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623B1 - 리프터 - Google Patents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623B1
KR100284623B1 KR1019980059267A KR19980059267A KR100284623B1 KR 100284623 B1 KR100284623 B1 KR 100284623B1 KR 1019980059267 A KR1019980059267 A KR 1019980059267A KR 19980059267 A KR19980059267 A KR 19980059267A KR 100284623 B1 KR100284623 B1 KR 100284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ograph
link
workbench
slider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2969A (ko
Inventor
전인택
이덕형
Original Assignee
권상문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상문, 삼성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상문
Priority to KR1019980059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623B1/ko
Publication of KR2000004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2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driven by screw or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목적 : 본 발명은 작업대를 지지하는 링크의 하중 지지점이 직선상으로 이동되게 하여 작업대가 승강 중에 요동되는 일이 없게 하려는 것이다.
구성 : 본 발명은 다수의 링크를 교차 배열하여 X자상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통상의 팬터 그래프를 작업대와 하측 프레임 사이로 연계시켜서 상기 작업대가 하측 프레임 상에서 승강 연동되게 한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팬터 그래프(22)의 상 하측에서 상기 작업대(28)와 하측 프레임(20)으로 연결된 상 하측 링크(24)의 고정단(24f)(24d)에 대하여 반대쪽 가동단(24g)(24e)이 각각 안내부재(26b)(26a)를 타고 직선 이동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팬터그래프(22)의 신축 연동을 위하여 상기 작업대(28)의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스크루(30)를 타고 승강 추진되는 슬라이더(32)로 상기 상측 링크(24)의 외측 힌지점(24a)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32)의 승강에 의해 상기 팬터 그래프(22)가 신축 작동되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효과 : 본 발명은 작업대의 내부에 배치된 스크루를 타고 슬라이더가 승강 이동하는 것에 의해 팬터 그래프가 신축 연동되고, 이 때 상 하측 링크의 가동단은 안내부재를 타고 직선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승하는 도중에 작업대가 요동되는 일이 없어 안정성이 뛰어나다.

Description

리프터
본 발명은 작업용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정된 상태로 작업대를 상승시켜 줄 수 있는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리프터는 작업장에서 중량물이나 작업 도구 또는 재료를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로 공급하거나 하적장에서 물품의 적치 작업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리프터는 도 7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링크(2) 중간을 교차시키면서 축 연결하여 X자상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된 팬터 그래프(4)를, 하측 프레임(6)과 상측 작업대(8) 사이로 설치하되, 그 상 하부 일단을 상기 하측 프레임(6)과 상측 작업대(8)의 상 하면에 각각 고정시키고, 반대측 타단은 자유단으로 하여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팬터 그래프(4)를 구성하는 링크(2) 중의 하나를 유압 수단(10)으로 연동시켜 신축되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유압 수단은 작업자가 펌핑시키는 수동식과 전동모터를 이용한 전동식이 적용되고 있고, 전동식은 프레임에 배터리 또는 엔진을 탑재해야 하는 관계로 무거워져서 주로 대형 리프터에만 적용된다.
한편, 팬터 그래프를 갖춘 리프터는 높은 장소까지 플레이트를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상기 팬터 그래프가 신장 될 때 자유단이 하측 프레임과 상측 작업대의 상 하면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측 작업대의지지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단점이 있어서 승강 높이를 어느 한도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없게 되고, 또한 높이가 높아지게 되면 무게 중심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불안정하게 되는 단점도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하측 프레임의 넓이를 불필요하게 확장시켜야 했으므로 중량이 무거워지고, 또 재료의 낭비와 공간의 점유율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98-46579호를 통해 개선된 구조의 리프터를 제안한 바 있다.
그렇지만 개선된 리프터에 있어서 야기되고 있는 문제점은 밸런스 링크의 폭이 좁혀질 때에 하중 지지점이 불안정하게 이동되어 작업대가 수평 방향으로 요동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런스 링크의 하중 지지점이 직선상으로 이동되게 하여 작업대가 승강 중에 요동되는 일이 없게 한 리프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링크를 교차 배열하여 X자상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통상의 팬터 그래프를 작업대와 하측 프레임 사이로 연계시켜서 상기 작업대가 하측 프레임 상에서 승강 연동되게 한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팬터 그래프의 상 하측에서 상기 작업대와 하측 프레임으로 연결된 상 하측 링크의 고정단에 대하여 반대쪽 가동단이 각각 안내부재를 타고 직선 이동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팬터그래프의 신축 연동을 위하여 상기 작업대의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스크루를 타고 승강 추진되는 슬라이더로 상기 상측 링크의 외측 힌지점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승강에 의해 상기 팬터 그래프가 신축 작동되게 한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 상측 링크의 가동단에는 상기 슬라이더에서 연장된 평행 링크가 병렬 연결되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통해 전달되는 토크를 분산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스크루를 구동시키는 전자 브레이크 달린 모터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장 케이블은 각 링크의 중간 힌지점 마다 고정 장착시켜서 부설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작업대의 내부에 배치된 스크루를 타고 슬라이더가 승강 이동하는 것에 의해 팬터 그래프가 신축 연동되는 것이고, 이 때 링크의 가동단은 안내부재를 타고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므로 작업대는 상승하는 도중에 조금도 요동되지 않아 안정성이 뛰어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전개 상태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안내부재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첩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리프터에 있어서 전장 케이블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화살표 Ⅴ - Ⅴ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화살표 Ⅵ - Ⅵ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리프터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하측 프레임 22 : 팬터 그래프
24 : 링크 24a, 24b : 외측 힌지점
24c : 중간 힌지점 24d, 24f : 고정단
24e, 24g : 가동단 26a, 26b : 안내부재
28 : 작업대 30 : 스크루
32 : 슬라이더 34 : 전자 브레이크 달린 모터
40 : 평행 링크 42 : 캐스터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전개 상태로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하측 프레임(20)의 상면에는 팬터 그래프(22)가 설치되어 있다. 팬터 그래프(22)는 다수의 링크(24)를 X자상으로 교차 배열하여 나타나는 2개소의 외측 힌지점(24a)(24b)과 중간 힌지점(24c)을 핀으로 축 연결시켜 연속되게 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여기서 하측에 위치하는 링크(24)의 어느 한쪽은 하측 프레임(20)의 상면 소정 개소에 부동상으로 연결되는 고정단(24d)으로 되고, 반대측은 위치 이동 가능한 가동단(24e)으로 되어 있으며, 이 가동단(24e)은 다시 하측 프레임(2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안내부재(26a)를 타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팬터그래프(22)의 상측에 위치하는 링크(24)도 한쪽은 작업대(28)의 내부 소정 위치로 연결되는 고정단(24f)으로 되고, 반대측은 상기 작업대(28)의 내부에 고정 배치된 안내부재(26b)를 타고 슬라이드 이동되는 가동단(24g)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된 팬터 그래프(22)가 원만하게 신축 연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작업대(28)의 내부에는 스크루(30)를 수직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이 스크루(30)를 타고 슬라이더(32)가 승강 추진할 수 있게 배치시켜 놓고 있으며, 이 슬라이더(32)에는 팬터 그래프(22)의 상측 링크(24) 중에서 가동단(24g)과 연결되는 링크(24)의 외측 힌지점(24a)을 연결하여 상기 슬라이더(32)의 승강 이동에 팬터 그래프(22)가 연동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스크루(32)는 전자 브레이크 달린 모터(34)로부터 벨트(36)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구동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안내부재(26a)(26)b)에 링크(24)의 가동단(24e)(24g)이 연계된 구조를 나타내는 발췌 사시도이며, 설명의 편의상 하측 프레임(20)에 설치된 안내부재(26a)를 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안내부재(26a)(26b)는 이 실시예에서 T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고, 여기에 계합되어 슬라이드 되는 가동단(24e)(24g)은 상기 T자형의 단면에 일치하는 내부 공간을 가짐으로써 상호 견고하게 연결된다. 또한, 안내부재(26a)(26b) 상에서 가동단(24e)(24g)의 스트로크는 스톱퍼(37) 등에 의해 한정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팬터 그래프(22)에서 상측 링크(24)의 가동단(24g) 측에는 별도의 평행 링크(40)가 연결되어서 슬라이더(32)로 이어지게 되어 있다.
이 평행 링크(40)는 슬라이더(32)가 스크루(30)를 타고 승강 추진될 때에 일으키는 토크를 분산시켜서 상측 링크(24)로 전달되는 토크를 감소시키는 작용과, 상측 가동단(24g)이 안내부재(26b)를 타고 슬라이드 이동될 때에 일정한 궤적에 따라 흔들림 없이 이동되도록 제어하여 편마모 등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작용을 겸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은 슬라이더(32)가 스크루(30)를 타고 상방으로 추진되었을 때에 도 3의 도시와 같이 팬터 그래프(22)는 접혀져서 작업대(28)가 하측 프레임(20)에 근접하여 위치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도 1과 도 3을 통해 절첩되는 본 발명의 리프터에서 전자 브레이크 달린 모터(34)의 전기적 제어를 위하여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팬터 그래프(22)의 측방으로 전장 케이블(36)이 부설된다.
전장 케이블(36)은 각 링크(24)의 외측 힌지점(24a)(24b)을 번갈아 우회하면서 연장되고 중간 힌지점(24c) 마다 고정되어서 대략 S자상으로 전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장 케이블(36)이 중간 힌지점(24c)에 고정되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링크(24)의 외측 힌지점(24a)(24b)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링크(24)가 상호 겹쳐지는 부분에서 스터드 볼트가 한쪽 링크(24)를 관통하여 다른쪽 링크(24)에 나사 맞춤되는 것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로 되고, 상기 스터드 볼트에 관통된 한쪽 링크(24)는 베어링 등을 개재하여 미끄럼 운동할 수 있게 축 연결되어 있다.
한편, 링크(24)의 중간 힌지점(24c)도 역시 도 6의 도시와 같이 링크(24)가 상호 겹쳐지는 부분에서 스터드 볼트가 한쪽 링크(24)를 관통하여 다른쪽 링크(24)에 나사 맞춤되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스터드 볼트에 관통된 한쪽 링크(24)는 베어링 등을 개재하여 미끄럼 운동할 수 있게 축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양자는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팬터 그래프(22)가 신축할 때에 외측 힌지점(24a)(24b)이 중간 힌지점(24c)에 비해 큰 원주각으로 선회하기 때문에 전장 케이블(36)은 중간 힌지점(24c)으로 고정시켜 두고 번갈아 외측 케이블 힌지점(24a)(24b)으로 고정하는 블래킷(38a)을 두는 것이 좋다.
이 실시예에서 전장 케이블(36)은 중간 힌지점(24c)에 부착된 블래킷(38)과 외측 힌지점(24a)(24b)에 부착된 블래킷(38a)에 의존하여 부설되어 있다.
도 1의 미설명 부호 42는 하측 프레임(20)에 장착된 캐스터를 나타낸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 장치는 전자 브레이크 달린 모터(34)의 정역 회전에 따라 연동하는 상기 스크루(30)의 정역 회전을 통해 팬터 그래프(22)의 신축 작용이 나타난다.
물론, 본 발명에 관련된 장치에서 팬터 그래프(22)의 신축에 의한 작업대(28)의 승강은 종래의 리프터와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본 발명 장치에서는 팬터 그래프(22)가 동작할 때에 링크(24)의 하측 가동단(24e)과 상측 가동단(24g)이 각각 안내부재(26a)(26b)를 타고 슬라이드 됨에 따라 상기 팬터 그래프(22)는 조금도 흔들림이 없이 신축 작용을 행하게 되므로 작업대(28)가 승강 중에 요동되는 일이 없다.
또 상측 링크(24) 중에서 슬라이더(32)가 작동할 때에 가동단(24g)으로 가해지는 토크는 평행 링크(40)에 의해 분산됨으로써 가동단(24g)의 슬라이드 이동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게 됨과 아울러 상기 평행 링크(40)는 가동단(24g)이 일정한 자세로 견인되도록 작용하여 상기 안내부재(26b)와 가동단(24g) 사이의 편마모가 생기지 않게 작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작업대의 내부에 배치된 스크루를 타고 슬라이더가 승강 추진됨에 따라 팬터 그래프가 신축 연동됨과 동시에 이 팬터 그래프를 구성하는 링크의 상 하측 가동단이 안내부재를 타고 슬라이드 이동되게 한 것이므로 작업대가 승강 하는 도중에 요동되는 일이 없어 안정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리프터는 고소 작업에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예시한 작업대에 용접 로봇 등을 탑재시켜서 조선 현장에서의 선체 용접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Claims (3)

  1. 다수의 링크를 교차 배열하여 X자상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통상의 팬터 그래프를 작업대와 하측 프레임 사이로 연계시켜서 상기 작업대가 하측 프레임 상에서 승강 연동되게 한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팬터 그래프(22)의 상 하측에서 상기 작업대(28)와 하측 프레임(20)으로 연결된 상 하측 링크(24)의 고정단(24f)(24d)에 대하여 반대쪽 가동단(24g)(24e)이 각각 안내부재(26b)(26a)를 타고 직선 이동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팬터그래프(22)의 신축 연동을 위하여 상기 작업대(28)의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스크루(30)를 타고 승강 추진되는 슬라이더(32)로 상기 상측 링크(24)의 외측 힌지점(24a)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32)의 승강에 의해 상기 팬터 그래프(22)가 신축 작동되게 한 리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링크(24)의 가동단(24g)에는 상기 슬라이더(32)에서 연장된 평행 링크(40)가 병렬 연결되어서 상기 슬라이더(32)를 통해 전달되는 토크를 분산시키는 구성으로 된 리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30)를 구동시키는 전자 브레이크 달린 모터(34)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장 케이블(36)이 각 링크(24)의 중간 힌지점(24c)에 고정된 블래킷(38)과 외측 힌지점(24a)(24b)에 고정된 블래킷(38a)을 따라 장착되게 한 구성의 리프터.
KR1019980059267A 1998-12-28 1998-12-28 리프터 KR100284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267A KR100284623B1 (ko) 1998-12-28 1998-12-28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267A KR100284623B1 (ko) 1998-12-28 1998-12-28 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969A KR20000042969A (ko) 2000-07-15
KR100284623B1 true KR100284623B1 (ko) 2001-04-02

Family

ID=1956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267A KR100284623B1 (ko) 1998-12-28 1998-12-28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337B1 (ko) * 2005-10-05 2007-07-06 진명희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자동개폐장치
KR101373026B1 (ko) * 2013-06-25 2014-03-13 세진산업 (주) 착암장치
CN110153787B (zh) * 2019-07-10 2024-02-02 柳州铁道职业技术学院 一种数控机床的防护装置
CN115021144B (zh) * 2022-06-06 2023-08-11 国网河南省电力公司邓州市供电公司 一种电力检修用电缆举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969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4626B2 (en) Fork carriage apparatus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CN105523482B (zh) 板式道床翻转装置
US3469712A (en) Telescopic boom crane
KR20110093701A (ko) 작업 기계
WO2010098232A1 (ja) 昇降機構及び医用寝台装置
DE69927070T2 (de) Lateraler Ausleger für bewegliche Arbeitshebebühne mit vertikalem Mast
EP2468677B1 (en) Stacker crane
KR20150041192A (ko) 스태커 크레인
KR20140031578A (ko) 작업용 이동대차
KR20100009937U (ko) 신축 컨베이어
EP0608487B1 (en) Stacker crane
KR100284623B1 (ko) 리프터
US6379104B1 (en) Single side entry container lifting device
CN109809329B (zh) 一种叉式起重机
US6364601B1 (en) Straddle type container lifting device
JP5118408B2 (ja) 荷台の幌装置
CN202542723U (zh) 操纵室调节机构和工程机械
CN1608968A (zh) 起重机
ITMI20090175U1 (it) Veicolo
KR100196673B1 (ko) 피더에 있어서의 피드아암 구동구조
JP6814471B2 (ja) 組立式クレーン
JP5642412B2 (ja) 平面位置アジャスト吊り治具
CN218376418U (zh) 臂架操作平台
KR100557392B1 (ko) 리프터
JP7239892B2 (ja) フォーク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