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260A - 천마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청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마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청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260A
KR20100114260A KR1020090032700A KR20090032700A KR20100114260A KR 20100114260 A KR20100114260 A KR 20100114260A KR 1020090032700 A KR1020090032700 A KR 1020090032700A KR 20090032700 A KR20090032700 A KR 20090032700A KR 20100114260 A KR20100114260 A KR 20100114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heonma
rice
hours
syr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0014B1 (ko
Inventor
정승일
최민휴
김영삼
권태호
유강열
김상준
황병순
두홍수
Original Assignee
남영제약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제약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남영제약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090032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01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4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23L21/27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20Malt products
    • A23L7/25Fermentation of cereal malt or of cereal by mal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마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청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찹쌀을 증류수로 세척 후 실온에서 3-5시간 수침한 후, 상기 수침한 쌀로 밥짓기를 하는 단계; 상기 밥 1.0 kg에 엿기름 300g과 물 4.2L를 넣어 55℃를 유지하면서 5시간 당화시켜 당화액을 얻는 단계; 상기 당화액을 여과 후 당화액을 졸일 때 천마추출액을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당화액과 천마추출액의 혼합물을 95℃를 유지하면서 1시간 동안 저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마 조청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마 조청 및 상기 천마 조청을 함유하는 가공식품에 관한 것이다.
천마추출액, 당화액, 조청, 가공식품

Description

천마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청 및 그 제조방법{Grain syrup comprising gastrodia elata extrac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마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청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마 조청 및 상기 천마 조청을 함유하는 가공식품에 관한 것이다.
천마 (Gastrodia elata Blume)는 난초과(Orchidaceae)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뽕나무 버섯속 균사에 공생하며 땅속 괴경을 지니고 있고, 적극, 귀독우, 난모, 신초, 정풍초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한방에서 천마는 고혈압, 중풍, 두통, 신경성질환, 당뇨병, 간질, 어지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제까지 알려진 천마의 약리성분으로는 가스트로딘(gastrodine), p-히드록시 벤질 알콜, p-히드록시 벤질 알데히드, 바닐린 등이 보고되었다.
현재까지 천마에 대한 연구는 천마의 일반성분과 기능성 조사, 천마의 무기성분 및 항산화 작용에 관한 연구, 추출용매에 따른 천마 농축액의 리올로지 특성, 건조방법에 따른 천마의 성분분석, 천마의 식품학적 성분분석 및 건조방법에 따른 특성변화, 천마의 향기성분, 천마의 항혈소판 및 항혈전활성에 대한 연구, 천마추출액이 관상 순환기에 미치는 영향, 천마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천마추출 액을 이용한 음료의 품질특성 등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천마는 '02년 9월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식품원료 분류에 "식품의 주원료의 사용 가능한 식물"로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해졌다.
현재 시중에 천마 가공제품으로는 건조 천마를 분쇄한 분말과 한약재들과 열수 추출하여 파우치, 드링크 제품 및 농축 엑기스류 제품 정도로 아주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천마는 다양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쓴맛과 독특한 냄새로 인하여 식품으로 제한되고 최근 약용으로서의 수요도 과잉이다.
조청은 예로부터 우리나라 전통적인 식품으로서, 엿과 당분을 함유한 곡물과 맥아를 첨가하여 제조한 후 열을 가한 식품이다. 쌀과 맥아만으로 제조가 가능하지만, 최근 전통식품의 현대화에 따라 다양한 첨가물 단감, 표고버섯 가루 및 추출액등을 이용한 제품을 제조법을 연구하여 발표하였다(한국농화학생물학회 4, p88-91, 2001; 한국식품과학회 37, p768-775,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p1082-1090, 2005).
한국특허공개 제10-2009-0032753에는 기호도가 향상된 천마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10-0625609호에는 천마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10-0710707호에는 천마의 유효성분 추출 증대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 제10-0547405호에는 무 및 도라지를 포함하는 무 도라지 조청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10-0748263호에는 배와 도라지를 이용한 조청, 엿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10- 0366607호에는 양파조청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10-0529476호에는 산약, 하수오, 애엽, 의이인, 천마, 복령, 사삼, 현미 찹쌀, 조청으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로 조성된 면역증강용 건강보조식품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천마 함유 조청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천마의 가공식품 및 식품소재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천마의 유효성분의 기능적인 특성을 살리고 쓴맛과 향을 완화시킨 기호성 있는 조청을 제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약리 효능 등이 보고되고 식품의 주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천마를 새로운 형태의 제품으로 개발하여 그 품질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천마의 쓴맛과 독특한 냄새가 개선된 천마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청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천마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청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마 조청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천마 조청을 함유하는 가공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마 조청은 천마의 다양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쓴맛과 독특한 냄새로 인해 식품으로서의 용도가 제한되었던 점을 극복하여 맛과 향을 개선한 것이므로, 기호식품으로서 활용 가치가 클 것이다. 또한, 천마 조청을 함유하는 가공식품의 개발에도 매우 유용할 것이다.
또한, 무주군은 천마의 주산지로 전국 생산량의 60%가 재배되고 있어, 무주 에서 생산되는 천마의 소비촉진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시중에 유통되는 천마 가공품으로는 분말, 환 등이 거의 대부분이므로, 천마를 이용한 시장의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당화액 및 천마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청에서, 상기 당화액과 천마추출액의 중량비가 7: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로 제조된 조청이 전체 관능검사 결과에서 가장 좋은 경향을 보였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청에서, 상기 천마추출액의 유효성분은 가스트로딘(gastrodin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청에서, 상기 당화액은 찹쌀을 증류수로 세척 후 실온에서 3-5시간 수침한 후, 상기 수침한 쌀로 밥짓기를 하고, 상기 밥 1.0 kg에 엿기름 300g과 물 4.2L를 넣어 55℃를 유지하면서 5시간 당화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청에서, 상기 천마추출액은 각종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천마를 시료 양의 10배에 해당하는 메탄올로 6시간씩 2회 반복 환류 추출하고, 상기 추출액을 40℃에서 감압농축하여 메탄올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액에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 분획을 실시하고 감압농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찹쌀을 증류수로 세척 후 실온에서 3-5시간 수침한 후, 상기 수침한 쌀로 밥짓기를 하는 단계;
상기 밥 1.0 kg에 엿기름 300g과 물 4.2L를 넣어 55℃를 유지하면서 5시간 당화시켜 당화액을 얻는 단계;
상기 당화액을 여과 후 당화액을 졸일 때 천마추출액을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당화액과 천마추출액의 혼합물을 95℃를 유지하면서 1시간 동안 저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마 조청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천마 조청의 제조 방법에 기재된 각 수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천마 조청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당화액과 천마추출액의 중량비가 7:3이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로 첨가된 조청이 전체 관능검사 결과에서 가장 좋은 경향을 보였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천마 조청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천마추출액은 각종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천마를 시료 양의 10배에 해당하는 메탄올로 6시간씩 2회 반복 환류 추출하고, 상기 추출액을 40℃에서 감압농축하여 메탄올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액에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 분획을 실시하고 감압농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엿기름은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되는데 엿기름을 만드는 제조공정은 겉보리 → 침지 → 발아 → 교반 → 건조 → 엿기름의 순서로 제조된 다. 보리는 아밀라제(amylase)를 가지지 않으나 보리가 발아한 엿기름은 전분을 분해하는 α-아밀라제 및 β-아밀라제를 함유하고 있는데, 엿기름에 함유되어 있는 효소의 양은 싹이 트기 시작해서 싹이 성장함에 따라 달라지고 싹의 길이가 겉보리 알맹이 길이의 1∼1.5배 일 때 효소의 함량이 가장 높다.
보리의 발아에 필요한 시간은 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5℃ 이하에서는 2주일, 20℃에서는 8일 가량이 소요되며, 보통 14∼18℃에서 발아시키는데, 일반적으로 보리를 하룻밤 물에 담가서 수분을 흡수시키는데, 발아에 필요한 수분은 약 44%로서, 최종적으로 발아된 맥아는 햇빛에서 수분함량이 10% 정도 되도록 건조시킨다.
보리를 이용한 엿기름 제조와 마찬가지로 밀 등을 이용하여 엿기름을 제조할 수도 있지만, 밀의 경우 보리에 비해 아밀라제의 효소활성이 조금 떨어진다. 엿기름물 추출은 일반적으로 분쇄한 맥아(엿기름 가루) 중량을 기준으로 10∼20배 정도의 물을 가하여 2시간 이상 실온에서 침지시켜 걸러내는데, 아밀라제의 최적온도인 55℃∼60℃에서는 아밀라제의 용출이 잘 되지 않으므로 15℃∼20℃ 정도에서 용출시키는 것이 좋고, 색깔의 갈변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천마 조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마 조청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마 조청은 천마 자체의 쓴맛과 독특한 냄새가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천마 조청을 함유하는 가공식품을 제공한다. 천마 조청을 함유하는 가공식품으로는 엿, 사탕, 껌, 젤리, 한과, 떡, 잼, 장아찌, 강정 등을 예로 들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재료
본 연구에 사용한 천마, 천마추출액, 엿 등은 남영제약영농조합에서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2. 실험방법
가. 조청의 제조
찹쌀을 증류수로 3회 세척 후 실온에서 4시간 정도 수침을 하였다. 수침한 쌀을 전기밥솥에서 밥짓기를 하였다. 밥 1.0 kg에 엿기름 300g과 물 4.2L를 넣어 55℃를 유지하면서 5시간 당화시켰다. 당화액을 촘촘한 채로 걸러낸 후 당화액을 졸일 때 당화액과 천마추출액의 비를 10:0, 7:3, 5:5, 3:7의 비율로 첨가하여 각각의 시료로 제조하였다.
각 시료를 시료내의 온도가 95℃를 유지하면서 1시간 동안 저어주면서 가열하여 조청을 제조하였다. 대조구로서 천마추출액을 넣지 않은 조청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나. 일반검사
수분은 수분측정기, 조지방은 에테르추출법, 회분은 550℃ 회화법, 조단백질은 semimicro kjeldahl법으로 측정하였다.
다. 무기성분 분석
조청의 무기성분의 분석은 건식분해법에 따라 일정량을 도가니에 취하여 예비 탄화시킨 다음 전기로 550℃에서 완전히 회화시켰다. 방냉 후 묽은 염산(1:1 v/v) 10 mL를 첨가하여 수욕상에서 증발 건고시킨 다음 묽은 염산(1:3 v/v) 10 mL를 첨가하여 30분 정도 수욕상에서 가열하여 방냉 후 1N 질산용액으로 50 mL 정용하여 유도결합플라즈마(ICP)로 무기성분(Ca, Fe, Cu, Mn, Zn, Mg, Na, K)을 분석하였다.
라. 점도, 색도, 당도 및 pH 측정
각 시료의 점도는 Brookfield viscometer(Model-LV, II, Brookfield Engineering Labs, USA)를 사용하여 조청을 직경 3.5cm, 높이 7.5cm인 원형용기에 넣어 20℃에서 spindle No. 1으로 2분간 회전하면서 측정하였다. 천마조청의 당도는 디지털당도계(RX-5000, Atago Co., Japan)로 측정하였으며, 색도는 색차계(SP-80, Denshoku Co., Japan)를 이용하여 3자극치인 L(lightness), a(redness), b(yellowness)을 측정하였다. pH는 식품공정의 엿류 시험법에 따라 조청 1g을 정확하게 달아 증류수로 10배 희석한 후 pH meter (Accumet AR50, Fisher Scientific, USA)로 측정하였다.
마. 관능검사
천마조청에 대한 관능검사는 천마조청에 관심이 있는 10명의 관능검사요원을 대상으로 색상, 향, 맛, 전반적기호도 등을 9점 기호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바. 확인시험
1) 조청 1.0g을 달아서 20mL의 증류수에 녹인 후 5 방울을 페링시액 5mL에 넣어 끓이면 적색의 침전이 생긴다.
2) 조청 1.0g에 에탄올 20mL를 넣고 흔들어 섞으면서 수욕상에서 가열하여 불용성 물질을 취한다. 이것을 소량의 에탄올로 씻은 다음 뜨거운 물에 녹이고 식힌 다음, 요오드시액 1~2방울을 넣을 때 액은 적자색을 나타내지 않는다.
사. 가용성 고형분(°Brix) 측정
천마추출액를 첨가하여 제조한 조청은 시료 1g당 증류수 10mL에 희석하여 Abbe형 굴절 당도계(Hand Refractometer N-1E, Atago, Japan)를 사용하여 °Brix을 측정하였다.
아. 순도시험
1) 용해 상태
이 약 20g에 열탕 20mL를 넣어서 녹일 때 액은 투명하다.
2) 산
조청 4.0g을 증류수 40mL에 용해시킨 후 식힌 다음 이 용액 20mL를 취하여 0.1 mol/L 수산화 나트륨시액 0.6mL 및 페놀프탈레인 지시약 2 방울을 넣을 때 액은 홍색을 나타낸다.
3) 중금속
조청 1.0g을 취하여 일반시험법 중 중금속 시험법에 따라 조작하여 시험한다 (0.5ppm 이하).
4) 전분
조청 4.0g을 증류수 40mL에 용해시킨 후 식힌 다음 검액 5mL에 요오드시액 1 방울을 넣을 때 액은 청색을 나타내어서는 안된다.
5) 포도당
조청 0.2g을 100mL의 삼각플라스크에 취하여 20mL의 물을 넣어 녹이고 여기에 초산제이동시액 10mL를 넣어 흔들어 섞은 다음 수욕상에서 5분간 가열한 다음 상온에서 10분간 방치 할 때 적색의 침전이 생겨서는 안 된다.
자. 정량법
조청 1g을 정밀히 달아 뜨거운 물에 녹이고 식힌 다음 물을 넣어 정확히 200mL로 한다. 상기 액 20mL를 취하여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페링시액 10mL를 넣고 4분간 서서히 끓인 다음 상온이 될 때 까지 식혀 산화제일동을 침전시킨 다음 유리 여과기에서 흡입 여과하여 여과기 안의 산화제일동을 알칼리성이 나타나지 않을 때 까지 끓는 물로 씻은 다음 황산제이철 시액 200mL를 넣어 침전을 녹여 여과한 여액을 0.02 mol/L 과망간산칼륨액으로 적정한다.
차. 생리활성물질 분리
건조된 천마(Gastrodia elata) 1.2kg를 시료양의 10배에 해당하는 메탄올로 6시간씩 2회 반복 환류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40℃에서 감압농축하여 109g의 메탄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이 추출액을 증류수 2L에 완전히 현탁시킨 후 분획여두로 옮긴 다음 같은 양의 헥산 2L를 넣은 후 분획깔데기를 격렬하게 흔든 후 정치하여 층 분리를 유도한다. 분리된 위층(헥산층)을 얻는다. 이와 같은 방법을 1회 반복하여 헥산층을 얻는다. 극성도에 따라 클로로포롬,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순서로 분획을 실시하여 감압농축하여 각각의 분획물을 얻었다. 분획물 중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32g을 실리카겔에 코팅을 한 다음 실리카겔이 충진된 컬럼(6×20cm, φ)에 loading를 하여 CHCl3-MeOH (25:1, 12:1, 6:1, 3:1, 1:1)의 용매로 컬럼을 실시하고 TLC(전개용매: CHCl3-MeOH, 7:3, v/v)를 이용하여 분획물 9개를 얻었다. 분획 중 3번째 분획물을 prep-HPLC (JAI, GS320 column, 210nm)로 MeOH를 이용하여 순수한 화합물을 얻었다. 1H-NMR과 13C-NMR 등 이화학분석기기를 이용하여 구조를 동정하였다 (도 1 내지 도 5).
타. 천마조청 패턴 검사
천마추출액을 다양한 비율로 첨가하여 제조한 조청의 주요성분의 패턴을 비교하기 위하여 HPLC를 실시하였다. 분석 조건은 하기와 같다.
Figure 112009022680304-PAT00001
실시예 1: 천마추출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조청의 일반성분
당화액을 기준으로 천마추출액을 일정 비율(10:0(control), 3:7, 5:5, 7:3)로 첨가하여 졸이기를 한 조청에 대한 일반성분 분석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다양한 비율의 천마추출액을 함유하는 조청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Figure 112009022680304-PAT00002
무첨가구 즉, 천마추출액을 첨가하지 않은 조청의 수분은 25.65±2.31%, 조단백질 2.11±0.03%, 조지방 0.39±0.01%, 회분 0.37±0.05%으로 나타났다. 천마추출액을 첨가할수록 수분의 함량이 증가하여 7:3인 시료의 경우 45.93±3.01%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다른 성분들은 무첨가구보다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보이나, 실제 건조물 기준으로 판단해보면, 무첨가구에 비해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며, 오히려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시예 2: 천마추출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조청의 무기성분
천마추출액을 첨가한 조청의 무기성분 분석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다양한 비율의 천마추출액을 함유하는 조청의 무기성분 분석 결과.
Figure 112009022680304-PAT00003
천마추출액을 첨가하지 않은 무첨가구의 경우 총 무기성분 함량 중에 칼륨(K)이 811.27±5.5 mg/kg이고, 천마추출액이 증가할수록 성분의 증가가 나타나 3:7에서 가장 높은 910.31±6.5 mg/kg 결과를 나타났다. 마그네슘(Mg)은 무처리군에서는 247.09±2.3 mg/kg이고 천마추출액이 증가할수록 235.35±9.7mg/kg (7:3)- 255.93±5.6mg/kg(3:7)로 약간의 증가를 가져왔다. 이외의 무기성분들의 결과들은 천마추출액을 첨가하는 경우 무첨가구와 무기성분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무기 성분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시예 3: 관능검사
천마조청에 대한 관능검사는 천마조청에 관심이 있는 10명의 관능검사요원을 대상으로 색상, 향, 맛, 전반적기호도 등을 9점 기호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천마추출액 첨가 비율별로 제조한 조청의 시료구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표 3).
표 3. 천마조청의 관능검사 결과
Figure 112009022680304-PAT00004
상기 표 3에서, A, B, C 및 D는 각각 당화액과 천마추출액의 중량비가 10:0, 7:3, 5:5 및 3:7이다.
천마조청의 색조에 있어서는 시료구 A와 B에서 유의성이 있었고, B에서 가장 낮은 값을 획득했다. 조청의 향기는 전체 시료구에서 유의성이 없었지만 B에서 가장 높은 값을 획득하여 색조와는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씹을 때의 느낌은 A와 B에서 유사한 결과로 천마추출액이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얻었다. 이 결과는 첨가된 천마추출액에 의해 씹는 느낌이 향상됨을 나타낸다. 단맛은 모든 시료에 있어서 유의성은 없었는데, 이것은 천마추출액의 첨가량이 증가하더라도 전체 조청의 당도 감소를 가져오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는 천마추출액을 7:3 첨가한 시료구(B)에서 가장 좋은 기호도를 보였다.
전체 관능검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모든 조건에서 좋은 점수를 획득한 B 시료인 7:3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경향을 보였다.
실시예 4: pH의 측정 결과
본 발명에서 제조한 조청은 식품공전의 엿류 규격기준 중 pH가 4.5-7.0의 범위이내이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pH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 시료별 pH는 5.2-5.6으로 나타나 시료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또한 식품공전 규격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점도 및 건조 감량
천마추출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조청의 점도변화는 표 4와 같다.
표 4. 다양한 비율의 천마추출액을 함유하는 조청의 점도, 건조감량 및 pH.
Figure 112009022680304-PAT00005
무첨가구의 경우 124×103 cps이었으나 당화액과 추출액 첨가비가 7:3의 비율로 첨가한 경우 31×103 cps로 크게 감소하였고, 5:5 첨가구의 경우 24×103 cps, 3:7 첨가구의 경우 19.4×103 cps로 추출액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더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천마추출액의 첨가 수준이 높아질수록 점도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조청 제조시 조청의 물성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출액을 첨가하는 경우 졸이는 시간을 기존의 제품에 비해 더 길게 설정할 필요성을 느꼈다.
조청 건조감량의 경우 표 4에 나타난 것처럼 3:7 첨가구가 33.7%, 무첨가구 4.8%에 비하여 상당히 높으며, 7:3 처리구에서는 5.0%으로 무처리구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참고로, 조청 품질검사 기준치가 건조감량이 5.0% 이하가 되어야 합격이다. 건조감량이 감소할수록 점도 또한 감소하여 건조감량과 점도가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점도를 측정할 수 없는 경우 건조감량을 측정함으로써 천마추출액 첨가량이나 졸이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건천마, 천마추출액, 천마조청의 중금속 중 카드뮴, 납, 비소 및 수은을 분석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모두 중금속은 검출되지 않았다.
표 5. 천마추출액의 중금속 검출 결과.
Figure 112009022680304-PAT00006
실시예 6: 천마추출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조청의 HPLC 패턴 비교
천마의 생리활성분으로 알려진 가스트로딘을 분리 동정하여 지표물질로 하여 천마추출액의 첨가에 따른 조청 제조과정의 패턴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리활성성분인 가스트로딘이 Rt 5.86분에서 검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
도 1은 천마의 추출 및 분획 과정이다.
도 2는 천마로부터 가스트로딘의 분리 과정이다.
도 3은 천마로부터 분리된 가스트로딘의 1H-NMR 스펙트럼이다 (400MHz, DMSO).
도 4는 천마로부터 분리된 가스트로딘의 13C-NMR 스펙트럼이다 (100MHz, DMSO).
도 5는 가스트로딘(p-히드록시메틸 페닐-β-D-글루코피라노시드)의 화학 구조식이다.
도 6은 천마조청과 천마의 가스트로딘 성분의 크로마토그램이다.

Claims (10)

  1. 당화액 및 천마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액과 천마추출액의 중량비가 7: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마추출액의 유효성분은 가스트로딘(gastrod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액은 찹쌀을 증류수로 세척 후 실온에서 3-5시간 수침한 후, 상기 수침한 쌀로 밥짓기를 하고, 상기 밥 1.0 kg에 엿기름 300g과 물 4.2L를 넣어 55℃를 유지하면서 5시간 당화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마추출액은 건조된 천마를 시료 양의 10배에 해당하는 메탄올로 6시간씩 2회 반복 환류 추출하고, 상기 추출액을 40℃에서 감압농축하여 메탄올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액에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 분획을 실시하고 감압농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청.
  6. 찹쌀을 증류수로 세척 후 실온에서 3-5시간 수침한 후, 상기 수침한 쌀로 밥짓기를 하는 단계;
    상기 밥 1.0 kg에 엿기름 300g과 물 4.2L를 넣어 55℃를 유지하면서 5시간 당화시켜 당화액을 얻는 단계;
    상기 당화액을 여과 후 당화액을 졸일 때 천마추출액을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당화액과 천마추출액의 혼합물을 95℃를 유지하면서 1시간 동안 저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마 조청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액과 천마추출액의 중량비가 7:3이 되도록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천마추출액은 건조된 천마를 시료 양의 10배에 해당하는 메탄올로 6시간씩 2회 반복 환류 추출하고, 상기 추출액을 40℃에서 감압농축하여 메탄올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액에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 분획을 실시하고 감압농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마 조청.
  10. 제9항의 천마 조청을 함유하는 가공식품.
KR1020090032700A 2009-04-15 2009-04-15 천마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101080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00A KR101080014B1 (ko) 2009-04-15 2009-04-15 천마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청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00A KR101080014B1 (ko) 2009-04-15 2009-04-15 천마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청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260A true KR20100114260A (ko) 2010-10-25
KR101080014B1 KR101080014B1 (ko) 2011-11-04

Family

ID=43133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700A KR101080014B1 (ko) 2009-04-15 2009-04-15 천마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청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0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2424A (zh) * 2014-10-17 2015-01-07 神农架绿野食品开发有限责任公司 天麻素的提取方法
CN105111258A (zh) * 2015-09-23 2015-12-02 成都艾比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从天麻中提取天麻甙的制备方法
KR20220043934A (ko) * 2020-09-28 2022-04-06 남영제약영농조합법인 천마를 이용한 어린이용 젤리 음료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742B1 (ko) 2013-05-16 2015-02-06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표고버섯과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효능을 갖는 식품 조성물
KR20160018078A (ko) 2014-08-08 2016-02-17 산성자연애영농조합법인 밤조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조청
KR101981062B1 (ko) 2017-08-31 2019-05-22 정진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강과 울금을 함유하는 곡물당, 과일잼 또는 과일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곡물당, 과일잼 또는 과일시럽
KR101994458B1 (ko) 2018-05-11 2019-06-28 공주시 율피 조청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2424A (zh) * 2014-10-17 2015-01-07 神农架绿野食品开发有限责任公司 天麻素的提取方法
CN105111258A (zh) * 2015-09-23 2015-12-02 成都艾比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从天麻中提取天麻甙的制备方法
KR20220043934A (ko) * 2020-09-28 2022-04-06 남영제약영농조합법인 천마를 이용한 어린이용 젤리 음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014B1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014B1 (ko) 천마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청 및 그 제조방법
US11253567B2 (en) Citrus seed extract-containing composition, food, drug, and method for producing citrus seed extract-containing composition
KR101127659B1 (ko) 대추 와인 및 그 제조방법
AU2020278855A1 (en) Composition for increasing bioavailability and promoting absorption of ginsenosides in black ginseng extract
KR102225182B1 (ko) 동결건조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203820B1 (ko) 잡곡류와 약용식물을 이용한 누룽지 및 누룽지 스낵의 제조방법
KR102002080B1 (ko) 감, 잡곡 및 약용식물을 이용한 찹쌀떡의 제조방법
KR101583869B1 (ko) 팽화 수수 발효주의 제조방법
KR101665043B1 (ko) 검정쌀 및 해조류를 포함하는 고추장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01037A (ko) 천마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 고추장
KR20110008481A (ko) 발효 마테차 제조 방법
KR101781109B1 (ko) 유색 맥아를 이용한 유색 조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유색 조청
Jolayemi et al. Exploring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lected Under-Exploited Tropical Fruits
KR20140089152A (ko) 고로쇠 수액을 포함하는 탁주 및 청주의 제조 방법
KR20140070788A (ko)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과 및 그 제조방법
Boakye Assessment of Some Health Beneficial Constituents of Edible Portions of Four Underutilised Fruits
KR102048623B1 (ko) 홍삼 박 유래 산성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7570B1 (ko) 발아 향미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아 향미차
KR101714964B1 (ko) 흑보리를 함유하는 엿기름 분말의 제조방법
KR20200074355A (ko) 백수오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조청
KR101717909B1 (ko) 저알콜 산양산삼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산양산삼 리큐르주
CN107927304A (zh) 一种白果糖果及其制备方法
KR20140048751A (ko) 민들레 꽃 식혜의 제조방법
KR102183075B1 (ko) 복령을 함유하는 기능성 차 음료의 제조방법
KR100536086B1 (ko) 솔잎 엑기스 및 보리싹 엑기스 혼합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 보조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