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170A - 누름 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누름 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170A
KR20100135170A KR1020100045258A KR20100045258A KR20100135170A KR 20100135170 A KR20100135170 A KR 20100135170A KR 1020100045258 A KR1020100045258 A KR 1020100045258A KR 20100045258 A KR20100045258 A KR 20100045258A KR 20100135170 A KR20100135170 A KR 20100135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ubber spring
fixed contact
movable contact
contac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188B1 (ko
Inventor
무네요시 미야타
츠요시 노구치
Original Assignee
미크덴시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크덴시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크덴시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5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Abstract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작업 효율의 향상도 꾀할 수 있고 나아가 스위치 조작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는 누름 버튼 스위치를 제공한다.
이 누름 버튼 스위치(1)는 수납부(31)를 가지는 하우징(3)과, 고정 접점부(21A),(21A)를 가지며, 고정 접점부(21A),(21A)가 하우징(3)의 바닥부(32)으로 노출되도록 인서트 성형 고정된 고정 접점편(2A)과, 고정 접점편(2A)과 이간되어 하우징(3) 바닥부(32)에 인서트 성형 고정된 가동 접점편(2B)과, 굴신 가능한 원형돔 형상의 스커트부(51)와, 스커트부(51)의 내측 중앙에 설치된 볼록부(52)를 가짐과 아울러, 고정 접점편(2A) 및 가동 접점편(2B) 상에 배치되어 수납부(31)내에 수납되는 러버 스프링(5)과, 러버 스프링(5)의 윗쪽에 배치되고 하우징(3)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버튼부(6)를 구비하고, 가동 접점편(2B)에는, 윗쪽으로 절곡 형성된 탄성력을 가지는 조각으로서, 그 일단부쪽에는 통상의 상태에서 고정 접점부(21A),(21A)와 이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스위치 조작시에 고정 접점부(21A),(21A)와 접촉하는 가동 접점부(21B)가 마련된 탄성편(20B)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누름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
본 발명은 각종 소형 전자 기기를 조작하는 스위치로서 사용되는 누름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누름 버튼 스위치의 예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푸시 스위치가 알려져 있다. 이 스위치는, 기판에 고정된 고정 접점과, 고정 접점 위에 설치된 가동 접점과, 가동 접점 위에 올려진 원추형의 탄성체와, 탄성체 위에 고정된 조작체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가동 접점은 금속 박판으로 성형되고, 원형 링모양의 외주부 중앙에 조각부가 설치되고, 이 조각부가 윗쪽으로 잘려 올라간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조작체를 압압하면 탄성체의 원추형부가 탄성 변형되고, 탄성체의 수하부가 가동 접점의 조각부를 아래쪽으로 누름으로써, 조각부가 고정 접점에 접촉하여 스위치가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푸시 스위치는 단가가 저렴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낮추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품수를 줄이거나 혹은 작업 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지만 한편으로는 스위치 조작 안정성의 확보, 품질 향상 혹은 유지도 도모해야 한다.
일본 특허 제389078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종래의 푸시 스위치에 비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작업 효율의 향상도 꾀할 수 있고, 나아가 스위치 조작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는 누름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누름 버튼 스위치는, 수납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고정 접점부를 가지며, 고정 접점부가 하우징 바닥부로 노출되도록 인서트 성형 고정된 고정 접점편과, 고정 접점편과 이간되어 하우징 바닥부에 인서트 성형 고정된 가동 접점편과, 굴신(屈伸) 가능한 원형돔 형상의 스커트부와, 스커트부의 내측 중앙에 설치된 볼록부를 가짐과 아울러, 고정 접점편 및 가동 접점편 위에 배치되어 수납부 내에 수납되는 러버 스프링과, 러버 스프링의 윗쪽에 배치되어 하우징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버튼부를 구비하고, 가동 접점편에는 윗쪽으로 절곡 형성된 탄성력을 가지는 조각으로서, 그 일단부쪽에는 통상의 상태에서 고정 접점부와 이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스위치 조작시에 고정 접점부와 접촉하는 가동 접점부가 마련된 탄성편을 가지고 있고, 버튼부를 압압하여 스위치 조작을 행하면, 러버 스프링이 좌굴(坐屈) 변형됨과 아울러, 볼록부가 강하하여 가동 접점부를 눌러 가동 접점부와 고정 접점부가 접촉되고, 한편, 버튼부의 압압을 해제하면 탄성편 및 러버 스프링이 탄성 복귀되어 통상의 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내의 바닥부에는 러버 스프링을 바깥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벽이 마련되어 있으며, 지지벽에 의해 러버 스프링의 반경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버튼부의 압압시에 러버 스프링이 수직 상방으로 굴곡되고, 그 굴곡부가 버튼부의 내측 공극부(空隙部)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누름 버튼 스위치는 가동 접점편도 고정 접점편도 하우징의 바닥부에 인서트 성형 고정시킴과 아울러, 가동 접점편에는 윗쪽으로 절곡 형성된 탄성력을 가지는 조각으로서, 그 일단부쪽에는 통상의 상태에서 고정 접점부와 이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스위치 조작시에 고정 접점부와 접촉하는 가동 접점부가 마련된 탄성편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가동 접점편을 하우징 바닥부에 인서트 성형 고정시킴으로써 안정된 스위치 동작을 할 수 있다. 나아가 탄성편을 가동 접점편에 절곡 형성하여 설치함으로써 조립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나아가 부품수도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삭감을 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누름 버튼 스위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a)는 그 스위치의 평면도, (b)는 그 스위치의 정면도, (c)는 그 스위치의 배면도, (d)는 그 스위치의 측면도, (e)는 (a)의 A-A선 단면도, (f)는 (a)의 B-B선 단면도.
도 2는, 접점편 기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a)의 부분 확대도, (c)는 A-A선 단면도, (d)는 B-B선 단면도.
도 3은, 접점편을 하우징에 인서트 성형 고정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접점편이 인서트 성형 고정된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a)의 A-A선 단면도, (d)는 측면도, (e)는 (a)의 B-B선 단면도, (g)는 배면도.
도 5는, 바닥 커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도 6은, 러버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a)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버튼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a)의 A-A선 단면도, (d)는 배면도, (e)는 측면도.
도 8은,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립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a)는 통상의 상태, (b)는 스위치 동작 상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누름 버튼 스위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a)는 그 스위치의 평면도, (b)는 그 스위치의 정면도, (c)는 그 스위치의 배면도, (d)는 그 스위치의 측면도, (e)는 (a)의 A-A선 단면도, (f)는 (a)의 B-B선 단면도, 도 2는 접점편 기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a)의 부분 확대도, (c)는 A-A선 단면도, (d)는 B-B선 단면도, 도 3은 접점편을 하우징에 인서트 성형 고정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접점편이 인서트 성형 고정된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a)의 A-A선 단면도, (d)는 측면도, (e)는 (a)의 B-B선 단면도, (g)는 배면도, 도 5는 바닥 커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도 6은 러버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a)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버튼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a)의 A-A선 단면도, (d)는 배면도, (e)는 측면도, 도 8은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립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a)는 통상의 상태, (b)는 스위치 동작 상태이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이 누름 버튼 스위치(1)는 각종 전자 기기를 조작하는 전환 스위치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으로서, 주로 고정 접점편(2A) 및 가동 접점편(2B)으로 이루어진 접점편(2), 하우징(3), 바닥 커버(4), 러버 스프링(5) 및 버튼부(6)로 이루어지고, 대략 다음과 같이 구성된 스위치이다.
즉, 누름 버튼 스위치(1)는 수납부(31)를 가지는 하우징(3)과, 고정 접점부(21A)를 가지며, 고정 접점부(21A)가 하우징(3)의 바닥부(32)으로 노출되도록 인서트 성형 고정된 고정 접점편(2A)과, 고정 접점편(2A)과 이간되어 하우징(3)의 바닥부(32)에 인서트 성형 고정된 가동 접점편(2B)과, 굴신 가능한 원형돔 형상의 스커트부(51)와, 스커트부(51)의 내측 중앙에 설치된 볼록부(52)를 가짐과 아울러, 고정 접점편(2A) 및 가동 접점편(2B)상에 배치되어 수납부(31)내에 수납되는 러버 스프링(5)과, 러버 스프링(5)의 윗쪽에 배치되고 하우징(3)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버튼부(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가동 접점편(2B)에는, 윗쪽으로 절곡 형성된 탄성력을 가지는 조각으로서, 그 일단부쪽에는 통상의 상태에서 고정 접점부(21A)와 이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스위치 조작시에 고정 접점부(21A)와 접촉하는 가동 접점부(21B)가 설치된 탄성편(20B)을 가지고 있으며, 버튼부(6)를 압압하여 스위치 조작을 행하면 러버 스프링(5)이 좌굴 변형됨과 아울러, 볼록부(52)가 강하하여 가동 접점부(21B)를 눌러, 가동 접점부(21B)와 고정 접점부(21A)가 접촉하고, 한편, 버튼부(6)의 압압을 해제하면 탄성편(20B) 및 러버 스프링(5)이 탄성 복귀되어 통상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도 9의 (a)와 같이 버튼부(6)가 하우징(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한쌍의 고정 단자(20),(20) 사이는 도통되어 있지 않아 누름 버튼 스위치(1)가 OFF 상태이다. 한편, 도 9의 (b)와 같이 버튼부(6)를 누르면 한쌍의 고정 단자(20),(20) 사이가 도통되어 누름 버튼 스위치 스위치(1)가 ON으로 전환되고, 그 힘을 해제하면 버튼부(6)가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고 고정 단자(20),(20) 사이가 절단되어 누름 버튼 스위치(1)가 OFF로 전환된다. 또 이 누름 버튼 스위치(1)는 고무로 이루어진 러버 스프링(5)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금속제의 변형 부품을 가지는 스위치에 비해 조작 스트로크가 길고, 게다가 조작시에 고무의 탄력에 의해 소프트한 피드백 감촉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각 부품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면 구리 등으로 이루어진 박판 금속판으로부터 타발(打拔) 가공된 상태의 접점편 기재(基材)(20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접점편 기재(200) 중에 잘라내기 전 상태의 접점편(2)이 포함되어 있다. 즉, 도 2의 (a)에 도시한 것처럼 접점편 기재(200)는 나란한 2개의 라인부(201),(201)와, 여러 개의 접점편(2),(2),…과, 접점편(2)과 라인부(201)의 각각을 접속하는 접속부(202),(203)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것처럼 하우징(3)에의 인서트 성형 후 접속부(202),(202),(203),(203)를 절단함으로써 하우징(3)의 바닥부(32)에 인서트 성형 고정된다.
도 2(b)에 도시한 것처럼 접점편(2)은 고정 접점편(2A)과 가동 접점편(2B)으로 이루어지고, 고정 접점편(2A)은 그 좌우에 있는 접속부(202),(202)에 의해 라인부(201),(201)와 접속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가동 접점편(2B)도 접속부(203),(203)에 의해 라인부(201),(201)와 접속되어 있는데, 고정 접점편(2A) 및 가동 접점편(2B)끼리는 접속되어 있지 않고 이간되어 있다.
고정 접점편(2A)은 전기 기기의 회로 패턴과 접속하기 위한 단자로서 절곡 가공되어 이루어진 고정 단자(20)와, 가동 접점편(2B)의 가동 접점부(21B)와의 접점부로서 반구형으로 엠보싱 가공된 고정 접점부(21A),(21A)로 이루어지며, 위치 결정용 원형 구멍(22),(22)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편(2B)은 상기와 마찬가지의 고정 단자(20) 및 위치 결정용 원형 구멍(22),(22)을 가짐과 아울러, 180도 절곡 형성되어 일단부쪽의 가동 접점부(21B)가 고정 접점부(21A),(21A) 윗쪽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히 윗쪽으로 솟아올라 이루어진 탄성편(20B)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고정 접점편(2A) 및 가동 접점편(2B)으로 이루어진 접점편(2)은, 도 3에 도시한 태양에서,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하우징(3)의 바닥부(32)에 인서트 성형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접속부(202),(202),(203),(203)를 절단하고, 절단한 부분을 고정 단자(20)로서 절곡 형성한 상태가 도 4에 도시한, 접점편(2)이 바닥부(32)에 인서트 성형 고정된 하우징(3)이다.
하우징(3)은 절연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등의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사방이 외벽부(34)로 둘러싸인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부(34)의 내벽면에는 버튼부(6)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쌍의 걸림 후크(33),(3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외벽부(34)의 내측에는 러버 스프링(5)을 수납하는 수납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수납부(31)에는 바닥부(32) 중앙 방향을 향한 원호면(35A)을 가지는 지지벽(35)이 4개 균등하게 사방에 배치되어 바닥부(32)에 세워져 있고, 4개의 지지벽(35),(35),(35),(35)에 의해 오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외벽부(34)의 외벽면에는 바닥 커버(4)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쌍의 걸림 후크(33),(3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바닥 커버(4)는 절연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등의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바닥판(41)과, 바닥판(41)의 양단부에 세워진 걸림부(42),(42)로 이루어지고, 하우징(3)의 바닥부(32)에서 고정 접점편(2A) 및 가동 접점편(2B)이 노출되는 것을 커버하기 위한 부재이다. 하우징(3)의 걸림 후크(33),(33)에 걸림부(42),(42)가 걸림으로써 바닥 커버(4)는 하우징(3)에 설치된다.
러버 스프링(5)은,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탄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기둥형으로 형성된 푸시부(50)와, 그 아래쪽에 연접(連接)된 내부에 공동을 가지는 원형돔 형상으로 성형된 스커트부(51)와, 스커트부(51) 내부로서 푸시부(50)의 아래쪽에 설치된 볼록부(52)로 이루어진다. 러버 스프링(5)은 푸시부(50)의 상면을 압압하면 스커트부(51)가 좌굴 변형되어 스위치 온 상태가 되고, 한편, 압압을 해제하면 고무의 탄력에 의해 본래의 원형돔 형상으로 복귀되어 스위치 오프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온 상태에서는 볼록부(52)가 탄성편(20B)을 윗쪽에서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튼부(6)는 절연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등의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외부에서 압압 조작하는 부분인 상판부(60)와, 상판부(60)의 사방에 세워진 세로벽부(61)를 가지는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세로벽부(61)의 외벽면에는 하우징(3)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쌍의 걸림 후크(62),(62)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도 7의 (c)와 같이 상판부(60)의 배면 중앙에는 원환형 관부(63)가 형성되어 있고, 이 관부(63)에 러버 스프링(5)의 푸시부(50)를 끼워넣음으로써 도 1의 (e)와 같이 러버 스프링(5)이 버튼부(6)의 배면 중앙에 고정된다. 또 관부(63)의 바깥쪽에는 러버 스프링(5)의 굴곡부를 수용하는 공극부(64)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각 부품의 조립 공정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고정 접점편(2A) 및 가동 접점편(2B)을 바닥부(32)에 인서트 성형 고정한 하우징(3)에 대해 걸림 후크(33),(33)와 걸림부(42),(42)를 걸림시킴으로써 아래쪽으로부터 바닥 커버(4)를 장착한다. 이어서, 하우징(3)의 수납부(31)에 러버 스프링(5)을 수납한다. 이 때 러버 스프링(5)의 스커트부(51)의 하단부가 4개의 지지벽(35),(35),(35),(35)으로 둘러싸여 형성된 오목부(36) 안에 수용되도록 하여 하우징(3)의 바닥부(32)에 놓여진다. 이 상태에서 버튼부(6)를 러버 스프링(5) 윗쪽으로부터 덮어 씌운다. 이 때 러버 스프링(5)의 푸시부(50)가 버튼부(6)의 관부(63)에 끼워짐과 아울러, 버튼부(6)의 걸림부(62),(62)와 하우징(3)의 걸림 후크(33),(33)가 걸림되어 버튼부(6)가 하우징(3)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누름 버튼 스위치(1)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하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의 (a)는 누름 버튼 스위치(1)에 외력을 가하지 않은 무부하시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무부하시에는 러버 스프링(5)이 스커트부(51)를 펴서 바닥부(32) 위에 기립하고 있으며, 러버 스프링(5)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버튼부(6)의 상판부(60)가 하우징(3)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탄성편(20B)의 가동 접점부(21B)가 고정 접점편(2A)의 고정 접점부(21A),(21A)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좌우의 고정 단자(20),(20)들은 도통되지 않아 스위치가 OFF의 상태이다.
이에 반해 도 9의 (b)는 누름 버튼 스위치(1)에 외력을 가하여 압압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버튼부(6)의 상판부(60)를 누르면 상판부(60)의 배면에 고정된 러버 스프링(5)에 대해 수직 하향의 힘이 가해져 러버 스프링(5)의 스커트부(51)가 좌굴 변형된다. 이 때 러버 스프링(5)의 스커트부(51)는 하우징(3) 내의 지지벽(35),(35),(35),(35)에 의해 반경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스커트부(51)의 경사 부분만이 수직 상방으로 부풀어 오르도록 굴곡되고, 그 굴곡부가 정확히 버튼부(6) 내측의 공극부(64)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러버 스프링(5)의 스커트부(51)가 좌굴 변형되면, 푸시부(50)가 아래쪽으로 가라앉아, 탄성편(20B)의 가동 접점부(21B)가 고정 접점편(2A)의 고정 접점부(21A),(21A)에 접촉한다. 이로써 고정 단자(20),(20) 사이가 탄성편(20B)에 의해 도통 상태가 되어 스위치가 ON의 상태로 전환된다.
또 외력을 해제하면, 러버 스프링(5)이 자신의 탄력으로 본래의 원형돔 형상으로 복귀됨과 아울러, 탄성편(20B)도 본래의 상태로 복귀되고, 버튼부(6)가 상승하여 도 9의 (a)에 도시한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로써, 탄성편(20B)의 가동 접점부(21B)가 고정 접점편(2A)의 고정 접점부(21A),(21A)에서 이격되고, 좌우의 고정 단자(20),(20)들의 도통이 절단되어 스위치가 OFF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누름 버튼 스위치(1)에 의하면, 가동 접점편(2B)도 고정 접점편(2A)도 하우징(3)의 바닥부(31)에 인서트 성형 고정됨과 아울러, 가동 접점편(2B)에는 윗쪽으로 절곡 형성된 탄성력을 가지는 조각으로서, 그 일단부쪽에는 통상의 상태에서 고정 접점부(21A),(21A)와 이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스위치 조작시에 고정 접점부(21A),(21A)와 접촉하는 가동 접점부(21B)가 마련된 탄성편(20B)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가동 접점편(2B)을 하우징(3)의 바닥부(31)에 인서트 성형 고정함으로써 안정된 스위치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탄성편(20B)을 가동 접점편(2B)에 절곡 형성하여 마련함으로써 조립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나아가 부품수도 주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1 누름 버튼 스위치
200 접점편 기재
201 라인부
2 접점편
2A 고정 접점편
20A 고정 단자
21A 고정 접점부
2B 가동 접점편
20B 탄성편
21B 가동 접점부
3 하우징
31 수납부
32 바닥부
4 바닥 커버
5 러버 스프링
51 스커트부
52 볼록부
6 버튼부
61 세로벽부
62 걸림 후크
63 관부
64 공극부

Claims (2)

  1. 수납부를 가지는 하우징;
    고정 접점부를 가지며, 고정 접점부가 하우징 바닥부로 노출되도록 인서트 성형 고정된 고정 접점편;
    고정 접점편과 이간되어 하우징 바닥부에 인서트 성형 고정된 가동 접점편;
    굴신(屈伸) 가능한 원형돔 형상의 스커트부와, 스커트부의 내측 중앙에 설치된 볼록부를 가짐과 아울러, 고정 접점편 및 가동 접점편 상에 배치되어 수납부 내에 수납되는 러버 스프링; 및
    러버 스프링의 윗쪽에 배치되며, 하우징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버튼부;를 구비하고,
    가동 접점편에는, 윗쪽으로 절곡 형성된 탄성력을 가지는 조각으로서, 그 일단부쪽에는 통상의 상태에서 고정 접점부와 이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스위치 조작시에 고정 접점부와 접촉하는 가동 접점부가 마련된 탄성편을 가지고 있으며,
    버튼부를 압압하여 스위치 조작을 행하면, 러버 스프링이 좌굴(坐屈) 변형됨과 아울러, 볼록부가 강하하여 가동 접점부를 눌러 가동 접점부와 고정 접점부가 접촉되고, 한편, 버튼부의 압압을 해제하면, 탄성편 및 러버 스프링이 탄성 복귀되어 통상의 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내의 바닥부에는 러버 스프링을 바깥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벽이 마련되어 있으며, 지지벽에 의해 러버 스프링의 반경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버튼부의 압압시에 러버 스프링이 수직 상방으로 굴곡되고, 그 굴곡부가 버튼부의 내측의 공극부(空隙部)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KR1020100045258A 2009-06-16 2010-05-14 누름 버튼 스위치 KR101685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43408 2009-06-16
JP2009143408A JP5284883B2 (ja) 2009-06-16 2009-06-16 押しボタン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170A true KR20100135170A (ko) 2010-12-24
KR101685188B1 KR101685188B1 (ko) 2016-12-09

Family

ID=4333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258A KR101685188B1 (ko) 2009-06-16 2010-05-14 누름 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84883B2 (ko)
KR (1) KR101685188B1 (ko)
CN (1) CN101923977B (ko)
TW (1) TWI4845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6205A (ja) * 2011-07-21 2013-02-04 Smk Corp 接触部材
JP2013026204A (ja) * 2011-07-21 2013-02-04 Smk Corp 接触部材
KR101468707B1 (ko) * 2014-04-11 2014-12-0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
CN110148540B (zh) * 2019-05-24 2023-11-14 沈阳兴华航空电器有限责任公司 一种行程开关
CN110599783B (zh) * 2019-08-23 2021-12-07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泰州供电分公司 一种基于区块链技术防尖锐按压的信号灯动态调控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3531A (ja) * 1992-11-10 1994-05-24 Toppan Printing Co Ltd カタログ類等の文字割付装置
JP2000188037A (ja) * 1998-12-21 2000-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3281963A (ja) * 2002-03-22 2003-10-03 Alps Electric Co Ltd 押釦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3531A (ja) * 1983-12-28 1985-07-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ツチ
JP2001250450A (ja) * 2000-03-07 2001-09-14 Alps Electric Co Ltd 押釦スイッチ
JP2004273331A (ja) * 2003-03-11 2004-09-30 Alps Electric Co Ltd 押釦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3531A (ja) * 1992-11-10 1994-05-24 Toppan Printing Co Ltd カタログ類等の文字割付装置
JP2000188037A (ja) * 1998-12-21 2000-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JP3890789B2 (ja) 1998-12-21 2007-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3281963A (ja) * 2002-03-22 2003-10-03 Alps Electric Co Ltd 押釦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03306A (ja) 2011-01-06
JP5284883B2 (ja) 2013-09-11
TWI484515B (zh) 2015-05-11
KR101685188B1 (ko) 2016-12-09
TW201112289A (en) 2011-04-01
CN101923977A (zh) 2010-12-22
CN101923977B (zh)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0565B2 (en) Slide switch
US6271487B1 (en) Normally open extended travel dual tact switch assembly with sequential actuation of individual switches
EP2015328B1 (en) Push-button switch
US6239391B1 (en) Keyboard assembly having highly waterproof key switches
US9847191B2 (en) Switch having improved moveable contact
US6756554B1 (en) Tact switch
KR20100135170A (ko) 누름 버튼 스위치
US7564003B2 (en) Detect switch having an improved moveable contact
CN215451206U (zh) 可动构件以及输入装置
JP2007265938A (ja) プッシュ・スライドスイッチ
KR200453798Y1 (ko)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JP2010272371A (ja) テーブルタップ
CN110970775A (zh) 同轴开关
JP5429315B2 (ja) 接触部材
US20110083950A1 (en) Multi-directional tact switch
WO2013011802A1 (ja) 接触部材
JP3128436B2 (ja) 押釦スイッチ
US7964814B2 (en) Push-push switch with movable terminal
WO2023095398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7200738A (ja) 押釦スイッチ
JP2001250450A (ja) 押釦スイッチ
KR101097375B1 (ko) 다단 동작 스위치
JP3140526U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3023825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17191679A (ja) 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