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2040A - 기울임 가능한 등받이를 갖는 의자 - Google Patents

기울임 가능한 등받이를 갖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2040A
KR20110022040A KR1020117000245A KR20117000245A KR20110022040A KR 20110022040 A KR20110022040 A KR 20110022040A KR 1020117000245 A KR1020117000245 A KR 1020117000245A KR 20117000245 A KR20117000245 A KR 20117000245A KR 20110022040 A KR20110022040 A KR 20110022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movement
tilting
chair
elastic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가타히라
다츠오 핫타
시게오 니시무라
나리아키 가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내셔널 유니버시티 코포레이션 홋카이도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내셔널 유니버시티 코포레이션 홋카이도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Publication of KR20110022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with a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6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coil springs
    • A47C1/0327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coil springs of torsi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bar or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bar or leaf springs
    • A47C1/03279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bar or leaf springs of torsi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6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with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Tilt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ABS의 개념을 사무용 의자 등 일반 의자에도 적용하여, 후경 움직임 및 복귀 움직임에 있어서 머리와 목부 등의 신체의 부하를 경감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등받이를 뒤로 기울이는 회동 암의 움직임에 대하여 복귀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지는 제1 탄성수단과, 좌부의 전방 방향과 수평한 인장방향의 가압력을 가지는 제2 탄성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 탄성수단 및 제2 탄성수단은, 등받이의 후경 움직임으로 선형적으로 반력이 커지게 되는 동시에, 복귀 움직임에 있어서의 반력의 변화가 상기 후경 움직임과 동일한 상으로 되도록 탄성 특성을 조정시킨 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울임 가능한 등받이를 갖는 의자{CHAIR WITH TILTABLE BACKREST}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울임 가능한 등받이를 갖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자의 기울임 장치로서, 다리 지주(leg column)의 상부의 고정 틀체에 좌석의 등 지주(back cloumn)가 기울임 가능하게 장착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고정 틀체 내에 하나의 암(arm)이 고정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상기 등 지주에 연계 되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다른 암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작용부재와, 상기 등 지주의 후경(backward tilting)에 수반하여 상기 작용부재를 상기 다른 암의 길이가 짧은 위치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다른 암을 따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수단을 구비한 것이 제안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후경에 수반하는 하중의 중심 이동에 의해 작용부재에 걸리는 하중의 변화량이 증대하여도, 작용부재는, 후경에 수반하여 스프링의 다른 암의 길이를 짧게 하는 위치에서 스프링에 작용한다. 그러므로 하중의 변화량에 대한 스프링의 변위량을 작게 할 수가 있어, 기울임 범위를 통해서 기울임량에 대한 스프링의 변위량(반력)이 안정화 되어, 체감상 안정된 기울임 감각을 줄 수가 있고, 특히 기울임 말기에 있어 불안정감이 없는 기울임 감각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의자에 착석해 등받이를 뒤로 기울이는 경우, 착석자는, 우선, 엄지발가락에 의해 바닥을 누르고, 이것에 의해 생기는 힘이 발목 관절, 무릎 관절, 고관절을 거쳐 골반에 작용하여, 중심의 이동과 함께 등받이를 뒤로 기울이게 된다.
이것은, 휠체어에 장애자가 앉아있는 것(seating)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해명된 일련의 작용이며, 어떠한 의자에도 적응 가능한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얻어지기 어렵지만, 정상인에도 들어맞는 앉아있음의 본질을 해명한 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휠체어에 있어서의 앉아있음의 연구로서 머리 및 목부의 정렬(alignment) 적정화를 목표로 하는 기술을 액티브 밸런스 시팅(Active Balance Seating)(이하 "ABS")이라고 한다.
일본 특허공개 평07-289383 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뒤로 기울일 때에 있어서의 착석자의 중심 이동에 주목하여, 후경(backward tilting)말기(후경의 최대 각도)의 안정감을 제공하는 것이지만, 상기 엄지발가락을 후경 동작의 시점으로 하는 움직임을 고려하면, 후경에 의한 머리와 목부의 부담을 해소하는 것은 아니었다.
즉, 종래의 의자에서는, 상기 일련의 작용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등받이를 뒤로 기울이는 구성으로는 되지 않고, 착석자는 등을 사용해 흉곽으로 등받이를 넘어뜨리고 있었다. 또, 착석면이나 등받이의 시트도 특히 상기 일련의 작용을 서포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엄지발가락으로 바닥을 딛었을 때의 힘이 반드시 골반에 능숙하게 전달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중심 이동의 관점에서는 종전의 의자에 비해 불안정감은 해소하였지만, 후경시에 배굴반사(dorsal flexion reflex)가 생겨 신체에 부담을 준다고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앞쪽으로 기울이는 동작을 취할 때는, 신체적으로 배쪽의 근육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착석자가 뒤로 기울이는 움직임으로부터 전환하는 복귀 기울임(return tilting)의 경우, 상기 배쪽 근육운동에 선행해 목부의 굴곡에 의한 중심 이동이 선행한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이러한 복귀 기울임에 관한 케어에 대해 서포트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등받이가 상기 신체 운동을 충분히 서포트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복귀 기울임에 대해서, 경부에 큰 부하가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ABS의 개념을 사무용 의자 등 일반 의자에도 적용해서, 뒤로 기울이는 움직임과 복귀하는 움직임에 대해 머리와 목부 등의 신체의 부하를 경감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다리 지주의 상부에 고정된 수용대(receiving base)와; 이 수용대의 상부에 설치된 좌부(seat portion)와; 이 좌부의 후방에 세워 설치된 등받이와; 이 등받이를 기울이기 위한 회동 기구; 를 구비한 의자로서, 상기 회동 기구는, 일단을 수용대에 회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고, 타단을 등받이에 고정하여, 등받이를 기울이는 회동 암과, 등받이를 뒤로 기울이는 회동 암의 움직임에 대하여 복귀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지는 제1 탄성수단과, 등받이를 뒤로 기울이는 회동 암의 움직임에 대하여 상기 좌부 전방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의 가압력을 가지는 제2 탄성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탄성수단 및 제2 탄성수단은, 등받이의 후경(backward tilting) 움직임으로 선형적으로 반력이 커지는 것과 함께, 복귀 기울임에 있어서의 반력의 변화가 상기 후경 움직임과 동일한 상(phase)이 되도록 탄성 특성을 조정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ABS의 개념에 근거하여, 제1 탄성수단과 제2 탄성수단의 상보적인 작용에 의해, 후경시에 있어서의 등받이의 반력은, 선형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후경 움직임에 대해서는 반력의 증대에 수반하여 후경 각도가 커짐에 따라 완만하게 작용하고, 되돌아가는 움직임에 대해서는, 중심 이동에 선행하는 머리와 목부의 초기 움직임으로부터 후경 움직임과 동일한 궤도를 나타내도록 작용한다.
상기 제 1 탄성수단은, 상기 수용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암의 축을 권회부(wound portion)에 헐겁게 끼우고, 일단을 회동 암에 걸고, 타단을 등받이의 후경 움직임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반력 조정 가능하도록 고정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제 2 탄성수단은, 상기 수용대 내부에 설치되어 일단의 후크를 상기 좌부의 전방 방향으로 설치된 고정 걸림부에 걸고, 타단의 후크를 상기 회동 암에 연결된 연결부에 걸고, 회동 암이 등받이를 후경시키면, 이 회동 암의 움직임에 연동한 상기 연결부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신장 반력이 발생하는 인장 스프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울임 작용은, 예를 들어, 스프링 특성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판 스프링을 단일체로 사용해도 실현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내구성의 저하 및 고비용이라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내구성 및 코스트 측면을 고려하여,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인장 스프링의 상기 편성으로 하였다.
상기 좌부의 착석면은, 상기 기울임시에, 착석면으로 골반의 압력 중심의 이동을 전후의 넓은 범위에서 생기게 하여, 좌골 결절(ischial tuberosity)의 전방부를 지탱하도록, 좌골 결절부를 깊게 가라앉게 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등받이의 시트는, 상기 후경시에, 서서히 흉곽을 후방으로 해방시키고, 골반을 후방으로부터 지탱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착석면 및 등받이의 시트는, 기울임시에 있어서의 착석자의 신체적인 부담을 서포트하는 작용을 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엄지발가락에 의해 생기는 힘을 계기로 한 중심 이동에 의한 기울임을 실현함으로써, 후경 움직임 및 복귀 기울임에 있어서의 머리와 목부의 부하를 경감시켜, 순조롭고 쾌적한 기울임감(tilting feeling)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뒤로 기울이기 전의 수용대 내부의 상태도이다.
도 2b는 뒤로 기울인 후의 수용대 내부의 상태도이다.
도 3은 반력 조정 기구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a1은 착석면에 슬릿을 마련한 착석용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4a2는 도 4a1의 측단면도이다.
도 4b1은 착석면에 네트 소재를 이용한 착석용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4b2는 도 4b1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등받이의 기울임시의 변화(경사각도와 반력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다리 지주이며, 다리 지주(1)의 하부는 다리부(2)에 끼워지고, 다리부(2)는 도시하지 않은 끼움구멍으로부터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복수의 다리를 가진다. 다리부(2)는, 각 선단부에 설치된 캐스터(3)를 통하여 바닥면에 접촉하고 있다.
다리 지주(1)의 상부에는, 가스 스프링 등(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다리 지주(1)를 신장 및 회전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끼워맞춤부(4)를 설치하고 있다. 끼워맞춤부(4)의 상부에는 수용대(receiving base)(5)를 통하여 시트 프레임(seat frame)(7)이 설치되고, 시트 프레임(7)은 상기 끼워맞춤부(4)의 작용에 의해 다리 지주(1)의 신장 혹은 회전에 수반하여 신장 및 회전한다. 또한 수용대(5)와 시트 프레임(7)은, 수용대(5)의 상부에 설치된 볼록한 모양의 연결부(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시트 프레임(7)의 위에는 착석용 부재(8)가 덮이고, 후단에는 등받이(9)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 등받이(9)의 하단에는 등받이(9)를 기울이는 회동 암(1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장착되고 있다. 이 회동 암(10)의 타단은 수용대(5)의 측면 후방부에 회동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착석자가 등받이(9)에 체중을 실어 기대면 회동 암(10)이 아래쪽으로 회동하고, 등받이(9)는 뒤로 기울어진다. 즉, 리클라이닝(recline)한다. 또한 뒤로 기울어질 때의 반발(backlash)을 억제하기 위해서, 시트 프레임(7)의 측면 후방부에는, 고정축(11)이 등받이와 대략 평행하게 세워 설치되고, 회동 암(10)과 대략 평행하고 일단이 고정축(11)에 회동 자유롭게 장착되고 타단이 등받이(9)에 고정되어 장착된 보조 회동 암(12)이, 회동 암(10)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 암(10)이 등받이(9)를 기울이기 위해서 회동하면, 보조 회동 암(12)도 연동하여 회동하는 링크 형상의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 암(10), 고정축(11) 및 보조 회동 암(12)은, 모두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정면에서 볼 때 좌우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수용대(5)는,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9)의 기울임을 제어하는 각 구성부품을 내설하는 베이스부(51)를 가진다. 베이스부(51)에는, 상기 좌우의 회동 암(10)을 피벗 지지하는 회전축(52)이 설치되어 있다.
회동 암(10)이 등받이를 뒤로 기울이는 경우에, 이 회동 암(10)의 움직임에 대해서 되돌려 기울이는 방향으로 반력을 미치게 하기 위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이 사용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은, 권회부에 회전축(52)을 헐겁게 끼우고, 권회부로부터 접선 상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양단부 중 일단은 회동 암(10)에 장착된 걸어멈춤부(101)에 걸리고, 타단은 브래킷(56)을 통하여 반력 조정부(54)에 의해 가압되고 있다. 또한, 반력 조정부(54)의 상부에는 가이드부(55)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51)의 내부에는 회전축(52)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소정의 범위 이상 회동 암(10)을 회동시키지 않는 잠금 기구를 갖춘 내부 베이스부(57)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53) 외에, 베이스부(51) 전방(즉, 시트 프레임(7)의 전방 방향)과 내부 베이스부(57)에 각각 걸림 핀을 설치하고, 양쪽 걸림 핀에 양단의 후크를 걸어 놓은 인장 스프링(58)도 설치되어 있다.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53) 및 인장 스프링(58)은, 한 개씩 설치하는 것도 좋지만, 브래킷(56)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한 쌍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53) 및 인장 스프링(58)을 이용하고 있지만, 같은 작용을 하는 것이라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탄성 부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도 2a 및 2b는 수용대(5)의 부분 확대도로서, 도 2a는 회동 암(10)의 정상 상태, 즉 등받이를 뒤로 기울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뒤로 기울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53a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의 장 단부(long end)이며, 53b는 단 단부(short end)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 단부(53a)와 단 단부(53b)란,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의 권회부로부터 접선 상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 단부(53b)는 브래킷(56)을 통하여 소정의 조정 위치에서 반력 조정부(54)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 인장 스프링(58)에 대해서도,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51) 전방에 걸림 핀(51a)을, 내부 베이스부(57)에 걸림 핀(57a)을 각각 설치하고 있다.
도 2b에서, 회동 암(10)이 회동하면, 장 단부(53a)는 걸어멈춤부(101)에 밀리고, 단 단부(53b)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축(52)의 축주위에서 비틀림 모멘트를 받아 복귀 방향으로 가압력이 발생된다. 한편, 인장 스프링(58)은, 회동 암(10)의 후경(backward tilting) 움직임에 따라 연동하는 내부 베이스부(57)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시트 프레임(7)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끌려가기 때문에, 신장 방향으로 반력으로서의 가압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회동 암(10)의 회동에 의해 등받이(9)가 뒤로 기울어짐에 따라,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에 의한 상기 가압력과 인장 스프링(58)의 상기 가압력의 합성된 가압력에 의해 점차 반력이 증대되어, 후경 속도를 억제하게 된다.
도 3은 반력 조정 기구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는 브래킷(56)의 좌측에만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을 설치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브래킷(56)의 우측에도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을 설치하여도 좋다.
반력 조정부(54)는 가압편(pressing piece)(54a)과 피가압편(pressed piece)(54b)으로 구성되고, 각각 동일 경사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양쪽 경사면이 대향 접촉하고 있다. 가압편(54a)에는 조정 나사(54c)가 나사결합 되어 있다. 가압편(54a)의 경사면과 반대쪽 표면에는, 가이드부(55)가 설치되어 있다. 피가압편(54b)의 경사면과 반대쪽의 아래쪽 면은 브래킷(56)의 가압 돌기부(56a)와 접촉하고 있고, 가압 돌기부(56a)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의 단 단부(53b)와 교차하듯이 접촉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부(55)는, 조정 나사(54c) 및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의 권회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조정 나사(54c)를 풀림 방향 또는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편(54a)은 가이드부(55)를 따라 이동한다. 가압편(54a)이 이동하면 가압편(54a)의 경사면과 피가압편(54b)의 경사면이 미끄럼 운동하고, 가압편(54a)의 경사면의 경사를 따라 피가압편(54b)이 아래쪽으로 가압되거나 혹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상하 운동한다.
피가압편(54b)의 상기 상하 운동에 수반해서, 가압 돌기부(56a)를 통하여 단 단부(53b)가 비틀어져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의 받침점 위치 각도가 변화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에 의한 반력으로서 가압력을 조정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착석자의 체중의 차이에 따른 등받이(9)의 최적 반력을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정 나사(54c)를 도시하지 않은 조정 다이얼로 착석자가 수동으로 조정하는 구성을 가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착석자의 체중을 검지해 최적 반력 조정을 자동으로 행하는 공지의 구성을 구비한 것이라도 좋다.
도 4a1 내지 4b2는, 착석용 부재(8)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1에서 나타낸 예는, 착석용 부재(8a)의 착석면의 깊이 방향을 향해, 깊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슬릿(81a)을 일정 간격으로 복수 라인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슬릿(81a) 가운데, 착석면 앞쪽(도면의 좌측) 가장 앞의 슬릿(81a)에는, 슬릿(81a)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짧은 절개부(82a)를 빗의 빗살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4a2는 도 4a1의 착석용 부재(8a)의 측단면도이다. 착석용 부재(8a)의 표면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곡선은, 착석자가 앉았을 때의 변형(f)을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f)의 최하단은 골반의 압력 중심이 되지만,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슬릿(81a)이 설치되지 않은 착석용 부재에 비해 골결절부(tuberosity)를 깊게 가라앉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압력 중심의 이동을 전후의 넓은 범위에서 생기게 하는 동시에, 절개부(82a)에 의해 좌골결절(ischial tuberosity)의 전방부를 지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후경시에 이른바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엄지발가락으로 바닥을 딛었을 때의 힘을 골반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b1은 착석용 부재(8b)로서, 틀(81b) 내의 소재로 네트(net) 소재(82b)를 이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b2의 측단면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착석시 변형(f)이 야기된다. 효과로서는, 도 4a1 및 4a2의 슬릿을 마련한 것과 같지만, 네트 소재(82b)가, 착석시의 체압 분포나 움직임에 대해서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또한 도 4a1 내지 4b2에서는 착석면의 부재에 대해 설명했지만, 엄지발가락으로 바닥을 딛었을 때의 힘을 골반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등받이의 시트에 대해서도 후경시에, 서서히 흉곽을 후방으로 해방하고, 골반을 후방으로부터 지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등받이의 시트의 소재로서는, 올레핀계 일래스터머(폴리프로필렌 + 가교 EPDM 20%)가 적합하다.
도 5는 등받이의 기울임시의 변화(경사각도와 반력과의 관계)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 단일체의 경우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 및 인장 스프링을 조합했을 경우로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실선으로 나타낸 것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 및 인장 스프링 조합의 기울임시 변화를 나타내고, 점선으로 나타낸 것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 단일체의 기울임시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실선 a1 및 점선 b1은 후경시의 변화이며, a2 및 b2는 복귀 움직임시의 변화이다.
도 5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실선 a1, 실선 a2로 나타내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및 인장 스프링의 조합의 경우는, 변화가 대략 리니어한 선형을 나타내고, 후경 움직임과 복귀 움직임이 대체로 동일한 상(phase)의 변화를 나타내며, 양자의 반력의 차이는 비교적 작다.
한편, 점선 b1, 점선 b2로 나타내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단일체의 경우는, 등받이의 경사각도 5도 전후로부터 급격하게 반력의 변화가 작아지고, 또한 후경 움직임과 복귀 움직임과의 반력의 차이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 및 인장 스프링의 조합의 경우에 비해 크다.
이상부터, 비틀림 코일 스프링 및 인장 스프링의 조합의 경우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단일체의 경우에 비해, 후경 움직임에 있어서는 경사각도가 커짐에 따라 반력이 커지므로 점차 후경속도를 억제할 수가 있어 완만한 후경 동작을 실현할 수가 있고, 복귀 움직임에 있어서는 후경 움직임으로부터의 되돌림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가 있어, 마치 흔들의자와 같은 움직임을 재현하듯이 작용한다. 따라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 및 인장 스프링의 편성은, 기울임시에 있어서의 머리와 목부 등의 신체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인정된다.
1 다리 지주
2 각부
3 캐스터
4 감합부
5 수용대
6 연결부
7 자리 프레임
8 착석용 부재
9 키도 늘어뜨림
10 회동 암

Claims (5)

  1. 다리 지주의 상부에 고정된 수용대(receiving base)와; 이 수용대의 상부에 설치된 좌부(seat portion)와; 이 좌부의 후방에 세워 설치된 등받이와; 이 등받이를 기울이기 위한 회동 기구; 를 구비한 의자로서,
    상기 회동 기구는, 일단을 상기 수용대에 회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고 타단을 상기 등받이에 고정하여 등받이를 기울이는 회동 암과, 등받이를 뒤로 기울이는 회동 암의 움직임에 대하여 복귀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지는 제1 탄성수단과, 등받이를 뒤로 기울이는 회동 암의 움직임에 대하여 상기 좌부의 전방 방향과 수평한 인장 방향의 가압력을 가지는 제2 탄성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탄성수단 및 제2 탄성수단은, 등받이의 후경(backward tilting) 움직임으로 선형적으로 반력이 커지는 것과 함께, 복귀 기울임에 있어서의 반력의 변화가 상기 후경 움직임과 동일한 상(phase)이 되도록 탄성 특성을 조정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수단은, 상기 수용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암의 축을 권회부(wound portion)에 헐겁게 끼우고, 일단을 회동 암에 걸고, 타단을 등받이의 후경 움직임에 저항하는 가압력이 생기도록 고정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수단은, 상기 수용대 내부에 설치되어 일단의 후크를 상기 수용대의 상기 좌부 전방측에 설치된 고정 걸림부에 걸고, 타단의 후크를 회동 암의 움직임에 연동하도록, 상기 축에 부착된 연동부에 상기 인장 방향의 가압력이 생기도록 거는 인장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부의 착석면은, 상기 기울임시에, 착석면 상에서 골반의 압력 중심의 이동을 전후의 넓은 범위에서 생기게 하여 좌골결절 전방부를 지탱하도록, 좌골결절부를 깊게 가라앉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시트는, 상기 후경시에, 서서히 흉곽을 후방으로 해방하고, 골반을 후방으로부터 지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117000245A 2008-06-05 2009-06-05 기울임 가능한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201100220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8540 2008-06-05
JP2008148540 2008-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040A true KR20110022040A (ko) 2011-03-04

Family

ID=4139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245A KR20110022040A (ko) 2008-06-05 2009-06-05 기울임 가능한 등받이를 갖는 의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98855B2 (ko)
KR (1) KR20110022040A (ko)
CN (1) CN102056512B (ko)
TW (1) TW201016170A (ko)
WO (1) WO20091478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22015025310B1 (pt) 2011-10-04 2021-01-12 Formway Furniture Limited cadeira
DE202012002288U1 (de) * 2012-03-08 2012-05-11 Walter Knoll Ag & Co. Kg Funktionsstuhl
CN103799741B (zh) * 2012-11-01 2017-06-20 奥弗·巴查 座椅靠背,座椅装置及方法
IT201600071468A1 (it) * 2016-07-08 2018-01-08 Co Fe Mo Ind S R L Meccanismo di oscillazione per sedie
TWI808904B (zh) * 2022-10-04 2023-07-11 宣禹實業股份有限公司 椅具之座背連動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6950A (en) * 1987-02-09 1989-01-10 Haworth, Inc. Tilt mechanism, particularly for knee-tilt chair
DE3930983C2 (de) * 1989-09-16 1993-09-30 Rolf Voelkle Sitzmöbel mit neigungsverstellbarer Sitzfläche
DE4135948C2 (de) * 1991-10-31 1993-12-23 Rolf Voelkle Stuhl, insbesondere Bürodrehstuhl
JPH07289383A (ja) * 1994-04-27 1995-11-07 Tokai Kinzoku Kogyo Kk 椅子の傾動装置
JP3652401B2 (ja) * 1995-04-25 2005-05-25 株式会社内田洋行 椅子の背部傾動装置
US6086153A (en) * 1997-10-24 2000-07-11 Steelcase Inc. Chair with reclineable back and adjustable energy mechanism
JP4727805B2 (ja) * 2000-11-06 2011-07-20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における操作レバー構造
GB0100388D0 (en) * 2001-01-06 2001-02-14 Unit Press Ltd Chairs
JP4848099B2 (ja) * 2001-07-18 2011-12-28 タカノ株式会社 椅子
JP4064679B2 (ja) * 2002-02-05 2008-03-19 コクヨ株式会社 椅子
DE202005006960U1 (de) * 2005-04-28 2006-08-31 Bock 1 Gmbh & Co. Kg Synchronmechanik
CN1775144A (zh) * 2005-12-09 2006-05-24 黄星浩 座椅靠背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7869A1 (ja) 2009-12-10
TW201016170A (en) 2010-05-01
JP5598855B2 (ja) 2014-10-01
CN102056512A (zh) 2011-05-11
CN102056512B (zh) 2013-06-12
JPWO2009147869A1 (ja)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1050B2 (ja) 椅子、特にオフィス用椅子
US5385388A (en) Split back chair
US4695093A (en) Work chair
FI104615B (fi) Järjestely nojatuoliin, jossa on säädettävä selkänoja
CA2087981A1 (en) Work chair, more particularly an office chair
US6422649B2 (en) Chair
WO2007021005A1 (ja) 椅子
JPH06189836A (ja) 作業用いすのいす機構
CN113229663B (zh) 一种椅背调节机构
CN215271602U (zh) 一种可前后倾仰的椅子
KR20110022040A (ko) 기울임 가능한 등받이를 갖는 의자
US10973326B2 (en) Seating furniture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CN113142869A (zh) 一种可前后倾仰的椅子
US5388889A (en) Torque control mechanism for chairs
JP2980185B2 (ja) 椅子の座の傾動方法および傾動自在の座を備えた椅子
JP3080585B2 (ja) 椅 子
JPH09238768A (ja) 椅子の座受支持機構
JP2001299499A (ja) 椅子の背凭れ構造
KR200423861Y1 (ko) 의자
JP2797273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KR20120061581A (ko) 요추부 지지 의자
KR102210240B1 (ko) 탄성력 조절이 가능한 의자 등받이 경사 조절기구
JP2004160055A (ja) 身体障害者用椅子
KR20120063643A (ko)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