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914A -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프로그램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프로그램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914A
KR20110016914A KR1020107027476A KR20107027476A KR20110016914A KR 20110016914 A KR20110016914 A KR 20110016914A KR 1020107027476 A KR1020107027476 A KR 1020107027476A KR 20107027476 A KR20107027476 A KR 20107027476A KR 20110016914 A KR20110016914 A KR 20110016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data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dat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6800B1 (ko
Inventor
가즈유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6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1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 G06F11/1443Transmit or communication e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1608Error detection by comparing the output signals of redundant hardware
    • G06F11/1625Error detection by comparing the output signals of redundant hardware in communications, e.g. transmission,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04L1/1883Time-out mechanisms using multiple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4Testing correct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6Channel splitting in point-to-point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종래에는, 복수의 정보의 수신 시간차에 의거하여 회선 장해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없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제1과 제2 회선으로 접속되는 상대 장치로부터, 제1 회선을 경유해서 송신되는 제1 정보와, 제2 회선을 경유해서 제1 정보와 동시에 송신되는 제2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 수단과, 제1 정보의 수신 후, 제1 감시 시간 내에 제2 정보를 제어 수단이 수신하지 않는 것에 의해, 제2 회선의 회선 장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프로그램 및 통신 방법{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PROGRAM, AND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프로그램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분할해서 복수 회선으로 병행하여 상대컴퓨터에 전송하는 컴퓨터를 개시한다. 또한, 이 특허문헌 1은, 회선 장해가 발생한 경우, 다른 회선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재송(再送)하는 것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2는, 단말이 1차와 2차의 양 게이트웨이에 정보를 동보(同報)하고, 정보를 받은 1차 게이트웨이가 2차 게이트웨이로 정보를 송신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당해 시스템에서, 2차 게이트웨이는, 단말과 1차 게이트웨이로부터의 메시지 수신의 유무에 의거하여 1차 게이트웨이의 장해를 판단한다.
특허문헌 3은, 네트워크 내의 교환 노드에서 장해가 발생하면, 다른 교환 노드가 각 교환 노드에 동보 통신을 행하여 대체 패스를 탐색하는 교환 네트워크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7-259000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공개특허 제1999-163947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국 공개특허 제1996-305640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기술은 동일 상대 장치로부터 복수의 회선을 통해서 복수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정보의 수신 시간차에 의거하여 회선 장해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프로그램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통신 장치는, 제1과 제2 회선으로 접속되는 상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회선을 경유해서 송신되는 제1 정보와, 상기 제2 회선을 경유해서 상기 제1 정보와 동시에 송신되는 제2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정보의 수신 후, 제1 감시 시간 내에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제어 수단이 수신하지 않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회선의 회선 장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제1과 제2 회선으로 접속되는 상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회선을 경유해서 송신되는 제1 정보와, 상기 제2 회선을 경유해서 상기 제1 정보와 동시에 송신되는 제2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 처리와, 상기 제1 정보의 수신 후, 제1 감시 시간 내에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회선의 회선 장해를 검출하는 검출 처리를 실행시키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통신 방법은, 컴퓨터가, 제1과 제2 회선으로 접속되는 상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회선을 경유해서 송신되는 제1 정보와, 상기 제2 회선을 경유해서 상기 제1 정보와 동시에 송신되는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의 수신 후, 제1 감시 시간 내에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회선의 회선 장해를 검출한다.
본 발명은 회선 장해의 검출을 신속하게 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회선(41)을 흐르는 데이터 등의 상세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어 수단(22)의 송신 처리, 및 검출 수단(21)의 제1 감시 처리, 제2 감시 처리의 동작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제어 수단(22)의 재송 처리의 동작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통신 장치(20)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제i 데이터 그룹(3i)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통신 시스템(10)은 통신 장치(20)와 상대 장치(70)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20)와 상대 장치(70)는 복수의 제i 회선(4i)(i=1∼n; 예를 들면, 제1 회선(41) 내지 제n 회선(4n))으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제i 회선(4i)은 통상 같은 통신 특성(전송 지연 시간, 대역 등)을 가진다.
통신 장치(20)는 상대 장치(70)와 송수신을 행하는 제어 수단(22), 제i 회선(4i)의 장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21), 메모리(23)를 포함한다. 메모리(23)는 상대 장치(70)에 송신되는 데이터, 및 검출 수단(21)의 동작 파라미터인 제1 감시 시간(27), 제2 감시 시간(28)을 저장한다.
상대 장치(70)에 송신되는 데이터는, 장해 해석용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 등의 큰 데이터(장대(長大) 데이터(30))를 고정 사이즈로 분할해서 그룹으로 나눈 것이다. 제어 수단(22)은, 각 그룹(예를 들면 제1 데이터 그룹(31) 내지 제n 데이터 그룹(3n))을 복수의 제i 회선(4i)으로 병렬로 송신하여, 고속 송신을 실현한다. 따라서, 통상, 그룹의 수는 제i 회선(4i)과 같은 수(도 1에서는 n개) 존재한다. 또한, 각 그룹은 통상 동일 사이즈의 데이터를 거의 동일수 포함한다.
검출 수단(21)과 제어 수단(22)은 컴퓨터인 통신 장치(20)의 프로세서가 메모리(23)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 프로그램(29)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기능한다. 하드웨어가 동등한 기능을 실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통신 프로그램(29)은 실행에 앞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O)로부터 메모리(23)로 로딩되어도 된다.
상대 장치(70)는, 통신 장치(20)와 송수신을 행하는 송수 수단(71)을 포함한다. 송수 수단(71)은, 컴퓨터인 상대 장치(70)의 프로세서가 도시하지 않은 주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할 때에 기능한다. 하드웨어가 동등한 기능을 실현하고 있어도 된다.
통신 장치(20)의 제어 수단(22)은, 각 제i 회선(4i)(i=1∼n; 이후 생략)을 경유하여, 각각 제i 데이터 그룹(3i)의 모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상대 장치(70)에 송신한다. 이 제어 수단(22)은, 모든 제i 데이터 그룹(3i)의 모든 데이터의 송신 후, 모든 제i 완료 통지(5i)(제i 송신 요구(6i)라고도 칭함)를 동시에 송신하여, 송신 완료를 상대 장치(70)에 통지한다. 상대 장치(70)의 송수 수단(71)은, 각 제i 완료 통지(5i)를 수신하면, 각각 제i 확인 응답(8i)(제i 정보(9i)라고도 칭함)을 회신한다.
송수 수단(71)은, 제i 완료 통지(5i)의 각각을 수신하면, 지체없이 제i 확인 응답(8i)을 회신한다. 따라서, 모든 제i 확인 응답(8i)은 동시에 상대 장치(70)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여기서, 동시란, 제어 수단(22) 및 송수 수단(71)이, 순차적으로 제i 회선(4i)마다 송수신 처리를 실행할 때의 처리 시간 및 각 제i 회선(4i)의 전송 지연시간차 등의 시간차를 허용한 표현이다. 처리 시간에는, 프로세서 처리 시간, 입출력 처리 시간, 타장치와의 공용일 경우의 빈 회선 대기 시간 등이 포함된다.
본원발명의 통신 장치(20)는, 각 제i 회선을 경유해서 수신하는 각 제i 확인 응답(8i)의 수신 시간차에 의거하여 제i 회선의 장해를 신속하게 검출한다.
도 6은 제i 데이터 그룹(3i)의 구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제어 수단(22)은, 우선 도시하지 않은 파일로부터 장대 데이터(30)를 메모리(23)에 판독한다. 제어 수단(22)은 이것을 고정 사이즈의 데이터로 분할하고, 각 데이터에 순서 번호를 부여한다. 도 6에서, 제어 수단(22)은 장대 데이터(30)를 분할하여, 각 데이터에 1, 2, …, m·n(m과 n의 적)이라고 순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분할 후, 제어 수단(22)은 순서 번호에서 n씩 분리된 m개의 데이터(순서 번호 i, n+i, 2n+i, …, (m-1)·n+i의 데이터)마다 그룹으로 나누어, 제i 데이터 그룹(3i)을 구성한다. 도 6에서 제i 데이터 그룹(3i)은 좌로부터 제i번째의 열이다. 예를 들면, 제1 데이터 그룹(31)은 좌로부터 제1번째의 열이다. 제어 수단(22)은, 이들 n개의 제i 데이터 그룹(3i)을 각각 제i 회선(4i)을 경유해서 상대 장치(70)에 병렬로 송신한다. 각 제i 데이터 그룹(3i)에서, 제어 수단(22)은 각 데이터를 예를 들면 순서 번호가 가장 낮은 번호부터 순서대로 직렬화해서 송신한다.
또는, 제어 수단(22)은, 장대 데이터(30)의 분할 후, 순서 번호 1 내지 n의 데이터 각각을 제1 회선(41) 내지 제n 회선(4n)으로 송신하고, 그 후에는 데이터의 송신이 끝난 회선을 사용하여 순서 번호가 가장 낮은 번호부터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제i 회선(4i)을 경유해서 송신된 데이터의 그룹이 결과적으로 제i 데이터 그룹(3i)을 구성하게 된다.
데이터의 송신 전에, 제어 수단(22)은 각 데이터에 그 순서 번호를 첨부해서 송신한다. 예를 들면, 제어 수단(22)은 각 데이터의 송신 헤더에 그 데이터의 순서 번호를 저장하여 송신해도 된다. 상대 장치(70)의 송수 수단(71)은, 각 데이터를 수신하면, 첨부된 순서 번호로부터 당해 데이터의 장대 데이터(30) 내에서의 위치를 판단하여, 도시하지 않은 주기억 장치에 장대 데이터(30)를 복원한다.
도 2는 제1 회선(41)을 흐르는 데이터 등의 상세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각 제i 회선(4i)에 관해서도 적용된다.
여기서, 제1 데이터 그룹(31)은, 예를 들면 데이터 1 내지 데이터 4의 4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어 수단(22)과 송수 수단(71)은, 예를 들면 2개의 데이터마다 송달 확인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제어 수단(22)은 데이터 1 내지 데이터 4를 순차적으로 송수 수단(71)에 송신한다. 송수 수단(71)은, 데이터 1과 데이터 2를 수신하면, 수신 상황 통지 1을 회신해서 데이터 1과 데이터 2의 수신 완료를 제어 수단(22)에 통지한다. 송수 수단(71)은, 데이터 1과 2의 수신 후에 데이터 3과 데이터 4를 더욱 수신하면, 수신 상황 통지 2를 회신하여, 데이터 1 내지 데이터 4의 수신 완료를 제어 수단(22)에 통지한다.
제어 수단(22)은, 수신 상황 통지 1을 수신하면 데이터 1과 2의 송달 확인필인 것을 기록한다. 이 제어 수단(22)은, 수신 상황 통지 2를 수신하면 데이터 1 내지 4의 송달 확인필인 것을 기록한다.
제어 수단(22)은, 데이터 1 내지 데이터 4의 송신이 종료하면, 제1 완료 통지(51)를 송신한다. 송수 수단(71)은, 제1 완료 통지(51)를 수신하면, 제1 확인 응답(81)을 회신한다.
또한, 제어 수단(22)과 송수 수단(71)은, 송달 확인을 다른 데이터 개수마다 행하여도 되고, 다른 기준치에 의거하여(예를 들면 소정 시간마다) 행하여도 된다.
도 3은 제어 수단(22)의 송신 처리, 및 검출 수단(21)의 제1 감시 처리, 제2 감시 처리의 동작 플로차트이다.
제어 수단(22)은, 우선 도시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 송신 요구를 접수한다. 이 제어 수단(22)은, 각 제i 데이터 그룹(3i) 내의 모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각각 제i 회선(4i)을 경유하여 송수 수단(71)에 송신한다. 그때, 제어 수단(22)과 송수 수단(71)은, 수신 상황 통지를 이용하여 송달 확인을 행한다(S11).
제어 수단(22)은, 모든 제i 데이터 그룹(3i) 내의 모든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하면, 각 제i 완료 통지(5i)를 동시에, 각각 제i 회선(4i)을 경유하여 송수 수단(71)에 송신한다(S12). 그 후, 제어 수단(22)은, 검출 수단(21)의 제2 감시 처리를 기동한다(S13).
제2 감시 처리는, 모든 제i 완료 통지(5i)의 송신 후, 소정 시간(제2 감시 시간(28)) 내에 제i 확인 응답(8i)의 어느 것을 수신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2 감시 처리는, 통상 응답 시간 감시라고 칭하고 있는, 송신으로부터 수신까지의 시간을 감시하는 처리이다.
제2 감시 처리 기동 후, 제어 수단(22)은 각 제i 완료 통지(5i)에 대한 각 제i 확인 응답(8i)의 어느 하나의 수신을 대기한다(S14에서 N). 제i 확인 응답(8i)의 어느 하나(예를 들면 제j 확인 응답(8j))를 수신할 수 있으면(S14에서 Y), 제어 수단(22)은 검출 수단(21)의 제2 감시 처리를 정지시킨다(S15).
이때, 이미 검출 수단(21)의 제1 감시 처리가 기동되어 있지 않으면(S16에서 N), 제어 수단(22)은 각 제i 회선(4i)(i=j 이외의 1∼n)을 대상으로 하여, 검출 수단(21)의 제1 감시 처리를 기동한다(S17). 이미 검출 수단(21)의 제1 감시 처리가 기동되어 있으면(S16에서 Y), 제어 수단(22)은 검출 수단(21)에 제1 감시 처리의 대상으로부터 제j 회선(4j)을 제외하는 취지를 통지한다(S18).
제1 감시 처리는, 최초의 확인 응답(예를 들면 제j 확인 응답(8j)) 수신 후, 소정 시간(제1 감시 시간(27)) 내에 제i 확인 응답(8i)(i=j 이외의 1∼n)의 모두를 수신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i 확인 응답(8i)의 모두를 수신하면(S19에서 Y), 제어 수단(22)은 검출 수단(21)의 제1 감시 처리를 정지시켜서(S1A), 송신 처리를 정상 종료한다.
제어 수단(22)에 의해 제2 감시 처리가 기동되면, 검출 수단(21)은 제2 감시 시간(28)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S21에서 N)를 한다. 이 사이에, 제어 수단(22)으로부터 제2 감시 처리 정지의 지시가 오면, 검출 수단(21)은 제2 감시 처리를 종료한다. 제어 수단(22)에 의해 정지됨이 없이 제2 감시 시간(28)이 경과하면(S21에서 Y), 검출 수단(21)은 제2 감시 처리의 이상을 제어 수단(22)에 보고한다(S22). 이때, 검출 수단(21)은 모든 제i 회선이 이상인 것을 보고한다.
제어 수단(22)에 의해 제1 감시 처리가 기동되면, 검출 수단(21)은 제1 감시 시간(27)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S23에서 N)를 한다. 이 사이에, 제어 수단(22)으로부터 제1 감시 처리 정지의 지시가 오면, 검출 수단(21)은 제1 감시 처리를 종료한다. 제어 수단(22)에 의해 정지됨이 없이 제1 감시 시간(27)이 경과하면(S23에서 Y), 검출 수단(21)은 제1 감시 처리의 이상을 제어 수단(22)에 보고한다(S24). 이때, 검출 수단(21)은 감시 대상으로서 남아 있는, 즉 확인 응답이 보고되지 않은 모든 제i 회선(4i)(i=1∼n 중 어느 단수 또는 복수)을 보고한다. 당해 보고를 받으면, 제어 수단(22)은 도 4에 나타내는 재송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1 감시 처리에 이용하는 제1 감시 시간(27)은 제2 감시 처리에 이용하는 제2 감시 시간(28)보다도 작은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감시 처리에 의한 이상 검출은, 제2 감시 처리에 의한 이상 검출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2 감시 시간(28)은, 제i 완료 통지(5i)/제i 확인 응답(8i)이 제i 회선(4i)을 왕복하는 시간과 상대 장치(70)에서의 응답 처리 시간의 양자의 가산치 이상의 값을 설정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한편, 제1 감시 시간(27)은, 제i 회선(4i) 각각에 대한 당해 가산치의 차분 이상의 값이면 되기 때문이다.
도 4는 제어 수단(22)의 재송 처리의 동작 플로차트이다. 본 처리는, 검출 수단(21)의 제1 감시 처리에서 이상이 검출되면 기동된다.
제어 수단(22)은, 확인 응답이 보고되지 않은 제i 회선(4i)(i=1∼n 중 어느 단수 또는 복수)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i 데이터 그룹(3i)(i=1∼n 중 어느 단수 또는 복수) 중, 송달 확인이 되어 있지 않은 모든 데이터를 취득한다(S31).
제어 수단(22)은, 당해 취득 데이터를 확인 응답이 보고되지 않은 제i 회선(4i)(i=1∼n 중 어느 단수 또는 복수) 이외의 제i 회선(4i)으로부터 재송한다 (S32).
본 실시예의 제1 효과는, 통신 장치(20)가 회선의 장해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이유는, 회선의 어느 것이 정상이면, 제1 감시 처리에서 이상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감시 시간(27)은 제2 감시 시간(28)에 비해서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2 효과는, 재송 시의 회선의 장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이유는, 확인 응답이 이루어진 회선을 이용하여 재송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4의 재송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다. 통신 장치(20)는, 회선의 장해를 검출한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관리자 등에 통지만 해도 된다. 즉, 통지 후의 처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관리자 등에 의해 실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도 2의 송달 확인도 필수적이지 않다. 제i 회선(4i)의 장해를 검출한 통신 장치(20)는 제i 데이터 그룹(3i)의 모든 데이터를 재송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어 수단(22)은 각 회선의 각각에 완료 통지를 송신하는 것은 행하지 않는다. 이 제어 수단(22)은 어느 하나의 회선에만 송신한다. 제어 수단(22)은, 예를 들면 제1 회선(41)에 제1 완료 통지(51)만을 송신한다. 이것을 받은 송수 수단(71)은, 각 제i 회선(4i)으로부터, 각각 제i 확인 응답(8i)을 송신한다. 그 외에는 제1 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의 효과는, 모든 회선에서, 완료 통지에서 소비하는 대역이 작은 것이다. 그 이유는, 하나밖에 완료 통지가 송신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송수 수단(71)은, 확인 응답을, 완료 통지의 응답으로서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의 조건 판단에 의거하여 통신 장치(20)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상대 장치(70)의 기동 시, 상대 장치(70) 내에서의 애플리케이션 기동 시, 정기(定期) 등의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는 제1 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의 효과는, 회선의 이상을 데이터 송신 전에도 검출 가능한 것이다. 그 이유는, 통신 장치(20)가 완료 통지를 송신하지 않아도, 상대 장치(70)가 확인 응답을 송신하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통신 장치(20)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통신 장치(20)는, 제1 회선(41)과 제2 회선(42)으로 접속되는 상대 장치(70)로부터, 제1 회선(41)을 경유해서 송신되는 제1 정보(91)와, 제2 회선(42)을 경유해서 제1 정보(91)와 동시에 송신되는 제2 정보(92)를 수신하는 제어 수단(22)을 구비한다. 통신 장치(2O)는, 제1 정보(91)의 수신 후, 제1 감시 시간(27) 내에 제2 정보(92)를 제어 수단(22)이 수신하지 않는 것에 의해, 제2 회선(42)의 회선 장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21)을 더 구비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해서 본원발명을 설명했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원발명의 구성이나 상세에는, 본원발명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여러가지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 출원은, 2008년 7월 11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181080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전부를 여기에 편입시킨다.
10 : 통신 시스템 20 : 통신 장치
21 : 검출 수단 22 : 제어 수단
23 : 메모리 27 : 제1 감시 시간
28 : 제2 감시 시간 29 : 통신 프로그램
30 : 장대 데이터 31 : 제1 데이터 그룹
3i : 제i 데이터 그룹 3n : 제n 데이터 그룹
41 : 제1 회선 42 : 제2 회선
4i : 제i 회선 4n : 제n 회선
51 : 제1 완료 통지 5i : 제i 완료 통지
6i : 제i 송신 요구 70 : 상대 장치
71 : 송수 수단 81 : 제1 확인 응답
8i : 제i 확인 응답 91 : 제1 정보
92 : 제2 정보 9i : 제i 정보
AO : 기록 매체

Claims (16)

  1. 제1과 제2 회선으로 접속되는 상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회선을 경유해서 송신되는 제1 정보와, 상기 제2 회선을 경유해서 상기 제1 정보와 동시에 송신되는 제2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정보의 수신 후, 제1 감시 시간 내에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제어 수단이 수신하지 않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회선의 회선 장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요구를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하는 상기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 대한 상기 송신 요구(제1 송신 요구)를 상기 제1 회선 경유로, 상기 제2 정보에 대한 상기 송신 요구(제2 송신 요구)를 상기 제2 회선 경유로, 동시에 송신하는 상기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요구의 송신 후, 제2 감시 시간 내에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것에 의해서도, 상기 제2 회선의 회선 장해를 검출하는 상기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감시 시간은 상기 제2 감시 시간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선 경유로, 복수의 데이터(제1 데이터 그룹)를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해서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수신 통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데이터 그룹 내의 데이터에 대해서 송달 확인을 하고,
    상기 제2 회선 경유로, 복수의 데이터(제2 데이터 그룹)를 상기 제1 데이터 그룹과 병렬로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통지를 수신해서 상기 제2 데이터 그룹 내의 데이터에 대해서 송달 확인을 하는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제1과 제2 데이터 그룹의 송신 종료 후에, 상기 제1과 제2 송신 요구를 송신하며,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제2 회선의 회선 장해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 그룹 중 상기 송달 확인이 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를, 상기 제1 회선 경유로 재송(再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장대(長大) 데이터를 고정 사이즈의 상기 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제1 데이터 그룹과 상기 제2 데이터 그룹을 구성하는 상기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통신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통신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8. 컴퓨터에, 제1과 제2 회선으로 접속되는 상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회선을 경유해서 송신되는 제1 정보와, 상기 제2 회선을 경유해서 상기 제1 정보와 동시에 송신되는 제2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 처리와,
    상기 제1 정보의 수신 후, 제1 감시 시간 내에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회선의 회선 장해를 검출하는 검출 처리를 실행시키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제1과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요구를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하는 상기 제어 처리를 실행시키는 상기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제1 정보에 대한 상기 송신 요구(제1 송신 요구)를 상기 제1 회선 경유로, 상기 제2 정보에 대한 상기 송신 요구(제2 송신 요구)를 상기 제2 회선 경유로, 동시에 송신하는 상기 제어 처리를 실행시키는 상기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제2 송신 요구의 송신 후, 제2 감시 시간 내에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것에 의해서도, 상기 제2 회선의 회선 장해를 검출하는 상기검출 처리를 실행시키고,
    상기 제1 감시 시간은 상기 제2 감시 시간보다도 작은 상기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상기 컴퓨터에, 상기 제1 회선 경유로, 복수의 데이터(제1 데이터 그룹)를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해서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수신 통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데이터 그룹 내의 데이터에 대해서 송달 확인을 하고,
    상기 제2 회선 경유로, 복수의 데이터(제2 데이터 그룹)를 상기 제1 데이터 그룹과 병렬로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통지를 수신해서 상기 제2 데이터 그룹 내의 데이터에 대해서 송달 확인을 하는 상기 제어 처리 중에,
    상기 제1과 제2 데이터 그룹의 송신 종료 후에, 상기 제1과 제2 송신 요구를 송신하며,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제2 회선의 회선 장해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 그룹 중 상기 송달 확인이 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를, 상기 제1 회선 경유로 재송시키는 상기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장대 데이터를 고정 사이즈의 상기 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제1 데이터 그룹과 상기 제2 데이터 그룹을 구성하는 상기 제어 처리를 실행시키는 상기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컴퓨터가, 제1과 제2 회선으로 접속되는 상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회선을 경유해서 송신되는 제1 정보와, 상기 제2 회선을 경유해서 상기 제1 정보와 동시에 송신되는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의 수신 후, 제1 감시 시간 내에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회선의 회선 장해를 검출하는,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1과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요구를 상기 상대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1 정보에 대한 상기 송신 요구(제1 송신 요구)를 상기 제1 회선 경유로, 상기 제2 정보에 대한 상기 송신 요구(제2 송신 요구)를 상기 제2 회선 경유로, 동시에 송신하는, 통신 방법.
KR1020107027476A 2008-07-11 2009-06-12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프로그램 및 통신 방법 KR101206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81080A JP4962433B2 (ja) 2008-07-11 2008-07-11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方法
JPJP-P-2008-181080 2008-07-11
PCT/JP2009/061152 WO2010004847A1 (ja) 2008-07-11 2009-06-12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914A true KR20110016914A (ko) 2011-02-18
KR101206800B1 KR101206800B1 (ko) 2012-11-30

Family

ID=4150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476A KR101206800B1 (ko) 2008-07-11 2009-06-12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프로그램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103234A1 (ko)
EP (1) EP2285073A4 (ko)
JP (1) JP4962433B2 (ko)
KR (1) KR101206800B1 (ko)
CN (1) CN102057653A (ko)
CA (1) CA2727690A1 (ko)
WO (1) WO201000484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156B2 (ja) * 1989-03-17 1995-03-06 日本電気株式会社 送達確認方式
JP2713605B2 (ja) * 1989-06-17 1998-02-16 富士通株式会社 リングネットワーク切替制御方式
JPH0746250A (ja) * 1993-08-02 1995-02-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中断伝送装置
EP0699008A1 (en) 1994-08-23 1996-02-28 BELL TELEPHONE MANUFACTURING COMPANY Naamloze Vennootschap Method for rerouting a data stream
US5530367A (en) * 1995-01-06 1996-06-25 Fluke Corporaton Pulse based cable attenuation measurement system
JPH11163947A (ja) 1997-09-22 1999-06-18 Toshiba Corp ゲートウェイ装置、無線端末装置、ルータ装置および通信ネットワークのゲートウェイ制御方法
US20020150056A1 (en) * 1998-05-15 2002-10-17 Martin Abadi Method for avoiding broadcast deadlocks in a mesh-connected network
JP2001168938A (ja) * 1999-12-07 2001-06-22 Nec Corp マルチリンク制御装置及びマルチリンク制御方法
US20030002513A1 (en) * 2001-06-29 2003-01-02 Bernheim Henrik F.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dundancy in a sector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126059B2 (ja) * 2003-06-18 2008-07-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パケット通信方法および無線パケット通信装置
KR100688851B1 (ko) * 2003-06-18 2007-03-02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무선패킷통신방법 및 무선패킷통신장치
US7809116B2 (en) * 2003-12-07 2010-10-05 Adaptive Spectrum And Signal Alignment, Inc. DSL system estimation including known DSL line scanning and bad splice detection capability
JP2007259000A (ja) 2006-03-23 2007-10-04 Nec Corp データ転送装置及びデータ転送方法等
JP4584216B2 (ja) * 2006-09-12 2010-11-17 Ne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伝送路選択装置
CA2666372A1 (en) * 2006-10-11 2008-04-17 Adaptive Spectrum And Signal Alignment, Inc. High speed multiple user multiple loop dsl system
JP4940108B2 (ja) 2006-12-28 2012-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走査光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800B1 (ko) 2012-11-30
EP2285073A1 (en) 2011-02-16
CN102057653A (zh) 2011-05-11
CA2727690A1 (en) 2010-01-14
WO2010004847A1 (ja) 2010-01-14
US20110103234A1 (en) 2011-05-05
JP4962433B2 (ja) 2012-06-27
EP2285073A4 (en) 2015-01-07
JP2010021825A (ja) 201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210B1 (ko) 정보 수집 시스템
JPS6276840A (ja) ノ−ド装置
US200601590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101206800B1 (ko)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프로그램 및 통신 방법
US20140140219A1 (en)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JP5409536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
JP5050014B2 (ja)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
KR100995621B1 (ko) 에러 제어 장치
JPWO2012004843A1 (ja) 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網管理装置、及び、通信装置
JP3395897B2 (ja) 集中障害監視方式
JP200625374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3121095A (ja) 通信装置
JP4024941B2 (ja) 計算機のlanデバイス監視装置
US20210258203A1 (en) Missing alert handling system and missing alert handling method
JP4627267B2 (ja) 同報通信装置
JP2005159483A (ja) 二重化通信装置
JP3997982B2 (ja) 障害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ノード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機構
JPH04319900A (ja) 状態変化情報再送信方式
JP2799507B2 (ja) 障害復旧制御方式
CN117041025A (zh) 数据传输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H09205450A (ja) 通信制御方法
JP2000031988A (ja) ノード状態管理システム
KR20200074567A (ko) 방송 출력 시스템 및 방법
JP2000286881A (ja) リング型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伝送制御装置
JP2010213096A (ja) 分散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