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948A - 오복막걸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복막걸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948A
KR20100123948A KR1020090042928A KR20090042928A KR20100123948A KR 20100123948 A KR20100123948 A KR 20100123948A KR 1020090042928 A KR1020090042928 A KR 1020090042928A KR 20090042928 A KR20090042928 A KR 20090042928A KR 20100123948 A KR20100123948 A KR 20100123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ice
whol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3813B1 (ko
Inventor
정완덕
Original Assignee
정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완덕 filed Critical 정완덕
Priority to KR1020090042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81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with flavouring ingredient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1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복막걸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씨눈 및 표피가 분리된 상태의 현미, 통보리, 통밀, 통옥수수 및 통수수를 물로 세척한 상태에서 현미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보리 20중량부, 통밀 20중량부, 통옥수수 20중량부 및 통수수 20중량부를 혼합한 상태로 증기로 쪄내 고두밥으로 제조하는 고두밥 제조단계와; 상기 고두밥 100중량부에 대하여 누룩 60중량부 및 물 20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24~26℃의 온도로 3~4일 동안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상태의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오디 분쇄액 3.0중량부, 복분자 분쇄액 3.0중량부 및 계피 액기스 3.0중량부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이 막걸리가 되도록 4~5℃의 온도로 3~4일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복막걸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항암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활성산소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해 줌으로써, 현대병을 예방하고, 국민의 건강을 향상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비 또한 줄일 수 있고, 나아가 농가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두밥 제조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

Description

오복막걸리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MULBERRY AND BOKBUNJA RICE WINES}
본 발명은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항암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활성산소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해 줌으로써, 현대병을 예방하고, 국민의 건강을 향상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비 또한 줄일 수 있고, 나아가 농가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복막걸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벼농사를 주로 했기 때문에 쌀과 누룩을 원료로 하는 곡주가 일찍부터 발달하였다.
따라서, 탁주(濁酒), 농주(農酒), 재주(滓酒) 및 회주(灰酒)라고도 하는 막걸리의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으나, 곡주에서 청주를 분리해내면서부터 그 술 찌꺼기에 대하여 마구 걸렀다는 뜻으로 막걸리라 지칭하고, 농민들 사이에서 애용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막걸리는 원래 찹쌀이나 쌀을 원료로 하고, 발효제로서 누룩을 사용하여 제 조해 왔으나, 1963년부터는 정부의 식량정책상 원료를 쌀에서 밀가루로 대체하게 되었다.
막걸리 제조자들은 제조원가 절감 등을 목적으로 제조방법의 변형 및 제조기간의 단축 등 정상적인 주질 관리를 소홀히 함으로써, 탁주의 고유한 풍미를 잃게 되었다.
한편, 1980년 말 쌀막걸리 생산이 허용되면서 막걸리는 품질 향상의 기회를 갖게 되고, 막걸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으며, 각종 대체 원료를 이용한 막걸리의 제조가 시도되고 있다.
대체 원료 중 하나인 현미의 외피에는 회분, 섬유, 칼슘, 인, 철분, 마그네슘, 비타민 B1, 비타민 B2, 니코친산(나이아신), 판토텐산, 피오친, 엽산, 비타민 B6, 이노시톨, 코린, 비타민 K, 비타민 E 및 휘친산 등의 유효영양소가 집중되어 있다.
특히, 노화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항산화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인체 내에 들어있는 독물과 노폐물을 흡착하여 체외에 배출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현미의 외피에 영양분이 풍부함으로써, 효모 및 곰팡이의 번식이 왕성하고,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전분질의 당화 및 알코올생성의 불균형으로 맛과 향의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외피에 있는 무기질 성분이나, 색소 등이 막걸리의 색, 맛, 및 향을 저하하기 때문에 현미를 막걸리의 주원료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미를 주원료로 한 현미 막걸리의 제조방법(공개특허 제10-2007-0050527호)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현미 막걸리의 제조방법(공개특허 제10-2007-0050527호)은 칼로리 식품이기 때문에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항암효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활성산소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해 주지 못함으로써, 현대병을 예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암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활성산소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해 줌으로써, 현대병을 예방하고, 국민의 건강을 향상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비 또한 줄일 수 있고, 나아가 농가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복막걸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씨눈 및 표피가 분리된 상태의 현미, 통보리, 통밀, 통옥수수 및 통수수를 물로 세척한 상태에서 현미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보리 20중량부, 통밀 20중량부, 통옥수수 20중량부 및 통수수 20중량부를 혼합한 상태로 증기로 쪄내 고두밥으로 제조하는 고두밥 제조단계와; 상기 고두밥 100중량부에 대하여 누룩 60중량부 및 물 20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24~26℃의 온도로 3~4일 동안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상태의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오디 분쇄액 3.0중량부, 복분자 분쇄액 3.0중량부 및 계피 액기스 3.0중량부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이 막걸리가 되도록 4~5℃의 온도로 3~4일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복막걸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두밥 제조단계에서 현미, 통보리, 통밀, 통옥수수 및 통수수의 씨눈 및 표피를 170~190메쉬로 분쇄하여 냉장보관한 후 상기 숙성단계의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오복막걸리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오복막걸리의 제조방법은 크게, 고두밥 제조단계, 발효단계 및 숙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고두밥 제조단계는 현미, 통보리, 통밀, 통옥수수 및 통수수를 고두밥으로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써, 씨눈 및 표피가 분리된 상태의 현미, 통보리, 통밀, 통옥수수 및 통수수를 물로 세척한 상태에서 현미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보리 20중량부, 통밀 20중량부, 통옥수수 20중량부 및 통수수 20중량부를 혼합한 상태로 예를 들어, 찜통 또는 시루에서 증기로 쪄내 고두밥으로 제조하게 된다.
한편, 현미에 함유된 섬유소 및 피틴산의 성분은 인체에 해로운 공해 독소들을 흡착하여 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효능이 있다.
그리고, 통보리란, 타거나 누르지 아니한 통째 그대로의 보리쌀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는 효능이 있다.
통밀은 울화증 및 신경안정에 좋고, 아울러 인체의 면역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능이 있다.
통옥수수는 쌀보다 열량이 높고, 단백질 함유량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찌거 나 삶아서 먹으면 항산화 성분이 보다 많이 생성되기 때문에 노화, 암 및 신장병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뇨작용을 할 수 있는 효능이 있다.
통수수란, 쌀을 내지 아니한 그대로의 수수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생약명으로 촉맥(蜀麥) 또는 출촉이라고 한다.
또한, 수수로 담근 술을 고량주라 하여 인체의 오장을 따끈하게 해주고, 위장을 건강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난산과 적백대하를 치료할 수 있는 효능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효단계는 고두밥, 누룩 및 물이 혼합된 상태의 혼합물을 발효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혼합물이 발효되는 과정 중에 보다 원활하게 끊어 오르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두밥 100중량부에 대하여 누룩 60중량부 및 물 200중량부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24~26℃의 온도로 3~4일 동안 발효시키게 된다.
이때. 발효되는 상기 고두밥, 누룩 및 물이 혼합된 상태의 혼합물의 온도가 3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고두밥, 누룩 및 물이 혼합된 상태의 혼합물에서 신맛이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단계는 상기 발효된 상태의 혼합물과 오디 분쇄액, 복분자 분쇄액 및 계피 액기스가 혼합된 상태의 혼합물이 막걸리가 되도록 숙성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당도를 높이고, 감칠맛이 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상태의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오디 분쇄액 3.0중량부, 복분자 분 쇄액 3.0중량부 및 계피 액기스 3.0중량부를 혼합한 후 4~5℃의 온도로 3~4일 동안 숙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혼합물의 색은 상기 오디 분쇄액 및 복분자 분쇄액으로 인해 예를 들어, 와인과 같은 보라색을 띄게 된다.
한편, 뽕나무의 열매인 오디에는 노화억제 항산화 색소인 C3G는 물론, 고혈압 억제 물질인 루틴과 혈당저하물질인 DNJ 등 건강 기능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오디에 함유된 항산화 색소C3G는 노화 억제 효과가 있는 토코페롤보다 7배나 강한 노화 억제 효과를 보이며, 오디의 C3G최고 함량은 1.27%로 포도의 23배, 유색미의 2.3배에 달한다.
더불어, 오디에 함유된 안토신아닌 성분이 뇌 손상은 물론,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뇌 노화를 방지해주는 효능이 있다.
복분자는 신장기능을 튼튼하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남성의 발기부전 및 여성의 불임치료에 좋다.
그리고, 탈모를 방지하며, 머리카락을 검게하고 노화방지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킴은 물론, 야뇨증, 당뇨 및 체했을 때 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남성정력증강에 도움이 되고, 아울러 남자의 정액부족에 좋고, 자궁병으로 인한 불임증 등에 좋으며, 콩팥으로 오는 음위증, 몽정몽성, 강장제 및 혈액을 맑게 해주며 간을 보하고 눈을 맑게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이뇨작용을 돕고 폐의 허한증을 낫게 하며, 발한 해열약으로 감기, 열 성질병 및 활성산소를 용이하게 제거해줌으로써, 폐렴 기침에 좋고, 허한 것을 보하며, 성기능을 높이며, 속을 덥게 할 뿐만 아니라 기운을 세게 해주는 효능이 있다.
계피는 신경을 흥분시켜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몸을 따뜻하게 하며 장내의 이상발효를 억제하는 방부작용을 하기 때문에 휘발성 건위약, 몸이 찬 사람, 심장쇠약에 의한 부종 및 만성병으로 체질이 허약하고, 기혈이 부족한 사람, 허리와 무릎이 쑤시고 결리며, 관절이 시릴때 또는 냉통이 있거나 몸이 차고, 월경복통이 있는 여성 및 뱃속이 차고 아프며 대변이 묽어지고 구토를 하고, 장에서 소리가 나는 설사 등에 이용된다.
또한, 계피는 지속적인 말초혈관 확장작용(혈압강하) 및 혈소판 응집억제작용도 있으며, 발한작용 및 진토작용 등도 있음은 물론, 감기, 진통 및 진경을 할 수 있는 효능이 있다.
여기서, 상기 고두밥 제조단계에서 현미, 통보리, 통밀, 통옥수수 및 통수수의 섬유질 및 효소의 기능이 파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현미, 통보리, 통밀, 통옥수수 및 통수수의 씨눈 및 표피를 170~190메쉬로 분쇄하여 냉장보관한 후 상기 숙성단계의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더욱 좋다.
이때, 분리된 상태의 현미, 통보리, 통밀, 통옥수수 및 통수수의 씨눈 및 표피를 냉장보관하는 것은 현미, 통보리, 통밀, 통옥수수 및 통수수의 씨눈 및 표피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분쇄하여 상온에서 장기보관할 경우 분쇄된 상태의 현미, 통보리, 통밀, 통옥수수 및 통수수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국민이 건강음료로서 애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숙성단계를 통해 숙성된 상태의 상기 막걸리의 알코올 도수는 3~7%인 것이 좋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지용성 및 수용성으로 구분이 되는 미네랄은 인체의 필수 영양소이나, 인체 내에 과다 축적시 오히려 인체에 해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용성 미네랄은 예를 들어, 어패류 및 육류와 계란 등에서 섭취하게 되는 미네랄이기 때문에 인체 내에 축적이 되기 쉽다.
그러나, 수용성 미네랄은 예를 들어, 현미, 통보리, 통옥수수 및 통수수 등의 식물에서 섭취하게 되는 미네랄이기 때문에 인체 내에 과다 축적이 되더라도 소변으로 자연배출되기 때문에 인체에 해가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물에서 섭취할 수 있는 수용성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항암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활성산소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해 줌으로써, 현대병을 예방하고, 국민의 건강을 향상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비 또한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오디 및 복분자를 재배하는 농가의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항암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활성산소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해 줌으로써, 현대병을 예방하고, 국민의 건강을 향상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비 또한 줄일 수 있고, 나아가 농가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현미, 통보리, 통밀, 통옥수수 및 통수수의 씨눈 및 표피를 170~190메쉬로 분쇄하여 냉장보관한 후 숙성단계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를 혼합하기 때문에 현미, 통보리, 통밀, 통옥수수 및 통수수의 섬유질 및 효소의 기능이 파기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오복막걸리의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실시예 1]
씨눈 및 표피가 분리된 상태의 현미, 통보리, 통밀, 통옥수수, 통수수를 물로 세척했다.
그리고, 현미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보리 20중량부, 통밀 20중량부, 통옥수수 20중량부 및 통수수 20중량부를 혼합한 상태로 찜통 또는 시루에서 증기로 쪄내 고두밥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고두밥 100중량부에 대하여 누룩 60중량부 및 물 200중량부를 혼합한 후 상기 고두밥, 누룩 및 물이 혼합된 상태의 혼합물을 24~26℃의 온도로 3~4일 동안 발효시켰다.
그리고, 발효된 상태의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오디 분쇄액 3.0중량부, 복분자 분쇄액 3.0중량부 및 계피 액기스 3.0중량부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이 막걸리가 되도록 4~5℃의 온도로 3~4일 동안 숙성시켜 실시예 1의 오복막걸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달리 냉장보관된 상태의 현미, 통보리, 통밀, 통옥수수 및 통수수의 씨눈 및 표피를 170~190메쉬로 분쇄한 후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숙성시켜 실시예 2의 오복막걸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로서,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S사(社)의 생탁 막걸리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오복막걸리 및 생탁 막걸리에 관한 관능검사를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이때, 관능검사는 성인 남자 20명, 성인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맛, 향 및 기 호도에 대하여 9점 채점법(9-매우좋음, 7-좋음, 5-보통, 3-나쁨, 1-매우나쁨)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표 1] 관능검사 시험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8.6 8.7 7.1
8.7 8.8 7.3
기호도 8.8 8.9 7.3
상기 실시예 1~2의 오복막걸리의 맛, 향 및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는 8.6점 이상으로 높게 채점되었으며, 상기 비교예 1의 생탁 막걸리의 맛, 향 및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는 7.3점 이하로 낮게 채점되었다.
이는 오디 분쇄액, 복분자 분쇄액 및 계피 액기스에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항암효능이 있음은 물론, 인체의 활성산소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해 줄 뿐만 아니라 와인과 같은 보라색을 띄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 1~2의 오복막걸리의 맛, 향 및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가 8.5점 이상으로 높게 채점된 것으로 사료된다.
[영양성분 검사]
그리고, 실시예 1의 오복막걸리에 대한 영양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영양성분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영양성분 분석결과(1회 분량 160g)
탄수화물
(mg)
섬유질
(mg)
지방
(mg)
단백질
(mg)
나트륨
(mg)
비타민 B2
(mg)
비타민 B6
(mg)
실시예 1 113.1 16.6 4.6 16.3 18.1 7.2 2.2
폴산
(mg)
칼슘
(mg)

(mg)
망간
(mg)
염소
(mg)
알루미늄
(mg)

(mg)
실시예 1 20.1 52.0 490.2 4.3 1.6 1.7 6.9
마그네슘
(mg)
칼륨
(mg)
구리
(mg)
바나듐
(mg)
티타늄
(mg)
몰리브덴
(mg)
규소
(mg)
실시예 1 187.5 609.1 0.6 0.16 0.02 0.06 0.12
니켈
(mg)
크롬
(mg)
붕소
(mg)
리노렌산
(mg)
리놀레산
(mg)
실시예 1 0.08 0.05 0.36 35.6 540.4
그리고, 비교예 1의 생탁 막걸리의 성분을 시험한 결과, 탄수화물 112.5mg, 섬유질 0.31mg, 지방 3.01mg, 단백질 14.31mg, 나트륨 2.08mg, 비타민 B2 0.07mg, 칼슘 20..8mg, 인 191.2mg, 철 1.22mg 및 칼륨 151.2mg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비교예 1과 달리 실시예 1의 오복막걸리에는 비타민 B6, 폴산, 망간, 염소, 알류미늄, 마그네슘, 구리, 바나듐, 티타늄, 몰리브덴, 규소, 크롬, 붕소, 리노렌산 및 리놀레산 등이 포함되어 있어, 소비자가 풍부한 영양소와 각종 비타민 및 다양한 미네랄을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건강 증진을 크게 도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타민 B6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간질성 혼수, 피부염 등을 예방할 수 있고(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권장량 제6차개정판: 165, 1995), 폴산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빈혈이나 혈소판 감소를 예방할 수 있고, 망간이 함유되어 있음으로써, 선천성 기형, 관절질환 및 골다공증 등을 예방할 수 있고(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권장량 제6차개정판: 116, 1995), 염소가 함유되어 있어 구 토, 설사 및 부신피질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마그네슘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체내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생화학적 또는 생리적과정이 조절될 수 있고(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권장량 제6차개정판: 91, 1995), 구리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빈혈, 백혈구 감소 및 호중구 감소 등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권장량 제6차개정판: 115, 1995) 몰리브덴이 함유되어 있어 결핍증 등을 예방할 수 있고, 크롬이 함유되어 있어 내당능손상, 고혈당 및 당뇨 등을 예방할 수 있다(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권장량 제6차개정판: 119, 1995).

Claims (2)

  1. 씨눈 및 표피가 분리된 상태의 현미, 통보리, 통밀, 통옥수수 및 통수수를 물로 세척한 상태에서 현미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보리 20중량부, 통밀 20중량부, 통옥수수 20중량부 및 통수수 20중량부를 혼합한 상태로 증기로 쪄내 고두밥으로 제조하는 고두밥 제조단계와;
    상기 고두밥 100중량부에 대하여 누룩 60중량부 및 물 20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24~26℃의 온도로 3~4일 동안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상태의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오디 분쇄액 3.0중량부, 복분자 분쇄액 3.0중량부 및 계피 액기스 3.0중량부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이 막걸리가 되도록 4~5℃의 온도로 3~4일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복막걸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두밥 제조단계에서 현미, 통보리, 통밀, 통옥수수 및 통수수의 씨눈 및 표피를 170~190메쉬로 분쇄하여 냉장보관한 후 상기 숙성단계의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복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20090042928A 2009-05-18 2009-05-18 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1133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928A KR101133813B1 (ko) 2009-05-18 2009-05-18 막걸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928A KR101133813B1 (ko) 2009-05-18 2009-05-18 막걸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948A true KR20100123948A (ko) 2010-11-26
KR101133813B1 KR101133813B1 (ko) 2012-04-06

Family

ID=43408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928A KR101133813B1 (ko) 2009-05-18 2009-05-18 막걸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8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521B1 (ko) * 2010-12-28 2014-09-17 괴산군 수수 막걸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52127A (ko) * 2020-10-20 2022-04-27 김경곤 새싹보리, 부추, 시금치 및 배즙을 함유하는 채소 막걸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7927A (zh) * 2014-03-28 2014-07-02 广西象州商源酒业有限公司 一种桑葚糯玉米保健酒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97B1 (ko) 2006-12-24 2007-04-09 서희동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청주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521B1 (ko) * 2010-12-28 2014-09-17 괴산군 수수 막걸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52127A (ko) * 2020-10-20 2022-04-27 김경곤 새싹보리, 부추, 시금치 및 배즙을 함유하는 채소 막걸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813B1 (ko) 201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745B1 (ko) 기능성 새싹채소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한새싹 채소 음료
CN102648751B (zh) 一种具有解酒护肝功能工程米及其制备方法
EP3238548B1 (en) Method for producing raw pills of fermented minerals having functions of improving constipation and recovery from fatigue, and raw pills of fermented minerals produced thereby
CN103205356B (zh) 一种紫云英醋
KR101018065B1 (ko) 대추를 사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
CN107467497A (zh) 一种具有抗肥胖保健功能的五谷杂粮食疗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828678B (zh) 青稞芝麻糊及其制备方法
CN103271158B (zh) 谷物养生奶及其制备方法
KR101722481B1 (ko) 고구마칩, 브로콜리 과립과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개선용 시리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33813B1 (ko) 막걸리의 제조방법
CN102106577A (zh) 天然有机可提高男性睡眠质量的饮料
CN104054788B (zh) 一种芹菜保健饼干
CN106173895A (zh) 一种防衰老可冲食杂粮面粉及其制作方法
CN105475937A (zh) 一种固态发酵黑枣枣酱及制备方法
CN106509621A (zh) 一种具有降血糖功能的海参粥及其制备方法
CN106616099A (zh) 一种可提高小儿食欲的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504344B1 (ko) 기능성 배 고추장의 제조 방법
CN105876557A (zh) 一种葛根护肝饮料及其制作方法
CN104397822A (zh) 一种灵芝固体饮品及其制备方法
CN104513766A (zh) 一种糙米虫草酒及其酿制方法
CN108925849A (zh) 一种中老年专用健脾养胃抗衰老复合米粉及其制备方法
CN104187264B (zh) 一种提高人体免疫力的营养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804409B1 (ko) 유황오리 만두의 제조방법
CN105165977A (zh) 一种可止饥饿的奶酪饼干及其制备方法
KR101401056B1 (ko) 발아 곡식을 이용한 발효밥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