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525A - 부착구 - Google Patents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525A
KR20100117525A KR1020100037512A KR20100037512A KR20100117525A KR 20100117525 A KR20100117525 A KR 20100117525A KR 1020100037512 A KR1020100037512 A KR 1020100037512A KR 20100037512 A KR20100037512 A KR 20100037512A KR 20100117525 A KR20100117525 A KR 20100117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hole
rotation
opening edge
attachment
pane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1574B1 (ko
Inventor
구니야스 후카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0011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3Additional support bracket releasably holding the sun vi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과제) 선바이져 홀더 등의 부착구에 있어서, 패널부재에 형성되는 부착구멍의 형상을 복잡한 것으로 하는 일이 없고, 또한 충분한 부착강도를 간단하게 확보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기둥부(14)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 저지편(48)이 패널부재(100)에 형성되어 있는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맞닿음으로써 기둥부(14)가 걸림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로 회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Description

부착구{ATTACHING TOOL}
본 발명은 부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선바이져 홀더 등과 같이 패널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차실 내의 천정부에 선바이져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선바이져 홀더)의 종래 기술로서는, 차실 내의 천정부를 구성하는 패널부재에 장착되는 그로밋과 이 그로밋에 장착되는 홀더 본체로 이루어지는 2부품에 의한 것(예를 들면, 특허문헌 1)과, 루프라이닝 등의 패널부재의 표면에 배치되며 선바이져의 부착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패널부재에 관통되게 형성된 부착구멍에 삽입되어 패널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기둥부를 일체로 가지는 1부품에 의한 것(예를 들면, 특허문헌 2)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8-290566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 2004-144158호 공보
그로밋과 홀더 본체의 2부품에 의한 부착구는 1부품으로 구성된 것에 비해서 부품수가 많아 제작비용이 비싸지게 되고, 또한 패널부재에 대한 부착·분리의 공정수도 많아지게 된다.
본체부와 기둥부를 일체로 가지는 1부품에 의한 부착구는 최소 부품수에 의한 것이지만, 기둥부가 삽입되는 부착구멍에 기둥부의 걸림편이 끼워맞춰지는 열쇠형상홈과 같은 걸림부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부착구멍의 형상이 복잡하게 됨과 아울러 충분한 부착강도를 확보하기 어렵게 되는 일이 있다. 또, 종래의 1부품에 의한 부착구에서는 패널부재에 대한 부착시나 분리시 모두에 있어서 삽입과 회전의 2액션이 필요하므로, 작업성이 좋은 원터치 장착을 할 수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선바이져 홀더와 같이 패널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착구에 있어서, 패널부재에 형성되는 부착구멍의 형상을 복잡한 것으로 하는 일이 없고, 또한 충분한 부착강도를 간단하게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성이 좋은 원터치 장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부착구는, 패널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착구로서, 상기 패널부재의 표면에 배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패널부재에 관통되게 형성된 부착구멍에 삽입되는 기둥부를 일체로 가지며, 상기 기둥부에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혹은 상기 기둥부에는 회동 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는 상기 패널부재의 이면측에서 상기 걸림편이 상기 부착구멍의 개구연부(開口緣部)에 걸어맞춰져서 상기 패널부재에 빠짐방지되게 장착되는 걸림위치와,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부착구멍에 대한 삽입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로 소정의 회전각 만큼 회동 변위함에 의해서 상기 걸림편이 상기 부착구멍의 개구연부와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부착구멍에 대해서 빼내거나 끼워넣을 수 있는 걸림해제위치에 위치하는 회동 가능한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 저지편은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부착구멍의 개구연부에 맞닿아서 상기 기둥부의 상기 회동을 저지하는 회동저지위치와, 외부 조작에 의해서 상기 부착구멍의 개구연부와의 맞닿음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기둥부의 상기 회동을 허가하는 회동허가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부착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 저지편은 상기 회동저지위치에서 상기 패널부재에 관통되게 형성된 다각형 형상의 부착구멍의 개구연부에 소정의 선분에 걸쳐서 맞닿음으로써 상기 기둥부의 상기 회동을 저지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부착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편은 탄성 변형 가능한 역지형상을 이루며, 상기 기둥부가 상기 걸림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부착구멍을 통과하고, 통과 후에 탄성 복귀함에 의해서 상기 패널부재의 이면측에 있어서의 상기 부착구멍의 개구연부에 걸어맞춰진다.
본 발명에 관한 부착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 저지편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며, 탄성 변형에 의해서 상기 회동저지위치와 상기 회동허가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부착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 저지편이 외부 조작되는 부분은 상기 본체부 측에 있으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회동 저지편이 외부 조작되는 부분의 적어도 편측에 벽부를 가진다.
본 발명에 관한 부착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 저지편이 상기 부착구멍의 개구연부에 맞닿는 측의 반대측인 상기 회동 저지편의 외벽과 맞닿아서, 상기 회동 저지편이 상기 부착구멍의 개구연부에 맞닿는 측의 반대측으로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는 변위 저지부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부착구는, 기둥부에 형성된 걸림편이 부착구멍의 개구연부에 걸어맞춰져서 패널부재에 빠짐방지되게 장착되는 걸림위치에서, 전체를 부착구멍에 대한 삽입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로 소정의 회전각 만큼, 즉 걸림해제위치까지 회동 변위시킴에 의해서 걸림편이 부착구멍의 개구연부와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어 부착구멍에 대해서 빼내거나 끼워넣을 수 있게 되므로, 패널부재에서 빼낼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기둥부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 저지편이 패널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부착구멍의 개구연부에 맞닿음으로써, 바람직하게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부착구멍의 개구연부에 소정의 선분에 걸쳐서 맞닿음으로써 기둥부가 걸림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로 회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서, 부착구멍의 형상을 복잡하게 하는 일이 없고, 또한 충분한 회동 저지 강도를 간단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걸림편이 탄성 변형 가능한 역지형상을 이루고 있으면, 기둥부가 걸림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탄성 변형하면서 부착구멍을 통과하고, 통과 후에 탄성 복귀함에 의해서 패널부재의 이면측에 있어서의 부착구멍의 개구연부에 걸어맞출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은 원터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부착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부착구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부착구의 걸림위치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부착구의 걸림해제위치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부착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부착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부착구의 배면도
도 9는 도 7의 Ⅸ-Ⅸ선 단면도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부착구의 사시도
제 1 실시예는 본 발명에 관한 부착구를 선바이져 홀더로서 실시한 실시예이며, 상기 제 1 실시예를 도 1∼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바이져 홀더(10)는 패널부재(100)의 표면에 배치되는 본체부(12)와 상기 패널부재(100)에 관통되게 형성된 부착구멍(110)에 삽입되는 기둥부(14)를 일체로 가지고 있으며, 전체를 플라스틱의 원숏(one-shot)성형에 의해서 1부품으로서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부착구멍(11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순한 직사각형의 개구이다.
본체부(12)는 선바이져의 장착축이 걸어맞춰지는 훅형상부(16)와, 훅형상부(16)의 하측 선단부에 돌출형성된 빠짐방지부(18)와, 훅형상부(16)의 상측 부분에 형성된 탄성을 가지는 억제편부(20)를 가지고 있다.
기둥부(14)는 본체부(12)의 상면부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즉, 기둥부(14)의 수평 단면의 면적은 본체부(12)의 상면부의 면적보다 작으며, 기둥부(14)는 본체부(12)의 상면부의 대략 중앙부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기둥부(14)의 주위에는 본체부(12)의 상면부가 이루는 플랜지면(22)이 존재한다.
기둥부(14)는 부착구멍(110)의 전후 폭(Dh)과 같은 전후 간격(Dp)을 두고서 좌우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전측 평행면부(24) 및 후측 평행면부(26)를 가진다. 전측 평행면부(24)는 기둥부(14)의 좌우방향의 대략 1/2의 폭을 가지며, 기둥부(14)의 전측 우반분(右半分)에 있다. 후측 평행면부(26)는 기둥부(14)의 좌우방향의 대략 1/2의 폭을 가지며, 기둥부(14)의 후측 좌반분(左半分)에 있다.
기둥부(14)의 후측 우반분은 후측 경사면부(28)로 되어 있다. 후측 경사면부(28)는 기둥부(14)의 후측의 좌우방향의 대략 1/2의 위치와 기둥부(14)의 우측의 전후방향의 대략 1/2의 위치를 평면으로 접속하는, 상기 후측 평행면부(26)에 대해서 전측으로 경사진 경사면부이다.
기둥부(14)의 우측 전반분(前半分)은 우측 원호면부(30)로 되어 있다. 우측 원호면부(30)는 기둥부(14)의 중심(C)을 축중심으로 한 원호면으로서 전측 평행면부(24)와 후측 경사면부(28)를 접속하는 원호면부이다.
기둥부(14)의 좌측 후반분은 좌측 원호면부(32)로 되어 있다. 좌측 원호면부(32)는 기둥부(14)의 중심(C)을 축중심으로 한 원호면으로서 후측 평행면부(26)와 후술하는 절결부(34)를 접속하는 원호면부이다.
기둥부(14)의 전측 좌반분과 좌측 전반분에 상당하는 1/4영역은 절결부(34)로 되어 있다. 절결부(34)는 그 평면형상이 대략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전측 평행면부(24)와 좌측 원호면부(32)의 사이에 존재한다.
여기서, 기둥부(14)와 부착구멍(110)의 치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부(14)에 있어서의 전측 평행면부(24)와 후측 평행면부(26)의 전후 간격(Dp)은 부착구멍(110)의 전후 폭(Dh)과 같고, 기둥부(14)에 있어서의 우측 원호면부(30)와 좌측 원호면부(32)의 좌우 간격(Wp)은 부착구멍(110)의 좌우 폭(Wh)과 같다.
상기한 형상설정 및 치수설정에 의해서, 기둥부(14)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측 평행면부(24)와 후측 평행면부(26)가 각각 부착구멍(110)의 긴 변(邊)측의 서로 대향하는 개구연부(開口緣部)(110a)에 요동없이 맞닿고, 우측 원호면부(30)와 후측 경사면부(28)의 접속부{도 4에서 우측 원호면부(30)의 시계회전방향의 종단부)와 좌측 원호면부(32)와 절결부(34)의 접속부{도 4에서 좌측 원호면부(32)의 시계회전방향의 종단부}가 각각 부착구멍(110)의 짧은 변측의 서로 대향하는 개구연부(110b)에 요동없이 맞닿는다. 이 기둥부(14)의 위치를 "걸림위치"라 한다.
그리고, 기둥부(14)는 상기한 형상설정 및 치수설정에 의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림위치에서 기둥부(14)의 중심(C)의 축선 둘레로 시계회전방향으로 소정의 회전각(θ)만큼 회동 변위할 수 있으며, 이 회전각(θ)만큼 회동 변위함에 의해서 전측 평행면부(24)와 후측 평행면부(26)가 각각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서 떨어짐과 아울러 후측 경사면부(28)가 부착구멍(110)의 후측 개구연부(110a)에 맞닿는다. 이 기둥부(14)의 위치를 "걸림해제위치"라 한다. 또한, 기둥부(14)의 중심(C)의 축선 둘레로의 회동은, 기둥부(14)의 부착구멍(110)에 대한 삽입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존재하는 축선 둘레로의 회동이다.
후측 경사면부(28)와 우측 원호면부(30)와 좌측 원호면부(32)의 본체부(12)측에는 평평한 상면을 가지는 복수개의 패널 맞닿음 돌기부(35)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기둥부(14)의 전측 평행면부(24)와 후측 평행면부(26)에는 걸림편(36,38)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36,38)은 각각 전측 평행면부(24)와 후측 평행면부(26)에 형성된 상변을 제외한 3변의 슬릿(40,42)에 의해서 획정되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대략 Ш형상을 이루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는 직각 삼각형에 가까운 부등변삼각형에 의한 역지(逆止)형상(도 6 참조)을 이루며, 전측 평행면부(24)와 후측 평행면부(26)의 일반적인 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걸림편(36,38)은 각각 전측 평행면부(24)와 후측 평행면부(26)에 접속된 상변부분을 힌지로 하여 진퇴(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캔틸레버식 탄성편으로 되어 있다.
걸림편(36,38)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부(14)가 부착구멍(110)에 삽입되어 상기한 걸림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패널부재(100)의 이면측에 있어서의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걸어맞춰져서 패널 맞닿음 돌기부(35)의 상면과의 사이에 패널부재(100)를 협지함으로써, 선바이져 홀더(10)를 패널부재(100)에 빠짐방지되게 장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편(36,38)이 탄성 변형 가능한 역지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기둥부(14)가 상기 걸림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탄성 변형하면서 부착구멍(110)을 통과하고, 통과 후에 탄성 복귀함에 의해서 패널부재(110)의 이면측에 있어서의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걸어맞출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 걸림해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편(36,38)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와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됨으로써 기둥부(14)를 부착구멍(110)에 대해서 자유롭게 빼내거나 끼워넣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체부(12)에는 상기 기둥부(14)의 절결부(34)와 상하방향으로 정합하는 부위에 소정의 가로 폭(전후방향의 폭)을 가지는 깊은 오목부(44)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44) 내에는 본체부(12)와 일체로 성형된 해제레버(46)가 존재한다. 해제레버(46)는 오목부(44)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거의 수평하게 연장되되 그 우단부가 본체부(12)에 접속된 탄성편, 즉 상기 우단부를 힌지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캔틸레버식 탄성편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해제레버(46)는 수평하게 형성하는 것 이외에도 하향 경사각을 부여하여 경사지게 되어 있어도, 또 하측으로 수하되어 있어도 괜찮다.
해제레버(46)의 상면부에는 수평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을 이루는 회동 저지편(48)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 저지편(48)이 해제레버(46)를 통해서 본체부(1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 저지편(48)은 해제레버(46)를 통해서 본체부(12)에 형성하는 것 대신에 기둥부(14)에서 돌출시킴에 의해서 기둥부(14)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해제레버(46)와 회동 저지편(48)의 양측에는 본체부(12)에 형성된 오목부(44)의 내벽(벽부)(44a,44b)이 존재한다.
회동 저지편(48)은 그 선단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레버(46)가 탄성 변형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최상단이 패널 맞닿음 돌기부(35)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이하, 이 위치를 "회동저지위치"라 한다.
이것에 대해서 도 3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레버(46)가 외부 조작에 의해서 하측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는 회동 저지편(48)의 최상단이 패널 맞닿음 돌기부(35)의 상면의 높이와 같은 위치 혹은 이것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이하, 이 위치를 "회동허가위치"라 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부(14)가 부착구멍(110)에 삽입되어 당해 기둥부(14)가 걸림위치에 있고 또한 회동 저지편(48)이 회동저지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회동 저지편(48)의 일측면(48a)이 부착구멍(110)의 전측 개구연부(110a)에 소정의 선분(線分)(L)에 걸쳐서 맞닿게 됨으로써 기둥부(14)의 시계회전방향으로의 회동이 저지된다. 이것에 대해서 회동 저지편(48)이 회동허가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회동 저지편(48)의 일측면(48a)이 부착구멍(110)의 전측 개구연부(110a)와의 맞닿음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기둥부(14)가 상기 걸림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로 회동하는 것이 허가된다.
오목부(44)의 내벽(44a,44b) 중, 회동 저지편(48)의 타측면(48b)이 대향하는 내벽(44b)에는 리브형상의 변위 저지부(59)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변위 저지부(59)는 그 선단면(59a)이 회동 저지편(48)의 타측면(외벽)(48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닿음으로써, 회동 저지편(48)이 후측으로(도 2, 도 4에서의 하측으로), 즉 회동 저지편(48)이 부착구멍(110)의 전측 개구연부(110a)에 맞닿는 측의 반대측으로 변위하는 것을 높은 강성으로 저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 저지편(48)의 일측면(48a)이 부착구멍(110)의 전측 개구연부(110a)에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의 요동이 없으며, 회동 저지편(48)의 일측면(48a)이 부착구멍(110)의 전측 개구연부(110a)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변위가 저지된다.
이어서, 상기 실시예에 관한 선바이져 홀더(10)의 패널부재(100)에 대한 부착·분리에 대해서 주로 도 4,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바이져 홀더(10)의 패널부재(100)에 대한 부착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부(14)를 부착구멍(110)에 대해서 걸림위치에 대응하는 회동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상기 부착구멍(110)에 정합하는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기둥부(14)를 곧게 부착구멍(110)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걸림편(36,38)이 탄성 변형하면서 부착구멍(110)을 통과하고, 통과 후에 탄성 복귀함에 의해서 패널부재(110)의 이면측에 있어서의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선바이져 홀더(10) 전체가 패널부재(100)에 빠짐방지되게 장착된다.
상기한 장착상태에서는 회동 저지편(48)의 최상단이 패널 맞닿음 돌기부(35)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회동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해제레버(46)가 외부 조작되지 않는 한은 회동 저지편(48)의 일측면(48a)이 부착구멍(110)의 전측 개구연부(110a)에 소정의 선분(L)에 걸쳐서 맞닿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기둥부(14)의 시계회전방향으로의 회동, 즉 걸림해제위치로의 회동이 저지됨으로써 선바이져 홀더(10) 전체가 패널부재(100)에 빠짐방지되게 장착되어 있는 상태가 보증된다.
상기 걸림해제위치로의 회동 저지는 회동 저지편(48)이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맞닿음으로써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착구멍(110)의 형상은 단순한 직사각형이어도 되며, 따라서 부착구멍(110)의 형상을 복잡하게 하는 일이 없고, 또한 열쇠형상홈과 같은 걸어맞춤에 의한 회동 저지에 비해서 고강성을 갖게 할 수 있어 충분한 회동 저지 강도를 간단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회동 저지는 회동 저지편(48)이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소정의 선분(L)에 걸쳐서 맞닿음으로써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층 더 충분한 회동 저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변위 저지부(59)의 선단면(59a)이 회동 저지편(48)의 타측면(48b)에 맞닿음으로써, 회동 저지편(48)이 후측{회동 저지편(48)이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맞닿는 측의 반대측}으로 변위하는 것이 저지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 저지 강도가 더 향상됨과 아울러 해제레버(46)의 폭방향(전후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하더라도 해제레버(46)가 파손되는 일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바이져 홀더(10)의 패널부재(100)에 대한 부착은, 선바이져 홀더(10)의 기둥부(14)를 곧게 패널부재(100)의 부착구멍(110)에 삽입하는 것만에 의해서, 즉 1액션에 의해서 작업성 좋게 할 수 있다.
선바이져 홀더(10)를 패널부재(100)에서 분리할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T)의 선단을 오목부(44)에 삽입하고, 이 공구(T)에 의한 외부 조작에 의해서 해제레버(46)를 눌러내린다. 공구(T)의 선단의 오목부(44) 내로의 삽입은 오목부(44)의 내벽(44a,44b)에 의해서 안내되기 때문에, 어긋나는 일 없이 작업성 좋게 할 수 있는 것이 보증된다.
해제레버(46)를 눌러내림에 의해서 회동 저지편(48)이 회동허가위치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회동 저지편(48)의 최상단이 패널 맞닿음 돌기부(35)의 상면의 높이와 같은 위치 또는 이것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와의 맞닿음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기둥부(14)가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선바이져 홀더(10) 전체를 부착구멍(110)에 대한 삽입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로 소정의 회전각(θ)만큼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기둥부(14)를 걸림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로 회동 변위시킨다. 기둥부(14)가 걸림해제위치에 위치하면, 기둥부(14)를 부착구멍(110)에서 빼낸다. 이것에 의해서 선바이져 홀더(10)의 분리가 완료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관한 부착구를 선바이져 홀더로서 실시한 제 2 실시예를 도 7∼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도 10에 있어서, 도 1∼도 6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기둥부(14)의 전측 좌반분이 전측 경사면부(50)로 되어 있다. 전측 경사면부(50)는 기둥부(14)의 전측의 좌우방향의 대략 1/2의 위치와 기둥부(14)의 좌측의 전후방향의 대략 1/2의 위치를 평면으로 접속하는, 전측 평행면부(24)에 대해서 후측으로 경사진 경사면부이다.
기둥부(14)의 좌측 후반분은 좌측면부(52)로 되어 있다. 좌측면부(52)는 후측 평행면부(26)와 전측 경사면부(50)를 접속하는 면부이다.
좌측면부(52)에는 회동 저지편(54)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 저지편(54)은 좌측면부(52)에 형성된 상변을 제외한 3변의 슬릿(55)에 의해서 획정되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긴 직사각형상을 이루며, 좌측면부(52)의 일반적인 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회동 저지편(54)의 하측에 연장부가 있으며, 이 연장부는 해제레버(56)로 되어 있다. 해제레버(56)의 선단(하단)은 본체부(12)에 형성된 오목부(58) 내에 있으며, 양측이 오목부(58)의 내벽(58a,58b)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회동 저지편(54)은 제 1 실시예의 회동 저지편(48)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것이며, 해제레버(56)를 외부 조작에 의해서 우측으로 누름으로써 회동허가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 - 선바이져 홀더 12 - 본체부
14 - 기둥부 36,38 - 걸림편
44 - 오목부 46 - 해제레버
48 - 회동 저지편 54 - 회동 저지편
59 - 변위 저지부 100 - 패널부재
110 - 부착구멍

Claims (11)

  1. 패널부재(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착구로서,
    상기 패널부재(100)의 표면에 배치되는 본체부(12)와 상기 패널부재(100)에 관통되게 형성된 부착구멍(110)에 삽입되는 기둥부(14)를 일체로 가지며,
    상기 기둥부(14)에는 걸림편(36,38)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2) 혹은 상기 기둥부(14)에는 회동 저지편(48,54)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14)는, 상기 패널부재(100)의 이면측에서 상기 걸림편(36,38)이 상기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걸어맞춰져서 상기 패널부재(100)에 빠짐방지되게 장착되는 걸림위치와,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부착구멍(110)에 대한 삽입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로 소정의 회전각(θ)만큼 회동 변위함에 의해서 상기 걸림편(36,38)이 상기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와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부착구멍(110)에 대해서 빼내거나 끼워넣을 수 있는 걸림해제위치에 위치하는 회동 가능한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 저지편(48,54)은,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맞닿아서 상기 기둥부(14)의 상기 회동을 저지하는 회동저지위치와, 외부 조작에 의해서 상기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와의 맞닿음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기둥부(14)의 상기 회동을 허가하는 회동허가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 저지편(48)은 상기 회동저지위치에서 상기 패널부재(100)에 관통되게 형성된 다각형 형상의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소정의 선분(L)에 걸쳐서 맞닿음으로써 상기 기둥부(14)의 상기 회동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36,38)은 탄성 변형 가능한 역지형상을 이루며, 상기 기둥부(14)가 상기 걸림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부착구멍(110)을 통과하고, 통과 후에 탄성 복귀함에 의해서 상기 패널부재(100)의 이면측에 있어서의 상기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걸어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36,38)은 탄성 변형 가능한 역지형상을 이루며, 상기 기둥부(14)가 상기 걸림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부착구멍(110)을 통과하고, 통과 후에 탄성 복귀함에 의해서 상기 패널부재(100)의 이면측에 있어서의 상기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걸어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저지편(48)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며, 탄성 변형에 의해서 상기 회동저지위치와 상기 회동허가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저지편(48)이 외부 조작되는 부분은 상기 본체부(12) 측에 있으며, 상기 본체부(12)는 상기 회동 저지편(48)이 외부 조작되는 부분의 적어도 편측에 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동 저지편(48)이 외부 조작되는 부분은 상기 본체부(12) 측에 있으며, 상기 본체부(12)는 상기 회동 저지편(48)이 외부 조작되는 부분의 적어도 편측에 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저지편(48)이 상기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맞닿는 측의 반대측인 상기 회동 저지편(48)의 외벽(48b)과 맞닿아서, 상기 회동 저지편(48)이 상기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맞닿는 측의 반대측으로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는 변위 저지부(59)가 상기 본체부(12)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구.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동 저지편(48)이 상기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맞닿는 측의 반대측인 상기 회동 저지편(48)의 외벽(48b)과 맞닿아서, 상기 회동 저지편(48)이 상기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맞닿는 측의 반대측으로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는 변위 저지부(59)가 상기 본체부(12)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구.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동 저지편(48)이 상기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맞닿는 측의 반대측인 상기 회동 저지편(48)의 외벽(48b)과 맞닿아서, 상기 회동 저지편(48)이 상기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맞닿는 측의 반대측으로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는 변위 저지부(59)가 상기 본체부(12)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구.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동 저지편(48)이 상기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맞닿는 측의 반대측인 상기 회동 저지편(48)의 외벽(48b)과 맞닿아서, 상기 회동 저지편(48)이 상기 부착구멍(110)의 개구연부(110a)에 맞닿는 측의 반대측으로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는 변위 저지부(59)가 상기 본체부(12)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구.
KR20100037512A 2009-04-24 2010-04-22 부착구 KR101181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05857A JP5265442B2 (ja) 2009-04-24 2009-04-24 取付具
JPJP-P-2009-105857 2009-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525A true KR20100117525A (ko) 2010-11-03
KR101181574B1 KR101181574B1 (ko) 2012-09-10

Family

ID=4299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7512A KR101181574B1 (ko) 2009-04-24 2010-04-22 부착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265442B2 (ko)
KR (1) KR101181574B1 (ko)
CN (1) CN1018702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5179A1 (ja) * 2012-10-25 2014-05-0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サンバイザホルダ
JP6300689B2 (ja) * 2014-09-25 2018-03-28 株式会社ユーシン ノブの取付構造
CN108180202B (zh) * 2018-02-01 2024-03-01 北京天智航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快速连接装置及其用途
US11827084B2 (en) * 2019-09-03 2023-11-28 Piolax, Inc. Sun visor holder
CN113459773B (zh) * 2021-06-22 2022-07-19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连接销、玻璃窗及机动车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937Y2 (ja) * 1980-02-04 1985-09-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燃料注入口蓋等の開閉装置における取付構造
JP4252127B2 (ja) * 1998-06-23 2009-04-08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窓ガラス取付用クリップ及び窓ガラスの配置方法
EP1695850B1 (en) * 2001-05-11 2009-09-23 Yazaki Corporation Bracket Connecting Structure
JP2003120628A (ja) * 2001-10-18 2003-04-23 Nifco Inc 物品固定用クリップ
JP3978076B2 (ja) * 2002-05-14 2007-09-19 竹内工業株式会社 固定具
JP2004144158A (ja) * 2002-10-23 2004-05-20 Piolax Inc パネル孔への取付け具
DE102005009277B4 (de) * 2005-02-25 2008-07-31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Halterung für eine Kompone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65442B2 (ja) 2013-08-14
KR101181574B1 (ko) 2012-09-10
JP2010255731A (ja) 2010-11-11
CN101870246A (zh) 201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574B1 (ko) 부착구
CN109328153B (zh) 摄像头单元
JP5061780B2 (ja) リヤバンパカバーの構造
JP5137017B2 (ja) 部品を結合するための接続部材
US10458161B2 (en) Inside handle support member for vehicle door
JP2005042770A (ja) クランプの係止構造
JP2008120356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アンカー装置及びパーテーショントリム
WO2017203935A1 (ja) 回転コネクタおよび回転コネクタの固定構造
JP4958656B2 (ja) 自動車用の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5104399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用側部カバーの取付構造
JP3772253B2 (ja) 止着具
JP5271547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のロックユニット取付部構造
JP4797825B2 (ja) 円形状部品の車体への取付け構造
US20130147212A1 (en) Glove compartment device
US10894518B2 (en) Door trim
EP3170415B1 (en) Helmet
JP2000245032A (ja) 自動車用部品のロック構造及び電気接続箱
US11273767B2 (en) Roof console device for vehicle
JP4138103B2 (ja) ボックスの取付構造
US20240093540A1 (en) Door lock assembly
JP2017043162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WO2024005169A1 (ja) バンパリテーナ及び車両用部品の取付構造
JP4629074B2 (ja) 遊技機
JP6006916B2 (ja) メータユニットの取付構造
EP3553262B1 (en) Hand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