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521A -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521A
KR20100119521A KR1020100040425A KR20100040425A KR20100119521A KR 20100119521 A KR20100119521 A KR 20100119521A KR 1020100040425 A KR1020100040425 A KR 1020100040425A KR 20100040425 A KR20100040425 A KR 20100040425A KR 20100119521 A KR20100119521 A KR 20100119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ibration
printing
file
print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8739B1 (ko
Inventor
마사히토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66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using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upport, e.g. magnetic car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03G15/5041Detecting a toner image, e.g. density, toner coverage, using a test patc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62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copy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9Digital image input
    • H04N1/00175Digital image input from a still imag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04N1/00965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using a plug-in memory module, e.g. memory card, memory 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58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a detachable storage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1Card-type connector, e.g. PCMCIA card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기억매체가 내부에 장착될 때, 필요한 기준에 따라, 착탈 가능한 기억매체를 액세스하고, 유저가 잡을 투입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캘리브레이션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개시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프린터 엔진은 상기 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따라 화상형성동작을 실행하고, 콘트롤러는 상기 프린터 엔진의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한다. 이 콘트롤러는, 상기 매체가 삽입되었는지를 검지하고, 그 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의 속성을 판정한다. 그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콘트롤러는 선택적으로 상기 캘리브레이션을 개시시킨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착탈가능한 기억 매체에 액세스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컬러 토너등을 사용해서 색표현을 행하는 프린터나 복합기에서는, 색을 충실하게 재현하기 위해서, 프린터 엔진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전자사진 프로세스를 사용해서 매체에 화상형성을 행하는 프린터 엔진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제품은, 주변환경의 온도나 습도와, 상기 엔진 내부의 감광체의 상태에 따라서, 각 색의 토너의 상기 매체에의 부착 정도가 항상 변화되기 때문에,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후, 전자사진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프린터 엔진의 캘리브레이션의 실시 순서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우선, 각각이 엔진의 중간 전사체 위에 패치(patch)라고 불리는 농도측정용의 화상을 형성한다. 패치는 몇개의 레벨의 출력 농도일 경우를 가정하는 경우, 복수의 패치를 형성하고, 거기에는 각각의 레벨의 패치 농도와 연관된 양의 토너가 부착된다. 다음에, 패치는 엔진내 장착된 센서로 측색되고, 최선의 색재현을 실현하기 위한 패치 농도와, 실제로 측색된 패치 농도와의 어긋남이 계산된다. 이 어긋남이 최소로 되도록, 레이저 강도의 조정하고 화상처리를 포함한 프린터 엔진의 동작을 제어 함으로써, 캘리브레이션은 실현된다.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한 직후의 프린터나 복합기는, 그 프린터 엔진이 가장 정확하게 색재현을 할 수 있는 상태로 조정된다. 그리고, 그 후의 인쇄 매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인쇄된 색은 캘리브레이션 직후의 상태와 비교하면 조금씩 어긋남이 생겨 온다. 인쇄출력에 고도의 색재현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캘리브레이션 직후에 인쇄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캘리브레이션은, 프린터나 복합기의 각 제품 고유의 소정의 빈도로 실행될뿐이며, 인쇄출력에 고도의 색재현을 요구할 경우에, 엔진이 항상 최선의 색재현을 할 수 있는 상태에 있지 않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0-227684호에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유저에 의한 인쇄 잡(job)이 투입될 때, 자동적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시작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0-227684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특정 인쇄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쇄 잡이 투입될 때 캘리브레이션을 강제적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인쇄 동작 개시시에, 엔진은 최선의 색재현을 할 준비가 되어 있다.
프린터나 복합기에 대하여 인쇄 잡을 투입하는 방법은, 이후에 기재된 종래에 제안된 방법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0-227684호에 개시된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이나 직렬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의 유저가 파일을 선택한 후, 인쇄 잡을 투입하여 그 파일을 프린터나 복합기에 인쇄한다. 이 경우, 유저가 상기 프린터나 복합기를 선택할 때 캘리브레이션이 개시되고 나서 상기 인쇄 잡이 투입되는 상기 프린터나 복합기의 캘리브레이션이 완료되기 전에 수십초 또는 수분이 걸린다.
또한, 착탈가능한 메모리 장치를 인식하는 유닛이 내부에 삽입 탑재되어 있는 프린터나 복합기의 유저가, 그 삽입된 메모리 장치에 기억된 파일들 중 하나를 지정하고, 그 지정된 파일을 프린터나 복합기에 투입하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은, 소위 메모리 다이렉트 인쇄 기능을 갖는 프린터나 복합기에 적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이 기억된 메모리 카드를 프린터에 삽입하여 행해지도록 구성된 메모리 다이렉트 인쇄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또한, 전자문서 파일을 메모리 카드나 USB플래시 메모리에 격납하여 휴대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고, 이러한 오피스 문서를 컴퓨터가 사용 가능하지 않은 환경하에서 인쇄하기 위해서, 메모리 다이렉트 인쇄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되고 있다.
그렇지만, 메모리 다이렉트 인쇄를 사용하는 경우이여도, 유저가 파일 선택한 후, 인쇄 잡이 투입된다. 그 때문에, 캘리브레이션이 개시되는 타이밍은, 네트워크 접속이나 직렬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인쇄 잡이 투입되는 경우와 같다. 이 때문에, 메모리 다이렉트 인쇄를 행하는 유저는, 인쇄 잡의 투입후에 수십초 또는 수분 동안, 캘리브레이션이 완료하는 것을 기다릴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그 화상형성장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컴퓨터에게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착탈가능한 기억 매체에 액세스 가능한 화상형성장치가, 유저에 의한 잡 투입을 기다리지 않고 기억매체가 장착될 때, 필요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에서는, 휴대형 기억 매체가 접속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것인가 아닌가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장착이 검지된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에 기억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한 데이터에 따라 화상형성동작을 행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캘리브레이션 실행부와,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의 속성이나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에 기억된 데이터들의 속성들을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의 결과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캘리브레이션 실행부에 상기 캘리브레이션을 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서는, 휴대형 기억 매체가 내부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따라 화상형성동작을 행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캘리브레이션 실행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것인가 아닌가를 검지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의 속성이나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에 기억된 데이터들의 속성들을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단계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캘리브레이션 실행부에 캘리브레이션을 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국면에서,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은,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으로부터 또는 유저의 상기 인쇄장치에의 로그인으로부터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와, 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국면에서는, 휴대형 기억 매체가 내부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따라 화상형성동작을 행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캘리브레이션 실행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게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형 기억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것인가 아닌가를 검지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형 기억매체의 속성이나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에 기억된 데이터들의 속성들을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단계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캘리브레이션 실행부에 캘리브레이션을 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형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 국면에서는,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으로부터 또는 유저의 상기 인쇄장치에의 로그인으로부터 그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와, 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실행 방법을 컴퓨터에게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형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 국면에서는, 인쇄장치와,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으로부터 또는 유저의 상기 인쇄장치에의 로그인으로부터 그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검출하는 사전 인쇄 이벤트(pre-print event) 검출기와, 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 캘리브레이션부를 구비한 인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인쇄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를 검출함으로써, 그 이벤트의 검출과 상기 인쇄 지시의 수신 사이의 기간을 사용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 지시는, 인쇄장치에서 수신된다. 예를 들면, 상기 인쇄 시스템은, 상기 인쇄장치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어도 된다.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는, 상기 인쇄장치에서 검출되어도 되지만, 이와는 달리 상기 인쇄장치와 접속된 또 다른 장치에서 검출되어도 된다. 그래서, 이러한 다른 장치는,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를 검출하여 상기 인쇄장치에 통지하는 통지장치로서의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 시스템은, 프린트 서버와 클라이언트 장치를 더 구비한다. 이 프린트 서버, 클라이언트 장치 및 인쇄장치는, 네트워크 이를테면 LAN을 통해 접속되어도 된다. 인쇄 대상의 문서나 파일은, 먼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프린트 서버에 보내진다. 이어서, 그 프린트 서버는, 그 문서나 파일을 가능하면 그것의 포맷을 변환한 후 상기 인쇄장치에 보낸다. 상기 문서나 파일을 상기 프린트 서버로부터 인쇄장치로 보냄으로써 유저가 상기 인쇄장치에 로그인할 때까지 지연되기도 한다.
상기 인쇄 시스템은, 2개 이상의 인쇄장치를 포함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유저는, 상기 문서나 파일이 예를 들면 인쇄장치들 중 하나에 로그인함으로써 상기 프린트 서버에 보내진 후 상기 인쇄장치를 선택하여도 된다. 상기 프린트 서버와 선택된 인쇄장치가 함께 작동하여 상기 문서나 파일, 또는 상기 유저에 의해 인쇄하기 위해 보내진 모든 문서나 파일들을, 상기 프린트 서버로부터 그 선택된 프린터에 보낸다.
상기 인쇄장치에 로그인한 후, 유저는, 인쇄 지시를 내리기 전에 하나 이상의 단계를 수행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유저는, 예를 들면 상기 인쇄장치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지연된 인쇄가능한 문서나 파일들의 리스트로부터 인쇄 대상의 하나 이상의 문서나 파일들을 선택하여도 된다. 또한, 유저는, 상기 열거된 문서들이나 파일들에 관한 다른 활동들, 예를 들면 선택된 문서나 파일들의 삭제를 실시하여도 된다. 또한, 유저는, 하나 이상의 문서나 파일들의 인쇄 설정값(예를 들면, 용지 크기나 최종 설정값)을 변경한 후 상기 인쇄 지시를 내린다. 이들 단계는 시간이 걸려, 이 시간동안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데 효과적이다. 이것은, 사전 인쇄 이벤트로서 상기 로그인을 검출하여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것은, 사전 인쇄 이벤트로서 인쇄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문서나 파일의 어떠한 적절한 사용도 검출하여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나 상기 프린트 서버에 의한 문서나 파일의 송신은, 사전 인쇄 이벤트로서 검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프린트 서버나 상기 인쇄장치에 의한 상기 문서나 파일의 수신도, 사전 인쇄 이벤트로서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상기 인쇄장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인쇄장치의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유저가 인쇄장치에 로그인할 때 검출하여도 된다. 또는,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인쇄 대상의 상기 문서나 파일이 프린트 서버로부터 상기 인쇄장치에서 수신될 때 검출하여도 된다.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상기 프린트 서버에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프린트 서버의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인쇄 대상의 상기 문서나 파일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프린트 서버에서 수신될 때 검출하여도 된다. 인쇄장치가 보다 많은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이 단계에서는 유저가 어떤 인쇄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는 것을 특정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유저가 특정 인쇄장치, 예를 들면 유저의 책상에 가장 근접한 것을 선택하는 이력을 가지면, 상기 프린트 서버에서의 상기 문서나 파일의 수신은 특정 인쇄장치에서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 인쇄 이벤트로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비록 유저가 그래도 상이한 인쇄장치를 선택할 가능성이 있을지라도, 상기 특정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할 가치가 있다.
상기 프린트 서버의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인쇄 대상의 상기 문서나 파일이 상기 프린트 서버로부터 상기 인쇄장치에 보내질 때 검출하여도 된다. 이것은, 하나보다 많은 인쇄장치를 갖는 인쇄 시스템에서 유용하다.
또한, 상기 프린트 서버의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유저가 상기 인쇄장치에 로그인할 때 검출하여도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프린트 서버는, 상기 인쇄 시스템의 상기 인쇄장치(들)의 제어 및/또는 관리를 행한다. 따라서, 상기 프린트 서버는, 유저가 상기 인쇄장치에 로그인할 때 포함되거나, 적어도 그 로그인이 일어날 때 상기 인쇄장치에 의해 통지될 것이다.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클라이언트 장치에도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상기 문서나 파일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프린트 서버에 보내질 때 검출하여도 된다. 상술한 것처럼, 하나보다 많은 인쇄장치를 갖는 인쇄 시스템에서, 이렇게 보내는 것은, 유저가 특정 인쇄장치를 선택하는 이력을 가지면 사전 인쇄 이벤트로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나보다 많은 인쇄장치를 갖는 일부의 인쇄 시스템에 의해, 유저가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상기 인쇄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프린트 서버로부터 상기 프린트 서버로 상기 문서나 파일을 보내는 것은, 유효한 사전 인쇄 이벤트다.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에서 검출되는 사전 인쇄 이벤트는, 상기 문서나 파일의 어떠한 적절한 사용일 수 있고, 상기 인쇄 시스템의 요소 중 하나에 의한 상기 문서나 파일의 송신 또는 수신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은, 예를 들면, 상기 선택된 인쇄장치에 대응하는 인쇄 큐에서 상기 프린트 서버에서 스토리지일 수 있다. 또는, 그것은, 상기 문서나 파일 또는, 유저가 프린트 서버에 보낸 모든 문서나 파일들에 대해 상기 선택된 인쇄장치로부터 상기 프린트 서버로의 요청(request)일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은, 유저가 상기 인쇄장치에 로그인할 때 발행된다. 또한, 하나보다 많은 인쇄장치를 갖지만 유저가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상기 인쇄장치를 선택하게 하는 인쇄 시스템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상기 인쇄장치의 선택은 유효한 사전 인쇄 이벤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국면에서는,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으로부터 또는 유저의 상기 인쇄장치에의 로그인으로부터 그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검출하는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와, 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 캘리브레이션부를 구비한 인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8 국면에서는, 인쇄 대상의 문서나 파일을 접속된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문서나 파일 수신부와, 이 수신된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접속된 장치로부터 또는 또 다른 접속된 장치로부터, 그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 인쇄 이벤트의 검출의 통지를 수신하는 사전인쇄 이벤트 통지 수신부와, 이 수신된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 캘리브레이션부를 구비한 인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통지는, 상기 인쇄 대상의 상기 문서나 파일을 수신하기 전후에 수신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9 국면에서는, 인쇄장치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본 통지장치로부터 또는 또 다른 접속된 장치로부터 인쇄 대상의 문서나 파일을 수신하고, 통지에 응답하여 그 수신된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할 수 있는 통지장치를 제공하되, 이 통지장치는, 상기 인쇄 지시의 상기 인쇄장치에 의한 수신을 하기 전에,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으로부터 또는 유저가 상기 인쇄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인쇄장치에의 로그인으로부터 검출하는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와, 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지시의 상기 인쇄장치에 의한 수신을 하기 전에 상기 통지를 상기 인쇄장치에 보내는 사전 인쇄 이벤트 통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통지장치는, 예를 들면 안전한 인쇄 시스템에서 프린트 서버나 클라이언트 장치이어도 된다. 상기 통지는, 상기 인쇄 대상의 문서나 파일이 상기 인쇄장치에서 수신되기 전후에 수신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0 국면에서는, 인쇄 대상의 문서나 파일을 접속된 장치로부터 수신한 후, 이 수신된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된 장치로부터 또는 또 다른 접속된 장치로부터, 그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 인쇄 이벤트의 검출의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실행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1 국면에서는, 인쇄장치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본 통지장치로부터 또는 또 다른 접속된 장치로부터 인쇄 대상의 문서나 파일을 수신하고, 통지에 응답하여 그 수신된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할 수 있는 통지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되, 이 방법은, 상기 인쇄 지시의 상기 인쇄장치에 의한 수신을 하기 전에,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으로부터 또는 유저가 상기 인쇄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인쇄장치에의 로그인으로부터 검출하는 단계와, 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지시의 상기 인쇄장치에 의한 수신을 하기 전에 상기 통지를 상기 인쇄장치에 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2 국면에서는, 프로그램 가능형 인쇄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인쇄장치에 의해, 인쇄 대상의 문서나 파일을 접속된 장치로부터 수신한 후 이 수신된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접속된 장치로부터 또는 또 다른 접속된 장치로부터, 그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 인쇄 이벤트의 검출의 통지를 수신하며, 이 수신된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형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3 국면에서는, 프로그램 가능형 통지장치에서 실행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형 기억매체를 제공하되, 상기 통지장치는, 인쇄장치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통지장치로부터 또는 또 다른 접속된 장치로부터 인쇄 대상의 문서나 파일을 수신하고, 통지에 응답하여 그 수신된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상기 통지장치에 의해, 상기 인쇄 지시의 상기 인쇄장치에 의한 수신을 하기 전에,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으로부터 또는 유저가 상기 인쇄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인쇄장치에의 로그인으로부터 검출하고, 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지시의 상기 인쇄장치에 의한 수신을 하기 전에 상기 통지를 상기 인쇄장치에 보낸다.
본 발명의 제3 내지 제12 국면 중 어느 하나에서의 상기 인쇄장치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국면에서와 같이 착탈 가능한 메모리를 접속시킬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국면의 실시예에서는,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에 액세스 가능한 화상형성장치가, 유저에 의한 잡 투입을 기다리지 않고 기억매체가 장착될 때, 필요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이에 따라 유저의 캘리브레이션 완료 대기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4 국면에서는, 메모리 카드가 접속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 이 화상형성장치는, 이 메모리 카드가 본 장치에 접속되는 경우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이 상기 검출기에 의한 그 메모리 카드의 검출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개시하게 하는 캘리브레이션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을 기억하는) 메모리 카드가 본 장치에 접속될 때(삽입될 때) 자동으로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국면에서는, 제1 및 제2의 서로 다른 종류의 외부 메모리 매체가 접속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 이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종류 중 어느 한쪽의 메모리 매체가 본 장치에 접속될 때와 어떠한 종류의 메모리 매체의 종류가 접속되는지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제 1 종류의 메모리 매체가 접속된 것을 상기 검출기가 검출하였을 때 자동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이 개시되게 하고, 상기 제 2 종류의 메모리 매체가 접속된 것을 상기 검출기가 검출하였을 때 선택적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이 개시되게 하는 캘리브레이션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종류의 메모리 매체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들을 기억하기 쉬운 메모리 매체의 종류,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이어도 된다. 이러한 미디어에서는, 상기 매체에 고품질의 화상 인쇄를 얻기 위해서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할 것 같아서, 그 캘리브레이션을 자동으로 시작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제 2 종류의 메모리 매체는, 상기 제 1 종류의 메모리 매체보다, 상기 화상을 보다 덜 기억하는 메모리 매체의 일 종류, 예를 들면, USB 매스 스토리지 디바이스이어도 된다. 이러한 미디어에서는, 만족스러운 인쇄를 얻기 위해서는 캘리브레이션이 보다 필요할 것 같아서, 그 캘리브레이션은 선택적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규정된 표준을 만족하는 경우만, 예를 들면, 마지막 캘리브레이션이후 실질적으로 시간이 경과하거나 실질적인 환경조건의 변화가 일어난 경우만, 상기 캘리브레이션이 개시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로서 디지털 복합기의 콘트롤러의 블럭도다.
도 2는, 도 1의 메모리 카드 리더(reader)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다.
도 3은, 도 1의 프린터 엔진의 제어계의 블럭도다.
도 4는, 도 1의 프린터 엔진의 개략적인 단면도다.
도 5는, 농도 센서를 사용해서 행하는 농도보정제어의 기능 블럭도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외부 메모리 매체 삽입시에 실행되는 외부 메모리 매체 검지 응답 캘리브레이션 실행 제어 처리의 흐름도다.
도 7은, 상기 콘트롤러에서 실행되는 캘리브레이션 필요와 불필요 판단 처리의 흐름도다.
도 8은, Exif준거의 JPEG파일의 기본구조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된 캘리브레이션 필요조건 설정 정보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캘리브레이션 기동 처리의 흐름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된 캘리브레이션 필요조건 설정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캘리브레이션 기동 처리의 흐름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외부 메모리 매체 삽입시에 실행되는 외부 메모리 매체 검지 응답 캘리브레이션 실행 제어 처리의 흐름도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외부 메모리 매체 삽입시에 실행되는 외부 메모리 매체 검지 응답 캘리브레이션 실행 제어 처리의 흐름도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블록도다.
도 16은 도 15의 인쇄 시스템에서의 프린트 서버의 일부를 나타낸 블록도다.
도 17은 유저가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인쇄 잡을 작성할 때 도 15의 인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18은 유저가 인쇄장치에서 인쇄 잡을 검색할 때 도 15의 인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례인 디지털 복합기의 콘트롤러(100)의 블럭도다.
도 1에 있어서, 콘트롤러(100)는, 화상입력 디바이스인 스캐너(190)와 화상출력 디바이스인 프린터 엔진(300)(화상형성 유닛)과 접속하고, 화상 데이터의 스캐닝 및 인쇄출력을 위한 제어를 행한다. 또한, 콘트롤러(100)는, LAN(200)과 접속함으로써 화상정보나 디바이스 정보를 LAN(200)을 경유해서 입출력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CPU(중앙처리장치)(101)는 디지털 복합기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102)은, CPU(101)가 동작하기 위한 시스템 워크 메모리임과 동시에, 입력된 문서 및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이기도 한다. 또한, ROM(판독전용 메모리)(103)은 부트(boot)ROM이며, 시스템의 부트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4)는 각종 처리를 위한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입력된 화상 데이터가 격납된다. 조작부 인터페이스(105)는, 화상 데이터 등을 표시가능한 표시 화면을 갖는 조작부(150)에 대한 인터페이스이며, 그 조작부 인터페이스(105)를 거쳐서 조작부(150)에 대하여 조작 화면 데이터가 입력된다. 또한, 조작부 인터페이스(I/F)(105)를 거쳐서, 조작부(150)로부터 조작자가 입력한 정보가 CPU(101)에 입력된다. 조작부(150)는, 이렇게 조작부 인터페이스(105)를 거쳐서 콘트롤러(100)에 접속되어, 액정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디지털 복합기의 화상 입/출력 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는, LAN(200)에 접속해서 외부장치에 또 외부장치로부터 정보를 입출력한다. 이상의 유닛이 시스템 버스(106) 상에 배치되어 있다.
직렬 인터페이스(108)는, 범용적인 직렬 버스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부 메모리 매체를 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 리더(151)를 접속한다. 메모리 카드 리더(151)는, 이렇게 직렬 인터페이스(108)를 통해 콘트롤러(100)에 접속되어, 외부 메모리 매체로부터/에 데이터를 판독/기록하는 데이터 판독/기록 기능을 제공한다.
이미지 버스 인터페이스(109)는, 시스템 버스(106)와 화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화상 버스(110)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데이터구조를 변환하는 버스 브릿지다. 화상 버스(110)에는, 래스터(raster) 이미지 프로세서(111),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12), 스캐너 이미지 프로세서(113), 프린터 이미지 프로세서(114), 및 화상편집용 이미지 프로세서(115)가 접속된다.
래스터 이미지 프로세서(RIP)(111)는, 페이지 기술언어(PDL)코드나 디스플레이 리스트(DL)를 이미지로 래스터화한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12)는, 스캐너(190)나 프린터 엔진(300)과 콘트롤러(100)를 접속한다. 또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12)는, 프린터 엔진(300)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동작등의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스캐너 이미지 프로세서(113)는, 스캐너(190)로부터 입력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보정, 변환 및 편집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한다. 프린터 이미지 프로세서(114)는, 인쇄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프린터 엔진에 따라 보정, 해상도 변환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한다. 화상편집용 이미지 프로세서(115)는, 화상의 회전, 압축 또는 신장 등의 각종 화상처리를 행한다.
도 2는, 도 1의 메모리 카드 리더(151)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다.
착탈가능한 외부 메모리 매체를 내부에 삽입한 메모리 카드 리더(151)의 슬롯은, USB 매스(mass)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접속되는데 적합한 USB-A단자와, 메모리 카드를 내부에 삽입하는데 적합한 복수의 슬롯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메모리 카드 리더(151)는, 상기 2종류의 슬롯(상기 USB-A단자와 상기 메모리 카드의 슬롯들의 그룹)을 각각의 다른 2개의 채널의 직렬 버스로서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 카드 리더(151)는, USB 매스 스토리지 디바이스(예를 들면, USB메모리), SD카드, 멀티 미디어 카드(MMC), xD픽처 카드, 메모리 스틱, 및 스마트 미디어와 호환 가능하다. 메모리 카드 리더(151)는, 이 밖에, 컴팩트 플래시(등록상표) 카드등의 외부 메모리 매체와 호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USB 매스 스토리지 디바이스나 메모리 카드 등의 이들 매체는, 휴대형 기억매체의 일례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 리더(151)를 구비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기능: 외부 메모리 매체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 또는 문서 데이터를 판독해서 인쇄하는 기능과, 스캐너(190)가 원고를 스캐닝해서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 매체에 기록하는 기능과, 외부 메모리 매체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 또는 문서 데이터를 판독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외부의 기기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3은, 도 1의 프린터 엔진(300)의 제어계의 블럭도다.
비디오 인터페이스(310)는, 도 1의 콘트롤러(100)의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12)와의 인터페이스다. 프린터 엔진 제어부(311)는, 비디오 인터페이스(310)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에 γ보정등을 실행하는 화상처리 게이트 어레이(309)와, 레이저출력이나 스캐너 모터 등의 화상출력을 행하는 화상형성부(308)로 구성된다. 또한, 프린터 엔진 제어부(311)는, 이상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함과 아울러, 서브CPU인 메카니컬 제어 CPU(302)를 제어하는 엔진 제어 메인 CPU(301)를 구비한다.
프린터 엔진(300)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모터, 클러치, 팬 등을 구동하는 구동부(303a), 위치 검출 등을 위한 센서부(303b), 기록지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지제어부(304), 대전을 위한 고압제어부(305), 정착 유닛(306), 온도, 습도, 토너의 잔량 등을 검출하는 센서부(307) 및 출력 매수 카운터(320)를 더 구비한다.
메카니컬 제어 CPU(302)는, 구동부(303a), 센서부(303b), 급지제어부(304), 및 고압제어부(305)를 제어한다.
도 4는, 도 1의 프린터 엔진(300)의 개략적인 단면도다.
이 프린터 엔진(3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복합기에 있어서, 전자사진방식으로 용지매체에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린터 엔진(300)은, 상기 인쇄 데이터로부터 색마다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광을, 폴리곤 미러(31)에 의해 감광 드럼(15)을 주사해서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프린터 엔진(300)은, 상기 정전잠상을 토너에 의해 현상해서 가시 화상을 얻는다. 그리고, 현상된 가시 화상을 중간 전사체(9)에 모든색에 대해서 순차로 다중 전사해서 컬러 가시 화상을 형성한다. 상기 컬러 가시 화상을 시트(sheet)(2)에 전사하고나서, 시트(2)에 그 컬러 가시 화상을 정착시킨다.
이상의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형성부(308)는, 감광 드럼(15)을 갖는 드럼 유닛(13), 접촉 대전 롤러(17)를 갖는 1차 대전부, 크리닝부(12), 현상부(20), 및 중간 전사체(9)로 이루어진 화상 형성 관련부를 구비한다. 화상형성부(308)는, 시트 카세트(1)나 각종 롤러(3, 4, 5, 7)로 이루어진 급송부(18)와, 전사 롤러(10)를 포함하는 전사부(11)와, 정착부(25) 등을 더 구비한다.
감광 드럼(15)의 노광은, 레이저 스캐너부(30)로부터 보내지는 레이저광을 감광 드럼(15)의 표면을 선택적으로 노광시킴으로써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행해진다.
레이저 스캐너부(30)에서는, 변조된 레이저광을, 모터(31a)에 의해 화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와 동기하여 회전하는 폴리곤 미러(31)에 의해 반사하여서, 렌즈(32) 및 반사 미러(33)를 통해 감광 드럼(15)을 조사한다.
현상부(20)는, 상기 정전잠상을 가시 화상을 변환하기 위해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의 칼라의 현상을 행하는 3개의 칼라 현상기(20Y, 20M, 20C)와, 블랙(B)의 현상을 행하는 1개의 블랙 현상기(21B)를 구비하고 있다.
칼라 화상 형성시에, 중간 전사체(9)의 1회전마다 현상 로터리(23)가 회전하고, 옐로우 현상기 20Y, 마젠타 현상기 20M, 시안 현상기 20C, 이어서 블랙 현상기 21B의 순으로 현상 공정이 실행된다. 따라서, 중간 전사체(9)가 4회전 해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각각의 색의 토너에 의해 순차적으로 가시 화상을 형성한다. 그 결과, 풀칼라 가시 화상을 중간 전사체(9) 위에 형성한다.
그리고, 중간 전사체(9)는 시트(2)에 중간 전사체(9) 위에 형성된 칼라 가시 화상을 동시에 다중 전사한다. 중간 전사체(9)의 외주부에는, 중간 전사체(9)에 전사된 토너의 농도를 검지하기 위한 농도 센서(9c)가 배치되어 있다. 농도 센서(9c)는, 입력 신호에 대하여 출력 농도특성이 일정하게 되도록 그 입력 신호의 값을 변환할 때 사용하기 위한 γLUT(감마 룩업테이블)의 작성시와, Dmax제어(즉, 전위 센서 검출 결과와 상기 농도와의 관계에 따라 잠상전위를 결정하는 제어)시에 사용된다.
정착부(25)는, 시트(2)를 반송시키면서, 전사된 칼라 가시 화상을 정착시킨다. 가시 화상이 정착된 시트(2)는, 그 후 배출 롤러(34,35,36)에 의해 배출부(37)에 배출해서 화상 형성 동작을 종료한다.
도 5는, 농도 센서(9c)를 사용해서 실행된 농도보정제어(색보정제어, 캘리브레이션)의 기능 블럭도다.
농도 센서(9c)는, 도 3에 나타낸 센서부(307)의 구성요소이다. 농도 센서(9c)는, 발광부(400)와 수광부(401)로 구성된다. 발광부(400)로부터 방출된 광(광원 광)Io는, 중간 전사체(9)상의 토너(현상제)상에서 반사하고, 그 결과의 반사광Ir은 수광부(401)에서 계측된다. 수광부(401)로 계측된 반사광Ir은, LED광량 제어부(403)로 모니터되어, 엔진 제어 메인CPU(301)에 보내진다. 엔진 제어 메인CPU(301)는, 광원 광Io와 반사광Ir의 측정치에 의거하여 연산하여서 토너 농도값을 구한다.
농도 센서(9c)는, 기록된 화상의 정확한 색조를 얻기 위한 색보정제어에 사용된다. 다시 말해, 중간 전사체(9) 위에 시험적으로 형성된 색농도검지용의 현상제 화상의 농도를 농도 센서(9c)가 검지한다. 그리고, 그 농도의 검지 결과를 노광량, 현상 전압 및 대전전압 등의 화상형성조건에 피드백 하여서, 안정한 방식으로 본래의 칼라화상을 얻기 위해 각 색의 농도 제어를 행한다.
농도보정제어에는 Dmax제어와 하프톤(halftone) 제어가 있다. Dmax제어는, 노광량, 현상 전압 및 대전전압을 가변함으로써 각 색의 현상제 화상을 시험적으로 작성한다. 그 현상제 화상의 농도를 계측하고 나서, 각 색의 목표농도와 관련된 상기 노광량, 상기 현상 전압 및 상기 대전전압을 산출한다. 하프톤 제어에서는, 노광량, 현상 전압 및 대전전압을 Dmax제어로 산출한 값들로 고정하고, 스크린등의 의사 하프톤 처리(디더링(dithering), 화상형성 패터닝, 또는 하프토닝이라고도 한다)를 실행하여 수단계의 현상제 패치 화상을 시험적으로 작성한다. 그 현상제 패치 화상을 계측하고, 콘트롤러(100)에 반환한다. 그리고, 콘트롤러(100)는, 그 계측 결과에 근거하여, γLUT(감마 룩업테이블)을 작성한다. 그 γLUT은, 입력 신호와 관련된 출력 결과가 목표 농도 특성을 나타내도록 입력신호와 출력 결과간의 관계를 보정한 테이블이다.
캘리브레이션은, 상기 γLUT 및 상기 Dmax제어로 결정하는 노광량, 현상 전압값 및 대전전압값을 변경한다. 또한, Dmax제어만으로 캘리브레이션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보다 단기간에 캘리브레이션이 종료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원하는 시기에 프린터 엔진(300)은, 현상제에 의해 형성된 화상의 농도(색)의 보정을 행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디지털 복합기의 콘트롤러(100)로 실행되는 콘트롤러 소프트웨어의 처리 중, 외부 메모리 매체가 삽입시에 실행되는 외부 메모리 매체 검지 응답 캘리브레이션 실행 제어 처리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외부 메모리 매체가 삽입시에 실행되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필요와 불필요 판단을 포함하는 외부 메모리 매체 검지 응답 캘리브레이션 실행 제어 처리의 흐름도다.
콘트롤러(100)는, 우선, 단계S601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 리더(151)에 외부 메모리 매체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지한다. 외부 메모리 매체가 삽입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S601로 돌아간다, 즉 그 단계S601는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외부 메모리 매체가 삽입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602로 진행된다. 단계S602에서는, 콘트롤러(100)는, 프린터 엔진(300)에 대하여 자동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콘트롤러(100)는, 필요한 경우, 그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에, 단계S603에서는, 콘트롤러(100)는, 조작부(150)에, 외부 메모리 매체에 기억된 파일들의 일람을 표시한다. 그 일람 표시 화면으로부터, 유저는, 인쇄 대상의 파일의 선택과, 인쇄에 관한 속성(인쇄 매수, 출력 사이즈 지정, 칼라 조정등)의 선택을 행할 수 있다. 계속되는 단계S604에서는, 유저는, 인쇄(다이렉트 인쇄)의 실행을 지시할 것인가 아닌가를 선택한다.
단계S604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인쇄 실행 지시가 있는 경우에, 콘트롤러(100)는, 단계S605에 있어서 지정된 파일을 인쇄되게 한다. 유저에 의한 인쇄 실행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S606으로 이행한다.
단계S606에서는, 콘트롤러(100)는, 메모리 카드 리더(151)로부터 외부 메모리 매체가 제거되었는가 아닌가를 검지한다. 외부 메모리 매체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시 단계S603으로 되돌아가는 반면에, 외부 메모리 매체가 제거된 경우에는, 상기 단계S601로 되돌아가고, 상기에서 콘트롤러(100)는, 유저에 의해 외부 메모리 매체가 삽입되는 것을 기다린다.
도 7은, 콘트롤러(100)로 실행되는 캘리브레이션 필요와 불필요 판단 처리(도 6의 단계S602)의 흐름도다.
단계S701에 있어서, 콘트롤러(100)는, 메모리 카드 리더(151)에 삽입되어 있는 외부 메모리 매체의 판독/기록 속성, 및 외부 메모리 매체내의 파일과 폴더의 판독/기록 속성을 확인한다. 그리고, 콘트롤러(100)는, 기억 매체, 모든 파일, 또는 모든 디렉토리 폴더가 "기록 금지", 즉 "판독전용"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제3 조건). 그것들이 "판독 전용"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콘트롤러(100)는, 단계S707에 있어서, 캘리브레이션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은,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외부 메모리 매체를 삽입할 때, 외부 메모리 매체가 "판독전용"으로 설정되는 경우, 그 장착된 외부 메모리 매체내의 파일을 인쇄할 경우가 많다고 생각되기 때문이어서, 상술한 것과 같은 그 캘리브레이션 실행 제어를 행한다.
상기 단계S701에 있어서, "기록 금지"로 설정되지 않은 임의의 파일이나 폴더가 존재한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단계S702로 진행된다. 단계S702에서는, 콘트롤러(100)는, 외부 메모리 매체내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파일의 그 파일 종별을 확인한다. 여기에서 언급된 "파일 종별"은, 파일명의 확장자로부터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JPEG형식으로 압축된 화상 파일이 확장자 "*.JPG" 혹은 "*.JPEG"를 갖고, PDF문서 파일이 확장자 "*.PDF"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또한, 단계S702에서는, 반드시 외부 메모리 매체내의 모든 파일의 파일 종별을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JPEG화상의 파일, 또는 PDF화상의 파일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면 좋다. 또한, 단계S702에 있어서, 확인대상의 파일 종별은 JPEG파일 및 PDF문서 파일이외이어도 된다. 즉, 화상형성장치가 인쇄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종류의 파일이 있는지를 확인하면 좋다.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가 JPEG 및 PDF형식과 아울러 TIFF형식의 파일을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면, JPEG, PDF 및 TIFF의 3종류의 파일의 유무를 확인하여도 된다.
단계S703에서는, 콘트롤러(100)는, 외부 메모리 매체내의 JPEG파일의 유무를 판단한다. JPEG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S704로 진행하고, 이때의 외부 메모리 매체내의 JPEG파일을 해석하고, Exif준거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보통, JPEG파일은, ISO/IEC 10918-1에 의해 규정된 포맷에 따라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JPEG파일중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용 화상 파일 포맷을 규정하는 Exif규격에 준거하고 있는 것도 있다. Exif규격에 준거한 JPEG파일은, ISO/IEC 10918-1에 규정된 JPEG Baseline DCT포맷에 준거하고 있어, 이것에 애플리케이션 마커 세그먼트가 삽입된다. 도 8은, Exif준거의 JPEG파일의 기본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APP1이 Exif식별 코드(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그 JPEG파일은 Exif준거라고 판단될 수 있다.
다시 도 7로 되돌아가면, 콘트롤러(100)는, 단계S704에 있어서 JPEG파일이 Exif준거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에,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704에 있어서 그 JPEG파일이 Exif준거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단계S707로 진행되고, 여기서 캘리브레이션의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Exif준거 파일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등의 촬상장치에서 촬영된 사진화상이어서, 엄밀한 색재현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그 파일이 Exif준거인지의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 실행 제어를 행한다.
단계S703에 있어서 JPEG파일이 외부 메모리 매체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 콘트롤러(100)는, 단계S705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 매체내의 PDF파일의 유무를 판단한다. 단계S705에 있어서 PDF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콘트롤러(100)는,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지 않고 현재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705에 있어서 PDF파일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콘트롤러(100)는, 단계S706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 매체내의 PDF파일을 해석한다.
그 단계S706에서는, PDF파일을 모두 해석할 필요는 없지만, PDF파일이 색설정 오퍼레이터(색지정 코맨드)를 포함하는 것인가 아닌가만을 판단하기 위한 해석을 실시한다. PDF의 색설정 오퍼레이터, 즉 PDF의 칼라 설정을 행하는 오퍼레이터에는, "cs", "CS", "sc", "scn", "SC", "SCN"”등이 있다.
이러한 색설정 오퍼레이터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707로 진행되고, 여기에서 콘트롤러(100)는 캘리브레이션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단계S706에 있어서, 색설정 오퍼레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PDF파일에 색설정 오퍼레이터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ICC 기반 색공간으로 대표되는 엄밀한 색공간(color space) 표현을 행하고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 파일이 임의의 색설정 오퍼레이터를 포함하는지를 판정하여서 캘리브레이션 실행 제어를 행한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된 캘리브레이션 필요조건 설정 정보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다.
RAM(102)에 기억된 이 설정 정보는,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을 기록하고, 제1 변수(901)인 32bit의 카운터를 구비한다. 이 카운터는, 전회 캘리브레이션이 전회의 경우에 관해 실시되었을 때의 프린터 엔진(300)에 의해 인쇄된 시트의 총 출력매수(총 화상 형성 매수)를 기억하는데 사용된다.
디지털 복합기의 전원투입시에, 콘트롤러(100)에 의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12)를 경유하여 프린터 엔진(300)내에 있는 출력 매수 카운터(320)의 현재 값이 취득되고, 제1 변수(901)로서 기억된다. 또한, 이 설정 정보는, 제2 변수(902)인 8bit의 카운터를 구비한다. 이 카운터는, 캘리브레이션 실행 제어를 실시하는 동안에, 자동적인 캘리브레이션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하나의 총 출력매수와 또 하나의 총 출력매수와의 사이의 간격(차이), 즉 출력 매수의 간격을 결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가 소정 인쇄 매수마다 자동적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도 9에서의 제2 변수(902)는 상술한 소정 인쇄 매수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제2 변수(902)는, RAM(102)에 기억되어 있지만, 디지털 복합기에 전원투입시에 ROM(103)에 기억된 초기값이 판독되어서, RAM(102)에 복사된다. 또한, 조작부(150)로부터 유저 구성 항목들 중 하나로서 상기 제2 변수(902)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기동 처리(도 7의 단계S707)의 흐름도다.
콘트롤러(100)는, 우선 단계S1001에 있어서, 캘리브레이션 필요조건 설정 정보의 값을 취득한다. 다음에, 단계S1002에 있어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12)를 경유하여, 프린터 엔진(300)내에 있는 출력 매수 카운터(320)의 현재 값을 취득한다. 단계S1003에서는, 콘트롤러(100)는,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필요로 하는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한다. 그 판단은, 이하의 2개의 기준에 따라 행해진다:
기준 1:
CN-M1>M2
여기에서, CN은 프린터 엔진(300)의 출력 매수 카운터(320)의 현재 값을 나타내고, M1은 제1 변수(901)의 값(전회의 캘리브레이션이 실시되었을 때의 프린터 엔진(300)에 의해 인쇄된 총 출력매수: 도 9 참조)을 나타내고, M2는 제2 변수(902)의 값(캘리브레이션의 자동실행이 필요하지 않은 상술한 출력 매수간격: 도 9 참조)을 나타낸다.
기준 2:
외부 메모리 매체에 파일의 종류가 Exif준거의 JPEG이거나(제1 조건), 혹은 칼라 설정 코맨드를 포함하는 PDF인 파일이 보존되어 있다(제2 조건). 이들 조건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단계 S703 내지 S706에서 확인했고, 그 확인 결과를 현재의 단계 S1003에서 사용하여 캘리브레이션의 필요성을 판단한다.
상기의 2개의 기준 양쪽이 만족되는 경우에, 콘트롤러(100)는, 단계S1004에 있어서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단계S1005에 있어서 프린터 엔진(300)에 대하여 캘리브레이션 실행의 지시를 행한다. 또한, 단계S1006에 있어서, 콘트롤러(100)는, 도 9의 제1 변수(901)의 값을, 프린터 엔진(300)의 출력 매수 카운터(320)의 현재 값으로 재기록한다.
한편, 상기 기준 중 1개라도 만족시키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S1004에 있어서 캘리브레이션은 불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즉, 상기 기준 1을 참조하여, 전회의 캘리브레이션 실행 후의 화상 형성 매수가 소정의 매수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준 2를 참조하여, 파일의 종류가 Exif준거의 JPEG도 아니고 칼라 설정 코맨드를 포함하는 PDF도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지 않는다.
또한, 외부 메모리 매체내의 화상이나 문서를 인쇄할 경우에는, 고도의 색재현을 요구하면, 기준 1을 참조한 참단 결과에 상관없이, 기준 2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여도 된다.
JPEG파일(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이나 색 변환이 지정된 PDF파일을 인쇄하는 인쇄 잡을 행할 때, 고도의 색재현이 요구된다. 이러한 인쇄 잡을 메모리 다이렉트 인쇄 기능을 사용해서 인쇄하는 경우에, 유저는,
(1) 외부 메모리 매체의 인쇄장치 메모리 카드 리더(151)에의 삽입(단계S601)
(2) 인쇄 대상 파일의 선택(단계S603)
(3) 인쇄에 관한 속성의 선택(단계S604)
(4) 인쇄 지시(단계S605)라고 하는 순서에 따라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유저에 의해 상기와 같은 조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기간(통상, 수초 또는 수십초)이 걸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유저 조작의 시간을 이용하여,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따라서, 유저가 외부 메모리 매체의 화상 데이터나 문서 데이터의 인쇄를 실행하는 지시를 하기 전에, 캘리브레이션을 개시시킬 수 있다.
즉, 외부 메모리 매체가 메모리 카드 리더(151)에 삽입된 것을 검지하면, 외부 메모리 매체내의 데이터 파일을 판독하여 기억 매체 정보, 폴더 정보 및 파일 정보를 확인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에 자동적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소정의 조건이 다음과 같다: 프린터 엔진(300)이 캘리브레이션을 필요로 하는 상태에 있고(기준 1), 외부 메모리 매체내의 파일이 캘리브레이션을 필요로 한다(기준 2). 그리고, 캘리브레이션을 필요로 하는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신속히 캘리브레이션이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이 캘리브레이션 실행 제어에 의해, 외부 메모리 매체를 인쇄장치 메모리 카드 리더(151)에 삽입해 외부 메모리 매체내의 파일을 인쇄하는 유저는, 정확한 색재현을 한 인쇄출력을 얻을 수 있고, 인쇄 대기 시간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와 서로 다른 점을 주로 기술하고,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착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의 판단은, 기준 1 및 기준 2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는, 유저는 정확하게 색재현된 인쇄물을 짧은 대기 기간에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약간의 색재현의 정확도를 희생하고서라도, 다른 장점을 향수하고 싶은 경우가 존재한다.
그 다른 장점의 하나는, 전력 절약 모드 설정에 의한 전력 절약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캘리브레이션을 행한다. 그러나, 캘리브레이션 동작 자체는, 엔진을 구동할 때 전력을 소비한다. 전력 절약성을 중시하는 유저는, 자동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지 않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일부의 종류의 프린터 엔진은, 복수의 모드의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갖는다. 어느 정도의 색재현성을 확보하면서 짧은 기간에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Dmax제어만을 실행하는 모드가 적합하다. 이후, 이 모드를 "퀵 보정 모드"라고 한다. 즉, 이것은, 제1 처리 기간에 캘리브레이션이 실시 가능한 간략 보정 모드의 일례다.
반대로, 될 수 있는 한 정확한 색재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Dmax제어를 실시한 후에 하프톤 제어를 행해 γLUT를 작성하는 모드가 바람직하다. 하프톤 제어를 행함으로써, 하프톤 농도의 정밀도가 향상한다. 그렇지만, 이 모드에서는, γLUT작성 때문에 캘리브레이션 동작이 복잡해짐에 따라, 캘리브레이션을 완료하는데 장시간이 걸린다. 이후, 이 모드를 "풀(full) 보정 모드"라고 한다. 즉, 이것은, 캘리브레이션을 완료하는데 상기 제1 처리 기간보다도 긴 시간이 걸리는 완전 보정 모드의 일례다.
이러한 2개의 모드를 프린터 엔진이 갖는 경우, 그들 모드간에 전환하여서 양쪽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약간의 색재현의 정확도를 희생하고서 전력 절약성을 중시하거나, 캘리브레이션 완료 전의 대기 시간을 저감하기를 원하는 일부의 유저는, 풀 보정 모드에서의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할 필요는 없고, 퀵 보정 모드에서만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것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퀵 보정 모드를 선택하고 싶은 유저의 요망에 응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된 캘리브레이션 필요조건 설정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설정 정보와의 차이는, 제3 변수(1101)와 제4 변수(1102)가 추가되어 있는 점이다. 제3 변수(1101)는, 자동 캘리브레이션을 금지할지 금지하지 않을지의 설정을 기억하기 위한 것이다. 이 설정 자체는, 조작부(150)로부터 유저 구성 항목의 하나로서 설정될 수 있다.
제4 변수(1102)는, 캘리브레이션 동작의 모드간의 선택에 관한 설정을 기억하기 위한 것이다. 이 변수가 0일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동작은, Dmax제어에 의해서만 단기간에 캘리브레이션이 완료되는 "퀵 보정 모드"로 설정된다. 그 변수가 1일 경우에는, 캘리브레이션 동작은, Dmax제어 및 하프톤 제어를 실시하기 때문에, 캘리브레이션을 완료하는데 상기 "퀵 보정 모드"보다도 긴 시간이 걸리지만, 정확한 색재현을 실현할 수 있는, "풀 보정 모드"로 설정된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된 캘리브레이션 기동 처리(도 7의 단계S707)의 흐름도다.
콘트롤러(100)는, 우선, 단계S1201에 있어서, 도 11에 있어서 설명한 캘리브레이션 필요조건 설정 정보의 값을 취득한다. 다음에, 단계S1202에 있어서, 콘트롤러(100)는, 프린터 엔진(300)의 출력 매수 카운터(320)의 현재 값을 취득하고, 단계S1203에서, 콘트롤러(100)는,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한다. 그 판단은 이하의 3개의 기준에 따라 행한다.
기준 1과 기준 2는, 제1 실시예에서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 기준들과 같고, 기준 3은, 제3 변수(1101)의 값이 0이다(자동 캘리브레이션을 금지하지 않는다).
상기의 3개의 기준 모두를 만족시키는 경우에, 콘트롤러(100)는, 단계S1204에 있어서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다음에, 단계S1205에서는, 도 11의 제4 변수(1102)를 확인하여서, 캘리브레이션 동작이 "퀵 보정 모드" 또는 "풀 보정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제4 변수(1102)가 0일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동작이 퀵 보정 모드로 설정된다고 판단한다. 제4 변수(1102)가 1일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동작이 퀵 보정 모드가 아니라 풀 보정 모드로 설정된다고 판단한다. 그 퀵 보정 모드일 경우에, 단계S1207에 있어서 콘트롤러(100)는, 프린터 엔진(300)에 대하여 퀵 보정 캘리브레이션 실행의 지시를 행한다. 풀 보정 모드일 경우에는, 단계S1206에 있어서 콘트롤러(100)는, 프린터 엔진(300)에 대하여 풀 보정 캘리브레이션 실행의 지시를 행한다.
또한, 단계S1208에 있어서, 콘트롤러(100)는, 도 11의 제1 변수(901)의 값을, 프린터 엔진(300)에 있는 출력 매수 카운터(320)의 현재 값으로 재기록하고 나서,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단계S1203에 있어서, 상기 기준의 1개라도 만족시키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S1204에 있어서, 캘리브레이션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하고 나서, 본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제공된 것과 같은 이로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 이외에, 약간의 색재현의 정확도를 희생하고서라도 짧은 기간에 캘리브레이션을 완료하기 위해서 퀵 보정 모드를 선택하고 싶은 유저의 요망에 적절하게 응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 1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서로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기술하고,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사진인쇄와 오피스 문서 인쇄의 양쪽에 사용된 디지털 복합기에 관하여 설명했다. 본 제3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빈번히 사용하는 디지털 복합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메모리 카드 리더(151)는, USB 매스 스토리지 디바이스의 슬롯과 각종 메모리 카드의 복수의 슬롯으로 이루어진 그룹을 2종류의 다른 채널의 직렬 버스로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된 외부 메모리 매체가 USB 매스 스토리지 디바이스(예를 들면, USB메모리)인지 또는, 각종 메모리 카드인지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로 외부 메모리 매체 삽입시에 실행되는 외부 메모리 매체 검지 응답 캘리브레이션 실행 제어 처리의 흐름도다.
콘트롤러(100)는, 우선, 단계S1301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 리더(151)에 외부 메모리 매체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지한다. 외부 메모리 매체가 삽입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S1301로 되돌아간다.
단계S1301에서 외부 메모리 매체가 삽입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1302로 진행된다. 단계S1302에서, 콘트롤러(100)는, 상기 접속된 외부 메모리 매체가 USB 매스 스토리지 디바이스이거나, 각종 메모리 카드 중 하나인지를 판단한다.
단계S1302에서 상기 접속된 외부 메모리 매체가 USB 매스 스토리지 디바이스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콘트롤러(100)는, 단계S1303에 있어서, 프린터 엔진(300)의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한다.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가 아닌가의 판단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10 또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실행된다.
단계S1302에 있어서, 상기 접속된 외부 메모리 매체가 각종 메모리 카드 중 하나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외부 메모리 매체내에 디지털 카메라들로 촬영된 화상들이 보존되어 있다고 상정한다. 그리고, 콘트롤러(100)는, 단계S1304에 있어서 바로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실행한다. 이것은 하기의 이유 때문이다: 상기 접속된 외부 메모리 매체가 USB매스 스토리지 디바이스나, 각종 메모리 카드 중 하나 중 어느 것이든지, 그것은 어떠한 파일의 종류도 보존할 수 있다. 그러나, 각종 메모리 카드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보존하기 위한 메모리 매체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어, 디지털 카메라 내부에 직접 장착된 메모리 카드에 촬영 화상이 기록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USB매스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직접 장착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는 대부분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각종 메모리 카드에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들이 보존되어 있는 확률이 보다 높다.
상기 단계S1303 또는 S1304 후에, 콘트롤러(100)는, 단계S1305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 리더(151)로부터 외부 메모리 매체가 제거되었는가 아닌가를 검지한다. 외부 메모리 매체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단계S1305를 반복적으로 실행하여서, 콘트롤러(100)는 외부 메모리 매체가 유저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기다린다. 외부 메모리 매체가 제거되었다고 검지한 경우에는, 단계S1301로 되돌아가고, 콘트롤러(100)는 유저에 의해 외부 메모리 매체가 삽입되는 것을 기다린다.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제공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 이외에, 고도의 색재현이 요구되는, 상기 외부 메모리 매체에 보존된 화상들이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일 확률이 높은 경우에는, 바로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캘리브레이션은, USB 매스 스토리지 디바이스일 경우에는 선택적이지만, 메모리 카드일 경우에는 자동적(비선택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화상형성장치가 USB 매스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접속하거나 내부에 장착시킬 수 없는 경우라도, 그 화상형성장치에 메모리 카드가 접속되거나 장착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자동으로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화상형성장치는, 제 1 및 제 2의 서로 다른 종류의 외부 메모리 매체에 접속되거나 또는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종류의 메모리 매체가 접속 또는 장착되는 경우 캘리브레이션을 자동으로 시작한다. 이와 대조하여, 제 2 종류의 메모리 매체가 접속 또는 장착되는 경우에는 캘리브레이션을 선택적으로 시작한다. 상기 선택 기준은, 상기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기억된 데이터의 속성들 또는 상기 메모리 매체의 속성을 판단한 결과에 근거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 판단은, 마지막 캘리브레이션 이후의 경과된 시간이나, 환경조건(예를 들면, 습도의 상승)에 근거할 수 있다. 제 1 종류의 메모리 매체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을 기억하기 쉬운 메모리 매체(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이어도 되고, 제 2 종류의 메모리 매체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들을 기억하기 위해 상기 제 1 종류의 메모리 매체보다 적은 메모리 매체(예를 들면, USB 매스 스토리지 디바이스)이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4 실시예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서로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기술하고,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착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제1,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는, 주로 인쇄에 사용된 디지털 복합기에 관하여 설명했다. 제4 실시예에서는, 스캔 기능을 사용해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파일로서 외부 메모리 매체에 보존하는 기능을 빈번히 사용하는 디지털 복합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외부 메모리 매체 삽입시에 실행되는 외부 메모리 매체 검지 응답 캘리브레이션 실행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콘트롤러(100)는, 우선, 단계S1401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 리더(151)에 외부 메모리 매체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지한다. 외부 메모리 매체가 삽입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S1401로 되돌아간다, 즉 단계S1401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외부 메모리 매체가 삽입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1402로 진행된다.
단계S1402에서는, 콘트롤러(100)는, 스캐너(190)가 액티브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스캐너(190)는, 콘트롤러(100)와는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고, 스캐닝되는 원고의 자동검지를 항상 행한다. 원고대에 원고가 놓여진 경우에, 스캐너(190)는, 그것을 재빠르게 검지하고, 스캐너(190)의 상태 레지스터를 기동시킨다.
스캐너(190)가 액티브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유저는 외부 메모리 매체내의 데이터를 인쇄하려고 하지 않고, 외부 메모리 매체에 대하여, 스캐너(190)로 스캔된 화상 데이터를 보존하려고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생략하기 위해서, 콘트롤러(100)는, 단계S1403의 캘리브레이션의 필요와 불필요 판단 처리를 실행하는 대신에, 단계S1404로 진행된다. 스캐너(190)가 비액티브이면, 유저는 외부 메모리 매체내의 데이터를 인쇄하려고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에, 단계S1403에서, 콘트롤러(100)는, 프린터 엔진(300)에 대하여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한다. 그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가 아닌가의 판단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10 또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실행된다.
상기 단계S1402 또는 단계S1403 후에, 단계S1404에서, 콘트롤러(100)는, 메모리 카드 리더(151)로부터 외부 메모리 매체가 제거되었는지를 검지한다. 외부 메모리 매체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S1404를 반복하여 실행하여서, 콘트롤러(100)는, 외부 메모리 매체가 유저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기다린다. 외부 메모리 매체가 제거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단계S1401로 되돌아가고, 콘트롤러(100)는, 유저에 의해 외부 메모리 매체가 삽입되는 것을 기다린다.
상기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스캐너(190)로 스캔된 화상 데이터를 파일로서 외부 메모리 매체에 보존하는 기능을 빈번히 사용하는 디지털 복합기에 있어서, 쓸데 없이 캘리브레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 제공된 것과 같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선행하는 실시예들에서, 외부 메모리 매체의 상기 메모리 카드 리더(151)으로의 삽입은,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 인쇄" 이벤트로서 검출된다. 이에 따라 유저가 외부 메모리 매체의 화상 데이터나 문서 데이터의 인쇄를 실행할 것을 지시하기 전에 캘리브레이션을 시작할 수 있다. 그렇지만, 외부 메모리 매체의 삽입은, 상기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 인쇄 이벤트의 일례일뿐이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문서나 파일의 사용으로부터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프린터에서 유저에 의한 로그인으로부터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사전 인쇄 이벤트 이후에(문서나 파일의 사용 또는, 로그인), 유저는 하나 이상의 동작을 행한 후(예를 들면, 인쇄 대상의 파일을 선택; 인쇄처리에 관한 속성들의 선택이나 변경 후), 그 파일의 인쇄를 지시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유저가 이러한 동작을 실행하는데 특정 시간이 걸린다(수초 또는 수십초). 유저가 이러한 동작을 실행하는데 걸린 기간을 이용함으로써, 백그라운드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한 후 유저가 인쇄 지시를 작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소위 안전한 인쇄 시스템에 적용한 제5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도 15는 서로 LAN(505) 상에서 접속된 클라이언트(501), 프린트 서버(502) 및 프린터(503)로 이루어진 안전한 인쇄 시스템(500)을 나타낸 것이다. 클라이언트(501)는 PC기반 표준 윈도우즈(RTM)이고, 프린터(503)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프린터, 이를테면 캐논, HP 등에서 제조된 프린터들이다. 프린터(503)는, 선행하는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MFP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부의 기타 프린터들은 상기 LAN(505)에 접속된다. 이들 프린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불필요하다. 이러한 종류의 안전한 인쇄 시스템에 관한 추가의 상세 내용은 특허공개 US 2009/0168100에서 찾을 수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510)는 클라이언트(501)에 인스톨되고, 인쇄 잡 분포 프로그램(프린트 관리자(520))은 프린트 서버(502)에 인스톨된다. 프린터 프로그램(애플릿 530))은 프린터(503)에 인스톨된다. 프린트 관리자(520)는, 인쇄 잡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고, 클라이언트(501)로부터 프린트 관리자(520)가 제어될 수 있도록 원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도 16은 프린터(503)의 부품들을 나타낸다. 프린터(503)는, CPU(531), RAM(532), ROM(533), 프린트부(534), 유저 인터페이스(535), 카드 리더(536), 기억 매체 드라이브(537),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8),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539) 및 캘리브레이션부(540)를 구비한다.
상기 CPU(531) 및 RAM(532)은, 그들의 통상의 기능들을 실행하는 표준 부품이다. ROM(533)에는, 프린터 운영 시스템 등의 프린터용 소프트웨어가 기억되어 있다. 프린트부(534)는, 문서를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의 부품을 나타낸다. 유저 인터페이스(535)는, 유저에게 설정값의 입력 및 설정값의 표시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저 인터페이스(535)는, 유저 조작 가능 버튼(하드 키들) 및 설정값의 입력을 위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소프트 키들)로 구성된다. 카드 리더(536)는, RFID 기술을 사용하는 식별카드 리더다. 상기 기억 매체 드라이브(537)에는, 애플릿(applet)(530)이 기억되어 있다. 사용 중, 상기 애플릿(530)은 CPU(531)와 RAM(532)을 사용하여 작동되어 도 17과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된 단계들을 실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8)는, LAN(505) 상에서 프린터(503)가 통신을 행하게 하는 일련의 부품이다.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539)는, 프린터(503)에서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 인쇄 이벤트를 검출한다. 상기 캘리브레이션부(540)는, 상기 인쇄 지시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검출기(539)에 의한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프린터(503)가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개시되게 한다.
이하,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 인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도 17은 인쇄용 문서를 보낼 경우의 유저의 조작을 나타낸다. 본 예시에서는, 유저가 워드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단계 S1701에서 유저가 인쇄 옵션을 그 워드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선택한다고 가정한다. 워드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은, 유저가 인쇄 대상의 문서의 일부를 선택할 수 있게 화면을 제공한다. 유저가 인쇄 대상의 문서의 일부를 선택했다면, 단계 S1702에서, 프린터 드라이버(510)가 시작된다. 프린터 드라이버(510)가 시작되면, 프린터 드라이버는, 클라이언트(50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19)를 사용하여 서버(502)의 상기 프린트 관리자(520)에 접속한다.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프린터 드라이버(510)는, 프린트 관리자(520)의 원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수신 및 표시한다. 이 프린트 관리자(520)의 원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인쇄 설정값의 입력을 허가한다. 상기 인쇄 설정값은, 인쇄되는 프린터의 선택을 포함한다. 이것은, 상기 네트워크(505) 상에서 사용 가능한 프린터의 이름과, 그 사용 가능한 프린터들 중 하나를 지정하는 대신에 상기 서버 상에서 잡을 기억하는 옵션으로 이루어진 드롭다운 메뉴를 표시하여서 이루어진다. 이 옵션에 의해, 유저가 인쇄시에, 사용될 프린터를 선택하여 그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가능한 프린터 중 어느 하나로부터 관련된 잡을 인쇄할 수 있어, 그 시스템의 유저에게 더 편리함과 융통성을 제공한다. 또한, 인쇄 설정값은, 다른 항목, 이를테면 용지 크기의 선택; 단면 또는 양면 인쇄의 선택; 순서대로 모은 트레이 출력, 스테이플된 출력 등의 마무리 일의 선택; 프린터에서 사용되는 종이 소스의 선택; 및 품질 스타일(텍스트, 출판, 그래픽, 사진, 디자인(CAD))의 선택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 설정값이 드라이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면, 유저는, 단계S1703에서 인쇄 코맨드를 내린다. 인쇄 설정값과 유저 작성 인쇄 잡의 아이덴터티(identity)를 포함하는 다른 인쇄 속성들은, 프린트 관리자(520)에 의해 클라이언트(501)나 서버(502)에 기억되거나, 양쪽 장소에 기억된다. 유저의 아이덴터티는, 워드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이나 클라이언트(501)의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사용 가능한 것이 일반적이다. 아래의 설명을 하기 위해, 유저가 특정 프린터에게 인쇄하는 것을 선택하기보다는 오히려 서버(502)의 잡을 기억하는 것을 선택한다고 가정한다.
상기 인쇄 코맨드의 수신 후, 프린터 드라이버(510)는, 단계S1701에서 선택된 인쇄 대상의 문서의 일부를 포스트스크립트 파일의 형태의 콘텐트 파일로 변환한다. 그 후, 이 프린터 드라이버는, 그 포스트스크립트 파일을 상기 프린트 관리자(520)에 보낸다. 이 포스트스크립트 파일은, 서버(520)에 LAN(505)를 거쳐 보내진다.
그 포스트스크립트 파일은, 서버(502)에서 클라이언트(501)로부터 수신된다. 그 포스트스크립트 파일은, 인쇄 설정값과 연관하여 상기 서버(502)에서 인쇄 큐에 기억된다. 이후, 서로 연관되어 기억 또는 핸들링된 포스트스크립트 파일와 인쇄 설정값을 인쇄 잡이라고 한다. 포스트스크립트 파일의 수신 후, 프린트 관리자(520)는, 상기 인쇄 잡을,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프린터의 일부 또는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어도비(Adobe)(RTM) 휴대형 문서 포맷 파일(pdf 파일)이나 일부의 다른 포맷으로 변환한다. 또한, 이 프린트 관리자는, 일부의 저해상도 프리뷰 화상을 발생하여도 된다. 상기 인쇄 잡은, 이 단계에서는 어떠한 프린터에서도 출력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안전하다. 그래서, 상기 콘텐트는 기밀을 유지하고, 다른 유저가 액세스할 수 없다.
이제, 인쇄 잡을 작성한 유저에 의한 인쇄 잡의 검색을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단계S1801에서, 유저는, 하나 이상의 인쇄 잡을 인쇄하기를 결정하여 상기 시스템에서의 프린터들 중 하나, 예를 들면 프린터(503)를 선택한다. 이것은, 유저의 통상의 프린터나, 유저가 사무실에 현재 위치된 어느곳에서나 편리한 또 다른 프린터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린터(503)의 카드 리더(536)에 대해 아이덴터티 카드를 배치해둠으로써 유저가 프린터(503)에 로그하는 로그인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단계S1802에 있어서,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539)는, 프린터(503)에서 인쇄 지시를 수신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 인쇄 이벤트로서 로그인을 검출한다.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539)에 의해 로그인의 검출에 응답하여, 단계S1803에서, 캘리브레이션부(540)는, 인쇄 지시가 수신되기 전에 프린터(503)의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개시한다.
로그인 후, 유저는 프린트 관리자(520)의 원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애플릿(530)이 프린터(503)에서 작동한다. 애플릿은, 프린터의 유저 인터페이스(535)의 일련의 페인(pane)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애플릿(530)은, XML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프린트 관리자(52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애플릿(530)의 시작 후, 페인은, 단계S1804에서 유저가 작성하고 프린트 관리자(520)가 기억한 잡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535)에 표시된다. 단계S1804에서 상기 인쇄 잡에 대해 발생된 프리뷰 화상을 나타내는 심볼은 본 리스트의 각 인쇄 잡과 연관된다. 유저에 의해 인쇄 잡과 연관된 심볼의 선택시에, 대응한 프리뷰 화상은, 프린터(503)에 다운로드되고, 유저 인터페이스(535)에 표시된다. 이렇게 하여, 유저는, 그 애플릿(53)으로 표시된 인쇄 잡의 콘텐트를 쉽게 실별할 수 있다. 단계S1805에서 유저는, 잡을 선택하여 인쇄 또는 변경하고, 단계S1806에서 상기 애플릿(530)은 상기 선택된 인쇄 잡에 대한 현재 설정값을 나타내는 페인을 표시한다. 유저는, 추가의 인쇄 설정값을 상기 인쇄 잡에, 예를 들면 드롭다운 메뉴를 사용하여 변경 또는 추가할 수 있다. 단계S1807에서, 상기 유저는, 예를 들면 애플릿 페인의 인쇄 버튼을 눌러서 인쇄 지시를 한다. 그 선택된 인쇄 잡에서 인쇄불가능 속성들이 있는 경우, 인쇄 버튼의 작동으로 상기 애플릿이 프린트 관리자(520)에게 요청을 하여 그 인쇄 잡을 상기 프린터(503)에게 보낸다. 인쇄 잡을 요청할 때, 상기 애플릿은 LAN상의 프린터(503)의 IP 어드레스와 그 프린터(503)의 시리얼 넘버를 상기 프린트 관리자(520)에 보낸다.
프린트 관리자(520)가 상기 인쇄 잡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프린트 관리자(520)는 프린터(530)에 대한 적절한 포맷(페이지 기술 언어 PDL)을 결정하고, 또 인쇄 잡이 아직 그 포맷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 인쇄 잡을 적절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인쇄 잡을 프린터(503)에 보낸다. 그 프린터(503)가 인쇄 잡을 수신하면, 인쇄 잡은 그 인쇄 잡에서의 지시에 따라 인쇄되고 나서, 유저는 그 인쇄물을 집어 들어 프린터로부터 로그아웃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1804 내지 S1807는 유저가 완료하는데 특정한 기간(수초 또는 수십초)이 걸린다. 이렇게, 단계S1801에서 유저의 프린터(503)에의 로그인을 검출함으로써, 이 기간을 이용하여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심지어 종료하는 경우에도, 인쇄 지시전(인쇄 버튼의 작동)에 캘리브레이션을 제공한다.
상기 설명은, 인쇄 잡이 인쇄 잡을 작성할 때 프린터를 선택하지 않고서 서버에 기억되는 경우를 기술하였다. 그렇지만, 유저는, 클라이언트(501)에서 인쇄 잡을 작성할 때 인쇄하는데 사용되는 프린터를 선택하는 것이 다를 수도 있다. 단계 S1703에서 유저가 인쇄를 선택한 후, 포스트스크립트 파일을 생성한 후, 상기 서버(502)에 상술한 것처럼 보낸다. 그 포스트스크립트 파일 수신 후, 프린트 관리자(520)는, 그 포스트스크립트 파일을 유저가 인쇄하기 위해 선택한 프린터에 적절한 PDL로 변환한다. 인쇄 잡을 적절한 PDL 포맷으로 변환한 후, 그 잡은, 유저가 선택한 프린터와 연관된 인쇄 큐에 놓인다. 그 인쇄 잡은, 유저가 상기 선택된 프린터에 로그온할 때까지 상기 인쇄 큐에 유지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프린터에서 유저의 로그인을 검출하고 그 검출에 응답하여 캘리브레이션을 시작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프린터에서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상기 인쇄 잡의 대상을 상기 문서 또는 파일의 사용으로부터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501) 또는 프린트 서버(502)는, 그 파일(포스트스크립트 파일)이 클라이언트(501)로부터 프린트 서버(502)로 보내질 때 검출할 수 있다. 이것은, 시간이 유저가 클라이언트(501)의 위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프린터의 위치로 이동하는데 걸린 시간과, 로그인 시간을 포함함으로써, 클라이언트(501)에서 인쇄 코맨드를 제공할 때로부터 인쇄 지시를 상기 선택된 프린터에서 제공할 때까지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데 보다 많은 시간을 들일 것이다.
또는, 상기 프린트 서버(502) 또는 상기 선택된 프린터는, 파일(PDL 파일)을 프린트 서버(502)로부터 상기 선택된 프린터에 보낼 때 검출할 수 있다. 일부의 안전한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유저가 작성하고 프린트 서버(502)에 기억된 파일 모두는, 유저가 그 프린터에 로그인할 때 상기 프린트 서버(502)로부터 상기 선택된 프린터에 보내어진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예를 들면, 첫 번째 파일)을 프린트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프린터에 송신하는 것을 검출하고 이때에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5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프린터 바깥의 전체 또는 일부에,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501) 또는 프린트 서버(502) 내부에 또는 부분적으로 내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프린터 바깥의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가 사전 인쇄 이벤트를 검출하는 경우, 외부 검출기에 의한 검출은, 적절한 일부의 방법으로 LAN(505)을 경유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부(540)에 통지된다.
또한, 유저의 로그인 하는 것이 카드 리더이외의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프린터 장치는, 유저가 유저 이름과 패스워드를 쳐서 로그인할 수 있는 키보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은, 여기서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09년 4월 30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9-110720호의 이점을 청구한다.

Claims (42)

  1. 휴대형 기억 매체가 접속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것인가 아닌가를 검지하는 검지부;
    장착이 검지된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에 기억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부;
    상기 판독한 데이터에 따라 화상형성동작을 행하는 화상형성부;
    상기 화상형성부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실행하는 캘리브레이션 실행부;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의 속성 또는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의 속성들을 판정하는 판정부; 및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의 결과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캘리브레이션 실행부에 상기 캘리브레이션을 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부가 상기 화상형성동작을 행하기 위한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실행부에 상기 캘리브레이션을 실행시키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하나 이상의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은, 기억된 파일이 파일 콘텐트가 촬상장치를 사용하여 촬영된 것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조건, 상기 파일에 대하여 색지정 코맨드가 지정된 제2 조건, 및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가 기록 금지로 설정된 제3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다고 상기 판정부가 판정하는 경우 상기 캘리브레이션 실행부에 상기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키도록 구성된,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에 Exif형식을 갖는 JPEG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에 색설정 오퍼레이터가 지정되어 있는 PDF파일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실행부가 전회에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한 후의 화상 형성 매수가 소정의 매수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실행부가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지 않도록 구성된, 화상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실행부에 의한 상기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금지할 것인가 아닌가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가 상기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금지하는 설정을 한 경우에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실행부를 작동시키지 않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실행부는, 제1 처리 기간내에 상기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할 수 있는 간략 보정 모드와, 상기 제1 처리 기간보다 긴 시간이 걸려 상기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완전 보정 모드 중 하나의 모드에서 상기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상기 간략 보정 모드와 완전 보정 모드 중 하나가 상기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데 사용되게 설정하도록 구성된 모드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메모리 매체가 제 1 종류일 경우, 상기 캘리브레이션 실행부가 상기 캘리브레이션을 선택적으로 개시되게 하도록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제어를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메모리 매체가 상기 제 1 종류와 다른 제 2 종류일 경우, 상기 캘리브레이션 실행부가 상기 판정부에 의한 상기 판정없이 상기 캘리브레이션을 개시되게 하도록 제어를 더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화상형성장치.
  9. 휴대형 기억 매체가 내부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따라 화상형성동작을 행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캘리브레이션 실행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것인가 아닌가를 검지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의 속성이나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의 속성들을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단계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캘리브레이션 실행부에 캘리브레이션을 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10.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으로서,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으로부터 또는 유저의 상기 인쇄장치에의 로그인으로부터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및
    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실행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검출되는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은,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인쇄장치에 상기 문서나 파일을 보내는 것인,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실행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검출되는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은,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인쇄장치에 접속된 프린트 서버에 상기 문서나 파일을 보내는 것인,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실행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검출되는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은, 프린트 서버로부터 상기 인쇄장치에 상기 문서나 파일을 보내는 것인,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실행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서버로부터 상기 인쇄장치에 상기 문서나 파일을 보내는 것은 유저에 의해 상기 인쇄장치에 로그인함으로써 초래되는,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실행방법.
  15. 휴대형 기억 매체가 내부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따라 화상형성동작을 행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캘리브레이션 실행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게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형 기억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것인가 아닌가를 검지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의 속성이나 상기 휴대형 기억 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의 속성들을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단계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캘리브레이션 실행부에 캘리브레이션을 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형 기억매체.
  16.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실행 방법을 컴퓨터에게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형 기억매체로서,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으로부터 또는 유저의 상기 인쇄장치에의 로그인으로부터 그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및
    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형 기억매체.


  17. 인쇄장치;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으로부터 또는 유저의 상기 인쇄장치에의 로그인으로부터 그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검출하는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 및
    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 캘리브레이션부를 구비한, 인쇄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지시는, 인쇄장치에서 수신되는, 인쇄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상기 인쇄장치에 설치되는, 인쇄 시스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와 접속된 통지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지장치는,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와, 상기 검출을 상기 인쇄장치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는, 인쇄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는, 상기 통지장치로부터 상기 통지를 수신하는 사전인쇄 이벤트 통지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부는, 상기 사전인쇄 이벤트 통지 수신부에 의한 상기 통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 인쇄 시스템.
  22. 제 17 항에 있어서,
    프린트 서버와 클라이언트 장치를 더 구비하고, 인쇄 대상의 문서나 파일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프린트 서버에 먼저 보낸 후, 상기 프린트 서버는 상기 문서나 파일을 그것의 포맷을 변환하거나 하지 않고 상기 인쇄장치에 보내는, 인쇄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나 파일을 상기 프린트 서버로부터 인쇄장치에 보내는 것은, 유저가 상기 인쇄장치에 로그인할 때까지 지연되는, 인쇄 시스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시스템은, 2개 이상의 인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장치 중 하나는 상기 문서나 파일을 상기 프린트 서버에 보낸 후 유저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프린트 서버와 선택된 인쇄장치가 함께 작동하여 상기 문서나 파일, 또는 상기 유저에 의해 인쇄하기 위해 보내진 모든 문서나 파일들을, 상기 프린트 서버로부터 그 선택된 프린터에 보내는, 인쇄 시스템.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상기 인쇄장치에 설치되는, 인쇄 시스템.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인쇄 대상의 상기 문서나 파일이 프린트 서버로부터 상기 인쇄장치에서 수신될 때 검출하는, 인쇄 시스템.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상기 프린트 서버에 설치되는, 인쇄 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인쇄 대상의 상기 문서나 파일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프린트 서버에서 수신될 때를 검출하는, 인쇄 시스템.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부는, 인쇄 대상의 상기 문서나 파일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프린트 서버에서 수신되고, 유저가 상기 인쇄장치를 선택하는 이력을 갖는 것을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가 검출하는 경우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 인쇄 시스템.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인쇄 대상의 상기 문서나 파일이 상기 프린트 서버로부터 상기 인쇄장치에 보내질 때를 검출하는, 인쇄 시스템.
  31.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설치되는, 인쇄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프린트 서버에 상기 문서나 파일이 보내질 때를 검출하는, 인쇄 시스템.
  33. 제 31 항에 있어서,
    하나보다 많은 인쇄장치를 갖고, 인쇄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인쇄장치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상기 인쇄장치의 선택을 검출하는, 인쇄 시스템.
  34.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으로부터 또는 유저의 본 인쇄장치에의 로그인으로부터 그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검출하는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 및
    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 캘리브레이션부를 구비한, 인쇄장치.
  35. 인쇄 대상의 문서나 파일을 접속된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문서나 파일 수신부;
    그 수신된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접속된 장치로부터 또는 또 다른 접속된 장치로부터, 그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 인쇄 이벤트의 검출의 통지를 수신하는 사전인쇄 이벤트 통지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 캘리브레이션부를 구비한, 인쇄장치.
  36. 인쇄장치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본 통지장치로부터 또는 또 다른 접속된 장치로부터 인쇄 대상의 문서나 파일을 수신하고, 통지에 응답하여 그 수신된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할 수 있는 통지장치로서,
    상기 인쇄 지시의 상기 인쇄장치에 의한 수신을 하기 전에,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으로부터 또는 유저가 상기 인쇄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인쇄장치에의 로그인으로부터 검출하는 사전 인쇄 이벤트 검출기; 및
    상기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지시의 상기 인쇄장치에 의한 수신을 하기 전에 상기 통지를 상기 인쇄장치에 보내는 사전 인쇄 이벤트 통지부를 구비한, 통지장치.
  37. 인쇄 대상의 문서나 파일을 접속된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접속된 장치로부터 또는 또 다른 접속된 장치로부터, 그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 인쇄 이벤트의 검출의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실행방법.
  38. 인쇄장치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본 통지장치로부터 또는 또 다른 접속된 장치로부터 인쇄 대상의 문서나 파일을 수신하고, 통지에 응답하여 그 수신된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할 수 있는 통지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인쇄 지시의 상기 인쇄장치에 의한 수신을 하기 전에,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으로부터 또는 유저가 상기 인쇄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인쇄장치에의 로그인으로부터 검출하는 단계; 및
    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지시의 상기 인쇄장치에 의한 수신을 하기 전에 상기 통지를 상기 인쇄장치에 보내는 단계를 포함한, 통지장치의 제어방법.
  39. 프로그램 가능형 인쇄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인쇄장치에 의해,
    인쇄 대상의 문서나 파일을 접속된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이 수신된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접속된 장치로부터 또는 또 다른 접속된 장치로부터, 그 인쇄 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 인쇄 이벤트의 검출의 통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형 기억매체.
  40. 프로그램 가능형 통지장치에서 실행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형 기억매체로서, 상기 통지장치는, 인쇄장치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통지장치로부터 또는 또 다른 접속된 장치로부터 인쇄 대상의 문서나 파일을 수신하고, 통지에 응답하여 그 수신된 문서나 파일을 인쇄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인쇄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을 개시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상기 통지장치에 의해,
    상기 인쇄 지시의 상기 인쇄장치에 의한 수신을 하기 전에, 상기 문서나 파일의 사용으로부터 또는 유저가 상기 인쇄지시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인쇄장치에의 로그인으로부터 검출하고,
    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지시의 상기 인쇄장치에 의한 수신을 하기 전에 상기 통지를 상기 인쇄장치에 보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형 기억매체.
  41. 메모리 카드가 접속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메모리 카드가 본 장치에 접속되는 경우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이 상기 검출기에 의한 상기 메모리 카드의 검출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개시하게 하는 캘리브레이션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42. 제1 및 제2의 서로 다른 종류의 외부 메모리 매체가 접속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종류 중 어느 한쪽의 메모리 매체가 본 장치에 접속될 때와 어떠한 종류의 메모리 매체의 종류가 접속되는지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제 1 종류의 메모리 매체가 접속된 것을 상기 검출기가 검출하였을 때 자동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이 개시되게 하고, 상기 제 2 종류의 메모리 매체가 접속된 것을 상기 검출기가 검출하였을 때 선택적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캘리브레이션이 개시되게 하는 캘리브레이션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20100040425A 2009-04-30 2010-04-30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1408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10720 2009-04-30
JP2009110720A JP5355207B2 (ja) 2009-04-30 2009-04-30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521A true KR20100119521A (ko) 2010-11-09
KR101408739B1 KR101408739B1 (ko) 2014-06-17

Family

ID=42310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425A KR101408739B1 (ko) 2009-04-30 2010-04-30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22821B2 (ko)
EP (1) EP2246744A2 (ko)
JP (1) JP5355207B2 (ko)
KR (1) KR101408739B1 (ko)
CN (2) CN1018768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7788B2 (ja) * 2009-12-25 2012-06-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2281372B (zh) * 2010-06-12 2014-02-19 虹光精密工业(苏州)有限公司 自动存取影像处理程序的扫描设备
KR101829389B1 (ko) * 2010-10-01 2018-03-29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JP5492142B2 (ja) * 2011-05-12 2014-05-1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8848222B2 (en) 2011-10-05 2014-09-30 Ricoh Production Print Solutions LLC Mechanism for previewing secure print jobs
JP2014113781A (ja) * 2012-12-11 2014-06-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98611B2 (ja) * 2014-10-28 2017-03-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端末装置、処理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06648481B (zh) * 2016-12-28 2019-09-17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处理方法及其装置、打印控制方法和装置
EP3424723B1 (en) * 2017-07-06 2022-04-27 Canon Production Printing Holding B.V. Method of scheduling print jobs
EP3676100A4 (en) * 2017-09-01 2021-03-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MEDIA ACCUMULATORS CONTROLLED BY PRINT JOB ATTRIBUTES
JP2021021820A (ja) * 2019-07-26 2021-02-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664062B2 (en) * 2020-07-24 2023-05-30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mory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3542B1 (en) * 1998-12-14 2001-06-05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for controlling the density of toner images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0227684A (ja) 1999-02-04 2000-08-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027129B2 (ja) * 2002-03-19 2007-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35481B2 (ja) * 2003-04-15 2009-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機器及び通信機器のデータ処理方法
JP2004358694A (ja) * 2003-06-02 2004-12-24 Fuji Photo Film Co Ltd 自動濃度調整機能付き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5181534A (ja) * 2003-12-17 2005-07-07 Brother Ind Ltd 画像形成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50231584A1 (en) * 2004-04-16 2005-10-20 Rajaiah Seela R D Ink and media sensing with a color sensor
JP2006165660A (ja) * 2004-12-02 2006-06-22 Canon Inc キャリ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6163761A (ja) * 2004-12-07 2006-06-22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4175346B2 (ja) * 2005-06-30 2008-1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変換プログラム、制御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007150464A (ja) * 2005-11-24 2007-06-14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US20070285743A1 (en) * 2006-06-09 2007-12-13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8134280A (ja) * 2006-11-27 2008-06-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4315201B2 (ja) * 2007-01-31 2009-08-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
JP4821708B2 (ja) 2007-05-29 2011-1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US8127991B2 (en) * 2007-08-03 2012-03-06 Brady Worldwide, Inc. Removable media spindle and antenna assembly for printer
JP2009152694A (ja) * 2007-12-18 2009-07-09 Oki Data Corp 画像処理装置
EP2075685B1 (en) 2007-12-28 2017-02-22 Canon Europa N.V. A print-job distribution program, a printer program and corresponding methods
JP4637203B2 (ja) * 2008-04-22 2011-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複合機、複合機の外部認証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314230B1 (ko) * 2008-07-18 2013-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처리장치 및 그 화상처리방법
US8339663B2 (en) * 2009-02-23 2012-12-25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Encoding of non-indexed data for printing using indexed RG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62025A (ja) 2010-11-18
CN101876886A (zh) 2010-11-03
CN101876886B (zh) 2013-03-20
US20100277764A1 (en) 2010-11-04
KR101408739B1 (ko) 2014-06-17
EP2246744A2 (en) 2010-11-03
JP5355207B2 (ja) 2013-11-27
CN102750115A (zh) 2012-10-24
US8922821B2 (en) 2014-12-30
CN102750115B (zh)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739B1 (ko)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JP4510543B2 (ja) 画像処理装置、印刷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9374495B2 (en) Printer with outsourcing capability for color copies
US7969593B2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job processing method, printing system, and program
US866115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o access uniform resource identifiers
JP536651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25583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50879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selectively printing with transparent and non-transparent printing agents
US790327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pplied to the same, image process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program
US823866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JP2007174215A (ja) 外部コントローラ、リモート操作システム及び方法
US8384945B2 (en) Printing apparatus, data generation apparatus, printing method, data gener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2008697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ing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6608692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s used therein
JP562360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63409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 user information into external recording medium, and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CN101087346A (zh) 数据管理系统、数据管理装置、数据管理方法
JP6489434B2 (ja) 画像生成装置及び画像生成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生成制御方法
US10602005B2 (en) Image forming system, printer dri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electronic file
JP2006205442A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5349657A (ja) 画像形成装置、使用環境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825906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0718951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情報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801784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1034430A (ja) 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出し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