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5258A - 도금용 점착시트 - Google Patents

도금용 점착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5258A
KR20110025258A KR1020090083241A KR20090083241A KR20110025258A KR 20110025258 A KR20110025258 A KR 20110025258A KR 1020090083241 A KR1020090083241 A KR 1020090083241A KR 20090083241 A KR20090083241 A KR 20090083241A KR 20110025258 A KR20110025258 A KR 20110025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adhesive sheet
energy ray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상준
최성환
심창훈
문기정
전해상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3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5258A/ko
Priority to SG200906731-5A priority patent/SG169262A1/en
Priority to JP2009238644A priority patent/JP2011057956A/ja
Priority to TW098135410A priority patent/TW201109399A/zh
Priority to CN2009102234968A priority patent/CN102010676A/zh
Publication of KR20110025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a masking tape for pain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용 점착시트(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QFN 공정 중, 리드프레임 한 면을 도금할 시에 다른 한 면을 도금액의 침투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박리되는 점착시트로서, 도금 시 높은 내화학성을 확보할 수 있고, 부품의 높은 치수안정성을 얻을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박리 시 부착표면에 잔류물이 점착되지 않고 박리가 가능하며, 신뢰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도금용 점착시트(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점착시트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된 점착체층으로서, 열경화성 점착수지 및 열경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도포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착체 조성물은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와 에너지선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 점착체층, 열경화성,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개시제

Description

도금용 점착시트{ADHESIVE SHEET FOR PLATING}
본 발명은 도금용 점착시트(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QFN 공정 중, 리드프레임 한 면을 도금할 시에 다른 한 면을 도금액의 침투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박리되는 점착시트로서, 도금 시 높은 내화학성을 확보할 수 있고, 부품의 높은 치수안정성을 얻을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박리 시 부착표면에 잔류물이 점착되지 않고 박리가 가능하며, 신뢰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도금용 점착시트(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QFN(Quad Flat No Lead package)반도체는 리드단자가 패키지 내부에 장착된 형태의 반도체 제조기술 방법의 한 형태로 일반적으로 다이어태치, 와이어본딩, 에폭시몰딩 등의 공정을 거친다. 여기서 새롭게 추가된 도금공정은 에폭시몰딩 공정에서 리드프레임과 에폭시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실시하는 전(前)공정이며, 이 때 사용되는 도금용 점착시트는 한 면의 리드프레임을 도금할 시 반대 면의 리드프레임을 도금액의 침투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박리되는 용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도금용 점착시트는 도금 공정에서 도금액 침투를 막기 위해 점착제층의 응집성 및 내화학성이 요구되며 공정 후, 박리시에는 리드프레임에 잔류물이 없이 양호하게 박리되어야 하는 등의 공정특성을 만족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경화에 의한 점착제층의 응집성 및 추가적으로는 에너지선 조사를 통해 가교반응을 유도할 수 있어 도금 시 높은 내화학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도금용 점착시트(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의 높은 치수안정성을 얻을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박리시 부착표면에 잔류물이 점착되지 않고 박리가 가능하며, 신뢰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도금용 점착시트(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된 점착체층으로서, 열경화성 점착수지 및 열경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도포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점착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점착체 조성물은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와 에너지선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는 폴리에스터,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 트리아세틸 셀롤로스,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및 폴 리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탄, 크롬, 망간, 철, 니켈, 아연 또는 주석으로 이루어진 박, 합금박 및 도금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경화성 점착수지의 질량평균분자량은 40,000 내지 3,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경화제는 설계목적에 따라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 사용하고, 상기 열경화제의 사용량은 상기 열경화성 점착수지 100중량 대비 1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수지는 설계목적에 따라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 사용하고, 상기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의 사용량은 상기 열경화성 아크릴계 점착수지 100중량 대비 1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너지선 개시제는 설계목적에 따라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 사용하고, 상기 에너지선 개시제의 사용량은 상기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 100중량 대비 1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금용 점착시트는 상기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의 함량 조절을 통해 점착층의 내부 응집성 및 내화학성과 박리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금용 점착시트는 동박에 적층된 후 약 130℃에서 10분 간 가열한 다음 상온에서 30분간 방치된 상태에서 150 g·f/2.54㎝폭 내지 480 g·f/2.54㎝폭의 점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금 시 높은 내화학성을 확보할 수 있고, 부품의 높은 치수안정성을 얻을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박리 시 부착표면에 잔류물이 점착되지 않고 박리가 가능하며, 신뢰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등의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점착시트(테이프)는 QFN 공정 중, 리드프레임 한 면을 도금할 시에 다른 한 면을 도금액의 침투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박리되는 점착시트로서, 기재(1)와 상기 기재(1)의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된 점착체층(2)으로서, 열경화성 점착수지 및 열경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도포된 점착제층(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착체 조성물은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와 에너지선 개시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점착시트에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징은, 일반적인 실리콘계 점착수지는 점착력이 우수한 특성이 있으나 점착력을 조절하기가 어렵고 피착제에 실리콘잔류물로 인한 오염이 발생하기가 쉽기 때문에, 점착수지로 아크릴계를 사용하고 열경화제를 사용하여 점착층의 응집력을 높이거나, 추가적으로 에너지선 올리고머를 에너지선으로 조사하여 가교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내열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독창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는 것이다.
상기 열경화성 아크릴계 점착수지는 '상호침투에 의한 가교구조'(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라고 알려져 있는 혼합가교구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혼합구조는 서로 다른 두 가지 경화성수지가 서로 다른 화학적 반응 메커니즘에 의해 독립적으로 가교하는 동안 상호침투에 의해 얽혀져 있는 가교구조이다. 이러한 가교구조는 수지의 응집력 및 내화학성의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실제 '상호침투에 의한 가교구조'의 활용은 에폭시 접착수지 제조방법에서도 활용되고 있는 방법이다(Epoxy Adhesive Formulation; Edward M. Petrie; 151∼152p).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상호침투에 의한 혼합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에너지선 경화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이는 종래의 기술과는 차별화된 시트제조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재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점착시트의 기재는 폴리에스터,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 트리아세틸 셀롤로스,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필름이 될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기재로서 (플라스틱)필름 대신 금속박을 사 용할 수 있는데,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탄, 크롬, 망간, 철, 니켈, 아연, 주석 등으로 이루어진 박, 합금박 및 도금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박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점착시트의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열경화성 점착수지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탈)아크릴레이트, 아이소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도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고, 점착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이들 열경화성 아크릴계 점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40,000 내지 3,000,000 정도가 바람직하며, 700,000 내지 1,200,000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열경화성 아크릴계 점착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40,000 미만일 경우에는 기본적인 내화학성이 부여받을 수 없으며, 3,000,000을 초과하면 분자량이 크므로 경화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을 열경화제와 함께 사용하여, 기본적으로 응집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점착 잔류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점착시트의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는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및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그리고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아크릴계 이외에 분자 말단에 알릴 그룹을 갖는 티올 부가형 수지, 광-양이온성 중 합형 수지, 신나모일-함유 중합체, 디아조화 아미노-노볼락 수지가 있다. 또한, 고에너지선에 반응성인 중합체는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폴리비닐 실록산을 포함한다.
상기 수지들의 반응하는 관능기는 2내지 6개까지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300 내지 8,000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들은 에너지선 개시제와 함께 반응하여 점착제층에 내부 응집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내화학성 및 잔류물이 형성하지 않은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점착시트의 상기 혼합 아크릴계 점착제는 열 경화제 또는 에너지선 개시제를 포함시켜야 경화반응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화제의 예로는 아이소네이트계, 에폭시계, 아지리딘 및 킬레트계 가교제를 들 수 있다. 경화제의 사용량은 한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열경화성 아크릴계 점착수지 100중량을 기준으로 경화제 1 내지 2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아크릴계 점착제는 열경화제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적절한 점착력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선 개시제는 벤질다이메틸케탈, 하드록시싸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하이드록시 다이메틸 아세토페논, 메틸-[4메틸티오페닐]-2-모포린 프로파논, 4-벤질-4'-메틸다이페닐 설파이드, 아이소프로필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에틸-4-다이 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에틸헥실-4-다이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벤조페논, 4-메틸벤조페논, 메틸-오르쏘-벤조-벤조에이트, 메틸벤조일포메이트, 4-페닐벤 조페논, 2,4,6-트라이메틸벤조일-다이페닐 포스핀, 2-하이드록시-1,2-다이페닐 에타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에너지선 개시제는 점착제층의 코팅·건조 온도 및 사용하는 에너지선 조사조건에 맞추어 선택할 수 있고, 에너지선 개시제의 사용량은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 100중량 기준으로 약 1 내지 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또한, 에너지선 개시제는 설계 목적에 따라 1종에서 2종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구성방법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열경화성 아크릴계 점착수지와 열경화제 성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추가적으로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와 에너지선 개시제 성분을 포함한 점착제 조성물을 용매와 함께 제조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설계목적에 따른 점도로 제조하여, 이것을 직접 기재에 코팅 및 건조 공정을 통해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캐스팅법과 상기 점착제를 이형필름 위에 코팅 및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기재에 라미네이션을 한 뒤, 전사시키는 전사법을 활용하여 제조하는 방법들이 있다. 이때, 점착제층의 코팅 두께는 5 내지 25㎛이내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 ㎛ 내지 10 ㎛이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서 상기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의 사용량(고형분 기준)은 상기 열경화성 아크릴계 점착수지 100중량 대비 1 내지 20중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 함유량이 필요이상으로 첨가되어 있을 때는 상호침투에 의한 가교구조가 형성하지 못하거나 점착제층이 필요이상으로 딱딱해지는 특 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는 설계 목적에 따라 1종에서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너지선 경화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착제층의 경화방법은 가시광선, 자외선, 그리고 전자선과 같은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반응을 함으로써, 점착제층 내에 가교구조를 유도할 수 있으며, 에너지선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자외선을 활용하여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는 매우 짧은 시간에 일어나는 화학적인 반응으로 짧은 시간 동안 일정량의 광량으로 완전히 경화시켜야만 한다. 만약, 일정 이하의 광량에서 경화반응을 시킨다면, 경화반응물 중에 미 반응이 포함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일정이상의 광량으로 경화시킬 경우에는 기재필름이나 점착수지의 분해가 일어날 수도 있다. 또한 자외선은 적외선을 수반하므로, 적외선의 열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광량은 자외선 A영역을 기준으로 10∼2000 mJ/㎠이 바람직하며, 400∼1000 mJ/㎠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외선 램프는 크게 단파장(자외선B, C) 영역을 주영역으로 포함하는 수은 램프와 장파장(자외선 A)영역을 주영역으로 포함하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로 나누어질 수 있고, 두 가지 램프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각각의 램프를 사용하여 경화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광량조절은 램프 높이나 자외선의 조사시간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이외 보조적으로, 열경화성 점착수지는 숙성실 또는 오븐에서 열경화시킬 수 있다. 열경화의 온도는 25 ℃ 내지 80 ℃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40℃ 내지60 ℃정도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숙성기간 5일내지 7일이 바람직하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크릴계 점착수지(AT-5910;삼원)는 조액 전체 100중량에 대해 59.81중량을 사용하였으며, 이소시네이트계 경화제(A-20;삼원)는 0.19중량, 멜라민 계 가교제(SM-20;삼원)는 1.18중량, 그리고 초산 에틸 용매는38.82중량을 사용하여 열경화성인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내열성 기재인 폴리이미드 필름(LN100코오롱(Kolon);25 ㎛)에 6㎛로 코팅·건조하였다. 이후, 50℃에서 숙성을 통해 점착제층을 경화시켜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아크릴계 점착수지(AT-311;삼원)는 조액 전체 100중량에 대해 47.1중량을 사용하였으며, 이소시네이트계 경화제(A-20;삼원)는 1.7중량, 에너지선 경화형 올리고머인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EB280;싸이텍(Cytec))은 3중량, 자외선 개시제인 2,4,6-트라이메틸벤조일-다이페닐 포스핀(Darocur TPO; 씨바(Ciba))은 0.05중량, 하이드록시싸이클로헥실 페닐케톤 (Irgacure184; 씨바)은 0.05중량, 그리고 초산 에틸 용매는 48.1중량을 사용하여 자외선 경화성 및 열경화성인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내열성 기재인 폴리이미드 필름 (25NPI;카네카(Kaneka);25 ㎛)에 8㎛로 코팅·건조하였다. 이후, 자외선 조사(자외선 조사량 약800 mJ/㎠) 및 50℃에서 숙성을 통해 점착제층을 경화시켜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아크릴계 점착수지(AT-5910;삼원)는 조액 전체 중량 100중량에 대해 48.58중량을 사용하였으며, 이소시네이트계 경화제(A-20;삼원)는 1.62중량, 에너지선 경화형 올리고머인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EB280;싸이텍(Cytec))은 2.88중량, 에너지선 경화형 올리고머인 페닐 노볼락계 아크릴레이트(EB9656;싸이텍(Cytec))는 3.7중량, 자외선 개시제인 2,4,6-트라이메틸벤조일-다이페닐 포스핀(Darocur TPO; 씨바(Ciba))은 0.10중량, 하이드록시싸이클로헥실 페닐케톤 (Irgacure184; 씨바)은 0.09중량, 그리고 초산 에틸 용매는 43.03중량을 사용하여 자외선 경화성 및 열경화성인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내열성기재인 폴리이미드 필름 (LN100코오롱(Kolon);25 ㎛)에 6㎛로 코팅·건조하였다. 이후, 자외선 조사(자외선 조사량 약 800 mJ/㎠) 및 50℃에서 숙성을 통해 점착제층을 경화시켜 점착테이프 또는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 사용된 점착제 조성물의 성분과 그 함량을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구분 중량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열경화성 점착수지 AT5910 59.81 - 48.58
AT311 - 47.1 -
열경화제 A20 0.19 1.7 1.62
SM20 1.18 - -
에너지선 경화성 올리고머 수지 EB280 - 3 2.88
EB9656 - - 3.7
에너지선 개시제 Darocur TPO - 0.05 0.10
Irgacure 184 - 0.05 0.09
용매 초산에틸 38.82 48.1 43.03
자외선 조사량(mJ/cm2) 약800
[실험예]
(실험예 1 : 180°박리력 측정법 Ⅰ)
점착 시트나 테이프를 2.54㎝ * 15㎝(가로*세로)로 준비하고, 피착제로 사용할 동박 (미쯔이;3EC-HTE-AT)의 표면을 메틸에틸케톤이나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동박과 점착시트를 고무롤러(약 2㎏)를 사용하여, 2회 문질러 적층시킨다. 이후 즉시, 샘플을 130 ℃ 플레이트 위에 올려놓고, 그 위에 실리콘 고무를 얹어 두어 10분 동안 열을 부가시킨다. 마지막으로, 상온에서 30분 동안 보관한 뒤, 샘플들을 300㎜/min의 속도로 180° 박리력을 측정한다.
(실험예 2 : 180°박리력 측정법 Ⅱ)
점착 시트나 테이프를 2.54㎝*15㎝(가로*세로)로 준비하고, 피착제로 사용할 동박(미쯔이;3EC-HTE-AT), 스테인리스 스틸판, 그리고 유리판의 표면을 메틸에틸케톤이나 아세톤으로 세척한다. 그리고 피착제들과 점착시트를 고무롤러(약2㎏)를 사용하여, 왕복 1회 문질러 적층시키고, 각 각 피착재에 따른 샘플들을 제작한다. 이후 즉시, 상온에서 30분 동안 보관한 뒤, 샘플들을 300㎜/min의 속도로 180°박리력을 측정한다.
(실험예3 : 박리성 측정법)
상기 박리력 측정한 샘플(180°박리력 측정법Ⅰ과 Ⅱ)들의 피착제인 동박, 유리판, 그리고 스테인리스 스틸판의 표면들은 시각에 의존하여 표면검사를 통해 점착시트로부터 발생된 점착제 잔류물의 유·무를 검사한다. 박리 시, 점착 테이프나 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발생된 점착 잔류물을 제외한, 표면에서 발생된 잔류물이 없다면, '정상' 샘플로 간주하며, 잔류물이 발생되면 '비정상' 샘플로 판정한다.
(실험예 4 : 내화학성 측정법)
본 실험은 ASTM D4213에 의한 MEK rubbing test로 마강판(steel panel)위에 20㎛ 두께로 실시예 1, 2, 3의 점착제를 건조하였다. 이후, 자외선 조사(자외선 조사량 약 800 mJ/㎠) 및 50℃에서 숙성을 통해 점착제층을 경화시켜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이 제조된 경화 시편을 45℃에서 3일간 보관한 뒤 가제에 MEK를 묻혀 문지른다. 왕복을 1회로 하여 경화된 도막이 MEK에 용해되어 마강판이 보이기 시작하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내열성 점착시트를 피착제에 적층시켜서, 상기 180°박리력 측정법 Ⅰ과 Ⅱ에 의한 박리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기재 박리력
측정법
180°Peel 강도(g·f/2.54㎝)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고
Copper 475.45 378.56 159.43 130℃X 10min
Glass 68.45 56.98 34.35 25℃
Stainless 95.47 74.45 40.56 25℃
Copper 107.46 86.42 51.13 25℃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온처리 한 샘플들은 피착제 별로 30 내지 110 g·f/2.54㎝정도였지만, 약 130℃ 10분간 온도를 부과한 샘플의 경우, 150 내지 480 g·f/2.54㎝정도로 점착력이 상승하였다. 실시예 1에서 3까지는 에너지선 경화형 올리고머 수지 양에 따른 박리력을 비교한 것이다. 열경화성 점착수지 100중량을 대비하여 실시예 1은 사용하지 않았으며, 실시예 2는 약 6.3중량을, 실 시예 3은 약 13.5중량을 사용한 것이다. 그 결과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 함량이 높을수록 점착층의 내부 응집성이 높아져 박리력이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의 샘플들을 180°법에 의해 박리력을 측정하고 난 후의, 그 박리된 피착제인 동박, 유리판, 그리고 스테인리스 스틸판에 표면을 시각적인 방법으로, 관찰하여 박리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서 "○"는 피착 표면에 점착제 잔류물이 존재하지 않는 '정상' 샘플을 나타낸다.
[표 3]
기재 박리력
측정법
점착잔류물 유·무 (정상:○/비정상:X)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고
Copper 130℃X 10min
Glass 25℃
Stainless 25℃
Copper 25℃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샘플들의 피착 표면에는 점착제 잔류물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로써, 상기 실시예들의 박리성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130℃ 10분간, 고온 부가 샘플(박리력 측정법Ⅰ샘플)의 경우에는 내부 응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상기 실험예 4의 내화학성 측정법에 의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내화학성 측정법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100회 이상 140회 이상 250회 이상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화 시편을 균일한 힘으로 문지른 결과 실시예 1(100회 이상)에서 실시예 3(250회 이상)으로 갈수록 횟수가 증가하였다. 실시예 1은 열경화성 점착수지 100중량을 대비하여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실시예 2는 약 6.3중량을, 실시예 3은 약 13.5중량을 사용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 함량이 높을수록 점착층의 내부 응집성이 높아져 내화학성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점착시트의 점착제 조성물에서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의 사용량이 열경화성 아크릴계 점착수지 100중량 대비 1 내지 20중량의 범위일 경우 도금 시 높은 내화학성을 확보할 수 있고, 박리 시 부착표면에 잔류물이 점착되지 않고 박리가 가능하며, 신뢰성 및 작업성이 특히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황에 따른 강한 내화학성 필요시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 함유량을 높여 상호침투에 의한 가교구조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응집력 및 내화학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몇몇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된 사항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성 점착시트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기재필름 2 : 점착제층
3 : 점착층 보호이형필름

Claims (10)

  1. 도금용 점착시트에 있어서,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된 점착체층으로서, 열경화성 점착수지 및 열경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도포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점착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체 조성물은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와 에너지선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점착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폴리에스터,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 트리아세틸 셀롤로스,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점착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탄, 크롬, 망간, 철, 니켈, 아연 또는 주석으로 이루어진 박, 합금박 및 도금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점착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점착수지의 질량평균분자량은 40,000 내지 3,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점착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제는 설계목적에 따라 1종 또는2종이상 혼합 사용하고, 상기 열경화제의 사용량은 상기 열경화성 점착수지 100중량 대비 1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점착시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수지는 설계목적에 따라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 사용하고, 상기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의 사용량은 상기 열경화성 아크릴계 점착수지 100중량 대비 1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점착시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선 개시제는 설계목적에 따라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 사용하고, 상기 에너지선 개시제의 사용량은 상기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 100중량 대비 1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점착시트.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용 점착시트는 상기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의 함량 조절을 통해 점착층의 내부 응집성 및 내화학성과 박리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점착시트.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용 점착시트는 동박에 적층된 후 약 130℃에서 10분간 가열한 다음 상온에서 30분간 방치된 상태에서 150 g·f/2.54㎝폭 내지 480 g·f/2.54㎝폭의 점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점착시트.
KR1020090083241A 2009-09-04 2009-09-04 도금용 점착시트 KR20110025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241A KR20110025258A (ko) 2009-09-04 2009-09-04 도금용 점착시트
SG200906731-5A SG169262A1 (en) 2009-09-04 2009-10-08 Adhesive sheet for plating
JP2009238644A JP2011057956A (ja) 2009-09-04 2009-10-15 メッキ用粘着シート
TW098135410A TW201109399A (en) 2009-09-04 2009-10-20 Adhesive sheet for plating
CN2009102234968A CN102010676A (zh) 2009-09-04 2009-11-17 电镀用粘着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241A KR20110025258A (ko) 2009-09-04 2009-09-04 도금용 점착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258A true KR20110025258A (ko) 2011-03-10

Family

ID=4384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241A KR20110025258A (ko) 2009-09-04 2009-09-04 도금용 점착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1057956A (ko)
KR (1) KR20110025258A (ko)
CN (1) CN102010676A (ko)
SG (1) SG169262A1 (ko)
TW (1) TW2011093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092A (ko) * 2020-02-10 2021-08-19 진테크 주식회사 열반응성 점착제층을 구비한 전자파 차폐용 캐리어 금속극박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8347B2 (ja) * 2014-02-05 2016-02-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フィルム
WO2016051971A1 (ja) * 2014-09-29 2016-04-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体、導電性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タッチパネル、転写フィルム
JP6727849B2 (ja) * 2016-02-29 2020-07-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光学製品の製造方法
JP7111558B2 (ja) * 2018-08-27 2022-08-02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
US11015255B2 (en) * 2018-11-27 2021-05-25 Macdermid Enthone Inc. Selective plating of three dimensional surfaces to produce decorative and functional effects
CN111218701A (zh) * 2020-01-16 2020-06-02 西安微电子技术研究所 一种sop封装的待镀电路模块局部阻镀保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1623A (ja) * 1989-04-21 1990-11-19 Nec Corp メッキ配線の形成方法
JP4132642B2 (ja) * 1999-11-15 2008-08-13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ネガ型レジスト基材及びそれを用いたイオン注入基板の製造方法
JP4480548B2 (ja) * 2004-11-10 2010-06-16 シャープ株式会社 両面回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59952B2 (ja) * 2007-08-01 2014-07-23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粘着力消失型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テープ
KR100910672B1 (ko) * 2007-08-03 2009-08-04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내열성 점착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092A (ko) * 2020-02-10 2021-08-19 진테크 주식회사 열반응성 점착제층을 구비한 전자파 차폐용 캐리어 금속극박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57956A (ja) 2011-03-24
CN102010676A (zh) 2011-04-13
TW201109399A (en) 2011-03-16
SG169262A1 (en)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8470B (zh) 耐熱性黏著片
KR20110025258A (ko) 도금용 점착시트
JP4383531B2 (ja) 感圧性接着シ―ト類とその製造方法
EP0993496B1 (en) Adhesive compositions with durability under conditions of high humidity
KR101099602B1 (ko) 아크릴폼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JP5522935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KR101208082B1 (ko) 반도체 공정용 점착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JP2010095722A (ja) フォームテープ
JP2008184538A (ja) 紫外線硬化樹脂組成物
KR102099538B1 (ko)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
KR20110087547A (ko) 내열성 점착시트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1591409B1 (ko) 이형필름
JP2015127356A (ja) 接着シート
KR101218144B1 (ko) 내열성 점착시트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JP6714004B2 (ja) 粘着シート
WO2017204247A1 (ja) 粘着シート
KR101364438B1 (ko) 에너지선 반응형 내열성 점착시트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JP2009007581A (ja) 感圧性接着シート
JP2017210542A (ja) 粘着シート
JPWO2003016420A1 (ja) 熱反応型難燃性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84549A (ko) 반도체 소자 도금용 점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도금방법
KR101368967B1 (ko) 반도체장치용 나노복합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내열 점착시트
KR101907910B1 (ko) 경화수축율이 작은 자외선 경화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335649A (ja) 熱硬化型接着剤組成物とその接着シ―ト類
WO2024024861A1 (ja) 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シートの剥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