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165A -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165A
KR20100129165A KR1020100046950A KR20100046950A KR20100129165A KR 20100129165 A KR20100129165 A KR 20100129165A KR 1020100046950 A KR1020100046950 A KR 1020100046950A KR 20100046950 A KR20100046950 A KR 20100046950A KR 20100129165 A KR20100129165 A KR 20100129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arm
shaft
axis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 롱 로
모하메드 파이살 모하메드 샤릴 빈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filed Critical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ublication of KR20100129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085Crank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732Handles
    • Y10T74/20744Hand cran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싱글 및 더블을 전환 가능한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핸들 손잡이의 방향을 핸들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지런히 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핸들 조립체(1)는, 핸들축(7)과 일체 회전 가능한 조립체이고, 핸들 손잡이(6)와 제1 및 제2 핸들 암(8a, 8b)과 암 취부부(9)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및 제2 핸들 암은, 핸들 손잡이가 선단(先端)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것이다. 암 취부부는 핸들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다. 암 취부부는, 제1 및 제2 핸들 암 중 어느 일방(一方)의 기단(基端)을 핸들축과 교차하는 제1 축(X2) 둘레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제1 장착부(9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암 취부부는, 제1 및 제2 핸들 암 중 어느 타방(他方)의 기단을, 제1 축과 핸들축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2 축(X3) 둘레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제2 장착부(9c)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FISHING REEL HANDLE ASSEMBLY}
본 발명은, 핸들 조립체, 특히, 낚시용 릴의 핸들축과 일체 회전 가능한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이나 양베어링 릴 등의 낚시용 릴에는, 로터 또는 스풀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 조립체가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는, 핸들 손잡이와, 핸들축과 일체 회전 가능한 핸들 암을 가지고 있다. 핸들 조립체에는, 더블 핸들형의 것과 싱글 핸들형의 것이 있다. 더블 핸들형의 것은, 핸들축이 핸들 암의 중간부에 장착되고 핸들 손잡이가 양단(兩端)에 장착된다. 싱글 핸들형의 것은, 핸들축이 핸들 암의 기단(基端)에 장착되고 핸들 손잡이가 선단(先端)에 장착된다.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는, 마스터 기어에 장착되는 핸들축과, 핸들 암과, 핸들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다. 양베어링 릴의 핸들 조립체는, 핸들 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암과, 핸들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2개의 형태의 핸들 조립체는, 구입 시에 어느 하나의 것이 낚시용 릴에 세트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나중에 다른 형태의 핸들 조립체를 장착하려고 하면 다른 형태의 핸들 조립체를 새롭게 구입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런데, 싱글 핸들형과 더블 핸들형으로 교환 가능한 핸들 조립체가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핸들 조립체는, 핸들 손잡이와, 핸들 손잡이가 선단에 장착된 1쌍의 핸들 암과, 핸들 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계합(係合, 걸어 맞추는 것)하고, 1쌍의 핸들 암의 기단이 끼워넣음 고정되는 암 취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핸들 조립체에서는, 어느 하나의 핸들 암을 암 취부부에 끼워넣는 것에 의하여 싱글 핸들형의 핸들 조립체가 얻어지고, 2개의 핸들 암의 암 취부부에 취부하는 것에 의하여, 더블 핸들형의 핸들 조립체가 얻어진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360136호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핸들 암이 암 취부부에 끼워넣음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핸들 암을 암 취부부에 취부할 때에, 핸들 손잡이의 방향을 핸들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지런히 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싱글 핸들형과 더블 핸들형을 전환 가능한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핸들 손잡이의 방향을 핸들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지런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는, 낚시용 릴의 핸들축과 일체 회전 가능한 조립체이다. 핸들 조립체는, 핸들 손잡이와,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과, 암 취부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은, 핸들 손잡이가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것이다. 암 취부부는, 핸들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다. 암 취부부는, 제1 핸들 암의 기단을 핸들축과 교차하는 제1 축 둘레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제1 장착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암 취부부는, 제2 핸들 암의 기단을, 제1 축과 핸들축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2 축 둘레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제2 장착부를 가지고 있다.
이 핸들 조립체에서는, 더블 핸들형으로 하는 경우는,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을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에 따로따로 장착한다. 또한, 싱글 핸들형으로 하는 경우는,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 중 어느 일방(一方)을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 중 어느 일방에 장착한다. 여기에서는, 암 취부부의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를 핸들축과 교차하는 제1 축 둘레 및 제2 축 둘레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을 장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의 제1 축 둘레 및 제2 축 둘레의 위치를 핸들 손잡이가 핸들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가지런히 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는, 발명 1에 기재된 조립체에 있어서,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는, 제1 축 및 제2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비원형 오목부를 각각 가지고,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은, 비원형 오목부에 계합하는 비원형 축부를 기단에 각각 가진다. 이 경우에는, 비원형 오목부와 비원형 축부와의 계합에 의하여 제1 축 둘레 및 제2 축 둘레에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을,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에 각각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축과 오목부와의 계합에 의하여 간소한 구성으로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을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는, 발명 2에 기재된 조립체에 있어서, 기단에 비원형 축부를 가지고,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원형 오목부에 계합하는 추 부재를 한층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싱글 핸들형으로 하는 경우, 핸들 암이 장착되지 않는 장착부에 추 부재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싱글 핸들형이어도 회전 밸런스가 향상한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는, 발명 2 또는 3에 기재된 조립체에 있어서,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에 제1 축 및 제2 축과 교차하고 또한 핸들축을 장착하는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며,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의 기단부에 따로따로 나합(螺合, 나사를 끼워 맞추는 것)하는 제1 나사 부재 및 제2 나사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 제1 나사 부재 및 제2 나사 부재에 의하여 제1 핸들 암과 제2 핸들 암이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에 각각 고정되기 때문에,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는,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핸들 조립체이고, 낚시용 릴은 스피닝 릴이고, 핸들 조립체는, 암 취부부와 일체 회전 가능한 핸들축을 더 구비하고, 핸들축은, 일단부(一端部)가 마스터 기어 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암 취부부는, 핸들축의 타단부(他端部)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더블 핸들형의 경우에, 핸들 손잡이의 방향을 가지런히 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는, 발명 5에 기재된 조립체에 있어서, 제1 축 및 제2 축은, 핸들 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고, 또한 핸들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핸들축의 축 방향 외방(外方)으로 기울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의 선단이 기단으로부터 핸들축 방향 외방으로 이반(離反, 반대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을 스피닝 릴의 로터의 낚싯줄 안내 부재로부터 이반하여 배치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는, 낚시용 릴의 핸들축과 일체 회전 가능한 조립체이다. 핸들 조립체는, 핸들 손잡이와,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과, 암 취부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은, 핸들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선단에 장착된 것이다. 암 취부부는, 핸들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다. 암 취부부는, 제1 핸들 암이, 핸들축과 교차하는 제1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분리 불가능하게 설치된 제1 장착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암 취부부는, 제2 핸들 암의 기단을, 제1 축과 핸들축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2 축 둘레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제2 장착부를 가지고 있다.
이 핸들 조립체에서는, 더블 핸들형으로 하는 경우는 제2 핸들 암을 제2 장착부에 장착한다. 또한, 싱글 핸들형으로 하는 경우는 제2 핸들 암을 제2 장착부로부터 떼어낸다. 여기에서는, 암 취부부의 제1 장착부에 분리 불가능하게 제1 핸들 암을 설치하는 것과 함께, 제2 장착부를 핸들축과 교차하는 제2 축 둘레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제2 핸들 암을 장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의 제1 축 둘레 및 제2 축 둘레의 위치를 핸들 손잡이가 핸들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가지런히 할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는, 발명 7에 기재된 조립체에 있어서, 제1 핸들 암은, 제1 장착부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핸들 암이 제1 장착부와 일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핸들 암이 덜걱거림 없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암 취부부의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를 핸들축과 교차하는 제1 축 둘레 및 제2 축 둘레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을 장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의 제1 축 둘레 및 제2 축 둘레의 위치를 핸들 손잡이가 핸들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가지런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그 배면도.
도 3은 그 핸들축 부분에서의 단면 확대도.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도.
도 5는 추 부재를 장착한 도 3에 상당하는 도면.
도 6은 다른 실시예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양베어링 릴의 평면도.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와, 핸들 조립체(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스풀(4)에 낚싯줄을 감아내는 것이며,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면(外周面)에 낚싯줄을 감아내는 것이며,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핸들 조립체(1)는, 릴 본체(2)의 좌측(도 1 및 도 2 참조) 및 우측(도시하지 않음)의 어느 쪽에도 장착 가능하고, 핸들 조립체(1)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측에는, 캡 부재(19)가 장착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1)는, 더블 핸들형과 싱글 핸들형의 2개의 타입의 핸들 조립체로 교환 가능한 것이다. 핸들 조립체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손잡이(6)와, 핸들축(7)과,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과, 암 취부부(9)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는 더블 핸들형이 된다. 또한, 핸들 조립체(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싱글 핸들형으로 한 경우의 회전 밸런스를 향상시키기 위한 추 부재(13)을 더 구비하고 있다.
핸들 손잡이(6)는, 손가락의 끝으로 잡고 조작하는 타입의 것이다.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의 선단에는 핸들 손잡이(6)가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어 있다.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의 선단에는, 핸들 손잡이(6)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축(6a)이 고정되어 있다.
핸들축(7)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봉상(棒狀) 부재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7)은, 외형이 직사각형 등의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마스터 기어축(10)의 비원형의 관통 구멍(10a)에 일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축(7)의 선단면(도 3 우측 단면)에는, 중심에 암나사부(7a)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a)에 장착한 핸들축(7)의 암나사부(7a)에 볼트 부재(18)의 수나사부(18a)를 나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핸들축(7)을 마스터 기어축(10)에 대하여 빠짐 방지하고 있다. 또한, 핸들축(7)의 기단부(도 3 좌측 단부)에는, 암 취부부(9)를 연결하기 위한 코킹 핀(caulking pin, 20)이 관통하는 핀 관통 구멍(7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코킹 핀(20)에 의하여, 암 취부부(9)가 핸들축(7)에 요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핸들 암(8a)과 제2 핸들 암(8b)은 같은 형상이다. 제1 핸들 암(8a)은, 핸들축(7)의 축심(軸心, X1)과 교차하는 제1 축(X2)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2 핸들 암(8b)은, 제1 축(X2)과 축심(X1)을 사이에 두고 반대 쪽에 배치된 제2 축(X3)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축(X2) 및 제2 축(X3)은, 핸들축(7)의 축심(X1)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축(X2) 및 제2 축(X3)은, 핸들축(7)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핸들축(7)의 축 방향 외방(도 3 좌방)으로 기울어 있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제1 핸들 암(8a)에 관하여 설명하고, 제2 핸들 암(8b)에 관해서는 제1 핸들 암(8a)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1 핸들 암(8a)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의 봉상 부재이다. 제1 핸들 암(8a)은,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에 형성되고 암 취부부(9)에 장착되는 비원형 축부(8c)와, 선단부에 형성되고 핸들 손잡이(6)의 손잡이축(6a)이 고정되는 손잡이 지지부(8d)를 가지고 있다. 제1 핸들 암(8a)의 중간부(8e)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비원형 축부(8c)의 단면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부(8e)보다 소경(小徑)의 원의 일부를 노치한 것과 같은 D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비원형 축부(8c)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제1 축(X2)과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2개의 암나사 구멍(8f)이 제1 핸들 암(8a)의 긴쪽 방향(제1 축(X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 지지부(8d)에는, 손잡이축(6a)이 코킹 고정되어 있다. 비원형 축부(8c)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나사 구멍(8f)에 나합하는, 예를 들어 접시머리 볼트 형태의 2개의 나사 부재(제1 나사 부재 및 제2 나사 부재의 일례, 14)에 의하여 암 취부부(9)에 고정되어 있다. 제1 핸들 암(8a)의 중간부(8e)의 비원형 축부(8c)와의 경계 부분에는, 대경부(大徑部, 8g)가 형성되어 있다. 이 대경부(8g)와 비원형 축부(8c)와의 단차에 의하여 제1 핸들 암(8a)이 암 취부부(9)에 대하여 긴쪽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암 취부부(9)는, 예를 들어, 아연 합금 등의 금속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다. 암 취부부(9)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축(7)과 일체 회전 가능하다. 암 취부부(9)는, 선단이 핸들축(7)에 연결되는 연결부(9a)와, 연결부(9a)의 기단으로부터 제1 축(X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장착부(9b)와, 연결부(9a)의 기단으로부터 제2 축(X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장착부(9c)를 가지는 Y자 형상의 부재이다.
연결부(9a)는, 기단측이 약간 대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9a)의 선단 측의 중심에는, 핸들축(7)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오목부(9d)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오목부(9d)는, 연결부(9a)의 중심으로부터 외주면에 걸쳐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9a)에는, 연결 오목부(9d)와 교차하여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 장착 구멍(9e)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핀 장착 구멍(9e)과 핀 관통 구멍(7b)을 관통하여 코킹 핀(20)이 장착되어 있다.
제1 장착부(9b) 및 제2 장착부(9c)는 대체로 통상(筒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착부(9b)는,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 중 어느 일방의 기단을 핸들축(7)의 축심(X1)과 교차하는 제1 축(X2) 둘레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다. 제2 장착부(9c)는,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 중 어느 타방(他方)의 기단을 제2 축(X3) 둘레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다. 제1 장착부(9b) 및 제2 장착부(9c)의 선단부의 외주면은, 제1 핸들 암(8a)의 대경부(8g)의 외주면과 면일(面一, 단차가 없는 상태)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착부(9b) 및 제2 장착부(9c)는, 제1 축(X2) 및 제2 축(X3)을 따라 형성되고, 비원형 축부(8c)에 계합하는 비원형 오목부(9f)를 각각 가지고 있다. 비원형 오목부(9f)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장착부(9b) 및 제2 장착부(9c)의 선단면보다 약간 안쪽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또한, 비원형 오목부(9f)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원형 축부(8c)에 계합하도록 단면이 D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착부(9b) 및 제2 장착부(9c)에는, 나사 부재(14)가 삽입되는 2개의 삽입 구멍(9g)이 제1 축(X2) 및 제2 축(X3)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삽입 구멍(9g)은, 제1 장착부(9b) 및 제2 장착부(9c)의 핸들축(7)을 장착하는 방향에 있는 내측 부분에, 제1 축(X2) 및 제2 축(X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나사 부재(14)는, 핸들축(7)을 장착하는 방향으로부터 제1 장착부(9b) 및 제2 장착부(9c)에 삽입되고, 암나사 구멍(8f)에 끼워넣어진다. 나사 부재(14)는,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의 빠짐 방지 고정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삽입 구멍(9g)은, 나사 부재(14)의 머리부를 돌출시키는 것 없이 수납 가능한 테이퍼 형상의 스폿 페이싱(spot facing) 면을 가지고 있다. 삽입 측의 반대 쪽의 면에는, 나사 부재(14)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지지 구멍(9h)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구멍(9h)은 삽입 구멍(9g)보다 소경이며, 나사 부재(14)의 나사 부분의 최대 직경에 대하여 0.1mm 내지 0.5mm 정도 큰 내경이다. 이것에 의하여, 나사 부재(14)의 선단부가 지지된다.
추 부재(13)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취부부(9)의 제1 장착부(9b) 또는 제2 장착부(9c)에 장착 가능하다. 추 부재(13)는, 추부(13a)와, 추부(13a)와 일체 형성된 비원형 축부(13b)를 가지고 있다. 비원형 축부(13b)는,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과 마찬가지의 형상이다. 따라서, 나사 부재(14)에 의하여 제1 장착부(9b) 또는 제2 장착부(9c)에 고정 가능하다. 추부(13a)는, 낚싯줄이 걸리기 어렵게 하기 위하여, 핸들축(7)의 축 방향 내방(內方)으로 만곡(彎曲)하여 형성되어 있다.
암 취부부(9)와 마스터 기어축(10)과의 사이에는, 축 보호 부재(50)가 배치되어 있다. 축 보호 부재(50)는, 칼라(collar)의 기능을 완수하는 부재이며, 핸들축(7)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축 보호 부재(50)는, 핸들 조립체(1)를 장착하면, 암 취부부(9)의 선단면과 마스터 기어축(10)의 일방의 단면과의 사이에 협지(挾持)되고, 그것들과 일체 회전한다.
이와 같은 핸들 조립체(1)를 접으려면, 캡 부재(19)를 떼어내어 핸들축(7)에 끼워넣어진 볼트 부재(18)를 느슨하게 하여, 축 보호 부재(50)와 암 취부부(9)의 선단면과의 사이에 간극(間隙)이 생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암 취부부(9)를 코킹 핀(20) 둘레에 릴 본체(2) 측으로 요동시키는 것으로 접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릴 본체(2)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開口)를 가지는 릴 보디(2a)와, 개구를 막도록 릴 보디(2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 부재(2b)와, 덮개 부재(2b)로부터 비스듬히 상전방(上前方, 위쪽 전방)으로 연장되는 장대 취부 다리(2c)와,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의 후부(後部)로부터 하부에 걸쳐 장착되는 커버 부재(2d)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다. 이 공간 내에는, 핸들 조립체(1)의 회전에 연동하여 로터(3)를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아내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16)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의 핸들축(7)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마스터 기어축(10)과 함께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11)와, 이 마스터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마스터 기어축(10)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 기어(11)와 일체 또는 별체로 형성된 통상 부재이며, 내주부(內周部)의 형상이 직사각형 등의 비원형(예를 들어,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된 관통 구멍(10a)을 가지고 있다. 마스터 기어축(10)은, 릴 본체(2)의 양 측방(側方)으로 돌출한 보스부(2e, 2f)의 내주부에 장착된 베어링(17a, 17b)에 의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마스터 기어(11)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페이스 기어이다.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으로 형성되고,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12)의 전부가, 너트에 의하여 로터(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12)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1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에 연결된 스풀 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스풀(4)을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16)는, 스풀 축(15)의 비스듬히 하방(下方)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축(螺軸, 21, 왕복 나선상 홈(교차하는 나선상 홈)이 형성된 축)과, 나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2)는, 스풀 축(15)의 후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중간 기어(23)는, 도시하지 않는 감속 기구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려 있다. 이 감속 기구에 의하여, 오실레이팅 기구(16)의 전후 이동 속도가 느려져, 낚싯줄을 스풀(4)에 치밀하게 감을 수 있다.
로터(3)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30)와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의 선단에는,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는 베일 암(34)이 도 1에 도시하는 줄 감기 자세와 그것으로부터 90도 정도 반전(反轉)한 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싯줄이 감기는 줄감기 몸통부(4a)와, 로터(3)의 원통부(30)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스커트부(4b)와, 줄감기 몸통부(4a)의 전방(前方)에 배치된 앞 플랜지부(4c)를 가지고 있다. 스풀(4)은 도시하지 않는 드래그(drag) 기구를 통하여 스풀 축(15)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릴의 조작 및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낚시를 행할 때, 캐스팅(casting)하여 릴 본체(2)로부터 낚싯줄을 방출하기 위하여, 베일 암(34)을 손가락 끝으로 줄 감기 자세로부터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킨다. 이 상태로,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한다. 그러면, 낚싯줄은 채비의 무게에 의하여 힘차게 전방으로 방출된다. 그리고, 핸들 조립체(1)를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구동 기구(5)에 의하여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고, 베일 암(34)이 도시하지 않는 베일 반전 기구에 의하여 줄 감기 자세로 복귀하여, 낚싯줄이 스풀(4)에 감긴다.
이 낚시를 행할 때, 예를 들어, 채비 회수를 빈번히 행하는 낚시를 행하는 경우는, 더블 핸들형으로 하고, 낚싯줄이 느슨해지기 쉬운 낚시를 행하는 경우, 싱글 핸들형으로 한다. 더블 핸들형으로부터 싱글 핸들형으로 하는 경우, 나사 부재(14)를 떼어내고, 제1 핸들 암(8a) 또는 제2 핸들 암(8b)을 암 취부부(9)로부터 떼어내어, 떼어낸 부분에 추 부재(13)를 취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핸들 조립체(1)에서는, 암 취부부(9)로부터 일방의 핸들 암(예를 들어, 제2 핸들 암(8b))을 떼어내는 것만으로, 싱글 핸들형의 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암 취부부(9)를 통하여 제1 핸들 암(8a) 또는 제2 핸들 암(8b)의 토크(torque)가 핸들축(7)으로 전달된다. 이 때문에, 더블 핸들형으로서의 사용 시와 싱글 핸들형으로서의 사용 시에 강도가 변화하는 일이 없다.
나아가,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과 암 취부부(9)가 비원형 계합에 의하여 회전 멈춤되어 있다. 따라서, 나사 부재(14)는, 제1 핸들 암(8a) 또는 제2 핸들 암(8b)을 빠짐 방지 고정하는 것뿐이면 된다. 이 때문에, 감아올림 시에 제1 핸들 암(8a) 또는 제2 핸들 암(8b)에 작용하는 휨이나 비틀림의 힘이 나사 부재(14)에 작용하지 않아, 비교적 소경의 나사 부재(14)여도 파단(破斷)할 우려가 없다.
<특징>
(A) 핸들 조립체(1)는, 낚시용 릴의 핸들축(7)과 일체 회전 가능한 조립체이다. 핸들 조립체(1)는, 핸들 손잡이(6)와,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과, 암 취부부(9)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은, 핸들 손잡이(6)가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것이다. 암 취부부(9)는, 핸들축(7)과 일체 회전 가능하다. 암 취부부(9)는,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 중 어느 일방의 기단을 핸들축(7)의 축심(X1)와 교차하는 제1 축(X2) 둘레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제1 장착부(9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암 취부부(9)는,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 중 어느 타방의 기단을, 제1 축(X2)과 핸들축(7)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2 축(X3) 둘레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제2 장착부(9c)를 가지고 있다.
이 핸들 조립체(1)에서는, 더블 핸들형으로 하는 경우는,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을 제1 장착부(9b) 및 제2 장착부(9c)에 따로따로 장착한다. 또한, 싱글 핸들형으로 하는 경우는,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 중 어느 일방을 제1 장착부(9b) 및 제2 장착부(9c) 중 어느 일방에 장착한다. 여기에서는, 암 취부부(9)의 제1 장착부(9b) 및 제2 장착부(9c)를 핸들축(7)과 교차하는 제1 축(X2) 둘레 및 제2 축(X3) 둘레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을 장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의 제1 축(X2) 둘레 및 제2 축(X3) 둘레의 위치를 핸들 손잡이(6)가 핸들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가지런히 할 수 있다.
(B) 제1 장착부(9b) 및 제2 장착부(9c)는, 제1 축(X2) 및 제2 축(X3) 방향을 따라 형성된 비원형 오목부(9f)를 각각 가지고,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은, 비원형 오목부(9f)에 계합하는 비원형 축부(8c)를 기단에 각각 가진다. 이 경우에는, 비원형 오목부(9f)와 비원형 축부(8c)와의 계합에 의하여 제1 축(X2) 둘레 및 제2 축(X3) 둘레에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을, 제1 장착부(9b) 및 제2 장착부(9c)에 각각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축과 구멍과의 계합에 의하여 간소한 구성으로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을 제1 장착부(9b) 및 제2 장착부(9c)에 장착할 수 있다.
(C) 기단에 비원형 축부(13b)를 가지고, 제1 장착부(9b) 및 제2 장착부(9c)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추 부재(13)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싱글 핸들형으로 하는 경우, 제1 핸들 암(8a)이 장착되지 않는 제2 장착부(9c)에 추 부재(13)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싱글 핸들형이어도 회전 밸런스가 향상한다.
(D) 제1 장착부(9b) 및 제2 장착부(9c)에 제1 축(X2) 및 제2 축(X3)과 교차하고 또한 핸들축(7)을 장착하는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며,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의 기단부에 따로따로 나합하는 나사 부재(14)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 나사 부재(14)에 의하여 제1 핸들 암(8a)과 제2 핸들 암(8b)이 제1 장착부(9b) 및 제2 장착부(9c)에 각각 고정되기 때문에,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E) 낚시용 릴은 스피닝 릴이며, 핸들 조립체(1)는, 암 취부부(9)와 일체 회전 가능한 핸들축(7)을 더 구비하고, 핸들축(7)은, 일단부가 마스터 기어축(10)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암 취부부(9)는 핸들축(7)의 타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더블 핸들형의 경우에, 핸들 손잡이의 방향을 가지런히 할 수 있다.
(F) 제1 축(X2) 및 제2 축(X3)은, 핸들축(7)의 축심(X1)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고, 또한 핸들축(7)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핸들축(7)의 축 방향 외방으로 기울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의 선단이 기단으로부터 핸들축 방향 외방으로 이반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제1 핸들 암(8a) 및 제2 핸들 암(8b)을 스피닝 릴의 로터(3)의 낚싯줄 안내 부재인 베일 암(34)으로부터 이반시켜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싱글 핸들형의 경우에 핸들 손잡이(6)가 손가락 끝으로 잡는 타입의 것을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에 있어서, 제3 핸들 암(108c)은, 핸들 손잡이(106)가 손으로 잡는 대체로 T자형의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핸들 손잡이(106)를 핸들 조립체(101)가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1 핸들 암(8a) 또는 제2 핸들 암(8b)을 대신하여 제3 핸들 암(108c)을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낚시용 릴로서 스피닝 릴을 예로 본 발명의 핸들 조립체(1)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에 있어서, 핸들 조립체(201)는, 양베어링 릴의 핸들축(207)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암 취부부(209)와, 제1 핸들 암(208a) 및 제2 핸들 암(208b)과, 핸들 손잡이(206)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 손잡이(206)는, 제1 핸들 암(208a) 및 제2 핸들 암(208b)의 선단에 고정된 손잡이축(206a)을 가지고 있다. 제1 핸들 암(208a) 및 제2 핸들 암(208b)은, 같은 형상이며 판상(板狀) 부재이다. 제1 핸들 암(208a) 및 제2 핸들 암(208b)은, 암 취부부(209)에 나사 부재(214)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장착 부분은 판 두께가 약간 얇게 되어 있다.
암 취부부(209)는, 너트 부재(212)에 의하여 핸들축(207)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핸들축(207)은, 릴 본체(20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회전이 스풀(204)로 전달된다.
암 취부부(209)는, 제1 장착부(209b)와 제2 장착부(209c)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비원형 축부(208c) 및 비원형 오목부(209f)는 모두 직사각형의 단면이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축(X2)과 제2 축(X3)은, 핸들축(207)의 축심(X1)과 직교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핸들 조립체는 양베어링 릴에도 적용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원형 계합에 의하여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을 암 취부부에 대하여 회전 멈춤하였지만, 회전 멈춤 구조는 비원형 계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 중 어느 것에도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에 있어서, 핸들 조립체(301)의 암 취부부(309)에 있어서, 제1 장착부(309b)에는, 제1 핸들 암(308a)의 중간부(308e)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핸들 암(308a)은 제1 장착부(309b)에 대하여 분리 불가능하여, 착탈할 수 없다. 그러나, 제2 장착부(9c)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핸들 암(8b), 제3 핸들 암(108c), 및 추 부재(13)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다. 그 외의 구성은, 도 2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제1 핸들 암(308a)을 제1 장착부(309b)에 일체 형성하지 않고, 제1 장착부(309b)에 접착이나 용접 등의 적당한 고정 수단에 의하여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1 : 핸들 조립체 2 : 릴 본체
2a : 릴 보디 2b : 덮개 부재
2c : 장대 취부 다리 2d : 커버 부재
2e : 보스부 3 : 로터
4 : 스풀 4a : 줄감기 몸통부
4b : 스커트부 4c : 앞 플랜지부
5 : 로터 구동 기구 6 : 핸들 손잡이
6a : 손잡이축 7 : 핸들축
7a : 암나사부 7b : 핀 관통 구멍
8a : 제1 핸들 암 8b : 제2 핸들 암
8c : 비원형 축부 8d : 손잡이 지지부
8e : 중간부 8f : 암나사 구멍
8g : 대경부 9 : 암 취부부
9h : 지지 구멍 9a : 연결부
9b : 제1 장착부 9c : 제2 장착부
9d : 연결 오목부 9e : 핀 장착 구멍
9f : 비원형 오목부 9g : 삽입 구멍
10 : 마스터 기어축 10a : 관통 구멍
11 : 마스터 기어 12 : 피니언 기어
13 : 추 부재 13a : 추부
13b : 비원형 축부 14 : 나사 부재
15 : 스풀 축 16 : 오실레이팅 기구
17a : 베어링 18 : 볼트 부재
18a 수나사부 19 : 캡 부재
20 : 코킹 핀 21 : 나축
22 : 슬라이더 23 : 중간 기어
30 : 원통부 31 : 제1 로터 암
32 : 제2 로터 암 50 : 축 보호 부재
101 : 핸들 조립체 106 : 핸들 손잡이
108c : 제3 핸들 암 201 : 핸들 조립체
202 : 릴 본체 204 : 스풀
206 : 핸들 손잡이 206a : 손잡이축
207 : 핸들축 208a : 제1 핸들 암
208b : 제2 핸들 암 208c : 비원형 축부
209 : 암 취부부 209b : 제1 장착부
209c : 제2 장착부 209f : 비원형 오목부
212 : 너트 부재 214 : 나사 부재
301 : 핸들 조립체 308a : 제1 핸들 암
308e : 중간부 309 : 암 취부부
309b : 제1 장착부

Claims (8)

  1. 낚시용 릴의 핸들축과 일체 회전 가능한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이고,
    핸들 손잡이와,
    상기 핸들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선단(先端)에 장착된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과,
    상기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 중 일방(一方)의 기단(基端)을, 상기 핸들축과 교차하는 제1 축 둘레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제1 장착부, 및 상기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 중 타방(他方)의 기단을, 상기 핸들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축과 반대 쪽에 배치된 제2 축 둘레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제2 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핸들축과 일체 회전 가능한 암 취부부
    를 구비한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 및 상기 제2 장착부는,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비원형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제1 핸들 암 및 상기 제2 핸들 암은, 상기 비원형 오목부에 계합(係合)하는 비원형 축부를 상기 기단에 각각 가지는,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기단에 상기 비원형 축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장착부 및 상기 제2 장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비원형 오목부에 계합하는 추 부재를 더 구비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 및 상기 제2 장착부에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핸들축을 장착하는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며, 상기 제1 핸들 암 및 상기 제2 핸들 암의 기단부에 나합(螺合)하는 제1 나사 부재 및 제2 나사 부재를 더 구비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릴은 스피닝 릴이고,
    상기 암 취부부와 일체 회전 가능한 상기 핸들축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핸들축은, 일단부(一端部)가 마스터 기어 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암 취부부는, 상기 핸들축의 타단부(他端部)에 장착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은, 상기 핸들 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핸들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핸들축의 축 방향 외방(外方)으로 기울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
  7. 낚시용 릴의 핸들축과 일체 회전 가능한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이고,
    핸들 손잡이와,
    상기 핸들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선단에 장착된 제1 핸들 암 및 제2 핸들 암과,
    상기 제1 핸들 암이, 상기 핸들축과 교차하는 제1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분리 불가능하게 설치된 제1 장착부, 및 상기 제2 핸들 암의 기단을, 상기 핸들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축과 반대 쪽에 배치된 제2 축 둘레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제2 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핸들축과 일체 회전 가능한 암 취부부
    를 구비한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들 암은, 상기 제1 장착부와 일체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
KR1020100046950A 2009-05-29 2010-05-19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 KR201001291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30738 2009-05-29
JP2009130738A JP2010273629A (ja) 2009-05-29 2009-05-29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165A true KR20100129165A (ko) 2010-12-08

Family

ID=4321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950A KR20100129165A (ko) 2009-05-29 2010-05-19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11610B2 (ko)
EP (1) EP2272334B1 (ko)
JP (1) JP2010273629A (ko)
KR (1) KR20100129165A (ko)
CN (1) CN101897325A (ko)
MY (1) MY147298A (ko)
SG (1) SG166732A1 (ko)
TW (1) TW2011068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1364B2 (ja) * 2011-11-18 2016-08-0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及び両軸受リール
EP2749164A4 (en) * 2012-05-29 2016-02-24 Globeride Inc REEL LANCER LIGHT
JP6046385B2 (ja) * 2012-06-18 2016-12-14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JP6027805B2 (ja) * 2012-07-24 2016-11-1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CN103004713B (zh) * 2012-11-30 2014-05-07 宁波海宝渔具有限公司 一种齿轮传动无间隙的钓鱼用纺车式渔线轮
JP6227891B2 (ja) * 2013-04-30 2017-11-08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2015047108A (ja) * 2013-08-30 2015-03-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ツマミおよび組付方法
JP6684115B2 (ja) 2016-03-10 2020-04-2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688678B2 (ja) * 2016-05-18 2020-04-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回転伝達機構
JP2018130040A (ja) * 2017-02-14 2018-08-2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及び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949661B2 (ja) * 2017-10-25 2021-10-1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用のハンドル組立体、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7105613B2 (ja) * 2018-05-22 2022-07-25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リターン位置調整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890A (en) * 1905-10-16 1907-03-19 George Washington Blackburn Fishing-reel.
US2691309A (en) * 1953-08-14 1954-10-12 Horace G Caroland Casting reel handle
US3089663A (en) * 1962-05-07 1963-05-14 Sr Dean E Kirby Combination spinning and fly reel
US3375993A (en) * 1966-02-15 1968-04-02 Maurice S. Hayes Adjustable crank mechanism for fishing reels
US3727857A (en) * 1971-09-28 1973-04-17 G Chann Convertible fishing reel
JPS5118295Y2 (ko) * 1973-11-07 1976-05-15
FR2637458B1 (fr) * 1988-10-07 1991-01-04 Mitchell Sports Manivelle pour moulinet de peche
JP2536093Y2 (ja) * 1990-04-18 1997-05-2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US6112617A (en) * 1997-06-26 2000-09-05 Abrams; David Bartlett Composite winch handles
JP3494863B2 (ja) * 1997-09-30 2004-02-0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US6364229B1 (en) * 2000-02-23 2002-04-02 Brunswick Corporation Fishing reel crank handle with dynamic balancing structure
JP2002360136A (ja) 2001-06-04 2002-12-17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US6666396B2 (en) * 2001-06-11 2003-12-23 Gator Grip, Inc. Multidirectional rotatable handle
US6648257B2 (en) * 2002-01-28 2003-11-18 Han-Chi Lu Extendible crank of fishing reel
JP4185481B2 (ja) * 2004-07-01 2008-11-2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2006204141A (ja) * 2005-01-26 2006-08-1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
JP2007000022A (ja) * 2005-06-21 2007-01-11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4471294B2 (ja) * 2005-06-27 2010-06-0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2009065933A (ja) * 2007-09-14 2009-04-0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US20090283619A1 (en) * 2008-05-19 2009-11-19 Young John N Grip design for fishing reels
JP5292152B2 (ja) * 2009-03-26 2013-09-18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アーム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06858A (en) 2011-03-01
EP2272334B1 (en) 2014-12-24
JP2010273629A (ja) 2010-12-09
US8011610B2 (en) 2011-09-06
SG166732A1 (en) 2010-12-29
CN101897325A (zh) 2010-12-01
MY147298A (en) 2012-11-30
US20100301150A1 (en) 2010-12-02
EP2272334A2 (en) 2011-01-12
EP2272334A3 (en)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9165A (ko)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
JP2010273629A5 (ko)
JP404516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KR101806336B1 (ko) 마스터 기어 조립체
JP2007006710A (ja) 両軸受リール
KR100994411B1 (ko)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EP2708120A1 (en) Spinning reel
EP2248418B1 (en) Rotor for spinning reel
US7967232B2 (en) Spinning-reel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JP518011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566870B2 (ja) ハンドル組立体
KR20040097894A (ko)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EP3141113B1 (en) Spool for spinning reel
KR20040019947A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KR20040071073A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JP4572125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390506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200123141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393426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支持部材取付構造
JP739106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4572124B2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3651743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399381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351898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H1119672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