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2565A - 드립 백 - Google Patents

드립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2565A
KR20110022565A KR1020107026433A KR20107026433A KR20110022565A KR 20110022565 A KR20110022565 A KR 20110022565A KR 1020107026433 A KR1020107026433 A KR 1020107026433A KR 20107026433 A KR20107026433 A KR 20107026433A KR 20110022565 A KR20110022565 A KR 20110022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holder
fold line
drip bag
d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4490B1 (ko
Inventor
미츠노리 사이토
나오코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오끼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한손으로 용이하게 개구 형상을 형성하여, 컵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드립 백을 제공한다. 이 드립 백 (1) 은, 통수 여과성 시트로 형성되고, 내부에 추출 재료가 충전된 백 본체 (10) 와, 박판 형상 재료로 형성되며, 백 본체에 첩착한 홀더 (20) 로 이루어진다. 홀더 (20) 는, 중앙 접음선 (22) 에서 정면 (20a) 및 배면 (20b) 으로 둘로 접혀지고 중앙 접음선 (22) 이 백 본체 (10) 의 측변 (11d) 와 겹쳐져 있다. 홀더 (20) 의 정면 (20a) 및 배면 (20b) 의 중앙 접음선 (22) 사이드 영역에는, 드립 백 (1) 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부 방향으로〈 자형으로 굴곡하여 연장된〈 자형 접음선 (24) 이 형성되고, 홀더 (20) 의 정면 (20a) 및 배면 (20b) 의 하단부 좌우 양측에는,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오목부 (31a, 31b) 를 갖는 걸림편 (32a, 32b) 이 당겨 일으켜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드립 백{DRIP BAG}
본 발명은, 컵 등의 용기 상부에 걸어 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드립식으로 커피 등의 추출액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드립 백에 관한 것이다.
한잔 분의 커피를 본격적인 페이퍼 드립 방식으로 손쉽게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드립 백으로서, 통수 여과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백 본체에 커피 분말을 충전하고, 그 백 본체의 측면에 홀더를 첩착 (貼着) 한 것이 있다. 이 드립 백에는 여러가지 형태의 것이 있는데, 공업 생산에 적합한 것으로서, 판지 형상 부재의 좌우 양단부에 컵에 걸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것을 중앙 접음선에서 좌우 둘로 접은 것을 홀더로 하여, 중앙 접음선과 백 본체의 측변이 겹치도록 백 본체와 홀더를 첩착하고, 사용시에 홀더가 V 자형으로 열리도록 한 것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V 자형으로 열리는 홀더의 오픈을 확실하게 하고, 드립시 뜨거운 물을 부을 때에 V 자형이 닫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백 본체의 개구부측 홀더의 접음선 근방에 접어넣음부를 형성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또한, 마찬가지로 통수 여과성 시트와 홀더로 이루어지는 드립 백으로서, 좌우 둘로 접은 홀더의 중앙 접음선에 교차하는 가로 방향의 절곡선을 형성함과 함께, 그 가로 방향의 절곡선의 좌우 양단부에 세로 방향의 컷팅선을 형성하여, 가로 방향의 절곡선으로 그 절곡선에서부터 위쪽 부분을 접어 쓰러뜨림으로써, 뜨거운 물을 부을 때에 개구 형상이 넓게 유지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42847호 일본 특허 2002-238767호
그러나, 상기 서술한 드립 백은, 그것을 컵에 걸어 고정시킬 때에 양손을 사용하여 홀더를 V 자형으로 열거나, 양손을 사용하여 가로 방향의 절곡선을 구부려 접음으로써 홀더의 개구 형상을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어, 어느 것도 한손으로 간편하게 컵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한손으로 용이하게 개구 형상을 형성하고, 컵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드립 백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중앙 접음선의 근방에 특정한 접음선을 형성함으로써, 한손으로 용이하게 드립 백을 개구할 수 있고, 또한 그 개구 형상을 유지한 채로 컵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즉, 본 발명은, 통수 여과성 시트로 형성되고, 내부에 추출 재료가 충전된 백 본체와,
박판 형상 재료로 형성되며, 백 본체에 첩착한 홀더로 이루어지는 드립 백으로서,
홀더는, 중앙 접음선에서 정면 및 배면으로 둘로 접혀지고 그 중앙 접음선이 백 본체의 측변과 겹치고,
홀더의 정면 및 배면의 중앙 접음선 사이드 영역에, 드립 백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부 방향으로〈 자 형상으로 굴곡하여 연장된〈 자형 접음선을 갖고,
홀더의 정면 및 배면의 하단부에, 당겨 일으켜질 수 있게 형성된 걸림편을 갖는 드립 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드립 백에 의하면, 홀더의 중앙 접음선 사이드 영역에 특정한 접음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백 본체를 그 좌우 양 측변에서 지지하도록 한손으로 파지하고, 좌우 양 측변으로부터 눌러 찌부러지도록 힘을 가함으로써 백 본체를 용이하게 개구시킬 수 있으며, 그 개구 형상대로 컵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드립 백에 의하면, 매우 간편하게 드립 조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드립 백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컵에 걸어 고정시킨 상태의 드립 백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드립 백의 사용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4 는 드립 백의 사용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5 는 드립 백의 제조에 사용하는 홀더가 부착된 시트 원반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홀더가 부착된 시트 원반을 사용한 드립 백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7 은 드립 백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컵에 걸어 고정시킨 상태의 드립 백의 중앙 접음선측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컵에 걸어 고정시킨 상태의 드립 백의 중앙 접음선과 반대측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드립 백의 평면도이다.
도 11 은 컵에 걸어 고정시킨 상태의 드립 백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드립 백의 평면도이다.
도 13 은 컵에 걸어 고정시킨 상태의 드립 백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드립 백의 평면도이다.
도 15 는 컵에 걸어 고정시킨 상태의 드립 백의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다. 또, 각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드립 백 (1) 의 평면도, 도 2 는, 그것을 개봉하여 컵 (100) 에 걸어 고정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 는, 드립 백 (1) 을 개봉한 후, 컵 (100) 에 걸기까지의 조작의 설명도이고, 도 5 는, 드립 백 (1) 의 제조에 사용하는 홀더가 부착된 시트 원반 (40) 의 평면도이고, 도 6 은, 이 시트 원반 (40) 을 사용한 드립 백 (1) 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이 드립 백 (1) 은, 직사각형의 백 본체 (10) 와 백 본체 (10) 에 첩착한 홀더 (20) 로 이루어져 있다.
백 본체 (10) 는 통수 여과성 시트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추출 재료가 충전되어 있다.
백 본체 (10) 를 형성하는 통수 여과성 시트로는, 소정량의 커피 분말을 충전하고, 뜨거운 물을 부은 경우에 커피의 침출이 가능한 것을 여러 가지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침출용 시트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비닐론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 등의 반합성 섬유, 닥나무, 삼지닥나무 등의 천연 섬유 단독 또는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 마닐람삼, 목재 펄프,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혼초지 (混抄紙) 등, 티백 원료지 등의 종이류가 알려져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도 이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드립 백의 사용 후 폐기성의 면에서, 통수 여과성 시트 재료에는 생분해성 섬유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분해성 섬유로는,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드립시에 커피 분말에 적절한 스팀 효과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들 섬유 재료로부터 통수 여과성 시트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섬유층의 공극률을 조정함으로써 커피 분말에 직접 접하게 되는 층을 「소 (疏)」로 하고, 직접적으로는 접하지 않는 층을 「밀 (密)」로 하는 소밀의 복층 구조로 하며, 또한 커피 분말에 직접 접하게 되는 층에서는 소수성 섬유의 함유율을 높이고, 커피 분말에 직접 접하지 않는 층에서는 소수성 섬유의 함유율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 제3674486호).
백 본체 (10) 는, 상변 (11a), 하변 (11b) 및 일 측변 (11c) 에서 시일되어 있고, 나머지 일 측변 (11d) 은 접음산에서 구부림부로 되어 있다. 백 본체 (10) 의 상단부는, 홀더 (20) 의 상변을 따라 형성한 개봉용 절취선 (12) 에 의해 드립 백 (1) 의 사용시에 절제되고, 개봉용 절취선 (12) 의 라인이 드립 백의 개구 가장자리가 된다. 이 절취선 (12) 에서 절제되는 부분을 제외한, 백 본체 (10) 의 정미 (正味) 의 평면 치수는, 개구직경 60 ∼ 105 ㎜ 정도의 통상적인 컵에 대하여, 폭 (W1) 을 70 ∼ 110 ㎜, 높이 (H1) 를 50 ∼ 7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홀더 (20) 는, 판지, 플라스틱 시트 등의 박판 형상 재료의 다이 컷팅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박판 형상 재료도, 드립 백 (1) 의 사용 후 폐기성의 면에서,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등의 생분해성 재료로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 (20) 는, 중앙 접음선 (22) 에 의해, 정면 (20a) 과 배면 (20b) 의 좌우 둘로 접혀 있으며, 드립 백 (1) 의 정면과 배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접음선은 하프 커트, 절취선 등에 의해 형성된다.
홀더 (20) 의 정면 (20a) 과 배면 (20b) 의 폭은 각각 백 본체 (10) 의 폭 (W1) 보다 약간 좁은 정도로, 백 본체 (10) 의 폭 (W1) 과 대략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 (20) 는, 그 중앙 접음선 (22) 이 백 본체 (10) 의 구부림부로 되어 있는 측의 측변 (11d) 과 겹치도록, 백 본체 (10) 에 첩착되어 있다.
홀더 (20) 의 정면 (20a) 및 배면 (20b) 의 좌우 중앙보다 중앙 접음선 (22) 사이드 영역에서는, 드립 백 (1) 의 개구 가장자리가 되는 개봉용 절취선 (12) 으로부터 드립 백 (1) 의 바닥부 방향으로,〈 자형으로 굴곡하여 연장된 〈 자형 접음선 (24) 이 형성되고,〈 자형 접음선 (24) 의 굴곡부 (24a) 로부터 중앙 접음선 (22) 방향으로 제 1 접음선 (23)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정면 (20a) 및 배면 (20b) 의 제 1 접음선 (23) 은, 바람직하게는 홀더 (20) 를 평탄하게 펼친 상태에서, 중앙 접음선 (22) 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제 1 접음선 (23) 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도 1 과 같이 제 1 접음선 (23) 이 중앙 접음선 (22) 의 방향과 이루는 각도 (θ1) 는 80°∼ 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90°보다 작게 하고 있다.
〈 자형 접음선 (24) 은, 그 굴곡부 (24a) 로부터 드립 백 (1) 의 개구 가장자리 방향에서 중앙 접음선 (22) 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된 제 2 접음선 (25) 과, 굴곡부 (24a) 로부터 드립 백 (1) 의 바닥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된 제 3 접음선 (26) 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2 접음선 (25) 이 중앙 접음선 (22) 과 이루는 각도 (θ2) 는, 0 ∼ 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또한, 제 2 접음선 (25) 과 제 3 접음선 (26) 이 이루는 각도 (θ3) 는 180°미만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20 ∼ 160°로 한다. 이와 같이 홀더 (20) 의 중앙 접음선 (22) 사이드 영역에, 제 2 접음선 (25) 과 제 3 접음선 (26) 으로 이루어지는 굴곡된〈 자형 접음선 (24) 을 형성함으로써, 중앙 접음선 (22) 을 백 본체 (10) 의 중심측으로 밀어 누름으로써 형성되는 도 2 의 개구 형상을 안정시키고, 뜨거운 물을 부을 때에 개구 형상을 닫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홀더 (20) 의 정면 (20a) 및 배면 (20b) 의 중앙 접음선 (22) 과 반대측 영역에는, 중앙 접음선 (22) 의 형성 방향으로 제 4 접음선 (27)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 (20) 의 정면 (20a) 및 배면 (20b) 의 하단부 좌우 양측에는 걸기용 오목부 (31a, 31b) 가 형성되어, 걸기용 오목부 (31a, 31b) 가 걸림편 (32a, 32b) 으로서 당겨 일으켜질 수 있도록 컷팅선 (33a, 33b) 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 (20) 를 백 본체 (10) 에 첩착하는 부위는, 드립 백 (1) 의 전체적인 통수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백 본체 (10) 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한, 부분적으로 첩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드립 백 (1) 을 컵에 걸어 고정시킬 때에, 홀더 (20) 의 걸림편 (32a, 32b) 이 백 본체 (10) 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컵에 대하여 걸기가 용이해지도록, 걸림편 (32a, 32b) 은 백 본체 (10) 에 첩착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첩착 부위는, 드립 백 (1) 을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 (100) 에 걸어 고정시킨 경우에, 백 본체 (10) 가 홀더 (20) 와 함께 열려, 컵 (100) 안에 모이는 추출액에 잠기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1 에서 미세한 점으로 칠하여 표시한 바와 같이, 백 본체 (10) 의 개구부 주위와, 걸림편 (32a, 32b) 바로 위의 띠형상 영역을, 홀더 (20) 와 백 본체 (10) 의 첩착 부위 (13) 로 하고, 나머지는 비첩착 영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드립 백 (1) 의 사용 방법으로는, 먼저, 홀더 (20) 의 개봉용 절취선 (12) 로부터 드립 백 (1) 의 위쪽 가장자리측을 제거하여, 백 본체 (10) 를 개구한다.
다음으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본체 (10) 를 그 좌우 양 측변에서 지지하도록 한손으로 파지하고,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본체 (10) 의 좌우 양 측변측으로부터 드립 백 (1) 을 찌부러지도록 가볍게 누른다. 이것에 의해, 백 본체 (10) 가 넓게 개구되고, 또한, 걸림편 (32a, 32b) 은 백 본체 (10) 의 표면에서부터 돌출된다.
거기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립 백의 걸림편 (32a, 32b) 을 컵 (100) 의 위쪽 가장자리부에 걸어 고정시키고, 백 본체 (10) 의 개구부로부터 뜨거운 물을 부어, 컵 (100) 안에 커피 추출액을 얻는다.
이 드립 백 (1) 의 제조 방법으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통수 여과성 시트의 원반 (41) 에 홀더 (20) 를 소정 간격으로 나열하여 첩착한 시트 원반 (40) 을 준비하고, 이것을 포장 충전기에 걸어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20) 의 중앙 접음선 (22) 에서 좌우 둘로 접어, 백 본체 (10) 의 측변 (11c) 을 용착시킴으로써 통형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백 본체 (10) 의 상변 (11a), 하변 (11b) 도 순차적으로 용착시킴과 동시에, 백 본체 (10) 안에 내용물을 충전하여, 개개의 드립 백을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그것을 잘라서 분리시켜 개개의 드립 백 (1) 을 얻는다. 또는, 백 본체 (10) 의 상변 (11a), 하변 (11b) 의 용착시에 용단 (溶斷) 도 동시에 실시하여, 개개로 분리된 드립 백 (1) 을 연속적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의 드립 백은, 여러 가지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도 8, 도 9 에 나타내는 드립 백 (1B) 은,〈 자형 접음선 (24) 을 형성하는 제 2 접음선 (25) 을,〈 자형 접음선의 굴곡부 (24a) 로부터 개봉용 절취선 (12) 에 대하여 수직 (즉, 중앙 접음선 (22) 과 평행) 으로 함과 함께, 제 1 접음선 (23) 이 중앙 접음선 (22) 과 이루는 각도 (θ1) 를 90°보다 크게 한 것이다.
또한, 이 드립 백 (1B) 은, 중앙 접음선 (22) 과 반대측의 홀더 (20) 의 측가장자리 바닥부측에, 고정지지편 (32b) 으로서 당겨 일으켜지지 않는 설편 형상 영역 (34) 을 갖고 있다.
이 드립 백 (1B) 도,〈 자형 접음선 (24) 을 가짐으로써, 개봉용 절취선 (12) 에 의해 백 본체 (10) 를 개봉한 후에는, 한손으로 백 본체 (10) 를 그 좌우 양 측변에서 파지하고, 드립 백 (1B) 를 찌부러지도록 가볍게 누르는 것만으로, 드립 백 (1B) 을 즉시 넓게 개구시킬 수 있고, 드립 백 (1B) 은 그 개구 형상으로 안정되어 있다. 특히, 제 1 접음선 (23) 이 중앙 접음선 (22) 과 이루는 각도 (θ1) 를 90°보다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개구 형상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립 백 (1B) 을 보다 간편하게 컵 (100) 의 위쪽 가장자리부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드립 백 (1B) 은, 중앙 접음선 (22) 과 반대측의 홀더의 측가장자리 바닥부측에 설편 형상 영역 (34) 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컵 (100) 에 걸어 고정시킨 경우에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본체 (10) 가 홀더 (20) 의 외주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설편 형상 영역 (34) 에서 백 본체 (10) 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컵 (100) 에 걸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드립 백으로는, 도 10, 도 11 에 나타내는 드립 백 (1C) 과 같이, 상기 서술한 드립 백 (1B) 에서 제 1 접음선 (23) 을 생략해도 된다. 이 드립 백 (1C) 도 한손으로 용이하게 개구하여,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 (100) 의 위쪽 가장자리부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2, 도 13 에 나타내는 드립 백 (1D) 과 같이, 홀더 (20) 의 정면 (20a) 및 배면 (20b) 에 있어서, 중앙 접음선 (22) 과 반대측 영역에서도 중앙 접음선 (22) 측단부와 좌우 대칭으로, 제 2 접음선 (25b) 과 제 3 접음선 (26b) 으로 이루어지는〈 자형 접음선 (24b), 및 제 1 접음선 (23b) 을 형성해도 된다.
걸림편 (32a, 32b) 에 관해서는, 그 당겨 일으키기 방향이 홀더 (20) 의 정면 (20a) 및 배면 (20b) 의 각각에서 좌우 대칭이 되도록, 컷팅선 (33a, 33b) 을 형성해도 된다.
백 본체 (10) 의 개봉용 절취선 (12) 은, 홀더 (20) 에 형성하지 않고, 홀더 (20) 가 첩착되어 있지 않은 백 본체 (10) 의 위쪽 가장자리부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14, 도 15 에 나타내는 드립 백 (1E) 과 같이,〈 자형 접음선의 굴곡부 (24a) 에서부터, 홀더 (20) 의 정면 (20a), 배면 (20b) 의 위쪽 가장자리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5 접음선 (28) 을 형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백 본체 (10) 의 개구 형상을 원형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상, 백 본체에 커피 분말을 충전한 드립 백에 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드립 백에 충전하는 추출 재료는 커피 분말에 한정되지 않고, 홍차, 녹차 등의 차잎, 한방약 등을 충전해도 된다.
본 발명의 드립 백은, 커피 분말을 비롯한 각종 추출 재료를 드립하여, 그 추출액을 손쉽게 얻는 추출 도구로서 유용하다.
1, 1B, 1C, 1D, 1E … 드립 백
10 … 백 본체
11a … 상변
11b … 하변
11c … 측변
11d … 측변
12 … 절취선
13 … 첩착 부위
20 … 홀더
20a … 홀더의 정면
20b … 홀더의 배면
22 … 중앙 접음선
23, 23b … 제 1 접음선
24, 24b …〈 자형 접음선
24a …〈 자형 접음선의 굴곡부
25, 25b … 제 2 접음선
26, 26b … 제 3 접음선
27 … 제 4 접음선
28 … 제 5 접음선
31a, 31b … 걸기용 오목부
32a, 32b … 걸림편
33a, 33b … 컷팅선
34 … 설편 형상 영역
40 … 시트 원반
41 … 통수 여과성 시트의 원반
100 … 컵

Claims (4)

  1. 통수 여과성 시트로 형성되고, 내부에 추출 재료가 충전된 백 본체와,
    박판 형상 재료로 형성되며, 백 본체에 첩착한 홀더로 이루어지는 드립 백으로서,
    상기 홀더는, 중앙 접음선에서 정면 및 배면으로 둘로 접혀지고 그 중앙 접음선이 백 본체의 측변과 겹치고,
    홀더의 정면 및 배면의 중앙 접음선 사이드 영역에, 드립 백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부 방향으로〈 자형으로 굴곡하여 연장된〈 자형 접음선을 갖고,
    홀더의 정면 및 배면의 하단부에, 당겨 일으켜질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편을 갖는 드립 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정면 및 배면에,〈 자형 접음선의 굴곡부에서 중앙 접음선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접음선을 갖는 드립 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중앙 접음선과 겹치는 백 본체의 측변이, 통수 여과성 시트의 구부림부로 되어 있는 드립 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 재료가 커피 분말 또는 차잎인 드립 백.
KR1020107026433A 2008-05-26 2008-12-24 드립 백 KR101494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37337 2008-05-26
JP2008137337 2008-05-26
JP2008148590A JP5326366B2 (ja) 2008-05-26 2008-06-05 ドリップバッグ
JPJP-P-2008-148590 2008-06-05
PCT/JP2008/073442 WO2009144852A1 (ja) 2008-05-26 2008-12-24 ドリップバッ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565A true KR20110022565A (ko) 2011-03-07
KR101494490B1 KR101494490B1 (ko) 2015-02-17

Family

ID=4137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433A KR101494490B1 (ko) 2008-05-26 2008-12-24 드립 백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46131B2 (ko)
EP (1) EP2281492A4 (ko)
JP (1) JP5326366B2 (ko)
KR (1) KR101494490B1 (ko)
CN (1) CN102046050B (ko)
CA (1) CA2723082C (ko)
TW (1) TW200948686A (ko)
WO (1) WO20091448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3718A (ko) * 2012-12-11 2015-02-05 오끼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드립 백
KR20150013785A (ko) * 2012-12-11 2015-02-05 오끼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드립 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9588B2 (ja) * 2008-09-26 2014-01-15 味の素ゼネラルフーヅ株式会社 支持具及び濾過具
JP5351698B2 (ja) * 2009-10-06 2013-11-27 不双産業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TWI511696B (zh) * 2011-03-03 2015-12-11 Fuso Industry Co Ltd Drip bag
CN102670075B (zh) * 2011-03-15 2016-04-27 不双产业株式会社 滴滤袋
CL2011001074A1 (es) * 2011-05-12 2011-07-29 Inversiones San Juan De La Cruz Spa Cartucho desechable para filtrar elementos solubles como hierbas, conformado por una plantilla con una seccion central que constituye el contenedor y dos secciones laterales oblicuas traslapadas que conforman una pared recta, y poseen una prolongacion con un asa y lengüetas para su fijacion a un borde circular de un vaso.
US9282847B2 (en) 2012-02-15 2016-03-15 Reginald Osagie Akpata Edo cup
US20140053737A1 (en) * 2012-08-23 2014-02-27 Larissa Simontov Beverage infuser
USD778025S1 (en) * 2013-10-31 2017-02-07 Jong Tae Kim Tea bag
JP6657624B2 (ja) * 2015-07-08 2020-03-04 大紀商事株式会社 超音波溶着溶断装置及び包装体
JP6089242B1 (ja) * 2015-09-10 2017-03-08 沼田 信悟 ドリッパー
TWM522674U (zh) * 2015-10-20 2016-06-01 ying-yan Zhang 可拋式飲液用濾套及其使用裝置
CN105460427A (zh) * 2015-12-30 2016-04-06 安志鹏 一种便携式可冲泡过滤茶包
EA036659B1 (ru) * 2016-05-19 2020-12-04 Дмитрий Семенович МАКАВЧИ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жима и утилизации чайных пакетиков
JP6451818B2 (ja) * 2016-11-18 2019-01-16 大紀商事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TWI721240B (zh) * 2018-01-08 2021-03-11 林紫綺 掛耳式杯套結構
US10595663B2 (en) * 2018-05-10 2020-03-24 Reginald Osagie Akpata Edo cup 2.0
WO2020046544A1 (en) * 2018-08-27 2020-03-05 Miir Holdings, Llc Pour-over frame,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USD916562S1 (en) * 2019-01-11 2021-04-20 Adrian Potter Ice barrier for drinking vessels
USD901241S1 (en) * 2019-01-22 2020-11-10 Dripkit Inc. Pour over coffee apparatus
USD906046S1 (en) * 2019-04-12 2020-12-29 Miir Holdings, Llc Device for holding a coffee filter and coffee grounds while pouring water through the coffee grounds to make coffee
USD906047S1 (en) * 2019-04-12 2020-12-29 Miir Holdings, Llc Component of a device for holding a coffee filter and coffee grounds while pouring water through the coffee grounds to make coffee
JP6710385B1 (ja) * 2019-09-03 2020-06-17 キーコーヒー株式会社 抽出バッグ
CN114007868B (zh) * 2019-09-03 2023-11-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滴头及其制造方法
CN115135206B (zh) * 2020-02-26 2024-05-28 大纪商事株式会社 滴滤袋
JP7224609B2 (ja) * 2020-04-13 2023-02-20 大紀商事株式会社 抽出バッグ
USD946352S1 (en) 2020-07-02 2022-03-22 Miir Holdings, Llc Cup with lid
USD946346S1 (en) 2020-07-09 2022-03-22 Miir Holdings, Llc Lid with straw
USD1028598S1 (en) 2021-05-17 2024-05-28 Miir Holdings, Llc Pour-over kettle
USD1000199S1 (en) 2021-05-25 2023-10-03 Miir Holdings, Llc Combined lid with mouthpiece and cap
USD1015803S1 (en) 2021-05-25 2024-02-27 Miir Holdings, Llc. Lid for cup
WO2022251937A1 (pt) * 2021-06-04 2022-12-08 Jurerê Caffe Comércio De Alimentos Ltda Sachê filtro monodose compostável para preparo de café coado, chá e bebida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0909Y2 (ja) * 1982-06-03 1984-11-22 株式会社システムコミユニケ−シヨンズ コ−ヒ−抽出器
DE3713609A1 (de) * 1987-04-23 1988-11-10 Jacobs Suchard Gmbh Filter, insbesondere kaffeefilte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filters
JPH0621526U (ja) * 1991-02-18 1994-03-22 株式会社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コーヒー抽出器
US5318786A (en) * 1992-09-03 1994-06-07 Melvin Clarkson Suspended beverage infusion bag
US5605710A (en) * 1994-06-06 1997-02-25 Marathon Partners Single cup disposable coffee brewing device
US5842408A (en) * 1997-04-17 1998-12-01 Kabushiki Kaisha Doutor Coffee Coffee brewing package unit
JP3353050B2 (ja) * 2000-03-16 2002-12-03 田 さえ子 恩 ホルダー付嗜好性飲料抽出用バッグ
JP3674486B2 (ja) * 2000-09-27 2005-07-20 大紀商事株式会社 ドリップ用コーヒーフィルター
JP3553892B2 (ja) * 2001-02-20 2004-08-11 恩 田 さえ子 支持具付抽出バッグ、被抽出材料収容支持具付抽出バッグ、及びそれらの製造用シート複合体
CA2454479C (en) * 2001-07-30 2010-03-09 Ohki Co., Ltd. Drip bag
JP3793071B2 (ja) * 2001-11-05 2006-07-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ドリッパー
JP3967258B2 (ja) * 2002-12-04 2007-08-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ドリッパー
JP4070628B2 (ja) * 2003-02-13 2008-04-02 不双産業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JP2007145346A (ja) * 2005-11-25 2007-06-14 Yasuo Hirose チューブ容器の収納箱体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3718A (ko) * 2012-12-11 2015-02-05 오끼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드립 백
KR20150013785A (ko) * 2012-12-11 2015-02-05 오끼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드립 백
US10246252B2 (en) 2012-12-11 2019-04-02 Ohki Co., Ltd. Drip bag
US10730692B2 (en) 2012-12-11 2020-08-04 Ohki Co., Ltd. Drip bag
US10906731B2 (en) 2012-12-11 2021-02-02 Ohki Co., Ltd. Drip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46050A (zh) 2011-05-04
KR101494490B1 (ko) 2015-02-17
TWI366542B (ko) 2012-06-21
JP5326366B2 (ja) 2013-10-30
CA2723082A1 (en) 2009-12-03
TW200948686A (en) 2009-12-01
EP2281492A4 (en) 2014-06-25
US8746131B2 (en) 2014-06-10
CA2723082C (en) 2016-02-02
CN102046050B (zh) 2014-08-20
WO2009144852A1 (ja) 2009-12-03
US20120000369A1 (en) 2012-01-05
JP2010004897A (ja) 2010-01-14
EP2281492A1 (en)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2565A (ko) 드립 백
EP1419720B1 (en) Drip bag
US10906731B2 (en) Drip bag
JP6104212B2 (ja) ドリップバッグ
WO2014091568A1 (ja) ドリップバッグ
WO2009020132A1 (ja) 嗜好性飲料抽出用バッグ
WO2007018302A1 (ja) 嗜好性飲料抽出用バッグ
JP6750662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5071640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5640754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2010042847A (ja) 嗜好性飲料抽出用バッグ及びその作成用原料シート
JP7148907B2 (ja) ドリップバッグ
EP1258218B1 (en) Support-equipped extraction bag, extraction-subject material containing support-equipped extraction bag, and sheet complex for producing the same
JP2004195198A (ja) ドリッパー
JP5046847B2 (ja) カップ上載置式支持具付嗜好飲料抽出バッグ及び抽出方法
JP7250278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7452859B2 (ja) ドリップバッグ
WO2006070500A1 (ja) コーヒー及びお茶類抽出用バッグ
JP7249644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4061176B2 (ja) ドリッパー
CN115135206A (zh) 滴滤袋
JP2012187240A (ja) 抽出用フィルタ
JPH11206574A (ja) コーヒー及びお茶類抽出用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