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571A - 복합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스위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62571A KR20010062571A KR1020000079510A KR20000079510A KR20010062571A KR 20010062571 A KR20010062571 A KR 20010062571A KR 1020000079510 A KR1020000079510 A KR 1020000079510A KR 20000079510 A KR20000079510 A KR 20000079510A KR 20010062571 A KR20010062571 A KR 200100625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window
- window glass
- knob
- seat sid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herein some or all of the operating members actuate different combinations of the contact sets, e.g. ten operating members actuating different combinations of four contact s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01H13/56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making use of a heart shaped ca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021/225—Operating parts, e.g. handle with push-pull operation, e.g. which can be pivoted in both directions by pushing or pulling on the same extremity of the operating memb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01H23/164—Driving mechanisms with rectilinearly movable member carrying the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Application power window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4도어의 전환 이외에 창유리 등의 윈도우 로크·언로크하는 스위치를 겸비하고, 또한 윈도우조작스위치가 적고, 비용을 줄인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파워윈도우스위치는, 자동차의 각 창유리를 상승·하강하기 위한 윈도우조작스위치(3)와, 각각의 창유리의 전환을 하는 전환스위치(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환스위치(2)는, 유리를 윈도우 로크·언로크하는 로크스위치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일의 노브로 복수의 스위치기능을 겸비한 복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각 창유리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파워윈도우스위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에 탑재되어 있는 각 창유리 개폐작동용의 파워윈도우스위치는, 적어도 개폐조작할 수 있는 수만큼의 윈도우조작스위치를 구비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예컨대, 4도어의 차량의 운전석측에 설치되는 파워윈도우스위치에는 각 도어의 창유리를 개폐조작하는 4개의 노브와, 로크용의 노브와 도어로크용 노브가 설치되어 있고, 노브의 수가 많아 파워윈도우스위치 전체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설치하는 암레스트 등은, 파워윈도우스위치가 크기 때문에 대형화함과 동시에, 도어의 측면으로부터 차실내측에 크게 돌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종래의 파워윈도우스위치의 문제점인 윈도우조작스위치의 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종래의 파워윈도우스위치로서는, 예컨대 실개소60-73141호공보에 개시된 고안이 있다. 이 파워윈도우스위치는, 개폐조작을 하는 창문을 선택하는 4방향 경사이동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선택스위치와, 창유리를 상승·하강시키는 개폐스위치로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전술한 종래 기술의 파워윈도우스위치의 전환스위치는, 4도어의 4개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환전용의 스위치 이며, 그 이상의 수를 전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단일박스타입이나 스테이션 웨건타입의 자동차와 같이 상승·하강조작하는 창유리가 6개 있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6개의 창유리를 상승·하강하는 윈도우조작스위치를 파워윈도우스위치에 배열설치한 경우, 노브의 수 증가와 함께, 케이스전체가 커지고, 암레스트등에 설치하기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4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전환스위치는, 케이스의 윗면에서 크게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잘못하여 접촉하는 등, 오조작을 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4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전환스위치는, 조작노브가 함께 4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노브이며, 차량에 있어서 제일 사용빈도가 높은 운전석측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조작이 가장 조작하기 쉽도록 되어 있지 않아 긴급시에 순간적으로 조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4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전환스위치를 더욱 많은 6방향으로 경사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전환조작하는 방향이 많아져,오조작을 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4개의 창유리의 전환조작 이외에, 창유리 등의 윈도우 로크·언로크하는 스위치를 겸비하고, 또한 노브가 적고, 비용을 저감한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개의 노브로 복수의 스위치기능을 겸비함으로써,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를 삭감하여 비용을 저감한 복합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전기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 케이스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화살 표시 X-X선 방향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도시한 노브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판스프링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도시한 스위치 유니트의 확대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도시한 윈도우 조작스위치의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5,10,22,37 : 전환스위치 2a,2b,2c,2d,2e,5a,5b : 접점포지션
6,7,11,12,30a,30b,39,40,41,42 : 윈도우조작스위치
21 : 케이스 21a : 설치부
21g : 축구멍 21h : 숨은 구멍
21i : 삽통구멍 22e : 조작부
22f : 조작막대 22g : 하트캠
22h : 절결홈 221 : 노브
24 : 요동체 24g,24h : 절도면
25 : 판스프링 26 : 로크핀
27,34,35 : 스위치 유니트 27a : 제1슬라이드축
27b : 제1슬라이드축 27c : 전환스위치부
27d : 윈도우로크스위치부 29 : 절도스프링
28 : 절도체 30a,39 : 제1윈도우조작스위치
30b,40 : 제2윈도우조작스위치 30f,30g,37a : 노브
33 : 가동체 33b : 제1절결홈
33c : 제2절결홈 30d : 조작부
33 : 가동체 33b : 제1절결홈
34a,34b,35a,35b : 슬라이드축 34c : 정회전측스위치부
34d : 반전측스위치부 35a,35b : 슬라이드축
35c : 정회전측스위치부 35d : 반전측스위치부
41 : 제3윈도우조작스위치 42 : 제4윈도우조작스위치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의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며, 청구항 1의 발명은, 자동차의 각 창유리를 상승·하강하기 위한 윈도우조작스위치와, 각각의 창유리의 전환조작을 하는 전환스위치를 구비한 파워윈도우를 조작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로크스위치기능을 겸비하여 이루어진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조작스위치는, 1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환스위치는, 1개의 스위치 노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개폐작동시키는 창유리를 선택하기 위한 각 접점 포지션과, 창유리의 개폐작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접점 포지션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로타리스위치의 스위치 노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접점포지션과,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윈도우로크용 접점 포지션, 상기 윈도우 로크용의 접점 포지션의 우측 옆에 운전석측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운전석측용 접점 포지션, 상기 운전석측용의 접점 포지션의 우측옆에 뒷좌석우측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뒷좌석우측용의 접점 포지션, 상기 윈도우 로크용의 접점 포지션의 좌측 옆에 조수석측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시킬 수 있기 위한 조수석용의 접점 포지션, 상기 조수석용의 접점 포지션의 좌측 옆에 뒷좌석좌측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뒷좌석좌측용의 접점 포지션을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조작스위치는, 좌우에 설치한 2개의 스위치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환스위치는, 1개의 스위치 노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조작하는 창유리의 앞좌석측과 뒷좌석측의 선택을 함과 동시에, 가압조작함으로써 개폐하는 창유리의 개폐작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앞좌석측과 뒷좌석측을 선택하는 2개의 접점 포지션의 전환을 하는 로타리스위치와,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푸쉬 버튼스위치를 겸비하여 이루어진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전환조작하는 앞좌석측의 창유리와 뒷좌석측의 창유리를 선택하기 위하여 2방향으로 경사를 이루어 전환을 하는 스위치와,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하는 스위치를 겸비하여 이루어진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자동차의 각 창유리를 상승·하강하기 위한 윈도우조작스위치와, 상기 윈도우조작스위치로 상승·하강시키는 창유리를 선택하여, 전환조작하는 전환스위치를 구비한 파워윈도우를 조작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상승·하강시키는 앞좌석측의 창유리와 뒷좌석측의 창유리를 선택하기 위하여 2방향으로 노브를 경사지게 하여 전환을 하는 시소스위치와,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능·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노브를 눌러 전환하는 푸쉬로크스위치의 기능을 겸비하여 이루어진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상기 전환스위치의 노브가 기립한 상태일 때에 앞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접점 포지션에 있어, 상기 전환스위치의 노브가 경사진 상태의 때에 뒷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접점 포지션에 있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제1열, 제2열 및 제3열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파워윈도우를 조작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제1열좌석측, 제2열좌석측 및 제3열좌석측의 창유리를 각각 상승·하강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윈도우조작스위치와, 제3 및 제4윈도우조작스위치로 상승·하강시키는 제2열좌석 및 제3열좌석의 창유리를 선택하여 전환조작하는 전환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9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상승·하강시키는 제2열좌석측의 창유리와 제3열좌석측의 창유리를 선택하기 위하여 2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전환을 하는 시소스위치와,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것을 불능·가능하게 하는 푸쉬로크스위치의 기능을 겸비하여 이루어진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상기 전환스위치의 노브가 기립한 상태일 때에 제2열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접점 포지션에 있고, 상기 노브가 경사진 상태일 때에 제3열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접점 포지션에 있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스위치 유니트를 작동시키는 조작막대를 아래면에 돌출설치하여, 1개의 조작부에서 가압조작과 요동조작을 할수 있는 노브와, 상기 노브의 조작막대를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통하게 하고, 또한 케이스에 요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한 요동체와, 상기 조작막대를 끼워 통하게 하는 삽통구멍을 형성한 상기 케이스와, 상기 노브의 조작막대에 형성한 절결홈에 걸어맞춤하는 제1 및 제2슬라이드축의 이동으로 작동하는 복수의 스위치부를 가지는 스위치 유니트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조작막대의 측면에 하트캠을 가지고, 상기 요동체는 상기 하트캠에 걸어멈춤하는 로크핀과 상기 로크핀을 가압하는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또한 절도(節度) 스프링에 가압된 절도체가 눌려접하는 절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노브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가지며, 상기 설치부내에는, 상기 삽통구멍과, 상기 절도스프링을 유지하는 숨은 구멍을 형성하는 대략 통형상의 돌기와, 상기 요동체를 축지지하는 축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2 또는 13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형성한 절결홈은, 상기 노브를 가압조작하였을 때에 상기 제1슬라이드축이 공(空)이동하는 세로홈과, 이 세로홈에 연이어 설치하여 상기 노브를 가압조작하였을 때에 상기 제2슬라이드축을 눌러 이동시키는 경사홈과, 상기 노브를 요동조작하였을 때에 상기 제2슬라이드축을 공이동시키는 언더컷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아래면에 스위치 유니트를 작동시키는 조작부를 돌출설치하고, 요동하는 노브를 가지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조작부에 설치하여, 상기 2개의 스위치 유니트를 작동시키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에 형성한 제1절결홈에 걸어맞춤하는 슬라이드축의 이동으로 작동하는 스위치 유니트와, 상기 가동체에 형성한 제2절결홈에 걸어맞춤하는 슬라이드축의 이동으로 작동하는 다른 스위치 유니트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도 1 및 도 2)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하 도 1 및 도 2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상술한다.
1은, 자동차의 파워윈도우스위치의 케이스이며, 로타리스위치겸 푸쉬 버튼스위치로 이루어지는 모드전환스위치(2)와, 창유리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시소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윈도우조작스위치(3)와의 2개의 윈도우조작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윈도우조작스위치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합쳐서 배열설치한다. 상기 케이스(1)는, 운전석도어의 암레스트 등에 심어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는, 윈도우조작스위치의 개수가 적기 때문에, 케이스(1) 전체를 소형화할 수가 있고,상기 케이스(1)를 설치하는 암레스트도 슬림화할 수가 있다.
상기 모드전환스위치(2)는, 5개의 전환을 하는 접점 포지션(2a,2b,2c,2d,2e)을 가지는 로타리스위치이다.
상기 접점 포지션(2a)(RR)은, 뒷좌석우측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조작하기 위한 조작위치이다. 상기 접점포지션(2b)(Dr)은, 운전석측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조작하기 위한 조작위치이다. 상기 접점 포지션(2c)(W/L ON)은, 운전석측 이외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을 불가능하게 하는 윈도우 로크하기 위한 조작위치이다. 상기 접점 포지션(2d)(ASST)는, 조수석측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조작하기 위한 조작위치이다. 상기 접점 포지션(2e)(RL)는, 뒷좌석좌측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조작하기 위한 조작위치이다.
상기 모드전환스위치(2)는, 차실내의 각 자리의 위치에 맞추어 접점 포지션 (2a,2b,2c,2d,2e)을 배치하고 있다. 즉 상기 모드전환스위치(2)는, 중앙에 윈도우 로크용의 상기 접점 포지션(2c)(W/L ON), 상기 접점 포지션(2c)(W/L ON)의 우측옆에 운전석측용의 상기 접점 포지션(2b)(Dr), 상기 점접 포지션(2b)(Dr)의 우측옆에 뒷좌석우측용의 상기 접점 포지션(2a)(RR), 상기 접점 포지션(2c)(W/L ON)의 좌측 옆에 조수석용의 상기 접점 포지션(2d)(Asst), 상기 접점 포지션(2d)(Asst)의 좌측 옆에 뒷좌석좌측용의 상기 접점 포지션(2e)(RL)을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모드전환스위치(2)는, 각 접점 포지션(2a,2b,2c,2d,2e)을 차실내의 좌석의 위치에 맞추어 배치한 것으로, 윈도우조작스위치를 보지않더라도 블라인드터치조작할 수가 있다.
상기 윈도우조작스위치(2)는, 축부(3b)를 중심으로 위방향으로 끌어올림 조작 및 상기 축부(3b)를 중심으로 아랫방향으로 밀어 내림 조작하여 요동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스위치이며, 상기 위방향 및 아래방향으로 2단조작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3c는, 라이팅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ON 하면 노브조명하는 야간조명램프 또는 스위치 ON 하고 있는 동안만 노브조명하는 작동표시램프의 빛으로 조명하는 조명표시부이다.
다음에 도 2에 근거하여 전기회로에 관해서 상술한다.
도 2에 있어서, 1은 전기회로를 수납한 파워윈도우스위치의 케이스이며, 도어의 암레스트 등에 설치된다. 모터 M1은, 운전석측의 도어본체내에 설치하고, 조수석측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제어하는 모터제어부(15)를 통해 CPU(14)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모터 M2는, 조수석측의 도어본체내에 설치하여, 조수석측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제어하는 모터제어부(16)를 통해 CPU(14)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모터 M3은, 뒷좌석좌측의 도어본체내에 설치하여, 뒷좌석좌측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제어하는 모터제어부(17)를 통해, CPU(14)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M4는, 뒷좌석우측의 도어본체내에 설치하고, 뒷좌석우측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제어하는 모터제어부(18)를 통해 CPU(14)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전환스위치(2)는, 전술한 접점 포지션(2a,2b,2c,2d,2e)을 구비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각 접점 포지션(2a,2b,2c,2d,2e)은 일끝단을 CPU(14)에 접속하여, 다른 끝단을 어스하고 있다. 윈도우조작스위치(3)는, 상승용접점(3d)과, 하강용접점(3e)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접점(3d,3e)은, 한쪽을 CPU(14)에 접속하고, 다른쪽을 각각 어스하고 있다.
예컨대, 모드전환스위치(2)를 운전석측용의 접점 포지션(2b)에 조작하여, 또한 윈도우조작스위치(3)의 윈도우조작스위치를 위방향으로 1단 끌어올림 조작하면, 윈도우조작스위치를 제1단으로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상승용접점(3d)이 고정접점에 접촉하여 모터 M1이 회전하고, 운전석측의 창유리가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조작스위치로부터 손을 떼면, 상승용접점(3d)이 원래의 OFF 위치에 자동복귀하여, 모터 M1이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는 창유리가 정지한다.
또한 윈도우조작스위치(3)의 스위치를 노브위방향으로 2단 끌어올림 조작하면, 윈도우조작스위치는 제2단에 조작한 상태를 모터제어부(15)내의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않음)으로 유지 또는 그 전기회로상태를 릴레이(도시하지 않음)로 유지하여, 상승접점(3d)이 고정접점에 계속 접촉하고 있어, 운전석측의 창유리가 완전히 상승한 위치까지 작동을 지속한다. 그리고, 창유리가 자동적으로 상승하여 완전히 상승하면, 윈도우조작스위치(3)의 상승용접점(3d)이 OFF가 되어, 모터 M1이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던 창유리가 정지한다.
또한, 모드전환스위치(2)를 운전석측용의 접점 포지션(2b)에 조작하고, 또한 윈도우조작스위치(3)의 윈도우조작스위치를 아래방향으로 1단 가압조작하면 윈도우조작스위치를 제1단에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하강용접점(3e)이 고정접점에 접촉하여 모터 M1이 반전하고, 운전석측의 창유리가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조작스위치로부터 손을 떼면, 하강용접점(3e)이 원래의 OFF 위치로 자동복귀하고, 모터M1이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는 창유리가 정지한다.
또한, 윈도우조작스위치(3)의 윈도우조작스위치를 아래방향으로 2단가압조작하면, 윈도우조작스위치는 제2단으로 조작한 상태를 모터제어부(15)내의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않음)로 유지 또는 그 전기회로상태를 릴레이(도시하지 않음)로 유지하여, 하강접점(3e)이 고정접점으로 계속 접촉하고, 운전석측의 창유리가 완전히 하강한 위치까지 작동을 지속한다. 그리고, 창유리가 자동적으로 하강하여 완전히 창유리가 개방되면, 윈도우조작스위치(3)의 하강용접점(3e)이 OFF가 되고, 모터 M1이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는 창유리가 정지한다.
또한, 모드전환스위치(2)를 다른 접점 포지션(2a,2d,2e)에 조작함으로써, 다른 도어의 창유리를 전술한 것과 같이 개폐조작할 수가 있다. 예컨대, 모드전환스위치(2)를 접점 포지션(2a)(RR)으로 하면, 뒷좌석우측의 창유리를 조작할 수가 있다.
또한, 모드전환스위치(2)를 접점 포지션(2d)(ASST)으로 하면, 조수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할 수가 있다. 또한, 모드전환스위치(2)를 접점 포지션(2e)(RL)으로 하면, 뒷좌석좌측의 창유리를 조작할 수가 있다. 또한, 모드전환스위치(2)를 접점 포지션(2c)(W/L ON)로 하면, 운전석측 이외에 설치된 파워윈도우스위치의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고, 창유리의 상승·하강을 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이 윈도우조작스위치를 2개로 한 것으로, 윈도우조작스위치 등의 수를 삭감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는, 뒷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삭감한 것으로, 앞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려고 하였을 때에 뒷좌석측의 창유리용의 윈도우조작스위치로 잘못알고 오조작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위치 전체가 소형인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도 3)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하 도 3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상술한다.
4는, 자동차의 파워윈도우스위치의 케이스이며, 로타리스위치겸 푸쉬 버튼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전후전환과 창유리의 윈도우 로크·언로크를 하는 전환스위치 (5)와, 앞좌석측 또는 뒷좌석측의 좌측의 창유리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시소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좌측윈도우조작스위치(6)와, 앞좌석측 또는 뒷좌석측의 우측의 창유리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시소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우측윈도우조작스위치 (7)와, 도어를 자물쇠로 채우고·여는 도어로크스위치(8)의 4개의 노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4)는, 운전석측의 도어의 암레스트 등에 심어 설치된다. 상기 4개의 노브는 차량의 전후방향에 맞추어 배치하고 있다.
상기 전환스위치(5)는, 앞좌석측과 뒷좌석측의 창유리의 개폐용의 2개의 접점 포지션(5a,5b)을 가지고 전환을 하는 로타리스위치와, 가압조작함으로써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윈도우 로크용의 푸쉬 버튼스위치의 기능을 겸비하여, 예컨대 1개의 노브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점 포지션(5a)(F)은, 앞좌석측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조작하기 위한 전환접점부이다. 상기 접점 포지션(5b)(R)은, 뒷좌석측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조작하기 위한 전환접점부이다. 상기 전환스위치(5)는, 접점 포지션(5a)(F)을 차량 전방 방향측으로 설치하고, 접점 포지션(5b)(R)을 차량후방 방향측으로 맞추어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좌석측 및 구성측의 전환조작을 블라인드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전환스위치(5)는, 가압조작부(5c)를 가압조작함으로써, 운전석측 이외에 설치된 파워윈도우스위치의 창유리의 개폐조작을 불가능하게 한다.
상기 좌우의 윈도우조작스위치(6,7)는, 축부(6b,7b)를 중심으로 위방향으로 끌어올림 조작 및 상기 축부(6b,7b)를 중심으로 아래방향으로 밀어 내림 조작하여 요동하는 노브를 구비한 스위치이며, 상기 위방향 및 아래방향으로 2단조작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6c,7c,8a는, 야간조명램프 또는 작동표시램프의 빛으로 조명하는 조명표시부이다.
예컨대, 전환스위치(5)를 접점 포지션(5a)(F)에 조작하고, 또한 상기 우측윈도우조작스위치(7)의 노브를 위방향으로 1단 끌어올림 조작하면, 상기 노브를 제1단으로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운전석측의 창유리가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노브로부터 손을 떼면, 원래의 OFF 위치에 자동복귀하여, 모터가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는 창유리가 정지한다.
또한 우측윈도우조작스위치(7)의 노브를 위방향으로 2단 끌어올림 조작하면, 노브는 제2단으로 조작한 상태를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않음)로 유지 또는 그 전기회로상태를 릴레이(도시하지 않음)로 유지하여, 운전석측의 창유리가 완전히 상승한 위치까지 작동을 지속한다. 그리고, 창유리가 완전히 자동적으로 닫히면, 윈도우조작스위치(7)가 OFF 위치가 되어, 모터가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는 창유리가 정지한다.
또한, 전환스위치(5)를 접점 포지션(5b)(R)으로 조작하고, 또한 좌측윈도우조작스위치(6)의 노브를 아래방향으로 1단 가압조작하면, 노브를 제1단에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뒷자리좌측의 창유리가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노브로부터 손을 떼면, 원래의 OFF 위치로 자동복귀하고, 모터가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는 창유리가 정지한다.
또한 좌측윈도우조작스위치(6)의 노브를 아래방향으로 2단가압조작하면, 노브는 제2단에 조작한 상태를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않음)로 유지 또는 그 전기회로상태를 릴레이(도시하지 않음)로 유지하여, 뒷좌석좌측의 창유리가 완전히 하강한 위치까지 작동을 지속한다. 그리고, 창유리가 완전히 자동적으로 개방되면, 좌측윈도우조작스위치(6)는 OFF 위치가 되고, 모터가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는 창유리가 정지한다.
또한, 도어로크스위치(8)를 가압조작함으로써, 전좌석의 도어가 로크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이 노브를 앞좌석용과 뒷좌석용을 통합하여 4개로 한 것으로, 노브 등의 수를 삭감하여 비용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앞좌석측과 뒷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통합한 것으로, 앞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려고 할 때에 뒷좌석측의 창유리로 잘못알고 조작하게 되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위치 전체가 소형의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한편, 전술한 전환스위치(5)는, 로타리스위치의 노브와, 푸쉬 버튼스위치의노브를 별개로 형성하여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전환스위치(5)의 노브는, 앞좌석측과 뒷좌석측의 창유리 개폐용의 2개의 접점 포지션(5a,5b)을 가지는 로타리노브의 중간측에,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윈도우 로크용의 푸쉬 버튼스위치의 노브를 배치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도 4)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하 도 4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상술한다.
9는, 자동차의 파워윈도우스위치의 케이스이며, 시소스위치겸 푸쉬 버튼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상기 전환겸윈도우로크스위치로서의 전환스위치(10)와, 앞좌석측 또는 뒷좌석측의 좌측의 창유리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2단조작가능한 좌측윈도우조작스위치(11)와, 앞좌석측 또는 뒷좌석측의 우측의 창유리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2단조작가능한 우측윈도우조작스위치(12)와, 도어를 자물쇠로 채우고 여는 도어로크스위치(13)의 4개의 노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9)는, 운전석측의 도어의 암레스트 등에 심어 설치된다. 상기 4개의 노브는, 차량의 전후방향에 맞추어 배치하고 있다.
상기 전환스위치(10)는, 전후각각의 창유리의 개폐를 하기 위하여 앞좌석측 (10b)(FRONT)으로 뒷좌석측(10c)(REAR)의 전후 2방향위치로 요동하는 시소스위치와, 노브의 중앙부의 가압조작부(10a)를 가압조작함으로써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윈도우 로크용의 푸쉬 버튼스위치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상기 전환스위치(10)는, 앞좌석(10b)(FRONT)에 요동조작하면 앞좌석측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전환스위치(10)는, 뒤좌석측(10c) (REAR)에 요동조작하면, 뒷좌석측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전환스위치(10)는, 가압조작부(10a)를 가압조작함으로써, 운전석측 이외에 설치된 파워윈도우스위치의 창유리의 개폐조작을 불가능하게 한다.
상기 좌우의 윈도우조작스위치(11,12)는, 축부(11b,12b)를 중심으로 위방향으로 끌어올림 조작 및 상기 축부(11b,12b)를 중심으로 아래방향으로 밀어 내림 조작하여 요동하는 노브를 구비한 스위치이며, 상기 위방향 및 아래방향으로 2단조작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11c, 12c, 13a는, 야간 조명램프 또는 작동표시램프의 빛으로 조명하는 조명표시부이다.
예컨대, 전환스위치(10)를 앞좌석측(10b)(FRONT)에 요동조작하여, 또한 상기 우측윈도우조작스위치(12)의 노브를 위방향으로 1단 끌어올림 조작하면, 노브를 제1단으로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모터가 회전하여 운전석측의 창유리가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노브로부터 손을 떼면, 원래의 OFF 위치로 자동복귀하고, 모터가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는 창유리가 정지한다.
또한 우측윈도우조작스위치(12)의 노브를 위방향으로 2단 끌어올림 조작하면, 노브는 제2단으로 조작한 상태를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않음)로 유지 또는 그 전기회로상태를 릴레이(도시하지 않음)로 유지하여, 운전석측의 창유리가 완전히 상승한 위치까지 작동을 지속한다. 그리고, 창유리가 자동적으로 완전히 닫히면, 노브가 OFF 위치가 되고, 모터가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는 창유리가 정지한다.
또한, 전환스위치(10)를 뒷좌석측(10c)(REAR)에 조작하여, 또한 좌측윈도우조작스위치(11)의 노브를 아래방향으로 1단가압조작하면, 노브를 제1단에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뒷자리좌측의 창유리가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노브로부터 손을 떼면, 원래의 OFF 위치로 자동복귀하고, 모터가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는 창유리가 정지한다.
또한 좌측윈도우조작스위치(11)의 노브를 아래방향으로 2단가압조작하면, 노브는 제2단으로 조작한 상태를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않음)로 유지 또는 그 전기회로상태를 릴레이(도시하지 않음)로 유지하여, 조수석측의 창유리가 완전히 하강한 위치까지 작동을 지속한다. 그리고, 창유리가 자동적으로 완전히 개방되면, 좌측윈도우조작스위치(11)가 OFF 위치로 되고, 모터가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는 창유리가 정지한다.
또한, 도어로크스위치(13)를 가압조작함으로써, 전좌석의 도어가 로크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이 노브를 4개로 하여, 노브 등의 수를 삭감한 것으로 비용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는, 앞좌석측과 뒷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통합한 것으로, 앞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려고 하였을 때에 뒷좌석측의 창유리로 잘못아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위치 전체가 소형의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한편, 전술한 전환스위치(10)는, 전·후방향과, 중립위치의 3가지의 위치에 지지되는 시소스위치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전환스위치(10)의 노브는, 전후방향으로 경사졌을 때의 앞좌석측(10b)(FRONT)과 뒷좌석측(10c)(REAE)의창유리 개폐용의 2개의 접점 포지션과,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윈도우 로크용의 접점 포지션을 노브의 중립위치에 배열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도 5 내지 도 11)
이하, 도 5 내지 도 11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4 실시형태를 상술한다.
본원에 있어서의 제 4 실시형태는, 4개의 창유리를 상승·하강하는 자동차용 파워윈도우스위치이다.
21은, 자동차의 파워윈도우스위치의 케이스이며, 예컨대 노브(221)를 설치하는 제1설치부(21a), 제2설치부(21b), 제3설치부(21c) 및 제4설치부(21d)를 가진다. 상기 케이스(21)는, 운전석측 도어의 암레스트 등에 심어 설치된다.
상기 제1설치부(21a)에는, 후술하는 푸쉬로크스위치와 시소스위치의 기능을 겸비한 전환스위치(22)의 조작막대(22f)와, 요동체(24)가 설치된다. 상기 제1설치부(21a) 내에는, 요동체(24)를 축지지하는 축부(21g)와, 조작막대(22f)를 요동이 자유롭게 끼워 통하게 하는 삽통구멍(21i)과, 절도스프링(29)을 삽입하는 숨은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받이구멍(21h)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받이구멍 (21h)은, 절도스프링(29)이 삽입되는 통형상의 돌기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전환스위치(22)는, 노브(221)를 가압조작함으로써 창유리를 로크·언로크하는 윈도우 로크스위치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전환스위치(22)는, 노브 (221)를 요동조작함으로써, 후술하는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 및 제2윈도우조작스위치(30b)를 앞좌석의 운전석측 및 조수석측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조작용과, 뒷좌석의 우측 및 좌측석용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제2설치부(21b)에는, 예컨대 시소스위치로 이루어지는 도어로크스위치 (36)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로크스위치(36)는, 노브(36a)를 요동조작함으로써 도어를 자물쇠로 채우고 여는 스위치의 기능을 가진다.
상기 제3설치부(21c)에는, 2단 시소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가 설치된다. 상기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는, 노브(30f)를 제1단으로 가압조작함으로써, 운전석측 또는 뒷좌석우측의 창유리를 메뉴얼로 하강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의 노브(30f)를 제2단까지 가압조작하면, 운전석측 또는 뒷좌석우측의 도어의 창유리를 자동적으로 전체 하강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제1 및 2윈도우조작스위치(30a,30b)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30f,30g)를 위방향으로 끌어올림 조작하면, 축부(21e,21f)를 중심으로 요동하고, 노브(30f,30g)를 아래방향으로 밀어 올려 조작하면, 상기 축부(21e,21f)를 중심으로 요동하는 스위치이며, 상기 위방향 및 아래방향으로 2단조작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는, 제1단으로 끌어올림 조작함으로써, 운전석측 또는 뒷좌석우측의 창유리를 메뉴얼로 상승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의 노브(30f)를 제2단까지 끌어올림 조작하면, 운전석측 또는 뒷좌석우측의 창유리를 자동적으로 전체 상승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제4설치부(21d)에는, 2단 시소스위치로 이루어지는 노브(30g)를 가지는제2윈도우조작스위치(30b)가 설치된다. 상기 제2윈도우조작스위치(30b)는, 노브 (30g)를 제1단의 가압조작함으로써, 조수석측 또는 뒷좌석좌측의 창유리를 메뉴얼로 하강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2윈도우조작스위치(30b)의 노브(30g)를 제2단까지 가압조작하면, 조수석측 또는 뒷좌석좌측의 창유리를 자동적으로 전체 하강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제2윈도우조작스위치(30b)는, 노브(30g)를 제1단으로 끌어올림 조작함으로써, 조수석측 또는 뒷좌석좌측의 창유리를 메뉴얼로 상승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2윈도우조작스위치(30b)의 노브(30g)를 제2단까지 끌어올림 조작하면, 조수석측 또는 뒷좌석좌측의 창유리를 자동적으로 전체 상승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케이스(21)는, 종래의 자동차용 파워윈도우스위치와 비교하여 윈도우조작스위치의 개수가 적기 때문에, 케이스(21) 전체를 소형화할 수가 있고, 상기 케이스(21)를 설치하는 암레스트도 슬림화할 수가 있다. 제2윈도우조작스위치 (30a,30b)는, 차량에 있어서의 창유리의 배치위치에 맞추어 상기 케이스(21)에 배치한다.
상기 전환스위치(2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221)의 가압조작에 있어서, 상승한 위치에 있는 경우가 창유리를 언로크하는 접점 포지션(22a)에 있다. 상기 전환스위치(22)는, 노브(221)의 가압조작에 있어서, 하강한 위치에 있는 경우가 창유리를 로크하는 접점 포지션(22b)에 있다.
상기 전환스위치(22)는, 노브(221)의 요동조작에 있어서, 수직한 위치에 있는 경우가 제1 및 제2윈도우조작스위치(30a,30b)를 앞좌석의 운전석측 및 조수석측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조작할 수 있는 접점 포지션(22c)에 있다. 상기 전환스위치 (22)는, 이 접점 포지션(22c)에 있을 때, 뒷좌석측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조작할 수는 없다.
상기 전환스위치(22)는, 노브(221)의 요동조작에 있어서, 경사진 위치에 있는 경우가 제1 및 제2윈도우조작스위치(30a,30b)를 뒷좌석의 우측 및 좌측석측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을 할수 있는 접점 포지션(22d)에 있다. 상기 전환스위치(22)는, 이 접점 포지션(22d)에 있을 때, 앞좌석측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조작을 할 수 없다.
상기 전환스위치(22)의 노브(22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에 조작부(22e)를 형성하고, 아래쪽에 푸쉬로크용의 하트캠(22g) 및 절결홈(22h)을 가지는 조작막대(22f)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부(22e)와 조작막대(22f)를 일체로 하여 이루어진다. 전환스위치(22)는, 노브(221)를 자동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23)을 통해 요동체(24)에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조작막대(22f)는, 요동체(24)의 관통구멍(24c)에 끼워 통하게 하여 선단의 절결홈(22h)을 스위치 유니트(27)의 제1 및 제2슬라이드축(27a,27b)에 걸어맞춤하고 있다. 상기 요동체(24)는, 축구멍(24d)을 케이스(21)의 설치부(21a)에 형성한 축부(21g)에 축맞춤함으로써, 상기 축부(21g)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노브(221)와 함께 요동한다.
상기 절결홈(22h)은, 스위치 유니트(27)의 제1슬라이드축(27a)이 걸어맞춤하는 세로홈(22i)을 선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세로홈(22i)에 연속하여 스위치 유니트(27)의 제2슬라이드축(27b)이 걸어맞춤하는 경사홈(22j)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슬라이드축(27a)은, 상기 노브(221)를 가압조작하였을 때에 상기 세로홈 (22i) 내를 공이동한다. 상기 경사홈(22j)은, 상기 노브(221)를 가압조작하였을 때에 상기 제2슬라이드축(27b)을 눌러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세로홈(22i)과 경사홈 (22j)의 교차하는 곳에는, 상기 노브(221)를 요동조작하였을 때에 상기 제2슬라이드축(27b)을 공이동시키는 언더컷(22m)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복귀스프링(23)은, 노브(221)를 위쪽에서 가압시켜 하트캠(22g)이 로크핀(26)에 눌려접하고, 전환스위치(22)를 ON 위치 또는 OFF 위치에 걸어멈춤하게 하기 위한 코일스프링이다. 상기 복귀스프링(23)은, 상단을 도 8에 나타내는 유지부 (22k)에 걸어맞춤하고, 하단을 도 5에 나타내는 유지부(24e)에 걸어맞춤하여 부착되어 있다. 상기 유지부(22k,24e)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스프링(23)의 단부가 느슨하게 끼워지는 돌기와, 바퀴형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지부(22k)는, 전환스위치(22)의 노브(221)의 중앙에 형성한 조작막대(22f)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유지부(24e)는, 요동체(24)의 중앙에 형성한 관통구멍(24c)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하트캠(22g)은, 상기 조작막대(22f)의 측면에, 일체로 성형하거나 또는 별개로 형성한 것을 고정부착하고 있다. 상기 하트캠(22g)에는, 상기 판스프링(25)에 항상 가압된 로크핀(26)의 선단이 눌려접하여 전환스위치(22)를 ON 위치 및 OFF 위치에 유지한다.
상기 하트캠(22g)을 눌러접하는 로크핀(26)은, 금속제 막대 형상부재로 이루어지며, 일끝단을 상기 판스프링(25)에 눌러접하여, 요동체(24)에 뚫어 설치한 가로구멍(24a)을 끼워 통하게 하고, 상기 하트캠(22g)에 눌러접하고 있다.
상기 로크핀(26)을 누르는 판스프링(25)은, 탄성을 가지고 상기 로크핀(26)을 탄력적으로 누르는 스프링부(25a)와, 상기 판스프링(25)을 요동체(24)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부(25b)로 이루어진다. 상기 판스프링(25)은, 상기 스프링부(25a)를 요동체(24)에 형성한 세로구멍(24b)에 삽입하여 유지된다.
한편, 판스프링(25)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25b')를 가지는 판스프링(25')이어도 좋다. 상기 고정부(25b')는, 케이스(21')의 설치부(21a')내에 설치한 판형상부(21c')에 눌러끼움으로써, 판스프링(25')을 부착하기 위한 탄성부이다. 부고정부(25b')는, 판형상부(21c')를 덮고, 또한 눌러접하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요동체(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측면에 형성한 축구멍(24d)을 케이스(21)의 축부(21g)에 축맞춤함으로써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아래면부에 형성한 절도산(24f)에, 절도스프링(29)에 가압된 절도체(28)가 눌러접하고 있다. 상기 요동체(24)는, 절도산(24f)의 경사면(24g)에 절도체(28)가 눌러접함으로써, 전환스위치(22)의 노브(221)가 수직한 접점 포지션(22c)에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요동체(24)는, 절도산(24f)의 경사면(24h)에 절도체(28)가 눌러접함으로써, 노브(221)가 기울어진 접점 포지션(22d)에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절도스프링(29)은, 전환 스위치(22)의 설치부(21a) 내에 형성한 스프링받이구멍(21h)에 삽입하여 지지된다.
스위치유니트(27)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면을 바닥판(31)에 돌출형성한 유지돌기(31a,31b) 사이에 끼워맞춤함과 동시에, 위쪽으로 돌출형성한 복수의 단자(27o)를 기판(32)의 스루홀(32a)에 삽입하고 납땜고정하여 소정위치에 고정된다.
도 10은, 스위치 유니트(27)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27)는, 전환스위치(22)의 노브(221)를 앞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앞좌석측용의 포지션과 뒷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뒷좌석측용의 포지션으로 전환하는 전환스위치부(27c)와, 창유리를 로크·언로크하는 윈도우 로크스위치부 (27d)를 일체로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슬라이드축(27a,27b)은, 접점스프링(27e,27f) 및 스틸볼(27g,27h)을 삽입하여 지지하는 통체로 이루어지며, 판형상의 슬라이더(27r,27s)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축(27a,27b)은, 선단부분을 덮개부재(27l)의 긴구멍(27m)을 끼워 통하게 하여 상기 조작막대(22f)의 절결홈(22h)에 걸어맞춤하고, 측면을 복귀스프링(27y,27y)으로 탄력적으로 누르고 있다. 상기 접점스프링 (27e,27f)은, 스틸볼(27g,27h)을 통해 접점판(27i,27j)을 가압하고 있다. 상기 복귀스프링(27y,27y)은, 일끝단을 제1 및 제2 슬라이드축(27a,27b)에 걸어맞춤하고, 다른 끝단을 스위치케이스(27k)의 내벽에 눌러접하고 있다.
접점판(27i,27j)은, 공통접점(27p,27q)에 형성한 ㄷ자형상의 절결홈에 중앙부분을 걸어맞춤함으로써,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덮개부재(27l)가끼워맞춤하는 스위치케이스(27k)에는, 상기 공통접점(27p,27q)과, 상기 접점판 (27i,27j)이 접촉하는 고정접점(27t,27u,27v,27w)과, 단자(27o)를 인써트성형하고 있다. 한편, 고정접점(27v)은, 전환스위치(22)의 윈도우 로크스위치부(27d)가 OFF일 때에 접점판(27j)이 접촉하는 접점이기 때문에 없어도 좋다.
덮개부재(271)는, 접점스프링(27e,27f)에 가압된 제1 및 제2슬라이드축 (27a,27b)을 유지하여, 스위치케이스(27k)의 개구부를 밀폐한다.
전환스위치(22)의 노브가 상승한 접점 포지션(22a)의 상태에 있을 때는, 제2슬라이드축(27b)이 경사홈(2j)의 아래쪽에 있고, 상기 제2슬라이드축(27b)이 도 5 및 도 10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한 윈도우 로크스위치부(27d)가 OFF의 상태에 있다. 이 때, 제1슬라이드축(27a)은, 조작막대(22f)의 세로홈(22i)의 아래쪽의 위치에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스위치(22)의 노브(221)를 가압조작하면, 윈도우 로크스위치부(27d)가 ON 하는 접점 포지션(22b)으로 바뀐다. 상기 전환스위치(22)의 노브 (221)가 하강하면, 제2슬라이드축(27b)은, 경사홈(22j)에 가압되어,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접점판(27j)은, 상기 접점판(27j)을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공통접점(27p)을 중심으로 하여 반대측으로 요동하고, 윈도우 로크스위치부 (27d)가 ON으로 바뀐다. 이 때, 제1슬라이드축(27a)은, 조작막대(22f)의 세로홈 (22i)의 위쪽 위치에 있다.
전환스위치(22)의 노브(221)가 수직한 상태의 접점 포지션(22c)에 있을 때는, 제1슬라이드축(27a)이 도 5 및 도 10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 앞좌석측의창유리를 조작할 수 있는 앞좌석용 접점 포지션(22c)의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스위치(22)의 노브(221)를 뒷좌석측용의 접점 포지션(22d)으로 요동조작하면, 제1, 및 제2윈도우조작스위치(30a,30b)에서 조작할 수 있는 창유리가 뒷좌석측으로 바뀐다. 상기 전환스위치(22)의 노브(221)가 제2접점 포지션 (22d)측으로 경사지면, 제1슬라이드축(27a)은, 세로홈(22i)의 가장자리에 가압되어,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접점판(27i)은, 상기 접점판(27i)을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공통접점(27q)을 중심으로하여 반대측으로 요동하여, 전환스위치부(27c)가 뒷좌석측용으로 바뀐다. 이 때, 제2슬라이드축(27b)은, 경사홈(22j) 내를 공이동한다.
다음에 도 7 및 도 11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윈도우조작스위치(30a,30b)의 스위치구조를 상술한다. 제1 및 제2윈도우조작스위치(30a,30b)의 스위치구조는, 동일구조로 이루어지며, 이하 제1조작스위치(30a)의 스위치구조에 관해서만 상술한다.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는, 가동체(33)에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조작막대 (30d)를 형성하여, 축구멍(30e)을 축부(21f)에 축맞춤함으로써, 케이스(21)에 요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하고 있다.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의 노브(30f) 내에는, 조명표시부(30c)를 조명하기 위한 야간조명램프(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조명표시부(30c)는, 불투명한 노브(30f)에 광도체를 2중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작막대(30d)는, 선단부(30)를 가동체(33)의 연결부(33a)에 끼워부착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체(33)는,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의 노브(30f)와 같이, 축구멍(30e)을 중심으로하여 요동한다.
상기 가동체(33)는 2개 나열하여 설치한 앞좌석측용 스위치 유니트(34)와 뒷좌석측용 스위치 유니트(35)의 슬라이드축(34a,34b,35c,35b)에 각각 걸어맞춤하는 제1절결홈(33b)과 제2절결홈(33c)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앞좌석측용 스위치 유니트(34) 및 뒷좌석측용 스위치 유니트(35)는, 상술한 스위치 유니트(27)와 대략 동일구조의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앞좌석측 및 뒷좌석측용 스위치 유니트(34,35)는, 상기 조작막대(30d)를 중심으로 전후의 위치에 배치함과 동시에, 스위치 유니트(27)와 같이 아래쪽을 바닥판(31)에 끼워맞춤하여, 위쪽을 기판(32)에 고정하고 있다.
앞좌석측 및 뒷좌석측용 스위치 유니트(34,35)내에 설치한 복귀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은, 제1 및 제2윈도우조작스위치(30a,30b)의 노브(30f,30g)를 OFF 위치에 자동복귀시키는 스프링으로 겸용하고 있다. 한편, 제1 및 제2윈도우조작스위치 (30a,30b)의 조작력을 강하게 하고 싶은 경우는, 슬라이드축(34a,34b,35a,35b)의 양측에 복귀스프링을 배치하면 좋다.
앞좌석 및 뒷좌석측용 스위치 유니트(34,35)는, 슬라이드축(34a,35a)이 작동하여 창유리를 하강시키는 측이 정회전측스위치부(34c,35c)이고, 슬라이드축 (34b,35b)이 작동하여 창유리를 상승시키는 측이 반전측스위치부(34d,35d)이다. 예컨대,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의 노브(30f)를 화살표 E 방향으로 끌어올림 조작하면, 가동체(33)는, 축구멍(30e)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한다. 앞좌석 및 뒷좌석측용 스위치 유니트(34,35)는, 가동체(33)에 유도되어 슬라이드축(34a,34b,35a,35b)이 화살표 I방향으로 이동하여 정회전측스위치부(34c,35c)가 ON 하여 창유리가 상승한다.
이 때, 상승하는 창유리는, 전환스위치(22)의 노브(221)가 앞좌석측의 접점 포지션(22c)에 있는 경우는, 앞좌석측용 스위치 유니트(34)만이 작동하여, 운전석측의 창유리가 상승한다. 그리고, 전환스위치(22)의 노브(221)가 뒷좌석측의 접점 포지션(22d)에 있는 경우는, 뒷좌석측용 스위치 유니트(35)만이 작동하여, 뒷좌석우측의 창유리가 상승한다.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의 노브(30f)를 화살표 F 방향으로 가압조작하면, 가동체(33)는, 축구멍(30e)을 중심으로하여 화살표 H방향으로 회전한다. 앞좌석 및 뒷좌석측용 스위치 유니트(34,35)는, 가동체(33)에 유도되어 슬라이드축(34a,34b, 35a,35b)이 화살표 J 방향으로 이동하여 반전측스위치부(34d,35d)가 ON 하여 창유리가 하강한다.
이 때, 하강하는 창유리는, 전환스위치(22)의 노브(221)가 앞좌석측의 접점 포지션(22c)에 있는 경우는, 앞좌석측용 스위치 유니트(34)만이 작동하여, 운전석측의 창유리가 하강한다. 그리고, 전환스위치(22)의 노브(221)가 뒷좌석측의 접점 포지션(22d)에 있는 경우는, 뒷좌석측용 스위치유니트(35)만이 작동하여, 뒷좌석우측의 창유리가 하강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이며, 다음에 작동을 상술한다.
예컨대, 모드전환을 하는 전환스위치(22)를 노브(221)가 수직한 상태의 접점포지션(22c)으로 조작하면,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는 운전석측의 창문개폐용으로, 제2윈도우조작스위치(30b)는 조수석측의 창문개폐용의 제어기로 바뀐다. 창문개폐용의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의 노브(30f)를 위방향으로 1단 끌어올림 조작하면,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의 노브(30f)를 제1단으로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상승용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하여 모터가 회전하고, 운전석측의 창유리가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의 노브(30f)에서 손을 떼면, 상승용 가동접점이 원래의 OFF 위치로 자동복귀하고, 모터가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는 창유리가 정지한다.
또한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의 노브(30f)를 위방향으로 2단 끌어올림 조작하면,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의 노브(30f)는 제2단으로 조작한 상태를 모터제어부내의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않음)로 유지 또는 그 전기회로상태를 릴레이(도시하지 않음)로 유지하고, 상승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계속 접촉하여, 운전석측의 창유리가 완전히 상승한 위치까지 작동을 지속한다. 그리고, 창유리가 자동적으로 상승하여 완전히 상승하면, 상승용 가동접점이 OFF 되어, 모터가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는 창유리가 정지한다.
그리고, 전환스위치(22)의 노브(221)를 그대로 앞좌석측용의 접점 포지션 (22c)으로 해두고,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의 노브(30f)를 아래방향으로 1단가압조작하면, 노브(30f)를 제1단으로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하강용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하여 모터가 반전하여, 운전석측의 창유리가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의 노브(30f)에서 손을 떼면, 하강용 가동접점이 원래의 OFF위치로 자동복귀하고, 모터가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는 창유리가 정지한다.
또한,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의 노브(30f)를 아래방향으로 2단가압조작하면, 노브(30f)는 제2단으로 조작한 상태를 모터제어부내의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않음)로 유지 또는 그 전기회로상태를 릴레이(도시하지 않음)로 유지하여, 하강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계속 접촉하고, 운전석측의 창유리가 완전히 하강한 위치까지 작동을 지속한다. 그리고, 창유리가 자동적으로 하강하여 완전히 창유리가 개방되면, 하강용 가동접점이 OFF 되어, 모터가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는 창유리가 정지한다.
또한, 전환스위치(22)의 노브(221)를 뒷좌석측조작용의 접점 포지션(22d)으로 조작함으로써,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0a)에서 뒷좌석우측의 창유리, 제2윈도우조작스위치(30b)에서 뒷좌석좌측의 창유리를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조작할 수가 있다.
또한, 전환스위치(22)의 노브(221)를 가압조작하여 접점 포지션(22a)에서 접점 포지션(22b)으로 하면, 운전석측 이외의 각 도어의 창유리를 로크하여, 창유리의 개폐조작을 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이 전환스위치(22)를 푸쉬로크스위치와 시소스위치의 기능을 겸비시키고, 파워윈도우스위치의 제1 및 제2윈도우조작스위치(30a,30b)를 앞좌석측용과 뒷좌석측용에 전환하고, 또한 윈도우 로크의 기능을 갖도록 한 것으로, 윈도우조작스위치등의 수를 삭감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는, 뒷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삭감한것이고, 앞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려고 하였을 때에 뒷좌석측의 창유리용의 윈도우조작스위치와 잘못알고 조작하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위치전체가 소형의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도 12)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5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하에 도 12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5 실시형태를 상술한다.
본원에 있어서의 제 5 실시형태는, 단일 박스타입이나 스테이션 웨건타입등의 자동차에 알맞은 3열이며 6개의 창유리를 상승·하강하는 자동차용 파워윈도우스위치이다.
한편, 본원에 있어서의 제 5 실시형태로, 전환스위치(37)는, 전술한 제 4 실시형태의 전환스위치(22)와 동일구조이고, 노브(37a)가 접점포지션(22c)일 때가 제2열좌석용의 접점 포지션, 노브(37a)가 접점 포지션(22d)일 때가 제3열좌석용의 접점 포지션인 것이 제 4 실시형태와 다르다. 그리고, 도어로크스위치(38)는, 제 4 실시형태의 도어로크스위치(36)와 용도 및 구조가 동일하다.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9), 제2윈도우조작스위치(40), 제3윈도우조작스위치(41) 및 제4윈도우조작스위치(42)의 스위치구조는, 전술한 제1 및 제2윈도우조작스위치(30a,30b)의 스위치구조와 동일하고 용도만이 다르다.
상기 전환스위치(37)는, 제2열의 창유리의 개폐를 하기 위하여 제2열좌석측의 접점 포지션(37b), 제3열좌석측의 접점 포지션(37c)의 전후2방향의 위치에 요동하는 노브(37a)를 구비한 시소스위치와, 노브(37a)의 중앙부의 가압조작부(37d)를가압조작함으로써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윈도우 로크용의 푸쉬 버튼스위치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43은, 자동차의 파워윈도우스위치의 케이스이며, 전환스위치(37), 제1 내지 제4윈도우조작스위치(39,40,41,42) 및 도어로크스위치(38)의 6개의 노브(37a,38a, 39a,40a,41a,42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43)는, 예컨대 운전석측의 암레스트에 심어 설치된다. 상기 4개의 제1 내지 제4윈도우조작스위치(39,40,41,42)는 차체의 전후방향과, 제1열좌석 내지 제3열좌석에 맞추어 배치하고 있다.
전환스위치(37)는, 시소스위치겸 푸쉬로크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전후전환겸 윈도우로크스위치이다. 도어로크스위치(38)는, 도어를 자물쇠로 채우고 여는 스위치이다. 제1윈도우조작스위치(39)는 운전석측의 창유리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전용스위치이고, 위방향 및 아래방향으로 2단조작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윈도우조작스위치(40)는, 조수석측의 창유리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전용스위치이다. 제3 및 제4윈도우조작스위치(39,40)는, 종래의 파워윈도우스위치와 같이 전술한 조작부에 1개의 스위치 유니트를 배치하고 있다.
제3윈도우조작스위치(41)는, 제2열좌석측 또는 제3열좌석측의 우측의 창유리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제4윈도우조작스위치(42)는, 제2열좌석측 또는 제3열좌석측의 좌측의 창유리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제3 및 제4윈도우조작스위치(41,42)의 조작막대에는, 전술한 제 4 실시형태와 같이 2개의 스위치 유니트를 작동시키는 가동체를 가지고 있다. 즉, 도 11에 나타내는 스위치구조와 동일하고, 도 11에 나타내는 앞좌석측용 스위치 유니트(34)를 제2열좌석용의 스위치유니트로서 사용하고, 뒷좌석측용 스위치 유니트(35)를 제3열좌석용의 스위치 유니트로서 사용한다.
예컨대, 전환스위치(37)의 노브(37a)를 제2열좌석측의 접점 포지션(37b)으로 조작하고, 또한 상기 좌측석용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제4윈도우조작스위치(42)의 노브(42a)를 위방향으로 끌어올림 조작하면, 노브(42a)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모터가 회전하여 제2열좌석좌측의 창유리가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노브(42a)에서 손을 떼면, 원래의 OFF 위치에 자동복귀하고, 모터가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는 창유리가 정지한다.
또한, 전환스위치(37)의 노브(37a)를 제3열측의 접점 포지션(37c)으로 조작하고, 또한 우측좌석용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제3윈도우조작스위치(41)의 노브(41a)를 아래방향으로 가압조작하면, 상기 제3윈도우조작스위치(41)의 노브(41a)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제3열우측좌석측의 창유리가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제3윈도우조작스위치(41)의 노브(41a)에서 손을 떼면, 원래의 OFF 위치로 자동복귀하고, 모터가 정지하여 작동하고 있는 창유리가 정지한다.
또한, 도어로크스위치(38)의 노브(38a)를 가압조작함으로써, 전좌석의 도어가 로크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이 6개의 창유리를 윈도우 로크스위치를 겸용한 전환스위치(37)를 포함해서 5개의 노브(37a,39a,40a,41a, 42a)에서 조작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윈도우조작스위치도 수를 삭감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는, 제2열좌석측과 제3열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통합한 것으로, 스위치 전체가 소형의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구성·작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자동차의 각 창유리를 상승·하강하기 위한 윈도우조작스위치와, 각각의 창유리의 전환조작을 하는 전환스위치를 구비한 파워윈도우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로크스위치 기능을 겸비한 것으로, 파워윈도우스위치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소형으로 윈도우조작스위치 수가 적고, 낮은 비용의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파워윈도우스위치는, 전체의 길이 및 폭을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망위치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조작스위치는 1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환스위치는, 1개의 스위치 노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개폐작동시키는 창유리를 선택하기 위한 각 접점 포지션과, 창유리의 개폐작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접점 포지션을 가지는 것으로, 2개의 스위치로 전후좌우의 창유리의 상승·하강과, 창유리 및 도어의 자물쇠를 채우고 열 수가 있는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그리고, 종래 6개 있는 파워윈도우스위치의 윈도우조작스위치를 2개로 할 수 있고,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암레스트를 슬림화하여, 도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를 짧게 하여 차실내의 공간을 쾌적히 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조작스위치의 개수를 줄인 것으로, 부품점수 및 조립부착 공정수를 대폭 삭감하여 비용을 저감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로타리스위치의 스위치노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접점포지션은, 중앙에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윈도우 로크용의 접점 포지션, 상기 윈도우 로크용의 접점 포지션의 우측옆에 운전석측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운전석측용의 접점 포지션, 상기 운전석측용의 접점 포지션의 우측옆에 뒷좌석우측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뒷좌석우측용의 접점 포지션, 상기 윈도우 로크용의 접점 포지션의 좌측 옆에 조수석측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조수석용의 접점 포지션, 상기 조수석용의 접점 포지션의 좌측 옆에 뒷좌석좌측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뒷좌석좌측용의 접점 포지션을 배치한 것으로, 모드전환스위치의 각 접점 포지션을 차실내의 좌석의 위치에 맞추어 배치할 수 있고, 윈도우조작스위치를 보지 않더라도 블라인드터치조작할 수가 있는 조작성의 양호한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조작스위치는, 좌우에 설치한 2개의 스위치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환스위치는 1개의 스위치노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조작하는 창유리의 앞좌석측과 뒷좌석측을 선택함과 동시에, 가압조작함으로써 개폐하는 창유리의 개폐작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2개의 윈도우조작윈도우조작스위치로 전후좌우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을 하여, 1개의 윈도우조작스위치로 창유리의 윈도우 로크 언로크와 상승·하강하는 창유리의 전환을 할 수 있는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기능을 저감시키지 않고, 부품점수 및 조립 공정수를 삭감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스위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앞좌석측과 뒷좌석측을 선택하는 2개의 접점 포지션의 전환을 하는 로타리스위치와,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푸쉬 버튼스위치를 겸비한 것으로, 1개의 로타리윈도우조작스위치로 창유리의 윈도우 로크·언로크와 상승·하강하는 창유리의 전환을 할 수가 있는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파워윈도우스위치의 스위치기능을 저감시키지 않고, 부품점수 및 조립부착 공정수를 삭감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전환조작을 하는 앞좌석측의 창유리와 뒷좌석측의 창유리를 선택하기 위하여 2방향으로 경사지게 전환을 하는 스위치와,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를 겸비한 것으로, 1개의 시소윈도우조작스위치로 창유리의 윈도우로크·언로크와 상승·하강하는 창유리의 전환을 할 수 있는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기능을 저감시키지 않고서, 부품점수 및 조립부착 공정수를 삭감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자동차의 각 창유리를 상승·하강하기 위한 윈도우조작스위치와, 상기 윈도우조작스위치로 상승·하강시키는 창유리를 선택하여, 전환조작하는 전환스위치를 구비한 파워윈도우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상승·하강시키는 앞좌석측의 창유리와 뒷좌석측의 창유리를 선택하기 위하여 2방향으로 노브를 경사지게 전환하는 시소스위치와, 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능·가능하게 하도록 노브를 눌러 전환하는 푸쉬로크스위치와의 기능을 겸비한 것으로, 윈도우조작스위치의 수가 적고, 컴팩트하고 저렴한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상기 전환스위치의 노브가 기립한 상태일 때에 앞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접점 포지션에 있고, 상기 전환스위치의 노브가 경사진 상태일 때에 뒷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접점 포지션에 있는 것으로, 전환스위치의 노브의 방향을 사용빈도의 제일 높은 앞좌석측의 제1윈도우조작스위치를 조작할 때의 접점 포지션에 있을 때, 노브의 조작이 하기 쉬운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제1열, 제2열 및 제3열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파워윈도우를 조작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제1열좌석측, 제2열좌석측, 및 제3열좌석측의 창유리를 각각 상승·하강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윈도우조작스위치와, 제3 및 제4윈도우조작스위치로 상승·하강시키는 제2열좌석 및 제3열좌석의 창유리를 선택하여 전환조작하는 전환스위치를 구비한 것으로, 제1열, 제2열 및 제3열의 창유리를, 상기 창유리의 수보다 적은 노브로써 상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6개의 창유리를 조작할 수 있는 단일 박스타입 및 스테이션 웨건타입 등의 창유리가 많은 차량에 최적의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빈도가 제일 높고, 또한 순간에 조작할 필요가 있을 때도 있는 운전석측의 창유리가 있는 제1열좌석측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조작을 하는 제1 및 제2윈도우조작스위치를 전환조작하지않은 독립한 스위치로 한 것으로, 제1열의 운전석측의 창유리를 항상 순간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안전운전에 소홀함이 없이, 스위치의 수를 줄여 스위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9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상승·하강시키는 제2열좌석측의 창유리와 제3열좌석측의 창유리를 선택하기 위하여 2방향으로 경사지게하여 전환을 하는 시소스위치와,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능·가능하게 하는 푸쉬로크스위치의 기능을 겸비한 것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제1열좌석의 윈도우조작스위치를 독립한 전용조작스위치로 하여, 비교적 사용빈도가 낮은 제2열좌석과 제3열좌석의 윈도우조작스위치를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시소스위치와 푸쉬스위치를 겸비시킨 것으로, 파워윈도우스위치에 있어서의 스위치를 삭감하여 스위치전체를 소형화하여 암레스트 등이 좁은 적당한 곳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상기 전환스위치의 노브가 기립한 상태일 때에 제2열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접점 포지션에 있어, 상기 노브가 경사진 상태일 때에 제3열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접점 포지션에 있는 것으로, 제3열좌석측보다 사용빈도가 높은 제2열좌석측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을 조작하는 접점 포지션에 있어서 겸용의 윈도우 로크스위치의 조작을 사용빈도에 따라서 조작하여 쉽게 할 수가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스위치 유니트를 작동시키는 조작부를 아래면에 돌출설치하여, 1개의 조작부에서 가압조작과 요동조작을 할 수 있는 노브와, 상기 노브의 조작막대를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통하게 하고, 또한 케이스에 요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한 요동체와, 상기 조작부를 끼워 통하게 하는 삽통구멍을 형성한 상기 케이스와, 상기 노브의 조작막대에 형성한 절결홈에 걸어맞춤하는 제1 및 제2슬라이드축의 이동으로 작동하는 복수의 스위치부를 가지는 스위치 유니트로 구성함으로써, 1개의 스위치로 가압조작과 요동조작을 할 수 있는 복합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고, 스위치의 개수, 및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를 삭감하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위치장치 전체를 소형화하여, 적당한 장소에 스위치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스위치를 요동체와 같이 요동하는 시소스위치의 기능과, 푸쉬로크스위치의 기능을 부여하여 다기능화하고, 1개의 스위치로 2개의 용도로 사용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기능을 가지는 복합스위치를 사용방법이 다른 요동조작과 가압조작으로 차별화시킨 것으로, 오조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조작막대의 측면에 하트캠을 가지고, 상기 요동체는 상기 하트캠에 걸어멈춤하는 로크핀과 상기 로크핀을 가압하는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또한 절도스프링에 가압된 절도체가 눌러접하는 절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노브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가지고, 상기 설치부내에는, 상기 삽통구멍과, 상기 절도스프링을 유지하는 숨은 구멍을 형성하는 대략 통형상의 돌기와, 상기 요동체를 축지지하는 축구멍을 형성한 것으로, 스위치를 요동조작과 푸쉬로크조작의 2개의 스위치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되고, 1개의 스위치를 각종의 복수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어, 스위치장치의 조작 노브를 삭감하여 스위치장치의 심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요동체를 요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하는 설치부내에 절도스프링 및 절도체를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숨은 구멍을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 숨은 구멍의 깊이 이상으로 두께가 있는 케이스의 숨은 구멍의 주변부위 및 상기 설치부를 얇은 두께의 재료로 수지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케이스 전체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재료의 양 및 재료비용을 삭감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종래의 케이스에 설치하고 있는 로크핀과 판스프링을 요동체에 설치한 것으로, 케이스에 로크핀을 가로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요동체의 주변부위의 케이스의 두께를 얇게 하여 스위치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2 또는 13기재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형성한 절결홈은, 상기 노브를 가압조작하였을 때에 상기 제1슬라이드축이 공이동하는 세로홈과, 이 세로홈에 연달아 설치하여 상기 노브를 가압조작하였을 때에 상기 제2슬라이드축을 눌러 이동시키는 경사홈과, 상기 노브를 요동조작하였을 때에 상기 제2슬라이드축을 공이동시키는 언더컷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푸쉬로크조작한 노브의 절결홈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제2슬라이드축을, 더욱 요동조작하였을 때에 공이동시키고 상기 제2슬라이드축으로 푸쉬로크스위치를 ON 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노브를 요동시켜 요동스위치도 ON 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노브의 조작막대에 세로홈과 경사홈과 언더컷으로 이루어지는 절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절결홈에 스위치 유니트의 제1 및 제2슬라이드축을 걸어맞춤시킨 것으로, 노브의 푸쉬로크조작의 움직임과 요동조작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전달하고, 또한 노브를 푸쉬로크조작하여, 더욱 요동조작하였을 때에, 제2슬라이드축이 절결홈에 걸리지 않고, 위화감없이 조작할 수 있는 조작성의 양호한 복합스위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아래면에 스위치 유니트를 작동시키는 조작부를 돌출설치하여, 요동하는 노브를 가지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조작부에 설치하여, 상기 2개의 스위치 유니트를 작동시키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에 형성한 제1절결홈에 걸어맞춤하는 슬라이드축의 이동으로 작동하는 스위치 유니트와, 상기 가동체에 형성한 제2절결홈에 걸어맞춤하는 슬라이드축의 이동으로 작동하는 다른 스위치 유니트로 구성한 것으로, 1개의 윈도우조작스위치로 복수의 스위치 유니트를 동시에 조작할 수가 있어, 스위치의 수를 삭감하여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노브의 수를 삭감하여 케이스를 소형화할 수 있고, 적당한 곳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5)
- 자동차의 각 창유리를 상승·하강하기 위한 윈도우조작스위치(3,6,7, 11,12, 30a,30b,39,40,41,42)이며, 각각의 창유리의 전환조작을 하는 전환스위치(2,4, 10,22,37)를 구비한 파워윈도우를 조작하는 스위치에 있어서,상기 전환스위치(2,5,10,22,37)는,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로크스위치기능을 겸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스위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조작스위치(3)는, 1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지고,상기 전환스위치(2)는, 1개의 스위치 노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개폐작동시키는 창유리를 선택하기 위한 각 접점 포지션(2a,2b,2d, 2e)이며, 창유리의 개폐작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접점 포지션(2c)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스위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2)는, 로타리스위치의 스위치 노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상기 각 접점 포지션(2a,2b,2d,2e)은, 중앙에 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윈도우 로크용의 접점 포지션(2c), 상기 윈도우 로크용의 접점 포지션(2c)의 우측옆에 운전석측의 창유리의 상승·하강시키기 위한 뒷좌석우측용 접점 포지션(2a), 상기 운전석측용의 접점 포지션(2b)의 우측옆에 뒷좌석우측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시키기 위한 조수석용 접점 포지션(2a), 상기 윈도우 로크용의 접점 포지션(2c)의 좌측옆에 조수석측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조수석용의 접점 포지션(2d), 상기 조수석용의 접점 포지션(2d)의 좌측옆에 뒷좌석좌측의 창유리를 상승. 하강시키기 위한 뒷좌석좌측용의 접점 포지션(2e)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스위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조작스위치(6,7,11,12)는, 좌우에 설치한 2개의 스위치를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환스위치(5,10)는, 1개의 스위치 노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조작하는 창유리의 앞좌석측과 뒷좌석측을 선택함과 동시에, 가압조작함으로써 개폐하는 창유리의 개폐작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스위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2)는, 앞좌석측과 뒷좌석측을 선택하는 2개의 접점 포지션(5a,5b)의 전환을 하는 로타리스위치와,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푸쉬 버튼스위치를 겸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스위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10,22,37)는, 전환조작하는 앞좌석측의 창유리와 뒷좌석측의 창유리를 선택하기 위해 2방향으로 경사지게 전환하는 스위치와,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를 겸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스위치.
- 자동차의 각 창유리를 상승·하강하기 위한 윈도우조작스위치(30a, 30b)와,상기 윈도우조작스위치(30a,30b)로 상승·하강시키는 창유리를 선택하여, 전환조작하는 전환스위치(22)를 구비한 파워윈도우를 조작하는 스위치에 있어서,상기 전환스위치(22)는, 상승·하강시키는 앞좌석측의 창유리와 뒷좌석측의 창유리를 선택할 2방향으로 노브(221)를 경사지게 전환을 하는 시소스위치와,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능·가능하게 할 노브(221)를 눌러 전환 푸쉬로크 스위치의 기능을 겸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스위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22)는, 상기 전환스위치(22)의 노브 (221)가 기립한 상태일 때에 앞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접점 포지션(22c)에 있고, 상기 전환스위치(22)의 노브(221)가 경사진 상태일 때에 뒷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접점 포지션(22d)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스위치.
- 제1열, 제2열 및 제3열의 창유리를 상승·하강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파워윈도우를 조작하는 스위치에 있어서,자동차의 제1열좌석측, 제2열좌석측 및 제3열좌석측의 창유리를 각각 상승·하강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윈도우조작스위치(39,40,41,42)와,제3 및 제4윈도우조작스위치(41,42)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제2열좌석 및 제3열좌석의 창유리를 선택하여 전환조작하는 전환스위치(3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스위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37)는, 상승·하강시키는 제2열좌석측의 창유리와 제3열좌석측의 창유리를 선택할 2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전환을 하는 시소스위치와,창유리를 개폐작동시키는 것을 불능·가능하게 하는 푸쉬로크 스위치의 기능을 겸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스위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37)는, 상기 전환스위치(37)의 노브 (37a)가 기립한 상태일 때에 제2열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접점 포지션(37b)에 있고, 상기 노브(37a)가 경사진 상태일 때에 제3열좌석측의 창유리를 조작하는 접점 포지션(37c)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스위치.
- 스위치유니트(27)를 작동시키는 조작막대(22f)를 아래면에 돌출설치하고, 하나의 조작부(22e)로 가압조작과 요동조작을 할 수 있는 노브(221)와,상기 노브(221)와, 조작막대(22f)를 상하이동 자유롭게 끼워 통하게 하고, 또한 케이스(21)에 요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한 요동체(24)와,상기 조작막대(22f)를 끼워 통하게 하는 삽통구멍(21i)을 형성한 상기 케이스(21)와,상기 노브(221)의 조작막대(22f)에 형성한 절결홈(22h)에 걸어맞춤하는 제1 및 제2슬라이드축(27a,27b)의 이동으로 작동하는 복수의 스위치부(27c,27d)를 가지는 스위치 유니트(7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스위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221)는, 조작막대(22f)의 측면에 하트캠(22g)을 가지며,상기 요동체(24)는, 상기 하트캠(22g)에 걸어멈춤하는 로크핀(26)과 상기 로크핀(26)에 힘을 더하는 판스프링(25)을 구비하고, 또한 절도스프링(29)에 가압된 절도체(28)가 눌러접하는 절도면(24g,24h)을 형성하고,상기 케이스(21)는, 상기 노브(221)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21a)를 가지며, 상기 설치부(21a)안에는, 상기 삽통구멍(21i)과, 상기 절도스프링(29)을 유지하는 숨은 구멍(21h)을 형성한 대략 통형상의 돌기와, 상기 요동체(24)를 축지지하는 축구멍(21g)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스위치.
-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막대(22f)에 형성한 절결홈 (22h)은, 상기 노브(221)를 가압조작했을 때에 상기 제1슬라이드축(27a)이 공이동하는 세로홈(22i)과,상기 세로홈(22i)에 연이어 설치하고 상기 노브(221)를 가압조작하였을 때에상기 제2슬라이드축(27b)을 눌러 이동시키는 경사홈(22j)과,상기 노브(221)를 요동조작하였을 때에 상기 제2슬라이드축(27b)을 공이동시키는 언더컷(22m)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스위치.
- 아래면에 스위치유니트(34,35)를 작동시키는 조작막대(30d)를 돌출설치하고, 요동하는 노브(30f)를 가지는 스위치(30a,30b,41,42)와,상기 스위치(30a,30b,41,42)의 조작막대(30d)에 설치하고, 상기 2개의 스위치유니트(34,35)를 작동시키는 가동체(33)와,상기 가동체(33)에 형성한 제1절결홈(33b)에 걸어맞춤하는 슬라이드축 (34a,34b)의 이동으로 작동하는 스위치유니트(34)이며,상기 가동체(33)에 형성한 제2절결홈(33c)에 걸어맞춤하는 슬라이드축 (35a,35b)의 이동으로 작동하는 다른 스위치유니트(3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6347499 | 1999-12-21 | ||
JP363474 | 1999-12-21 | ||
JP98202 | 2000-03-31 | ||
JP2000098202A JP2001243850A (ja) | 1999-12-21 | 2000-03-31 | 複合スイッチ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62571A true KR20010062571A (ko) | 2001-07-07 |
KR100719688B1 KR100719688B1 (ko) | 2007-05-17 |
Family
ID=26581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79510A KR100719688B1 (ko) | 1999-12-21 | 2000-12-21 | 복합 스위치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6833517B2 (ko) |
EP (1) | EP1111637B1 (ko) |
JP (1) | JP2001243850A (ko) |
KR (1) | KR100719688B1 (ko) |
DE (1) | DE60019712T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8856B1 (ko) * | 2006-08-29 | 2008-05-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파워윈도우의 락 스위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18720B1 (en) * | 2000-10-19 | 2003-02-11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Combination door unlock and trunk release mechanism |
JP2002347538A (ja) * | 2001-03-19 | 2002-12-04 | Alps Electric Co Ltd | 車載機器制御装置 |
FR2828707B1 (fr) * | 2001-08-14 | 2005-11-18 | Renault | Systeme de commande pour vitres electriques de vehicule automobile |
JP4583675B2 (ja) * | 2001-08-30 | 2010-11-17 | ナイルス株式会社 | スイッチ |
FR2840264B1 (fr) * | 2002-05-31 | 2005-12-02 | Delphi Tech Inc | Commande de leve-vitre a logique maitre-esclave |
DE10341887A1 (de) * | 2003-09-09 | 2005-03-31 | Leopold Kostal Gmbh & Co. Kg | Elektrisches Schaltermodul |
JP2005158492A (ja) * | 2003-11-26 | 2005-06-16 | Tokai Rika Co Ltd | パワーウインドスイッチ装置 |
JP2005273421A (ja) * | 2004-03-26 | 2005-10-06 | Honda Motor Co Ltd | パワーウィンドウシステム |
JP2005322466A (ja) * | 2004-05-07 | 2005-11-17 | Tokai Rika Co Ltd | 揺動スイッチ装置 |
US7268305B2 (en) * | 2005-02-10 | 2007-09-11 | Lear Corporation | Elastomeric vehicle control switch |
JP4652957B2 (ja) * | 2005-10-31 | 2011-03-16 | 東洋電装株式会社 | 車両用スイッチ制御装置 |
JP2008004322A (ja) * | 2006-06-21 | 2008-01-10 | Omron Corp | スイッチ |
EP1898437B1 (en) | 2006-09-05 | 2016-08-24 | Defond Components Limited | Electrical switch |
US8026784B2 (en) * | 2007-08-07 | 2011-09-27 | Hella Kgaa | Ganged power circuit switches for on-board electrical system in motor vehicles |
JP4596020B2 (ja) * | 2008-03-07 | 2010-12-08 | 株式会社デンソー | 車両用操作装置 |
KR200468483Y1 (ko) | 2008-12-29 | 2013-08-14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
US8786417B2 (en) | 2011-07-07 | 2014-07-22 | Kettering University | Vehicular window adjustment by means of a haptic-enabled rotary control knob |
JP6188397B2 (ja) | 2013-04-18 | 2017-08-30 |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 プッシュスイッチ |
JP2015030453A (ja) * | 2013-08-07 | 2015-02-16 |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パワーウインドウ装置 |
US9443669B2 (en) * | 2014-04-11 | 2016-09-13 | Eaton Corporation | Multi-purpose mounting for a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
US9552936B2 (en) | 2014-08-05 | 2017-01-24 | Valeo Japan Co., Ltd. | Push switch |
US10197980B2 (en) | 2014-12-16 | 2019-02-05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Power window control apparatus and system |
DE102017212906A1 (de) * | 2017-07-27 | 2019-01-31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Bedienelement für eine Fahrzeugtür |
CN109979773B (zh) * | 2019-04-28 | 2024-08-27 | 乐星汽车技术(无锡)有限公司 | 一种汽车的电动车窗开关及其使用方法 |
US10840041B1 (en) * | 2019-12-19 | 2020-11-17 | Ableton Ag | Multifunctional control element |
JP7397021B2 (ja) * | 2021-03-23 | 2023-12-1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スイッチユニット |
CN114274775A (zh) * | 2021-11-30 | 2022-04-05 | 合众新能源汽车有限公司 | 一种主驾驶玻璃升降开关系统 |
CN114454693A (zh) * | 2022-02-24 | 2022-05-10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前排中央扶手、汽车及车窗控制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49215A (en) | 1962-05-14 | 1964-09-15 | Automatic Elect Lab | Locking turn key with push button |
US4503595A (en) | 1983-08-31 | 1985-03-12 |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 Method for forming a braking piston for a disc brake |
DE8408935U1 (de) | 1984-03-23 | 1984-07-19 | Priesemuth, Wolfgang, 2210 Itzehoe | Elektrische Schaltvorrichtung |
US5329163A (en) * | 1987-08-01 | 1994-07-12 | Toyo Denso Kabushiki Kaisha | Auto-switch for power window |
DE4242100B4 (de) * | 1992-12-14 | 2004-02-05 | Abb Patent Gmbh | Elektrisches Schaltgerät |
US5291103A (en) * | 1992-12-21 | 1994-03-01 | Chrysler Corporation |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windows of vehicles |
US5331260A (en) * | 1993-01-11 | 1994-07-19 | Chrysler Corporation |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windows of vehicles |
JPH09161612A (ja) | 1995-12-08 | 1997-06-20 | Tokai Rika Co Ltd | パワーウインド用マスタスイッチ |
JP3967430B2 (ja) * | 1997-09-02 | 2007-08-29 | 東洋電装株式会社 | パワーウインド用モータ制御装置 |
DE19757231B4 (de) | 1997-12-22 | 2004-06-24 | Audi Ag | Multifunktions-Schalt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
-
2000
- 2000-03-31 JP JP2000098202A patent/JP2001243850A/ja active Pending
- 2000-12-20 DE DE60019712T patent/DE60019712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12-20 US US09/739,686 patent/US683351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12-20 EP EP00127874A patent/EP111163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12-21 KR KR1020000079510A patent/KR10071968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8856B1 (ko) * | 2006-08-29 | 2008-05-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파워윈도우의 락 스위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19688B1 (ko) | 2007-05-17 |
US6833517B2 (en) | 2004-12-21 |
DE60019712D1 (de) | 2005-06-02 |
JP2001243850A (ja) | 2001-09-07 |
US20010004044A1 (en) | 2001-06-21 |
DE60019712T2 (de) | 2006-01-19 |
EP1111637B1 (en) | 2005-04-27 |
EP1111637A3 (en) | 2003-07-09 |
EP1111637A2 (en) | 2001-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9688B1 (ko) | 복합 스위치장치 | |
RU1830152C (ru) | Клавиш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 |
EP2216201B1 (en) | Power seat control unit | |
GB2423190A (en) | A vehicle control switch assembly | |
US5442149A (en) | Switch apparatus for automobile | |
JP3064801B2 (ja) | 自動車用ドアロックスイッチ | |
KR100511408B1 (ko) | 파워윈도우 스위치 | |
KR100364431B1 (ko) | 자동차용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 |
KR200470874Y1 (ko) | 운전석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 |
US9410347B2 (en) | Short drop mechanism for vehicle door | |
JP2827906B2 (ja) | 車載用パワーウィンドスイッチ | |
KR100342409B1 (ko) | 파워윈도우의 락 스위치 | |
KR100342408B1 (ko) |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 |
KR100828856B1 (ko) | 파워윈도우의 락 스위치 | |
JP4467741B2 (ja) | パワーウィンドウ制御用操作部 | |
US20150068878A1 (en) | Click module and operation switch | |
JPH09102244A (ja) | パワーウィンドウスイッチ構造 | |
US7750262B2 (en) | Rocker switch | |
KR200433218Y1 (ko) | 위치 조절기능을 가진 자동차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피니셔 | |
JPH07335079A (ja) | 車載パワーウィンド用スイッチ | |
KR200182128Y1 (ko) | 도어록 스위치의 전원공급 터미널 조립구조 | |
JP2516066Y2 (ja) | スイッチ装置 | |
KR20070034791A (ko) | 파워윈도우 스위치 모듈 | |
KR100820466B1 (ko) | 자동차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구조 | |
JPH07320596A (ja) | 車載パワーウィンド用スイッ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