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495A - 저장조 및 분무기 - Google Patents

저장조 및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495A
KR20110003495A KR1020107023170A KR20107023170A KR20110003495A KR 20110003495 A KR20110003495 A KR 20110003495A KR 1020107023170 A KR1020107023170 A KR 1020107023170A KR 20107023170 A KR20107023170 A KR 20107023170A KR 20110003495 A KR20110003495 A KR 20110003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fluid chamber
fluid
amino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아스 하우스만
구이도 슈미델
플로리안 비테
요하네스 게저
게랄트 마테
마르틴 마이젠하이머
안토니오 란치
엘마 모크
마르틴 시그리스트
홀거 홀라코프스키
Original Assignee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03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7Syringe-type or piston-type sprayers or atom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f the injector type
    • A61M11/08Pocket atomisers of the injecto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05B11/00446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the means being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or of an enclosure surrounding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6Membrane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the dispensing stroke being affected by the stored energy of a spring
    • B05B11/1091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the dispensing stroke being affected by the stored energy of a spring being first hold in a loaded state by locking means or the like, then relea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cassettes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uid circuit
    • A61M2205/12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cassettes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uid circuit with incorporated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1Pump prim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Nozzl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 Vacuum Packag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분무기(1)용 저장조(3), 분무기(1) 및 저장조(3) 충전 방법이 제안된다. 바람직하지 않은 압력의 상승을 회피하기 위해, 저장조(3)의 유체 챔버(4)가 사전 붕괴되고 유체 챔버(4)의 최대 체적 미만인 유체(2)의 초기량으로 충전된다. 바람직하게는, 충전되기 전에, 유체 챔버(4)는 유체 챔버(4)의 최대 체적 미만인 규정된 체적으로 가스에 의해 압축되고 그리고/또는 확장된다.

Description

저장조 및 분무기{RESERVOIR AND NEBULIZER}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저장조, 청구항 19의 전제부에 따른 분무기 및 청구항 20 또는 21의 전제부에 따른 유체로 저장조를 충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WO 96/06011 A1호, WO 00/49988 A2호 및 WO 99/43571 A1호로부터, 분무기 또는 흡입기용 저장조 또는 용기가 공지되어 있다. 용기는 강성 케이싱 및 그 내부에 수납된 백을 갖는다. 백은 약물 조제물(medicament preparation)을 수납하고, 약물 조제물이 취해질 때 붕괴된다. 지금까지, 특히 그 내부에 포함된 임의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백을 약물 액체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충전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실제로, 이는 잔류 가스 또는 가스 기포가 완전히 없이 수행되지 않는다. 용기의 저장 중에, 상당한 압력이 약물 조제물을 수납하는 백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용기가 특히 관통에 의해 최초에 개방될 때, 이는 약물 조제물의 바람직하지 않은 이탈 또는 손실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탄올 약물 조제물이 사용되면,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분위기 압력보다 낮은 부분 공기 압력이 유체 챔버 내에 만연한다. 이 부분 압력차는 공기가 백 내로 느리게 확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백 내의 압력의 원하지 않는 증가를 유도할 수 있다. 온도에 의존하여 상당히 변하는 에탄올의 증기압은 또한 압력의 원하지 않는 증가 또는 편차를 유도할 수 있다. 게다가, 압력 증가는 유체 챔버 내의 액체의 온도-유도 팽창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 챔버 내의 유체에 작용하는 압력의 바람직하지 않은 상승이 방지되거나 적어도 최소화될 수 있는 유체, 특히 약물 조제물을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를 갖는 분무기 및 유체로 저장조를 충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저장조, 청구항 19에 따른 분무기 또는 청구항 20 또는 21에 따른 방법에 의해 성취된다. 유리한 부가의 특징은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유체로 충전되는 유체 챔버는 변형되고, 절첩되고, 주름지고, 말려지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고 그리고/또는 사전 붕괴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유체 챔버의 최대 체적은 유체의 (초기 또는 최대) 충전량보다 크다. 이 "저충전(underfilling)"에 의해, 심지어 특히 여전히 밀봉된 저장조가 장기간 동안 저장될 때 유체 챔버 내의 바람직하지 않은 압력의 상승은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방법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유체 챔버는 유체로 충전되고 또는 감소된 압력 하에서 밀봉되고 그리고/또는 충전되기 전에 바람직하게는 유체 챔버의 최대 체적 미만인 규정된 체적으로 확장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유체 챔버는 최대 체적 미만인 체적으로 유체로 충전되는 중 또는 전에 사전 붕괴되고, 그리고/또는 외부에서 압력 하에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그 공간 확장이 제한된다. 이 방식으로, 또한 유체 챔버의 저충전이 성취될 수 있고, 심지어 여전히 밀봉된 저장조가 장기간 동안 저장될 때에도 유체 챔버 내의 압력의 바람직하지 않은 상승이 방지되거나 적어도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유체 챔버는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헬륨 등과 같은 보호 가스 분위기 하에서 충전된다. 필요하다면, 대응 가스 기포가 유체 챔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 가스는 이어서 유체 챔버로부터 느리게 확산되고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특히 수성 유체 내의 이산화탄소와 같은 유체에 의해 재흡수되거나 용해된다. 따라서, 가스 기포는 충전 중에 특히 유체의 용매의 증기로 이루어진 증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유체 챔버는 적어도 실질적으로는 잔류 가스 및/또는 가스 기포가 없는 방식으로 유체로 충전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변형 가능한 및/또는 붕괴 가능한 유체 챔버의 저충전 또는 불완전한 충전과 관련하여 잔류 가스 또는 가스 기포의 회피는 심지어 여전히 밀봉된 저장조의 장기간 저장 중에 및/또는 고도로 가변적인 분위기 조건(온도, 습도, 압력 등) 하에서 유체 챔버 내의 바람직하지 않은 압력의 생성의 특히 안전하고 효과적인 회피를 유도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승된 온도에서 유체로 용기를 충전하는 것이, 즉 특히 유체 챔버 내로 가열된 유체를 전달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유체는 유체 챔버 또는 저장조가 밀봉된 후에 단지 냉각되고(또는 자동으로 냉각됨), 그 결과 원하는 사전 붕괴 또는 저충전이 가스 기포 없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료되고 그리고/또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유체 챔버는 최대 레벨로 초기에 충전된다. 이는 유체 챔버가 마찬가지로 특히 최대값으로 확장될 수 있게 하여, 사전 확장이 필요 없을 수 있다. 다음에, 첨가된 유체의 일부는 특히 흡입에 의해 재차 제거될 수 있어 단지 부분적인 충전 또는 저충전이 성취된다.
전술된 본 발명의 특징 및 양태와,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양태는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임의의 소정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의 장점, 특징, 특성 및 양태는 도면에 의해 청구범위 및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챔버 내의 유체에 작용하는 압력의 바람직하지 않은 상승이 방지되거나 적어도 최소화될 수 있는 저장조 및 분무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비인장 상태에서의 제안된 분무기를 통한 개략 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조를 갖는 인장 상태에서의 분무기의 도 1과 비교하여 90°회전된 개략 단면도.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안된 저장조의 도면.
도 4는 디바이스가 사전 붕괴를 위해 연장되어 있는 도 3의 저장조의 도면.
도 5는 도 3의 저장조를 통한 개략 단면도.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안된 저장조를 통한 개략 단면도.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되었고, 특히 대응 또는 상응하는 특성 및 장점이 관련 설명이 반복되지 않더라고 얻어진다.
도 1 및 도 2는 유체 또는 약물 제조물과 같은 유체(2)를 분무하기 위한 제안된 분무기(1)를 비인장 상태(도 1) 및 인장 상태(도 2)의 개략도로 도시하고 있다. 분무기(1)는 특히 휴대형 흡입기로서 구성되고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추진제 가스가 없이 작동한다.
유체(2) 또는 약물 조제물의 분무화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또는 환자(미도시)에 의해 호흡되거나 흡입될 수 있는 폐(도 1)를 향한 에어로졸(14)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조제물은 특히 환자의 호소 증상에 따라 적어도 1일 1회, 더 구체적으로는 1일 다수회, 바람직하게는 설정된 간격으로 흡입된다.
분무기(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2)를 수납하는 바람직하게는 삽입형 및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 저장조(3)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조(3)는 무수히 많은 분무화 또는 적용을 허용하기 위해 다수의 투여, 예를 들어 100회 이상의 투여를 위해 충분한 양(일반적으로, 2 내지 10 또는 2 내지 15 ml)의 유체(2) 또는 활성 물질을 수납한다.
저장조(3)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카트리지형이고 그리고/또는 특정 강성 용기로서 구성되고, 그리고/또는 아래로부터 분무기(1)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분무기가 개방된 후에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저장조(3)는 바람직하게는 백(39)으로서 구성되거나 이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2)를 수납하는 유체 챔버(4)를 갖는다. 유체 챔버(4) 또는 유체 챔버(4)를 경계 형성하는 벽(이 경우, 백 벽)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 변형 가능한 및/또는 붕괴 가능한 구조이다.
분무기(1)는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미리 결정된,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한 계량된 양으로 유체(2)를 이송하고 그리고/또는 분무하기 위한 이송 디바이스, 특히 압력 발생기(5)를 갖는다.
분무기(1) 또는 압력 발생기(5)는 특히 저장조(3)용 홀더(6), 바람직하게는 언로킹을 위해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관련 로킹 요소(8)를 갖는 단지 부분적으로만 도시된 관련 구동 스프링(7), 바람직하게는 모세관의 형태의 이송 요소 또는 이송 튜브(9), 선택적인 밸브, 특히 비리턴 밸브(10), 압력 챔버(11) 및/또는 마우스피스(13) 또는 다른 단부 피스의 영역에서 배출 노즐(expulsion nozzle)(12)을 포함한다.
저장조(3)는 특히 클램핑 또는 래치 결합 작용에 의해 홀더(6)에 의해 분무기(1) 내에 고정되어, 이송 요소가 유체 챔버(4) 내로 연장되게 하고 그리고/또는 그에 유동적으로 접속된다. 홀더(6)는 저장조(3)가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7)이 축방향으로 인장될 때, 홀더(6)는 저장조(3) 및 이송 요소와 함께 도면에서 하향으로 이동하고, 유체(2)-더 정확하게는 다음 투여량-는 저장조(3)로부터 비-리턴 밸브(10)를 통해 압력 발생기(5)의 압력 챔버(11) 내로 흡인된다. 유체 챔버(4)(백)는 유체(2)의 제거 기능으로서 붕괴된다.
분무를 위한 로킹 요소(8)의 작동 후에 구동 스프링(7)의 후속의 이완 중에, 압력 챔버(11) 내의 유체(2)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스프링(7)의 힘에 의해서만 상향으로 이동되는 이송 요소에 의해 압력 하에 배치되고, 비-리턴 밸브(10)가 이제 폐쇄된 상태로 이송 요소는 압력 램으로서 작용한다. 이 압력은 유체(2)를 배출 노즐(12)을 통해 축출되고, 이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를 향한 에어로졸(14)로 분무된다.
사용자 또는 환자(미도시)는 에어로졸(14)을 흡입할 수 있고, 동시에 공급 공기가 적합하게 적어도 하나의 공급 공기 개구(15)를 통해 마우스피스 내로 취입될 수 있다.
분무화 프로세스 또는 행정 중에, 저장조(3)는 구동 스프링(7)에 의해 그 원래 위치로 재차 이동한다. 따라서, 저장조(3)는 바람직하게는 인장 프로세스 중에 그리고 분무화 프로세스 중에 상승 이동을 수행한다.
압력 발생기(5) 및/또는 구동 스프링(7) 대신에, 다른 수단 및/또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분무기(1)는 특히 상부 부분(17a) 및 하부 부분(17b)(도 1)을 갖고 그에 대해 회전 가능한(도 2) 제 1 하우징 부분(상부 부분)(16) 및 내부 부분(17)을 포함하고, 특히 수동 조작 가능 또는 회전 가능한 제 2 하우징 부분(하부 부분)(18)이 바람직하게는 안전 로크 또는 유지 요소(19)에 의해 내부 부분(17)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고, 특히 내부 부분(17) 상으로 압박된다. 특히, 안전 로크 또는 유지 요소(19)는 분무기(1)를 부주의하게 개방하거나 제 2 하우징 부분(18)으로부터 당겨지는 가능성이 없도록 설계된다. 특히, 제 2 하우징 부분(18)을 해제하기 위해, 유지 요소(19)는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가압되어야 한다. 저장조(3)를 삽입하고 그리고/또는 변경하기 위해, 제 2 하우징 부분(18)은 분무기(1)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 부분(18)은 바람직하게는 캡형 하부 하우징 부분을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저장조(3)의 하부 자유 단부 주위에 또는 그 위에 끼워진다.
제 2 하우징 부분(18)은 제 1 하우징 부분(16)에 대해 회전될 수 있어, 내부 부분(17)을 그와 함께 운반한다. 그 결과, 구동 스프링(7)은 홀더(6) 상에 작용하는 기어(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음)에 의해 축방향으로 인장된다. 인장이 발생함에 따라, 저장조(3)는 저장조(3)가 도 2에 도시된 단부 위치를 점유할 때까지 축방향 하향으로 또는 그 단부가 (더) 제 2 하우징 부분(18)으로 또는 그 단부면을 향해 이동한다. 이 위치에서, 구동 스프링(7)이 인장된다.
분무기(1)는 바람직하게는 저장조(3), 특히 저장조(3)의 선택적인 외부 케이싱(23)을 강제로 통기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최초에 인장 중에, 외부 케이싱(23)은 요구에 따라 또는 선택적으로 그 기부에서 관통되거나 개방된다. 특히, 하우징 부분(18) 내에 배열된 축방향 작용 스프링(20)이 기부(21) 상에 접촉하게 되고, 이 스프링은 최초에 접촉하게 됨에 따라 통기를 위해 관통 요소(22)를 사용하여 외부 케이싱(23) 또는 저부 밀봉부, 특히 기밀 밀봉부를 관통시킨다.
따라서, 강제 통기 디바이스가 이 경우에 스프링(20)에 의해 유지되거나 형성된 관통 요소(22)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디자인 해결책이 또한 가능하다.
통기 목적으로 관통하는 동안 단지 저장조(3)의 외부 케이싱만이 개방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유체(2)를 수납하는 유체 챔버(4)(백)는 손상되지 않고 유지된다.
유체(2)가 이송 요소를 통해 제거됨에 따라, 가요성 또는 변형 가능한 백 또는 유체 챔버(4)가 붕괴된다. 압력 평형화를 위해, 분위기 공기는 통기 또는 관통 개구를 통해 저장조(3) 또는 외부 케이싱(23) 내로 유동할 수 있다.
강제 통기를 위한 수단은 순수하게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특히, 강제 통기를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저장조(3)의 외부 케이싱(23)이 이미 실질적으로 기밀 구조이면 그리고/또는 밸브와 같은 다른 통기 수단이 제공되면 함께 생략될 수도 있다.
분무기(1)를 사용하기 위해, 먼저 저장조(3)가 삽입되어야 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제 2 하우징 부분(18)을 제거하거나 당김으로써 수행된다. 다음에, 저장조(3)는 내부 부분(17) 내로 축방향으로 삽입되거나 압박된다. 이는 다음에 개방되거나 헤드 단부에 부착된다. 이는 특히 단부 또는 헤드에 바람직하게 제공된 저장조(3)의 밀봉부를 관통하고 그리고/또는 저장조(3)의 내부 또는 유체 챔버(4) 내로 바람직하게는 격벽을 갖고 특히 헤드 단부에 제공된 마개(24)를 통해 이후에 삽입되는 이송 요소, 즉 이송 튜브(9)에 의해 수행된다. 이 방식으로, 유동성 접속이 압력 발생기(5) 또는 압력 챔버(11)를 갖고 이송 튜브(9)를 통해 저장조(3) 사이-또는 더 정확하게는 저장조(3)의 유체 챔버(4) 사이-에 형성된다.
다음, 제 2 하우징 부분(18)은 교체되거나 뒤로 압박된다. 다음에, 분무기(1)는 최초에 인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조(3)는 이어서 전술된 바와 같이 관통 요소(22)에 의해 그 기부에서 관통되는데, 즉 강제로 통기된다.
최초에 사용되기 전에, 저장조(3)가 삽입되거나 유동적으로 접속된 후에, 분무기(1)는 바람직하게는 다수회 인장되고 작동된다. 이 소위 프라이밍(priming)은 배출 노즐(12)까지 이송 요소 및/또는 압력 발생기(5)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공기가 유체(2)를 강제로 배출하는 한다. 분무기(1)는 이어서 전달 또는 흡입의 준비가 된다.
유체 챔버(4) 또는 그 벽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압축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붕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유체 챔버(4)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는 가요성, 변형 가능 및/또는 붕괴 가능 재료에 의해 형성되거나 제조되거나 경계 형성된다.
유체 챔버(4) 또는 그 벽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독점적으로 백(39) 또는 튜브 등에 의해 형성되거나 이와 같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챔버(4)에 사용된 가요성 벽 재료는 특히 다층 필름 등이다. 그러나, 다층 필름이 금속층, 특히 알루미늄 층 또는 포일을 포함하더라도, 완전히 기밀한 밀봉부를 성취하는 것이 지금까지 가능하지 않았다. 그 결과로서, 가스는 유체 챔버(4)의 벽 또는 포일을 통해 확산될 수 있다.
에탄올 유체(2)가 사용되면,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분위기 압력보다 낮은 부분 공기 압력이 일반적으로 유체 챔버(4) 내에 만연한다. 이 부분 압력차는 공기가 유체 챔버(4)의 벽의 필름을 통해 유체 챔버 내로 느리게 확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체 챔버(4) 내의 공기의 최종 농도는 유체 챔버(4) 내의 압력 따라서 유체(2)에 작용하는 압력의 원하지 않는 증가를 유도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가능한 한 완전히 유체(2)로 유체 챔버(4)를 충전하려는 시도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실제로, 이는 완전히 잔류 가스 또는 가스 기포 없이 이루어질 수는 없다. 일반적으로, 유체(2)로 충전 후에 유체 챔버(4) 내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형의 잔류 가스 기포가 존재한다. 에탄올 유체(2)가 사용되면, 예를 들어 에탄올의 비교적 낮은 비등점 및 따라서 온도에 따라 상당히 변하는 에탄올의 증기 압력이 유체 챔버(4) 내의 압력 및 따라서 유체(2)에 작용하는 압력의 원하지 않는 변동, 특히 원하지 않는 증가를 유도할 수 있다.
저장조(3) 또는 유체 챔버(4)가 최초에 개방되고[도시된 실시예에서, 분무기(1) 내에 저장조(3)를 삽입함으로써 또는 저장조(3)/유체 챔버(4)를 관통함으로써] 증가된 또는 높은 압력이 유체 챔버(4) 내에 만연할 때, 유체(2)가 가능하게는 예를 들어 배출 노즐(12)을 통해 직접-즉, 분무기(1)의 사전의 작동 없이- 탈출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이, 유체 챔버(4) 내로의 이송 요소의 삽입은 특히 유체 챔버(4)가 충만하여 파열될 때 바람직하지 않은 압력의 증가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유체 챔버(4) 내의 바람직하지 않은 압력 상승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유체(2)로 충전될 때[이 상태에서, 유체(2)로의 충전 전 및/또는 중은 도 2의 유체 챔버(4)의 점선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됨] 및/또는 유체 챔버(4)의 최대 체적이 유체(2)로의 (초기) 충전량보다 클 때, 유체 챔버(4)가 변형되고, 절첩되고, 주름지고, 말려지고,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압축되고 그리고/또는 사전 붕괴되어야 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의사(quasi) 불완전 충전은 일반적으로 또한 간략하게 "저충전"이라 칭한다.
저충전의 효과는, 장기간의 저장이 유체 챔버(4) 내의 유체(2) 상에 작용하는 압력의 임의의 (현저한) 증가를 유도하지 않은 후에도 밀봉된 저장조(3) 또는 유체 챔버(4)의 저장 중에 유체 챔버(4) 내로 확산하는[일반적으로, 유체 챔버(4) 내로의 공기 확산 유량은 40℃에서 1일당 약 2.5 microl 및 20℃에서 1일당 약 0.35 microl]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체(2)로부터 용매의 증발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유체 챔버(4) 내의 다른 잠재적인 압력 편차가 유체 챔버(4)의 저충전 또는 추가의 확장성에 의해 보상되거나 방지된다.
특히, 유체 챔버(4)는 크기가 증가되고 그리고/또는 유체(2)의 초기 충전량을 넘어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챔버 내의 체적 증가[예를 들어 유체 챔버(4) 내로의 공기의 확산에 의해 및/또는 유체(2)의 성분 또는 증발 또는 휘발에 의해 발생됨]가 보상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또는 초기 충전량[가스로의 부분 충전의 경우 또는 유체 챔버(4) 내에 잔류 가스가 있으면 총 충전량은 일반적으로 정상 압력에서 초기에 얻어짐]은 유체 챔버(4)의 최대 체적의 95% 미만, 바람직하게는 9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85% 이하이다.
유체 챔버(4)의 총 체적 또는 최대 체적은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10 ml 또는 2 내지 15 ml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대략 3 내지 5 ml이다. 그러나, 다른 체적이 또한 가능하다.
유체 챔버(4)의 최대 체적과 유체(2)의 최대 또는 초기 충전량 사이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1.0 ml, 더 구체적으로는 약 0.4 내지 0.8 ml이다.
실험 및 시뮬레이션은, 제안이 여전히 밀봉된 저장조(3) 또는 유체 챔버(4)가 바람직하지 않은 조건[예를 들어, 높은 온도 및/또는 유체 챔버(4) 내로의 높은 공기 확산 유량] 하에서도 유체 챔버(4) 내의 압력의 측정 불가능한 또는 무시할만한 증가를 갖고 매우 긴 기간(특히 2 내지 3년 초과) 동안 저장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체 챔버(4)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잔류 가스 또는 가스 기포가 없도록 충전된다. 종종 충전 중에 회피 불가능한 유체 챔버(4) 내의 임의의 가스 기포는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한 작게 유지된다. 이 경우에, 유체(2)의 체적만을 고려하는 대신에, 정상 압력에서의 가스 기포의 체적은 추가로 초기 충전량을 결정할 때 고려될 수 있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실질적으로 잔류 가스 또는 가스 기포가 완전히 없는 충전이 특히 성취된다.
또한, 독립적으로 성취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몇몇 양태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유체 챔버(4)는 감소된 압력 하에서 유체(2)로 충전된다. 이는 또한 유체 챔버(4) 내의 가스 기포(28)의 포함 및/또는 형성이 회피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에 유체 챔버(4) 내의 압력의 바람직하지 않은 상승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을 돕는다. 감소된 압력 하에서의 충전은 특히 전술된 저충전과 함께 수행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저장조(3)는 바람직하게는 선택적 외부 케이싱(23)을 갖는다. 그러나, 이전의 디자인과는 대조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변형 가능 또는 붕괴 가능한 유체 챔버(4), 특히 유체 챔버(4)를 형성하는 백 등을 둘러싸는 비강성 기밀 외피가 존재한다.
외부 케이싱(23)이 강성 형태로 사용되면, 바람직하게는 밀폐식으로 또는 기밀 방식으로 밀봉되지 않고, 또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이 또는 소정의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그 기부에서 관통함으로써 유체 챔버(4)의 유동식 개방 또는 부착 전에 개방된다[예를 들어, 저장조(3)가 패키징 등(여기에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제거될 때].
대안적으로, 외부 케이싱(23) 자체는 특히 유체 챔버(4)와 같이 가요성, 변형 가능한 및/또는 붕괴 가능한 디자인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외부 케이싱(23)은 이어서 밀폐식으로 밀봉된 또는 기밀 구조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그 전체 표면에 걸쳐 또는 부분적으로 유체 챔버(4)를 형성하는 벽에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심지어 그와의 복합 재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체 챔버(4)는 바람직하게는 백 또는 백형 벽 등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디자인 해결책이 또한 가능하다.
저장조(3)는 바람직하게는 살균 또는 살균 가능 구조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밀봉된 저장조(3)는 대응하는 온도 저항 구조를 갖는다. 더욱이, 마개(24)는 바람직하게는 살균 방식으로 저장조(3)를 밀봉한다.
일반적으로, 제안된 분무기(1)에서, 저장조(3)는 바람직하게는 분무기(1) 내에 삽입되는데, 즉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조(3)는 바람직하게는 개별 구성 요소이다. 그러나, 저장조(3)는 이론적으로는 분무기(1) 또는 분무기(1)의 부분에 의해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분무기(1) 내에 일체화될 수 있다.
자립식 장치 등에 대조적으로, 제안된 분무기(1)는 바람직하게는 휴대형으로 설계되고, 특히 이동식 휴대형 디바이스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분무기(1)는 특히 의료용 에어로졸 치료를 위한 흡입기로서 구성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분무기(1)는 또한 다른 목적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독립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몇몇 추가 실시예 및 양태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고, 원리적으로 단지 차이점 또는 추가 양태만이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 설명, 특징 및 장점이 여전히 대응하여 또는 상보적으로 적용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미설치 상태의, 즉 저장조(3)가 사용될 수 있는 분무기(1)가 없는 제안된 저장조(3)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유체 챔버(4)를 사전 붕괴하기 위한 디바이스(32)와 함께 저장조(3)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4는 디바이스(32)가 탈착되거나 제거되어 있는 저장조(3)를 유사한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5는 패키징된 상태의 저장조(3)를 개략 단면도로 도시한다. 먼저, 도 5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조(3)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마개(24)를 갖는다. 마개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삽입 가능한 이송 요소 또는 이송 튜브(9)를 위한 인접 격막(26)을 포함하거나 형성하는 제 1 마개 부재(25)를 갖는다. 그러나, 격막(26)은 또한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격막(26)은 단지 선택적이고, 즉 제공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개(24)는 바람직하게는 제 2 마개 부재(27)를 갖는다. 제 2 마개 부재(27)는 특히 용접에 의해 기밀 방식으로 제 1 마개 부재(25)에 연결된다. 그러나, 다른 디자인 해결책이 또한 가능하다. 필요하다면, 2개의 마개 부재(25, 27)가 또한 단일의 공통 구성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마개(24) 또는 저장조(3)는, 바람직하게는 열 밀봉 필름에 의해 형성되고 특히 제 1 마개 부재(25) 또는 그 격막(26)을 통해 유체 챔버(4) 내로의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하기 위해, 밀폐 또는 실질적으로 기밀 마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밀봉부(28)를 갖는다.
마개(24)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케이싱(23)에 연결되거나 이에 의해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개(24) 또는 제 2 마개 부재(27)는 바람직하게는 이 목적으로 외부 케이싱(23)을 연결하기 위한 특히 환형 또는 원통형 연결부(29)를 포함한다.
외부 케이싱(23)은 특히 클램핑 또는 래치 결합 작용에 의해 마개(24) 또는 연결부(29)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케이싱(23)의 내부에서 돌출부 또는 비드, 특히 환형 비드(30)는 이에 따라 축방향으로 함께 압박함으로써 외부 케이싱(23)과 마개(24) 사이에 충분히 견고한 및/또는 상호 체결 결합 연결을 허용하기 위해 연결부(29)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디자인 해결책이 또한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구성 요소는 서로 용접되거나 접착되고 그리고/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마개(24), 특히 그 제 2 마개부(27)는 특히 연결 영역(31)을 통해 유체 기밀 및 특히 기밀 방식으로 유체 챔버(4)를 형성하는 벽 또는 유체 챔버(4)를 형성하거나 경계 형성하는 백(39) 등에 연결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마개(24) 또는 제 2 마개 부재(27) 또는 그 연결 영역(31)은 유체 챔버(4) 또는 그 벽을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체 챔버(4)를 형성하는 벽 또는 백(39)은 바람직하게는 마개(24) 또는 연결 영역(31)에 용접되고 그리고/또는 접착된다. 그러나, 다른 디자인 해결책이 또한 가능하다.
유체 챔버(4)의 벽은 바람직하게는 가요성이고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용이하게 변형 가능한(탄성적으로 및/또는 비탄성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힘의 인가 없이 변형 가능한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시트 재료 및/또는 복합 필름 구조체는 특히 바람직하게 이 목적으로 사용된다. 벽 재료는 이하에 간략히 "필름"이라 칭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필름은 실질적으로 불투과성, 특히 기밀성이어서, 관례적인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금속 외부 케이싱(23)을 사용하여 추가의 밀폐 밀봉부가 요구되지 않게 된다. 오히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케이싱(23)은 특히 플라스틱 등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전술되고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개방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다층 구조이고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층, 특히 알루미늄층 등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금속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내부에서 래커 및/또는 플라스틱의 층에 의해 덮인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내부층은 바람직하게는 마개(24) 또는 내부 또는 제 2 마개 부재(27)로의 용접에 의해 직접 부착될 수 있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필름은 종종 완전히 가스에 불투과성이 아니고, 그 결과 전술된 바와 같은 유체 챔버(4) 내로의 공기의 가능한 확산이 여전히 밀봉된 저장조(3) 또는 유체 챔버(4)가 장기간 동안 저장될 때 정확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챔버(4)는 유체 챔버(4)의 최대 체적 미만인 체적으로 유체(2)로의 충전 전 또는 중에 사전 붕괴된다. 따라서, 전술된 유체(2)로의 저충전이 매우 용이하게 성취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사전 붕괴, 즉 유체 챔버(4)의 최대 체적 미만인 체적으로 실제 가능한 레벨로부터 유체 챔버(4)의 충전 체적의 감소 또는 제한은 유체(2)의 충전 전 및 중에 발생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감소된 압력의 인가에 의해 및/또는 압축 등과 같은 다른 적합한 방법에 의해, 유체(2)로 충전될 때에만 또는 심지어 유체(2)로 충전된 후에 유체 챔버(4)의 붕괴가 발생하게 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또한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체 챔버(4)는 유체(2)로의 충전 전 또는 중에 외부에서 압력 하에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그 공간 확장이 외부에서 제한된다. 이는 원하는 사전 붕괴 및/또는 저충전을 성취하는 매우 간단한 방법이다.
사전 붕괴를 위해, 기체, 액체 및/또는 고체 매체 또는 제제가 특히 그 최대 체적과 비교하여 유체 챔버(4)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외부로부터 유체 챔버(4) 또는 그 벽 상에-도시된 실시예에서, 필름- 작용할 수 있다.
유체 챔버(4)를 형성하는 백(39), 튜브 등을 완전한 것 미만으로 확장시키고, 또는 유체(2)로의 충전 전 또는 중에 여전히 주름지고, 말려지고, 또는 절첩되거나 압축되어 유지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한 사전 붕괴는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특히 기계적으로 수행된다.
제 2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2)는 바람직하게는 유체 챔버(4)를 사전 붕괴하는데 사용된다. 디바이스(32)는 선택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핸들(33) 또는 홀더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조작 또는 접촉 요소(34), 특히 2개의 접촉 요소(34)를 갖는다. 이어지는 설명은 모든 경우에 2개의 접촉 요소(34) 또는 복수의 접촉 요소(34)를 갖는 것을 참조한다. 그러나, 단지 하나의 접촉 요소(34) 또는 다른 조작 요소 등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은 이에 따라 적용된다.
접촉 요소(34)는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세장형, 막대형 및/또는 핀형이지만, 선택적으로 또한 통(tong) 및 치크(cheek)의 형태일 수도 있다.
접촉 요소(34)는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강성 구조를 갖지만, 또한 가요성 또는 탄성 변형 가능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촉 요소(34)-개별적으로 또는 함께-는 또한 스프링에 의해 유지되고, 편위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접촉 요소(34)는 바람직하게는 유체 챔버(4)의 벽 상에 접촉하기 위해 라운딩된 또는 모따기된 접촉면 및/또는 에지를 갖는다. 특히, 접촉 요소(34)의 자유 단부는 모따기된다.
접촉 요소(34)는 바람직하게는 핸들(33) 또는 다른 홀더 상에 형성되거나 이에 의해 형성된다.
디바이스(32) 또는 그 접촉 요소(34)는 바람직하게는, 한편으로는 유체 챔버(4)의 벽 또는 백(39) 사이에, 다른 한편으로는 외부 케이싱(23) 사이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유체 챔버(4)가 축방향으로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및/또는 대향 측면들 상에서 압축되거나 사전 붕괴될 수 있도록 저장조(3) 또는 그 외부 케이싱(23)에 적응된다.
접촉 요소(34), 유체 챔버(4) 또는 더 정확하게는 유체 챔버(4)를 형성하는 벽 또는 유체 챔버(4)를 형성하는 백(39), 튜브 등은 변형되고, 가압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고 그리고/또는 사전 붕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는 특히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3) 또는 그 외부 케이싱(23) 상에 디바이스(32) 또는 접촉 요소(34)를 배치하거나 이 디바이스 또는 접촉 요소 또는 디바이스 및 접촉 요소를 그 내부로 압박함으로써 성취된다. 그러나, 접촉 요소(34)는 외부 케이싱(23)에 독립적으로 유체 챔버(4)의 벽의 외부에 작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조 프로세스의 도중에, 저장조(3)의 조립 또는 외부 케이싱(23)으로의 연결 전에, 원하는 사전 붕괴가 접촉 요소(34)의 작용에 의해 또는 유체(2)로의 충전 중에 다른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유체 챔버(4)의 벽에 대한 접촉 요소(34)의 외부 배치 또는 그 변형의 결과로서, 유체(2)로의 충전 중에 이용 가능한 유체 챔버(4)의 실제 체적은 감소되는데, 즉 유체 챔버(4)의 최대 체적보다 작다. 이는 원하는 사전 붕괴를 초래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34)의 외부 배치 또는 이와 같이 생성된 유체 챔버(4)의 확장의 일시적인 제한에 의한 유체 챔버(4)의 변형 또는 사전 붕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체(2)로 유체 챔버(4)의 충전 중에 발생한다. 그러나,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이는 유체 챔버(4)가 유체(2)로 충전되기 전에만, 즉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34)가 충전 작업 전에 제거되거나 후퇴되기 전에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유체(2)로의 충전 중에 발생된 힘이 이 목적으로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유체(2)로의 유체 챔버(4)의 충전이 매우 낮은 압력에서 또는 심지어 실질적으로 압력이 없이 발생하고 그리고/또는 유체 챔버(4) 또는 백(39), 튜브 등의 벽이 재차 확장하지 않는 사실에 의해 성취되거나 가능해진다. 이는 또한 사전 붕괴가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34)의 기계적 배치에 의해서가 아니라 소정의 다른 방법에 의해 수행되면 이에 따라 적용된다.
유체 챔버(4)는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34)에 의해 유체(2)로 충전 전에 또는 중에, 외부에서 압력 하에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그 공간 확장이 외부에서 제한된다. 그러나, 또한 내부 또는 다른 제한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체 챔버(4) 또는 그 벽은 또한 변형되고, 절첩되고, 주름지고, 말려지고, 가압되고 그리고/또는 소정의 다른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된다. 이 사전 붕괴 방법은 외부 지지 또는 접촉 요소(34)의 효과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사전 붕괴는 유체 챔버(4)의 최대 체적의 95% 미만, 바람직하게는 90% 미만, 더 특히 약 85% 이하로 수행된다. 따라서, 유체 챔버(4)는 바람직하게는 유체(2)로의 충전 전 또는 중에 그 최대 체적 미만인 체적으로 사전 붕괴된다.
유체 챔버(4)의 사전 붕괴의 결과로서, 유체(2)의 (초기) 충전량은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저충전을 성취하기 위해 강제로 규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저장조(3) 또는 그 외부 케이싱(23)은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요소(34)를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구(35), 이 경우 2개의 특히 축방향 개구(35)를 갖는다. 그러나, 다른 디자인 해결책이 또한 가능하다.
도 4에 점선으로 지시된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챔버(4)의 사전 붕괴는 예를 들어 유체 챔버(4)의 벽 또는 백(39) 상에 측방향으로 또는 반경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34)를 결합시키고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단지 점선으로만 도시된 슬롯과 같은 측방향 개구(35) 또는 대향 측방향 개구(35)를 통해 측방향으로 또는 반경방향으로 저장조(3) 또는 그 외부 케이싱(23)에 결합하거나 작용함으로써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조(3) 또는 외부 케이싱(23)은 또한 유체 챔버(4)를 특히 내향으로 사전 붕괴하기 위해 특히 디바이스(32)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32)에 의해 변형 가능하거나 압축 가능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 가능하거나 변형 가능한 외부벽을 형성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조(3) 또는 외부 케이싱(23)은 또한 예를 들어 유체 챔버(4)를 사전 붕괴하기 위해 신축식으로 또는 콘서티나(concertina) 방식으로 길이 또는 소정의 다른 치수가 가변적이거나 조정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촉 요소(34)는 또한 클립 차단되고, 클램핑되고 그리고/또는 자체 유지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5의 개략도는 디바이스(32) 또는 접촉 요소(34)의 영향 하에서 유체(2)로 미리 충전되어 있는 사전 붕괴된 유체 챔버(4)를 도시한다. 디바이스(32) 또는 접촉 요소(34)의 탈착 또는 제거 후에, 유체 챔버(4)는 특히 그 내로의 공기 또는 특정 가스의 확산, 유체 챔버(4) 내의 유체(2)의 성분의 증발, 그 내부에 수납된 가스 기포(38)의 팽창 및/또는 다른 효과에 의해 재차 확대되거나 확장될 수 있다(선택적으로 심지어 더 큰 그 최대 체적으로).
유체 챔버(4)의 충전 후에, 디바이스(32) 또는 접촉 요소(34)의 배치는 즉시 제거되거나 반전될 수 있다. 그러나, 저장조(3)가 그 패키징으로부터 제거될 때 및/또는 저장조(3)가 분무기(1) 내에 배치될 때에만 발생하게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유체 챔버(4) 또는 백(39)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시임, 특히 바람직하게는 용접 시임에 의해 또는 소정의 다른 특히 편평한 단부에 의해 마개(24)로부터 이격하여 그 단부(45)에서 폐쇄된다. 유체 챔버(4) 또는 그 외부벽 또는 백(39), 튜브 등은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단부(45)의 영역에서 비회전형 대칭형 또는 비원형이 되도록 구성되지만, 이 지점에서 상이한 또는 편평한 단면을 갖는다. 접촉 요소(34)는 바람직하게는 이 분기형 또는 편평한 단면 형상 또는 외부 윤곽의 영역에서 유체 챔버(4)의 벽 상에 또는 백(39) 상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34)는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단부의 대향 측면들에 작용하여, 특히 편평한 용접 시임이 이들 사이로 연장하게 되거나 이들 사이에 수용되게 된다. 그러나, 상이한 배향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특히 유체 챔버(4) 또는 백(39) 등에 대한 접촉 요소(34)의 전술된 또는 원하는 배향을 성취하기 위해, 유체 챔버(4) 또는 백(39)을 갖는 마개(24)가 바람직하게는 외부 케이싱(23)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35)에 대한 규정된 회전 위치를 갖는다. 이 규정된 회전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외부 케이싱(23)과 마개(24) 사이에서 규정된 결합 또는 회전에 대한 보호에 의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성취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한편으로는 마개(24) 또는 그 제 2 마개부(27)와 다른 한편으로는 외부 케이싱(23)은 바람직하게는 규정된 회전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서로 축방향으로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결합된다(예를 들어, 대응 치형부, 래치, 텅부형 돌출부 등에 의해). 그러나, 다른 디자인 해결책이 또한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충전된 및 폐쇄된 저장조(3)가 예를 들어 조인트 패키징(36) 내에서 디바이스(32)와 함께 수용된다. 패키징(36)은 바람직하게는 패키지(36)가 개방될 때 디바이스(32)가 저장조(3)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예를 들어 패키징(36)이 적어도 하나의 취약점(37) 등을 갖고 그리고/또는 패키징(36)이 주로 개구(32)로부터가 아니라 저장조(3)로부터만 탈착될 수 있는 경우에 성취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디자인 해결책이 또한 가능하다.
패키징(36)이 개방되고 저장조(3)가 그 패키징으로부터 제거된 후에, 디바이스(32)로부터 분리되는 저장조(3)가 전술된 바와 같이 분무기(1) 내에 삽입된다. 저장조(3)의 이 상태에서, 유체 챔버(4)는 유체(2)로의 초기 충전 체적을 넘어 특히 접촉 요소(34)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영역 내로 확장되거나 확대될 수 있고, 이제 배출되어, 저장조(3) 또는 유체 챔버(4)가 유동적으로 접속될 때 유체 챔버(4) 내에 어떠한 바람직하지 않은 과잉 압력도 없고 따라서 유체(2)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탈출이 방지될 수 있다.
유체 챔버(4)의 제안된 저충전 또는 확장성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송 요소 또는 이송 튜브(9)가 유체 챔버(4) 내에 삽입될 때, 유체 챔버(4)가 확장될 수 있기 때문에 일단 또한 유체 챔버(4) 내의 압력의 어떠한 (의미 있는) 상승도 존재하지 않으면 유체 챔버(4) 내의 바람직하지 않은 압력 상승 및 따라서 특히 이송 요소를 통한 또는 소정의 다른 방식의 유체(2)의 조기 유출이 회피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사전 붕괴를 위한 디바이스(32)는 유체 챔버(4)가 유체(2)로 충전된 후에 직접 제거되거나 탈착되거나 당겨질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특히, 디바이스(32)는 예를 들어 충전 디바이스 등과 연관된 저장조(3)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특히, 유체 챔버(4) 또는 그 벽 상의 외부 압력의 작용 및/또는 공간적인 확장의 규제는 유체(2)로의 충전 직후에 중단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체 챔버(4) 또는 그 벽 또는 백(39), 튜브 등은 유체 챔버(4)의 충전 전에 확장된다. 이하에 사용되는 용어 "확장"은 항상 유체(2)의 충전 전의 확장을 칭한다.
유체 챔버(4)의 확장은 저충전 및/또는 사전 붕괴에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유체 챔버(4)의 확장은 바람직하게는 유체 챔버(4)의 최대 체적보다 작은 규정된 체적으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확장은 사전 붕괴와 함께 발생한다. 확장은 특히 사전 붕괴에 의해 형성된 체적에 유체 챔버(4)를 "팽창"하게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특히 유체 챔버(4)의 규정된 체적은 유체(2)로의 후속의 충전 중에 성취될 수 있다.
유체 챔버(4)의 확장은 바람직하게는 이하에 확장 가스라 칭하는 가스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사용된 확장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가스, 이산화탄소 또는 헬륨 또는 간단히 공기이다.
유체 챔버(4)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감소된 압력 하에서 유체(2)로 충전될 수 있다. 이 감소된 압력 하에서의 충전은 또한 바람직한 사전 붕괴 또는 저충전에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감소된 압력 하에서의 충전은 사전 붕괴 또는 저충전과 함께 발생한다. 감소된 압력에서의 충전의 결과로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잔류 가스 또는 가스 기포가 없는 충전을 성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어 "감소된 압력 충전"은 충전 자체가 감소된 압력 하에서 발생하지 않더라도, 감소된 압력 하에서 충전된 유체 챔버(4)의 밀봉을 포함한다.
감소된 압력에서 충전에 무관하게, 유체 체적(4)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잔류 가스 또는 가스 기포가 없이 유체(2)로 충전된다. 그러나, 가스 또는 가스 기포(38)로의 충전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이 가스 기포(38)의 의도적인 형성에 의한 충전은 일반적으로 또한 사전 붕괴 및/또는 저충전에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스의 바람직한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 기포(38)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공기가 아니라 성분, 다른 조성물 또는 상이한 가스, 특히 유체 챔버(4)의 벽을 통해 그리고/또는 마개(24)를 통해 비교적 용이하게 외향으로 분산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유체(2)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는 가스이다. 이러한 가스는 특히 순수 산소, 이산화탄소, 헬륨, (다른) 불활성 또는 보호 가스 및/또는 가능하게는 다른 가스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가스 기포(38)를 형성하기 위한 가스는 유체 챔버(4)가 유체(2)로 충전된 후에 적합한 플러싱에 의해 도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유체(2)로의 유체 챔버(4)의 충전은 또한 원하는 가스 분위기 하에서 직접 발생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가스, 특히 이산화탄소는 초기에 이 단계에서 가스 기포(38)를 형성하기 위해 유체 챔버(4)에 진입할 때 유체(2)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용해될 수 있다.
프로세스의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 기포(38)를 형성하기 위한 원하는 가스는 유체 챔버(4)의 이전의 확장을 위한 확장 가스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체 챔버(4) 또는 그 벽은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39)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디자인 해결책이 또한 바람직한 가요성, 변형성 및/또는 붕괴성을 성취하기 위해 가능하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챔버(4)는 또한 초기에 유체(2)로 완전히 또는 최대 레벨로 충전될 수 있다. 그 결과, 그 최대 체적으로의 유체 챔버(4)의 전술된 확장이 예를 들어 발생할 수 있어, 예를 들어 가스의 사전 충전과 같은 개별 확장 단계가 요구되지 않는다. 다음에, 유체(2)의 일부는 예를 들어 유체 챔버(4)의 후속의 폐쇄 중에 유체 챔버(4)의 원하는 사전 붕괴 및/또는 저충전을 성취하기 위해 유체 챔버(4)를 외부에서 붕괴시키고 그리고/또는 흡인에 의해 재차 유체 챔버(4)로부터 제거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다른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2)는 상승된 온도에서 그리고 선택적으로 또한 증가된 압력 하에서 유체 챔버(4) 내로 주입된다. 다음에, 유체 챔버(4)는 바람직하게는 유체(2)가 여전히 따뜻하거나 고온인 동안 밀봉된다. 후속의 냉각 중에, 체적의 감소가 존재하는데, 이는 유체 챔버(4)의 원하는 사전 붕괴를 성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충전이 증가된 압력 하에서 수행되면, 이는 저비등 물질을 위한 비등점을 증가시킬 것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는 유체 챔버(4)의 압력 저항을 시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는 않은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2)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34)는 또한 외부 케이싱(23)(해제 가능 또는 해제 불가능)에 연결되거나 연결 가능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일단 미리 붕괴된 유체 챔버(4)가 유체(2)로 충전되어 있으면 디바이스(32)를 구비하거나 디바이스(32)에 연결된 외부 케이싱(23)을 제거하고, 그리고/또는 이를 디바이스(32) 또는 접촉 요소(34)가 없는 다른 외부 케이싱(23)으로 교체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는 않은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케이싱(23)-또한 다른 대안 실시예와 조합하여-은 다부분 구조, 특히 2개의 부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2개의 특히 동일한 반부 외피의 형태를 가질 수 있어, 케이싱 또는 외피의 부분이 반경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축방향으로 조립되고 그리고/또는 분해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백 또는 유체 챔버(4)는 또한 외부 케이싱(23) 내에 미리 형성되고, 절첩되고, 주름지거나 말려지고, 또는 삽입될 수 있어, 디바이스(32) 또는 가스, 액체 등과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한 후속의 변형이 보조되거나 가능해진다.
도 6은 제안된 저장조(3)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유체 챔버(4)는 특히 튜브(40), 구체적으로는 무한 튜브로 형성되거나 제조된다. 이는 특히 관형 유체 챔버(4)를 생성한다.
제 3 실시예에서, 유체 챔버(4)는 바람직하게는 용접 시임(41, 42, 43)에 의해 분리될 수 있거나 분리되어 있다. 이론적으로, 유체 챔버(4)를 형성하기 위한 튜브(40)를 사용함으로써, 임의의 가스 기포가 없이 유체(2)로 충전하는 것이 더 용이하다. 예를 들어, 충전 후에, 용접이 수행되어 어떠한 가스 기포(38)도 유체 챔버(4) 내에 잔류하지 않는다[예를 들어, 유체(2)로 또는 백의 용접], 특히, 2개의 외부 용접 시임(41, 43)에 의해 유체 챔버(4)를 경계를 정하고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용접 시임(41, 43) 사이에 배열되는 추가 용접 시임(42)에 의해 여전히 남아 있는 임의의 가스 기포(38)를 분리하는 것이 초기에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절차가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유체(2)를 수납하는 다수의 개별 또는 분리 가능한 유체 챔버(4) 또는 저장조(3)가 무한 튜브로부터 형성된다.
저장조(3) 또는 유체 챔버(4)가 상기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의 선택적 변형예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가스 기포(38)를 수납하면, 가스 기포(38)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필요하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하에 설명된 측정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가스 기포를 수납하는 저장조(3) 또는 변형 가능한 유체 챔버(4)는 밀봉된 압력 챔버 내에 배치된다. 챔버는 비압축성 액체로 완전히 충전된다. 챔버 내의 비압축성 액체는 피스톤 또는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압력 하에 배치된다. 압력에 따라, 가스 기포(38) 및 따라서 가요성, 압축 가능 또는 붕괴 가능한 유체 챔버(4)가 또한 압축된다. 비압축성 액체는 대응 체적 변화를 나타낸다. 체적의 변화는 특히 피스톤의 변위를 측정함으로써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피스톤에 의해 변위된 체적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가스 기포(38)의 크기는 체적의 압력 의존성 변화, 즉 압력 패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전술된 측정 프로세스는 붕괴 가능한 유체 챔버(4) 내의 가스 기포(38)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그리고 또한 다른 목적으로도 양호하게 적합된다.
실시예의 개별 특징, 양태 및/또는 원리와 설명된 대안적인 특징은 또한 원하는 바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그리고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도 1 및 도 2에 따른 분무기 뿐만 아니라 다른 또는 유사한 분무기 및 흡입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제안된 저장조(3) 및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하에 열거된 공보에 설명되고 또는 이들의 원리에 기초하는 분무기 또는 흡입기에 사용될 수 있다: US 2003/0127538호, WO 03/041774호, US 2005/0034723호, US 2005/0268911호, US 2004/0163646호, US 5,915,378호, US 2002/0153006호, WO 2004/078244호, JP 2004-283244호, JP 2004-0283245호, US 2005/0133029호, WO 2004/022128호, US 2005/0172957호, US 2003/0100964호, EP 1 236 517호, EP 1 604 701호, JP 2004-249208호, US 2005/0224076호, WO 2004/039442호, EP 1 561 484호, EP 1 562 094호, JP 2005/058421호.
바람직하게는 유체(2)는 액체이고,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특히 수성 또는 에탄올 약물 조성물이다. 그러나, 이는 또한 상이한 약물 조성물, 현탁액 등, 또는 입자 또는 분말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의료용 유체(2)의 몇몇 바람직한 성분, 화합물 및/또는 조성물이 이하에 열거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이들은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 혼합물, 에탄올 함유 또는 용매가 없는 조성물 등일 수 있다. 유체(2)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하를 포함한다.
이하에 열거된 화합물이 그 자체로 또는 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 언급된 화합물에서, W는 약물학적 활성 물질이고, (예를 들어) 베타 흥분성 물질, 항콜린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PDE4-억제제, LTD4-길항제, EGFR-억제제, 도파민 효능제, H1-항히스타민제, PAF-길항제 및 PI3-키나아제 억제제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이, W의 이중 또는 삼중 조합이 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다. W의 조합은 예를 들어,
- W는 항콜린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PDE4-억제제, EGFR-억제제 또는 LTD4-길항제와 조합된 베타 흥분성 물질을 나타내고,
- W는 PDE4-억제제, EGFR-억제제 또는 LTD4-길항제와 조합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나타내고,
- W는 EGFR-억제제 또는 LTD4-길항제와 조합된 PDE4-억제제를 나타내고,
- W는 LTD4-길항제와 조합된 EGFR-억제제를 나타낸다.
베타 흥분성 물질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이들의 라세메이트, 에난티오머 및 디아스테레오머의 형태 및 선택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첨가 염, 용매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산화물의 형태의 알부테롤, 아포모테롤, 밤부테롤, 비톨테롤, 브록사테롤, 카부테롤, 클렌부테롤, 페노테롤, 포모테롤, 헥소프레날린, 이부테롤, 이소에타린, 이소프레날린, 레보살부타몰, 마부테롤, 멜루아드린, 메타프로테레놀, 오시프레날린, 피르부테롤, 프로카테롤, 레프로테롤, 리미테롤, 리토드린, 살메파몰, 살메테롤, 소테레놀, 설폰테롤, 테르부탈린, 티아라미드, 톨루부테롤, 진테롤, CHF-1035, HOKU-81, KU1-1248 및
- 3-(4-{6-[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헥시록시}-부틸)-벤질-설폰아미드
- 5-[2-(5,6-디에틸-인단-2-일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8-하이드록시-1H-퀴놀린-2-원
- 4-하이드록시-7-[2-{[2-{[3-(2-페닐에톡시)프로필]설포닐}에틸]-아미노}에틸]- 2(3H)-벤조티아졸론
- 1-(2-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2-[4-(1-벤지미다졸일)-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 1-[3-(4-메톡시벤질-아미노)-4-하이드록시페닐]-2-[4-(1-벤지미다졸일)-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즈옥사진-8-일]-2-[3-(4-N,N-디메틸아미노페닐)-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즈옥사진-8-일]-2-[3-(4-메톡시페닐) -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즈옥사진-8-일]-2-[3-(4-n-부틸옥시페닐)-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즈옥사진-8-일]-2-{4-[3-(4-메톡시페닐)-1,2,4-트리아졸-3-일]-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 5-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이소프로필아미노부틸)-2H-1,4-벤즈옥사진-3-(4H)-원
- 1-(4-아미노-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테르트.-부틸아미노)에탄올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4-메톡시-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원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에틸 4-페녹시-아세테이트)-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원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4-페녹시-아세트산)-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원
- 8-{2-[1,1-디메틸-2-(2,4,6-트리메틸페닐)-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6-하이드록시-4H-벤조[1,4]옥사진-3-원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4-하이드록시-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원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4-이소프로필-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원
- 8-{2-[2-(4-에틸-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6-하이드록시-4H-벤조[1,4]옥사진-3-원
- 8-{2-[2-(4-에톡시-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6-하이드록시-4H-벤조[1,4]옥사진-3-원
- 4-(4-{2-[2-하이드록시-2-(6-하이드록시-3-옥소-3,4-디하이드로-2H-벤조 [1,4]옥사진-8-일)-에틸아미노]-2-메틸-프로필}-페녹시)-부탄산
- 8-{2-[2-(3.4-디플루오로-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6-하이드록시-4H-벤조[1,4]옥사진-3-원
- 1-(4-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3-시아노-5-플루오로페닐)-2-(테르트-부틸아미노)에탄올
- 2-하이드록시-5-(1-하이드록시-2-{2-[4-(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 -페닐] -에틸아미노}-에틸)-벤즈알데히드
- N-[2-하이드록시-5-(1-하이드록시-2-{2-[4-(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 페닐]-에틸아미노}-에틸)-페닐]-포름알데히드
- 8-하이드록시-5-(1-하이드록시-2-{2-[4-(6-메톡시-바이페닐-3-일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에틸)-1H-퀴놀린-2-원
- 8-하이드록시-5-[1-하이드록시-2-(6-펜에틸아미노-헥실아미노)-에틸]-1H-퀴놀린-2-원
- 5-[2-(2-{4-[4-(2-아미노-2-메틸-프로폭시)-페닐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8-하이드록시-1H-퀴놀린-2-원
- [3-(4-{6-[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헥시록시}-부틸)-5-메틸-페닐]-요소
- 4-(2-{6-[2-(2,6-디클로로-벤질옥시)-에톡시]-헥실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2-하이드록시메틸-페놀
- 3-(4-{6-[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헥실옥시}-부틸)-벤질설폰아미드
- 3-(3-{7-[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헵틸옥시}-프로필)-벤질설폰아미드
- 4-(2-{6-[4-(3-사이클로펜탄설포닐-페닐)-부톡시]-헥실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2-하이드록시메틸-페놀
- N-아다만탄-2-일-2-(3-{2-[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프로필}-페닐)-아세트아미드 중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타 흥분성 물질의 산 첨가 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아이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된 항콜린제는 바람직하게는 티오트로퓸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옥시트로퓸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플루트로퓸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이프라트로퓸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글리코피로늄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트로스퓸 염, 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 염, 톨테로딘 중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전술된 염에서, 양이온이 약학적으로 활성 성분이다. 음이온으로서, 전술된 염은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니트레이트, 말레에이트,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푸마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옥살레이트, 석시네이트, 벤조에이트 또는 p-톨루엔설포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지만,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또는 p-톨루엔설포네이트가 반대 이온으로서 바람직하다. 모든 염 중에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및 메탄설포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항콜린제는 조성식 AC-1의 염 중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pct00001
여기서, X-는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는 이들의 라세메이트, 에탄티오머 또는 수산화물의 형태의 단일 네거티브 전하를 갖는 음이온,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니트레이트, 말레에이트,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푸마레이트, 타르트게이트, 옥살레이트, 석시네이트, 벤조에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 바람직하게는 단일 네거티브 전하를 갖는 음이온,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메탄설포네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중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을 나타낸다. 특히 중요한 것은 조성식 AC-1-en의 에난티오머를 포함하는 이들 약학적 조합물이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X-는 전술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항콜린제는 조성식 AC-2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데,
Figure pct00003
여기서, R은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내고, X-는 전술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조성식 AC-2의 화합물이 또한 자유 염기 AC-2-염기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4

다른 지정된 화합물은,
- 트로펜올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2-플루오로-2,2-디페닐아세테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2-플루오로-2,2-디페닐아세테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3,3',4,4'-테트라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3,3',4,4'-테트라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3,3'-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3,3'- 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9-플루오로-플루오렌-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플루오로-플루오렌-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9-메틸-플루오렌-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메틸-플루오렌-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메틸-플루오렌-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메틸-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메틸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9-메틸-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메틸-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9-에틸-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펜올 9-디플루오로메틸-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하이드록시메틸-크산텐-9-카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이다.
전술된 화합물은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염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 메토브로마이드 대신에 메토-X 염이 사용되고, X는 X"에 대해 상기에 제공된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로서, 선택적으로 이들의 라세메이트, 에난티오머 및 디아스테레오머의 형태 및 선택적으로 염 및 이들의 유도체, 용매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산화물의 형태의 베클로메타손, 베타메타손, 부데소나이드, 부틱소코르트, 시클레소나이드, 데플라자코르트, 덱사메타손, 에티프레드놀, 플루니소라이드, 플루티카손, 로테프레드놀, 모메타손, 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손, 로플레포나이드, 트리암시오노론, RPR-106541, NS-126, ST-26 및
- (S)-플루오로메틸 6,9-디플루오로-17-[(2-퓨란일카르보닐)옥시]-11-하이드록시- 16-메틸-3-옥소-안드로스타-1,4-디엔-17-카르보티오네이트
- (S)-(2-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S-일)6,9-디플루오로-11-하이드록시-16 -메틸-3-옥소-17-프로피오닐옥시-안드로스타-1,4-디엔-17-카르보티오네이트,
- 시아노메틸 6α,9α-디플루오로-11β-하이드록시-16α-메틸-3-옥소-17α- (2,2,3,3-테르타메틸사이클로프로필카르보닐)옥시-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르복실레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로이드에 대한 임의의 기준은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염 또는 유도체, 수산화물 또는 용해 화합물에 대한 참조를 포함한다. 스테로이드의 가능한 염 및 유도체의 예는, 예를 들어 나트륨 또는 칼륨 염과 같은 알칼리 금속 염, 설포벤조에이트, 포스페이트, 이소니코티네이트, 아세테이트, 디클로로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팔미테이트, 피발레이트 또는 퓨로에이트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PDE4-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이들의 라세메이트, 에난티오머 및 디아스테레오머의 형태 및 선택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첨가 염, 용매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산화물의 형태의 엔프로필린, 테오필린, 로플루밀라스트, 아리플로(실로밀라스트), 토피밀라스트, 푸마펜트린, 릴리밀라스트, 아로필린, 아티조람, D-4418, Bay-198004, BY343, CP-325.366, D-4396(Sch-351591), AWD-12-281 (GW-842470), NCS-613, CDP-840, D-4418, PD-168787, T-440, T-2585, V-11294A, C1-1018, CDC-801, CDC-3052, D-22888, YM-58997, Z-15370 및
- N-(3,5-디클로로-1-옥소-피리딘-4-일)-4-디플루오로메톡시-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벤즈아미드
- (-)p-[(4aR*,10bS*)-9-에톡시-1,2,3,4,4a,10b-헥사하이드로-8-메톡시-2-메틸벤조[s][1,6]나프티리딘-6-일]-N,N-디이소프로필벤즈아미드
- (R)-(+)-1-(4-브로모벤질)-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2-피로리돈
- 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1-(4-N'-[N-2-시아노-S-메틸-이소티오우레이도]벤질)-2-피로리돈
- 시스[4-시아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카르복실산]
- 2-카르보메톡시-4-시아노-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원
- 시스[4-시아노-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올]
- (R)-(+)-에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피로리딘-2-이리덴]아세테이트
- (S)-(-)-에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피로리딘-2-이리덴]아세테이트
- 9-사이클로펜틸-5,6-디하이드로-7-에틸-3-(2-티에닐)-9H-피라졸로[3,4-c] -1,2,4-트리아졸로[4,3-a]피리딘
- 9-사이클로펜틸-5,6-디하이드로-7-에틸-3-(테르트-부틸)-9H-피라졸로[3,4- c]-1,2,4-트리아졸로[4,3-a]피리딘 중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타 흥분성 물질의 산 첨가 염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아이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록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된 LTD4-길항제는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이들의 라세메이트, 에난티오머 및 디아스테레오머의 형태 및 선택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첨가 염, 용매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산화물의 형태의 몬테루카스트, 프란루카스트, 자피르루카스트, MCC-847(ZD-3523), MN-001, MEN-91507(LM-1507), VUF-5078, VUF-K-8707, L-733321 및
- 1-(((R)-(3-(2-(6,7-디플루오로-2-퀴놀린일)에텐일)페닐)-3-(2-(2-하이드록시-2 -프로필)페닐)티오)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세트산,
- 1-(((1(R)-3(3-(2-(2,3-디클로로티에노[3,2-b]피리딘-5-일)-(E)-에텐일)페닐)-3-(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페닐)-프로필)티오)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세트산,
- [2-[[2-(4-테르트-부틸-2-티아졸일)-5-벤조퓨란일]옥시메틸]페닐]아세트산 중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타 흥분성 물질의 산 첨가 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아이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록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LTD-4길항제가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염 또는 유도체라는 것은 예를 들어, 나트륨 또는 칼륨 염과 같은 알칼리 금속 염, 알칼리 희토류 염, 설포벤조에이트, 포스페이트, 이소니코티네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팔미테이트, 피발레이트 또는 퓨로에이트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EGFR-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이들의 라세메이트, 에난티오머 및 디아스테레오머의 형태 및 선택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첨가 염, 용매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산화물의 형태의 세툭시맙, 트라스트주맙, ABX-EGF, Mab ICR-62 및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에틸아미노)-1-옥소-2 -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 -부텐- 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R)-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R)-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S)-(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R)-2-메톡시메틸-6-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S)-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 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N,N-to-(2-메톡시-에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N-(2-메톡시-에틸)-N-에틸-아미노]-1 -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1 -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N-(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4-일)-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 -부텐-1-일]아미노}-7-((R)-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 -부텐-1-일]아미노}-7-((S)-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사이클로프로필-N-메틸-아미노)- 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 -부텐-1-일]아미노}-7-[(R)-(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 -부텐-1-일]아미노}-7-[(S)-(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 -6.7-to-(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7-[3-(모르폴린-4-일)-프로필옥시]- 6-[(비닐카르보닐)아미노]-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하이드록시-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
- 3-시아노-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 -1-옥소-2-부텐-1-일]아미노}-7-에톡시-퀴놀린
- 4-{ [3-클로로-4-(3-플루오로-벤질옥시)-페닐]아미노}-6-(5-{[(2-메탄설포닐-에틸)아미노]메틸}-퓨란-2-일)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R)-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 -옥소-2-부텐-1-일]아미노}-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to-(2-메톡시-에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4-(5.5-디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R)-(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7-[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6-[(S)-(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4-(2-옥소-모르폴린-4-일)-피페리딘-1-일]-에톡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테르트.-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메탄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3-일옥시)-7- 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모르폴린-4-일)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톡시메틸)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피페리딘-3-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아세틸아미노-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4-일옥시)-7-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S)-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7-하이드록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4-일옥시)-7-(2- 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디메틸아미노)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사n-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모르폴린-4-일)카르보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모르폴린-4-일)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4-일옥시)-7-(2-아세틸아미노-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4-일옥시)-7-(2-메탄설포닐아미노-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피페리딘-1-일)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아미노카르보닐메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4- 일)카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모르폴린-4-일)카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모르폴린-4-일)설포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에탄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메톡시-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아세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테르트.-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피페리딘-1-일)카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사n-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4-메틸-피페라진-1 -일)카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모르폴린-4-일)카르보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2-옥소피로리딘-1-일)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모르폴린-4-일)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메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 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틸-피페리딘-4-일옥시)-7 (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이소프로필옥시카르복실-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2-메톡시-아세틸)- 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2-메톡시-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7 -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모르폴린-4-일)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시스-2,6-디메틸-모르폴린-4-일)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메틸-모르폴린-4-일)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S,S)-(2-옥사-5-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트-5-일)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 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N-메틸-N-2-메톡시에틸-아미노)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메톡시에틸)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3-메톡시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메탄설포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아세틸-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N-메탄설포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디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N-[(모르폴린-4-일)카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S)-(테트라하이드로퓨-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시아노-피페리딘-4-일옥시)-7 -메톡시-퀴나졸린 중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타 흥분성 물질의 산 첨가 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아이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된 도파민 효능제는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이들의 라세메이트, 에난티오머 및 디아스테레오머의 형태 및 선택적으로 염 및 이들의 유도체, 용매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산화물의 형태의 브로모크립틴, 카베르골린, 알파-디하이드로에르고크립틴, 리슈라이드, 페르고라이드, 프라미펙솔, 록신돌, 로피니롤, 탈리펙솔, 테르구리드 및 비오잔 중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타 흥분성 물질의 산 첨가 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아이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될 수 있는 H1-안티히스타민제는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이들의 라세메이트, 에난티오머 및 디아스테레오머의 형태 및 선택적으로 염 및 이들의 유도체, 용매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산화물의 형태의 에피나스틴, 세티리진, 아제라스틴, 펙소페나딘, 레보카바스틴, 로라타딘, 미조라스틴, 케토티펜, 에메다스틴, 디메틴덴, 클레마스틴, 바미핀, 섹스클로페니라미딘, 페니라민, 독시라민, 클로로페녹사민, 디멘하디르니네이트, 디펜하이드라민, 프로메타진, 에바스틴, 데스로라티딘 및 메클로진 중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타 흥분성 물질의 산 첨가 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아이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게다가, EP 1 003 478 A1호 또는 CA 2297174 A1호에 개시된 흡입성 거대분자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화합물은 선택적으로 라세메이트, 에난티오머 또는 이들의 디아스테레오머의 형태, 선택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첨가 염, 용매 화합물 및/또는 이들의 수산화물의 형태의 맥각 알칼로이드 유도체, 트립탄, CGRP-억제제, 포스포디에스테라제-V 억제제 중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맥각 알칼로이드 유도체의 예는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및 에르고타민이다.
1: 분무기 23: 외부 케이싱
2: 유체 24: 마개
3: 저장조 25: 제 1 마개부
4: 유체 챔버 26: 격막
5: 압력 발생기 27: 제 2 마개부
6: 홀더 28: 밀봉부
7: 구동 스프링 29: 연결부
8: 로킹 요소 30: 환형 비드
9: 이송 튜브 31: 연결 영역
10: 비리턴 밸브 32: 디바이스
11: 압력 챔버 33: 핸들
12: 배출 노즐 34: 접촉 요소
13: 마우스피스 35: 개구
14: 에어로졸 36: 패키징
15: 공급 공기 개구 37: 취약점
16: 상부 하우징 부분 38: 가스 기포
17: 내부 부분 39: 백
17a: 내부 부분의 상부 부분 40: 튜브
17b: 내부 부분의 하부 부분 41: 용접 시임
18: 하우징 부분(하부 부분) 42: 용접 시임
19: 보유 요소 43: 용접 시임
20: 스프링(하부 하우징 내의) 44: 회전 방지 보호부
21: 저장조 기부 45: 단부
22: 관통 요소

Claims (22)

  1. 유체(2)를 수납하는 바람직하게는 변형 가능한 유체 챔버(4)를 갖는 특히 분무기(1)용 저장조(3)에 있어서,
    상기 유체(2)로 충전되고 있는 상기 유체 챔버(4)는 변형되고, 절첩되고, 주름지고, 말려지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고 그리고/또는 사전 붕괴되고, 및/또는
    상기 유체 챔버(4)의 최대 체적은 상기 유체(2)의 초기 충전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챔버(4)는 유체(2)의 제거 기능으로서 붕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챔버(4)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압축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붕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챔버(4)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경계 형성되고 또는 가요성 및/또는 변형 가능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챔버(4)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배제적으로 백(39) 또는 튜브(40)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챔버(4)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잔류 가스가 없고 그리고/또는 가스 기포가 없도록 유체(2)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챔버(4)는 유체(2)의 초기 충전량을 넘어 증가되고 그리고/또는 연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충전량은 상기 유체 챔버(4)의 최대 체적의 95% 미만, 바람직하게는 9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8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3)는 유체 챔버(4) 또는 이 유체 챔버를 형성하는 백(39) 또는 튜브(40)를 둘러싸는 바람직하게는 강성 외부 케이싱(2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3)는 상기 유체 챔버(4)와 연관된 마개(24)를 갖고, 특히 상기 마개(24)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조(3)로부터 유체(2)를 제거하기 위한 이송 튜브(9)와 같은 이송 요소의 부착 또는 삽입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24)는 규정된 회전 위치에서 상기 외부 케이싱(23)에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회전 방지 보호부(44)에 의해 그에 대한 회전에 대항하여 고정되고, 특히 상기 마개(24)는 상기 유체 챔버(4)를 형성하는 백(39)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외부 케이싱(24) 및/또는 기부(21)는 상기 백(39)을 기계적으로 붕괴하거나 압축하기 위해 결합을 위한 개구(3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3)는 유체(2)로 충전 중에 상기 유체 챔버(4)를 사전 붕괴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해제 가능한 또는 분리 가능한 디바이스(32)와 결합되고, 또는 상기 저장조(3)는 그와 함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3)는 패키징(36)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저장조(3)가 상기 패키징으로부터 취출될 때 상기 디바이스(32)가 상기 저장조(3)로부터 탈착되고, 더 구체적으로는 그로부터 당겨지고, 또는 상기 유체 챔버(4)가 유체(2)로 충전된 후에 상기 디바이스(32)는 특히 상기 저장조가 패키징되기 전에(3) 탈착되고, 분리되거나 재차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32)는 기계적인 작용에 의해 상기 유체 챔버(4) 또는 그 벽을 사전 붕괴하거나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32)는 이를 사전 붕괴시키기 위해 상기 유체 챔버(4) 또는 그 벽에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강성 접촉 요소(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32) 또는 접촉 요소(34)는 축방향으로 상기 저장조(3), 특히 그 외부 케이싱(23)에 결합되거나 그 내부로 압박되고, 또는 상기 저장조(3), 상기 외부 케이싱(23), 상기 유체 챔버(4) 및/또는 그 벽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32) 또는 접촉 요소(34)는 상기 저장조(3), 특히 그 외부 케이싱(23)에 반경방향으로 또는 측방향으로 결합되고, 또는 상기 저장조(3), 상기 외부 케이싱(23), 상기 유체 챔버(4) 및/또는 그 벽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3)는 특히 의료용 에어로졸 치료를 위해 유체(2)로서 의약 조성물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19. 유체(2)를 수납하는 특히 변형 가능한 유체 챔버(4)를 구비한 저장조(3)를 갖는 유체(2)용 분무기(1)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3)는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0. 바람직하게는 변형 가능한 유체 챔버(4)가 유체(2)로 충전되는 특히 분무기(1)용 저장조(3)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체 챔버(4)는 유체(2)로 충전되고 그리고/또는 보호 가스 또는 증기 하에서 밀봉되고, 상기 보호 가스 또는 증기의 가스 기포(38)는 상기 유체 챔버(4) 내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 챔버(4)는 유체(2)로 충전되고 그리고/또는 가스 기포가 없이 밀봉되고,
    상기 유체 챔버(4)는 가열된 유체(2)로 충전되고 그리고/또는 상승된 온도에서 밀봉되고,
    상기 유체 챔버(4)는 유체(2)로 완전히 충전되어 초기화되고 이어서 일부 유체(2)가 상기 유체 챔버(4)가 밀봉되기 전에 특히 흡인에 의해 재차 상기 유체 챔버(4)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유체 챔버(4)는 바람직하게는 유체(2)로 충전되기 전에 그 최대 체적 미만인 규정된 체적으로 확장되고, 및/또는
    충전 중에 가스 기포(38)가 특히 상기 유체 챔버(4)를 사전 붕괴하기 위해 유체(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용해되는 가스로부터 상기 유체 챔버(4)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제조 방법.
  21. 바람직하게는 제 20 항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변형 가능한 유체 챔버(4)가 유체(2)로 충전되는 특히 분무기(1)용 저장조(3)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체 챔버(4)는 유체(2)로 충전되기 전에 또는 충전되는 동안 그 최대 체적 미만인 체적으로 사전 붕괴되고, 및/또는
    상기 유체 챔버(4)는 유체(2)로 충전되기 전에 또는 충전되는 동안 외부에서 압력 하에 배치되고 그 공간 범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제조 방법.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초기 또는 최대 충전량은 상기 유체 챔버(4)의 최대 체적의 95% 미만, 바람직하게는 9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8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제조 방법.
KR1020107023170A 2008-03-17 2009-03-06 저장조 및 분무기 KR201100034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14464 2008-03-17
DE102008014464.9 2008-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495A true KR20110003495A (ko) 2011-01-12

Family

ID=4067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170A KR20110003495A (ko) 2008-03-17 2009-03-06 저장조 및 분무기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2) US8650840B2 (ko)
EP (1) EP2254704B1 (ko)
JP (1) JP5599772B2 (ko)
KR (1) KR20110003495A (ko)
CN (1) CN101977693A (ko)
AR (1) AR070912A1 (ko)
AU (1) AU2009226643A1 (ko)
BR (1) BRPI0909328A2 (ko)
CA (1) CA2717192A1 (ko)
CL (1) CL2009000627A1 (ko)
EA (1) EA201001453A1 (ko)
EC (1) ECSP10010488A (ko)
EG (1) EG26580A (ko)
IL (1) IL207810A0 (ko)
MA (1) MA32157B1 (ko)
MX (1) MX2010009838A (ko)
PE (1) PE20091856A1 (ko)
SG (1) SG189681A1 (ko)
TW (1) TW200946412A (ko)
UA (1) UA101364C2 (ko)
UY (1) UY31715A (ko)
WO (1) WO2009115200A1 (ko)
ZA (1) ZA2010060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77132A1 (en) 2008-01-02 2009-07-0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Dispensing device,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a formulation
US10011906B2 (en) 2009-03-31 2018-07-03 Beo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thod for coating a surface of a component
JP5763053B2 (ja) 2009-05-18 2015-08-12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アダプタ、吸入器具及びアトマイザ
JP5658268B2 (ja) 2009-11-25 2015-01-21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ネブライザ
US10016568B2 (en) 2009-11-25 2018-07-1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EP2504052B1 (en) 2009-11-25 2022-07-2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EP2369308A1 (de) * 2010-03-22 2011-09-2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Vorkollabiervolumens eines beim Entleeren kollabierenden Behälters
JP5874724B2 (ja) 2010-06-24 2016-03-02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ネブライザ
WO2012007315A1 (de) 2010-07-16 2012-01-1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Filtersystem für den einsatz in medizinischen geräten
EP2447694B1 (de) 2010-10-28 2014-05-21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Prüfleck zur Überprüfung von Leckagemesssystemen
WO2012130757A1 (de) 2011-04-01 2012-10-04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dizinisches gerät mit behälter
WO2012161685A1 (en) 2011-05-23 2012-11-2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US10080853B2 (en) 2011-05-23 2018-09-2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US9827384B2 (en) 2011-05-23 2017-11-2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CN103285470A (zh) * 2012-02-22 2013-09-11 北京天衡药物研究院 甲氧氯普胺鼻喷剂
CN103285475A (zh) * 2012-02-22 2013-09-11 北京天衡药物研究院 丙酸氟替卡松鼻喷剂
CN103285467A (zh) * 2012-02-22 2013-09-11 北京天衡药物研究院 醋酸那法瑞林鼻喷剂
CN103285474A (zh) * 2012-02-22 2013-09-11 北京天衡药物研究院 舒马普坦鼻喷剂
CN103285473A (zh) * 2012-02-22 2013-09-11 北京天衡药物研究院 缩宫素鼻喷剂
CN103285468A (zh) * 2012-02-22 2013-09-11 北京天衡药物研究院 鲑鱼降钙素鼻喷剂
WO2013152894A1 (de) 2012-04-13 2013-10-1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Zerstäuber mit kodiermitteln
JP6010487B2 (ja) * 2013-03-05 2016-10-19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気体封入装置
PL2835146T3 (pl) 2013-08-09 2021-04-0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ator
JP6643231B2 (ja) 2013-08-09 2020-02-12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ネブライザ
EP2893947A1 (de) 2014-01-10 2015-07-1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Zerstäuber
US10391270B2 (en) 2014-04-07 2019-08-2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thod, electronic device, inhalation training syste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for practicing and/or controlling an inhalation process of a patient
NZ722174A (en) 2014-04-07 2021-07-30 Boehringer Ingelheim Int Inhalation training device and system for practicing of an inhalation process of a patient
DK3139984T3 (da) 2014-05-07 2021-07-19 Boehringer Ingelheim Int Forstøver
EP3139979B1 (en) 2014-05-07 2023-07-0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Unit, nebulizer and method
HUE058904T2 (hu) 2014-05-07 2022-09-28 Boehringer Ingelheim Int Porlasztókészülék
GB201413181D0 (en) 2014-07-25 2014-09-10 Dunne Consultancy Services Ltd Inhaler cartridge system
JP7189766B2 (ja) 2015-10-09 2022-12-14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マイクロ構造コンポーネントのコーティング方法
AU2016348648B2 (en) 2015-11-06 2020-10-1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System with nebulizer and container
JP6900372B2 (ja) 2015-11-09 2021-07-07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ネブライザ及び容器
JP6961600B2 (ja) 2016-01-25 2021-11-05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ネブライザ
FR3047232A1 (fr) * 2016-01-29 2017-08-04 Gb Dev Procede de fabrication d'un distributeur de liquide et produit obtenu
EP3202709B1 (de) 2016-02-04 2019-04-10 Boehringer Ingelheim microParts GmbH Abformwerkzeug mit magnethalterung
US11224705B2 (en) 2016-02-24 2022-01-1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Inhaler
AT519376B1 (de) 2016-11-21 2018-08-15 Georg Hagleitner Hans In eine Behälteröffnung einsetzbares Verschlusselement
CN110099712B (zh) 2016-12-21 2023-03-31 勃林格殷格翰国际有限公司 喷雾器及药筒
USD826720S1 (en) 2016-12-22 2018-08-28 Conopco, Inc. Bottle
USD824779S1 (en) 2016-12-22 2018-08-07 800 Sylvan Avenue Package
USD830840S1 (en) 2016-12-22 2018-10-16 Conopco, Inc. Container
US11883835B2 (en) 2016-12-22 2024-01-30 Conopco, Inc. Shell container suitable for housing a discrete refill container
IL271877B1 (en) 2017-07-21 2024-02-01 Boehringer Ingelheim Int A device that turns a liquid into a fine spray and a container
IL271867B2 (en) 2017-07-21 2023-10-01 Boehringer Ingelheim Int A device that turns a liquid into a fine spray
CN110944699B (zh) 2017-07-21 2022-11-25 勃林格殷格翰国际有限公司 喷雾器和储器
US11944746B2 (en) * 2017-11-06 2024-04-02 Microbase Technology Corp. Fluid delivery apparatus
EP3501582B1 (en) 2017-12-21 2022-04-2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and cartridge
EP3563894B1 (en) 2018-05-04 2021-12-22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and container
EP3897792A1 (en) 2018-12-18 2021-10-2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thod for producing a cartridge
KR102137999B1 (ko) * 2019-11-07 2020-07-27 주식회사 통일포켓케이스 리필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용기
JP2023532975A (ja) 2020-07-03 2023-08-01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ネブライザ
WO2022047538A1 (en) * 2020-09-03 2022-03-10 Telethon Kids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a therapeutic agent by inhalation

Family Cites Families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28864A (en) * 1923-02-20 1931-10-27 Gilmont Products Corp Method of filling bicompartment collapsible tubes
US2127401A (en) * 1937-11-15 1938-08-16 Gillican Charles Crum Method of packaging rosin
US2161071A (en) * 1938-05-02 1939-06-06 Zellerbach Paper Company Method of packing frozen food
US2329311A (en) * 1940-06-05 1943-09-14 Harry F Waters Method of producing liquid-containing packages
US2816691A (en) * 1954-08-16 1957-12-17 Lawrence T Ward Spray device having a flexible sac lining
GB951228A (en) * 1961-09-26 1964-03-04 Ici Ltd Packaging process
US3299603A (en) * 1962-03-12 1967-01-24 Continental Can Co Method of filling pouches
US3457694A (en) * 1966-08-25 1969-07-29 Hideo Tatiban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usion sealing the opening of flexible plastic bottle-like containers
US3491803A (en) * 1966-10-03 1970-01-27 Haskon Inc Machine for filling with liquids containers having deformable side walls
US3590557A (en) * 1968-03-07 1971-07-06 Fr Hesser Maschinenfabrick Ag Apparatus for closing packaging container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walls
US3674060A (en) * 1970-12-14 1972-07-04 Continental Can Co Apparatus for filling and adjusting the contents level in flexible containers
US3973603A (en) * 1974-06-18 1976-08-10 Franz Henry H Control for filling flexible bottles or containers
US4322020A (en) * 1978-05-02 1982-03-30 Raymond Stone Invertible pump sprayer
JPS5819535B2 (ja) * 1979-04-16 1983-04-19 本州製紙株式会社 密封容器のシ−ル方法
JPS5684246A (en) * 1979-11-28 1981-07-09 Toppan Printing Co Ltd Vessel
US4858830A (en) 1985-03-20 1989-08-22 Turbo Tek Enterprises, Inc. Spraying device having an additive fluid dispenser at an exit end
US4682734A (en) 1985-03-20 1987-07-28 Turbo Tek Enterprises, Inc. Spraying device having controlled additive fluid feed and a telescoping spray tube assembly
EP0386800A1 (en) * 1985-03-20 1990-09-12 Turbo Tek Enterprises, Inc. Spraying device having controlled additive fluid feed and a telescoping spray tube assembly
DE3721308A1 (de) * 1987-06-27 1989-01-05 Gerhard Hansen Verfahren zum befuellen und anschliessenden verschweissen eines behaelters sowie vorrichtung und behaelter zur durchfuehrung dieses verfahrens
MX171722B (es) * 1987-07-16 1993-11-11 Paul Wenmaekers Recipiente distribuidor de substancia viscosa
US4840017A (en) * 1987-08-03 1989-06-20 Baxter Healthcare Corporation Method for filling collapsible containers
DE3834184C1 (ko) * 1988-10-07 1989-12-28 Bernd 7166 Sulzbach-Laufen De Hansen
FR2639903B1 (fr) * 1988-12-05 1991-05-10 Cebal Procede et dispositif de fermeture d'un tube souple apres remplissage
CA2010347C (fr) * 1989-03-13 1997-02-25 Paul Wenmaekers Distributeur de substance visqueuse
FR2653744B1 (fr) * 1989-10-31 1992-03-06 Valois Procede pour conditionner sous vide des produits notamment cosmetiques et pharmaceutiques a l'interieur de reservoirs deformables obtures par une pompe de distribution sans reprise d'air, dispositif pour le mettre en óoeuvre et distributeurs ainsi obt.
WO1993025321A1 (en) 1992-06-11 1993-1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n film beam spring vent valv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it
US5261565A (en) 1992-06-11 1993-1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n film beam spring vent valve
US5271153A (en) 1992-06-11 1993-1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assembling a thin film beam spring vent valve
CA2097866A1 (en) 1992-06-11 1993-12-12 Howard Norman Reiboldt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 thin film beam spring vent valve
ATE183982T1 (de) 1993-05-05 1999-09-15 Pfeiffer Erich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ustragvorrichtung
DE4428434A1 (de) 1994-08-11 1996-02-15 Boehringer Ingelheim Kg Verschlußkappe und Verfahren zur gasblasenfreien Füllung von Behältern
US5499750A (en) * 1995-01-17 1996-03-19 Manifold; William J. Spraying device having a removable and replaceable bladder
JP3462934B2 (ja) * 1995-06-19 2003-11-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肉薄密封容器
JPH0977073A (ja) * 1995-09-19 1997-03-25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肉薄密封容器
US5642838A (en) * 1995-12-28 1997-07-01 Stoody; William Robert Frangible sealing lid for spile access
JP3666537B2 (ja) * 1996-11-14 2005-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US20060239930A1 (en) 1997-08-04 2006-10-26 Herbert Lamche Process for nebulizing aqueous compositions containing highly concentrated insulin
DE19733651A1 (de) 1997-08-04 1999-02-1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Wässrige Aerosolzubereitungen enthaltend biologisch aktive Markomoleküle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ntsprechender Aerosole
US6375048B1 (en) 1997-09-04 2002-04-23 Heineken Technical Services B.V. Assembly for storing and dispensing beer and other carbonated beverages
US7963955B2 (en) 1998-02-27 2011-06-21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Container for a medicinal liquid
US6685691B1 (en) 1998-02-27 2004-02-03 Boehringer Ingelheim Gmbh Container for a medicinal liquid
DE19851404A1 (de) 1998-11-07 2000-05-11 Boehringer Ingelheim Int Druckausgleichsvorrichtung für einen Doppelbehälter
US6119853A (en) 1998-12-18 2000-09-19 Glaxo Wellcome Inc. Method and package for storing a pressurized container containing a drug
US6390291B1 (en) 1998-12-18 2002-05-21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Method and package for storing a pressurized container containing a drug
WO2001097888A2 (en) 2000-06-22 2001-12-27 Glaxo Group Limited Method and package for storing a pressurized container containing a drug
US6315112B1 (en) 1998-12-18 2001-11-13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Method and package for storing a pressurized container containing a drug
US6352152B1 (en) 1998-12-18 2002-03-05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Method and package for storing a pressurized container containing a drug
DE19940713A1 (de) 1999-02-23 2001-03-01 Boehringer Ingelheim Int Kartusche für eine Flüssigkeit
AT409800B (de) * 1999-09-13 2002-11-25 Hoffmann La Roch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der lagerfähigkeit tonometrierter flüssigkeiten
FR2820121B1 (fr) * 2001-01-30 2003-06-13 Oreal Flacon pompe a utilisation multidirectionnelle
GB2372575B (en) * 2001-08-10 2003-01-15 Chemence Ltd Method for forming a sachet
EP1417539A1 (en) 2001-08-10 2004-05-12 Paul Mayo Holt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photopolymer plate manufacture
TW565485B (en) 2001-11-07 2003-12-11 Sansha Electric Mfg Co Ltd Power supply apparatus for welder
NL1019562C2 (nl) 2001-12-13 2003-06-17 Heineken Tech Services Klepsamenstel voor gebruik bij drankafgifte.
ES2449715T3 (es) * 2002-10-07 2014-03-2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étodo para llenar un recipiente que tiene por lo menos un componente flexible
JP4357183B2 (ja) * 2003-02-14 2009-11-04 大成化工株式会社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435970C (zh) * 2003-07-16 2008-11-26 泊灵格英格尔海姆药品两合公司 一种用板状复合结构来生产微流体装置的工艺方法
AU2004263251B2 (en) * 2003-07-16 2010-04-01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A process for producing microfluidic arrangements from a plate-shaped composite structure
AU2004319508A1 (en) * 2004-04-24 2005-11-17 Inrange Systems, Inc. Universal medication carrier
KR101038403B1 (ko) 2004-07-28 2011-06-01 다이닛본 스미토모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복수의 층을 갖는 필름-코팅된 정제
TWI391301B (zh) * 2005-04-25 2013-04-01 Advanced Tech Materials 物料儲存及配送包裝及方法
DE102005024439A1 (de) 2005-05-24 2006-12-0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Zerstäuber
WO2007011475A1 (en) 2005-07-15 2007-01-25 Albemarle Corporation Middle phase micro emulsions and proces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7980045B2 (en) * 2006-06-14 2011-07-19 International Packaging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illing a collapsible container
US7380575B2 (en) * 2005-12-20 2008-06-03 Scholle Corporation Filler device for filling flexible bags
FR2895735B1 (fr) * 2005-12-30 2008-04-18 Ecopack France Valve a poche amelioree
SE0600764L (sv) * 2006-04-03 2007-10-04 Ecolean Res & Dev As Anordning och metod för fyllning av en förpackning
DE202006017793U1 (de) * 2006-11-22 2007-01-11 Tsai, Chang-Keng Pneumatischer Flüssigkeitsspender mit doppelwandigem Behälter
JP5620466B2 (ja) * 2009-03-17 2014-11-05 ベーリンガー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リザーバ及びアトマイ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90472A1 (en) 2014-07-10
PE20091856A1 (es) 2009-12-23
MX2010009838A (es) 2010-09-28
TW200946412A (en) 2009-11-16
AR070912A1 (es) 2010-05-12
CN101977693A (zh) 2011-02-16
IL207810A0 (en) 2010-12-30
AU2009226643A1 (en) 2009-09-24
US20090235924A1 (en) 2009-09-24
EP2254704B1 (en) 2016-10-19
WO2009115200A1 (en) 2009-09-24
JP5599772B2 (ja) 2014-10-01
EG26580A (en) 2014-03-17
UY31715A (es) 2009-11-10
MA32157B1 (fr) 2011-03-01
CA2717192A1 (en) 2009-09-24
ECSP10010488A (es) 2010-11-30
UA101364C2 (ru) 2013-03-25
ZA201006056B (en) 2011-08-31
US9623200B2 (en) 2017-04-18
CL2009000627A1 (es) 2010-03-05
SG189681A1 (en) 2013-05-31
EA201001453A1 (ru) 2011-04-29
EP2254704A1 (en) 2010-12-01
JP2011515132A (ja) 2011-05-19
US8650840B2 (en) 2014-02-18
BRPI0909328A2 (pt) 201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9772B2 (ja) リザーバ及びネブライザ
JP6048767B2 (ja) アダプタ、吸入器具及びアトマイザ
JP5719291B2 (ja) 吸入器
JP5681492B2 (ja) ノズル、吸入器及びノズルの製造方法
US8813743B2 (en) Atomizer
US8905017B2 (en) Reservoir and atomizer
KR20120098404A (ko) 흡입기
JP2009538656A (ja) アトマイザ
JP5504156B2 (ja) 吸入器
JP5812354B2 (ja) 吸入器具
JP5422553B2 (ja) 小出し器具
KR20080108141A (ko) 약제학적 제제 투여용 정량식 에어로졸
JP5366330B2 (ja) 小出し器具(3)
JP5328769B2 (ja) 小出し器具(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