로는 되지 않고, 액상 상태나 기상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더욱이 용기 내의 기상 상태에 있는 냉매부터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냉매 충전 대상 공간이 진공 상태이고 냉매에 급격한 압력 저하가 일어나도, 거기서 냉매가 고체 상태로 변화하여 버릴 가능성은 거의 없어진다. 한편, 용기 내의 기상 상태에 있는 냉매가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들어가고, 냉매 충전 대상 공간의 압력이 어느 정도 오르고 나서 용기 내의 액상 상태의 냉매가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액상 상태의 냉매도 냉매 충전 대상 공간에서 고체 상태로 변이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제1 발명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에 의하면, 충전 시에 있어서 용기로부터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들어간 냉매가 고체 상태로 변이하는 것과 같은 사태는 회피되어, 고체 상태의 냉매가 장해로 되어 충전 시간이 길어지거나 충전 후에 운전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거나 하는 문제가 억제된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은,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의 냉매 충전 방법이고, 냉각 스텝과 냉매 충전 스텝을 구비하고 있다. 냉각 스텝에서는, 냉매가 봉입되어 있고 냉동 장치의 냉매 충전 대상 공간에 대하여 냉매를 내보내는 용기를, 31℃ 이하가 되도록 냉각한다. 냉매 충전 스텝에서는, 냉각 스텝을 거쳐 31℃ 이하로 된 용기로부터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냉매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냉매 충전 스텝에서는, 우선 용기 내의 기상 상태의 냉매를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이동시키고, 다음으로 용기 내의 액상 상태의 냉매를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현재, 제조자의 제조 공장 등의 제조 현장에서는, 이산화탄소 냉매를 채용하는 냉동 사이클을 가지는 급탕기 유닛 등의 냉동 장치로의 냉매 충전 작업이 행하여지고 있지만, 업무용 에어컨 등의 냉동 장치의 설치 현장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냉매를 충전하는 것과 같은 일은 행하여지고 있지 않다. 바꾸어 말하면, 현상에 있어서는, 설치 현장에서의 충전 작업이 없는 냉동 장치에만 이산화탄소 냉매가 이용되고 있는 것이 많아, 제조 현장에 있어서 냉매 충전이 완료되어 있는 냉동 장치만이 판매되고 있는 상태에 있다. 또한, 현재로서는, 이산화탄소 냉매를 이용하는 급탕기와 같은 냉동 장치를 대량 생산은 하고 있지 않아, 냉매 충전 작업에 관하여 시간 단축이라고 하는 요망은 작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설치 장소인 건물에 있어서 실내외를 연결하는 냉매 연락 배관이 시공되고, 현지에 있어서 냉매 충전 작업이 행하여지는 일이 많은 업무용 에어컨 등의 냉동 장치에서 이산화탄소 냉매를 채용하는 것을 생각하는 경우나, 제조 현장에서 냉동 장치를 대량 생산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냉매 충전 작업의 적정화나 효율화가 요구되게 된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이산화탄소 냉매의 냉동 장치로의 충전 작업에 관하여 여러 가지의 검토를 행하였다. 우선,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는, 그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냉매를 충전할 때에, 봄베로부터 대략 진공 상태로 되어 있는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냉매를 공급하기 시작하면, 냉매가 가지는 열량에 따라서는, 압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에 의하여 냉매가 드라이아이스 상태(고체 상태)로 변화하는 일이 일어난다. 그리고, 냉매가 냉매 충전 대상 공간에 있어서 고체 상태로 변이하면, 그 고체로 된 냉매에 의하여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의 후속의 냉매의 흐름이 저해되어 냉매 충전 완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거나, 냉매 충전 후에 운전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고체 상태의 냉매가 녹을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거나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2 발명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에서는 냉매 충전 스텝의 전에 냉각 스텝을 마련하고, 그 냉각 스텝에 있어서, 냉동 장치의 냉매 충전 대상 공간에 대하여 냉매를 내보내는 용기를 31℃ 이하가 되도록 냉각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용기 안의 냉매는 초임계 상태로는 되지 않고, 액상 상태나 기상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더욱이 용기 내의 기상 상태에 있는 냉매부터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냉매 충전 대상 공간이 진공 상태이고 냉매에 급격한 압력 저하가 일어나도, 거기서 냉매가 고체 상태로 변화하여 버릴 가능성은 거의 없어진다. 한편, 용기 내의 기상 상태에 있는 냉매가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들어가고, 냉매 충전 대상 공간의 압력이 어느 정도 오르고 나서 용기 내의 액상 상태의 냉매가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액상 상태의 냉매도 냉매 충전 대상 공간에서 고체 상태로 변이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제2 발명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에 의하면, 충전 시에 있어서 용기로부터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들어간 냉매가 고체 상태로 변이하는 것과 같은 사태는 회피되어, 고체 상태의 냉매가 장해로 되어 충전 시간이 길어지거나 충전 후에 운전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거나 하는 문제가 억제된다.
덧붙여, 냉각 스텝으로서 냉각수에 의하여 용기를 냉각하여도 무방하고, 주위의 기온이 낮을 때에는 용기의 주위의 공기에 의하여 용기를 냉각하여도 무방하다(용기가 31℃ 이하가 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제2 발명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에 의하면, 충전 시에 있어서 용기로부터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들어간 냉매가 고체 상태로 변이하는 사태는 회피되어, 고체 상태의 냉매가 장해로 되어 충전 시간이 길어지거나 충전 후에 운전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거나 하는 문제가 억제된다.
도 1은 공기 조화 장치의 냉동 사이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CO2 냉매의 압력-엔탈피의 상태를 도시하는 간략도.
도 3은 공기 조화 장치의 냉동 사이클에 냉매 충전용의 봄베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CO2 냉매의 압력-엔탈피의 상태를 도시하는 상세도(Fundamentals: 2005 Ashrae Handbook: Si Edition을 이용한 도면).
본 발명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은, 냉매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 봄베 등의 냉매를 봉입한 용기로부터 냉동 사이클 내의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냉매를 공급시켜 냉매 충전 대상 공간에 필요량의 냉매를 효율 좋게 충전시키는 방법이다. 우선, 이 냉매 충전 방법에 의한 냉매 충전의 대상으로 되는 냉동 사이클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그 후,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 및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냉동 사이클>
도 1은, 냉매로서 이산화탄소(이하, CO2 냉매라 한다.)를 사용한 공기 조화 장치(10)의 냉동 사이클이다. 공기 조화 장치(10)는 빌딩 등의 건물에 설치되어 복수의 공간을 냉방하거나 난방하거나 하는 장치이고, 하나의 실외 유닛(20)에 대하여 복수의 실내 유닛(50)이 연결되는 멀티식의 공기 조화 장치이다. 이 공기 조화 장치(10)는, 실외 유닛(20), 복수의 실내 유닛(50) 및 양 유닛(20, 50)을 연결하는 냉매 연락 배관(6, 7)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외 유닛(20)은, 압축기(21), 사방 전환 밸브(22), 실외 열교환기(23), 실외 팽창 밸브(24), 폐쇄 밸브(25, 26) 등을 가지고 있고, 미리 CO2 냉매가 충전된 상태로 건물에 반입되어 온다. 실내 유닛(50)은, 각각, 실내 팽창 밸브(51) 및 실내 열교환기(52)를 가지고 있으며, 건물 내의 각 공간(방 등)의 천정 등에 설치되고, 현지 시공되는 냉매 연락 배관(6, 7)에 의하여 실외 유닛(2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여, 건물에 반입된 실외 유닛(20) 및 실내 유닛(50)은, 현지 배관 시공에 의하여 1개의 냉동 사이클을 형성하게 된다.
이 공기 조화 장치(10)의 냉동 사이클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기(21), 사방 전환 밸브(22), 실외 열교환기(23), 실외 팽창 밸브(24), 실내 팽창 밸브(51) 및 실내 열교환기(52)가, 냉매 연락 배관(6, 7)을 포함하는 냉매 배관으로 연결된 폐회로이다. 현지에 있어서 냉동 사이클이 형성된 후, 실내 유닛(50) 및 냉매 연락 배관(6, 7)의 내부 공간(냉매 충전 대상 공간)에 봄베로부터 CO2 냉매가 토출 공급되지만, 이 냉매 충전 작업에 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냉매 충전 작업이 끝나고, 냉동 사이클 내에 필요량의 CO2 냉매가 충전되면, 공기 조화 장치(10)는, 실내 유닛(50)의 실내 열교환기(52)를 흐르는 CO2 냉매와 실내 공기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게 하는 것으로 건물 내의 공간을 냉난방하는 공조 운전을 행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공기 조화 장치(10)는, 사방 전환 밸브(22)로 냉매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는 것에 의하여, 난방 운전과 냉방 운전을 전환할 수 있다.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실외 열교환기(23)가 가스 쿨러(gas cooler)로 되고, 실내 열교환기(52)가 증발기로 된다. 한편,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실외 열교환기(23)가 증발기로 되고, 실내 열교환기(52)가 가스 쿨러로 된다.
도 1에 있어서, A점은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압축기(21)의 흡입 측이며, B점은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압축기(21)의 토출 측이다. C점은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실내 열교환기(52)의 냉매 출구 측이며, D점은,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실외 열교환기(23)의 냉매 입구 측이다.
도 2는, CO2 냉매의 압력-엔탈피 상태를 간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종축(縱軸)이 압력, 횡축(橫軸)이 엔탈피를 나타낸다. Tcp는 임계점 CP를 통과하는 등온선이다. 이 등온선 Tcp의 우측에서 또한 임계점 CP의 압력인 임계압 이상의 영역에서는, CO2 냉매가 초임계 상태로 되고, 기체의 성질인 확산성과 액체의 성질인 용해성을 겸비하는 유체가 된다. 공기 조화 장치(10)는, 도 2에 있어서 굵은 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임계 상태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로 운전된다. 난방 운전의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는, CO2 냉매가 압축기(21)에서 임계 압력을 넘는 압력까지 압축되어 실내 열교환기(52)에서 냉각되어 액체로 되고, 실외 팽창 밸브(24)에서 감압되어 실외 열교환기(23)에서 증발하여, 기체로 되어 다시 압축기(21)로 흡입된다.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
현지 배관 시공에 의하여 실외 유닛(20) 및 실내 유닛(50)이 냉매 연락 배관(6, 7)에 의하여 연결되고, 그것들이 1개의 닫힌 냉동 사이클을 형성한 후, 냉매 충전 작업이 행하여진다.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에서는, 우선, 실내 유닛(50) 및 냉매 연락 배관(6, 7)의 내부를, 도시하지 않는 진공 펌프 등에 의하여 진공(매우 낮은 압력)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 유닛(20)의 폐쇄 밸브(26)의 근처에 설치한 차지 포트(charge port)에, CO2 냉매가 봉입된 봄베(81)를 접속한다. 이 접속에 있어서, 봄베(81)와 차지 포트의 사이의 배관에는, 그 배관을 가열하여 내부를 흐르는 CO2 냉매를 데우는 히터(83)를 장착하여 둔다. 다음으로, 히터(83)를 가동시키고, 차지 포트로부터 냉매 연락 배관(7)으로 들어갈 때의 CO2 냉매의 비엔탈피가 430KJ/kg 이상이 되도록 하여 냉매 충전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냉매 연락 배관(7)으로 들어갈 때의 CO2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이, 도 4에 도시하는 5개의 포인트 P1 ~ P5를 연결하는 선보다도 높아지는 영역에 존재하도록 히터(83)를 가동시킨다. 포인트 P1은 온도가 0℃에서 압력이 3.49MPa의 점이며, 포인트 P2는 온도가 10℃에서 압력이 4.24MPa의 점이고, 포인트 P3은 온도가 20℃에서 압력이 5.07MPa의 점이며, 포인트 P4는 온도가 30℃에서 압력이 6.00MPa의 점이고, 포인트 P5는 온도가 40℃에서 압력이 7.06MPa의 점이다.
이와 같이 냉매 충전 작업을 개시하면, 냉매 연락 배관(7)으로 들어간 CO2 냉매가 고체로 변이하여 후속의 CO2 냉매의 흐름을 저해하거나 하는 문제가 없어진다.
즉, 도 2 및 도 4의 이산화탄소의 압력-엔탈피 상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의 임계점 CP(임계 온도:약 31℃, 임계 압력:약 7.3MPa)를 통과하는 등온선 Tcp의 우측의 상태의 CO2 냉매는, 비엔탈피가 430KJ/kg 미만이면, 급격한 압력 저하가 일어났을 때에 도 2의 해칭 영역(도 4에서는, 압력이 약 0.5MPa 이하에서 비엔탈피가 430KJ/kg 미만의 영역)으로 옮겨져, 고체 상태로 변화하여 버린다. 이것을 막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봄베(81)를 나온 CO2 냉매를 히터(83)에 의하여 데워, CO2 냉매의 비엔탈피가 430KJ/kg 이상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냉매 연락 배관(7)으로 들어갈 때에 아무리 급격하게 압력이 저하하여도, CO2 냉매가 고체 상태로 변하는 일은 없어진다. 비엔탈피가 430KJ/kg 이상이면, 이산화탄소가 고체로 변하는 일은 없기 때문이다(도 4 참조).
이상과 같이,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에서는, 공기 빼기된 냉매 충전 대상 공간(실내 유닛(50) 및 냉매 연락 배관(6, 7)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갈 때의 CO2 냉매의 비엔탈피를 430KJ/kg 이상으로 하기 때문에, 차지 포트의 근처에서 CO2 냉매가 고체화하여 후속의 CO2 냉매의 흐름을 저해하거나 충전 후에 공기 조화 장치(10)가 운전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
상기의 냉매 충전 방법에서는, 봄베(81)와 차지 포트의 사이의 배관에 히터(83)를 장착하고 있지만, 히터(83)를 장착하는 대신에 봄베(81)와 차지 포트의 사이의 배관을 길게 한다고 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봄베(81)와 차지 포트의 사이의 긴 배관에 단열재 등을 감지 않고, 그 배관의 주위의 공기의 열을 이용하는 것으로, 배관 내를 흐르는 CO2 냉매를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였을 경우여도,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들어갈 때의 CO2 냉매의 비엔탈피가 430KJ/kg 이상인 상태가 확보되면, 차지 포트의 근처에서 CO2 냉매가 고체화하여 후속의 CO2 냉매의 흐름을 저해하거나 충전 후에 공기 조화 장치(10)가 운전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
현지 배관 시공에 의하여 실외 유닛(20) 및 실내 유닛(50)이 냉매 연락 배관(6, 7)에 의하여 연결되고, 그것들이 1개의 닫힌 냉동 사이클을 형성한 후, 냉매 충전 작업이 행하여진다. 여기에서는, 도 3을 이용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하는 히터(83)는 불필요하다.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에서는, 우선, 실내 유닛(50) 및 냉매 연락 배관(6, 7)의 내부를, 도시하지 않는 진공 펌프 등에 의하여 진공(매우 낮은 압력)으로 한다. 다음으로, 실외 유닛(20)의 폐쇄 밸브(26)의 근처에 설치한 차지 포트에, CO2 냉매가 봉입된 봄베(81)를 접속한다. 이 접속 전, 혹은 후에, 봄베(81)의 온도가 31℃를 넘고 있는 경우에는, 봄베(81) 내의 CO2 냉매의 온도가 31℃ 이하가 되도록 봄베(81)를 냉각한다. 구체적으로는, 냉각수 등에 의하여 봄베(81)의 냉각을 행한다(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봄베(81)의 온도가 31℃ 이하가 된 것을 확인한 후에, 봄베(81) 내의 기상 상태(기체 상태)의 CO2 냉매를 냉매 충전 대상 공간(실내 유닛(50) 및 냉매 연락 배관(6, 7)의 내부 공간)으로 토출 공급시킨다. 이 기상 상태의 CO2 냉매의 공급에 이어, 봄베(81) 내의 액상 상태(액체 상태)의 CO2 냉매를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토출 공급시킨다.
이와 같이 냉매 충전 작업을 개시하면, 냉매 연락 배관(7)으로 들어간 CO2 냉매가 고체로 변이하여 후속의 CO2 냉매의 흐름을 저해하거나 하는 문제가 없어진다.
즉, 도 2 및 도 4의 이산화탄소의 압력-엔탈피 상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의 임계점 CP(임계 온도:약 31℃, 임계 압력:약 7.3MPa)를 통과하는 등온선 Tcp의 우측의 상태의 CO2 냉매는, 비엔탈피가 430KJ/kg 미만이면, 급격한 압력 저하가 일어났을 때에 냉매가 도 2의 해칭 영역(도 4에서는, 압력이 약 0.5MPa 이하에서 비엔탈피가 430KJ/kg 미만의 영역)으로 옮겨져, 고체 상태로 변화하여 버린다. 이것을 막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냉매 충전을 행하기 전에 봄베(81)를 31℃ 이하가 되도록 냉각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봄베(81) 내의 냉매는 초임계 상태로는 되지 않고, 액상 상태나 기상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더욱이 봄베(81) 내의 기상 상태에 있는 CO2 냉매부터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냉매 충전 대상 공간이 진공 상태이고 CO2 냉매에 급격한 압력 저하가 일어나도, 거기서 CO2 냉매가 고체 상태로 변화하여 버릴 가능성은 거의 없어진다. 한편, 봄베(81) 내의 기상 상태에 있는 CO2 냉매가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들어가고, 냉매 충전 대상 공간의 압력이 어느 정도 높아지고 나서서 봄베(81) 내의 액상 상태의 냉매가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액상 상태의 CO2 냉매도 냉매 충전 대상 공간에서 고체 상태로 변이하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에서는, 차지 포트의 근처에서 CO2 냉매가 고체화하여 후속의 CO2 냉매의 흐름을 저해하거나 충전 후에 공기 조화 장치(10)가 운전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거나 하는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2 실시예의 변형예>
상기의 냉매 충전 방법에서는 봄베(81)의 냉각에 냉각수 등을 이용하고 있지만, 봄베(81)의 주위의 기온이 낮을 때에는, 자연적으로 봄베(81)의 온도가 31℃ 이하가 될 때까지 기다린다고 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했을 경우에도, 봄베(81) 내의 CO2 냉매의 온도가 낮아지고, 액상 상태 및 기상 상태의 CO2 냉매 중 기상 상태에 있는 것부터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토출되면, 차지 포트의 근처에서 CO2 냉매가 고체화하여 후속의 CO2 냉매의 흐름을 저해하거나 충전 후에 공기 조화 장치(10)가 운전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거나 하는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냉매 충전 방법의 다른 냉동 장치에 있어서의 적용에 관하여>
(1)
상술의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제조자의 제조 공장 등에서 미리 CO2 냉매가 봉입된 실외 유닛(20)을 현지(건물)에 반입하고, 현지에서는 실내 유닛(50) 및 냉매 연락 배관(6, 7)의 내부 공간에 냉매 충전을 하고 있지만, 모든 냉매 충전을 현지에서 행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장 등에 있어서의 실외 유닛(20)에 대한 냉매 충전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2)
멀티식의 공기 조화 장치(10)가 아니고, 다른 냉동 장치에 대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조자의 제조 공장 등에 있어서 냉동 사이클이 완성되고 냉매 충전도 행하여지는 히트 펌프(heat pump) 급탕기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관련되는 냉매 충전 방법을 이용하면, 냉매 충전 작업에 관하여 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6, 7: 냉매 연락 배관(냉매 충전 대상 공간)
10: 공기 조화 장치(냉동 장치)
20: 실외 유닛
50: 실내 유닛(냉매 충전 대상 공간)
81: 봄베(용기)
83: 히터(가열 수단)

Claims (2)

  1. 실내 유닛(50) 및 실외 유닛(20)을 가지고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10)를 현지에 설치하고, 상기 실내 유닛과 상기 실외 유닛을 연락 배관(6, 7)으로 연결한 후에, 현지에 있어서 상기 냉동 장치에 대하여 상기 냉매의 충전을 행할 때의 냉매 충전 방법이고,
    상기 냉매가 봉입되어 있고 상기 냉동 장치의 냉매 충전 대상 공간에 대하여 상기 냉매를 내보내는 용기(81)를, 31℃ 이하가 되도록 냉각하는 냉각 스텝과,
    상기 냉각 스텝을 거쳐 31℃ 이하로 된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상기 냉매를 이동시키는 냉매 충전 스텝
    을 구비하고,
    상기 냉매 충전 스텝에서는, 우선 상기 용기 내의 기상(氣相) 상태의 냉매를 상기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이동시키고, 다음으로 상기 용기 내의 액상(液相) 상태의 냉매를 상기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냉매 충전 방법.
  2.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10)에 있어서의 냉매 충전 방법이고,
    상기 냉매가 봉입되어 있고 상기 냉동 장치의 냉매 충전 대상 공간에 대하여 상기 냉매를 내보내는 용기(81)를, 31℃ 이하가 되도록 냉각하는 냉각 스텝과,
    상기 냉각 스텝을 거쳐 31℃ 이하로 된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상기 냉매를 이동시키는 냉매 충전 스텝
    을 구비하고,
    상기 냉매 충전 스텝에서는, 우선 상기 용기 내의 기상 상태의 냉매를 상기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이동시키고, 다음으로 상기 용기 내의 액상 상태의 냉매를 상기 냉매 충전 대상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냉매 충전 방법.
KR1020117005424A 2006-07-21 2007-07-18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의 냉매 충전 방법 KR101123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99707 2006-07-21
JP2006199707A JP5336039B2 (ja) 2006-07-21 2006-07-21 二酸化炭素を冷媒として用いる冷凍装置における冷媒充填方法
PCT/JP2007/064187 WO2008010519A1 (fr) 2006-07-21 2007-07-18 Procédé de chargement de réfrigérant de dispositif de réfrigération au dioxyde de carbo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778A Division KR101277709B1 (ko) 2006-07-21 2007-07-18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의 냉매 충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006A true KR20110032006A (ko) 2011-03-29
KR101123240B1 KR101123240B1 (ko) 2012-03-22

Family

ID=389568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778A KR101277709B1 (ko) 2006-07-21 2007-07-18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의 냉매 충전 방법
KR1020117005424A KR101123240B1 (ko) 2006-07-21 2007-07-18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의 냉매 충전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778A KR101277709B1 (ko) 2006-07-21 2007-07-18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의 냉매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479526B2 (ko)
EP (1) EP2051028B1 (ko)
JP (1) JP5336039B2 (ko)
KR (2) KR101277709B1 (ko)
CN (2) CN102645063B (ko)
AU (1) AU2007276161B2 (ko)
ES (1) ES2720323T3 (ko)
TR (1) TR201905061T4 (ko)
WO (1) WO20080105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1999B2 (ja) * 2004-03-31 2005-11-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4197020B2 (ja) * 2006-08-10 2008-12-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二酸化炭素を冷媒として用いる冷凍装置における冷媒充填方法
JP2011094871A (ja) * 2009-10-29 2011-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空調装置、冷凍・空調装置の設置方法
US20110219790A1 (en) * 2010-03-14 2011-09-15 Trane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HVAC System
JPWO2011141959A1 (ja) * 2010-05-12 2013-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切換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CN101923821A (zh) * 2010-09-28 2010-12-22 天津三星电子显示器有限公司 通过芯片内部模数转换检测液晶显示器背光电流的方法
CN103307823A (zh) * 2013-06-16 2013-09-18 江苏春兰制冷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分体式房间空调器制冷系统以及该系统充注制冷剂的方法
AT514924B1 (de) * 2014-05-12 2015-05-15 Avl Dites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Warten einer Klimaanlage
CN103954086B (zh) * 2014-05-22 2017-0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灌注制冷剂的方法
DE102014223956B4 (de) * 2014-11-25 2018-10-04 Konvekta Ag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Füllmenge eines Kältemittels in einem Kältemittelkreislauf einer Kälteanlage
US10871360B1 (en) * 2017-03-02 2020-12-22 Herbert U. Fluhler Method for cooling missiles
DE102017206547A1 (de) * 2017-04-19 2018-10-2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füllen eines Rohrleitungskreislaufs einer Wärmepumpe mit einem Kältemittel, Behälter dafür und Wärmepumpe
CN112413946A (zh) * 2020-11-23 2021-02-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冷媒回收控制方法、装置、冷媒回收设备及空调设备
US11988427B2 (en) 2021-04-29 2024-05-21 Vertiv Corporation Refrigerant cold star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1259A (en) * 1950-05-11 1958-01-28 Owen L Garretson Tank mounting adjacent radiator for vehicles burning gaseous fuels
US3054270A (en) * 1960-08-19 1962-09-18 American Sterilizer Co Gas sterilizing system
GB1472533A (en) * 1973-06-27 1977-05-04 Petrocarbon Dev Ltd Reliquefaction of boil-off gas from a ships cargo of liquefied natural gas
US4045972A (en) * 1976-07-23 1977-09-06 Lewis Tyree Jr CO2 Cooling of vehicles
JPS5487908A (en) * 1977-12-26 1979-07-12 Hitachi Ltd Carbonic acid gas enclosing process into a closing circuit system containing compressor and gas cooler
JPS6323360Y2 (ko) * 1979-10-31 1988-06-27
JPS6113891Y2 (ko) * 1979-11-05 1986-04-30
JPS5691164A (en) * 1979-12-24 1981-07-23 Hitachi Jidoushiya Buhin Hanba Method of filling refrigerant
SE462238B (sv) 1988-01-28 1990-05-21 Olsson Clas Ove Foerfarande och anordning vid pumpning av koeldmedier vid gas- eller vaetskeform
US5090209A (en) 1990-10-01 1992-02-25 General Cryogenics Incorporated Enthalpy control for co2 refrigeration system
US5193349A (en) * 1991-08-05 1993-03-16 Chicago Bridge & Iron Technical Service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s with neon-nitrogen mixtures
JPH0792298B2 (ja) * 1991-10-03 1995-10-09 三菱重工冷熱機材株式会社 冷媒回収再生装置
US5802859A (en) * 1996-12-16 1998-09-08 Hudson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recovering and analyzing volatile refrigerants
JPH10238872A (ja) * 1997-02-24 1998-09-08 Zexel Corp 炭酸ガス冷凍サイクル
CA2295562A1 (en) 1997-07-11 1999-01-21 Thermo King Corporation Control method for a cryogenic unit
JP3867370B2 (ja) * 1997-10-27 2007-01-10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封入方法
JP2001074342A (ja) * 1999-09-03 2001-03-23 Sanden Corp Co2冷凍サイクルへの冷媒充填方法及び装置
JP3680740B2 (ja) * 2001-02-09 2005-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既設冷媒配管の利用方法、空気調和機の設置方法、空気調和機
JP2002372346A (ja) * 2001-06-13 2002-12-26 Daikin Ind Ltd 冷媒回路及びその運転検査方法並びに冷媒充填方法及び冷媒充填用閉鎖弁
JP2003279199A (ja) * 2002-03-22 2003-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サイクル、空気調和装置及び冷凍装置並びにそれらの作動冷媒の変更方法及び作動冷媒の変更工事方法
JP3855884B2 (ja) * 2002-08-20 2006-12-13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空調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4179927B2 (ja) * 2003-06-04 2008-11-12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装置の冷媒封入量設定方法
JP2005076939A (ja) * 2003-08-29 2005-03-24 Yanmar Co Ltd 冷媒の充填量の算出方法、及び算出装置、並びに冷媒の充填装置
JP4110276B2 (ja) * 2003-10-03 2008-07-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媒充填装置及び冷媒充填方法
US7096679B2 (en) * 2003-12-23 2006-08-29 Tecumseh Products Company Transcritical vapor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including refrigerant storage tank and non-variable expansion device
KR101127462B1 (ko) 2004-06-22 2012-03-23 한라공조주식회사 초임계 냉매 시스템의 냉매 충진 방법
JP4354881B2 (ja) * 2004-06-23 2009-10-28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冷媒充填装置
US7905095B2 (en) * 2004-07-16 2011-03-15 Spx Corporation System for refrigerant charging with constant volume tank
US7210300B2 (en) * 2004-07-16 2007-05-01 Snap-On Incorporated Refrigerant charging system and method with cartridges
US7310956B2 (en) * 2004-11-18 2007-12-25 Snap-On Incorporated Refrigerant charging by optimum performance
US8176752B2 (en) * 2009-07-23 2012-05-15 Corning Incorporated Silica glass with saturated induced absorption and method of ma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90484B (zh) 2012-07-04
AU2007276161A1 (en) 2008-01-24
KR20090034921A (ko) 2009-04-08
JP5336039B2 (ja) 2013-11-06
CN102645063A (zh) 2012-08-22
KR101123240B1 (ko) 2012-03-22
CN101490484A (zh) 2009-07-22
US20130219928A1 (en) 2013-08-29
EP2051028B1 (en) 2019-01-23
AU2007276161B2 (en) 2010-07-29
EP2051028A1 (en) 2009-04-22
KR101277709B1 (ko) 2013-06-24
EP2051028A4 (en) 2014-06-25
WO2008010519A1 (fr) 2008-01-24
ES2720323T3 (es) 2019-07-19
JP2008025924A (ja) 2008-02-07
US9869498B2 (en) 2018-01-16
TR201905061T4 (tr) 2019-05-21
CN102645063B (zh) 2014-03-05
US8479526B2 (en) 2013-07-09
US20100000237A1 (en)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240B1 (ko)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의 냉매 충전 방법
KR101118511B1 (ko)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의 냉매 충전 방법
JP5042058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用室外機及び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US9523520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WO2012160597A1 (ja) 空気調和装置
CN105008820A (zh) 空调装置
CN104736949A (zh) 空调装置
JP2017161115A (ja) 空調給湯システム
JP6080939B2 (ja) 空気調和装置
CN104736950A (zh) 空调装置
JP4983330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5083282B2 (ja) 二酸化炭素を冷媒として用いる冷凍装置における冷媒充填方法
JP2017161164A (ja) 空調給湯システム
JP2008089304A (ja) 二酸化炭素を冷媒として用いる冷凍装置における冷媒充填方法
JPH11270933A (ja) 非共沸混合冷媒の充填方法、冷凍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JP2008241205A (ja) 空気調和機
WO2015140950A1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