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215A - 통상 릴 시트 - Google Patents

통상 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8215A
KR20100128215A KR1020090100689A KR20090100689A KR20100128215A KR 20100128215 A KR20100128215 A KR 20100128215A KR 1020090100689 A KR1020090100689 A KR 1020090100689A KR 20090100689 A KR20090100689 A KR 20090100689A KR 20100128215 A KR20100128215 A KR 20100128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urface
grip
leg
handle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후미 하라다
카즈마 타니구치
케이스케 야베
키요히코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00128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초리 쪽 재치(載置, 물건의 위에 다른 것을 올리는 것)면 및 손잡이 쪽 재치면의 옆 측방(側方) 부분의 형상에 연구를 더하는 것에 의하여, 그립 피복체와의 연결을 잘 하여, 잡기 쉽고 손이 압박력을 받기 어려운 릴 시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릴의 초리 쪽 다리부를 재치하는 초리 쪽 재치면(2A)의 양 옆 측방 위치에 좌우의 초리 쪽 경사 요입면(凹入面)(2e)을 형성하고, 릴의 손잡이 쪽 다리부를 재치하는 손잡이 쪽 재치면(2B)의 양 옆 측방 위치에 좌우의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을 형성한다. 시트 베이스(2)에 고무 그립(6)을 장착한 상태에서, 초리 쪽 재치면(2A) 및 손잡이 쪽 재치면(2B)과, 고무 그립(6)에 있어서의 초리 쪽 재치면(2A)과 손잡이 쪽 재치면(2B)의 사이에 위치하는 재치면부(6c)가 면일(面一, 단차가 없는 상태) 상태로 되도록, 또한, 초리 쪽 경사 요입면(2e) 및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2f)과, 고무 그립(6)에 있어서의 초리 쪽 경사 요입면(2e)과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2f)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경사 요입면부(6d)가 면일 상태로 되도록 형성한다.
통상 릴 시트, 요입면, 재치면, 고무 그립, 면일 상태

Description

통상 릴 시트{CYLINDRICAL REEL SEAT}
본 발명은, 릴 다리 고정용의 후드를 장비하는 시트 베이스에, 상기 릴 다리의 선단(先端)에 있어서 장대 초리 쪽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는 초리 쪽 다리부를 받아들여 재치(載置)하는 초리 쪽 재치면과 상기 릴 다리의 선단에 있어서 장대 손잡이 쪽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쪽 다리부를 받아들여 재치하는 손잡이 쪽 재치면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시트 베이스보다 유연한 연질재로 만든 그립 피복체를 피착(被着, 씌우도록 다는 것)하는 장착 좌면(座面)을 설치하고 있는 통상(筒狀) 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시트 베이스(공보 내 명칭:릴 시트 본체 12)에 그립 피복체(공보 내 명칭:유연 부재 32)를 장착하는 데에, 통상의 시트 베이스의 원호상(圓弧狀)의 외주면(外周面)을 따른 형상으로 장착 좌면(공보 내 명칭:오목부 42)을 형성하고 있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271815호 (단락〔0024〕〔0030〕, 도 2, 4, 6)
상기한 바와 같이 릴 시트의 적당한 부분에, 유연성이 있는 그립 피복체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릴 시트에 취부된 릴 다리의 초리 쪽 다리부 및 손잡이 쪽 다리부와 릴 시트를 함께 쥔 상태로 잡아, 채비의 투입이나 물고기의 낚아 올림을 행할 때에, 릴 다리의 다리부 등에 둘러진 손가락이 아프게 되는 것을 그립 피복체가 완화하여, 안정한 쥠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릴 다리의 다리부를 재치하는 초리 쪽 재치면, 및, 손잡이 쪽 재치면(공보 내 명칭:릴 다리 재치면 18)의 옆 측방(側方)에는, 시트 베이스의 원호상을 나타내는 외주면이 이어져 있고, 시트 베이스에 외감(外嵌, 부재의 외측에 끼우는 것)된 그립 피복체의 외주면도, 그립 피복체가 피복되어 있지 않은 시트 베이스의 외주면과 면일(面一)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면, 릴 다리의 초리 쪽 다리부 및 손잡이 쪽 다리부와 시트 베이스의 외주면에 걸쳐 권회(卷回)되는 손가락이 원호상 면을 따라 크게 돌게 되어, 릴 다리의 초리 쪽 다리부 및 손잡이 쪽 다리부와 시트 베이스의 외주면을 잡고 있는 손가락이 느슨해지기 쉬운 경우도 생각되어, 개선할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리 쪽 재치면, 및, 손잡이 쪽 재치면의 옆 측방 부분의 형상에 연구를 더하는 것에 의하여, 그립 피복체와의 연결을 잘하여, 잡기 쉽고 손이 압박력을 받기 어려운 통상 릴 시트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구성〕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릴 다리 고정용의 후드를 장비하는 통상의 시트 베이스에, 상기 릴 다리의 초리 쪽 다리부를 받아들여 재치하는 초리 쪽 재치면과 상기 릴 다리의 손잡이 쪽 다리부를 받아들여 재치하는 손잡이 쪽 재치면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초리 쪽 재치면의 양 옆 측방 위치에 상기 초리 쪽 재치면에 대하여 경사 상태에 있는 좌우의 초리 쪽 경사 요입면(凹入面)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의 양 옆 측방 위치에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에 대하여 경사 상태에 있는 좌우의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을 형성하고,
상기 시트 베이스에 장착하는 연질재로 만든 그립 피복체에 있어서의 재치면부를, 상기 초리 쪽 재치면과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의 사이에 배치하도록, 또한, 상기 그립 피복체에 있어서의 상기 재치면부의 양 옆 측방에 위치하는 왼쪽 횡측(橫側) 부분 및 오른쪽 횡측 부분을 각각, 상기 좌측의 초리 쪽 경사 요입면과 상기 좌측의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의 사이, 상기 우측의 초리 쪽 경사 요입면과 상기 우측의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의 사이에 배치하도록, 상기 시트 베이스에 상기 그립 피복체를 피착하는 장착 좌면을 설치하고,
상기 장착 좌면에 상기 그립 피복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초리 쪽 재치면과,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과, 상기 재치면부가 면일 상태가 되도록, 또한, 상기 초리 쪽 경사 요입면과, 상기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과, 상기 횡측 부분이 면일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상기 초리 쪽 재치면의 양 옆 측방 위치에, 상기 초리 쪽 재치면에 대하여 경사 상태에 있는 좌우의 초리 쪽 경사 요입면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의 양 옆 측방 위치에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에 대하여 경사 상태에 있는 좌우의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을 형성하였다.
이것에 의하여, 초리 쪽 재치면과 손잡이 쪽 재치면의 양 옆 측방은, 장대 축심 방향을 향하여 요입하는 소경(小徑)의 부분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잡기 쉽게 되어 있다.
게다가, 초리 쪽 재치면과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의 사이, 및, 상기 좌측의 초리 쪽 경사 요입면과 상기 좌측의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의 사이, 나아가, 상기 우측의 초리 쪽 경사 요입면과 상기 우측의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의 사이에, 연질재로 만든 그립 피복체를 장착하고, 또한, 그것들을 단차 없이 면일 상태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단차를 느끼는 것 없이 잡을 수 있어 손가락이 압박되는 것이 적다.
이상과 같이, 그립 피복체를 시트 베이스에 형성한 초리 쪽 경사 요입면과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의 사이에 있어서도 면일 상태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 릴 시트와 릴 다리를 잡는 낚시꾼의 손가락에 대한 부담을 한층 경감할 수 있다.
〔구성〕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장착 좌면에 상기 그립 피복 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초리 쪽 재치면과,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과, 상기 재치면부를, 장대 축선을 따른 방향에서 연속하는 상태로 형성하고, 연속하는 상기 초리 쪽 재치면과 상기 재치면부와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으로 이루어지는 릴 다리의 다리부 재치면의 가로 폭을, 장대 축선을 따른 방향에서 중간에 위치하는 부분의 가로 폭일수록 좁아지도록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상기 장착 좌면에 상기 그립 피복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초리 쪽 재치면과,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과, 상기 그립 피복체에 있어서의 상기 초리 쪽 재치면과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재치면부를, 장대 축선을 따른 방향에서 연속하는 상태로 형성한 상태에서, 연속하는 상기 초리 쪽 재치면과 상기 재치면부와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으로 이루어지는 릴 다리의 다리부 재치면의 가로 폭을, 장대 축선을 따른 방향에서 중간에 위치하는 부분의 가로 폭일수록 좁아지도록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가로 폭에 있어서의 장대 축선을 따른 방향에서 중간에 위치하는 부분이 장대 축선에 근접하도록 좁혀지게 되어, 좁혀진 상기한 중간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다리부와 통상 릴 시트를 함께 잡은 손가락이 안정되기 때문에, 통상 릴 시트로서 미끄러지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구성〕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재치면부의 외주면을 원호상 면부로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왼쪽 횡측 부분 및 오른쪽 횡측 부분을 상기 원 호상 면부에 비해 장대 축심 방향을 향하여 요입하는 상태에서, 또한, 상기 재치면부에 근접하는 단부일수록 서로 근접하는 경사 상태에 있는 좌우의 중간 경사 요입면으로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이와 같이, 중간 경사 요입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초리 쪽 경사 요입면과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에 대하여 면일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그립 피복체를 재치하는 재치면부의 표면 형상을 반드시 중간 경사 요입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는 이점을 가진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을 낚싯대(A)에 적용하는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낚싯대(A)는, 도 1 ~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쥠부를 구비한 장대로서의 손잡이대(1)에, 스피닝 릴(10)을 취부하는 통상 릴 시트(B)를 장착하고, 통상 릴 시트(B)의 시트 베이스(2)에 가동 후드(5)를 취부하여, 구성하고 있다.
시트 베이스(2)에는, 가동 후드(5)와 협동으로 스피닝 릴(10)의 릴 다리(10A)의 선단(先端)에 있어서 장대 초리 쪽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는 초리 쪽 다리부(10a)를 보지(保持)하는 고정 후드(3)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고정 후드(3)의 형성 부위보다 후방(後方) 측에 가동 후드(5)를 나착(螺着, 틀어넣어 취부하는 것)하는 암 나사부(4)가 설치되어 있다.
도 4, 8,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후드(5)에는, 릴 다리(10A)의 선단 에 있어서 장대 손잡이 쪽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쪽 다리부(10a)를 보지하는 후드 본체(5A)와, 후드 본체(5A) 내에 장착되어 있는 수지제의 다리 누름체(5B)와, 후드 본체(5A)를 장대 축선(X) 방향으로 나사 진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너트체(7)가 장비되어 있다.
시트 베이스(2)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베이스(2)는, 폴리에스테르, ABS, PET 등의 엔지니어링 수지를 사용한 통상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대 초리 반부(半部)에 외향으로 불룩하게 올라 있는 고정 후드(3)를 형성하고 있고, 고정 후드(3)의 후드 내부에 들어가는 상태로 초리 쪽 재치면(2A)을 형성하고 있다. 이 초리 쪽 재치면(2A)에서 릴 다리(10A)의 선단에 있어서 장대 초리 쪽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는 초리 쪽 다리부(10a)를 재치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초리 쪽 재치면(2A)의 장대 손잡이 쪽에, 위치 결정용의 환상(環狀) 테두리(2C)가 설치되어 있으며, 환상 테두리(2C)의 한층 더 장대 손잡이 쪽에, 가동 후드(5) 내에 들어가는 손잡이 쪽 재치면(2B)을 형성하고 있고, 이 손잡이 쪽 재치면(2B)에서 릴 다리(10A)의 선단에 있어서 장대 손잡이 쪽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쪽 다리부(10a)를 재치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환상 테두리(2C)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 쪽 재치면(2B)의 양 옆 측방(側方)에 약간 튀어나온 상태로부터 대략 시트 베이스(2)의 둘레면을 따라 주회하는 상태로 둘러져 있다. 환상 테두리(2C)보다 장대 초리 쪽에는, 환상 테두리(2C)로부터 장대 초리 쪽을 향하여, 후기하는 그립 피복체로서의 고무 그립(6)의 취부좌(取付座, 2D)가 형성되어 있다. 취부좌(2D)는, 환상 테두리(2C)보다 일단 요입(凹入)하는 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무 그립(6)을 이 취부좌(2D)에 장착하였을 때에, 고무 그립(6)의 외주면(外周面)과 환상 테두리(2C)의 외주 가장자리를 면일(面一, 단차가 없는 상태) 상태로 설정하여, 높이를 맞추도록 형성하고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후드(3)는, 취부좌(2D)보다 일단 돌출하는 상태로 외면(3A)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 후드(3)의 외면(3A)도, 고무 그립(6)을 취부좌(2D)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 고무 그립(6)의 외면과 면일 상태로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취부좌(2D)에 있어서의 고정 후드(3)의 존재 측과는 반대 측의 면과 고정 후드(3)의 옆 측방 측의 면에는, 시트 베이스(2)의 축선 방향을 따른 돌조(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조(2a)가 취부좌(2D)에 장착한 고무 그립(6)의 내주면(內周面)에 형성한 후기하는 긴 홈(6e)에 계합(係合, 걸어맞춤)하여, 고무 그립(6)의 걷어올려짐을 억제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초리 쪽 재치면(2A)과 손잡이 쪽 재치면(2B)의 사이에도, 일단 요입하는 면으로서의 이음 부분(2c)이 형성되어 있으며, 취부좌(2D)의 다른 부분과 단차가 없는 상태로 이어져 있고, 초리 쪽 재치면(2A)과 손잡이 쪽 재치면(2B)의 사이의 이음 부분(2c)도 취부좌(2D)의 일부를 형성한다. 후기하는 고무 그립(6)을 취부좌(2D)에 장착한 상태에서, 고무 그립(6)의 외면과 초리 쪽 재치면(2A) 및 손잡이 쪽 재치면(2B)이 면일 상태로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시트 베이스(2)에 있어서의 릴 다리(10A)의 초리 쪽 다리부(10a)와 손잡이 쪽 다리부(10a)를 재치하는 부위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 2 및 도 4 ~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리 쪽 재치면(2A)은 단면 형상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호상(圓弧狀)을 나타내는 형상을 취하고 있지만,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부터 봐서는, 장대 손잡이 쪽을 향할수록, 서서히, 좌우 방향에서의 가로 폭을 좁히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손잡이 쪽 재치면(2B)은 대략 일정한 넓은 가로 폭을 나타내고, 장대 손잡이 쪽 단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서의 가로 폭을 좁히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리 쪽 재치면(2A)과 손잡이 쪽 재치면(2B)의 사이에서 고무 그립(6)의 취부좌(2D)의 일부를 형성하는 이음 부분(2c)에 있어서는, 초리 쪽 재치면(2A)의 장대 손잡이 쪽 단의 가로 폭(L1)과 손잡이 쪽 재치면(2B)의 장대 초리 쪽 단의 가로 폭(L2)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것과 같은 가로 폭을 나타내고 있다.
초리 쪽 재치면(2A)의 양 옆 측방에는, 접시상(狀)의 좌우의 초리 쪽 경사 요입면(凹入面)(2e)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접시상의 좌우의 초리 쪽 경사 요입면(2e)은, 장대 축심 방향을 향하여 약간 요입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고, 또한, 좌우의 초리 쪽 경사 요입면(2e)에 있어서의 초리 쪽 재치면(2A) 측에 위치하는 단부일수록 좌우의 간격을 좁히는 상향의 경사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손잡이 쪽 재치면(2B)의 양 옆 측방에도, 똑같이, 상향의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2f)을 형성하고 있고, 나아가, 취부좌(2D)에 있어서 이음 부분(2c) 이외의 둘레면 부분은, 취부 좌(2D)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호상 면(2g)으로 형성하고 있다. 원호상 면(2g)은, 취부좌(2D)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장대 초리 쪽에 위치하는 비스듬히 상향 초리 쪽 경사 요입면(2e)과 장대 손잡이 쪽에 위치하는 비스듬히 상향의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2f)보다도, 고무 그립(6)의 두께에 상당하는 만큼의 깊이로 요입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그립 피복체로서의 고무 그립(6)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4 ~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무 그립(6)은, NBR 등의 고무를 재료로 한 통상체이며, 취부좌(2D)에 장착한 상태로 고정 후드(3)를 고무 그립(6)보다 돌출시키도록, 타원상의 빼기 구멍(6A)이 형성되어 있다.
고무 그립(6)에 있어서의 빼기 구멍(6A)보다 장대 초리 쪽의 부분(6C)은, 장대 초리 쪽의 개구부(開口部, 6b)에 근접할수록 소경화(小徑化)하는 완만한 원추 통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한편, 고무 그립(6)의 장대 손잡이 쪽에도 통상의 장대 손잡이 쪽의 부분(6D)이 형성되어 있고, 장대 손잡이 쪽의 부분(6D)에는 고무 그립(6)의 장대 손잡이 쪽에 원호상을 나타내는 재치면부(6c)와, 그 재치면부(6c)의 양 옆 측방 측에 장대 축심 방향을 향하여 요입하는 상태에서, 또한, 재치면부(6c) 측에 위치하는 단부일수록 서로의 좌우 간격을 좁히도록 상향 경사 상태에 있는 접시상의 좌우의 중간 경사 요입면부(횡측 부분의 일례, 6d)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경사 요입면부(6d)에 의하여, 고무 그립(6)을 소정 위치에 장착하였을 때에, 시트 베이스(2)에 형성된 비스듬히 상향 초리 쪽 경사 요입면(2e)과 고무 그립(6)의 중간 경사 요입면부(6d)가 단차 없이 연결되게 되어 있다.
도 5 ~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빼기 구멍(6A)의 존재 측과는 180° 반대 측에는, 다른 부분보다 약간 외방(外方)으로 팽출(膨出)하는 팽출부(6B)가 설치되어 있고, 이 팽출부(6B)에 대지는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어렵도록, 표면 가공이 행하여져 있다. 즉, 표면의 미끄러짐을 억제하기 위하여, 미세한 요철(凹凸)을 형성하는 리지(梨地, 블라스트 가공에 의하여 가공물의 표면에 무수히 생성되는 미세한 요철) 가공이 행하여져 있다.
이 팽출부(6B)의 내주면에는, 빼기 구멍(6A)의 존재 측과는 180° 반대 측 및 좌우의 양 측면의 3개소에, 장대 축선(X) 방향을 따른 가는 폭의 긴 홈(6e)이 형성되어 있고, 고무 그립(6)을 시트 베이스(2)에 장착하였을 때에, 시트 베이스(2)에 돌출 형성한 돌조(2a)에 가는 폭의 긴 홈(6e)이 외감 계합하여, 고무 그립(6)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과 함께 고무 그립(6)의 걷어올려짐을 억제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 되는 고무 그립(6)을,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손잡이 쪽 개구(6a)로부터 취부좌(2D)에 외감 장착하면, 고무 그립(6)의 외면이 고정 후드(3)의 외면(3A)과 면일 상태에서, 또한, 장대 손잡이 쪽 개구(6a)를 둘러싸는 바깥 가장자리가 환상 테두리(2C)에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함)하여, 고무 그립(6)의 외면이 환상 테두리(2C)의 외면과 면일 상태로 이어진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무 그립(6)을 취부좌(2D)에 장착한 상태에서, 초리 쪽 재치면(2A)과, 손잡이 쪽 재치면(2B)과, 고무 그립(6)에 있어서의 재치면부(6c)를, 장대 축선(X)을 따른 방향에서 연속하는 다리부 재치면으로 형 성한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부 재치면의 가로 폭을, 장대 축선(X)을 따른 방향에서 중간에 위치하는 부분의 가로 폭일수록 좁혀 좁아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초리 쪽 재치면(2A), 손잡이 쪽 재치면(2B)의 양 옆 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원호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초리 쪽 경사 요입면(2e)으로 하여 상향의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그 양 측방에 대응하는 부분의 외경(外徑)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다리부 재치면의 장대 축선을 따른 방향에서 중간에 위치하는 부분의 가로 폭일수록 좁혀 좁아지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시트 베이스(2)에 취부된 릴 다리(10A)의 초리 쪽 다리부(10a), 및, 손잡이 쪽 다리부(10a)를 그 시트 베이스(2)와 함께 잡을 때에 잡기 쉽다.
게다가, 후기하는 바와 같이, 고무 그립(6)을 원호상 면(2g)에 장착하였을 때에, 고무 그립(6)에 형성한 중간 경사 요입면부(6d)가, 장대 초리 쪽에 위치하는 비스듬히 상향의 초리 쪽 경사 요입면(2e)과 단차 없이 연속하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손가락이나 손바닥을 압박하는 것이 적어, 채비의 캐스팅이나 물고기의 낚아 올림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손이 아프게 되지 않아 부담도 적다.
가동 후드(5)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 ~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후드(5)는, 알루미늄이나 티탄 등의 경량 금속제의 후드 본체(5A)와, 그 후드 본체(5A)의 릴 다리 삽입용 보지부(5a)에 내장되는 고무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다리 누름체(5B)를 장비하고 있다.
다리 누름체(5B)는, 릴 다리 삽입용 보지부(5a)에 내장되도록, 대략 원호상 을 나타내는 것이며, 후드 본체(5A)의 장대 초리 쪽 단에 테두리부(5b)를 돌출시키는 것과 함께, 좌우 중앙부에 돌기(5c)를 설치하고, 이 돌기(5c)를 후드 본체(5A)의 천정 부분에 형성한 빼기 구멍(5d) 내에 감합시켜, 다리 누름체(5B)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있다.
후드 본체(5A)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형상으로서, 시트 베이스(2)에 외감하는 대략 4분의 3 원호상을 나타내는 부분과 아치상을 나타내는 릴 다리 삽입용 보지부(5a)를 일체 형성한 세로로 긴 타원상을 나타내는 것이며, 성형형으로 일체 형성된다.
후드 본체(5A)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성형형으로 일체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는, 시트 베이스(2)의 외주면에 밀착할수록 높은 성형성을 나타내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후드 본체(5A)를 소정 위치에 장착한 상태에서, 원주 방향에서의 덜걱거림이 나오는 것은 부정할 수 없었다.
그래서, 어긋남 움직임 억제 기구(C)를 설치하여 그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것으로 하였다. 여기에서는, 우선, 후드 본체(5A)와 다리 누름체(5B)의 취부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고 그 후 어긋남 움직임 억제 기구(C)에 관하여 설명한다.
즉,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드 본체(5A)에 있어서의 대략 4분의 3 원호상을 나타내는 부분과 아치상을 나타내는 릴 다리 삽입용 보지부(5a)의 접속 부위 근방에는, 상향 단차부(5e)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다리 누름체(5B)에는, 좌우의 양 하단부(下端部) 근방의 외면에 하향 단차부(5g)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 누름체(5B)를 후드 본체(5A)의 릴 다리 삽입용 보지부(5a) 내에 삽입하였을 때에, 다리 누름체(5B)의 하향 단차부(5g)가 후드 본체(5A)의 상향 단차부(5e)에 상방(上方)으로부터 당접하여, 다리 누름체(5B)가 장착 지지된다.
다리 누름체(5B)의 좌우 양측 하단부에는, 두께가 얇은 스커트부(5h)가 하방(下方)을 향하여 연출(延出, 연장되어 나가있는 것)하고 있고, 스커트부(5h)는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두께를 얇게 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한편, 시트 베이스(2)의 스커트부(5h)에 대응하는 외면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향으로 요입 경사하는 접시상의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2f)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커트부(5h)가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2f)에 접촉하여 받아들여지는 것에 의하여, 스커트부(5h)의 하단부를 후드 본체(5A)와 시트 베이스(2)의 외주면에서 끼워 넣음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 스커트부(5h)를 당접부라 칭한다.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2f)을 받이부라 칭한다. 이와 같은 스커트부(당접부, 5h)와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받이부, 2f)으로, 어긋남 움직임 억제 기구(C)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가동 후드(5)가 다리 누름체(5B)와 함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여도, 스커트부(5h)의 하단부가 후드 본체(5A)와 시트 베이스(2)의 외주면에서 끼워 넣음 고정되어 회전이 억제된다. 따라서, 가동 후드(5)의 원주 방향에서의 덜걱거림이 억제되어, 통상 릴 시트(B)를 잡는 손가락이 안정한다.
이와 같이, 금속제의 후드 본체(5A)가 아니라, 수지제 또는 고무제의 다리 누름체(5B)에 스커트부(5h)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어긋남 움직임 억제 기구(C)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후드 본체(5A)와 시트 베이스(2)의 외주면이 다소의 고체 오차를 가지고 형성된 경우여도, 다리 누름체(5B)의 수지 또는 고무의 탄성 변형력에 의하여, 스커트부(5h)의 하단부를 후드 본체(5A)와 시트 베이스(2)의 외주면에서 끼워 넣음 고정하는 상태가 확실히 유지되어, 양호한 어긋남 움직임 억제 기능을 발휘하는 어긋남 움직임 억제 기구(C)가 구성된다.
도 2 ~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후드(5)의 후드 본체(5A)는, 릴 다리(10A)를 보지하는 릴 다리 삽입용 보지부(5a)로부터 장대 손잡이 쪽을 향하여 외경이 가늘어지는 중간 축경부(5j)를 형성하고 있고, 중간 축경부(5j)보다 장대 손잡이 쪽에 중간 축경부(5j)의 외경보다 대경(大徑)의 받아들임부(5k)를 형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릴 다리(10A)와 통상 릴 시트(B)를 함께 잡아 낚시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손바닥이 고무 그립(6)의 팽출부(6B)에 걸려 장대 초리 쪽으로의 이동이 억제되는 상태에 있어, 새끼손가락이 가동 후드(5)의 중간 축경부(5j)에 걸려 받아들임부(5k)에 의하여 장대 손잡이 쪽으로의 이동이 억제되어 있어, 쥠의 상태가 안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 ~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무 그립(6)을 받아들이는 환상 테두리(2C)는, 손잡이 쪽 재치면(2B)을 제외하는 전 둘레면에 걸쳐 둘러져 있고, 손잡이 쪽 재치면(2B) 존재 측과는 180° 반대 측에 이를수록, 장대 손잡이 쪽에 편위(偏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환상 테두리(2C)에 당접하 여 위치 결정되는 고무 그립(6)의 장대 손잡이 쪽 단은, 손잡이 쪽 재치면(2B) 존재 측과는 180° 반대 측에 있어서, 장대 손잡이 쪽에 들어가 위치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 테두리(2C)의 장대 초리단 쪽에 있어서 상정한 기준선(Y)보다도, 고무 그립(6)의 장대 손잡이 쪽 단은, 장대 손잡이 쪽으로 연출되어 있다.
게다가, 가동 후드(5)에 있어서도,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드 본체(5A)의 장대 초리 쪽 단(5C)의 개구 가장자리의 측면으로부터 본 형상은, 릴 다리 삽입 보지부(5a)를 형성하는 상반부(上半部, 5f)와 시트 베이스(2)에 외감되는 하반부(下半部, 5p)의 중간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이, 가장 장대 초리 쪽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반부(5p)에서는, 환상 테두리(2C)를 따르도록, 릴 다리 삽입 보지부(5a)의 존재 측과는 180° 반대 측에 이를수록, 후드 본체(5A)의 장대 초리 쪽 단(5C)의 개구 가장자리의 측면으로부터 본 형상이 장대 손잡이 쪽에 편위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환상 테두리(2C)와 가동 후드(5)가 함께 릴 다리 재치 측과는 180° 반대 측의 면에 있어서 장대 손잡이 쪽에 편위한 형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한 기준선(Y)보다도 장대 손잡이 쪽에 있어서, 고무 그립(6)이 장대 손잡이 쪽에 들어가 노출하는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릴 다리(10A)를 시트 베이스(2)와 함께 잡은 손가락에 있어서의 엄지손가락 부분이 고무 그립(6)에 대지게 되어, 압박감을 느끼는 것이 적다.
덧붙여,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후드(5)는, 환상 테두리(2C)에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 후드(3)의 존재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즉, 가동 후드(5)의 릴 다리 삽입용 보지부(5a)에 장착된 다리 누름체(5B)의 좌우 양 측단이, 환상 테두리(2C)의 상단(上端)에 당접하는 것과 함께, 후드 본체(5A)의 장대 초리 쪽 단(5C)도 환상 테두리(2C)에 당접하여, 고정 후드(3)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가동 후드(5)의 외주면과 환상 테두리(2C)와 고무 그립(6)의 외주면이 대략 면일 상태로 이어지게 되어, 그 부분을 잡는 손에 압박감을 주는 것이 적다.
도 3 및 도 7 ~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후드(5)의 릴 다리 삽입용 보지부(5a)와는 180° 반대 측에는, 내향으로 돌출하는 계합 돌기(5n)가 설치되어 있고, 시트 베이스(2)의 장대 손잡이 단에 설치되어 있는 암나사부(4)에 형성한 가이드 홈(4a)에 계합 돌기(5n)를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가동 후드(5)를 너트체(7)의 회전에 의하여, 시트 베이스(2)의 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도 3,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베이스(2)에 있어서의 손잡이 쪽 재치면(2B) 존재 측과는 장대 축심(X)을 사이에 두고 반대 측에는, 장대 축심(X)을 향하여 요입하는 요입부(2d)를 형성하고 있다.
요입부(2d)는, 가이드 홈(4a)의 장대 초리단과 환상 테두리(2C)의 사이에 있어서, 원주 방향에서의 가로 폭이 대략 30° 정도에 걸치는 범위에 요입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요입부(2d)로서는, 가동 후드(5)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범위에서, 원주 방향에서의 가로 폭을 30°~ 90°에 이르는 범위에서 취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요입부(2d)를 설치한 이유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즉, 릴 다리(10A)를 보지하도록, 가동 후드(5)가 너트체(7)와 함께 이동하면, 다리 누름체(5B)가 릴 다리(10A)의 손잡이 쪽 다리부(10a)의 등 부분에 형성된 경사면(10b)에 얹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가동 후드(5)는, 릴 다리(10A)의 손잡이 쪽 다리부(10a)에 의하여 들어 올려지는 것과 같은 상태로 되어, 시트 베이스(2)에 대하여 편심한 상태로 된다.
그러면, 가동 후드(5)의 후드 본체(5A)에 있어서의 고정 후드(3) 측을 향하는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 릴 다리 삽입용 보지부(5a)와는 반대 측의 끝 가장자리가 시트 베이스(2)의 외주면에 파고 들어가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시트 베이스(2)의 표면에는, 우레탄 수지 도료나 에폭시 수지 도료 등의 적당한 도료가 선택되어, 솔이나 뿜기에 의하여 도장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 반대 측의 끝 가장자리가 시트 베이스(2)의 외주면에 파고 들어가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면, 도장면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요입부(2d)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 후드(5)의 반대 측 끝 가장자리가 시트 베이스(2)의 외주면에 파고 들어가는 것이 억제되어, 도료가 벗겨지는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예〕
(1) 그립 피복체(6)로서는, 고무제가 아니어도 무방하고, 시트 베이스(2)의 재질보다 연질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2) 그립 피복체(6)로서는, 팽출부(6B)는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그립 피복체(6)로서는, 동일한 두께를 나타내는 고무 그립(6)으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3) 그립 피복체(6)로서는, 고정 후드(3)보다 장대 초리 쪽에 장착되는 부분(6C)의 부분은 없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그립 피복체(6)로서는, 장대 손잡이 쪽의 부분(6D)만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4)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무 그립(6)에 횡측 부분으로서의 중간 경사 요입면부(6d)를 형성하였지만, 중간 경사 요입면부(6d)를 형성하지 않고, 다른 부분과 마찬가지로, 시트 베이스(2)의 형상에 따른 자유 변형 가능한 원호상 면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5) 시트 베이스(2)에 장착하는 후드로서는, 초리 쪽 다리부(10a)와 손잡이 쪽 다리부(10a)를 보지(保持)하는 것으로 하여, 고정 후드(3)와 가동 후드(5)로 구성하였지만, 양자 모두 가동 후드(5)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6) 상기 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속하는 초리 쪽 재치면(2A)과 재치면부(6c)와 손잡이 쪽 재치면(2B)으로 이루어지는 릴 다리의 다리부 재치면의 가로 폭을, 장대 축선(X)을 따른 방향에서 중간에 위치하는 부분의 가로 폭일수록 좁아지도록 형성하였다.
반드시, 릴 다리의 다리부 재치면의 가로 폭을 좁게 할 필요는 없고, 장대 축선(X)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 중, 시트 베이스(2)에 환상 테두리(2C)를 형성하고 있지 않는 실시예의 것을 제2 실시예로 한다. 따라서, 환상 테두리(2C)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은 시트 베이스(2)의 다른 외주면과 면일 상태로 된다.
〔제3 실시예〕
제1 실시예 중, 시트 베이스(2)에 고무 그립(6)을 장착하고 있지 않는 실시예의 것을 제3 실시예로 한다. 따라서, 시트 베이스(2)에 형성한 고무 그립(6)을 장착하기 위한 취부좌(2D)는 없고, 시트 베이스(2)의 외면은 고정 후드(3)의 외면과 면일 상태로 형성된다.
〔제4 실시예〕
제1 실시예 중, 어긋남 움직임 억제 기구(C)는 설치하지 않는 실시예의 것을 제4 실시예로 한다. 따라서, 다리 누름체(5B)의 스커트부(5h)는 형성하지 않는다.
〔제5 실시예〕
제1 실시예 중, 시트 베이스(2)에 가동 후드(5)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요입부(2d)를 형성하고 있지 않는 실시예의 것을 제5 실시예로 한다. 요입부(2d)를 형성하고 있지 않는 부분은, 시트 베이스(2)의 다른 외주면과 면일 상태로 형성된다.
〔제6 실시예〕
제1 실시예 중, 고무 그립(6)의 팽출부(6B)와 가동 후드(5)의 중간 축경부(5j)와 받아들임부(5k)를 형성하고 있지 않는 실시예의 것을 제6 실시예로 한다. 따라서, 고무 그립(6)에서는, 팽출부(6B)를 형성하지 않고 외주면을 일정한 외경을 나타내는 것으로 형성하고, 가동 후드(5)에 있어서도 중간 축경부(5j)와 받아들임부(5k)에 상당하는 부분을 일정한 외경을 나타내는 부분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본원 발명은, 통상 릴 시트(B)를 장비하는 갯바위 낚시용 장대, 배낚시용 장대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낚싯대를 도시하는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그립 피복체와 가동 후드를 시트 베이스에 취부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시트 베이스에 가동 후드를 취부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시트 베이스에 가동 후드, 그립 피복체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그립 피복체와 가동 후드를 시트 베이스에 취부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측면도이다.
도 6의 (a)는 시트 베이스에 가동 후드, 그립 피복체를 장착한 릴 시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시트 베이스에 가동 후드, 그립 피복체를 장착한 릴 시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그립 피복체와 가동 후드를 시트 베이스에 취부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종단 측면도이다.
도 8은 시트 베이스에 가동 후드, 그립 피복체를 장착한 릴 시트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9는 가동 후드를 시트 베이스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10은 시트 베이스의 릴 다리의 손잡이 쪽 다리부를 재치하는 손잡이 쪽 재치면과는 180° 반대 측의 표면에, 가동 후드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요입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시트 베이스
2A: 초리 쪽 재치면
2B: 손잡이 쪽 재치면
2D: 취부좌(장착 좌면)
2e: 초리 쪽 경사 요입면
2f: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
5: 가동 후드
6: 고무 그립(그립 피복체)
6c: 재치면부
6d: 중간 경사 요입면부(횡측 부분)
10A: 릴 다리
10a: 초리 쪽 다리부
10a: 손잡이 쪽 다리부
X: 장대 축심(장대 축선) 

Claims (3)

  1. 릴 다리 고정용의 후드를 장비하는 통상(筒狀)의 시트 베이스에, 상기 릴 다리의 초리 쪽 다리부를 받아들여 재치(載置)하는 초리 쪽 재치면과 상기 릴 다리의 손잡이 쪽 다리부를 받아들여 재치하는 손잡이 쪽 재치면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초리 쪽 재치면의 양 옆 측방(側方) 위치에 상기 초리 쪽 재치면에 대하여 경사 상태에 있는 좌우의 초리 쪽 경사 요입면(凹入面)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의 양 옆 측방 위치에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에 대하여 경사 상태에 있는 좌우의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을 형성하고,
    상기 시트 베이스에 장착하는 연질재로 만든 그립 피복체에 있어서의 재치면부를, 상기 초리 쪽 재치면과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의 사이에 배치하도록, 또한, 상기 그립 피복체에 있어서의 상기 재치면부의 양 옆 측방에 위치하는 왼쪽 횡측 부분 및 오른쪽 횡측 부분을 각각, 상기 좌측의 초리 쪽 경사 요입면과 상기 좌측의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의 사이, 상기 우측의 초리 쪽 경사 요입면과 상기 우측의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의 사이에 배치하도록, 상기 시트 베이스에 상기 그립 피복체를 피착(被着)하는 장착 좌면(座面)을 설치하고,
    상기 장착 좌면에 상기 그립 피복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초리 쪽 재치면과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과 상기 재치면부가 면일(面一) 상태로 되도록, 또한, 상기 초리 쪽 경사 요입면과 상기 손잡이 쪽 경사 요입면과 상기 횡측 부분이 면일 상태로 되도록 형성하고 있는 통상 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좌면에 상기 그립 피복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초리 쪽 재치면과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과 상기 재치면부를, 장대 축선을 따른 방향에서 연속하는 상태로 형성하고, 연속하는 상기 초리 쪽 재치면과 상기 재치면부와 상기 손잡이 쪽 재치면으로 이루어지는 릴 다리의 다리부 재치면의 가로 폭을, 장대 축선을 따른 방향에서 중간에 위치하는 부분의 가로 폭일수록 좁아지도록 형성하고 있는 통상 릴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치면부의 외주면(外周面)을 원호상(圓弧狀) 면부로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왼쪽 횡측 부분 및 오른쪽 횡측 부분을 상기 원호상 면부보다 장대 축심 방향을 향하여 요입(凹入) 상태에 있고, 또한, 상기 재치면부에 근접하는 단부(端部)일수록 서로 근접하는 경사 상태에 있는 좌우의 중간 경사 요입면으로 형성하고 있는 통상 릴 시트.
KR1020090100689A 2009-05-27 2009-10-22 통상 릴 시트 KR201001282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28198A JP5414361B2 (ja) 2009-05-27 2009-05-27 筒状リールシート
JPJP-P-2009-128198 2009-05-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215A true KR20100128215A (ko) 2010-12-07

Family

ID=4322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689A KR20100128215A (ko) 2009-05-27 2009-10-22 통상 릴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14361B2 (ko)
KR (1) KR20100128215A (ko)
CN (1) CN101897323A (ko)
TW (1) TW2010415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1833B2 (en) 2009-04-10 2017-05-30 Ben Huang Multi-layered grip
JP5984299B2 (ja) * 2012-10-30 2016-09-06 株式会社シマノ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EP2933093B1 (en) 2014-03-26 2018-10-24 Globeride, Inc. Reel leg fix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hood portion of the reel leg fixing apparatus
US20170112113A1 (en) * 2015-07-14 2017-04-27 Ben Huang Modular fishing pole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US10653124B2 (en) 2017-05-03 2020-05-19 Winn Incorporated Ree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5024Y2 (ja) * 1992-05-01 1997-02-0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リール脚固定装置
JP2003070396A (ja) * 2001-08-31 2003-03-11 Daiwa Seiko Inc 釣り竿
JP4875943B2 (ja) * 2006-07-31 2012-02-1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脚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97323A (zh) 2010-12-01
JP5414361B2 (ja) 2014-02-12
JP2010273587A (ja) 2010-12-09
TW201041502A (en)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8215A (ko) 통상 릴 시트
KR20100128213A (ko) 릴 시트
US11617359B2 (en) Reel seat for fishing rod, fishing rod, and movable hood for reel
US20200060249A1 (en) Reel seat and fishing rod
JP481200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取付用のリールシート
CN106982801B (zh) 长钓竿以及长钓竿用的把手
US20240023530A1 (en) Reel seat
KR20100128216A (ko) 릴 시트
JP5339525B2 (ja) リールシート
JP2010273620A (ja) 筒状リールシート
CN211657212U (zh) 卷线器固定装置
JP2007202407A (ja) 釣竿
JP7013277B2 (ja) リールシートのアタッチメント及び釣竿
JP4327543B2 (ja) 釣竿
KR100995525B1 (ko) 낚싯대
JPH07115879A (ja) 釣竿用キャスティングハンドル
JP2007029052A (ja) 釣竿
JP2001178324A (ja) 釣 竿
JP2008271864A (ja) 釣竿
JP3204773U (ja) 片軸受リール
JP3944409B2 (ja) バール
JP2009240282A (ja) 釣り竿
JP2007195488A (ja) 釣竿
JP2006094819A (ja) 釣竿
JP3019371U (ja) 蛇口水栓の節水用簡易補助レ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