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2569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2569A
KR20110022569A KR1020107026713A KR20107026713A KR20110022569A KR 20110022569 A KR20110022569 A KR 20110022569A KR 1020107026713 A KR1020107026713 A KR 1020107026713A KR 20107026713 A KR20107026713 A KR 20107026713A KR 20110022569 A KR20110022569 A KR 20110022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ad
ground
hous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8791B1 (ko
Inventor
하야토 콘도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2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9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with wires separated by conductive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7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contact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5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on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 자체의 구성을 복잡화시키지 않고 금속판 등의 크로스토크 방지 부재를 간단하게 그라운드 접속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로서, 하우징(100)의 삽입 구멍(120)의 양측에 배열된 콘택트 그룹(200a, 200b), 및 삽입 구멍(120)에 삽입되어 콘택트 그룹(200a, 200b) 사이에 배치되는 다층 기판(300)을 구비하며, 콘택트 그룹(200a, 200b)은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 220b)를 갖고, 다층 기판(300)은 내부에 형성된 솔리드 도체층(310), 면 상에 형성된 그라운드용 도체(322, 332), 및 솔리드 도체층(310)과 그라운드용 도체(322, 332)를 접속하는 스루 홀(340)을 갖으며, 다층 기판(300)이 삽입 구멍(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라운드용 도체(322, 332)가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 220b)에 접촉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콘택트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의 두께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콘택트 사이에 금속판을 배치하고 상기 금속판을 그라운드 접속시킴으로써 제 1 콘택트와 제 2 콘택트 사이의 크로스토크(crosstalk) 발생의 저감을 도모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5-327701호 공보
그런데, 상기 전기 커넥터는 금속판의 일부가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노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주를 덮는 금속 쉘(shell)에 접촉되고, 이 금속 쉘이 상기 전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케이블 그라운드 도체, 또는 전기 커넥터가 실장되는 프린트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전기 커넥터는 금속판의 일부를 하우징의 외측으로 도출시키는 것이 불가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하우징을 2피스 구조로 하거나 하우징에 도출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전기 커넥터의 구성이 복잡화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배경하에서 창작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커넥터 자체의 구성을 복잡화시키지 않고 금속판 등의 크로스토크 방지 부재를 간단하게 그라운드 접속시킬 수 있는 신규의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는 삽입 구멍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의 양측에 배열된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 및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제 1 콘택트 그룹과 제 2 콘택트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 중 적어도 한쪽은 그라운드용 콘택트를 갖고 있으며,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커넥터에 의한 경우, 상기 도전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 중 적어도 한쪽의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상기 도전 부재가 그라운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도전 부재를 그라운드 접속하기 위해서 종래예와 같이 하우징을 2피스 구조로 하거나 하우징에 도출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의 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그라운드용 콘택트의 위치 및 수를 가변함으로써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최적의 그라운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전 부재가 제 1 콘택트 그룹과 제 2 콘택트 그룹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접촉됨으로써 제 1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와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 중 적어도 한쪽의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 사이에 그라운드용 콘택트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접촉되는 돌기 형상의 접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도전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부가 상기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접촉되므로 제 1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와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저감시킨다는 도전 부재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상기 도전 부재를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간단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도전 부재가 금속판인 경우, 상기 접지부는 상기 도전 부재의 일부가 커팅되어 절곡된 절상편(切上片)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해 금속판의 일부를 커팅하여 절상하는 것만으로 상기 도전 부재 및 접지부를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다.
상기 도전 부재가 판 형상의 비도전재의 외주면이 금속체로 피복된 것인 경우, 상기 접지부는 상기 비도전재에 형성된 돌기가 금속체로 피복된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지 등의 비도전재에 돌기를 형성하고 비도전재 및 돌기를 금속체로 피복하는 것만으로 상기 도전 부재 및 접지부를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의 내면 및 상기 도전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삽입된 상기 도전 부재를 록킹하는 제 1 록킹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도전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록킹 수단에 록킹되므로 상기 도전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간단하게 위치결정됨과 아울러 삽입 구멍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제 1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중간부와 상기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중간부 사이에 배치되는 선단측의 제 1 크로스토크 저감부, 및 상기 제 1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와 상기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후단측의 제 2 크로스토크 저감부를 갖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중간부와 상기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중간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크로스토크 저감부에 의해 양 중간부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와 상기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크로스토크 저감부에 의해 양 후단부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콘택트 사이에서의 전송 특성의 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고 상기 전기 커넥터의 고성능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기 커넥터가 복수개의 리드가 접속가능한 구성인 경우,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리드 결선 보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는 상기 중간부가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뒷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와 상기 리드의 선단부로부터 인출된 심선을 각각 납땜하기 위해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지지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의 후단측에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와 상기 1피치 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리드의 선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임시적으로 유지하는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리드 삽입 홈을 갖은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 1 크로스토크 저감부가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크로스토크 저감부가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의 상기 제 1 지지대 및 제 1 리드 삽입 홈의 부분과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의 상기 제 2 지지대 및 제 2 리드 삽입 홈의 부분 사이에 배치된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전 부재의 제 2 크로스토크 저감부가 상기 제 1 지지대 및 제 1 리드 삽입 홈과 상기 제 2 지지대 및 제 2 리드 삽입 홈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 및 이것에 접속되는 리드의 심선과 상기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 및 이것에 접속되는 리드의 심선 사이에서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의 제 1 및 제 2 리드 삽입 홈에 의해 상기 리드의 선단부가 하우징의 후방측에 임시적으로 유지된다. 이것과 함께, 상기 리드의 선단부로부터 인출된 심선과 하우징의 뒷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가 리드 결선 보조 부재의 지지대 상에 지지됨으로써 펄스 히트(pulse heat)법 등의 일괄 납땜에 의해 상기 심선과 상기 콘택트의 후단부를 각각 납땜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납땜 접속부의 공급 땜납량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양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납땜 접속부의 공급 땜납량이 불균일한 것을 원인으로 하는 리드 사이에서의 전송 특성의 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고 상기 전기 커넥터의 고성능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의 폭 방향의 양단에는 리드 결선 보조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리드 결선 보조 부재가 한쌍의 가이드 수단으로 안내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 장착되므로 리드 결선 보조 부재의 하우징으로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단 및 리드 결선 보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가 가이드 수단으로 안내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를 록킹하는 제 2 록킹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가 상기 가이드 수단으로 가이드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 2 록킹 수단에 의해 록킹되므로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의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로의 장착이 용이하게 되어 조립 비용의 저감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의 제 1 및 제 2 지지대 상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를 각각 안내하는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가이드 홈이 상기 제 1 및 제 2 리드 삽입 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리드 결선 보조 부재가 하우징의 후방측에 장착되면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가 지지대 상의 제 1 및 제 2 가이드 홈에 인입되어 안내되고, 제 1 및 제 2 리드 삽입 홈의 대향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기 콘택트의 후단부와 제 1 및 제 2 리드 삽입 홈에 위치결정 유지된 리드의 심선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립 비용의 저감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리드 삽입 홈은 상기 리드의 선단부를 압입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리드의 선단부보다 약간 작은 폭 치수를 갖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리드 삽입 홈은 그 개방 양단부에 내측을 향하여 상기 리드의 선단부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브(barb)가 형성된 구성으로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드의 선단부가 확실하게 위치결정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납땜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측면을 덮는 쉴드 커버, 및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기단부 전체를 보호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도전 부재 대신에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제 1 콘택트 그룹과 제 2 콘택트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다층 기판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다층 기판은 상기 다층 기판의 내부에 형성된 솔리드 도체층(solid conductor layer), 상기 다층 기판의 양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 상에 형성된 그라운드용 도체, 및 상기 솔리드 도체층과 상기 그라운드용 도체를 접속하는 비아 홀을 갖으며, 상기 다층 기판이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다층 기판의 상기 그라운드용 도체가 상기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커넥터에 의한 경우, 상기 다층 기판이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다층 기판의 그라운드용 도체가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 중 적어도 한쪽의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다층 기판의 솔리드 도체층이 그라운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솔리드 도체층이 제 1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와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저감시킨다는 상기 도전 부재와 같은 기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전 부재 대신에 상기 다층 기판을 사용한 경우에도 상기 다층 기판을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상기 다층 기판의 솔리드 도체층을 그라운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종래예와 같이 솔리드 도체층을 그라운드 접속하기 위해서 하우징을 2피스 구조로 하거나 하우징에 도출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그라운드용 콘택트의 위치 및 수를 가변함으로써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최적의 그라운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그라운드용 콘택트의 후단부가 상기 다층 기판의 상기 도체에 접촉되어 납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그라운드용 콘택트의 후단부가 상기 다층 기판의 상기 도체에 전기적으로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 등에 의해 상기 그라운드용 콘택트와 상기 도체의 접촉이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다층 기판이 상기 다층 기판의 양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 상에 형성된 신호용 도체를 더 갖고 있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가 상기 다층 기판의 상기 신호용 도체에 접촉되어 납땜 접속된다.
상기 솔리드 도체층은 상기 제 1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중간부와 상기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중간부 사이에 배치되는 선단측의 제 1 크로스토크 저감부, 및 상기 제 1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와 상기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후단측의 제 2 크로스토크 저감부를 갖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중간부와 상기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중간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크로스토크 저감부에 의해 양 중간부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와 상기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크로스토크 저감부에 의해 양 후단부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콘택트 사이에서의 전송 특성의 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고 상기 전기 커넥터의 고성능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기 커넥터가 복수개의 리드가 접속가능한 커넥터인 경우, 적어도 상기 신호용 도체 또는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에 상기 리드의 선단부로부터 인출된 심선이 각각 납땜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신호용 도체에 상기 심선이 납땜 접속된 경우에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 상기 그라운드용 콘택트의 후단부, 상기 신호용 도체에 상기 심선이 납땜된 리드의 선단부 및 상기 다층 기판의 선단부 이외의 부분이 매설되는 절연 수지제의 블록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에 상기 심선이 납땜 접속된 경우에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 상기 그라운드용 콘택트의 후단부, 상기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에 상기 심선이 납땜된 상기 리드의 선단부 및 상기 다층 기판의 선단부 이외의 부분이 매설되는 절연 수지제의 블록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에 의해 상기 리드의 심선과 상기 신호용 도체 또는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의 납땜 접속 상태가 유지되므로 리드에 외력이 가해졌더라도 상기 납땜 접속이 부주의하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커넥터의 도 1(c) 중 2-2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커넥터의 도 2 중 3-3의 모식적인 단부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 도전 부재 및 리드 결선 보조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의 개략도로서, (a)는 콘택트 및 도전 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 (b)는 배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커넥터의 도전 부재 및 리드 결선 보조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분해 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커넥터의 리드 결선 보조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a)는 배면도, (b)는 X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상기 커넥터가 리셉터클측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a)는 정면 평면 우측면측으로부터 본 도면, (b)는 정면 저면 좌측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커넥터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커넥터의 케이스 및 부시를 제외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커넥터의 도 11 중 12-12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커넥터의 도 11 중 13-13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커넥터의 다층 기판, 콘택트 및 리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커넥터의 다층 기판, 콘택트 및 리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전기 커넥터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상기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 (c)는 평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커넥터의 도 1(c) 중 1-1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커넥터의 도 2 중 2-2의 모식적인 단부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 도전 부재 및 리드 결선 보조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의 개략도로서, (a)는 콘택트 및 도전 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 (b)는 배면도이고, 도 6은 상기 커넥터의 도전 부재 및 리드 결선 보조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분해 측면도이고, 도 7은 상기 커넥터의 리드 결선 보조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a)는 배면도, (b)는 X 부분 확대도이며, 도 8은 상기 커넥터가 리셉터클(receptacle)측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전기 커넥터는 고속 신호 전송용 벌크 케이블(c)의 선단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포트를 말하는 플러그측 커넥터이다. 상기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10),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20a, 20b), 도전 부재(30),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 쉴드 커버(50), 및 케이스(6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구성 부품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10)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성을 갖는 수지 성형품이다. 하우징(10)은 대략 직육면체의 본체부를 갖는다. 이 본체부의 선단부에는 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는 개구(11)에 연통되는 삽입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개구(11) 및 삽입 구멍(12)의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에는 복수개의 상측, 하측 콘택트 수용 홈(13a, 13b)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의 후단면의 폭 방향의 양단에는 한쌍의 가이드판(14)(가이드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의 폭 방향의 양단부 및 한쌍의 가이드판(14)에는 한쌍의 록킹 단자 수용 홈(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개구(11)는 전자 기기 등에 구비된 리셉터클측 커넥터(R)의 접속용 볼록부(R1)(도 8 참조)가 삽입되는 앞면 개방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이다.
삽입 구멍(12)은 도전 부재(30)가 삽입되는 뒷면 개방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이다.
상측, 하측 콘택트 수용 홈(13a, 13b)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길이가 긴 형상의 오목부로서 개구(11) 및 삽입 구멍(12)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측 콘택트 수용 홈(13a)과 하측 콘택트 수용 홈(13b)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상이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상측, 하측 콘택트 수용 홈(13a, 13b)의 피치 간격은 리셉터클측 커넥터(R)의 접속용 볼록부(R1)의 상하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상측, 하측 콘택트(R11, R12)의 피치 간격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상측, 하측 콘택트 수용 홈(13a, 13b)에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20a, 20b)의 콘택트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20a, 20b)의 콘택트가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다.
각 가이드판(14)의 내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가이드 볼록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볼록부(14a)가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의 폭 방향의 양단부의 한쌍의 가이드 오목부(411)에 감입됨으로써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가 하우징(10)의 본체부의 후단부를 향하여 안내된다.
각 록킹 단자 수용 홈(15)에는 대략 U자 형상의 금속 탄성체인 록킹 단자(70)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에 따라, 록킹 단자(70)의 선단부가 록킹 단자 수용 홈(15)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된다.
제 1 콘택트 그룹(20a)은,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신호용 콘택트(21a)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를 갖는다. 신호용 콘택트(21a)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는 선단부가 대략 V자 형상으로 절곡된 동일한 금속판으로서 상측 콘택트 수용 홈(13a)에 수용됨으로써 하우징(10)에 폭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배열된다. 이 상태에서, 신호용 콘택트(21a)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는 선단부가 하우징(10)의 개구(11)의 상방에 위치되고 중간부가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의 상방에 위치된다. 신호용 콘택트(21a)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의 후단부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본체부의 뒷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기 후단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c) 내에 조립된 복수개의 리드(c1)로부터 인출된 심선(c11)과 납땜되는 결선부가 된다.
제 2 콘택트 그룹(20b)도 복수개의 신호용 콘택트(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b)를 갖는다. 신호용 콘택트(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b)는 선단부가 대략 역 V자 형상으로 절곡된 동일한 금속판으로서 하측 콘택트 수용 홈(13b)에 수용됨으로써 하우징(10)에 폭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배열된다. 이 상태에서, 신호용 콘택트(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b)는 선단부가 하우징(10)의 개구(11)의 하방에 위치되고 중간부가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의 하방에 위치된다. 신호용 콘택트(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b)의 후단부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본체부의 뒷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기 후단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c) 내에 조립된 복수개의 리드(c1)로부터 인출된 심선(c11)과 납땜되는 결선부가 된다.
도전 부재(30)는, 도 2, 도 3, 도 5(a),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스 성형에 의해 작성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서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에 삽입되어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20a, 20b) 사이에 배치된다. 도전 부재(30)는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에 삽입되는 선단부(제 1 크로스토크 저감부), 및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의 장착 구멍(44)에 감합되는 후단부(제 2 크로스토크 저감부)를 갖고 있다.
도전 부재(30)의 선단부의 길이 치수는 신호용 콘택트(21a, 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 22b)의 중간부의 길이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전 부재(30)의 후단부의 길이 치수는 신호용 콘택트(21a, 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 22b)의 후단부의 길이 치수보다 길게 되어 있다.
도전 부재(30)의 선단부의 후방 부분에는 상기 후방 부분의 일부가 커팅되고 또한 상방으로 절곡된 2개의 절상편(31a)(이것이 돌기 형상의 접지부가 된다.), 및 상기 후방 부분의 일부가 커팅되고 또한 하방으로 절곡된 3개의 절상편(31b)(이것이 돌기 형상의 접지부가 된다.)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상편(31a, 31b)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도전 부재(30)의 선단부가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라운드용 콘택트(22a, 22b)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방 부분의 일부를 커팅할 때에 절상편(31a, 31b)이 되는 부분의 단부면과 상기 후방 부분에 형성되는 개구의 단부면 사이에 큰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다시 말해, 절상편(31a, 31b)의 폭 치수가 상기 개구의 폭 치수와 대략 동등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콘택트 그룹(20a)의 신호용 콘택트(21a)와 제 2 콘택트 그룹(20b)의 신호용 콘택트(21b) 사이에서 발생된 신호가 상기 간극을 통과하고, 이 점에서 도전 부재(30)의 크로스토크 저감 효과가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후방 부분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는 한쌍의 록킹 볼록부(32)(제 1 록킹 수단)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한쌍의 록킹 볼록부(32)를 포함한 상기 후방 부분의 폭 치수가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의 폭 치수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해, 도전 부재(30)의 선단부가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에 압입됨으로써 한쌍의 록킹 볼록부(32)가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에 록킹된다. 이 압입 상태에서 도전 부재(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20a, 20b)의 각 콘택트의 중간부 및 후단부와 대략 평행하게 대향 배치된다.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는, 도 2,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후단부에 장착된 절연성을 갖는 수지 성형품으로서 하우징(10)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베이스부(41), 이 베이스부(41)의 후단부의 상하면 상에 각각 세워 설치된 제 1 및 제 2 수직벽부(42a, 42b), 베이스부(41)의 선단부의 상하면 상에 형성된 대략 판 형상의 제 1 및 제 2 지지대(43a, 43b), 및 베이스부(41)의 선단면에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장착 구멍(44)을 갖는다.
베이스부(41)의 폭 방향의 양측면에는 하우징(10)의 한쌍의 가이드 볼록부(14a)가 삽입되는 한쌍의 가이드 오목부(41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오목부(411)의 후단측의 상하면에는 록킹 볼록부(4111)(제 2 록킹 수단)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하의 록킹 볼록부(4111) 사이의 거리는 가이드 볼록부(14a)의 두께 치수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볼록부(14a)가 가이드 오목부(411)에 삽입되어 상하의 록킹 볼록부(4111) 사이에 압입된다. 이에 따라,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가 하우징(10)의 후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가이드 오목부(411)가 가이드 볼록부(14a)로 안내됨으로써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를 하우징(10)의 후단부에 장착하기 용이해지고, 또한 도전 부재(30)의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으로의 삽입 및 위치결정도 용이해진다.
제 1 수직벽부(42a)에는, 도 2,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용 콘택트(21a)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와 동일 피치 간격으로 케이블(c)의 리드(c1)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임시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제 1 리드 삽입 홈(42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리드 삽입 홈(421a)은 리드(c1)의 선단부를 압입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리드(c1)의 선단부보다 약간 작은 폭 치수를 갖고 있다. 게다가, 제 1 리드 삽입 홈(421a)에 대해서는 그 개방측의 양단부에 내측을 향하여 리드(c1)의 선단부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브(422a, 42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2 수직벽부(42b)에는 신호용 콘택트(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b)와 동일 피치 간격으로 케이블(c)의 리드(c1)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임시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제 2 리드 삽입 홈(421b)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리드 삽입 홈(421b)은 제 1 리드 삽입 홈(421a)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지지대(43a)는, 도 2 및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용 콘택트(21a)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의 후단부와 케이블(c)의 리드(c1)의 선단부로부터 인출된 심선(c11)을 납땜하기 위해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제 1 지지대(43a)의 면 상에는 신호용 콘택트(21a)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의 후단부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제 1 가이드 홈(431a)이 제 1 리드 삽입 홈(421a)에 연통되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2 지지대(43b)는 신호용 콘택트(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b)의 후단부와 케이블(c)의 리드(c1)의 선단부로부터 인출된 심선(c11)을 납땜하기 위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제 2 지지대(43b)의 면 상에는 신호용 콘택트(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b)의 후단부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제 2 가이드 홈(431b)이 제 2 리드 삽입 홈(421b)에 연통되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장착 구멍(44)의 깊이 치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41)의 선단면으로부터 제 1 수직벽부(42a)와 제 2 수직벽부(42b) 사이까지의 치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장착 구멍(44)에 도전 부재(30)의 후단부가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후단부가 제 1 지지대(43a) 및 제 1 리드 삽입 홈(421a)과 제 2 지지대(43b) 및 제 2 리드 삽입 홈(421b) 사이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도전 부재(30)의 후단부가 신호용 콘택트(21a) 및 이것에 납땜 접속되는 케이블(c)의 리드(c1)의 심선(c11)과 신호용 콘택트(21b) 및 이것에 납땜 접속되는 케이블(c)의 리드(c1)의 심선(c11) 사이에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양자간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저감시키고 있다.
쉴드 커버(5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외주측면을 덮는 직육면체 통 형상의 쉘이다. 쉴드 커버(50)의 선단측 상면의 양측에는 록킹 단자(70)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한쌍의 구멍(51), 및 리셉터클측 커넥터(R)의 록킹부가 록킹되는 록킹 구멍(5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60)는 하우징(10) 및 쉴드 커버(50)를 수용하고 쉴드 커버(50)의 기단부를 보호하는 몰드 수지 성형체이다. 케이스(60)의 상면에는 상기 리셉터클형 커넥터와의 록킹/록킹 해제를 스위칭하기 위한 누름 버튼(61)이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케이스(60) 내에 있어서 누름 버튼(61)이 록킹 단자(70)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이것을 통하여 록킹 단자(70)의 선단부가 상하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 부품을 갖는 전기 커넥터는 다음과 같이 조립될 수 있다. 우선, 신호용 콘택트(21a)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를 하우징(10)의 상측 콘택트 수용 홈(13a)에 압입한다. 마찬가지로, 신호용 콘택트(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b)를 하우징(10)의 하측 콘택트 수용 홈(13b)에 압입한다. 그러면, 신호용 콘택트(21a)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의 후단부가 하우징(10)의 본체부의 뒷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신호용 콘택트(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b)의 후단부가 하우징(10)의 본체부의 뒷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신호용 콘택트(21a)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와, 신호용 콘택트(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b)가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의 상하 양측에 위상이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그 후, 도전 부재(30)의 후단부를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의 장착 구멍(44)으로 감입시킨다. 그리고, 도전 부재(30)의 선단부를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에 삽입함과 아울러,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의 한쌍의 가이드 오목부(411)에 하우징(10)의 한쌍의 가이드 볼록부(14a)를 삽입한다. 그러면, 도전 부재(30)의 절상편(31a, 31b)이 그라운드용 콘택트(22a, 22b)에 각각 접촉된다. 이에 따라, 도전 부재(30)와 그라운드용 콘택트(22a, 22b)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도전 부재(30)의 한쌍의 록킹 볼록부(32)가 삽입 구멍(12)의 양측면에 압입됨과 아울러, 한쌍의 가이드 볼록부(14a)가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의 한쌍의 가이드 오목부(411)의 상하의 록킹 볼록부(4111) 사이에 압입된다. 이에 따라, 도전 부재(30)의 선단부가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에 삽입되어 위치고정되고, 신호용 콘택트(21a)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의 중간부와 신호용 콘택트(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b)의 중간부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가 하우징(10)의 후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하우징(10)의 본체부의 뒷면으로부터 돌출된 신호용 콘택트(21a)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가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의 제 1 가이드 홈(431a)에 각각 삽입되어 제 1 지지대(43a) 상에 배치된다. 이것과 함께, 신호용 콘택트(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b)가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의 제 2 가이드 홈(431b)에 각각 삽입되어 제 2 지지대(43b) 상에 배치된다.
그 후, 케이블(c)의 각 리드(c1)의 선단부로부터 심선(c11)을 인출한다. 그리고, 리드(c1)의 선단부를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의 제 1 및 제 2 리드 삽입 홈(421a, 421b)에 각각 압입하고, 각 리드(c1)의 심선(c11)을 제 1 및 제 2 지지대(43a, 43b) 상에 배치한다.
그 후, 신호용 콘택트(21a)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와 리드(c1)의 심선(c11)이 제 1 지지대(43a) 상에서, 신호용 콘택트(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b)와 리드(c1)의 심선(c11)이 제 2 지지대(43b) 상에서 펄스 히트법 등에 의해 각각 일괄적으로 납땜된다. 이에 따라, 도전 부재(30)의 후단부가 신호용 콘택트(21a), 그라운드용 콘택트(22a)의 후단부 및 이들에 납땜 접속되는 심선(c11)과 신호용 콘택트(21b), 그라운드용 콘택트(22b)의 후단부 및 이들에 납땜 접속되는 심선(c1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의 하우징(10)을 쉴드 커버(50)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쉴드 커버(50)의 기단부를 케이스(60)로 몰딩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전기 커넥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우선, 전기 커넥터의 개구(11)로 리셉터클측 커넥터(R)의 접속용 볼록부(R1)를 삽입시킨다. 그러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의 신호용 콘택트(21a)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의 선단부가 접속용 볼록부(R1)에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측 콘택트(R11)에 각각 탄성 접촉된다. 이것과 함께, 신호용 콘택트(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b)의 선단부가 접속용 볼록부(R1)에 하방으로 가압되어 하측 콘택트(R12)에 각각 탄성 접촉된다. 이에 따라, 리드(c1) 및 신호용 콘택트(21a, 21b)가 신호용 상측, 하측 콘택트(R11, R12)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 등의 기판의 전극 패턴에 접속되고, 도전 부재(30)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 22b)가 그라운드용 상측, 하측 콘택트(R11, R12)를 통하여 상기 기판의 그라운드 패턴에 접속된다.
이상과 같은 전기 커넥터에 의한 경우, 도전 부재(30)를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도전 부재(30)의 절상편(31a, 31b)이 그라운드용 콘택트(22a, 22b)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전기 커넥터가 리셉터클측 커넥터(R)에 접속되고 그라운드용 콘택트(22a, 22b)가 그라운드용 상측, 하측 콘택트(R11, R12)에 각각 접촉됨으로써 도전 부재(30)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 22b)를 한번에 상기 기판의 그라운드 패턴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 부재(30)를 그라운드 접속하기 위해서 하우징(10)을 2피스 구조로 하거나 하우징(10)에 도출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의 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전 부재(30)의 선단부가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에 삽입되고 신호용 콘택트(21a)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의 중간부와 신호용 콘택트(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b)의 중간부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신호용 콘택트(21a)의 중간부와 신호용 콘택트(21b)의 중간부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 부재(30)의 후단부가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의 장착 구멍(44)에 감합됨으로써 신호용 콘택트(21a)의 후단부, 그라운드용 콘택트(22a)의 후단부 및 이들 후단부에 납땜 접속되는 상측의 리드(c1)의 심선(c11)과 신호용 콘택트(21b)의 후단부, 그라운드용 콘택트(22b)의 후단부 및 이들의 후단부에 납땜 접속되는 하측의 리드(c1)의 심선(c11)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전 부재(30)의 후단부에 의해 신호용 콘택트(21a)의 후단부 및 상측의 리드(c1)의 심선(c11)과 신호용 콘택트(21b)의 후단부 및 하측의 리드(c1)의 심선(c11)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발생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용 콘택트(22a)가 소정의 개수마다 신호용 콘택트(21a)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그라운드용 콘택트(22b)가 소정의 개수마다 신호용 콘택트(21b)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신호용 콘택트(21a)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의 저감 및 신호용 콘택트(21b)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의 저감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도전 부재(30)의 절상편(31a, 31b)이 그라운드용 콘택트(22a, 22b)를 통하여 상기 기판의 그라운드 패턴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크로스토크의 저감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용 콘택트(22a, 22b)의 위치 및/또는 수를 가변함으로써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품마다에 따른 최적의 그라운드 접속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의 제 1 및 제 2 리드 삽입 홈(421a, 421b)에 의해 케이블(c)의 리드(c1)의 선단부가 하우징(10)의 후방측에 임시적으로 유지됨과 아울러, 리드(c1)의 선단부로부터 인출된 심선(c11)과 하우징(10)의 뒷면으로부터 돌출된 신호용 콘택트(21a, 21b)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a, 22b)의 후단부가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의 제 1 및 제 2 지지대(43a, 43b)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펄스 히트법 등으로 일괄 납땜된다. 이 때문에, 상기 전기 커넥터의 조립이 용이해지고 양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케이블(c)의 리드(c1)의 선단부가 바브(422a, 422b)에 의해 제 1 및 제 2 리드 삽입 홈(421a, 421b)으로부터 간단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리드 삽입 홈(421a, 421b)에 압입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c1)의 선단부가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 상에서 확실하게 위치결정되고, 이것에 따라 납땜의 정밀도가 상당히 높아진다. 그 때문에, 본 전기 커넥터의 전송 특성의 향상에 의한 고성능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에 도전 부재(30)가 삽입됨으로써 하우징(10)의 휨이 방지된다. 추가적으로,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가 하우징(10)의 한쌍의 가이드판(14)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판(14)이 보강된다. 그 때문에, 전기 커넥터 전체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이에 따라 소형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a)는 정면 평면 우측면측으로부터 본 도면, (b)는 정면 저면 좌측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10은 상기 커넥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11은 상기 커넥터의 케이스 및 부시(bush)를 제외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커넥터의 도 11중 12-12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3은 상기 커넥터의 도 11 중 13-13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4는 상기 커넥터의 다층 기판, 콘택트 및 리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5는 상기 커넥터의 다층 기판, 콘택트 및 리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는 고속 신호 전송용 벌크 케이블(c)의 선단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포트를 말하는 플러그측 커넥터이다. 상기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100),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200a, 200b), 다층 기판(300), 블록(400), 쉴드 커버(500), 케이스(600), 및 부시(7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구성 부품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10)은,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성을 갖고 단면으로 봤을 때 대략 측면 U자 형상인 수지 성형품이다. 이 하우징(100)의 선단부에는 오목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10)는 전자 기기 등에 구비되는 리셉터클측 커넥터(R')의 접속용 볼록부(R1')가 삽입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이다. 또한, 하우징(100)의 후단부에는 오목부(110)로 연통되는 삽입 구멍(1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구멍(120)은 다층 기판(300)이 삽입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이다.
또한, 하우징(100)의 오목부(110) 및 삽입 구멍(120)의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에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상측, 하측 콘택트 수용 홈(130a, 130b)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측, 하측 콘택트 수용 홈(130a, 130b)은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길이가 긴 형상의 오목부로서 오목부(110) 및 삽입 구멍(120)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측 콘택트 수용 홈(130a)과 하측 콘택트 수용 홈(130b)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피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측, 하측 콘택트 수용 홈(130a, 130b)의 피치 간격은 리셉터클측 커넥터(R')의 접속용 볼록부(R1')의 상하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상측, 하측 콘택트(R11', R12')의 피치 간격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 1 콘택트 그룹(200a)은, 도 10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신호용 콘택트(210a),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 및 그 밖의 콘택트(230a)를 갖는다. 신호용 콘택트(210a),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 및 콘택트(230a)는 대략 동일한 금속제의 단자이다. 신호용 콘택트(210a),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 및 콘택트(230a)의 중간부(212a, 222a, 232a)는 직선상의 부위이다. 이 중간부(212a, 222a, 232a)의 폭 방향의 양단에는 폭 방향으로 볼록한 한쌍의 압입편(212a1, 222a1, 232a1)이 형성되어 있다. 압입편(212a1, 222a1, 232a1)을 포함하는 중간부(212a, 222a, 232a)의 폭 치수가 상측 콘택트 수용 홈(13a)의 폭 치수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중간부(212a, 222a, 232a)가 상측 콘택트 수용 홈(13a)에 압입됨으로써 신호용 콘택트(210a),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 및 콘택트(230a)가 하우징(10)에 폭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배열된다. 또한, 콘택트(230a)는 그라운드용, 전원용 또는 저속 신호용 콘택트 등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신호용 콘택트(210a),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 및 콘택트(230a)의 선단부(211a, 221a, 231a)는 중간부(212a, 222a, 232a)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연속되는 부위로서 대략 V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선단부(211a, 221a, 231a)의 선단에는 대략 원호 형상의 접점부(211a1, 221a1, 231a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점부(211a1, 221a1, 231a1)가 상측 콘택트 수용 홈(13a)으로부터 돌출되어 하우징(100)의 오목부(110) 내에 위치되고 리셉터클측 커넥터(R')의 상측 콘택트(R11')에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신호용 콘택트(210a),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 및 콘택트(230a)의 후단부(213a, 223a, 233a)는 중간부(212a, 222a, 232a)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 연속되는 부위로서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후단부(213a, 223a, 233a)가 다층 기판(300)의 상측 신호용 도체(321),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 그 밖의 도체(323)에 접촉하여 납땜 접속된다.
제 2 콘택트 그룹(200b)도, 도 10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신호용 콘택트(210b), 그라운드용 콘택트(220b) 및 그 밖의 콘택트(230b)를 갖는다. 신호용 콘택트(210b), 그라운드용 콘택트(220b) 및 콘택트(230b)는 중간부(212b, 222b, 232b)가 하측 콘택트 수용 홈(13b)에 압입되어 제 1 콘택트 그룹(200a)과 다르게 정렬되어 하우징(10)에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는 것 이외에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중복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콘택트(230b)도 그라운드용, 전원용 또는 저속 신호용 콘택트 등으로서 사용된다.
다층 기판(300)은 복수개의 절연층 사이에 도체층을 갖는 주지의 다층 기판이다. 이 다층 기판(300)의 선단부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삽입 구멍(120)에 삽입된다. 다층 기판(300)의 내부의 도체층 중 하나는 동박 등의 도체가 상기 다층 기판(300)의 대략 전역으로 확장된 솔리드 도체층(310)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다층 기판(300)의 상면 상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신호용 도체(321),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 및 그 밖의 도체(323)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신호용 도체(321)는 다층 기판(300)의 중간부 상에 위치되는 도전 인쇄 패턴이다.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 및 도체(323)는 다층 기판(300)의 중간부로부터 후단부로 연장된 도전 인쇄 패턴이다. 다층 기판(300)의 하면 상에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신호용 도체(331),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 및 그 밖의 도체(333)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신호용 도체(331)는 다층 기판(300)의 중간부 아래에 위치되는 도전 인쇄 패턴이다.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 및 도체(323)는 다층 기판(300)의 중간부로부터 후단부로 연장된 도전 인쇄 패턴이다. 다층 기판(300)의 내부에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리드 도체층(310)과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 및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를 접속하는 복수개의 스루 홀(340)(즉, 관통형 비아 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체(323, 333)는 그라운드용, 전원용 또는 저속 신호용 도체 등으로서 사용된다.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신호용 도체(321)에는 제 1 콘택트 그룹(200a)의 후단부(213a)가 납땜 접속됨과 아울러, 케이블(c) 내에 조립된 복수개의 리드(c1)로부터 인출된 심선(c11)이 납땜 접속된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에는 제 1 콘택트 그룹(200a)의 후단부(223a)가 납땜 접속됨과 아울러, 케이블(c)로부터 인출된 도시되지 않은 그라운드용 심선이 납땜 접속된다. 도체(323)에는 제 1 콘택트 그룹(200a)의 후단부(233a)가 납땜 접속됨과 아울러, 케이블(c)로부터 인출된 도시되지 않은 그라운드용, 전원용 또는 저속 신호용 등의 심선이 납땜 접속된다. 도 12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신호용 도체(331)에는 제 2 콘택트 그룹(200b)의 후단부(213b)가 납땜 접속됨과 아울러, 케이블(c)의 리드(c1)의 심선(c11)이 납땜 접속된다.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에는 제 2 콘택트 그룹(200b)의 후단부(223b)가 납땜 접속됨과 아울러, 케이블(c)로부터 인출된 도시되지 않은 그라운드용 심선이 납땜 접속된다. 도체(333)에는 제 2 콘택트 그룹(200b)의 후단부(233b)가 납땜 접속됨과 아울러, 케이블(c)로부터 인출된 도시되지 않은 그라운드용, 전원용 또는 저속 신호용 등의 심선이 납땜 접속된다. 또한, 이하 이와 같이 후단부(213a, 223a, 233a, 213b, 223b, 233b)가 납땜 접속된 상태를 납땜 접속 상태라고 칭한다.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의 후단부(223a)가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에, 그라운드용 콘택트(220b)의 후단부(223b)가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에 접속됨으로써 솔리드 도체층(310)이 그라운드 접속된다.
상기 납땜 접속 상태에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층 기판(300)의 선단부가 제 1 콘택트 그룹(200a)의 중간부(212a, 222a, 232a)와 제 2 콘택트 그룹(200b)의 중간부(212b, 222b, 232b)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다층 기판(300)의 중간부가 제 1 콘택트 그룹(200a)의 후단부(213a, 223a, 233a)와 제 2 콘택트 그룹(200b)의 후단부(213b, 223b, 233b) 사이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솔리드 도체층(310)의 선단부(즉, 선단측의 부분)가 제 1 콘택트 그룹(200a)의 중간부(212a, 222a, 232a)와 제 2 콘택트 그룹(200b)의 중간부(212b, 222b, 232b)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솔리드 도체층(310)의 선단부가 제 1 콘택트 그룹(200a)의 중간부(212a)와 제 2 콘택트 그룹(200b)의 중간부(212b) 사이의 크로스토크을 저감시키는 제 1 크로스토크 저감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솔리드 도체층(310)의 중간부(즉, 상기 선단부보다 후단측의 부분)가 제 1 콘택트 그룹(200a)의 후단부(213a, 223a, 233a)와 제 2 콘택트 그룹(200b)의 후단부(213b, 223b, 233b)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솔리드 도체층(310)의 중간부가 제 1 콘택트 그룹(200a)의 후단부(213a)와 제 2 콘택트 그룹(200b)의 후단부(213b) 사이의 크로스토크을 저감시키는 제 2 크로스토크 저감부로서 기능한다.
블록(400)은,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절연 수지 성형체이다. 다층 기판(300)의 선단부 이외의 부분, 제 1 콘택트 그룹(200a)의 다층 기판(300)의 상측 신호용 도체(321),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 도체(323)에 납땜 접속된 후단부(213a, 223a, 233a), 제 2 콘택트 그룹(200b)의 다층 기판(300)의 하측 신호용 도체(331),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 도체(333)에 납땜 접속된 후단부(213b, 223b, 233b), 심선(c11)이 상측 신호용 도체(321), 하측 신호용 도체(331)에 납땜 접속된 복수개의 리드(c1)의 선단부, 및 심선이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 및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에 접속된 리드의 선단부가 블록(400) 내에 매설되어 있다.
쉴드 커버(50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육면체 통 형상의 쉘(510), 및 이 쉘(510)의 후단에 연속되어 형성된 대략 U자 형상의 그라운드 접속부(520)를 갖고 있다. 쉘(510)은 평판 형상의 금속판이 직육면체 통 형상으로 절곡된 것으로서 하우징(100) 및 블록(400)의 외주측면을 덮는다. 그라운드 접속부(520)는 양 선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케이블(c)의 외측 절연체(c3)로부터 노출된 복수개의 리드(c1)를 덮는 쉴드 도체(c2)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그라운드 접속부(520)가 쉴드 도체(c2)에 접속된다. 다시 말해, 케이블(c)의 쉴드 도체(c2)를 통하여 쉴드 커버(500)가 그라운드 접속된다.
부시(70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c)의 쉴드 도체(c2)에 접속된 쉴드 커버(500)의 그라운드 접속부(520)에 외부로부터 끼워지는 원통체이다. 케이스(60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0) 및 블록(400)을 덮는 쉘(510)의 선단부를 제외한 부분과 부시(700)의 선단부가 매설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절연 수지 성형체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전기 커넥터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우선, 제 1 콘택트 그룹(200a)의 신호용 콘택트(210a),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 및 콘택트(230a)를 하우징(100)의 상측 콘택트 수용 홈(130a)에 후방으로부터 각각 삽입하고, 상기 신호용 콘택트(210a),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 및 콘택트(230a)의 중간부(212a, 222a, 232a)를 상기 상측 콘택트 수용 홈(130a)에 각각 압입한다. 이것과 함께, 제 2 콘택트 그룹(200b)의 신호용 콘택트(210b), 그라운드용 콘택트(220b) 및 콘택트(230b)를 하측 콘택트 수용 홈(130b)에 각각 삽입하고, 상기 신호용 콘택트(210b), 그라운드용 콘택트(220b) 및 콘택트(230b)의 중간부(212b, 222b, 232b)를 상기 하측 콘택트 수용 홈(130b)에 각각 압입한다.
그 후, 다층 기판(300)을 하우징(100)의 삽입 구멍(120)에 삽입한다. 그러면, 신호용 콘택트(210a),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 및 콘택트(230a)의 후단부(213a, 223a, 233a)가 다층 기판(300)의 상측 신호용 도체(321),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 도체(323)에, 신호용 콘택트(210b), 그라운드용 콘택트(220b) 및 콘택트(230b)의 후단부(213b, 223b, 233b)가 다층 기판(300)의 하측 신호용 도체(331),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 도체(333)에 각각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후단부(213a, 223a, 233a)를 상측 신호용 도체(321),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 도체(323)에, 후단부(213b, 223b, 233b)를 하측 신호용 도체(331),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 도체(333)에 각각 납땜한다.
그 후, 상측 신호용 도체(321), 하측 신호용 도체(331)에 케이블(c)의 리드(c1)의 심선(11)을 각각 납땜 접속한다.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 및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에도 케이블(c)의 상기 심선을 납땜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다층 기판(300)의 선단부 이외의 부분, 제 1 콘택트 그룹(200a)의 다층 기판(300)의 상측 신호용 도체(321),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 도체(323)에 납땜 접속된 후단부(213a, 223a, 233a), 제 2 콘택트 그룹(200b)의 다층 기판(300)의 하측 신호용 도체(331),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 도체(333)에 납땜 접속된 후단부(213b, 223b, 233b), 심선(c11)이 상측 신호용 도체(321), 하측 신호용 도체(331)에 납땜 접속된 복수개의 리드(c1)의 선단부 및 심선이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 및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에 접속된 리드의 선단부를 절연 수지로 몰딩하여 상기 절연 수지 내에 매설한다. 이 절연 수지가 블록(400)이 된다.
그 후, 쉴드 커버(500)의 평판 형상의 쉘(510)을 절곡하여 하우징(100) 및 블록(400)을 덮는다. 이에 따라, 쉘(510)는 직육면체 통 형상이 된다. 그 후, 쉴드 커버(500)의 그라운드 접속부(520)를 절곡하여 케이블(c)의 쉴드 도체(c2)를 덮는다. 이때, 그라운드 접속부(520)를 쉴드 도체(c2)에 접촉시킨다.
그 후, 부시(700)에 케이블(c)을 삽입하고 상기 부시(700)를 그라운드 접속부(520)에 외부로부터 끼운다. 이 상태에서 쉘(510)의 선단부를 제외한 부분 및 부시(700)의 선단부를 절연 수지로 몰딩하여 상기 절연 수지 내에 매설한다. 이 절연 수지가 케이스(600)가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전기 커넥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우선, 전기 커넥터의 오목부(110)에 리셉터클측 커넥터(R')의 접속용 볼록부(R1')를 삽입시킨다. 그러면, 전기 커넥터의 신호용 콘택트(210a),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 및 콘택트(230a)의 접점부(211a1, 221a1, 231a1)가 접속용 볼록부(R1')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측 콘택트(R11')에 각각 탄성 접촉된다. 이것과 함께, 신호용 콘택트(210b), 그라운드용 콘택트(220b) 및 콘택트(230b)의 접점부(211b1, 221b1, 231b1)가 접속용 볼록부(R1')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하측 콘택트(R12')에 각각 탄성 접촉된다. 이에 따라, 리드(c1) 및 신호용 콘택트(210a, 210b)가 신호용 상측, 하측 콘택트(R11', R12')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 등의 기판의 전극 패턴에 접속됨과 아울러, 다층 기판(300)의 솔리드 도체층(310), 스루 홀(340),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 220b)가 그라운드용 상측, 하측 콘택트(R11', R12')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 등의 기판의 그라운드 패턴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전기 커넥터에 의한 경우, 다층 기판(300)을 하우징(100)의 삽입 구멍(120)에 삽입하고, 다층 기판(300)의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에 제 1 콘택트 그룹(200a)의 후단부(223a)를, 다층 기판(300)의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에 제 2 콘택트 그룹(200b)의 후단부(223b)를 접촉시켜 납땜 접속하는 것만으로 다층 기판(300)의 솔리드 도체층(310)을 그라운드 접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솔리드 도체층(310)을 그라운드 접속하기 위해서 하우징(100)을 2피스 구조로 하거나 하우징(100)에 도출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의 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다층 기판(300)의 선단부가 하우징(100)의 삽입 구멍(120)에 삽입되고 상기 다층 기판(300)의 솔리드 도체층(310)의 선단부가 제 1 콘택트 그룹(200a)의 중간부(212a, 222a, 232a)와 제 2 콘택트 그룹(200b)의 중간부(212b, 222b, 232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솔리드 도체층(310)의 선단부에 의해 신호용 콘택트(210a)의 중간부(212a)와 신호용 콘택트(210b)의 중간부(212b)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층 기판(300)의 중간부가 제 1 콘택트 그룹(200a)의 후단부(213a, 223a, 233a)와 제 2 콘택트 그룹(200b)의 후단부(213b, 223b, 233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솔리드 도체층(310)의 중간부에 의해 신호용 콘택트(210a)의 후단부(213a) 및 상측 신호용 도체(321)에 납땜 접속되는 상측의 리드(c1)의 심선(c11)과 신호용 콘택트(210b)의 후단부(213b) 및 하측 신호용 도체(331)에 납땜 접속되는 하측의 리드(c1)의 심선(c11)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발생도 저감시킬 수 있다. 게다가,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가 신호용 콘택트(210a)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그라운드용 콘택트(220b)가 신호용 콘택트(210b)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신호용 콘택트(210a)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의 저감 및 신호용 콘택트(210b)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의 저감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다층 기판(300)의 솔리드 도체층(310)이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 220b)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 등의 기판의 그라운드 패턴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크로스토크의 저감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 220b)의 위치 및/또는 수를 가변함으로써, 또는 솔리드 도체층(310)의 영역을 가변함으로써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품에 따른 최적의 그라운드 접속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블록(400)에 의해 리드(c1)의 심선(11)이 상측 신호용 도체(321), 하측 신호용 도체(331)에 각각 납땜 접속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케이블(c)에 외력이 가해졌더라도 리드(c1)의 심선(11)과 상측 신호용 도체(321), 하측 신호용 도체(331)의 접속이 부주의하게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하우징(100)의 삽입 구멍(120)에 다층 기판(300)이 삽입됨으로써 하우징(100)의 휨이 방지된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 전체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이에 따라 소형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는 특허 청구 범위의 취지에 적합하다면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각 구성 부품의 설계 변경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하우징(10, 100)에 대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구멍을 갖고, 또한 상기 삽입 구멍의 양측에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이 배치가능한 것이면 임의로 설계 변경가능하다. 따라서, 하우징에 2개 이상의 삽입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에 3열 이상의 콘택트 그룹을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은 하우징의 삽입 구멍의 양측에 매설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 1에서 한쌍의 가이드판(14)의 내면에는 가이드 볼록부(14a)가 형성되어 있다고 하였지만 가이드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의 베이스부(41)의 양단부에 가이드 볼록부를 형성하도록 하면 좋다. 또, 가이드판(14)은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판 형상체 이외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도전 부재(30)를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에 감합시킴으로써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를 하우징(10)의 후단부에 장착시키는 등의 다른 장착 수단에 의해 장착하면 좋다.
도전 부재(30)에 대해서는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의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접촉되는 것이면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전 부재로서 수지 등의 비도전재에 증착 등에 의해 금속체로 피복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 도전 부재(30)는 선단부가 제 1 크로스토크 저감부, 후단부가 제 2 크로스토크 저감부인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전 부재(30) 전체를 제 1 크로스토크 저감부로 하는 것이 가능하여 도전 부재(30)의 선단부를 연장하여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선단부 사이에 배치하도록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 도전 부재(30)는 상기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지부로서 절상편(31a, 31b)을 사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지부로서는 판 형상의 도전 부재에 볼록 형상의 금속체를 용접 등으로 접속한 것, 상기 비도전재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를 금속체로 피복한 것, 또는 상기 도전 부재 또는 금속체와 그라운드용 콘택트를 접속하는 리드 선 등의 전기 접속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 부재에 상기 접지부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도전 부재의 본체를 상기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직접 접촉시키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도전 부재(30)는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접촉되어 있으면 좋다. 물론,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의 모든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절상편(31a, 31b)은 그 스프링성을 향상시켜 접지를 중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전 부재(30)의 크로스토크의 저감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경우에는 절상편의 폭 치수를 상기 절상편이 잘려진 도전 부재의 개구의 폭 치수보다 작게 함으로써 절상편을 상하로 탄성 변형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도전 부재(30)는 폭 방향의 양단부에 제 1 록킹 수단으로서 한쌍의 록킹 볼록부(32)가 형성되어 있다고 하였지만, 이것을 형성할지의 여부는 임의이다. 또한, 상기 제 1 록킹 수단은 도전 부재(30)에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의 폭 방향의 측면에 록킹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록킹 수단은 도전 부재 및 하우징(10)의 삽입 구멍(12)의 폭 방향의 측면의 쌍방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록킹 볼록부와 록킹 오목부를 조합시킨 것 등의 그밖의 주지의 록킹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에서 다층 기판(300)의 상하면 상에는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가 형성되어 있다고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다층 기판의 면 상에는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 및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 중 어느 한쪽이 형성되어 있어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좋다.
또, 상기 실시예 2에서 솔리드 도체층(310)은 도체가 다층 기판(300)의 전역에 확장되어 있다고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환언하면, 솔리드 도체층(310)은 다층 기판(300)의 내층의 일부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기 솔리드 도체층이 신호용 콘택트(210a)와 신호용 콘택트(210b) 사이에 배치되어 그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에서 다층 기판(300)은 상기 다층 기판(300)을 관통하는 스루 홀(340)을 갖는다고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루 홀(340) 이외의 비아 홀로서 솔리드 도체층(310)과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 또는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를 접속하는 인터스티셜 비아 홀(Interstitial Via Hole)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에서 다층 기판(300)의 상하면 상에는 상측 신호용 도체(321), 하측 신호용 도체(331)가 형성되어 있다고 하였지만, 이들을 형성할 것인지의 여부는 임의이다. 예를 들면, 케이블(c)의 리드(c1)의 심선(11)이 신호용 콘택트(210a, 210b)에 직접 납땜 접속되는 경우에는 상측 신호용 도체(321), 하측 신호용 도체(331)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에 케이블(c)의 심선이 납땜 접속되어 있다고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심선을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 220b)에 직접 납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c)의 심선이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322),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332), 그라운드용 콘택트(220a, 220b)에 납땜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게다가, 본 발명은 도전 부재, 다층 기판이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환언하면, 하우징을 성형할 때에 도전 부재, 다층 기판을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매설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도전 부재, 다층 기판을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그라운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 부재는 리드 결선 보조 부재에 장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별체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콘택트 그룹이 3열 이상 있는 경우에는 도전 부재(30), 다층 기판(300)을 2개 이상 형성하여 각 열의 콘택트 그룹 사이에 배치하도록 하면 좋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상기 신호용 콘택트는 후단부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리드의 심선에 납땜 접속된다고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가 케이블이 접속되는 타입 이외의 플러그측 커넥터나 리셉터클형 커넥터인 경우에는 콘택트의 후단부를 전자 기기 등의 기판의 도체 등의 접속 대상에 접속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그라운드용 콘택트는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에 적어도 1개 포함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콘택트는 후단부 이외의 부분을 케이블이나 다층 기판의 도체에 접속되는 접속부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에 대해서는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와 리드의 선단부로부터 인출된 심선을 각각 납땜을 위해서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지지대, 및 이 제 1 및 제 2 지지대의 후단측에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와 동일 피치 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리드의 선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임시적으로 유지하는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리드 삽입 홈을 갖는 구성이면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전기 커넥터가 후술하는 케이블이 접속되는 타입이 아닌 플러그측 커넥터나 리셉터클형 커넥터인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제 1 및 제 2 리드 삽입 홈(421a, 421b)의 형상에 대해서는 리드가 삽입되어 위치결정 가능한 것이면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및 제 2 가이드 홈(431a, 431b)의 형상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가이드 홈(431a, 431b)은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록킹 볼록부(4111)는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가 가이드 수단으로 안내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를 록킹하는 제 2 록킹 수단이다고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이드판(14)의 가이드 볼록부(14a)에 록킹 볼록부를 형성하여도 좋고, 가이드 볼록부(14a) 및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의 가이드 오목부(411)의 쌍방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가이드 수단 및 리드 결선 보조 부재의 가이드 볼록부(14a) 및 가이드 오목부(411) 이외의 부분에 상기 제 2 록킹 수단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리드 결선 보조 부재(40)는 하우징(10)의 후단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록킹 수단은 록킹 볼록부와 록킹 오목부를 조합시킨 것 등의 그 밖의 주지의 록킹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블록(400)에 대해서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는 각 구성 부품의 종류, 형상, 재질 및 핀 수 등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기 커넥터는 디스플레이 포트 등의 플러그측 커넥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케이블이 접속되는 타입이 아닌 플러그측 커넥터나 리셉터클형 커넥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가능하다. 케이블(c)은 벌크 케이블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밖의 동일한 케이블이 접속가능하다.
10: 하우징
20a: 제 1 콘택트 그룹
21a: 신호용 콘택트 22a: 그라운드용 콘택트
20b: 제 2 콘택트 그룹
21b: 신호용 콘택트 22b: 그라운드용 콘택트
30: 도전 부재
31a, 31b: 절상편(접지부) 32: 록킹 볼록부(제 1 록킹 수단)
40: 리드 결선 보조 부재
4111: 록킹 볼록부(제 2 록킹 수단)
50: 쉴드 커버
60: 케이스
70: 록킹 단자
100: 하우징
200a: 제 1 콘택트 그룹
210a: 신호용 콘택트 220a: 그라운드용 콘택트
200b: 제 2 콘택트 그룹
210b: 신호용 콘택트 220b: 그라운드용 콘택트
300: 다층 기판
310: 솔리드 도체층 321: 상측 신호용 도체
322: 상측 그라운드용 도체 331: 하측 신호용 도체
332: 하측 그라운드용 도체 340: 스루 홀(비아 홀)
400: 블록
500: 쉴드 커버
600: 케이스
700: 부시
c: 케이블
c1: 리드
c11: 심선
R: 리셉터클측 커넥터
R': 리셉터클측 커넥터

Claims (21)

  1. 삽입 구멍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의 양측에 배열된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 및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제 1 콘택트 그룹과 제 2 콘택트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 중 적어도 한쪽이 그라운드용 콘택트를 갖고 있으며;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접촉되는 돌기 형상의 접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금속판이며,
    상기 접지부는 상기 도전 부재의 일부가 커팅되어 절곡된 절상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판 형상의 비도전재의 외주면이 금속체로 피복된 것이며,
    상기 접지부는 상기 비도전재에 형성된 돌기가 금속체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의 내면 및 상기 도전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삽입된 상기 도전 부재를 록킹하는 제 1 록킹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제 1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중간부와 상기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중간부 사이에 배치되는 선단측의 제 1 크로스토크 저감부, 및
    상기 제 1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와 상기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후단측의 제 2 크로스토크 저감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리드가 접속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 설치된 리드 결선 보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는 상기 중간부가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뒷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와 상기 리드의 선단부로부터 인출된 심선을 각각 납땜하기 위해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지지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의 후단측에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와 동일한 피치 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리드의 선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임시적으로 유지하는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리드 삽입 홈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 1 크로스토크 저감부가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크로스토크 저감부가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의 상기 제 1 지지대 및 제 1 리드 삽입 홈의 부분과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의 상기 제 2 지지대 및 제 2 리드 삽입 홈의 부분 사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의 폭 방향의 양단에는 리드 결선 보조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 및 리드 결선 보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가 가이드 수단으로 안내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를 록킹하는 제 2 록킹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결선 보조 부재의 제 1 및 제 2 지지대 상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를 각각 안내하는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가이드 홈이 상기 제 1 및 제 2 리드 삽입 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리드 삽입 홈은 상기 리드의 선단부를 압입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리드의 선단부보다 약간 작은 폭 치수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리드 삽입 홈에는 그 개방 양단부에 내측을 향하여 상기 리드의 선단부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측면을 덮는 쉴드 커버, 및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기단부 전체를 보호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 대신에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제 1 콘택트 그룹과 제 2 콘택트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다층 기판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다층 기판은,
    상기 다층 기판의 내부에 형성된 솔리드 도체층,
    상기 다층 기판의 양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 상에 형성된 그라운드용 도체, 및
    상기 솔리드 도체층과 상기 그라운드용 도체를 접속하는 비아 홀을 가지며;
    상기 다층 기판이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다층 기판의 상기 그라운드용 도체가 상기 그라운드용 콘택트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용 콘택트의 후단부가 상기 다층 기판의 상기 그라운드용 도체에 접촉되어 납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기판은 상기 다층 기판의 양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 상에 형성된 신호용 도체를 더 갖고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가 상기 다층 기판의 상기 신호용 도체에 접촉되어 납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솔리드 도체층은,
    상기 제 1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중간부와 상기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중간부 사이에 배치되는 선단측의 제 1 크로스토크 저감부, 및
    상기 제 1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와 상기 제 2 콘택트 그룹의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후단측의 제 2 크로스토크 저감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8. 제 16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리드가 접속가능하며;
    적어도 상기 신호용 도체에 상기 리드의 선단부로부터 인출된 심선이 각각 납땜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 상기 그라운드용 콘택트의 후단부, 상기 신호용 도체에 상기 심선이 납땜된 리드의 선단부 및 상기 다층 기판의 선단부 이외의 부분이 매설되는 절연 수지제의 블록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0. 제 15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리드가 접속가능하며;
    적어도 상기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에 상기 리드의 선단부로부터 인출된 심선이 각각 납땜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 상기 그라운드용 콘택트의 후단부, 상기 신호용 콘택트의 후단부에 상기 심선이 납땜된 리드의 선단부 및 상기 다층 기판의 선단부 이외의 부분이 매설되는 절연 수지제의 블록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07026713A 2008-06-04 2009-05-19 전기 커넥터 KR101578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6991 2008-06-04
JP2008146991 2008-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569A true KR20110022569A (ko) 2011-03-07
KR101578791B1 KR101578791B1 (ko) 2015-12-18

Family

ID=4139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713A KR101578791B1 (ko) 2008-06-04 2009-05-19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62411B2 (ko)
EP (2) EP2293393B1 (ko)
JP (1) JP5197742B2 (ko)
KR (1) KR101578791B1 (ko)
CN (1) CN102047507B (ko)
ES (2) ES2749632T3 (ko)
TW (1) TWI442650B (ko)
WO (1) WO2009147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6968A2 (en) * 2009-11-06 2011-05-12 Molex Incorporated Circuit member with enhanced performance
US8740647B1 (en) * 2010-02-02 2014-06-03 Arris Enterprises, Inc. Reduced crosstalk in a multi-channel conductive body connector
CN201698051U (zh) * 2010-02-09 2011-01-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
CN102480070B (zh) * 2010-11-22 2016-0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及其制造方法和信号传输方法
JP5209038B2 (ja) * 2010-12-08 2013-06-1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707913B2 (ja) * 2010-12-09 2015-04-30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5811460B2 (ja) * 2012-02-15 2015-11-11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9252542B2 (en) * 2012-05-24 2016-02-02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plate thereof
TWI574467B (zh) * 2012-06-29 2017-03-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及其組合
US9525227B2 (en) 2012-07-21 2016-12-20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716327B2 (en) * 2012-09-28 2017-07-25 Intel Corporation System, circuit module, and circuit module connector
TWI514693B (zh) * 2012-10-18 2015-12-21 Hon Hai Prec Ind Co Ltd 可正、反向插接之插頭電連接器及其組合
TWI593199B (zh) * 2013-01-08 2017-07-21 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MY174133A (en) * 2013-01-16 2020-03-10 Molex Inc Bi-directional latch
US8851927B2 (en) 2013-02-02 2014-10-0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and grounding features thereof
US8864506B2 (en) * 2013-03-04 2014-10-2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plate
WO2014160073A1 (en) * 2013-03-13 2014-10-02 Molex Incorporated Integrated signal pair element and connector using same
US8961194B2 (en) * 2013-03-14 2015-02-24 Bby Solutions, Inc. Active HDMI connector with integrated design
CN203225389U (zh) * 2013-04-12 2013-10-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CN203445352U (zh) 2013-06-28 2014-02-1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9490579B2 (en) 2013-07-19 2016-11-0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520677B2 (en) 2013-07-19 2016-12-13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525223B2 (en) 2013-07-19 2016-12-20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90584B2 (en) 2013-07-19 2016-11-0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502821B2 (en) 2013-07-19 2016-11-22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170870B2 (en) 2013-07-19 2019-01-0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90594B2 (en) 2013-07-19 2016-11-0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660400B2 (en) 2013-07-19 2017-05-23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72910B2 (en) 2013-07-19 2016-10-1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84681B2 (en) 2013-07-19 2016-11-0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350126B2 (en) 2013-07-19 2016-05-24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receptacle with a shielding plate and a mating plug with metallic side arms
US10826255B2 (en) 2013-07-19 2020-11-03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90595B2 (en) 2013-07-19 2016-11-0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720734B2 (en) 2013-07-19 2020-07-2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281629B2 (en) 2013-07-19 2016-03-0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843148B2 (en) 2013-07-19 2017-12-12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96662B2 (en) 2013-07-19 2016-11-15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356400B2 (en) 2013-07-19 2016-05-3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72911B2 (en) 2013-07-19 2016-10-1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centric inner and outer mating ports
US10693261B2 (en) 2013-07-19 2020-06-23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66930B2 (en) 2013-07-19 2016-10-1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905944B2 (en) 2013-07-19 2018-02-27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96653B2 (en) 2013-07-19 2016-11-15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96664B2 (en) 2013-07-19 2016-11-15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912111B2 (en) 2013-07-19 2018-03-06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997853B2 (en) 2013-07-19 2018-06-12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755368B2 (en) 2013-07-19 2017-09-05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CN104425995B (zh) * 2013-09-06 2017-01-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US9400529B2 (en) 2013-09-27 2016-07-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housing with embedded interconnects
DE102013225794A1 (de) * 2013-12-12 2015-06-18 Leoni Kabel Holding Gmbh Kontaktanbindung von geschirmten Datenleitungen an einer Platine sowie Verfahren zur Kontaktierung mehrerer geschirmter Datenleitungen an einer Platine
US9454177B2 (en) 2014-02-14 2016-09-2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housing-based interconnects and coupling structures
CN204361415U (zh) * 2014-02-17 2015-05-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头连接器
JP2015159092A (ja) * 2014-02-25 2015-09-03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JP6368504B2 (ja) 2014-03-07 2018-08-01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JP6265803B2 (ja) 2014-03-19 2018-01-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609530B (zh) * 2014-03-24 2017-12-2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組合
TWI504082B (zh) * 2014-04-21 2015-10-11 Advanced Connectek Inc Socket electrical connector and plug electrical connector
EP3134945B1 (en) 2014-04-23 2019-06-12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cap and shielded terminals
TWI600236B (zh) * 2014-05-07 2017-09-21 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及其製造方法
US9722383B2 (en) 2014-05-07 2017-08-0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nsulative hous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TWI556522B (zh) * 2014-05-22 2016-11-01 Advanced Connectek Inc Socket electrical connector and plug electrical connector
CN105337082B (zh) * 2014-06-09 2018-05-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连接器组件及其制造方法
JP6265852B2 (ja) * 2014-07-08 2018-01-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618305B (zh) 2014-08-11 2018-03-11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及其製造方法
TWI573335B (zh) 2014-08-13 2017-03-01 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及其製造方法
JP6590472B2 (ja) * 2014-08-20 2019-10-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信号伝送ケーブル端末構造
TWI578633B (zh) * 2014-08-22 2017-04-11 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及其製造方法
CN104241891B (zh) * 2014-09-04 2017-04-19 深圳市江波龙电子有限公司 电子设备的生产方法
US9520670B2 (en) * 2014-09-23 2016-12-13 Hubbell Incorporated Tamper resistant receptacle
JP6359410B2 (ja) * 2014-10-02 2018-07-18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4518321B (zh) * 2014-11-27 2023-05-05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
TWM497873U (zh) * 2014-12-02 2015-03-21 Simula Technology Inc 以一體式舌板固定金屬間隔板之訊號連接器
US9337585B1 (en) * 2014-12-05 2016-05-10 All Best Precision Technology Co., Ltd. Terminal structure an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he same
CN204289826U (zh) * 2015-01-06 2015-04-22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TWI637568B (zh) 2015-01-11 2018-10-01 莫仕有限公司 Circuit board bypass assembly and its components
US9209573B1 (en) * 2015-02-03 2015-12-08 Yue Sheng Exact Industrial Co., Lt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CN106159530B (zh) * 2015-03-25 2018-01-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US10122124B2 (en) * 2015-04-02 2018-11-06 Genesis Technology Usa, Inc. Three dimensional lead-frames for reduced crosstalk
CN204927638U (zh) * 2015-04-30 2015-12-30 Fci连接器新加坡私人有限公司 Usb连接器
US9774111B2 (en) * 2015-06-09 2017-09-26 Molex, Llc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multi-layered circuit board
CN108701922B (zh) 2015-07-07 2020-02-14 Afci亚洲私人有限公司 电连接器
JP6563272B2 (ja) * 2015-08-04 2019-08-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端子
US9525241B1 (en) * 2015-12-28 2016-12-2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6549327B2 (ja) 2016-01-11 2019-07-2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ルーティング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使用するシステム
JP6626213B2 (ja) 2016-01-19 2019-12-2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一体型ルーティング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用いたシステム
CN107332034B (zh) * 2016-04-28 2019-07-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07681371B (zh) * 2016-08-01 2020-06-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6076581U (zh) * 2016-09-14 2017-04-05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US10367308B2 (en) * 2016-10-26 2019-07-30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receptacle for transmitting high speed signal
CN206532959U (zh) * 2016-12-08 2017-09-29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US9881650B1 (en) * 2016-12-26 2018-01-3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Connector mitigating crosstalk for high speed communication
CN108461993A (zh) * 2017-02-15 2018-08-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18142518A (ja) * 2017-02-28 2018-09-13 第一精工株式会社 信号入出力コネクタ装置
WO2019084717A1 (en) 2017-10-30 2019-05-09 Amphenol Fci Asia Pte Ltd Low crosstalk card edge connector
US10601181B2 (en) 2017-12-01 2020-03-24 Amphenol East Asia Ltd. Compact electrical connector
CN109038118B (zh) * 2018-06-25 2022-06-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TWM568524U (zh) * 2018-06-25 2018-10-11 佳必琪國際股份有限公司 Card edge connector structure
US10361511B1 (en) * 2018-06-27 2019-07-23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Removal delay feature for removably connected devices
US11870171B2 (en) 2018-10-09 2024-01-09 Amphenol Commercial Products (Chengdu) Co., Ltd. High-density edge connector
TWM576774U (zh) 2018-11-15 2019-04-11 香港商安費諾(東亞)有限公司 具有防位移結構之金屬殼體及其連接器
TWM582251U (zh) 2019-04-22 2019-08-11 香港商安費諾(東亞)有限公司 Connector set with built-in locking mechanism and socket connector thereof
US10833434B1 (en) * 2019-09-18 2020-11-10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Terminal block cover with guided probe access
TW202127754A (zh) 2019-11-06 2021-07-16 香港商安費諾(東亞)有限公司 具有互鎖段之高頻率電連接器
US11588277B2 (en) 2019-11-06 2023-02-21 Amphenol East Asia Ltd. High-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with lossy member
US11652307B2 (en) 2020-08-20 2023-05-16 Amphenol East Asia Electronic Technology (Shenzhen) Co., Ltd. High speed connector
CN212874843U (zh) 2020-08-31 2021-04-02 安费诺商用电子产品(成都)有限公司 电连接器
US11289856B1 (en) * 2020-09-14 2022-03-29 Aces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 connector grounding structure
TWI755171B (zh) * 2020-11-24 2022-02-11 佳必琪國際股份有限公司 連接器
TWI767630B (zh) * 2021-03-24 2022-06-11 宏正自動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CN214957657U (zh) * 2021-04-23 2021-11-30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高速连接器
US11764534B2 (en) 2021-05-05 2023-09-19 Amphenol East Asia Electronic Technology (Shenzhen) Co., Ltd. Type C female side connector
US11621513B2 (en) 2021-06-02 2023-04-04 Amphenol East Asia Electronic Technology (Shenzhen) Co., Ltd. Vehicle USB Type-C connector
EP4297198A1 (en) * 2022-06-23 2023-12-2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45493A (en) * 1968-03-11 1971-09-08 Texas Instruments Inc Connector
US3634806A (en) * 1969-10-31 1972-01-11 Thomas & Betts Corp Matched impedance connector
US5156554A (en) * 1989-10-10 1992-10-20 Itt Corporation Connector interceptor plate arrangement
US4950172A (en) * 1989-10-10 1990-08-21 Itt Corporation Connector with interceptor plate
US6358091B1 (en) * 1998-01-15 2002-03-19 The Siemon Company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having multi-pair modularity
JP3264434B2 (ja) * 1998-05-06 2002-03-11 ケル株式会社 グランド板付コネクタ
TW454981U (en) * 2000-05-05 2001-09-11 Molex Inc Connector
JP2002050436A (ja) * 2000-08-02 2002-02-1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及びそれの製造方法
JP3564556B2 (ja) * 2001-10-02 2004-09-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0434230B1 (ko) * 2002-03-26 2004-06-04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US6743049B2 (en) 2002-06-24 2004-06-01 Advanced Interconnections Corporation High speed, high density interconnection device
US7112072B2 (en) * 2002-12-31 2006-09-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Ground bu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6935896B1 (en) * 2004-03-04 2005-08-30 Advanced Connectek Inc., Ltd.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connector
TWM256006U (en) * 2004-04-09 2005-01-21 Advanced Connectek Inc Hooking mechanism of a connector
TWM257029U (en) * 2004-04-30 2005-02-11 Advanced Connectek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device
TWM260022U (en) 2004-05-11 2005-03-21 Su-Lan Yanglee Terminal bus connector with the terminal port plastic core
US7131862B2 (en) * 2004-12-20 2006-11-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horizontal ground plane
US20060228935A1 (en) * 2005-04-06 2006-10-12 Sure-Fire Electrical Corporation [high-frequency transmission cable]
CN2809939Y (zh) * 2005-05-20 2006-08-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DE102007032787B8 (de) * 2006-07-14 2010-11-2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Elektrischer Verbinder sowie elektrische Komponente mit Kontaktanschlussabschnitten, die in einer allgemeinen Trapezform angeordnet sind
JP4439540B2 (ja) * 2006-07-14 2010-03-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481676B2 (en) * 2006-08-30 2009-01-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ESD protection
CN201029173Y (zh) * 2006-12-29 2008-02-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320203U (en) * 2007-01-15 2007-10-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7625243B2 (en) * 2007-06-13 2009-12-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xtension to version 2.0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arrangement
US7534141B1 (en) * 2007-11-02 2009-05-1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xtension to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able termination
US7618293B2 (en) * 2007-11-02 2009-11-1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xtension to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structures
US7422488B1 (en) * 2007-11-02 2008-09-0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xtension to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arrangemen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7534143B1 (en) * 2007-11-16 2009-05-1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wire termination arrangement
US7497733B1 (en) * 2008-02-13 2009-03-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hielded connector adapted to be mounted at different profile
JP3150303U (ja) * 2008-04-09 2009-05-07 鴻海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電気コネクタ
CN201252225Y (zh) * 2008-07-08 2009-06-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896559B2 (en) * 2008-12-23 2011-03-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assembly having floatable ter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147791A1 (ja) 2011-10-20
KR101578791B1 (ko) 2015-12-18
US20110151716A1 (en) 2011-06-23
ES2771024T3 (es) 2020-07-06
EP2293393A1 (en) 2011-03-09
JP5197742B2 (ja) 2013-05-15
EP2293393A4 (en) 2011-11-02
CN102047507B (zh) 2013-04-24
EP2922154B1 (en) 2019-09-11
TWI442650B (zh) 2014-06-21
EP2293393B1 (en) 2020-01-15
US8262411B2 (en) 2012-09-11
CN102047507A (zh) 2011-05-04
ES2749632T3 (es) 2020-03-23
TW201014078A (en) 2010-04-01
EP2922154A1 (en) 2015-09-23
WO2009147791A1 (ja)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7742B2 (ja) 電気コネクタ
US965384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ood anti-EMI perfprmance
US7147512B2 (en) Connector assembly
CN212085282U (zh) 端子总成以及电连接器
US7435132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grounding member
US821598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liable connection between LED devices and printed circuit board
US9257797B2 (en) Cable assembly having an improved circuit board
US7993161B2 (en) Low profile connector with combo solder tails
US8439705B2 (en) Modular jack with sheilding plate between magnetic components
US1168285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080293292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wire management member thereof
US787885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device
US11626678B2 (en) Connector for high-speed transmission and method for fixing solder to fork portion of connector for high-speed transmission
KR20060057990A (ko) 다극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JP5868140B2 (ja) 同軸ケーブル接続モジュール、同軸ケーブル用多極コネクタ及び多極複合コネクタ
CN106575829B (zh) 电缆连接器
US7445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JP5044483B2 (ja) 電気コネクタ
US7524193B2 (en) Connector excellent in high-frequency characteristics
US6558171B2 (en) Printed board connector, contact thereof and mating instrument
US20070042621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473638B2 (ja) 電気コネクタ
CN107681315B (zh)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00452553C (zh) 用于电接线盒的压力接触端子装置
WO2009064887A1 (en) High-density edg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