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559B1 -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559B1
KR101171559B1 KR1020100082599A KR20100082599A KR101171559B1 KR 101171559 B1 KR101171559 B1 KR 101171559B1 KR 1020100082599 A KR1020100082599 A KR 1020100082599A KR 20100082599 A KR20100082599 A KR 20100082599A KR 101171559 B1 KR101171559 B1 KR 101171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ontactor
coupled
contactors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018A (ko
Inventor
변동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10008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5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22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asing, e.g. sealed casings or casings reducible in siz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06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adapted for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는, 특히, 차실로 노출되게 배치된 상부 스위치 본체와, 상기 스위치 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는 동작으로 그 하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컨택터를 각각 습동시키는 복수개의 회전 노브와, 상기 복수개의 컨택터가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컨택터가 각각 습동되는 동작으로 전기적 접점 또는 그 접점이 해제되도록 접점부가 형성된 컨택터 조립체와, 상기 컨택터 조립체가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상부 스위치 본체와 결합되되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하부 스위치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Power Window Switch Assembly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종래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설치된 개별 컨택터를 모듈화시킴으로써 부품수 및 조립공정수를 절감하고, 제품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승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운송수단으로써, 차량의 좌우 측면에는 실내와 실외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차실 내부를 환기시키는 개폐형 윈도우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상기 개폐형 윈도우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승객이 직접 기구적인 구동부를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작동시키는 동작을 요하였으나, 최근에는 모터 구동식으로 차실 내부에 구비된 파워윈도우 스위치만 작동시키면 자동으로 개폐되는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가 구비되었고 일반화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1)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실 내부(특히, 운전석 측면)에 장착되는 상부 스위치 본체(10)와, 상기 상부 스위치 본체(10)에 결합된 회전 노브(15a)(15b)(15c)(15d)와, 상기 상부 스위치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스위치 본체(20)와, 상기 하부 스위치 본체(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3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0)에 곧바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 노브(15a~15d)의 움직임에 의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컨택터(40a)(40b)(40c)(4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1)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해당하는 윈도우를 작동시키기 위한 컨택터(40a~40d)가 개별적으로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 각 컨택터(40a~40d)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에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키 위하여 직접 결합되어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1)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조립자는 일일이 상기 컨택터(40a~40d)를 상기 인쇄회로기판(30)에 결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컨택터(40)의 일종류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특히, 고부하 스위치를 예시한 것인데, 도 2의 컨택터(40)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회전 노브(15)를 작동시키면 본체를 이루는 홀더 내의 누름핀(41)이 눌림되고, 이때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컨택터(40a)가 접촉단자(43)에 순간 접점됨으로써 윈도우 개폐를 위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고부하 스위치의 경우, 상기 컨택터(40a)가 상기 접촉단자(43)와 접촉될 때 작동소음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컨택터가 접점되는 접점부를 일체로 모듈화시켜 조립한 후, 인쇄회로기판에 모듈화된 일체의 컨택터 조립체를 곧바로 결합시킴으로써 제품의 조립공수 및 제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는, 차실로 노출되게 배치된 상부 스위치 본체와, 상기 스위치 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는 동작으로 그 하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컨택터를 각각 습동시키는 복수개의 회전 노브와, 상기 복수개의 컨택터가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컨택터가 각각 습동되는 동작으로 전기적 접점 또는 그 접점이 해제되도록 접점부가 형성된 컨택터 조립체와, 상기 컨택터 조립체가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상부 스위치 본체와 결합되되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하부 스위치 본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택터 조립체는, 상기 접점부가 상부면에 형성된 하부 조립체와, 상기 하부 조립체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 노브의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슬릿이 형성된 상부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조립체에는, 상기 접점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컨택터가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습동되는 공간인 습동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택터 조립체는, 상기 접점부의 접점 및 그 해제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형성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는, 첫째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컨택터 조립체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에 복수개의 컨택터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조립공정 수를 개별 컨택터의 개수만큼 절감하는 효과를 누린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는, 둘째로, 종래에는 고부하 스위치로써 하나의 회전 노브에 두 개의 컨택터가 1조를 이루어 구비되어야 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회전 노브가 이동시키는 컨택터는 단수개이므로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창출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는, 셋째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컨택터가 슬라이딩 접점구조로 채택되기 때문에 대향 접점구조였던 종래의 고부하 스위치의 문제점이었던 작동소음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어 소비자의 감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컨택터의 일 종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모듈화된 컨택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모듈화된 컨택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승객 또는 운전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접근 가능한 위치인 차실로 노출되게 배치된 상부 스위치 본체(110)와, 상기 상부 스위치 본체(110)에 힌지(115') 결합되고, 상기 힌지(115')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는 동작으로 그 하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컨택터(140)를 각각 습동시키는 복수개의 회전 노브(115)와, 상기 복수개의 컨택터(140)가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컨택터(140)가 각각 습동되는 동작으로 전기적 접점 또는 그 접점이 해제되도록 접점부(134)가 형성된 컨택터 조립체(130)와, 상기 컨택터 조립체(130)가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150)과, 상기 상부 스위치 본체(110)와 결합되되, 상기 인쇄회로기판(150)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하부 스위치 본체(120)를 포함한다.
승객 또는 운전자가 상기 회전 노브(115)를 상기 힌지(115')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노브(115)의 하단부로 연장된 이동단부(116)가 상기 컨택터 조립체(130)에 배치된 상기 컨택터(140)를 습동시키는 동작으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택터 조립체(13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컨택터 조립체(130)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터(140)가 습동되는 공간인 습동슬롯(134)이 형성되고, 상기 습동슬롯(134) 내부에 접점부(135)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150)에 결합되는 하부 조립체(133)와, 상기 하부 조립체(133)에 형성된 상기 습동슬롯(134) 내부에 각각 배치되어 습동되는 복수개의 상기 컨택터(140a~140d)와, 상기 하부 조립체(133)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 노브(115)의 하단부인 상기 이동단부(116)가 삽입되어 상기 컨택터(140)와 각각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관통슬릿(131a)이 형성된 상부 조립체(131)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터 조립체(130)에서, 상기 상부 조립체(131) 및 상기 하부 조립체(133)는 상기 컨택터(140)의 움직임에 따라 전기적 접점이 이루어지는 상기 접점부(134) 외에 다른 부분은 전기적 연결이 되지 않도록 비전도체로 구성된 일종의 인슐레이터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조립체(133)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접점부(134)에서 접점이 이루어지면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도록 터미널이 복잡하게 형성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컨택터 조립체(130)는, 컨택터(140)가 직접 인쇄회로기판(150)에 결합되어 회전 노브(115)의 작동에 따라 상기 컨택터(140) 자체에서 접점이 이루어지면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종래와는 달리, 복수개의 컨택터(140)의 집합체로써 일체로 모듈화되어 제작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컨택터(140)가 일체로 모듈화되어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100)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창출한다. 첫째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컨택터 조립체(130)를 매개로 상기 인쇄회로기판(150)에 상기 복수개의 컨택터(140)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조립공정 수를 개별 컨택터(140)의 개수만큼 절감하는 효과를 누린다. 둘째로, 종래에는 고부하 스위치로써 하나의 회전 노브(115)에 두 개의 컨택터(140)가 1조를 이루어 구비되어야 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회전 노브(115)가 이동시키는 컨택터(140)는 단수개이므로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창출된다. 셋째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컨택터(140)가 슬라이딩 접점구조로 채택되기 때문에 대향 접점구조였던 종래의 고부하 스위치의 문제점이었던 작동소음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어 소비자의 감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택터 조립체(130)는, 상기 접점부(134)가 상부면에 형성된 하부 조립체(133)와, 상기 하부 조립체(133)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 노브(115)의 일부(상기 이동단부(116)가 이에 해당됨)가 삽입되는 관통슬릿(131a)이 형성된 상부 조립체(131)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슬릿(131a)은 상기 이동단부(116)가 상기 상부 조립체(131)에 의하여 간섭됨이 없이 직선상으로 이동되도록 직선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 조립체(133)에는, 상기 접점부(134)를 둘러싸도록 상기 컨택터(140)가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습동되는 공간인 상기 습동슬롯(134)이 형성된다.
상기 습동슬롯(134)은 상기 컨택터(1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그 폭의 길이는 대략 상기 컨택터(140)가 이동하기에 충분하도록 상기 컨택터(140)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은 대략 상기 컨택터(140)가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 조립체(133)에 형성된 상기 접점부(134)를 접점 또는 그 접점을 해제시킬 정도의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습동슬롯(134)은, 대략 장방형의 홈 형상으로 가공 형성되어 상기 컨택터(140)가 삽입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택터 조립체(130)는, 상기 접점부(134)의 접점 및 그 접점의 해제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형성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50)에 결합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택터 조립체(130)는, 상기 복수개의 습동슬롯(134)에 상기 복수개의 컨택터(140)를 개별 삽입 수용한 후, 상기 복수개의 컨택터(140)를 상기 인쇄회로기판(150)에 결합시키는 것을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하여 매개하는 것이다.
상기 습동슬롯(134)에 수용되는 컨택터(140)의 종류로는, 사용자가 상기 회전 노브(115)를 조작하여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는 동안에만 상기 윈도우를 개방 또는 폐쇄 작동시키는 매뉴얼 모드용 컨택터(140a~140c)와, 사용자가 상기 회전 노브(115)를 조작하여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면 차후 다른 신호가 인가되기 전까지 상기 윈도우를 계속적으로 개방시키거나 계속적으로 폐쇄시키도록 작동시키는 오토 모드용 컨택터(140d)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100)의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객 또는 운전자가 상기 상부 스위치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회전 노브(115) 중 개방 또는 폐쇄시키고자 하는 윈도우와 관련된 회전 노브(115)를 힌지(115')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회전 노브(115)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 조립체(133)의 습동슬롯(134)에 안착된 상기 컨택터(14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상기 접점부(134)를 접점시키면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시킨다.
다음으로, 승객 또는 운전자가 작동시킨 상기 컨택터(140)가 매뉴얼 모드용 컨택터(140a~140c)인 경우 미도시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승객 또는 운전자가 상기 회전 노브(115)를 놓게 되면 상기 습동슬롯(134) 내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접점부(134)의 접점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접점부(134)가 접점되는 경우에는 상기 윈도우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접점부(134)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상기 윈도우의 개방 또는 폐쇄 작동을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승객 또는 운전자가 작동시킨 상기 컨택터(140)가 오토 모드용 컨택터(140d)인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대로 상기 윈도우의 개방 또는 폐쇄 작동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스위치 어셈블리 110: 상부 스위치 본체
115: 회전 노브 115': 힌지
116: 이동단부 120: 하부 스위치 본체
130: 컨택터 조립체 131: 상부 조립체
131a: 관통슬릿 133: 하부 조립체
134: 습동슬롯 135: 접점부
140a~140d: 컨택터 150: 인쇄회로기판

Claims (4)

  1. 차실로 노출되게 배치된 상부 스위치 본체와;
    상기 상부 스위치 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는 동작으로 그 하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컨택터를 각각 습동시키는 복수개의 회전 노브와;
    상기 복수개의 컨택터가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컨택터가 각각 습동되는 동작으로 전기적 접점 또는 그 접점이 해제되도록 접점부가 형성된 컨택터 조립체와;
    상기 컨택터 조립체가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상부 스위치 본체와 결합되되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하부 스위치 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택터 조립체는,
    상기 접점부가 상부면에 형성된 하부 조립체와;
    상기 하부 조립체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 노브의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슬릿이 형성된 상부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조립체에는, 상기 접점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컨택터가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습동되는 공간인 습동슬롯이 형성된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택터 조립체는,
    상기 접점부의 접점 및 그 해제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형성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
KR1020100082599A 2010-08-25 2010-08-25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 KR101171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599A KR101171559B1 (ko) 2010-08-25 2010-08-25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599A KR101171559B1 (ko) 2010-08-25 2010-08-25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018A KR20120022018A (ko) 2012-03-09
KR101171559B1 true KR101171559B1 (ko) 2012-08-06

Family

ID=4613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599A KR101171559B1 (ko) 2010-08-25 2010-08-25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5172A2 (de) 2014-04-11 2015-10-1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usgleicher für die knopfbedien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132B1 (ko) * 2012-04-17 2013-09-09 주식회사 대동 스위치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431B1 (ko) * 2000-07-27 2002-12-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KR100511408B1 (ko) 2003-02-12 2005-08-3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파워윈도우 스위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431B1 (ko) * 2000-07-27 2002-12-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KR100511408B1 (ko) 2003-02-12 2005-08-3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파워윈도우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5172A2 (de) 2014-04-11 2015-10-1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usgleicher für die knopfbedie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018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27207B (zh) 电动工具用开关
US9249605B2 (en) Door lock apparatus
KR20010062571A (ko) 복합 스위치장치
KR101171559B1 (ko)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
JP2013177056A (ja) 車両用サンルーフにおける開閉スイッチ装置
KR200468483Y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200470874Y1 (ko) 운전석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0471416Y1 (ko) 차량용 다방향 스위치 장치
JP2010113978A (ja) 自動車室内用のプッシュ式スイッチ
JP4592456B2 (ja) タンブラスイッチ
US11201023B2 (en) Change-over switch and switch device
KR101582738B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100070936A (ko)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1110451B1 (ko) 슬라이더 유니트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0460533Y1 (ko)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
KR20100028777A (ko)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KR101602142B1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US9324516B2 (en) Click module and operation switch
KR102474828B1 (ko) 회전 손잡이 구조를 갖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JP4185576B2 (ja) スイッチ装置
KR20160028915A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KR20110028994A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080008486A (ko) 버스의 플랩도어 핸들 시스템
JP6249485B2 (ja) スイッチ装置
JP4110590B2 (ja) 自動車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