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375B1 - 다단 동작 스위치 - Google Patents

다단 동작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375B1
KR101097375B1 KR1020090082826A KR20090082826A KR101097375B1 KR 101097375 B1 KR101097375 B1 KR 101097375B1 KR 1020090082826 A KR1020090082826 A KR 1020090082826A KR 20090082826 A KR20090082826 A KR 20090082826A KR 101097375 B1 KR101097375 B1 KR 101097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contact portion
contact
elasti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710A (ko
Inventor
이근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090082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375B1/ko
Priority to PCT/KR2009/005445 priority patent/WO2011027927A1/ko
Priority to US12/587,636 priority patent/US20100140065A1/en
Priority to EP09013050.1A priority patent/EP2194551A3/en
Priority to CN200910211209A priority patent/CN101752123A/zh
Priority to JP2009261694A priority patent/JP2010135319A/ja
Publication of KR20110024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16Separate bridge contact
    • H01H2205/018Support points upwardly conca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16Collapsing to second stable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22Asymmetric; Elliptic; Squar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다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다단동작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조립공정이 단순하고 클릭 기능이 강화될 수 있으며 하나의 탄성판으로도 다단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다단 동작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동작 스위치는, 상면에 복수의 접점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안착되어 압력이 가해진 경우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부와 접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판을 포함하되, 탄성판은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안착고정되며 테두리가 경사지게 형성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내측 양단에 베이스부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접촉부와, 베이스부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접촉부와,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제2접촉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제1접촉부가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부에 접촉되고 이후 계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제2접촉부가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단, 스위치, 인쇄회로기판, 탄성판, 접촉부, 접점부

Description

다단 동작 스위치{MULTI-STEP OPERATION 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다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다단동작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분리된 접점 사이에서 압력을 받아 상하로 이동하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압력식 스위치는 접점과 접점 사이의 접촉에 의해 하나의 신호만을 제공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온-오프(on-off)제어를 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각종 가전기기의 소형화 추세 및 사용자의 기기조작의 편의성을 반영하여 스위치로 전달되는 압력의 변화에 의해 다양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스위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압력이 가해지면 형상의 변화를 일으키는 탄성판을 이용하여 탄성판의 변화에 따라 접촉되는 접점을 수개 설치하여 압력에 따라 접촉하는 접점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압력에 따른 다양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위치는 탄성판이 인쇄회로기판에 매입되어 고정되는바 그 제작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탄성판의 반전동작을 기준으로 다른 신호를 발생시키므로 탄성판의 반 전변형의 영역을 발생시키는 압력 부근에서는 스위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미세하게 조정해야 원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어 스위치의 속응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공정이 단순한 다단 동작 스위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릭 기능이 강화될 수 있는 다단 동작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탄성판으로도 다단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다단 동작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면에 복수의 접점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안착되어 압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부와 접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판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안착고정되며 테두리가 경사지게 형성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 양단에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제2접촉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접촉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부에 접촉되고 이후 계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동작 스위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소정형상의 홈이 복수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홈에 삽입고정되어 복수의 접점부를 형성하는 도전성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부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부에 상시 접촉되는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측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삽입홈에 삽입고정될 수 있는 삽입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탄성판의 상면을 감싸도록 부착되어 상기 탄성판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도록 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필름의 상부에 안착되되 양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어 상기 탄성판 및 보호필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시키는 프레임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동작 스위치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에 탄성판을 안착시켜 결합고정시킨 후 보호필름을 부착하고 프레임커버를 결합시키면 되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단순하며 제조비용도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탄성판에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부와 상시 접촉되는 절곡부가 형성됨으 로 인해 클릭 기능이 강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탄성판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순차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부와 접촉되는 복수의 접촉부가 형성됨으로 인해 하나의 탄성판으로도 스위치의 다단 동작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동작 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단 동작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동작 스위치는 인쇄회로기판(100), 탄성판(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보호필름(300) 및 프레임커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00), 탄성판(200), 보호필름(300), 프레임커버(400)가 순차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인쇄회로기판(100)은 상면에 복수의 접점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데, 도 2 내지 도 3c에는 예시적으로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에 4개의 접점부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쇄회로기판(100)은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 임(110) 및 도전성 단자(terminal)(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110)에는 소정형상의 홈(도시되지 않음)이 복수로 형성되고, 단자(120)는 프레임(110)의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단자(120)가 프레임(110)의 홈에 삽입고정되어 복수의 접점부를 형성하게 된다. 편의상 인쇄회로기판(100)의 접점부를 제1접점부(120a), 제2접점부(120b), 제3접점부(120c), 제4접점부(120d)로 명명하기로 한다.
한편, 인쇄회로기판(100)을 이루는 프레임(110)과 단자(120)가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탄성판(200)은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에 안착되어 결합되는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인쇄회로기판(100)의 접점부와 접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전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탄성판(200)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된 경우에는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어 접점부에서 이격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판(200)은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에 안착고정되며 테두리가 경사지게 형성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210)와, 베이스부(210)의 내측 양단에 베이스부(21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접촉부(220)와, 베이스부(210)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접촉부(230)와, 제1접촉부(220) 및 제2접촉부(230)를 연결하는 연결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210)는 테두리가 중심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베이스부(210)의 양단에는 인쇄회로기판(100)의 프레임(110)의 양측에 형성 된 삽입홈(112)에 삽입고정될 수 있는 삽입돌기(212)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12) 및 삽입돌기(212)를 형성하는 이유는 베이스부(210)가 인쇄회로기판(10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조립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함이다.
베이스부(210)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는 인쇄회로기판(100)의 접점부에 상시 접촉되는 절곡부(214)가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데, 베이스부(210)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형성된 절곡부(214)는 각각 인쇄회로기판(100)의 제1접점부(120a)와 제4접점부(120d)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절곡부(214)를 형성한 이유는 인쇄회로기판(100) 상에서 탄성판(2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또한 1차 클릭기능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제1접촉부(220)는 탄성판(200)에 압력이 가해질 때 하방으로 가압되어 인쇄회로기판(100)의 제1접점부(120a)에 접촉하게 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1접촉부(220)는 베이스부(210)의 내측 양단에서 중심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는데, 수평으로 형성되거나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이 제1접촉부(220)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연결부(240)는 제1접촉부(220)와 제2접촉부(2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접촉부(220)와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형성되거나 소정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촉부(230)는 직접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으로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제2접촉부(230)에 소정 압력이 가해지면 먼저 제1접촉부(220)가 인쇄회로기판(100)의 제1접점부(120a)에 접촉되고 제2접촉부(230)의 외측단이 제2접점 부(120b)에 접촉되며, 이후 계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제2접촉부(230)의 중앙부가 인쇄회로기판(100)의 제3접점부(120c)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보호필름(300)은 탄성판(200)의 상면을 감싸도록 부착되어 탄성판(200)이 인쇄회로기판(1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판(200)은 양단에 형성된 삽입돌기(212)가 프레임(11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112)에 삽입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100)에 고정되지만,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보호필름(300)이 부착된다. 더욱이, 탄성판(200)의 제2접촉부(230)에는 버튼에 의해 잦은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보호필름(300)은 탄성판(200)을 보호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보호필름(30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커버(400)는 보호필름(300)의 상부에 안착되며 인쇄회로기판(100)과 결합되어 그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판(200)과 보호필름(30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프레임커버(400)와 인쇄회로기판(100)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인쇄회로기판(100)의 테두리에 결합돌기(114)가 형성되고, 프레임커버(400)는 양 측단이 하방으로 연장되고 각각 결합돌기(114)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410)이 형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동작 스위치가 통신기기 등에 적용되는 경우 버튼이 탄성판을 가압할 수 있도록 프레임커버(400)의 면은 탄성판(200)의 제2접촉부(230)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절개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동작 스위치의 조립과정을 개 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프레임(110) 및 단자(120)로 이루어지는 인쇄회로기판(100)을 성형하고, 탄성판(200), 보호필름(300), 프레임커버(400)를 각각 별도로 성형한다.
성형된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에 탄성판(200)을 안착시키고 고정시킨다. 이 경우, 탄성판(200)의 양단에 형성된 삽입돌기(212)가 프레임(11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112)에 삽입되어 탄성판(200)이 고정되며, 탄성판(200)의 절곡부(214)는 각각 인쇄회로기판(100)의 제1접점부(120a) 및 제4접점부(120d)에 상시 접촉하게 된다.
그러고 나서, 탄성판(200)의 상면을 감싸도록 보호필름(300)을 부착한다. 이 경우, 보호필름(300)의 모서리는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에 부착되어 탄성판(200)의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끝으로, 보호필름(300)이 부착된 탄성판(200)의 상부에 프레임커버(400)를 안착시킨 후 인쇄회로기판(100)의 프레임(110)과 결합시킴으로써, 다단 동작 스위치의 조립이 완료되는데, 이와 같이 그 조립공정이 극히 단순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동작 스위치의 작동과정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판(200)에 어떠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탄성판(200)의 절곡부(214)만이 인쇄회로기판(100)의 제1접점부(120a) 및 제4접점부(120d)에 접촉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판(200)의 제2접촉부(230)에 소정 압력이 가 해지면 탄성판(200)이 변형되는데, 우선 제2접촉부(230)와 연결부(240)로 연결된 제1접촉부(220)가 인쇄회로기판(100)의 제1접점부(120a)에 접촉되고 제2접촉부(230)의 외측단이 제2접점부(120b)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1접점부(120a), 제4접점부(120d) 및 제2접점부(120b)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판(200)의 제2접촉부(230)에 더 큰 압력이 가해지면 탄성판(200)의 제2접촉부(230) 자체에 변형이 크게 발생하여 오목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제2접촉부(230)의 중앙부는 전체적으로 인쇄회로기판(100)의 제3접점부(120c)에 접촉하게 되어, 결국 제1접점부(120a) 내지 제4접점부(120d)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동작 스위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단 동작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다단 동작 스위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 인쇄회로기판
110 : 프레임
112 : 삽입홈
120 : 단자
120a, 120b, 120c, 120d : 접점부
200 : 탄성판
210 : 베이스부
212 : 삽입돌기
214 : 절곡부
220 : 제1접촉부
230 : 제2접촉부
240 : 연결부
300 : 보호필름
400 : 프레임커버

Claims (6)

  1. 상면에 복수의 접점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안착되어 압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부와 접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판;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안착고정되며 테두리가 경사지게 형성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 양단에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제2접촉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접촉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부에 접촉되고 이후 계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부에 접촉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측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 양단에는 각각 상기 삽입홈에 삽입고정될 수 있는 삽입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부에 상시 접촉되는 절곡부가 하방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동작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소정형상의 홈이 복수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홈에 삽입고정되어 복수의 접점부를 형성하는 도전성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동작 스위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의 상면을 감싸도록 부착되어 상기 탄성판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도록 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동작 스위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의 상부에 안착되되 양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어 상기 탄성판 및 보호필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시키는 프레임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동작 스위치.
KR1020090082826A 2008-12-08 2009-09-03 다단 동작 스위치 KR101097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826A KR101097375B1 (ko) 2009-09-03 2009-09-03 다단 동작 스위치
PCT/KR2009/005445 WO2011027927A1 (ko) 2009-09-03 2009-09-24 다단 동작 스위치
US12/587,636 US20100140065A1 (en) 2008-12-08 2009-10-08 Multi-step pressurized switch
EP09013050.1A EP2194551A3 (en) 2008-12-08 2009-10-15 Multi-step pressurized switch
CN200910211209A CN101752123A (zh) 2008-12-08 2009-11-02 多级受压开关
JP2009261694A JP2010135319A (ja) 2008-12-08 2009-11-17 多段動作スイッ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826A KR101097375B1 (ko) 2009-09-03 2009-09-03 다단 동작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710A KR20110024710A (ko) 2011-03-09
KR101097375B1 true KR101097375B1 (ko) 2011-12-23

Family

ID=4364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826A KR101097375B1 (ko) 2008-12-08 2009-09-03 다단 동작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7375B1 (ko)
WO (1) WO201102792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827Y1 (ko) * 2004-07-28 2004-10-15 금승호 더블 액션 스위치
JP2007052962A (ja) * 2005-08-17 2007-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5895A (ja) * 2001-02-14 2002-08-30 Yazaki Corp ドームスイッチ
KR200330102Y1 (ko) * 2003-07-31 2003-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단 돔스위치를 구비한 키입력장치
JPWO2005124805A1 (ja) * 2004-06-15 2008-04-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ドーム接点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段動作電気スイッチ
KR200377133Y1 (ko) * 2004-12-02 2005-03-11 한국성전(주) 다단 돔 스위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827Y1 (ko) * 2004-07-28 2004-10-15 금승호 더블 액션 스위치
JP2007052962A (ja) * 2005-08-17 2007-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27927A1 (ko) 2011-03-10
KR20110024710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0903B1 (en) Tact Switch
US7429707B2 (en) Push switch
US20060199403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lastic terminals with contacts located at the same level
JP2010135319A (ja) 多段動作スイッチ
US7331805B1 (en) Detect switch provided with an electrical member
US6756554B1 (en) Tact switch
JP2005353563A (ja) 携帯電話用スイッチモジュール
US20160064158A1 (en) Switch having improved moveable contact
US6518527B2 (en) Push switch having reduced size
US8124902B2 (en) Push button switch
US7745744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US6133536A (en) Key switch assembly
US9343852B2 (en) Connector
TWI484515B (zh) Push button switch
CN215451206U (zh) 可动构件以及输入装置
US7812270B2 (en) Multi-directional detect switch
CN101752123A (zh) 多级受压开关
KR101097375B1 (ko) 다단 동작 스위치
US11355295B2 (en) Push switch
KR101812421B1 (ko) 전자부품 접속용 커넥터
KR20100077712A (ko) 키 버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100403B1 (ko) 다단동작 스위치
US7253368B1 (en) Pin anchoring structure for button switches
WO2023095398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1090948A (ja) 押圧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