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896A -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896A
KR20110017896A KR1020107029869A KR20107029869A KR20110017896A KR 20110017896 A KR20110017896 A KR 20110017896A KR 1020107029869 A KR1020107029869 A KR 1020107029869A KR 20107029869 A KR20107029869 A KR 20107029869A KR 20110017896 A KR20110017896 A KR 20110017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tinuous casting
longitudinal cracks
determined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5035B1 (ko
Inventor
더크 라이프투히트
마르쿠스 레이퍼쉬트
마티아스 아즈베르거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10017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for vertica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B22D11/181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 B22D11/182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by measuring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0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removing cast stock
    • B22D11/201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removing cast stock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 B22D11/202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removing cast stock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by measuring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드 벽 내에 분포되는 열쌍에 의해 국부적 스트랜드 온도가 측정되는, 강철 슬래브의 연속 주조 동안에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결과로서의 스트랜드 붕괴의 위험성은, 상기 몰드 내에 배치되는 상기 열쌍에 의해 측정되는 현재 온도값을 고려하고, 크랙이 없을 때 판정 온도값에 기초하여 통계적으로 평가된다.

Description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PROCESS FOR PREDICTING THE EMERGENCE OF LONGITUDINAL CRACKS DURING CONTINUOUS CASTING}
본 발명은, 몰드 벽 내에 분포되도록 배치되는 열 부재(thermal elements)에 의해 국부적인 스트랜드의 온도를 측정하는, 강철 슬래브의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철의 연속 주조에서는 길이방향 크랙이 몰드 내에서 냉각 스트랜드에 형성된다. 길이방향 크랙은 연속 주조 몰드 내의 개별적 열 부재의 온도의 급격한 하강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몰드의 높이를 따라 분포되는 복수의 로우(row)의 열 부재에 의해 더 큰 예측 정확도가 얻어진다. 초기 검출 후에, 스트랜드에 의해 후속적으로 통과되는 열 부재의 로우들은 결함을 확인하며 결과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여러 가지 로우에서의 열 부재 신호는 타이밍에 대해 교정되어야 한다. 교정치는 열 부재의 로우들 사이의 간격 및 스트랜드의 현재 속도에 의해 주어지는데, 그것은 결함이 스트랜드 표면에, 고정된 방식으로 위치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JP 01210160 A 또는 JP 62192243 A에 기술된 것과 같은, 온도값의 직접 측정 및 평가에 의한 종래의 방법은, 열 부재의 높은 고장율(failure rate) 및 열 부재의 팁과 몰드의 구리 사이의 불량한 연결로 인해 자주 성공적이지 못하다. 이들 연결 문제로 인해, 신호는 온도 레벨에 대해 신뢰성이 매우 떨어진다.
다른 한편, 상술한 두 가지 사실은 각각의 몰드에 자체 "지문"(자체 패턴 또는 식별 이미지)을 남긴다. 이러한 지문은, 온도 레벨의 편차, 및 넓은 측부와 좁은 측부 상에 여러 개의 로우로 배치되는 많은 양의 열 부재의 전체 고장율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방향 크랙의 위험성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강철 슬래브의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몰드 벽 내에 분포되도록 배치되는 열 부재(thermal elements)에 의해 국부적 스트랜드(strand) 온도가 측정되고, 길이방향 크랙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스트랜드 내에서의 터짐(break-out)의 위험성의 통계적 평가는, 상기 몰드 내에 배치되는 상기 열 부재에 의해 측정되는 실제 온도값을 고려하고, 크랙이 없는 상태에서 판정되는 온도값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충족된다.
실시예는 종속항에 표시되며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공지된 방법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측정된 온도값의 통계적 평가에 의존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두 가지 방법 변경예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변경예는 모델 베이스 방법, 예를 들면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PCA)이다.
모델 베이스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실제 온도는 모델 및 따라서 이전의 주조로부터 얻어진 정보와 비교된다.
이러한 모델은, 길이방향 크랙이 없는 이력 데이터 세트(historica data set)로부터 얻어진다. 모델은, 찾는 결함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기술한다. 매 PCA 경보는, 퍼지 제어에 기초하는 전문가 판정 시스템에 의해 후속적으로 평가되며, 길이방향 크랙 또는 어떤 다른 규정되지 않은 결함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전문가 시스템은 PCA 경보의 검증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법은 상술한 2-단계 프로세스에 기초한다.
이 경우에, 결함 검출은 모델 베이스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모델 베이스 방법은, 설치의 실제 상태를, 이력 데이터로부터 판정되었던 정상 상태와 비교한다. 그 후에, 전문가 시스템은, 컬럼 내에 상하로 배치되며 길이방향 크랙이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열 부재의 신호를 평가한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결함 식별 및 결함 차단이 수행된다. 온도 구배에 기초하여, 길이방향 크랙 또는 어떤 다른 종류의 결함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측정된 온도값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고려하는 다른 방법 변경예에서, 3개의 위험성 인자들이 정의된다. 이들 위험성 인자들은, 길이방향 크랙에 의해 발생되는 터짐(break-out)의 위험성을 나타낸다. 이들 인자들 중 하나가 소정 크기를 초과하면, 길이방향 크랙에 의해 발생되는 터짐(break-out)에 대한 조치는, 다음번에 길이방향 크랙이 검출될 때에 취해진다. 이들 조치는, 주조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전자기 브레이크에 영향을 주거나, 구체적으로 주조 표면 레벨의 설정값을 변경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3개의 인자는 다음과 같다.
1. 넓은 측부를 따른 길이방향 크랙의 빈도 분포,
2. 넓은 측부를 따라 고려되는, 몰드의 수직 방향으로의 동적 온도 분포, 및/또는
3. 넓은 측부를 따라 고려되는, 몰드의 수직 방향으로의 정적 온도 분포의 변화.
모든 3개의 인자를 뒷받침하는 것은, 가까이 인접하는 큰 온도 구배는 원주 방향의 높은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따라서 길이방향 크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빈도 분포에 대해서, 몰드의 넓은 측부의 소정 위치에 발생하는 길이방향 크랙의 퍼센티지가 계산된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시간 순서도 고려된다. 기준이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임계치 침해의 넓은 측부 위치에서 길이방향 크랙이 발생하면 곧 조치가 취해진다.
수직 방향에서의 동적 온도 분포의 기준은, 열 부재 컬럼 내의 열 부재의 동적 변화의 평균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동적 변화는, 예를 들면 소정 기준 시간 주기에 걸친 측정치의 표준 편차 또는 변화에 의해 맵핑(mapped)된다. 열 부재 컬럼 당 이러한 계산된 평균 동적 변화가 인접 컬럼에서 급격히 다른 값을 발생시키면, 조치가 취해진다. 이들 조치는 제1 기준에서의 조치와 동일하다. 그러나, 조치는, 제2 기준의 임계치가 침해된 위치 근처에서 다른 길이방향 크랙이 발생하고, 이러한 길이방향 크랙이 발생할 때 제2 기준의 임계치가 여전히 초과되어야만 곧 효과를 가진다.
제3 기준은, 몰드의 넓은 측부를 따라 상부 열 부재 로우로부터 하부 열 부재 로우에 형성되는 온도 구배를 비교한다. 인접 컬럼 내의 온도 구배가 급격히 다른 값을 가지면, 제1 기준에서의 조치와 동일한 조치가, 이러한 특정 위치 근처에 길이방향 크랙이 발생하고, 길이방향 크랙이 발생할 때 제3 기준의 한계치가 여전히 초과되면 곧 취해진다.

Claims (8)

  1. 강철 슬래브의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몰드 벽 내에 분포되도록 배치되는 열 부재(thermal elements)에 의해 국부적 스트랜드(strand) 온도가 측정되고,
    길이방향 크랙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스트랜드 내의 터짐(break-out)의 위험성의 통계적 평가는, 상기 몰드 내에 배치되는 상기 열 부재에 의해 측정되는 실제 온도값을 고려하고, 크랙이 없는 상태에서 판정되는 온도값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적 평가는, 상기 몰드를 위한 특정 지문으로서 로우 및 컬럼으로 배치되는 상기 열 부재의 측정 및 평가로부터 판정되는,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PCA 또는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은, 이전의 주조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포함하여 통계적 평가를 위해 적용되는,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CA 또는 주성분 분석의 하류에 있는 전문가 시스템은, 길이방향 크랙 또는 다른 결함의 존재를 구별하는,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적 평가를 위해 다음의 사항, 즉
    a) 상기 스트랜드의 상기 넓은 측부를 따른 상기 길이방향 크랙의 빈도 분포가 판정되고,
    b) 상기 넓은 측부를 따른 상기 몰드의 수직 방향으로의 동적 온도 분포가 판정되며, 및/또는
    c) 상기 넓은 측부를 따른 상기 몰드의 수직 방향으로의 정적 온도 분포의 변화가 판정되는
    것이 수행되는,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랜드의 상기 넓은 측부를 따른 상기 길이방향 크랙의 상기 빈도 분포는 퍼센티지로서 시간에 걸쳐 판정되는,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의 상기 넓은 측부의 수직 방향으로의 상기 동적 온도 분포는, 상기 몰드의 벽의 높이에 걸쳐 분포되도록 컬럼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열 부재에 의해 판정되는,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의 상기 넓은 측부를 따른 상기 정적 온도 분포는, 상기 몰드의 상기 넓은 측부에 걸쳐 분포되도록 로우로 배치되는 상기 열 부재에 의해 판정되는,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
KR1020107029869A 2008-06-13 2009-04-30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 KR101275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28481.5 2008-06-13
DE102008028481.5A DE102008028481B4 (de) 2008-06-13 2008-06-13 Verfahren zur Vorhersage der Entstehung von Längsrissen beim Stranggießen
PCT/DE2009/000617 WO2009149680A1 (de) 2008-06-13 2009-04-30 Verfahren zur vorhersage der entstehung von längsrissen beim stranggiess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896A true KR20110017896A (ko) 2011-02-22
KR101275035B1 KR101275035B1 (ko) 2013-06-17

Family

ID=40845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869A KR101275035B1 (ko) 2008-06-13 2009-04-30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649986B2 (ko)
EP (1) EP2291252A1 (ko)
JP (1) JP5579709B2 (ko)
KR (1) KR101275035B1 (ko)
CN (1) CN102089096A (ko)
CA (1) CA2727558C (ko)
DE (1) DE102008028481B4 (ko)
RU (1) RU2011100814A (ko)
WO (1) WO20091496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8522A1 (ko) * 2013-04-30 2014-1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라브 크랙 진단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5987B2 (ja) * 2010-09-29 2014-08-20 ヒュンダイ スチール カンパニー モールド内凝固シェルのクラック診断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456453B1 (ko) * 2012-07-24 2014-10-31 주식회사 포스코 주편 품질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JP6119640B2 (ja) * 2014-02-28 2017-04-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連続鋳造スラブの表面欠陥判定方法及び装置
JP6119807B2 (ja) * 2014-08-18 2017-04-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連続鋳造スラブの表面欠陥判定方法及び装置、該表面欠陥判定方法を用いた鋼鋳片の製造方法
JP6358199B2 (ja) * 2015-09-02 2018-07-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連続鋳造スラブの表面欠陥判定方法及び装置、該表面欠陥判定方法を用いた鋼鋳片の製造方法
JP6358215B2 (ja) * 2015-09-25 2018-07-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連続鋳造鋳片の表面欠陥判定方法及び装置、該表面欠陥判定方法を用いた鋼片の製造方法
DE102017221086A1 (de) 2017-11-24 2019-05-29 Sms Group Gmbh Verfahren zur Analyse von Fehlerursachen beim Stranggießen
DE102018214390A1 (de) 2018-08-27 2020-02-27 Sms Group Gmbh Kokillenbreitseite einer Stranggießkokille mit variabler Messstellendichte zur verbesserten Längsrisserkennung
CN111761039A (zh) * 2019-04-01 2020-10-13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宽板坯纵向裂纹控制工艺
CN110929355B (zh) * 2019-12-19 2021-07-27 东北大学 一种连铸坯裂纹风险预测的方法及其应用
CN111185583B (zh) * 2020-02-12 2021-11-19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连铸浸入式水口堵塞的处理方法和处理装置
CN112461893B (zh) * 2020-11-05 2022-11-22 宁波晶成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热成像原理的无损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3510234B (zh) * 2021-09-14 2022-01-07 深圳市信润富联数字科技有限公司 轮毂低压铸造的质量监控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6703B2 (ja) * 1979-12-28 1984-11-1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鋳型温度計測素子を備えた鋳型による連続鋳造法
JPS6054138B2 (ja) * 1981-01-08 1985-11-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連続鋳造鋳型における鋳造鋼の介在物検出方法
DE3423475C2 (de) * 1984-06-26 1986-07-17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Stranggießen von flüssigen Metallen, insbesondere von flüssigem Stahl
AU562731B2 (en) * 1985-02-01 1987-06-18 Nippon Steel Corporation Preventtion of casting defects in continuous casting
JPS62192243A (ja) 1986-02-17 1987-08-22 Nippon Kokan Kk <Nkk> 連続鋳造における鋳片縦割れの検出方法
JPH01210160A (ja) 1988-02-16 1989-08-23 Sumitomo Metal Ind Ltd 連続鋳造における縦割れ予知方法
JP3035688B2 (ja) * 1993-12-24 2000-04-24 トピー工業株式会社 連続鋳造におけるブレークアウト予知システム
US5904202A (en) * 1995-04-03 1999-05-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early detection of run-out in continuous casting
US5859964A (en) * 1996-10-25 1999-01-12 Advanced Micro De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real time data acquisition, process modeling and fault detection of wafer fabrication processes
DE19725433C1 (de) * 1997-06-16 1999-01-21 Schloemann Si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urchbruchfrüherkennung beim Stranggießen von Stahl mit einer oszillierenden Kokille
JPH1190599A (ja) 1997-09-18 1999-04-06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の鋳型内異常判定方法
KR100253089B1 (ko) 1997-10-29 2000-05-01 윤종용 반도체소자 제조용 화학기상증착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그 공정챔버 세정공정 레시피 최적화방법
CA2301829C (en) 1998-07-21 2008-07-08 Dofasco Inc. Multivariate statistical model-based system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a continuous caster and detecting the onset of impending breakouts
DE19843033B4 (de) * 1998-09-19 2017-11-09 Sms Group Gmbh Durchbrucherkennungsverfahren für eine Stranggießkokille
DE10108730C2 (de) * 2001-02-23 2003-01-30 Thyssenkrupp Stahl Ag Vorrichtung und ein Verfahren zum Erkennen der Gefahr eines Durchbruchs des Stahlstrangs beim Stranggießen von Stahl
JP2003029538A (ja) 2001-07-11 2003-01-31 Bridgestone Corp 導電性エンドレスベル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DE10312923B8 (de) * 2003-03-22 2005-07-14 Sms Demag Ag Verfahren zum Bestimmen der Mess-Temperaturen in Stranggießkokillen und Stranggießkokille selbst
US6885907B1 (en) * 2004-05-27 2005-04-26 Dofasco Inc. Real-time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transient operations in continuous casting process for breakout preven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8522A1 (ko) * 2013-04-30 2014-1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라브 크랙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44926A1 (en) 2011-06-16
CA2727558C (en) 2014-05-27
EP2291252A1 (de) 2011-03-09
US8649986B2 (en) 2014-02-11
KR101275035B1 (ko) 2013-06-17
RU2011100814A (ru) 2012-07-20
CA2727558A1 (en) 2009-12-17
DE102008028481A1 (de) 2009-12-17
DE102008028481B4 (de) 2022-12-08
WO2009149680A1 (de) 2009-12-17
CN102089096A (zh) 2011-06-08
JP5579709B2 (ja) 2014-08-27
JP2011522704A (ja)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035B1 (ko) 연속 주조에서 길이방향 크랙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
US10232433B2 (en) Casting mold and a method for detecting a temperature distribution of molten metal in a casting mold
JP6358215B2 (ja) 連続鋳造鋳片の表面欠陥判定方法及び装置、該表面欠陥判定方法を用いた鋼片の製造方法
KR20180082632A (ko) 연속 주조에서의 주조 상태의 판정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JP5673100B2 (ja) ブレイクアウト予知方法
JP5407987B2 (ja) スラブの縦割れ検知方法
JP6119640B2 (ja) 連続鋳造スラブの表面欠陥判定方法及び装置
JP2001239353A (ja) 連続鋳造における鋳型内鋳造異常検出方法
JP7115240B2 (ja) 連続鋳造におけるブレークアウト予知方法
JP2000317595A (ja) 連続鋳造鋳片の表面疵予知方法
KR102213972B1 (ko) 슬라브 표면의 면세로 크랙 예측 장치 및 방법
JPH01210160A (ja) 連続鋳造における縦割れ予知方法
JP6119807B2 (ja) 連続鋳造スラブの表面欠陥判定方法及び装置、該表面欠陥判定方法を用いた鋼鋳片の製造方法
JP2000263203A (ja) 連続鋳造鋳片の縦割れ予知方法
JP6347236B2 (ja) ブレークアウト予知方法、ブレークアウト予知装置および連続鋳造方法
JP6358199B2 (ja) 連続鋳造スラブの表面欠陥判定方法及び装置、該表面欠陥判定方法を用いた鋼鋳片の製造方法
JP5593801B2 (ja) 連続鋳造のブレークアウト予知方法
JP5347727B2 (ja) 連続鋳造機および鋳片表面縦割れ発生予測方法
JP6330740B2 (ja) 温度実測値の精度判定装置および方法
EP337921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 mould plate for a metal-making process
JP2005296979A (ja) 溶融金属の連続鋳造におけるブレークアウト予知方法
JP2021164927A (ja) 連続鋳造における鋳片欠陥の検出方法
JPH07232251A (ja) ブレークアウト予知方法
JP2006255730A (ja) 連続鋳造におけるブレークアウト予知方法
JP2004141906A (ja) 連続鋳造の鋳片異常検出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