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7725A - 호이스트 결합체 - Google Patents

호이스트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7725A
KR20110027725A KR1020107029841A KR20107029841A KR20110027725A KR 20110027725 A KR20110027725 A KR 20110027725A KR 1020107029841 A KR1020107029841 A KR 1020107029841A KR 20107029841 A KR20107029841 A KR 20107029841A KR 20110027725 A KR20110027725 A KR 20110027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
trolley
flanges
adjust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9716B1 (ko
Inventor
제롬 구오
패트릭 고댕
Original Assignee
코네크레인스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크레인스 피엘씨 filed Critical 코네크레인스 피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27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6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for more than one rail ga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66C11/04Underhu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66C11/04Underhung trolleys
    • B66C11/06Underhung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2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for underhung trolleys or cranes

Abstract

본 발명은,
호이스트(hoist)(1),
측면 플랜지(side flange)(4)들이 제공된 빔(beam)(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빔의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되면서 휠(6)들이 제공된 두 개의 트롤리 플랜지(5)를 포함하면서 상기 휠들에 의해 상기 빔의 측면 플랜지들을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trolley)(2) 및
상기 빔의 바로 아래에서 상기 트롤리 플랜지들에 상기 호이스트를 고정하고, 상기 트롤리 플랜지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고정 및 조절 수단(7, 8, 9)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및 조절 수단은 상기 호이스트(1)와 트롤리 플랜지들(5) 사이의 지지용 슬라이드 결합체(supporting slide coupling)(7, 8)와, 상기 트롤리 플랜지(5)들 사이에 연결된 조절 막대(9)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 막대와 슬라이드 결합체(slide coupling)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은 상기 빔을 가로지르는 호이스트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호이스트 결합체 {HOIST COMBINATION}
본 발명은, 호이스트(hoist), 측면 플랜지(side flange)들이 제공된 빔(beam)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빔의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되면서 휠들이 제공된 두 개의 트롤리 플랜지를 포함하면서 상기 휠들에 의해 상기 빔의 측면 플랜지들을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trolley) 및 상기 빔의 바로 아래에서 상기 트롤리 플랜지들에 상기 호이스트를 고정하고 상기 트롤리 플랜지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고정 및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호이스트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이전에는, 대들보(girder)나 호이스트 빔의 위쪽에서 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로부터 아래쪽으로 매달려진 다양한 형태의 호이스트 결합체들이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호이스트 결합체들은 일반적으로 체인 호이스트(chain hoist)이다. 더 긴 지지 거리(bearing distance)와 더 무거운 하중 적용에 관한 한, 플랜지들이 돌출된 박스나 튜브(box or tube) 구조가 빔들에 적용된다.
다양한 하중의 적용과 광범위한 하중 지지능력(load bearing capacity)을 위해서는, 다른 폭의 빔들과 그와 조합하기 적합한 호이스트 결합체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폭이 다른 빔들은 각각의 특정된 폭에 적합한 다른 호이스트 결합체를 필요로 해왔다. 따라서 호이스트 결합체는 다양한, 소위 "교차적용 방식(crossheads)"을 채용하였는데, 이것은 호이스트 결합체를 관련 하중 적용에 적합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다른 폭의 빔들 상에서 이동하도록 조절되는 호이스트 결합체가 알려져 있다.
조절 가능한 호이스트 결합체는 공개된 DE 8715497 U를 통해 알려진 바 있는데, 호이스트가 볼트들에 의해 트롤리 플랜지에 직접 고정된다. 고정 볼트들과의 결합에서, 플랜지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와셔가 사용된다.
상기의 공개문헌에 상응하는 구조가 공개된 US 1,858,895 A에 개시되는데, 트롤리 플랜지들의 고정 스크루에 연결되는 조절편들(adjustment pieces)을 구비하는 점이 유사하다.
공개된 US 3,261,477 A에 따르면, 플랜지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 노치(notch)들을 구비하는 핀들과 트롤리 플랜지를 직접 고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공개된 GB 1,307,677 A는 앞서 언급한 공개 문헌들과 상당히 유사한 해결책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 호이스트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고정 볼트들을 제공하는 빔들과 수직하는 서로 인접하는 다수의 관통홀(perforation)들을 호이스트와 고정 플랜지들 양쪽이 구비해야 하는데, 여기서, 상기 고정 볼트들은 플랜지들을 위한 서로 다른 고정 지점(securing point)들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알려진 조절 가능한 호이스트 결합체는 조절 범위가 매우 고르지 못하고(rough), 완만하며(gradual), 상대적으로 여전히 좁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조절 부품들의 스크루를 풀어야하기 때문에 조절 과정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절 과정에서 호이스트를 위한 별도의 지지체가 제공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가능한 한 간결하고, 정확하며, 사용자 친화적인 고정 및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고정 및 조절 수단이 호이스트와 트롤리 플랜지들 사이의 지지용 슬라이드 결합체(supporting slide coupling)와, 상기 트롤리 플랜지들 사이에 연결된 조절 막대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 막대와 슬라이드 결합체(slide coupling)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이 상기 빔을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결합체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용 슬라이드 결합체는 상기 호이스트의 전면과 후면에 제공된 홈(groove)들과, 상기 트롤리 플랜지들에 제공되며 상기 호이스트의 홈들 내에서 연장되면서 결속되어(extending and gripping) 상기 홈들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들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 막대는 상기 트롤리 플랜지들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잠금 수단(locking means)이 추가로 제공된 나사산이 있는 막대(threaded bar)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연결되는 부품들의 상호 결속(mutual gripping)에 기초하며, 여기서 결속 지점들은 동시에 상기 트롤리 플랜지들을 서로 연결하는 조절 막대를 사용하여 상호 적합한 위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매우 간결하면서도, 추가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더라도 그 조절이 매우 정확하다. 또한, 상기 호이스트와 트롤리 사이에 별도의 결합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 상기 호이스트 결합체가 소형화된다.
이하에서는, 다음과 같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이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결합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호이스트 결합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호이스트 결합체를 나태는 측면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결합체는 주요 부품으로서 호이스트(1)와 트롤리(2)를 구비한다.
상기 트롤리(2)는 측면 플랜지(side flange)(4)들이 제공된 대들보(girder) 또는 빔(beam)(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빔의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되면서 휠(6)들이 제공된 두 개의 트롤리 플랜지(5)를 포함하고, 상기 휠(6)들은 상기 빔(3)과 마주하는 상기 트롤리 플랜지(5)의 내측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트롤리 플랜지(5)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빔(3)의 측면 플랜지(4)(그의 상면)를 따라 상기 트롤리(2) 전체를 이동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체는 또한 상기 빔(3)의 바로 아래에서 상기 트롤리 플랜지(5)에 상기 호이스트(1)를 고정하고 상기 트롤리 플랜지(5)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잠그는 고정 및 조절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 및 조절 수단은 상기 호이스트(1)와 트롤리 플랜지(5) 사이의 지지용 슬라이드 결합체(7, 8)와, 상기 트롤리 플랜지(5)들을 사이에서 연결된 조절 막대(9)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 막대(9)와 상기 슬라이드 결합체(7, 8)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은 상기 빔(3)을 가로지르게 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용 슬라이드 결합체는 상기 호이스트(1)의 전면과 후면에 제공된 홈(groove)(7)들과, 상기 트롤리 플랜지(5)들에 제공되며 상기 호이스트(1)의 홈(7)들 내에서 연장되면서 결속되어(extending and gripping) 상기 홈(7)들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8)들을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그 수가 네 개인 상기 클램프(8)들은 상기 트롤리 플랜지(5)의 전단과 후단(front and rear edge)(10, 11)의 하단에 제공되고, 상기 전단과 후단(10, 11)은 상기 호이스트(1)의 전면과 후면에 평행하게 구부러져 있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8)들은 충분한 결속 폭(gripping width)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조절 막대(9)는 양단(ends)에 잠금 수단(locking means)(12)이 제공된 나사산이 있는 막대(threaded bar)로서, 상기 잠금 수단(12)은 나사산이 있는 막대를 상기 트롤리 플랜지(5)들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게 하면서 상기 호이스트(1)에 움직이지 않게 결속한다. 상기 잠금 수단(12)은 상기 호이스트(1)의 양단(ends)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또한 상기 트롤리(2)의 측면 상에 상기 트롤리(2)를 구동하는 모터(13)와 제어 유닛(14)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호이스트(1) 자체와 견인 후크(lifting hook)(15)를 상승/하강시키는 상기 호이스트(1)에 내장된 구동 메카니즘은 통상의 기술에 해당하면서 본 발명과 무관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근본이 되는 발상을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세부적인 사항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면들을 통해 도시되지는 않더라도, 상기한 슬라이드 결합체는 상기 호이스트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막대들과 상기 트롤리 플랜지들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막대들이 이동할 수 있는 개구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호이스트의 전면과 후면에서 돌출되는 플랜지들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3)

  1. 호이스트(1);
    측면 플랜지(side flange)(4)들이 제공된 빔(beam)(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빔의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되면서 휠(6)들이 제공된 두 개의 트롤리 플랜지(5)를 포함하고, 상기 휠들에 의해 상기 빔의 측면 플랜지(4)들을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trolley)(2); 및
    상기 빔(3)의 바로 아래에서 상기 호이스트(1)를 상기 트롤리 플랜지(5)들에 고정하고, 상기 트롤리 플랜지(5)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고정 및 조절 수단(7, 8, 9)을 구비하는 호이스트 결합체로서,
    상기 고정 및 조절 수단은 상기 호이스트(1)와 트롤리 플랜지들(5) 사이의 지지용 슬라이드 결합체(supporting slide coupling)(7, 8)와, 상기 트롤리 플랜지(5)들 사이에 연결된 조절 막대(9)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 막대(9)와 슬라이드 결합체(slide coupling)(7, 8)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은 상기 빔을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결합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슬라이드 결합체는 상기 호이스트(1)의 전면과 후면에 제공된 홈(groove)(7)들과, 상기 트롤리 플랜지(5)들에 제공되며 상기 호이스트(1)의 홈(7)들 내에서 연장되면서 결속되어(extending and gripping) 상기 홈(7)들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8)들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결합체.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막대(9)는 상기 트롤리 플랜지(5)들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게 하면서 상기 호이스트(1)에 움직이지 않게 결속하는 잠금 수단(locking means)(12)이 제공된 나사산이 있는 막대(threaded bar)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결합체.
KR1020107029841A 2008-06-25 2009-06-24 호이스트 결합체 KR101539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85638A FI122067B (fi) 2008-06-25 2008-06-25 Nostinkokoonpano
FI20085638 2008-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725A true KR20110027725A (ko) 2011-03-16
KR101539716B1 KR101539716B1 (ko) 2015-07-27

Family

ID=3958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841A KR101539716B1 (ko) 2008-06-25 2009-06-24 호이스트 결합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83189B2 (ko)
EP (1) EP2303752B1 (ko)
JP (1) JP5518057B2 (ko)
KR (1) KR101539716B1 (ko)
CN (1) CN102066230B (ko)
BR (1) BRPI0914596A2 (ko)
FI (1) FI122067B (ko)
RU (1) RU2475444C2 (ko)
WO (1) WO2009156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8231B2 (ja) * 2010-12-22 2016-04-06 コネクレーンズ ピーエルシーKonecranes Plc 調整可能なキャリッジを持つ吊上装置
DE102010061462A1 (de) 2010-12-22 2012-06-28 Konecranes Plc Hebezeug mit verstellbarem Fahrwerk
DE202010013182U1 (de) 2010-12-22 2011-04-07 Konecranes Plc Hebezeug mit verstellbarem Fahrwerk
FI126272B (fi) * 2014-01-24 2016-09-15 Konecranes Global Oy Köysinostimen matalarakenteinen nostovaunu
FI126273B (fi) * 2014-01-24 2016-09-15 Konecranes Global Oy Köysinostimen matalarakenteinen nostovaunu
US10266183B1 (en) * 2016-02-06 2019-04-23 Oz Lifting Products, LLC Beam trolleys with width adjustment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11039969B2 (en) * 2017-07-31 2021-06-22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Overhead lift units,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and transporting an overhead lift unit
FI128022B (fi) * 2017-12-12 2019-08-15 Konecranes Global Oy Nostimen runkorakenne
FI20176107A1 (fi) * 2017-12-12 2019-06-13 Konecranes Global Oy Nostimen kantopyöräjärjestely
CN112078990A (zh) * 2020-09-27 2020-12-15 中化珠海石化储运有限公司 用于储罐清洗或防腐的高效活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8895A (en) 1930-11-12 1932-05-17 Euclid Crane & Hoist Company Trolley frame
US2744472A (en) * 1953-03-24 1956-05-08 Albina Engine & Machine Works I-beam roller
US3017958A (en) * 1958-12-11 1962-01-23 Manning Maxwell & Moore Inc Track clamp for hoists
US3261477A (en) 1964-08-12 1966-07-19 Edgar R Powell Support for hoists or the like
GB1307677A (en) 1969-07-29 1973-02-21 Matterson Ltd Adjustable hoist trolley
JPS50124351A (ko) * 1974-03-15 1975-09-30
SU532563A1 (ru) 1975-09-29 1976-10-2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255 Монорельсова тележка
JPS52110171U (ko) 1976-02-18 1977-08-22
JPS52101562A (en) 1976-02-20 1977-08-25 Hitachi Ltd Lateral feeder
US4343240A (en) * 1980-03-11 1982-08-10 Vital Kogyo Kabushiki Kaisha Trolley
WO1983001435A1 (en) 1981-10-23 1983-04-28 Leusden Jacobus Hendrikus Van Travelling trolley
GB2128566A (en) * 1982-09-18 1984-05-02 Mills John A trolley
DE3418800C1 (de) * 1984-05-19 1985-08-29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Fahrwerk
DE8715497U1 (ko) 1987-11-23 1988-02-18 Ing. Zasche Foerdertechnik Gmbh, 8860 Noerdlingen, De
DE9000600U1 (ko) * 1990-01-20 1990-03-01 Heinrich De Fries Gmbh, 4000 Duesseldorf, De
DE19629785C1 (de) 1996-07-24 1998-05-07 Stahl R Foerdertech Gmbh In der Breite stufenlos verstellbares Katzfahrwerk
DE102004009062B4 (de) 2004-02-23 2006-02-23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Fahrwerk
US7467723B2 (en) * 2005-03-18 2008-12-23 Zaguroli Jr James Electric motor driven traversing balancer hoist
ES2308882B1 (es) * 2006-03-06 2009-11-27 Maersk España S.A. Sistema y procedimiento automatico para guiado, retencion y ajuste de cables de acero en gru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83189B2 (en) 2014-07-22
CN102066230B (zh) 2013-02-13
US20110089129A1 (en) 2011-04-21
WO2009156587A1 (en) 2009-12-30
BRPI0914596A2 (pt) 2015-12-15
FI122067B (fi) 2011-08-15
RU2011101941A (ru) 2012-07-27
RU2475444C2 (ru) 2013-02-20
EP2303752B1 (en) 2012-11-28
JP5518057B2 (ja) 2014-06-11
EP2303752A4 (en) 2012-01-25
EP2303752A1 (en) 2011-04-06
KR101539716B1 (ko) 2015-07-27
FI20085638A0 (fi) 2008-06-25
CN102066230A (zh) 2011-05-18
JP2011525882A (ja) 2011-09-29
FI20085638A (fi) 200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7725A (ko) 호이스트 결합체
US20080272072A1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dishwasher rack and associated method
US9915558B2 (en) Parallelogram linkage structure for a scale
TWI555918B (zh) 安裝裝置
JP2014502586A (ja) 調整可能なキャリッジを持つ吊上装置
DE602005000018D1 (de) Lagersystem und Komponenten dafür
RU2572276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балку ходового механизма и установленный на ней съемный блок ходового колеса,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да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2367807B1 (ko) 와이어 로프 호이스트를 위한 저-구조 트롤리
ITMI20090175U1 (it) Veicolo
US431953A (en) Stove-truck
KR101375258B1 (ko) 트롤리 전도 방지 장치
DE20100902U1 (de) Armlehne mit beweglicher Armauflage, insbesondere für Fahrzeuge
JP2004026506A (ja) 門型クレーン
KR101878662B1 (ko)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
CN110510007A (zh) 货车及车体防护栏
KR100284623B1 (ko) 리프터
CN110397283A (zh) 抹平装置
RU2521675C1 (ru) Кронштейн для профилей навесных фасадных систем
CN218467029U (zh) 一种预制箱梁混凝土浇筑平台
JP4672453B2 (ja) 遊技機の外枠
JP2018095421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
SE526032C2 (sv) Lyftanordning, i synnerhet en lyftanordning för en takbox
KR200473256Y1 (ko) 높이조절식 조립선반
JPS6254752B2 (ko)
BE1020510A3 (nl) Verticaal liftsyste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