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074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074A
KR20110021074A KR1020090078652A KR20090078652A KR20110021074A KR 20110021074 A KR20110021074 A KR 20110021074A KR 1020090078652 A KR1020090078652 A KR 1020090078652A KR 20090078652 A KR20090078652 A KR 20090078652A KR 20110021074 A KR20110021074 A KR 20110021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air
vehicle
floor duct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3669B1 (ko
Inventor
김진호
연동원
황인욱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8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669B1/ko
Priority to US12/617,233 priority patent/US8887797B2/en
Priority to CN200910225630.8A priority patent/CN101995056B/zh
Priority to DE102009044760.1A priority patent/DE102009044760B4/de
Publication of KR20110021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1/000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e air being firstly cooled and subsequently heated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얇은 두께의 공조케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가 소개된다. 이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0)와, 공조케이스(100)의 전후 내부공간에 차례로 설치되는 증발기(200) 및 히터코어(300)와, 히터코어(300)의 후방측 내부공간을 상부공간부(410)와 하부공간부(420)로 분할하는 격벽(400)과, 상부공간부(410)와 측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상부공간부(410)의 양측부에 연결되는 플로어덕트(500)와, 격벽(400)의 측부공간에 설치되어 상부공간부(4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로어도어(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조케이스, 증발기, 히터코어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얇은 두께의 공조케이스의 측방향으로 프론트 플로어 덕트와 리어 플로어 덕트가 구비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내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장치가 마련된다. 이 공조장치는 히터에서 온기를 발생시켜 겨울철에 차내를 따뜻하게 유지하고, 증발기로부터 냉기를 발생시켜 여름철에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와, 이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20)와 히터(30)로 크게 구성된다. 증발기(20)는 공조케이스(10)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냉각시키고, 히터(30)는 공조케이스(10)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온기를 발생시킨다.
또한, 공조장치에는 히터(30) 또는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를 차내로 토출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40), 페이스 벤트(42), 샤워 벤트(44), 및 플로어 벤트(46) 등이 마련된다. 여기서, 디프로스트 벤트(40)는 디프 모드(Def Mode) 또는 믹스 모드(Mix Mode)시 히터(30) 또는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를 전면유리 방향 으로 토출하고, 페이스 벤트(42)는 벤트 모드(Vent Mode) 또는 바이 레벨 모드(Bi-Level Mode)시 히터(30) 또는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를 운전자와 승객의 얼굴 방향으로 토출하며, 샤워 벤트(44)와 플로어 벤트(46)는 플로어 모드(Floor Mode) 또는 바이 레벨 모드(Bi-Level Mode)시 히터(30) 또는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를 운전자의 승객의 무릎과 다리 및 실내의 바닥면 또는 후석으로 토출한다.
그런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공조장치의 경우 공기를 플로어 벤트(46)로 토출하기 위해 공조케이스의 후방측에 별도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차내에서 공간 집약적인 배치설계의 구현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얇은 두께의 공조케이스를 통해 차내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 증발기, 히터코어, 배분격벽을 포함한다. 증발기 및 히터코어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전후 내부공간에 차례로 설치되고, 격벽은 상기 히터코어의 후방측 내부공간을 상부공간부와 하부공간부로 분할하고, 플로어 덕트는 상기 상부공간부와 측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공간부의 양측부에 연결되며, 플로어도어는 상기 격벽의 측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공간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때, 상기 하부공간부는 상기 히터코어를 통과한 공기의 상승 유동을 안내하는 상승유로(U)이고, 상기 플로어 덕트는 상기 상부공간부를 통과한 공기의 하강 유동을 안내하는 하강유로(D)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로어 덕트는 일체물로 구성되는 프론트 플로어 덕트와 리어 플로어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공간부에는 상기 리어 플로어 덕트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리어 플로어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플로어도어는 돔 타입의 플로어도어이고, 리어 플로어도어는 플랫 타입의 플로어도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체물로 구성된 프론트 플로어 덕트 및 리어 플로어 덕트가 하나의 플로어도어를 통해 공기 조절이 되므로, 차실내의 전석 및 후석으로 공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어 플로어도어를 통해 리어 플로어 덕트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차실내의 후석을 선택하여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공기를 플로어 덕트로 보내기 위한 별도 공간이 공조케이스의 후방측에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얇은 두께의 공조케이스 구성이 가능하여, 좁은 차내에서 공간 집약적인 부품 배치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 3에서 플로어도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히터코어(300)의 후방측 공조케이스(100) 내부공간을 상부공간부(410)와 하부공간부(420)로 분할하고, 상부공간부(410)에 플로어덕트(500)가 측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통해, 얇은 두께의 공조케이스(100)를 구현하면서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의 전석 및 후석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공조케이스(100)는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임의 공간을 가지며, 이 임의 공간에는 송풍기(130)와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선별적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공조케이스(100)의 전후 내부공간에는 공기를 냉각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증발기(200)와, 공기를 가열하여 온기를 발생시키는 히터코어(300)가 차례로 마련된다. 그리고 공조케이스(100)의 상부에는 공기 토출을 위한 상부토출구(110)가 마련되는데, 이 상부토출구(110)는 공기를 전면유리 방향으로 토출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와, 공기를 운전자와 승객의 얼굴 방향으로 토출하기 위한 페이스 벤트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공조케이스(100)에는 히터코어(300)의 후방측 내부공간을 상부공간부(410)와 하부공간부(420)로 분할하는 격벽(400)이 마련된다.
이 격벽(400)은 히터코어(300)의 후방측 내부공간이 상하로 분할되게 설치됨으로써, 히터코어(300)를 통과한 공기의 흐름이 공조케이스(100) 내에서 상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한다. 즉, 히터를 통과한 공기는 하부공간부(420)를 통과한 후, 격벽(400)의 측부공간을 통해 상부공간부(41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하부공간 부(420)는 공기의 상승 유동을 안내하는 상승유로(U)가 된다. 반면, 상부공간부(410)에 연결되는 플로어덕트(500)는 차실내의 바닥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하강유로가 된다.
공조케이스(100)의 상부공간부(410)에는 플로어덕트(500)가 연통되게 연결된다. 플로어덕트(500)는 전석 바닥에 공기를 토출하는 프론트 플로어덕트(510)와, 후석 바닥에 공기를 토출하는 리어 플로어덕트(520)로 구성된다.
이들 프론트 플로어덕트(510)와 리어 플로어덕트(520)는 일체물로 구성되거나 별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플로어덕트(510)는 프론트 플로어덕트 입구(511)를 통해 상부공간부(410)의 양측부에 측방향으로 연결되고, 리어 플로어덕트(520)는 리어 플로어덕트 입구(521)를 통해 상부공간부(410)의 양측부에 측방향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공간부(410)로 이동된 공기는 프론트 플로어덕트 입구(511)를 통해 프론트 플로어덕트(510)로 이동되거나, 리어 플로어덕트 입구(521)를 통해 리어 플로어덕트(520)로 이동될 수 있다.
공조케이스(100)에는 상부공간부(4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로어도어(600)가 마련된다. 이 플로어도어(600)는 바람직하게 돔(로터리) 타입의 도어가 사용되며, 상부공간부(410)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증발기(200) 또는 히터코어(300)를 통과한 공기가 상부공간부(410)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도어(600)가 상부공간부(410)의 입구측을 폐쇄하고 상부토출구(110)를 향한 유로를 개방한 경우, 증발기(200) 또는 히터코어(300)를 통과한 공기는 상부토출구(110)를 향해 이동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도어(600)가 상부공간부(410)의 입구측을 개방하고 상부토출구(110)를 향한 유로를 폐쇄한 경우, 증발기(200) 또는 히터코어(300)를 통과한 공기는 상부토출구(11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물론, 플로어도어(600)가 상부공간부(410)의 입구측과 상부토출구(110)를 향한 유로를 모두 개방한 경우(미도시), 증발기(200) 또는 히터코어(300)를 통과한 공기는 상부토출구(110) 및 상부공간부(410)를 향해 이동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돔(로터리) 타입의 플로어도어(6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플로어도어(600)는 해당 형태에 따라 개폐방향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공간부(410)에는 리어 플로어덕트 입구(52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리어 플로어도어(6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리어 플로어도어(610)는 프론트 덕트 입구와 리어 플로어덕트 입구(521) 사이에서 회동되는 플랫 타입의 플로어도어 구조로, 리어 플로어덕트 입구(521)로 유입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즉, 프론트 플로어덕트 입구(511)와 리어 플로어덕트 입구(521)가 서로 연통되도록 리어 플로어도어(610)가 회동된 경우, 상부공간부(410)의 공기는 프론트 플로어덕트 입구(511)와 리어 플로어덕트 입구(521)를 통해 프론트 플로어덕트(510) 와 리어 플로어덕트(520)로 각각 이동될 수 있다.
반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프론트 플로어덕트 입구(511)와 리어 플로어덕트 입구(521)가 서로 구획되도록 리어 플로어도어(610)가 회동된 경우, 상부공간부(410)의 공기는 프론트 플로어덕트 입구(511)를 통해 프론트 플로어덕트(510)로 이동될 수는 있지만, 리어 플로어도어(610)에 의해 리어 플로어덕트(520)로 이동될 수는 없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a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 3에서 플로어도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도 6에서 리어 플로어도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공조케이스 200 :증발기
300 :히터코어 400 :격벽
500 :플로어 덕트 600 :플로어덕트

Claims (6)

  1. 공조케이스(100);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전후 내부공간에 차례로 설치되는 증발기(200) 및 히터코어(300);
    상기 히터코어(300)의 후방측 내부공간을 상부공간부(410)와 하부공간부(420)로 분할하는 격벽(400);
    상기 상부공간부(410)와 측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공간부(410)의 양측부에 연결되는 플로어덕트(500); 및
    상기 격벽(400)의 측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공간부(4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로어도어(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공간부(420)는 상기 히터코어(300)를 통과한 공기의 상승 유동을 안내하는 상승유로(U)이고,
    상기 플로어덕트(500)는 상기 상부공간부(410)를 통과한 공기의 하강 유동을 안내하는 하강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덕트(500)는 프론트 플로어덕트(510)와 리어 플로어덕트(520)가 일체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간부(410)에는 상기 리어 플로어덕트 입구(52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리어 플로어도어(61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도어(600)는 돔 타입의 플로어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도어(610)는 플랫 타입의 플로어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090078652A 2009-08-25 2009-08-25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13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652A KR101113669B1 (ko) 2009-08-25 2009-08-25 차량용 공조장치
US12/617,233 US8887797B2 (en) 2009-08-25 2009-11-12 Air-conditioner for vehicle
CN200910225630.8A CN101995056B (zh) 2009-08-25 2009-11-27 用于车辆的空调
DE102009044760.1A DE102009044760B4 (de) 2009-08-25 2009-12-03 Klima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652A KR101113669B1 (ko) 2009-08-25 2009-08-25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074A true KR20110021074A (ko) 2011-03-04
KR101113669B1 KR101113669B1 (ko) 2012-02-14

Family

ID=4352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652A KR101113669B1 (ko) 2009-08-25 2009-08-25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87797B2 (ko)
KR (1) KR101113669B1 (ko)
CN (1) CN101995056B (ko)
DE (1) DE10200904476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4805B1 (fr) * 2011-12-23 2015-04-17 Valeo Systemes Thermiques Caisson d'unite de ventilation, chauffage et/ou climatisation pour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CN104812599B (zh) * 2012-12-14 2017-02-22 法雷奥日本株式会社 车辆用空调装置的门保持构造及具备该门保持构造的车辆用空调装置
JP6420531B2 (ja) * 2013-09-11 2018-11-07 株式会社ケーヒン 車両用空調装置
CN103557563A (zh) * 2013-11-05 2014-02-05 柳州易舟汽车空调有限公司 汽车空调器
JP6592466B2 (ja) * 2016-01-18 2019-10-16 ハンオン システムズ 車両用空調システム
KR101776497B1 (ko) * 2016-05-10 2017-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개별공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4013Y2 (ja) * 1979-11-17 1983-10-05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 自動車用空調装置のヒ−タユニツト
JP3982097B2 (ja) * 1998-11-11 2007-09-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0326721A (ja) * 1999-05-20 2000-11-28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ユニット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2301925A (ja) 2001-04-03 2002-10-15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3894028B2 (ja) 2002-04-11 2007-03-1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082121B2 (ja) * 2002-07-26 2008-04-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007158B2 (ja) 2002-10-30 2007-11-1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4243784A (ja) 2003-02-10 2004-09-02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ユニット
JP3931818B2 (ja) 2003-02-13 2007-06-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4268712A (ja) 2003-03-07 2004-09-30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装置
DE102004060434A1 (de) * 2003-12-22 2005-07-28 Behr Gmbh & Co. Kg Mehrzonige Kraftfahrzeug-Klimaanlage
JP4082381B2 (ja) 2004-05-12 2008-04-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KR20060030386A (ko) 2004-10-05 2006-04-10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
US7726391B2 (en) * 2005-02-01 2010-06-01 Halla Climate Control Corp.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040845B1 (ko) * 2005-06-17 2011-06-1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036392B1 (ko) * 2005-02-01 2011-05-23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56302B1 (ko) 2005-02-23 2012-06-13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좌우독립 공조장치
JP4425842B2 (ja) * 2005-09-20 2010-03-03 株式会社ケーヒン 車両用空調装置
JP5107622B2 (ja) 2006-08-22 2012-12-2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自動車用空調装置
JP2008087575A (ja) 2006-09-29 2008-04-17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95056A (zh) 2011-03-30
US8887797B2 (en) 2014-11-18
US20110048673A1 (en) 2011-03-03
KR101113669B1 (ko) 2012-02-14
DE102009044760A1 (de) 2011-03-03
CN101995056B (zh) 2014-11-19
DE102009044760B4 (de)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9732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US8460073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11366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643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기토출 시스템
KR20180067761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26034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5225448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2017012106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2773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055246A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8003307A1 (ja) シート送風装置
KR10149214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200191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4114889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101151934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1450634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54488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20230562A1 (ja) 空気吹出部
KR200446552Y1 (ko) 차량용 공조유니트
KR20170115201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010109987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2104529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0958245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케이스
KR2015001692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999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