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449A -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449A
KR20100109449A KR1020100027761A KR20100027761A KR20100109449A KR 20100109449 A KR20100109449 A KR 20100109449A KR 1020100027761 A KR1020100027761 A KR 1020100027761A KR 20100027761 A KR20100027761 A KR 20100027761A KR 20100109449 A KR20100109449 A KR 20100109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high frequency
electrode
frequency electrode
plas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7565B1 (ko
Inventor
요헤이 야마자와
나오히코 오쿠니시
히로노부 미사와
히데히토 소에타
Original Assignee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623Mechanical discharge contro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01J37/32091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the radio frequency energy being capacitively coupled to the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532Electrodes
    • H01J37/32541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532Electrodes
    • H01J37/3255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697Electrostatic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의 성능 및 자유도를 대폭 개선하여 플라즈마 밀도 분포 및 프로세스 특성의 가급적인 균일성 향상을 실현시킨다. 용량 결합형 플라즈마 처리 장치는, 서셉터(12) 상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를 제어하기 위한 툴로서 챔버 하부실(25)에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를 설치하고 있다. 이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는 서셉터(12)의 배면의 원하는 부위에 상면을 향하여 배치되는 도체판(제 1 도체)(74)과, 이 도체판(74)을 그 아래에서 보지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지하는 도체봉(제 2 도체)(76)을 가진다. 도체봉(76)의 상단(제 1 접속부)은 도체판(74)의 하면의 임의의 부위에 고착되어 있다. 도체봉(76)의 하단(제 2 접속부)은 챔버(10)의 저벽(10b)에 고착 또는 접촉되어 설치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 방법{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고주파 전극을 구비한 처리 용기 내에서 피처리체에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주파 전극에 고주파를 인가하여 고주파 방전에 의해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용량 결합형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디바이스 또는 FPD(Flat Panel Display)의 제조 프로세스에서의 에칭, 퇴적, 산화, 스퍼터링 등의 미세 가공 또는 처리에는, 처리 가스에 비교적 저온에서 양호한 반응을 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플라즈마가 이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플라즈마의 생성에는 방전이 이용되고, 플라즈마 처리 장치는 고주파 방전을 이용하는 것과 마이크로파 방전을 이용하는 것으로 대별(大別)된다. 고주파 방전 방식은 또한, 처리 용기 내에 평행 평판 전극을 설치하는 용량 결합형과 처리 용기의 주위에 나선형 또는 소용돌이 형상의 전극을 장착하는 유도 결합형으로 분류된다. 이들 몇 개의 플라즈마 생성 방식 중에서 용량 결합형이 양산(量産)용 장치 및 디바이스 개발용 장치의 주류로 되어 있다.
용량 결합형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는, 감압 가능한 처리 용기 또는 반응 용기 내에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을 평행하게 배치하고, 하부 전극 상에 피처리체 예를 들면 반도체 웨이퍼를 재치하고, 상부 전극 혹은 하부 전극에 정합기를 개재하여 소정 주파수의 고주파의 파워를 인가한다. 이 고주파의 파워에 의해 생성된 고주파 전계에 의해 전자가 가속되어 전자와 처리 가스의 분자·원자와의 해리(解離)·전리(電離) 충돌에 의해 플라즈마가 발생하여, 플라즈마 중의 래디컬 또는 이온에 의해 웨이퍼 표면에 원하는 플라즈마 처리(예를 들면 에칭 가공)가 실시된다.
플라즈마 프로세스에서 프로세스의 (면내) 균일성은 수율 향상의 기본 요건이고 또한, 반도체 디바이스의 미세화의 진전 또는 반도체 웨이퍼의 대구경화(大口徑化)에 수반하여 더욱 더 중요성이 증가되고, 또한 요구되는 레벨이 높아지고 있다.
이 점, 종래의 용량 결합형 플라즈마 처리 장치는 반도체 웨이퍼 상의 플라즈마 밀도의 균일성이 프로세스의 균일성을 크게 좌우한다는 점에서, 플라즈마 생성에 제공되는 전극, 특히 고주파의 파워가 인가되는 전극(고주파 전극)의 구조에 연구를 집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용량 결합형은 플라즈마 밀도가 상대적으로 전극 중심부에서 가장 높고 그 주위에서 낮아지는 산 형상의 프로파일이 되기 쉽다. 그래서, 고주파 전극을 직경 방향으로 2 분할하는 전극 구조 또는, 고주파 전극의 주면(主面) 또는 표면에 유전체를 설치하고, 그 유전체의 두께가 전극 중심부로부터 전극 엣지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는 것과 같은 전극 구조를 취함으로써, 전극 상의 고주파 전계를 상대적으로 전극 엣지부에서 강하게 하고 전극 중심부에서 약하게 하여 플라즈마 밀도 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2004-193565호 일본특허공개공보 2004-363552호
그러나, 용량 결합형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서, 상기와 같이 고주파 전극의 구조에 플라즈마 밀도 제어의 기능을 갖게 하는 방식은 고주파 전극의 제작이 매우 번잡하고 고비용일 뿐만 아니라,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의 자유도(自由度)가 낮고, 특히 방위각 방향에서 플라즈마 밀도를 균일화하는 능력에 과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방위각 방향에서 플라즈마 밀도가 불균일해지는 원인은 장치 구조의 비대칭성에 있다. 즉, 반도체 프로세스용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는 원통형의 처리 용기의 중심부에 원반형의 평행 평판 전극을 설치하는데, 전극 주위에서 비축대칭인 구조를 취한다. 예를 들면, 처리 용기의 측벽에 설치되는 반도체 웨이퍼 출입용의 셔터는 전극 주위의 장치 구조에 비축대칭성을 부여한다. 또한, 웨이퍼 재치대를 겸하는 전극(서셉터)에는 프로세스 중에 반도체 웨이퍼를 흡착 보지(保持)하는 정전 척 또는, 반도체 웨이퍼를 웨이퍼 온도 제어 중에 가열하는 저항 발열체가 축대칭으로 장착된다. 그러나, 정전 척 또는 저항 발열체의 급전 단자 내지 급전선은 서셉터에 대하여 비축대칭으로 장착 또는 결선(結線)되기 때문에, 이들도 서셉터 주위에서 비축대칭 구조의 하나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비축대칭인 장치 구조(특히 전극 주위의 구조)에 의존하여 전극 상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가 방위각 방향에서 편향이 일어나기 쉬워, 이것이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기대되는 고성능화 중에서 최근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의 성능 및 자유도를 대폭 개선하여 플라즈마 밀도 분포 내지 프로세스 특성의 가급적인 균일성 향상을 실현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서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는, 처리 용기에 고주파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처리 용기 내에서 피처리체에 대하여 원하는 플라즈마 처리가 행해질 때에, 상기 고주파 전극에 그 배면으로부터 제 1 고주파의 파워가 인가되어 상기 고주파 전극의 표면이 처리 가스의 플라즈마에 노출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로서, 서로 역방향인 제 1 및 제 2 면을 가지고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배면의 원하는 부위에 상기 제 1 면을 대향시키고, 상기 제 1 고주파의 파워에 관하여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배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도체와, 상기 제 1 고주파의 파워에 관하여 상기 제 1 도체의 상기 제 2 면의 원하는 부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고주파 전극의 근처에서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는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부를 가지는 제 2 도체를 가진다.
상기의 장치 구성에서는, 고주파 전극의 표면은 처리 공간 내에서 플라즈마에 노출되고 고주파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고주파의 파워의 대부분을 플라즈마를 향하여 방사한다. 한편, 고주파 전극의 배면은 플라즈마에는 노출되지 않지만, 상기 고주파의 파워에 관하여 제 1 및 제 2 도체를 개재하여 근처의 도전성 접지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 고주파 전원으로부터의 고주파의 파워의 일부가 고주파 전극의 배면으로부터 제 1 및 제 2 도체를 경유하여 상기 도전성 접지 부재에 흐른다. 이 경우, 고주파 전극 상의 플라즈마 분포 특성 혹은 피처리체 상의 플라즈마 분포 특성에 제 1 도체의 제 1 접속부의 배치 위치를 기점으로 하는 2 차원 방향(특히 방위각 방향)의 편향이 부여되며, 이 편향의 정도는 도체판의 공간적인 프로파일(위치, 면적 등)에 의존하여 변화한다.
따라서, 고주파 전극 주위의 장치 구조의 비대칭성 등에 기인하여 고주파 전극 상의 플라즈마 분포 특성 혹은 피처리체 상의 프로세스 특성에 일정한 편향(특히 방위각 방향에서의 일정한 편향)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상기와 같은 제 1 및 제 2 도체의 상승(相乘)적 기능 또는 작용에 의해 그 편향을 효과적으로 캔슬 또는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일태양에서는, 제 1 도체가 제 1 및 제 2 면이 서로 대략 평행한 도체판이며 고주파 전극의 배면에 용량 결합된다. 또한, 고주파 전극의 배면의 중심부에 제 1 고주파의 파워를 고주파 전극에 급전하기 위한 고주파 급전봉이 접속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도체는 상기 고주파 급전봉을 피하여 그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적합한 일태양에서는, 제 2 도체가 바람직하게는 기둥 형상체이며, 그 일단(一端)이 제 1 접속부를 구성하고, 그 타단 또는 일단과 타단 간의 중간부가 제 2 접속부를 구성한다. 다른 일태양으로서, 제 2 도체는 판 형상체 또는 통 형상체이며, 그 일단면이 제 1 접속부를 구성하고, 그 반대측의 타단면 또는 일단면과 타단면 간의 중간부가 제 2 접속부를 구성한다.
다른 적합한 일태양에서는, 제 2 도체가 제 1 접속부를 1 개 또는 복수 가지고, 제 1 접속부의 전부를 방위각 방향으로 반둘레 영역 내에 배치한다.
다른 적합한 일태양에서는, 제 1 도체가 복수 설치되고 이들 높이 위치가 독립적으로 조정 또는 설정된다. 이 경우, 제 2 도체는 각각의 제 1 도체에 대하여 제 1 접속부를 가진다.
제 2 도체를 복수 설치하는 경우, 혹은 1 개의 제 2 도체에 제 1 접속부를 복수 설치하는 경우는, 복수의 제 1 접속부를 방위각 방향을 따라 대략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구성을 적합하게 취할 수 있다. 이 경우는, 고주파 전극 상의 시스 전계 강도 분포 특성, 플라즈마 밀도 분포 특성 혹은 피처리체 상의 프로세스 특성에 대하여 자의적인 편향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균일화에의 강제력 또는 균형 보지(保持)력을 부여하여 장치 구조의 비대칭성 등의 요인에 기초한 편향을 그 균일화 강제력에 의해 억제 또는 보정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다른 적합한 일태양에서는, 고주파 전극에 대하여 제 1 도체의 위치를 가변하기 위한 제 1 도체 이동 기구를 가지는 구성이 취해진다. 이 제 1 도체 이동 기구는 고주파 전극에 대하여 그 배면에 수직인 방향, 방위각 방향 혹은 반경 방향으로 제 1 도체의 위치를 가변한다.
또한, 고주파 전극에 대하여 제 2 도체의 제 1 접속부의 위치를 가변하기 위한 제 2 도체 이동 기구를 가지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제 2 도체 이동 기구는 고주파 전극에 대하여 그 배면에 수직인 방향, 방위각 방향 혹은 반경 방향으로 제 2 도체의 제 1 접속부의 위치를 가변한다.
특히 플라즈마 처리의 실행 중에 고주파 전극의 방위각 방향으로 제 2 도체를 일정 속도로 회전 이동시키는 구성에서는, 방위각 방향뿐만 아니라 직경 방향에서도 시스 전계 강도 분포, 플라즈마 밀도 분포 특성 혹은 프로세스 특성이 고르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히 평행 평판 전극 구조의 용량 결합형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적합하게 적용 가능하며, 특히 고주파 전극의 표면에 정전 척 혹은 저항 발열체를 설치하는 장치 구조에서 정전 척의 결선(結線) 위치 구조 혹은 저항 발열체의 결선 위치 구조가 플라즈마 밀도 분포 특성 혹은 프로세스 특성에 2 차원 방향의 편향을 부여하는 경우에 그 편향을 효과적으로 캔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서의 플라즈마 처리 방법은, 상기 제 1 관점에서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서 고주파 전극의 배면에 대한 상기 제 1 도체의 위치를 가변 또는 조절하거나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배면과 상기 제 1 도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콘덴서의 용량을 가변 또는 조절하거나, 혹은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배면에 대한 상기 제 2 도체의 상기 제 1 접속부의 위치를 가변 또는 조절하여 고주파 전극 상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 또는 피처리체 상의 플라즈마 특성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서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는, 처리 용기 내에 원하는 전극간 거리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대향하는 고주파 전극과 대향 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처리 용기 내에서 피처리체에 대하여 원하는 플라즈마 처리가 행해질 때에, 상기 고주파 전극에 그 배면으로부터 제 1 고주파의 파워가 인가되어 상기 고주파 전극 및 상기 대향 전극의 각각의 표면이 처리 가스의 플라즈마에 노출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로서, 서로 역방향인 제 1 및 제 2 면을 가지고 상기 대향 전극의 배면의 원하는 부위에 상기 제 1 면을 대향시키고, 상기 제 1 고주파의 파워에 관하여 상기 대향 전극의 배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도체와, 상기 제 1 고주파의 파워에 관하여 상기 제 1 도체의 상기 제 2 면의 원하는 부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대향 전극의 근처에서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는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부를 가지는 제 2 도체를 가진다.
상기의 장치 구성에서는, 대향 전극의 표면은 처리 공간 내에서 플라즈마에 노출되어 고주파 전극 측으로부터의 고주파 전류가 들어온다. 한편, 대향 전극의 배면은 플라즈마에는 노출되지 않지만, 상기 고주파의 파워에 관하여 제 1 및 제 2 도체를 개재하여 근처의 도전성 접지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 표면측으로 들어온 고주파 전류의 일부가 대향 전극의 배면으로부터 제 1 및 제 2 도체를 경유하여 상기 도전성 접지 부재에 흐른다. 이 경우, 대향 전극 상의 플라즈마 분포 특성에 도체봉의 제 1 접속부의 배치 위치를 기점으로 하는 2 차원 방향(특히 방위각 방향)의 편향이 부여되며, 이 편향의 정도는 도체판의 공간적인 프로파일(위치, 면적 등)에 의존하여 변화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도체의 상승적 기능 또는 작용에 의해 대향 전극 상의 플라즈마 분포 특성에 일정한 제어를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서의 플라즈마 처리 방법은, 상기 제 3 관점에서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서 대향 전극의 배면에 대한 상기 제 1 도체의 위치를 가변 또는 조절하거나 상기 대향 전극의 배면과 상기 제 1 도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콘덴서의 용량을 가변 또는 조절하거나, 혹은 상기 대향 전극의 배면에 대한 상기 제 2 도체의 상기 제 1 접속부의 위치를 가변 또는 조절하여 대향 전극 상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 또는 피처리체 상의 플라즈마 특성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의 성능 및 자유도를 대폭 개선하여 플라즈마 밀도 분포의 가급적인 균일성 향상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처리 방법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프로세스 특성의 가급적인 균일성 향상을 실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대략 종단면도이다.
도 3a는 제 1 실시예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X-Y 방향의 배치 구조(제 1 레이아웃)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대략 횡단면도이다.
도 3b는 제 1 실시예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X-Y 방향의 배치 구조(제 2 레이아웃)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대략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험예에서 비교예 장치로 얻어진 에칭 레이트 분포 특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제 1 실험예에서 제 1 실시예 장치로 얻어진 에칭 레이트 분포 특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6a는 제 1 실험예에서 제 1 실시예 장치로 얻어진 플라즈마 밀도 분포 특성을 나타낸 등고선 플롯도이다.
도 6b는 제 1 실험예에서 제 1 실시예 장치로 얻어진 플라즈마 밀도 분포 특성을 나타낸 주회(周回) 플롯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예 장치에서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도체판 상의 공극 사이즈를 파라미터로 했을 경우의 에칭 레이트 분포 특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에서의 일변형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대략 평면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대략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2 차원 방향의 배치 구조(3 조 타입)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대략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예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2 차원 방향의 배치 구조(4 조 타입)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대략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 1 실험예에서 제 2 실시예 장치로 얻어진 에칭 레이트 분포 특성을 비교예 장치 및 제 1 실시예 장치의 것과 대비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레시피가 상이한 제 2 실험예에서 비교예 장치, 제 1 실시예 장치 및 제 2 실시예 장치로 각각 얻어진 에칭 레이트 분포 특성을 대비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14a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대략 종단면도이다.
도 14b는 상기 실시예(도 14a)의 주요부 구성의 2 차원적인 레이아웃을 도시한 대략 횡단면도이다.
도 15a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대략 종단면도이다.
도 15b는 상기 실시예(도 15a)의 주요부 구성의 2 차원적인 레이아웃을 도시한 대략 횡단면도이다.
도 16a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대략 종단면도이다.
도 16b는 상기 실시예(도 16a)의 주요부 구성의 2 차원적인 레이아웃을 도시한 대략 횡단면도이다.
도 17a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대략 종단면도이다.
도 17b는 상기 실시예(도 17a)의 주요부 구성의 2 차원적인 레이아웃을 도시한 대략 횡단면도이다.
도 18a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대략 종단면도이다.
도 18b는 상기 실시예(도 18a)의 주요부 구성의 2 차원적인 레이아웃을 도시한 대략 횡단면도이다.
도 19a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대략 종단면도이다.
도 19b는 상기 실시예(도 19a)의 주요부 구성의 2 차원적인 레이아웃을 도시한 대략 횡단면도이다.
도 20은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대략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대략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대략 종단면도이다.
도 23은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대략 종단면도이다.
도 24a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대략 종단면도이다.
도 24b는 상기 실시예(도 24a)의 주요부 구성의 2 차원적인 레이아웃을 도시한 일부 단면 대략 평면도이다.
도 25a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대략 종단면도이다.
도 25b는 상기 실시예(도 25a)의 주요부 구성의 2 차원적인 레이아웃을 도시한 일부 단면 대략 평면도이다.
도 26a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대략 종단면도이다.
도 26b는 상기 실시예(도 26a)의 주요부 구성의 2 차원적인 레이아웃을 도시한 대략 횡단면도이다.
도 27a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대략 종단면도이다.
도 27b는 상기 실시예(도 27a)의 주요부 구성의 2 차원적인 레이아웃을 도시한 대략 횡단면도이다.
도 28a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대략 종단면도이다.
도 28b는 상기 실시예(도 28a)의 주요부 구성의 2 차원적인 레이아웃을 도시한 대략 횡단면도이다.
도 29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플라즈마 처리 장치는 캐소드 커플의 용량 결합형 플라즈마 에칭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제의 원통형 챔버(처리 용기)(10)를 가지고 있다. 챔버(10)는 보안 접지되어 있다.
챔버(10) 내에는 피처리 기판으로서 예를 들면 반도체 웨이퍼(W)를 재치하는 원판 형상의 서셉터(12)가 하부 전극으로서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서셉터(12)는 도전성의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챔버(10)의 바닥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 절연체(14)에 의해 비접지로 지지되어 있다. 이 원통 형상 절연체(14)의 외주를 따라 챔버(10)의 바닥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 도체(16)와 챔버(10) 내벽의 사이에 고리 형상의 배기로(18)가 형성되고, 이 배기로(18)의 바닥에 배기구(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기구(20)에는 배기관(22)을 개재하여 배기 장치(24)가 접속되어 있다. 배기 장치(24)는 터보 분자 펌프 등의 진공 펌프를 가지고 있어 챔버(10) 내의 처리 공간을 원하는 진공도까지 감압할 수 있다. 챔버(10)의 측벽(10a)에는 반도체 웨이퍼(W)의 반입출구를 개폐하는 게이트 밸브(26)가 장착되어 있다.
서셉터(12)의 하방에는 서셉터(12)의 배면과 원통 형상 절연체(14)의 내벽과 챔버(10)의 저벽(底壁)(10b)에 둘러싸인 비감압 분위기(통상은 대기압 분위기)의 챔버 하부실(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챔버 하부실(25) 내에는 이 에칭 장치의 특징 부분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전부 또는 주요부가 설치되어 있다.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구성 및 작용은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셉터(12)에는 고주파 전원(28)이 매칭 유닛(30) 및 급전봉(32)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급전봉(32)은 그 주위가 전기적으로 접지된 원통형의 도체 커버 또는 외도체(34)로 둘러싸여 있다. 고주파 전원(28)은 챔버(10) 내에서 고주파 방전에 의한 처리 가스의 플라즈마를 생성하는데 적합한 소정 주파수(통상 13.56 MHz 이상)의 고주파(RF)를 프로세스에 따라 원하는 파워로 출력한다. 매칭 유닛(30)에는 고주파 전원(28)의 내부 임피던스와 부하측 임피던스의 사이에 정합을 취하기 위한 정합기(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어 있다.
서셉터(12)는 반도체 웨이퍼(W)보다 약간 큰 직경 또는 구경(口徑)을 가지고 있다. 서셉터(12)의 주면(主面) 즉 상면은 반경 방향으로, 웨이퍼(W)와 대략 동일한 형상(원형) 또한 대략 동일한 사이즈의 중심 영역 즉 웨이퍼 재치부와 이 웨이퍼 재치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리 형상의 주변부로 구획되어 있고, 웨이퍼 재치부 상에는 처리 대상인 반도체 웨이퍼(W)가 재치되고 고리 형상 주변부 상에 반도체 웨이퍼(W)의 구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지는 포커스 링(36)이 장착된다. 이 포커스 링(36)은 반도체 웨이퍼(W)의 피에칭재에 따라 예를 들면 Si, SiC, C, SiO2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서셉터(12) 상면의 웨이퍼 재치부에는 웨이퍼 흡착용의 정전 척(3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정전 척(38)은 막 형상 또는 판 형상의 유전체(38a) 내에 DC 전극(38b)을 봉입하고 있고, 서셉터(12)의 상면에 일체 형성 또는 일체 고착되어 있다. DC 전극(38b)은 챔버(10) 외측에 배치되는 직류 전원(40)에 스위치(42) 및 DC 고압선(44)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직류 전원(40)으로부터의 고압의 DC 전압이 DC 전극(38b)에 인가됨으로써 정전 흡착력으로 반도체 웨이퍼(W)를 정전 척(38) 상에 흡착 보지(保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서셉터(12)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원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리 형상의 냉매실 또는 냉매 통로(4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냉매실(46)에는 칠러 유닛(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냉매 공급관(48, 50)을 거쳐 소정 온도의 냉매 예를 들면 냉각수(CW)가 순환 공급된다. 그리고, 서셉터(12)를 통하여 반도체 웨이퍼(W)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전열용 가스로서, 전열 가스 공급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He 가스가 가스 공급관(52) 및 서셉터(12) 내부의 가스 통로(54)를 거쳐 정전 척(38)과 반도체 웨이퍼(W)의 사이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챔버(10)의 천장에는 서셉터(12)와 평행하게 대향하여 평행 평판의 상부 전극(대향 전극)을 겸하는 샤워 헤드(56)가 챔버(10)에 직접 부착(애노드 접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샤워 헤드(56)는 서셉터(12)와 대향하는 전극판(58)과 이 전극판(58)을 그 배후(위)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극 지지체(60)를 가지고, 전극 지지체(60)의 내부에 가스실(62)을 설치하고 이 가스실(62)로부터 서셉터(12)측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가스 토출홀(64)을 전극 지지체(60) 및 전극판(58)에 형성하고 있다. 전극판(58)과 서셉터(12)에 샌드위치된 공간이 플라즈마 생성 공간 내지 처리 공간이 된다. 가스실(62)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스 도입구(62a)에는 처리 가스 공급부(66)로부터의 가스 공급관(68)이 접속되어 있다. 전극판(58)은 예를 들면 Si, SiC 혹은 C로 이루어지고, 전극 지지체(60)는 예를 들면 알루마이트 처리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제어부(7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져, 이 플라즈마 에칭 장치 내의 각 부, 예를 들면 배기 장치(24), 고주파 전원(28), 매칭 유닛(30), 정전 척(38)용 스위치(42), 칠러 유닛(도시하지 않음), 전열 가스 공급부(도시하지 않음), 처리 가스 공급부(66),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 등의 개개의 동작 및 장치 전체의 동작(시퀀스)을 제어한다.
이 플라즈마 에칭 장치에서 에칭을 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게이트 밸브(26)를 열린 상태로 하여 가공 대상인 반도체 웨이퍼(W)를 챔버(10) 내로 반입하여 정전 척(38) 상에 재치한다. 그리고, 처리 가스 공급부(66)로부터 에칭 가스(일반적으로 혼합 가스)를 소정의 유량 및 유량비로 챔버(10) 내로 도입하고, 배기 장치(24)에 의해 챔버(10) 내의 압력을 설정치로 한다. 또한, 고주파 전원(28)을 온(on)으로 하여 고주파(RF)를 원하는 파워로 출력시키고, 이 고주파(RF)의 파워를 매칭 유닛(30) 내의 정합기, 급전봉(32)을 거쳐 서셉터(12)에 인가한다. 또한, 전열 가스 공급부로부터 정전 척(38)과 반도체 웨이퍼(W)의 사이의 접촉 계면에 전열 가스(He 가스)를 공급하고, 스위치(42)를 온으로 하여 정전 척(38)의 정전 흡착력에 의해 전열 가스를 상기 접촉 계면에 가둔다. 샤워 헤드(56)로부터 토출된 에칭 가스는 양 전극(12, 56) 간에서 고주파 방전하여 플라즈마화되고, 이 플라즈마에 포함되는 래디컬 또는 이온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W) 표면의 피가공막이 원하는 패턴으로 에칭된다.
이와 같이, 이 플라즈마 에칭 장치에서는 챔버(10)의 감압 처리 공간에서 용량 결합형의 고주파 방전에 의해 처리 가스의 플라즈마가 생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소드 커플의 평행 평판 전극 구조에서 고주파 전원(28)으로부터의 고주파(RF)의 파워가 서셉터(12)에 그 배면으로부터 인가되면, 서셉터(12)와 상부 전극(56) 및 챔버 측벽(10a)과의 사이(보다 정확하게는 시스(SH))에 고주파 전계(시스 전계)가 형성되어, 이들 시스 전계 특히 서셉터(12) 상의 시스 전계에 의해 가속된 전자가 처리 가스의 분자, 원자와 해리(解離)·전리(電離) 충돌을 일으켜 플라즈마(PR)가 생성된다.
그리고, 반도체 웨이퍼(W) 상의 프로세스 특성(에칭 레이트, CD 등)은 서셉터(12) 상의 플라즈마 밀도에 크게 의존하므로, 플라즈마 밀도의 면내 균일성이 높을수록 프로세스 특성의 면내 균일성이 높아진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은 용량 결합형의 고주파 방전에서 서셉터(12) 상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를 제어하기 위한 툴로서, 챔버 하부실(25)에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를 설치하고 있다.
[실시예 1]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셉터(12)의 배면의 원하는 부위에 상면을 향하여 대략 평행(수평)하게 배치되는 도체판(제 1 도체)(74)과, 이 도체판(74)을 그 아래에서 보지(保持)하고,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도체봉(제 2 도체)(76)을 가진다. 도체판(74) 및 도체봉(76)은 모두 도전성의 금속 예를 들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도체판(74)은 서셉터(12)의 배면에 대하여 일정 거리(d)의 공극을 두고 급전봉(32)의 주회(周回) 방향을 따르거나, 혹은 절연성 통 형상 지지부(14)의 내벽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체봉(76)은 도체판(74)의 하방에서 수직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도체봉(76)의 상단(上端)(제 1 접속부)은 도체판(74)의 하면의 임의의 부위,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판(74) 하면의 중심 부근의 부위, 혹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판(74) 하면의 일단(一端) 부근의 부위에 고착되어 있다. 도체봉(76)의 하단(제 2 접속부)은 챔버(10)의 저벽(10b)에 고착 혹은 접촉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는, 고주파 전원(28)으로부터 서셉터(12)에 인가되는 고주파(RF)의 파워에 관하여 도체판(74)이 그 위치에서 직상(直上)의 서셉터(12)의 배면에 용량 결합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도체봉(76)의 하단(제 2 접속부)이 접지 전위의 챔버(10)의 저벽(10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고주파(RF)에 관하여 서셉터(12)의 표면은 감압 분위기 중에서 플라즈마(PR)를 개재하여 접지 전위의 상부 전극(56) 및 챔버 측벽(10a)에 용량 결합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서셉터(12)의 배면은 대기압 분위기 중에서 급전봉(32) 및 매칭 유닛(30)을 포함하는 고주파 급전 라인을 개재하여 고주파 전원(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를 통하여 챔버 저벽(10b)(도전성 접지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어서, 도 4 ~ 도 7을 참조하여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구체적인 작용을 설명한다.
제 1 실험예로서,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를 탑재한 도 1의 플라즈마 에칭 장치(제 1 실시예 장치)와,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를 구비하지 않은 동일한 기종의 플라즈마 에칭 장치(비교예 장치)에서 300 mm 직경인 반도체 웨이퍼(W)에 대한 소정 레시피(이하, ‘레시피(A)’라고 칭한다.)의 플라즈마 에칭을 각각 행하여 반도체 웨이퍼(W) 상의 복수 포인트에서 에칭 레이트를 측정했다. 비교예 장치에서 얻어진 에칭 레이트 분포 특성을 도 4에 나타내고, 제 1 실시예 장치에서 얻어진 에칭 레이트 분포 특성을 도 5에 나타낸다.
제 1 실시예 장치에서,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는 도 3b의 레이아웃으로 구성된 것이며, 도체봉(76)의 X-Y 면 내의 좌표 위치를 Xo, Yo, r-θ 면 내의 반경 거리를 ro, 각도 위치를 θo로 하면, Xo = -85 mm, Yo = 85 mm, ro = 120 mm, θo = 315°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장치에서도 제 1 실시예 장치에서도 레시피(A)의 플라즈마 에칭에서의 에칭 레이트는 반도체 웨이퍼(W)의 중심부 및 엣지부에서 상대적으로 높고, 중간부에서 하락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단, 비교예 장치(도 4)에서의 에칭 레이트의 분포 특성(프로파일)은 Y 축 상에서는 좌우(±) 대칭성이 좋은 반면, X 축 상에서는 좌(-)측이 우(+)측보다 약간 부상하고 있어, 이 점에서 방위각 방향의 편향이 약간 있다.
한편, 제 1 실시예 장치(도 5)에서는,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배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특히 도체봉(76)의 배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에칭 레이트 분포 특성(프로파일)이 현저하게 변형된다. 보다 상세하게, X 축 상에서는 도체봉(76)의 배치 위치(-85 mm)를 중심으로 그 부근의 에칭 레이트가 아래로 끌어당겨지듯이 크게 하강하는 한편, 이와 반대측(점 대칭)의 위치(85 mm)의 근처를 중심으로 그 부근의 에칭 레이트가 위로 끌어올려지듯이 크게 상승하고 있다. Y 축 상에서는 도체봉(76)의 배치 위치(85 mm)의 근처를 중심으로 그 부근의 에칭 레이트가 아래로 끌어당겨지듯이 크게 하강하는 한편, 이와 반대측(점 대칭)의 위치(-85 mm)의 근처를 중심으로 그 부근의 에칭 레이트가 위로 끌어올려지듯이 크게 상승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도체봉(76)을 배치함으로써 방위각 방향의 에칭 레이트의 프로파일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에칭 레이트의 평균치 및 면내 균일성은 비교예 장치(도 4)가 847.3 nm / min ± 8.2%인데 반해, 제 1 실시예 장치(도 5)는 865.6 nm / min ± 7.0%로, 제 1 실시예 장치(도 5)가 향상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에, 제 1 실시예 장치에서 전자계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한 서셉터(12)의 표면 상의 전계 즉 시스 전계(Ez)의 강도 분포를 도시한다. 이 전자계 시뮬레이션에서는 정전 척(38)의 DC 전극(38b)에는 DC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챔버(10) 내의 처리 공간에 형성되는 플라즈마(PR)를 유전체 원반으로 간주하고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셉터(12) 상의 시스 전계(Ez)는 주회(周回) 방향 또는 방위각 방향을 따라 대략 사인 커브를 그리고,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도체봉(76)의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315°) 부근에서 극소 또한 최소가 되고, 이로부터 180° 떨어진 반대측(점 대칭)의 위치(135°) 부근에서 극대 또한 최대가 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본 발명자는 상기 전자계 시뮬레이션에서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도체판(74) 상의 전계 강도를 구한 바, 도체봉(76)의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극소 또한 최소가 되고 도체봉(76)으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도체봉(76)에서 중요한 부분은 도체판(74)의 하면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단(제 1 접속부)이며, 이 부분이 상기와 같은 전계 강도 분포 특성의 극(極)이 된다. 도체봉(76)의 중간부 내지 하단(제 2 접속부)은 상단(제 1 접속부) 및 도체판(74)을 전기적으로 접지하기 위한 경로를 부여하는 것에 불과하며, 그 공간적 또는 위치적인 프로파일에 특별한 의미는 없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플라즈마 에칭 장치에서는, 챔버 하부실(25)에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를 설치하는 구성에 의해 서셉터(12) 상의 시스 전계 강도 특성, 나아가서는 플라즈마 밀도 분포 특성 및 반도체 웨이퍼(W) 상의 프로세스 특성에 2 차원 방향(특히 방위각 방향)에서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배치 위치, 특히 도체봉(76)의 상단(제 1 접속부)의 배치 위치를 기점으로 하는 자의적인(즉 제어 가능한) 편향을 갖게 할 수 있다.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도체판(74)은 서셉터(12)의 배면과 용량 결합을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작용 효과에 강약의 조정을 부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7에, 상기 제 1 실험예(레시피(A))에서 제 1 실시예 장치에서의 도체판(74) 상의 공극 사이즈(d)를 10 mm, 23 mm, 35 mm의 3 가지로 선택했을 경우의 에칭 레이트 분포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7에서 좌단(左端)의 비교예 장치의 데이터는 도 4의 비교예 장치의 데이터와 동일한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칭 레이트의 평균치 및 면내 균일성이 비교예 장치는 847.3 nm / min ± 8.2%인데 반해, 제 1 실시예 장치는 d = 35 mm에서 847.4 nm / min ± 7.2%, d = 23 mm에서 851.5 nm / min ± 7.2%, d = 10 mm에서 870.3 nm / min ± 13.1%이다.
즉, 비교예 장치에 비해 제 1 실시예 장치에서는 d = 35 mm로 선택했을 경우에 에칭 레이트의 평균치는 거의 변함없지만 면내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d = 10 mm로 선택했을 경우에 면내 균일성은 저하되지만 평균치를 향상시킬 수 있고, d = 23 mm로 선택했을 경우에 평균치 및 면내 균일성을 양방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의 프로파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제 1 실시예 장치에서 도체판(74) 상의 공극 사이즈(d)가 좁아질수록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작용 효과의 정도, 즉 반도체 웨이퍼(W) 상의 프로세스 특성에 2 차원 방향(특히 방위각 방향)에서 도체봉(76)의 상단(제 1 접속부)의 배치 위치를 기점으로 하는 편향을 갖게 하는 효과의 정도가 강해진다고 하는 것이다.
요컨대, 서셉터(12)의 배면과 도체판(74) 간의 용량 결합의 캐패시턴스가 클수록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작용 효과의 정도가 강해진다. 따라서, 도체판(74) 상의 공극 사이즈(d)를 좁히는 대신에, 도체판(74)의 면적을 크게 하거나 혹은 갭 내의 유전율을 높이는 등 하여 캐패시턴스를 크게 하면,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작용 효과의 정도가 강해진다. 반대로, 공극 사이즈(d)를 넓히고 도체판(74)의 면적을 작게 하거나 혹은 갭 내의 유전율을 낮추는 등 하여 캐패시턴스를 작게 하면,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작용 효과의 정도가 약해진다.
이 제 1 실시예의 작용적인 특징은, 서셉터(12) 주위의 장치 구조의 비대칭성 등에 기인하여 서셉터(12) 상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 특성 혹은 반도체 웨이퍼(W) 상의 프로세스 특성에 일정한 편향(특히 방위각 방향에서의 일정한 편향)이 발생할 경우에, 상기와 같은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작용에 의해 그 편향을 효과적으로 캔슬 또는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에칭 레이트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도 8에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에 따른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일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 구성예는 도체판(74)을 급전봉(32)의 주위를 일주시켜 원환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 9에 제 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 구성예는 도체판(74)과 도체봉(76)을 주회 방향으로 복수 조(도시한 예는 3 조) 설치한다. 여기서, 도체판(74(1))과 도체봉(76(1))이 제 1 조, 도체판(74(2))과 도체봉(76(2))이 제 2 조, 도체판(74(3))과 도체봉(76(3))이 제 3 조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3 개의 도체봉(76(1), 76(2), 76(3))은 반둘레(180°) 내에 등간격(90°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3 매의 도체판(74(1), 74(2), 74(3))은 서로 이간되어 각각 독립된 높이(공극 갭)를 가지고 서로 가까이 배치되어 빈 공간(78)을 형성하고 있다. 이 빈 스페이스(78)는 예를 들면 냉각용의 배관류(48, 52, 54) 또는 전선류(44) 등(도 1)의 용력계(用力系) 라인을 통과시키는데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
작용적으로는 제 1 조[74(1), 76(1)], 제 2 조[74(2), 76(2)] 및 제 3 조[74(3), 76(3)]의 개개의 작용이 전자기학적으로 중첩(중복)된 것이 얻어진다. 이 구성예에서는 작용 상의 기점 위치가 되는 도체봉(76(1), 76(2), 76(3))의 전부가 방위각 방향에서 편측 반 영역(180°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본적으로는 도 3a 또는 도 3b의 싱글 타입과 동일한 작용 효과, 즉 서셉터(12) 상의 시스 전계 강도 분포 특성, 플라즈마 밀도 분포 특성 혹은 반도체 웨이퍼(W) 상의 프로세스 특성에 대하여 2 차원 방향(특히 방위각 방향)에서 자의적(제어 가능)인 편향을 부여하는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도 9의 레이아웃에서 도체판(74(1), 74(2), 74(3))을 연결하여 일체적 또는 단일의 도체판(74)으로 하는 구성, 또는 도체봉(76(1), 76(2), 76(3))의 배치 위치를 적절히 옮기는 구성도 가능하다.
[실시예 2]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의 도 9의 레이아웃의 특이적 또는 발전적 형태로서, 즉 제 2 실시예로서, 복수조의 도체봉(76(1), 76(2)…)을 방위각의 일주(360°)에 걸쳐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구성을 적합하게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3 조 타입의 경우는 3 개의 도체봉(76(1), 76(2), 76(3))이 급전봉(32)의 주위에 120°의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11에 도시한 4 조 타입의 경우는 4 개의 도체봉(76(1), 76(2), 76(3), 76(4))이 급전봉(32)의 주위에 90°의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12에, 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도 10의 3 조 타입)를 구비한 도 1의 플라즈마 에칭 장치(제 2 실시예 장치)에서 상기 제 1 실험예(레시피(A))에서 얻어진 에칭 레이트 분포 특성을 상기 비교예 장치 및 상기 제 1 실시예 장치의 것과 대비하여 나타낸다. 또한, 제 1 실시예 장치는 공극 사이즈 d = 35 mm인 경우이며, 제 2 실시예 장치는 도체판(74(1))과 서셉터 간의 공극 사이즈(d1)가 d1 = 17 mm, 도체판(74(2))과 서셉터 간의 공극 사이즈(d2)가 d2 = 10 mm, 도체판(74(3))과 서셉터 간의 공극 사이즈(d3)가 d3 = 17 mm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 장치에서의 에칭 레이트의 평균치 및 면내 균일성은 865.6 nm / min ± 7.0%로, 비교예 장치(847.3 nm / min ± 8.2%)에 대해서는 물론 제 1 실시예 장치(847.4 nm / min ± 7.2%)보다 향상되어 있다.
제 2 실시예 장치에서는,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작용 상의 기점 위치가 되는 도체봉(76(1), 76(2)…)을 일주에 걸쳐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구성에 의해, 서셉터(12) 상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 특성 혹은 반도체 웨이퍼(W) 상의 프로세스 특성에 대하여 자의적인 편향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균일화에의 강제력 또는 균형 보지력을 부여하여 장치 구조의 비대칭성 등의 요인에 기초한 편향을 그 균일화 강제력에 의해 억제 또는 보정한다.
도 13에, 제 2 실험예로서 비교예 장치, 제 1 실시예 장치 및 제 2 실시예 장치에서 다른 소정 레시피(이하, ‘레시피(B)’라고 칭한다.)의 플라즈마 에칭을 행하여 각각 얻어진 에칭 레이트 분포 특성을 대비하여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시피(B)의 경우 제 2 실시예 장치는 에칭 레이트의 면내 균일성이 ± 7.5%로 비교예 장치(± 7.4%)와 거의 변함없지만, 평균치가 211.5 nm / min로 비교예 장치(206.7 nm / min)보다 향상되어 있다. 한편, 제 1 실시예 장치는 에칭 레이트의 평균치가 207.1 nm / min로 비교예 장치(206.7 nm / min)와 거의 변함없고, 면내 균일성이 ± 7.9%로 비교예 장치(±7.4%)보다 저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 장치는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각 부를 고정시킨 채로 임의의 프로세스 레시피에 대응할 수 있어 이 점에서는 범용성이 높다. 이에 반해, 제 1 실시예 장치는 프로세스 레시피마다 최적화의 조정(예를 들면 도체판(74) 및 / 또는 도체봉(76)의 위치 조정 혹은 레이아웃 조정 등)을 필요로 한다.
[그 외 실시예]
이상, 도 1 ~ 도 13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플라즈마 에칭 장치에 탑재된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기초하여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를 추가로 변형, 확장 또는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에서 제 1 도체로서 도체판(74)을 원환 형상으로 형성하고, 제 2 도체로서 도체봉(76) 대신에 도체판(도시하지 않음) 또는 원통 형상의 도체통(76’)을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시한 구성예에서, 도체통(76’)은 급전봉(3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세워져 배치되어, 그 상단면(제 1 접속부)이 고리 형상 도체판(74)의 하면에 접속되고, 그 하단면(제 2 접속부)이 챔버 저벽(10b)에 고착 혹은 접촉하여 설치된다. 각 부의 구성, 예를 들면 고리 형상 도체판(74)의 내경, 외경, 높이 위치, 도체통(76’)의 구경, 판 두께 등은 임의로 선택해도 좋다.
또한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에서 도체판(74) 및 도체봉(76)의 높이 위치(혹은 공극 사이즈(d))를 가변 조정하기 위한 승강 기구(80)를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승강기구(80)는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 혹은 전동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져, 제어부(70)(도 1)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도체봉(76)은 챔버(10)의 저벽(10b)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실외의 승강 기구(80)에 결합된다. 챔버 저벽(10b)의 관통홀에는 도체봉(76)의 중간부 내지 하단부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전성의 슬라이드 베어링(82)이 설치된다. 도체판(74)은 고주파(RF)의 파워에 관하여 그 상면측이 서셉터(12)의 배면에 용량 결합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하면측이 도체봉(76) 및 슬라이드 베어링(82)을 개재하여 챔버 저벽(10b)(도전성 접지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와 같은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가 승강 기구(80)를 구비하는 구성은 제 1 실시예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 장치(4 조 타입의 예)에서도 가능하다.
도 17a 및 도 17b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는, 제 1 실시예 장치에서 급전봉(32)의 주위에 방위각 방향을 따라 도체판(74) 및 도체봉(76)을 일체적으로 회전 변위 또는 회전 운동시키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챔버 하부실(25) 내 또는 그 근처에는 도체판(74) 및 도체봉(76)을 회전 변위 또는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84)가 설치된다.
회전 기구(84)로서, 예를 들면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10)의 저벽(10b)에 고리 형상 가이드 레일(86)을 부설하고 회전봉(76)의 하단에 회전 롤러(또는 볼)(88)를 장착하여 고리 형상 가이드 레일(86) 상에서 회전 롤러(88)를 전동(轉動)시키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체봉(76)을 예를 들면 소형의 에어 실린더로 구성하고 챔버 하부실(25) 내에 승강 기구(80)를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기구(84)로서 챔버(10)의 저벽(10b) 상에 평기어(90)를 수평 자세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평기어(90)에 기어(92)를 개재하여 모터(94)를 접속시키고, 평기어(90) 상에 도체판(74) 및 도체봉(76)을 고정 장착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터(94)의 회전 구동력으로 평기어(90)를 회전시킴으로써 도체판(74) 및 도체봉(76)을 임의의 각도 위치로 회전 변위시키거나 혹은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도체판(74)은 고주파(RF)의 파워에 관하여 그 상면측이 서셉터(12)의 배면에 용량 결합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하면측이 도체봉(76) 및 평기어(90)를 개재하여 챔버 저벽(10b)(도전성 접지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플라즈마 에칭을 실행하는 도중에 도체판(74) 및 도체봉(76)에 상기와 같은 일정 속도의 회전 운동을 시켰을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인 커브의 시스 전계 강도 분포를 방위각 방향에서 이동시키게 되어 방위각 방향뿐만 아니라 직경 방향에서도 시스 전계 강도 분포가 평균화된다. 이에 따라, 제 2 실시예 장치와 동등하거나 혹은 그 이상으로 시스 전계 강도 분포 특성, 플라즈마 밀도 분포 및 프로세스 특성에 대하여 균일화에의 강제력을 부여하여 장치 구조의 비대칭성 등의 요인에 기초한 편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서셉터(12) 상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를 보다 효과적으로 균일화하여 반도체 웨이퍼(W) 상의 프로세스 특성의 면내 특성 차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 장치에서도,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에 상기와 동일한 회전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회전 기능의 일 변형예로서, 도 19a 및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판(74)과 도체봉(76)을 분리하고 도체판(74)을 회전봉(76) 이외의 절연성 보지(保持) 부재(도시하지 않음)로 원하는 높이 위치에 고정하고, 도체봉(76)만을 평기어(90)에 장착하여 회전 변위 또는 회전 운동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체판(74)의 하면과 도체봉(76)의 상단(제 1 접속부)은 서로 고주파(RF)의 파워에 관하여 용량 결합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체판(74)과 도체봉(76)을 일체적으로, 혹은 도체판(74)을 고정하고 도체봉(76)만을 직경 방향에서 변위 또는 이동시키는 도체 이동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해도 좋다.
도 20에 도시한 구성예는,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에서 도체봉(76)의 하단(제 2 접속부)을 가변 콘덴서(94)를 개재하여 챔버 저벽(10b)(접지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하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21에 도시한 구성예는, 도체판(74)과 서셉터(12)의 배면 간에 임의의 유전체(96)를 삽입하는 형태를 도시한다. 유전체(96)에 예를 들면 세라믹을 이용하면 공극 갭에 비해 유전율이 약 9 배로 상승하여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작용 효과의 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상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22에 도시한 구성예는, 도체판(74)을 수평이 아닌 임의의 기울기로 비스듬히 배치하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시한 구성예는 직경 방향에서 기울어져 있지만, 방위각 방향에서 기울게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봉(76)의 상단(제 1 접속부)의 위치에서 도체판(74)의 상면이 가장 높아지는 구성으로 했을 경우에는, 도체판(74) 상의 전계 강도 분포에서 기점 위치의 전계 강도(최소치)를 상대적으로 더욱 약하게 할 수 있다.
도 23에는, 도 1의 캐소드 커플의 플라즈마 에칭 장치에서 상기와 같이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를 서셉터(12)의 배후, 즉 챔버 하부실(25) 내에 설치하는 구성에 추가로, 동일한 구성 또는 기능을 가지는 다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100)를 상부 전극(56)의 배후, 즉 챔버 천장 이면(백룸)실(102) 내에 설치하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23에서, 상부 전극(56)은 링 형상 절연체(104)를 개재하여 챔버(10)의 천장면에 장착된다. 챔버 측벽(10a)이 챔버 천장면보다 상방으로 높게 연장되어 그 상단에 챔버 천판(10c)의 외주연부가 결합되어 챔버 천장 이면실(10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전극(56)의 배면 중심부와 챔버 천판(10c) 간에 중심 도체봉(106)이 걸쳐져 있다.
상부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100)는 중심 도체봉(106)을 피한 위치에서, 상부 전극(56)의 배면의 원하는 부위에 하면을 향하여 평행하게 또는 기울여서 배치되는 도체판(제 1 도체)(108)과, 이 도체판(108)을 그 위에서 보지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지하는 도체봉(제 2 도체)(110)을 가진다. 도체봉(110)의 하단(제 1 접속부)은 도체판(108)의 상면의 임의의 부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체봉(110)의 상단(제 2 접속부)은 챔버 천판(10c)에 고착 혹은 접촉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부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100)에서는, 고주파 전원(28)으로부터 서셉터(12)에 인가되는 고주파(RF)의 파워에 관하여 도체판(108)이 그 위치에서 직하(直下)의 상부 전극(56)의 배면에 용량 결합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도체봉(110)의 상단(제 2 접속부)이 챔버 천판(10c)(도전성 접지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서셉터(12)로부터 플라즈마(PR)를 개재하여 상부 전극(56)으로 들어간 고주파 전류 중에서 일부는 중심 도체봉(106)을 경유하여 접지 전위의 챔버(10)로 귀환하고, 다른 일부는 상부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100)를 경유하여 접지 전위의 챔버(10)로 귀환한다. 상부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100)를 경유하는 고주파 전류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상부 전극(56) 직하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의 제어가 가능하다.
상술한 도 20 ~ 도 23의 구성예는 제 1 실시예 장치 및 제 2 실시예 장치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도 24a 및 도 24b의 구성예는, 도 15a의 구성예의 일변형이며, 도체판(74(n)), 도체봉(76(n)) 및 승강 기구(80(n))로 이루어지는 승강형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 유닛(72(n))을 2 차원 방향으로 다수 병설하는 형태를 도시한다. 단, n = 1, 2, 3,…이다. 각각의 유닛(72(n))은 승강 동작을 독립적으로 행함으로써, 각 도체판(74(n)) 상의 공극 갭을 독립하여 가변할 수 있다.
도 25a 및 도 25b에 도시한 구성예는, 도체구(導體球)(112)에 제 1 및 제 2 도체(74, 76)의 기능을 겸용시키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챔버 저벽(10b)에 도체구(112)를 전동시키는 원환 형상의 레일(114)을 부설하여 예를 들면 곳곳에 설치된 리프트 핀(116) 등에서 아래로부터 레일(114)을 국소적으로 들어올려 레일(114) 전체를 약간 기울이는 방법으로 도체구(112)의 위치를 방위각 방향에서 가변 또는 조정할 수 있다.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한 구성예는, 예를 들면 액체 금속 또는 유화(油化) 금속 가루 등의 유체 금속(118)에 제 1 및 제 2 도체(74, 76)의 기능을 갖게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챔버 하부실(25) 내에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원호 형상의 유체 금속실(120A, 120B)을 복수(예를 들면 2 개) 설치하고, 이들 유체 금속실(120A, 120B) 내의 유체 금속(118)의 용적 또는 액면 높이를 펌프(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도 27a 및 도 27b는, 도체판(74)에 셔터 날개의 기능을 갖게 하는 형태의 일구성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예는 6 매 날개의 구성으로, 각 날개 즉 도체판(74(n))의 외주단을 도체봉(76(n))으로 지지하고, 내주단을 절연체의 리프트 핀(120(n))을 개재하여 액츄에이터(122(n))에 의해 상승 및 하강시켜 셔터 개폐 동작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도 28a 및 도 28b는, 경사 자세로 배치되는 1 개 또는 복수의 도체판(74(n))을 도체봉(76(n))을 개재하여 모터(124(n))에 의해 스핀 회전시키는 형태의 일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구성예에서는, 각 도체판(74(n))을 상면이 기울어져 있는 원 기둥체로 형성하여 각 도체봉(76(n))을 각 모터(124(n))의 회전축에 결합하고, 각 회전 베어링(126(n))을 개재하여 챔버 저벽(10b)(도전성 접지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실시 형태의 플라즈마 에칭 장치(도 1)에서는, 서셉터(12)의 주면(표면)에 장착되어 있는 정전 척(38)에 대한 DC 고압선(44)의 결선 위치 구조가, 서셉터(12) 상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 특성 혹은 반도체 웨이퍼(W) 상의 프로세스 특성에 관하여 주된 비대칭 구조의 요인으로 되어 있다.
실제로 상기 제 1 실험예에서는 비교예 장치 및 제 1 실시예 장치가 DC 고압선(44)의 결선 위치 구조를 동일하게 하고, 도 3b에서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특히 도체봉(76))와는 반대측의 X-Y 좌표 위치(X = 85 mm, Y = -85 mm)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도 4의 플라즈마 에칭 특성(비교예 장치)에서, X 축 상에서는 DC 고압선(44)의 결선 위치(85 mm)의 근처를 중심으로 그 부근의 에칭 레이트가 아래로 끌어당겨지듯이 하강하는 한편, 그와 반대측(점 대칭)의 위치(-85 mm)의 근처를 중심으로 그 부근의 에칭 레이트가 위로 끌어올려지듯이 상승하고 있다. 한편, Y 축 상에서는 좌우(±)의 프로파일이 근사(近似)하고 있지만, 엄밀하게는 DC 고압선(44)의 결선 위치(-85 mm)의 근처를 중심으로 그 부근의 에칭 레이트가 아래로 끌어당겨지듯이 약간 하강하는 한편, 그와 반대측(점 대칭)의 위치(85 mm)의 근처를 중심으로 그 부근의 에칭 레이트가 약간 위로 끌어올려지듯이 상승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DC 고압선(44)의 결선 위치에 따라 방위각 방향의 에칭 레이트의 프로파일이 변경되어 있다는 것이다.
요컨대, 서셉터(12) 상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 특성 혹은 반도체 웨이퍼(W) 상의 프로세스 특성에 편향을 부여하는 효과 또는 영향력에 관해서는,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도체봉(76)과는 매우 비슷한 성질 또는 등가인 성질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지견 또는 가설에 따르면, DC 고압선(44)의 결선 위치 구조에 기인하는 플라즈마 밀도 분포의 불균일성 혹은 프로세스 특성의 면내 특성 차이를 없애기 위해서는, DC 고압선(44)의 결선 위치와 점 대칭인 위치에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도체봉(76)을 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도 29에는, 피처리체의 온도 제어를 위하여 발열하는 저항 발열체를 서셉터(12)에 설치하는 플라즈마 에칭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일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도면 중 도 1의 장치의 것과 동일한 구성 또는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정전 척(38)과 일체로 그 절연막(38a) 내에 예를 들면 나선 형상의 저항 발열선(130)을 매립하고 있다. 이 저항 발열선(130)의 단자는 피복 급전선(132)을 개재하여 히터 전원(134)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히터 전원(134)은 예를 들면 SSR을 이용하여 상용 주파수의 스위칭(ON / OFF) 동작을 행하는 교류 출력형의 전원이다.
이 플라즈마 에칭 장치에서는, 정전 척(38)에 대한 DC 고압선(44)의 결선 위치 구조뿐만 아니라, 저항 발열선(130)에 대한 피복 급전선(132)의 결선 위치 구조도 서셉터(12) 주위에 비대칭 구조를 부여하여, 플라즈마 밀도 분포 특성 혹은 반도체 웨이퍼(W) 상의 프로세스 특성에 편향을 부여하는 효과 또는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 이들 복수의 편향 요인은 중복하여 합성되므로, 이들 전부를 캔슬하도록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의 각 부의 구성 또는 레이아웃 혹은 기능을 선택해도 좋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정전 척(38)에 대한 DC 고압선(44)의 결선 위치 구조 및 저항 발열선(130)에 대한 피복 급전선(132)의 결선 위치 구조의 각각이 플라즈마 밀도 분포 특성 혹은 프로세스 특성에 편향을 부여하는 요인이 되는 경우에는, 양자의 배치 위치 구조가 서로 점 대칭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편향 효과를 서로 캔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72)에서 도체판(74)의 특수한 배치 형태로서 도체판(74)을 고주파 전극 또는 대향 전극의 배면에 부착 또는 매립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플라즈마 에칭 장치는, 상부 전극(56)을 전기적으로 접지하고 서셉터(하부 전극)(12)에 고주파(RF)의 파워를 인가하는 캐소드 커플의 용량 결합형이었지만, 서셉터(하부 전극)(12)를 전기적으로 접지하여 상부 전극(56)에 고주파(RF)의 파워를 인가하는 애노드 커플의 용량 결합형 플라즈마 에칭 장치, 또는 서셉터(하부 전극)(12)에 플라즈마 생성에 적절한 주파수인 제 1 고주파(RF1)의 파워와 이온 주입 제어에 적절한 제 2 고주파(RF2)의 파워를 중첩하여 인가하는 하부 RF 2 주파 중첩 방식의 용량 결합형 플라즈마 에칭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부 전극(56)에 플라즈마 생성에 적절한 주파수인 제 1 고주파(RF1)의 파워를 인가하고, 서셉터(하부 전극)(12)에 이온 주입 제어에 적절한 제 2 고주파(RF2)의 파워를 인가하는 상하부 RF 2 주파 인가 방식의 용량 결합형 플라즈마 에칭 장치, 서셉터(하부 전극)(12)에 플라즈마 생성에 적절한 주파수인 제 1 고주파(RF1)의 파워와 이온 주입 제어에 적절한 제 2 고주파(RF2)의 파워와 추가로 제 3 고주파(RF3)의 파워를 중첩하여 인가하는, 하부 RF 3 주파 중첩 방식의 용량 결합형 플라즈마 에칭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 결합형 플라즈마 처리 장치 혹은 마이크로파 플라즈마 처리 장치 등에서 피처리체를 보지하는 서셉터에 이온 주입용 고주파의 파워를 인가하는 경우에도 서셉터를 고주파 전극으로서 적용 가능하며, 또한 플라즈마 CVD, 플라즈마 산화, 플라즈마 질화, 스퍼터링 등의 다른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피처리 기판은 반도체 웨이퍼에 한정되지 않고,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의 각종 기판, 또는 포토마스크, CD 기판, 프린트 기판 등도 가능하다.
10 : 챔버(처리 용기)
12 : 서셉터(하부 전극)
24 : 배기 장치
25 : 챔버 하부실
28 : 고주파 전원
32 : 급전봉
38 : 정전 척
38a : 유전체막
38b : DC 전원
40 : 직류 전원
44 : DC 고압선
56 : 샤워 헤드(상부 전극)
66: 처리 가스 공급부
70 : 제어부
72 :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
74 : 도체판
76 : 도체봉
80 : 승강 기구
84 : 회전 기구
86 : 고리 형상 가이드 레일
88 : 회전 롤러(또는 볼)
90 : 평기어
92 : 기어
94 : 모터
96 : 유전체
100 : 상부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기
102 : 챔버 천장 이면실
108 : 도체판
110 : 도체봉
118 : 유체 금속
130 : 저항 발열선
132 : 급전선
134 : 히터 전원

Claims (35)

  1. 처리 용기에 고주파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처리 용기 내에서 피처리체에 대하여 원하는 플라즈마 처리가 행해질 때에, 상기 고주파 전극에 그 배면으로부터 제 1 고주파의 파워가 인가되어 상기 고주파 전극의 표면이 처리 가스의 플라즈마에 노출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로서,
    서로 역방향인 제 1 및 제 2 면을 가지고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배면의 원하는 부위에 상기 제 1 면을 대향시키고, 상기 제 1 고주파의 파워에 관하여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배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도체와,
    상기 제 1 고주파의 파워에 관하여 상기 제 1 도체의 상기 제 2 면의 원하는 부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고주파 전극의 근처에서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는 도전성 접지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부를 가지는 제 2 도체
    를 가지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는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배면에 용량 결합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배면의 중심부에 상기 제 1 고주파의 파워를 상기 고주파 전극에 급전하기 위한 고주파 급전봉이 접속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도체는 상기 고주파 급전봉을 피하여 그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는 상기 제 1 및 제 2 면이 서로 대략 평행한 도체판인 플라즈마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체가 상기 제 1 접속부를 하나만 가지고,
    상기 제 1 도체의 상기 제 1 면 상의 전계 강도가 면내 일정하지 않고 상기 제 1 접속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최대가 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체가 상기 제 1 접속부를 복수 가지고,
    상기 제 1 도체의 상기 제 1 면 상의 전계 강도가 면내 일정하지 않고, 복수의 상기 제 1 접속부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위치에서 극대가 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가 서로 분리하여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체가 각각의 상기 제 1 도체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접속부를 가지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체가 서로 분리하여 복수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제 2 도체가 상기 제 1 도체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접속부를 가지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방위각 방향에 따라 대략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체는 기둥 형상체이며, 그 일단(一端)이 상기 제 1 접속부를 구성하고, 그 타단 또는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간의 중간부가 상기 제 2 접속부를 구성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체는 판 형상체 또는 통 형상체이며, 그 일단면이 상기 제 1 접속부를 구성하고, 그 반대측의 타단면 또는 상기 일단면과 상기 타단면 간의 중간부가 상기 제 2 접속부를 구성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극에 대하여 상기 제 1 도체의 위치를 가변하기 위한 제 1 도체 이동 기구를 가지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 이동 기구는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배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 1 도체의 위치를 가변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 이동 기구는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방위각 방향으로 상기 제 1 도체의 위치를 가변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 이동 기구는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제 1 도체의 위치를 가변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극에 대하여 상기 제 2 도체의 상기 제 1 접속부의 위치를 가변하기 위한 제 2 도체 이동 기구를 가지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체 이동 기구는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배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 1 접속부의 위치를 가변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체 이동 기구는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방위각 방향으로 상기 제 1 접속부의 위치를 가변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체 이동 기구는 플라즈마 처리의 실행 중에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방위각 방향으로 상기 제 2 도체를 일정 속도로 회전 이동시키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체 이동 기구는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제 1 접속부의 위치를 가변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배면과 상기 제 1 도체의 사이에 유전체가 설치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용기 내에 상기 고주파 전극과 원하는 전극간 거리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대향하여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대향 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고주파 전극에 상기 피처리체가 재치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극의 표면에 피처리체를 정전 흡착력으로 보지(保持)하기 위한 정전 척이 설치되고,
    상기 정전 척은 유전체의 막과 이 유전체막의 내부에 봉입된 DC 전극을 가지고,
    상기 DC 전극에 DC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직류 전원으로부터의 고압 도선이 실질적으로 절연 피복된 상태로 상기 고주파 전극을 그 배면으로부터 관통하여 상기 DC 전극에 접속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극의 표면에 피처리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저항 발열체가 유전체를 개재하여 장착되고,
    상기 저항 발열체로 줄 열 발생용의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히터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선이 실질적으로 절연 피복된 상태로 상기 고주파 전극을 그 배면으로부터 관통하여 상기 저항 발열체에 접속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가 행해질 때에 상기 고주파 전극에 그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 1 고주파의 파워와 상이한 주파수의 제 2 고주파의 파워가 인가되고,
    상기 제 2 고주파의 파워에 관해서도 상기 제 1 도체가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배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 2 도체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배면, 상기 제 1 도체 및 상기 제 2 도체는 상기 처리 용기의 감압 공간으로부터 격리된 분위기 영역에 놓여지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 및 상기 제 2 도체는 상기 처리 용기의 저벽(底壁)으로부터 상기 고주파 전극의 외주연부까지 연장된 통 형상 절연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용기가 전기적으로 접지된 도전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도체의 제 2 접속부는 상기 처리 용기의 저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29. 청구항 1 내지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라즈마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피처리체에 원하는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플라즈마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배면에 대한 상기 제 1 도체의 위치를 가변 또는 조절하여 상기 고주파 전극 상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를 제어하는 플라즈마 처리 방법.
  30. 청구항 1 내지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라즈마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피처리체에 원하는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플라즈마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배면과 상기 제 1 도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콘덴서의 용량을 가변 또는 조절하여 상기 고주파 전극 상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를 제어하는 플라즈마 처리 방법.
  31. 청구항 1 내지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라즈마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피처리체에 원하는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플라즈마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고주파 전극의 배면에 대한 상기 제 2 도체의 상기 제 1 접속부의 위치를 가변 또는 조절하여 상기 고주파 전극 상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를 제어하는 플라즈마 처리 방법.
  32. 처리 용기 내에 원하는 전극간 거리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대향하는 고주파 전극과 대향 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처리 용기 내에서 피처리체에 대하여 원하는 플라즈마 처리가 행해질 때에, 상기 고주파 전극에 그 배면으로부터 제 1 고주파의 파워가 인가되어 상기 고주파 전극 및 상기 대향 전극의 각각의 표면이 처리 가스의 플라즈마에 노출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로서,
    서로 역방향인 제 1 및 제 2 면을 가지고 상기 대향 전극의 배면의 원하는 부위에 상기 제 1 면을 대향시키고, 상기 제 1 고주파의 파워에 관하여 상기 대향 전극의 배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도체와,
    상기 제 1 고주파의 파워에 관하여 상기 제 1 도체의 상기 제 2 면의 원하는 부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대향 전극의 근처에서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는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부를 가지는 제 2 도체
    를 가지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33. 청구항 32에 기재된 플라즈마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피처리체에 원하는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플라즈마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대향 전극의 배면에 대한 상기 제 1 도체의 위치를 가변 또는 조절하여 상기 대향 전극 상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를 제어하는 플라즈마 처리 방법.
  34. 청구항 32에 기재된 플라즈마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피처리체에 원하는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플라즈마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대향 전극의 배면과 상기 제 1 도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콘덴서의 용량을 가변 또는 조절하여 상기 대향 전극 상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를 제어하는 플라즈마 처리 방법.
  35. 청구항 32에 기재된 플라즈마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피처리체에 원하는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플라즈마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대향 전극의 배면에 대한 상기 제 2 도체의 상기 제 1 접속부의 위치를 가변 또는 조절하여 상기 대향 전극 상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를 제어하는 플라즈마 처리 방법.
KR1020100027761A 2009-03-30 2010-03-29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 방법 KR101687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2567 2009-03-30
JP2009082567 2009-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449A true KR20100109449A (ko) 2010-10-08
KR101687565B1 KR101687565B1 (ko) 2016-12-19

Family

ID=4278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761A KR101687565B1 (ko) 2009-03-30 2010-03-29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20100243609A1 (ko)
JP (1) JP5591573B2 (ko)
KR (1) KR101687565B1 (ko)
CN (1) CN101853766B (ko)
TW (1) TWI522013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235A (ko) * 2011-06-30 2014-03-25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처리 장치
CN107206816A (zh) * 2015-02-13 2017-09-26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采用包括地址数据的数据分组的打印头
KR20180001913U (ko) * 2016-12-16 2018-06-26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에지 균일성 제어를 위한 조정가능한 연장되는 전극
KR20190006610A (ko) * 2016-06-13 2019-01-18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플라즈마 프로세싱 동안 기판에서의 전압 파형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337B1 (ko) * 2009-12-31 2012-01-25 주식회사 디엠에스 2단의 냉매 유로를 포함하는 정전척의 온도제어장치
US8652297B2 (en) * 2010-08-03 2014-02-18 Applied Materials, Inc. Symmetric VHF plasma power coupler with active uniformity steering
JP5710318B2 (ja) * 2011-03-03 2015-04-3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
US9396908B2 (en) 2011-11-22 2016-07-19 Lam Researc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plasma edge region
JP2013243218A (ja) * 2012-05-18 2013-12-05 Tokyo Electron Ltd プラズマ処理装置、及びプラズマ処理方法
KR20140052244A (ko) * 2012-10-23 2014-05-07 에이에스엠 아이피 홀딩 비.브이. 증착 장치
JP6088817B2 (ja) * 2012-12-25 2017-03-01 株式会社Kelk 温度制御装置
US20140263179A1 (en) * 2013-03-15 2014-09-18 Lam Research Corporation Tuning system and method for plasma-based substrate processing systems
JP6219229B2 (ja) * 2014-05-19 2017-10-2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ヒータ給電機構
US9941132B2 (en) * 2015-03-31 2018-04-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method
JP6552346B2 (ja) * 2015-09-04 2019-07-3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JP6629116B2 (ja) * 2016-03-25 2020-01-15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
JP6723660B2 (ja) * 2017-03-24 2020-07-15 住友重機械イオン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ウェハ保持装置及びウェハ着脱方法
JP6948822B2 (ja) * 2017-04-25 2021-10-1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取り外し方法
US10147610B1 (en) 2017-05-30 2018-12-04 Lam Research Corporation Substrate pedestal module including metallized ceramic tubes for RF and gas delivery
US11227741B2 (en) * 2018-05-03 2022-01-18 Plasma-Therm Nes Llc Scanning ion beam etch
US11367597B2 (en) * 2018-07-05 202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static chuck and plasma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20105590A (ja) * 2018-12-27 2020-07-09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CN111383882B (zh) * 2018-12-27 2023-03-10 中微半导体设备(上海)股份有限公司 等离子体处理装置及用于该处理装置的基片支座
WO2020249660A1 (en) 2019-06-13 2020-12-17 Ask Industries Societa' Per Azioni High-performance sound generating system for vehicles
JP7071946B2 (ja) * 2019-06-21 2022-05-1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
KR102290911B1 (ko) * 2019-07-02 2021-08-19 세메스 주식회사 지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JP2022542093A (ja) * 2019-07-25 2022-09-29 ラム リサーチ コーポレーション 基板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不均一性のin situリアルタイム感知および補償
JP7208873B2 (ja) * 2019-08-08 2023-01-1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シャワープレート、下部誘電体、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KR20210056646A (ko) 2019-11-11 2021-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처리 장비
US11917745B2 (en) * 2020-04-01 2024-02-27 Nonlinear Ion Dynam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plasma-electron sterilization
US11702750B2 (en) 2020-06-10 2023-07-18 Sandisk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a multi-sector film on backside of a semiconductor wafer
US11473199B2 (en) * 2020-06-10 2022-10-18 Sandisk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a multi-sector film on backside of a semiconductor wafer
CN114664622A (zh) * 2020-12-23 2022-06-24 中微半导体设备(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等离子体处理装置及调节方法
CN115692263B (zh) * 2022-10-31 2023-06-16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半导体工艺腔室及半导体工艺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3565A (ja) 2002-11-26 2004-07-08 Tokyo Electron Ltd プラズマ処理装置、プラズマ処理方法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の電極板
JP2004221571A (ja) * 2002-12-26 2004-08-05 Canon Inc プラズマ処理装置
JP2004363552A (ja) 2003-02-03 2004-12-24 Okutekku:Kk プラズマ処理装置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用の電極板及び電極板製造方法
JP2008244063A (ja) * 2007-03-27 2008-10-09 Tokyo Electron Ltd プラズマ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3060A (en) * 1992-06-26 1993-12-28 Martin Marietta Corporation Alcohol spray cleaning system
US5478429A (en) * 1993-01-20 1995-12-26 Tokyo Electron Limited Plasma process apparatus
AU2001224729A1 (en) * 2000-01-10 2001-07-24 Tokyo Electron Limited Segmented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plasma processing
AU2001281306A1 (en) * 2000-07-13 2002-01-30 Tokyo Electron Limited Adjustable segmented electrode apparatus and method
US7582185B2 (en) * 2002-12-26 2009-09-01 Canon Kabushiki Kaisha Plasma-processing apparatus
JP4336124B2 (ja) * 2003-03-10 2009-09-3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方法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CN1734712A (zh) * 2004-07-30 2006-02-15 东京毅力科创株式会社 等离子体处理装置以及等离子体处理方法
JP5064707B2 (ja) * 2006-03-30 2012-10-3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
JP5031252B2 (ja) * 2006-03-30 2012-09-1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
US20080277064A1 (en) * 2006-12-08 2008-11-13 Tes Co., Ltd. Plasma processing apparatus
JP2009123934A (ja) * 2007-11-15 2009-06-04 Tokyo Electron Ltd プラズマ処理装置
US8317969B2 (en) * 2008-03-25 2012-11-27 Tokyo Electron Limited Plasma proces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3565A (ja) 2002-11-26 2004-07-08 Tokyo Electron Ltd プラズマ処理装置、プラズマ処理方法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の電極板
JP2004221571A (ja) * 2002-12-26 2004-08-05 Canon Inc プラズマ処理装置
JP2004363552A (ja) 2003-02-03 2004-12-24 Okutekku:Kk プラズマ処理装置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用の電極板及び電極板製造方法
JP2008244063A (ja) * 2007-03-27 2008-10-09 Tokyo Electron Ltd プラズマ処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235A (ko) * 2011-06-30 2014-03-25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처리 장치
CN107206816A (zh) * 2015-02-13 2017-09-26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采用包括地址数据的数据分组的打印头
KR20190006610A (ko) * 2016-06-13 2019-01-18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플라즈마 프로세싱 동안 기판에서의 전압 파형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80001913U (ko) * 2016-12-16 2018-06-26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에지 균일성 제어를 위한 조정가능한 연장되는 전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53766A (zh) 2010-10-06
CN101853766B (zh) 2013-02-27
TW201127221A (en) 2011-08-01
US20180053635A1 (en) 2018-02-22
US11037762B2 (en) 2021-06-15
TWI522013B (zh) 2016-02-11
KR101687565B1 (ko) 2016-12-19
JP2010258428A (ja) 2010-11-11
US20100243609A1 (en) 2010-09-30
US20130340937A1 (en) 2013-12-26
JP5591573B2 (ja)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9449A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 방법
US20200357606A1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method
KR101785869B1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KR101757921B1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 방법
US20080236492A1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TWI595807B (zh) Plasma processing equipment
JP5694721B2 (ja) プラズマ処理装置及びプラズマ処理方法
KR101124811B1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KR101124754B1 (ko) 유도 결합 플라즈마 처리 장치
US9543121B2 (en) Inductively coupled plasma processing apparatus
US20110233170A1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method
JP2009123934A (ja) プラズマ処理装置
CN110880443B (zh) 等离子处理装置
JP2008244233A (ja) プラズマ処理装置
KR101775751B1 (ko) 유도 결합 플라즈마 처리 장치
TWI600048B (zh) Inductively coupled plasma processing device
KR20130091271A (ko) 유도 결합 플라즈마 처리 방법 및 유도 결합 플라즈마 처리 장치
KR101167952B1 (ko) 대면적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반응기
EP1552727A1 (en) Inductively coupled plasma generator having lower aspect ratio
CN112585726B (zh) 等离子处理装置
KR20020035249A (ko) 유도결합으로 보강된 축전결합형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플라즈마 발생방법
KR20160129300A (ko) 유도결합형 플라즈마 발생장치용 안테나 및 그의 제어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유도결합 플라즈마 발생장치
KR20100012420A (ko) 자기 조절 수단을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