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609A - 원료 공급 방법, 원료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마쇄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료 공급 방법, 원료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마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609A
KR20100116609A KR1020107017908A KR20107017908A KR20100116609A KR 20100116609 A KR20100116609 A KR 20100116609A KR 1020107017908 A KR1020107017908 A KR 1020107017908A KR 20107017908 A KR20107017908 A KR 20107017908A KR 20100116609 A KR20100116609 A KR 20100116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liquid
solid
cylindrical body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3274B1 (ko
Inventor
모토나리 아마노
토루 아와즈
마사히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타카이 토후 앤 소이 밀크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카이 토후 앤 소이 밀크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카이 토후 앤 소이 밀크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16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B02C23/36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the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being submerged in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02C7/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with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고체 원료를 액체 원료에 적절한 비율로 침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브리지 현상을 생기게 하지 않고 정량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수직자세의 통 형상체(4)와, 통 형상체(4)의 하방에 배치되고 고체 원료(6)를 일정량씩 내보내는 정량 배출 수단(7)과, 액체 원료(8)의 수위를 제어하는 수위 제어 수단(10)을 구비하고, 상기 통 형상체(4)에 고체 원료(6)와 액체 원료(8)를 넣고, 액체 원료(8)의 수위를 제어하면서 고체 원료(6)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정량 배출 수단(7)에 보내어 정량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료 공급 방법, 원료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마쇄 시스템{METHOD OF RAW MATERIAL SUPPLY, RAW MATERIAL SUPPLY APPARATUS AND GRIND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체 원료와 액체 원료를 투입 공급하고 하방측으로부터 배출하는 원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두유는, 대두를 물과 함께 마쇄하여 얻어지는 콩물로부터 제조되지만, 이 제조시에, 대두와 물을 공급하는 호퍼(원료 공급 장치)가 사용된다. 종래의 이 종류의 호퍼(원료 공급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나 2에 개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본원 출원인은 곡물이나 의약 원료 등의 고체 원료를 액중 마쇄 장치에 의해 분쇄·마쇄하는 장치로서, 특허문헌 3과 4를 이미 제공하고, 여기에, 호퍼(원료 공급 장치)를 예시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의 도 15∼도 18).
일본 특개 평7-144140호 공보 일본 특개 2005-304474호 공보 일본 특개 2006-15206호 공보 일본 특개 2007-69206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호퍼(원료 공급 장치)에서는, 호퍼의 배출구에 있어서, 원료가 브리지를 이루어 머무는 현상(브리지 현상)이 발생하여, 정량적으로 배출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고체 원료에 물을 첨가하여 공급하는 경우, 예를 들면, 탈피하거나 조분쇄한 대두를 물에 침지하여 공급하는 경우에, 특히 브리지 현상이 생기기 쉽다. 탈피하거나 조분쇄한 고체 원료를 액체 원료로 침지하면, 고체 원료의 용출 성분이나 물의 표면장력에 의한 점착성이 증가하여, 탱크나 배관, 계량기의 내벽에 부착되어 취급이 곤란하게 된다. 예를 들면, 대두에는, 단백질, 지방질, 당질 등의 성분이나 각종 효소가 존재하는데, 대두를 분쇄한 것에 물을 가하면, 상기 성분이 물에 녹기 시작하고, 점착력이 증대하여 그 취급이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는 이러한 상태가 되기 전에 계량하고, 다량의 물에 분산하는 등, 가능한 한 취급하기 쉽도록 궁리하고 있었다. 또한 침지 대두와 같이, 대두 성분이 용출한 것은, 물에 분산해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공정 자체, 뱃치 처리를 부득이하게 하고 있었다.
또, 물에 침지한 상태의 대두(분쇄한 것을 포함함)를 정량적으로 취출하려고 하면, 물과의 침지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한편, 배출할 때는 대두(분쇄한 것을 포함함)만 취출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어, 이러한 취출 방식은 상기 종래의 호퍼(원료 공급 장치)에서는 할 수 없었다. 그리고, 물에 대두의 성분이 용해된 콩물은 거품이 발생하기 쉽고, 마쇄 장치로부터 호퍼(원료 공급 장치)에 걸쳐 거품으로 충만해 버리는 문제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고체 원료를 액체 원료에 적절한 비율로 침지한 상태에서, 호퍼(원료 공급 장치)으로만, 고체 원료와 액체 원료가 공급되는 경우에, 고체 원료만을 정량적으로 내보내거나, 분쇄하거나 할 수 있으면, 마쇄 장치 등의 다른 장치와의 연결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그러한 간이한 구조의 장치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체 원료를 액체 원료에 적절한 비율로 침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브리지 현상을 생기게 하지 않고 정량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다음 공정의 마쇄 장치 등에 보낼 때에 거품에 의한 영향을 회피하고, 게다가 이 장치만으로 콩물 등을 제조할 수 있는 원료 공급 방법과 정량 공급 방법, 그리고 이것을 사용한 마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원료 공급 방법은, 고체 원료를 액체 원료와 함께 투입 공급하고, 액체 원료의 수위를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고체 원료를 수직자세의 통 형상체에 통과시켜 하방으로 자중이 걸리도록 하고, 그 하방에 배치되는 정량 배출 수단으로 보내어 정량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료 공급 장치는, 고체 원료와 액체 원료를 투입 공급하고 하방측으로부터 배출하는 원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수직자세의 통 형상체와, 통 형상체의 하방에 배치되고 고체 원료를 일정량씩 내보내는 정량 배출 수단과, 액체 원료의 수위를 제어하는 수위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 형상체에 고체 원료와 액체 원료를 넣고, 액체 원료의 수위를 제어하면서 고체 원료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정량 배출 수단에 정량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정량 배출 수단은, 다른 어떠한 장치와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콩물 등의 제조시에는, 마쇄 장치나 액중 마쇄 장치와 직결시키거나, 일단 호퍼 등으로 받은 후에 마쇄 장치나 액중 마쇄 장치에 직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정량 배출 수단으로서는 자흡식(自吸式)으로 작은 단위로 잘라 내는 정량 펌프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로터리 펌프, 모노 펌프, 기어 펌프, 베인 펌프, 모노플렉스 펌프, 호스 펌프(튜브 펌프), 플런저 펌프 등의 용적식 펌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원료 공급 장치에 물에 침지시킨 고체 원료를 공급하면, 통 형상체의 작용에 의해 고체 원료가 기둥 형상체를 형성하는 형태로 되어, 고체 원료의 자중이 하방향으로 유효하게 가해지게 된다. 즉, 수위 제어에 의해 액체 원료와의 적절한 침지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체 원료가 물에 부유하지 않고, 고체 원료만이 기둥 형상을 형성하는 형태로 되어, 종래와 같이 브리지 현상을 생기게 하는 일은 없어진다. 그 결과, 그 하방에 배치된 정량 배출 수단에 고체 원료가 적정한 힘으로 밀어 넣어지고, 정량 배출 수단에 공급되면, 정량 배출 수단으로부터는 항상 고체 원료가 일정량씩 내보내진다. 내보내지는 고체 원료는 물이 부착되어 있지만, 여분의 물은 없는 상태이다. 또한, 고체 원료를 밀어 넣는 압력은, 액체 원료와의 비중차와 액위(液位) 이상의 고체 원료의 높이의 조정에 의해 결정되고, 고체 원료의 높이가 액체 원료의 액위 이상일 때, 고체 원료와 액체 원료가 균형있게 공급된다.
본 발명으로서는, 상기 정량 배출 수단의 하방에 마쇄 장치 또는 액중 마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정량 배출 수단의 배출구와 마쇄 장치 또는 액중 마쇄 장치의 공급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체 원료의 마쇄가 행해지는데, 액중 마쇄 장치의 경우에는, 여분의 물이 수반되지 않는 상태에서 고체 원료가 공급되고, 이 액중 마쇄에서 충분한 물(분쇄수)과 혼합하여 마쇄된다. 이 때문에, 마쇄된 고체 원료가 공기(산소)와 접촉하지 않아, 산화반응에 의한 품질 저하가 회피된다. 여기에서 특히, 상기 정량 배출 수단의 하방에 테이퍼진 유연성 소재,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수지)제의 통 형상 배출구를 배치함으로써, 콩물과 같은 거품을 발생시키기 쉬운 액체이어도, 거품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공기(산소)를 유입하는 현상을 억제하여, 마쇄 장치 등의 다음 공정의 장치에 정량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유연성 소재이면 되고, 마포나 철사제 쥐침입 방지구 등과 같은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량 배출 수단의 다음 공정에서 고체 원료의 미분쇄 공정을 설치하여, 이 원료 공급 장치만으로 콩물 등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원료의 수위를 제어하면서 고체 원료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정량 배출 수단으로 보내므로, 고체 원료가 브리지 현상을 생기게 하거나, 고체 원료가 액체 원료의 양이 많아, 고체 원료가 부유시키거나 하지 않고, 고체 원료를 액체 원료에 적절하게 침지한 상태에서 정량 배출 수단에 의해 일정량씩 고체 원료를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액중 마쇄 장치와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정량 배출 수단(7)을 계량기와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겸용시킴으로써 비용을 억제할 수 있고, 진동시키는 장치를 사용할 필요도 없이, 고체 원료를 마쇄하고, 슬러리 형상으로 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특히 콩물의 제조에 있어서는, 상기 정량 배출 수단의 다음 공정에서 고체 원료의 미분쇄 공정을 두어, 원료 공급 장치만으로 콩물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료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장착한 액중 마쇄 장치의 1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료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장착한 액중 마쇄 장치의 1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료 공급 장치의 1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료 공급 장치의 1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료 공급 장치의 1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료 공급 장치의 1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원료 공급 장치의 1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원료 공급 장치의 1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원료 공급 장치를 사용한 마쇄 시스템의 1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원료 공급 장치를 사용한 마쇄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원료 공급 방법, 원료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마쇄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원료 공급 장치)
본 발명의 원료 공급 장치(1)는 수직자세의 통 형상체(4)와, 통 형상체(4)가 배치되는 호퍼(5)와, 통 형상체(4)의 하방에 배치되고 고체 원료(6)를 일정량씩 내보내는 정량 배출 수단(7)을 구비한다. 도 1과 도 2는 원료 공급 장치(1)의 액중 마쇄 장치(12)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예에서는, 세로타입의 액중 마쇄 장치(12)의 상방에 설치된 원료 공급 구멍(3)에 접속하는 형태이며 원료 공급 장치(1)가 부착되어 있다. 도 1과 도 2는, 정량 배출 수단의 날개에 차이가 있을 뿐이며, 그 밖은 동일한 구조이다. 또한, 액중 마쇄 장치(1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호퍼(5)는 고체 원료(6)와 액체 원료(8)를 투입 공급하는 것으로, 통상의 호퍼와 동일하게, 금속판이나 플라스틱판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호퍼(5)는 원통형상이며, 그 하방에는 깔때기 형상(역원추형)의 액저류부(5d)가 설치되고, 그 최하단 중앙에 배출구(5a)가 설치되어 있다. 액저류부(5d)에는, 액체 원료(8)가 항상 일정량 모아진 상태로 된다. 호퍼(5)에는 호퍼(5) 내의 액체 원료(8)의 액위를 검지하는 액위 센서(1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도 4). 도 4의 예에서는, 고체 원료(6)와 함께 액체 원료(8)가 많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펌프(P)에 의해 액체 원료(8)를 배출하면서 액위를 유지하는 것이며, 고체 원료(6)와 함께 보내지는 액체 원료(9)가 적은 경우에는 펌프(P)에 의해 액체 원료(8)를 공급하여 액위를 유지하는 구조이다.
호퍼(5)의 내측에는, 통 형상체(4)가 설치되어 있다. 통 형상체(4)는 여분의 액체 원료와 분리하여 고체 원료(6)를 공급하기 위하여 수직자세로 설치되는 것이며, 개방된 상단 부분에는, 고체 원료(6)의 투입을 행하기 위한 투입구를 갖는다. 통 형상체(4)의 형상은 내경이 일정한 스트레이트이지만,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로 내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하여, 공급되는 고체 원료(6)를 좁혀 넣는 것과 같이 정량 배출 수단(7)으로 이행시킨다. 또한,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로 내경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해도 되고, 이와 같이, 통 형상체(4)의 형상을, 하방을 향하여 직경확장되는 테이퍼를 가진 형상으로 함으로써, 이 속에 공급된 고체 원료(6)를, 자중에 의해 신속하게 정량 배출 수단(7)으로 이행(낙하)시킬 수 있다. 또, 통 형상체(4)에 대한 부착을 막는 효과도 있다.
상기 호퍼(5)로서는 상기 통 형상체(4)의 형상 그 자체로 할 수 있다. 상기 호퍼는, 상기 다공 통 형상체(4)에 의해, 이중의 통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호퍼(5)가 일정한 스트레이트인 통 형상체로 하는 하방으로 정량 배출 수단(7)을 배치하고 있다. 통 형상체(4)의 형상으로서 스트레이트인 내경의 것에 한하지 않고, 원추대 형상, 사각형, 사각추형, 다각형, 다각추형 등, 각통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의 예에서는, 통 형상체(4)가 호퍼(5)를 겸용하고 있어, 이 구조에서는 구멍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호퍼(5)의 하방, 즉 정량 배출 수단(7)의 상방위치에서 저장탱크(Tb)에 저장된 액체 원료(8)가 배관(Tba)을 통하여 공급된다. 또, 고체 원료(6)와 함께 액체 원료(8)가 과잉으로 공급된 경우에는 배관(Tba)을 통하여 저장탱크(Tb)로 흘러나가, 통 형상체 내부의 액체 원료(8)의 액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7의 예에서는, 특별한 액위 제어 시스템의 필요도 없다.
상기 통 형상체(4)는 호퍼(5)로부터 공급되는 액체 원료(8)를 투과시킬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다수의 구멍(4a)을 갖는 다공질의 통 형상체(다공 통 형상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구멍(4a)은 고체 원료(6)의 호퍼(5) 내로의 이행을 막을 수 있고, 게다가 눈막힘이 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들을 고려하면, 상기 통 형상체(4)의 각 구멍(4a)의 크기는, 예를 들면, 고체 원료(6)의 단직경 이하, 바람직하게는 단직경의 2분의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고체 원료(6)가 대두이나 소두 등의 원료일 경우, 각 구멍(4a)의 구체적인 크기로서는 단직경 또는 최소폭이 0.1mm∼1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mm∼5mm이다. 또한, 각 구멍(4a)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긴 구멍, 슬릿 등, 임의의 구멍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통 형상체(4)의 재질로서는 금속(SUS304나 SUS316 등의 스테인리스, 티탄, 알루미늄 등), 수지[폴리프로필렌 수지(PP), 폴리에틸렌 수지(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염화비닐 수지(PVC), 염화비닐리덴 수지(PVD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불소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PA),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MF), 페놀 수지(PF), 우레아수지(UF), ABS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옥시벤조일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락트산 수지 등의 생분해성 플라스틱류], 천연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이소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우레탄 고무, 클로로피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등의 합성 고무 등의 부재나, 이것들의 복합재, 용융 혼합재(예를 들면, 불소+폴리프로필렌 등)나 라미네이트재나 FRP재나 망재, 발포화(연통성이 있는 발포), 소결 가공품(통기성 또는 통액성의 있는 것), 세선화 또는 섬유 또는 방사화·중공사화 등 실 형상으로서 여과포 형상으로 한 가공품, 판재, 필름재, 시트재, 성형·절삭가공품 등을 들 수 있다. 세라믹제(유약 등 표면 평활화 가공 등), 유리(경질유리, 석영유리 등)제, 목제, 수지제 여과포, 망 형상 등 어느 형태이어도 된다. 금속제이면, 세선화하여 철망 형상으로 하거나, 내면을 경면연마하거나, 연마판이나 디봇 가공 등 고체 원료의 표면마찰, 구름마찰이 적은 면을 내측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딩성이 높은 불소 수지 등으로 내면을 코팅해도 된다. 상기 다공(4a)을 가공할 때, 발생하는 버의 제거, 모따기 가공은 물론이지만, 레이저 가공, 펀칭 가공에 의해서도 판재의 표리에서 다소의 저항값이 생기는 경우, 가능한 한 저항이 적은 면을 내면으로 한다.
여기에서, 도 1과 도 2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호퍼(Bt)가 배치되고, 이 제 2 호퍼(Bt) 내의 액체 원료(8)의 액위를 검지하는 액위 센서(수위 제어 수단)(10)가 설치되어 있다. 액중 마쇄 장치(12)에서는 액중 분쇄가 행해지는데, 제 2 호퍼(Bt) 내에서 액체 원료(8)의 액위가 지나치게 저하되면, 액중 마쇄 장치(12)에 공급되는 원료 중에 공기가 혼입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 액위 센서(10)에 의해 액체 원료(8)의 액위를 감시하고, 공기의 혼입을 방지한다. 액위 센서(10)로서는 압력센서, 자왜식 센서, 플로트식 센서, 초음파식 센서, 레이저식 센서, 레이더파식 센서 등, 임의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액위의 조정은, 예를 들면, 액위 센서(10)의 신호를 조절계에 입력하고, 후술의 배수구에 설치된 펌프나 밸브 등의 유량 제어 장치에 대하여, 온-오프 제어나 PID 제어를 행한다. 상기 액위 센서(1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호퍼(5)의 액체 원료(8)의 액면(e)도 마찬가지로 레벨 센서를 사용하여 컨트롤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단지 오버플로우 하는 구조이어도 된다.
상기 통 형상체(4)의 배출구에는 정량 배출 수단(7)이 연결되어 있다. 도 6의 형태의 정량 배출 수단(7)은 계량기와 제류 기능을 겸용하고 있다. 액중 마쇄방식의 경우 계량 장치와 제류 장치를 겸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액체 원료의 액위 제어는 어느 방법과 조합해도 된다. 정량 배출 수단(7)에 있어서의 고체 원료(6)의 공급량은 인버터에 의해 제어된다. 정량 배출 수단(7)으로서는 자흡식으로 고량 단위로 잘라내는 정량 펌프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로터리 펌프, 모노 펌프, 기어 펌프, 베인 펌프, 모노플렉스 펌프, 호스 펌프(튜브 펌프), 플런저 펌프 등의 용적식 펌프가 바람직하다.
정량 배출 수단(7)의 계량기와 제류 기능으로서는, 「박스」 형상의 것이 회전하는 것과 같은 것이거나, 또한, 적어도 하나의 날개차(이 날개차는 1축회전 베인, 2축회전 베인, 또는 스크루 나선 날개 등을 들 수 있다.)를 갖는 동적 제류 수단(가동형)을 가짐으로써 대응 가능하다.
정량 배출 수단(7)의 배출측은 통 형상 배출구(Sr)가 부착되어 있다. 통 형상 배출구(Sr)는 액중 마쇄 장치(12)의 공급구(3)와 연결되는 제 2 호퍼(Bt)의 액면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1(a), (b)). 통 형상 배출구(Sr)는 실리콘 수지제이고, 그 하방 선단이 테이퍼져 있어, 원료가 통과하지 않을 때는 평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량의 액체 원료를 포함한 고체 원료를 제 2 호퍼(Bt)의 액면 아래로 배출한다. 또한, 정량 배출 수단(7)으로부터의 배출량이 많아졌을 때이더라도 팽창하는 상기 재질이기 때문에, 배출량의 증가에도 대응 가능하다.
여기에서, 도 3으로부터 도 8은 원료 공급 장치(1)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호퍼(5)의 배출구(5a)에 액체 원료(8)를 공급하는 것이며, 이 도 3의 예에서는, 통 형상체(4)에는, 고체 원료(6)만을 공급하고, 통 형상의 적층상태로 하여, 그 배출구(5a)에서 연결상태의 배관(T4)에 의해 액체 원료(8)와 혼합하는 것이지만, 고체 원료(6)와 함께 액체 원료(8)를 공급함으로써, 통 형상체(4)의 내부에서 브리지가 형성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브리지를 무너뜨리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3의 예에서는, 항상 액을 순환할 필요가 없이, 예를 들면, 액위 센서의 감지로 액체 원료(8)의 공급을 정지할 수 있다.
도 5는 호퍼(5)의 하방에 액체 원료를 배출하는 배출구(5c)가 설치되고, 이 배출되는 액체 원료(8)를 저장하는 저장탱크(Tc)와, 저장한 액체 원료(8)를 공급하는 공급경로(Td)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호퍼(5)의 액면(e)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사용한 액체 원료(8)를 순환하고, 다시 호퍼(5)로 되돌려서 순환한 사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고체 원료(6)와 함께 액체 원료(8)가 공급되는 경우에, 액체 원료(8)를 버리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탱크(Tc)로부터 분쇄부 등, 다른 장소에서 재이용도 가능하다.
도 8은, 정량 배출 수단(7)의 배출측에 더욱 미분쇄 수단(Ss)을 배치한 예이다. 이 예에서는, 고체 원료로서 조분쇄된 원료와 액체 원료(8)와 함께 통 형상체(4)에 투입 공급하고, 통 형상체(4)에 의해 고체 원료와 액체 원료를 통과시키고 일단 양자를 분리한 후, 고체 원료(6)를 미분쇄 수단(Ss)에 의해 미분쇄 한다. 미분쇄 수단(Ss)은 정량 배출 수단(7)에 가능한 한 가까이 설치한다. 미분쇄 수단(Ss)으로서는, 예를 들면, 회전형(맷돌식 등; 축은 마쇄 장치의 회전축과 공용해도, 별도 구동으로 해도 됨), 2축 롤형, 1축 롤형, 회전 커터형, 해머밀형, 제트밀형, 1축 또는 2축형 스크루형 압출기(민치형) 등의 분쇄 수단이다. 각 2축 롤형의 경우, 서로의 회전수를 달리함으로써(인버터나 기어 변속기, 벨트 풀리 직경 등의 변속 수단에 의해), 더욱 분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고체 원료(6)를 미리 미분쇄 함으로써 후술하는 액중 마쇄 장치(12)의 마쇄부에서의 분쇄 부하가 내려간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모터 부하전류가 낮아져, 고체 원료(6)의 분쇄 처리능력이 향상되고, 조정범위도 넓어진다. 또한 모터 부하가 저하되는 만큼, 회전수를 올리는 것에 의해서도, 고체 원료(6)의 처리능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의 예에서는, 미분쇄 수단(Ss)에서 미분쇄된 고체 원료(6)는 제 2 호퍼(Bt)에 받아들여져 액중 마쇄 장치(12)에 공급되는데, 통상의 마쇄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쇄 장치)
본 실시형태의 원료 공급 장치(1)는 그 하방측에 배치되는 액중 마쇄 장치(12)와 연결되어 있다(도 1, 도 2). 액중 마쇄 장치(12)와 연결은, 상기 통 형상 배출구(Sr)로부터 배출되는 고체 원료(6)를 받는 제 2 호퍼(Bt)와, 제 2 호퍼(Bt)와 연결되는 정량 펌프(제 2 정량 펌프)(9)를 통하여 액중 마쇄 장치(12)와 연결되어 있다. 제 2 정량 펌프)(9)는 계량기와 제류 기능을 겸용할 수 있다. 마쇄 시에는, 액면 제어가 중요하며, 배출구(13)를 밀폐하면서 정량 펌프(Pc)를 연결하여, 공기의 침입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제 2 호퍼(Bt)에는, 마쇄수가 공급되고, 제 2 호퍼(Bt) 내의 마쇄액의 액위를 검지하는 액위 센서(10)가 배치되어 있다.
액중 마쇄 장치(12)는 이 장치에 투입 공급된 고체 원료(6)를 마쇄하는 맷돌 형상의 지석(砥石)(마쇄부)(11)을 구비한 마쇄실을 갖고, 여기에서 고체 원료(6)를 갈아 으깨고, 슬러리 형상으로 한다. 액중 마쇄 장치(12)에서는, 예를 들면, 원료공급 구멍(3) 및 배출구(13)를 막으면, 마쇄실(12) 내는 기밀이고 누설이 없는 구조인 것이 필요조건이지만, 다소 누설이 있어도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액중 마쇄 장치(12)의 기밀구조와, 원료 공급 장치(1)의 조합에 의해, 액중 분쇄를 안정하게 실현할 수 있어, 산화반응을 충분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액중 마쇄 장치(12)의 마쇄실에 설치되는 지석(11)은, 예를 들면, 고정지석(11a)과 회전지석(11b)으로 구성되고, 고정지석(11a)의 중앙에 설치된 구멍으로부터 고정지석(11a)과 회전지석(11b) 사이에 고체 원료(6)가 도입되고 갈아 으깨진다. 고정지석(11a) 및 회전지석(11b)에는, 금속제의 지석이나 세라믹제의 지석, 다공질 지석 등, 임의의 지석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 고정지석(11a)이나 회전지석(11b)은, 액체 원료(8)가 스며들지 않도록, 비침투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고정지석(11a)나 회전지석(11b)이 다공질이고 투수성, 통수성이 있는 경우에는, 마쇄시, 회전지석(11a)의 원심력이나 내압에 의해, 고정지석(11a)이나 회전지석(11b)을 액체 원료(8)가 빠져나가, 고체 원료(6)와 액체 원료(8)의 밸런스가 무너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고정지석(11a)이나 회전지석(11b)을 비침투성 재료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상기 밸런스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급 장치, 액중 마쇄 장치의 구성은, 상기의 것에 한하지 않고, 여러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예는, 통상의 마쇄 장치(액중 마쇄 장치가 아닌 마쇄 장치)(12B)의 공급구(3)에 상기 정량 배출 수단(7)의 배출구(7a)와 연결시킨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원료 공급 장치(1)는 통 형상체(4)에 의해 고체 원료(6)와 액체 원료(8)를 통과시켜 일단 양자를 분리하는 것이며, 상기 통상의 마쇄 장치(12B)와 직접 연결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원료 공급 장치를 사용한 마쇄 시스템과 원료 공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원료 공급 방법은 고체 원료(6)를 액체 원료(8)와 함께 투입 공급하고, 액체 원료의 수위를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고체 원료(8)를 수직자세의 통 형상체(4)에 통과시켜 하방으로 자중이 걸리도록 하고, 그 하방에 배치되는 정량 배출 수단(7)에 보내어 배출한다.
고체 원료(6)는, 예를 들면, 곡물(대두, 참깨, 소두, 쌀, 밀·보리 등의 보리류, 옥수수, 낙화생, 코코넛 등의 종자류 등이다. 그것들을, 침지, 탈피, 스팀, 로스팅, 발효, 발아 등 가공된 것도 포함한다. 여기에서, 조분쇄한 대두인 경우에는, 그 성분이 액체 원료(8)와 혼합된다. 조분쇄란 대두를 1/2 나눔, 1/4 나눔, 1/8 나눔, 1/16 나눔, 켜서 자르기, 파괴, 붕괴 등 한 것을 말한다.
낫토, 텐페, 맥아, 로스팅 참깨 등도 포함된다.)이나, 과일(사과, 밀감(귤) 등), 야채(토마토, 양배추, 시금치 등), 근채류(고구마, 감자, 곤약, 자연서, 타로토란, 당근, 무우 등), 해초(미역, 톳, 다시마 등), 차잎, 약초(이들 생원료나 건조품이나 수분 보충으로 원상태로 되돌리는 것 등도 포함한다.), 가축육, 계란, 어육 등이다. 또한 그것들의 미분쇄물이어도 된다. 게다가, 각종 가공식품의 폐기 원료(예를 들면, 비지, 사과액을 짜낸 찌꺼기, 건조면의 부스러기나 조각 등의 파손품)의 재이용 목적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산화를 받기 쉬운 단백질, 불포화 지방산 함유 유지 등의 유지, 폴리페놀, 색소, 비타민 등을 함유하는 식품 잔재의 재이용 목적이어도 된다. 그 밖에, 본 발명은 공기 산화 등에 의해 품질이 변화되는 것과 같은 고체 원료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산화에 의한 품질 열화를 억제할 목적이라면, 금속, 수지, 염료, 자연석, 광석 등의 가공에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고체 원료(6)는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체 원료(8)는, 고체 원료(6)가 대두나 쌀 등의 식품용 원료인 경우, 주로 물이나 음료, 액체 오일, 액체상 식품 등을 사용한다. 물은 온수, 열수, 가압 열수 이외에, 말산, 아세트산(식초도 포함함), 시트르산이나 글루콘산 등의 유기산, 또는 이것들을 포함한 산성 pH 조정 수용액, 수산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중조), 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성 pH 조정 수용액, 염화나트륨 등의 각종 염 용액, 연수, 수돗물, 지하수, 알칼리 이온수, 산성 이온수, 증류수, 아스코르브산나트륨, 아스코르브산(비타민C)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혼합한 물이나 수용액을 포함하고, 음료는 두유, 우유, 과실 주스 음료 등, 액체 오일은 대두유, 채종유 등의 식용유(샐러드 오일, 백교유, 가공유지), 유화제는 액유상의 디아실글리세롤 등 융점이 실온 이하의 것이다. 액체상 식품은 식초, 간장, 소스, 주류 등이다. 물의 경우, 소위 습식 분쇄가 된다. 물은 10℃ 이하의 냉수나 80℃ 이상의 열수나, 탈기 또는 탈산소, 탈금속 이온 처리(예를 들면, 양이온 교환 수지 처리, 음이온 교환 수지 처리, 역침투막 처리 등), pH 조정(약산성 또는 약알칼리성: 산화 효소의 최적 pH를 피하는 처리) 중 어느 하나를 행한 물을 사용하면 한층 효과적이다. 또한 식염, 황산나트륨, 염화칼륨 등의 무기염을 포함하는 액체에서도 효과적인 경우가 있다. 수분이 많은 고체 원료(예를 들면, 과일 등)에서는, 액체 원료(8)는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조쇄된 단계에서 배어나오는 과즙 등이 그 대체가 될 수 있다. 고체 원료(6)가 참깨나 낙화생, 또는 그것들의 로스팅물 등의 경우에는, 대두유나 채종유, 참기름 등의 사용온도에서 액상의 식용유(융점이 낮음) 등을 사용하면, 페이스트 형상의 참깨반죽이나 피너츠 페이스트가 된다. 식용 이외이면 여러 액상의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물 이외의 유기 화합물(에탄올 등의 알코올이나 헥산 등의 유기용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액체 원료(8)에 대해서도,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는, 특히 대두나 밀 등을 원료로 하는 단백질의 겔화력을 이용한 식품인 경우, 풋내 등의 풍미 개선이나 장기 보존성 향상 이외에, 가공 적성 향상(단백질의 SH기의 산화를 억제하여, 탄력이나 식감을 개선)의 목적으로도 적용된다. 대두의 경우, 두유나 두부류, 유부류이다. 예를 들면, 두유이면, 조정 두유, 두유 음료, 두유 젤리, 두유 아이스크림, 두유 요구르트 등, 두부류이면, 연두부(비단두부), 충전두부, 무명두부, 물두부(순두부) 등의 두부류(냉동제품도 포함함), 두꺼운 설튀김, 설튀김, 얇은 설튀김, 유부초밥, 야채두부 튀김 등의 재료(냉동 반제품도 포함함), 냉동두부나 그 동결 전후의 재료, 튀김이면, 유부초밥, 두꺼운 설튀김, 설튀김, 얇은 설튀김, 야채두부 튀김 등의 유부류, 두유표피 건조품이나 두유표피 건조품 두부, 대두 단백질겔·두유 요구르트, 두유 젤리, 두화(douhua) 등의 대두 가공식품에 대하여 유효하게 적용된다. 특히 튀김에 대하여 적용한 경우에는, 제품 중의 유지의 산화나 이상한 냄새 발생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원료 대두는 일본산 대두, 수입 대두, 그것들의 리폭시게나제 유전자 결손종이나, 그것들의 탈피 대두·압편 대두·생대두분 등, 분리 대두 단백질, 농축 대두 단백질 등을 포함한다. 밀의 경우, SH기가 많은 글루텐이나, 초강력분을 얻을 수 있고, 탄력이 강한 국수나 빵 재료, 생밀기울 등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식품이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고체 원료(6)와 액체 원료(8)가 넣어진 저장탱크로부터 원료 공급 장치(1)의 통 형상체(4)에 이들 원료(6와 8)가 투입되면, 고체 원료(6)는 통 형상체(4)의 속에서 기둥 형상체를 구성하고, 자중에 의해 그 배출구(5a)로부터 정량 배출 수단(7)으로 낙하한다. 한편, 호퍼(5) 내의 액체 원료(8)도 통 형상체(4)를 투과하지만, 통 형상체(4)의 구멍(4a)으로부터 배출된다.
통 형상체(4)에 공급된 고체 원료(6)와 액체 원료(8)는, 통 형상체(4)에 투입 공급되면, 액체 원료와 함께 고체 원료가 기둥 형상체를 형성하는 형태로 되어, 고체 원료의 자중이 하방향으로 가해진다. 상기 자중에 의한 고체 원료(6)의 공급은 압입에 의한 공급 등에 비해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그 하방에 배치된 정량 배출 수단으로 고체 원료(6)가 적정한 힘으로 밀어 넣어지고, 정량 배출 수단(7)에 공급되면, 정량 배출 수단(7)으로부터는 항상 고체 원료가 일정량씩 내보내진다. 한편, 액체 원료(8)는 통 형상체(4)의 구멍(4a)으로부터 배출되고, 일정량을 초과하면, 호퍼(5)의 배출구(5c)으로부터 저장탱크(Tq)에 저장된다. 저장된 액체 원료는 호퍼(5)에 되돌려지는 공급경로(T2)에 의해 되돌려진다. 분쇄된 침지 대두와 같이, 그 성분이 물과 혼합된 액체를 호퍼(5)에 되돌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저장탱크(Tq)로부터 마쇄 장치(12)에 공급되는 경로(T3)를 갖고, 분쇄된 침지 대두와 같이, 그 성분이 물과 혼합된 액체를 호퍼(5)에 되돌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액중 마쇄 장치(12) 내에서는, 상기 고체 원료(6)가 마쇄부, 즉 고정지석(11a)과 회전지석(11b) 사이에서 마쇄되고, 슬러리 형상으로 되어 배출구(13)로부터 정량 펌프(Pc)에 의해 배출된다.
(마쇄 시스템(S1))
도 9는 원료 공급 장치(1)를 사용한 마쇄 시스템(S1)의 제 1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료 공급 장치(1)나 액중 마쇄 장치(12)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하게, 원료 공급 장치(1)는 통 형상체(4) 및 호퍼(5)를 구비하고, 액중 마쇄 장치(12)는 고정지석(11a) 및 회전지석(11b)을 구비한다. 또한 원료 공급 장치(1)에 원료(6과 8)를 공급하는 저장탱크(T)가 배치되고, 공급경로(Tk)를 통하여 원료 공급 장치(1)에 공급한다.
액체 원료(8)는 통 형상체(4)의 구멍(4a)으로부터 배출되고, 일정량을 초과하면, 호퍼(5)의 배출구(5c)로부터 저장탱크(Tq)에 저장된다. 저장된 액체 원료는 호퍼(5)에 되돌려지는 공급경로(T2)와, 마쇄 장치(12)에 공급되는 경로(T3)를 갖는다. 이 경로(T3)에는, 유량계(FT)가 설치되고, 조절계(FIC)에서의 연산결과에 기초하여 적정한 펌프 회전수가 되도록 제어되어, 액중 마쇄 장치(12)에 공급된다.
원료 공급 장치(1)의 정량 배출 수단(7)은 계량과 제류 기능을 위해 용적식 펌프가 사용되고, 액중 마쇄 장치(12)의 배출구(13)의 정량 펌프(제 3 정량 펌프)(Pc)도 용적식이다. 이들 2대의 펌프에 끼워진 부분의 압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2개의 정량 펌프(7과 Pc)에 끼워진 구간의 압력을 압력 발신기(PT)로 검출하고, 그 압력이 일정하게 되도록 압력제어 장치(PIC)로 분쇄기 출구의 정량 펌프(Pc)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생성물의 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량 공급할 필요가 있어, 저장탱크(Tq)에 저장된 액체 원료(8)의 공급경로(T3)에서 유량 제어된 것을 공급경로(T3)를 통하여 액중 마쇄 장치(12)에 공급하고 있다. 도 9의 예에서는, 정량 배출 수단(7)으로부터 배출된 고체 원료(6)는 액체 원료(8)와 함께 액중 마쇄 장치(12)에 송입되기 때문에, 거품이 생길 염려가 없음과 아울러, 정량 배출 수단(7)이 제류 장치와 계량기가 겸용하고 있으므로 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여기에서, 원료 공급 장치(1)의 액체 원료(8)의 액면(e) 높이를 제어하는 수단(수위 제어 수단)으로서는, 상기 액위 센서(10) 이외에, 상기 액체 원료(8)를 배출하는 배출경로(T1)와, 배출되는 액체 원료(8)를 저장하는 저장탱크(Tq)와, 저장한 액체 원료(8)를 공급하는 공급경로(T2)로 이루어지는 순환구조에 의해서도 액체 원료(8)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순환구조에 의하면, 고체 원료(6)의 성분이 녹아나온 액체 원료(8)를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마쇄 시스템(S2)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예의 마쇄 시스템(S2)은 정량 배출 수단(7)의 배출구(7a)에 테이퍼진 통 형상 배출구(Sr)를 배치하고, 통 형상 배출구(Sr)의 선단이 제 2 호퍼(Bt)의 액면(e)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1(b)). 즉, 제 2 호퍼(Bt)에는, 제 2 호퍼(Bt)에 설치한 액위 센서(10)에 의해 검지되는 액체 원료(8)의 액위(e)에 기초하여 조절계(LIC) 및 인버터에 의해 배출측의 정량 펌프(Pc)의 회전수(유량)를 제어하고, 제 2 호퍼(Bt) 내의 액체 원료(8)의 액위(e)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제 2 호퍼(Bt) 내의 액위(e)에 연동하여 배출측의 정량 펌프(Pc)의 배출량을 조정함으로써, 정량 펌프(Pc)의 배출량이 지나치게 많거나 지나치게 적거나 하여, 제 2 호퍼(Bt) 내의 액위가 지나치게 저하되거나, 반대로 호퍼(5)로부터 액체 원료(8)가 넘쳐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10의 마쇄 시스템(S2)에서는, 도 9의 마쇄 시스템(S1)과 비교하면, 제 2 호퍼(Bt)에서의 거품생성을 발생할 수 있지만, 테이퍼진 실리콘 수지제의 통 형상 배출구(Sr)에 의해, 거품생성이 억제된다. 또한 계량부를 갖는 정량 배출 수단(7)의 회전은 마쇄 장치측의 정량 펌프(9)와는 독립해 있으므로, 다른 제어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대두과 물이 각각 소정량 투입된 것을 호퍼(5)의 액면(e)를 유지하도록 액중 마쇄기(12)의 출구(13)의 펌프(Pc)의 회전을 제어하고 있는 것만으로 제어계로서는 대단히 안정한 것으로 된다.

Claims (11)

  1. 고체 원료를 액체 원료와 함께 투입 공급하고, 액체 원료의 수위를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고체 원료를 수직자세의 통 형상체에 통과시켜 하방으로 자중이 걸리도록 하여, 그 하방에 배치되는 정량 배출 수단에 보내어 정량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공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가 통수성 또는 투수성을 갖는 다공 통 형상체이며, 이 다공 통 형상체에 고체 원료와 액체 원료를 통과시키고 일단 양자를 분리한 후, 그 하방에 배치되는 정량 배출 수단에 보내어 정량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공급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배출 수단의 하방에 마쇄 장치 또는 액중 마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정량 배출 수단의 배출구와 마쇄 장치 또는 액중 마쇄 장치의 공급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공급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원료가 대두를 분쇄한 것이며, 상기 액체 원료가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공급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배출 수단에 연속하여 고체 원료의 미분쇄 공정을 설치하고, 그 후 마쇄 장치 또는 액중 마쇄 장치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공급 방법.
  6. 고체 원료와 액체 원료를 투입 공급하여 하방측으로부터 배출하는 원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수직자세의 통 형상체와, 통 형상체의 하방에 배치되고 고체 원료를 일정량씩 내보내는 정량 배출 수단과, 액체 원료의 수위를 제어하는 수위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 형상체에 고체 원료와 액체 원료를 넣고, 액체 원료의 수위를 제어하면서 고체 원료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정량 배출 수단에 보내어 정량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공급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는 호퍼의 내측에 배치되는 통수성 또는 투수성을 갖는 다공 통 형상체이며, 상기 정량 배출 수단은 호퍼의 배출측에 배치되고, 상기 다공 통 형상체에 고체 원료와 액체 원료를 넣고, 고체 원료와 액체 원료를 일단 분리함과 아울러, 액체 원료의 수위를 제어하면서 고체 원료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정량 배출 수단에 보내어 정량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공급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원료를 배출하는 배출경로와, 배출되는 액체 원료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저장한 액체 원료를 공급하는 공급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공급 장치.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배출 수단의 하방으로 테이퍼진 유연성 소재의 통 형상 배출구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공급 장치.
  10. 상기 정량 배출 수단에 연속하여 고체 원료의 분쇄 공정을 설치하고, 그 후 마쇄 장치 또는 액중 마쇄 장치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료 공급 장치를 사용한 마쇄 시스템.
  11. 상기 정량 배출 수단의 하방에 마쇄 장치 또는 액중 마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정량 배출 수단의 배출구와 마쇄 장치 또는 액중 마쇄 장치의 공급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료 공급 장치를 사용한 마쇄 시스템.
KR1020107017908A 2008-02-15 2008-02-15 원료 공급 방법, 원료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마쇄 시스템 KR101473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2573 WO2009101705A1 (ja) 2008-02-15 2008-02-15 原料供給方法、原料供給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磨砕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609A true KR20100116609A (ko) 2010-11-01
KR101473274B1 KR101473274B1 (ko) 2014-12-16

Family

ID=40956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908A KR101473274B1 (ko) 2008-02-15 2008-02-15 원료 공급 방법, 원료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마쇄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57527B2 (ko)
JP (1) JP5465541B2 (ko)
KR (1) KR101473274B1 (ko)
CN (1) CN101965134A (ko)
WO (1) WO20091017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905B1 (ko) * 2022-05-31 2023-11-20 한국식품연구원 김치양념 자동 배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34746A (zh) * 2011-07-25 2012-02-01 无锡轻大食品装备有限公司 食品物料湿法粉碎制浆装置及方法
PL2660161T3 (pl) * 2012-05-04 2018-01-31 Tpresso Ag Konfekcjonowanie suszonych liści w hermetycznych kapsułkach
EP2666543B1 (en) * 2012-05-23 2020-04-08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Vertical shaft impact crusher feed tube
CN104974897A (zh) * 2014-04-11 2015-10-14 王衍洲 碱性酒溶液的制造方法
JP2016053336A (ja) * 2014-09-04 2016-04-14 古河産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固形物混在液用圧送装置および固形物混在液の定量圧送方法
HUE058246T2 (hu) * 2014-12-09 2022-07-28 Frewitt Fabrique De Machines S A Vákuum õrlõrendszer és eljárás
CN106140428A (zh) * 2016-08-26 2016-11-23 四川来金燕食品有限公司 磨浆机
CN106984382A (zh) * 2017-05-02 2017-07-28 兰州工业学院 一种番茄渣籽皮分离装置
WO2020115583A1 (en) * 2018-12-03 2020-06-11 Granot Eitan Foodstuff preparation device
CN109537338B (zh) * 2018-12-21 2024-02-23 南京林业大学 曲折预热通道转斗式热磨机进料装置
US11123748B1 (en) * 2019-04-04 2021-09-21 William C. Metcalf Ammunition disposal system
WO2022270473A1 (ja) * 2021-06-21 2022-12-29 株式会社高井製作所 豆腐類製造装置
CN113519589A (zh) * 2021-07-15 2021-10-22 云南富源金田原农产品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魔芋膳食纤维酥饼加工设备及工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3478B2 (ja) 1993-11-25 2002-07-22 井関農機株式会社 穀類洗浄装置
JP3639996B2 (ja) * 1994-09-13 2005-04-20 株式会社ヘリオス 破砕機等における処理物の分散投入方法
JP2002302966A (ja) * 2002-01-31 2002-10-18 Hitachi Constr Mach Co Ltd 自走式土質改良機械
JP2005304474A (ja) 2003-12-01 2005-11-04 Masaru Matsuura 穀類連続磨砕装置及び豆乳の製造方法
JP2006015206A (ja) * 2004-06-30 2006-01-19 Takai Seisakusho:Kk 液中磨砕装置用付属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中磨砕装置、液中磨砕システム、液中磨砕方法
JP5142352B2 (ja) * 2005-08-12 2013-02-13 株式会社高井製作所 液中磨砕装置及び液中磨砕システム
CN2901886Y (zh) * 2006-03-22 2007-05-23 吕达 用于制作豆腐制品的固态凝固剂定量加料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905B1 (ko) * 2022-05-31 2023-11-20 한국식품연구원 김치양념 자동 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101705A1 (ja) 2011-06-02
CN101965134A (zh) 2011-02-02
WO2009101705A1 (ja) 2009-08-20
KR101473274B1 (ko) 2014-12-16
US8757527B2 (en) 2014-06-24
JP5465541B2 (ja) 2014-04-09
US20110089274A1 (en)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6609A (ko) 원료 공급 방법, 원료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마쇄 시스템
Picart-Palmade et al. Potentialities and limits of some non-thermal technologies to improve sustainability of food processing
US10729166B2 (en) Plant and a method for extracting puree, or juice from food products of high sizes
CN101573062B (zh) 由粉料制成发泡奶的系统和方法
JP5142352B2 (ja) 液中磨砕装置及び液中磨砕システム
JP2006015206A (ja) 液中磨砕装置用付属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中磨砕装置、液中磨砕システム、液中磨砕方法
CN111871548A (zh) 一种红薯粉生产用破碎装置
US86525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pureed food
CN212576445U (zh) 一种农业加工用的玉米粉碎装置
CN221132578U (zh) 一种粗粉碎系统及豆乳机
JP2014100094A (ja) 米ペースト製造方法並びにその装置
CN211660173U (zh) 一种用于生产速冻肉丸的绞肉装置
US96155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teless homogenized soybean beverage production
CN106691144A (zh) 蔬果调理机的上盖
CN104207258A (zh) 一种全枣枣浆高效加工的方法
CN204599225U (zh) 柑橘类水果囊胞粒制造系统
McClements et al. Processes and equipment to create plant-based foods
CN111631292A (zh) 一种代可可脂巧克力制品的加工方法
Gana et al. An investig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mechanical parameters of an automated grain drinks processing machine on drink consistency
CN219962660U (zh) 一种消泡效果好的食品加工机
CN204466781U (zh) 连续制浆脱脂分离蛋白乳制备含肽饮料组合设备
KR20130112459A (ko) 곡물 분쇄 장치
JPH11206349A (ja) 細断さのうおよびこれを含むさのう含有飲食物並びにそれらの製造法
US20100075009A1 (en) Frozen juice preparation and presentation
Handbook ‘Bag in box’container 81, 82, 84 Baking bread 237–251–General principles 237, 238 Baking bread, baking quality and rheolo-gy 249–25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