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662B1 -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662B1
KR101878662B1 KR1020160119977A KR20160119977A KR101878662B1 KR 101878662 B1 KR101878662 B1 KR 101878662B1 KR 1020160119977 A KR1020160119977 A KR 1020160119977A KR 20160119977 A KR20160119977 A KR 20160119977A KR 101878662 B1 KR101878662 B1 KR 101878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ar
top plate
rack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1405A (ko
Inventor
권익성
Original Assignee
삼중테크 주식회사
윤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중테크 주식회사, 윤상봉 filed Critical 삼중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9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6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31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ar-gripping transf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3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horizontal direction only
    • E04H6/30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horizontal direction only using car-gripping transf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프레임(100); 상기 하부프레임(100)을 운반시키는 운반부재(200); 상기 하부프레임(100)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3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0)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탑플레이트(320)로 이루어지고,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300); 상기 한 쌍의 상부프레임(300)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00);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0)와 상기 탑플레이트(320)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바퀴를 선택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프레임(300)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탑플레이트(320)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500)를 동시에 지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탑플레이트가 받침부재의 상부를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하중으로 인해 받침부재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가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다.

Description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 {APPARATUS TO CARRY A CAR FOR PARKING FACILITY}
본 발명은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탑플레이트가 받침부재의 상부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기계식 주차설비는 기계의 움직임과 활용되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대표적으로는 승강 횡행방식, 수직순환 방식, 승강기 방식, 다층순환 방식, 평면왕복 방식,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기계식 주차설비 방식들은 공통적으로 팔레트(Pallet)라는 주차차량 받침대를 이용한다. 기본적으로는, 운전자가 기계식 주차설비에 주차하기 위해서는 기계식 주차장 내부의 바닥에 위치된 팔레트에 차량을 주차시킨 뒤 주차설비를 작동시키면, 차량이 위치된 팔레트는 주차를 위한 공간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해당 공간에 위치한 팔레트는 주차장 내부의 바닥으로 이동하여 다음 주차될 차량을 위해 대기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러한 기계식 주차설비는 팔레트로 인해 여러 가지의 단점이 존재한다. 즉, 최초 주차 차량이 팔레트에 주차를 한 뒤 다음 주차 차량이 주차되기 위해서는, 최초 주차 차량이 완전히 주차된 후에 그 자리에 위치한 팔레트가 올 때까지 대기를 해야만 하므로, 팔레트가 교체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려 주차를 하려는 다음 차량들의 대기가 길 수밖에 없다.
위와 같은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과 같이 팔레트를 이용하지 않는 주차설비용 차량이송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주차설비용 차량이송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종래의 주차설비용 차량이송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된 차량을 설정된 위치로 운송하는 하부프레임(1); 하부프레임(1)의 전방 상부에 고정 설치된 전방상부프레임(2); 차량의 앞바퀴를 승강하는 전방승강장치(3); 하부프레임(1)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되, 하부프레임(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상부프레임(4); 및 차량의 뒷바퀴를 승강하는 후방승강장치(5)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승강장치(3, 5)는, 전방상부프레임(2) 및 후방상부프레임(3)의 너비방향 양측에 각각 2개 1조로 된 1쌍으로 설치되고, 각 일단이 회전축으로 결합되며, 상기 후방상부프레임(4)의 너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승강장치(3, 5)는 전방상부프레임(2)과 후방상부프레임(4)의 일측단에 설치된 회전축(6); 회전축(6)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축(6)을 중심으로 수평상 직각회전운동하여 바퀴를 들어올리는 승강바(7); 및 승강바(7)를 움직이는 승강실린더(8)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주차설비용 차량이송장치는 승강바(7)를 지지하는 부분이 회전축(6) 부분에 불과하여 차량의 자중에 의해 승강바(7)에 처짐현상이 발생될 확률이 높고, 이 경우 승강바(7)와 승강실린더(8)의 연결부위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KR 10-0997530 B1 (2010. 11. 2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탑플레이트가 받침부재의 상부를 지지하는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을 운반시키는 운반부재;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탑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 상기 한 쌍의 상부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탑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바퀴를 선택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프레임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탑플레이트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를 동시에 지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탑플레이트가 받침부재의 상부를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하중으로 인해 받침부재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가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주차설비용 차량이송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서 탑플레이트가 제거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상부프레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상부프레임에서 탑플레이트가 분해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랙-바의 사시도
도 8은 도 6에 스프링이 부가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받침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서 탑플레이트가 제거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및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는 하부프레임(100); 하부프레임(100)을 운반시키는 운반부재(200); 하부프레임(100)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310)와, 베이스플레이트(310)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탑플레이트(320)로 이루어지고,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300); 한 쌍의 상부프레임(300)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00); 및 베이스플레이트(310)와 탑플레이트(320)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바퀴를 선택적으로 지지하고, 한 쌍의 상부프레임(300)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부프레임(100)은 차량 전체를 지지하고, 후술할 운반부재(200)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주차시스템에서 차량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하부프레임(100)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레일가이드(110); 및 한 쌍의 레일가이드(110) 사이에 설치되어 한 쌍의 레일가이드(110)를 연결시키는 연결플레이트(120)로 이루어진다.
레일가이드(11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되,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이 구비되어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연결플레이트(120)는 한 쌍의 레일가이드(110) 사이에 설치되어 레일가이드(110)를 연결시킨다.
운반부재(200)는 하부프레임(10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운반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00)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운반롤러(210); 및 운반롤러(210)를 회전시키는 운반롤러 구동모터(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운반부재(200)는 제1, 제2 보조운반롤러(214)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보조운반롤러(2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롤러(210)와 동일한 평면상에 설치되고, 하부프레임(100)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제2 보조운반롤러(2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롤러(210)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되어 하부프레임(100)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동방향에 대해 양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상부프레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및 도 6은 상부프레임에서 탑플레이트가 분해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부프레임(300)은 차량의 전륜바퀴 및 후륜바퀴 저면에 위치되어 후술할 받침부재(500)가 차량의 각 바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래에서는 전륜에 위치되는 상부프레임(30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후륜에 위치되는 상부프레임(300'), 이동부재(400') 및 받침부재(500')와 연관된 구성은 부호에 프라임 기호(')를 붙여 전륜에 위치되는 구성과 구분하여 표기한다.
상부프레임(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이 구비되어 일렬로 배치된다. 한 쌍의 상부프레임(300)은 후술할 이동부재(400)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데, 이는 차량의 축간거리에 따라 유연하게 받침부재(5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부프레임(300)은, 하부프레임(100) 상부에 위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310); 베이스플레이트(310) 상부에 설치되어 좌측 회전기어(510) 및 우측 회전기어(520)의 회전축(512, 522)과 연결되는 탑플레이트(320); 및 베이스플레이트(310)와 탑플레이트(320) 사이에 설치되어 탑플레이트(320)를 지지하는 기둥(330)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플레이트(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프레임(300)을 이루는 각종 부재들이 설치되는 베이스 역할을 한다.
탑플레이트(32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베이스플레이트(310) 상부에 설치된다.
제1 가이드바(322)와 제2 가이드바(323)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플레이트(320)의 저면에 형성된다. 제1 가이드바(322)와 제2 가이드바(323)는 후술할 랙-바(530, 54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리니어액추에이터 설치홀(324)은 탑플레이트(320)의 중심에 형성되고, 탑플레이트(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는 후술할 리니어액추에이터(550)가 설치될 시 탑플레이트(320)가 리니어액추에이터(550)를 덮는 구조가 아닌, 탑플레이트(320) 내부로 리니어액추에이터(550)의 상부가 위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탑플레이트(320)의 높이를 낮춰 차량과의 간섭을 막기 위한 구성이다.
기둥(330)은 베이스플레이트(310)와 탑플레이트(320) 사이에 설치되어 간격을 확보하는 스페이서 역할을 한다. 기둥(3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플레이트(320)의 저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할 뿐, 분리형으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롤러(340)는 상부프레임(300)이 이동될 시 하부프레임(100)에 대해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롤러(3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측면에 설치되어 하부프레임(100)의 레일가이드(110) 내에 위치된다.
이동부재(400)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300, 300')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재(400)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종래와 같이 한 쌍의 상부프레임(300, 300')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롤러의 구동으로 상부프레임(300, 300')을 이동시킴으로써 간격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400)는 두 개의 상부프레임(300, 300')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상부프레임은 고정하고 다른 하나의 상부프레임만 이동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이동부재(400)는 기본적으로 상부프레임(300, 300')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프레임(300, 30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는데, 이와 관련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7은 랙-바의 사시도 및 도 8은 스프링이 부가된 것을 도시한 상부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다.
받침부재(500)는 차량의 바퀴를 들어 차량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될 수 있는 상태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받침부재(500)는 상부프레임(300)에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상부프레임(300) 상부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한 쌍의 좌측 회전기어(510) 및 한 쌍의 우측 회전기어(520); 한 쌍의 좌측 회전기어(510) 사이와, 한 쌍의 우측 회전기어(520) 사이에 각각 맞물리도록 개재되는 좌측 랙-바(530) 및 우측 랙-바(540); 좌측 랙-바(530) 및 우측 랙-바(540)를 전·후진 시키는 리니어액추에이터(550); 및 끝단이 한 쌍의 좌측 회전기어(510) 및 한 쌍의 우측 회전기어(520)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 회전기어(510) 및 상기 우측 회전기어(520)의 회전에 따라 차량의 바퀴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두 쌍의 서포팅바(5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좌측 회전기어(5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기어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 쌍이 구비되어 도 3을 기준으로 상부프레임(300)의 베이스플레이트(310) 상부 중 좌측에 위치되고,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우측 회전기어(520)는 좌측 회전기어(510)와 동일하고, 위치상의 차이만 있다. 우측 회전기어(5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300)의 베이스플레이트(310) 상부 중 좌측 회전기어(510)의 맞은편(우측)에 위치되고,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좌측 회전기어(510)와 우측 회전기어(520)는 중심에 회전축(512, 522)이 관통 설치되어 상부프레임(30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좌측 랙-바(5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좌측 회전기어(510) 사이에 위치되고, 양측면에 랙(532)이 형성되어 한 쌍의 좌측 회전기어(510)와 맞물린다. 이에 따라 좌측 랙-바(530)가 전·후진됨으로써 좌측 회전기어(510)가 회전된다.
모터설치홈(53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랙-바(530)의 후면에 형성되어 좌측 랙-바(530)가 ㄷ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모터설치홈(534) 내부로는 후술할 리니어액추에이터(550)가 연결된다. 만약 모터설치홈(534)이 없을 경우, 후술할 리니어액추에이터(550)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제1 가이드홈(536)은 좌측 랙-바(530)의 직선 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형태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그 형상은 상부프레임(300)의 탑플레이트(320)의 제1 가이드바(322)에 대응되는 형태{제1 가이드바(322)가 삽입될 수 있도록}로 이루어지게 형성된다.
제2 가이드홈(537)은 제1 가이드홈(536)과 마찬가지로 좌측 랙-바(530)의 직선 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형태로 함몰되게 형성되되, 좌측 랙-바(530)의 길게 형성된 부분을 따라 한 쌍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제2 가이드홈(537)은 좌측 랙-바(530)가 보다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보조한다.
우측 랙-바(540)는 좌측 랙-바(53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위치상으로만 차이가 있다. 즉, 우측 랙-바(540)는 양측면에 랙(542)이 형성되어 한 쌍의 우측 회전기어(520)와 맞물린다. 이에 따라 우측 랙-바(540)가 전·후진됨으로써 우측 회전기어(520)가 회전된다.
그리고 우측 랙-바(540) 역시 좌측 랙-바(530)와 동일한 모터설치홈(544), 제1 가이드홈(546) 및 제2 가이드홈(547)이 형성되고, 동일한 기능을 한다.
리니어액추에이터(550)는 좌측 랙-바(530) 및 우측 랙-바(540)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상부 중 좌측 랙-바(530)와 우측 랙-바(540)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리니어액추에이터(550)는 탑플레이트(320)의 리니어액추에이터 설치홀(324) 내에 위치되어 탑플레이트(320)의 높이를 높이지 않으면서 리니어액추에이터(550)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서포팅바(560)는 차량을 바퀴 저면으로 파고들어 차량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서포팅바(5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회전기어(510, 520)에 고정되는 베이스봉(562); 내부로 베이스봉(562)의 타단이 삽입되는 롤러봉(564); 및 베이스봉(562)과 롤러봉(564) 사이에 개재되어 롤러봉(564)이 베이스봉(56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랙-바(530)와 우측 랙-바(540)에는 각각 한 쌍의 좌측 스프링(538) 및 한 쌍의 우측 스프링(548)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좌측 랙-바(530) 및 리니어액추에이터(550) 사이에는 인장력을 갖는 좌측 스프링(538)이 설치되고, 우측 랙-바(540) 및 리니어액추에이터(550) 사이에는 인장력을 갖는 우측 스프링(548)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서포팅바(560)가 차량을 내릴 시 좌측 바퀴과 우측 바퀴를 동시에 내릴 수 있도록 보조하는 구성이다. 가령, 리니어액추에이터(550)가 유압실린더일 경우, 유압라인을 통해 공급된 작동유가 리니어액추에이터(550) 내에서 분기되어 좌측 랙-바(530)와 우측 랙-바(540)를 각각 바깥쪽으로 밀어냄으로써 차량을 내리는데, 이 과정에서 초기 좌측과 우측에 분기되는 작동유의 압력 차이 또는 초기 리니어액추에이터(550) 내의 작동유의 잔량 차이로 인해 좌측 랙-바(530)와 우측 랙-바(540)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이동하여 한 쪽 바퀴가 먼저 지면에 닿고 다른 바퀴가 지면에 닿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좌측 스프링(538)과 우측 스프링(548)은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좌측 랙-바(530)와 우측 랙-바(540)를 안쪽으로 당김으로써 둘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 시점 동안 작동유가 리니어액추에이터(550) 내에 충분히 공급되어 분기되는 작동유의 압력이 충분히 같아지면, 리니어액추에이터(550)가 좌측 스프링(538)과 우측 스프링(548)의 당기는 힘보다 커지면서 좌측 랙-바(530)와 우측 랙-바(540)가 동시에 바깥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차량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를 동시에 지면에 닿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받침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의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는, 차량이 하부프레임(100)에 저면에 주차될 경우, 이동부재(400)에 의해 이동 가능한 상부프레임(300)이 이동되어 차량의 바퀴 저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리니어액추에이터(550)의 작동으로 좌측 랙-바(530)와 우측 랙-바(540)가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되면, 좌측 회전기어(510)와 우측 회전기어(520)가 회전됨으로써 서포팅바(560)가 차량의 바퀴를 들어올린다. 이때 롤러봉(564)이 베이스봉(562)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퀴와의 마찰이 있더라도 자연스럽게 들어올릴 수 있다. 들어올린 차량은 운반부재(200)의 작동에 의해 하부프레임(100)이 이동됨으로써 주차될 공간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포팅바(560)를 회전시키는 구조가,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랙-바(530, 540)와 이에 맞물리는 회전기어(510, 520)로 이루어짐으로써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고, 동력전달 과정이 단순화되어 동력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회전기어(510, 520)가 회전축(512, 522)을 통해 상부프레임(300)의 베이스플레이트(310)와 탑플레이트(320)에 의해 지지되고, 동시에 회전기어(510, 520)의 측면이 랙-바(530, 54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서포팅바(560)가 차량의 하중에 의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탑플레이트(320)가 네 개의 회전기어(510, 520)를 동시에 지지하는 구조로 인해 위와 같은 처짐 방지가 보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부프레임(100)이 제거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동 기능을 담당했던 하부프레임(100)과 운반부재(200)가 제거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상부프레임(300, 300')이 구비되고, 각각에 설치된 이동부재(400, 400')가 운반부재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부재(400, 4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으로 연결된 이동롤러(410, 410')와, 축을 회전시켜 이동롤러(410, 410')를 회전시키는 이동롤러 구동모터(420, 420')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400, 400')는 각각의 상부프레임(300, 300')을 이동시키고, 한 쌍의 상부프레임(300, 300')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한 쌍의 상부프레임(300, 300') 사이에는 링크가 설치되어 한 쌍의 상부프레임(300, 300')의 간격의 범위를 제한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하부프레임(100)이 제거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반장치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구조가 간소화되어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받침부재(500)는 동일하게 설치되어 구동한다.
100: 하부프레임 110: 레일가이드
120: 연결플레이트 200: 운반부재
210: 운반롤러 212: 제1 보조운반롤러
214: 제2 보조운반롤러 220: 운반롤러 구동모터
300: 상부프레임 310: 베이스플레이트
320: 탑플레이트 322: 제1 가이드바
324: 리니어액추에이터 설치홀 330: 기둥
340: 롤러 400: 이동부재
410: 이동롤러 420: 이동롤러 구동모터
500: 받침부재 510: 좌측 회전기어
512: 좌측 회전기어의 회전축 520: 우측 회전기어
522: 우측 회전기어의 회전축 530: 좌측 랙-바
532: 랙 534: 모터설치홈
536: 제1 가이드홈 540: 우측 랙-바
532: 랙 534: 모터설치홈
536: 제1 가이드홈 550: 리니어액추에이터
560: 서포팅바 562: 베이스봉
564: 롤러봉

Claims (7)

  1. 하부프레임(100);
    상기 하부프레임(100)을 운반시키는 운반부재(200);
    상기 하부프레임(100)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3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0)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탑플레이트(320)로 이루어지고,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300);
    상기 한 쌍의 상부프레임(300)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00)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0)와 상기 탑플레이트(320)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바퀴를 선택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프레임(300)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탑플레이트(320)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500)를 동시에 지지하며,
    상기 받침부재(50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0)와 상기 탑플레이트(320) 사이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한 쌍의 좌측 회전기어(510) 및 한 쌍의 우측 회전기어(520); 상기 한 쌍의 좌측 회전기어(510) 사이와, 상기 한 쌍의 우측 회전기어(520) 사이에 각각 맞물리도록 개재되는 좌측 랙-바(530) 및 우측 랙-바(540); 상기 좌측 랙-바(530) 및 상기 우측 랙-바(540)를 전·후진 시키는 리니어액추에이터(550); 끝단이 상기 한 쌍의 좌측 회전기어(510) 및 상기 한 쌍의 우측 회전기어(520)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 회전기어(510) 및 상기 우측 회전기어(520)의 회전에 따라 차량의 바퀴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두 쌍의 서포팅바(560)를 포함하며,
    상기 운반부재(200)는, 상기 하부프레임(100)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되는 운반롤러(210); 상기 운반롤러(210)를 회전시키는 운반롤러 구동모터(220); 상기 운반롤러(210)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00)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동방향에 대해 양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보조운반롤러(2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측 랙-바(530) 및 상기 우측 랙-바(540)에는 제1 가이드홈(536, 546) 및 제2 가이드홈(537, 547)이 형성되고, 상기 탑플레이트(320)의 저면에는 상기 제1·2 가이드홈(536, 546, 537, 547)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바(322) 및 제2 가이드바(323)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측 랙-바(530) 및 상기 우측 랙-바(540)의 직선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하며, 상기 탑플레이트(320)에는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550)가 설치되는 리니어액추에이터 설치홀(324)이 형성되며,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550)는 유압실린더이며, 상기 좌측 랙-바(530) 및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550) 사이에는 인장력을 갖는 좌측 스프링(538)이 설치되고, 상기 우측 랙-바(540) 및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550) 사이에는 인장력을 갖는 우측 스프링(548)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00)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레일가이드(110) 및
    상기 한 쌍의 레일가이드(1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가이드(110)를 연결시키는 연결플레이트(1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바(560)는,
    일단이 상기 좌우측 회전기어(510, 520)에 고정되는 베이스봉(562);
    내부로 상기 베이스봉(562)의 타단이 삽입되는 롤러봉(564) 및
    상기 베이스봉(562)과 상기 롤러봉(56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롤러봉(564)이 상기 베이스봉(56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
KR1020160119977A 2016-09-20 2016-09-20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 KR101878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977A KR101878662B1 (ko) 2016-09-20 2016-09-20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977A KR101878662B1 (ko) 2016-09-20 2016-09-20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405A KR20180031405A (ko) 2018-03-28
KR101878662B1 true KR101878662B1 (ko) 2018-08-17

Family

ID=6190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977A KR101878662B1 (ko) 2016-09-20 2016-09-20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8468B (zh) * 2018-05-16 2024-01-30 林荣刚 一种夹持式全向自动搬运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553B1 (ko) * 2005-05-09 2006-09-13 주식회사 엠피시스템 주차 시스템의 차량 이송 장치
KR101387077B1 (ko) * 2012-12-27 2014-04-30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무파레트 타입의 주차 시스템
JP2015040405A (ja) * 2013-08-21 2015-03-02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タイヤ挟持装置とそれを備えた自動車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530B1 (ko) 2010-01-14 2010-12-01 삼중테크 주식회사 주차설비용 차량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이송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553B1 (ko) * 2005-05-09 2006-09-13 주식회사 엠피시스템 주차 시스템의 차량 이송 장치
KR101387077B1 (ko) * 2012-12-27 2014-04-30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무파레트 타입의 주차 시스템
JP2015040405A (ja) * 2013-08-21 2015-03-02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タイヤ挟持装置とそれを備えた自動車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405A (ko) 2018-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661B1 (ko)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
EP1783068B1 (en) Conveyance apparatus with lifting/lowering load carrying platform
KR101878663B1 (ko)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
JP6038513B2 (ja) フォーク式駐車装置リニューアル方法およびフォーク式駐車装置
KR20090046890A (ko) 스태커 크레인
JP2008174369A (ja) 搬送用走行体の上下経路切換装置
KR20160103913A (ko) 자동창고
CN102311060B (zh) 升降装置
JP4549286B2 (ja) 搬送台車
CA2200827A1 (en) Storage and retrieval machine with pre-tensioned shuttle guides
KR101878662B1 (ko) 주차설비용 차량운반장치
KR102282065B1 (ko) 수직반송 시스템
RU2004119990A (ru) Грузо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держки груза на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варианты)
JP5315718B2 (ja)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JP5362417B2 (ja) パンタグラフ式リフタ
JP2009057185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とそのマストの軽量化方法
JP6006100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5908720B2 (ja) 駐車装置用リフト装置
JP5296841B2 (ja) 昇降横行式駐車装置
JP6688758B2 (ja) 機械駐車装置リプレース方法およびリプレース型機械駐車装置
JP3591073B2 (ja) 多段フォーク装置
JP2008050882A (ja) 箱形循環式駐車装置
KR100856302B1 (ko)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
CN110040601A (zh) 用于双层电梯的h形框架
CN217625867U (zh) 一种物料箱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