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717B1 -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717B1
KR101934717B1 KR1020180092426A KR20180092426A KR101934717B1 KR 101934717 B1 KR101934717 B1 KR 101934717B1 KR 1020180092426 A KR1020180092426 A KR 1020180092426A KR 20180092426 A KR20180092426 A KR 20180092426A KR 101934717 B1 KR101934717 B1 KR 101934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addle
watertight
replacement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모
이흥수
Original Assignee
(주)다음기술단
우리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음기술단, 우리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다음기술단
Priority to KR1020180092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inflat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 F16L55/124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radially into the pipe or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로상에 설치된 교체대상밸브를 신규밸브로 교체함에 있어서, 교체대상밸브의 관로 전단에 새들밸브를 설치하고, 이러한 새들밸브 내부를 관통하여 관로 상에 직립하여 밸브교체장치를 설치하고, 밸브교체장치의 수밀부가 팽창하면서 관로 내부를 기밀시킴수 있음과 동시에, 새들밸브는 해체하지 않고 추후 다른 밸브 또는 신규밸브의 교체나 수리에 재사용되도록 하는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Replacement construction method of Valve replacement device using saddle valve}
본 발명은 관로상의 밸브를 교체시, 관로에 새들밸브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밸브교체장치를 삽입하여 관로 내부를 기밀시켜, 교체대상밸브를 신규밸브로 손쉽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순물에 의하여 밸브가 완전히 잠기지 않거나, 유량계가 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필연적으로 단수를 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수시키지 않고 밸브등을 교체하는 일명 부단수 밸브 교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부단수 밸브 교체 장치는 바이패스(By-Pass)관을 별도로 두어 상기 바이패스관으로 유체가 흐르게 한 후, 밸브나 유량계를 분해하여 청소를 하거나 수리를 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바이패스관을 구비한 부단수 밸브 교체 장치는 설치 공간이 증가되고 작업이 불편하며 바이패스(By-Pass)로 인해 3개의 밸브가 필요하여 유지 관리 비용이 증가되며, 또한 맨홀의 규격도 커져서 큰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어떤 유체가 흐르는 곳에 그 단속을 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되고 그 밸브의 사용 빈도가 매우 낮은 경우가 많은데, 실제 사용을 거의 하지 않는 밸브는 잘 굳어지고 슬러지가 끼이거나 하여 제대로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 밸브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전체 단수를 한 후에 밸브를 교체하여야 한다
또한, 단수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이패스 라인을 별도로 두게 한다면 그 바이패스 라인에도 밸브를 설치하여야 하는 모순에 빠지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97366호(2009.05.06.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체대상밸브의 유로 전단에 별도의 새들밸브를 설치하고, 이러한 새들밸브를 통해 관로 내부에 밸브교체장치를 직립삽입하여 장착한 것이며, 밸브교체장치는 하단부가 물 또는 공기의 주입으로 팽창하면서 관로 내부를 기밀시킴에 따라, 후단에 위치된 교체대상밸브를 신규밸브로 손쉽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시 사용된 새들밸브는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둠으로써, 추후에 신규밸브 또는 주변 다른밸브의 교체나 수리시에 재사용이 가능토록 한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교체대상밸브(V)가 설치된 관로(10)에서, 교체대상밸브(V)의 전단측에 새들밸브(20)가 장착된 후, 새들밸브(20) 내부가 개방되는 단계(S100); 상기 새들밸브(20) 내부를 통해, 수직으로 천공홀(11)이 관로(10)에 형성되는 단계(S200); 상기 새들밸브(20) 상단에서부터 수직으로 천공홀(11)이 관통되도록 밸브교체장치(100)가 결합되되, 상기 밸브교체장치(100)의 하단부가 관로(10)상에 위치되도록 결합된 후, 관로(10)상에서 하단부가 팽창되어 관로(10) 내부가 기밀되는 단계(S300); 상기 새들밸브(20) 후단에 위치된 교체대상밸브가 신규밸브로 교체되는 단계(S400); 상기 밸브교체장치(100)가 새들밸브(20)에서 제거된 후, 새들밸브(20)가 밀봉되는 단계(S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새들밸브를 함께 이용하여 관로의 내부를 기밀 및 밀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의 직경에 관계없이, 단일의 장치만으로도 모든 관로 직경에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용이하여,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방법이 간단하여 사용이 손쉬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밀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 3은 본 발명에 따른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장치의 분해 및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밀부의 제 1, 2, 3헤드부 상호간 결합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장치의 사용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순서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교체대상밸브(V)가 설치된 관로(10)에서, 교체대상밸브(V)의 전단측에 새들밸브(20)가 장착된 후, 새들밸브(20) 내부가 개방되는 단계(S100); 상기 새들밸브(20) 내부를 통해, 수직으로 천공홀(11)이 관로(10)에 형성되는 단계(S200); 상기 새들밸브(20) 상단에서부터 수직으로 천공홀(11)이 관통되도록 밸브교체장치(100)가 결합되되, 상기 밸브교체장치(100)의 하단부가 관로(10)상에 위치되도록 결합된 후, 관로(10)상에서 하단부가 팽창되어 관로(10) 내부가 기밀되는 단계(S300); 상기 새들밸브(20) 후단에 위치된 교체대상밸브(V)가 신규밸브로 교체되는 단계(S400); 상기 밸브교체장치(100)가 새들밸브(20)에서 제거된 후, 새들밸브(20)가 밀봉되는 단계(S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300단계는 상기 새들밸브(20)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21)에, 밸브교체장치(100)의 하단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단계(S310); 상기 밸브교체장치(100) 내부의 수밀부(40)가 수직으로 하강되어, 수밀부(40)의 최하단이 관로(10) 저면에 위치되는 단계(S320); 상기 수밀부(40)에 물 또는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써, 관로(10) 내부가 수밀되는 단계(S3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500단계에서 상기 새들밸브(20)는 밸브교체장치(100) 제거시 관로(10)에서 함께 제거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신규밸브의 교체 또는 보수작업에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교체장치(100)는 상기 새들밸브(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연통체결되어, 관로(10)와 직교를 이루는 하우징(30); 상기 하우징(30) 내에 직립으로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천공홀(11)을 통해 관로(10)의 내부 바닥까지 수직 하강가능토록 하되,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 또는 물에 의해 상기 관로(10) 내에서 팽창되어 관로(10)를 기밀시키는 수밀부(40); 상기 하우징(30)의 상부에서 수밀부(4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수밀부(40)를 승,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관로(10)의 직경에 맞춰 수밀부(40)가 관로(10) 내 바닥까지 하강될 수 있도록, 수밀부(40)의 승, 하강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밀부(40)는 공기 또는 물이 공급되는 공급라인(H); 상기 공급라인(H)과 연통되는 주입공간(53)이 내부에 형성되며, 최하단부 및 외주연에 공기 또는 물이 토출되는 토출홀(54)이 형성되는 주입체(50); 상기 주입체(50)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팽창공간(63)을 형성하며, 주입체(5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 또는 물에 의해 팽창공간(63)이 채워지며 외부로 팽창되는 팽창체(60); 상기 팽창체(60)가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홀(73)이 형성되며, 팽창체(60)의 상단 외주연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팽창체(60)의 하단부가 팽창될 수 있도록 하는 외부체(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입체(50)와 외부체(70)는 상단에 각각 제 1, 3헤드부(51, 71)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 1, 3헤드부(51, 71)의 외주연에는 하우징(30)의 내주연에 접촉되면서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재(55)(74)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제 1헤드부(51)의 저면과, 제 3헤드부(71)의 상면에는 제 1, 2함몰부(56, 75)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팽창체(6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 2헤드부(61)의 상, 하단이 대응되며 끼워져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80)는 상기 하우징(30)의 상단에 대응설치되며, 중단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끼움공(83)이 형성된 지지체(84); 상기 끼움공(83)에 나사체결되도록 외주연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84)에 의해 직립으로 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봉(85); 상기 회전봉(85)의 하단에 중단이 체결되며, 양단은 수밀부(40)의 최상면 중앙에 대응체결되어, 회전봉(85)의 회전에 의해 수밀부(40)가 승, 하강 되도록 하는 체결부(8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은 하기와 같다.
1. 관로(10)에서 교체대상밸브(V)가 설치된 위치의 전단측에 새들밸브(20)가 장착된 후, 새들밸브(20) 내부가 개방되는 단계(S100) 및 상기 새들밸브(20) 내부를 통해, 수직으로 천공홀(11)이 관로(10)에 형성되는 단계(S200) :
우선적으로 내부에 상, 하수가 흐르는 관로(10) 상에는 각종 밸브가 설치되며, 이러한 밸브 중 교체가 필요한 밸브를 교체대상밸브(V)라 명명한다. 이에, 관로(10)상의 교체대상밸브(V)를 교체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교체대상밸브(V)가 설치된 관로(10)의 전단에, 사전에 새들밸브(20)를 설치한 후, 이러한 새들밸브(20)를 설치하면서 관로(10)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천공한 천공홀(11)을 통해 관로(10) 내부로 본 발명의 밸브교체장치(100)를 수직삽입하는 것이다.
전술된 새들밸브(20)는 교체대상밸브(V)의 교체작업이 완료된 후, 관로(10)상에서 제거하지 않고 밀폐시킨 후 그대로 두어, 후추에 주변 다른 밸브 또는 교체된 밸브의 수리나 재교체시에 재사용이 될 수 있도록 한다.
2. 상기 새들밸브(20) 상단에서부터 수직으로 천공홀(11)이 관통되도록 밸브교체장치(100)가 결합되되, 상기 밸브교체장치(100)의 하단부가 관로(10)상에 위치되도록 결합된 후, 관로(10)상에서 하단부가 팽창되어 관로(10) 내부가 기밀되는 단계(S300): 상기 새들밸브(20)를 설치하면서 새들밸브(20)와 연통되도록 천공한 관로(10)상의 천공홀(11)에, 상기 밸브교체장치(100)를 수직으로 직립체결한 후, 내부에서 승, 하강 작동되는 수밀부(40)를 관로(10)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이다. 물론, 상기 밸브교체장치(100)의 구조 및 관로(10)의 수밀을 위해 내부에서 승, 하강되는 수밀부(40)의 구성은 하기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수밀부(40)는 하단부가 고무 등의 재질로 되어 있어, 내부로 공급된 공기 또는 물에 의해 관로(10) 내에서 팽창되어, 관로(10) 내부가 기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S300단계는 상기 새들밸브(20)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21)에, 밸브교체장치(100)의 하단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단계(S310)와, 상기 밸브교체장치(100) 내부의 수밀부(40)가 수직으로 하강되어, 수밀부(40)의 최하단이 관로(10) 저면에 위치되는 단계(S320)와, 상기 수밀부(40)에 물 또는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써, 관로(10) 내부가 수밀되는 단계(S330)로 이루어진다.
3. 상기 새들밸브(20) 후단에 위치된 교체대상밸브(V)가 신규밸브로 교체되는 단계(S400): 전술된 S300단계를 통해 교체대상밸브(V)의 전단측 관로(10) 내부가 기밀완료되면, 교체대상밸브(V)를 신규밸브로 교체하는 단계이다.
4. 상기 밸브교체장치(100)가 새들밸브(20)에서 제거된 후, 새들밸브(20)가 밀봉되는 단계(S500): 교체대상밸브(V)를 신규밸브로 교체한 이후에는 관로(10) 내 기밀을 위해 삽입했던, 밸브교체장치(100)를 탈거하는 단계이다.
이에, 관로(10) 내부로 삽입되었던 수밀부(40)를 우선적으로 승강시켜 관로(10) 내부에 위치되지 않도록 하고, 새들밸브(20) 내부를 밀폐한 후, 새들밸브(20)의 상단 개구부(21)에 연결되어 있던 장치 전체를 상부로 탈거시키는 것이다.
이후, 새들밸브(20)에서 교체대상밸브(V)가 체결되었던 개구부(21)는 별도의 커버 등으로 밀봉한 후, 밸브와 관로(10) 주변을 매립하면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에 사용된 밸브교체장치(10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교체장치(100)는 하우징(30), 수밀부(40), 조절부(8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0)은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장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 하단이 개구되어 있는 원통형 형상이다.
또한, 이러한 하우징(30)의 하단의 내주연에는 암나사산(S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전술된 새들밸브(20)의 상단에서 새들밸브(20)에 연통연결될 시, 새들밸브(20)의 상단 개구부(21)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산(S1)과 대응되며 나사체결되어, 하우징(30)이 새들밸브(20)에 착탈 및 확실한 고정이 가능토록 한다.
상기 수밀부(40)는 전술된 하우징(30) 내부에서 수직의 직립된 형태로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새들밸브(20)가 설치된 관로(10)에 사전천공한 천공홀(11)을 통해, 관로(10)의 내부 바닥까지 수직으로 하강가능토록 하되,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 또는 물에 의해 상기 관로(10) 내에서 팽창되어 관로(10)를 기밀 및 밀폐시키는 작동을 하여, 새들밸브(20)가 설치된 관로(10) 후단의 교체대상밸브(V)의 교체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수밀부(40)는 공급라인(H), 주입체(50), 팽창체(60), 외부체(7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라인(H)은 공기 또는 물이 공급되는 호스이다.
상기 주입체(50)는 상단에 원형단면의 소정두께를 가지는 제 1헤드부(51)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수직으로 주입공간(53)을 형성하는 제 1관체부(5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공급라인(H)은 이러한 주입체(50)의 제 1헤드부(51) 상부에 일단이 연통연결되고, 이는 다시 제 1관체부(52)까지 연통되어, 공급라인(H)에서 주입되는 물 또는 공기가 제 1관체부(52) 내를 수직으로 주입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주입체(50)의 최하단부 및 외주연에는 이렇게 주입된 물이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홀(54)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팽창체(60)는 상단에 원형단면이며 소정두께를 가지는 제 2헤드부(61)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주입체(50)가 내부에 삽입되는 팽창공간(63)이 내부에 형성된 제 2관체부(6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팽창체(60)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주입체(50)의 제 1관체부(52)로부터 주입되는 공기 또는 물에 의해 팽창공간(63)이 채워지면서 외부로 팽창되어져, 관로(10) 내부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부체(70)는 상다에 원형단면이며 소정두께를 가지는 제 3헤드부(71)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내부가 비어 하단까지 관통된 관통홀(73)이 형성되어 있는 제 3관체부(7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외부체(70)는 팽창체(60)의 상단 외주연을 감싸도록(팽창체(60) 길이의 절반정도를 감싸는 형태)함으로써, 팽창체(60)의 하단부가 팽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주입체(50)는 팽창체(60) 내부에 삽입되고, 그러한 팽창체(60)는 다시 외부체(70)에 끼워지는 3중구조이며, 주입체(50)로부터 주입되는 공기 또는 물에 의해 팽창체(60)가 부풀어 올라 팽창되면서 관로(10)를 밀폐하되, 팽창되는 부위는 외부체(70)로 둘러싸여 있지 않은 팽창체(60) 하단부 일정길이만큼이다.
또한, 주입체(50)와 외부체(70)는 상기 제 1, 3헤드부(51, 71)의 외주연에 하우징(30)의 내주연에 접촉되면서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재(오링(O-ring) 등)(55)(74)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제 1헤드부(51)의 저면과, 제 3헤드부(71)의 상면에는 제 1, 2함몰부(56, 75)가 각각 일정깊이 형성되어, 상기 팽창체(6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 2헤드부(61)의 상, 하단이 대응되며 끼워져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물론, 주입체(50), 팽창체(60), 외부체(70)의 제 1, 2, 3헤드부(51, 61, 71)는 상호간 결합된 이후에 별도의 고정수단(볼트, 너트) 등에 의해 상호간 확실하게 고정체결되어진다.
상기 조절부(80)는 전술된 하우징(30)의 상부에서 수밀부(4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수밀부(40)를 승, 하강시킴으로서, 상기 관로(10)의 직경에 맞춰 수밀부(40)가 관로(10) 내 바닥까지 하강될 수 있도록, 수밀부(4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절부(80)는 지지체(84), 회전봉(85), 체결부(86)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84)는 하우징(30)의 상단에 이격형성되는 것으로서, 수직의 다수 지지봉(81)과, 다수 지지봉(81)의 단부를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연결하는 지지판(82)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지지판(82) 중단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끼움공(83)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봉(85)은 전술된 끼움공(83)에 나사체결되도록 외주연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84)의 끼움공(83)에 끼워진 채로 직립으로 하단부가 수밀부(40) 상면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이러한 회전봉(85)이 외력(사용자의 힘)에 의해 회전되면서 승, 하강함에 따라, 회전봉(85) 하단과 연결된 수밀부(40)(더욱 정확히는 주입체(50))도 동시에 승, 하강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이렇게 회전되며 승, 하강되는 회전봉(85)은 지지체(84)의 끼움공(83)에 끼워져 위치가 하우징(30)의 중앙에서 승, 하강되도록 지지되는 것이다.
물론, 회전봉(85)의 최상단에는 회전을 용이토록 하기 위한 손잡이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이다.
상기 체결부(86)는 회전봉(85)의 하단에 일체로 체결되는 것으로, '┎┑' 단면 형태를 가진다. 이에, 회전봉(85) 하단이 상면 중앙을 관통한 후, 별도의 너트 등에 의해 체결부(86)에 고정되고, 체결부(86)의 양단은 수밀부(40)의 최상면 중앙에 대응체결된다. 즉, 봉형태의 회전봉(85)의 회전력으로 수밀부(40)를 회전시키기보다, 수밀부(40)의 상면에 더욱 넓은 면에 밀착되는 체결부(86)를 더 구비하여 체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수밀부(40)의 회전이 더욱 용이해지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 관로(10)의 전단측에, 새들밸브(20)를 설치하고, 별도의 천공장치를 통해 새들밸브(20)가 설치된 관로(10)에 천공홀(11)을 천공한다.
이후, 새들밸브(20)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21)에 하우징(30)의 하단을 대응시켜 직립으로 체결고정한 다음, 조절부(80)를 회전시켜 하강시켜 조절부(80)의 하단에 결합된 수밀부(40)도 회전되면서 하우징(30) 내부에 하강되어, 새들밸브(20)의 내부를 직립으로 관통하면서 관로(10) 내부까지 투입된다. 이때, 관로(10) 내 투입은 수밀부(40)의 구성 중 팽창체(60)의 저면이 관로(10) 바닥근처 또는 바닥에 접촉되는 정도까지 하강시킨다.
본 발명은 이러한 조절부(80)를 통한 수밀부(40)의 승, 하강 작동에 따라, 관로(10)의 직경에 상관없이, 수밀부(40)를 관로(10)의 직경에 맞게 다양한 관로(10)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후, 주입체(50) 내부로 공기 또는 물이 주입되면, 주입된 공기 또는 물은 팽창채로 분출되면서 팽창체(60)가 팽창되도록 하고, 이렇게 팽창된 팽창체(60)는 관로(10) 내에서 부풀어 올라 관로(10)를 막음으로써, 본 발명의 밸브교체장치(100) 후단에 설치된 교체대상밸브(V)의 밸브교체 공정이 진행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관로 11: 천공홀
20: 새들밸브 21: 개구부
30: 하우징 40: 수밀부
50: 주입체 51: 제 1헤드부
52: 제 1관체부 53: 주입공간
54: 토출홀 55, 74: 기밀부재
56: 제 1함몰부 60: 팽창체
61: 제 2헤드부 62: 제 2관체부
63: 팽창공간 70: 외부체
71: 제 3헤드부 72: 제 3관체부
73: 관통홀 80: 조절부
81: 지지봉 82: 지지판
83: 끼움공 84: 지지체
85: 회전봉 100: 밸브교체장치
H: 공급라인 S2: 암나사산
V: 교체대상밸브

Claims (7)

  1. 교체대상밸브(V)가 설치된 관로(10)에서, 교체대상밸브(V)의 전단측에 새들밸브(20)가 장착된 후, 새들밸브(20) 내부가 개방되는 단계(S100);
    상기 새들밸브(20) 내부를 통해, 수직으로 천공홀(11)이 관로(10)에 형성되는 단계(S200);
    상기 새들밸브(20) 상단에서부터 수직으로 천공홀(11)이 관통되도록 밸브교체장치(100)가 결합되되, 상기 밸브교체장치(100)의 하단부가 관로(10)상에 위치되도록 결합된 후, 관로(10)상에서 하단부가 팽창되어 관로(10) 내부가 기밀되는 단계(S300);
    상기 새들밸브(20) 후단에 위치된 교체대상밸브(V)가 신규밸브로 교체되는 단계(S400);
    상기 밸브교체장치(100)가 새들밸브(20)에서 제거된 후, 새들밸브(20)가 밀봉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교체장치(100)는
    상기 새들밸브(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연통체결되어, 관로(10)와 직교를 이루는 하우징(30);
    상기 하우징(30) 내에 직립으로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천공홀(11)을 통해 관로(10)의 내부 바닥까지 수직 하강가능토록 하되,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 또는 물에 의해 상기 관로(10) 내에서 팽창되어 관로(10)를 기밀시키는 수밀부(40);
    상기 하우징(30)의 상부에서 수밀부(4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수밀부(40)를 승,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관로(10)의 직경에 맞춰 수밀부(40)가 관로(10) 내 바닥까지 하강될 수 있도록, 수밀부(40)의 승, 하강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밀부(40)는 공기 또는 물이 공급되는 공급라인(H)과, 상기 공급라인(H)과 연통되는 주입공간(53)이 내부에 형성되며, 최하단부 및 외주연에 공기 또는 물이 토출되는 토출홀(54)이 형성되는 주입체(50)와, 상기 주입체(50)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팽창공간(63)을 형성하며, 주입체(5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 또는 물에 의해 팽창공간(63)이 채워지며 외부로 팽창되는 팽창체(60)와, 상기 팽창체(60)가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홀(73)이 형성되며, 팽창체(60)의 상단 외주연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팽창체(60)의 하단부가 팽창될 수 있도록 하는 외부체(70)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입체(50)와 외부체(70)는 상단에 각각 제 1, 3헤드부(51, 71)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 1, 3헤드부(51, 71)의 외주연에는 하우징(30)의 내주연에 접촉되면서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재(55)(74)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제 1헤드부(51)의 저면과, 제 3헤드부(71)의 상면에는 제 1, 2함몰부(56, 75)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팽창체(6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 2헤드부(61)의 상, 하단이 대응되며 끼워져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300단계는
    상기 새들밸브(20)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21)에, 밸브교체장치(100)의 하단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단계(S310);
    상기 밸브교체장치(100) 내부의 수밀부(40)가 수직으로 하강되어, 수밀부(40)의 최하단이 관로(10) 저면에 위치되는 단계(S320);
    상기 수밀부(40)에 물 또는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써, 관로(10) 내부가 수밀되는 단계(S3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500단계에서
    상기 새들밸브(20)는 밸브교체장치(100) 제거시 관로(10)에서 함께 제거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신규밸브의 교체 또는 보수작업에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80)는
    상기 하우징(30)의 상단에 대응설치되며, 중단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끼움공(83)이 형성된 지지체(84);
    상기 끼움공(83)에 나사체결되도록 외주연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84)에 의해 직립으로 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봉(85);
    상기 회전봉(85)의 하단에 중단이 체결되며, 양단은 수밀부(40)의 최상면 중앙에 대응체결되어, 회전봉(85)의 회전에 의해 수밀부(40)가 승, 하강 되도록 하는 체결부(8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92426A 2018-08-08 2018-08-08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 KR101934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426A KR101934717B1 (ko) 2018-08-08 2018-08-08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426A KR101934717B1 (ko) 2018-08-08 2018-08-08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717B1 true KR101934717B1 (ko) 2019-01-03

Family

ID=6502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426A KR101934717B1 (ko) 2018-08-08 2018-08-08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7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886Y1 (ko) * 2000-02-25 2000-08-16 정원식 관석 제거기
KR100881060B1 (ko) * 2008-08-12 2009-01-30 오강원 절편(切片) 및 절삭칩 회수용 천공기
JP4589955B2 (ja) * 2007-12-19 2010-12-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状接続部材と継手部材との接続構造
KR101262540B1 (ko) * 2011-09-05 2013-05-08 이대우 농업용 용수관의 분기관 결합부재
KR101430423B1 (ko) * 2013-04-19 2014-09-23 주식회사 신진수도 새들붙이 분수전을 이용한 부단수 풍선지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886Y1 (ko) * 2000-02-25 2000-08-16 정원식 관석 제거기
JP4589955B2 (ja) * 2007-12-19 2010-12-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状接続部材と継手部材との接続構造
KR100881060B1 (ko) * 2008-08-12 2009-01-30 오강원 절편(切片) 및 절삭칩 회수용 천공기
KR101262540B1 (ko) * 2011-09-05 2013-05-08 이대우 농업용 용수관의 분기관 결합부재
KR101430423B1 (ko) * 2013-04-19 2014-09-23 주식회사 신진수도 새들붙이 분수전을 이용한 부단수 풍선지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9141B2 (en) Linestops, nozzles and completion plugs for installation in pressurized pipes
US8104517B2 (en) Resilient plu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20120192962A1 (en) Sluice Valve for Operations
US20030028957A1 (en) Machine for removing clogged items in pipe and cleaning the pipe, method for cleaning pipe and member for prohibiting leakage of compressed air
CN103982745A (zh) 一种高可靠性的临时管道密封系统
AU2016202482B2 (en) Pneumatic pressure relief test plug
CA2692954A1 (en) Mechanical clean-out test plug
KR20150138239A (ko) 액체의 가스화를 위한 폭기 요소
KR101934717B1 (ko)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
US6361015B1 (en) Variable flow-through control plug
GB2443012A (en) Method of isolating a hydrant and accessing a water main
KR101980850B1 (ko)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장치
KR101430423B1 (ko) 새들붙이 분수전을 이용한 부단수 풍선지수장치
JP5295551B2 (ja) 管接続部材の脱着方法
US9234334B2 (en) Pressure tank
WO2021121034A1 (zh) 带有安装结构的橡胶套筒及安装该套筒的管道
JP2005265087A (ja) 分岐口に取付けた副弁の交換方法
KR200344253Y1 (ko) 관로용 수질측정장치
CA2685803C (en) Pressure tank
CN110985692A (zh) 一种便于安装维修的排污阀
KR101729735B1 (ko) 차집관거 물돌리기 공법용 수위상승장치
JP2005121057A (ja) バルーン式管路開閉装置
JP5404191B2 (ja) 排水枡の補修方法及び補修枡
EP2685147A1 (en) Top-piece device with position indicator
CA2895114A1 (en) Line stop adapter for mechanical joint out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