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818A - 가시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가시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14818A KR20100114818A KR1020100003163A KR20100003163A KR20100114818A KR 20100114818 A KR20100114818 A KR 20100114818A KR 1020100003163 A KR1020100003163 A KR 1020100003163A KR 20100003163 A KR20100003163 A KR 20100003163A KR 20100114818 A KR20100114818 A KR 201001148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veloper
- inlet
- developing
- image
- out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box lik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제 수용 용기가 착탈된 경우에, 현상 장치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 유지체와, 내부에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 용기와, 상기 상 유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서 현상 용기 내의 현상제를 표면에 유지하는 현상제 유지체와, 상기 현상 용기에 보급되는 현상제가 유입하는 유입구를 갖고,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하여 접근 이간(離間) 가능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상 유지체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현상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상 유지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피 접촉부에 접촉하고, 상기 상 유지체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는 접촉부와, 내부에 상기 현상 용기에 보급되는 현상제가 수용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현상제가 유출하는 유출구를 갖고, 상기 유출구를 상기 유입구와 대향시켜서 상기 상 유지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체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장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유출구에 대하여 상기 현상 장치의 접근, 이간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유출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 유지체와, 내부에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 용기와, 상기 상 유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서 현상 용기 내의 현상제를 표면에 유지하는 현상제 유지체와, 상기 현상 용기에 보급되는 현상제가 유입하는 유입구를 갖고,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하여 접근 이간(離間) 가능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상 유지체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현상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상 유지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피 접촉부에 접촉하고, 상기 상 유지체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는 접촉부와, 내부에 상기 현상 용기에 보급되는 현상제가 수용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현상제가 유출하는 유출구를 갖고, 상기 유출구를 상기 유입구와 대향시켜서 상기 상 유지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체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장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유출구에 대하여 상기 현상 장치의 접근, 이간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유출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시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로는, 화상 형성에 따라 소비되는 현상제를 보급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 용기, 소위 토너 카트리지나, 경시적인 열화나 고장 등으로 교환되는 유닛의 착탈에 관한 기술로서, 이하의 특허문헌 1 ~ 3에 기재된 기술이 종래 공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1로서의 일본국 특개2002-72657호 공보에는, 토너 카트리지(17)를, 현상 장치 등을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6)에 대하여 장착할 경우에, 토너 카트리지(17)의 개구부(42)를 프로세스 카트리지(16)의 토너 폐기구(65)에 감합(嵌合)시키도록 경사지게 장전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로서의 일본국 특개2008-20605호 공보에는, 토너 카트리지(18)를 장착부(201)에 장착할 때에, 토너 카트리지(18)의 저장 공간(19) 내의 현상제가 가능한 한 치우치지 않도록, 20°이하의 각도로 경사시켜서 장착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으로서의 일본국 특개2006-91284호 공보에는, 토너 카트리지(46a, 46b)를, 현상 장치 등이 지지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본체(42)에 장착할 때에, 토너 카트리지(46a, 46b)의 길이 방향으로 접동시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본체(42)에 장착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토너 카트리지(46a, 46b)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본체(42)에 장착되는 동작에 연동하고, 토너 공급구(72)가 토너 수구(受口)(86)에 대하여 지연하여 여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현상제 수용 용기가 착탈된 경우에, 현상 장치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제 1 항 기재된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像) 유지체와,
내부에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 용기와, 상기 상 유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서 현상 용기 내의 현상제를 표면에 유지하는 현상제 유지체와, 상기 현상 용기에 보급되는 현상제가 유입하는 유입구를 갖고,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하여 접근 이간(離間) 가능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상 유지체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현상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상 유지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피 접촉부에 접촉하고, 상기 상 유지체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는 접촉부와,
내부에 상기 현상 용기에 보급되는 현상제가 수용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현상제가 유출하는 유출구를 갖고, 상기 유출구를 상기 유입구와 대향시켜서 상기 상 유지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체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장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유출구에 대하여 상기 현상 장치의 접근, 이간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유출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유입구에 대하여 상기 현상 장치의 접근, 이간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구(口) 연결 부재와,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구 연결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유입구 개폐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구 연결 부재와 상기 유입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 연결 부재와 상기 유입구의 사이의 갭(gap)을 밀폐하는 제 1 밀폐 부재와,
상기 구 연결 부재와 상기 유출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 연결 부재와 상기 유출구의 사이의 갭을 밀폐하는 제 2 밀폐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의 가시상 형성 장치는,
상 유지체와,
내부에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 용기와, 상기 상 유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서 현상 용기 내의 현상제를 표면에 유지하는 현상제 유지체와, 상기 현상 용기에 보급되는 현상제가 유입하는 유입구를 갖고,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하여 접근 이간 가능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상 유지체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현상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상 유지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피 접촉부에 접촉하고, 상기 상 유지체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는, 현상제 수용 용기 본체에 수용된 현상제가 유출하는 유출구에 대하여, 상기 현상 장치의 접근, 이간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유출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 4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수용 용기가 착탈된 경우에, 현상 장치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유출구와 유입구의 위치가 어긋난 경우에도, 유입구 개폐 부재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 1 밀폐 부재가 변형하거나 미끄러져서, 유입구에 대하여 구 연결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에서 단면도.
도 2는 실시예 1의 토너상 형성 장치의 요부 설명도.
도 3은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도 3 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의 (b)는 토너 카트리지가 이탈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카트리지 홀더와 감광체 홀더가 분리한 상태의 설명도.
도 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현상 유닛이 제거된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5의 (a)는 경사지게 전방(前方)으로부터 전측(前側)의 틀을 본 사시도, 도 5의 (b)는 경사지게 후방(後方)으로부터 전측의 틀을 본 사시도.
도 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현상 유닛이 제거된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6의 (a)는 경사지게 전방으로부터 후측(後側)의 틀을 본 사시도, 도 6의 (b)는 경사지게 후방으로부터 후측의 틀을 본 사시도.
도 7은 실시예 1의 현상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실시예 1의 현상제 유입구 부분의 설명도이고, 도 8의 (a)는 유입구 셔터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요부 사시 부분 단면도, 도 8의 (b)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9는 실시예 1의 카트리지 홀더의 평면도이고, 도 9의 (a)는 유입구 셔터가 폐쇄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9의 (b)는 유입구 셔터가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0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경사지게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 설명도.
도 11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11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이탈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b)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2는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상태에서의 현상제 유입구 및 유출구 부분의 요부 설명도이고, 도 12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이탈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2의 (b)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3은 실시예 2의 토너상 형성 장치의 설명도이고, 도 13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3의 (b)는 토너 카트리지가 이탈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4는 실시예 2의 현상 장치의 요부 사시 설명도.
도 15는 실시예 2의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16은 실시예 2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의 설명도이고, 도 16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제거된 상태의 설명도, 도 16의 (b)는 착탈 케이스가 이탈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6의 (c)는 도 16의 (b)의 착탈 케이스에 토너 카트리지가 삽입되기 이전의 상태의 설명도.
도 17은 실시예 2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의 설명도이고, 도 17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삽입된 상태의 설명도, 도 17의 (b)는 도 17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착탈 케이스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는 실시예 1의 토너상 형성 장치의 요부 설명도.
도 3은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도 3 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의 (b)는 토너 카트리지가 이탈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카트리지 홀더와 감광체 홀더가 분리한 상태의 설명도.
도 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현상 유닛이 제거된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5의 (a)는 경사지게 전방(前方)으로부터 전측(前側)의 틀을 본 사시도, 도 5의 (b)는 경사지게 후방(後方)으로부터 전측의 틀을 본 사시도.
도 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현상 유닛이 제거된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6의 (a)는 경사지게 전방으로부터 후측(後側)의 틀을 본 사시도, 도 6의 (b)는 경사지게 후방으로부터 후측의 틀을 본 사시도.
도 7은 실시예 1의 현상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실시예 1의 현상제 유입구 부분의 설명도이고, 도 8의 (a)는 유입구 셔터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요부 사시 부분 단면도, 도 8의 (b)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9는 실시예 1의 카트리지 홀더의 평면도이고, 도 9의 (a)는 유입구 셔터가 폐쇄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9의 (b)는 유입구 셔터가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0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경사지게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 설명도.
도 11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11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이탈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b)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2는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상태에서의 현상제 유입구 및 유출구 부분의 요부 설명도이고, 도 12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이탈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2의 (b)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3은 실시예 2의 토너상 형성 장치의 설명도이고, 도 13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3의 (b)는 토너 카트리지가 이탈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4는 실시예 2의 현상 장치의 요부 사시 설명도.
도 15는 실시예 2의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16은 실시예 2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의 설명도이고, 도 16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제거된 상태의 설명도, 도 16의 (b)는 착탈 케이스가 이탈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6의 (c)는 도 16의 (b)의 착탈 케이스에 토너 카트리지가 삽입되기 이전의 상태의 설명도.
도 17은 실시예 2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의 설명도이고, 도 17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삽입된 상태의 설명도, 도 17의 (b)는 도 17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착탈 케이스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체예로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서,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좌우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화살표 X, -X, Y, -Y, Z, -Z로 나타내는 방향 또는 나타내는 측을 각각, 전방(前方), 후방(後方), 우방(右方), 좌방(左方), 상방(上方), 하방(下方), 또는 전측(前側), 후측(後側), 우측(右側), 좌측(左側), 상측(上側), 하측(下側)이라 한다.
또한, 도면 중 「○」 내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의 이(裏)로부터 표(表)를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 내에 「×」가 기재된 것은 지면의 표로부터 이를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서, 이해의 용이를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는 적당하게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에서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복사기(U)는, 상면에 투명한 원고대(PG), 소위, 플래턴 글라스(platen glass)(PG)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일례로서의 디지털식의 복사기 본체(U1)와, 상기 플래턴 글라스(PG) 상에 착탈하도록 장착되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U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자동 원고 반송 장치(U2)는, 복사하려고 하는 복수의 원고(Gi)가 거듭 수용되는 원고 수용부(TG1)를 갖고 있다. 상기 원고 수용부(TG1)에 수용된 복수의 각 원고(Gi)는 순차적으로 플래턴 글라스(PG) 상의 복사 위치, 즉, 원고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플래턴 롤(GR1)의 위치를 통과하여, 원고 배출 부재(GR2)에 의해 원고 배지부(TG2)에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사기 본체(U1)는, 상기 플래턴 글라스(PG)를 갖는 화상 판독 장치의 일례로서의 스캐너부(U1a) 및 화상 기록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부(U1b)를 갖고 있다.
상기 스캐너부(U1a)는, 판독 기준 위치에 배치된 노광계 위치 검출 부재, 소위 노광계 레지스터 센서(Sp), 및 노광 광학계(A)를 갖고 있다.
상기 노광 광학계(A)는, 그 이동 및 정지가 위치 검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노광계 레지스터 센서(Sp)의 검출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시는 판독 기준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상기 자동 원고 반송 장치(U2)를 사용하여 복사를 행하는 자동 원고 반송 동작의 경우는, 상기 노광 광학계(A)는 판독 기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플래턴 글라스(PG) 상의 복사 위치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각 원고(Gi)를 노광한다.
원고(Gi)를 작업자가 손으로 플래턴 글라스(PG) 위에 두고 복사를 행하는 수동 원고 배치 동작의 경우, 노광 광학계(A)는 플래턴 글라스(PG)와 평행하게 이동하면서 플래턴 글라스(PG) 상의 원고(Gi)를 노광 주사한다.
노광된 상기 원고(Gi)로부터의 반사광은, 상기 노광 광학계(A)를 통하여 고체 촬영 소자(CCD) 상에 수속(收束)된다. 상기 고체 촬영 소자(CCD)는, 그 촬영면 상에 수속된 원고 반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화상 처리부(IPS)는, 상기 고체 촬영 소자(CCD)로부터 입력된 판독 화상 신호를 디지털의 화상 기입 신호로 변환하여 프린터부(U1b)의 기입 구동 신호 출력 장치(DL)에 출력한다.
프린터부(U1b)의 제어부(C)에 의해 동작 타이밍을 제어시키는 상기 기입 구동 신호 출력 장치(DL)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따른 기입 구동 신호를 잠상 기입 장치(LH)에 출력한다. 또한, 실시예 1의 잠상 형성 장치(LH)는, 잠상 기입 소자의 일례로서의 LED가 전후 방향에 따라 선상에 늘어서서 배치된 장치, 소위 LED 헤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실시예 1의 토너상 형성 장치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1, 도 2에서, 복사기 본체(U1)의 중앙부에는, 회전하는 상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감광체(PR)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감광체(PR) 표면은, 대전 영역(Q0)에서 대전기의 일례로서의 대전 롤(CR)에 의해 대전시킨 후, 잠상 기입 위치(Q1)에서 상기 잠상 기입 장치(LH)에 의해 노광되어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정전 잠상이 형성된 감광체(PR) 표면은 회전 이동하여 현상 영역(Q2), 전사 영역(Q4)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상기 현상 영역(Q2)에서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의 일례로서의 현상기(D)는, 현상제를 현상제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현상 롤(RO)에 의해 현상 영역(Q2)에 반송하고, 상기 현상 영역(Q2)을 통과하는 감광체(PR) 상의 정전 잠상을 가시상의 일례로서의 토너 상에 현상한다.
상기 현상기(D)에서 현상제가 소비되면, 현상기(D)의 상방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 현상제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TC)로부터 현상제가 보급된다.
상기 전사 영역(Q4)에서 상기 감광체(PR)에 대향하는 전사기의 일례로서의 전사 롤(TR)은, 감광체(PR) 표면의 토너 상을, 매체의 일례로서의 시트(S)에 전사하는 부재이며, 현상기(D)에서 사용되는 현상용의 토너의 대전 극성과 역(逆) 극성의 전사 전압이 전원 회로(E)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대전 롤(CR)에 인가하는 대전 전압, 현상 롤(RO)에 인가하는 현상 전압, 전사 롤(TR)에 인가하는 전사 전압 등의 인가 전압, 후술의 정착 장치(F)의 가열 롤의 히터를 가열하는 히터 전원 등은, 전원 회로(E)로부터 공급되고, 전원 회로(E)는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된다.
복사기 본체(U1)의 하부에는, 급지부의 일례로서의 제 1 급지 트레이(TR1) 및 제 2 급지 트레이(TR2)가 상하로 늘어서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급지 트레이(TR1) 및 제 2 급지 트레이(TR2)의 좌단부의 상단부에는 용지 추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피킹 업(picking-up) 롤(Rp)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피킹 업 롤(Rp)에 의해 추출된 시트(S)는, 분류 부재(Rs)에 반송된다.
상기 분류 부재(Rs)는, 서로 압접하는 급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피드 롤러(Rs1) 및 분리 부재의 일례로서의 리타드 롤(Rs2)을 갖고 있다. 분류 부재(Rs)에 반송된 시트는 분류 부재(Rs)에 의해 1매씩 분리되어서, 매체 반송로의 일례로서의 시트 반송로(SH1)에 반송된다.
시트 반송로(SH1)에는, 정역(正逆) 회전 가능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반송 롤(Rb)이 배치되어 있다. 시트 반송로(SH1)에 반송된 상기 시트(S)는 정역전(正逆轉) 회전 가능한 반송 롤(Rb)에 의해, 상방의 전사 전(前) 시트 반송로(SH2)에 반송된다.
전사 전 시트 반송로(SH2)에 반송된 시트(S)는, 반송 롤(Ra)에 의해 시기 조정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된다.
또한, 수동 급지부의 일례로서의 수동 급지 트레이(TRO)로부터 급지된 시트(S)도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된다.
상기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된 시트(S)는, 상기 감광체(PR) 상의 토너상이 전사 영역(Q4)으로 이동하는 시기에 맞추어서, 전사 전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의 전사 전 시트 가이드(SG1)로부터 전사 영역(Q4)으로 반송된다.
상기 감광체(PR) 표면에 현상된 토너상은, 상기 전사 영역(Q4)에서, 전사 롤(TR)에 의해 시트(S)로 전사된다. 전사 후, 감광체(PR) 표면은,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클리너(CL1)에 의해 클리닝 되어서 부착물의 일례로서의 잔류 토너가 제거된다. 잔류 토너가 제거된 감광체(PR)는, 제전기(JD)에서 표면의 전하가 제전된 후, 대전 롤(CR)에 의해 재대전 된다. 또한, 상기 대전 롤(CR)의 오염은, 대전 롤(CR)에 대향, 접촉하여 배치된 대전용의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대전 롤 클리너(CRC)로 청소된다.
상기 감광체(PR), 대전 롤(CR), 잠상 기입 장치(LH), 현상기(D), 클리너(CL1) 등에 의해, 가시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토너상 형성 장치(G)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토너상 형성 장치(G)는, 복사기 본체(U1)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착탈, 교환가능한 유닛, 소위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사 영역(Q4)에서 토너상이 전사된 상기 시트(S)는, 감광체(PR)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고, 전사 후 반송로(SH3)의 전사 후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의 시트 가이드(SG2)에 의해 안내되어, 전사 후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시트 반송 벨트(BH)에 의해, 정착 장치(F)에 반송된다.
정착 장치(F)는, 내부에 열원으로서의 히터를 갖는 가열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열 롤(Fh)과, 가압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압 롤(Fp)을 갖는다. 정착 장치(F)에 반송된 시트(S)는, 상기 가열 롤(Fh)과 가압 롤(Fp)의 접촉 영역에 의해 구성되는 정착 영역(Q5)을 통과할 때에, 토너상이 가열 정착되고나서, 매체 배출로의 일례로서의 시트 배출로(SH4)를 통하여 매체 배출부의 일례로서의 배지 트레이(TRh)에 반송된다.
상기 정착 장치(F)의 하류 측의 시트 배출로(SH4)에는, 반송로 전환 부재의 일례로서의 전환 게이트(GT1)가 배치되어 있다. 전환 게이트(GT1)는, 상기 정착 장치(F)를 통과한 시트(S)의 반송 방향을 상기 배지 트레이(TRh) 측, 또는 반전 접속로(SH5)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전환한다. 반전 접속로(SH5)는 상기 시트 배출로(SH4)의 상류단, 즉 정착 장치(F)의 하류측 부분과 시트 반송로(SH1)를 접속한다.
양면 인쇄의 경우, 1면째에 토너상이 기록된 한 면 기록필 시트(S)는, 상기 전환 게이트(GT1)에 의해 반전 접속로(SH5)에 반송되고, 방향 규제 부재의 일례로서의 마일러 게이트(GT2)를 통하여, 정역 회전 반송롤(Rb)의 역회전에 의해 반전로(SH6)에 반송된다. 반전로(SH6)에 반송된 시트(S)는, 정역 회전 반송롤(Rb)의 정회전에 의해, 역방향으로 반송, 소위 스위치백되어, 표리가 반전한 상태로 전사 영역(Q4)에 재송된다.
상기 부호(SH1 ~ SH6)에 의해 나타내진 요소에 의해 매체 반송로의 일례로서의 시트 반송로(SH)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 반송로(SH) 및 그곳에 배치된 시트 반송 기능을 갖는 롤러(Ra, Rb, Rr) 등에 의해 매체 반송 장치의 일례로서의 시트 반송 장치(US)가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설명)
도 3은,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도 3의 (a)는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의 (b)는 토너 카트리지(TC)가 이탈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카트리지 홀더와 감광체 홀더가 분리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3, 도 4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의해 구성된 실시예 1의 토너상 형성 장치(G)는, 상 유지체용의 지지 프레임체의 일례이며, 제 1 유지 부재의 일례로서, 감광체(PR)나 클리너(CL1), 대전롤(CR), 대전롤 클리너(CRC)를 지지하는 우측의 감광체 홀더(1)를 가진다. 상기 감광체 홀더(1)의 좌측에는, 용기용의 지지 프레임체의 일례이며, 제 2 유지 부재의 일례로서, 토너 카트리지(TC)를 지지하는 카트리지 홀더(2)가 지지되어 있다.
(현상 장치의 설명)
도 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현상 유닛이 제거된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5의 (a)는 경사지게 전방으로부터 전측의 틀을 본 사시도, 도 5의 (b)는 경사지게 후방으로부터 전측의 틀을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현상 유닛이 제거된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6의 (a)는 경사지게 전방으로부터 후측의 틀을 본 사시도, 도 6의 (b)는 경사지게 후방으로부터 후측의 틀을 본 사시도이다.
도 3 ~ 도 6에서, 감광체 홀더(1)의 좌부에는, 전측의 지지 프레임체 및 후측의 지지 프레임체의 일례로서, 판 형상의 제 1 전(前) 프레임(6) 및 제 1 후 프레임(7)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홀더(2)는, 전측의 지지 프레임체 및 후측의 지지 프레임체의 일례로서, 판 형상의 제 2 전 프레임(8) 및 제 2 후 프레임(9)을 갖는다. 또한, 카트리지 홀더(2)는, 제 2 전 프레임(8)과 제 2 후 프레임(9)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좌 프레임(11) 및 우 프레임(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 프레임(8 ~ 12)으로 둘러싸인 내부의 공간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되는 장착부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유지실(13)이 구성되어 있다.
도 5의 (b)에서, 상기 각 전 프레임(6, 8)의 후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전(前) 장착부의 일례로서의 전 장착 홈(6a, 8a)과, 전 장착 홈(6a, 8a)의 상단으로부터 우방으로 연장하는 전 유지부의 일례로서의 전 유지 홈(6b, 8b)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a)에서, 상기 제 1 후 프레임(7)의 전면에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후 장착부의 일례로서의 후 장착 홈(7a)과, 후 장착 홈(7a)의 상단으로부터 우방으로 연장하는 후 유지부의 일례로서의 후 유지 홈(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후 프레임(9)에는, 후 유지부의 일례로서, 좌우 방향으로 긴 장(長) 구멍에 의해 구성된 유지 장 구멍(9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 프레임(6, 8) 및 후 프레임(7, 9)에 의해, 현상기(D)를 지지하는 현상용의 지지 프레임체(6+7+8+9)가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실시예 1의 현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5 ~ 도 7에서, 실시예 1의 현상기(D)는, 토너상 형성 장치(G)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현상 유닛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 ~ 도 7에서, 실시예 1의 현상기(D)는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 용기(16)를 갖는다. 상기 현상 용기(16)는 하부의 현상 용기 본체(16a)와, 현상 용기 본체(16a)의 상면을 덮는 리드 부재(16b)를 갖는다. 도 2에서, 상기 현상 용기(16) 내에는, 현상롤(R0)과, 현상롤(RO)에 현상제를 반송하는 공급 부재의 일례로서의 반송 패들(17)과, 현상 용기(16) 내의 현상제를 교반하고나서 순환 반송하는 교반 부재의 일례로서의 한 쌍의 반송 오거(auger)(18, 19)와, 좌측의 반송 오거(19)의 더 좌측에 배치되고, 또한 토너 카트리지(TC)로부터의 현상제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반송하여 현상 용기(16) 내에 보급하는 보급 부재의 일례로서의 보급 오거(21)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상롤(RO)의 좌상방에는, 현상롤(RO) 표면의 현상제의 층 두께를 규제하는 층 두께 규제 부재의 일례로서, 원기둥, 둥근 막대 형상의 트리머(trimmer)(22)가 지지되어 있다.
도 5의 (a)에서, 상기 현상롤(R0)의 전후 양단에는, 접점부의 일례로서, 현상롤(RO)과 동일한 축, 또한 현상롤(R0)의 외경보다도 큰 트래킹롤(23)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5의 (a)에서, 상기 현상 용기(16)의 전단벽(16c)에는, 전측의 피지지부의 일례로서, 전 유지 홈(6a, 8a)에 대응하고, 전방으로 돌출하는 제 1 전 돌기(26) 및 제 2 전 돌기(2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b), 도 6의 (b), 도 7에서, 현상 용기(16)의 후단벽(16d)에는, 후측의 피지지부의 일례로서, 후 유지 홈(7b)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돌출하는 후 돌기(28)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5 ~ 도 7에서, 현상 용기(16)의 전단벽(16c) 및 후단벽(16d)의 좌단에는, 좌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의 코일 스프링(29)이 전후 한 쌍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현상기(D)를 토너상 형성 장치(G)에 장착할 경우, 전 돌기(26, 27) 및 후 돌기(28)가 각 장착 홈(6a ~ 8a)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통과한 후, 우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돌기(26 ~ 28)가 각 유지 홈(6b ~ 8b)에 유지된다. 실시예 1에서는, 각 유지 홈(6b ~ 8b)이 좌우 방향, 즉 감광체(PR)에 대하여 현상기(D)가 접근, 이간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현상기(D)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각 코일 스프링(29)의 좌단이, 카트리지 홀더(2)의 좌 프레임(11)의 내면에 지지됨으로써, 코일 스프링(29)에 의해 현상기(D)가 감광체(PR) 측에 가압된다. 그리고, 현상기(D)의 전후 한 쌍의 트래킹 롤(23)이, 피 접점부의 일례로서의 감광체(PR)의 전후 양단부의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현상롤(RO)과 감광체(PR)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된다. 도 6의 (a), 도 6의 (b)에서, 이 상태에서, 제 2 후 프레임(9)의 후면에, 유지 장 구멍(9b)을 관통하고, 보급 오거(21)의 축 방향 후단에 연결되는 기어의 일례로서의 보급 기어(31)가 장착되어 있다.
도 6의 (b)에서, 제 2 후 프레임(9)의 후면에는, 보급 기어(31)의 좌 경사지게 상방으로, 보급 기어(31)와 맞물리는 착탈체 기어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기어(32)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보급 기어(31) 및 카트리지 기어(32)의 후방에는, 기어 보호 부재의 일례로서의 기어 커버(33)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기어 커버(33)에는, 카트리지 기어(32)의 회전축의 후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원 구멍(33a)과, 보급 기어(31)의 회전축의 후단을 회전 가능, 또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장 구멍(33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급 오거(21)에 연결된 보급 기어(31)는, 좌우 방향으로 긴 장 구멍에 의해 구성된 유지 장 구멍(9b) 및 지지 장 구멍(33b)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보급 기어(31)는 제 2 후 프레임(9) 및 기어 커버(33)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다. 따라서, 보급 기어(31)가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현상기(D)는, 감광체(PR)에 대하여 접근,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현상기(D)가 감광체(PR)에 대하여 접근,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해도, 이동량이 작기 때문에, 보급 기어(31)와 카트리지 기어(32)의 맞물림 양이나 맞물림의 위치가 어긋나도, 맞물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급 기어(31)에서는, 복사기 본체(U1)의 도시하지 않은 보급 구동원으로부터 구동이 전달되고, 보급 기어(31)를 통하여 카트리지 기어(32)에 구동이 전달된다.
또한, 실시예 1의 현상기(D)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현상롤(RO), 반송 패들(17), 반송 오거(18, 19)에는, 현상롤(R0)의 후단에 지지된 기어의 일례로서의 현상 기어(36)에 전달된 구동이, 후단벽(16d) 내부에 지지된 도시하지 않은 기어 열(列)에서 전달되어서, 각 부재(17 ~ 19)가 회전한다. 또한, 상기 현상 기어(36)에는, 제 1 후 프레임(7)에 지지된 중간 기어(37)를 통하여, 감광체(PR)의 후단에 지지된 기어의 일례로서의 감광체 기어(38)로부터 구동 파워가 전달되고, 감광체 기어(38)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복사기 본체(U1)의 구동원으로부터 구동이 전달된다.
도 2에서, 상기 현상기(D)의 하방에서는, 매체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 감광체(PR)를 향해 연장하고, 전사 전(前) 시트 가이드(SG1)의 상측을 구성하는 상(上) 가이드(39)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 가이드(39)는, 감광체 홀더(1)의 좌부의 제 1 전 프레임(6) 및 제 1 후 프레임(7)에 전후 양단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는, 전사 전 시트 가이드(SG1)는, 현상기(D)에 지지되어 있지 않고, 감광체 홀더(1)에 지지되어 있고, 전사 영역(Q4)에 반송되는 시트(S)가 전사 전 시트 가이드(SG1)에 접촉할 때의 충격이 현상기(D)에 전달하여, 현상 불량 등의 화질의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유입구 셔터 부분의 설명)
도 8은 실시예 1의 현상제 유입구 부분의 설명도이고, 도 8의 (a)는 유입구 셔터를 제거한 형태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요부 사시 부분 단면도, 도 8의 (b)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7, 도 8에서, 현상 용기(16)의 리드 부재(16b)의 좌후 단부에는, 보급 오거(21)가 배치된 보급로(41)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관통하는 유입구(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42)의 주위에는, 밀폐 유지 부재의 일례로서, 상면이 평탄 형상의 스페이서(43)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43)의 상면에는, 제 1 밀폐 부재의 일례로서, 유입구(42)를 둘러싸도록 하(下) 밀봉(44)이 고정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하 밀봉(44)은 우레탄 수지나 고무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 밀봉(44)의 상면에는, 구 연결 부재의 일례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셔터 가이드(46)가 지지되어 있다. 도 7, 도 8의 (a)에서, 상기 셔터 가이드(4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좌측벽(46a) 및 우측벽(46b)과, 상기 좌측벽(46a) 및 우측벽(46c)의 전단끼리를 접속하는 전(前) 측벽(46c)을 갖는다. 상기 좌측벽(46a) 및 우측벽(46b)의 후부에는, 유입구(42)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판 형상의 연결부(46d)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46d)에는, 유입구(42)에 접속되는 연결구(46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측벽(46a) 및 우측벽(46b)에는, 안내부의 일례로서, 후단으로부터 연결부(46d)의 전단의 사이에, 좌우 방향 내측에 돌출한 형상의 가이드 레일(46f, 46g)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벽(46a), 우측벽(46b), 전측벽(46c) 및 연결부(46d)의 전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유출구 삽입실(47)이 구성되어 있다.
도 8에서, 상기 연결부(46d)에는, 제 2 밀폐 부재의 일례로서, 연결구(46e)를 둘러싸도록 상 밀봉(48)이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상 밀봉(48)도, 하 밀봉(44)과 마찬가지로,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8의 (b)에서, 실시예 1의 좌측벽(46a) 및 우측벽(46b)과, 스페이서(43)의 좌측면(43a) 및 우측면(43b) 사이에는, 이동 허용 공간의 일례로서의 갭(gap)(4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셔터 가이드(46)는 하 밀봉(44)의 탄성 변형이나 전단(剪斷) 변형, 경계면에서의 미끄러짐 등에 따라, 갭(49)의 좌우 방향 폭분,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연결구(46e)의 좌우 방향의 폭도 유입구(42)의 폭보다도 이동가능한 범위만큼,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실시예 1의 카트리지 홀더(2)의 평면도이고, 도 9의 (a)는 유입구 셔터가 폐쇄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9의 (b)는 유입구 셔터가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7, 도 9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46f, 46g)에서는, 유입구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 판 형상의 유입구 셔터(5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 셔터(51)는, 하면이 상 밀봉(48)에 밀착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도 7, 도 9의 (a)에 도시하는 유입구(42)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도 9의 (b)에 가리키는 유입구(42)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 셔터(51)의 상면 전부(前部)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결합부의 일례로서의 돌기(5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4, 도 5의 (a), 도 6의 (b), 도 8의 (b), 도 9에서, 제 2 전 프레임(8), 제 2 후 프레임(9), 좌 프레임(11) 및 우 프레임(12)에 의해 둘러싸인 카트리지 유지실(13)의 저부에는, 하방을 향해서 볼록 만곡하는 저벽 부재(56)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도 9에서, 상기 저벽 부재(56)의 상면에 의해 용기 지지면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지지면(56a)이 구성되어 있다. 저벽 부재(56)의 후단부에는, 셔터 가이드(46)를 상방에 노출시키는 개구(56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도 9에서, 저벽 부재(56)의 상단부에는, 용기 안내부의 일례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차 형상의 카트리지 가이드(56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후 프레임(9)에는, 구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 카트리지 기어(32)에 연결되어서 구동이 전달되는 구동 커플러(coupler)(57)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에서, 상기 카트리지 유지실(13)의 전단부에는, 이탈 지지부의 일례로서, 좌 프레임(11) 및 우 프레임(1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탈 유지 리브(58)가 형성되어 있고, 이탈 유지 리브(58)의 후방에는, 이탈 유지 리브(58)와 평행하여 연장하는 장착 유지 리브(5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 프레임(11) 및 우 프레임(12)의 전단부에는, 중앙부로부터 후부에 비해서, 상하 방향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절결된 절결부(61, 62)가 형성되어 있고, 토너 카트리지(TC)의 전단부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끼워서 들어올릴 때에, 손가락이 통과하기 쉽게 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제 2 전 프레임(8)의 상단부에는, 원호 형상으로 절결된 절결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 도 6, 도 9에서, 카트리지 유지실(13)의 전단에는, 착탈 조작부의 일례로서, 착탈 레버(64)가 지지되어 있다. 착탈 레버(64)는, 전단에 배치된 판 형상의 레버 본체(66)와, 상기 레버 본체(66)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레버 좌부(67) 및 레버 우부(68)를 갖는다.
도 3에서, 착탈 레버(64)는, 레버 좌부(67) 및 레버 우부(68)의 하단부에 설치된 회전 중심(64a)을 중심으로 하고, 도 3의 (a)에 도시하는 장착 위치와, 도 3의 (b)에 도시하는 이탈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 도 9에서, 상기 레버 본체 66의 상단부에는, 손잡이부의 일례로서, 전방에 철만곡한 형상의 레버 핸들66a가 형성되어 있고, 이탈 위치에 있어서 전(前)절취하다 63에 수용된다 동시에 작업자가 따서 모기를 넣기 쉬운 형(모양)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9에서, 레버 좌부(67) 및 레버 우부(68)에는, 위치 유지 부재의 일례로서, 이탈 유지 리브(58) 및 장착 유지 리브(59)에 대응하여 외방(外方)으로 돌출하는 록 돌기(6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좌측의 록 돌기만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착탈 레버(64)가 이탈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록 돌기(67a)가 이탈 유지 리브(58)와 장착 유지 리브(59)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되고, 착탈 레버(64)가 이탈 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착탈 레버(64)가 장착 위치를 향해서 이동하면, 록 돌기(67a)가 장착 유지 리브(59)에 접촉하고, 좌 프레임(11)이나 우 프레임(12)이 탄성 변형하여 간격이 넓혀지고, 록 돌기(67a)가 장착 유지 리브(59)를 넘어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착탈 레버(64)가 장착 위치로 이동, 유지된다.
도 3, 도 9에서, 상기 레버 좌부(67) 및 레버 우부(68)의 내측에는, 연동부의 일례로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카트리지 연동 홈(67b, 68b)이 형성되어 있다.
도 1O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TC)의 경사지게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 설명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TC)의 착탈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11의 (a)는 토너 카트리지(TC)가 이탈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b)는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TC)의 착탈 상태에서의 유입구 및 유출구 부분의 요부 설명도이고, 도 12의 (a)는 토너 카트리지(TC)가 이탈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2의 (b)는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3, 도 10 ~ 도 12에서,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TC)는, 용기 본체의 일례로서,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통 형상의 카트리지 본체(71)를 갖는다. 상기 카트리지 본체(71)는 하부(71a)가 카트리지 지지면(56a)에 대응한 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71b)가 반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서, 카트리지 본체(71)의 상부(71a)와 하부(71b)의 경계 부분에는, 피 안내부의 일례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좌우 방향 외측으로 장출한 피 가이드부(72)가 전후 한 쌍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좌측의 피 가이드부(72)만 도시하고 있다. 상기 피 가이드부(72)는, 카트리지 가이드(56c)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고, 토너 카트리지(TC)가 카트리지 유지실(13)에 수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 가이드(56c)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된다.
도 10 ~ 도 12에서, 카트리지 본체(71)의 전단에는, 용기 조작부의 일례로서, 전방에 돌출하는 카트리지 핸들(73)이 지지되어 있다. 도 10에서, 카트리지 핸들(73)의 좌우 양단부에는, 피 연동부의 일례로서, 좌우 외방으로 돌출하는 연동 돌기(7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좌측의 연동 돌기(73a)만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연동 돌기(73a)는, 카트리지 연동 홈(67b, 68b)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고, 토너 카트리지(TC)를 카트리지 홀더(2)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장착할 때에, 연동 돌기(73a)가 카트리지 연동 홈(67b, 68b)에 끼워진 상태로 삽입된다.
도 10 ~ 도 12에서, 카트리지 본체(71)의 후단에는, 피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 구동 커플러(57)와 맞물리는 종동 커플러(74)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1, 도 12에서, 카트리지 본체(71)의 내부에는, 교반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 종동 커플러(74)의 전단에 연결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카트리지 패들(76)이 배치되어 있다. 도 2, 도 11, 도 12에서, 상기 카트리지 패들(76)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76a)을 갖는다. 회전축(76a)에는, 반송 부재 본체의 일례로서, 박막 형상의 가요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 반송 필름(76b)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반송 필름(76b)에는, 도시하지 않은 경사지게 베인 자국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시에 현상제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반송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반송 필름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7-298715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2007-298789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고, 공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도 10 ~ 도 12에서, 카트리지 본체(71)의 하부(71b)의 후단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유출구부(7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출구부(77)에는, 카트리지 본체(71)의 내부와 외부를 접속하는 현상제 유출구(78)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서, 유출구부(77)에는, 개폐 안내부의 일례로서, 좌우 방향 외측으로 장출한 형상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유출 셔터 가이드(7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출 셔터 가이드(79)에는,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 유출구(78)를 폐쇄하는 도 11의 (a), 도 12의 (a)에 도시하는 유출구 폐쇄 위치와, 유출구(78)를 개방하는 도 11의 (b), 도 12의 (b)에 도시하는 유출구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유출구 셔터(81)가 지지되어 있다. 도 11, 도 12에서, 유출구 셔터(81)의 상면에는, 유출구 밀폐 부재의 일례로서, 유출구실(82)이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유출구부(77) 및 유출구 셔터(81)는 토너 카트리지(TC)가 카트리지 유지실(13)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었을 경우에, 유출구 삽입실(47)에 끼우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유출구 셔터(81)의 상하 방향의 두께는, 셔터 가이드(46)의 연결부(46d)의 두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 본체(71)의 하부(71b)에는, 유출구부(77)보다도 후방에, 피 결합부의 일례로서, 유입구 셔터(51)의 돌기(51a)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기(83)가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71)의 돌기(83)는 유입구 셔터(51)의 돌기(51a)의 후측에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작업의 설명)
토너 카트리지(TC)가 토너상 형성 장치(G)에 장착될 경우, 착탈 레버(64)가 전방의 이탈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TC)는 카트리지 유지실(13)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삽입되어서, 도 11의 (a), 도 12의 (a)에 도시하는 이탈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토너 카트리지(TC)의 연동 돌기(73a)가 카트리지 연동 홈(67b, 68b)에 끼워진 상태로 삽입되고, 유출구부(77) 및 유출구 셔터(81)가 유출구 삽입실(47)에 끼워진 상태로 삽입된다.
도 11의 (a), 도 12의 (a)에 도시하는 토너 카트리지(TC)의 이탈 위치에서, 작업자가 착탈 레버(64)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토너 카트리지(TC)의 카트리지 핸들(73)의 전단이 착탈 레버(64)의 후면에 밀려서, 토너 카트리지(TC)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종동 커플러(74)가 구동 커플러(57)와 맞물려서, 구동이 전달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착탈 레버(64)의 록 돌기(67a)가 후측의 장착 유지 리브(59)에 접촉하고 있고, 착탈 레버(64)가 진동 등으로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현상제 유출구(78)가 현상제 유입구(42)에 대하여 탈락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이때, 토너 카트리지(TC)의 이동에 따라, 유출구부(77)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유출구 셔터(81)는 셔터 가이드(46)의 연결부(46d)의 전단면에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유출구 셔터(81)는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출구 셔터(81)는, 유출구(7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유출구 폐쇄 위치로부터 유출구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유출구(78)가 개방된다. 또한, 유출구 부(77)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유출구 부(77)의 후단면에 밀려, 유입구 셔터(51)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유입구 셔터(51)가 유입구(4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유입구 폐쇄 위치로부터 유입구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유입구(42)가 개방된다. 토너 카트리지(TC)가 후단의 장착 위치로 이동하면, 도 11의 (b),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입구(42), 연결구(46e) 및 유출구(78)가 접속되어, 토너 카트리지(TC)로부터 보급로(41)로 현상제가 유입가능한 상태가 된다.
토너 카트리지(TC)를 제거할 경우, 착탈 레버(64)가 도 11의 (b), 도 12의 (b)에 도시하는 장착 위치로부터, 도 11의 (a), 도 12의 (a)에 도시하는 전방의 이탈 위치로 이동하면, 연동 돌기(73a)와 카트리지 연동 홈(67b, 68b)의 맞물림으로, 토너 카트리지(TC)가 전방의 이탈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종동 커플러(74)와 구동 커플러(54)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또한, 착탈 레버(64)가 이탈 위치로 이동하면, 착탈 레버(64)의 록 돌기(67a)가 장착 유지 리브(59)와 이탈 유지 리브(58)의 사이에 끼워져 있어, 착탈 레버(64)가 이탈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착탈 레버(64)가 자체 중량이나 진동 등으로 장착 위치를 향해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이때, 토너 카트리지(TC)의 이동에 따라, 유출구부(77)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유출구 셔터(81)는 유출구 삽입실(47)에 유지되어서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유출구 셔터(81)는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출구 셔터(81)는 유출구(7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유출구 개방 위치로부터 유출구 폐쇄 위치로 이동하여, 유출구(78)가 폐쇄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TC)의 이동에 따라, 카트리지 본체(71)의 돌기(83)가 유입구 셔터(51)의 돌기(51a)에 걸려, 토너 카트리지(TC)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일체적으로 유입구 셔터(51)가 전방으로 밀려서 이동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 위치로부터 이탈 위치로 이동하면, 유입구 셔터(51)가 유입구 개방 위치로부터 유입구 폐쇄 위치로 이동하고, 유입구(42)가 폐쇄된다.
그리고, 토너 카트리지(TC)가 이탈 위치로 이동하면, 토너 카트리지(TC)가 상방으로 이탈 가능하게 되고, 작업자가, 카트리지 핸들(73)을 핀치(pinch)하고, 상방으로 추출하여, 교환이 가능해 진다. 이때, 절결부(61, 62)를 통하여, 손가락이 통과하기 쉽게, 카트리지 핸들(73)이 핀치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토너 카트리지(TC)를 카트리지 유지실(13)에 대하여 상승, 하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착탈 가능해서, 토너 카트리지(TC)를 경사시키지 않아도, 착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1의 복사기 프린터(U)에서는,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에 의해 현상기(D)에서 현상제가 소비되면, 토너 카트리지(TC) 내의 카트리지 패들(76) 및 보급 오거(21)가 구동되어, 토너 카트리지(TC)로부터 현상기(D)에 현상제가 보급된다. 그리고, 토너 카트리지(TC)의 현상제가 비게 되면, 토너 카트리지(TC)를 이탈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교환된다.
실시예 1의 현상기(D)에서는, 감광체(PR)에 대하여 접근 이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트래킹롤(23)이 감광체(PR)에 접촉하여 간격이 유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갭(49)이 설치되지 않고 있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셔터 가이드(46)와 현상기(D)가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TC)의 장착시의 흔들림이나 오차의 누적 등으로, 셔터 가이드(46)의 위치가 어긋나면 현상기(D)의 위치가 일체로 어긋나서, 트래킹롤(23)과 감광체(PR)의 접촉이 불량이 되고, 현상롤(RO)과 감광체(PR)의 간격에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소위 트래킹 불량에 의한 현상 불량이 발생하고, 화상 열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의 토너상 형성 장치(G)에서는, 갭(49)으로, 셔터 가이드(46)가 현상기(D)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셔터 가이드(46)의 위치가 어긋나도 현상기(D)가 셔터 가이드(46)에 대하여 이동하여, 트래킹이 확보된다. 따라서, 트래킹 불량에 의한 현상 불량의 발생이 저감되어, 화질의 저하가 저감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동작 중(中) 등에서는, 회전하는 감광체(PR)나 트래킹롤(23)의 편심 등이 원인으로, 현상기(D)가 이동하는 힘을 받았을 경우, 셔터 가이드(46)에 대하여, 현상기(D)가 이동한다. 따라서, 셔터 가이드(46)와 토너 카트리지(TC)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토너 카트리지(TC)에 불필요한 힘을 작용시키거나, 커플러(57, 74)의 맞물림에 악영향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상기(D)에 대하여 셔터 가이드(46)가 이동하지 않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서, 현상기(D)의 변동이, 토너 카트리지(TC)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토너상 형성 장치(G)에서는, 유입구 셔터(51)가 셔터 가이드(46)에 지지되어 있고, 현상기(D)에 직접 지지되어 있지 않고, 현상기(D)에 대하여 유입구 셔터(51)가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다. 따라서, 현상기(D)에 대하여, 셔터 가이드(46)의 위치가 어긋나도, 토너 카트리지(TC)에 대한 유입구 셔터(51)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다. 가령, 유입구 셔터(51)의 위치가, 토너 카트리지(TC)의 유출구부(77)에 대하여 어긋나면, 토너 카트리지(TC)의 착탈 작업시에, 무엇에 걸리거나 해서, 이동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지만, 실시예 1에서는, 착탈 작업이 원활하게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 가이드(46)의 이동이, 하(下) 실(44)의 변형 등으로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간이한 구성으로 트래킹 불량이 저감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 가이드(39)가, 감광체(PR)에 대하여 위치가 유지된 현상기(D)에 유지되어 있고, 상 가이드(39)로 가이드 된 시트(S)가 안정하여 감광체(PR)를 향해서 반송되고, 감광체(PR)로부터 시트(S)로의 전사가 안정하여 행해진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착탈 레버(64)를 조작하고,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 위치와 이탈 위치의 사이를 이동하고 있어, 작업자가 직접 토너 카트리지(TC)를 조작하여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착탈시에 토너 카트리지(TC)가 경사 하거나 등 해서, 셔터(51, 81)가 개폐되지 않거나, 커플러(57, 74)가 맞물리지 않거나 하는 것이 저감되어, 착탈의 정밀도, 조작성이 향상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토너 카트리지(TC)의 길이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토너 카트리지(TC)가 이동하고 있어,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비해서, 토너 카트리지(TC)가 경사지거나, 구르기가 어렵게, 장착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토너 카트리지(TC)가 이동하는 방향과, 커플러(57, 74)가 맞물리고, 맞물림을 해제하는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고, 토너 카트리지(TC)의 이동시에 커플러(57, 74)를 대피시키는 기구가 필요없다. 따라서, 구성이 간소화되는 동시에, 토너 카트리지(TC)의 착탈시에 커플러(57, 74)를 대피시키는 등의 조작이 필요없고, 조작성도 향상하고 있다.
[실시예 2]
도 13은 실시예 2의 토너상 형성 장치의 설명도이고, 도 13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3의 (b)는 토너 카트리지가 이탈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2의 현상 장치의 요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2의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2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의 설명도이고, 도 16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제거된 상태의 설명도, 도 16의 (b)는 착탈 케이스가 이탈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6의 (c)는 도 16의 (b)의 착탈 케이스에 토너 카트리지가 삽입되기 이전의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2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의 설명도이고, 도 17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삽입된 상태의 설명도, 도 17의 (b)는 도 17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착탈 케이스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설명을 하지만, 이 실시예 2의 설명에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위하고 있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도 13 ~ 도 17에서, 실시예 1의 토너상 형성 장치(G)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는 것도 간소화하고 있다.
도 13에서, 실시예 2의 토너상 형성 장치(G')에서는, 실시예 1의 착탈 레버(64)로 바꾸어, 착탈 조작부의 일례로서, 토너 카트리지(TC')가 수용되는 착탈 케이스(64')가, 제 2 전(前) 프레임(8) 및 제 2 후(後) 프레임(9)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착탈 케이스(64')는, 카트리지 유지실(13)이 폐쇄되는 도 13의 (a)에 도시하는 장착 위치와, 카트리지 유지실(13)이 외부에 개방되는 도 13의 (b)에 도시하는 이탈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4에서, 실시예 2의 현상기(D')에서는, 구 연결 부재의 일례로서, 셔터 가이드(46')가 전후 방향에 따라 배치된 실시예 1의 셔터 가이드(46)와 다르고, 좌우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2의 셔터 가이드(46')는 현상기(D')의 리드 부재(16b)에 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갭(49)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서, 실시예 2의 토너 카트리지(TC')는, 전부(前部)에 새로운 현상제가 수용된 보급 현상제 수용부(TC1')가 형성되고, 후부(後部)에 클리너(CL1)로 회수된 현상제가 수용되는 회수 현상제 수용부(TC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부(TC1')의 하면에는, 유출구 셔터(81)가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수 현상제 수용부(TC2')의 우측면에는, 회수구(TC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의 (b), 도 16, 도 17에서, 실시예 2의 토너상 형성 장치(G')에서는, 클리너(CL1)의 후단에는, 토너상 형성 장치(G')의 후부를 통과하여, 카트리지 유지실(13) 내까지 연장하는 회수 반송로(CL2)가 접속되어 있고, 카트리지 유지실(13) 내의 회수 반송로(CL2)의 단부는, 회수구(TC2a')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회수 반송로(CL2)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반송 부재가 수용되어 있고, 클리너(CL1)로부터 회수 현상제 수용부(TC2')에 현상제가 반송된다.
실시예 2의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될 경우, 도 16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착탈 케이스(64')가 도 16의 (b)에 도시하는 이탈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16의 (c), 도 1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탈 케이스(64')에 토너 카트리지(TC')를 수용한다. 그리고, 착탈 케이스(64')를, 도 17의 (b),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각 셔터(51, 81)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회수구(TC2a')로 회수로(CL2)에 접속된다. 따라서, 보급 현상제 수용부(TC1')로부터 현상기(D')에 현상제가 보급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회수 현상제 수용부(TC2')에 클리너(CL1)로부터의 현상제가 회수가능하게 된다.
토너 카트리지(TC')는 착탈 케이스(64')를 도 13의 (b)에 도시하는 이탈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거가 가능해 진다.
(실시예 2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2의 토너상 형성 장치(G')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트래킹 불량이 저감된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각각의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의 변경예(H01) ~ (H08)을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복사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프린터, FAX, 혹은 이것들의 복수 또는 모든 기능을 갖는 복합기 등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H02)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복사기(U)는, 단색의 현상제가 사용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색 이상의 다색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즉, 감광체(PR)와 현상기(D, D'), 토너 카트리지(TC, TC')를 복수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H03) 상기 실시예에서, 토너상 형성 장치(G, G')로서, 클리너(CL1)나 대전 롤(CR), 대전 롤 클리너(CLC), 제전기(JD) 등이 일체화된 구성으로 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화되지 않는 구성이나, 예를 들면, 현상기(D, D')와 카트리지 홀더(2)만이 유닛화된 구성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4) 상기 실시예에서, 셔터 가이드(46, 46')를 아래 밀봉(44)으로 이동가능한 구성으로 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레일 등을 사용하여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5) 상기 실시예에서, 밀봉(44, 48, 82)을 설치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들의 일부 또는 모두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H06) 상기 실시예에서, 구 연결 부재의 일례로서의 셔터 가이드(46, 46')가 유입구 셔터(5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유입구 셔터(51)는 현상 용기(16)로 지지하고, 그 외측에 현상제 유입구와 유출구를 접속하고 또한 감광체(PR)에 대하여 접근 격리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 연결 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H07) 상기 실시예에서, 유입구 셔터(51)나 유출구 셔터(81)를 개폐하는 기구는, 실시예에 예시한 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임의인 기구를 채용 가능하다.
(H08) 상기 실시예에서, 감광체 홀더(1)에 지지된 현상용의 지지 프레임체(6+7+8+9)를 통하여, 감광체(PR)에 대하여 현상기(D, D')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감광체 홀더와 지지 프레임체를 일체 형성하고, 감광체 홀더에 대하여 직접 현상기(D, D')가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토너상 형성 장치(G)와 현상기(D, D')가 복사기 본체(U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유닛에 의한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불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현상기(D, D')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지지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6 : 현상 용기
23 : 접촉부
29 : 가압 부재
42 : 유입구
44 : 제 1 밀폐 부재
46, 46' : 구 연결 부재
47 : 제 2 밀폐 부재
51 : 유입구 개폐 부재
71 : 용기 본체
78 : 유출구
D : 현상 장치
G, G' : 가시상 형성 장치
PR : 상 유지체
R0 : 현상제 유지체
TC, TC' : 현상제 수용 용기
U : 화상 형성 장치
23 : 접촉부
29 : 가압 부재
42 : 유입구
44 : 제 1 밀폐 부재
46, 46' : 구 연결 부재
47 : 제 2 밀폐 부재
51 : 유입구 개폐 부재
71 : 용기 본체
78 : 유출구
D : 현상 장치
G, G' : 가시상 형성 장치
PR : 상 유지체
R0 : 현상제 유지체
TC, TC' : 현상제 수용 용기
U : 화상 형성 장치
Claims (4)
- 상(像) 유지체와,
내부에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 용기와, 상기 상 유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서 현상 용기 내의 현상제를 표면에 유지하는 현상제 유지체와, 상기 현상 용기에 보급되는 현상제가 유입하는 유입구를 갖고,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하여 접근 이간(離間) 가능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상 유지체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현상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상 유지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피 접촉부에 접촉하고, 상기 상 유지체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는 접촉부와,
내부에 상기 현상 용기에 보급되는 현상제가 수용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현상제가 유출하는 유출구를 갖고, 상기 유출구를 상기 유입구와 대향시켜서 상기 상 유지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체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장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유출구에 대하여 상기 현상 장치의 접근, 이간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유출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 대하여 상기 현상 장치의 접근, 이간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구(口) 연결 부재와,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구 연결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유입구 개폐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 연결 부재와 상기 유입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 연결 부재와 상기 유입구의 사이의 갭(gap)을 밀폐하는 제 1 밀폐 부재와,
상기 구 연결 부재와 상기 유출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 연결 부재와 상기 유출구의 사이의 갭을 밀폐하는 제 2 밀폐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상 유지체와,
내부에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 용기와, 상기 상 유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서 현상 용기 내의 현상제를 표면에 유지하는 현상제 유지체와, 상기 현상 용기에 보급되는 현상제가 유입하는 유입구를 갖고,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하여 접근 이간 가능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상 유지체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현상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상 유지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피 접촉부에 접촉하고, 상기 상 유지체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는, 현상제 수용 용기 본체에 수용된 현상제가 유출하는 유출구에 대하여, 상기 현상 장치의 접근, 이간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유출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100200A JP5463719B2 (ja) | 2009-04-16 | 2009-04-16 | 画像形成装置 |
JPJP-P-2009-100200 | 2009-04-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4818A true KR20100114818A (ko) | 2010-10-26 |
KR101321460B1 KR101321460B1 (ko) | 2013-10-25 |
Family
ID=4295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3163A KR101321460B1 (ko) | 2009-04-16 | 2010-01-13 | 가시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190069B2 (ko) |
JP (1) | JP5463719B2 (ko) |
KR (1) | KR101321460B1 (ko) |
CN (1) | CN101866129B (ko) |
AU (1) | AU2009251089B2 (ko) |
TW (1) | TWI41768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70647B2 (ja) * | 2011-02-17 | 2016-03-01 | 株式会社リコー | 粉体収納容器、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5874231B2 (ja) | 2011-07-29 | 2016-03-02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5768567B2 (ja) | 2011-07-29 | 2015-08-26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5884343B2 (ja) | 2011-08-31 | 2016-03-1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
JP5126438B1 (ja) * | 2012-03-27 | 2013-01-23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粉体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
US9042791B2 (en) | 2012-03-27 | 2015-05-26 | Fuji Xerox Co., Ltd. | Powder accommodation containe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US9213303B2 (en) * | 2013-12-17 | 2015-12-15 | Lexmark International, Inc. | Replaceable unit for a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drive coupler that includes a locking member |
CN106527073B (zh) * | 2015-09-15 | 2019-10-25 | 佳能株式会社 | 图像形成装置 |
JP7275561B2 (ja) * | 2018-12-18 | 2023-05-18 |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 回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CN112861593A (zh) * | 2019-11-28 | 2021-05-28 | 宁波微科光电股份有限公司 | 电梯门口行人检测方法、系统、计算机存储介质、电梯 |
JP7435123B2 (ja) * | 2020-03-25 | 2024-02-21 |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 着脱式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容器搭載装置 |
JP2022050266A (ja) | 2020-09-17 | 2022-03-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2370A (ja) * | 1984-07-10 | 1986-01-30 | Canon Inc | 現像装置 |
JPS62262070A (ja) * | 1986-05-07 | 1987-11-14 | Canon Inc | 現像装置 |
US4949399A (en) * | 1989-05-09 | 1990-08-14 | Eastman Kodak Company | Development station engageable with toner monitor |
JPH0659605A (ja) * | 1992-08-05 | 1994-03-04 | Brother Ind Ltd | 粉体回収装置 |
JPH0669960U (ja) * | 1993-03-09 | 1994-09-3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トナー補給装置 |
US5305064A (en) * | 1993-05-20 | 1994-04-19 | Xerox Corporation | Compact single component development system with modified toner agitator and toner dispense auger disposed therein |
US5839027A (en) * | 1997-06-30 | 1998-11-17 | Ravi & Associates | Magnet less sealable developer cartridge |
JP3685694B2 (ja) | 2000-08-28 | 2005-08-24 | 株式会社沖データ |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と画像形成装置 |
JP3919509B2 (ja) * | 2001-11-20 | 2007-05-30 | 株式会社リコー |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CN101118411B (zh) * | 2003-03-05 | 2010-04-21 | 株式会社理光 | 图像形成装置及处理卡盒 |
US7171137B2 (en) * | 2003-10-30 | 2007-01-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
JP4645116B2 (ja) | 2004-09-22 | 2011-03-09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
JP4872321B2 (ja) * | 2005-11-24 | 2012-02-08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現像剤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JP4378374B2 (ja) * | 2006-03-10 | 2009-12-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4765768B2 (ja) * | 2006-05-24 | 2011-09-07 |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 画像形成方法 |
JP2008020605A (ja) | 2006-07-12 | 2008-01-31 | Oki Data Corp |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US7684730B2 (en) * | 2007-01-18 | 2010-03-23 | Kyocera Mita Corporatio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termediate transfer unit |
JP5067865B2 (ja) * | 2007-02-21 | 2012-11-07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JP5125172B2 (ja) * | 2007-03-28 | 2013-01-23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
-
2009
- 2009-04-16 JP JP2009100200A patent/JP546371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12-17 US US12/640,055 patent/US819006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12-22 AU AU2009251089A patent/AU2009251089B2/en not_active Ceased
-
2010
- 2010-01-07 TW TW099100248A patent/TWI41768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1-13 KR KR1020100003163A patent/KR10132146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1-18 CN CN201010002826.3A patent/CN101866129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21460B1 (ko) | 2013-10-25 |
TWI417685B (zh) | 2013-12-01 |
CN101866129A (zh) | 2010-10-20 |
CN101866129B (zh) | 2013-12-18 |
AU2009251089B2 (en) | 2011-05-26 |
JP2010250119A (ja) | 2010-11-04 |
AU2009251089A1 (en) | 2010-11-04 |
US8190069B2 (en) | 2012-05-29 |
JP5463719B2 (ja) | 2014-04-09 |
US20100266310A1 (en) | 2010-10-21 |
TW201039077A (en) | 2010-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1460B1 (ko) | 가시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
JP4802872B2 (ja) | 着脱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2013189309A (ja) | 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4317313B2 (ja) | 現像モジュールの自動カミング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現像ユニット並びに印刷機 | |
JP5167774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4811490B2 (ja) | 現像剤回収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5157137B2 (ja) |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4572873B2 (ja) |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4203264B2 (ja) | カラー記録装置 | |
JP4775471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6054084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4044340A (ja) | 画像形成装置 | |
JP4807109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5239651B2 (ja) | 清掃部材、清掃器、像保持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6336016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0231312A (ja) | 廃トナー収容装置 | |
EP0381503B1 (en) | Inverted synchronous belt drive system | |
JP5971105B2 (ja) | 開閉部材の保持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2008310054A (ja) | 印字処理装置、多機能画像形成装置および単機能画像形成装置 | |
JP2012008383A (ja) | 媒体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22037723A (ja) | 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転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3837003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4962398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5079076A (ja) | 清掃器、像保持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4992492B2 (ja) | 清掃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