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732A - 퀴놀린 또는 이소퀴놀린 치환된 피2엑스7 안타고니스트 - Google Patents

퀴놀린 또는 이소퀴놀린 치환된 피2엑스7 안타고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732A
KR20110010732A KR1020107026043A KR20107026043A KR20110010732A KR 20110010732 A KR20110010732 A KR 20110010732A KR 1020107026043 A KR1020107026043 A KR 1020107026043A KR 20107026043 A KR20107026043 A KR 20107026043A KR 20110010732 A KR20110010732 A KR 20110010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hydroxy
alkyloxy
compound
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8397B1 (ko
Inventor
크리스토퍼 존 러브
조셉 엘리사베트 레나에르츠
루드빅 파울 쿠이만스
알렉 도날드 렙색
브라이언 제임스 브렌스테터
제이슨 크리스토퍼 레치
엘리자베쓰 앤 글리슨
제니퍼 다이앤 베너블
다니엘 위너
데보라 마가렛 스미스
제임스 가이 브레이튼부커
Original Assignee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filed Critical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10010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10Spir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8Bridg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8Bridged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P2X7 안타고니스트 특성을 가지는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신규한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상기한 화합물의 화학적 제조방법 및 동물, 특히 사람에 있어서 P2X7 수용체 활성과 연관된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상기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퀴놀린 또는 이소퀴놀린 치환된 피2엑스7 안타고니스트{QUINOLINE OR ISOQUINOLINE SUBSTITUTED P2X7 ANTAGONISTS}
본 발명은 P2X7 안타고니스트 특성을 가지는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신규한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상기한 화합물의 화학적 제조방법 및 동물, 특히 사람에 있어서 P2X7 수용체 활성과 연관된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상기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P2X7 수용체(receptor)는 리간드 게이트(ligand-gated) 이온 채널이며, 다양한 세포 종류, 염증/면역 과정에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대부분의 세포 종류, 특히 대식세포, 비만세포 및 림프구(T와 B)에 존재한다. 세포외 뉴클레오티드, 특히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에 의한 P2X7 수용체의 활성화는 인터루킨-P(IL-1 P)의 방출 및 거대세포 형성(대식세포/소교세포(microglial cell)), 탈과립(비만세포) 및 L-셀렉틴(selectin) 쉐딩(림프구)을 유발한다. P2X7 수용체는 또한 항원 존재 세포(APQ), 각질세포, 타액 선포 세포(이하선 세포), 간세포, 적혈구, 적백혈병 세포(erythroleukaemic cell), 단핵백혈구, 섬유아세포, 골수세포, 뉴런, 및 신장 혈관간세포(mesangial cell)에 위치한다.
또한, P2X7 수용체는 신경계에서 통증의 센서로 알려져 있다. P2X7 결핍 마우스를 이용한 실험에서 상기한 마우스들이 보조제로 유발된 염증성 통증과 부분적 신경 결찰로 유발된 신경성 통증 발달에 모두 보호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P2X7의 통증 발달에 있어서의 역할이 입증되었다.
P2X7의 임상학적 중요성을 고려할 때, P2X7 수용체 작용을 조절하는 화합물의 동정은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대한 매력적인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산 부가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n은 1, 2 또는 3의 정수이고;
m은 1, 2 또는 3의 정수이고;
p는 1 또는 2의 정수이고;
R3는 수소, 할로, C1 - 4알킬 또는 C1 - 4알킬옥시 기이고;
X는 O, S, SO2, CR4R5 또는 NR6이며; 여기에서 R4와 R5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 - 4알킬 또는 C1 - 4알킬옥시, 또는 아릴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6는 수소, 페닐, -CO-R7, 또는 -CO-O-R7 기이며, 여기에서 R7은 C1 - 6알킬 또는 아미노 기이고;
R1은 피리디닐 또는 피리미디닐에서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고리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 - 6알킬, C1 - 6알킬옥시, 폴리할로C1 - 4알킬, 페닐, C3 - 6시클로알킬, C3 - 6시클로알킬옥시, C3 - 6시클로알킬C1 - 4알킬옥시 또는 NR8R9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치환되며;여기에서 R8과 R9은 수소, C1 - 6알킬, 히드록시C1 - 6알킬, C3 - 6시클로알킬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여기에서 R8과 R9은 질소 원자와 함께 결합할 수 있고, 이들이 질소 원자에 결합하여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또는 모르폴리닐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리는 C1-4알킬, C1 - 4알킬옥시, 할로, 히드록시 또는 C1 - 4알킬카르보닐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R2는 퀴놀리닐 또는 이소퀴놀리닐에서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 고리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 - 6알킬, C1 - 6알킬옥시, C3 - 6시클로알킬, C3 - 6시클로알킬옥시, 폴리할로C1 - 4알킬, NR10R11, 및 OR12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치환되며, 여기에서 R10과 R11은 수소, C1 - 6알킬, C3 - 6시클로알킬, 폴리할로C1- 4알킬, 테트라히드로퓨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피페리디닐, N-(1,5-디옥사-9-아자-스피로[5.5]운덱-9-일), N-(l,7-디아자-스피로[4.4]논-7-일), N-(2,6-디아자-스피로[4.5]덱-2-일), 및 히드록시, 할로, 아릴1, C1 - 4알킬옥시, C3 - 6시클로알킬, 히드록시카르보닐, C1 - 4알킬설포닐아미노, C3 - 6시클로알킬설포닐아미노, 테트라히드로퓨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피롤리디닐, 피리디닐, 모르폴리닐,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 - 6알킬)아미노, 히드록시로 치환된 C1 - 4알킬로 치환된 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치환된 C1 - 6알킬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여기에서 R10과 R11은 질소 원자와 함께 결합할 수 있고, 이들이 질소 원자에 결합하여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아제파닐, N-[1,4]-옥사제파닐, 모르폴리닐, N-(2,6-디아자-스피로[3.3]헵트-2-일), 6-아세틸-2,6-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2-일, 2-(테트라히드로-퓨로[3,4-c]피롤-5-일), 2-(2-옥사-5-아자-비시클로[2.2.1]헵트-5-일), l,l-디옥소-티오모르폴린-4-일, 2-(2,6-디아자-비시클로[2.2.l]헵트-2-일), l-(l-아미노-3-아자-비시클로[3.1.0]헥스-3-일), N-(3-아세틸아미노-8-아자-비시클로[3.2.1]옥트-8-일), N-[l,4]-디아제파닐, 2-(헥사히드로-피롤로[3,4-c]피롤-2-일), 2-(헥사히드로-피롤로[3,4-b]피롤-l-일), 2-(헥사히드로-피롤로[3,4-b]피롤-5-일), 2-(옥타히드로-피롤로[3,4-b]피리딘-6-일), 또는 2-(3,6-디아자-비시클로[3.2.0]헵트-3-일), l-아미노-3-아자-비시클로[3.1.0]헥스-3-일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리는 할로, 히드록시, C1 - 4알킬, C1 - 4알킬옥시, C1 - 4알킬옥시C1 - 4알킬, C3 - 6시클로알킬, C1 - 4알킬카르보닐, C1 - 4알킬옥시카르보닐, C1 - 4알킬옥시카르보닐아미노, 히드록시,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4알킬)아미노로 치환된 C1 - 6알킬,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4알킬)아미노, 트리플루오로메틸, N-(2-옥소-피롤리딘-1-일), 2,4-디히드로-[1,2,4]트리아졸론-5-일, C1 - 4알킬카르보닐아미노, 2,4-디히드로-[1,2,4]트리아졸론-4-일, (C1 - 4알킬카르보닐)(C1 - 4알킬)아미노, 트리플루오로메틸카르보닐아미노, 히드록시카르보닐, 메틸설포닐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R12는 아미노, C3 - 6시클로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에틸, 테트라히드로퓨라닐, N-(1-메틸피롤리디닐), N-(5-옥소-피롤리딘-2-일) 또는 피리디닐로 치환된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또는 C1 - 6알킬 기이며;
아릴은 페닐, 또는 할로, C1 - 4알킬, C1 - 4알킬옥시 또는 히드록시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이고;
아릴1은 페닐, 또는 할로, C1 - 4알킬, C1 - 4알킬옥시 또는 히드록시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이다.
상기한 정의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 할로(halo)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의 총칭이고;
- C1 - 4알킬은 1 내지 4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직쇄 및 측쇄 포화 탄화수소 래디칼로 정의되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1-메틸-에틸, 2-메틸프로필 등이고;
- C1 - 6알킬은 C1 - 4알킬과 5 또는 6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이들의 고급 동족체, 예를 들면 2-메틸부틸, 펜틸, 헥실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 폴리할로C1 - 4알킬은 폴리할로치환된 C1 - 4알킬, 특히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에틸 등과 같은 2 내지 6의 할로 원자로 치환된 C1 - 4알킬(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로 정의되며;
- 폴리할로C1 - 6알킬은 폴리할로치환된 C1 - 6알킬, 특히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에틸 등과 같은 2 내지 6의 할로 원자로 치환된 C1 - 6알킬(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로 정의되고;
- C3 - 6시클로알킬은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의 총칭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입체화학적 이성질체"는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 가질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이성질체로 정의된다. 다른 언급이나 표시가 없다면 화합물의 화학적 표시는 모든 가능한 입체화학적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의미하고, 상기 혼합물은 기본 분자 구조의 모든 부분입체이성질체(diastereomer)와 광학이성질체(enantiomer)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체중심은 R- 또는 S-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가의 시클릭(부분적으로) 포화 래디칼 상의 치환체들은 시스(cis)- 또는 트랜스(trans)-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I) 화합물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는 본 발명이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 분명하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과 그의 제조에서 사용되는 중간체의 절대적 입체화학적 구조는 당업자들이 X-선 회절 등과 같은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 일부와 그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간체중 일부는 다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상태의 치료에 유용한 특성을 포함하는 어떠한 다형성 형태도 포함한다.
상기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형성할 수 있는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비독성 산부가염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은 그의 염기 형태를 적절한 산으로 처리하여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적절한 산은, 예를 들면 염산 또는 브롬산과 같은 할로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의 무기산, 아세트산, 프로판산, 히드록시아세트산, 락트산, 피루브산, 옥살릭산(즉, 에탄디오익산), 말론산, 숙신산(즉 부탄디오익산), 말레산, 푸마르산, 말리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시클람산, 살리실산, p-아미노살리실산, 파모산 등의 유기산을 포함한다.
역으로 상기한 염 형태는 적절한 염기로 처리하여 자유 염기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용매화되지 않은 형태와 용매화된 형태 모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매화물'이란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물 또는 에탄올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 분자를 포함하는 분자 회합(molecular associa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수화물'이란 용어는 상기 용매가 물일때 사용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인 것이고, 여기에서 n은 1, 2 또는 3의 정수이고; m이 1, 2 또는 3의 정수이고; p가 1 또는 2의 정수이고;
R3가 수소, 할로, C1 - 4알킬 또는 C1 - 4알킬옥시 기이고;
X는 O, S, SO2, CR4R5 또는 NR6이며; 여기에서 R4와 R5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 - 4알킬 또는 C1 - 4알킬옥시, 또는 아릴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6는 수소, 페닐, -CO-R7, 또는 -CO-O-R7 기이며, 여기에서 R7은 C1 - 6알킬 또는 아미노 기이고;
R1은 피리디닐 또는 피리미디닐에서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고리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 - 6알킬, C1 - 6알킬옥시, 폴리할로C1 - 4알킬, 페닐, C3 - 6시클로알킬, C3 - 6시클로알킬옥시, C3 - 6시클로알킬C1 - 4알킬옥시 또는 NR8R9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치환되며;여기에서 R8과 R9은 수소, C1 - 6알킬, C3 - 6시클로알킬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에서 R8과 R9은 질소 원자와 함께 결합할 수 있고, 이들이 질소 원자에 결합하여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또는 모르폴리닐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리는 C1 - 4알킬, C1 - 4알킬옥시, 할로, 히드록시 또는 C1 - 4알킬카르보닐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R2는 퀴놀리닐 또는 이소퀴놀리닐에서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 고리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 - 6알킬, C1 - 6알킬옥시, C3 - 6시클로알킬, C3 - 6시클로알킬옥시, 폴리할로C1 - 4알킬 및 NR10R11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치환되며, 여기에서 R10과 R11은 수소, C1 - 6알킬, C3 - 6시클로알킬, 폴리할로C1-4알킬, 테트라히드로퓨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또는 히드록시, 할로, 페닐, C1-4알킬옥시, C3 - 6시클로알킬, 테트라히드로퓨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또는 모르폴리닐로 치환된 C1 - 6알킬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여기에서 R10과 R11은 질소 원자와 함께 결합할 수 있고, 이들이 질소 원자에 결합하여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아제파닐, N-[1,4]-옥사제파닐 또는 모르폴리닐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리는 할로, 히드록시, C1 - 4알킬, C1 - 4알킬옥시, C1 - 4알킬옥시C1-4알킬, C3 - 6시클로알킬, C1 - 4알킬카르보닐, C1 - 4알킬옥시카르보닐, C1 - 4알킬옥시카르보닐아미노, 또는 히드록시로 치환된 C1 - 6알킬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아릴은 페닐, 또는 할로, C1 - 4알킬, C1 - 4알킬옥시 또는 히드록시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이다.
화학식 (I)의 주목되는 화합물은 하기한 제한들이 하나 이상 적용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들이다:
a) R1은 피리디닐 또는 피리미디닐에서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고리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폴리할로C1-4알킬 또는 페닐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치환체로 치환되거나; 또는
b) R1은 피리딘-3-일 또는 피리미딘-5-일에서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고리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폴리할로C1-4알킬 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치환체로 치환되거나; 또는
c) R1은 피리딘-3-일 또는 피리미딘-5-일에서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고리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메틸, 메톡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치환체로 치환되거나; 또는
d) R2는 퀴놀리닐 또는 이소퀴놀리닐에서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 고리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6알킬 또는 C1-6알킬옥시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의 치환체로 치환되거나; 또는
e) R2는 퀴놀리닐 또는 이소퀴놀리닐에서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 고리는 NR10R11으로 치환되며, 여기에서 R10과 R11은 각각 수소, C1-6알킬, C3-6시클로알킬, 폴리할로C1-4알킬, 테트라히드로퓨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또는 히드록시, 할로, 페닐, C1-4알킬옥시, C3-6시클로알킬, 테트라히드로퓨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또는 모르폴리닐로 치환된 C1-6알킬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f) R2는 퀴놀리닐 또는 이소퀴놀리닐에서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 고리는 NR10R11으로 치환되며, 여기에서 R10과 R11은 질소 원자와 함께 결합할 수 있고, 이들이 질소 원자에 결합하여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아제파닐, N-[1,4]-옥사제파닐 또는 모르폴리닐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리는 할로, 히드록시, C1-4알킬, C1-4알킬옥시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g) p는 정수 1이거나; 또는
h) R3는 수소이고, n은 정수 2이며, m은 정수 2이고, X는 O를 나타내거나; 또는
i) R3는 수소이고, n은 정수 2이며, m은 정수 2이고, X는 CR4R5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R4와 R5는 수소 또는 할로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j) R3는 수소이고, n은 정수 2이며, m은 정수 2이고, X는 NR6를 나타내고, 상기 식에서 R6는 수소, 페닐 또는 -CO-O-R7이고 여기에서 R7은 C1-6 알킬이거나; 또는
k) R1은 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5-일이거나; 또는
l) R1은 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5-일이거나; 또는
m) n은 정수 2이고, m은 정수 2이며, X는 CR4R5를 나타내고, 상기 식에서 R4와 R5는 각각 불소이거나; 또는
n) n은 정수 1이고, m은 정수 3이며, X는 CR4R5를 나타내고, 상기 식에서 R4와 R5는 각각 불소이거나; 또는
o) R3는 수소이고, n은 정수 2이며, m은 정수 3이고, X는 O를 나타내거나; 또는
p) R2는 6번 위치에 Cl, F, OCH3, CH3, CF3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2번 위치에 추가의 치환체를 가지거나 가지지 않는 퀴놀린-5-일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로 정의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들의 일부와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산 부가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Ra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폴리할로C1-4알킬, 페닐, C3-6시클로알킬, C3-6시클로알킬옥시, C3-6시클로알킬C1-4알킬옥시 또는 NR8R9이고;상기 식에서 R8과 R9은 수소, C1-6알킬, C1-6시클로알킬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에서 R8과 R9은 질소 원자와 함께 결합할 수 있고, 이들이 질소 원자에 결합하여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또는 모르폴리닐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리는 C1-4알킬, C1-4알킬옥시, 할로, 히드록시 또는 C1-4알킬카르보닐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R2는 퀴놀리닐 또는 이소퀴놀리닐로부터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 고리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C3-6시클로알킬, C3-6시클로알킬옥시, 폴리할로C1-4알킬 및 NR10R11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치환되며, 상기 식에서 R10과 R11은 수소, C1-6알킬, C3-6시클로알킬, 폴리할로C1-4알킬, 테트라히드로퓨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또는 히드록시, 할로, 페닐, C1-4알킬옥시, C3-6시클로알킬, 테트라히드로퓨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또는 모르폴리닐로 치환된 C1-6알킬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상기 식에서 R10과 R11은 질소 원자와 함께 결합할 수 있고, 이들이 질소 원자에 결합하여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아제파닐, N-[1,4]-옥사제파닐 또는 모르폴리닐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리는 할로, 히드록시, C1-4알킬, C1-4알킬옥시, C1-4알킬옥시C1-4알킬, C3-6시클로알킬, C1-4알킬카르보닐, C1-4알킬옥시카르보닐, C1-4알킬옥시카르보닐아미노, 또는 히드록시로 치환된 C1-6알킬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R3는 수소, 할로, C1-4알킬 또는 C1-4알킬옥시이고;
X는 O 또는 CR4R5를 나타내고, 상기 식에서 R4와 R5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4알킬, C1-4알킬옥시, 또는 아릴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아릴은 페닐 또는 할로, C1-4알킬, C1-4알킬옥시 또는 히드록시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화학식 (II)의 중간체를 화학식 (III)의 중간체와, 하나 이상의 반응-비활성 용매 중에서 임의로 하나 이상의 적합한 커플링제 및/또는 적합한 염기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임의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그의 산 부가염으로 전환하고, 및/또는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를 제조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Figure pct00003
유효량의 반응 촉진제를 첨가하여 화학식 (III)의 카르복실산을 활성화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반응 촉진제의 비제한적 실시예로는 카르보닐디이미다졸,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또는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릴-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테트라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브로모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또는 D. Hudson, J.Org.Chem. (1988), 53:617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은 이들의 작용 유도체가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학식 (II)의 중간체를 화학식 (IV)의 중간체와 N-아실레이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식에서 W는, 예를들면,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등의 할로과 같은 적절한 이탈기이며, 일부 예에 있어서 W는 또한 메탄설포닐옥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 벤젠설포닐옥시 및 유사한 반응 이탈기 등의 설포닐옥시 그룹일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예를 들면 아세토니트릴,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또는 DMF와 같은 반응에 비활성인 용매 중에서, 임의로 적당한 염기, 예를 들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또는 트리에틸아민 등의 존재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교반은 반응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실온 내지 반응 혼합물의 환류 온도 범위의 온도에서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Figure pct00004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이 분야에서 알려진 작용기 변환 반응에 따라 화학식 (I)의 화합물을 각각으로 전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 공지의 N-알킬화방법을 사용하여 이종고리 R2가 할로으로 치환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H-NR10R11으로 N-알킬레이트화시켜서 이종고리 R2가 NR10R11으로 치환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얻거나,
- 이종고리 R2가 할로으로 치환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강염기와 알코올로 처리하여 상기 할로이 C1-6알킬옥시 또는 C3-6시클로알킬옥시로 대체된 상응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하거나, 또는
- 이종고리 R2가 C1-4알킬옥시카르보닐 그룹을 가지는 NR10R11 치환체로 치환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산 조건 하에서 가수분해하여 C1-4알킬옥시카르보닐 그룹이 제거된 이들의 상응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화학식 (I)의 다른 화합물로 전환하는 공지의 작용기 변환 반응의 예로는, 카르복실 에스테르를 상응하는 카르복실산 또는 알코올로 가수분해하는 방법; 아미드를 상응하는 카르복실산 또는 아민으로 가수분해하는 방법이 있으며; 알코올은 에스테르와 에테르로 전환될 수 있고; 1차 아민은 2차 또는 3차 아민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중 결합은 상응하는 단일 결합으로 수소화될 수 있다.
출발물질과 중간체의 일부는 공지 화합물이며 상업적으로 구입하거나 또는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종래의 반응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공지의 분해 방법에 따라 각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광학이성질체의 라세믹 혼합물 형태로 합성될 수 있다. 라세믹 형태로 얻어지는 화학식 (I)의 상기한 화합물들은 적당한 키랄산과의 반응으로 상응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 염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한 부분입체이성질체 염 형태는, 예를 들면 선택적 또는 분획 결정화방법으로 이어서 분리되며 광학이성질체들은 알칼리에 의해 분리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광학이성질체 형태를 분리하는 선택적인 방법으로는 키랄 정지상을 사용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가 있다. 상기한 순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형태는 반응이 입체특이적으로 일어난다면 적절한 출발물질의 상응하는 순수한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형태로부터 전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특이적 입체이성질체가 필요하다면 상기 화합물은 입체특이적 제조방법으로 합성될 것이다. 상기한 방법들은 광학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출발물질을 유리하게 사용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입체이성질체는 약리학 실시예 D.1에 나타낸 바와 같이 P2X7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특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P2X7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상태 또는 질병의 치료 약제, 특히 P2X7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활성 약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P2X7 수용체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상태 또는 질병의 치료를 위한 약제, 특히 P2X7 수용체 안타고니스 활성을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P2X7 수용체와 매개된 상태 또는 질병으로부터 선택된 상태 또는 질병의 치료를 위한 약제 제조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P2X7 수용체 매개 상태 또는 질병으로부터 선택된 상태 또는 질병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또는 그 약제로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P2X7 수용체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상태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P2X7 수용체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상태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P2X7 수용체 매개 상태 또는 질환은, 예를 들면 류마티스 관열염, 골관절염, 건선, 알러지성 피부염, 천식, 기도 과민증, 만성 폐쇄성 질환(COPD), 기관지염, 패혈성 쇼크, 사구체신염, 과민성 대장 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죽상 경화증, 악성 세포의 성장 및 전이, 근아세포 백혈병, 당뇨병, 신경퇴화질환,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뇌수막염, 골다공증, 화상, 허혈성 심장질환, 뇌졸중, 말초혈관병, 하지정맥증, 녹내장, 조울증 및, 당뇨성 신경통, 헤르페스후 신경장애, 허리 통증, 화학요법으로 유발된 신경성 동통, 섬유 근육통 및 척추 손상 통증과 같은 신경성 동통 상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처치하는" 및 "치료"란 용어는 상기한 용어가 적용되는 질병, 질환 또는 상태, 또는 상기한 질병, 질환 또는 상태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역접, 경감, 진행의 억제, 또는 방지 등을 포함하는 치유 요법, 일시 요법 및 예방 요법을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활성 성분으로서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로 특정한 화합물의 유효량을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완전히 혼합하는데, 여기서 담체는 투여를 위한 제조 형태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상기한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직장 투여, 경피 투여 또는 비경구적 투여에 적당한 단일 복약 형태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경구 복약 형태의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현탁제, 시럽제, 엘릭서제 및 용액제와 같은 경구용 액체 제제의 경우에는 물, 글리콜, 오일, 알코올 등의 통상의 액체 약학 담체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산제, 필(pill)제, 캡슐제 및 정제의 경우에는 전분, 당, 카올린, 윤활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고체 약학 담체가 적용될 수 있다. 용이한 투여방법으로 인하여 정제와 캡슐제가 가장 유리한 경구 복약 단위 형태이며, 이 경우에 고체 약학 담체가 적용되는 것은 자명하다. 비경구 주사제 조성물의 경우에, 활성 성분의 용해도를 개선하기 위해 다른 성분을 포함시킬 수는 있으나, 약학 담체로는 주로 멸균수를 포함한다. 주사 용액은 예를 들면 염류 용액, 글루코스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담체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주사 현탁액은 또한 적절한 액체 담체, 현탁제 등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당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약학 담체는 임의로 피부에 심각한 유해성을 유발하지 않는 미량의 적당한 첨가제와 함께, 침투 증진제 및/또는 적당한 습윤제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첨가제는 피부에 활성 성분의 투여를 촉진하기 위해서 및/또는 목적하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국소 조성물은, 예를 들면 경피성 패치제, 스팟온(spot-on)제 또는 연고제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부가염은, 상응하는 염기 형태에 대하여 이들의 증가된 용해도로 인하여 수성 조성물의 제조에 보다 더 적합하다.
투여의 용이성과 복약의 균일성을 위한 복약 단위 형태(dosage unit form)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제형화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복약 단위 형태"란 단일 복약으로서 적당한 물리적 개별 단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각각의 단위는 필요한 약학 담체와 함께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창출하도록 계산된 활성 성분의 미리 결정된 양을 함유한다. 이러한 복약 단위 형태의 예로는 정제(할선 정제 또는 코팅 정제), 캡슐제, 필제, 파우더 패킷제, 웨이퍼스제, 주사액제 또는 현탁제, 티스푼제, 테이블스푼제 등과 이들의 분리된 복합제 등이 있다.
경구 투여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결합제(전호화분 옥수수 전분,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등), 충전제(락토스,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인산칼슘 등), 윤활제(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실리카 등), 붕해제(감자 전분, 소듐 스타치 글리콜레이트 등), 습윤제(소듐 라우릴설페이트 등) 등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및 담체로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예를 들면 정제(삼키거나 씹어먹는 형태), 캡슐제 또는 겔캡제 등의 고체 투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한 정제는 또한 이 분야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제제는, 예를 들면 액제, 시럽제 또는 현탁액제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이들은 사용하기 전에 물 및/또는 다른 적당한 액체 담체와 혼합하기 위한 건조 제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한 액체 제제는, 임의로 현탁화제(소르비톨 시럽,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또는 경화된 식용가능한 지방 등), 에멀젼화제(레신틴 또는 아카시아 등), 비수성 담체(아몬드 오일, 오일성 에스테르 또는 에틸 알코올 등), 감미료, 풍미제, 마스킹제 및 방부제(메틸 또는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또는 소르브산 등)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와 함께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유용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감미제는, 바람직하게는 아스파탐, 아세설팜 포타슘, 소듐 시클라메이트, 알리탐, 디히드로칼콘 감미제, 모넬린, 스테비오사이드 슈크라로스(4,1',6'-트리클로로-4,1',6'-트리데옥시갈락토슈크로스) 또는 바람직하게는 사카린, 소듐 또는 칼슘 사카린 등의 강화 감미제 하나 이상, 및 임의로 소르비톨, 만니톨, 프럭토스, 슈크로스, 말토스, 이소말트, 글루코스, 경화된 글루코스 시럽, 자일리톨, 캬라멜 또는 꿀 등의 벌크 감미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강화 감미제는 저농도로 편리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소듐 사카린의 경우에, 상기 농도는 최종 제형의 약 0.04 % 내지 0.1 %(중량/부피) 범위일 수 있다. 벌크 감미제는 약 10% 내지 약 35%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15% 범위(중량/부피)의 더 높은 농도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저용량 제형에 있어서 쓴맛 성분을 은폐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풍미제는 바람직하게는 체리, 라스베리, 블랙베리 또는 딸기향과 같은 과일 풍미제이다. 두 가지 풍미제의 조합은 매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고용량 제형의 경우, 캬라멜 초콜릿, 민트 쿨, 판타지 등과 같은 더 강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풍미제가 요구될 수 있다. 각각의 풍미제는 약 0.05% 내지 1% 범위(중량/부피)의 농도로 최종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강한 풍미제의 조합은 유리하게 사용된다. 바람직하기로는 풍미제는 그 제형의 환경 하에서 맛 및/또는 색상이 변화되거나 손실되지 않도록 사용된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일회(bolus) 주사 또는 연속 정맥내 주사에 의해 편리하게 정맥, 근육 또는 피하 주사하는, 주사에 의한 비경구적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주사용 제형은 단일 복약 형태, 예를 들면 추가 방부제를 포함하는 앰플 또는 다회용 용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은 유성 또는 수성 비히클(vehicle)의 현탁액제, 용액제 또는 에멀젼제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등장화제, 현탁제, 안정제 및/또는 분산제 등의 제형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활성 성분은, 예를 들면 발열물질이 없는 멸균수와 같은 적합한 비히클과 사용하기 전에 혼합하기 위한 분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코코아 버터 및/또는 다른 글리세리드와 같은 일반적인 좌제 기제를 함유하는 좌약제 또는 정체 관장제 등의 직장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카나비노이드(cannabinoid) 수용체의 매개와 연관된 질병의 치료에 숙련된 사람들은 하기에 제공된 시험 결과로부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료학적 유효량은 처치되는 환자 체중 1 kg 당 약 0.001 mg 내지 약 5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mg 내지 약 10 mg 범위로 고려된다. 치료학적 유효량은 하루 중 적절한 간격으로 2회 이상의 하위 용량(sub-dose)으로 투여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상기한 하위 용량은 단위 복약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각각은 단위 복약 형태당 활성 성분을 약 0.1 mg 내지 약 1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00 mg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합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이란 개인 또는 동물에게 투여되었을 때 인식가능한 P2X7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반응을 유발하는 개인 또는 동물의 해당 화합물의 충분히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 화합물의 양이다.
투약의 정확한 양과 빈도는,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환자가 취할 수 있는 다른 약물뿐만 아니라 사용된 화학식 (I)의 특정한 화합물, 처치되고 있는 특정한 상태, 처치되는 상태의 심각성, 특정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일반적 조건 등에 따라 다르다. 또한, 상기 "치료학적 유효량"은 처치되는 환자의 반응에 따라 및/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방하는 의사의 평가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에서 언급한 유효한 일일 복용량 범위는 가이드라인일 뿐이다.
실시예
이하에 기술된 방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약어들이 사용되었다: 'MeOH'는 메탄올, 'DCM'은 디클로로메탄, 'CH3CN'은 아세토니트릴, 'DIPE'는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DIPEA'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MgSO4'는 마그네슘 설페이트, 'Na2SO4'는 황산나트륨, 'Na2CO3'는 탄산나트륨, 'THF'는 테트라히드로퓨란, 'EtOH'는 에탄올, 'DMF'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CF3COOH'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H2SO4'는 황산, 'KOAc'는 포타슘 아세테이트, 'NH3'는 암모니아, 'NaBH4'는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 'NH4Cl'은 암모늄 클로라이드, 'NaOH'는 수산화나트륨, 그리고 'NaHCO3'는 탄산수소나트륨염(1:1)을 의미한다.
일부 화합물들은 키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2개의 광학이성질체 혼합물을 그 광학이성질체 각각으로 분해하는 방법으로 단리하고, 단리된 각각의 광학이성질체 중 하나를 R* (또는 S*)로 표시하고 그의 거울상 이미지를 S* (또는 R*)로 표시하였다. R* 또는 S*로 표시된 상기한 화합물들은 절대구조가 알려지지 않은 단일 광학이성질체이다.
일부 화합물의 절대적 입체화학 구조는 진동 원형 이색성(vibrational circular dichroism (VCD))을 이용하여 결정되었다. 절대 구조 결정을 위해 VCD를 사용하는 방법은 Dyatkin A.B. et. al, Chirality, 14:215-219 (2002)에 기술되어 있다.
A. 중간체의 합성
실시예 A.1
a) 중간체 (1)의 제조
Figure pct00005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0.0286 mol)을 물(35 ml)에 용해하고 물(10 ml)에 용해된 NaHCO3(2.4 g, 0.0286 mol) 용액으로 처리하여 그의 자유 염기로 전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THF(23 m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6-(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딘카르복시알데히드(0.0286 mol)와 4-메틸벤젠-설폰산(0.030 mo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물(15 ml)에 시안화나트륨(0.0286 mol)을 용해하고 이 용액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70 ℃로 가열한 다음. 70 ℃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한 후, 10% K2CO3 수용액(150 ml)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DCM (2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10%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3 x 100 ml)하여 건조(Na2SO4) 및 여과하고 용매를 증류하여 중간체 (1) 5.9 g을 얻었다.
b) 중간체 (2)의 제조
Figure pct00006
NH3/CH3OH와 중간체 (1)(0.045 mol)의 혼합물을 14 ℃에서 라니(Raney) 니켈을 촉매로 하여 티오펜 용액(1 ml; 4 % in DIPE)의 존재 하에 수소화시켰다. 수소 첨가(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여 버리고, 여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에 용해하였다. 유기 용액을 1% Na2CO3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MgSO4)하고 여과한 다음,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튜브에서 정제하였다. 불순물을 DCM/MeOH(98/2)로 용출시키고 생성물은 DCM/(MeOH/NH3)(90/10)로 용출시켰다. 생성물 분획을 수집하여 용매를 증발시켜서 중간체 (2) 12.2 g을 얻었다.
상기 단계 a)와 b)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중간체 (19)를 6-(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딘카르복시알데히드 및 4-페닐-피페리딘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고, 중간체 (20)을 6-(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딘카르복시알데히드 및 4-페닐-피페라진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으며, 중간체 (22)를 1-메틸-1H-이미다졸-2-카르복시알데히드 및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7
intm. = 중간체
실시예 A.2
a) 중간체 (3a)의 제조,
Figure pct00008
물(10 ml)과 염산(1N, 2 방울)을 에탄올(15 ml) 중의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0.025 mol)에 첨가하였다. 6-브로모-3-피리딘카르복시알데히드(0.025 mol)를 일정량씩 나누어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후, 상기 혼합물을 빙냉조에서 냉각하였다. 물(5 ml)에 용해된 시안화나트륨(0.025 mol)을 적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50 ℃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빙냉조에서 냉각하면서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상기 침전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DCM/MeOH 99/1)하여 정제하였다. 얻어진 생성물 분획들을 수집하여 DIPE에서 결정화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하여 중간체 (3a) 2.8 g을 얻었다.
b) 중간체 (3b)의 제조,
Figure pct00009
NH3/CH3OH(150 ml) 용액과 중간체 (3a)(0.009 mol)의 혼합물을 14 ℃에서 라니(Raney) 니켈(1 g)을 촉매로 하여 티오펜 용액(1 ml)의 존재 하에 수소화시켰다. 수소 첨가(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여 버리고, 여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에 용해하고 1% Na2CO3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건조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DCM/MeOH 80/20)하여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수집하여 용매를 증발시켜서 중간체 (3b) 0.320 g을 얻었다.
상기 단계 a)와 b)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중간체 (4)를 2-클로로-3-피리딘카르복시알데히드를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고, 중간체 (5)를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 염산염과 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카르복시알데히드를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으며, 중간체 (6)을 3,3-디플루오로아제티딘 염산염과 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카르복시알데히드를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고, 중간체 (7)을 1-(ter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라진과 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카르복시알데히드를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고, 중간체 (8)을 3-피리딘카르복시알데히드를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으며, 중간체 (9)를 6-클로로-3-피리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고, 중간체 (12)를 2-벤조-퓨란카르복시알데히드와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10
intm. = 중간체
실시예 A.3
a) 중간체 (10)의 제조
Figure pct00011
NaHCO3(0.006 mol) 수용액을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0.006 mol)과 물(5 m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후, THF(6 ml) 중의 3-퓨란카르복시알데히드(0.006 mol)와 4-메틸벤젠설폰산(0.006 mol)을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물(3 ml)에 용해된 시안화나트륨(0.0072 mol)을 서서히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70 ℃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냉각하고 10% NaHCO3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여 여과한 다음, 용매를 증발시켜서 중간체 (10) 1 g을 얻었다.
b) 중간체 (11)의 제조
Figure pct00012
리튬 알루미늄 테트라하이드라이드(0.012 mol)을 0 ℃에서 THF(10 ml)와 중간체 (10)(0.0044 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5 ℃ 이하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Na2SO4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용매를 증발시켜 중간체 (11) 0.56 g을 얻었다.
상기 단계 a)와 b)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중간체 (13)을 3-티오펜카르복시알데히드와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고, 중간체 (14)를 5-메틸-2-퓨란카르복시알데히드와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으며, 중간체 (15)를 5-메틸-2-티오펜-카르복시알데히드와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13

실시예 A.4
a) 중간체 (16)의 제조
Figure pct00014
트리메틸실란카보니트릴(0.006 mol)을 아세트산(6 ml)에 용해된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0.006 mol)과 2-피리딘카르복시알데히드(0.006 mol)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였고, 이 때 반응 온도는 10 ℃ 이하로 유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교반하고, 암모니아 수용액(3 M)을 pH가 10이 될 때까지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건조 및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중간체 (16) 1.2 g을 얻었다.
b) 중간체 (17)의 제조
Figure pct00015
빙냉조에서의 교반 하에, DIPE(0.06 ml)에 용해된 4% 티오펜 용액을 중간체 (16)(0.00166 mol)과 NH3/MeOH(12 m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라니 니켈(0.5 g)을 0 ℃에서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수소 기류 하에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하여 버리고 여액을 증류하여 건조시켜서 중간체 (17) 0.250 g을 얻었다.
상기 단계 a)와 b)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중간체 (18)을 6-(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피페리딘 염산염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고, 중간체 (21)을 6-(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4-(4-클로로페닐)-4-피페리디놀로부터 제조하였고, 중간체 (23)을 6-(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모르폴린으로부터 제조하였고, 중간체 (24)를 6-(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1,1-디옥소-l-티오-모르폴린으로부터 제조하였으며, 중간체 (25)를 2-(트리플루오로메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으로부터 제조하였고, 중간체 (26)을 6-(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4-(아미노카르보닐)피페리딘으로부터 제조하였고, 중간체 (27)을 2-(트리플루오로메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피페리딘으로부터 제조하였고, 중간체 (28)을 2-(트리플루오로메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모르폴린으로부터 제조하였고, 중간체 (31)을 2-(트리플루오로메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피롤리딘으로부터 제조하였고, 중간체 (32)를 2-(트리플루오로메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호모피페리딘으로부터 제조하였으며, 중간체 (33)을 2-(트리플루오로메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2-피페라지논으로부터 제조하였고, 중간체 (34)를 2-(트리플루오로메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3,3-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으로부터 제조하였으며, 중간체 (35)를 2-(트리플루오로메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3-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으로부터 제조하였으며, 중간체 (36)을 2-(트리플루오로메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2-메틸모르폴린으로부터 제조하였고, 중간체 (37)을 2-(트리플루오로메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2-메틸피페리딘으로부터 제조하였고, 중간체 (38)을 2-(트리플루오로메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1,4-옥사존 염산염으로부터 제조하였고, 중간체 (39)를 2-메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으로부터 제조하였으며, 중간체 (40)을 2-(트리플루오로메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3-메톡시피페리딘 염산염으로부터 제조하였으며, 중간체 (55)를 2-메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모르폴린으로부터 제조하였으며, 중간체 (53)을 2-(트리플루오로메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4-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으로부터 제조하였고, 중간체 (54)를 2-메톡시-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와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으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실시예 A.5
a) 중간체 (29)의 제조
Figure pct00018
염화포스포릴(10 ml)을 2-옥시-퀴놀린-5-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0.03 mol)와 1,2-디클로로에탄(10 ml)의 혼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80 ℃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로 급냉시킨 다음,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Na2SO4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용매를 증발시켜서 중간체 (29) 6 g을 얻었다.
b) 중간체 (30)의 제조
Figure pct00019
수산화리튬(100 ml)을 중간체 (29) (0.027 mol)와 MeOH (50 ml)의 혼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키고, HCl 수용액(2M)을 상기 잔류물에 적가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여 버리고 잔류액을 조제용 HPLC(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수집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중간체 (30)을 얻었다
실시예 A.6
중간체 (41) 및 (42)의 제조
Figure pct00020
(41)
Figure pct00021
(42)
중간체 (25)(2 g)를 조제용 SFC 정제를 이용하여 그의 광학이성질체로 분리하였다. SFC는 Chiralpak AD-H 컬럼(30 x 250 mm)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에서 실시하였고: 용출액 CO2/(0.2 % 2-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메탄올) 75/25를 10분 동안 홀드(hold); 유속 50 ml/min; 컬럼 히터 온도 40 ℃; 노즐 압력 100 bar; 로딩 55 mg/1.5 ml. 2개의 피크를 얻어서 수집하였다. 제1 피크를 건조상태까지 농축하고 오븐에서 진공 하에 건조하여 고화하여 중간체 (41) 0.8 g을 얻었다. 제2 피크를 건조상태까지 농축하고 오븐에서 진공 하에 건조하여 고화하여 중간체 (42) 0.8 g을 얻었다.
실시예 A.7
a) 중간체 (43)의 제조
Figure pct00022
l-메틸-2-피롤리디논(10 ml)에 용해된 5-브로모-2-클로로-퀴놀린(0.02 mol)과 l-(ter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라진(0.06 mol)을 2시간 동안 100 ℃에서 교반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150 ml의 물에 부어서, 고체를 형성하고, 여과한 후, 세척하여 건조하였다. 이 후, 상기 고체를 뜨거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중에 첨가하여 냉각하고 여과시킨 다음, 세척하고 건조하여 중간체 (43) 4.6 g을 얻었다.
b) 중간체 (43a)의 제조
Figure pct00023
중간체 (43)(0.0117 mol), Pd(OAc)2(0.02 g), l,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0.08 g), 트리에틸아민(5 ml) 및 THF/MeOH (3:1) (80 ml)의 혼합물을 50 기압의 CO 가스 압력 하에서 125 ℃로 16 시간 동안 오토클레이브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에 첨가하여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MgSO4)하고, 여과하여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뜨거운 디이소프로필에테르에 현탁하여 여과하고 세척 및 건조하여 중간체(43a) 3.45g을 얻었다.
c) 중간체 (44)의 제조
Figure pct00024
중간체 (43a)(0.0011 mol)를 THF/MeOH(2:1)(3 ml)과 물(2 ml) 중에서 교반하였다. 수산화리튬(0.0022 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하였다. 물(5 ml)을 첨가하고 용액의 pH가 3 내지 4가 될 때까지 HCl(1N)을 첨가하였다. 침전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침전물을 여과하고 세척 및 건조하여 밝은 갈색 고체의 중간체 (44) 0.28 g을 얻었다.
실시예 A.8
a) 중간체 (45)의 제조
Figure pct00025
5-브로모-2-클로로-퀴놀린(0.0220 mol)과 모르폴린(0.1 mol)을 밀폐 튜브 중에서 100 ℃에서 2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부어서 고체를 형성하고 여과한 후 세척 및 건조하여 중간체 (45) 5.9 g을 얻었다.
b) 중간체 (45a)의 제조
Figure pct00026
중간체 (45)(0.02 mol), Pd(OAc)2(0.02 g), l,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0.08 g), 트리에틸아민(5 ml) 및 THF/MeOH (3:1) (80 ml)의 혼합물을 50 기압의 CO 가스 압력 하에서 125 ℃로 16 시간 동안 오토클레이브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에 첨가하여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MgSO4)하고, 여과하여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뜨거운 디이소프로필에테르에 현탁하여 여과하고 세척 및 건조하여 중간체 (45a) 4.45 g을 얻었다.
c) 중간체 (46)의 제조
Figure pct00027
중간체 (45a)(0.016 mol)를 THF/MeOH(2:1)(100 ml)과 물(50 ml) 중에서 교반하였다. 수산화리튬(0.032 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하였다. 물(50 ml)을 첨가하고 불순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용액의 pH가 3 내지 4가 될 때까지 HCl(1N)을 첨가 하여 상기 물층을 산성화하였다. 침전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침전물을 여과하고 세척 및 건조하여 중간체 (46) 3.12 g을 얻었다.
실시예 A.9
a) 중간체 (47)의 제조
Figure pct00028
5-브로모-2-클로로-퀴놀린(0.02 mol)과 3-아미노-l-프로판올(20 ml)을 4 시간 동안 80 ℃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물로 1회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여 여과 후 증발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2% 아세토니트릴을 함유하는 이소프로필에테르 중에서 결정화하였다. 상기 결정을 수집하여 진공으로 건조하여 중간체 (47) 2.97 g을 얻었다.
b) 중간체 (48)의 제조
Figure pct00029
중간체 (47)(2.9 g), Pd(OAc)2(0.02 g), l,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0.08 g), 트리에틸아민(5 ml), THF(40 ml) 및 메탄올(10 ml)의 혼합물을 50 기압의 CO 가스 압력 하에서 125 ℃로 16 시간 동안 오토클레이브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 상기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로 희석하여 에틸아세테이트(3회)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물로 세척(2회)하고, MgSO4로 건조하여 여과 후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이소프로필에테르 중에서 결정화하였다. 얻어진 침전을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건조하여 중간체 (48) 1.25 g을 얻었다.
c) 중간체 (49)의 제조
Figure pct00030
중간체 (48)(0.002 mol)과 디옥산(16 ml)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수산화리튬 수화물(0.0025 mol)과 물(4 ml)을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5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연속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킨 다음, 물에 재용해하고 1N HCl로 중화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하고 진공으로 건조하여 중간체 (49) 0.45 g을 얻었다.
실시예 A.10
a) 중간체 (50)의 제조
Figure pct00031
5-브로모-2-클로로퀴놀린과 시클로프로판아민을 밀폐 용기 중에서 5일 동안 60 ℃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CH3CN에서 결정화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여 진공에서 건조하여 중간체 (50) 9.3 g (88%)을 얻었다.
b) 중간체 (51)의 제조
Figure pct00032
중간체 (50)(36.5 mmol), 메탄올, 팔라듐 디아세테이트(0.2 mmol),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0.4 mmol), 트리에틸아민(10 ml)의 THF 용액을 50 기압의 CO 가스 하에서 125 ℃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칼라이트(dicalite)로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DCM/MeOH 100/0 내지 98/2)로 정제하였다. 상응하는 분획을 증발시켰다. 제1 잔류물을 이소프로필에테르에서 분해하고, 침전물을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하여 중간체 (51) 1.95 g을 얻었다.
c) 중간체 (52)의 제조
Figure pct00033
중간체 (51)(8 mmol)과 디옥산 (40 ml)을 실온에서 교반하는 한편, 수산화리튬 수화물(16.1 mmol)을 탈염수(20 ml)에 용해하여 적가하였다.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반응물을 증발시킨 다음, 50 ml의 물에 다시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교반하면서 1N HCl로 중화시켰다.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침전물을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하여 중간체 (52) 1580 mg을 얻었다.
실시예 A.11
a) 중간체 (56)의 제조
Figure pct00034
중간체 (30)(3.0 g, 0.013 mol)을 DCM(100 ml; 무수물)에 현탁하였다. 먼저 에탄디오일 디클로라이드(9.0 g, 0.072 mol)를 첨가하고 나서 DMF(3 방울)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켜서 중간체 (56) 3.1 g을 얻었다.
실시예 A.12
a) 중간체 (57)의 제조
Figure pct00035
질소 분위기 하에서의 반응. 나트륨(0.00026 mol)을 에탄올(300 ml)에 O ℃에서 첨가하였다. 고체가 완전히 녹을 때까지 상기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교반하면서 중간체 (83)(0.0929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의 온도를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교반하면서 이소프로필 이미도카바메이트의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염(0.0872 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300 ml)에 분산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DCM (2 x 20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서 포화 NaCl 수용액(200 ml)으로 세척하였다. 분리된 유기 분획을 Na2S04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후,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10/1, v/v)에서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수집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진공에서 건조하여 중간체 (57) 6.5 g을 얻었다.
b) 중간체 (58)의 제조
Figure pct00036
중간체(57)(0.0120 mol), 트리메틸에티닐실란(0.0240 mol), 모르폴린(0.0144 mol) 및 아세트산(30 ml)에 용해된 소듐 아세테이트(0.0180 mol)의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물(50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고체 NaOH로 pH 10으로 알칼리화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물로 세척(3 x 50 ml)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하여 중간체 (58) 2.5 g을 얻었다.
c) 중간체 (59)의 제조
Figure pct00037
암모니아(7N, 20 ml)와 THF (100 ml)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에 용해시킨 정제되지 않은 중간체 (58) (0.0095 mol)을 주위 온도에서 수소 분위기 하에서 라니 니켈(4 g)을 촉매로 하여 수소 존재 하에 하룻밤 동안 수소화시켰다. 수소 첨가 (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였다. 여액을 증발시켜서 중간체 (59) 2.3 g을 얻었다.
실시예 A.13
a) 중간체 (60)의 제조
Figure pct00038
중간체 (57)(0.0120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0.0240 mol),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0.0144 mol) 및 아세트산(30 ml)에 용해된 소듐 아세테이트(0.0180 mol)의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물(50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고체 NaOH로 pH 10으로 염기화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물로 세척(3 x 50 ml)하였다. 침전물을 모으고 진공에서 건조하여 중간체 (60) 3.7 g을 얻었다.
b) 중간체 (61)의 제조
Figure pct00039
암모니아(7N, 20 ml)와 THF (100 ml)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에 용해시킨 중간체 (60) (0.0125 mol)을 주위 온도에서 수소 분위기 하에서 라니 니켈(6 g)을 촉매로 하여 수소 존재 하에 하룻밤 동안 수소화시켰다. 수소 첨가 (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였다. 여액을 증발시켜서 중간체 (61) 3.5 g을 얻었다.
실시예 A.14
a) 중간체 (62)의 제조
Figure pct00040
2-에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0.0235 mol), 모르폴린(0.0282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0.047 mol), 및 아세트산(50 ml)에 용해된 소듐 아세테이트(0.0294 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NaHCO3로 pH 8로 알칼리화하여 에틸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서 건조하고 여과하여 여액의 용매를 증발시켜서 중간체 (62) 4.8 g을 얻었다.
b) 중간체 (63)의 제조
Figure pct00041
중간체 (62) (0.0207 mol), 라니 니켈(9.6g) 및 암모니아(7N, 10 ml)의 메탄올(60 ml) 용액으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수소화시켰다. 수소 첨가 (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켰다. 얻어진 정제되지 않은 잔류물을 C18의 HPLC(용출액: CH3CN/물 25/75 내지 55/45 with 0.1% NH3)로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수집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중간체 (63) 2.7 g을 얻었다.
실시예 A.15
a) 중간체 (64)의 제조
Figure pct00042
2-(l-피페리디닐)-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0.00314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0.00628 mol),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0.00377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0.00408 mol)의 아세트산(15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20 ml) 중에서 교반하였다. 수성층을 pH 8이 될 때까지 NaHCO3로 처리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3 x 30 ml)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건조(Na2SO4)하고 여과하여 용매를 증발시켜서 중간체 (64) 1.0 g을 얻었다.
b) 중간체 (65)의 제조
Figure pct00043
중간체 (64) (0.00311 mol), 라니 니켈(2.0g) 촉매 및 암모니아(7N, 5 ml)의 에탄올(30 ml) 용액으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수소화시켰다(대기압). 수소 첨가 (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YMC의 조제용 HPLC(150 x 30 mm; C18; 용출액: CH3CN/물 16/84 내지 46/54 with 0.1% CF3COOH)로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을 수집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에 용해하고 HCl/l,4-디옥산(40 ml)을 사용하여 염산염으로 전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남아있는 용매를 증발시켜 건조하여 중간체 (65) 0.45 g을 얻었다.
실시예 A.16
a) 중간체 (66)의 제조
Figure pct00044
2-에톡시-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0.01314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0.02628 mol), 모르폴린(0.01445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0.01577 mol)의 아세트산(20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에 물(30 ml)을 첨가하였다. 수성층을 NaHCO3로 pH 8까지 염기화하고, DCM으로 추출(3 x 40 ml)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건조(Na2SO4)하고 여과하여 증발시켜서 중간체 (66) 3.5 g을 얻었다.
b) 중간체 (67)의 제조
Figure pct00045
중간체 (66)(0.01410 mol), 라니 니켈(6 g) 촉매 및 암모니아(7N, 10 ml)의 THF(60 ml) 용액으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수소화시켰다(대기압). 수소 첨가 (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증발시켜서 3.4 g의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을 얻었다. 상기 생성물을 YMC의 조제용 HPLC(150 x 30 mm; C 18; 용출액: CH3CN/물 5/95 내지 20/80 with 0.1% CF3COOH)로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을 수집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에 용해하고 HCl/l,4-디옥산(40 ml)을 사용하여 염산염으로 전환하였다. 잔류물을 증발시켜 중간체 (67) 2.0 g을 얻었다.
실시예 A.17
a) 중간체 (68)의 제조
Figure pct00046
2-(1-메틸에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0.01332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0.02664 mol), 모르폴린(0.01465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0.01598 mol)의 아세트산(20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에 물(30 ml)을 첨가하였다. 수성층을 NaHCO3로 pH 8까지 염기화하고, DCM으로 추출(3 x 40 ml)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건조(Na2SO4)하고 여과하여 증발시켜서 중간체 (68) 3.3 g을 얻었다.
b) 중간체 (69)의 제조
Figure pct00047
중간체 (68) (0.01340 mol), 라니 니켈(6 g) 촉매 및 암모니아(7N)의 THF(60 ml) 용액으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수소화시켰다(대기압). 수소 첨가 (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증발시켜서 3.3 g의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을 얻었다. 상기 생성물을 YMC의 조제용 HPLC(150 x 30 mm; C18; 용출액: CH3CN/물 15/85 내지 30/70 with 0.1% CF3COOH)로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을 수집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에 용해하고 디옥산 HCl(40 ml)을 사용하여 염산염으로 전환하였다. 잔류물을 증발시켜 최종 생성물인 중간체 (69) 2.9 g을 얻었다.
실시예 A.18
a) 중간체 (70)의 제조
Figure pct00048
피롤리딘(0.041237 mol)을 클로로퀴놀린(0.041237 mol)에 첨가하였다. 격렬한 발열이 상기 용액을 끓는점까지 가온하였다. 환류 응축기를 부착하고, 상기 용액을 16시간 동안 20 ℃에서 교반하였다. 피롤리딘을 회전식 증발로 제거하고 잔류물을 Na2CO3(50% 수성)/DCM에 첨가하였다. 층들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NaCl (50% 포화된)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Na2SO4)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페닐메틸과 공비시켜서 중간체 (70) 12 g을 얻었다.
b) 중간체 (71)의 제조
Figure pct00049
75 ml의 스테인레스 스틸 오토클레이브를 질소 분위기 하에서 MeOH/THF 1/1 (40 ml)에 용해된 중간체 (70)(0.043296 mol), 팔라듐 아세테이트(0.00433 mol),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0.0866 mol) 및 포타슘 아세테이트(0.86593 mol)로 충전하였다. 상기 오토클레이브를 밀폐하고 50 bar의 CO로 가압하여 16시간 동안 100 ℃에서 반응시켜서, 중간체 (71)을 얻었다.
c) 중간체 (72)의 제조
Figure pct00050
중간체 (71)을 실시예 A.5의 방법에 따라 중간체 (72)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A.19
a) 중간체 (73)의 제조
Figure pct00051
2-(메틸티오)피리미딘-5-카르복시알데히드(0.01193 mol)와 피롤리딘(0.02983 mol)을 에탄올에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스틸 튜브에서 90 ℃로 하룻밤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컬럼(실리카겔, 용출액: 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20:1)으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수집하여 용매를 증발시켜서 중간체 (73) 1.56 g을 얻었다.
b) 중간체 (74)의 제조
Figure pct00052
중간체 (73)(0.0088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0.1760 mol),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0.1056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0.1144 mol)의 아세트산(20 ml)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에 물(20 ml)을 첨가하였다. 수성층을 NaHCO3로 pH 8까지 염기화하고, DCM으로 추출(3 x 30 ml)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건조(Na2SO4)하고 여과하여 증발시켜서 중간체 (74) 2.4 g을 얻었다.
c) 중간체 (75)의 제조
Figure pct00053
중간체 (74) (0.0078 mol), 라니 니켈(6 g) 촉매 및 암모니아 용액(7N, 17 ml)으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수소화시켰다(대기압). 수소 첨가 (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YMC의 조제용 HPLC(250 x 20 mm)(C18; 용출액: CH3CN/물 2/98 내지 32/68 with 0.1% CF3COOH)로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을 수집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HCl/디옥산을 사용하여 pH 5로 산성화하였다. 잔류물을 증발시켜서 중간체 (75) 2.4 g을 얻었다.
실시예 A.20
a) 중간체 (76)의 제조
Figure pct00054
카르바미미도티오산, 메틸 에스테르, 설페이트(2:1)(0.118 mol), 1-아세틸-피페라진(0.094 mol) 및 물(100 ml)에 용해된 NaOH(6 g)의 혼합물을 80 ℃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하면서 충분한 양의 에탄올(400 ml)을 첨가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여 버렸다. 여액을 모으고 감압 하에서 증발시켜서 중간체 (76) 15 g을 얻었다.
b) 중간체 (77)의 제조
Figure pct00055
나트륨(6 g)을 에탄올(200 ml)에 분산하였다. 나트륨을 완전히 용해한 후, 중간체 (76)과 중간체 (83)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여 버리고, 여액을 수집하여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이 후, 잔류물을 DCM(200 ml)에 첨가하고 물(200 ml, 4회)로 세척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Na2SO4에서 건조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용출액: MeOH/DCM=l/30 v/v)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수집하여 용매를 증발시켜서 중간체 (77) 2 g을 얻었다.
c) 중간체 (78)의 제조
Figure pct00056
중간체 (77)(0.0085 mol),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0.01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0.017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0.011 mol)의 아세트산(20 ml)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물(50 ml)을 첨가하고 NaHCO3로 pH 8까지 염기화하였다. DCM을 첨가하여 추출(3 x 50 ml)하였다. 유기층을 모아서 감압 하에 증발시켜서, 중간체 (78) 3 g을 얻어 다음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d) 중간체 (79)의 제조
Figure pct00057
중간체 (78) (0.0082 mol), 라니 니켈(6g) 촉매 및 암모니아(7N, 15 ml)의 THF(100 ml) 용액으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하룻밤 동안 수소화시켰다(대기압). 수소 첨가 (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고 여액을 모아서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HPLC(용출액: 물/CH3CN 45/55 v/v 중의 0.5% CF3COOH)로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을 수집하고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50 ml)에 용해하고 HCl/디옥산을 사용하여 그의 염산염(1:2)으로 전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중간체 (79) 2 g을 얻었다.
실시예 A.21
a) 중간체 (80)의 제조
Figure pct00058
나트륨(2.3 g)을 에탄올(150 ml)에 용해하였다. N-시클로프로필-구아니딘, 설페이트(2:1)(0.0337 mol) 및 중간체 (83)(0.0674 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50 ml)에 용해하고 DCM(50 ml, 3회)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모아서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을 컬럼(실리카겔, 용출액: 석유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3/1)으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모아서 용매를 증발시켜 중간체 (80) 3.6 g을 얻었다.
b) 중간체 (81)의 제조
Figure pct00059
중간체 (80)(0.01599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0.03198 mol),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0.01759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0.01919 mol)의 아세트산(100 ml)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에 물(60 ml)을 첨가하였다. 수성층을 NaHCO3로 pH 8까지 염기화하고, DCM을 첨가하여 추출(3 x 50 ml)한 후, 분리된 유기층을 건조(Na2SO4)하여 여과하고 증발시켜서, 중간체 (81) 4.4 g을 얻었다.
c) 중간체 (82)의 제조
Figure pct00060
중간체 (81) (0.015 mol), 라니 니켈(8 g) 촉매 및 암모니아(7N, 25 ml)의 THF(150 ml) 용액으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수소화시켰다(대기압). 수소 첨가(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YMC 상의 조제용 HPLC(150*30 mm)(C18, 용출액: CH3CN/물 16/84 내지 46/54 with 0.1 % CF3COOH)로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을 수집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에 용해하여 1,4-디옥산 HCl(40 ml)을 사용하여 그의 염산염으로 전환하였다. 잔류물을 증발시켜서, 중간체 (82) 2 g(40 %)을 얻었다.
실시예 A.22
a) 중간체 (83)의 제조
Figure pct00061
인산 삼염화물(2.1 mol)을 DMF(850 ml)에 O ℃에서 서서히 첨가하고 초기 온도를 5 내지 10 ℃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브로모-아세트산(0.72 mo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90 ℃로 가열하였다. 이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이 슬러리를 0 ℃에서 교반하면서 이소프로판올(400 ml)에 첨가하였다. 물(30 ml)을 0 ℃에서 적가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이소프로판올(300 ml)로 희석하고 교반하면서 이소프로파닐 아세테이트(300 ml)를 적가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모아서 CH3CN(300 ml)으로 세척하였다. 잔류물을 감압 하에서 건조하여 중간체 (83) 170 g을 얻었다.
b) 중간체 (84)의 제조
Figure pct00062
중간체 (83)(0.1115 mol), 카본산, 구아니딘 함유 화합물(1:2) (0.0555 mol) 및 Na2CO3(18 g)의 에탄올(200 ml) 용액의 혼합물을 80 ℃에서 하룻밤 동안 환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건조(Na2SO4)한 후, 증발시켜서 정제되지 않은 중간체 (84) 12.2 g을 얻었다.
c) 중간체 (85)의 제조
Figure pct00063
중간체 (84)(0.02437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 (0.04873 mol),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0.02681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0.02924 mol)의 아세트산(80 ml) 용액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물(30 ml)을 생성된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수성층을 NaHCO3로 pH를 8로 염기화하고, DCM(40ml, 3 회)으로 추출하여, 분리된 유기층을 건조(Na2SO4)한 후, 여과하고 증발시켜서 중간체 (85) 1.86 g을 얻었다.
d) 중간체 (86)의 제조
Figure pct00064
중간체 (85)(0.00395 mol), 라니 니켈(2 g) 촉매 및 암모니아(7N, 5 ml)의 에탄올(30 ml) 용액으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수소화시켰다(대기압). 수소 첨가(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켰다. 상기 잔류물을 YMC 상의 조제용 HPLC(250*20 mm)(C18, 용출액: CH3CN/물 8/92 내지 18/82 with 0.1 % CF3COOH)로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을 수집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HCl/디옥산으로 pH 5로 산성화하였다. 잔류물을 증발시켜서, 중간체 (86) 0.9 g을 얻었다.
실시예 A.23
a) 중간체 (87)의 제조
Figure pct00065
나트륨(2.8 g)을 에탄올(300 ml)에 용해하였다. 2-메틸프로피온아미딘 염산염(0.08157 mol) 및 중간체 (83)(0.08157 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50 ml)에 용해하고 DCM(50 ml, 3회)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모아서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을 컬럼(실리카겔, 용출액: 석유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0/1 v/v)으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모아서 용매를 증발시켜 중간체 (87) 6.0 g을 얻었다.
b) 중간체 (88)의 제조
Figure pct00066
중간체 (87)(0.01998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 (0.03996 mol),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0.02198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0.02398 mol)의 아세트산(30 ml) 용액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물(50 ml)을 생성된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수성층을 NaHCO3로 pH를 8로 염기화하고, DCM(40ml, 3 회)으로 추출하여, 분리된 유기층을 건조(Na2SO4)한 후, 여과하고 증발시켜서 중간체 (88) 5.2 g을 얻었다.
c) 중간체 (89)의 제조
Figure pct00067
중간체 (88)(0.01855 mol), 라니 니켈(10 g) 촉매 및 암모니아(7N, 10 ml)의 THF(60 ml) 용액으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수소화시켰다(대기압). 수소 첨가(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증발시켜서 최종 생성물로서 중간체 (89) 4.9 g을 얻었다.
실시예 A.24
a) 중간체 (90)의 제조
Figure pct00068
나트륨(5.8 g)을 에탄올(300 ml)에 용해하였다. 시클로펜탄카르복시이미다미드 일염산염(0.16819 mol) 및 중간체 (83)(0.16819 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50 ml)에 용해하고 DCM(50 ml, 3회)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모아서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을 컬럼(실리카겔, 용출액: 석유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0/1 v/v)으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모아서 감압 하에서 증발시켜 중간체 (90) 6.0 g을 얻었다.
b) 중간체 (91)의 제조
Figure pct00069
중간체 (90)(0.01702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 (0.03404 mol),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0.01872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0.02042 mol)의 아세트산(30 ml) 용액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물(30 ml)을 생성된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수성층을 NaHCO3로 pH를 8로 염기화하고, DCM(40ml, 3 회)으로 추출하여, 분리된 유기층을 건조(Na2SO4)한 후, 여과하고 증발시켜서 중간체 (91) 3.86 g을 얻었다.
c) 중간체 (92)의 제조
Figure pct00070
중간체 (91)(0.0126 mol), 라니 니켈(7 g) 촉매 및 암모니아(7N, 6 ml)의 THF(40 ml) 용액으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수소화시켰다(대기압). 수소 첨가(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서 정제되지 않은 중간체 (92) 4.1 g을 얻었다.
실시예 A.25
a) 중간체 (93)의 제조
Figure pct00071
2-(4-모르폴리닐)-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6.6 g),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0.0213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0.0647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2.6 g)의 아세트산(120 ml)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물(100 ml)에 용해하였다. 수성 용액을 NaHCO3로 pH 10까지 염기화하였다. 수성층을 DCM(200 ml, 3회)으로 추출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건조(Na2SO4)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중간체 (93) 4.8 g을 얻었다.
b) 중간체 (94)의 제조
Figure pct00072
중간체 (93)(4.8 g)과 암모니아(7N, 40 ml)의 에탄올 용액(350 ml)으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수소 분위기 하에 라니 니켈(10 g) 촉매로 수소 존재 하에서 하룻밤 동안 수소화하였다. 수소 첨가(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서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을 얻었다. 상기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을 HPLC(C18, 용출액: CH3CN/물 10/90 내지 40/60 with 0.1% CF3COOH)로 정제하였다. 분획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메탄올에 용해하고 1,4-디옥산/염산(150 ml)을 사용하여 그의 염산염으로 전환하여 중간체 (94) 2.5 g을 얻었다.
실시예 A.26
a) 중간체 (95)의 제조
Figure pct00073
2-(디메틸아미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0.0331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0.0662 mol),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0.0397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0.0496 mol)의 아세트산(50 ml)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물(300 ml)에 용해하였다. 수성 용액을 NaHCO3로 pH 10까지 염기화하였다. 수성층을 DCM(300 ml, 3회)으로 추출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건조(Na2SO4)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중간체 (95) 7.5 g을 얻었다.
b) 중간체 (96)의 제조
Figure pct00074
중간체 (95)(7.5 g)과 암모니아(7N, 50 ml)의 THF 용액(300 ml)으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수소 분위기 하에 라니 니켈(10 g) 촉매로 수소 존재 하에서 하룻밤 동안 수소화하였다. 수소 첨가(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서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을 얻었다. 상기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을 HPLC(C18, 용출액: CH3CN/물 10/90 내지 40/60 with 0.1% CF3COOH)로 정제하였다. 분획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메탄올에 용해하고 1,4-디옥산/HCl(150 ml)을 사용하여 그의 염산염으로 전환하여서, 중간체 (96) 3.5 g을 얻었다.
실시예 A.27
a) 중간체 (97)의 제조
Figure pct00075
2-(1-피롤리디닐)-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 (0.0169 mol), 모르폴린 (0.0203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 (0.0508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 (0.15 g)의 아세트산(45 ml)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물(100 ml)에 용해하였다. 수성 용액을 NaHCO3로 pH 10까지 염기화하였다. 수성층을 DCM(200 ml, 3회)으로 추출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건조(Na2SO4)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정제되지 않은 중간체 (97) 3.5 g을 얻었다.
b) 중간체 (98)의 제조
Figure pct00076
중간체 (97)(3.5 g)과 암모니아(50 ml)의 THF(100 ml) 용액으로 포화된 메탄올 및 메탄올(200 ml)의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수소 분위기 하에 라니 니켈(9 g) 촉매로 수소 존재 하에서 하룻밤 동안 수소화하였다. 수소 첨가(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서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을 얻었다. 상기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을 HPLC(C18, 용출액: CH3CN/물 10/90 내지 40/60 with 0.1% CF3COOH)로 정제하였다. 분획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메탄올에 용해하고 1,4-디옥산/염산(150 ml)을 사용하여 그의 염산염으로 전환하여 중간체 (98) 3 g을 얻었다.
실시예 A.28
a) 중간체 (99)의 제조
Figure pct00077
나트륨(8 g)을 0 ℃, 질소 분위기 하에서 에탄올(300 ml)에 용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고체가 완전히 녹을 때까지 주위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중간체 (83)(0.1432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의 온도가 주위 온도로 냉각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카바미미드산(carbamimidic acid), 시클로프로필메틸 에스테르, 1,1,1-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0.0946 mol)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300 ml)에 분산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DCM(300 ml, 2회)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분획물을 포화된 염화나트륨 수용액(200 ml)으로 세척하였다. 분리된 유기 분획물을 Na2SO4에서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용출액: 석유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0/1 v/v)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모아서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진공에서 건조하여, 중간체 (99) 15.0 g을 얻었다.
b) 중간체 (100)의 제조
Figure pct00078
중간체 (99)(0.0112 mol),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0.0135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0.0224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0.0169 mol)의 아세트산(30 ml) 용액의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물(50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고체 NaOH를 첨가하여 pH를 10으로 염기화하였다. 생선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모으고 물(50 ml, 3 회)로 세척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수집하여 진공에서 건조시켜서 중간체 (100) 3.2 g을 얻었다.
c) 중간체 (101)의 제조
Figure pct00079
중간체 (100)(3.2 g)과 암모니아(7N, 20 ml)의 THF(100 ml) 용액으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수소 분위기 하에 라니 니켈(6 g) 촉매로 수소의 존재 하에 하룻밤 동안 수소화시켰다. 수소 첨가(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서 정제되지 않은 중간체 (101) 3.0 g을 얻었다.
실시예 A.29
a) 중간체 (102)의 제조
Figure pct00080
중간체 (87) (0.01323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 (0.02646 mol), 모르폴린(0.01455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 (0.01588 mol)의 아세트산(20 ml)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30 ml)을 첨가하였다. 수성층을 NaHCO3로 pH 8까지 염기화하고 DCM(40 ml, 3회)으로 추출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건조(Na2SO4)하고 여과 및 증발시켜서 중간체 (102) 3.3 g을 얻었다.
b) 중간체 (103)의 제조
Figure pct00081
중간체 (102)(0.01334 mol), 라니 니켈(6 g) 촉매 및 암모니아(7N, 10 ml)의 THF(60 ml) 용액으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수소화시켰다(대기압). 수소 첨가(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증발시켜서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 3.0 g을 얻었다. 상기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을 YMC 상의 조제용 HPLC (150*30 mm) (C18, 용출액: CH3CN/물 15/85 내지 25/75 with 0.1 % CF3COOH)로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을 수집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에 용해하고 1,4-디옥산 HCl(40 ml)을 이용하여 염산염으로 전환하였다. 잔류물을 증발시켜서, 최종 생성물로서 중간체 (103) 1.8 g을 얻었다.
실시예 A.30
a) 중간체 (104)의 제조
Figure pct00082
2-에틸-5-피리미딘카르복시알데히드 (0.0235 mol),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 (0.0282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 (0.047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 (0.0294 mol)의 아세트산(50 ml)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에 용해하고 NaHCO3로 pH를 8까지 염기화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층을 건조하여 여과하고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인 중간체 (104) 5.0 g을 얻었다.
b) 중간체 (105)의 제조
Figure pct00083
중간체 (104)(0.0188 mol), 라니 니켈(10 g)과 암모니아(7N, 10 ml)의 메탄올(60 ml) 용액으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수소화시켰다. 수소 첨가(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켜서 중간체 (105) 4.4 g을 얻었다.
실시예 A.31
a) 중간체 (106)의 제조
Figure pct00084
나트륨(8.2 g)을 0 ℃, 질소 분위기 하에서 에탄올(500 ml)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고체가 완전히 녹을 때까지 주위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중간체 (83)(0.2378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의 온도가 주위 온도로 냉각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시클로부틸 이미도카바메이트의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0.1189 mol)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500 ml)에 분산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DCM(200 ml, 3회)으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 분획물을 포화된 염화나트륨 수용액(200 ml)으로 세척하였다. 분리된 유기 분획물을 Na2SO4에서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용출액: 석유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0/1 v/v)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모아서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생성물을 진공에서 건조하여, 백색 고체의 상응하는 생성물, 중간체 (106) 16.6 g을 얻었다.
b) 중간체 (107)의 제조
Figure pct00085
중간체 (106)(0.0112 mol),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0.0127 mol),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0.0224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0.0146 mol)의 아세트산(30 ml) 용액의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물(50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고체 NaOH를 첨가하여 pH를 10으로 염기화하였다. 생선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모으고 물(50 ml, 3 회)로 세척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수집하여 진공에서 건조시켜서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 중간체 (107) 3.0 g을 얻었다.
c) 중간체 (108)의 제조
Figure pct00086
중간체 (107)(3 g crude)과 암모니아(7N, 20 ml)의 THF(100 ml) 용액으로 포화된 메탄올의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수소 분위기 하에 라니 니켈(10 g) 촉매로 수소의 존재 하에 하룻밤 동안 수소화시켰다. 수소 첨가(2 당량) 후에, 촉매를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서 정제되지 않은 중간체 (108) 3.0 g을 얻었다.
실시예 A.32
a) 중간체 (200)의 제조
Figure pct00087
브롬(5.2 mL, 101 mmol)을 30분 동안 2,6-디클로로퀴놀린(20 g, 101 mmol)과 염화알루미늄(40 g, 303 mmol)에 120 ℃에서 적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12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메탄올/물(1 : 1 v:v, 150 m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감압 하에서 메탄올을 제거하고 얻어진 슬러리를 DCM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모아서 포화된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농축한 다음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30-100% DCM의 헥산 용액)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23 g, 83%)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8.51 (dd, J= 8.9, 0.7, 1H), 7.92 (dd, J= 9.0, 0.7, 1H), 7.76 (dd, J= 8.9, 4.2, 1H), 7.49 (d, J= 8.6, 1H)
a) 중간체 (201)의 제조
Figure pct00088
중간체 (200) (20.0 g, 72.3 mmol)의 THF(200 mL) 용액에 0 ℃에서 2M 이소프로필마그네슘 클로라이드의 THF(36.5, 72.9 mmol) 용액을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무수 CO2를 반응 혼합물 중에 완만하게 폭기시키고 0 ℃에서 60분 동안 지속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에 첨가하여 EtOAc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모아서 Na2SO4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농축하여 목적 생성물(13 g, 74%)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 δ 14.40 (s, 1H), 8.29 (dd, J= 8.9, 0.7, 1H), 8.07 (dd, J= 9.0, 0.7, 1H), 7.94 (d, J= 9.0, 1H), 7.74 (d, J= 8.9, 1H).
단계 a)와 b)에 기술된 바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중간체 (202)를 6-메틸-2-클로로퀴놀린으로부터 제조하였고, 중간체 (203)을 6-클로로퀴놀린으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89
중간체 (202): 1H NMR (500 MHz, DMSO) δ 13.84 (s, 1H), 8.59 (d, J= 8.9, OH), 8.33 (d, J= 8.9, 1H), 7.96 (d, J= 8.7, 1H), 7.75 (d, J= 8.7, 1H), 7.64 (d, J= 8.9, 1H).
중간체 (203): 1H NMR (500 MHz, DMSO) δ 14.24 (s, 1H), 9.01 (dd, J= 4.2, 1.5, 1H), 8.24 (dd, J= 7.9, 0.7, 1H), 8.13 (d, J= 9.0, 1H), 7.87 (d, J= 9.0, 1H), 7.69 (dd, J= 8.6, 4.2, 1H).
실시예 A.33
a) 중간체 (204)의 제조
Figure pct00090
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5-카르바알데히드(8.8 g, 0.049 mol),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8.3 g, 0.052 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 (6.1 g, 0.075 mol)의 아세트산(35 mL) 용액의 혼합물에 트리메틸실릴 시안화물(13.6 mL, 0.099 mol)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농축한 다음, 수성 중탄산나트륨 포화용액으로 pH를 7 내지 8로 중화하고 H2O (100 mL)와 CH2Cl2 (75 mL)로 분할하였다. 각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CH2Cl2 (2 x 75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얻어진 오렌지색 고체를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6.9 g, 45%).
MS (ESI): mass calcd. for C12H11F5N4, 306.1; m/z found, 305.1 [M-H]. 1H NMR (CDCl3) δ 9.09 (d, J= 7.5, 2H), 5.03 (s, 1H), 2.86 - 2.63 (m, 4H), 2.21 - 1.97 (m, 4H).
단계 a)에 기술된 바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중간체 (205) 내지 (207)을 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5-카르바알데히드 또는 2-메틸설파닐-피리미딘-5-카르바알데히드 및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 염산염 또는 모르폴린, 또는 피페리딘 각각으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91

실시예 A.34
a) 중간체 (208)의 제조
Figure pct00092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5-일)-아세토니트릴(6.0 g, 0.019 mol)과 7N 암모니아의 메탄올(6 mL) 용액의 메탄올(60 mL) 혼합물을 라니 니켈 촉매로 실온에서 수소화시켰다. 수소 첨가(2 당량) 후에 상기 촉매를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켰다. 얻어진 오일을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5.9 g, 98%).
MS (ESI): mass calcd. for C12H15F5N4, 310.1; m/z found, 311.2 [M+H]+ . 1H NMR (CD3OD) δ 8.94 (d, J= 9.3, 2H), 3.78 (t, J= 6.7, 1H), 3.22 (dd, J= 13.3, 7.2, 1H), 2.99 (dd, J= 13.3, 6.3, 1H), 2.67 - 2.48 (m, 4H), 2.07 - 1.94 (m, 4H).
상기 단계 a)에 기술된 바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중간체 (27) 및 (28)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93

실시예 A.35
a) 중간체 (209)의 제조
Figure pct00094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2-메틸설파닐-피리미딘-5-일)-아세토니트릴(2.6 g, 9.0 mmol)과 CH2Cl2 (100 mL)의 용액에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18 mL, 1M in CH2Cl2)를 -60 ℃에서 적가하였다. 1시간 후에, 얻어진 용액을 3시간 동안 0 ℃까지 온도를 올리고 30% 수성 Rochelle염(50 mL)으로 퀀칭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급속으로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출(CH2Cl2 x 50 mL)하였다. 모아진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여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CH2Cl2-MeOH (10% NH3 용액)을 사용하는 실리카겔로 정제하여 오렌지색 오일을 얻었다(1.2 g, 46 %).
MS (ESI): mass calcd. for C12H18F2N4S, 288.1; m/z found, 289.1 [M+H]+. 1H NMR (CD3OD) δ 8.50 (s, 2H), 3.66 (dd, J= 8.4, 6.0, 1H), 3.24 (dd, J= 13.1, 8.4, 1H), 2.93 - 2.84 (m, 2H), 2.64 - 2.53 (m, 5H), 2.49 - 2.38 (m, 2H), 2.05 - 1.84 (m, 5H).
실시예 A.36
중간체 (210)의 제조
Figure pct00095
a) 5-브로모-6-플루오로-1-히드록시-퀴놀리늄. 5-브로모-6-플루오로-퀴놀린 (1.1 g, 4.87 mmol)의 DCM (25 mL)의 교반된 용액에 3-클로로퍼옥시-벤조산(1.00 g, 5.839 mmol)을 일정량 씩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45 ℃의 오일조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소듐 티오설페이트를 첨가(10 mL)한 다음,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30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DCM(3 X 50 mL)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모아서 Na2SO4로 건조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서 백색의 고체(986 mg, 84%)를 얻었으며,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MS (electrospray): mass calculated for C9H6BrFNO, 241.96; m/z found 243.2, [M+H]+. 1H NMR (400 MHz, CDCl3) δ 8.79 (dd, J= 9.6, 5.1, 1H), 8.52 (d, J= 6.1, 1H), 8.06 (dd, J= 8.8, 0.7, 1H), 7.51 (ddd, J= 17.7, 9.7, 6.2, 1H), 7.43 (dd, J= 8.8, 6.1, 1H).
중간체 (211)의 제조
Figure pct00096
b) 5-브로모-2-클로로-6-플루오로-퀴놀린. 5-브로모-6-플루오로-1-히드록시-퀴놀리늄(1.1 g, 4.53 mmol)의 DCM (23 mL)의 교반된 용액에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0.82 mL, 9.05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45 ℃의 오일조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한 후 진공에서 건조 상태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100 mL)과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100 mL)으로 분할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킨 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EtOAc/헥산)로 정제하여 엷은 핑크색의 고체를 얻었다(815 mg, 69%).
1H NMR (400 MHz, CDCl3) δ 8.49 (d, J= 8.9, 1H), 8.01 (dd, J= 9.3, 5.0, 1H), 7.60 - 7.45 (m, 2H).
중간체 (212)의 제조
Figure pct00097
c) 5-브로모-6-플루오로-2-모르폴린-4-일-퀴놀린. 5-브로모-2-클로로-6-플루오로-퀴놀린(0.20 g, 0.77 mmol)과 NMP (0.8 mL)에 용해된 모르폴린(0.27 mg, 3.07 mmol)의 용액을 밀봉된 마이크로웨이브 바이알에서 16시간 동안 120 ℃의 히팅 블럭에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여 DCM (20 mL)과 10% 수성 NH4Cl (10 mL)로 분할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증발시켜서 노란색 오일의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을 얻어서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200 mg, 83%).
MS (electrospray): mass calculated for C13H12BrFN2O, 310.01, m/z found 313.0, [M+H]+. 1H NMR (400 MHz, CDCl3) δ 8.25 (dd, J= 9.4, 0.6, 1H), 7.70 - 7.51 (m, 1H), 7.35 (dd, J= 9.1, 8.4, 1H), 7.01 (dd, J= 23.8, 9.3, 1H), 3.85 (dd, J= 6.0, 3.8, 4H), 3.77 - 3.67 (m, 4H).
단계 c)에서 기술된 바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중간체 (213)을 5-브로모-2-클로로-6-플루오로-퀴놀린과 3(R)-히드록시피롤리딘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고, 중간체 (214)는 5-브로모-2-클로로-6-플루오로-퀴놀린과 에탄올아민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고, 중간체 (215)를 5-브로모-2-클로로-6-플루오로-퀴놀린과 N-메틸피페라진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고, 중간체 (216)을 5-브로모-1-클로로-이소퀴놀린과 모르폴린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고, 중간체 (217) 5-브로모-l-클로로-이소퀴놀린과 에탄올아민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고, 중간체 (218)을 5-브로모-2-클로로-6-메톡시-퀴놀린 및 모르폴린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98

B. 최종 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B.1
화합물 (1)의 제조
Figure pct00099
중간체 (2)(0.0032 mol), 5-퀴놀린카르복실산(0.0064 mol), N-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N'-메틸 폴리스티렌 (0.013 mol, Novabiochem 제품 번호; 01-64-0211) 및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HOBT)/1-메틸-2-피롤리디논(NMP)(0.0032 mol; 400 mg HOBT in 6 ml NMP)의 DCM(60 ml) 용액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폴리스티릴메틸)트리메틸암모늄 비카보네이트(0.032 mol, Novabiochem 제품 번호; 01-64-0419)와 메틸이소시아네이트 폴리스티렌(0.0036 mol, Novabiochem 제품 번호; 01-64-0169)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다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액의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H2O/CH3CN로 재결정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하여 화합물 (I) 0.630 g을 얻었다.
실시예 B.2
화합물 (2)의 제조방법
Figure pct00100
중간체 (3b)(0.0003 mol), 5-퀴놀린카르보닐 클로라이드 염산염(0.0005 mol) 및 DIPEA(1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5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 % Na2CO3 용액(1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한 후,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CH3CN에서 결정화하고 여과하여 건조하여서 화합물 (2) 0.100 g을 얻었다.
실시예 B.3
화합물 (8)의 제조방법
Figure pct00101
6N HCl의 2-프로판올(0.4 mL) 용액을 화합물 (9)(0.0005 mol)의 2-프로판올(9 mL) 용액에 첨가하여 6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6N HCl의 2-프로판올 용액을 다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 ℃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6N HCl의 2-프로판올 용액을 다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2-프로파논에 현탁하였다. 침전을 여과하고 진공으로 건조하여 화합물 (8) 0.1717 g을 얻었다.
실시예 B.4
화합물 (10)과 (11)의 제조
Figure pct00102
(10)
Figure pct00103
(11)
화합물 (1)(0.0004 mol)을 조제용 SFC 정제에 의해 그의 광학이성질체로 분리하였다. SFC는 Chiralpak AD-H 컬럼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에서 수행되었다: 용출액 CO2/(0.2 % 2-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MeOH) 50/50 (등용매); 유속 50 ml/분; 컬럼 히터 온도 40 ℃; 노즐 압력 100 bar. 두개의 생성물 분획 그룹을 모으고 그 용매를 증발시켰다. 각각의 잔류물을 물에 현탁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건조하여서 화합물 (10) (R 또는 S) 0.062 g과 화합물 (11) (R 또는 S) 0.057 g을 얻었다.
실시예 B.5
화합물 (12)의 제조
Figure pct00104
중간체 (2)(0.0002 mol)을 DMF(3 ml)에 용해시켰다. 1-히드록시-1H-벤조트리아졸(0.022 g)을 첨가하였다. 4-메톡시-2-퀴놀린카르복실산(0.0003 mol)의 DMF(1 ml)용액을 첨가하였다. N-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N'-메틸폴리스티렌(0.00064 mol, Novabiochem 제품 번호; 01-64-0211)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폴리스티릴메틸)트리메틸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0.0016 mol, Novabiochem 제품 번호; 01-64-0419)와 메틸이소시아네이트 폴리스티렌(0.0002 mol, Novabiochem 제품 번호; 01-64-0169)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스캐빈저와 수지를 여과하여 버리고 여액의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역상 HPLC(Shandon Hyperprep® C18 BDS(Base Deactivated Silica) 8 um, 250 g, I.D. 5cm)로 정제하였다. 완충용액과 유기 용매로 그래디언트를 적용하였다. 목적하는 분획을 모아서 종료하고 화합물 (12)를 얻었다.
4-메톡시-2-퀴놀린카르복실산을 3-퀴놀린카르복실산, 2-퀴놀린카르복실산, 5-이소퀴놀린카르복실산, 2-프로필-4-퀴놀린-카르복실산, 6-퀴놀린카르복실산 및 3-에틸-2-메틸-6-퀴놀린-카르복실산 각각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중간체 (13), (14), (16), (18), (19) 및 (24)를 얻었다.
실시예 B.6
화합물 (7)의 제조
Figure pct00105
옥살릴 디클로라이드(0.002 mol)를 5-퀴놀린카르복실산(0.001 mol)의 DCM(10 mL)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DMF를 첨가(적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DCM(10 mL)에 용해하고 중간체 (9)(0.001 mol)와 트리에틸아민을 연달아 신속하게 0 ℃에서 첨가하였다. 4시간 동안 연속해서 교반하고 온도를 20 ℃로 상승시켰다. HCl(0.001 M, 10 mL)을 첨가하고 그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50%의 포화된)Na2CO3(aq),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CH3OH 100-97.5 %)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모아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DIPE 하에 분쇄하고, 진공 오븐에서 60 ℃로 건조하여 화합물 (7) 0.26 g을 얻었다.
실시예 B.7
화합물 (15)의 제조
Figure pct00106
1-히드록시-1H-벤조트리아졸(0.180 g) 및 N'-(에틸카본이미도일)-N,N-디메틸-1,3-프로판디아민 일염산염(0.120 g)을 중간체 (11)(0.00087 mol)과 DCM(5 mL) 중의 5-퀴놀린카르복실산(0.00087 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교반하고, 10 % NaOH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서 화합물 (15) 0.120 g을 얻었다.
실시예 B.8
화합물 (46), (47)의 제조
Figure pct00107
(46)
Figure pct00108
(47)
중간체 (25)(0.0075 mol), 5-퀴놀린카르복실산(0.0075 mol),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벤조트리아졸리움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3-옥사이드(1:1)(0.008 mol), DIPEA(3.3 ml) 및 DMF(75 ml)을 밀폐 용기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50 ml)과 아세토니트릴(10 ml)로 희석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하였다. 잔류물(3.383 g, 97%)의 일부(2.85 g)를 조제용 SFC에 의해 그의 광학이성질체로 정제하였다. SFC는 Chiral pak AD-H 컬럼(30 x 250 mm)(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용출액 CO2/(0.2 % 2-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MeOH); 유속 50 ml/분; 컬럼 히터 온도 40 ℃; 노즐 압력 100 bar; 로드: 76 mg/4 ml 하에 실시되었다. 2개의 피크를 얻어서 수집하였다. 1차로 모아진 분획을 증발시키고 그 잔류물을 이소프로필에테르/아세토니트릴 10/1에서 결정화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여 버리고 진공에서 건조하여 화합물 (46) 1.099 g을 얻었다. 2차로 모아진 분획을 증발시키고 그 잔류물을 이소프로필에테르/아세토니트릴 10/1에서 결정화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여 버리고 진공에서 건조하여 화합물 (47) 1.082 g을 얻었다.
실시예 B.9
화합물 (34)의 제조
Figure pct00109
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3-옥사이드(0.001422 mol)를 질소 기류 하에서 0 ℃에서 중간체 (26) (0.000948 mol) 및 5-퀴놀린카르복실산 (0.001138 mol) 및 DIPEA (0.001422 mol)의 DMF (10 ml)용액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고 하룻밤 동안 서서히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조제용 HPLC로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수집하여 용매를 증발시켜서 화합물 (34) 0.180 g을 얻었다.
실시예 B.10
화합물 (35)의 제조
Figure pct00110
중간체 (27)(0.0026 mol), 5-퀴놀린카르복실산(0.0026 mol), N'-(에틸카르본이미도일)-N,N-디메틸-1,3-프로판디아민 일염산염 (0.0038 mol), 피리딘 (0.0077 mol) 및 DCM (50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과 K2CO3(1 g)에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MgSO4)하여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Biotage 플래쉬 실리카 컬럼, 용출액:DCM/MeOH, 그래디언트 100/0 내지 95/5로 정제하고 순수 분획을 모아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IPE에서 결정화하여, 화합물 (35) 0.773 g을 얻었다.
실시예 B.11
화합물 (39)의 제조
Figure pct00111
화합물 (38)(0.0001 mol)과 2-아미노-에탄올(1 ml)을 80 ℃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층을 증발시켜서 DCM/MeOH 95/5를 사용하는 일회용 정상 플래쉬 컬럼으로 정제하였다. 상응하는 분획을 증발시켜서 잔류물을 진공에서 건조하여 화합물 (39) 0.026 g을 얻었다.
실시예 B.12
화합물 (41)의 제조
Figure pct00112
화합물 (38)(0.0002 mol)과 메탄올(p.a., 2 ml)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NaOCH3 30%의 메탄올(0.1 ml)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60 ℃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한 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MeOH 98/2를 용출액으로 사용하는 일회용 정상 플래쉬 컬럼으로 정제하였다. 상응하는 분획을 증발시켜서 화합물 (41) 0.081 g을 얻었다.
실시예 B.13
화합물 (77)의 제조
Figure pct00113
화합물 (38)(0.0004 mol), HCl(1M, 1 ml) 및 아세트산(1 ml)을 60 ℃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과 아세토니트릴로 희석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하여 화합물 (77) 0.144 g을 얻었다.
실시예 B.14
화합물 (78)의 제조
Figure pct00114
화합물 (74)(0.0006 mol)와 DCM(6 ml)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CF3COOH(2 ml)와 DCM(2 ml)의 혼합물을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K2CO3로 알칼리화하고 DCM으로 2회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MeOH-암모니아 98/2 내지 95/5를 사용하는 일회용 정상 플래쉬 컬럼으로 정제하였다. 상응하는 분획을 증발시키고 이소프로필에테르와 분쇄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하여 화합물 (78) 0.305 g을 얻었다.
실시예 B.15
화합물 (135)의 제조
Figure pct00115
중간체 (39)(0.0053 mol), 중간체 (30)(0.0053 mol),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3-옥사이드 (1:1)(HATU)(0.0053 mol), DIPEA(0.0016 mol) 및 DMF(60 ml)를 밀폐된 용기 중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DCM에 용해시켜서 포화된 탄산나트륨 용액과 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여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IPE 중에서 20 % 아세토니트릴로 결정화하였다. 여액을 증발시켜서 화합물 (135) 1.5 g을 얻었다.
실시예 B.16
화합물 (102)의 제조
Figure pct00116
화합물 (37)(0.001 mol)과 1-메틸-2-피롤리디논(3 ml) 중의 피페라진(0.01 mol)을 115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건조(MgSO4)하고, 여과하여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와 약간의 2-프로판올로 현탁하고, 고체를 여과하여 세척하고 진공에서 건조하여 화합물 (102) 0.12 g을 얻었다.
실시예 B.17
화합물 (117)의 제조
Figure pct00117
소듐 하이드라이드(0.0146 mol)과 2-프로판올(10 ml)의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2-프로판올(5 ml)에 용해된 화합물 (156)(0.00146 mol)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교반하여 140 ℃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서 환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여 버리고 여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HPLC(용출액: CH3CN/H2O 75/25 내지 CH3CN/H2O 55/45 with 0.1 % CF3COOH))로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모아서 용매를 증발시켜 화합물 (117) 0.17 g을 얻었다.
실시예 B.18
화합물 (156)의 제조
Figure pct00118
중간체 (56)(0.014 mol)을 DCM(최대량, 무수물)에 현탁하였다. 중간체 (55)(0.011 mol)과 트리에틸아민(0.023 mol)의 DCM 용액을 상기 현탁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조제용 HPLC(용출액: CH3CN/H2O 25/75 내지 55/45 + 0.1 % CF3COOH))로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모아서 동결건조시켜서 화합물 (156) 4.0 g(88 %)을 얻었다.
실시예 B.19
화합물 (134)의 제조
Figure pct00119
화합물 (164)(0.5 mmol), 이소프로필피페라진(1 mmol) 및 디메틸설폭시드(1 ml)를 100 ℃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 ml의 물로 희석하고 환류 하에서 메탄올(약 5 ml)을 첨가하여 용해하였다. 상기 용액을 하룻밤 동안 교반하고, 침전물을 여과한 후, 진공에서 건조하여 화합물 (134) 218 mg을 얻었다.
실시예 B.20
화합물 (168)의 제조
Figure pct00120
화합물 (37)(0.644 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022 mmol), 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0.033 mmol) 및 2-프로판아민(5 ml)에 용해된 소듐 tert-부톡시드(2.0812 mmol)의 혼합물을 80 ℃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을 얻었다. 상기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을 HPLC(C18, 용출액: CH3CN/물 22/78 내지 42/58 with 0.1 % CF3COOH))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모아서 유기 용매를 증발시켰다. 동결건조하여 화합물 (168) 0.08 g(88 %)을 얻었다.
실시예 B.21
화합물 (140)의 제조
Figure pct00121
화합물 (164)(0.5 mmol), cis-2,6-디메틸모르폴린 (2 mmol) 및 2-메톡시-에탄올(2 ml)을 80 ℃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 300 mg을 역상 HPLC(Shandon Hyperprep® C18 BDS (Base Deactivated Silica) 8 μm, 250 g, I.D. 5 cm)로 정제하였다. 2개의 이동상으로 그래디언트를 적용하였다: Phase A: 0.25 % NH4HCO3 수용액; Phase B: CH3CN.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5% CH3CN을 함유하는 이소프로필에테르로 결정화하였다. 상기 결정을 여과하여 모으고 진공에서 건조하여 화합물 (140) 120 mg을 얻었다.
실시예 B.22
화합물 (173)의 제조
Figure pct00122
화합물 (37), 1-시클로프로필-피페라진(0.0027 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054 mmol), 1,1'-[1,1'-비나프탈렌]-2,2'-디일비스[1,1-디페닐-포스핀(0.081 mmol) 및 THF(5 ml)에 용해된 2-메틸-프로판올, 나트륨염(1:1)(0.00162 mol)의 혼합물을 80 ℃에서 4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하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을 얻었다. 상기 정제되지 않은 생성물을 HPLC(C18, 용출액: CH3CN/물 8/92 내지 38/62 with 0.1 % CF3COOH))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모아서 유기 용매를 증발시켰다. 수성 혼합물을 고체 NaHCO3를 사용하여 pH 8로 염기화하였다. 수성 혼합물을 DCM(4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층응 탈이온수(20 ml)로 세척하였다. 분리된 유기 분획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고체를 여과한 후, 용매를 증발시켰다. 동결건조하여 화합물 (173) 0.04 g을 얻었다.
실시예 B.23
화합물 (273)의 제조
Figure pct00123
화합물 (316)(0.19 mmol) 및 4,4-디메틸-피페리딘(0.98 mmol)의 혼합물을 60 ℃에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HPLC(역상 컬럼, 용출액: CH3CN/물 10/90 내지 40/60 with 0.1 % CF3COOH)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모아서 동결건조하여 화합물 (273) 25.77 mg을 얻었다.
실시예 B.24
화합물 (316)의 제조
Figure pct00124
화합물 (37)(0.0043 mol) 및 포스포릭 트리브로마이드(0.0209 mol)의 혼합물을 100 ℃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얼음물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수성 용액을 NaHCO3를 사용하여 pH 10으로 염기화하였다. 수성 용액을 DCM(300 ml, 3회)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Na2SO4에서 건조하여 여과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316) 2 g을 얻었다.
실시예 B.30
화합물 (400)의 제조
Figure pct00125
중간체 (201)(2.4 g, 9.9 mmol)과 DCM(15 ml) 중의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4.4 g, 9.9 mmol)에 트리에틸아민(5.5 mL, 39 mmol)을 0 ℃에서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중간체 (25)(3.1 g, 9.9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실온으로 가온하여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서 Na2SO4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여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0 내지 100 % EtOAc)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4.5 g, 85%)을 얻었다.
실시예 B.30에서 기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합물 (401)을 중간체 (202)를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고, 화합물 (402)를 중간체 (201)과 중간체 (23)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당업자라면 화합물 (400)과 유사한 화합물을 시판되는 퀴놀린 또는 이소퀴놀린 카르복실레이트를 실시예 A1 - A43에 열거된 적절한 아민 중간체와 결합시켜 제조하고 화학식 (I)의 최종 생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Figure pct00126

실시예 B.31
a) 화합물 (403)의 제조
Figure pct00127
화합물 (402)(75 mg, 0.14 mmol)와 아세토니트릴(2 mL)에 용해된 트리에틸아민(0.10 mL, 0.56 mmol)에 모르폴린(25 mg, 0.28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용기를 밀봉하고 120 ℃에서 1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HPLC(C18, 용출액: CH3CN/물 10/90 내지 100/0 with 0.1 % CF3COOH)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70 mg, 71 %)을 얻었다. 당업자라면 아민 친핵체가 추가의 친핵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실시예가 Boc 그룹과 같은 보호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경우에 탈보호 단계는 최종 화합물을 얻는데 필요할 수 있다.
실시예 B.32
a) 화합물 (582)의 제조
Figure pct00128
화합물 (582), 6-클로로-퀴놀린-5-카르복실산[2-(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2-(2-메틸설파닐-피리미딘-5-일)-에틸]아미드를 실시예 B.30과 유사한 방법으로 6-클로로-퀴놀린-5-카르복실산과 2-(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2-(2-메틸설파닐-피리미딘-5-일)-에틸아민을 결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B.33
a) 화합물 (583)의 제조
Figure pct00129
CH2Cl2(5 mL)와 DMF(2 mL)에 용해된 6-클로로-퀴놀린-5-카르복실산[2-(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2-(2-메틸설파닐-피리미딘-5-일)-에틸]-아미드(400 mg, 0.8 mmol)에 실온에서 CH2Cl2(1.6 mL, 1.6 mmol)에 용해된 1 M 메탄설폰산 용액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20 ℃로 냉각하고 3-클로로퍼옥시벤조산(물 중에서 최대 77%)(192 mg, 1.1 mmol)을 한번에 첨가하였다. 1시간 후에,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3시간 동안 가온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중탄산나트륨 수용액(10 mL) 중에 첨가하였다. 수성층을 CH2Cl2(2 x 10 mL)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층을 건조(MgSO4)하고, 여과하여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CH2Cl2-MeOH로 직접 정제하여 백색의 고체(150 mg, 36%)를 얻었다.
MS (ESI): mass calcd. for C22H22ClF2N5O2S, 493.1; m/z found, 494.1 [M+H]+. 1H NMR (CD3OD) δ 9.08 (s, 2H), 9.01 (dd, J = 4.6, 1.6, 1H), 8.42 - 8.31 (m, 1H), 8.12 (dd, J = 9.1, 0.7, 1H), 7.88 (d, J = 9.1, 1H), 7.77 (dd, J = 8.6, 4.6, 1H), 4.35 (t, J = 7.0, 1H), 4.22 (dd, J = 13.8, 6.4, 1H), 4.11 (dd, J = 13.6, 8.0, 1H), 2.99 (s, J = 1.4, 3H), 2.94 - 2.78 (m, 4H), 2.09 (ddd, J = 20.9, 13.2, 6.7, 4H).
실시예 B.34
화합물 (584)의 제조
Figure pct00130
6-클로로-퀴놀린-5-카르복실산[2-(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2-(2-메탄설피닐-피리미딘-5-일)-에틸]-아미드(20 mg, 0.04 mmol)와 CH3CN(1 m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01 mL, 0.08 mmol)을 첨가하고 밀봉된 튜브에 모르폴린(7 mg, 0.0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기를 90 ℃로 가열하였다. 12시간 후에, 얻어진 용액을 냉각하고 조제용 역상 HPLC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17 mg, 66 %)를 얻었다.
MS (ESI): mass calcd. for C25H27ClF2N6O2, 516.1; m/z found, 517.2 [M+H]+. 1H NMR (CD3OD) δ 8.97 (dd, J = 4.5, 1.6, 1H), 8.57 (s, 2H), 8.13 - 8.07 (m, 2H), 7.83 (d, J = 9.1, 1H), 7.65 (dd, J = 8.6, 4.5, 1H), 4.70 (dd, J = 10.4, 5.4, 1H), 4.36 - 4.26 (m, 2H), 3.89 - 3.84 (m, 4H), 3.76 - 3.72 (m, 4H), 3.56 - 3.40 (m, 4H), 2.44 - 2.34 (m, 4H).
실시예 B.35
화합물 (593)의 제조
Figure pct00131
2,6-디클로로-퀴놀린-5-카르복실산[2-(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2-(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5-일)-에틸]-아미드(100 mg, 0.2 mmol)와 디옥산(3 mL)중의 4N HCl의 용액에 물(7 uL)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90 ℃로 가열하였다. 12시간 후에 생성된 혼합물을 농축하고 조제용 역상 HPLC로 정제하여 무색 고체의 표제 화합물(56 mg, 58 %)을 얻었다.
MS (ESI): mass calcd. for C22H19ClF5N5O2, 515.1; m/z found, 516.2 [M+H]+. 1H NMR ((CD3)2SO) δ 11.96 (s, 1H), 9.13 (s, 2H), 8.79 (t, J = 5.8, 1H), 7.55 (m, 2H), 7.31 (d, J = 8.9, 1H), 6.53 (d, J = 9.8, 1H), 4.25 - 4.22 (m, 1H), 3.94 - 3.82 (m, 2H), 2.75 - 2.54 (m, 4H), 2.06 - 1.93 (m, 4H).
실시예 B.36
화합물 (596)의 제조
Figure pct00132
2,6-디클로로-퀴놀린-5-카르복실산[2-(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2-(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5-일)-에틸]-아미드(100 mg, 0.2 mmol)과 7N 암모니아의 메탄올 용액을 100 ℃로 가열하였다. 60시간 후에 생성된 혼합물을 냉각하여 농축하고 조제용 역상 HPLC로 직접 정제하여 무색 고체의 표제 화합물(13 mg, 13 %)을 얻었다.
MS (ESI): mass calcd. for C22H20ClF5N6O, 514.1; m/z found, 516.2 [M+H]+. 1H NMR (CDCl3) δ 8.90 (s, 2H), 7.95 (d, J = 9.3, 1H), 7.89 (d, J = 9.2, 1H), 7.68 (d, J = 9.0, 1H), 6.82 (d, J = 9.5, 1H), 6.55 - 6.47 (m, 1H), 4.08 (d, J = 3.7, 3H), 2.70 (d, J = 23.7, 4H), 2.07 (d, J = 2.3, 4H).
실시예 B.37
화합물 (598)의 제조
Figure pct00133
소듐 하이드라이드(0.88 mmol)와 THF(0.8 mL)의 혼합물에 t-부틸 3-(히드록시메틸)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0.8 mmol)를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한 후, 화합물 (402)(0.8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밀봉하여 히팅 블럭에서 12시간 동안 120 ℃로 가열하였다. 출발물질을 완전히 소비하면, 반응 혼합물을 염수(100 mL)에 첨가하여 DCM(75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포름산(1 mL)에 용해하고 4M HCl의 디옥산(1 mL)으로 처리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Boc의 완전한 제거가 관찰될 때까지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HPLC(용출액: CH3CN/H2O 10/95 내지 CH3CN/H2O 95/5 + 0.1 % CF3COOH)로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수집하고 용매를 동결건조에 의해 제거하여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 형태의 화합물 0.009 g을 얻었다. 다음 실시예에서는 일부 알코올은 Boc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민 작용기를 가지지 않는다. 상기한 경우에 산성 Boc 탈보호 단계는 생략된다.
실시예 B.38
화합물 (609)의 제조
Figure pct00134
6-플루오로-퀴놀린-5-카르복실산[2-모르폴린-4-일-2-(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5-일)-에틸]-아미드
중간체 (28)(0.17 g, 0.62 mmol)의 THF(0.9 mL) 용액에, 마그네틱 스터링바를 포함하는 5 mL의 마이크로웨이브 바이알 중에서 5-브로모-6-플루오로-퀴놀린(0.10 g, 0.44 mmol), 1,8-디아자비시클로(5.4.0)undec-7-엔(0.05 g, 0.30 mmol), trans-디-u-아세토비스[2-(디-o-톨릴-포스핀)-벤질]디-팔라듐 (II)(0.005 g, 0.005 mmol), 트리-tert-부틸포스포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0.004 g, 0.02 mmol) 및 몰리브데늄 헥사카르보닐(0.12 mg, 0.44 mmol)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바이알을 밀봉하고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 중에서 150 ℃로 가열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하고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HPLC(용출액: CH3CN/H2O 10/95 내지 CH3CN/H2O 95/5 + 0.1 % CF3COOH)로 정제하였다. 상기 생성물 분획을 수집하고 동결건조로 용매를 제거하여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 형태의 표제 화합물(0.05 mg, 25 %)을 얻었다.
표 F-1, F-2, F-3 및 F-4에는 상기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들을 열거하였다.
표 F-1
Figure pct00135
Figure pct00136
Figure pct00137
Figure pct00138
Figure pct00139

Figure pct00140
Figure pct00141

Figure pct00142
Figure pct00143

Figure pct00144

Figure pct00145
Figure pct00146
Figure pct00147
Figure pct00148
Figure pct00149

Figure pct00150
표 F-2
Figure pct00151

Figure pct00152
Figure pct00153
Figure pct00154

Figure pct00155
Figure pct00156

Figure pct00157
Figure pct00158

Figure pct00159

Figure pct00160
Figure pct00161
Figure pct00162
Figure pct00163
Figure pct00164
Figure pct00165
Figure pct00166
C2HF3O2: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염을 나타냄.
표 F-3
Figure pct00167
Figure pct00168
Figure pct00169
Figure pct00170
Figure pct00171
Figure pct00172

Figure pct00173

Figure pct00174
Figure pct00175

Figure pct00176
Figure pct00177

Figure pct00178

Figure pct00179
Figure pct00180

Figure pct00181

Figure pct00182

Figure pct00183

Figure pct00184

Figure pct00185

Figure pct00186

표 F-4:
Figure pct00187

Figure pct00188

Figure pct00189
Figure pct00190

Figure pct00191

Figure pct00192

Figure pct00193

Figure pct00194

Figure pct00195
Figure pct00196
C. 분석 부분
C.1 융점
(a) 몇몇 화합물에 대해, DSC823e(Mettler-Toledo)로 융점(m.p.)을 측정하였다. 융점은 30 ℃/분의 온도 구배로 측정되었다. 보고된 값은 피크값이다.
(b) 몇몇 화합물에 대해서는, 상하이 프리시젼 앤드 사이언티픽 인스트루먼트사(Shanghai Precision and Scientific Instrument Co. Ltd.)에서 구입한 WRS-2A 융점 장치로 융점(m.p.)을 측정하였다. 융점은 0.2-5.0 ℃/분의 선형 승온 속도로 측정되었다. 보고된 값은 융점 범위이다. 최대 온도는 300 ℃였다.
(c) 몇몇 화합물에 대해서는, 선형 온도 구배 가열판, 슬라이딩 포인터 및 섭씨 온도 스케일을 갖춘 코플러(Kofler) 핫 벤치를 이용하여 융점을 얻었다.
이러한 분석 방법에 통상 관계되는 실험 불확실성으로 값이 얻어졌다.
표 F-5: 융점
Figure pct00197
C.2 LCMS
LCMS 일반 방법 A
하기 각 방법에 특정된 컬럼,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DAD), 컬럼 오븐(달리 언급이 없으면 40 ℃로 설정), 오토샘플러 및 탈기 장치를 갖춘 쿼터너리 (quaternary) 펌프를 구비한 Alliance HT 2790(Waters) 시스템을 이용하여 HPLC 측정을 수행하였다. 컬럼으로부터의 유량을 MS 분광계에 분배하였다. MS 검출기에 전기 분무 이온화 공급원을 설치하였다. 질량 스펙트럼은 0.1 초의 체류 시간을 이용하여, 1 초에 100 내지 1000회 스캔하여 얻었다. 캐필러리 니들(capillary needle) 전압은 3 kV였고, 공급원 온도는 140 ℃로 유지하였다. 질소를 네뷸라이저 가스(nebulizer gas)로 사용하였다. Waters-Micromass MassLynx-Openlynx 데이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LCMS 일반 방법 B
하기 각 방법에 특정된 컬럼,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DAD), 컬럼 히터(55 ℃로 설정), 샘플 오거나이저(organizer) 및 바이너리 펌프를 구비한 Acquity UPLC(Waters) 시스템을 이용하여 LC 측정을 수행하였다. 컬럼으로부터의 유량을 MS 분광계에 분배하였다. MS 검출기에 전기 분무 이온화 공급원을 설치하였다. 0.02 초의 체류 시간을 이용하여, 0.18 초에 100 내지 1000회 스캔하여 질량 스펙트럼을 얻었다. 캐필러리 니들 전압은 3.5 kV이었고, 공급원 온도는 140 ℃로 유지하였다. 질소를 네뷸라이저 가스로 사용하였다. Waters-Micromass MassLynx-Openlynx 데이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LCMS 일반 방법 C
하기 각 방법에 특정된 컬럼, 컬럼 히터,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DAD) (220 nm의 파장 사용) 및 펌프를 구비한 Agilent 1100 모듈을 이용하여 HPLC 측정을 수행하였다. 컬럼으로부터의 유량을 Agilent MSD Series G1946C 및 G1956A에 분배하였다. MS 검출기에 API-ES(대기압 전기분무 이온화)을 설치하였다. 100 내지 1000회 스캔하여 질량 스펙트럼을 얻었다. 캐필러리 니들 전압은 양 이온화 모드의 경우 2500V이고, 음 이온화 모드의 경우에는 3000V이었다. 프래그멘테이션(fragmentation) 전압은 50V이었다. 건조 가스 온도는 10 ℓ/분의 흐름으로 350 ℃로 유지하였다.
LCMS - 방법 1
일반 방법 A 외에, 역상 HPLC를 Xterra MS C18 컬럼(3.5 ㎛, 4.6 × 100 mm) 상에서 1.6 ml/분의 유속으로 행하였다. 3개의 이동상(이동상 A: 95% 25 mM 암모늄아세테이트 + 5%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C: 메탄올)을 사용하여, 100% A - 1% A, 49% B 및 50% C로 6.5 분에서 1% A 및 99% B로 1 분의 구배 조건을 행하고, 이 조건을 1 분간 유지한 후, 100% A로 1.5 분간 평형화시켰다. 10 ㎕의 주입량을 사용하였다. 콘 전압은 양 이온화 모드에 대해서는 10 V이고, 음 이온화 모드에 대해서는 20 V이었다.
LCMS - 방법 2
일반 방법 A 외에, 역상 HPLC를 Atlantis C18 컬럼(3.5 ㎛, 4.6 × 100 mm) 상에서 1.6 ml/분의 유속으로 행하였다. 2개의 이동상(이동상 A: 70% 메탄올+30% H2O; 이동상 B: H2O 중의 0.1% 포름산/메탄올 95/5)을 사용하여, 100% B - 5% B + 95% A로 12 분의 구배 조건을 행하였다. 10 ㎕의 주입량을 사용하였다. 콘 전압은 양 이온화 모드에 대해서는 10 V이고, 음 이온화 모드에 대해서는 20 V이었다.
LCMS - 방법 3
일반 방법 A 외에, 컬럼 히터를 60 ℃로 설정하였다. 역상 HPLC를 Xterra MS C18 컬럼(3.5 ㎛, 4.6 × 100 mm) 상에서 1.6 ml/분의 유속으로 행하였다. 3개의 이동상(이동상 A: 95% 25 mM 암모늄 아세테이트 + 5%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C: 메탄올)을 사용하여, 100% A - 50% B 및 50% C로 6.5 분에서 100% B로 0.5 분의 구배 조건을 행하고, 이 조건을 1 분간 유지한 후, 100% A로 1.5 분간 평형화시켰다. 10 ㎕의 주입량을 사용하였다. 콘 전압은 양 이온화 모드에 대해서는 10 V이고, 음 이온화 모드에 대해서는 20 V이었다.
LCMS - 방법 4
일반 방법 C 외에, YMC-Pack ODS-AQ(50×2.0 mm, 5 ㎛) 컬럼 상에서 0.8 ml/분의 유속으로 행하였다. 2개의 이동상(이동상 A: 물+0.1% TFA;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0.05% TFA)을 사용하였다. 먼저, 90% A 및 10% B를 0.8 분동안 유지하였다. 이어서, 20% A 및 80% B로 3.7 분의 구배를 적용하고 3 분간 유지하였다. 전형적인 2 ㎕의 주입량을 사용하였다. 오븐 온도는 50 ℃이었다. (MS 극성: 양성).
LCMS - 방법 5
일반 방법 B 외에, 역상 UPLC(초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브릿지 에틸실록산/실리카 하이브리드(BEH) C18 컬럼(1.7 μm, 2.1 × 50 mm; Waters Acquity) 상에서 0.8 ml/분의 유속으로 행하였다. 2개의 이동상(이동상 A: H2O중 0.1% 포름산/메탄올 95/5; 이동상 B: 메탄올)을 사용하여, 95% A 및 5% B - 5% A 및 95% B로 1.3 분의 구배 조건을 행하고, 0.2 분간 유지하였다. 0.5 ㎕의 주입량을 사용하였다. 콘 전압은 양 이온화 모드에 대해서는 10 V이고, 음 이온화 모드에 대해서는 20 V이었다.
LCMS - 방법 6
일반 방법 C 외에, YMC-Pack ODS-AQ(50×2.0 mm, 5 ㎛) 컬럼 상에서 0.8 ml/분의 유속으로 행하였다. 2개의 이동상(이동상 A: 물+0.1% TFA;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0.05% TFA)을 사용하였다. 먼저, 100% A를 1 분동안 유지하였다. 이어서, 70% A 및 30% B로 4.5 분의 구배를 적용하고 2 분간 유지하였다. 전형적인 2 ㎕의 주입량을 사용하였다. 오븐 온도는 50 ℃이었다. (MS 극성: 양성).
LCMS - 방법 7
일반 방법 C 외에, YMC-Pack ODS-AQ(50×2.0 mm, 5 ㎛) 컬럼 상에서 0.8 ml/분의 유속으로 행하였다. 2개의 이동상(이동상 A: 물+0.1% TFA;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0.05% TFA)을 사용하였다. 먼저, 100% A를 1 분동안 유지하였다. 이어서, 40% A 및 60% B로 4 분의 구배를 적용하고 2.5 분간 유지하였다. 전형적인 2 ㎕의 주입량을 사용하였다. 오븐 온도는 50 ℃이었다. (MS 극성: 양성).
LCMS - 방법 8
일반 방법 A 외에, Ultimate XB-C18(50×2.1 mm, 5 ㎛) 컬럼 상에서 0.8 ml/분의 유속으로 행하였다. 2개의 이동상(이동상 C: 10 mmol/L NH4HCO3; 이동상 D: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였다. 먼저, 100% C를 1 분동안 유지하였다. 이어서, 40% C 및 60% D로 4 분의 구배를 적용하고 2.5 분간 유지하였다. 전형적인 2 ㎕의 주입량을 사용하였다. 오븐 온도는 50 ℃이었다. (MS 극성: 양성).
표 F-6: 체류 시간(Rt, 분), [M+H]+ 피크, LCMS 방법
Figure pct00198
Figure pct00199

Figure pct00200
Figure pct00201
표 F-7: 체류 시간(Rt, 분), [M+H]- 피크, LCMS 방법
Figure pct00202

C.3 선광도
Perkin Elmer 341 편광계를 사용하여 선광도를 측정하였다. [α]D 20은 20 ℃의 온도에서 나트륨 D-라인(589 nm)의 파장 광으로 측정된 선광도를 가리킨다*. 셀 경로길이는 10 cm이다. 실제 값 외에, 선광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액의 농도 및 용매가 언급된다.
*화합물 (10)의 선광도는 23 ℃에서 측정되었다(온도 조절 장치없이 측정).
표 F-8 선광도
Figure pct00203
C.4 SFC-MS
일부 화합물에 대하여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SFC-MS,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을 이산화탄소(CO2) 전달을 위한 듀얼 펌프 제어 모듈(FCM-1200)과 제어기, 1 내지 150 ℃ 범위에서 온도를 조절하는 컬럼 히팅을 위한 열제어 모듈(TCM-1200) 및 6개의 상이한 컬럼에 대한 컬럼 선택 밸브(Valco, VICI, Houston, TX, 미국)를 포함하는 SFC 분석시스템(Berger Instruments사 제품, Newark, DE, 미국)으로 측정하였다. 광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Agilent 1100, Waldbronn, 독일)를 고압(400 bar까지) 유동 셀과 함께 구비하였고 CTC LC Mini PAL 오토샘플러(Leap Technologies, Carrboro, NC, 미국)가 장치되었다. 직각의 Z-일렉트로스프레이 계면을 가지는 ZQ 질량 분석기(Waters, Milford, MA, 미국)를 SFC-시스템과 연결하였다. 기기 제어, 데이터 수집 및 처리는 SFC ProNTo 소프트웨어와 Masslynx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통합 플랫폼으로 수행되었다.
화합물 (10)에 대하여 SFC-MS를 Chiralpak AD-H 컬럼 (500 x 4.6 mm)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에서 3 ml/분의 유속으로 수행하였을 때 100.0 %의 광학이성질체 과량이 검출되었다. 2개의 이동상(이동상 A: CO2; 이동상 B: 0.2 % 2-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메탄올)을 적용하여 1.6 %/분의 비율로 10 % B 내지 40 % B의 그래디언트를 수행하였다. 그런 다음 40 % B 내지 50 % B의 그래디언트를 2분 내에 적용하고 3.6분 동안 유지하였다. 컬럼의 온도를 50 ℃로 고정하였다. 이 측정값은 라세믹 혼합물과 비교되었다.
화합물 (67)에 대하여 SFC-MS를 Chiralpak AD-H 컬럼 (500 x 4.6 mm)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에서 3 ml/분의 유속으로 수행하였을 때 100.0 %의 광학이성질체 과량이 검출되었다. 2개의 이동상(이동상 A: CO2; 이동상 B: 0.2 % 2-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메탄올)을 적용하였다. 먼저 30 % B(그리고 70 % A)를18.5 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30 % B 내지 50 % B의 그래디언트를 2분 내에 적용하고 4.1분 동안 유지하였다. 컬럼의 온도를 50 ℃로 고정하였다. 이 측정값은 라세믹 혼합물과 비교되었다.
화합물 (67)에 대한 동일한 SFC-MS 조건을 화합물 (68), (69), (70)의 SFC-MS 측정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83)에 대하여 SFC-MS를 Chiralpak AD-H 컬럼 (500 x 4.6 mm)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에서 3 ml/분의 유속으로 수행하였을 때 100.0 %의 광학이성질체 과량이 검출되었다. 2개의 이동상(이동상 A: CO2; 이동상 B: 0.2 % 2-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메탄올)을 적용하였다. 먼저 40 % B(그리고 60 % A)를 19.5 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40 % B 내지 50 % B의 그래디언트를 2분 내에 적용하고 4.1분 동안 유지하였다. 컬럼의 온도를 50 ℃로 고정하였다. 이 측정값은 라세믹 혼합물과 비교되었다.
화합물 (83)에 대한 동일한 SFC-MS 조건을 화합물 (84)의 SFC-MS 측정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110)에 대하여 SFC-MS를 Chiralpak AD-H 컬럼 (500 x 4.6 mm)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에서 3 ml/분의 유속으로 수행하였을 때 100.0 %의 광학이성질체 과량이 검출되었다. 2개의 이동상(이동상 A: CO2; 이동상 B: 0.2 % 2-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메탄올)을 적용하였다. 먼저 35 % B(그리고 65 % A)를 19.0 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35 % B 내지 50 % B의 그래디언트를 1.5분 내에 적용하고 4.1분 동안 유지하였다. 컬럼의 온도를 50 ℃로 고정하였다. 이 측정값은 라세믹 혼합물과 비교되었다.
화합물 (110)에 대한 동일한 SFC-MS 조건을 화합물 (111)의 SFC-MS 측정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114)에 대하여 SFC-MS를 Chiralpak AD-H 컬럼 (500 x 4.6 mm)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에서 3 ml/분의 유속으로 수행하였을 때 100.0 %의 광학이성질체 과량이 검출되었다. 2개의 이동상(이동상 A: CO2; 이동상 B: 0.2 % 2-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에탄올)을 적용하였다. 먼저 25 % B(그리고 75 % A)를 18.0 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25 % B 내지 50 % B의 그래디언트를 2.5분 내에 적용하고 4.1분 동안 유지하였다. 컬럼의 온도를 50 ℃로 고정하였다. 이 측정값은 라세믹 혼합물과 비교되었다.
화합물 (114)에 대한 동일한 SFC-MS 조건을 화합물 (124)의 SFC-MS 측정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115)에 대하여 SFC-MS를 Chiralpak AD-H 컬럼 (500 x 4.6 mm)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에서 3 ml/분의 유속으로 수행하였을 때 100.0 %의 광학이성질체 과량이 검출되었다. 2개의 이동상(이동상 A: CO2; 이동상 B: 0.2 % 2-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메탄올)을 적용하였다. 먼저 40 % B(그리고 60 % A)를 19.5 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40 % B 내지 50 % B의 그래디언트를 1분 내에 적용하고 4.1분 동안 유지하였다. 컬럼의 온도를 50 ℃로 고정하였다. 이 측정값은 라세믹 혼합물과 비교되었다.
화합물 (138)에 대하여 스크리닝(비교할 수 있는 라세믹 혼합물 없음)을 4개의 상이한 컬럼(Chiralcel OJ-H, Chiralpak AD-H, Chiralcel OD-H, Chiralpak AS-H; 500 x 4.6 mm;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과 3개의 상이한 용매(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상기 용매는 0.2 % 2-프로필아민을 함유한다)로 수행하였을 때 100 %의 광학이성질체 과량이 확인되었다. SFC-MS를 상기한 컬럼 중 하나로 3 ml/분의 유속으로 실시하였다. 2개의 이동상(이동상 A: CO2; 이동상 B; 0.2 % 2-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상기한 용매 중 하나)을 적용하여 10 % B 내지 40 % B의 조건에서 18.75 분 동안 실행하였다. 그런 다음, 그래디언트를 40 % B 내지 50 % B로 2분 내에서 적용하고 3.6분 동안 유지하였다. 컬럼 온도를 50 ℃로 고정하였다.
C.5.NMR
여러 화합물들에 대하여 1H NMR 스펙트럼을 Bruker DPX-360, Bruker DPX-400 또는 Bruker Avance 500 스펙트로미터에서 360 MHz, 400 MHz 및 500 MHz 각각에서 작동하는 표준 펄스 시퀀스로, CHLOROFORM-d 또는 DMSO-d 6 를 용매로 하여 기록하였다. 화학적 이동(δ)은 내부 기준으로 사용되는 테트라메틸실란(TMS)과 관련하여 ppm (parts per million)으로 기록되었다.
Figure pct00204
Figure pct00205
Figure pct00206
Figure pct00207
Figure pct00208
Figure pct00209
Figure pct00210
Figure pct00211
Figure pct00212
Figure pct00213
Figure pct00214
Figure pct00215
Figure pct00216
Figure pct00217
Figure pct00218
Figure pct00219
Figure pct00220
Figure pct00221
Figure pct00222
Figure pct00223
Figure pct00224
Figure pct00225
Figure pct00226
Figure pct00227
Figure pct00228

D. 약리학 실시예
D.1 P2X7 안타고니즘
세포막에서 발현되는 P2X7에 대한 ATP의 세포외 결합은 리간드 게이트 양이온 채널을 개방하여 Ca2+가 세포 내로 진입하게 한다. 이러한 리간드로 유발되는 Ca2+ 유출을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하여 hP2X7을 과발현하는 132lNl 성상세포종 세포에서 측정하였다.
사용된 칼슘 에세이 키트(Molecular Devices, R8090)는 퀀칭(quenching) 염료와 함께 Ca2 + 감작성 염료를 제공한다. 그러나, 제조업체에 의한 명세는 제공되지 않는다. 상기 키트는 대개 fluo-4 또는 fluo-3와 같은 형광성 Ca2 + 인디케이터의 막 투과성 아세톡시메틸(AM) 에스테르로 구성된다. 세포 흡수에 따라, AM 에스테르는 에스터라제에 의해 분해되어 Ca2+-감작성 염료를 방출하고 이것이 칼슘과 결합 수 있다. 상기 염료는 아르곤 광원에 의해 488 nm에서의 여기(excitation)에 적합한 흡수 스펙트럼을 가지며 거대 형광 강도가 수반하는 스펙트럼의 이동 없이 Ca2+ 결합에 대하여 증가한다. 방출 파장은 510 내지 560 nm이다
형광, 및 상기 1321Nl 세포에서의 세포내 [Ca2+]의 변화는 아고니스트를 첨가하기 전후 시간에 관찰되었다. 안타고니스트 효과는 % control과 IC50으로 측정되었다. 상기 pIC50 값(= -log(IC50)값)을 표 F-9에 기재하였다.
표 F-9: 평균 pIC50값
Figure pct00229

Figure pct00230
Figure pct00231
D.2 THP-1 YoPro 흡수 에세이
사람의 단핵백혈구 세포주 THP-1을 10 % 소 태아 혈청,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50 units/mL), 2 mM L-글루타민, 및 20 uM 2-머캡토에탄올로 보충된 RPMI 배지에서 현탁배양으로 생육하였다. 세포를 mL 당 500,000 이하의 밀도로 유지하였다. 분석 일자에 세포를 에세이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한 다음, 2 uM Yo-Pro-1(Invitrogen)을 함유하는 에세이 완충액 중에 mL 당 2,000,000으로 다시 현탁하였다. 상기 에세이 완충액은(mM): 280 슈크로스, 5 KCl, 10 글루코스, 10 HEPES, 5 N-메틸-D-글루카민을 포함한다. 상기 세포들은 폴리-D-라이신으로 코팅된 블랙월 96-웰 플레이트(Biocoat, Becton-Dickinson)에 200 k/well로 첨가되었다. 시험 화합물을 DMSO에 용해시키고 상기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시험 농도로 첨가하였다. 블럭의 농도 의존성은 96-웰 플레이트의 듀플리케이트 줄 내의 세포의 각각 웰을 시험 화합물의 연속적인 희석에 노출시켜서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농도 시리즈는 10 uM에서 개시하여 농도로 3배 감소된다. 세포에 의해 나타나는 최종 DMSO 농도는 0.5 % 미만이다. 세포를 시험 화합물과 37 ℃에서 30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백그라운드 판독은 Gemini SpectraMax를 사용하여 490 nm 여기와 530 nm 방출로 얻어졌다. 그런 다음, 2 uM Yo-Pro-1과 200 uM BzATP를 함유하는 염료/자극 완충액 50 uL/웰을 첨가하였다(세포에 의해 표시되는 최종 농도는 2 uM Yo-Pro-1과 50 uM BzATP였다). 37 ℃에서 60분 동안 항온 처리한 후, 종료점 판독은 SpectraMax 플레이트 판독기로 실시하였다. 반응 블럭의 양은 각 웰의 형광 강도를 각 플레이트 상의 대조 웰의 평균과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P2X7의 기지의 안타고니스트(양성 대조군) 또는 임의 농도의 DMSO를 포함하는 대조 웰은 시험 웰에서와 동등하였다. 비연속성 회귀 프로그램(Origin, OriginLab, MA)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IC50의 -log(pIC50)로 보고되었다.
표 F-10: P2X7 안타고니즘에 대한 평균 pIC50 값

Figure pct00233

Claims (15)

  1. 다음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산 부가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Figure pct00234


    상기 식에서,
    n은 1, 2 또는 3의 정수이고;
    m은 1, 2 또는 3의 정수이고;
    p는 1 또는 2의 정수이고;
    R3는 수소, 할로, C1 - 4알킬 또는 C1 - 4알킬옥시 기이고;
    X는 O, S, SO2, CR4R5 또는 NR6이며; 여기에서 R4와 R5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 - 4알킬 또는 C1 - 4알킬옥시, 또는 아릴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6는 수소, 페닐, -CO-R7, 또는 -CO-O-R7 기이며, 여기에서 R7은 C1 - 6알킬 또는 아미노 기이고;
    R1은 피리디닐 또는 피리미디닐에서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고리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 - 6알킬, C1 - 6알킬옥시, 폴리할로C1 - 4알킬, 페닐, C3 - 6시클로알킬, C3 - 6시클로알킬옥시, C3 - 6시클로알킬C1 - 4알킬옥시 또는 NR8R9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치환되며; 여기에서 R8과 R9은 수소, C1 -6알킬, 히드록시C1 - 6알킬, C3 - 6시클로알킬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에서 R8과 R9은 질소 원자와 함께 결합할 수 있고, 이들이 질소 원자에 결합하여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또는 모르피닐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고리는 C1 - 4알킬, C1 - 4알킬옥시, 할로, 히드록시 또는 C1 - 4알킬카르보닐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R2는 퀴놀리닐 또는 이소퀴놀리닐에서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 고리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 - 6알킬, C1 - 6알킬옥시, C3 - 6시클로알킬, C3 - 6시클로알킬옥시, 폴리할로C1 - 4알킬, NR10R11, 및 OR12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치환되며, 여기에서 R10과 R11은 수소, C1 - 6알킬, C3 - 6시클로알킬, 폴리할로C1- 4알킬, 테트라히드로퓨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피페리디닐, N-(1,5-디옥사-9-아자-스피로[5.5]운덱-9-일), N-(l,7-디아자-스피로[4.4]논-7-일), N-(2,6-디아자-스피로[4.5]덱-2-일), 및 히드록시, 할로, 아릴1, C1 - 4알킬옥시, C3 - 6시클로알킬, 히드록시카르보닐, C1 - 4알킬설포닐아미노, C3 - 6시클로알킬설포닐아미노, 테트라히드로퓨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피롤리디닐, 피리디닐, 모르폴리닐,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 히드록시로 치환된 C1 - 4알킬로 치환된 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치환된 C1 - 6알킬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여기에서 R10과 R11은 질소 원자와 함께 결합할 수 있고, 이들이 질소 원자에 결합하여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아제파닐, N-[1,4]-옥사제파닐, 모르폴리닐, N-(2,6-디아자-스피로[3.3]헵트-2-일), 6-아세틸-2,6-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2-일, 2-(테트라히드로-퓨로[3,4-c]피롤-5-일), 2-(2-옥사-5-아자-비시클로[2.2.1]헵트-5-일), l,l-디옥소-티오모르폴린-4-일, 2-(2,6-디아자-비시클로[2.2.l]헵트-2-일), l-(l-아미노-3-아자-비시클로[3.1.0]헥스-3-일), N-(3-아세틸아미노-8-아자-비시클로[3.2.1]옥트-8-일), N-[l,4]-디아제파닐, 2-(헥사히드로-피롤로[3,4-c]피롤-2-일), 2-(헥사히드로-피롤로[3,4-b]피롤-l-일), 2-(헥사히드로-피롤로[3,4-b]피롤-5-일), 2-(옥타히드로-피롤로[3,4-b]피리딘-6-일), 또는 2-(3,6-디아자-비시클로[3.2.0]헵트-3-일), l-아미노-3-아자-비시클로[3.1.0]헥스-3-일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고리는 할로, 히드록시, C1 - 4알킬, C1 - 4알킬옥시, C1 - 4알킬옥시C1 - 4알킬, C3 - 6시클로알킬, C1 - 4알킬카르보닐, C1 - 4알킬옥시카르보닐, C1 - 4알킬옥시카르보닐아미노, 히드록시,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4알킬)아미노로 치환된 C1 - 6알킬,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4알킬)아미노, 트리플루오로메틸, N-(2-옥소-피롤리딘-1-일), 2,4-디히드로-[1,2,4]트리아졸론-5-일, C1 - 4알킬카르보닐아미노, 2,4-디히드로-[1,2,4]트리아졸론-4-일, (C1 - 4알킬카르보닐)(C1 - 4알킬)아미노, 트리플루오로메틸카르보닐아미노, 히드록시카르보닐, 메틸설포닐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R12는 아미노, C3 - 6시클로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에틸, 테트라히드로퓨라닐, N-(1-메틸피롤리디닐), N-(5-옥소-피롤리딘-2-일) 또는 피리디닐로 치환된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또는 C1 - 6알킬 기이며;
    아릴은 페닐, 또는 할로, C1 - 4알킬, C1 - 4알킬옥시 또는 히드록시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이고;
    아릴1은 페닐, 또는 할로, C1 - 4알킬, C1 - 4알킬옥시 또는 히드록시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n이 1, 2 또는 3의 정수이고;
    m이 1, 2 또는 3의 정수이고;
    p가 1 또는 2의 정수이고;
    R3가 수소, 할로, C1 - 4알킬 또는 C1 - 4알킬옥시 기이고;
    X는 O, S, SO2, CR4R5 또는 NR6이며; 여기에서 R4와 R5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 - 4알킬 또는 C1 - 4알킬옥시, 또는 아릴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6는 수소, 페닐, -CO-R7, 또는 -CO-O-R7 기이며, 여기에서 R7은 C1 - 6알킬 또는 아미노 기이고;
    R1은 피리디닐 또는 피리미디닐에서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고리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 - 6알킬, C1 - 6알킬옥시, 폴리할로C1 - 4알킬, 페닐, C3 - 6시클로알킬, C3 - 6시클로알킬옥시, C3 - 6시클로알킬C1 - 4알킬옥시 또는 NR8R9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치환되며; 여기에서 R8과 R9은 수소, C1 - 6알킬, C3 - 6시클로알킬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에서 R8과 R9은 질소 원자와 함께 결합할 수 있고, 이들이 질소 원자에 결합하여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또는 모르폴리닐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리는 C1 - 4알킬, C1 - 4알킬옥시, 할로, 히드록시 또는 C1 - 4알킬카르보닐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R2는 퀴놀리닐 또는 이소퀴놀리닐에서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 고리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 - 6알킬, C1 - 6알킬옥시, C3 - 6시클로알킬, C3 - 6시클로알킬옥시, 폴리할로C1 - 4알킬 및 NR10R11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치환되며, 여기에서 R10과 R11은 수소, C1 - 6알킬, C3 - 6시클로알킬, 폴리할로C1- 4알킬, 테트라히드로퓨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또는 히드록시, 할로, 페닐, C1 - 4알킬옥시, C3 - 6시클로알킬, 테트라히드로퓨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또는 모르폴리닐로 치환된 C1 - 6알킬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여기에서 R10과 R11은 질소 원자와 함께 결합할 수 있고, 이들이 질소 원자에 결합하여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아제파닐, N-[1,4]-옥사제파닐 또는 모르피닐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리는 할로, 히드록시, C1 - 4알킬, C1 - 4알킬옥시, C1 - 4알킬옥시C1- 4알킬, C3 - 6시클로알킬, C1 - 4알킬카르보닐, C1 - 4알킬옥시카르보닐, C1 - 4알킬옥시카르보닐아미노, 또는 히드록시로 치환된 C1 - 6알킬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아릴은 페닐 또는 할로, C1 - 4알킬, C1 - 4알킬옥시 또는 히드록시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산 부가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3. 제1항에 있어서, R1이 피리디닐 또는 피리미디닐로부터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고리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 - 6알킬, C1 - 6알킬옥시, 폴리할로C1- 4알킬 또는 페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치환체로 치환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산 부가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4. 제1항에 있어서, R2가 퀴놀리닐 또는 이소퀴놀리닐로부터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고리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C1 - 6알킬 또는 C1 - 6알킬옥시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치환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산 부가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5. 제1항에 있어서, R2가 퀴놀리닐 또는 이소퀴놀리닐로부터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고리는 NR10R11으로 치환되며, 여기에서 R10과 R11은 수소, C1-6알킬, C3 - 6시클로알킬, 폴리할로C1 - 4알킬, 테트로히드로퓨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또는 히드록시, 할로, 페닐, C1 - 4알킬옥시, C3 - 6시클로알킬, 테트라히드로퓨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또는 모르폴리닐로 치환된 C1 - 6알킬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산 부가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6. 제1항에 있어서, R2가 퀴놀리닐 또는 이소퀴놀리닐에서 선택되는 이종고리이고, 상기 이종 고리는 NR10R11으로 치환되며, 여기에서 R10과 R11은 질소 원자와 함께 결합할 수 있고, 이들이 질소 원자에 결합하여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아제파닐, N-[1,4]-옥사제파닐 또는 모르폴리닐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리는 할로, 히드록시, C1 - 4알킬, C1 - 4알킬옥시, C1 - 4알킬옥시C1 -4알킬, C3 - 6시클로알킬, C1 - 4알킬카르보닐, C1-4알킬옥시카르보닐, C1 - 4알킬옥시카르보닐아미노, 또는 히드록시로 치환된 C1 - 6알킬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산 부가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7. 제1항에 있어서, R3가 수소이고, n은 정수 2이며, m은 정수 3이고, X가 0으로 표시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산 부가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8. 제1항에 있어서, n이 정수 2이고, m은 정수 2이며, X가 CR4R5로 표시되고, 여기에서 R4 및 R5가 각각 불소인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산 부가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9. 제1항에 있어서, n이 정수 1이고, m은 정수 3이며, X가 CR4R5로 표시되고, 여기에서 R4 및 R5가 각각 불소인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산 부가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R1이 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5-일 또는 R1이 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5-일인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산 부가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11.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양의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12.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양의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화합물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완전히 혼합하여서 되는 제11항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화합물의 약제로서의 용도.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화합물의, P2X7 수용체와 매개된 상태 또는 질병으로부터 선택된 상태 또는 질병의 치료에서의 용도.
  15. a) 화학식 (II)의 중간체를 화학식 (III)의 중간체와, 하나 이상의 반응-비활성 용매 중에서 임의로 하나 이상의 적합한 커플링제 및/또는 적합한 염기 존재 하에서 반응시키거나;
    Figure pct00235

    b) 화학식 (II)의 중간체를 화학식 (IV)의 중간체와, 반응-비활성 용매 중에서 임의로 적합한 염기 존재 하에서 반응시키거나; 또는
    Figure pct00236

    상기 식에서 W는 적절한 이탈기이고, p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c)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변환 반응에 따라 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필요하다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으로 전환하거나,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산 부가염을 알칼리에 의해 자유 염기로 전환하고, 필요하다면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형태로 제조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20107026043A 2008-04-22 2009-04-21 퀴놀린 또는 이소퀴놀린 치환된 피2엑스7 안타고니스트 KR101598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54909.9 2008-04-22
EP08154909 2008-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732A true KR20110010732A (ko) 2011-02-07
KR101598397B1 KR101598397B1 (ko) 2016-02-29

Family

ID=3946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043A KR101598397B1 (ko) 2008-04-22 2009-04-21 퀴놀린 또는 이소퀴놀린 치환된 피2엑스7 안타고니스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431704B2 (ko)
EP (1) EP2285800B1 (ko)
JP (1) JP5369173B2 (ko)
KR (1) KR101598397B1 (ko)
CN (1) CN102066360B (ko)
AT (1) ATE533762T1 (ko)
AU (1) AU2009239471B2 (ko)
CA (1) CA2722035C (ko)
ES (1) ES2376092T3 (ko)
WO (1) WO20091320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229A (ko) * 2012-12-12 2015-08-17 액테리온 파마슈티칼 리미티드 P2x7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인돌 카르복사미드 유도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5919A1 (en) 2010-03-05 2013-08-01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Induced dendritic cel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12110190A1 (en) 2011-02-17 2012-08-23 Affectis Pharmaceuticals Ag Novel p2x7r antagonists and their use
WO2012163792A1 (en) 2011-05-27 2012-12-06 Affectis Pharmaceuticals Ag Novel p2x7r antagonists and their use
WO2012163456A1 (en) 2011-05-27 2012-12-06 Affectis Pharmaceuticals Ag Novel p2x7r antagonists and their use
ES2574840T3 (es) 2011-07-22 2016-06-22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Derivados de amidas heterocíclicas como antagonistas de receptores p2x7
PL2804865T3 (pl) 2012-01-20 2016-06-30 Idorsia Pharmaceuticals Ltd Heterocykliczne pochodne amidowe jako antagoniści receptora p2x7
AU2013229229B2 (en) 2012-03-07 2017-10-19 Institute Of Cancer Research: Royal Cancer Hospital (The) 3-aryl-5-substituted-isoquinolin-1-one compounds and their therapeutic use
TW201427947A (zh) 2012-10-12 2014-07-16 Lundbeck & Co As H 環狀胺
TWI598325B (zh) * 2012-10-12 2017-09-11 H 朗德貝克公司 苯甲醯胺類
JP6295270B2 (ja) 2012-12-18 2018-03-14 イドーシア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リミテッドIdorsia Pharmaceuticals Ltd P2x7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のインドール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
JP6282016B2 (ja) 2013-01-22 2018-02-21 イドーシア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リミテッドIdorsia Pharmaceuticals Ltd P2x7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の複素環アミド誘導体
CA2897459C (en) * 2013-01-22 2021-03-02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Heterocyclic amide derivatives as p2x7 receptor antagonists
JO3773B1 (ar) 2013-03-14 2021-01-31 Janssen Pharmaceutica Nv معدلات p2x7
TWI627174B (zh) 2013-03-14 2018-06-21 比利時商健生藥品公司 P2x7調控劑
EP2970271B1 (en) 2013-03-14 2017-11-08 Janssen Pharmaceutica NV P2x7 modulators
WO2014152537A1 (en) 2013-03-14 2014-09-25 Janssen Pharmaceutica Nv P2x7 modulators
NO3044221T3 (ko) 2013-09-11 2018-07-21
EP2905282A1 (en) * 2014-02-05 2015-08-12 AXXAM S.p.A. Substituted thiazole or oxazole as P2X7 receptor antagonists
WO2015187905A1 (en) * 2014-06-05 2015-12-10 Merck Patent Gmbh Novel quinol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ES2714048T3 (es) 2014-09-12 2019-05-24 Janssen Pharmaceutica Nv Moduladores de P2X7
US9592186B2 (en) 2014-09-30 2017-03-14 Avon Products,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kin lightening
EP3290417A1 (en) 2016-08-31 2018-03-07 AXXAM S.p.A. 2-chloro-n-[2-(1,3-thiazol-5-yl)ethyl]-5-(5-fluoropyrimidin-2-yl)-benzamides and their use as p2x7 receptor antagonists
EP3290416A1 (en) 2016-08-31 2018-03-07 AXXAM S.p.A. Substituted n-[2-(4-phenoxypiperidin-1-yl)-2-(1,3-thiazol-5-yl)ethyl]benzamide and n-[2-(4-benzyloxypiperidin-1-yl)-2-(1,3-thiazol-5-yl)ethyl]benzamid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2x7 receptor antagonist
MX2019010642A (es) 2017-03-16 2019-10-17 Celgene Car Llc Inhibidores de cinasa activada por mitogeno 2 (mk2), sintesis de los mismos, e intermediarios de los mismos.
EP3398941A1 (en) 2017-05-03 2018-11-07 AXXAM S.p.A. Heterocyclic p2x7 antagonists
WO2018224455A1 (en) 2017-06-07 2018-12-13 Basf Se Substituted cyclopropyl derivatives
WO2018234488A1 (en) 2017-06-23 2018-12-27 Basf Se SUBSTITUTED CYCLOPROPYL DERIVATIVES
WO2019078040A1 (ja) * 2017-10-18 2019-04-25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化合物またはその結合物、及び有機半導体材料
WO2019121143A1 (en) 2017-12-20 2019-06-27 Basf Se Substituted cyclopropyl derivatives
EP3856178A1 (en) 2018-09-28 2021-08-04 Janssen Pharmaceutica NV Monoacylglycerol lipase modulators
EP3856179A1 (en) 2018-09-28 2021-08-04 Janssen Pharmaceutica N.V. Monoacylglycerol lipase modulators
EP3962493A2 (en) 2019-05-03 2022-03-09 Flagship Pioneering Innovations V, Inc. Methods of modulating immune activity/level of irf or sting or of treating cancer, comprising the administration of a sting modulator and/or purinergic receptor modulator or postcellular signaling factor
US11839663B2 (en) 2019-09-30 2023-12-12 Janssen Pharmaceutica Nv Radiolabelled MGL pet ligands
JP2023518511A (ja) 2020-03-26 2023-05-01 ヤンセ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 エヌ.ベー. モノアシルグリセロールリパーゼ調節因子
CN111285812A (zh) * 2020-04-08 2020-06-16 安徽昊帆生物有限公司 2-芳氨基-5-甲酰基-嘧啶的制备方法
EP4015039A1 (en) 2020-12-18 2022-06-22 AXXAM S.p.A. Heterocyclic derivatives as p2x7 receptor antagonists
CA3230596A1 (en) 2021-09-03 2023-03-09 Maria Pia Catalani 2,4-dihydro-3h-1,2,4-triazol-3-one p2x7 antagonis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0884A1 (en) * 2005-01-27 2006-08-03 Astrazeneca Ab Novel biaromatic compounds, inhibitors of the p2x7-receptor
US20060217448A1 (en) * 2005-03-24 2006-09-28 Kelly Michael G Bicycloheteroaryl compounds as P2X7 modulators and uses thereof
WO2006110516A1 (en) * 2005-04-11 2006-10-19 Abbott Laboratories Acylhydrazide p2x7 antagonists and uses thereof
US20060293337A1 (en) * 2003-06-02 2006-12-28 Richard Evans P2x7 receptor antagonists and their u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93337A1 (en) * 2003-06-02 2006-12-28 Richard Evans P2x7 receptor antagonists and their use
WO2006080884A1 (en) * 2005-01-27 2006-08-03 Astrazeneca Ab Novel biaromatic compounds, inhibitors of the p2x7-receptor
US20060217448A1 (en) * 2005-03-24 2006-09-28 Kelly Michael G Bicycloheteroaryl compounds as P2X7 modulators and uses thereof
WO2006110516A1 (en) * 2005-04-11 2006-10-19 Abbott Laboratories Acylhydrazide p2x7 antagonists and use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229A (ko) * 2012-12-12 2015-08-17 액테리온 파마슈티칼 리미티드 P2x7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인돌 카르복사미드 유도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239471A1 (en) 2009-10-29
CN102066360B (zh) 2013-10-30
KR101598397B1 (ko) 2016-02-29
EP2285800A1 (en) 2011-02-23
CN102066360A (zh) 2011-05-18
US8431704B2 (en) 2013-04-30
CA2722035A1 (en) 2009-10-29
EP2285800B1 (en) 2011-11-16
US20110092481A1 (en) 2011-04-21
ATE533762T1 (de) 2011-12-15
AU2009239471B2 (en) 2013-01-24
JP5369173B2 (ja) 2013-12-18
JP2011518226A (ja) 2011-06-23
WO2009132000A1 (en) 2009-10-29
CA2722035C (en) 2016-10-11
ES2376092T3 (es)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397B1 (ko) 퀴놀린 또는 이소퀴놀린 치환된 피2엑스7 안타고니스트
AU2015240519B2 (en) Substituted spirocyclic inhibitors of autotaxin
AU2018237123B2 (en) Bruton's tyrosine kinase inhibitors
KR102390276B1 (ko) 마크로사이클릭 피리미딘 유도체
AU2006283592A1 (en) Pyrazolopyridine and pyrazolopyrimidine compounds useful as kinase enzymes modulators
WO2017066014A1 (en) Bruton's tyrosine kinase inhibitors
CA2861795A1 (en) Pyrazoloquinoline derivative
KR20130002991A (ko) 8-메틸-1-페닐-이미다졸[1,5-a]피라진 화합물
KR101485199B1 (ko) 피라졸로피리미딘 유도체
KR20200011977A (ko) 아미노피리미딘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90020343A (ko) 벤조디옥산 유도체 및 이의 약제학적 용도
TW202208379A (zh) 新穎的巨環lrrk2激酶抑制劑
JP7213193B2 (ja) Nik阻害剤としての新規の置換アザインドリン誘導体
WO2019072978A1 (en) MITOCHONDRIAL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PROLIFERATIVE DISORDERS
KR102611539B1 (ko) Gsk-3 억제제
WO2016203335A1 (en) Novel pyrido[2,3-b]pyrazinones as bet-family bromodomain inhibitors
WO2023060362A1 (en) Ras inhibitor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3056027A1 (en) Cyclic substituted imidazo[4,5-c]quinoline derivatives
KR102384924B1 (ko) 신규한 1h-피라졸로피리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EP3028703B1 (en) Piperidine derivatives as wnt signaling inhibitor
JP2008534683A (ja) 過剰増殖性疾患の治療のためのピロロ[2,3−d]イミダゾール
KR20230038740A (ko) Cdk9 억제제 및 이의 용도
EA043978B1 (ru) ИНГИБИТОРЫ Bcl-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