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1688A -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1688A
KR20100121688A KR1020107022270A KR20107022270A KR20100121688A KR 20100121688 A KR20100121688 A KR 20100121688A KR 1020107022270 A KR1020107022270 A KR 1020107022270A KR 20107022270 A KR20107022270 A KR 20107022270A KR 20100121688 A KR20100121688 A KR 20100121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roll
belt
workpiece
buffer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토모 가메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1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24Advancing webs by looping or lik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64Transferring, feeding or handling devices;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804Plant, e.g. involving several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9Features of movement or transforming movement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91Features of movement or transforming movement of handled material transforming movement from continuous to intermittent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9Features of movement or transforming movement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93Features of movement or transforming movement of handled material intermit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20Belt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2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 B65H2408/21Accumulators
    • B65H2408/217Accumulators of rollers type, e.g. with at least one fixed and one movable roller
    • B65H2408/2171Accumulators of rollers type, e.g. with at least one fixed and one movable roller the position of the movable roller(s), i.e. the web loop, being positive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2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 B65H2408/21Accumulators
    • B65H2408/217Accumulators of rollers type, e.g. with at least one fixed and one movable roller
    • B65H2408/2174Accumulators of rollers type, e.g. with at least one fixed and one movable roller belt or similar device for carrying web through the accumulato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하는 띠형의 워크(1)를 미리 결정된 주행 경로(PL)를 따라 주행시키는 중에, 상기 워크(1)를 간헐적으로 정지시켜 가공 처리(Pn)를 행하는 가공 장치(10)에서, 상기 워크(1)의 간헐적인 정지에 따라 생길 수 있는 상기 워크(1)의 장력 변동을 유효하게 억제한다. 워크 반송부(30)는 반송 롤(31, 32), 제1 이동체(34a), 및, 제2 이동체(34b)에 휘감긴 무단 환형체(37a)를 구비하고, 상기 무단 환형체(37a)가 상기 주행 경로(PL)를 따르는 범위에서 상기 무단 환형체(37a)가 상기 워크(1)와 동일한 주행 동작 및 축적 동작을 하도록, 제1 구동 롤(37e)은 상기 무단 환형체(37a)를 미리 결정된 속도로 연속하여 주회 구동하며, 간헐 송출부(31b)는, 상기 워크(1)의 상기 정지 동작에 맞추어, 상기 무단 환형체(37a)를 간헐적으로 정지한다.

Description

가공 장치{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연속하는 띠형의 워크를 미리 결정된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시키는 중에, 상기 워크를 간헐적으로 정지시켜 가공 처리를 행하는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회용 기저귀 등의 생산 라인(5)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가공 포지션(P1, P2, …)이 수평 방향의 전후를 따라 정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속하는 띠형 워크(1)의 형태로 기저귀의 반제품이 연속 반송되는 과정에있어서, 각 가공 포지션(P1, P2, …)에서는 각종 가공 처리가 실시되고, 이에 따라 완성품으로 마무리된다.
여기서, 상기 가공 포지션(P1, P2, …) 중 하나에서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경우에는, 프레스 금형에 의한 엠보싱 동작 시에, 띠형 워크(1)의 반송을 간헐적으로 정지하게 되지만, 상기 정지는, 그 가장 가까운 상하류의 가공 포지션에서의 반송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고, 즉, 이들 가장 가까운 가공 포지션이라도 띠형 워크(1)를 일시 정지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 점에 대해, 일본 특허 제3452577호에 개시된 가공 장치(90)에 따르면, 상기 가공 장치(90)의 상하류의 위치에서는 띠형 워크(1)의 반송을 멈추지 않고, 상기 가공 장치(90)의 반송만을 간헐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이 가공 장치(9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93)에 의해 전후로 간격을 이격하면서 연결된 한쌍의 롤(91a, 91b)로 이루어지는 롤쌍(91)을 가지고, 상기 롤쌍(91)에 띠형 워크(1)가 휘감겨져 상기 띠형 워크(1)의 주행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롤쌍(91)이, 띠형 워크(1)의 주행 속도(Vt)와 동일한 속도로 역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 이동 속도(Vm)와 상기 주행 속도(Vt)를 서로 상쇄시켜, 상기 롤(91a, 91b)끼리의 사이의 위치에 의사적으로 상기 띠형 워크(1)의 정지 상태를 만들어 내고, 이 정지 상태의 사이에 가공 처리부(95)에서 가공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단, 이 정지 상태는, 띠형 워크(1)가 물리적으로 정지된 것이 아니다. 이 때문에, 예컨대 이동 속도(Vm)와 주행 속도(Vt)의 동기 불량에 의해, 띠형 워크(1)가 미묘하게 움직이게 될 경우가 있고, 그 결과, 띠형 워크(1)의 가공 위치가 목표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가공 장치로서, 도 3의 측면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장치(100)가 생각된다. 이 가공 장치(100)는, 띠형 워크(1)의 주행 경로(PL)를 형성하는 복수의 반송 롤(31a, 31b, 32a, 32b)을 가지고, 이 주행 경로(PL) 내에 설정된 가공 포지션(Pn)을 전후에 걸치도록, 시소 부재(3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시소 부재(34)의 전후 양단의 롤(34a, 34b)에는, 띠형 워크(1)가 휘감겨져 있고, 시소 부재(34)의 요동 동작에 의해 가공 포지션(Pn)의 전후에 띠형 워크(1)의 루프(1a, 1b)를 형성하여 띠형 워크(1)를 축적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공 포지션(Pn)과 시소 부재(34)의 롤(34a)과의 사이의 반송 롤(31b)은, 서보 모터 등에 의해 구동 회전하는 드라이브 롤(31b)이며, 상기 드라이브 롤(31b)은 띠형 워크(1)와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가공 장치(100)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브 롤(31b)이 정지함으로써, 가공 포지션(Pn)에서의 띠형 워크(1)의 물리적인 정지 상태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지 시에는, 상류측의 가공 포지션(Pn-1)으로부터 가공 장치(100)에 운반되는 띠형 워크(1)는, 도 3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시소 부재(34)의 시소 동작에 의해 상류측의 루프(1a)가 커짐으로써 축적되는 한편, 가공 장치(100)로부터 하류측의 가공 포지션(Pn+1)에 송출되어야 하는 가공 처리가 끝난 띠형 워크(1)는, 마찬가지로 상기 시소 동작에 의해 하류측의 루프(1b)가 작아짐으로써 배출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공 장치(100)에서의 띠형 워크(1)의 정지는, 그 가장 가까운 상하류의 가공 포지션(Pn-1, Pn+1)에서의 반송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소 부재(34)는, 띠형 워크(1)로부터 힘을 부여받아 상하 요동하는 종동(從動) 부재이며, 또한, 반송 롤(32a)도 띠형 워크(1)로부터 회전력이 부여되어 회전하는 종동 롤이다. 따라서, 띠형 워크(1)의 정지 시에는, 시소 부재(34)의 롤(34b)이 띠형 워크(1)에 인양되어 상승을 개시하지만, 그때에는, 예컨대 시소 부재(34)의 요동 동작의 관성이 띠형 워크(1)에 작용하여, 띠형 워크(1)에 큰 장력 변동이 생기게 된다. 또한, 이 정지 시에는, 띠형 워크(1)에 의해 함께 회전하고 있던 반송 롤(32a)이 정지하기 때문에, 상기 반송 롤(32a)의 회전 동작의 관성이 띠형 워크(1)에 작용하여, 이것에 의해서도, 띠형 워크(1)에 장력 변동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연속하는 띠형의 워크를 미리 결정된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시키는 중에, 상기 워크를 간헐적으로 정지시켜 가공 처리를 행하는 가공 장치에서, 상기 워크의 간헐적인 정지에 따라 생길 수 있는 상기 워크의 장력 변동을 유효하게 억제 가능한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연속하는 띠형의 워크를 복수의 반송 롤에 휘감아 상기 워크의 주행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워크를 반송하는 워크 반송부와,
상기 주행 경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워크가 간헐적으로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가공 처리를 행하는 가공 처리부를 구비한 가공 장치로서,
상기 워크 반송부는,
상기 가공 처리부보다도 상기 주행 경로 내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상류로부터 반송되는 상기 워크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 제1 이동체에 휘감음으로써 축적 가능한 입구측 버퍼 기구와,
상기 가공 처리부보다도 상기 주행 경로 내의 하류측에 설치되며, 하류에 반송하여야 하는 상기 가공 처리가 끝난 워크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 제2 이동체에 휘감음으로써 축적 가능한 출구측 버퍼 기구와,
상기 워크의 축적량의 증감 동작이,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와 상기 출구측 버퍼 기구에서 서로 역동작이 되도록 하면서, 서로의 상기 워크의 축적량의 변화량이 동일해지도록, 상기 제1 이동체와 상기 제2 이동체를 연동하여 이동시키는 연동부와,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를 통과한 상기 워크에 접촉하여 상기 워크를 간헐적으로 정지시키는 정지 동작 및 상기 가공 처리부에 송출하는 송출 동작을 반복하는 간헐 송출부와,
상기 주행 경로에서 상기 워크를 따르도록, 상기 반송 롤, 상기 제1 이동체, 및, 상기 제2 이동체에 휘감긴 무단(無端) 환형체와,
상기 무단 환형체를 주회(周回) 구동함으로써, 상기 반송 롤에 회전력을 부여하며, 상기 제1 이동체 및 상기 제2 이동체에 상기 왕복 이동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제1 구동 롤
을 구비하고,
상기 무단 환형체가 상기 주행 경로를 따르는 범위에서 상기 무단 환형체가 상기 워크와 동일한 주행 동작 및 축적 동작을 하도록, 상기 제1 구동 롤은 상기 무단 환형체를 미리 결정된 속도로 연속하여 주회 구동시키며, 상기 간헐 송출부는, 상기 워크의 상기 정지 동작에 맞추어, 상기 무단 환형체를 간헐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명료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하는 띠형의 워크를 미리 결정된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시키는 중에, 상기 워크를 간헐적으로 정지시켜 가공 처리를 행하는 가공 장치에서, 상기 워크의 간헐적인 정지에 따라 생길 수 있는 상기 워크의 장력 변동을 유효하게 억제 가능한 가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복수의 가공 포지션(P1, P2, …)을 갖는 생산 라인(5)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가공 장치(90)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가공 장치(90)의 문제를 해결하는 가공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형태의 가공 장치(10)의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띠형 워크(1)의 간헐 정지 시에 있어서의 시소 부재(34)의 요동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띠형 워크(1)의 간헐 정지의 해제 시에 있어서의 시소 부재(34)의 요동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띠형 워크(1)의 간헐 정지 시에 있어서의 시소 부재(34)의 요동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띠형 워크(1)의 간헐 정지의 해제 시에 있어서의 시소 부재(34)의 요동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드라이브 롤(31b)의 회전 속도(V)의 차트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의 가공 장치(10a)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가공 장치(10b)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그 외의 실시형태의 가공 장치(10c)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그 외의 실시형태의 가공 장치(10d)의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해진다.
연속하는 띠형의 워크를 복수의 반송 롤에 휘감아 상기 워크의 주행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워크를 반송하는 워크 반송부와,
상기 주행 경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워크가 간헐적으로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가공 처리를 행하는 가공 처리부를 구비한 가공 장치로서,
상기 워크 반송부는,
상기 가공 처리부보다도 상기 주행 경로 내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상류로부터 반송되는 상기 워크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 제1 이동체에 휘감음으로써 축적 가능한 입구측 버퍼 기구와,
상기 가공 처리부보다도 상기 주행 경로 내의 하류측에 설치되며, 하류에 반송하여야 하는 상기 가공 처리가 끝난 워크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 제2 이동체에 휘감음으로써 축적 가능한 출구측 버퍼 기구와,
상기 워크의 축적량의 증감 동작이,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와 상기 출구측 버퍼 기구에서 서로 역동작이 되도록 하면서, 서로의 상기 워크의 축적량의 변화량이 동일해지도록, 상기 제1 이동체와 상기 제2 이동체를 연동하여 이동시키는 연동부와,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를 통과한 상기 워크에 접촉하여 상기 워크를 간헐적으로 정지시키는 정지 동작 및 상기 가공 처리부에 송출하는 송출 동작을 반복하는 간헐 송출부와,
상기 주행 경로에서 상기 워크를 따르도록, 상기 반송 롤, 상기 제1 이동체, 및, 상기 제2 이동체에 휘감긴 무단 환형체와,
상기 무단 환형체를 주회 구동함으로써, 상기 반송 롤에 회전력을 부여하며, 상기 제1 이동체 및 상기 제2 이동체에 상기 왕복 이동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제1 구동 롤
을 구비하고,
상기 무단 환형체가 상기 주행 경로를 따르는 범위에서 상기 무단 환형체가 상기 워크와 동일한 주행 동작 및 축적 동작을 하도록, 상기 제1 구동 롤은 상기 무단 환형체를 미리 결정된 속도로 연속하여 주회 구동시키며, 상기 간헐 송출부는, 상기 워크의 상기 정지 동작에 맞추어, 상기 무단 환형체를 간헐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이다.
이러한 가공 장치에 따르면, 상기 무단 환형체를 주회 구동함으로써, 상기 반송 롤에 회전력을 부여하며, 상기 제1 이동체 및 상기 제2 이동체에 상기 왕복 이동의 이동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반송 롤의 회전 동작에 따른 관성이나, 제1 이동체 및 제2 이동체의 이동 동작에 따른 관성의 워크에의 작용이 경감되고, 그 결과, 워크의 장력 변동을 억제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1 구동 롤 및 상기 간헐 송출부에 의해, 무단 환형체는, 워크를 따르는 범위에서 워크와 동일한 주행 동작 및 축적 동작을 한다. 따라서, 임의의 타이밍에서 워크에 작용할 수 있는 반송 롤의 회전 동작에 따른 관성이나, 제1 및 제2 이동체의 이동 동작에 따른 관성을, 워크 대신에 확실하게 받을 수 있고, 그 결과, 워크의 장력 변동을 유효하게 억제 가능해진다.
덧붙여 말하면, 상기 가공 장치가 가공 처리를 행하도록, 간헐 송출부가 가공 처리부의 워크를 정지시켰였을 때에는, 이 가공 장치의 상류로부터 운반된 워크는, 입구측 버퍼 기구에 의해 축적되는 한편, 출구측 버퍼 기구로부터는, 축적되어 있던 가공 처리가 끝난 워크가 가공 장치의 하류에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가공 장치에서의 워크의 정지의 영향이, 그 가장 가까운 상하류의 가공 포지션에서의 워크의 반송에 부여되는 것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또한, 간헐 송출부가 워크와 접촉하여 워크를 정지하기 때문에, 상기 워크는 물리적으로 제동되고, 따라서, 워크의 가공 처리의 목표 위치에 대하여 높은 정밀도로 가공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워크의 축적량의 증감 동작은, 입구측 버퍼 기구와 출구측 버퍼 기구에서 서로 역동작이 되도록 하면서, 서로의 워크의 축적량의 변화량은 동일해지도록 행해진다. 따라서, 워크의 정지 시 및 상기 정지의 해제 시 중 어느 때에 있어서도, 워크의 장력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 가능해진다.
이러한 가공 장치로서,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의 상기 제1 이동체는, 종동 회전하는 롤이며,
상기 출구측 버퍼 기구의 상기 제2 이동체는, 종동 회전하는 롤이고,
이들 롤은, 상기 무단 환형체의 주회 구동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공 장치에 따르면, 제1 이동체 및 제2 이동체에 휘감긴 워크는, 제1 이동체 및 제2 이동체인 상기 롤의 종동 회전에 의해 원활하게 반송된다.
또한, 상기 롤은, 무단 환형체의 주회 구동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하기 때문에, 이들 롤의 회전 동작의 관성이 워크에 작용하는 것을 유효하게 막을 수 있고, 그 결과, 워크의 장력 변동을 유효하게 억제 가능해진다.
이러한 가공 장치로서,
미리 결정된 축 둘레에 요동하는 시소 부재를 상기 연동부로서 구비하며,
상기 시소 부재에 상기 제1 이동체 및 상기 제2 이동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은, 상기 제1 이동체의 설치 위치와 상기 제2 이동체의 설치 위치의 중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시소 부재의 요동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이동체 및 상기 제2 이동체는, 왕복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공 장치에 따르면, 상기 연동부로서 시소 부재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워크의 축적량의 증감 동작이, 입구측 버퍼 기구와 출구측 버퍼 기구에서 서로 역동작이 되도록 하면서, 서로의 상기 워크의 축적량의 변화량을 동일하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달성 가능해진다.
이러한 가공 장치로서,
상기 시소 부재는, 상기 워크를 지그재그형으로 휘감아야 하는 상기 제1 이동체를 복수 갖고 있으며, 상기 가공 처리가 끝난 워크를 지그재그형으로 휘감아야 하는 상기 제2 이동체를 복수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공 장치에 따르면, 워크를 지그재그형으로 휘감지 않는 경우, 즉 제1 이동체 및 제2 이동체를 각각 1개씩 갖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시소 부재의 요동 스트로크량을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요동 동작의 저속화를 통하여 반전 시의 충격을 경감 가능해진다.
이러한 가공 장치로서,
상기 무단 환형체에 관한 상기 미리 결정된 속도는, 상기 제1 구동 롤과의 접촉 위치에서의 속도이며,
상기 미리 결정된 속도는,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보다도 상류측에서의 워크의 주행 속도, 또는, 상기 출구측 버퍼 기구보다도 하류측에서의 상기 가공 처리가 끝난 워크의 주행 속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공 장치에 따르면, 무단 환형체의 주행 동작을 워크의 주행 동작에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워크의 정지 동작이나 송출 동작에 따라 워크에 작용할 수 있는 반송 롤이나 제1 이동체 및 제2 이동체의 관성을, 워크 대신에 무단 환형체가 확실하게 받을 수 있고, 그 결과, 워크의 장력 변동을 유효하게 억제 가능해진다.
이러한 가공 장치로서,
상기 간헐 송출부는,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로부터의 상기 워크를 외주면에 권취하면서 구동 회전함으로써, 상기 워크를 상기 가공 처리부에 반송하는 제2 구동 롤이고,
상기 제2 구동 롤에 상기 무단 환형체가 권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공 장치에 따르면, 워크는 제2 구동 롤에 권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구동 롤의 구동 회전에 의해 반송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구동 롤의 정지에 의해, 워크를 확실하게 제동할 수 있고, 그 결과, 워크를 확실하게 정지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간헐 송출부를 이루는 상기 제2 구동 롤에 무단 환형체가 권취되어 있기 때문에, 워크의 정지 동작에 동기시켜 무단 환형체를 정지하거나, 워크의 송출 동작에 동기시켜 무단 환형체를 송출하거나 할 수 있다. 즉, 워크의 주행 동작과 무단 환형체의 주행 동작과의 동기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정지 동작이나 송출 동작에 따라 워크에 작용할 수 있는 반송 롤의 관성이나 제1, 제2 이동체의 관성을, 워크 대신에 무단 환형체가 확실하게 받을 수 있고, 그 결과, 워크의 장력 변동을 유효하게 억제 가능해진다.
이러한 가공 장치로서,
상기 워크의 상기 정지 동작의 해제 시에는, 상기 간헐 송출부에 의해, 상기 출구측 버퍼 기구의 축적량의 증가 동작 및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의 축적량의 감소 동작이 병행하여 행해지고,
상기 증가 동작 및 상기 감소 동작은,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와 상기 출구측 버퍼 기구와의 사이에서의 상기 워크의 주행 속도를,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보다도 상류측에서의 워크의 주행 속도, 및, 상기 출구측 버퍼 기구보다도 하류측에서의 상기 가공 처리가 끝난 워크의 주행 속도보다도 빠르게 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공 장치에 따르면, 다음번의 워크의 정지 동작에 확실하게 대비할 수 있다. 즉, 출구측 버퍼 기구에 가공 처리가 끝난 워크를 축적하여, 하류측에 배출 가능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으며, 입구측 버퍼 기구에 축적된 워크를 배출하여, 상류측으로부터 운반되는 워크를 축적 가능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형태의 가공 장치(10)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면의 착종(錯綜)을 막기 위해, 도 4a에는, 가공 장치(10)의 일구성 요소인 장력 변동 억제 기구(37)를 제거하여 나타내고 있는 한편, 반대로, 도 4b에서는 장력 변동 억제 기구(37)를 나타내는 대신에, 띠형 워크(1)를 제거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도 말하며, 수직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말한다. 덧붙여 말하면, 전후 방향의 전방이 띠형 워크(1)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이며, 후방이 띠형 워크(1)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이다. 또한, 가공 장치(10)의 상류측을 입구측이라고도 말하며, 가공 장치(10)의 하류측을 출구측이라고도 말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가공 장치(10)는, 도 1의 연속 생산 라인(5)이 구비하는 복수의 가공 포지션(P1, P2, …) 중 하나의 가공 포지션(Pn)에 편입되어 있다. 그리고,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 워크(1)는, 가장 가까운 상류의 가공 포지션(Pn-1)으로부터 입구측 반송 속도(Vin)로 가공 장치(10)에 인입되는 한편, 가공 장치(10)에서의 미리 결정된 가공 처리 후에, 출구측 반송 속도(Vout)로 가장 가까운 하류의 가공 포지션(Pn+1)에 인출된다.
여기서, 매스 플로(mass flow)우 일정의 원칙에 기초하면, 기본적으로 가공 장치(10)의 입구측 반송 속도(Vin)와 출구측 반송 속도(Vout)는 서로 등속이 되어야 하는 것이지만, 띠형 워크(1)가 부직포 등의 신축성 소재인 경우에는, 그 신축 변형에 기초하여 입구측 반송 속도(Vin)와 출구측 반송 속도(Vout)가 서로 상이한 경우도 있을 수 있고, 예컨대 입구측 반송 속도(Vin)가 출구측 반송 속도(Vout)의 95∼105%의 범위가 되는 경우도 있다. 단, 이하에서는, 입구측 반송 속도(Vin)와 출구측 반송 속도(Vout)는, 서로 동일하게 기준 속도(V0)가 되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그런데, 이 가공 장치(10)가 담당하는 가공 처리는, 예컨대 프레스 가공이다. 따라서, 이 프레스 가공 시에는 띠형 워크(1)의 반송을 간헐 정지할 필요가 있지만, 이 가공 장치(10)에서는, 그 간헐 정지에 관계없이, 상기 입구측 반송 속도(Vin) 및 상기 출구측 반송 속도(Vout)를 거의 상기 기준 속도(V0)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즉, 이 가공 장치(10)에서는, 그 가장 가까운 상하류의 가공 포지션(Pn-1, Pn+1)에서의 띠형 워크(1)의 반송을 일절 멈추지 않고 연속 반송하면서, 가공 장치(10)만을 간헐 반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이 가공 장치(1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가공 장치(10)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하는 띠형 워크(1)를 복수의 반송 롤(31, 32)에 휘감아 상기 띠형 워크(1)의 주행 경로(PL)를 형성함으로써 띠형 워크(1)를 반송하는 워크 반송부로서의 간헐 반송 장치(30)와, 상기 주행 경로(PL) 내에 설치되며, 띠형 워크(1)가 간헐적으로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가공 처리를 행하는 가공 처리부로서의 프레스 장치(20)와, 이들 프레스 장치(20)나 간헐 반송 장치(30)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군(41, 42, 43)과, 센서군(41, 42, 4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프레스 장치(20)와 간헐 반송 장치(30)를 연휴(聯携)시켜 제어하는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프레스 장치(20)>>>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 장치(20)는, 예컨대, 수직 방향의 상하로 승강 구동 가능한 수 금형(male mold)(21a)과, 수 금형(21a)의 하측에 대향 배치된 암 금형(female mold)(21b)을 갖는다. 또한, 이들 수암 금형(21a, 21b)끼리의 상하 방향의 사이에는, 띠형 워크(1)의 주행 경로로서 대략 수평인 패스 라인(PL)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패스 라인(PL)을 따라, 띠형 워크(1)의 가공 대상 부위가 수평 방향으로 반송된 후, 상기 반송이 간헐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수 금형(21a)이 암 금형(21b) 쪽으로 하강하여 띠형 워크(1)의 가공 대상 부위를 사이에 끼워 압박함으로써 프레스 가공이 실시된다. 그리고, 수 금형(21a)이 상승하여 프레스 동작이 종료되면, 띠형 워크(1)의 반송 동작이 재개되고, 띠형 워크(1)의 다음 가공 대상 부위가 수 금형(21a)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정지할 때까지 프레스 장치(20)는 대기한다. 또한, 여기서는, 수 금형(21a)의 승강 동작의 구동원으로서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가 이용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간헐 반송 장치(30)>>>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헐 반송 장치(30)는, 프레스 장치(20)에 대하여 띠형 워크(1)의 패스 라인(PL)을 형성하는 복수의 반송 롤로서의 패스 라인 롤군(31, 32)과, 프레스 장치(20)보다도 패스 라인(PL) 내의 상류측에 설치되며, 띠형 워크(1)를 수직 방향의 아래에 볼록한 루프형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축적 가능한 입구측 버퍼 기구(34a)와, 프레스 장치(20)보다도 패스 라인(PL) 내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프레스 가공이 끝난 띠형 워크(1)를 수직 방향의 아래에 볼록한 루프형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축적 가능한 출구측 버퍼 기구(34b)와, 이들 입구측 버퍼 기구(34a) 및 출구측 버퍼 기구(34b)를 서로 연동하여 동작시키기 위한 연동부로서의 시소 부재(34)와, 띠형 워크(1)의 장력 변동을 억제하기 위한 장력 변동 억제 기구(37)를 갖고 있다.
패스 라인 롤군(31, 32)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프레스 장치(20)의 상류측에 서로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 한쌍의 패스 라인 롤(31a, 31b)과, 프레스 장치(20)의 하류측에 서로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 한쌍의 패스 라인 롤(32a, 32b)로 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패스 라인 롤(31a, 31b, 32a, 32b)에 띠형 워크(1)가 휘감겨 지지됨으로써, 띠형 워크(1)의 패스 라인(PL)이, 수평 방향의 전후에 프레스 장치(20)에 걸쳐지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프레스 장치(20)의 가장 가까운 상류의 패스 라인 롤(31b)(이하에서는 드라이브 롤(31b)이라고도 말함)에는 서보 모터 등의 구동원이 직결되어 있고, 상기 패스 라인 롤(31b)은 패스 라인 롤(31b)만으로 구동 회전하는 구동 롤로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스 장치(20) 내에서의 띠형 워크(1)의 반송 상태는, 상기 드라이브 롤(31b)(간헐 송출부 및 제2 구동 롤에 상당)의 회전수 제어에 의해 제어된다. 예컨대, 이 드라이브 롤(31b)이 회전하면, 프레스 장치(20) 내의 띠형 워크(1)는 반송되는 한편, 드라이브 롤(31b)이 정지하면, 프레스 장치(20) 내의 띠형 워크(1)의 반송도 정지한다. 그리고, 이 가공 장치(10)에 따르면, 이 물리적인 반송 정지 하에서 상기 프레스 가공이 행해지기 때문에, 띠형 워크(1) 상의 목표 위치에 정확하게 프레스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 드라이브 롤(31b)의 외주면에는, 상기 드라이브 롤(31b)과 평행한 회전축 둘레에 종동 회전하는 압박 롤(31c)이 미리 결정된 압박 압력으로 압박하고 있다. 그리고, 띠형 워크(1)는 이 드라이브 롤(31b)과 압박 롤(31c)의 사이에 끼워져 드라이브 롤(31b)과의 상대 미끄러짐 없이 반송된다. 따라서, 드라이브 롤(31b) 에 의한 띠형 워크(1)의 반송 동작의 응답성이 높여지고, 그 결과, 띠형 워크(1)의 정지 위치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입구측 버퍼 기구(34a) 및 출구측 버퍼 기구(34b)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시소 부재(34)의 전후 양단부에 종동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쌍의 롤(34a, 34b)이다(제1 이동체 및 제2 이동체에 상당). 여기서, 이들 롤(34a, 34b)은 서로 동직경 동중량의 롤이며, 그리고, 이들 롤(34a, 34b)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시소 부재(34)는, 롤(34a, 34b)끼리의 중간에 위치하는 상기 요동 중심축(34c) 둘레에 정역 회전 자재(自在)인 균형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롤(34a, 34b)은, 각각에, 상기 한쌍의 패스 라인 롤(31a, 31b)끼리의 사이의 위치, 및, 상기 한쌍의 패스 라인 롤(32a, 32b)끼리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각 롤(34a, 34b)에는, 각각에, 상기 한쌍의 패스 라인 롤(31a, 31b)의 사이에 걸쳐진 띠형 워크(1)의 부분(1a), 및, 상기 한쌍의 패스 라인 롤(32a, 32b)의 사이에 걸쳐진 띠형 워크(1)의 부분(1b)이, 각 롤(34a, 34b)의 하측으로부터 휘감겨져 있다.
따라서, 시소 부재(34)가 요동하면, 하강한 쪽의 롤(34b)(34a)이 형성하는 띠형 워크(1)의 루프량(축적량)은 증가하여 띠형 워크(1)가 축적되는 한편, 반대로, 상승한 쪽의 롤(34a)(34b)이 형성하는 띠형 워크(1)의 루프량(축적량)은 감소하여 띠형 워크(1)가 배출되고, 즉, 항상, 입구측 버퍼 기구의 롤(34a)과 출구측 버퍼 기구의 롤(34b)은 서로 역동작의 관계로 동작한다. 그 결과, 항상, 이들 롤(34a, 34b)이 형성하는 루프(1a, 1b)의 길이의 합산값은 일정하게 유지되며, 따라서, 띠형 워크(1)의 장력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가공 장치(10)의 입구측 반송 속도(Vin)와 출구측 반송 속도(Vout)의 동기를 확실하게 취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초기 상태를, 도 4a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구측 버퍼 기구의 롤(34b)에 루프(1b)가 크게 축적되고, 입구측 버퍼 기구의 롤(34a)에는 루프(1a)가 거의 없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프레스 장치(20) 내의 띠형 워크(1)의 반송을 간헐 정지하도록 상기 드라이브 롤(31b)의 회전이 상기 서보 모터에 의해 정지하여도, 상기 정지에 관계없이 하류의 가공 포지션(Pn+1)에는 띠형 워크(1)를 출구측 반송 속도(Vout)로 보내지 않으면 안 되지만, 그 경우에는,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 워크(1)의 장력 등에 의해 출구측 버퍼 기구의 롤(34b)(이하, 출구측 롤(34b)이라고도 말함)이 위로 들어 올려지고, 이에 따라, 출구측 버퍼 기구(34b)의 루프(1b)로부터 띠형 워크(1)가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드라이브 롤(31b)의 정지에 관계없이 띠형 워크(1)를 기준 속도(V0)와 동속의 반송 속도(Vout)로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이때에는,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한 위치에 있는 입구측 버퍼 기구의 롤(34a)(이하, 입구측 롤(34a)이라고도 말함)은 하강하여, 상류의 가공 포지션(Pn-1)으로부터 반송되는 띠형 워크(1)를 밑으로 인장하면서 아래로 볼록한 루프형으로 축적하지만, 여기서, 이 입구측 롤(34a)도, 상기 출구측 롤(34b)과 마찬가지로 시소 부재(34)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입구측 롤(34a)의 하강 동작은, 전술한 출구측 롤(34b)의 상승 동작으로부터 동작 지연되는 일 없이 동시 병행적으로 그 역동작으로서 행해지고, 즉, 입구측 롤(34a)은, 상기 출구측 롤(34b)의 상승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하강하며, 그 하강량은, 동일 롤(34b)의 상승량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 입구측 버퍼 기구의 롤(34a)에 축적되는 띠형 워크(1)의 양은, 출구측 버퍼 기구의 롤(34b)로부터 배출되는 띠형 워크(1)의 양과 동량이 되고, 그 결과로서, 입구측 반송 속도(Vin)와 출구측 반송 속도(Vout)를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즉, 입구측 반송 속도(Vin)와 출구측 반송 속도(Vout)의 동기를 확실하게 취할 수 있다.
또한, 이 간헐 정지 상태를 해제하면, 드라이브 롤(31b)의 회전이 재개되고, 이에 따라, 다음 간헐 정지의 위치에 달할 때까지 프레스 장치(20) 내의 띠형 워크(1)의 반송이 행해진다. 단, 그 반송 중에는, 다음 간헐 정지에의 준비로서, 시소 부재(34)를, 도 5c의 상태로부터 도 5a의 초기 상태로 되돌려 놓을 필요가 있지만, 상기 초기 상태에의 복귀는, 이 간헐 반송 시의 프레스 장치(20) 내의 띠형 워크(1)의 반송 속도(V)의 설정에 의해 행해진다.
즉, 간헐 정지가 해제되면,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라이브 롤(31b)이 회전을 재개하지만, 그때의 회전 속도(V)는, 입구측 반송 속도(Vin) 및 출구측 반송 속도(Vout)보다도 높게 설정된다. 그러면, 도 6a 내지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 장치(20) 내의 띠형 워크(1)는, 입구측 반송 속도(Vin) 및 출구측 반송 속도(Vout)보다도 빠른 속도(V)로 반송되기 때문에, 입구측 반송 속도(Vin)로 입구측 롤(34a)에 공급되는 띠형 워크(1)의 양보다도, 입구측 롤(34a)로부터 배출되는 띠형 워크(1)의 양쪽이 많아져 모자라게 되고, 따라서, 입구측 롤(34a)의 루프량은 감소하며 입구측 롤(34a)은 하한 위치로부터 상한 위치로 상승한다. 한편, 상한 위치에 있는 출구측 롤(34b)로부터는, 반송 속도(Vout)로 띠형 워크(1)가 배출되지만, 출구측 롤(34b)에는 상기 반송 속도(Vout)보다도 빠른 속도(V)로 띠형 워크(1)가 공급되기 때문에 띠형 워크(1)가 남게 되고, 따라서, 출구측 롤(34b)의 루프량은 증가하며, 출구측 롤(34b)은 상한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로 하강한다. 즉, 입구측 롤(34a)이 상승하며 출구측 롤(34b)이 하강한다고 하는 시소 동작을 시소 부재(34)는 행하고, 이에 따라, 시소 부재(34)는 전술한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장력 변동 억제 기구(37)는, 상기 시소 동작 등에 기인한 띠형 워크(1)의 장력 변동을 억제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이 프레스 장치(20)에서, 가공 처리의 인터벌(interval)이 짧아져 가공 처리가 짧은 간격으로 행해지게 되면, 시소 부재(34)의 요동 주기도 짧아진다. 그러면, 시소 부재(34)의 요동 동작에 따른 관성이나, 종동 회전하는 패스 라인 롤(31a, 32a, 32b)의 회전 동작에 따른 관성의 띠형 워크(1)에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되어 띠형 워크(1)에 장력 변동을 초래하게 된다.
예컨대, 띠형 워크(1)의 정지 시에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소 부재(34)의 출구측 롤(34b)이 띠형 워크(1)에 인양되어 상승을 개시하지만, 그때에는, 시소 부재(34)의 요동 동작의 관성이 띠형 워크(1)에 작용하여, 이것이, 띠형 워크(1)의 장력 변동이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띠형 워크(1)의 정지 시에는, 띠형 워크(1)에 의해 함께 회전하고 있던 패스 라인 롤(32a)이 정지하기 때문에(도 5a를 참조), 상기 패스 라인 롤(32a)의 회전 동작의 관성이 띠형 워크(1)에 작용하고, 이것에 의해서도 띠형 워크(1)에 장력 변동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장력 변동은, 띠형 워크(1)의 정지 위치 정밀도를 악화시키게 되며, 나아가서는, 띠형 워크(1)의 가공 위치가 목표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이 가공 장치(10)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소 부재(34)의 요동 동작 등에 따른 관성이나 패스 라인 롤(31a, 32a, 32b)의 회전 동작에 따른 관성을 띠형 워크(1) 대신에 받도록 장력 변동 억제 기구(3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장력 변동 억제 기구(37)는, 소위 권취 전동(傳動) 장치이며, 띠형 워크(1)의 폭 방향(도 4b에서는 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의 옆에 띠형 워크(1)와 나란히 이동하면서 주회 구동하는 무단(無端) 벨트(37a)(무단 환형체에 상당)를 본체로 한다. 즉, 무단 벨트(37a)는, 띠형 워크(1)와 마찬가지로 패스 라인(PL)을 따라, 패스 라인 롤(31a), 시소 부재(34)의 입구측 롤(34a), 드라이브 롤(31b), 패스 라인 롤(32a), 시소 부재(34)의 출구측 롤(34b), 패스 라인 롤(32b)의 순으로 휘감겨 있으며, 또한, 이들의 하측에 위치하는 종동 롤(37b, 37c, 37d)에도 휘감겨 있고, 이에 따라, 무단 벨트(37a)의 주회 궤도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무단 벨트(37a)가 띠형 워크(1)를 따르는 범위에서, 무단 벨트(37a)에 띠형 워크(1)와 동일한 주행 동작 및 축적 동작을 시킴으로써, 임의의 타이밍에서 띠형 워크(1)에 작용할 수 있는 상기 관성을 띠형 워크(1) 대신에 무단 벨트(37a)에 받게 하여, 이에 따라, 띠형 워크(1)의 장력 변동을 억제하고 있다.
그것을 위한 구성으로서, 우선, 띠형 워크(1)와 동일한 주행 동작을 시키도록, 무단 벨트(37a)의 주회 궤도에는, 서보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구동 회전하는 구동 롤(37e)(제1 구동 롤에 상당)이 배치되어 있고, 이 구동 롤(37e)에 무단 벨트(37a)가 미리 결정된 권취 각도를 가지고 휘감겨 있다. 그리고, 이 구동 롤(37e)은, 띠형 워크(1)의 입구측 반송 속도(Vin) 또는 출구측 반송 속도(Vout)와 동일한 원주 속도(V0)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무단 벨트(37a)는 띠형 워크(1)의 입구측 반송 속도(Vin) 또는 출구측 반송 속도(Vout)와 동일한 상기 기준 속도(V0)로 주회한다. 또한, 이 무단 벨트(37a)의 주회 동작에 의해, 무단 벨트(37a)가 휘감겨진 상기 롤(31a, 34a, 32a, 34b, 32b)도 회전된다.
또한, 띠형 워크(1)와 동일한 축적 동작을 시키도록, 이 무단 벨트(37a)를, 띠형 워크(1)의 반송을 담당하는 상기 드라이브 롤(31b)에 휘감고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드라이브 롤(31b)은, 상기 기준 속도(V0)로 주회하는 무단 벨트(37a) 에 대해서도, 띠형 워크(1)와 동일한 타이밍에서 간헐 정지 및 간헐 정지의 해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상기 무단 벨트(37a)는, 시소 부재(34)의 입구측 롤(34a) 및 출구측 롤(34b)에서 띠형 워크(1)와 동일한 축적 동작을 하게 된다.
예컨대,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롤(31b)에 의해 띠형 워크(1)가 반송되고 있는 동안은, 무단 벨트(37a)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 띠형 워크(1)와 동일한 반송 속도(V0)로 주행하고 있지만,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롤(31b)이 간헐 정지하면, 드라이브 롤(31b)과 반송 롤(32a)의 사이에 위치하는 띠형 워크(1)와 마찬가지로, 드라이브 롤(31b)과 반송 롤(32a)의 사이에 위치하는 무단 벨트(37a)도 드라이브 롤(31b)에 의해 간헐 정지된다. 또한, 그때에는, 도 7b 및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소 부재(34)의 요동 동작에 의한 띠형 워크(1)의 입구측의 루프량의 증가에 따라 마찬가지로 무단 벨트(37a)의 입구측의 루프량도 증가하고, 띠형 워크(1)의 출구측의 루프량의 감소에 따라 무단 벨트(37a)의 출구측의 루프량도 감소한다. 한편, 간헐 정지가 해제되면,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단 벨트(37a)도 띠형 워크(1)와 동일한 속도(V)로 드라이브 롤(31b)에 의해 보내진다. 그러면, 도 8b 및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소 부재(34)의 요동 동작에 의한 띠형 워크(1)의 입구측의 루프의 감소에 따라, 마찬가지로 무단 벨트(37a)의 입구측의 루프량도 감소하고, 띠형 워크(1)의 출구측의 루프량의 증가에 따라 무단 벨트(37a)의 출구측의 루프량도 증가하며, 최종적으로, 도 8c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센서군(41, 42, 43)>>>
센서군(41, 42, 43)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 장치(20)의 프레스 동작을 감시하는 프레스 동작 감시 센서(41)와, 띠형 워크(1) 상의 가공 대상 부위의 위치를 감시하는 가공 대상 부위 감시 센서(42)와, 시소 부재(34)의 요동 동작을 감시하는 요동 동작 감시 센서(43)를 갖고 있다.
프레스 동작 감시 센서(41)는, 예컨대, 수 금형(21a)의 상한 위치에 설치된 근접 스위치이며, 수 금형(21a)이 상한 위치에 도달할 때마다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가공 대상 부위 감시 센서(42)는, 프레스 장치(20)의 가장 가까운 상류측에 배치되고, 띠형 워크(1) 상에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가공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이하, 가공 위치 마크라고 함)를 검출할 때마다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이다. 그 일례로서는, 받은 광량에 따른 크기의 신호를 출력하는 광전관 등을 들 수 있다.
요동 동작 감시 센서(43)는, 예컨대, 시소 부재(34)의 출구측 롤(34b)의 하한 위치 근방에 설치된 근접 스위치이며, 출구측 롤(34b)이 하한 위치에 달하면, 근접 스위치로부터는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여기서는, 하한 위치로서, 하한 상위치와, 이 하한 상위치보다도 조금 저위의 하한 하위치에 2개가 설정되어 있고, 각 위치에는, 각각, 근접 스위치(43a, 43b)가 배치되어 있다.
<<<컨트롤러>>>
컨트롤러는, 적절한 시퀀서(sequencer)나 컴퓨터 등이며, 상기 센서군(41, 42, 43)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가공 장치(10)에 따른 각종 구동원을 제어한다. 즉, 프레스 장치(20)의 수 금형(21a)을 승강 구동하는 상기 유압 실린더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드라이브 롤(31b)의 구동원인 상기 서보 모터를 회전수 제어하며, 또한, 장력 변동 억제 기구(37)의 상기 구동 롤(37e)의 원주 속도가 띠형 워크(1)의 입구측 반송 속도(Vin) 또는 출구측 반송 속도(Vout)와 동일한 상기 기준 속도(V0)가 되도록 구동 롤(37e)의 서보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가공 장치(10)의 동작예>>>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가공 장치(10)에 따르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롤(31b)이 회전함으로써, 프레스 장치(20)의 상류 및 하류의 가공 포지션(Pn-1, Pn+1)에서는 띠형 워크(1)의 반송 속도(Vin, Vout)를 정상의 기준 속도(V0)로 유지한 채로, 프레스 장치(20) 내에서는, 장력 변동을 억제하면서 띠형 워크(1)를 간헐 반송하여 띠형 워크(1)에 적절한 간격으로 프레스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도 9는 드라이브 롤(31b)의 회전 속도(V)의 차트이며, 횡축에는 시간을, 종축에는 속도(미터/초)를 취하고 있다. 또한, 이 드라이브 롤(31b)에 의해 프레스 장치(20) 내에서의 띠형 워크(1)의 반송이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도 9의 종축은, 프레스 장치(20) 내를 반송하는 띠형 워크(1)의 반송 속도(V)이기도 하다.
우선, 초기 상태로서, 시소 부재(34)의 입구측 롤(34a) 및 출구측 롤(34b)은,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상한 위치 및 하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드라이브 롤(31b)에 의해 프레스 장치(20) 내의 띠형 워크(1)는, 입구측 반송 속도(Vin) 및 출구측 반송 속도(Vout)와 동일한 기준 속도(V0)로 반송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초기 상태로 반송하는 도 9의 정상 영역(A1)에서, 가공 대상 부위 감시 센서(42)로부터, 띠형 워크(1) 상의 가공 위치 마크의 검출 신호가 송신되면, 컨트롤러는, 도 9의 감속 영역(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미 정해진 감속 패턴으로 드라이브 롤(31b)의 회전을 정지하고, 이에 따라, 프레스 장치(20) 내에서의 띠형 워크(1)의 반송은 간헐 정지된다.
그리고, 이 간헐 정지 중(A3)에, 컨트롤러는, 프레스 장치(20)에 프레스 동작을 행하게 한다(도 7a 및 도 7b).
또한, 이 간헐 정지 중(A3)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 상태(도 7a)로부터 그 반대의 상태(도 7c)로 시소 부재(34)가 요동 동작을 행하고(즉, 입구측 롤(34a)이 하강하며 출구측 롤(34b)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상류의 가공 포지션(Pn-1)으로부터 기준 속도(V0)로 운반되는 띠형 워크(1)를 늘어진 상태로 수취하고, 하류의 가공 포지션(Pn+1)에 기준 속도(V0)로 띠형 워크(1)를 배출할 수 있고, 따라서, 이들 상하류의 가공 포지션(Pn-1, Pn+1)에서의 반송 상태는, 상기 간헐 정지에 의해 조금도 저해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요동 동작은, 기본적으로는 시소 부재(34)의 출구측 롤(34b)이 띠형 워크(1)의 장력에 의한 들어 올려짐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이때에는, 무단 벨트(37a)의 장력도 출구측 롤(34b)을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띠형 워크(1)의 장력 변동이 억제된다.
그러한 후에, 프레스 동작 감시 센서(41)로부터 프레스 동작의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컨트롤러는 드라이브 롤(31b)의 회전을 재개한다. 단, 이때에는, 도 9의 가속 영역(A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미 정해진 가속 패턴에 기초하여 회전 속도를 높여 가고, 최종적으로는 입구측 반송 속도(Vin) 및 출구측 반송 속도(Vout)보다도 고속으로 하도록 상기 기준 속도(V0)보다도 고속으로 하며, 이에 따라 도 8a의 상태의 시소 부재(34)를, 도 8c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 되돌려 다음의 프레스 동작의 간헐 정지에 대비하도록 한다. 또한, 이때의 시소 부재(34)의 요동 동작도, 기본적으로는 시소 부재(34)의 입구측 롤(34a)이 띠형 워크(1)의 장력에 의한 들어 올려짐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이때에는, 무단 벨트(37a)의 장력도 입구측 롤(34a)을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띠형 워크(1)의 장력 변동이 억제된다.
덧붙여 말하면, 시소 부재(34)가 초기 상태(도 8c)로 복귀한 것은, 요동 동작 감시 센서(43)에 의해 검출된다. 자세하게는, 초기 상태에의 복귀 직전에, 출구측 롤(34b)은, 우선 하한 상위치의 센서(43a) 위치를 통과하기 때문에, 상기 하한 상위치의 센서(43a)로부터 검출 신호가 송신된다. 그렇게 하면, 컨트롤러는, 도 9 중 감속 영역(A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롤(31b)의 감속을 개시한다. 그리고, 출구측 롤(34b)이 하한 하위치에 달하여, 하한 하위치의 센서(43b)로부터 검출 신호가 송신되면, 드라이브 롤(31b)의 회전 속도를, 상기 기준 속도(V0)로 하고, 이에 따라, 가공 사이클의 1사이클이 종료된다.
그리고, 그 후는, 가공 대상 부위 감시 센서(42)가 띠형 워크(1)의 가공 위치 마크를 검출할 때마다, 전술한 가공 사이클이 반복하여 행해진다.
===제2 실시형태===
도 10은 제2 실시형태의 가공 장치(10a)의 측면도이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스 장치(20) 내의 띠형 워크(1)의 반송 상태의 제어를 드라이브 롤(31b)에 의해 행하고 있었지만,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드라이브 롤(31b) 대신에 설치된 브레이크를 갖는 비구동 롤(31d)과, 시소 부재(34)를 요동 구동하는 요동 구동 장치(36)에 의해 반송 상태를 제어하고 있다. 즉, 브레이크를 갖는 비구동 롤(31d)과 요동 구동 장치(36)가 간헐 송출부에 상당한다. 그리고, 이 이외의 점은 거의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예컨대, 장력 변동 억제 기구(37)도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를 갖는 비구동 롤(31d)은, 상기 드라이브 롤(31b) 대신에 동일 위치에 고정된 비구동 롤(31d)과, 이 비구동 롤(31d)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럼식 또는 디스크식 등의 브레이크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기구의 비작동 하에서는, 비구동 롤(31d)은, 이것에 접촉하는 띠형 워크(1) 및 무단 벨트(37a)의 반송에 따라 함께 회전하지만, 브레이크 기구의 작동 하에서는 자신뿐만 아니라, 이것에 접촉하는 띠형 워크(1) 및 무단 벨트(37a)도 정지시킨다.
요동 구동 장치(36)는, 예컨대 에어 실린더이며, 그 피스톤(36a)의 선단부가 시소 부재(34)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 밸브 등의 변환 밸브를 통해, 미리 결정된 압축 공기원으로부터의 압축 공기(압력 공기)를 에어 실린더 내의 실린더실에 공급함으로써, 피스톤(36a)의 승강 동작을 통해 상기 시소 부재(34)를 상하 요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비구동 롤(31d) 및 요동 구동 장치(36)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고, 이에 따라, 띠형 워크(1)가 다음과 같이 되어, 프레스 장치(20) 내를 간헐 반송된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가공 장치(10a)는 도 8c의 초기 상태로 있다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즉, 시소 부재(34)의 입구측 롤(34a) 및 출구측 롤(34b)은, 각각, 도 10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한 위치 및 하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류의 가공 포지션(Pn+1)으로부터 인장되고, 프레스 장치(20) 내의 띠형 워크(1)는, 입구측 반송 속도(Vin) 및 출구측 반송 속도(Vout)와 동일한 기준 속도(V0)로 반송되고 있다.
이 초기 상태에서의 반송 하에서, 가공 대상 부위 감시 센서(42)로부터 가공 위치 마크의 검출 신호가 송신되면, 컨트롤러는 브레이크 기구를 작동시켜 비구동 롤(31d)의 회전을 멈추고, 이에 따라, 프레스 장치(20) 내의 띠형 워크(1) 및 무단 벨트(37a)는 간헐 정지된다.
그리고, 이 간헐 정지 중에, 컨트롤러는, 프레스 장치(20)가 프레스 동작을 행하게 한다.
또한, 이 간헐 정지 중에는, 에어 실린더(36)의 실린더실이 상기 변환 밸브에 의해 상기 압축 공기원으로부터 절연되어 대기 개방되고, 이에 따라, 시소 부재(34)는 극히 작은 부하로 요동 자재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시소 부재(34)의 출구측 롤(34b)은, 띠형 워크(1)의 장력 및 무단 벨트(37a)의 장력에 의해 들어 올려져 상승하며, 입구측 롤(34a)은 그 역동작으로서 하강한다. 즉, 시소 부재(34)는, 도 10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부터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반대의 상태로 요동 동작된다. 따라서, 시소 부재(34)는, 상류의 가공 포지션(Pn-1)으로부터 입구측 반송 속도(Vin)로 운반되는 띠형 워크(1)를 늘어진 상태로 수취하며, 하류의 가공 포지션(Pn+1)에 출구측 반송 속도(Vout)로 띠형 워크(1)를 배출할 수 있고, 따라서, 상하류의 가공 포지션(Pn-1, Pn+1)에서의 반송 상태는, 상기 간헐 정지에 의해 조금도 저해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프레스 동작 감시 센서(41)로부터 프레스 동작의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컨트롤러는, 비구동 롤(31d)의 브레이크를 해제한다. 그러면, 비구동 롤(31d)은, 하류의 가공 포지션(Pn+1)으로부터 인장되어 반송되는 띠형 워크(1) 및무단 벨트(37a)에 의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단, 이 반송 중에는, 다음 간헐 정지에 대처하도록, 시소 부재(34)를, 실선으로 나타내는 초기 상태(즉, 입구측 롤(34a)이 상한 위치이며, 출구측 롤(34b)이 하한 위치의 상태)로 되돌려 놓을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컨트롤러는 상기 변환 밸브를 전환시켜, 상기 압축 공기원으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에어 실린더(36)의 실린더실에 공급하며, 이에 따라, 에어 실린더(36)의 피스톤(36a)을 신장시켜 시소 부재(34)를 요동하게 하고, 즉 입구측 롤(34a)을 상승하게 하여 출구측 롤(34b)을 하강하게 한다.
또한, 이 초기 상태로 복귀한 것은, 요동 동작 감시 센서(43)에 의해 검출된다. 자세하게는, 출구측 롤(34b)이 하한 하위치에 도달하여, 하한 하위치의 센서(43b)로부터 검출 신호가 송신되면, 에어 실린더(36)의 신장 동작을 정지시키고, 이에 따라, 가공 사이클의 1사이클이 종료한다.
그런데, 전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띠형 워크(1)의 간헐 정지 및 그 해제를 행하도록, 브레이크를 갖는 비구동 롤(31d)을 이용하고 있었지만, 이것 대신에, 브레이크 기구가 없는 단순한 비구동 롤(종동 롤)을 이용하여도 좋다. 단, 그 경우에는, 띠형 워크(1) 및 무단 벨트(37a)를 규제하여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가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그 일례로서는, 상기 비구동 롤의 가장 가까운 하류에 배치되며, 띠형 워크(1) 및 무단 벨트(37a)를 그 상하로부터 핀칭(pinching)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 한쌍의 핀칭 부재를 갖는 니프 기구를 들 수 있다. 그리고, 띠형 워크(1)의 반송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하 한쌍의 핀칭 부재가 서로 근접하여 띠형 워크(1) 및 무단 벨트(37a)를 동시에 핀칭하고, 이에 따라 띠형 워크(1) 및 무단 벨트(37a)의 하류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편, 띠형 워크(1)의 반송을 재개하는 경우에는, 상기 핀칭 부재가 서로 떨어짐으로써, 상기 띠형 워크(1) 및 무단 벨트(37a)의 핀칭 상태를 해제한다.
===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가공 장치(10b)의 측면도이다. 전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시소 부재(34)의 요동 구동 장치(36)로서 에어 실린더를 이용하고 있었지만, 이 변형예에서는, 캠기구를 이용하고 있다. 이 이외의 점은 거의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예컨대, 드라이브 롤(31b) 대신에 브레이크를 갖는 비구동 롤(31d)을 배치하고 있는 점 등도, 전술한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요동 구동 장치(38)는, 예컨대 미리 결정된 축(38c) 둘레에 회전 가능한 대략 타원 판형의 판캠(38a)을 본체로 한다. 그리고, 그 캠면으로서의 외주면이, 시소 부재(34)의 요동 중심축(34c)보다도 입구측 위치에서 시소 부재(34)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판캠(38a)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원으로서의 서보 모터로 판캠(38a)을 상기 축(38c) 둘레에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시소 부재(34)를 상하 요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판캠(38a)과 상기 브레이크를 갖는 비구동 롤(31d)을 상기 컨트롤러가 제어함으로써, 띠형 워크(1)가 다음과 같이 되어, 프레스 장치(20) 내를 간헐 반송된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가공 장치(10b)가 도 8c의 초기 상태로 있다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즉, 도 11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소 부재(34)는, 상사점(上死點)에서 정지 중인 판캠(38a)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요동 불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에 따라, 시소 부재(34)의 입구측 롤(34a) 및 출구측 롤(34b)은, 각각, 상한 위치 및 하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띠형 워크(1)는, 하류의 가공 포지션(Pn+1)으로부터 인장되어, 프레스 장치(20) 내를 입구측 반송 속도(Vin) 및 출구측 반송 속도(Vout)와 동일한 기준 속도(V0)로 반송되고 있다.
이 초기 상태에서의 반송 하에서, 가공 대상 부위 감시 센서(42)로부터 가공 위치 마크의 검출 신호가 송신되면, 컨트롤러는, 브레이크 기구를 작동시켜 비구동 롤(31d)의 회전을 멈추게 하고, 이에 따라, 프레스 장치(20) 내의 띠형 워크(1) 및 무단 벨트(37a)는 간헐 정지된다.
그리고, 이 간헐 정지 중에, 컨트롤러는, 프레스 장치(20)에 프레스 동작을 행하게 한다.
또한, 이 간헐 정지 시에는 판캠(38a)이 회전을 개시하여, 판캠(38a)은 시소 부재(34)를 지지하지 않는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시소 부재(34)는 극히 작은 부하로 요동 자재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시소 부재(34)의 출구측 롤(34b)은, 띠형 워크(1)의 장력 및 무단 벨트(37a)의 장력에 의해 들어 올려져 상승하며, 입구측 롤(34a)은 그 역동작으로서 하강한다. 즉, 시소 부재(34)는, 도 11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부터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반대의 상태로 요동 동작된다. 따라서, 시소 부재(34)는, 상류의 가공 포지션(Pn-1)으로부터 입구측 반송 속도(Vin)로 운반되는 띠형 워크(1)를 튀어나온 상태로 수취하며, 하류의 가공 포지션(Pn+1)에 출구측 반송 속도(Vout)로 띠형 워크(1)를 배출할 수 있고, 따라서, 상하류의 가공 포지션(Pn-1, Pn+1)에서의 반송 상태는, 상기 간헐 정지에 의해 조금도 저해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프레스 동작 감시 센서(41)로부터 프레스 동작의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컨트롤러는, 비구동 롤(31d)의 브레이크를 해제한다. 그러면, 비구동 롤(31d)은, 하류의 가공 포지션(Pn+1)으로부터 인장되어 반송되는 띠형 워크(1) 및 무단 벨트(37a)에 의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단, 이 반송 중에는, 다음 간헐 정지에 대처하도록, 시소 부재(34)를, 실선으로 나타내는 초기 상태(즉, 입구측 롤(34a)이 상한 위치이며, 출구측 롤(34b)이 하한 위치의 상태)로 되돌려 놓을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컨트롤러는, 판캠(38a)을 회전시켜 시소 부재(34)의 하면에 접촉하여 시소 부재(34)를 요동시키고, 이에 따라, 입구측 롤(34a)은 상승하며 출구측 롤(34b)은 하강한다.
또한, 이 초기 상태로 복귀한 것은, 요동 동작 감시 센서(43)에 의해 검출된다. 자세하게는, 초기 상태의 복귀의 직전에는, 출구측 롤(34b)이 하한 상위치의 센서(43a) 위치를 통과하기 때문에, 상기 하한 상위치의 센서(43a)로부터 검출 신호가 송신되면, 컨트롤러는, 우선, 판캠(38a)의 회전 동작의 감속을 개시한다. 그리고, 출구측 롤(34b)이 하한 하위치에 도달하여, 하한 하위치의 센서(43b)로부터 검출 신호가 송신되면, 판캠(38a)의 회전 동작을 정지시키고, 이에 따라, 가공 사이클의 1사이클이 종료한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하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간헐 송출부로서 드라이브 롤(31b)을 예시하며, 상기 드라이브 롤(31b)에 무단 벨트(37a)를 직접 휘감은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간헐 송출부가 띠형 워크(1)와 동일한 간헐 정지를 무단 벨트(37a)에 대하여 행할 수 있는 구성이면, 이것에 조금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직접적으로는 무단 벨트(37a)가 드라이브 롤(31b)에 휘감겨져 있지 않아도, 드라이브 롤(31b)의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력이, 적절한 권취 전동 장치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무단 벨트(37a)가 띠형 워크(1)와 동일한 타이밍에서 간헐 정지되도록 되어 있으면, 그것으로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4b 또는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단 벨트(37a)가 띠형 워크(1)의 패스 라인(PL)(주행 경로)을 따르는 범위를, 패스 라인 롤(31a)로부터 패스 라인 롤(32b)까지의 전체 범위로 설정하고 있었지만, 상기 범위는 이것에 조금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패스 라인(PL)에서의 일부를 따르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도 1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종동 롤(37f, 37g)을 설치하여 이들 롤(37f, 37g)에도 무단 벨트(37a)를 휘감음으로써, 프레스 장치(20)의 위치, 즉, 드라이브 롤(31b)과 패스 라인 롤(32a)의 사이에 대해서는 무단 벨트(37a)를 띠형 워크(1)를 따르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입구측 버퍼 기구의 입구측 롤(34a)과, 출구측 버퍼 기구의 출구측 롤(34b)을 서로 연동하여 역동작시키는 연동부로서 시소 부재(34)를 예시하였지만, 서로 연동하여 역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면 이것에 조금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즉, 시소 부재(34)에 의해 일체로 연결하지 않아도 좋다.
예컨대, 입구측 롤(34a)과 출구측 롤(34b)을, 각각 적절한 가이드 레일 등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며, 이들 입구측 롤(34a) 및 출구측 롤(34b)을, 각각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원에 의해 상하 승강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들 입구측 롤(34a)과 출구측 롤(34b)이 서로 역동작(서로 동일한 속도로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하도록, 컴퓨터 등의 적절한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에어 실린더를 제어하여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띠형 워크(1)의 소재 등에 대해서 특별히 설명하고 있지 않았지만, 띠형물이며 적절한 가요성을 갖고 있으면 적용 가능하고, 예컨대, 부직포나 직포, 시트, 필름형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그 소재로서는, 합성 수지 등의 수지나 펄프 등이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띠형 워크(1)에의 가공 처리로서 프레스 가공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조금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엠보싱에 의해 요철 모양을 부여하는 엠보스 가공이나, 띠형 워크(1)를 용착하는 시일 가공 등이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시소 부재(34)에 대하여 입구측 롤(34a) 및 출구측 롤(34b)을 각각 하나씩 설치하고, 이에 따라, 밑에 볼록한 루프를 하나씩 형성하였지만, 각 루프수를 복수로 늘려도 좋다. 예컨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소 부재(34)의 입구측 롤(34a) 및 출구측 롤(34b)을 각각 2개씩으로 하며, 입구측 롤(34a, 34a)끼리의 사이, 및, 출구측 롤(34b, 34b)끼리의 사이에 각각 고정 롤(35)(이동하지 않도록 정위치에 고정된 롤)을 설치하여, 띠형 워크(1)를 지그재그형으로 휘감고, 이에 따라, 상기 띠형 워크(1)의 루프를 복수개(이 예의 경우는 2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이 루프수를 복수로 하면, 루프수가 하나인 경우와 비교하여, 시소 부재(34)의 요동 동작의 스트로크량을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요동 동작의 저속화를 통해 상하 반전 시의 충격을 경감 가능해진다.
1 띠형 워크(워크), 1a 부분(루프), 1b 부분(루프),
5 연속 생산 라인,
10 가공 장치, 10a 가공 장치, 10c 가공 장치, 10d 가공 장치,
20 프레스 장치(가공 처리부),
21a 수 금형(male mold), 21b 암 금형(female mold),
30 간헐 반송 장치(워크 반송부),
31 패스 라인 롤군(반송 롤),
31a 패스 라인 롤(반송 롤),
31b 드라이브 롤(간헐 송출부, 제2 구동 롤),
31c 압박 롤,
31d 브레이크를 갖는 비구동 롤(간헐 송출부),
32 패스 라인 롤군(반송 롤),
32a 패스 라인 롤(반송 롤),
32b 패스 라인 롤(반송 롤),
34 시소 부재(연동부),
34a 입구측 롤(제1 이동체, 입구측 버퍼 기구),
34b 출구측 롤(제2 이동체, 출구측 버퍼 기구),
34c 요동 중심축,
36 에어 실린더(간헐 송출부, 요동 구동 장치),
36a 피스톤, 37 장력 변동 억제 기구,
37a 무단 벨트(무단 환형체), 37b 종동 롤,
37c 종동 롤, 37d 종동 롤,
37e 구동 롤(제1 구동 롤),
37f 종동 롤, 37g 종동 롤,
38 판캠(간헐 송출부, 요동 구동 장치), 38c 축,
41 프레스 동작 감시 센서,
42 가공 대상 부위 감시 센서,
43 요동 동작 감시 센서,
43a 하한 상위치의 센서, 43b 하한 하위치의 센서,
90 가공 장치, 91a 롤, 91b 롤,
93 세퍼레이터, 95 가공 처리부, 100 가공 장치,
1La 루프, 1Lb 루프,
Pn-1 가공 포지션, Pn 가공 포지션,
Pn+1 가공 포지션,
PL 패스 라인(주행 경로),
V 반송 속도(주행 속도),
Vin 입구측 반송 속도(주행 속도), Vout 출구측 반송 속도(주행 속도),
A1 정상 영역, A2 감속 영역, A3 간헐 정지 영역, A4 가속 영역,
A5 감속 영역, Vt 주행 속도, Vm 이동 속도

Claims (7)

  1. 연속하는 띠형의 워크를 복수의 반송 롤에 휘감아 상기 워크의 주행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워크를 반송하는 워크 반송부와,
    상기 주행 경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워크가 간헐적으로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가공 처리를 행하는 가공 처리부를 구비한 가공 장치로서,
    상기 워크 반송부는,
    상기 가공 처리부보다도 상기 주행 경로 내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상류로부터 반송되는 상기 워크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 제1 이동체에 휘감음으로써 축적 가능한 입구측 버퍼 기구와,
    상기 가공 처리부보다도 상기 주행 경로 내의 하류측에 설치되며, 하류에 반송하여야 하는 상기 가공 처리가 끝난 워크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 제2 이동체에 휘감음으로써 축적 가능한 출구측 버퍼 기구와,
    상기 워크의 축적량의 증감 동작이,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와 상기 출구측 버퍼 기구에서 서로 역동작이 되도록 하면서, 서로의 상기 워크의 축적량의 변화량이 동일해지도록, 상기 제1 이동체와 상기 제2 이동체를 연동하여 이동시키는 연동부와,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를 통과한 상기 워크에 접촉하여 상기 워크를 간헐적으로 정지시키는 정지 동작 및 상기 가공 처리부에 송출하는 송출 동작을 반복하는 간헐 송출부와,
    상기 주행 경로에서 상기 워크를 따르도록, 상기 반송 롤, 상기 제1 이동체, 및, 상기 제2 이동체에 휘감긴 무단(無端) 환형체와,
    상기 무단 환형체를 주회(周回) 구동함으로써, 상기 반송 롤에 회전력을 부여하며, 상기 제1 이동체 및 상기 제2 이동체에 상기 왕복 이동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제1 구동 롤
    을 구비하고,
    상기 무단 환형체가 상기 주행 경로를 따르는 범위에서 상기 무단 환형체가 상기 워크와 동일한 주행 동작 및 축적 동작을 하도록, 상기 제1 구동 롤은 상기 무단 환형체를 미리 결정된 속도로 연속하여 주회 구동시키며, 상기 간헐 송출부는, 상기 워크의 상기 정지 동작에 맞추어, 상기 무단 환형체를 간헐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의 상기 제1 이동체는, 종동(從動) 회전하는 롤이고,
    상기 출구측 버퍼 기구의 상기 제2 이동체는, 종동 회전하는 롤이며,
    이들 롤은, 상기 무단 환형체의 주회 구동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축 둘레에 요동하는 시소 부재를 상기 연동부로서 구비하며,
    상기 시소 부재에 상기 제1 이동체 및 상기 제2 이동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은, 상기 제1 이동체의 설치 위치와 상기 제2 이동체의 설치 위치의 중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시소 부재의 요동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이동체 및 상기 제2 이동체는,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 부재는, 상기 워크를 지그재그형으로 휘감아야 하는 상기 제1 이동체를 복수 갖고 있으며, 상기 가공 처리가 끝난 워크를 지그재그형으로 휘감아야 하는 상기 제2 이동체를 복수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환형체에 관한 상기 미리 결정된 속도는, 상기 제1 구동 롤과의 접촉 위치에서의 속도이며,
    상기 미리 결정된 속도는,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보다도 상류측에서의 워크의 주행 속도, 또는, 상기 출구측 버퍼 기구보다도 하류측에서의 상기 가공 처리가 끝난 워크의 주행 속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 송출부는,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로부터의 상기 워크를 외주면에 권취하면서 구동 회전함으로써, 상기 워크를 상기 가공 처리부에 반송하는 제2 구동 롤이고,
    상기 제2 구동 롤에 상기 무단 환형체가 권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의 상기 정지 동작의 해제 시에는, 상기 간헐 송출부에 의해, 상기 출구측 버퍼 기구의 축적량의 증가 동작 및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의 축적량의 감소 동작이 병행하여 행해지고,
    상기 증가 동작 및 상기 감소 동작은,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와 상기 출구측 버퍼 기구 사이에서의 상기 워크의 주행 속도를, 상기 입구측 버퍼 기구보다도 상류측에서의 워크의 주행 속도, 및, 상기 출구측 버퍼 기구보다도 하류측에서의 상기 가공 처리가 끝난 워크의 주행 속도보다도 빠르게 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
KR1020107022270A 2008-03-06 2009-02-04 가공 장치 KR201001216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56618 2008-03-06
JP2008056618A JP5017148B2 (ja) 2008-03-06 2008-03-06 加工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688A true KR20100121688A (ko) 2010-11-18

Family

ID=4105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270A KR20100121688A (ko) 2008-03-06 2009-02-04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10049210A1 (ko)
EP (1) EP2248750A4 (ko)
JP (1) JP5017148B2 (ko)
KR (1) KR20100121688A (ko)
CN (1) CN101808923A (ko)
AU (1) AU2009222396B2 (ko)
CA (1) CA2716194A1 (ko)
TW (1) TW201000377A (ko)
WO (1) WO20091102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819A (ko) * 2017-07-11 2019-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타발 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4619B (zh) * 2011-07-11 2015-05-2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传送装置、印刷装置以及传送方法
JP5430019B2 (ja) * 2011-11-15 2014-02-26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フィルムの間欠搬送装置及びフィルムの間欠搬送方法
JP5820737B2 (ja) * 2012-02-13 2015-11-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帯状ワーク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AU2013268718B2 (en) 2012-05-30 2016-05-19 Bridgestone Corporation Bel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5572239B1 (ja) 2013-03-08 2014-08-13 花王株式会社 搬送経路の転換装置
JP5370949B1 (ja) * 2013-03-11 2013-12-18 アキム株式会社 ワーク搬送方法および装置
US9144624B2 (en) * 2013-07-19 2015-09-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viding a localized dwell in an advancing web
US10494197B2 (en) 2017-06-16 2019-1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transferring discrete articles
CN107902341A (zh) * 2017-12-15 2018-04-13 深圳远荣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连续输送装置
JP7081182B2 (ja) * 2018-02-01 2022-06-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供給装置
DE102019128198B3 (de) * 2019-10-18 2021-02-25 Laser Imaging Systems Gmbh Vorrichtung zur Mustereinbringung mittels Strahlung an einem aufgewickelten Endlossubstrat
CN116902654A (zh) * 2023-09-12 2023-10-20 潍坊石花化工建材有限公司 一种沥青防水卷材生产用卷取包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2673A (en) * 1958-06-09 1963-09-03 Commercial Envelope Mfg Co Inc Strip feeding means
US3322604A (en) * 1963-01-14 1967-05-30 Gloucester Eng Co Inc Machine for altering moving webs
US3526563A (en) * 1966-10-10 1970-09-01 Gloucester Eng Co Inc Formations in continuous length materials
US3644157A (en) * 1970-01-27 1972-02-22 Neal M Draper Method of making laminar garment by autogenous bonding of continuous webs
US3689187A (en) * 1971-04-28 1972-09-05 Kuretoishi Kk Belt-mold forming apparatus grinding wheels
US4012188A (en) * 1971-08-10 1977-03-15 Lemelson Jerome H Pressure forming apparatus
DE2308696C3 (de) * 1973-02-22 1979-04-05 Hermann Berstorff Maschinenbau Gmbh, 3000 Hannover Ein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Spanplatten, Faserplatten u.dgl
NL185691C (nl) * 1977-08-29 1990-06-18 Oce Van Der Grinten Nv Kopieerapparaat.
US4154562A (en) * 1977-08-31 1979-05-15 Kornylak Corporation Adjustable width molding apparatus for a flat-top bun
JPS54111553A (en) * 1978-02-20 1979-08-31 Aichi Purasuchitsukusu Kougiyo Continuous processing apparatus for running film
US4412881A (en) * 1981-06-29 1983-11-01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astic leg disposable diapers
NL8300415A (nl) * 1983-02-04 1984-09-03 Oce Nederland Bv Transferinrichting.
US4512942A (en) * 1983-06-13 1985-04-23 B. F. Goodrich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vulcanizing hose
NL8503559A (nl) * 1985-12-24 1986-04-01 Oce Nederland Bv Beeldvormend apparaat.
NL8702939A (nl) * 1987-12-07 1989-07-03 Oce Nederland Bv Bandspaninrichting.
JPH04115915A (ja) * 1990-09-07 1992-04-16 Bando Chem Ind Ltd 無端ゴムベルトの加硫装置
US5277571A (en) * 1992-07-17 1994-01-11 George Schmitt & Co., Inc. Apparatus for perforation of a sheet material
EP0630726B1 (de) * 1993-06-25 1998-09-16 De Pretto-Escher Wyss s.r.l. Ein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Spanplatten, Faserplatten oder dgl.
EP0652175B1 (en) * 1993-11-04 1998-0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US5693165A (en) * 1993-11-04 1997-1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US6003420A (en) * 1994-04-26 1999-12-21 Fuji Photo Film Co.,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hotographic filmstrips
JP3510684B2 (ja) * 1994-09-19 2004-03-29 トタニ技研工業株式会社 連続ウエブ間欠送り装置
DE19749593A1 (de) * 1997-11-10 1999-05-20 Moelnlycke Ab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kontinuierlicher längserstreckter Materialbahnen
JP2004196475A (ja) * 2002-12-18 2004-07-15 Sanken Electric Co Ltd 巻き取り装置
JP4381032B2 (ja) * 2003-05-27 2009-12-09 花王株式会社 被加工物の搬送制御方法及び搬送制御装置
US7926688B2 (en) * 2005-08-23 2011-04-19 Durst Phototechnik Ag Tension-controlled web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JP4914815B2 (ja) * 2007-11-28 2012-04-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加工装置
US8142598B2 (en) * 2007-12-28 2012-03-27 Philip Morris Usa Inc. Filter tube mak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819A (ko) * 2017-07-11 2019-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타발 장비
KR20210128991A (ko) * 2017-07-11 202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타발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08923A (zh) 2010-08-18
US20110049210A1 (en) 2011-03-03
EP2248750A4 (en) 2012-01-11
JP2009208953A (ja) 2009-09-17
EP2248750A1 (en) 2010-11-10
TW201000377A (en) 2010-01-01
JP5017148B2 (ja) 2012-09-05
WO2009110278A1 (ja) 2009-09-11
CA2716194A1 (en) 2009-09-11
AU2009222396A1 (en) 2009-09-11
AU2009222396B2 (en)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1688A (ko) 가공 장치
JP4914815B2 (ja) 加工装置
CN103029323B (zh) 一种纸箱制造装置
CN103658979A (zh) 用于由原材料切割坯件的激光冲裁系统
JP2017509559A (ja) 低エネルギーローラベルトアキュムレータ
CN103189554B (zh) 交叉铺网机
CN1239447A (zh) 热轧材料的卷取设备和卷取方法
KR20150016285A (ko) 식품생지 신장장치 및 식품생지 신장방법
US561798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nd guiding strip material that is to be processed in the loop region
PL158611B1 (pl) Sposób wahadlowego ukladania cienkiej, nasyconej spoiwem, nieutwardzonej, pierwotnejwstegi z welny mineralnej na przenosniku odbiorczym PL PL
CN101070647B (zh) 驼峰式铺网机
US4077306A (en) Bag machine cycle interrupt
KR102499675B1 (ko) 웹 저장소와 함께 재료 웹을 개별 시트로 절단하기 위한 장치
EP1686205B1 (en) Layering unit for carded webs and method for layering said webs by means of said layering unit.
CN208948521U (zh) 一种针织拉布机
JP4015578B2 (ja) 中空糸膜編立装置
KR101193071B1 (ko) 에어나이프용 비접촉식 배플장치의 제어방법
WO2021141546A1 (en) Pendulum folder for foldable material folding
CN219620424U (zh) 用于卷对卷连续曝光的双运动平台
CN215623036U (zh) 一种摆渡辊道
US202401581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reless Roll Products
WO2024102714A1 (e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reless roll products
WO2024101985A1 (en) Method, tire manufacturing lin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ufacturing a continuous strip
KR20130063435A (ko) 페스투너의 스트립 장력 조절기구
CN114867567A (zh) 用于柔性轧制金属带材的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