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613A -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와의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와의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613A
KR20100105613A KR1020107013507A KR20107013507A KR20100105613A KR 20100105613 A KR20100105613 A KR 20100105613A KR 1020107013507 A KR1020107013507 A KR 1020107013507A KR 20107013507 A KR20107013507 A KR 20107013507A KR 20100105613 A KR20100105613 A KR 20100105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nut
flange
tubular
header
joi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6620B1 (ko
Inventor
료스께 이또우
도모히로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5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37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attachments, e.g. reduction units, T-pieces, bend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comprising locking means for the thread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3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comprising junction pieces for four or more pip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Abstract

본 발명은 한 실시 형태로서의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와의 접속 구조에서는, 나선 볼록조 (14) 및 플랜지 (16)을 구비한 관상 접속 부재 (12)에, 캡 너트 (30)이 장착된 조인트 부재 (20)을 접속한다. 캡 너트 (30)은 나선 오목홈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가동부 (36) 및 연장부 (37)을 갖는 회전 방지 부재 (35)를 구비하고 있다. 관상 접속 부재 (12)에는 조인트 부재 (20)의 삽입구부를 삽입하고, 캡 너트 (30)을 돌려넣는다. 그리고 회전 방지 부재 (35)의 연장부 (37)이 관상 접속 부재 (12)의 플랜지 (16)에 설치된 걸림 돌기부 (162)에 걸린다.

Description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와의 접속 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TUBULAR CONNECTION MEMBER AND JOINT MEMBER}
본 발명은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와의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택의 급수 급탕 배관 시스템에서는, 급수 주관 및 급탕 주관을 각각 금속제의 급수 헤더 및 급탕 헤더에 접속하고, 각 헤더에서 복수의 급수 분기관 및 급탕 분기관에 각각 분기시켜, 각 설비 기기의 접속부에 접속하는 헤더 공법이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헤더 공법의 헤더 배관 시스템은, 주택의 마루밑 공간에 배치된 주관이 헤더의 본체부에 접속되고, 헤더의 복수의 분기 접속부를 통해 분기관에 각각 접속되고, 각 분기관이 마루밑 공간에 둘러싸여, 각 설비 기기의 접속부에 각각 접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헤더 배관 시스템에서는, 헤더의 본체부 및 분기 접속부에 주관 및 분기관을 각각 접속하는 경우, 주관이나 분기관의 교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주관 또는 분기관을 접속한 관조인트를 헤더의 본체부 및 분기 접속부에 돌려넣어 접속하는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합성 수지제의 헤더도 이용되고 있다. 합성 수지제의 헤더는, 관조인트가 나사 결합되면, 나사부에 큰 힘이 작용하여 강도상 불리해진다. 이 때문에, 합성 수지제의 헤더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를 서로 맞댄 헤더 본체부와 관조인트 및 분기 접속부와 관조인트를, 탄성 접속 금구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패스너 접속이라 불리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헤더가 합성 수지제이면, 내수압에 의해서 분기 접속부가 눌려 확장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2에서는 내수압에 의해서 분기 접속부가 눌려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개 방지부(spread preventing portion)를 구비한 마개를 분기 접속부에 나사 결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88682호 공보 일본 특허 제3578696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탄성 접속 금구에는, 스테인리스 강판을 포함하는 스프링재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탄성 접속 금구를 이용하여 헤더의 본체부와 관조인트 및 분기 접속부와 관조인트를 접속하는 경우, 예를 들면 마개를 신속하게 폐쇄하는 것에 의해 워터 해머 현상이 반복하여 발생하면, 헤더의 본체부와 관조인트와의 접속부에 서로 이탈하고자 하는 빠져나가려는 힘이 작용한다. 그리고 합성 수지제의 헤더는 금속제의 관조인트와 비교하여 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헤더의 플랜지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는, 플랜지를 형성하는 환상홈에 보강링을 장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보강링의 두께가 작은 경우, 환상홈에의 장착은 용이하지만, 장착시에 변형되기 쉽다. 또한, 보강링은 보강 효과가 작기 때문에, 플랜지에 작용하는 빠져나가려는 힘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작아진다. 또한, 헤더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이 고온에서의 강도가 비교적 높은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있는 경우는 문제가 없지만, 올레핀계 수지나 염화비닐 수지 등의 범용의 합성 수지재로 성형되어 있는 경우에는 강도가 얻어지지 않아, 보강링을 적용할 수 없다.
반대로, 보강링의 두께가 큰 경우에는 변형되기 어렵기 때문에, 장착이 용이하지 않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보강링의 두께가 크면, 헤더와 관조인트와의 접속부의 변형은 발생되기 어렵지만, 탄성 접속 금구에 의해서 외경이 규정되기 때문에, 그만큼 플랜지의 수지의 두께가 얇아져, 강도 저하를 일으키게 된다.
특허문헌 2의 접속 구조는 분기 접속부가 눌려 확장되는 것에 의한 지수성(止水性)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나사 결합부의 파손에 대해서는 아직 과제가 남아 있다. 즉, 범용의 수지인 가교 폴리에틸렌으로 헤더가 성형되어 있으면, 나사를 지나치게 단단히 조인 경우에 나사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나사의 조임이 부족한 경우에는, 내수압에 의해서 축 방향으로 풀어지는 힘이 기능하거나, 맥동 수압에 의해서 진동이나 충격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나사가 풀어져, 최악의 경우에는, 헤더의 분기 접속부로부터 마개가 축 방향으로 풀어질 염려가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2의 접속 구조는 나사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헤더의 본체부에 회전 방지 돌기를 형성하고, 마개의 선단에 회전 방지부를 형성하고, 마개를 설정 위치까지 돌려넣음으로써, 회전 방지 돌기에 의해 회전 방지부를 결합시키고 있다. 그러나, 나사 피치가 클수록 나사 풀림의 회전력은 커지기 때문에, 합성 수지제의 헤더에서는 회전 방지 돌기의 강도가 불안정해 진다. 나사의 피치가 작으면 회전력이 저하되지만, 나사를 돌려넣을 때의 1 회전당 축 방향 이동량이 작아져, 회전 방지 돌기의 높이를 크게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나사 풀림을 방지하는 구조는 강도 면에서 문제가 남아 있다.
또한, 강도 면을 고려하여 회전 방지 돌기에 대한 회전 방지부의 결합을 강하게 하면, 헤더로부터의 마개의 이탈이 곤란해지거나, 회전 방지 돌기가 탄성한계를 초과하여 파손되거나, 헤더를 교환해야 하는 사태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나사 풀림 및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합성 수지제의 헤더 등의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를 나사 결합에 의해서 접속할 수 있는 관상 접속 부재와 관조인트와의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는, 일단부의 외주면에 나선 볼록조(條)와 걸림 돌기부를 갖는 플랜지가 형성된 합성 수지제의 관상 접속 부재와, 상기 관상 접속 부재에 삽입 가능한 삽입구부를 일단부에, 접속관을 접속 가능한 관 설치부를 타단부에 각각 갖는 조인트 부재와, 상기 조인트 부재에 이탈 불가능하게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관상 접속 부재의 나선 볼록조에 대응하는 나선 오목홈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회전 방지 부재가 설치된 캡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방지 부재는 일단부가 캡 너트에 일체로 연결된 가동부 및 이 가동부로부터 캡 너트의 단부면을 초과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관상 접속 부재에 조인트 부재의 삽입구부를 삽입하고, 캡 너트를 관상 접속 부재에 돌려넣어, 회전 방지 부재의 연장부를 관상 접속 부재의 플랜지의 걸림 돌기부에 걸리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양태에 따르면, 조인트 부재의 삽입구부를 관상 접속 부재의 개구 단부에 삽입한 후, 캡 너트를 관상 접속 부재에 돌려넣는다. 이에 따라, 캡 너트의 나선 오목홈이 관상 접속 부재의 나선 볼록조에 나사 결합하여 설정 각도 회전하면, 캡 너트가 플랜지의 측면에 접촉하여 주위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고, 그 이상의 회전이 저지된다. 캡 너트를 돌려넣음으로써, 캡 너트에 설치된 회전 방지 부재의 연장부는 분기 접속부의 플랜지 주연부에 접촉한 후, 가동부가 눌려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되어, 플랜지 주위면에 올라앉는다. 이어서, 회전 방지 부재의 연장부가 플랜지 주위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고, 마침내 플랜지의 걸림 돌기부에 걸림과 동시에, 회전 방지 부재의 탄성 변형이 해소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한다.
관상 접속 부재에는 조인트 부재의 삽입구부가 삽입됨과 동시에, 조인트 부재의 캡 너트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내수압에 의해서도 관상 접속 부재가 눌려 확장되지 않고, 지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캡 너트가 관상 접속 부재의 플랜지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돌려넣기가 저지된다. 또한, 캡 너트에 설치된 회전 방지 부재의 연장부가 관상 접속 부재의 플랜지에 형성된 걸림 돌기부에 걸리게 되어 주위 방향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관상 접속 부재에 대한 캡 너트의 회전이 회전 방지 부재를 통해 저지되고, 내수압에 의해 축 방향으로 풀어지는 힘이나, 맥동 수압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서도, 캡 너트가 회전하여 느슨해지지 않고, 조인트 부재가 풀리거나,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조인트 부재의 삽입구부를 관상 접속 부재에 삽입하여, 공구 등을 이용하지 않고 캡 너트를 설정 각도 회전시키는 것과 같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캡 너트를 플랜지에 접촉시키고, 플랜지의 걸림 돌기부에 회전 방지 부재의 연장부를 걸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속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캡 너트를 지나치게 돌려넣은 것에 의한 나선 볼록조 및 나선 오목홈의 파손도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걸림 돌기부와 연장부와의 걸림을 육안 관찰로 확인할 수 있고, 회전 방지 부재가 탄성 변형 상태로부터 복원할 때 캡 너트에 안착할 때의 안착음에 의해서도 확인할 수 있어, 부족하게 돌려넣는 경우도 없다.
여기서, 관상 접속 부재를 성형하는 합성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고온에서의 강도를 필요로 할 때에는,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설폰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급수 등, 특히 고온에서의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에는, 염화비닐이나, 가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등의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조인트 부재로는 금속제일 수도 있지만, 수지제의 경우에는, 급수 등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염화비닐, 폴리부텐, 가교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급탕 등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설폰, 폴리페닐설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캡 너트를 성형하는 합성 수지로는 급탕용 등 고온이 되는 경우에는 폴리아세탈,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설폰, 폴리페닐설폰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급수용 등 온도가 높지 않은 경우에는 염화비닐, 폴리부텐, 가교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등의 범용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는, 일단부의 외주면에 나선 볼록조와 결합 오목부를 갖는 플랜지가 형성된 합성 수지제의 관상 접속 부재와, 상기 관상 접속 부재에 삽입 가능한 삽입구부를 일단부에, 접속관을 접속 가능한 관 설치부를 타단부에 각각 갖는 조인트 부재와, 상기 조인트 부재에 이탈 불가능하게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관상 접속 부재의 나선 볼록조에 대응하는 나선 오목홈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회전 방지 부재가 설치된 캡 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 방지 부재는 일단부가 캡 너트에 일체로 연결된 가동부 및 상기 가동부로부터 캡 너트의 단면을 초과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관상 접속 부재의 플랜지의 결합 오목부와 결합 가능한 결합 갈고리를 갖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관상 접속 부재에 조인트 부재의 삽입구부를 삽입하고, 캡 너트를 관상 접속 부재에 돌려넣어, 회전 방지 부재의 결합 갈고리를 관상 접속 부재의 플랜지의 결합 오목부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양태에 따르면, 조인트 부재의 삽입구부를 관상 접속 부재의 개구 단부에 삽입한 후, 캡 너트를 관상 접속 부재에 돌려넣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캡 너트의 나선 오목홈이 관상 접속 부재의 나선 볼록조에 나사 결합하고, 설정 각도 회전하면, 캡 너트가 플랜지의 측면에 접촉하여 주위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고, 그 이상의 회전이 저지된다. 캡 너트를 돌려넣음에 따라, 캡 너트에 설치된 회전 방지 부재의 결합 갈고리는 분기 접속부의 플랜지 주연부에 접촉한 후, 가동부가 눌려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되고, 플랜지 주위면에 올라앉는다. 이어서, 회전 방지 부재의 결합 갈고리가 플랜지 주위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고, 마침내 플랜지의 결합 오목부에 걸려 결합함과 동시에, 회전 방지 부재의 탄성 변형이 해소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한다.
관상 접속 부재에는 조인트 부재의 삽입구부가 삽입되고, 조인트 부재의 캡 너트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내수압에 의해서도 관상 접속 부재가 눌려 확장되지 않고, 지수성이 높아진다. 또한, 캡 너트가 관상 접속 부재의 플랜지에 접촉하고, 그 이상의 돌려넣기가 저지된다. 캡 너트에 설치된 회전 방지 부재의 결합 갈고리가, 관상 접속 부재의 플랜지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에 결합하여 주위 방향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관상 접속 부재에 대한 캡 너트의 회전이 회전 방지 부재를 통해 저지되고, 내수압에 의해 축 방향으로 풀어지는 힘이나, 맥동 수압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서도 캡 너트가 회전하여 느슨해지지 않고, 조인트 부재가 풀어지거나,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조인트 부재의 삽입구부를 관상 접속 부재에 삽입하여, 공구 등을 이용하지 않고 캡 너트를 설정 각도 회전시키는 것과 같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캡 너트를 플랜지에 접촉시키고, 플랜지의 결합 오목부에 회전 방지 부재의 결합 갈고리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속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캡 너트를 지나치게 돌려넣은 것에 의한 나선 볼록조 및 나선 오목홈의 파손도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결합 오목부와 결합 갈고리와의 결합을 육안 관찰로 확인할 수 있으며, 회전 방지 부재가 탄성 변형 상태로부터 복원할 때의 캡 너트에 안착할 때의 안착음에 의해서도 확인할 수 있고, 부족하게 돌려넣는 경우도 없다.
여기서 관상 접속 부재를 성형하는 합성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고온에서의 강도를 필요로 할 때에는,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설폰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급수 등 특히 고온에서의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에는 염화비닐이나, 가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등의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조인트 부재로는 금속제일 수도 있지만, 수지제의 경우에는 급수 등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염화비닐, 폴리부텐, 가교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급탕 등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설폰, 폴리페닐설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캡 너트를 성형하는 합성 수지로는 급탕용 등 고온이 되는 경우에는 폴리아세탈,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설폰, 폴리페닐설폰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급수용 등 온도가 높지 않은 경우에는 염화비닐, 폴리부텐, 가교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등의 범용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상 접속 부재의 나선 볼록조는 각각 약 360도에 걸쳐 형성된 2조의 나선 볼록조이고, 또한 상기 캡 너트의 나선 오목홈은 각각 약 360도에 걸쳐 형성된 2조의 나선 오목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캡 너트를 약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분기 접속부의 플랜지에 접촉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회전 방지 부재의 결합 갈고리 또는 회전 방지 부재의 연장부를 플랜지의 결합 오목부에 결합하거나 또는 걸림 돌기부에 걸리게 할 수 있어, 거의 원터치로 접속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캡 너트는 외주면에 주위 방향에 간격을 두고 조작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캡 너트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상 접속 부재는 플랜지가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플랜지의 장축 방향으로 결합 오목부 또는 걸림 돌기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회전 방지 부재의 결합 갈고리 또는 회전 방지 부재의 연장부를 분기 접속부의 플랜지의 단축 방향측으로부터 외주면에 올려앉는 것이 가능해져, 결합 갈고리 또는 연장부를 플랜지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방지 부재는 가동부가 일단이 캡 너트에 일체로 연결된 원호상 또는 아암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상 접속 부재는 합성 수지제의 헤더를 구성하는 헤더 본체부 또는 헤더 본체부로부터 돌출하는 분기 접속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양태에 의해 나사 풀림 및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합성 수지제 헤더 등에 있어서의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를 나사 결합에 의해서 접속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의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2는 도 1의 접속 구조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캡 너트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도 4(a)는 도 3(a) 및 도 3(b)의 캡 너트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의 접속 구조의 캡 너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도 6(a)는 도 5(a) 및 도(5)의 캡 너트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 도 7(a) 및 도 7(b)는 상기 캡 너트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도 8(a)는 도 7(a) 및 도 7(b)의 캡 너트의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9]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의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도 10은 도 9의 헤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 도 11(a)는 도 9에 나타내는 캡 너트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그의 캡 너트의 평면도이고, 도 11(c)는 도 11(b)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2]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의 접속 구조를 폐색캡 및 접속 어댑터와 동시에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폐색캡의 단면도이다.
[도 14] 도 14는 도 12에 나타내는 접속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헤더
11: 헤더 본체부
12: 분기 접속부
13, 14: 나선 볼록조
15, 16: 플랜지
151, 161: 결합 오목부
152, 162: 걸림 돌기부
20, 25: 조인트 부재
21: 삽입구부
22: 관 설치부
30: 캡 너트
31: 너트 본체부
33: 나선 오목홈
34: 조작부
35: 회전 방지 부재
36: 가동부
37: 연장부
38: 결합 갈고리
40: 폐색캡
41: 마개체
50: 접속 어댑터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와의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는 합성 수지제의 헤더 (10)과, 헤더 (10)에 설치된 관상 접속 부재로서의 분기 접속부 (12)에 접속 가능한 조인트 부재 (20)과, 조인트 부재 (20)에 회전 가능하게 및 이탈 불가능하게 장착된 캡 너트 (3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헤더 (10)은 일단부가 폐쇄되고, 타단부가 개구한 대략 원통형의 헤더 본체부 (11)과, 헤더 본체부 (1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분기 접속부 (12 … 12)를 구비하고 있다. 헤더 본체부 (11) 및 각 분기 접속부 (12)는, 각각의 개구의 단부 근처의 외주면에 2조의 나선 볼록조 (13), (14)가 약 360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헤더 본체부 (11) 및 분기 접속부 (12 … 12)는 나선 볼록조 (13), (14)의 기초부 근처에 대략 타원상의 플랜지 (15), (16)을 구비하고 있다. 헤더 본체부 (11) 및 분기 접속부 (12 … 12)의 플랜지 (15), (16)에는 원호상의 결합 오목부 (151), (16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예시의 형태로는, 헤더 (10)은 헤더 본체부 (11)의 플랜지 (15)에 결합 오목부 (151), (151)이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헤더 (10)은 각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결합 오목부 (161), (161)이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헤더 (10)을 성형하는 합성 수지에는, 급수용과 급탕용으로도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고, 저비용이 되는 가교 폴리에틸렌을 채용할 수 있다.
이어서, 분기 접속부 (12)의 개구 단부와 조인트 부재 (20)과의 접속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부재 (20)은 일단부에 분기 접속부 (12)에 삽입 가능한 삽입구부 (21)을 갖는다. 또한, 조인트 부재 (20)은 타단부에 접속관으로서의 분기관(도시하지 않음)을 설치 가능한 관 설치부 (22)를 갖는다. 조인트 부재 (20)은, 삽입구부 (21)에 관 설치부 (22)를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공지된 원터치 조인트 구조(일본 특허 제3843228호 공보 참조)를 구비한다. 또한, 조인트 부재 (20)은 놋쇠나 청동, 또는 이들 금속과 합성 수지의 복합 구조나 합성 수지 등으로부터 제조되어 있다.
조인트 부재 (20)은 삽입구부 (21)에 관 설치부 (22)를 일체로 연결하여 제조된다. 제조시에는 캡 너트 (30)을 삽입구부 (21)에 장착하고 관 설치부 (22)를 연결함으로써, 조인트 부재 (20)에 대하여 캡 너트 (30)이 이탈 불가능하게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 너트 (30)은 너트 본체부 (31)과 풀림 방지부 (32)를 구비한다. 너트 본체부 (31)은, 분기 접속부 (12)의 개구 단부의 외주면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의 내주면 및 플랜지 (16)의 단축 방향의 직경보다도 소직경의 외주면을 갖는다. 풀림 방지부 (32)는, 너트 본체부 (31)의 내주면보다도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캡 너트 (30)은 조인트 부재 (20)의 삽입구부 (21)을 너트 본체부 (31)을 통과시켜 풀림 방지부 (32)에 삽입 관통하고, 삽입구부 (21)에 관 설치부 (32)를 연결함으로써, 조인트 부재 (20)에 이탈 불가능하게 및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캡 너트 (30)의 너트 본체부 (31)의 내주면에는, 분기 접속부 (12)의 개구 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2조의 나선 볼록조 (14)에 나사 결합 가능한 2조의 나선 오목홈 (33)이 약 360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 너트 (30)의 너트 본체부 (31)의 외주면에는, 풀림 방지부 (32)측의 대략 절반부에,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조작부 (34)가 주위 방향으로 약 90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 (34)는, 주위 방향으로 4개소에 형성된 것 중, 대향하여 배치된 1군이 각각 2개 병설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들 조작부 (34) 중, 대향하여 배치된 다른 1군은 1개가 단독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외주면에는 풀림 방지부 (32)와는 반대측의 대략 절반부에 한쌍의 회전 방지 부재 (35)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방지 부재 (35)는, 일단부가 너트 본체부 (31)의 외주면에 단독으로 돌출되어 있는 조작부 (34)와, 주위 방향의 거의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방지 부재 (35)는 가동부 (36)과 연장부 (37)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부 (36)은,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의 장축 방향의 직경(장경)에 거의 일치하는 외경의 외주면을 갖고, 너트 본체부 (31)의 외주면을 따라서 약 90도의 범위에 걸쳐 원호상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연장부 (37)은, 가동부 (36)의 타단부(즉, 2개 병설하여 돌출되는 조작부 (34), (34)에 대응하는 위치)의 측단면으로부터, 너트 본체부 (31)의 단면을 초과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 (37)은,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 (161)의 주위 방향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또한, 연장부 (37)에는, 그의 주위 방향에 걸쳐 플랜지 (16)의 결합 오목부 (161)의 단차에 거의 상당하는 높이의 결합 갈고리 (38)이 형성되어 있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부 (37)의 단면은 축 방향의 연장 길이가 나선 볼록조 (14)(나선 오목홈 (33))의 리드각에 대응하여, 돌려넣는 방향으로 점증하도록 경사면 (3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 갈고리 (38)은 측단면이 모따기되어 있다. 그리고,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 갈고리 (38)의 선단면은 R 가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결합 갈고리 (38)은 플랜지 (16)의 주연부를 거쳐 용이하게 플랜지 (16)의 외주면에 올라앉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캡 너트 (30)의 2조의 나선 오목홈 (33) 및 분기 접속부 (12)의 2조의 나선 볼록조 (14)는, 캡 너트 (30)을 분기 접속부 (12)에 돌려넣어 약 180도 회전시켰을 때, 캡 너트 (30)의 너트 본체부 (31)의 단면이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의 측면에 접촉하여 주위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됨과 동시에, 2개 병설하여 돌출된 조작부 (34)가 플랜지 (16)의 결합 오목부 (161)에 각각 대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캡 너트 (30)을 성형하는 합성 수지로는 폴리아세탈,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설폰, 폴리페닐설폰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헤더 (10)의 분기 접속부 (12)에 조인트 부재 (20)을 접속하는 시공요령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인트 부재 (20)에는, 캡 너트 (30)이 장착되어 있다. 우선, 조인트 부재 (20)의 관 설치부 (22)에 도시하지 않는 분기관을 삽입하여 접속함과 동시에, 조인트 부재 (20)의 삽입구부 (21)을 헤더 (10)의 분기 접속부 (12)의 개구 단부에 삽입한다. 그 후, 조작부 (34)를 이용하여 분기 접속부 (12)에 캡 너트 (30)을 돌려넣는다. 이에 따라, 캡 너트 (30)의 2조의 나선 오목홈 (33)이 분기 접속부 (12)의 2조의 나선 볼록조 (14)에 나사 결합한다. 캡 너트 (30)을 거의 절반 회전시키면, 캡 너트 (30)의 너트 본체부 (31)의 단면이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의 측면에 접촉하고, 주위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됨과 동시에, 그 이상의 돌려넣기가 저지된다. 이 때, 캡 너트 (30)의 한쌍의 회전 방지 부재 (35)의 연장부 (37)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결합 갈고리 (38)이 플랜지 (16)의 각 결합 오목부 (161)에 각각 걸려 결합한다.
즉, 캡 너트 (30)의 돌려넣기를 개시하면, 캡 너트 (30)은 나선 볼록조 (14)(나선 오목홈 (33))의 리드각에 의해서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캡 너트 (30)이 대략 90도 회전하면, 결합 갈고리 (38)의 선단측의 단부 가장자리가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의 단축 방향의 주연부에 접촉한다. 이 경우, 결합 갈고리 (38)의 측단면은, 나선 볼록조 (14)(나선 오목홈 (33))의 리드각에 대응하는 경사면 (37a)에 형성됨과 동시에, 측단면 하부가 모따기되어 있어, 선단면 및 측단면의 하단부 가장자리, 이들이 교차하는 변이 R 가공되어 있음으로써, 결합 갈고리 (38)의 선단측 측단부 가장자리는 플랜지 (16)의 단축 방향의 주연부에 점접촉한다.
또한 캡 너트 (30)을 돌려넣으면, 회전 방지 부재 (35)의 결합 갈고리 (38)이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가압되어,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의 외주면에 올라앉는다. 이 때, 회전 방지 부재 (35)의 가동부 (36)이 일단부(고정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타단부(자유 단부)인 연장부 (37)측이 캡 너트 (30)의 외주면으로부터 부상하여, 눌려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연장부 (37)에 설치된 결합 갈고리 (38)은, 플랜지 (16)의 외주면에 올라앉는다. 그리고, 캡 너트 (30)을 거의 90도 회전시키면 회전 방지 부재 (35)의 결합 갈고리 (38)이 플랜지 (16)의 외주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하여, 플랜지 (16)의 결합 오목부 (161)에 걸려 결합한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가동부 (36)이 그의 탄성에 의해서, 캡 너트 (30)의 외주면에 따른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다.
이 경우, 회전 방지 부재 (35), (35)는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 캡 너트 (30)에 한쌍으로서 설치되기 때문에, 회전 방지 부재 (35)에 각각 설치된 결합 갈고리 (38)이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형성된 한쌍의 결합 오목부 (161)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이 헤더 (10)의 분기 접속부 (12)의 개구 단부에 조인트 부재 (20)의 삽입구부 (21)이 삽입되고, 조인트 부재 (20)에 장착된 캡 너트 (30)이 나사 결합됨으로써, 헤더 (10)의 내수압에 의해 분기 접속부 (12)의 개구 단부가 눌려 확장되거나, 지수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 너트 (30)은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접촉하고, 그 이상의 돌려넣기를 저지한다. 또한, 캡 너트 (30)에 설치된 한쌍의 회전 방지 부재 (35), (35)의 각 결합 갈고리 (38)은,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약 18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된 각 결합 오목부 (161)에 각각 결합하여 주위 방향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들 작용에 의해 분기 접속부 (12)에 대한 캡 너트 (30)의 회전이 저지되고, 내수압에 의해 축 방향으로 풀어지는 힘이나, 맥동 수압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서도 캡 너트 (30)이 회전하여 느슨해지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조인트 부재 (20)이 풀어지거나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조인트 부재 (20)의 삽입구부 (21)을 분기 접속부 (12)에 삽입하여,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캡 너트 (30)을 대략 180도만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캡 너트 (30)을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접촉시키고, 회전 방지 부재 (35)의 결합 갈고리 (38)을 플랜지 (16)의 결합 오목부 (161)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결합 갈고리 (38)과 결합 오목부 (161)과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접속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캡 너트 (30)의 지나친 돌려넣기에 의한 나선 볼록조 (14) 및 나선 오목홈 (33)의 파손도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결합 오목부 (161)과 결합 갈고리 (38)과의 결합을 육안 관찰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방지 부재 (35)가 탄성 변형 상태로부터 복원되어, 캡 너트 (30)에 안착할 때의 "딸깍"이라는 안착음에 의해서도 결합 오목부 (161)과 결합 갈고리 (38)과의 결합을 확인할 수 있고, 부족하게 돌려넣는 경우도 없다.
또한, 캡 너트 (30)의 성형은 회전 방지 부재 (35)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방지 부재를 캡 너트 (30)에 별개의 부재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회전 방지 부재의 장착 망각과 같은 시공 실패를 일으키는 경우도 없다.
헤더 (10)의 분기 접속부 (12)로부터 조인트 부재 (20)을 이탈시키는 경우는, 한쌍의 회전 방지 부재 (35)의 각 연장부 (37)에 각각 손가락을 대서 위로 올림과 동시에, 조작부 (34)를 이용하여 분기 접속부 (12)의 나선 볼록조 (14)와 캡 너트 (30)의 나선 오목홈 (33)과의 나사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캡 너트 (30)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캡 너트 (30)이 플랜지 (16)으로부터 격리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때, 결합 갈고리 (38)이 플랜지 (16)의 외주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면서 그의 측면측으로 미끄러져, 대략 180도 회전하면 분기 접속부 (12)의 나선 볼록조 (14)와 캡 너트 (30)의 나선 오목홈 (33)과의 나사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술과는 반대로 캡 너트 (30)을 돌려넣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약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분기 접속부 (12)와 캡 너트 (30)과의 나사 결합이 해소된다. 이 후, 조인트 부재 (20)의 삽입구부 (21)을 분기 접속부 (12)로부터 방출함으로써, 캡 너트 (30)이 장착된 조인트 부재 (20)을 분기 접속부 (12)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현장에서의 조인트 부재 (20)의 변경, 리폼, 갱신 등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 캡 너트 (30)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는 캡 너트 (30)의 제1 변형예에 대해서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 도 5(b) 및 도 6(a), 도 6(b)는 캡 너트 (30)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캡 너트 (30)의 회전 방지 부재 (35)는 가동부 (36)이 2개 병설하여 돌출되어 있는 조작부 (34), (34)에 연결되어 있다. 가동부 (36)의 일단부는, 각 조작부 (34), (3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 (36)의 타단부는, 너트 본체부 (31)의 외주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너트 본체부 (31)의 단면을 초과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암상의 가동부 (36)의 타단(자유단)은, 결합 갈고리 (38)을 설치한 연장부 (37)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회전 방지 부재 (35)를 설치한 캡 너트 (30)은 분기 접속부 (12)의 개구 단부에 돌려넣고, 대략 90도 회전시키면 나선 볼록조 (14)(나선 오목홈 (33))의 리드각에 의해서 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결합 갈고리 (38)의 선단측의 측단부 가장자리가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의 단축(단경) 방향의 주연부에 점접촉한다. 또한, 캡 너트 (30)을 돌려넣으면, 회전 방지 부재 (35)의 결합 갈고리 (38)이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가압되고,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의 외주면에 올라앉는다. 이 때, 회전 방지 부재 (35)의 아암상의 가동부 (36)이 조작부 (34)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타단부(즉, 결합 갈고리 (38)이 설치된 연장부 (37)측)가 캡 너트 (30)의 외주면으로부터 부상하여 눌려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이와 같이 하면, 결합 갈고리 (38)이 플랜지 (16) 외주면에 올라앉는다. 그리고, 캡 너트 (30)을 거의 90도 회전시키면, 회전 방지 부재 (35)의 결합 갈고리 (38)이 플랜지 (16)의 외주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고, 플랜지 (16)의 결합 오목부 (161)로 떨어져 결합한다. 또한 동시에, 아암상의 가동부 (36)이 탄성에 의해서 캡 너트 (30)의 외주면을 따르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다.
이 경우도, 회전 방지 부재 (35)는 캡 너트 (30)에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 2개소에 한쌍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회전 방지 부재 (35)에 설치된 결합 갈고리 (38)은,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결합 오목부 (161), (161)에 각각 결합한다.
<실시예 3>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캡 너트 (30)의 제2 변형예에 대해서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예시한 형태에서는, 캡 너트 (30)은 조작부 (34) 및 나사 정지 부재 (35)의 형태에 특징을 갖는다. 조작부 (34)는 캡 너트 (30)을 돌려넣을 때, 임의의 위치를 파악하여 용이하게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너트 본체부 (31)의 외주면의 주위 방향으로 약 6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조작부 (34)는 반경 방향으로 팽출하는 단면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 방지 부재 (35)의 가동부 (36)은 너트 본체부 (31)의 외주면의 주위 방향으로 약 180도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부 (36)은 조작부 (34)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동부 (36)의 일단부는 조작부 (34)와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너트 본체부 (31)의 단면을 초과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1개의 아암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가동부 (36)의 타단부는, 결합 갈고리 (38)을 설치한 연장부 (37)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회전 방지 부재 (35)를 설치한 캡 너트 (30)은, 분기 접속부 (12)의 개구 단부에 돌려넣고 약 90도 회전하면, 나선 볼록조 (14)(나선 오목홈 (33))의 리드각에 의해서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결합 갈고리 (38)의 선단측의 측단부 가장자리가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의 단축(단경) 방향의 주연부에 점접촉한다. 또한, 캡 너트 (30)을 돌려넣으면, 회전 방지 부재 (35)의 결합 갈고리 (38)이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가압되고,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의 외주면을 올라앉는다. 이 때, 회전 방지 부재 (35)의 아암상 가동부 (36)이 조작부 (34)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타단부(즉, 결합 갈고리 (38)을 설치한 연장부 (37)측)가 캡 너트 (30)의 외주면으로부터 부상하여 눌려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한다. 이와 같이 하면, 결합 갈고리 (38)은 플랜지 (16)의 외주면으로 올라 앉는다. 또한, 캡 너트 (30)을 거의 90도 회전시키면, 회전 방지 부재 (35)의 결합 갈고리 (38)이 플랜지 (16)의 외주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고, 플랜지 (16)의 결합 오목부 (161)에 걸려 결합함과 동시에, 아암상의 가동부 (36)이 탄성에 의해서 캡 너트 (30)의 외주면에 따르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이 경우도, 회전 방지 부재 (35)는 캡 너트 (30)에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회전 방지 부재 (35)에 설치된 결합 갈고리 (38)이 180도의 간격을 두고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형성된 한쌍의 결합 오목부 (161)에 각각 결합한다. 또한, 캡 너트 (30)을 돌려넣을 때, 조작부 (34)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임의의 조작부 (34)를 파악하여 용이하게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실시예 4>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와의 접속 구조의 다른 예에 대해서, 도 9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의 접속 구조도 합성 수지제의 헤더 (10)과, 헤더 (10)에서의 관상 접속 부재로서의 분기 접속부 (12)에 접속 가능한 조인트 부재 (20)과, 조인트 부재 (20)에 회전 가능하게 및 이탈 불가능하게 장착된 캡 너트 (3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조인트 부재 (20)은 앞서 설명한 조인트 부재 (20)과 동일하고, 동일한 부재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캡 너트 (30)도 동일한 구조이다. 따라서, 이하 주로 상기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더 (10)은 일단부가 폐쇄되고, 타단부가 개구한 대략 원통형의 헤더 본체부 (11)과, 헤더 본체부 (1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분기 접속부 (12)를 구비하고 있다. 헤더 본체부 (11) 및 각 분기 접속부 (12)는, 개구의 단부 근처의 외주면에 2조의 나선 볼록조 (13), (14)가 약 360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헤더 본체부 (11) 및 각 분기 접속부 (12)는, 나선 볼록조 (13), (14)의 기초부 근처에 대략 타원상의 플랜지 (15), (16)을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더 본체부 (11) 및 각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5), (16)에는, 장축 방향으로 돌출시켜 장축 방향의 직경보다도 대직경의 걸림 돌기부 (152), (162)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기부 (152), (162)는, 캡 너트 (30)의 돌려넣기 방향에서의 단축측부터 장축측에 걸쳐서, 장축 방향의 직경을 초과하여 순조롭게 점증하는 외주면을 갖고 있다. 또한, 헤더 본체부 (11)의 플랜지 (15) 및 각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는, 캡 너트 (30)의 돌려넣기 방향에서의 단축측부터 장축측에 걸쳐서, 개구 단측의 바깥 둘레가 R 가공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헤더 (10)의 헤더 본체부 (11)은 플랜지 (15) 및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의 장축 방향이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헤더 본체부 (11)의 플랜지 (15) 및 각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형성된 걸림 돌기부 (152), (162)는 수직 방향에 대향하여 상하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하, 각 분기 접속부 (12)의 개구 단부에 대한 조인트 부재 (20)의 접속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헤더 본체부 (11)에 대한 접속 구조도, 분기 접속부 (12)에 대한 접속 구조와 구경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고, 헤더 본체부 (11)에 대한 접속 구조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캡 너트 (30)은, 도 11(a) 내지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 본체부 (31)과, 풀림 방지부 (32)를 구비하고 있다. 너트 본체부 (31)은, 분기 접속부 (12)의 개구 단부의 외주면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의 내주면 및 플랜지 (16)의 단축(단경) 방향의 직경보다도 소직경의 외주면을 갖는다. 풀림 방지부 (32)는 너트 본체부 (31)의 내주면보다도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캡 너트 (30)은 조인트 부재 (20)에 대하여 이탈 불가능하게 부착되고,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캡 너트 (30)의 너트 본체부 (31)의 내주면에는, 분기 접속부 (12)의 개구 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2조의 나선 볼록조 (14)에 나사 결합 가능한 2조의 나선 오목홈 (33)이 각각 약 360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너트 본체부 (31)의 외주면에는, 풀림 방지부 (32)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대략 절반부에, 직경 방향으로, 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으로 팽출된 조작부 (34 … 34)가 형성되어 있다. 각 조작부 (34)는 너트 본체부 (31)의 주위 방향에 약 60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너트 본체부 (31)의 외주면에는, 풀림 방지부 (32)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대략 절반부에, 한쌍의 회전 방지 부재 (35), (35)가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각 회전 방지 부재 (35)는 일단부가 너트 본체부 (31)의 외주면에서 조작부 (34)에 대향하는 위치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가동부 (36)은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의 장축 방향의 직경에 거의 일치하는 외경의 외주면을 갖는다. 가동부 (36)은, 일단부가 너트 본체부 (31)에 일체가 되고, 너트 본체부 (31)의 외주면을 따라서 약 60도의 범위에 걸쳐 원호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연장부 (37)은 가동부 (36)의 타단부로부터 너트 본체부 (31)의 단면을 초과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 (37)은 인접하는 2개의 조작부 (34), (34)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연장부 (37)은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형성된 걸림 돌기부 (162)에 결합 가능하게 되고, 연장부 (37)의 두께는 플랜지 (16)의 걸림 돌기부 (162)의 높이에 대략 상당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부 (37)은 그의 단면이 나선 볼록조 (14)(나선 오목홈 (33))의 리드각에 대응하여 돌려넣는 방향으로 축 방향의 연장 길이가 점증하도록 비스듬하고, 그의 단부 가장자리가 모따기되어 있어 경사면 (37b)를 구비한다. 경사면 (37b)는 단부 가장자리가 R 가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 (37)은 플랜지 (16)의 R 가공된 주연부를 거쳐, 플랜지 (15)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올라앉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캡 너트 (30)의 2조의 나선 오목홈 (33) 및 분기 접속부 (12)의 2조의 나선 볼록조 (14)는, 캡 너트 (30)을 분기 접속부 (12)에 돌려넣어 약 180도 회전시켰을 때, 캡 너트 (30)의 너트 본체부 (31)의 단면이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의 측면에 접촉하여 주위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헤더 (10)의 분기 접속부 (12)에 조인트 부재 (20)을 접속하는 시공요령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캡 너트 (30)이 장착된 조인트 부재 (20)의 관 설치부 (22)에, 도시하지 않는 분기관을 삽입하여 접속한다. 또한, 조인트 부재 (20)의 삽입구부 (21)을 헤더 (10)의 분기 접속부 (12)의 개구 단부에 삽입한다. 그 후, 조작부 (34)를 이용하여 분기 접속부 (12)에 캡 너트 (30)을 돌려넣는다. 이 때, 임의의 조작부 (34)를 파악하여 용이하게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 너트 (30)의 2조의 나선 오목홈 (33)이 분기 접속부 (12)의 2조의 나선 볼록조 (14)에 나사 결합하고, 거의 절반 회전하면, 캡 너트 (30)의 너트 본체부 (31)의 단면이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의 측면에 접촉하여 주위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고, 그 이상의 돌려넣기가 저지된다. 이 때, 캡 너트 (30)의 한쌍의 회전 방지 부재 (35)의 연장부 (37)이 플랜지 (16)의 각 걸림 돌기부 (162)에 각각 걸린다.
즉, 캡 너트 (30)을 돌려넣기 시작하면, 캡 너트 (30)은 나선 볼록조 (14)(나선 오목홈 (33))의 리드각에 의해서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캡 너트 (30)을 대략 90도 회전시키면, 연장부 (37)의 선단측 측단부 가장자리가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의 단축 방향의 주연부에 접촉한다. 이 경우, 연장부 (37)의 측단면은 나선 볼록조 (14)(나선 오목홈 (33))의 리드각에 대응하여 돌려넣는 방향으로 축 방향의 연장 길이가 점증하도록 비스듬하게 함과 동시에, 그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모따기되어 있는 경사면 (37b)에 형성되고, 또한 단부 가장자리가 R 가공되어 있음으로써, 연장부 (37)의 선단측 측단부 가장자리는 플랜지 (16)의 단축 방향의 주연부에 점접촉한다.
또한, 캡 너트 (30)을 돌려넣으면, 회전 방지 부재 (35)의 연장부 (37)이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가압되어,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의 R 가공된 주연부를 거쳐 외주면에 올라앉는다. 이 때, 회전 방지 부재 (35)의 가동부 (36)이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타단부인 연장부 (37)측이 캡 너트 (30)의 외주면으로부터 부상하여 눌려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되고, 연장부 (37)이 플랜지 (16)의 외주면에 올라앉는다. 그리고, 캡 너트 (30)을 거의 90도 회전시키면, 회전 방지 부재 (35)의 연장부 (37)이 플랜지 (16)의 외주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고, 플랜지 (16)의 걸림 돌기부 (162)를 뛰어넘어 걸림과 동시에, 가동부 (36)이 탄성에 의해서 캡 너트 (30)의 외주면에 따르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다.
이 경우, 회전 방지 부재 (35)는 캡 너트 (30)에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각 회전 방지 부재 (35)의 연장부 (37)은, 180도의 간격을 두고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180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쌍의 걸림 돌기부 (162)에 각각 걸린다.
그 결과, 헤더 (10)의 분기 접속부 (12)의 개구 단부에는, 조인트 부재 (20)의 삽입구부 (21)이 삽입됨과 동시에, 조인트 부재 (20)에 장착된 캡 너트 (30)이 나사 결합됨으로써, 헤더 (10)의 내수압에 의해서도 분기 접속부 (12)의 개구 단부가 눌려 확장되지 않고, 지수성이 높아진다. 또한, 캡 너트 (30)이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돌려넣기를 저지한다. 캡 너트 (30)에 설치된 한쌍의 회전 방지 부재 (35)의 각 연장부 (37)은,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형성된 각 걸림 돌기부 (162)에 각각 걸려 이완 방향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분기 접속부 (12)에 대한 캡 너트 (30)의 회전이 저지되고, 내수압에 의해 축 방향으로 풀어지는 힘이나, 맥동 수압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서도 캡 너트 (30)이 회전하여 느슨해지지 않고, 조인트 부재 (20)이 풀리거나, 누수가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조인트 부재 (20)의 삽입구부 (21)을 분기 접속부 (12)에 삽입하여,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캡 너트 (30)을 약 180도만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캡 너트 (30)을 분기 접속부 (12)의 플랜지 (16)에 접촉시키고, 회전 방지 부재 (35)의 연장부 (37)을 플랜지 (16)의 걸림 돌기부 (162)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연장부 (37)과 걸림 돌기부 (162)와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접속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캡 너트 (30)의 지나친 돌려넣기에 의한 나선 볼록조 (14) 및 나선 오목홈 (33)의 파손도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걸림 돌기부 (162)와 연장부 (37)과의 걸림을 육안 관찰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방지 부재 (35)가 탄성 변형 상태로부터 복원되어, 캡 너트 (30)에 안착할 때의 "딸깍"이라는 안착음에 의해서도 걸림 돌기부 (162)와 연장부 (37)과의 걸림을 확인할 수 있고, 부족하게 돌려넣는 경우도 없다.
또한, 캡 너트 (30)의 성형시에, 회전 방지 부재 (35)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염가로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회전 방지 부재를 별개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회전 방지 부재의 장착 망각과 같은 시공 실패를 일으키는 경우도 없다.
헤더 (10)의 분기 접속부 (12)로부터 조인트 부재 (20)을 이탈시키는 경우는, 한쌍의 회전 방지 부재 (35)의 각 연장부 (37)에 각각 손가락을 대서 위로 올림과 동시에, 조작부 (34)를 이용하여 분기 접속부 (12)의 나선 볼록조 (14)와 캡 너트 (30)의 나선 오목홈 (33)과의 나사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캡 너트 (30)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캡 너트 (30)이 플랜지 (16)으로부터 격리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때, 연장부 (37)이 플랜지 (16)의 외주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면서 그의 측면측으로 미끄러지고, 대략 180도 회전하면 분기 접속부 (12)의 나선 볼록조 (14)와 캡 너트 (30)의 나선 오목홈 (33)과의 나사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술과는 반대로 캡 너트 (30)을 돌려넣은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약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분기 접속부 (12)와 캡 너트 (30)과의 나사 결합이 해소된다. 이 후, 조인트 부재 (20)의 삽입구부 (21)을 분기 접속부 (12)로부터 방출함으로써, 캡 너트 (30)이 장착된 조인트 부재 (20)을 분기 접속부 (12)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현장에서의 조인트 부재 (20)의 변경, 리폼, 갱신 등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헤더 본체부 (11)에 대한 접속 구조도 분기 접속부 (12)에 대한 접속 구조와 마찬가지로, 조인트 부재 (20) 및 조인트 부재 (20)에 회전 가능하게 및 이탈 불가능하게 장착된 캡 너트 (30)을 이용하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5>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의 접속 구조를 나타내고, 폐색캡 및 접속 어댑터와 동시에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헤더 (10)의 헤더 본체부 (11)로서, 일단이 폐쇄됨과 동시에 타단이 개구된 것을 예시했지만,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끝이 개구된 헤더 본체부 (11)일 수도 있다.
이러한 양끝이 개구된 헤더 (10)의 헤더 본체부 (11)은, 필요에 따라서 폐색캡 (40)을 이용하여 한쪽 개구 단부를 폐쇄하거나, 인접하는 헤더 (10)에 있어서의 헤더 본체부 (11)의 대향하는 개구 단부 사이를 접속 어댑터 (50)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도 있다.
여기서, 폐색캡 (40)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개체 (41)에 캡 너트 (30)을 회전 가능하게 및 이탈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폐색캡 (40)은, 헤더 본체부 (11)의 한쪽 개구 단부에 마개체 (41)을 삽입한 후, 조작부 (34)를 이용하여 헤더 본체부 (11)에 캡 너트 (30)을 돌려넣으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캡 너트 (30)의 2조의 나선 오목홈 (33)이 헤더 본체부 (11)의 2조의 나선 볼록조 (13)에 나사 결합하고, 거의 절반 회전하면 캡 너트 (30)의 너트 본체부 (31)의 단면이 헤더 본체부 (11)의 플랜지 (15)의 측면에 접촉하여 주위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그 이상의 돌려넣기가 저지된다. 이 때, 캡 너트 (30)의 한쌍의 회전 방지 부재 (35)의 연장부 (37)이 플랜지 (15)의 각 걸림 돌기부 (152)에 각각 걸린다.
따라서, 헤더 (10)에서의 헤더 본체부 (11)의 한쪽 개구 단부에는, 마개체 (41)이 삽입됨과 동시에, 마개체 (41)에 장착된 캡 너트 (30)이 나사 결합됨으로써, 헤더 (10)의 내수압에 의해서도 헤더 본체부 (11)의 개구 단부가 눌려 확장되지 않고, 지수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한쪽 개구 단부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캡 너트 (30)이 헤더 본체부 (11)의 플랜지 (15)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돌려넣기가 저지되고, 캡 너트 (30)에 설치된 한쌍의 회전 방지 부재 (35)의 각 연장부 (37)이 헤더 본체부 (11)의 플랜지 (15)에 형성된 각 걸림 돌기부 (152)에 각각 걸려, 이완 방향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에 따라, 헤더 본체부 (11)에 대한 캡 너트 (30)의 회전이 저지되고, 내수압에 의해 축 방향으로 풀어지는 힘이나, 맥동 수압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서도, 캡 너트 (30)이 회전하여 느슨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마개체 (41)이 풀리거나,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마개체 (41)을 헤더 본체부 (11)에 삽입하여,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캡 너트 (30)을 약 180도만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캡 너트 (30)을 헤더 본체부 (11)의 플랜지 (15)에 접촉시키고, 회전 방지 부재 (35)의 연장부 (37)을 플랜지 (15)의 걸림 돌기부 (152)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연장부 (37)과 걸림 돌기부 (152)와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접속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캡 너트 (30)의 지나친 돌려넣기에 의한 나선 볼록조 (13) 및 나선 오목홈 (33)의 파손도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걸림 돌기부 (152)와 연장부 (37)과의 걸림을 육안 관찰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방지 부재 (35)가 탄성 변형 상태로부터 복원되어, 캡 너트 (30)에 안착할 때의 "딸깍"이라는 안착음에 의해서도, 걸림 돌기부 (152)와 연장부 (37)과의 걸림을 확인할 수 있고, 부족하게 돌려넣는 경우도 없다.
또한, 접속 어댑터 (50)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끝에 삽입구부 (21), (21)을 갖는 조인트 부재 (25)에 각각 캡 너트 (30), (30)을 회전 가능하게 및 이탈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헤더 본체부 (11)의 한쪽 개구 단부에 접속 어댑터 (50)의 한쪽 삽입구부 (21)을 삽입한 후, 조작부 (34)를 이용하여 헤더 본체부 (11)에 한쪽 캡 너트 (30)을 돌려넣으면 된다. 이에 따라, 캡 너트 (30)의 2조의 나선 오목홈 (33)이 헤더 본체부 (11)의 2조의 나선 볼록조 (13)에 나사 결합하고, 거의 절반 회전하면 캡 너트 (30)의 너트 본체부 (31)의 단면이 헤더 본체부 (11)의 플랜지 (15)의 측면에 접촉하고, 주위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그 이상의 돌려넣기가 저지된다. 이 때, 캡 너트 (30)의 한쌍의 회전 방지 부재 (35)의 연장부 (37)이 플랜지 (15)의 각 걸림 돌기부 (152)에 각각 걸린다.
이어서, 마찬가지로 접속 어댑터 (50)의 다른쪽의 삽입구부 (21)을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헤더 (10)에서의 헤더 본체부 (11)의 한쪽 개구 단부에 삽입하고, 조작부 (34)를 이용하여 헤더 본체부 (11)에 다른쪽의 캡 너트 (30)을 돌려넣으면 된다.
따라서, 헤더 (10)의 헤더 본체부 (11)의 한쪽 개구 단부에는, 한쪽 삽입구부 (21)이 삽입됨과 동시에, 그의 삽입구부 (21)에 장착된 한쪽 캡 너트 (30)이 나사 결합됨으로써, 헤더 (10)의 내수압에 의해서도 헤더 본체부 (11)의 개구 단부가 눌려 확장되지 않고, 지수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헤더 (10)의 헤더 본체부 (11)끼리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캡 너트 (30)이 헤더 본체부 (11)의 플랜지 (15)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돌려넣기를 저지하고, 캡 너트 (30)의 한쌍의 회전 방지 부재 (35)의 각 연장부 (37)이 헤더 본체부 (11)의 플랜지 (15)에 형성된 각 걸림 돌기부 (152)에 각각 걸리고, 이완 방향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헤더 본체부 (11)에 대한 캡 너트 (30)의 회전이 저지되고, 내수압에 의해 축 방향으로 풀어지는 힘이나, 맥동 수압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서도, 캡 너트 (30)이 회전하여 느슨해지지 않고, 삽입구부 (21)이 풀어지거나,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삽입구부 (21)을 헤더 본체부 (11)에 삽입하여,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캡 너트 (30)을 대략 180도만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캡 너트 (30)을 헤더 본체부 (11)의 플랜지 (15)에 접촉시키고, 회전 방지 부재 (35)의 연장부 (37)을 플랜지 (15)의 걸림 돌기부 (152)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연장부 (37)과 걸림 돌기부 (152)와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접속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캡 너트 (30)의 지나친 돌려넣기에 의한 나선 볼록조 (13) 및 나선 오목홈 (33)의 파손도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걸림 돌기부 (152)와 연장부 (37)과의 걸림을 육안 관찰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방지 부재 (35)가 탄성 변형 상태로부터 복원되어, 캡 너트 (30)에 안착할 때의 "딸깍"이라는 안착음에 의해서도 걸림 돌기부 (152)와 연장부 (37)과의 걸림을 확인할 수 있고, 부족하게 돌려넣는 경우도 없다.
본 발명은 그의 주지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실시 형태는 모든 관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 명세서 본문에는 하등의 구속도 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 청구의 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전부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또한, 이 출원은 일본에서 2007년 12월 1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7-327588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청구한다. 그 내용은 본 출원에 언급함으로써, 본 출원에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인용된 문헌은 본 출원에 언급함으로써, 그의 전부가 구체적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Claims (7)

  1. 일단부의 외주면에 나선 볼록조(條)와 걸림 돌기부를 갖는 플랜지가 형성된 합성 수지제의 관상 접속 부재와,
    상기 관상 접속 부재에 삽입 가능한 삽입구부를 일단부에, 접속관을 접속 가능한 관 설치부를 타단부에, 각각 갖는 조인트 부재와,
    상기 조인트 부재에 이탈 불가능하게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관상 접속 부재의 나선 볼록조에 대응하는 나선 오목홈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회전 방지 부재가 설치된 캡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방지 부재는 일단부가 캡 너트에 일체로 연결된 가동부 및 이 가동부로부터 캡 너트의 단부면을 초과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관상 접속 부재에 조인트 부재의 삽입구부를 삽입하고, 캡 너트를 관상 접속 부재에 돌려넣어, 회전 방지 부재의 연장부를 관상 접속 부재의 플랜지의 걸림 돌기부에 걸리게하는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의 접속 구조.
  2. 일단부의 외주면에 나선 볼록조와 결합 오목부를 갖는 플랜지가 형성된 합성 수지제의 관상 접속 부재와,
    상기 관상 접속 부재에 삽입 가능한 삽입구부를 일단부에, 접속관을 접속 가능한 관 설치부를 타단부에, 각각 갖는 조인트 부재와,
    상기 조인트 부재에 이탈 불가능하게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관상 접속 부재의 나선 볼록조에 대응하는 나선 오목홈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회전 방지 부재가 설치된 캡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방지 부재는 일단부가 캡 너트에 일체로 연결된 가동부 및 이 가동부로부터 캡 너트의 단부면을 초과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관상 접속 부재의 플랜지의 결합 오목부와 결합 가능한 결합 갈고리를 갖는 연장부를 갖고,
    상기 관상 접속 부재에 조인트 부재의 삽입구부를 삽입하고, 캡 너트를 관상 접속 부재에 돌려넣어, 회전 방지 부재의 결합 갈고리를 관상 접속 부재의 플랜지의 결합 오목부에 결합시키는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의 접속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접속 부재의 나선 볼록조는 각각 약 360도에 걸쳐 형성된 2조의 나선 볼록조이고, 상기 캡 너트의 나선 오목홈은 각각 약 360도에 걸쳐 형성된 2조의 나선 오목홈인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의 접속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 너트는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조작부가 형성된 것인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의 접속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접속 부재는 플랜지가 대략 타원상으로 형성되고, 플랜지의 장축 방향으로 결합 오목부 또는 걸림 돌기부가 형성된 것인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의 접속 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부재는 가동부의 일단부가 캡 너트에 일체로 연결된 원호상 또는 아암상인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의 접속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접속 부재는 합성 수지제의 헤더를 구성하는 헤더 본체부 또는 헤더 본체부로부터 돌출된 분기 접속부인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의 접속 구조.
KR1020107013507A 2007-12-19 2008-12-18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와의 접속 구조 KR101486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27588 2007-12-19
JP2007327588A JP4589955B2 (ja) 2007-12-19 2007-12-19 管状接続部材と継手部材との接続構造
PCT/JP2008/073063 WO2009078461A1 (ja) 2007-12-19 2008-12-18 管状接続部材と継手部材との接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613A true KR20100105613A (ko) 2010-09-29
KR101486620B1 KR101486620B1 (ko) 2015-01-26

Family

ID=4079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507A KR101486620B1 (ko) 2007-12-19 2008-12-18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와의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240715B2 (ko)
EP (1) EP2224155B1 (ko)
JP (1) JP4589955B2 (ko)
KR (1) KR101486620B1 (ko)
CN (1) CN101896755B (ko)
AU (1) AU2008339410A1 (ko)
CA (1) CA2710088A1 (ko)
ES (1) ES2392477T3 (ko)
WO (1) WO20090784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780A (ko) * 2013-04-04 2014-10-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2102A (ja) * 2009-11-25 2011-06-09 Sekisui Chem Co Ltd 媒介管継手及びその施工方法
EP2339218A1 (en) * 2009-12-18 2011-06-29 Uponor Innovation AB A connection between two pipe parts
KR200467280Y1 (ko) * 2010-02-19 2013-06-04 최육남 분기용 배관
US8465268B2 (en) * 2010-09-10 2013-06-18 Phoinix Global LLC Compression clamp for a modular fluid end for a multiplex plunger pump
JP5870479B2 (ja) * 2010-11-30 2016-03-01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ITTO20110668A1 (it) * 2011-07-25 2013-01-26 Elbi Int Spa Sistema per realizzare un collegamento rapido di un tubo con un corpo ricevente, particolarmente per l'impiego in caldaie murali e simili
US20140158217A1 (en) * 2012-12-10 2014-06-12 Enviro Water Solutions, Inc. Backwash fitting
US9708865B2 (en) * 2012-12-13 2017-07-18 Vetco Gray Inc. Ratcheting anti-rotation lock for threaded connectors
US9279526B2 (en) * 2013-03-14 2016-03-08 Mcalister Technologies,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finger-tightened and ratchet-secured connections between conduits
US10060563B2 (en) * 2014-01-14 2018-08-28 The Boeing Company Tube fitting
US10359141B2 (en) * 2014-01-14 2019-07-23 The Boeing Company Tube fitting
US11262013B2 (en) 2014-01-14 2022-03-01 The Boeing Company Tube fitting
US9939095B2 (en) 2014-01-29 2018-04-10 The Boeing Company Tube fitting
US20150330541A1 (en) * 2014-05-15 2015-11-19 Ayrlett Llc Process of making a plumbing fitting, and the product thereof
US20160018037A1 (en) * 2014-07-15 2016-01-21 Colder Products Company Fluid Manifold Assembly
US9781886B1 (en) * 2014-12-19 2017-10-10 Orbit Irrigation Products, Inc. Hand-securable sprinkler fitting
CN105783389A (zh) * 2014-12-23 2016-07-20 海信容声(广东)冷柜有限公司 一种冷柜
WO2016183858A1 (zh) * 2015-05-19 2016-11-24 深圳市飞托克实业有限公司 流体分流装置
CN106224673B (zh) * 2016-08-29 2019-09-24 山东胜伟盐碱地科技有限公司 一种盐碱地用多功能集水管道
CN106402554A (zh) * 2016-11-23 2017-02-15 河南卡斯特流体科技有限公司 分水器及其生产工艺
JP6889830B2 (ja) * 2017-02-16 2021-06-18 日立金属株式会社 管継手
US10753224B2 (en) * 2017-04-27 2020-08-25 General Electric Company Variable stator vane actuator overload indicating bushing
KR101837948B1 (ko) * 2017-06-19 2018-03-13 장현실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
JP2018054127A (ja) * 2017-11-27 2018-04-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空調設備用ドレン管の接続構造
KR101934717B1 (ko) * 2018-08-08 2019-01-03 (주)다음기술단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
JP6999177B2 (ja) * 2018-11-08 2022-01-18 株式会社不二工機 弁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US11274781B1 (en) 2018-12-01 2022-03-15 Orbit Irrigation Products, Llc Irrigation line couplings and irrigation manifolds including irrigation line couplings
CA3121892A1 (en) * 2018-12-17 2020-06-25 Compart Systems Pte. Ltd. Universal tube stub plug with seal port
DE112018008219T5 (de) * 2018-12-20 2021-09-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ohrverbindungsstruktur und Klimaanlage
US10711876B1 (en) * 2019-10-28 2020-07-14 Saptfc Holding, Llc Reinforcement sealing tubes for stabilizing a housing in an automobile transmission
DE202019106813U1 (de) * 2019-12-06 2019-12-23 Vinko Rebersek Verteilermodul
JP7121084B2 (ja) * 2020-09-11 2022-08-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空調設備用ドレン管の接続構造、及び配管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433A (en) * 1916-08-22 De witt c
FR79036E (fr) * 1961-01-13 1962-10-13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dispositifs de raccords, notamment pour tuyaux
JPS59157191U (ja) * 1983-04-07 1984-10-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管継手
DE8427037U1 (ko) * 1984-09-13 1988-09-08 Aba Beul Gmbh, 5952 Attendorn, De
JPS6224091A (ja) * 1985-07-24 1987-02-02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管継手
US5362110A (en) * 1991-02-25 1994-11-08 Moeller Manufacturing Co., Inc. Fluid coupling and fastener capture device
US5215336A (en) * 1991-06-28 1993-06-01 Shur-Lok Corporation Coupling joint assembly with integral retention mechanism
US5188398A (en) * 1992-01-02 1993-02-23 General Electric Company Redundantly locked fluid coupling
TW309581B (ko) * 1994-09-15 1997-07-01 Environ Prod Inc
US5964447A (en) * 1997-04-03 1999-10-12 Emerson Electric Co. Water valve assembly having attachment mechanism which prevents a fluid conduit from becoming detached from a valve body
JP3044612B2 (ja) * 1997-09-19 2000-05-22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継手用締付部材の合成樹脂製締付規制具
US5931508A (en) * 1997-10-14 1999-08-03 Chapin Manufacturing, Inc. Fluid coupling
JP2961532B1 (ja) * 1998-03-27 1999-10-12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継手用締付部材の合成樹脂製締付規制具
JP3652496B2 (ja) * 1998-04-03 2005-05-25 リンナイ株式会社 配管接続構造
JP2001165381A (ja) 1999-12-07 2001-06-22 Komei Seisakusho:Kk 分岐ヘッダー
JP3578696B2 (ja) 2000-04-26 2004-10-20 未来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分岐管の開口筒部の栓、栓を備えた合成樹脂製分岐管、および栓の装着方法
US6692036B2 (en) * 2000-08-04 2004-02-17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Universal interlocking fitting
JP3843228B2 (ja) 2001-11-27 2006-11-08 大和製罐株式会社 缶蓋の製造装置
JP3843288B2 (ja) 2002-04-19 2006-11-08 井上スダレ株式会社 管継手
US6905142B2 (en) * 2002-09-25 2005-06-14 Huck Patents, Inc. Hydraulic coupling
FR2857080B1 (fr) * 2003-07-01 2007-04-13 J P B Systeme Dispositif de verrouillage et raccord de canalisation ainsi equipe
JP4365679B2 (ja) 2003-12-25 2009-11-18 株式会社タブチ スプリンクラー配管構造
JP4428625B2 (ja) 2003-12-26 2010-03-10 株式会社オンダ製作所 樹脂製ヘッダーの接続部における補強構造
DE102004019237A1 (de) * 2004-04-16 2005-11-03 Ciret Holdings Ag Gewindeverbindung, insbesondere zur Befestigung eines Werkzeugs oder eines Werkzeugadapters, an einer Verlängerungseinrichtung
EP1787047A4 (en) * 2004-09-10 2008-11-26 Sps Technologies FLUID CONNECTION ASSEMBLY WITH INTEGRAL RETENTION MECHANISM
US7758082B2 (en) * 2006-12-05 2010-07-20 Nxstage Medical, Inc. Fluid line connector safet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780A (ko) * 2013-04-04 2014-10-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339410A1 (en) 2009-06-25
CN101896755A (zh) 2010-11-24
JP2009150450A (ja) 2009-07-09
US8240715B2 (en) 2012-08-14
KR101486620B1 (ko) 2015-01-26
EP2224155B1 (en) 2012-08-08
CN101896755B (zh) 2012-10-10
ES2392477T3 (es) 2012-12-11
WO2009078461A1 (ja) 2009-06-25
EP2224155A4 (en) 2011-04-27
CA2710088A1 (en) 2009-06-25
EP2224155A1 (en) 2010-09-01
JP4589955B2 (ja) 2010-12-01
US20100270795A1 (en)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5613A (ko) 관상 접속 부재와 조인트 부재와의 접속 구조
CA2798194C (en) Quick-connect tube coupling
EP3011213B1 (en) Method for installing a gasket
EP2282101B1 (en) Male push lock pipe connection system
US20120031515A1 (en) Shutoff Valves for Fluid Conduit Connectors
US9593787B2 (en) Secured in place gasket for sealing plastic pipelines,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installation
WO2009024787A1 (en) Push-fit pipe fitting system
CN101228383A (zh) 快速连接器
GB2457149A (en) A crown seal for sealing between the body of a female hydraulic coupling member
EP1579142B1 (en) Coupling assembly with profiled ramp
EP3194829A1 (en) Tube connector
JP5486895B2 (ja) 管継手
JP4733685B2 (ja) 管状接続部材と継手部材との接続構造
EP3642568B1 (en) Quick connect sensor assembly
JP5421606B2 (ja) 管継手及び管継手の接続解除方法
EP1859190B1 (en) Quick connect coupling with disconnect lock
JP5436157B2 (ja) 管継手
JP5227852B2 (ja) 継手
JP2010156426A (ja) レリースワイヤ
JP2004100720A (ja) 管継手
JP2000046266A (ja) 離脱防止管継手
JP2011241910A (ja) 管継手
JP2000146043A (ja) 管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