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707B1 -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 - Google Patents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707B1
KR101468707B1 KR1020140043440A KR20140043440A KR101468707B1 KR 101468707 B1 KR101468707 B1 KR 101468707B1 KR 1020140043440 A KR1020140043440 A KR 1020140043440A KR 20140043440 A KR20140043440 A KR 20140043440A KR 101468707 B1 KR101468707 B1 KR 101468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slider
top cover
lift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규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3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707B1/ko
Priority to PCT/EP2015/057487 priority patent/WO2015155172A2/d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01H3/122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 H01H3/125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using a scissor mechanism as stabilis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01H2013/52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using a return spring acting perpendicular to the actuating direction

Landscapes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는 바닥을 형성하는 바텀부와 바텀부의 둘레를 감싸는 제1측판부를 포함하는 바텀커버와, 바텀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탑부와 탑부의 둘레를 감싸고 제1측판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측판부를 포함하는 탑커버와, 바텀부의 일측에서 탑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바디부와 제1바디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제1레버와, 제1바디부와 교차되도록 바텀부의 타측에서 탑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바디부와 제2바디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2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제2레버 및 제1레버와 상기 제2레버가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단부에 슬립부를 구비하는 피벗축을 포함하고, 슬립부는 제1측판부에 구비되는 축가이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BALANCER FOR BUTTON OPERATING}
본 발명은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누름 동작에서 버튼의 걸림 현상을 방지하고, 누름 동작에 의해 전달되는 힘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촉감 피드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승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운송수단이다. 여기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이나 차량의 도어 등에는 버튼이 설치되어 차량의 시동 또는 차량의 실내 환경, 오디오/비디오 장치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일예로, 버튼은 누름 동작을 통해 동작을 인식하는데, 누름 동작에서 버튼에 형성되는 갭으로 인해 누름 동작에 걸림이 발생되거나, 유격이 과다 발생될 수 있고, 버튼의 크기가 커질수록 누름 동작에 의해 전달되는 힘의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촉감 피드백이 상이하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71559호(2012. 07. 26. 등록, 발명의 명칭 :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누름 동작에서 버튼의 걸림 현상을 방지하고, 누름 동작에 의해 전달되는 힘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촉감 피드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는 바닥을 형성하는 바텀부와, 상기 바텀부의 둘레를 감싸는 제1측판부를 포함하는 바텀커버; 상기 바텀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탑부와, 상기 탑부의 둘레를 감싸고 상기 제1측판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측판부를 포함하는 탑커버; 상기 바텀부의 일측에서 상기 탑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제1레버; 상기 제1바디부와 교차되도록 상기 바텀부의 타측에서 상기 탑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2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제2레버; 및 상기 제1레버와 상기 제2레버가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단부에 슬립부를 구비하는 피벗축; 을 포함하고, 상기 슬립부는, 상기 제1측판부에 구비되는 축가이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텀커버에는 일측의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가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텀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탑커버에는 타측의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가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탑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슬라이더의 단부에는 제1슬립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의 단부에는 제2슬립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바텀커버에는 상기 제1슬립돌부와 상기 제2슬립돌부가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립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탑커버의 왕복 이동에서 상기 탑커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측판부와 상기 제2측판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탑커버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안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안내부는, 상기 제1측판부 또는 상기 제2측판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탑커버의 왕복 이동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승강홈부; 및 상기 승강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홈부에 삽입되는 승강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측판부와 상기 제2측판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탑커버가 상기 바텀커버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탑커버의 왕복 이동을 제한하는 승강제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제한부는, 상기 탑커버의 왕복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승강경로부; 및 상기 승강경로부에 걸림 지지된 상태로 상기 승강경로부를 따라 이동되는 승강후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는 누름 동작에서 버튼 또는 탑커버의 걸림 현상을 방지하고, 누름 동작에 의해 전달되는 힘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촉감 피드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이 적용된 버튼의 경우, 터치 패널의 접촉에 따라 버튼의 동작을 인식할 때, 균일한 버튼의 동작감을 부여하고, 버튼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커버에 가해지는 하중의 위치에 상관없이 피벗축에 하중을 집중시키고, 탑커버의 왕복 이동에서 균일한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텀커버와 탑커버의 결합력을 안정화시키고, 바텀커버와 탑커버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으며, 발랜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커버의 왕복 이동에 따라 탑커버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탑커버의 왕복 이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의 상하좌우 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탑커버의 왕복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원부를 통해 탑커버의 복귀가 용이하고, 버튼의 누름 동작 상태를 편리하게 표시하여 버튼의 동작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커버가 바텀커버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레버와 제2레버의 피벗 동작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랜서를 일체로 모듈화함은 물론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고, 부품 수 감소를 통한 원가절감을 이루며, 발랜서의 활용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랜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랜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의 결합 위치에서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승강안내부의 설치 위치에서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벗축의 설치 위치에서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텀커버와 탑커버의 결합 위치에서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벗축의 결합 위치에서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승강제한부의 설치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승강안내부의 설치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랜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동작이 입력되거나 누름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조작모듈(10)과, 누름 동작에 따른 신호를 처리하는 기판모듈(20)과, 기판모듈(20)을 보호하기 위해 기판모듈(20)을 감싸 조작모듈(10)에 결합되는 하우징(30)과, 하우징(30)에 지지되어 누름 동작에 따른 촉감 피드백을 유지하는 발랜서(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작모듈(10)과 하우징(30)에 각각 구비되는 후크(11)와 걸림부(12)의 걸림 결합에 의해 조작모듈(10)과 하우징(30)이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조작모듈(10)을 가압하면, 기판모듈(20)을 통해 신호가 처리되고, 신호 처리 상태가 조작모듈(1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기판모듈(20)과 하우징(30) 사이에 삽입 지지되는 발랜서(40)를 통해 사용자는 누름 동작에 따른 촉감 피드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누름 동작에 따른 동작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랜서(40)는 바텀커버(100)와, 탑커버(200)와, 제1레버(300)와, 제2레버(400)와, 피벗축(500)을 포함하고, 복원부(600)와, 승강안내부(700)와, 승강제한부(80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왕복 이동은 누름 동작에 따른 탑커버(200)의 이동을 나타내고, 슬라이드 이동은 홈 형상에 삽입된 돌기 형상의 이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설명한다.
바텀커버(100)는 바텀부(110)와, 제1측판부(120)를 포함한다.
바텀부(110)는 바닥을 형성한다. 바텀부(110)는 하우징(30)에 지지되어 누름 동작에 따라 누름 동작에 따라 발랜서(4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바텀부(110)에는 제1레버(300)의 제1슬라이더(305)와 제2레버(400)의 제2슬라이더(405)가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텀가이드(111)가 구비될 수 있다. 바텀가이드(111)는 제1슬라이더(305)와 제2슬라이더(405)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바텀부(110)에는 복원부(600)가 안착 지지되는 안착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112)는 복원부(600)의 위치를 한정하고, 피벗축(500)의 왕복 이동에 따라 복원부(6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텀부(110)에는 하우징(30)과의 연결 지지를 위해 바텀지지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바텀지지부(113)는 하우징(30)에 연결 지지되어 바텀부(110)의 유동을 방지하고, 발랜서(40)가 안정적으로 누름 동작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측판부(120)는 바텀부(110)의 둘레를 감싼다. 제1측판부(120)는 바텀부(110)의 가장자리에서 탑부(210)를 향해 연장 형성됨으로써, 바텀커버(100)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측판부(120)에는 피벗축(500)의 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가이드(121)가 구비될 수 있다. 축가이드(121)는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을 따라 피벗축(500)읠 슬립부(501)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함으로써, 누름 동작에 따른 하중을 피벗축(500)으로 집중시킬 수 있고,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측판부(120)에는 승강제한부(800)의 승강후크(810)를 승강경로부(820)로 안내하는 안내홈(122)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안내홈(122)은 제2측판부(220)에 형성될 수 있다. 안내홈(122)은 승강후크(810)를 안내함으로써, 승강후크(810)와 승강경로부(820)의 걸림 결합에서 제1측판부(120) 또는 제2측판부(220)의 변형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승강후크(810)가 승강경로부(8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측판부(120)에는 제1슬라이더(305)의 양단부와 제2슬라이더(405)의 양단부가 상하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립홈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슬립홈부(123)는 제2측판부(220)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립홈부(123)는 제1슬라이더(305)와 제2슬라이더(405)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제1레버(300)와 제2레버(40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탑커버(200)는 탑부(210)와, 제2측판부(220)를 포함하고, 날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탑부(210)는 바텀부(1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탑부(210)는 바텀부(110)에서 이격된 상태로 조작모듈(10) 또는 기판모듈(20)에 지지되어 조작모듈(10)을 통해 전달되는 누름 동작을 발랜서(40)에 안정되게 전달하고, 누름 동작에 따른 발랜서(4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탑부(210)에는 조작모듈(10) 또는 기판모듈(20)과의 연결 지지를 위한 탑지지부(211)가 구비될 수 있다. 탑지지부(211)는 조작모듈(10)에 지지되어 기판모듈(20)의 유동을 방지하고, 누름 동작이 안정되게 발랜서(40)에 전달되도록 한다.
제2측판부(220)는 탑부(210)의 둘레를 감싼다. 제2측판부(220)는 탑부(210)의 가장자리에서 바텀부(110)를 향해 연장 형성됨으로써, 탑커버(200)는 하부가 개방된 함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측판부(220)에는 제1레버(300)의 제1슬라이더(305)와 제2레버(400)의 제2슬라이더(405)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탑가이드(221)가 구비될 수 있다. 탑가이드(221)는 제2측판부(220)의 단부에서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 방향으로 개구되는 수직가이드(222)와, 수직가이드(222)에서 연장 개구되는 수평가이드(224)로 구성된다. 수평가이드(224)는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제1슬라이더(305)와 제2슬라이더(405)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수직가이드(222)는 제1슬라이더(305)와 제2슬라이더(405)를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제2측판부(220)에는 축가이드(121)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되는 간섭방지홈(225)이 구비될 수 있다. 간섭방지홈(225)은 제2측판부(220)의 단부에서 함몰 형성되어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축가이드(121)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날개부(230)는 탑부(210) 또는 제2측판부(220)에서 연장된다. 날개부(230)는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에 따라 탑부(210)가 바텀커버(100) 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러면, 제1측판부(120)와 제2측판부(220)는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누름 동작에 따라 제2측판부(220)가 왕복 이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랜서(40)에서 제1측판부(120)가 제2측판부(220)를 감싸 중첩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제2측판부(220)가 제1측판부(120)를 감싸 중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탑커버(200)가 왕복 이동되도록 세부 구성의 배치를 단순히 변경할 수 있다.
제1레버(300)는 제1바디부(301)와, 제1슬라이더(305)를 포함하고, 제1축홀(3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부(301)는 바텀부(110)의 일측에서 탑부(210)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된다. 제1바디부(301)가 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바디부(301)의 중앙 부근에는 제2레버(400)의 제2바디부(401)가 삽입되도록 교차홀부(303)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판 형상인 제1바디부(301)에는 교차홀부(303)와 연통되어 교차홈부(304)가 함몰 형성됨으로써, 제2레버(400)의 시소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1슬라이더(305)는 제1바디부(301)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제1슬라이더(305)는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되는 바텀가이드(111)와 탑가이드(221)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제1슬라이더(305)의 단부에는 제1측판부(120)에 구비되는 슬립홈부(123)에 삽입되는 제1슬립돌부(306)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슬립돌부(306)는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슬립홈부(123)에서 상하좌우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제1슬라이더(305)의 이동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탑커버(20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제1축홀(302)은 제1바디부(301)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다. 제1축홀(302)은 피벗축(500)이 삽입 지지되고, 제1레버(300)의 시소 운동 중심을 형성한다. 제1축홀(302)은 제1레버(300)와 피벗축(500)의 결합을 원활하게 하고, 제1레버(300)의 시소 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제2레버(400)는 제2바디부(401)와, 제2슬라이더(405)를 포함하고, 제2축홀(4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부(401)는 바텀부(110)의 타측에서 탑부(210)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된다. 제2바디부(401)는 제1바디부(301)와 피벗축(500)을 중심으로 교차된다. 판 형상인 제2바디부(401)에는 복원부(600)의 안정된 지지를 위해 노출부(403)가 형성될 수 있다. 노출부(403)는 피벗축(500)을 노출시켜 복원부(600)가 피벗축(500) 또는 탑부(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제1레버(300)와 제2레버(400)의 시소 운동이 복원부(60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슬라이더(405)는 제2바디부(401)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제2슬라이더(405)는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되는 바텀가이드(111)와 탑가이드(221)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제2슬라이더(405)의 단부에는 제1측판부(120)에 구비되는 슬립홈부(123)에 삽입되는 제2슬립돌부(407)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슬립돌부(407)는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슬립홈부(123)에서 상하좌우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제2슬라이더(405)의 이동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탑커버(20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제2축홀(402)은 제2바디부(401)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다. 제2축홀(402)은 피벗축(500)이 삽입 지지되고, 제2레버(400)의 시소 운동 중심을 형성한다. 제2축홀(402)은 제2레버(400)와 피벗축(500)의 결합을 원활하게 하고, 제2레버(400)의 시소 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피벗축(500)은 제1레버(300)와 제2레버(400)가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피벗축(500)의 양단부에는 축가이드(121)에 삽입되어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립부(501)가 구비될 수 있다. 슬립부(501)는 축가이드(121)에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누름 동작에 따른 하중을 피벗축(500)으로 집중시킬 수 있고,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복원부(600)는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에서 탑커버(2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일예로, 복원부(600)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탑커버(200)를 조작모듈(10)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원부(600)는 알림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탑커버(200)가 하우징(30)의 바닥 측으로 이동될 때, 누름 동작을 인식하여 조작모듈(10)에 누름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알람을 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원부(600)는 안착부(112)에 삽입 지지된 상태로 피벗축(500)을 지지하고 있다. 복원부(600)에 따라 탑커버(200)의 원위치 복귀가 용이해지고, 탑커버(200)의 반복적인 왕복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승강안내부(700)는 제1측판부(120)와 제2측판부(220) 사이에 구비되어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을 안내한다. 승강안내부(700)는 제1측판부(120)와 제2측판부(220)를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발랜서(40)의 측면 4면을 고르게 지지하고,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을 부드럽게 하며, 바텀커버(100)에서 탑커버(200)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승강안내부(700)는 승강홈부(720)와 승강돌부(710)를 포함한다. 승강홈부(720)는 제1측판부(120) 또는 제2측판부(220)의 단부로부터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승강돌부(710)는 승강홈부(72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승강홈부(720)에 삽입된다. 승강홈부(720)와 승강돌부(710)의 끼움 결합은 요철의 맞물림 현상으로 탑커버(200)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승강제한부(800)는 제1측판부(120)와 제2측판부(220) 사이에 구비되고, 탑커버(200)가 바텀커버(100)에 지지된 상태에서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을 제한한다. 승강제한부(800)는 제1측판부(120)와 제2측판부(220)를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발랜서(40)의 측면 4면을 고르게 지지하고,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을 부드럽게 하며, 바텀커버(100)에서 탑커버(200)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며, 탑커버(200)가 바텀커버(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제한부(800)는 승강경로부(820)와 승강후크(810)를 포함한다. 승강경로부(820)는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승강후크(810)는 승강경로부(820)에 걸림 지지된 상태로 승강경로부(820)를 따라 이동된다. 승강경로부(820)와 승강후크(810)의 걸림 결합은 승강후크(810)가 승강경로부(8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탑커버(200)와 바텀커버(10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랜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랜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의 결합 위치에서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승강안내부의 설치 위치에서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벗축의 설치 위치에서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텀커버와 탑커버의 결합 위치에서 절단한 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벗축의 결합 위치에서 절단한 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승강제한부의 설치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승강안내부의 설치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랜서(4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판부(120)의 상측으로 날개부(230)가 이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 동작을 실시하면, 누름 동작에 따라 탑커버(200)는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하여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30)가 제1측판부(120)의 단부에 지지되어 정지한다.
좀더 자세하게, 바텀커버(100)와 탑커버(200)는 승강제한부(800)를 통한 결합으로 승강후크(810)가 승강경로부(820)에 걸림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탑커버(200)와 바텀커버(100)의 상호 분리가 저지된 상태를 이룬다. 제1측판부(120)의 상측에는 날개부(230)가 이격된 상태를 이룬다. 누름 동작에 따른 하중이 탑커버(200)에 전달되면, 제1측판부(120)와 제2측판부(220)가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제2측판부(220)는 승강안내부(700)와 승강제한부(800)에 의해 안내되어 하강된다. 이때, 피벗축(500)은 슬립부(501)가 축가이드(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강한다. 동시에 제1슬라이더(305)와 제2슬라이더(405)는 각각 바텀가이드(111)와 탑가이드(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발랜서(40)의 가장자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또한, 제1슬립돌부(306)와 제2슬립돌부(407)는 슬립홈부(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탑커버(200)가 완전히 하강되면, 복원부(600)는 압축된 상태가 되고, 날개부(230)가 제1측판부(120)의 상측에 지지되어 탑커버가 정지된다.
반대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판부(120)의 단부에 날개부(230)가 지지되어 정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 동작을 해제하면, 복원부(600)의 동작 또는 조작모듈(10)(또는 기판모듈(20))과 탑커버(200)의 연결 구조를 통해 탑커버(200)는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하여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판부(120)의 상측으로 날개부(230)가 이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누름 동작의 해제는 누름 동작의 반대로 진행됨에 따라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발랜서(40)에 따르면, 누름 동작에서 버튼 또는 탑커버(200)의 걸림 현상을 방지하고, 누름 동작에 의해 전달되는 힘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촉감 피드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이 적용된 버튼의 경우, 터치 패널의 접촉에 따라 버튼의 동작을 인식할 때, 균일한 버튼의 동작감을 부여하고, 버튼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커버(200)에 가해지는 하중의 위치에 상관없이 피벗축(500)에 하중을 집중시키고,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에서 균일한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텀커버(100)와 탑커버(200)의 결합력을 안정화시키고, 바텀커버(100)와 탑커버(20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으며, 발랜서(4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에 따라 탑커버(2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슬라이더(305)와 제2슬라이더(405)의 상하좌우 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탑커버(200)의 왕복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원부(600)를 통해 탑커버(200)의 복귀가 용이하고, 버튼의 누름 동작 상태를 편리하게 표시하여 버튼의 동작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커버(200)가 바텀커버(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레버(300)와 제2레버(400)의 피벗 동작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랜서(40)를 일체로 모듈화함은 물론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고, 부품 수 감소를 통한 원가절감을 이루며, 발랜서(40)의 활용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조작모듈 11: 후크 12: 걸림부
20: 기판모듈 30: 하우징 40: 발랜서
100: 바텀커버 110: 바텀부 111: 바텀가이드
112: 안착부 113: 바텀지지부 120: 제1측판부
121: 축가이드 122: 안내홈 123: 슬립홈부
200: 탑커버 210: 탑부 211: 탑지지부
220: 제2측판부 221: 탑가이드 222: 수직가이드
224: 수평가이드 225: 간섭방지홈 230: 날개부
300: 제1레버 301: 제1바디부 302: 제1축홀
303: 교차홀부 304: 교차홈부 305: 제1슬라이더
306: 제1슬립돌부 400: 제2레버 401: 제2바디부
402: 제2축홀 403: 노출부 405: 제2슬라이더
407: 제2슬립돌부 500: 피벗축 501: 슬립부
600: 복원부 700: 승강안내부 710: 승강돌부
720: 승강홈부 800: 승강제한부 810: 승강후크
820: 승강경로부

Claims (8)

  1. 바닥을 형성하는 바텀부와, 상기 바텀부의 둘레를 감싸는 제1측판부를 포함하는 바텀커버;
    상기 바텀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탑부와, 상기 탑부의 둘레를 감싸고 상기 제1측판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중첩되는 제2측판부를 포함하는 탑커버;
    상기 바텀부의 일측에서 상기 탑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제1레버;
    상기 제1바디부와 교차되도록 상기 바텀부의 타측에서 상기 탑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2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제2레버; 및
    상기 제1레버와 상기 제2레버가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단부에 슬립부를 구비하는 피벗축; 을 포함하고,
    상기 탑커버의 왕복 이동에서 상기 탑커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바디부에는, 상기 피벗축이 삽입 지지되어 상기 제1레버의 시소 운동 중심을 형성하는 제1축홀과, 상기 제2바디부가 삽입되는 교차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부에는, 상기 피벗축이 삽입 지지되어 상기 제2레버의 시소 운동 중심을 형성하는 제2축홀과, 상기 복원부가 상기 피벗축을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피벗축을 노출시키는 노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바텀부에는, 상기 복원부가 안착 지지되는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측판부에는, 상기 슬립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부에는, 일측의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가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텀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2측판부에는, 타측의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가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탑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의 단부에는 제1슬립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의 단부에는 제2슬립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측판부에는 상기 제1슬립돌부와 상기 제2슬립돌부가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립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판부에는, 상기 축가이드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되는 간섭방지홈; 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부와 상기 제2측판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탑커버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안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내부는,
    상기 제1측판부 또는 상기 제2측판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탑커버의 왕복 이동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승강홈부; 및
    상기 승강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홈부에 삽입되는 승강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부와 상기 제2측판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탑커버가 상기 바텀커버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탑커버의 왕복 이동을 제한하는 승강제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제한부는,
    상기 탑커버의 왕복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승강경로부; 및
    상기 승강경로부에 걸림 지지된 상태로 상기 승강경로부를 따라 이동되는 승강후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
KR1020140043440A 2014-04-11 2014-04-11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 KR101468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440A KR101468707B1 (ko) 2014-04-11 2014-04-11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
PCT/EP2015/057487 WO2015155172A2 (de) 2014-04-11 2015-04-07 Ausgleicher für die knopfbedien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440A KR101468707B1 (ko) 2014-04-11 2014-04-11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707B1 true KR101468707B1 (ko) 2014-12-05

Family

ID=5267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440A KR101468707B1 (ko) 2014-04-11 2014-04-11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8707B1 (ko)
WO (1) WO201515517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092096A1 (it) * 2016-09-13 2018-03-13 Bitron Spa Dispositivo di azionamento attivabile a pressione
IT201900016004A1 (it) * 2019-09-10 2021-03-10 Bitron Spa Dispositivo di azionamento migliorat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5856A (ja) * 1992-02-14 1993-09-03 Brother Ind Ltd キーボード
US5512719A (en) * 1993-11-05 1996-04-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Key switch having elastic portions for facilitating attachment of scissors-type support linkage to keytop and holder, and removal of keytop from linkage
KR100194829B1 (ko) * 1994-08-03 1999-06-15 오기노 고로 푸시버튼 스위치
JP2011003306A (ja) * 2009-06-16 2011-01-06 Mik Denshi Kohgyo Co Ltd 押しボタン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7616A (en) * 1998-08-24 1999-09-07 Liang; Hui-Hu Key structure for computer keyboards
KR101171559B1 (ko) 2010-08-25 2012-08-06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5856A (ja) * 1992-02-14 1993-09-03 Brother Ind Ltd キーボード
US5512719A (en) * 1993-11-05 1996-04-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Key switch having elastic portions for facilitating attachment of scissors-type support linkage to keytop and holder, and removal of keytop from linkage
KR100194829B1 (ko) * 1994-08-03 1999-06-15 오기노 고로 푸시버튼 스위치
JP2011003306A (ja) * 2009-06-16 2011-01-06 Mik Denshi Kohgyo Co Ltd 押しボタン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55172A3 (de) 2016-02-04
WO2015155172A2 (de)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2535B2 (en) Keyswitch structure
KR101468707B1 (ko) 버튼 동작을 위한 발랜서
US9214295B2 (en) Key structure
JP2012186067A5 (ko)
EP2735245A1 (en) Adjustment mechanism for armrest
US10950397B2 (en) Switching and operating assembly of a switch
US10109433B2 (en) Electric push-button switch, and operating element having an electric push-button switch
CA2864991C (en) Retention mechanism and method for removeably supporting a portable flight controller
US8080754B2 (en) Push switch
US10734174B2 (en) Silent keyboard
US10168779B2 (en) Vehicle operating device
US6504117B2 (en) Foot operated switch for electrical circuits
TWM482833U (zh) 按鍵結構
KR101839820B1 (ko) 푸시버튼 스위치
JP6210919B2 (ja) エレベータ用操作盤、及びその取付方法
EP4258313A1 (en) Control device for raising/lowering mechanism
US20180226212A1 (en) Rocker switch device
CN110268497B (zh) 包括防止误工作结构的四向开关
JP5576175B2 (ja) 電気かみそり
JP2008287967A (ja) 押ボタンスイッチ装置
KR20160043591A (ko)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1831988B1 (ko) 도어 스토퍼
JP2013107618A (ja) 加速ペダルの踏力調節装置
KR101936441B1 (ko) 자동차용 도어글래스 레귤레이터 장치
JP6422402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シグナ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