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133A -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수송 튜브 - Google Patents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수송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133A
KR20100126133A KR1020090045209A KR20090045209A KR20100126133A KR 20100126133 A KR20100126133 A KR 20100126133A KR 1020090045209 A KR1020090045209 A KR 1020090045209A KR 20090045209 A KR20090045209 A KR 20090045209A KR 20100126133 A KR20100126133 A KR 20100126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olyamide
copolymer
ethylene
composit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7698B1 (ko
Inventor
홍정숙
허진영
하두한
이영실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5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698B1/ko
Priority to PCT/KR2009/007981 priority patent/WO2010134682A1/ko
Publication of KR20100126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A) (A-1) 폴리아미드 수지 및 (A-2)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B) 카본블랙; 및 (C)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수송 튜브가 제공된다.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올레핀계 공중합체,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연료 수송 튜브

Description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수송 튜브{CONDUCTIVE POLYAMIDE COMPLEX COMPOSITION AND TUBE FOR TRANSPORTING FUEL USING THE SAME}
본 기재는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수송 튜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연료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비전도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연료가 순환하면서 튜브와 연료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어 안전성이 떨어진다.  최근에는 이러한 정전기 방지를 위하여 전도성을 띤 소재가 튜브에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아미드 수지에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전도성 필러를 높은 함량으로 첨가하게 되는데, 이 경우 외관이 불량하고 고가인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아미드 수지는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열성, 내약품성, 전기 절연성, 내아크성 등이 우수하여 자동차 내·외장재용 부품에 여러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연료 튜브나 호스와 같이 공압출(co-extrusion) 프로세스를 통해 성 형되는 경우, 성형상 용융 탄성을 요구하여 고무상의 혼합이 필요하고, 폴리아미드와 고무상의 상용성, 유연성, 점도, 작업성 등이 문제가 되어 적용이 제한적이었다.  특히, 전도성을 구현하기 위한 카본블랙의 적용 함량이 통상적으로 20 중량% 이상으로서, 튜브의 고무상과 전도성 필러의 분산을 균일하게 하는데 공정상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전도성 및 상용성이 우수한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연료 수송 튜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A) (A-1) 폴리아미드 수지 30 내지 99 중량% 및 (A-2)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 1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 (B) 카본블랙 1 내지 15 중량부; 및 (C) 탄소나노튜브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카프로락탐(폴리아미드 6), 폴리(11-아미노운데칸산)(폴리아미드 11), 폴리라우릴락탐(폴리아미드 12), 폴리4,6-테트라메틸렌디아민 아디프산(폴리아미드 4,6),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폴리아미드 6,6), 폴리헥사에틸렌 아젤아미드(폴리아미드 6,9), 폴리헥사에틸렌 세바카미드(폴리아미드 6,10), 폴리헥사에틸렌 도데카노디아미드(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6/6,10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6/6,6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6/12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0.94 내지 0.965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0.91 내지 0.94의 밀도를 갖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시클로헥산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이들 수지에 일부 다른 단량체를 혼합하여 비결정성으로 개질한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EPDM),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올레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올레핀-무수말레인산 변성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올레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올레핀-무수말레인산 변성 공중합체는 에틸렌 부텐-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에틸렌 옥텐-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은 케첸 블랙(ketjen black), 아세틸렌 블랙(acetylene black), 퍼니스 블랙(furnace black), 채널 블랙(channel black)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 wall carbon nano-tube),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ouble wall carbon nano-tube),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multi wall carbon nano-tub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은 수지 안정제 0.0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연료 수송 튜브를 제공한다.
기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은 카본블랙과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연료 수송 튜브로 제조 시 전도성 필러의 사용량이 획기적으로 줄어 외관이 개선되고 경제적이며,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발현하여 정전기를 방지하고, 내가솔린성, 인장강도, 충격강도, 성형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A) (A-1) 폴리아미드 수지 30 내지 99 중량% 및 (A-2)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 1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 (B) 카본블랙 1 내지 15 중량부; 및 (C) 탄소나노튜브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은 상기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지 안정제 0.0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이루는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A) 기초 수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기초 수지는 (A-1) 폴리아미드 수지와, (A-2)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1) 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는 고분자 주쇄에 아미드기를 함유한 것으로서, 아미노산, 락탐 또는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을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여 중합된 폴리아미드 수지이다.
상기 아미노산의 구체적인 예로는 6-아미노카프론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파라아미노메틸벤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락탐의 구체적인 예로는 ε-카프로락탐, ω-라우로락탐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디아민의 구체적인 예로는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노나메틸렌디아민, 운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5-메틸노나메틸렌디아민, 메타크실렌디아민, 파라크실렌디아민,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아미노-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비스(3-메틸-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2,2-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프로판, 비스(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 아미노에틸피페라진 등의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의 디아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디프산, 스베린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도데칸2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클로로테레프탈산, 2-메틸테레프탈산, 5-메틸이소프탈산, 5-나트륨설포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헥사히드로테레프탈산, 헥사히드로이소프탈산 등의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의 디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원료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아미드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각각 단독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카프로락탐(폴리아미드 6), 폴리(11-아미노운데칸산)(폴리아미드 11), 폴리라우릴락탐(폴리아미드 12), 폴리4,6-테트라메틸렌디아민 아디프산(폴리아미드 4,6),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폴리아미드 6,6), 폴리헥사에틸렌 아젤아미드(폴리아미드 6,9), 폴리헥사에틸렌 세바카미드(폴리아미드 6,10), 폴리헥사에틸렌 도데카노디아미드(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6/6,10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6/6,6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6/12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구체적으로는 폴리아미드 4,6, 폴리(11-아미노운데칸산)(폴리아미드 11)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폴리(11-아미노운데칸산)(폴리아미드 11)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11-아미노운데칸산)(폴리아미드 11)을 사용하는 경우 내가솔린성이 높고 흡습성이 낮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융점이 185 ℃ 이상이고, 상대점도(m-크레졸에 폴리아미드 수지 1 중량%를 첨가하여 25 ℃에서 측정)가 2 이상인 것이 좋으며, 상기 범위의 융점 및 상대점도를 가지는 경우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과 내열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50 ℃ 이상인 한 종류 이상의 폴리아미드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기초 수지 총량에 대하여 30 내지 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55 내지 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전도성이 우수하고, 인장강도, 충격강도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며, 내가솔린성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A-2) 기타 수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기초 수지에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이외에 하기 설명할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가 함께 포함된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내에서 전도성 필러를 폴리아미드 수지 상으로 선택적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이로써 전도성을 부여하는데 요구되는 전도성 필러의 함량을 감량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사용으로 인하여, 상기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에 사용되는 전도성 필러의 함량이 감량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여 경제적이고, 충격강도 등 제반 물성을 폭 넓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폴리아미드 수지와 혼합함으로써, 폴리아미드 수지의 흡습성을 개선하고,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량을 줄여 원가를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용성이 떨어지므로, 통상적인 제조 방법에 따라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존재 하에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0.94 내지 0.965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0.91 내지 0.94의 밀도를 갖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테레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 알킬 에스테르와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글리콜 성분으로부터 용융 중합에 의하여 축중합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시클로헥산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이들 수지에 일부 다른 단량체를 혼합하여 비결정성으로 개질한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더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비결정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고유점도[η]가 0.85 내지 1.52 ㎗/g 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03 내지 1.22 ㎗/g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비중이 1.15 내지 1.4 g/㎤ 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융점이 210 내지 280 ℃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상기 범위의 고유점도, 비중 및 융점을 가지는 경우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성형성을 확 보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EPDM),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올레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올레핀-무수말레인산 변성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 구체적으로는 올레핀-무수말레인산 변성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올레핀-무수말레인산 변성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와의 상용성을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무수말레인산 변성 공중합체는 에틸렌 부텐-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에틸렌 옥텐-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무수말레인산 변성 공중합체는 주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수말레인산 가지가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무수말레인산 가지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기초 수지인 폴리아미드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의 상용성 향상 등의 물성에 유리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기타 수지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타 수지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충격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도성 및 내가솔린성이 우수하다.  특히,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기초 수지 내에서 적당량으로 포함될 때, 폴리아미드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올레핀계 공중합체만으로 이루어진 자체 상(phase)을 형성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균일한 분산을 얻을 수 있으며, 외관이 좋다.
 
(B) 카본블랙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카본블랙은 케첸 블랙(ketjen black), 아세틸렌 블랙(acetylene black), 퍼니스 블랙(furnace black), 채널 블랙(channel black)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 구체적으로는 전도성 구현이 더욱 우수한 케첸 블랙(ketjen black)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은 직경이 10 내지 30 nm인 입자가 전도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10 ㎛의 크기로 서로 뭉쳐 있다.  
상기 카본블랙은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카본블랙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전도성이 우수하고, 이로써 전도성 구현을 위한 필러의 함량을 낮출 수 있어 경제성이 좋고, 우수한 물성 구현이 용이하다.
  
(C) 탄소나노튜브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 wall carbon nano-tube), 이중벽 탄소타노튜브(double wall carbon nano-tube),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 wall carbon nano-tub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종횡비(튜브 길이와 지름의 비)가 클수록 공정상 분산이 어렵기 때문에, 1 내지 30 nm의 튜브 직경과 50 ㎛ 이하의 길이를 갖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의 전도성을 구현하기 위한 전기적 구조(electrical percolation) 형성이 적절하고,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에 탄소나노튜브의 균일한 분산을 얻기 위한 공정시간이 적절하여 기초 수지의 물성, 예를 들어, 인장 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와 열안정성 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은 카본블랙과 탄소나노튜브를 혼합 사용함으로써 전도성 필러의 양을 획기적으로 감량하였다.  이로 인하여 상용화제 등 첨가제의 분산 효율을 향상시켰다.  
탄소나노튜브는 종횡비(종횡비>100)가 커서 공정 중에 분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 용융 혼합단계에 분산 효율을 높이기 위한 고분산용 용융혼합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D) 첨가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에는 첨가제로써, 수지 안정제, 가소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안정제는 예를 들어,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로부터 압출 또는 사출 방법을 통하여 성형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에 포함된 폴리아미드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를 안정화시켜 이들 수지가 분해(예를 들어, 열분해)되거나 서로 반응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지 안정제가 포함됨에 따라,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내의 폴리아미드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가 그 자체의 특성을 보다 잘 발현할 수 있으며,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의 열 안정성, 성형성 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안정제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임의의 수지 안정제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안정제로는 인산,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메틸포스파이트, 트리이소데실포스파이트, 트리-(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닉산, 테트라키스 프로피오네이트 메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안정제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2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수지 안정제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의 열안정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다. 
상기 가소제는 상기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의 흐름성과 성형성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탄소나노튜브와 카본블랙의 분산을 향상시킨다.  
상기 가소제로는 에틸렌 비스-스테아라미드(ethylene bis-stearamide),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폴리카프로락톤(polycarprolacton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캐스터 오일(caster oil), o-톨루엔 술폰아미드(ortho-toluene sulfonamide), p-톨루엔 술폰아미드(para-toluene sulfonam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4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가소제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흐름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고, 탄소나노튜브와 카본블랙 의 분산성이 개선된다.
 
상술한 구성 성분들을 혼합하여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혼합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통하여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은 60 ℃에서, 20 %의 에탄올 및 연료의 침지 하에 표면 저항이 107 Ω/cm2 을 유지하여 우수한 대전방지 효과를 보인다.  또한 상기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은 성형성, 내화학성, 충격 특성 등의 제반 물성 우수하다.  즉, 상기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은 전도성 뿐만 아니라 성형성 등의 제반 물성이 전반적으로 우수하여, 고휘발성 연료 수송 튜브에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자동차 연료 시스템의 여러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연료 수송 튜브가 제공된다.  
상기 연료 수송 튜브는 폴리아미드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와 상기 기초 수지 내에 분산되어 있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및 선택적으로 수지 안정제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즉, 상기 연료 수송 튜브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카본블랙과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조함으로써, 성형품 내에 부분적으로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수 마이크론 크기의 카본블랙의 사이를 탄소나노튜브가 효과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전기 전도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플라스틱 성형품은 성형성, 열 안정성 및 내화학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하는 (A) 기초 수지로서 (A-1) 폴리아미드 수지 및 (A-2) 기타 수지인 (A-2-1) 폴리올레핀 수지, (A-2-2) 폴리에스테르 수지, (A-2-3)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및 (A-2-4)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B) 카본블랙, (C) 탄소나노튜브 및 (D) 첨가제인 수지 안정제의 각 구성 성분의 구체적인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기초 수지
(A-1) 폴리아미드 수지
220 ℃에서 측정한 점도가 10,000[Pa·s](0.1[1/s] 조건) 이상인 폴리아미드 11(Arkema社의 BESNO P40TL)를 사용하였다.
(A-2) 기타 수지
(A-2-1) 폴리올레핀 수지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 g/mol 이상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삼성토탈社의 4222F)을 사용하였다.
(A-2-2)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비중 1.31 g/㎤, 융점 228 ℃, 고유점도 0.83인 SHINKONG社의 Shinite K001을 사용하였다.
(A-2-3)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금호석유화학의 EPDM KEP020P)를 사용하였다.
(A-2-4) 올레핀계 공중합체
에틸렌 부텐-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DuPont社의 Fusabond MN493D)를 사용하였다.
(B) 카본블랙
Akzo Nobel社의 ketjen black EC600JD를 사용하였다.
(C) 탄소나노튜브
1 내지 30 nm의 튜브 직경을 갖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 wall carbon nano-tube)를 사용한다.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로는 Nanocyl社의 NC7000을 사용하였다.  
(D) 첨가제
수지 안정제로, Ciba Geigy社의 IRGANOX B 1171(IRGANOX 1098(hindered phenolic antioxidant)와 IRGAFOS 168(organo-phosphite)의 1:1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
상술한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에 나타난 함량 범위로 각각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A)
기초
수지
(A-1) 폴리아미드 11
[중량%]
63 63 63 63 80 63 63 63 100

(A-2)
(A-2-1) 폴리올레핀
[중량%]
22 - 22 - 20 22 22 22 -
(A-2-2) 폴리에스테르
[중량%]
- 22 - - - - - - -
(A-2-3) 폴리올레핀계 열가소
성 탄성체 수지 [중량%]
- - - 22 - - - - -
(A-2-4) 올레핀계 공중합체
[중량%]
15 15 15 15 - 15 15 15 -
(B) 카본블랙 [중량부] 6.5 6.5 6.5 6.5 6.5 - 6.5 - 6.5
(C) 탄소나노튜브 [중량부] 0.25 0.25 0.25 0.25 0.25 0.25 - - 0.25
(D)
첨가제
수지안정제 [중량부] - - 0.5 0.5 0.5 - 0.5 0.5 -
가소제 [중량부] - 3 3 3 3 3 3 - -
[물성 측정용 시편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250 ℃로 가열된 이축 용융 압출기 내에서 용융 혼련시켜 펠렛 상태로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펠렛을 100 ℃에서 4 시간 건조한 후, 250 ℃로 가열된 스크류식 사출기를 이용하여 굴곡강도,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 및 전도성 평가를 위한 ASTM 시편을 제조하였다.  
[물성 측정 1; 기계적 강도 평가]
플라스틱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미국의 표준 측정 방법인 ASTM D638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각각의 시편에 대한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고, 플라스틱의 굴곡 강도를 측정하는 미국의 표준 측정 방법인 ASTM D790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각각의 시편에 대한 굴곡 강도를 측정하였으며, 플라스틱의 충격 강도를 측정하는 미국의 표준 측정 방법인 ASTM D256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각각의 시편에 대한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측정한 기계적 강도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2; 전도성 평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각각의 시편을 휘발유에 200 시간 침지한 후, 80 ℃에서 4시간 건조한 다음에 표면 저항을 면표면저항측정기(볼프강사 SRM-110)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물성 측정 3; 분산성 평가]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3 및 5의 시편에서 카본블랙과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을 관찰하여 도 1 및 2에 도시하였다.  또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을 비교 관찰하기 위하여 비교예 2의 시편에서 카본블랙의 분산성을 관찰하여 도 3에 도시하였다.  
[표 2]

기계적 강도 평가 전도성 평가
인장 강도
[kgf/㎠, 50 mm/min]
굴곡 강도
[kgf/㎠, 2.8 mm/min]
충격 강도
[kgfㆍcm/cm]
신율
[%]
표면저항
[Ω/cm2]
실시예 1 410 120 85 60 107
2 450 200 60 90 106
3 390 100 90 220 106
4 320 180 72 100 106
5 430 150 40 110 107
비교예 1 250 100 90 240 1012
2 370 95 95 220 1010
3 320 80 100 250 1012
4 420 250 15 20 101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폴리아미드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에 카본블랙 및 탄소나노튜브를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범위의 양으로 용융 혼합함으로써, 전도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은 올레핀계 공중합체가 배합됨으로써 상용성이 높아져 충격 보강의 효과를 보였다.  
첨가된 카본블랙과 탄소나노튜브는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또는 올레핀계 공중합체에 비해 폴리아미드 수지와의 친화력이 우수하므로, 카본블랙과 탄소나노튜브의 대부분은 폴리아미드 수지에 분산되어 있어, 그 함량이 높지 않더라도 전도성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실 시예 3의 모폴로지를 관찰한 것으로 첨가된 카본블랙과 탄소나노튜브가 연속상인 폴리아미드 수지에 분산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특히, 탄소나노튜브는 도 1 및 2에서 보듯이, 카본블랙 입자들의 사이에 전기적 다리(electrical bridge) 역할을 하여 전도성 구현을 위해 함유되는 전도성 필러의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카본블랙의 분산은 비교예 2를 고배율로 확대하여 살펴보면 (도 3 참조), 카본블랙이 대부분 폴리아미드 수지에 위치하고, 특히 수지 사이의 계면에 집중적으로 모여 있으며,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또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상에는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적용한 성형물의 전도성은 카본블랙과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카본블랙과 탄소나노튜브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또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보다 폴리아미드 수지에 대한 높은 친화력을 가져 폴리아미드 수지의 주변에 집중적으로 위치하고, 이러한 탄소나노튜브가 카본블랙 입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낮은 전도성 필러의 함량으로도 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시편은 효과적인 카본블랙과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그리고 폴리아미드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또는 올레핀계 공중합체와의 상용화를 통하여 인장 강도, 충격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과 전도성이 전체적으로 우수하였다.  
도 1은 실시예 3에 따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이용한 시편에서, 탄소나노튜브가 카본블랙과 혼입된 형태를 보여주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5에 따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이용한 시편에서, 탄소나노튜브가 카본블랙과 혼입된 형태를 보여주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3에 따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이용한 시편에서, 카본블랙이 폴리아미드 상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형태를 보여주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Claims (12)

  1. (A) (A-1) 폴리아미드 수지 30 내지 99 중량% 및 (A-2)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 1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
    (B) 카본블랙 1 내지 15 중량부; 및
    (C) 탄소나노튜브 0.01 내지 5 중량부
    를 포함하는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카프로락탐(폴리아미드 6), 폴리(11-아미노운데칸산)(폴리아미드 11), 폴리라우릴락탐(폴리아미드 12), 폴리4,6-테트라메틸렌디아민 아디프산(폴리아미드 4,6),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폴리아미드 6,6), 폴리헥사에틸렌 아젤아미드(폴리아미드 6,9), 폴리헥사에틸렌 세바카미드(폴리아미드 6,10), 폴리헥사에틸렌 도데카노디아미드(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6/6,10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6/6,6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6/12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0.94 내지 0.965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0.91 내지 0.94의 밀도를 갖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시클로헥산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이들 수지에 일부 다른 단량체를 혼합하여 비결정성으로 개질한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EPDM),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 되는 것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올레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올레핀-무수말레인산 변성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무수말레인산 변성 공중합체는 에틸렌 부텐-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에틸렌 옥텐-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은 케첸 블랙(ketjen black), 아세틸렌 블랙(acetylene black), 퍼니스 블랙(furnace black), 채널 블랙(channel black)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 wall carbon nano-tube),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ouble wall carbon nano-tube),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 wall carbon nano-tub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은,
    수지 안정제 0.0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연료 수송 튜브.
KR1020090045209A 2009-05-22 2009-05-22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수송 튜브 KR101257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209A KR101257698B1 (ko) 2009-05-22 2009-05-22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수송 튜브
PCT/KR2009/007981 WO2010134682A1 (ko) 2009-05-22 2009-12-30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수송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209A KR101257698B1 (ko) 2009-05-22 2009-05-22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수송 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133A true KR20100126133A (ko) 2010-12-01
KR101257698B1 KR101257698B1 (ko) 2013-04-24

Family

ID=4312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209A KR101257698B1 (ko) 2009-05-22 2009-05-22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수송 튜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57698B1 (ko)
WO (1) WO201013468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7809A (ko) * 2010-12-21 2014-01-20 바스프 에스이 열가소성 몰딩 조성물
KR101400698B1 (ko) * 2010-12-14 2014-05-29 제일모직주식회사 인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수지 조성물
WO2015084065A1 (ko) * 2013-12-06 2015-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복합재 및 이를 함유하는 성형품
KR20180104315A (ko) * 2016-02-01 2018-09-20 캐보트 코포레이션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열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8201A (zh) * 2015-06-10 2015-11-11 苏州宏恒化工有限公司 一种环保型聚乙烯/聚酰胺积层阻隔材料及其制备方法
JP7056557B2 (ja) * 2017-02-07 2022-04-19 東洋紡株式会社 導電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2022511895A (ja) * 2018-12-10 2022-02-01 エスケー ケミカル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機械的、熱的特性に優れたポリアミド-10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81236A (ko) * 2018-12-27 2020-07-07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기계적, 열적 특성 및 내연료투과성이 우수한 연료 수송 튜브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7902B1 (fr) * 2002-11-29 2007-02-16 Rhodia Eng Plastics Srl Composition a base de matrice thermoplastique
DE10259498A1 (de) * 2002-12-19 2004-07-01 Bayer Ag Leitfähige Thermoplaste mit Ruß und Kohlenstoff-Nanofibrillen
ES2437194T3 (es) * 2003-02-18 2014-01-09 Arkema France Utilización de nanotubos de carbono en mezclas de poliamida y de poliolefina
US20040211942A1 (en) * 2003-04-28 2004-10-28 Clark Darren Cameron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DE102005004280A1 (de) * 2005-01-28 2006-08-03 Deguss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es
KR20080053924A (ko) * 2005-08-08 2008-06-16 캐보트 코포레이션 나노튜브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698B1 (ko) * 2010-12-14 2014-05-29 제일모직주식회사 인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수지 조성물
KR20140007809A (ko) * 2010-12-21 2014-01-20 바스프 에스이 열가소성 몰딩 조성물
WO2015084065A1 (ko) * 2013-12-06 2015-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복합재 및 이를 함유하는 성형품
KR20180104315A (ko) * 2016-02-01 2018-09-20 캐보트 코포레이션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열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4682A1 (ko) 2010-11-25
KR101257698B1 (ko)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048B1 (ko)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연료 수송 튜브
KR101257698B1 (ko)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수송 튜브
CN109553962B (zh) 用于屏蔽电磁波的热塑性复合树脂组合物
US10273361B2 (en) Conductive polyamide/poly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 and automotive molded article manufactured therefrom
KR10194041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US20110027510A1 (en) Polyamide clay composite composition and fuel transport tube using the same
KR101192372B1 (ko)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45047B1 (ko) 전도성 폴리아미드/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성형품
KR101690832B1 (ko) 도장 성형품
KR101875266B1 (ko) 전도성 폴리아미드/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성형품
KR20110108976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806005B1 (ko) 변성 폴리(아릴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50079288A (ko) 전도성 마스터 배치, 이를 포함하는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성형품
JP2006218665A (ja) 自動車用樹脂製複合部品
JP2002322366A (ja) 導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2204087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90030507A (ko) 농축 전도성 수지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폴리아미드계 수지 조성물
KR100792782B1 (ko)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78241A (ko) 전도성 폴리아미드/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성형품
KR101657273B1 (ko) 전도성 폴리아미드/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성형품
KR20120090127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95011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007056078A (ja) 導電性ケーブルハウジング
TWI750662B (zh) 配線零件
KR20030027219A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