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555A - 파킹 록의 비상 언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파킹 록의 비상 언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555A
KR20100117555A KR1020107012632A KR20107012632A KR20100117555A KR 20100117555 A KR20100117555 A KR 20100117555A KR 1020107012632 A KR1020107012632 A KR 1020107012632A KR 20107012632 A KR20107012632 A KR 20107012632A KR 20100117555 A KR20100117555 A KR 20100117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transmission
emergency unlocking
pivot lever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1200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기이퍼
루드게르 라케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117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91Emergency release or engagement of parking locks or br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10T74/20104Shift element interlock
    • Y10T74/20116Resiliently biased inter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프트-바이-와이어 변속기의 파킹 록을 수동 작동하기 위한 비상 언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상 언록킹 장치는 비상 언록킹 작동부와 변속기(1) 사이의 기계식 전달 장치(7)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장치(7)는 변속기(1)의 변속 레버 샤프트(2)에 배치된 선회 레버 장치(3)와 맞물린다. 본 발명에 따라 비상 언록킹 장치는 선회 레버 장치(3)가 상기 전달 장치(7)와 연결된 1차 선회 레버(4), 상기 변속기와 연결된 2차 선회 레버(5), 및 상기 1차 선회 레버(4)와 상기 2차 선회 레버(5) 사이의 단방향 결합 부재(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킹 록의 비상 언록킹 장치{EMERGENCY UNLOCKING DEVICE FOR A PARKING LOCK}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시프트-바이-와이어 작동식 변속기, 예컨대 자동 변속기의 파킹 록을 수동 작동하기 위한 비상 언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킹 록은 자동차에서 구동력 전달시 비-기계식 부품들이 사용되는 경우, 특히 유체 역학적 회전 모멘트 변환기를 구비한 자동 변속기의 경우 항상 사용된다. 이로 인해, 구동 트레인과 자동차의 엔진 사이의 비-기계식 연결에도 불구하고 구동 휠들이 록킹될 수 있고 차량의 의도치않은 롤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파킹 록은 운전자에 의해 야기된 작동 신호로 인해, 자동 변속기 내에 배치된 래칫이 변속기 출력 샤프트 상에 배치된 파킹 록 휠의 톱니와 맞물리는 방식으로, 구동 휠들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변속기 출력 샤프트를 블로킹한다.
파킹 록과 자동차 내부에 배치된 차량 변속기용 작동 장치 사이의 전달 장치로는, 원칙적으로 다양한 기계식, 전기 유압식 및 전기 기계식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차량 내부에 작동 장치의 자유로운 배치와 관련한 구조적 디자인 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해, 그리고 작동 장치를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으로부터 음향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최신 자동차 또는 자동 변속기에 시프트-바이-와이어 원리가 점점 더 적용되고, 최신 자동 변속기는 점점 더 완전 전자식으로 제어된다.
이러한 "시프트-바이-와이어" 변속기의 경우, 자동 변속기의 작동 장치 또는 변속 레버로부터 변속 명령의 전달은 일반적으로 전기 또는 전자 신호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파킹 록과 관련해서, 이는 파킹 록의 작동이 전기 또는 전자적 방법으로, 경우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예컨대 오토-P의 경우, 즉 운전자가 점화 키를 빼내거나 또는 자동차를 벗어날 때 파킹 록이 자동으로 걸리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전자 시스템의 고장 시 또는 자동차의 전압 공급부의 고장 시에도 차량을 움직일 수 있도록, 파킹 록을 비상 언록킹에 의해 다시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추가의 요구가 생긴다. 이는 예컨대 차량이 공장에 있는 경우 또는 결함으로 인해 차량을 끌고 가는 경우에도 고려된다.
이를 위해, 변속 레버 또는 독자적인 비상 언록킹부와 변속기 사이에 추가의 기계식 연결부, 예컨대 보우덴(bowden) 케이블이 비상 작동을 위해 제공되는 자동 변속기용 시프트-바이-와이어 작동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 파킹 록은 전기 시스템의 완전 고장 시에도 비상 언록킹의 상응하는 작동 후에 보우덴 케이블에 의해 기계식으로 개방됨으로써(그리고 다시 폐쇄됨으로써), 모든 경우에 차량이 움직일 수 있다.
파킹 록의 비상 작동부와의 이러한 기계식 연결부 또는 보우덴 케이블은 통상적으로 변속기에서 선회 레버를 통해 변속기의 변속 레버 샤프트에 연결됨으로써, 일반적인 경우 변속기 유압 시스템에 의해서만 움직이는 변속 레버 샤프트가 전류 공급부 또는 변속기 제어부의 고장시 비상 작동의 의미로 보우덴 케이블 및 선회 레버에 의해 움직이므로, 파킹 록이 수동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그러나, 정상(normal) 작동 동안, 변속기 변속 레버 및 이와 연결된 비상 언록킹 선회 레버가 자동 변속기의 변속 과정에서 변속기 유압 시스템에 의해 각각 함께 움직이므로, 변속기와 비상 언록킹 작동부(예컨대, 보우덴 케이블) 사이의 기계식 비상 언록킹-전달 장치가 각각 함께 움직인다는 문제가 생긴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이로 인해 비상 언록킹-전달 장치에서 소음이 생기고, 전달 장치의 불필요한 마모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유럽 특허 EP 1 111 275 A1에는 파킹 록의 언록킹을 위한 비상 언록킹부를 구비한 주행 단 선택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비상 언록킹을 위해 사용되는 보우덴 케이블은 보우덴 케이블 상에 배치된 스토퍼 니플에 의해 변속기 변속 레버 샤프트의 선회 레버와 느슨하게만 연결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선회 레버의 갭형 리세스를 따라 자유로이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상 작동의 경우에는 보우덴 케이블로부터 선회 레버로의 힘 전달이 이루어지지만, 자동차의 정상(normal) 작동의 경우 선회 레버가 변속기 유압 시스템에 의해 움직이면 반대로 선회 레버로부터 보우덴 케이블로의 힘 전달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선행 기술에 공지된 상기 조치는 잠재적으로 보우덴 케이블과 선회 레버 사이의 개방된 느슨한 연결의 영역에서 부식되기 쉽다. 또한, 느슨한 보우덴 케이블 단부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이 생길 수 있고, 이 소음은 보우덴 케이블을 통해 차량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지된 조치에서는, 변속기 유압 시스템이 선회 레버를 왕복 운동시키는 동안, 보우덴 케이블을 팽팽하게 유지하기 위해 보우덴 케이블 상에 추가의 스프링 장치가 필요하다. 상기 추가의 스프링 장치는 복잡하고 부식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보우덴 케이블 단부와 선회 레버 사이의 느슨한 연결로 인해, 상기 공지된 비상 언록킹 장치에서는, 예컨대 조립시 보우덴 케이블의 자유 돌출 길이가 잘못 설정된 경우 조립시 오조정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선행 기술의 상기 단점들이 피해지는, 시프트-바이-와이어 변속기의 파킹 록을 수동 작동하기 위한 비상 언록킹 장치를 형성하는 것이다. 비상 언록킹 장치는 특히 신뢰성을 가지며 경제적이어야 하고 특히 낮은 소음 발생, 개선된 내식성, 용이한 조립, 적은 조립 에러 및 전달 장치의 조절과 관련해서 장점을 가져야 한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들을 가진 비상 언록킹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공지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바이-와이어 변속기용 파킹 록-비상 언록킹 장치는 파킹 록의 비상 언록킹을 위해 비상 언록킹 작동부와 변속기 사이의 기계식 전달 장치를 포함한다. 전달 장치는 변속기의 변속 레버 샤프트 상에 배치된 선회 레버 장치와 맞물린다.
본 발명에 따라 비상 언록킹 장치는 선회 레버 장치가 1차 선회 레버, 2차 선회 레버, 및 상기 1차 선회 레버와 상기 2차 선회 레버 사이에서 비상 록킹부의 작동 방향으로 작용하는 단방향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차 선회 레버는 비상 언록킹 작동부와 변속기 사이의 기계식 전달 장치와 연결되는 한편, 2차 선회 레버는 변속기의 파킹 록용 작동 부재 또는 변속 레버 샤프트와 연결된다. 단방향 결합 부재는 레버 선회 운동과 관련한 1차 선회 레버의 작동시 1차 선회 레버와 2차 선회 레버를 결합한다. 이에 반해, 2차 선회 레버만의 운동시 이 경우 나타나는 결합 부재의 자동 개방에 의해 1차 선회 레버와 2차 선회 레버가 서로 분리된다. 단방향 결합 부재는 달리 표현하면 백래시(backlash)를 가진 프리휠링과 유사하게, 1차 선회 레버의 작동 운동이 2차 선회 레버로 직접 전달되는 한편, 1차 선회 레버의 작동 범위 내에서 2차 선회 레버만의 운동은 1차 선회 레버의 변위를 일으키지 않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단방향 결합 부재는 하나의 방향으로만 작용한다.
이로 인해, 변속기와 연결된 2차 선회 레버는 1차 선회 레버의 운동 범위 내에서, 변속기의 정상 작동 동안 변속기 변속 레버 샤프트의 회전을 따라 왕복 운동하며, 이때 1차 선회 레버 및 이와 연결된 전달 장치가 비상 언록킹부에 의해, 예컨대 파킹 록의 비상 언록킹을 위한 보우덴 케이블에 의해 그 휴지 위치로부터 변위되어 함께 움직이는 일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전달 장치의 불필요한 운동에 의한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이 방지되고, 전달 장치가 함께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전달 장치의 마모 및 부식이 감소한다. 또한, 전달 장치와 1차 선회 레버 사이의 규정된 방식의 연결에 의해 비상 언록킹 장치의 조립이 용이해지고 전달 장치의 조절시 에러가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파킹 록의 비상 언록킹이 필요한 경우에는, 선회 레버 장치의 단방향 결합 부재가 소정 방식으로 1차 선회 레버와 2차 선회 레버를 연결함으로써, 기계식 전달 장치, 즉 예컨대 보우덴 케이블로부터 1차 선회 레버로 그리고 거기서부터 단방향 결합 부재, 2차 선회 레버 및 변속기 변속 레버 샤프트를 통해, 변속기 내 파킹 록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장치로의 소정 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1차 선회 레버와 2차 선회 레버 사이의 단방향 결합 부재, 또는 1차 선회 레버가 2차 선회 레버 또는 변속기 하우징에 대해 스프링 하중을 받는다. 이로 인해, 기계식 전달 장치 또는 비상 언록킹 작동을 위한 보우덴 케이블은 간섭 제거 및 소음 감소와 관련해서 바람직한 예비 응력을, 변속기의 정상 작동 동안 변속기 변속 레버 샤프트와 2차 선회 레버가 현재 각각 어떤 위치에 있는지와는 관계없이, 받는다. 1차 선회 레버 및 보우덴 케이블에 대한 이러한 예비 응력 스프링은 예컨대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기계식 전달 장치 또는 보우덴 케이블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1차 선회 레버 및 2차 선회 레버는 변속기 하우징에 동축으로 지지된다. 1차 선회 레버 및 2차 선회 레버의 동축 지지는 구조적 비용을 낮추고, 변속기 변속 레버 샤프트의 영역에 또는 변속기 변속 레버 샤프트 상에 직접 2개의 선회 레버의 공통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단방향 결합 부재의 스프링이 1차 선회 레버와 2차 선회 레버의 공통 지지부 상에, 예컨대 변속기 변속 레버 샤프트 상에서 1차 선회 레버와 2차 선회 레버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서, 단방향 결합 부재는 2차 선회 레버에 배치된 1차 선회 레버용 스토퍼로서 또는 선택적으로 1차 선회 레버에 배치된 2차 선회 레버용 스토퍼로서 형성된다. 이로 인해, 1차 선회 레버와 2차 선회 레버 사이의 단방향 결합 부재는 매우 간단하고, 강성이며 저렴하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2차(또는 1차) 선회 레버에 챔퍼가 형성되고, 비상 언록킹의 경우에 1차(또는 2차) 선회 레버가 2차 선회 레버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챔퍼에 부딪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변속기와 비상 언록킹 작동부 사이의 기계식 전달 부재가 어떻게 형성되는지와는 관계없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달 부재는 보우덴 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다. 보우덴 케이블은 변속기와 비상 언록킹 작동부 사이에 배치되고 적은 구조 음(structure-borne sound) 전달과 관련해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 선행 기술의 상기 단점들이 피해지는, 시프트-바이-와이어 변속기의 파킹 록을 수동 작동하기 위한 비상 언록킹 장치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파킹 록 상태에서 1차 선회 레버 및 2차 선회 레버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언록킹 장치의 실시예의 선회 레버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비상 언록킹의 활성화시 1차 선회 레버 및 2차 선회 레버를 가진, 도 1에 따른 선회 레버 장치의, 도 1에 상응하는 도면.
도 3은 정상(normal) 작동 중 파킹 록이 개방된 상태에서 2차 선회 레버를 가진 도 1 및 도 2에 따른 선회 레버 장치의, 도 1 및 도 2에 상응하는 도면.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언록킹 장치의 실시예의 선회 레버 장치가 개략도로 도시된다.
먼저, 변속기 하우징(1)의 벽의 일부, 및 상기 변속기 하우징(1)을 통해 돌출한 자동 변속기의 변속 레버 샤프트(2)의 외부로 돌출한 단부가 나타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1차 선회 레버(4), 상기 변속기 변속 레버 샤프트(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2차 선회 레버(5), 및 상기 1차 선회 레버(4)와 상기 2차 선회 레버(5)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 레그 스프링(6)으로 이루어진 선회 레버 장치(3)가 나타난다. 1차 선회 레버(5)는 2차 선회 레버(4)와 동축으로 지지되고, 변속기 변속 레버 샤프트(2)와 2차 선회 레버(4)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다.
1차 선회 레버(4)는 자동차 내부의 (도시되지 않은) 비상 언록킹 장치와 변속기(1) 사이의, 보우덴(bowden) 케이블(7)을 포함하는 비상 언록킹-전달 장치와 접속된다. 1차 선회 레버(4) 및 2차 선회 레버(5)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2차 선회 레버(5) 상에 배치된 챔퍼(8)로 형성된 결합 부재(8)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로 인해, 1차 선회 레버(4)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챔퍼(8)로 형성된 결합 부재에 의해 2차 선회 레버(5), 및 상기 2차 선회 레버(5)와 접속된 변속기 변속 레버 샤프트(2)를 선회시킨다.
이에 반해,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및 역으로) 2차 선회 레버(5)의 회전은 변속기 변속 레버 샤프트(2) 및 2차 선회 레버(5)에 의한 1차 선회 레버(4)의 종동을 야기하기 않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우덴 케이블(7)과 1차 선회 레버(4)는 볼 헤드(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볼 헤드(9)는 보우덴 케이블(7)의 단부에 압착된다. 오염 및 주변 매체에 대한 보호를 위해 보우덴 케이블(7)의 개방 단부는 볼 헤드(9)와 보우덴 케이블-대응 홀더(10) 사이에서 길이 가변 탄성중합체 밀봉 벨로우즈(11)에 의해 보호된다. 볼 헤드(9)에 의한 보우덴 케이블(7)과 1차 선회 레버(4) 사이의 연결은, 상기 연결에 의해 보우덴 케이블(7)의 조립시 조절 비용이 줄어들고 조립 에러가 피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비상 언록킹 작동부에 의해 전달 부재(7)를 통해 파킹 록의 수동 비상 언록킹시 1차 선회 레버(4)에 의한 2차 선회 레버(5)의 종동이 도 2에 도시된다. 변속기 내 파킹 록의 수동 비상 언록킹이 어떻게 작동 체인 "비상 언록킹 작동부(도시되지 않음), 보우덴 케이블(7), 볼 헤드(9), 1차 선회 레버(4), 결합 부재(8), 2차 선회 레버(5), 변속기 변속 레버 샤프트(2)"를 통해 변속기 변속 레버 샤프트(2)의 작동 및 변속기 내 파킹 록의 소정 수동 비활성화를 일으키는지가 나타난다. 파킹 록이 수동으로 다시 활성화되어야 하면, (도시되지 않은) 비상 언록킹 작동부의 상응하는 해제에 의해 보우덴 케이블(7)이 다시 느슨해진다. 이로 인해, 1차 선회 레버(4)는 레그 스프링(6)에 의해 다시 도 1에 따른 그 출발 위치로 선회되는 한편, 2차 선회 레버(5)는 변속기(1)에서 변속 레버 샤프트 상에 배치된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한 스프링 하중으로 인해 도 1에 따른 그의 기본 위치로 되돌아감으로써, 파킹 록이 다시 걸린다.
도 3에는 변속기의 정상 작동 동안, 예컨대 자동차의 주행 동안 단방향 결합 부재(8)의 작용이 도시된다. 이 경우, 관련 부품인 보우덴 케이블(7) 및 하우징 스토퍼(12)에 있는 1차 선회 레버(4)를 가진 파킹 록의 비상 언록킹을 위한 장치는 도 1에 따른 휴지 위치에 있는 한편, 2차 선회 레버(5)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속기 변속 레버 샤프트(2)의 자동 회전을, 비상 언록킹 장치, 특히 보우덴 케이블(7)에 대한 반작용 없이, 따를 수 있다(파선 화살표로 도시됨).
1차 선회 레버(4) 및 보우덴 케이블(7)은 레그 스프링(6)에 의해 하우징 스토퍼(12)에 휴지 위치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보우덴 케이블(7)은 정상적인 그 기능을 위해 그리고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의 방지를 위해 필요한 예비 응력을 받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특히 부식 감소, 마모 감소 및 낮은 소음 발생과 관련해서 장점을 갖는 파킹 록-비상 언록킹 장치가 형성된다. 또한, 전달 장치 또는 보우덴 케이블의 조립 용이성이 얻어지고 조절 에러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언록킹 장치는 강성 및 잠재 내구성을 가지며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다른 해결책에서 필요한, 파킹 록-비상 언록킹부의 보우덴 케이블용 별도의 예비 응력 장치가 생략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 기능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언록킹 장치의 선회 레버 장치에 통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파킹 록용 기계식 비상 언록킹 장치의 작동 안전성, 비용 효율성, 수명 및 조립 용이성을 개선한다.
1 변속기 하우징
2 변속 레버 샤프트
3 선회 레버 장치
4 1차 선회 레버
5 2차 선회 레버
6 레그 스프링
7 보우덴 케이블
8 결합 부재, 챔퍼
9 볼 헤드
10 대응 홀더
11 밀봉 벨로우즈
12 하우징 스토퍼

Claims (9)

  1. 비상 언록킹 작동부와 변속기(1) 사이에 배치된 기계식 전달 장치(7)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장치(7)는 상기 변속기(1)의 변속 레버 샤프트(2)에 배치된 선회 레버 장치(3)와 맞물리는, 시프트-바이-와이어 변속기의 파킹 록을 수동 작동하기 위한 비상 언록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회 레버 장치(3)는 상기 전달 장치(7)와 연결된 1차 선회 레버(4), 상기 변속기(1)와 연결된 2차 선회 레버(5), 및 단방향 결합 부재(8)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선회 레버(4)와 상기 2차 선회 레버(5)는 상기 1차 선회 레버(4)의 작동시 상기 단방향 결합 부재(8)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 2차 선회 레버(5)의 운동시 상기 1차 선회 레버(4)와 상기 2차 선회 레버(5)는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언록킹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결합 부재(8)는 스프링(6)에 의해 예비 응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언록킹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선회 레버(4)는 스프링(6)에 의해 상기 2차 선회 레버(5)에 대해 또는 변속기 하우징(1)에 대해 예비 응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언록킹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선회 레버 및 상기 2차 선회 레버(5)는 동축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언록킹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은 상기 1차 선회 레버 및 상기 2차 선회 레버의 공통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언록킹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1차 선회 레버(4) 또는 상기 2차 선회 레버(5)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언록킹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결합 부재는 스토퍼(8)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언록킹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결합 부재는 상기 2차 선회 레버(5) 또는 상기 1차 선회 레버(4)에 형성된 챔퍼(8)로서 형성되고, 상기 챔퍼(8)에는 각각 다른 선회 레버가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언록킹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7)는 보우덴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언록킹 장치.
KR1020107012632A 2008-01-28 2008-12-05 파킹 록의 비상 언록킹 장치 KR101491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06398A DE102008006398A1 (de) 2008-01-28 2008-01-28 Notentriegelungseinrichtung für Parksperre
DE102008006398.3 2008-01-28
PCT/DE2008/050039 WO2009094969A1 (de) 2008-01-28 2008-12-05 Notentriegelungseinrichtung für parksper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555A true KR20100117555A (ko) 2010-11-03
KR101491200B1 KR101491200B1 (ko) 2015-02-06

Family

ID=4041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632A KR101491200B1 (ko) 2008-01-28 2008-12-05 파킹 록의 비상 언록킹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61837B2 (ko)
EP (1) EP2235404B1 (ko)
JP (1) JP2011511218A (ko)
KR (1) KR101491200B1 (ko)
CN (1) CN101925764B (ko)
DE (1) DE102008006398A1 (ko)
WO (1) WO20090949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375B1 (ko) * 2011-07-21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43249B3 (de) * 2008-10-29 2010-01-28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Parksperre
DE102009054874A1 (de) * 2009-12-17 2011-06-22 ZF Friedrichshafen AG, 88046 Parksperrenvorrichtung mit Not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getriebe
DE102010002020A1 (de) * 2010-02-17 2011-08-18 Deere & Company, Ill.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Parksper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0029401B4 (de) * 2010-05-27 2013-08-29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Parksperrenanordnung mit Notentriegelung
DE102011102533A1 (de) 2011-05-26 2012-11-29 Audi Ag Notent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 automatisches Getriebe
FR2978223B1 (fr) * 2011-07-22 2014-01-24 Dura Automotive Systems Sas Dispositif de verrouillage en position parc d'une boite de vitesses automat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11119747A1 (de) * 2011-11-30 2013-06-06 Audi Ag Getriebenotentriegelung
KR101383151B1 (ko) 2013-04-11 2014-04-08 경창산업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주차모드 수동 해제 장치
GB2519756B (en) * 2013-10-29 2017-01-18 Jaguar Land Rover Ltd Device for an emergency park release selector
CN103671901B (zh) * 2013-12-29 2016-02-2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换挡器p挡机械解锁装置
DE102014104575A1 (de) * 2014-04-01 2015-10-01 Getrag Getriebe- Und Zahnradfabrik Hermann Hagenmeyer Gmbh & Cie Kg Parksperrensystem für ein Kraftfahrzeuggetriebe und Kraftfahrzeuggetriebe hiermit
JP6110333B2 (ja) * 2014-04-21 2017-04-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パーキングロック解除装置
US20150308571A1 (en) * 2014-04-29 2015-10-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rking override device for a shift-by-wire transmission
DE102014214870A1 (de) * 2014-07-29 2016-02-04 Zf Friedrichshafen Ag Notentriegelung einer Parksperre
US9328822B2 (en) 2014-08-29 2016-05-03 Cnh Industrial America Llc Parking brake system for a work vehicle
CN105605041B (zh) * 2014-11-19 2017-11-28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定力解脱装置
JP6565457B2 (ja) * 2015-08-05 2019-08-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の手動解除機構
FR3045765B1 (fr) * 2015-12-22 2018-01-19 Psa Automobiles Sa. Boite de vitesses pour un vehicule automobile equipee d'une piece d'immobilisation provisoire du levier de commande de cette boite
KR102325546B1 (ko) * 2017-02-24 2021-11-15 기아 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US10900565B2 (en) 2017-05-11 2021-01-26 Fca Us Llc Lost motion transmission shifter
DE102017211218A1 (de) * 2017-06-30 2019-01-03 Robert Bosch Gmbh Einrichtung zur Blockierung eines Getriebes
DE102019130396A1 (de) * 2019-11-11 2021-05-12 Küster Holding GmbH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r Parksperre in einem Automatik-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CN111237453A (zh) * 2020-03-17 2020-06-05 精进电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驻车的机械解锁机构
CN113833845A (zh) * 2020-06-24 2021-12-24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及其变速箱解除驻车机构
DE102020209675A1 (de) * 2020-07-31 2022-02-03 Zf Friedrichshafen Ag Handhebel zum behelfsmäßigen Auslegen einer Parksperre
US11984794B2 (en) 2021-10-08 2024-05-14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Cooling and lubrication system for an electric motor and gearbox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3297A (en) * 1947-10-29 1952-04-15 Gregoire Jean Albert Control device for change-speed gears
US2860731A (en) * 1956-08-02 1958-11-18 Gen Motors Corp Positive parking brake
US2966244A (en) * 1958-07-28 1960-12-27 Charles G Schreyer Device for holding an automobile against movement
US3796103A (en) * 1972-05-01 1974-03-12 Rodgard Mfg Co Inc Polished rod protector
JPS5232495B2 (ko) * 1973-04-16 1977-08-22
JPS59184049A (ja) * 1983-03-31 1984-10-19 Aisin Seiki Co Ltd 変速機のパ−キング機構
JP2543698Y2 (ja) * 1988-02-26 1997-08-1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セレクタレバーのロック装置
US5063817A (en) * 1990-02-27 1991-11-12 Bogert Donald L Lockout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5217098A (en) * 1992-10-19 1993-06-08 Adams Rite Manufacturing Company Apparatus for integrating transmission control and brake control
US5704457A (en) * 1995-02-20 1998-01-0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arking system for a vehicle
US5794748A (en) * 1996-10-15 1998-08-1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Park lock mechanis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DE19711237A1 (de) * 1996-12-21 1998-07-02 Deere & Co Schalteinrichtung für ein Getriebe
DE19837832A1 (de) * 1998-08-20 2000-02-24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Parksperre für automatische Getriebe von Kraftfahrzeugen
AU6684100A (en) * 1999-07-28 2001-02-19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Gearbox for a motor vehicle
DE19940029B4 (de) * 1999-08-24 2008-04-3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ahrstufenwähleinrichtung
JP3575357B2 (ja) * 1999-11-25 2004-10-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パークロック装置
DE19962243A1 (de) 1999-12-22 2001-06-2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ahrstufenwähleinrichtung mit einer Notentriegelung für eine Parksperre
DE10001446A1 (de) * 2000-01-15 2001-08-02 Volkswagen Ag Seilzug-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Stellgliedes
DE10015781A1 (de) * 2000-03-30 2001-10-04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Parksperrensystem für ein Kraftfahrzeug-Getriebe
JP2003028293A (ja) * 2001-07-19 2003-01-29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車両用変速制御装置
DE10157460A1 (de) * 2001-11-23 2003-06-05 Daimler Chrysler Ag Anordnung zum Einlegen einer Parksperre eines Fahrzeuges durch einen Elektromotor und ein hilfskraftbetriebenes Notstellglied
US20050044979A1 (en) * 2002-06-20 2005-03-03 Fort William H. Park pawl actuator
JP4518869B2 (ja) * 2004-08-23 2010-08-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ロック装置
DE102005001818B4 (de) * 2005-01-13 2006-11-30 Zf Friedrichshafen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Automatik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5024468B4 (de) * 2005-05-24 2009-01-29 Koki Technik Transmission Systems Gmbh Parksperre für 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JP4667230B2 (ja) * 2005-12-22 2011-04-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レバ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375B1 (ko) * 2011-07-21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35404B1 (de) 2012-08-01
WO2009094969A1 (de) 2009-08-06
US20100288598A1 (en) 2010-11-18
CN101925764B (zh) 2015-09-23
JP2011511218A (ja) 2011-04-07
KR101491200B1 (ko) 2015-02-06
US8161837B2 (en) 2012-04-24
EP2235404A1 (de) 2010-10-06
DE102008006398A1 (de) 2009-07-30
CN101925764A (zh)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7555A (ko) 파킹 록의 비상 언록킹 장치
US9073522B2 (en) Control element for a parking lock
JP4833097B2 (ja) シフトバイワイヤ装置
JP3940266B2 (ja) クラッチ操作システム用油圧機構
US9080663B2 (en) Shift-by-wire shifting device having mechanical parking brake actuation
US9193336B2 (en) Shift-by-wire system for actuating a vehicle park brake
JP2012506980A5 (ko)
US9188224B2 (en) Gear shift arrangement with parking block and method for its activation
US8636130B2 (en) Parking brake device for motor vehicle transmissions
KR20130085948A (ko) 기계식 파킹 로크 작동부를 포함하는 시프트-바이-와이어 변속 장치
US8560193B2 (en) Range shifting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US9114790B2 (en) Shift-by-wire actuation of a transmission park brake
KR101395925B1 (ko) 수동 전자식 변속레버의 보킹 방지 구조
US20110146439A1 (en) Parking lock device having an emergency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transmissions
CN114174700A (zh) 用于操纵机动车的自动变速箱中的驻车锁止机构的装置
JP3961783B2 (ja) 車両用変速機のギア変速装置
JP5846394B2 (ja) アクチュエータ制御装置
CN111194384A (zh) 振动解耦系统
JP3951683B2 (ja) 機械式自動変速機の制御回路構造
WO2009066306A1 (en) Override mechanism for electric gearshift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verride mechanism thereof
CN117469322A (zh) 电子机械制动器、用于其的锁止装置和锁止装置控制方法
JPH0567864U (ja) 自動車用自動変速機
KR20060058440A (ko) 변속기의 파킹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