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726A - 냉동 장치 - Google Patents

냉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726A
KR20100123726A KR1020107020753A KR20107020753A KR20100123726A KR 20100123726 A KR20100123726 A KR 20100123726A KR 1020107020753 A KR1020107020753 A KR 1020107020753A KR 20107020753 A KR20107020753 A KR 20107020753A KR 20100123726 A KR20100123726 A KR 20100123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mpression
heat exchanger
pipe
compression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105B1 (ko
Inventor
슈지 후지모토
아츠시 요시미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3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1/1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with multi-stage com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09/00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 F25B2309/06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 F25B2309/06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with cycle highest pressure above the supercritical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bridge circuits of one-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2Intercool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5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3Econom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공기 조화 장치(1)는, 2단 압축식의 압축 기구(2)와, 열원 측 열교환기(4)와, 이용 측 열교환기(6)와, 중간 냉각기(7)와,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과, 흡입 되돌림관(92)을 구비하고 있다. 중간 냉각기(7)는,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키기 위한 중간 냉매관(8)에 설치되고,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되어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되는 냉매의 냉각기로서 기능한다.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은, 중간 냉각기(7)를 바이패스하도록 중간 냉매관(8)에 접속되어 있다. 흡입 되돌림관(92)은,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기 위한 냉매관이다.

Description

냉동 장치{REFRIGERATION DEVICE}
본 발명은, 냉동 장치, 특히, 다단 압축식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냉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다단 압축식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냉동 장치의 하나로서, 특허 문헌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2단 압축식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공기 조화 장치가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는, 주로, 직렬로 접속된 2개의 압축 요소를 가지는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실내 열교환기를 가지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32263호
제1 발명에 관련되는 냉동 장치는, 압축 기구와, 열원 측 열교환기와, 이용 측 열교환기와, 중간 냉각기와,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과, 흡입 되돌림관을 구비하고 있다. 압축 기구는, 복수의 압축 요소를 가지고 있고, 복수의 압축 요소 중 전단(前段)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後段) 측의 압축 요소로 순차 압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압축 기구」란, 복수의 압축 요소가 일체로 짜 넣어진 압축기나, 단일의 압축 요소가 짜 넣어진 압축기 및/또는 복수의 압축 요소가 짜 넣어진 압축기를 복수대 접속한 것을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압축 요소 중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순차 압축한다」란, 「전단 측의 압축 요소」 및 「후단 측의 압축 요소」라고 하는 직렬로 접속된 2개의 압축 요소를 포함하는 것만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압축 요소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각 압축 요소 간의 관계가, 상술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와 「후단 측의 압축 요소」의 관계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중간 냉각기는,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키기 위한 중간 냉매관에 설치되고,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되어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되는 냉매의 냉각기로서 기능한다.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은, 중간 냉각기를 바이패스하도록 중간 냉매관에 접속되어 있다. 흡입 되돌림관은,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키는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 중간 냉각기와 압축 기구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기 위한 냉매관이다.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는, 압축기의 저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압축기의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되어 한층 더 압축되기 때문에, 압축기의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높아져, 예를 들어,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실외 열교환기에 있어서, 열원으로서의 공기나 물과 냉매와의 사이의 온도차가 커져 버려, 실외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방열 로스가 커지는 것으로부터, 높은 운전 효율을 얻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되어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되는 냉매의 냉각기로서 기능하는 중간 냉각기를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키기 위한 중간 냉매관에 설치하는 것으로,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낮게 하고, 그 결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낮게 하여, 실외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방열 로스를 작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중간 냉각기에서는, 냉동 장치의 정지 시 등에, 액 냉매가 고일 우려가 있고, 중간 냉각기에 액 냉매가 고인 상태로 운전을 개시하면, 중간 냉각기에 고인 액 냉매가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되기 때문에, 후단 측의 압축 요소에 있어서 액 압축이 생겨 버려, 압축기의 신뢰성이 손상되게 된다.
그래서, 이 냉동 장치에서는,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에 의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중간 냉각기를 통과하는 것 없이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되는 흐름을 일으키게 하는 것과 함께, 흡입 되돌림관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와 압축 기구의 흡입 측을 접속시켜, 중간 냉각기에 있어서의 냉매의 압력을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저압 부근까지 저하시켜 중간 냉각기 내의 냉매를 압축 기구의 흡입 측으로 뺄 수 있기 때문에, 냉동 장치의 정지 시 등에, 중간 냉각기 내에 액 냉매가 고였다고 하여도, 중간 냉각기 내에 고인 액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켜 버리는 것 없이, 중간 냉각기 밖으로 뺄 수 있고, 또한,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에 의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중간 냉각기를 통과하는 것 없이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되는 흐름을 일으키게 한 상태로 운전하고 있을 때에, 흡입 되돌림관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와 압축 기구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는 것으로, 중간 냉각기 내에 액 냉매가 고이기 어려운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냉동 장치에서는, 중간 냉각기 내에 액 냉매가 고이는 것에 기인한 후단 측의 압축 요소에 있어서의 액 압축이 생기지 않게 되어, 압축 기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냉동 장치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 압축 기구, 열원 측 열교환기, 이용 측 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각 운전 상태와, 압축 기구, 이용 측 열교환기, 열원 측 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가열 운전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고, 전환 기구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한 운전의 개시 시에,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흡입 되돌림관을 통하여 중간 냉각기와 압축 기구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는 것이다.
이 냉동 장치에서는, 전환 기구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한 운전의 개시 시에,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흡입 되돌림관을 통하여 중간 냉각기와 압축 기구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전환 기구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한 운전의 개시 전에, 중간 냉각기 내에 액 냉매가 고여 있다고 하여도, 이 액 냉매를 중간 냉각기 밖으로 뺄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전환 기구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한 운전의 개시 시에, 중간 냉각기 내에 액 냉매가 고인 상태를 피할 수 있도록 되어, 중간 냉각기 내에 액 냉매가 고이는 것에 기인한 후단 측의 압축 요소에 있어서의 액 압축이 생기게 하는 것 없이, 중간 냉각기를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킬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냉동 장치는, 제1 또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 압축 기구, 열원 측 열교환기, 이용 측 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각 운전 상태와, 압축 기구, 이용 측 열교환기, 열원 측 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가열 운전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고, 전환 기구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흡입 되돌림관을 통하여 중간 냉각기와 압축 기구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는 것이다.
이 냉동 장치에서는, 전환 기구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흡입 되돌림관을 통하여 중간 냉각기와 압축 기구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전환 기구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의 중간 냉각기로부터 외부로의 방열 로스를 막는 것과 함께, 중간 냉각기 내에 액 냉매가 고이기 어려운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전환 기구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는, 이용 측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가열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고, 게다가, 전환 기구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한 운전의 개시 시에, 중간 냉각기 내에 액 냉매가 고인 상태를 피할 수 있도록 되어, 중간 냉각기 내에 액 냉매가 고이는 것에 기인한 후단 측의 압축 요소에 있어서의 액 압축이 생기게 하는 것 없이, 중간 냉각기를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킬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냉동 장치는, 제1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 중간 냉각기를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흡입 되돌림관을 통하여 중간 냉각기와 압축 기구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지 않도록 하는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흡입 되돌림관을 통하여 중간 냉각기와 압축 기구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도록 하는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중간 냉각기 전환 밸브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냉동 장치에서는, 중간 냉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밸브에 의하여,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를 전환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밸브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냉동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냉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압력 엔탈피 선도이다.
도 3은 냉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온도 엔트로피 선도이다.
도 4는 냉방 개시 제어의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냉방 개시 제어 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 내의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변형예 1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변형예 2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은 냉방 개시 제어 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 내의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변형예 2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난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압력 엔탈피 선도이다.
도 10은 변형예 2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난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온도 엔트로피 선도이다.
도 11은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 내의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변형예 3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3은 변형예 3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냉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압력 엔탈피 선도이다.
도 14는 변형예 3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냉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온도 엔트로피 선도이다.
도 15는 변형예 3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난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압력 엔탈피 선도이다.
도 16은 변형예 3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난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온도 엔트로피 선도이다.
도 17은 변형예 4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8은 변형예 4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난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압력 엔탈피 선도이다.
도 19는 변형예 4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난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온도 엔트로피 선도이다.
도 20은 변형예 5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1은 변형예 5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냉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압력 엔탈피 선도이다.
도 22는 변형예 5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냉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온도 엔트로피 선도이다.
도 23은 변형예 6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냉동 장치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1)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냉동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개략 구성도이다. 공기 조화 장치(1)는, 냉방 운전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 냉매 회로(10)를 가지고, 초임계역(超臨界域)에서 작동하는 냉매(여기에서는,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2단 압축식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장치이다.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매 회로(10)는, 주로, 압축 기구(2)와 열원 측 열교환기(4)와 팽창 기구(5)와 이용 측 열교환기(6)와 중간 냉각기(7)를 가지고 있다.
압축 기구(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압축 요소로 냉매를 2단 압축하는 압축기(21)로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21)는, 케이싱(21a) 내에, 압축기 구동 모터(21b)와, 구동 축(21c)과, 압축 요소(2c, 2d)가 수용된 밀폐식 구조로 되어 있다. 압축기 구동 모터(21b)는, 구동 축(21c)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동 축(21c)은, 2개의 압축 요소(2c, 2d)에 연결되어 있다. 즉, 압축기(21)는 2개의 압축 요소(2c, 2d)가 단일의 구동 축(21c)에 연결되어 있고, 2개의 압축 요소(2c, 2d)가 함께 압축기 구동 모터(21b)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이른바 1축 2단 압축 구조로 되어 있다. 압축 요소(2c, 2d)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로터리식이나 스크롤식 등의 용적식의 압축 요소이다. 그리고, 압축기(21)는, 흡입관(2a)으로부터 냉매를 흡입하고, 이 흡입된 냉매를 압축 요소(2c)에 의하여 압축한 후에 중간 냉매관(8)으로 토출하고, 중간 냉매관(8)으로 토출된 냉매를 압축 요소(2d)로 흡입시켜 냉매를 더 압축한 후에 토출관(2b)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중간 냉매관(8)은, 압축 요소(2d)의 전단 측에 접속된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압축 요소(2c)의 후단 측에 접속된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키기 위한 냉매관이다. 또한, 토출관(2b)은,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방열기로서의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기 위한 냉매관이며, 토출관(2b)에는, 오일 분리 기구(41)와 역지(逆止) 기구(42)가 설치되어 있다. 오일 분리 기구(41)는,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에 동반하는 냉동기유를 냉매로부터 분리하여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으로 되돌리는 기구이며, 주로,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에 동반하는 냉동기유를 냉매로부터 분리하는 오일 분리기(41a)와, 오일 분리기(41a)에 접속되어 있고 냉매로부터 분리된 냉동기유를 압축 기구(2)의 흡입관(2a)으로 되돌리는 오일 되돌림관(41b)을 가지고 있다. 오일 되돌림관(41b)에는, 오일 되돌림관(41b)을 흐르는 냉동기유를 감압하는 감압 기구(41c)가 설치되어 있다. 감압 기구(41c)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캐필러리 튜브가 사용되어 있다. 역지 기구(42)는, 압축 기구(2)의 토출 측으로부터 전환 기구(3)로의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고, 또한, 전환 기구(3)로부터 압축 기구(2)의 토출 측으로의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기구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역지 밸브가 사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축 기구(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압축 요소(2c, 2d)를 가지고 있고, 이들 압축 요소(2c, 2d) 중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순차 압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열원 측 열교환기(4)는,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열교환기이다. 열원 측 열교환기(4)는, 그 일단(一端)이 압축 기구(2)에 접속되어 있고, 그 타단(他端)이 팽창 기구(5)에 접속되어 있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열원 측 열교환기(4)에는, 열원 측 열교환기(4)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는 냉각원으로서 물이나 공기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팽창 기구(5)는, 방열기로서의 열원 측 열교환기(4)로부터 증발기로서의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지는 냉매를 감압하는 기구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 팽창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팽창 기구(5)는, 그 일단이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팽창 기구(5)는,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를 증발기로서의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기 전에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저압 부근까지 감압한다.
이용 측 열교환기(6)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열교환기이다. 이용 측 열교환기(6)는, 그 일단이 팽창 기구(5)에 접속되어 있고, 그 타단이 압축 기구(2)에 접속되어 있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이용 측 열교환기(6)에는, 이용 측 열교환기(6)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는 가열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중간 냉각기(7)는, 중간 냉매관(8)에 설치되어 있고,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되어 압축 요소(2d)로 흡입되는 냉매의 냉각기로서 기능하는 열교환기이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중간 냉각기(7)에는, 중간 냉각기(7)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는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 냉각기(7)는, 냉매 회로(10)를 순환하는 냉매를 이용한 것은 아니라고 하는 의미에서, 외부 열원을 이용한 냉각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냉매관(8)에는, 중간 냉각기(7)를 바이패스하도록,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관(9)이 접속되어 있다. 이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관(9)은, 중간 냉각기(7)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한하는 냉매관이다. 그리고,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관(9)에는,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밸브이다. 이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후술의 냉방 개시 제어와 같은 일시적인 운전을 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기본적으로는 닫힘된다.
또한, 중간 냉매관(8)에는,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 측단(側端)과의 접속부로부터 중간 냉각기(7)의 입구까지의 부분에,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는, 중간 냉각기(7)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한하는 기구이다.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밸브이다. 이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후술의 냉방 개시 제어와 같은 일시적인 운전을 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기본적으로는 열린다.
또한, 중간 냉매관(8)에는,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의 토출 측으로부터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의 흡입 측으로의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고, 또한,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의 흡입 측으로부터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의 토출 측으로의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역지 기구(15)가 설치되어 있다. 역지 기구(1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역지 밸브이다. 덧붙여, 역지 기구(1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냉매관(8)의 중간 냉각기(7)의 출구로부터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의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 측단과의 접속부까지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중간 냉매관(8) 또는 중간 냉각기(7)의 일단(여기에서는, 입구)에는, 제1 흡입 되돌림관(92)이 접속되어 있다. 이 제1 흡입 되돌림관(92)은,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키는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여기에서는, 흡입관(2a))을 접속시키기 위한 냉매관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흡입 되돌림관(92)은, 그 일단이, 중간 냉매관(8)의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 측단과의 접속부로부터 중간 냉각기(7)의 입구까지의 부분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여기에서는, 흡입관(2a))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흡입 되돌림관(92)에는, 제1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92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92a)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밸브이다. 이 제1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92a)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후술의 냉방 개시 제어와 같은 일시적인 운전을 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기본적으로는 닫힘된다.
나아가, 공기 조화 장치(1)는,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압축 기구(2), 팽창 기구(5),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 제1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92a) 등의 공기 조화 장치(1)를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고 있다.
(2) 공기 조화 장치의 동작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의 동작에 관하여, 도 1 ~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냉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압력 엔탈피 선도이며, 도 3은, 냉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온도 엔트로피 선도이다. 도 4는, 냉방 개시 제어의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냉방 개시 제어 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 내의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덧붙여, 이하의 냉방 운전에 있어서의 운전 제어, 및, 냉방 개시 제어는, 상술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고압」이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고압(즉, 도 2, 3의 점 D, D′, E에 있어서의 압력)을 의미하고, 「저압」이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저압(즉, 도 2, 3의 점 A, F에 있어서의 압력)을 의미하며, 「중간압」이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중간압(즉, 도 2, 3의 점 B1, C1에 있어서의 압력)을 의미하고 있다.
<냉방 운전>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팽창 기구(5)가 개도(開度) 조절된다. 또한, 중간 냉매관(8)의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가 열리고, 그리고,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의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가 닫히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가 냉각기로서 기능하는 상태로 되는 것과 함께, 제1 흡입 되돌림관(92)의 제1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92a)가 닫히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이 접속하고 있지 않는 상태가 된다(단, 후술의 냉방 개시 제어 시를 제외한다).
이 냉매 회로(10)의 상태에 있어서, 저압의 냉매(도 1 ~ 도 3의 점 A 참조)는, 흡입관(2a)으로부터 압축 기구(2)로 흡입되고, 우선, 압축 요소(2c)에 의하여 중간 압력까지 압축된 후에, 중간 냉매관(8)으로 토출된다(도 1 ~ 도 3의 점 B1 참조). 이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는, 중간 냉각기(7)에 있어서,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는 것으로 냉각된다(도 1 ~ 도 3의 점 C1 참조). 이 중간 냉각기(7)에 있어서 냉각된 냉매는, 다음으로, 압축 요소(2c)의 후단 측에 접속된 압축 요소(2d)로 흡입되어 한층 더 압축되고,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관(2b)으로 토출된다(도 1 ~ 도 3의 점 D 참조). 여기서,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압축 요소(2c, 2d)에 의한 2단 압축 동작에 의하여, 임계 압력(즉, 도 2에 도시되는 임계점 CP에 있어서의 임계 압력 Pcp)을 넘는 압력까지 압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오일 분리 기구(41)를 구성하는 오일 분리기(41a)로 유입하고, 동반하는 냉동기유가 분리된다. 또한, 오일 분리기(41a)에 있어서 고압의 냉매로부터 분리된 냉동기유는, 오일 분리 기구(41)를 구성하는 오일 되돌림관(41b)으로 유입하고, 오일 되돌림관(41b)에 설치된 감압 기구(41c)로 감압된 후에 압축 기구(2)의 흡입관(2a)으로 되돌려져, 다시, 압축 기구(2)로 흡입된다. 다음으로, 오일 분리 기구(41)에 있어서 냉동기유가 분리된 후의 고압의 냉매는, 역지 기구(42)를 통하여,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진다. 그리고,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진 고압의 냉매는,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각된다(도 1 ~ 도 3의 점 E 참조). 그리고,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는, 팽창 기구(5)에 의하여 감압되어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로 되어,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진다(도 1 ~ 도 3의 점 F 참조). 그리고,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진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는,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가열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가열되고, 증발하게 된다(도 1 ~ 도 3의 점 A 참조). 그리고, 이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가열된 저압의 냉매는, 다시, 압축 기구(2)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냉방 운전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키기 위한 중간 냉매관(8)에 중간 냉각기(7)를 설치하는 것과 함께, 냉방 운전에 있어서,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를 열고, 또한,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의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를 닫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를 냉각기로서 기능하는 상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 냉각기(7)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이 경우에는, 도 2, 도 3에 있어서, 점 A→점 B1→점 D′→점 E→점 F의 순으로 냉동 사이클이 행하여진다)에 비하여, 압축 요소(2c)의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되는 냉매의 온도가 저하하고(도 3의 점 B1, C1 참조), 압축 요소(2d)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도 저하하게 된다(도 3의 점 D, D′ 참조).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고압의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중간 냉각기(7)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냉매와의 온도차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도 3의 점 B1, D′, D, C1를 잇는 것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면적에 상당하는 분의 방열 로스를 작게 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냉방 개시 제어>
상술과 같은 중간 냉각기(7)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정지 시 등에, 액 냉매가 고일 우려가 있어, 중간 냉각기(7)에 액 냉매가 고인 상태로, 상술의 냉방 운전을 개시하면, 중간 냉각기(7)에 고인 액 냉매가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되기 때문에, 후단 측의 압축 요소(2c)에 있어서 액 압축이 생겨 버려, 압축 기구(2)의 신뢰성이 손상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의 냉방 운전의 개시 시에,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키는 상태로 하는 것과 함께, 제1 흡입 되돌림관(92)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는 냉방 개시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냉방 개시 제어에 관하여,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에 있어서, 냉방 운전 개시의 지령이 이루어지면, 스텝 S2의 각종 밸브를 조작하는 처리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스텝 S2에 있어서, 개폐 밸브(11, 12, 92a)의 개폐 상태를,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제1 흡입 되돌림관(92)을 통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는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를 열고, 그리고,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를 닫는다. 그러면,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에 의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중간 냉각기(7)를 통과하는 것 없이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되는 흐름이 생기게 된다. 즉, 중간 냉각기(7)가 냉각기로서 기능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과 함께,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되는 상태로 된다(도 5 참조).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제1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92a)를 연다. 그러면, 제1 흡입 되돌림관(92)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이 접속되어, 중간 냉각기(7)(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간 냉각기(7)를 포함하는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와 역지 기구(15)와의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의 냉매의 압력이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저압 부근까지 저하하고, 중간 냉각기(7) 내의 냉매를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으로 뺄 수 있는 상태로 된다(도 5 참조).
다음으로, 스텝 S3에 있어서, 스텝 S2에 있어서의 개폐 밸브(11, 12, 92a)의 개폐 상태(즉,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를 소정 시간만큼 유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공기 조화 장치(1)의 정지 시 등에, 중간 냉각기(7) 내에 액 냉매가 고여 있다고 하여도, 중간 냉각기(7) 내에 고인 액 냉매는, 감압 증발하여,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되는 것 없이, 중간 냉각기(7) 밖(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으로 빼내어져, 압축 기구(2)(여기에서는,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 흡입되게 된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중간 냉각기(7) 내에 고여 있는 액 냉매를 중간 냉각기(7) 밖으로 빼는 것이 가능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스텝 S4에 있어서, 개폐 밸브(11, 12, 92a)의 개폐 상태를, 중간 냉각기(7)를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제1 흡입 되돌림관(92)을 통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지 않는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로 전환한다. 즉, 상술의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밸브(11, 12, 92a)의 개폐 상태로 이행하여, 냉방 개시 제어를 종료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92a)를 닫는다. 그러면, 중간 냉각기(7) 내의 냉매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으로 유출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를 열고, 그리고,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를 닫는다. 그러면, 중간 냉각기(7)가 냉각기로서 기능하는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냉방 운전의 개시 시에 있어서, 중간 냉각기(7) 내에 액 냉매가 고이는 것에 기인한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에 있어서의 액 압축이 생기지 않게 되어, 압축 기구(2)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변형예 1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냉방 운전과 냉방 개시 제어와의 사이의 전환. 즉,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와의 전환을, 개폐 밸브(11, 12, 92a)의 개폐 상태에 의하여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1, 12, 92a)에 대신하여,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를 전환 가능한 중간 냉각기 전환 밸브(93)를 설치한 냉매 회로(110)로 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중간 냉각기 전환 밸브(93)는,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밸브이며, 본 변형예에 있어서, 중간 냉매관(8)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의 토출 측과, 중간 냉매관(8)의 중간 냉각기(7)의 입구 측과,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 측단과, 제1 흡입 되돌림관(92)의 중간 냉각기(7) 측단에 접속된 사방 전환 밸브이다. 또한,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에는,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의 토출 측으로부터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의 흡입 측으로의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고, 또한,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의 흡입 측으로부터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의 토출 측이나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으로의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역지 기구(9a)가 더 설치되어 있다. 역지 기구(9a)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 역지 밸브이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중간 냉각기 전환 밸브(93)를, 중간 냉각기(7)를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제1 흡입 되돌림관(92)을 통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지 않는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로 전환하는 것으로(도 6의 중간 냉각기 전환 밸브(93)의 실선을 참조), 상술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냉방 운전을 행하고,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제1 흡입 되돌림관(92)을 통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는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로 전환하는 것으로(도 6의 중간 냉각기 전환 밸브(93)의 파선을 참조), 상술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냉방 개시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의 구성에 있어서도, 상술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본 변형예에서는, 중간 냉각기 전환 밸브(93)에 의하여,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의 실시예와 같은 복수의 밸브(11, 12, 92a)에 의하여,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를 전환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밸브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자 밸브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압력 손실도 감소하기 때문에,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중간압의 저하를 억제하여, 운전 효율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4) 변형예 2
상술의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는, 냉방 운전이 가능하게 구성된 2단 압축식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공기 조화 장치(1)에 있어서,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되어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되는 냉매의 냉각기로서 기능하는 중간 냉각기(7), 중간 냉각기(7)를 바이패스하도록 중간 냉매관(8)에 접속되어 있는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 및,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키는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제1 흡입 되돌림관(92)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더하여,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단 압축식의 압축 기구(2)가 채용된 상술의 실시예의 냉매 회로(10, 도 1 참조)에 있어서,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을 전환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전환 기구(3)가 설치되고, 그리고, 팽창 기구(5)에 대신하여 제1 팽창 기구(5a) 및 제2 팽창 기구(5b)가 설치되는 것과 함께, 브릿지 회로(17), 및, 리시버(18)가 설치된 냉매 회로(210)로 할 수 있다.
전환 기구(3)는, 냉매 회로(210) 내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기구이며, 냉방 운전 시에는, 열원 측 열교환기(4)를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방열기로서 또한, 이용 측 열교환기(6)를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된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시키기 위하여, 압축 기구(2)의 토출 측과 열원 측 열교환기(4)의 일단을 접속하는 것과 함께 압축기(21)의 흡입 측과 이용 측 열교환기(6)를 접속하고(도 7의 전환 기구(3)의 실선을 참조, 이하, 이 전환 기구(3)의 상태를 「냉각 운전 상태」라고 한다), 난방 운전 시에는, 이용 측 열교환기(6)를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방열기로서, 또한, 열원 측 열교환기(4)를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냉각된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시키기 위하여, 압축 기구(2)의 토출 측과 이용 측 열교환기(6)를 접속하는 것과 함께 압축 기구(2)의 흡입 측과 열원 측 열교환기(4)의 일단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7의 전환 기구(3)의 파선을 참조, 이하, 이 전환 기구(3)의 상태를 「가열 운전 상태」라고 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전환 기구(3)는, 압축 기구(2)의 흡입 측, 압축 기구(2)의 토출 측, 열원 측 열교환기(4) 및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접속된 사방 전환 밸브이다. 덧붙여, 전환 기구(3)는, 사방 전환 밸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복수의 전자 밸브를 조합하는 등에 의하여, 상술과 마찬가지의 냉매의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전환 기구(3)는, 압축 기구(2), 열원 측 열교환기(4), 제1 팽창 기구(5a), 리시버(18), 제2 팽창 기구(5b), 이용 측 열교환기(6)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각 운전 상태와, 압축 기구(2), 이용 측 열교환기(6), 제1 팽창 기구(5a), 리시버(18), 제2 팽창 기구(5b), 열원 측 열교환기(4)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가열 운전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브릿지 회로(17)는, 열원 측 열교환기(4)와 이용 측 열교환기(6)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리시버(18)의 입구에 접속되는 리시버 입구관(18a), 및, 리시버(18)의 출구에 접속되는 리시버 출구관(18b)에 접속되어 있다. 브릿지 회로(17)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 4개의 역지 밸브(17a, 17b, 17c, 17d)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입구 역지 밸브(17a)는, 열원 측 열교환기(4)로부터 리시버 입구관(18a)으로의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지 밸브이다. 입구 역지 밸브(17b)는, 이용 측 열교환기(6)로부터 리시버 입구관(18a)으로의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지 밸브이다. 즉, 입구 역지 밸브(17a, 17b)는, 열원 측 열교환기(4) 및 이용 측 열교환기(6)의 일방(一方)으로부터 리시버 입구관(18a)으로 냉매를 유통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출구 역지 밸브(17c)는, 리시버 출구관(18b)으로부터 이용 측 열교환기(6)로의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지 밸브이다. 출구 역지 밸브(17d)는, 리시버 출구관(18b)으로부터 열원 측 열교환기(4)로의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지 밸브이다. 즉, 출구 역지 밸브(17c, 17d)는, 리시버 출구관(18b)으로부터 열원 측 열교환기(4) 및 이용 측 열교환기(6)의 타방(他方)으로 냉매를 유통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1 팽창 기구(5a)는, 리시버 입구관(18a)에 설치된 냉매를 감압하는 기구이며,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전동 팽창 밸브가 사용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제1 팽창 기구(5a)는, 냉방 운전 시에는,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를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기 전에 냉매의 포화 압력 부근까지 감압하고, 난방 운전 시에는,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를 리시버(18)를 통하여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기 전에 냉매의 포화 압력 부근까지 감압한다.
리시버(18)는,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과의 사이에서 냉매 회로(210)에 있어서의 냉매의 순환량이 다른 등의 운전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잉여 냉매를 모을 수 있도록, 제1 팽창 기구(5a)로 감압된 후의 냉매를 일시적으로 모으기 위하여 설치된 용기이며 그 입구가 리시버 입구관(18a)에 접속되어 있고, 그 출구가 리시버 출구관(18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리시버(18)에는, 리시버(18) 내로부터 냉매를 뽑아내어 압축 기구(2)의 흡입관(2a)(즉, 압축 기구(2)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의 흡입 측)으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한 제2 흡입 되돌림관(18f)이 접속되어 있다. 이 제2 흡입 되돌림관(18f)에는, 제2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18g)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18g)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전자 밸브이다.
제2 팽창 기구(5b)는, 리시버 출구관(18b)에 설치된 냉매를 감압하는 기구이며,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전동 팽창 밸브가 사용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제2 팽창 기구(5b)는, 냉방 운전 시에는, 제1 팽창 기구(5a)에 의하여 감압된 냉매를 리시버(18)를 통하여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기 전에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저압이 될 때까지 더 감압하고, 난방 운전 시에는, 제1 팽창 기구(5a)에 의하여 감압된 냉매를 리시버(18)를 통하여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기 전에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저압이 될 때까지 더 감압한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브릿지 회로(17), 리시버(18), 리시버 입구관(18a) 및 리시버 출구관(18b)에 의하여,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는,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를, 브릿지 회로(17)의 입구 역지 밸브(17a), 리시버 입구관(18a)의 제1 팽창 기구(5a), 리시버(18), 리시버 출구관(18b)의 제2 팽창 기구(5b) 및 브릿지 회로(17)의 출구 역지 밸브(17c)를 통하여,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는,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를, 브릿지 회로(17)의 입구 역지 밸브(17b), 리시버 입구관(18a)의 제1 팽창 기구(5a), 리시버(18), 리시버 출구관(18b)의 제2 팽창 기구(5b) 및 브릿지 회로(17)의 출구 역지 밸브(17d)를 통하여,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의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는,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한 냉방 운전 시에는, 상술의 실시예 및 그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닫는 제어가 이루어지고(단, 냉방 개시 제어 시를 제외한다),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한 난방 운전 시에는, 여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중간 냉매관(8)의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는,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한 냉방 운전 시에는, 상술의 실시예 및 그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여는 제어가 이루어지고(단, 냉방 개시 제어 시를 제외한다),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한 난방 운전 시에는, 닫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나아가, 제1 흡입 되돌림관(92)의 제1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92a)는, 냉방 개시 제어 시뿐만 아니라,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한 난방 운전 시에도 여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변형예의 공기 조화 장치(1)의 동작에 관하여, 도 7, 도 2 ~ 도 4, 도 8 ~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8은, 냉방 개시 제어 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 내의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는, 난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압력 엔탈피 선도이며, 도 10은, 난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온도 엔트로피 선도이며, 도 11은,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 내의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냉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나 냉방 개시 제어에 관해서는, 도 2 ~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냉방 운전, 냉방 개시 제어 및 난방 운전에 있어서의 운전 제어는,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고압」이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고압(즉, 도 2, 3의 점 D, D′, E에 있어서의 압력이나 도 9, 10의 점 D, D′, F에 있어서의 압력)을 의미하고, 「저압」이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저압(즉, 도 2, 3의 점 A, F에 있어서의 압력이나 도 9, 10의 점 A, E에 있어서의 압력)을 의미하며, 「중간압」이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중간압(즉, 도 2, 도 3, 도 9, 도 10의 점 B1, C1, C1′에 있어서의 압력)을 의미하고 있다.
<냉방 운전>
냉방 운전 시는, 전환 기구(3)가 도 7의 실선으로 도시되는 냉각 운전 상태로 된다. 또한, 제1 팽창 기구(5a) 및 제2 팽창 기구(5b)는, 개도 조절된다. 그리고, 전환 기구(3)가 냉각 운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중간 냉매관(8)의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가 열리고, 그리고,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의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가 닫히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가 냉각기로서 기능하는 상태로 되는 것과 함께, 제1 흡입 되돌림관(92)의 제1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92a)가 닫히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이 접속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된다(단, 후술의 냉방 개시 제어 시를 제외한다).
이 냉매 회로(210)의 상태에 있어서, 저압의 냉매(도 7, 도 2, 도 3의 점 A 참조)는, 흡입관(2a)으로부터 압축 기구(2)로 흡입되고, 우선, 압축 요소(2c)에 의하여 중간 압력까지 압축된 후에, 중간 냉매관(8)으로 토출된다(도 7, 도 2, 도 3의 점 B1 참조). 이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는, 중간 냉각기(7)에 있어서,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는 것으로 냉각된다(도 7, 도 2, 도 3의 점 C1 참조). 이 중간 냉각기(7)에 있어서 냉각된 냉매는, 다음으로, 압축 요소(2c)의 후단 측에 접속된 압축 요소(2d)로 흡입되어 한층 더 압축되고,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관(2b)으로 토출된다(도 7, 도 2, 도 3의 점 D 참조). 여기서,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압축 요소(2c, 2d)에 의한 2단 압축 동작에 의하여, 임계 압력(즉, 도 2에 도시되는 임계점 CP에 있어서의 임계 압력 Pcp)을 넘는 압력까지 압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오일 분리 기구(41)를 구성하는 오일 분리기(41a)로 유입하고, 동반하는 냉동기유가 분리된다. 또한, 오일 분리기(41a)에 있어서 고압의 냉매로부터 분리된 냉동기유는, 오일 분리 기구(41)를 구성하는 오일 되돌림관(41b)으로 유입하고, 오일 되돌림관(41b)에 설치된 감압 기구(41c)로 감압된 후에 압축 기구(2)의 흡입관(2a)으로 되돌려져, 다시, 압축 기구(2)로 흡입된다. 다음으로, 오일 분리 기구(41)에 있어서 냉동기유가 분리된 후의 고압의 냉매는, 역지 기구(42) 및 전환 기구(3)를 통하여,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진다. 그리고,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진 고압의 냉매는,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각된다(도 7, 도 2, 도 3의 점 E 참조). 그리고,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는, 브릿지 회로(17)의 입구 역지 밸브(17a)를 통하여 리시버 입구관(18a) 으로 유입하고, 제1 팽창 기구(5a)에 의하여 포화 압력 부근까지 감압되어 리시버(18) 내에 일시적으로 모여진다(도 7의 점 I 참조). 그리고, 리시버(18) 내에 모여진 냉매는, 리시버 출구관(18b)으로 보내지고, 제2 팽창 기구(5b)에 의하여 감압되어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로 되어, 브릿지 회로(17)의 출구 역지 밸브(17c)를 통하여,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진다(도 7, 도 2, 도 3의 점 F 참조). 그리고,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진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는, 가열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가열되고, 증발하게 된다(도 7, 도 2, 도 3의 점 A 참조). 그리고, 이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가열된 저압의 냉매는, 전환 기구(3)를 경유하여, 다시, 압축 기구(2)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냉방 운전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상술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압의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중간 냉각기(7)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냉매와의 온도차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냉방 개시 제어>
본 변형예의 중간 냉각기(7)에 있어서도, 공기 조화 장치(1)의 정지 시 등에, 액 냉매가 고일 우려가 있어, 중간 냉각기(7)에 액 냉매가 고인 상태로, 상술의 냉방 운전을 개시하면, 중간 냉각기(7)에 고인 액 냉매가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되기 때문에, 후단 측의 압축 요소(2c)에 있어서 액 압축이 생겨 버려, 압축 기구(2)의 신뢰성이 손상되게 된다.
그래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술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술의 냉방 운전의 개시 시에,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키는 상태로 하는 것과 함께, 제1 흡입 되돌림관(92)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는 냉방 개시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덧붙여, 본 변형예의 냉방 개시 제어에 관해서는, 냉방 운전 개시의 지령에 수반하여,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냉방 개시 제어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도 4 및 도 8 참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때문에,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술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한 냉방 운전의 개시 시에,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제1 흡입 되돌림관(92)을 통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전환 기구(2)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한 운전의 개시 전에, 중간 냉각기(7) 내에 액 냉매가 고여 있다고 하여도, 이 액 냉매를 중간 냉각기(7) 밖으로 뺄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한 운전의 개시 시에, 중간 냉각기(7) 내에 액 냉매가 고인 상태를 피할 수 있도록 되어, 중간 냉각기(7) 내에 액 냉매가 고이는 것에 기인한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에 있어서의 액 압축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압축 기구(2)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난방 운전>
난방 운전 시는, 전환 기구(3)가 도 7, 도 11의 파선으로 도시되는 가열 운전 상태로 된다. 또한, 제1 팽창 기구(5a) 및 제2 팽창 기구(5b)는, 개도 조절된다. 그리고, 전환 기구(3)가 가열 운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중간 냉매관(8)의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가 닫히고, 그리고,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의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가 열리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가 냉각기로서 기능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나아가, 전환 기구(3)가 가열 운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제1 흡입 되돌림관(92)의 제1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92a)가 열리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는 상태로 된다.
이 냉매 회로(210)의 상태에 있어서, 저압의 냉매(도 7, 도 9 ~ 도 11의 점 A 참조)는, 흡입관(2a)으로부터 압축 기구(2)로 흡입되고, 우선, 압축 요소(2c)에 의하여 중간 압력까지 압축된 후에, 중간 냉매관(8)으로 토출된다(도 7, 도 9 ~ 도 11의 점 B1 참조). 이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는, 냉방 운전 시와는 달리, 중간 냉각기(7)를 통과하지 않고(즉, 냉각되는 것 없이),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과하고(도 7, 도 9 ~ 도 11의 점 C1 참조), 압축 요소(2c)의 후단 측에 접속된 압축 요소(2d)로 흡입되어 한층 더 압축되고,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관(2b)으로 토출된다(도 7, 도 9 ~ 도 11의 점 D 참조). 여기서,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냉방 운전 시와 마찬가지로, 압축 요소(2c, 2d)에 의한 2단 압축 동작에 의하여, 임계 압력(즉, 도 9에 도시되는 임계점 CP에 있어서의 임계 압력 Pcp)을 넘는 압력까지 압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오일 분리 기구(41)를 구성하는 오일 분리기(41a)로 유입하고, 동반하는 냉동기유가 분리된다. 또한, 오일 분리기(41a)에 있어서 고압의 냉매로부터 분리된 냉동기유는, 오일 분리 기구(41)를 구성하는 오일 되돌림관(41b)으로 유입하고, 오일 되돌림관(41b)에 설치된 감압 기구(41c)로 감압된 후에 압축 기구(2)의 흡입관(2a)으로 되돌려져, 다시, 압축 기구(2)로 흡입된다. 다음으로, 오일 분리 기구(41)에 있어서 냉동기유가 분리된 후의 고압의 냉매는, 역지 기구(42) 및 전환 기구(3)를 통하여,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지고,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각된다(도 7, 도 9 ~ 도 11의 점 F 참조). 그리고,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는, 브릿지 회로(17)의 입구 역지 밸브(17b)를 통하여 리시버 입구관(18a)으로 유입하고, 제1 팽창 기구(5a)에 의하여 포화 압력 부근까지 감압되어 리시버(18) 내에 일시적으로 모여진다(도 7, 도 11의 점 I 참조). 그리고, 리시버(18) 내에 모여진 냉매는, 리시버 출구관(18b)으로 보내지고, 제2 팽창 기구(5b)에 의하여 감압되어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로 되어, 브릿지 회로(17)의 출구 역지 밸브(17d)를 통하여,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진다(도 7, 도 9 ~ 도 11의 점 E 참조). 그리고,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진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는, 가열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가열되고, 증발하게 된다(도 7, 도 9 ~ 도 11의 점 A 참조). 그리고, 이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가열된 저압의 냉매는, 전환 기구(3)를 경유하여 다시, 압축 기구(2)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난방 운전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한 난방 운전에 있어서,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를 닫고, 또한,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를 여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를 냉각기로서 기능하지 않는 상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 냉각기(7)만을 설치한 경우나 상술의 냉방 운전과 마찬가지로 중간 냉각기(7)를 냉각기로서 기능시킨 경우(이 경우에는, 도 9, 도 10에 있어서, 점 A→점 B1→점 C1′→점 D′→점 F→점 E의 순으로 냉동 사이클이 행하여진다)에 비하여,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의 저하가 억제된다(도 10의 점 D, D′ 참조).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중간 냉각기(7)만을 설치한 경우나 상술의 냉방 운전과 마찬가지로 중간 냉각기(7)를 냉각기로서 기능시킨 경우에 비하여, 외부로의 방열을 억제하여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이용 측 열교환기(6)로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도 9의 점 D와 점 F와의 엔탈피 차와 점 D′와 점 F와의 엔탈피 차와의 차에 상당하는 분의 가열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여, 운전 효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냉방 운전의 개시 시와 마찬가지로,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한 난방 운전 시에도,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제1 흡입 되돌림관(92)을 통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의 중간 냉각기(7)로부터 외부로의 방열 로스를 막는 것과 함께, 중간 냉각기(7) 내에 액 냉매가 고이기 어려운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본 변형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한 난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방열기로서의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의 가열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고, 게다가,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한 운전의 개시 시에, 중간 냉각기 내에 액 냉매가 고인 상태를 피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중간 냉각기(7) 내에 액 냉매가 고이는 것에 기인한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에 있어서의 액 압축이 생기게 하는 것 없이, 중간 냉각기(7)를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냉방 운전과 냉방 개시 제어와의 사이의 전환 즉,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와의 전환을, 개폐 밸브(11, 12, 92a)의 개폐 상태에 의하여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상술의 변형예 1과 같이, 개폐 밸브(11, 12, 92a)에 대신하여,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를 전환 가능한 중간 냉각기 전환 밸브(93)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5) 변형예 3
상술의 변형예 2에 있어서는, 전환 기구(3)에 의하여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을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 2단 압축식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공기 조화 장치(1)에 있어서,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되어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되는 냉매의 냉각기로서 기능하는 중간 냉각기(7), 중간 냉각기(7)를 바이패스하도록 중간 냉매관(8)에 접속되어 있는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 및,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키는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제1 흡입 되돌림관(92)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더하여,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 및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을 행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단 압축식의 압축 기구(2)가 채용된 상술의 변형예 2의 냉매 회로(210, 도 7 참조)에 있어서,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 및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가 설치된 냉매 회로(310)로 할 수 있다.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은, 열원 측 열교환기(4)와 이용 측 열교환기(6)와의 사이를 흐르는 냉매를 분기(分岐)하여 압축 기구(2)의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되돌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은, 리시버 입구관(18a)을 흐르는 냉매를 분기하여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의 흡입 측으로 되돌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은, 리시버 입구관(18a)의 제1 팽창 기구(5a)의 상류 측의 위치(즉,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는, 열원 측 열교환기(4)와 제1 팽창 기구(5a)와의 사이)로부터 냉매를 분기하여 중간 냉매관(8)의 중간 냉각기(7)의 하류 측의 위치로 되돌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에는, 개도 제어가 가능한 제1 후단 측 인젝션 밸브(19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후단 측 인젝션 밸브(19a)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전동 팽창 밸브이다.
이코노마이저 열교환기(20)는, 열원 측 열교환기(4)와 이용 측 열교환기(6)의 사이를 흐르는 냉매와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후단 측 인젝션 밸브(19a)에 있어서 중간압 부근까지 감압된 후의 냉매)와의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기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이코노마이저 열교환기(20)는, 리시버 입구관(18a)의 제1 팽창 기구(5a)의 상류 측의 위치(즉,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는, 열원 측 열교환기(4)와 제1 팽창 기구(5a)와의 사이)를 흐르는 냉매와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행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또한, 양 냉매가 대향하도록 흐르는 유로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이코노마이저 열교환기(20)는,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이 리시버 입구관(18a)으로부터 분기되어 있는 위치보다도 하류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열원 측 열교환기(4)와 이용 측 열교환기(6)와의 사이를 흐르는 냉매는, 리시버 입구관(18a)에 있어서, 이코노마이저 열교환기(20)에 있어서 열교환되기 전에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으로 분기되고, 그 후에, 이코노마이저 열교환기(20)에 있어서,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는,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를, 브릿지 회로(17)의 입구 역지 밸브(17a), 이코노마이저 열교환기(20), 리시버 입구관(18a)의 제1 팽창 기구(5a), 리시버(18), 리시버 출구관(18b)의 제2 팽창 기구(5b) 및 브릿지 회로(17)의 출구 역지 밸브(17c)를 통하여,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는,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를, 브릿지 회로(17)의 입구 역지 밸브(17b), 이코노마이저 열교환기(20), 리시버 입구관(18a)의 제1 팽창 기구(5a), 리시버(18), 리시버 출구관(18b)의 제2 팽창 기구(5b) 및 브릿지 회로(17)의 출구 역지 밸브(17d)를 통하여,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본 변형예에 있어서, 중간 냉매관(8) 또는 압축 기구(2)에는, 중간 냉매관(8)을 흐르는 냉매의 압력을 검출하는 중간 압력 센서(54)가 설치되어 있다. 이코노마이저 열교환기(20)의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 측의 출구에는, 이코노마이저 열교환기(20)의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 측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이코노마이저 출구 온도 센서(55)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변형예의 공기 조화 장치(1)의 동작에 관하여, 도 12 ~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3은, 냉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압력 엔탈피 선도이고, 도 14는, 냉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온도 엔트로피 선도이며, 도 15는, 난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압력 엔탈피 선도이고, 도 16은, 난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온도 엔트로피 선도이다. 여기서, 냉방 개시 제어에 관해서는, 상술의 변형예 2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여기에서는 설명하지 않는 냉방 개시 제어도 포함하는)에 있어서의 운전 제어는,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고압」이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고압(즉, 도 13, 도 14의 점 D, D′, E, H에 있어서의 압력이나 도 15, 도 16의 점 D, D′, F, H에 있어서의 압력)을 의미하고, 「저압」이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저압(즉, 도 13, 14의 점 A, F에 있어서의 압력이나 도 15, 도 16의 점 A, E에 있어서의 압력)을 의미하며, 「중간압」이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중간압(즉, 도 13 ~ 도 16의 점 B1, C1, G, J, K에 있어서의 압력)을 의미하고 있다.
<냉방 운전>
냉방 운전 시는, 전환 기구(3)가 도 12의 실선으로 도시되는 냉각 운전 상태로 된다. 또한, 제1 팽창 기구(5a) 및 제2 팽창 기구(5b)는, 개도 조절된다. 또한, 제1 후단 측 인젝션 밸브(19a)도, 개도 조절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제1 후단 측 인젝션 밸브(19a)는, 이코노마이저 열교환기(20)의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 측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가 목표값이 되도록 개도 조절되는, 이른바 과열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이코노마이저 열교환기(20)의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 측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는, 중간 압력 센서(54)에 의하여 검출되는 중간압을 포화 온도로 환산하고, 이코노마이저 출구 온도 센서(55)에 의하여 검출되는 냉매 온도로부터 이 냉매의 포화 온도값을 빼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다. 덧붙여, 본 변형예에서는 채용하고 있지 않지만, 이코노마이저 열교환기(20)의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 측의 입구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이 온도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냉매 온도를 이코노마이저 출구 온도 센서(55)에 의하여 검출되는 냉매 온도로부터 빼는 것에 의하여, 이코노마이저 열교환기(20)의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 측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를 얻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1 후단 측 인젝션 밸브(19a)의 개도 조절은, 과열도 제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냉매 회로(10)에 있어서의 냉매 순환량 등에 따라 소정 개도만큼 열도록 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전환 기구(3)가 냉각 운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중간 냉매관(8)의 중간 열교환기 개폐 밸브(12)가 열리고, 그리고, 중간 열교환기 바이패스관(9)의 중간 열교환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가 닫히는 것에 의하여, 중간 열교환기(7)가 냉각기로서 기능하는 상태로 되는 것과 함께, 제1 흡입 되돌림관(92)의 제1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92a)가 닫히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이 접속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된다(단, 냉방 개시 제어 시를 제외한다).
이 냉매 회로(310)의 상태에 있어서, 저압의 냉매(도 12 ~ 도 14의 점 A 참조)는, 흡입관(2a)으로부터 압축 기구(2)로 흡입되고, 우선, 압축 요소(2c)에 의하여 중간 압력까지 압축된 후에, 중간 냉매관(8)으로 토출된다(도 12 ~ 도 14의 점 B1 참조). 이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는, 중간 냉각기(7)에 있어서,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는 것으로 냉각된다(도 12 ~ 도 14의 점 C1 참조). 이 중간 냉각기(7)에 있어서 냉각된 냉매는,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으로부터 후단 측의 압축 기구(2d)로 되돌려지는 냉매(도 12 ~ 도 14의 점 K 참조)와 합류하는 것으로 한층 더 냉각된다(도 12 ~ 도 14의 점 G 참조). 다음으로,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으로부터 되돌아오는 냉매와 합류한(즉,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이 행하여진) 중간압의 냉매는, 압축 요소(2c)의 후단 측에 접속된 압축 요소(2d)로 흡입되어 한층 더 압축되고,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관(2b)으로 토출된다(도 12 ~ 도 14의 점 D 참조). 여기서,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압축 요소(2c, 2d)에 의한 2단 압축 동작에 의하여, 임계 압력(즉, 도 13에 도시되는 임계점 CP에 있어서의 임계 압력 Pcp)을 넘는 압력까지 압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오일 분리 기구(41)를 구성하는 오일 분리기(41a)로 유입하고, 동반하는 냉동기유가 분리된다. 또한, 오일 분리기(41a)에 있어서 고압의 냉매로부터 분리된 냉동기유는, 오일 분리 기구(41)를 구성하는 오일 되돌림관(41b)으로 유입하고, 오일 되돌림관(41b)에 설치된 감압 기구(41c)로 감압된 후에 압축 기구(2)의 흡입관(2a)으로 되돌려져, 다시, 압축 기구(2)로 흡입된다. 다음으로, 오일 분리 기구(41)에 있어서 냉동기유가 분리된 후의 고압의 냉매는, 역지 기구(42) 및 전환 기구(3)를 통하여,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진다. 그리고,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진 고압의 냉매는,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각된다(도 12 ~ 도 14의 점 E 참조). 그리고,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는, 브릿지 회로(17)의 입구 역지 밸브(17a)를 통하여 리시버 입구관(18a)으로 유입하고, 그 일부가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으로 분기된다. 그리고,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는, 제1 후단 측 인젝션 밸브(19a)에 있어서 중간압 부근까지 감압된 후에,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로 보내진다(도 12 ~ 도 14의 점 J 참조). 또한,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으로 분기된 후의 냉매는,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로 유입하고,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각된다(도 12 ~ 도 14의 점 H 참조). 한편,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는, 방열기로서의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여 가열되고(도 12 ~ 도 14의 점 K 참조), 상술과 같이,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에 합류하게 된다. 그리고,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는, 제1 팽창 기구(5a)에 의하여 포화 압력 부근까지 감압되어 리시버(18) 내에 일시적으로 모여진다(도 12의 점 I 참조). 그리고, 리시버(18) 내에 모여진 냉매는, 리시버 출구관(18b)으로 보내지고, 제2 팽창 기구(5b)에 의하여 감압되어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로 되어, 브릿지 회로(17)의 출구 역지 밸브(17c)를 통하여,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진다(도 12 ~ 도 14의 점 F 참조). 그리고,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진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는, 가열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가열되고, 증발하게 된다(도 12 ~ 도 14의 점 A 참조). 그리고, 이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가열된 저압의 냉매는, 전환 기구(3)를 경유하여, 다시, 압축 기구(2)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냉방 운전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본 변형예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술의 변형예 2와 마찬가지로,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한 냉방 운전에 있어서, 중간 냉각기(7)를 냉각기로서 기능하는 상태로 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중간 냉각기(7)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의 방열 로스를 작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본 변형예의 구성에서는,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 및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를 설치하여 열원 측 열교환기(4)로부터 팽창 기구(5a, 5b)로 보내지는 냉매를 분기하여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되돌리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 냉각기(7)와 같은 외부로의 방열을 행하는 것 없이,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한층 더 낮게 억제할 수 있다(도 14의 점 C1, G 참조). 이것에 의하여,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한층 더 낮게 억제되어(도 14의 점 D, D′ 참조),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도 14의 점 C1, D′, D, G를 잇는 것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면적에 상당하는 분의 방열 로스를 한층 더 작게 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운전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술의 변형예 2와 마찬가지로,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한 냉방 운전의 개시 시에,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제1 흡입 되돌림관(92)을 통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전환 기구(2)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한 운전의 개시 전에, 중간 냉각기(7) 내에 액 냉매가 고여 있다고 하여도, 이 액 냉매를 중간 냉각기(7) 밖으로 뺄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한 운전의 개시 시에, 중간 냉각기(7) 내에 액 냉매가 고인 상태를 피할 수 있도록 되어, 중간 냉각기(7) 내에 액 냉매가 고이는 것에 기인한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에 있어서의 액 압축이 생기지 않게 되어, 압축 기구(2)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난방 운전>
난방 운전 시는, 전환 기구(3)가 도 12의 파선으로 도시되는 가열 운전 상태로 된다. 또한, 제1 팽창 기구(5a) 및 제2 팽창 기구(5b)는, 개도 조절된다. 또한, 제1 후단 측 인젝션 밸브(19a)는, 상술의 냉방 운전과 마찬가지의 개도 조절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환 기구(3)가 가열 운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중간 냉매관(8)의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가 닫히고, 그리고,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의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가 열리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가 냉각기로서 기능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나아가, 전환 기구(3)가 가열 운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제1 흡입 되돌림관(92)의 제1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92a)가 열리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는 상태로 된다.
이 냉매 회로(310)의 상태에 있어서, 저압의 냉매(도 12, 도 15, 도 16의 점 A 참조)는, 흡입관(2a)으로부터 압축 기구(2)로 흡입되고, 우선, 압축 요소(2c)에 의하여 중간 압력까지 압축된 후에, 중간 냉매관(8)으로 토출된다(도 12, 도 15, 도 16의 점 B1 참조). 이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는, 냉방 운전 시와는 달리, 중간 냉각기(7)를 통과하지 않고(즉, 냉각되는 것 없이),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과하고(도 12, 도 15, 도 16의 점 C1 참조),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으로부터 후단 측의 압축 기구(2d)로 되돌려지는 냉매(도 12, 도 15, 도 16의 점 K 참조)와 합류하는 것으로 냉각된다(도 12, 도 15, 도 16의 점 G 참조). 다음으로,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으로부터 되돌아오는 냉매와 합류한 중간압의 냉매는, 압축 요소(2c)의 후단 측에 접속된 압축 요소(2d)로 흡입되어 한층 더 압축되고,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관(2b)으로 토출된다(도 12, 도 15, 도 16의 점 D 참조). 여기서,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냉방 운전 시와 마찬가지로, 압축 요소(2c, 2d)에 의한 2단 압축 동작에 의하여, 임계 압력(즉, 도 15에 도시되는 임계점 CP에 있어서의 임계 압력 Pcp)을 넘는 압력까지 압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오일 분리 기구(41)를 구성하는 오일 분리기(41a)로 유입하고, 동반하는 냉동기유가 분리된다. 또한, 오일 분리기(41a)에 있어서 고압의 냉매로부터 분리된 냉동기유는, 오일 분리 기구(41)를 구성하는 오일 되돌림관(41b)으로 유입하고, 오일 되돌림관(41b)에 설치된 감압 기구(41c)로 감압된 후에 압축 기구(2)의 흡입관(2a)으로 되돌려지고, 다시, 압축 기구(2)로 흡입된다. 다음으로, 오일 분리 기구(41)에 있어서 냉동기유가 분리된 후의 고압의 냉매는, 역지 기구(42) 및 전환 기구(3)를 통하여,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져,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각된다(도 12, 도 15, 도 16의 점 F 참조). 그리고,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는, 브릿지 회로(17)의 입구 역지 밸브(17b)를 통하여 리시버 입구관(18a)으로 유입하고, 그 일부가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으로 분기된다. 그리고,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는, 제1 후단 측 인젝션 밸브(19a)에 있어서 중간압 부근까지 감압된 후에,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로 보내진다(도 12, 도 15, 도 16의 점 J 참조). 또한,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으로 분기된 후의 냉매는,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로 유입하고,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각된다(도 12, 도 15, 도 16의 점 H 참조). 한편,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는, 방열기로서의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여 가열되고(도 12, 도 15, 도 16의 점 K 참조), 상술과 같이,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에 합류하게 된다. 그리고,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는, 제1 팽창 기구(5a)에 의하여 포화 압력 부근까지 감압되어 리시버(18) 내에 일시적으로 모여진다(도 12의 점 I 참조). 그리고, 리시버(18) 내에 모여진 냉매는, 리시버 출구관(18b)으로 보내져, 제2 팽창 기구(5b)에 의하여 감압되어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로 되어, 브릿지 회로(17)의 출구 역지 밸브(17d)를 통하여,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진다(도 12, 도 15, 도 16의 점 E 참조). 그리고,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진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는, 가열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가열되고, 증발하게 된다(도 12, 도 15, 도 16의 점 A 참조). 그리고, 이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가열된 저압의 냉매는, 전환 기구(3)를 경유하여, 다시, 압축 기구(2)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난방 운전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본 변형예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술의 변형예 2와 마찬가지로,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한 난방 운전에 있어서, 중간 냉각기(7)만을 설치한 경우나 상술의 냉방 운전과 마찬가지로 중간 냉각기(7)를 냉각기로서 기능시킨 경우에 비하여, 외부로의 방열을 억제하고 가열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여, 운전 효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본 변형예의 구성에 있어서는, 냉방 운전 시와 마찬가지로,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 및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를 설치하여 열원 측 열교환기(4)로부터 팽창 기구(5a, 5b)로 보내지는 냉매를 분기하여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되돌리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 냉각기(7)와 같은 외부로의 방열을 행하는 것 없이,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한층 더 낮게 억제할 수 있다(도 16의 점 B1, G 참조). 이것에 의하여,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한층 더 낮게 억제되어(도 16의 점 D, D′ 참조),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도 16의 점 B1, D′, D, G를 잇는 것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면적에 상당하는 분의 방열 로스를 작게 할 수 있는 것부터, 운전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에 공통되는 이점으로서 본 변형예의 구성에서는,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로서, 열원 측 열교환기(4) 또는 이용 측 열교환기(6)로부터 팽창 기구(5a, 5b)로 보내지는 냉매와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가 대향하도록 흐르는 유로를 가지는 열교환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있어서의 열원 측 열교환기(4) 또는 이용 측 열교환기(6)로부터 팽창 기구(5a, 5b)로 보내지는 냉매와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와의 온도차를 작게 할 수 있어, 높은 열교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술의 변형예 2와 마찬가지로,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한 난방 운전 시에도,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제1 흡입 되돌림관(92)을 통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의 중간 냉각기(7)로부터 외부로의 방열 로스를 막는 것과 함께, 중간 냉각기(7) 내에 액 냉매가 고이기 어려운 상태로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한 난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방열기로서의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의 가열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고, 게다가,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한 운전의 개시 시에, 중간 냉각기 내에 액 냉매가 고인 상태를 피할 수 있도록 되어, 중간 냉각기(7) 내에 액 냉매가 고이는 것에 기인한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에 있어서의 액 압축이 생기게 하는 것 없이, 중간 냉각기(7)를 통하여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흡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냉방 운전과 냉방 개시 제어와의 사이의 전환 즉,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와의 전환을, 개폐 밸브(11, 12, 92a)의 개폐 상태에 의하여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상술의 변형예 1과 같이, 개폐 밸브(11, 12, 92a)에 대신하여,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를 전환 가능한 중간 냉각기 전환 밸브(93)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6) 변형예 4
상술의 변형예 3에 있어서의 냉매 회로(310, 도 12 참조)에 있어서는, 상술과 같이,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하는 냉방 운전 및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하는 난방 운전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을 행하는 것으로,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과 함께, 압축 기구(2)의 소비 동력을 줄여, 운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중간압이 임계 압력 부근까지 상승한 조건에 있어서도 사용 가능한 것으로부터, 상술의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의 냉매 회로(10, 110, 210, 310, 도 1, 6, 7, 12 참조)와 같이, 하나의 이용 측 열교환기(6)를 가지는 구성에서는, 초임계역에서 작동하는 냉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유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공조 공간의 공조 부하에 따른 냉방이나 난방을 행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이용 측 열교환기(6)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과 함께, 각 이용 측 열교환기(6)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여 각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필요로 되는 냉동 부하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액 분리기로서의 리시버(18)와 이용 측 열교환기(6)와의 사이에 있어서 각 이용 측 열교환기(6)에 대응하도록 이용 측 팽창 기구(5c)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지만, 상술의 변형예 3에 있어서의 브릿지 회로(17)를 가지는 냉매 회로(310, 도 12 참조)에 있어서, 서로가 병렬로 접속된 복수(여기에서는, 2개)의 이용 측 열교환기(6)를 설치하는 것과 함께, 기액 분리기로서의 리시버(18)(보다 구체적으로는, 브릿지 회로(17))와 이용 측 열교환기(6)와의 사이에 있어서 각 이용 측 열교환기(6)에 대응하도록 이용 측 팽창 기구(5c)를 설치하고(도 17 참조), 리시버 출구관(18b)에 설치되어 있던 제2 팽창 기구(5b)를 삭제하고, 또한, 브릿지 회로(17)의 출구 역지 밸브(17d)에 대신하여, 난방 운전 시에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저압까지 냉매를 감압하는 제3 팽창 기구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하는 냉방 운전과 같이, 방열기로서의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된 후에 열원 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1 팽창 기구(5a) 이외에 대폭적인 감압 조작이 행하여지는 것 없이,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고압으로부터 냉동 사이클의 중간압 부근까지의 압력차를 이용할 수 있는 조건에 있어서는, 상술의 변형예 2와 마찬가지로,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이 유리하다.
그러나,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하는 난방 운전과 같이, 각 이용 측 팽창 기구(5c)가 방열기로서의 각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필요로 되는 냉동 부하가 얻어지도록 방열기로서의 각 이용 측 열교환기(6)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고 있고, 방열기로서의 각 이용 측 열교환기(6)를 통과하는 냉매의 유량이, 방열기로서의 각 이용 측 열교환기(6)의 하류 측이고, 또한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의 상류 측에 설치된 이용 측 팽창 기구(5c)의 개도 제어에 의한 냉매의 감압 조작에 의하여 대체로 결정되는 조건에 있어서는, 각 이용 측 팽창 기구(5c)의 개도 제어에 의한 냉매의 감압의 정도가, 방열기로서의 각 이용 측 열교환기(6)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뿐만이 아니라, 복수의 방열기로서의 이용 측 열교환기(6) 사이의 유량 분배의 상태에 의하여 변동하게 되어, 복수의 이용 측 팽창 기구(5c) 사이에서 감압의 정도가 크게 다른 상태가 생기거나, 이용 측 팽창 기구(5c)에 있어서의 감압의 정도가 비교적 커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의 입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압력이 낮아질 우려가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있어서의 교환 열량(즉,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의 유량)이 작아져 버려, 사용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공기 조화 장치(1)를, 주로 압축 기구(2), 열원 측 열교환기(4) 및 리시버(18)를 포함하는 열원 유닛과, 주로 이용 측 열교환기(6)를 포함하는 이용 유닛이 연락 배관에 의하여 접속된 세퍼레이트형의 공기 조화 장치로서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용 유닛 및 열원 유닛의 배치에 따라서는, 이 연락 배관이 매우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그 압력 손실에 의한 영향도 더하여져,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의 입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압력이 한층 더 저하하게 된다. 그리고,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의 입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압력이 저하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기액 분리기 압력이 임계 압력보다도 낮은 압력이면 기액 분리기 압력과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중간압(여기에서는, 중간 냉매관(8)을 흐르는 냉매의 압력)과의 압력차가 작은 조건이어도 사용 가능한 기액 분리기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이 유리하다.
그래서, 본 변형예에서는,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시버(18)를 기액 분리기로서 기능시켜 중간압 인젝션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리시버(18)에 제2 후단 측 인젝션관(18c)을 접속하도록 하고, 냉방 운전 시에는, 이코노마이저 열교환기(20)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을 행하고, 난방 운전 시에는, 기액 분리기로서의 리시버(18)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냉매 회로(410)로 하고 있다.
덧붙여, 제2 후단 측 인젝션관(18c)은, 리시버(18)로부터 냉매를 뽑아내어 압축 기구(2)의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되돌리는 중간압 인젝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냉매관이며, 본 변형예에 있어서, 리시버(18)의 상부와 중간 냉매관(8)(즉, 압축 기구(2)의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의 흡입 측)을 접속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후단 측 인젝션관(18c)에는, 제2 후단 측 인젝션 개폐 밸브(18d)와 제2 후단 측 인젝션 역지 기구(18e)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후단 측 인젝션 개폐 밸브(18d)는, 개폐 동작이 가능한 밸브이며,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전자 밸브이다. 제2 후단 측 인젝션 역지 기구(18e)는, 리시버(18)로부터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의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고, 또한,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부터 리시버(18)로의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기구이며, 본 변형예에 있어서, 역지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덧붙여, 제2 후단 측 인젝션관(18c)과 제1 흡입 되돌림관(18f)은, 리시버(18) 측의 부분이 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후단 측 인젝션관(18c)과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은, 중간 냉매관(8) 측의 부분이 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이용 측 팽창 기구(5c)는, 전동 팽창 밸브이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상술과 같이,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 및 이코노마이저 열교환기(20)를 냉방 운전 시에 사용하고, 제2 후단 측 인젝션관(18c)을 난방 운전 시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이코노마이저 열교환기(20)로의 냉매의 유통 방향을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을 불문하고 일정하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브릿지 회로(17)를 생략하여, 냉매 회로(410)의 구성을 간단한 것으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변형예의 공기 조화 장치(1)의 동작에 관하여, 도 17, 도 13, 도 14, 도 18,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8은, 난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압력 엔탈피 선도이며, 도 19는, 난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온도 엔트로피 선도이다. 여기서, 냉방 개시 제어에 관해서는, 상술의 변형예 2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냉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에 관해서는, 도 13,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덧붙여, 이하의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에 있어서의 운전 제어는,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고압」이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고압(즉, 도 13, 도 14의 점 D, D′, E, H에 있어서의 압력이나 도 18, 도 19의 점 D, D′, F에 있어서의 압력)을 의미하고, 「저압」이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저압(즉, 도 13, 14의 점 A, F에 있어서의 압력이나 도 18, 도 19의 점 A, E에 있어서의 압력)을 의미하며, 「중간압」이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중간압(즉, 도 13, 14의 점 B1, C1, G, J, K나 도 18, 도 19의 점 B1, C1, G, I, L, M에 있어서의 압력)을 의미하고 있다.
<냉방 운전>
냉방 운전 시는, 전환 기구(3)가 도 17의 실선으로 도시되는 냉각 운전 상태로 된다. 열원 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1 팽창 기구(5a) 및 이용 측 팽창 기구(5c)는, 개도 조절된다. 그리고, 전환 기구(3)가 냉각 운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중간 냉매관(8)의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가 열리고, 그리고,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의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가 닫히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가 냉각기로서 기능하는 상태로 되는 것과 함께, 제1 흡입 되돌림관(92)의 제1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92a)가 닫히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이 접속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된다(단, 냉방 개시 제어 시를 제외한다). 또한,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는, 기액 분리기로서의 리시버(18)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을 행하지 않고,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통하여,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있어서 가열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되돌리는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후단 측 인젝션 개폐 밸브(18d)는 닫힘 상태로 되고, 제1 후단 측 인젝션 밸브(19a)는, 상술의 변형예 3과 마찬가지의 개도 조절이 이루어진다.
이 냉매 회로(410)의 상태에 있어서, 저압의 냉매(도 17, 도 13, 도 14의 점 A 참조)는, 흡입관(2a)으로부터 압축 기구(2)로 흡입되고, 우선, 압축 요소(2c)에 의하여 중간 압력까지 압축된 후에, 중간 냉매관(8)으로 토출된다(도 17, 도 13, 도 14의 점 B1 참조). 이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는, 중간 냉각기(7)에 있어서,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는 것으로 냉각된다(도 17, 도 13, 도 14의 점 C1 참조). 이 중간 냉각기(7)에 있어서 냉각된 냉매는,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으로부터 후단 측의 압축 기구(2d)로 되돌려지는 냉매(도 17, 도 13, 도 14의 점 K 참조)와 합류하는 것으로 한층 더 냉각된다(도 17, 도 13, 도 14의 점 G 참조). 다음으로,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으로부터 되돌아오는 냉매와 합류한(즉,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이 행하여진) 중간압의 냉매는, 압축 요소(2c)의 후단 측에 접속된 압축 요소(2d)로 흡입되어 한층 더 압축되고,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관(2b)으로 토출된다(도 17, 도 13, 도 14의 점 D 참조). 여기서,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압축 요소(2c, 2d)에 의한 2단 압축 동작에 의하여, 임계 압력(즉, 도 13에 도시되는 임계점 CP에 있어서의 임계 압력 Pcp)을 넘는 압력까지 압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전환 기구(3)를 경유하여,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져,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각된다(도 17, 도 13, 도 14의 점 E 참조). 그리고, 방열기로서의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는, 그 일부가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으로 분기된다. 그리고,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는, 제1 후단 측 인젝션 밸브(19a)에 있어서 중간압 부근까지 감압된 후에,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로 보내진다(도 17, 도 13, 도 14의 점 J 참조). 또한,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으로 분기된 후의 냉매는,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로 유입하고,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각된다(도 17, 도 13, 도 14의 점 H 참조). 한편,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는, 방열기로서의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여 가열되고(도 17, 도 13, 도 14의 점 K 참조), 상술과 같이,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에 합류하게 된다. 그리고,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는, 제1 팽창 기구(5a)에 의하여 포화 압력 부근까지 감압되어 리시버(18) 내에 일시적으로 모여진다(도 17, 도 13, 도 14의 점 I 참조). 그리고, 리시버(18) 내에 모여진 냉매는, 이용 측 팽창 기구(5c)로 보내져, 이용 측 팽창 기구(5c)에 의하여 감압되어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로 되어,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진다(도 17, 도 13, 도 14의 점 F 참조). 그리고, 증발기로서의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진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는, 가열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가열되고, 증발하게 된다(도 17, 도 13, 도 14의 점 A 참조). 그리고, 이 증발기로서의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가열되어 증발한 저압의 냉매는, 전환 기구(3)를 경유하여, 다시, 압축 기구(2)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냉방 운전이 행하여진다.
<난방 운전>
난방 운전 시는, 전환 기구(3)가 도 17의 파선으로 도시되는 가열 운전 상태로 된다. 열원 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1 팽창 기구(5a) 및 이용 측 팽창 기구(5c)는, 개도 조절된다. 그리고, 전환 기구(3)가 가열 운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중간 냉매관(8)의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가 닫히고, 그리고,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의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가 열리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가 냉각기로서 기능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나아가, 전환 기구(3)가 가열 운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제1 흡입 되돌림관(92)의 제1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92a)가 열리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는 상태로 된다. 또한,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는,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을 행하지 않고, 제2 후단 측 인젝션관(18c)을 통하여, 기액 분리기로서의 리시버(18)로부터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되돌리는 리시버(18)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후단 측 인젝션 개폐 밸브(18d)가 열림 상태로 되고, 제1 후단 측 인젝션 밸브(19a)가 완전 닫힘 상태로 된다.
이 냉매 회로(410)의 상태에 있어서, 저압의 냉매(도 17 ~ 도 19의 점 A 참조)는, 흡입관(2a)으로부터 압축 기구(2)로 흡입되고, 우선, 압축 요소(2c)에 의하여 중간 압력까지 압축된 후에, 중간 냉매관(8)으로 토출된다(도 17 ~ 도 19의 점 B1 참조). 이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는, 냉방 운전 시와는 달리, 중간 냉각기(7)를 통과하지 않고(즉, 냉각되는 것 없이),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과하여(도 17 ~ 도 19의 점 C1 참조), 리시버(18)로부터 제2 후단 측 인젝션관(18c)을 통하여 후단 측의 압축 기구(2d)로 되돌려지는 냉매(도 17 ~ 도 19의 점 M 참조)와 합류하는 것으로 냉각된다(도 17 ~ 도 19의 점 G 참조). 다음으로, 제2 후단 측 인젝션관(18c)으로부터 돌아오는 냉매와 합류한(즉, 기액 분리기로서의 리시버(18)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이 행하여진) 중간압의 냉매는, 압축 요소(2c)의 후단 측에 접속된 압축 요소(2d)로 흡입되어 한층 더 압축되고,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관(2b)으로 토출된다(도 17 ~ 도 19의 점 D 참조). 여기서,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냉방 운전 시와 마찬가지로, 압축 요소(2c, 2d)에 의한 2단 압축 동작에 의하여, 임계 압력(즉, 도 18에 도시되는 임계점 CP에 있어서의 임계 압력 Pcp)을 넘는 압력까지 압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전환 기구(3)를 경유하여,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져,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각된다(도 17 ~ 도 19의 점 F 참조). 그리고, 방열기로서의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는, 이용 측 팽창 기구(5c)에 의하여 중간압 부근까지 감압된 후에, 리시버(18) 내에 일시적으로 모여지는 것과 함께 기액 분리가 행하여진다(도 17 ~ 도 19의 점 I, L, M 참조). 그리고, 리시버(18)에 있어서 기액 분리된 가스 냉매는, 제2 후단 측 인젝션관(18c)에 의하여 리시버(18)의 상부로부터 뽑아내어져, 상술과 같이,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에 합류하게 된다. 그리고, 리시버(18) 내에 모여진 액 냉매는, 제1 팽창 기구(5a)에 의하여 감압되어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로 되어,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진다(도 17 ~ 도 19의 점 E 참조). 그리고, 증발기로서의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진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는, 가열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가열되고, 증발하게 된다(도 17 ~ 도 19의 점 A 참조). 그리고, 이 증발기로서의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가열되어 증발한 저압의 냉매는, 전환 기구(3)를 경유하여, 다시, 압축 기구(2)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난방 운전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본 변형예의 구성에 있어서는, 난방 운전 시에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에 대신하여 기액 분리기로서의 리시버(18)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을 행하는 점이 변형예 3과 다르지만, 그 외의 점에 관해서는, 변형예 3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냉방 운전과 냉방 개시 제어와의 사이의 전환 즉,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와의 전환을, 개폐 밸브(11, 12, 92a)의 개폐 상태에 의하여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상술의 변형예 1과 같이, 개폐 밸브(11, 12, 92a)에 대신하여,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를 전환 가능한 중간 냉각기 전환 밸브(93)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7) 변형예 5
상술의 변형예 4에 있어서의 냉매 회로(410, 도 17 참조)에 있어서는, 복수의 공조 공간의 공조 부하에 따른 냉방이나 난방을 행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이용 측 열교환기(6)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과 함께, 각 이용 측 열교환기(6)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여 각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필요로 되는 냉동 부하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리시버(18)와 이용 측 열교환기(6)와의 사이에 있어서 각 이용 측 열교환기(6)에 대응하도록 이용 측 팽창 기구(5c)를 설치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 제1 팽창 기구(5a)에 의하여 포화 압력 부근까지 감압되어 리시버(18) 내에 일시적으로 모여진 냉매(도 17의 점 I 참조)가, 각 이용 측 팽창 기구(5c)로 분배되지만, 리시버(18)로부터 각 이용 측 팽창 기구(5c)로 보내지는 냉매가 기액이상 상태이면, 각 이용 측 팽창 기구(5c)로의 분배 시에 편류를 일으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리시버(18)로부터 각 이용 측 팽창 기구(5c)로 보내지는 냉매를 가능한한 과냉각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변형예에서는,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술의 변형예 4에 있어서의 냉매 회로(410)에 있어서, 리시버(18)와 이용 측 팽창 기구(5c)와의 사이에 과냉각 열교환기(96) 및 제3 흡입 되돌림관(95)을 설치한 냉매 회로(510)로 하고 있다.
과냉각 열교환기(96)는, 리시버(18)로부터 이용 측 팽창 기구(5c)로 보내지는 냉매를 냉각하는 열교환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냉각 열교환기(96)는, 냉방 운전 시에, 리시버(18)로부터 이용 측 팽창 기구(5c)로 보내지는 냉매의 일부를 분기하여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즉, 증발기로서의 이용 측 열교환기(6)와 압축 기구(2)와의 사이의 흡입관(2a))으로 되돌리는 제3 흡입 되돌림관(95)을 흐르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기이며, 양 냉매가 대향하도록 흐르는 유로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제3 흡입 되돌림관(95)은, 방열기로서의 열원 측 열교환기(4)로부터 이용 측 팽창 기구(5c)로 보내지는 냉매를 분기하여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즉, 흡입관(2a))으로 되돌리는 냉매관이다. 이 제3 흡입 되돌림관(95)에는, 개도 제어가 가능한 제3 흡입 되돌림 밸브(95a)가 설치되어 있고, 과냉각 열교환기(96)에 있어서, 리시버(18)로부터 이용 측 팽창 기구(5c)로 보내지는 냉매와 제3 흡입 되돌림 밸브(95a)에 있어서 저압 부근까지 감압된 후의 제3 흡입 되돌림관(95)을 흐르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제3 흡입 되돌림 밸브(95a)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전동 팽창 밸브이다. 또한, 흡입관(2a) 또는 압축 기구(2)에는,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흐르는 냉매의 압력을 검출하는 흡입 압력 센서(60)가 설치되어 있다. 과냉각 열교환기(96)의 제3 흡입 되돌림관(95) 측의 출구에는, 과냉각 열교환기(96)의 제3 흡입 되돌림관(95) 측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과냉각 열교 출구 온도 센서(59)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변형예의 공기 조화 장치(1)의 동작에 관하여, 도 20 ~ 도 22, 도 18,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21은, 냉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압력 엔탈피 선도이며, 도 22는, 냉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이 도시된 온도 엔트로피 선도이다. 여기서, 냉방 개시 제어에 관해서는, 상술의 변형예 2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난방 운전 시의 냉동 사이클에 관해서는, 도 18,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덧붙여, 이하의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에 있어서의 운전 제어는,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고압」이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고압(즉, 도 21, 도 22의 점 D, E, I, R에 있어서의 압력이나 도 18, 도 19의 점 D, D′, F에 있어서의 압력)을 의미하고, 「저압」이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저압(즉, 도 21, 22의 점 A, F, F, S′, U에 있어서의 압력이나 도 18, 도 19의 점 A, E에 있어서의 압력)을 의미하며, 「중간압」이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중간압(즉, 도 21, 22의 점 B1, C1, G, J, K나 도 18, 도 19의 점 B1, C1, G, I, L, M에 있어서의 압력)을 의미하고 있다.
<냉방 운전>
냉방 운전 시는, 전환 기구(3)가 도 20의 실선으로 도시되는 냉각 운전 상태로 된다. 열원 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1 팽창 기구(5a) 및 이용 측 팽창 기구(5c)는, 개도 조절된다. 그리고, 전환 기구(3)가 냉각 운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중간 냉매관(8)의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가 열리고, 그리고,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의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가 닫히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가 냉각기로서 기능하는 상태로 되는 것과 함께, 제1 흡입 되돌림관(92)의 제1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92a)가 닫히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이 접속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된다(단, 냉방 개시 제어 시를 제외한다). 또한,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는, 기액 분리기로서의 리시버(18)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을 행하지 않고,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통하여,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있어서 가열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되돌리는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후단 측 인젝션 개폐 밸브(18d)는 닫힘 상태로 되고, 제1 후단 측 인젝션 밸브(19a)는, 상술의 변형예 3과 마찬가지의 개도 조절이 이루어진다. 또한, 전환 기구(3)를 냉각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는, 과냉각 열교환기(96)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3 흡입 되돌림 밸브(95a)에 관해서도, 개도 조절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제3 흡입 되돌림 밸브(95a)는, 과냉각 열교환기(96)의 제3 흡입 되돌림관(95) 측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가 목표값이 되도록 개도 조절되는, 이른바 과열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과냉각 열교환기(96)의 제3 흡입 되돌림관(95) 측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는, 흡입 압력 센서(60)에 의하여 검출되는 저압을 포화 온도로 환산하고, 과냉각 열교 출구 온도 센서(59)에 의하여 검출되는 냉매 온도로부터 이 냉매의 포화 온도값을 빼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다. 덧붙여, 본 변형예에서는 채용하지 않지만, 과냉각 열교환기(96)의 제3 흡입 되돌림관(95) 측의 입구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이 온도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냉매 온도를 과냉각열교출구 온도 센서(59)에 의하여 검출되는 냉매 온도로부터 공제하는 것에 의하여, 과냉각 열교환기(96)의 제3 흡입 되돌림관(95) 측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를 얻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3 흡입 되돌림 밸브(95a)의 개도 조절은, 과열도 제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냉매 회로(510)에 있어서의 냉매 순환량 등에 따라 소정 개도만큼 열도록 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 냉매 회로(510)의 상태에 있어서, 저압의 냉매(도 20 ~ 도 22의 점 A 참조)는, 흡입관(2a)으로부터 압축 기구(2)로 흡입되고, 우선, 압축 요소(2c)에 의하여 중간 압력까지 압축된 후에, 중간 냉매관(8)으로 토출된다(도 20 ~ 도 22의 점 B1 참조). 이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는, 중간 냉각기(7)에 있어서,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는 것으로 냉각된다(도 20 ~ 도 22의 점 C1 참조). 이 중간 냉각기(7)에 있어서 냉각된 냉매는,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으로부터 후단 측의 압축 기구(2d)로 되돌려지는 냉매(도 20 ~ 도 22의 점 K 참조)와 합류하는 것으로 한층 더 냉각된다(도 20 ~ 도 22의 점 G 참조). 다음으로,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으로부터 되돌아오는 냉매와 합류한(즉,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이 행하여진) 중간압의 냉매는, 압축 요소(2c)의 후단 측에 접속된 압축 요소(2d)로 흡입되어 한층 더 압축되고,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관(2b)으로 토출된다(도 20 ~ 도 22의 점 D 참조). 여기서,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압축 요소(2c, 2d)에 의한 2단 압축 동작에 의하여, 임계 압력(즉, 도 21에 도시되는 임계점 CP에 있어서의 임계 압력 Pcp)을 넘는 압력까지 압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전환 기구(3)를 경유하여,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져,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각된다(도 20 ~ 도 22의 점 E 참조). 그리고, 방열기로서의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는, 그 일부가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으로 분기된다. 그리고,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는, 제1 후단 측 인젝션 밸브(19a)에 있어서 중간압 부근까지 감압된 후에,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로 보내진다(도 20 ~ 도 22의 점 J 참조). 또한,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으로 분기된 후의 냉매는,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로 유입하고,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각된다(도 20 ~ 도 22의 점 H 참조). 한편, 제1 후단 측 인젝션관(19)을 흐르는 냉매는, 방열기로서의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여 가열되고(도 20 ~ 도 22의 점 K 참조), 상술과 같이,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에 합류하게 된다. 그리고,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는, 제1 팽창 기구(5a)에 의하여 포화 압력 부근까지 감압되어 리시버(18) 내에 일시적으로 모여진다(도 20 ~ 도 22의 점 I 참조). 그리고, 리시버(18) 내에 모여진 냉매는, 그 일부가 제3 흡입 되돌림관(95)으로 분기된다. 그리고, 제3 흡입 되돌림관(95)을 흐르는 냉매는, 제3 흡입 되돌림 밸브(95a)에 있어서 저압 부근까지 감압된 후에, 과냉각 열교환기(96)로 보내진다(도 20 ~ 도 22의 점 S 참조). 또한, 제3 흡입 되돌림관(95)으로 분기된 후의 냉매는, 과냉각 열교환기(96)로 유입하고, 제3 흡입 되돌림관(95)을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여 한층 더 냉각된다(도 20 ~ 도 22의 점 R 참조). 한편, 제3 흡입 되돌림관(95)을 흐르는 냉매는,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여 가열되고(도 20 ~ 도 22의 점 U 참조),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여기에서는, 흡입관(2a))을 흐르는 냉매에 합류하게 된다. 이 과냉각 열교환기(96)에 있어서 냉각된 냉매는, 이용 측 팽창 기구(5c)로 보내져, 이용 측 팽창 기구(5c)에 의하여 감압되어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로 되어,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진다(도 20 ~ 도 22의 점 F 참조). 그리고, 증발기로서의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진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는, 가열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가열되고, 증발하게 된다(도 20 ~ 도 22의 점 A 참조). 그리고, 이 증발기로서의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가열되어 증발한 저압의 냉매는, 전환 기구(3)를 경유하여, 다시, 압축 기구(2)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냉방 운전이 행하여진다.
<난방 운전>
난방 운전 시는, 전환 기구(3)가 도 20의 파선으로 도시되는 가열 운전 상태로 된다. 열원 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1 팽창 기구(5a) 및 이용 측 팽창 기구(5c)는, 개도 조절된다. 그리고, 전환 기구(3)가 가열 운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중간 냉매관(8)의 중간 냉각기 개폐 밸브(12)가 닫히고, 그리고,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의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11)가 열리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가 냉각기로서 기능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나아가, 전환 기구(3)가 가열 운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제1 흡입 되돌림관(92)의 제1 흡입 되돌림 개폐 밸브(92a)가 열리는 것에 의하여, 중간 냉각기(7)와 압축 기구(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는 상태로 된다. 또한,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는, 이코너마이저 열교환기(20)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을 행하지 않고, 제2 후단 측 인젝션관(18c)을 통하여, 기액 분리기로서의 리시버(18)로부터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2d)로 되돌리는 리시버(18)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후단 측 인젝션 개폐 밸브(18d)가 열림 상태로 되고, 제1 후단 측 인젝션 밸브(19a)가 완전 닫힘 상태로 된다. 또한, 전환 기구(3)를 가열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는, 과냉각 열교환기(96)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3 흡입 되돌림 밸브(95a)에 관하여도 완전 닫힘 상태로 된다.
이 냉매 회로(510)의 상태에 있어서, 저압의 냉매(도 20, 도 18, 도 19의 점 A 참조)는, 흡입관(2a)으로부터 압축 기구(2)로 흡입되고, 우선, 압축 요소(2c)에 의하여 중간 압력까지 압축된 후에, 중간 냉매관(8)으로 토출된다(도 20, 도 18, 도 19의 점 B1 참조). 이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는, 냉방 운전 시와는 달리, 중간 냉각기(7)를 통과하지 않고(즉, 냉각되는 것 없이),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과하여(도 20, 도 18, 도 19의 점 C1 참조), 리시버(18)로부터 제2 후단 측 인젝션관(18c)을 통하여 후단 측의 압축 기구(2d)로 되돌려지는 냉매(도 20, 도 18, 도 19의 점 M 참조)와 합류하는 것으로 냉각된다(도 20, 도 18, 도 19의 점 G 참조). 다음으로, 제2 후단 측 인젝션관(18c)으로부터 되돌아오는 냉매와 합류한(즉, 기액 분리기로서의 리시버(18)에 의한 중간압 인젝션이 행하여진) 중간압의 냉매는, 압축 요소(2c)의 후단 측에 접속된 압축 요소(2d)로 흡입되어 한층 더 압축되고,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관(2b)으로 토출된다(도 20, 도 18, 도 19의 점 D 참조). 여기서,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냉방 운전 시와 마찬가지로, 압축 요소(2c, 2d)에 의한 2단 압축 동작에 의하여, 임계 압력(즉, 도 18에 도시되는 임계점 CP에 있어서의 임계 압력 Pcp)을 넘는 압력까지 압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축 기구(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전환 기구(3)를 경유하여,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이용 측 열교환기(6)로 보내져,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각된다(도 20, 도 18, 도 19의 점 F 참조). 그리고, 방열기로서의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냉각된 고압의 냉매는, 이용 측 팽창 기구(5c)에 의하여 중간압 부근까지 감압된 후에, 리시버(18) 내에 일시적으로 모여지는 것과 함께 기액 분리가 행하여진다(도 20, 도 18, 도 19의 점 I, L, M 참조). 그리고, 리시버(18)에 있어서 기액 분리된 가스 냉매는, 제2 후단 측 인젝션관(18c)에 의하여 리시버(18)의 상부로부터 뽑아내어져, 상술과 같이, 전단 측의 압축 요소(2c)로부터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에 합류하게 된다. 그리고, 리시버(18) 내에 모여진 액 냉매는, 제1 팽창 기구(5a)에 의하여 감압되어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로 되어,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진다(도 20, 도 18, 도 19의 점 E 참조). 그리고, 증발기로서의 열원 측 열교환기(4)로 보내진 저압의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는, 가열원으로서의 물이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가열되고, 증발하게 된다(도 20, 도 18, 도 19의 점 A 참조). 그리고, 이 증발기로서의 열원 측 열교환기(4)에 있어서 가열되어 증발한 저압의 냉매는, 전환 기구(3)를 경유하여, 다시, 압축 기구(2)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난방 운전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본 변형예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술의 변형예 4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과 함께, 냉방 운전 시에 리시버(18)로부터 이용 측 팽창 기구(5c)로 보내지는 냉매(도 20 ~ 도 22의 점 I 참조)를 과냉각 열교환기(96)에 의하여 과냉각 상태까지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도 21, 도 22 점 I, R 참조), 각 이용 측 팽창 기구(5c)로의 분배 시에 편류를 일으킬 우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냉방 운전과 냉방 개시 제어와의 사이의 전환 즉,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와의 변경을, 개폐 밸브(11, 12, 92a)의 개폐 상태에 의하여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상술의 변형예 1과 같이, 개폐 밸브(11, 12, 92a)에 대신하여,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를 전환 가능한 중간 냉각기 전환 밸브(93)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8) 변형예 6
상술의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는, 1대의 1축 2단 압축 구조의 압축기(21)에 의하여, 2개의 압축 요소(2c, 2d) 중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순차 압축하는 2단 압축식의 압축 기구(2)가 구성되어 있지만, 삼단 압축식 등과 같은 2단 압축식보다도 다단의 압축 기구를 채용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단일의 압축 요소가 짜 넣어진 압축기 및/또는 복수의 압축 요소가 짜 넣어진 압축기를 복수대 직렬로 접속하는 것으로 다단의 압축 기구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용 측 열교환기(6)가 다수 접속되는 경우 등과 같이, 압축 기구의 능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다단 압축식의 압축 기구를 2계통 이상 병렬로 접속한 병렬 다단 압축식의 압축 기구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술의 변형예 5에 있어서의 냉매 회로(510,도 20 참조)에 있어서, 2단 압축식의 압축 기구(2)에 대신하여, 2단 압축식의 압축 기구(103, 104)를 병렬로 접속한 압축 기구(102)를 채용한 냉매 회로(610)로 하여도 무방하다.
제1 압축 기구(103)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 2개의 압축 요소(103c, 103d)로 냉매를 2단 압축하는 압축기(29)로 구성되어 있고, 압축 기구(102)의 흡입 모관(母管)(102a)으로부터 분기된 제1 흡입 지관(枝管)(103a), 및, 압축 기구(102)의 토출 모관(102b)에 합류하는 제1 토출 지관(103b)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압축 기구(104)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 2개의 압축 요소(104c, 104d)로 냉매를 2단 압축하는 압축기(30)로 구성되어 있고, 압축 기구(102)의 흡입 모관(102a)으로부터 분기된 제2 흡입 지관(104a), 및, 압축 기구(102)의 토출 모관(102b)에 합류하는 제2 토출 지관(104b)에 접속되어 있다. 덧붙여, 압축기(29, 30)는, 상술의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의 압축기(21)와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압축 요소(103c, 103d, 104c, 104d)를 제외하는 각 부를 도시하는 부호를 각각 29번대나 30번대로 바꿔놓는 것으로 하고,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압축기(29)는, 제1 흡입 지관(103a)으로부터 냉매를 흡입하고, 이 흡입된 냉매를 압축 요소(103c)에 의하여 압축한 후에 중간 냉매관(8)을 구성하는 제1 입구 측 중간 지관(81)으로 토출하고, 제1 입구 측 중간 지관(81)으로 토출된 냉매를 중간 냉매관(8)을 구성하는 중간 모관(82) 및 제1 출구 측 중간 지관(83)을 통하여 압축 요소(103d)로 흡입시켜 냉매를 한층 더 압축한 후에 제1 토출 지관(103b)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30)는, 제1 흡입 지관(104a)으로부터 냉매를 흡입하고, 이 흡입된 냉매를 압축 요소(104c)에 의하여 압축한 후에 중간 냉매관(8)을 구성하는 제2 입구 측 중간 지관(84)으로 토출하고, 제2 입구 측 중간 지관(84)으로 토출된 냉매를 중간 냉매관(8)을 구성하는 중간 모관(82) 및 제2 출구 측 중간 지관(85)를 통하여 압축 요소(104d)로 흡입시켜 냉매를 한층 더 압축한 후에 제2 토출 지관(104b)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간 냉매관(8)은, 본 변형예에 있어서, 압축 요소(103d, 104d)의 전단 측에 접속된 압축 요소(103c, 104c)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압축 요소(103c, 104c)의 후단 측에 접속된 압축 요소(103d, 104d)로 흡입시키기 위한 냉매관이며, 주로, 제1 압축 기구(103)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3c)의 토출 측에 접속되는 제1 입구 측 중간 지관(81)과, 제2 압축 기구(104)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4c)의 토출 측에 접속되는 제2 입구 측 중간 지관(84)과, 양 입구 측 중간 지관(81, 84)이 합류하는 중간 모관(82)과, 중간 모관(82)으로부터 분기되어 제1 압축 기구(103)의 후단 측의 압축 요소(103d)의 흡입 측에 접속되는 제1 출구 측 중간 지관(83)과, 중간 모관(82)으로부터 분기되어 제2 압축 기구(104)의 후단 측의 압축 요소(104d)의 흡입 측에 접속되는 제2 출구 측 중간 지관(85)을 가지고 있다. 또한, 토출 모관(102b)은, 압축 기구(102)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전환 기구(3)로 보내기 위한 냉매관이며, 토출 모관(102b)에 접속되는 제1 토출 지관(103b)에는, 제1 오일 분리 기구(141)와 제1 역지 기구(142)가 설치되어 있고, 토출 모관(102b)에 접속되는 제2 토출 지관(104b)에는, 제2 오일 분리 기구(143)와 제2 역지 기구(14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오일 분리 기구(141)는, 제1 압축 기구(103)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에 동반하는 냉동기유를 냉매로부터 분리하여 압축 기구(102)의 흡입 측으로 되돌리는 기구이며, 주로, 제1 압축 기구(103)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에 동반하는 냉동기유를 냉매로부터 분리하는 제1 오일 분리기(141a)와, 제1 오일 분리기(141a)에 접속되어 있고 냉매로부터 분리된 냉동기유를 압축 기구(102)의 흡입 측으로 되돌리는 제1 오일 되돌림관(141b)을 가지고 있다. 제2 오일 분리 기구(143)는, 제2 압축 기구(104)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에 동반하는 냉동기유를 냉매로부터 분리하여 압축 기구(102)의 흡입 측으로 되돌리는 기구이며, 주로, 제2 압축 기구(104)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에 동반하는 냉동기유를 냉매로부터 분리하는 제2 오일 분리기(143a)와, 제2 오일 분리기(143a)에 접속되어 있고, 냉매로부터 분리된 냉동기유를 압축 기구(102)의 흡입 측으로 되돌리는 제2 오일 되돌림관(143b)을 가지고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제1 오일 되돌림관(141b)은, 제2 흡입 지관(104a)에 접속되어 있고, 제2 오일 되돌림관(143c)은, 제1 흡입 지관(103a)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압축 기구(103) 내에 모인 냉동기유의 양과 제2 압축 기구(104) 내에 모인 냉동기유의 양의 사이에 치우침에 기인하여 제1 압축 기구(103)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에 동반하는 냉동기유의 양과 제2 압축 기구(104)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에 동반하는 냉동기유의 양의 사이에 치우침이 생긴 경우여도, 압축 기구(103, 104) 중 냉동기유의 양이 적은 쪽으로 냉동기유가 많이 되돌아가게 되어, 제1 압축 기구(103) 내에 모인 냉동기유의 양과 제2 압축 기구(104) 내에 모인 냉동기유의 양의 사이의 치우침이 해소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제1 흡입 지관(103a)은, 제2 오일 되돌림관(143b)과의 합류부로부터 흡입 모관(102a)과의 합류부까지의 사이의 부분이, 흡입 모관(102a)과의 합류부를 향하여 내려가는 구배(勾配)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2 흡입 지관(104a)은, 제1 오일 되돌림관(141b)과의 합류부로부터 흡입 모관(102a)과의 합류부까지의 사이의 부분이, 흡입 모관(102a)과의 합류부를 향하여 내려가는 구배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압축 기구(103, 104)의 어느 일방(一方)이 정지 중이어도, 운전 중의 압축 기구에 대응하는 오일 되돌림관으로부터 정지 중의 압축 기구에 대응하는 흡입 지관으로 되돌려지는 냉동기유는, 흡입 모관(102a)으로 되돌아가게 되어, 운전 중의 압축 기구의 오일 고갈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오일 되돌림관(141b, 143b)에는, 오일 되돌림관(141b, 143b)을 흐르는 냉동기유를 감압하는 감압 기구(141c, 143c)가 설치되어 있다. 역지 기구(142, 144)는, 압축 기구(103, 104)의 토출 측으로부터 전환 기구(3)로의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고, 또한, 전환 기구(3)로부터 압축 기구(103, 104)의 토출 측으로의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기구이다.
이와 같이, 압축 기구(102)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 2개의 압축 요소(103c, 103d)를 가지는 것과 함께 이들 압축 요소(103c, 103d) 중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순차 압축하도록 구성된 제1 압축 기구(103)와, 2개의 압축 요소(104c, 104d)를 가지는 것과 함께 이들 압축 요소(104c, 104d) 중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순차 압축하도록 구성된 제2 압축 기구(104)를 병렬로 접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중간 냉각기(7)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 중간 냉매관(8)을 구성하는 중간 모관(82)에 설치되어 있고, 제1 압축 기구(103)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3c)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제2 압축 기구(104)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4c)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합류한 것을 냉각하는 열교환기이다. 즉, 중간 냉각기(7)는, 2개의 압축 기구(103, 104)에 공통의 냉각기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다단 압축식의 압축 기구(103, 104)를 복수 계통 병렬로 접속한 병렬 다단 압축식의 압축 기구(102)에 대하여 중간 냉각기(7)를 설치할 때의 압축 기구(102) 주위의 회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냉매관(8)을 구성하는 제1 입구 측 중간 지관(81)에는, 제1 압축 기구(103)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3c)의 토출 측으로부터 중간 모관(82) 측으로의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고, 또한, 중간 모관(82) 측으로부터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3c)의 토출 측으로의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역지 기구(81a)가 설치되어 있고, 중간 냉매관(8)을 구성하는 제2 입구 측 중간 지관(84)에는, 제2 압축 기구(103)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4c)의 토출 측으로부터 중간 모관(82) 측으로의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고, 또한, 중간 모관(82) 측으로부터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4c)의 토출 측으로의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역지 기구(84a)가 설치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역지 기구(81a, 84a)로서 역지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압축 기구(103, 104)의 어느 일방이 정지 중이어도, 운전 중의 압축 기구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중간 냉매관(8)을 통하여, 정지 중의 압축 기구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의 토출 측에 달한다고 하는 것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운전 중의 압축 기구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정지 중의 압축 기구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 내를 통하여 압축 기구(102)의 흡입 측으로 빠져 정지 중의 압축 기구의 냉동기유가 유출한다고 하는 것이 생기지 않도록 되고, 이것에 의하여, 정지 중의 압축 기구를 기동할 때의 냉동기유의 부족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덧붙여, 압축 기구(103, 104) 사이에 운전의 우선 순위를 설치하고 있는 경우(예를 들어, 제1 압축 기구(103)를 우선적으로 운전하는 압축 기구로 하는 경우)에는, 상술의 정지 중의 압축 기구에 해당하는 것이 있는 것은, 제2 압축 기구(104)에 한정되게 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제2 압축 기구(104)에 대응하는 역지 기구(84a)만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과 같이, 제1 압축 기구(103)를 우선적으로 운전하는 압축 기구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중간 냉매관(8)이 압축 기구(103, 104)에 공통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 중의 제1 압축 기구(103)에 대응하는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3c)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중간 냉매관(8)의 제2 출구 측 중간 지관(85)을 통하여, 정지 중의 제2 압축 기구(104)의 후단 측의 압축 요소(104d)의 흡입 측에 달하고, 이것에 의하여, 운전 중의 제1 압축 기구(103)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3c)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정지 중의 제2 압축 기구(104)의 후단 측의 압축 요소(104d) 내를 통하여 압축 기구(102)의 토출 측으로 빠져 정지 중의 제2 압축 기구(104)의 냉동기유가 유출하여, 정지 중의 제2 압축 기구(104)를 기동할 때의 냉동기유의 부족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변형예에서는, 제2 출구 측 중간 지관(85)에 개폐 밸브(85a)를 설치하고, 제2 압축 기구(104)가 정지 중의 경우에는, 이 개폐 밸브(85a)에 의하여 제2 출구 측 중간 지관(85) 내의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운전 중의 제1 압축 기구(103)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3c)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중간 냉매관(8)의 제2 출구 측 중간 지관(85)을 통하여, 정지 중의 제2 압축 기구(104)의 후단 측의 압축 요소(104d)의 흡입 측에 달하는 것이 없어지기 때문에, 운전 중의 제1 압축 기구(103)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3c)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정지 중의 제2 압축 기구(104)의 후단 측의 압축 요소(104d) 내를 통하여 압축 기구(102)의 토출 측으로 빠져 정지 중의 제2 압축 기구(104)의 냉동기유가 유출한다고 하는 것이 생기지 않도록 되고, 이것에 의하여, 정지 중의 제2 압축 기구(104)를 기동할 때의 냉동기유의 부족이 더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덧붙여,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개폐 밸브(85a)로서 전자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제1 압축 기구(103)를 우선적으로 운전하는 압축 기구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제1 압축 기구(103)의 기동에 계속하여 제2 압축 기구(104)를 기동하는 것이 되지만, 이 때, 중간 냉매관(8)이 압축 기구(103, 104)에 공통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압축 기구(104)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3c)의 토출 측의 압력 및 후단 측의 압축 요소(103d)의 흡입 측의 압력이,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3c)의 흡입 측의 압력 및 후단 측의 압축 요소(103d)의 토출 측의 압력보다도 높아진 상태로부터 기동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제2 압축 기구(104)를 기동하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본 변형예에서는, 제2 압축 기구(104)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4c)의 토출 측과 후단 측의 압축 요소(104d)의 흡입 측을 접속하는 기동 바이패스 관(86)을 설치하는 것과 함께, 이 기동 바이패스 관(86)에 개폐 밸브(86a)를 설치하고, 제2 압축 기구(104)가 정지 중의 경우에는, 이 개폐 밸브(86a)에 의하여 기동 바이패스 관(86) 내의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고, 또한, 개폐 밸브(85a)에 의하여 제2 출구 측 중간 지관(85) 내의 냉매의 흐름을 차단 하도록 하고, 제2 압축 기구(104)를 기동할 때에, 개폐 밸브(86a)에 의하여 기동 바이패스 관(86) 내에 냉매를 흐르게 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것으로, 제2 압축 기구(104)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4c)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제1 압축 기구(103)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4c)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에 합류시키는 것 없이, 기동 바이패스 관(86)을 통하여 후단 측의 압축 요소(104d)로 흡입시키도록 하여, 압축 기구(102)의 운전 상태가 안정된 시점(예를 들어, 압축 기구(102)의 흡입 압력, 토출 압력 및 중간 압력이 안정된 시점)에서, 개폐 밸브(85a)에 의하여 제2 출구 측 중간 지관(85) 내에 냉매를 흐르게 할 수 있는 상태로 하고, 또한, 개폐 밸브(86a)에 의하여 기동 바이패스 관(86) 내의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여, 통상의 냉방 운전으로 이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본 변형예에 있어서, 기동 바이패스 관(86)은, 그 일단이 제2 출구 측 중간 지관(85)의 개폐 밸브(85a)와 제2 압축 기구(104)의 후단 측의 압축 요소(104d)의 흡입 측과의 사이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제2 압축 기구(104)의 전단 측의 압축 요소(104c)의 토출 측과 제2 입구 측 중간 지관(84)의 역지 기구(84a)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2 압축 기구(104)를 기동할 때에, 제1 압축 기구(103)의 중간압 부분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상태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개폐 밸브(86a)로서 전자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방 운전이나 난방 운전 등의 동작은, 압축 기구(2)에 대신하여 설치된 압축 기구(102)에 의하여, 압축 기구(102) 주위의 회로 구성이 약간 복잡화한 것에 의한 변경점을 제외하고는, 상술의 변형예 5에 있어서의 동작(도 20 ~ 도 22, 도 18, 도 19 및 그 관련 기재)과 기본적으로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변형예의 구성에 있어서도, 상술의 변형예 5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냉방 운전과 냉방 개시 제어와의 사이의 전환 즉,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와의 전환을, 개폐 밸브(11, 12, 92a)의 개폐 상태에 의하여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상술의 변형예 1과 같이, 개폐 밸브(11, 12, 92a)에 대신하여,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를 전환 가능한 중간 냉각기 전환 밸브(93)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9)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의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이용 측 열교환기(6)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는 가열원 또는 냉각원으로서의 물이나 브라인(brine)을 사용하는 것과 함께, 이용 측 열교환기(6)에 있어서 열교환된 물이나 브라인과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2차 열교환기를 설치한, 이른바, 칠러(chiller)형의 공기 조화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의 칠러 타입의 공기 조화 장치의 다른 형식의 냉동 장치여도, 초임계역에서 작동하는 냉매를 냉매로서 사용하여 다단 압축식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것이면,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초임계역에서 작동하는 냉매로서는, 이산화탄소에 한정되지 않고, 에틸렌, 에탄이나 산화 질소 등을 사용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다단 압축식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 후단 측의 압축 요소에 있어서의 액 압축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압축 기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공기 조화 장치(냉동 장치)
2, 102: 압축 기구
3: 전환 기구
4: 열원 측 열교환기
6: 이용 측 열교환기
7: 중간 냉각기
8: 중간 냉매관
9: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
92: 제1 흡입 되돌림관
93: 중간 냉각기 전환 밸브

Claims (4)

  1. 복수의 압축 요소를 가지고 있고, 상기 복수의 압축 요소 중 전단(前段)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후단(後段) 측의 압축 요소로 순차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기구(2, 102)와,
    열원 측 열교환기(4)와,
    이용 측 열교환기(6)와,
    상기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상기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키기 위한 중간 냉매관(8)에 설치되고, 상기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되는 냉매의 냉각기로서 기능하는 중간 냉각기(7)와,
    상기 중간 냉각기를 바이패스하도록 상기 중간 냉매관에 접속되어 있는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과,
    상기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을 통하여 상기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상기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키는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 상기 중간 냉각기와 상기 압축 기구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기 위한 흡입 되돌림관(92)
    을 구비한 냉동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기구(2, 102), 상기 열원 측 열교환기(4), 상기 이용 측 열교환기(6)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각 운전 상태와, 상기 압축 기구, 상기 이용 측 열교환기, 상기 열원 측 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가열 운전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3)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환 기구를 상기 냉각 운전 상태로 한 운전의 개시 시에, 상기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상기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상기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흡입 되돌림관(92)을 통하여 상기 중간 냉각기(7)와 상기 압축 기구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는,
    냉동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기구(2, 102), 상기 열원 측 열교환기(4), 상기 이용 측 열교환기(6)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각 운전 상태와, 상기 압축 기구, 상기 이용 측 열교환기, 상기 열원 측 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가열 운전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3)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환 기구를 상기 가열 운전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 상기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상기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상기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흡입 되돌림관(92)을 통하여 상기 중간 냉각기(7)와 상기 압축 기구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는,
    냉동 장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냉각기(7)를 통하여 상기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상기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흡입 되돌림관(92)을 통하여 상기 중간 냉각기(7)와 상기 압축 기구(2, 102)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지 않도록 하는 냉매를 되돌리지 않는 상태와, 상기 중간 냉각기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상기 전단 측의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상기 후단 측의 압축 요소로 흡입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흡입 되돌림관을 통하여 상기 중간 냉각기와 상기 압축 기구의 흡입 측을 접속시키도록 하는 냉매를 되돌리는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중간 냉각기 전환 밸브(93)를 더 구비하고 있는, 냉동 장치(1).
KR1020107020753A 2008-02-29 2009-02-25 냉동 장치 KR101204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48903 2008-02-29
JP2008048903A JP5125611B2 (ja) 2008-02-29 2008-02-29 冷凍装置
PCT/JP2009/053318 WO2009107617A1 (ja) 2008-02-29 2009-02-25 冷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726A true KR20100123726A (ko) 2010-11-24
KR101204105B1 KR101204105B1 (ko) 2012-11-22

Family

ID=4101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753A KR101204105B1 (ko) 2008-02-29 2009-02-25 냉동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249997B2 (ko)
EP (1) EP2261581B1 (ko)
JP (1) JP5125611B2 (ko)
KR (1) KR101204105B1 (ko)
CN (1) CN101965488B (ko)
AU (1) AU2009218261B2 (ko)
ES (1) ES2698226T3 (ko)
TR (1) TR201816376T4 (ko)
WO (1) WO20091076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3208A (ja) * 2009-12-25 2011-07-07 Sanyo Electric Co Ltd 冷凍装置
JP5502459B2 (ja) * 2009-12-25 2014-05-28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凍装置
JP5236754B2 (ja) 2010-02-26 2013-07-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マッシュルーム構造を有する装置
CN103958986B (zh) * 2011-11-29 2016-08-31 三菱电机株式会社 冷冻空调装置
EP3090220A4 (en) 2013-11-25 2017-08-02 The Coca-Cola Company Compressor with an oil separator
JP6617862B2 (ja) * 2015-01-09 2019-12-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凍機
WO2019186647A1 (ja) * 2018-03-26 2019-10-03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装置
JP7315592B2 (ja) 2019-06-06 2023-07-26 キャリア コーポレイション 冷媒蒸気圧縮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9921B2 (ja) * 2002-09-11 2008-01-30 三洋電機株式会社 遷臨界冷媒サイクル装置
JP2004116957A (ja) * 2002-09-27 2004-04-15 Sanyo Electric Co Ltd 冷媒サイクル装置
TWI301188B (en) * 2002-08-30 2008-09-21 Sanyo Electric Co Refrigeant cycling device and compressor using the same
US20040089015A1 (en) * 2002-11-08 2004-05-13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hot gas reheat for humidity control
JP2004184022A (ja) * 2002-12-05 2004-07-02 Sanyo Electric Co Ltd 冷媒サイクル装置
DE10313850B4 (de) 2003-03-21 2009-06-0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earborn Kältemittelkreislauf mit zweistufiger Verdichtung für einen kombinierten Kälteanlagen- und Wärmepumpenbetrieb,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JP2004301453A (ja) * 2003-03-31 2004-10-28 Sanyo Electric Co Ltd 半密閉型多段圧縮機
JP2005003239A (ja) * 2003-06-10 2005-01-06 Sanyo Electric Co Ltd 冷媒サイクル装置
TWI332073B (en) * 2004-02-12 2010-10-21 Sanyo Electric Co Heating/cooling system
JP2007115096A (ja) * 2005-10-21 2007-05-10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冷却装置および自動販売機
JP4935077B2 (ja) * 2006-01-06 2012-05-23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冷却装置および自動販売機
JP2007232263A (ja) * 2006-02-28 2007-09-13 Daikin Ind Ltd 冷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105B1 (ko) 2012-11-22
EP2261581B1 (en) 2018-08-22
TR201816376T4 (tr) 2018-11-21
US20110000246A1 (en) 2011-01-06
ES2698226T3 (es) 2019-02-01
WO2009107617A1 (ja) 2009-09-03
AU2009218261A1 (en) 2009-09-03
EP2261581A1 (en) 2010-12-15
CN101965488A (zh) 2011-02-02
JP2009204266A (ja) 2009-09-10
JP5125611B2 (ja) 2013-01-23
AU2009218261B2 (en) 2012-01-19
CN101965488B (zh) 2012-06-27
US9249997B2 (en) 2016-02-02
EP2261581A4 (en)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062B1 (ko) 냉동 장치
KR101122064B1 (ko) 냉동 장치
KR101157798B1 (ko) 냉동 장치
KR101157802B1 (ko) 냉동 장치
KR101179981B1 (ko) 냉동 장치
KR101204105B1 (ko) 냉동 장치
KR101214310B1 (ko) 냉동 장치
KR20100121672A (ko) 냉동 장치
JP5593618B2 (ja) 冷凍装置
WO2009131088A1 (ja) 冷凍装置
KR101116674B1 (ko) 냉동 장치
JP5186949B2 (ja) 冷凍装置
JP2010112579A (ja) 冷凍装置
JP2009180427A (ja) 冷凍装置
JP2009180429A (ja) 冷凍装置
JP2009228972A (ja) 冷凍装置
JP2009257704A (ja) 冷凍装置
JP5141364B2 (ja) 冷凍装置
JP2009133579A (ja) 冷凍装置
JP2009204243A (ja) 冷凍装置
JP2009236443A (ja) 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