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948B1 -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948B1
KR101837948B1 KR1020170077104A KR20170077104A KR101837948B1 KR 101837948 B1 KR101837948 B1 KR 101837948B1 KR 1020170077104 A KR1020170077104 A KR 1020170077104A KR 20170077104 A KR20170077104 A KR 20170077104A KR 101837948 B1 KR101837948 B1 KR 101837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and
hole
branch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8565A (ko
Inventor
장현실
최선환
Original Assignee
장현실
주식회사 오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실, 주식회사 오딘 filed Critical 장현실
Priority to KR1020170077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948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565A/ko
Priority to PCT/KR2017/012438 priority patent/WO201823600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1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wall being a pip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2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using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산업용 또는 농업용 배관의 외면 둘레로 고정되어 배관과 분기관을 고정하는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들 조립체(10)는 기다란 띠 형태로 형성되고 관통 구멍(112)을 가지는 몸체부(110), 몸체부(110)의 관통 구멍(112)과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벤딩부(120), 및 몸체부(110)의 양단에 형성되고 각각 중앙에 체결 구멍(132)을 가지는 체결부(130)로 이루어진 밴드(100)와; 밴드(100)의 몸체부(110)에 형성된 2개의 벤딩부(120) 사이로 밴드(100)의 안쪽으로 접하도록 형성되며 중앙에 몸체부(110)의 관통 구멍(112)에 상응하는 관통 구멍(210)을 가지는 보강판(200)과; 그리고 분기관(30)과 접속하도록 보강판(200)의 관통 구멍(210)을 통해서 밴드(100)의 몸체부(110)의 관통 구멍(112)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내부에 나사산(312)이 형성된 중공형 분기관 접속부(310), 분기관 접속부(310)의 하부 둘레로 형성된 플랜지(320), 및 배관(20)의 분기관 접속 구멍(22)에 연결되도록 플랜지로(320)부터 분기관 접속부(31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공형 배관 접속부(330)로 이루어진 연결 부재(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A saddle assembly for fixing a branched pipe}
본 발명은 배관의 분기관(branched pipe)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밴드 즉, 새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산업용 또는 농업용 배관에서 분기관을 고정하기 위한 새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또는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각종 배관의 분기관을 고정하기 위한 상하 분리형 타입의 가지 새들(barb saddle)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수도용 배관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방식의 분수전 새들(universal snap tap with saddle)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겨울철 도로의 제설 작업 또는 지붕의 제설 작업을 위한 자동 분사 시스템에서도 이러한 새들 조립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특허공고 10-1315020(2013년 10월 08일)에서, 염화칼슘과 물을 혼합한 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염수 자동 분사 시스템에는 다수의 분사용 분기관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염수가 공급되는 배출 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분기관에는 도로상으로 염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 노즐이 장착되어 있고, 배출 배관으로부터 이들 분사용 분기관이 각각 분기되는 지점에는 배출 배관에 분사용 분기관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상하 분리형 타입의 가지 새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상하 분리형 타입의 가지 새들(1)이 적용되는 배관(2) 및 분사용 분기관(3)과 함께 잘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배관(2)의 둘레로 상하 두 개로 분리된 가지 새들(1)이 측면의 체결구(6), 통상적으로 볼트-너트 조립에 의해서 체결되어 있으며, 상부의 가지 새들(1)을 통해서 연결구(4)를 통하여 배관(2)의 구멍(5) 내부로 분기관(3)이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방식의 가지 새들(1)은 볼트-너트, 리벳 또는 기타 체결구에 의해서 상하 부분이 체결됨으로써 원래의 배관에서 분기된 분기관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누설이 없이 각각의 분기관을 배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작용하여야 하며, 특히 유체의 공급에 소정 압력 이상의 고압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잘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산업용 또는 농업용 배관의 분기관에 사용되는 상하 분리형 타입의 가지 새들은 물 또는 기타 유체를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주조 공정에 의해서 제조되고 있다. 따라서, 상하 분리형 타입의 가지 새들의 제조에는 큰 비용이 들며, 그 중량이 무겁고 구조가 복잡하여 원래의 배관으로부터 분기관을 현장에서 설치하는 작업에는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서, 배관 공사에서 배관은 그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재질의 관을 사용하게 되는데, 주로 금속관이 사용되었으나 그 중량이 무거우므로 운반 및 설치가 어렵고 특히 산화 부식에 매우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를 감안하여 매우 큰 압력이 가하여지지 않는 한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성, 성형성, 내부식성 및 견고성이 양호한 합성수지 재질,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재질의 배관(소위, PE 배관), 특히 PE 재질의 3중벽관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상하 분리형 타입의 가지 새들의 재질은 주조에 의해서 제조된 주물이므로 그 중량이 무거워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배관에 사용될 경우에 계절의 온도 변화에 따른 배관의 신축에 대응하여 유밀성(fluid-tightness)과 견고성(firmness)을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특히 분기관 연결부의 취약함으로 인하여 배관의 휨이나 비틀림이 발생하여 빈번한 교체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다양한 대응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0896호(2003년 10월 24일)에는 하수/폐수 처리장의 산기관을 공기 공급관에 조립하기 위한 퀵 커넥트 새들이 개시되었으며,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7-0001777호(2017년 05월 23일)에는 소위 케이블 타이(cable tie)를 갖춘 배관 고정용 프리 새들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시되고 있는 여러 대응 방안들은 앞에서 열거한 종래의 상하 분리형 타입의 가지 새들에 관련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응 방안으로서 크게 만족할 만한 결과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특허공고 제10-1315020호(2013년 10월 08일)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0896호(2003년 10월 24일)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7-0001777호(2017년 05월 23일)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서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설치 후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뿐만 아니라 비용의 측면에서도 훨씬 경제성이 있는 배관의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업용 또는 농업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각종 배관의 분기관을 유밀식으로(fluid-tightly) 고정하기 위한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겨울철 도로의 제설 작업 또는 지붕의 제설 작업을 위해서 도로 또는 지붕으로 물 또는 염수와 같은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 노즐을 사용하는 자동 분사 시스템에서 배출 배관으로부터 다수의 분사용 분기관이 각각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상하 분리형 타입의 가지 새들을 대체할 수 있고 안정적이며 경제성이 향상된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관의 외면 둘레로 고정되어 배관과 분기관을 고정하는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에 있어서: 기다란 띠 형태로 형성되고 관통 구멍을 가지는 몸체부, 몸체부의 관통 구멍과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벤딩부, 및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고 각각 중앙에 체결 구멍을 가지는 체결부로 이루어진 밴드와; 밴드의 몸체부에 형성된 2개의 벤딩부 사이로 밴드의 안쪽으로 접하도록 형성되며 중앙에 몸체부의 관통 구멍에 상응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는 보강판과; 그리고 분기관과 접속하도록 보강판의 관통 구멍을 통해서 밴드의 몸체부의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형 분기관 접속부, 분기관 접속부의 하부 둘레로 형성된 플랜지, 및 배관의 분기관 접속 구멍에 연결되도록 플랜지로부터 분기관 접속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공형 배관 접속부로 이루어진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는 종래의 상하 분리형 타입의 가지 새들에 비해서 구조가 간단하고 중량이 훨씬 가벼우며, 따라서 현장에서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는 설치 후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뿐만 아니라 비용의 측면에서도 훨씬 경제성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는 겨울철 도로의 제설 작업을 위해서 또는 지붕의 제설 작업을 위해서 도로 또는 지붕으로 물 또는 염수와 같은 제설용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 노즐을 사용하는 자동 분사 시스템에서 배출 배관으로부터 다수용 분기관이 분기되는 지점에 각각 설치되는 상하 분리형 타입의 가지 새들을 대체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바람직하게, 밴드 및 보강판은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되며, 연결 부재는 폴리아세탈 수지로 제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밴드 및 보강판이 합금공구강 D11(SKD 11) 또는 고속도강(하이스)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밴드 및 보강판은 소량의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직접 레이저 가공 및 절곡 가공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으며, 대량의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컴파운드 금형(compound die) 및 벤딩 금형(bendig die)를 제작한 후에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한 간단한 제조 공정을 통해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 부재는 사출 성형을 통해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방식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가 배관으로부터 분기관이 연결되는 지점에서 배관의 분기관 접속 구멍으로 삽입되어서 연결 부재의 배관 접속부를 수용하는 배관 충전재(pipe packing)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배관 충전재는 내부에 배관 접속부를 수용하도록 관통 구멍이 형성된 중공형 몸체와; 상부가 연결 부재의 플랜지의 하부와 접하고 하부는 배관의 외면과 유밀식으로 접하도록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플랜지와; 그리고 배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배관의 내면과 유밀식으로 접하도록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배관 충전재는 섬유 유리, 가죽, 삼,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연결 부재와 마찬가지로 배관 충전재도 사출 성형을 통해서 대량으로 제조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밴드의 몸체부의 관통 구멍은 몸체부의 길이의 1/4 지점에 형성되며, 밴드의 몸체부의 길이의 1/2 지점에 추가의 관통 구멍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서 배관과 분기관의 위치에 상응하게 본 발명에 따른 새들 조립체를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밴드의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부 중에서 한쪽 단부의 체결부가 다른쪽 단부의 체결부보다 길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한쪽 단부의 체결부는 중앙에 형성된 체결 구멍 외에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체결 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배관의 지름에 상응하게 본 발명에 따른 새들 조립체의 체결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가 있으므로, 범용의 산업용 또는 농업용 각종 배관에 본 발명에 따른 새들 조립체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 후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 및 비용의 측면에서도 훨씬 경제적이므로, 산업용 또는 농업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각종 배관의 분기관을 고정하기 위한 배관 종래의 상하 분리형 타입의 가지 새들을 대체하는 효율적인 제품으로서 사용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겨울철 도로의 제설 작업 또는 지붕의 제설 작업을 위해서 도로 또는 지붕으로 물 또는 염수와 같은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 노즐을 사용하는 자동 분사 시스템에서 배출 배관으로부터 다수의 분사용 분기관이 분기되는 지점에 각각 설치되는 종래의 상하 분리형 타입의 가지 새들을 대체하기에 매우 적합하고 안정적이며 경제적인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배관과 분기관의 연결에 적용된 종래 기술의 상하 분리형 타입의 가지 새들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새들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새들 조립체의 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새들 조립체의 밴드가 휘어지도록 구부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새들 조립체의 연결 부재가 중공형 배관 충전재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새들 조립체가 분기관을 연결하기 위해서 배관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새들 조립체가 배관에 설치되어 분기관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새들 조립체에 사용되는 밴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새들 조립체에 사용되는 밴드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새들 조립체(10)는, 배관(20)과 분기관(30)이 결합된 상태를 사시도 및 단면도로 나타낸 도 6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20)의 바깥쪽 둘레로 고정되어서 배관(20)과 배관(20)의 분기관 접속 구멍(22)을 통해서 삽입되는 분기관(30)을 안정적으로 유밀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10)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기다란 띠 형상으로 형상된 밴드(100)와, 새들 조립체(10)의 사용을 위해서 밴드(100)가 도 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배관(20)의 외면을 따라서 휘어지도록 구부려질 때 이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200)과, 그리고 배관(20)과 분기관(30)을 유밀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의 연결 부재(300)를 포함하고 있다.
새들 조립체(10)의 밴드(100)는 관통 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는 기다란 띠 형상의 몸체부(110)와, 이러한 몸체부(100)에 형성된 관통 구멍(112)의 좌우 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벤딩부(120)와, 그리고 몸체부(1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 각각 체결 구멍(132)을 가지는 두 개의 체결부(130)로 이루어져 있다.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밴드(100)의 몸체부(110)에 형성된 관통 구멍(112) 안으로 연결 부재(300)가 삽입된다. 따라서, 관통 구멍(112)은 연결 부재(300)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며, 새들 조립체(10)의 안정적인 유밀식 연결을 방해하지 않도록 최소의 공차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밴드(100)의 벤딩부(120)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12)을 중심으로 밴드(100)가 배관(20)의 외면을 따라서 휘어지도록 구부려질 때 관통 구멍(112) 안으로 삽입되는 연결 부재(300)가 안정적으로 유밀식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밴드(100)에 의해서 고정되는 배관(20)의 외면에 무리한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관통 구멍(112)과 벤딩부(120) 사이의 거리는 밴드(100)의 휘어짐을 감안하여 적절한 소정의 크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 부재(130)의 체결 구멍(132)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방식의 체결구, 예를 들어 볼트-너트, 리벳 또는 기타 다양한 방식의 체결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밴드(100)의 안쪽으로 결합되는 보강판(200)은 밴드(100)의 몸체부(110)에 형성된 관통 구멍(112)에 상응하는 관통 구멍(210)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대략 장방형 형상이다. 그러나, 보강판(200)이 정방형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새들 조립체(10)가 적용되는 배관(20)의 크기나 재질 등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새들 조립체(10)의 밴드(100)가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배관(20)의 외면을 따라서 휘어지도록 구부려질 때 보강판(200)의 관통 구멍(210) 및 몸체부(110)의 관통 구멍(112)을 통해서 연결 부재(300)가 삽입된 후에 밴드(100)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부(130)의 체결 구멍(132)을 적절한 체결구로 조여줌으로써 연결 부재(300)가 배관(20)의 외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밴드(100)에 의해서 고정되는 배관(20)의 외면에 무리한 손상이 가해지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밴드(100)의 양쪽 벤딩부(120) 및 이들 벤딩부(120)의 사이에서 밴드(100)의 안쪽으로 결합하는 보강판(200)의 구조는 서로 적절하게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되어야만 한다.
밴드(100) 및 보강판(200)은 바람직하게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되는데, 소량의 부품으로 제공되어야 할 경우에는 스테인리스 강판을 적절한 크기로 레이저 가공에 의한 절단 및 프레스 작업을 수행하여 밴드(100) 및 보강판(200)을 형성한 후에 절곡 가공에 의해서 밴드(100)의 벤딩부(120)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면에, 대량 생산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컴파운드 금형 및 벤딩 금형을 제작하여 각각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이들 부품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 밴드(100) 및 보강판(200)이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합금공구강 D11(SKD 11), 고속도강(하이스), 또는 임의의 적절한 공구강이나 합금 공구강으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보강판(200)은 밴드(100)의 안쪽으로, 즉 배관(20)과 접하는 밴드(100)의 내면으로 용접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용접 연결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세부 사항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새들 조립체(10)의 연결 부재(300)는 배관(20)과 배관(20)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30)을 서로 연결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분기관(30)을 수용하는 상부의 분기관 접속부(310)와, 이러한 분기관 접속부(320)의 하부 둘레로 형성된 플랜지(320)와, 그리고 배관(20)으로 연결되는 하부의 배관 접속부(3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의 분기관 접속부(310)의 내부에는 분기관(30)을 수용하도록 내부에 나사산(31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나사산(312)을 통한 분기관(30)의 연결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배관-분기관의 연결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분기관 접속부(31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판(200)의 관통 구멍(210) 및 밴드(100)의 몸체부(110)에 형성된 관통 구멍(112)을 통과하여 돌출된 형태로 내부의 나사산(312) 안으로 분기관(30)의 연결 부분을 수용하는 구조로 제공된다. 따라서, 분기관 접속부(310)의 외경은 이들 관통 구멍(210 및 112) 안으로 수용되어 유밀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적절한 허용 공차를 가지는 크기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기관 접속부(310)의 하부 둘레로 형성된 플랜지(320)의 상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 조립체(10)의 사용을 위해서 밴드(100)가 배관(20)의 외면을 따라서 휘어지도록 구부려질 때 보강판(200)의 하면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와 동시에, 연결 부재(300)의 플랜지(320)의 하부는 밴드(100)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부(130)가 각각의 체결 구멍(132)을 통해서 체결구에 의해 체결될 때 직접적으로 배관(20)의 외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이후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랜지(320)로부터 분기관 접속부(31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공형 배관 접속부(330)는 배관(20)의 분기관 접속 구멍(22) 안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 배관(20)의 접속 구멍(22)과 직접 접촉하는 중공형 배관 충전재(400)의 안으로 유밀식으로 삽입된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0)의 상부의 분기관 접속부(310)는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312)을 통해서 분기관(30)과 유밀식으로 접촉하고, 연결 부재(300)의 플랜지(320)는 상하로 각각 보강판(200)의 하면 및 배관(20)의 외면과 유밀식으로 접촉하여야 하며, 연결 부재(300)의 하부의 배관 접속부(330)는 유밀식으로 중공형 배관 충전재(400)를 관통하여 배관(20)의 내부로 삽입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연결 부재(300)는 유밀식 연결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내마모성, 내피로성, 강인성, 및 열가소성을 갖춘,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설명한 밴드(100) 및 보강판(200)과 마찬가지로, 연결 부재(300)는 소량의 부품으로 제공되어야 할 경우에는 직접 가공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으나 대량 생산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사출 성형을 통해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세탈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잘 공지된 방식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 부재(300)가 중공형 배관 충전재(400)를 통해서 배관(20)의 접속 구멍(22) 안으로 삽입되는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0)의 상부의 분기관 접속부(310)는 내부에 나사산(3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경이 하부의 배관 접속부(330)의 내경보다 크다. 반면에, 연결 부재(300)의 하부의 배관 접속부(330)의 외경은 배관(20)의 접속 구멍(22)의 외경과 직접 접촉하는 중공형 배관 충전재(400)의 안으로 유밀식으로 결합하여 배관(20) 안으로 돌출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중공형 배관 충전재(400)는 연결 부재(300)의 배관 접속부(330)를 유밀식으로 수용하는 동시에 배관(20)으로부터 분기관(30)이 연결되는 지점에서 배관(20)의 분기관 접속 구멍(20)과 유밀식으로 접촉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중공형 배관 충전재(400)는 배관(20)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30)의 유밀식 연결을 보장하도록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방식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중공형 배관 충전재(400)가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중공형 배관 충전재(400)는 내부에 연결 부재(300)의 배관 접속부(330)를 수용하도록 관통 구멍(412)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 몸체(410)와, 상부가 연결 부재(300)의 플랜지(320)의 하부와 접하고 하부는 배관(20)의 외면과 유밀식으로 접하도록 중공형 몸체(41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플랜지(420)와, 그리고 배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배관(20)의 내면과 유밀식으로 접하도록 중공형 몸체(4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플랜지(430)로 이루어져 있다. 중공형 배관 충전재(400)는 적용되는 배관(20)의 두께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서 배관(20)과 분기관(30)의 안정적인 유밀식 연결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정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중공형 배관 충전재(400)는 주로 섬유 유리, 가죽, 삼, 고무 또는 이에 상응하는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10)의 주요 구성 요소는 밴드(100), 보강판(200), 및 연결 부재(300)이며, 도 5에 도시된 중공형 배관 충전재(400)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여러 가지 형태의 배관 충전재를 본 발명에 따른 새들 조립체(10)에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새들 조립체(1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다란 띠 형태의 밴드(100)의 몸체부(110)의 관통 구멍(112)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형성된 벤딩부(120) 사이로 보강판(200)을 몸체부(100)의 접촉시킨 후에, 보강판(200)의 관통 구멍(210)과 몸체부(110)의 관통 구멍(112)을 통해서 연결 부재(300)의 상부의 분기관 접속부(310)를 삽입하여 돌출시킨 상태에서 밴드(100)의 몸체부(110)를 원형에 가깝게 약간 휘어지게 구부린다.
그리고 나서, 도 5에 도시된 배관 충전재(400)를 배관(20)의 접속 구멍(22) 안으로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연결 부재(300)의 하부의 배관 접속부(330)를 배관 충전재(400)의 몸체(410)에 형성된 관통 구멍(412) 안으로 밀착하여 삽입시킨다.
다음으로, 밴드(100)의 몸체부(110)를 배관(20)의 외면의 형상에 맞게 완전히 원형으로 휘어지게 구부리면서 몸체부(110)의 양단에 형성된 두 개의 체결부(130)를 맞대게 하고 이들 체결부(130)에 각각 형성된 체결 구멍(132)을 통해서 체결구를 삽입하고 소정의 강도까지 조여줌으로써 새들 조립체(10)를 배관(2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연결 부재(300)의 상부의 분기관 접속부(310)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312)을 통해서 배관(20)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30)의 연결부를 나선식으로 삽입함으로써 배관(20)과 분기관(30)의 결합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배관-분기관의 연결은 현장에서 매우 간단한 작업으로 완료될 수 있으며, 다수의 분기관을 원래의 배관에 각각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분기관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은 통상적으로 약 10~20 bar, 바람직하게 약 5 내지 15 bar 이며, 최대로 약 40 bar 이다. 압력 조절을 위해서 분기관의 관로 일부에 예를 들어 체크 밸브 등과 같이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잘 공지된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이 아니므로 이에 대해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새들 조립체(10)의 밴드(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밴드(100)에는 몸체부(110)의 길이의 1/4 지점에 형성된 관통 구멍(112)에 추가하여 몸체부(110)의 길이의 1/2 지점에 추가의 관통 구멍(112)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새들 조립체(10)는 적용되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서 배관(20)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30)의 위치에 따라서, 즉 분기관(30)이 배관(20)의 외경 둘레로 90도 위치 또는 180도 위치에 설치된 경우에 각각 몸체부(110)의 길이의 1/4 지점에 형성된 관통 구멍(112) 또는 몸체부(110)의 길이의 1/2 지점에 형성된 추가의 관통 구멍(112)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서 분기관(30)을 배관(20) 상으로 적절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배관(20)과 분기관(30)이 연결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분기관(30)의 위치에 상응하게 본 발명에 따른 새들 조립체(10)를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새들 조립체(10)의 밴드(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밴드(100)의 몸체부(110)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부(130) 중에서 한쪽 단부의 체결부(130)가 다른쪽 단부의 체결부(130)에 비해서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더 길게 형성된 한쪽 단부의 체결부(130)에는 중앙에 형성된 체결 구멍(132) 외에도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 구멍(13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새들 조립체(10)가 적용되는 배관(20)의 직경에 따라서 새들 조립체(10)의 밴드(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가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각종 배관(20)에 상응하게 체결부(130)의 적절한 체결 구멍(132)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새들 조립체(10)를 현장에서 바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본 발명의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를 설명하였으며, 예시적으로 설명된 본 발명의 각 구성 부품들의 세부적인 구성 또는 전체적인 구조의 적절한 변형이나 변경 또는 개조는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얼마든지 임의로 바뀔 수 있으며, 이는 모두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10 : 새들 조립체 20 : 배관
22 : 분기관 접속 구멍 30 : 분기관
100 : 밴드 110 : 몸체부
112 : 관통 구멍 120 : 벤딩부
130 : 체결부 132 : 체결 구멍
200 : 보강판 210 : (보강판의) 관통 구멍
300 : 연결 부재 310 : 분기관 접속부
312: 나사산 320 : 플랜지
330 : 배관 접속부 400 : 배관 충전재
410 : 몸체 412 : 관통 구멍
420 : 상부 플랜지 430 : 하부 플랜지

Claims (9)

  1. 배관의 외면 둘레로 고정되어 상기 배관과 분기관을 고정하는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에 있어서:
    기다란 띠 형태로 형성되고 관통 구멍을 가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기 관통 구멍과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 측에 각각 형성된 벤딩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고 각각 중앙에 체결 구멍을 가지는 체결부로 이루어진 밴드와,
    상기 밴드의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2개의 상기 벤딩부 사이로 상기 밴드의 안쪽으로 접하도록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몸체부의 상기 관통 구멍에 상응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는 보강판과,
    상기 분기관과 접속하도록 상기 보강판의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밴드의 상기 몸체부의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형 분기관 접속부, 상기 중공형 분기관 접속부의 하부 둘레로 형성된 플랜지, 및 상기 배관의 분기관 접속 구멍에 연결되도록 상기 플랜지로부터 상기 중공형 분기관 접속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공형 배관 접속부로 이루어진 연결 부재와, 그리고
    상기 배관으로부터 상기 분기관이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배관의 상기 분기관 접속 구멍으로 삽입되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중공형 배관 접속부를 수용하도록 섬유 유리, 가죽, 삼, 및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탄성 재료로 제조된 배관 충전재로서, 내부에 상기 중공형 배관 접속부를 수용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중공형 몸체, 상부가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플랜지의 하부와 접하고 하부는 상기 배관의 외면과 유밀식으로 접하도록 상기 중공형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플랜지, 및 상기 배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배관의 내면과 유밀식으로 접하도록 상기 중공형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배관 충전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밴드와 상기 보강판은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서 각각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금속 재질의 판에 절단 작업 및 프레스 작업을 수행한 후에 절곡 가공에 의해서 상기 밴드의 벤딩부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되거나 또는 컴파운드 금형 및 벤딩 금형에 의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제조되며;
    상기 보강판은 상기 밴드의 안쪽으로 상기 밴드의 상기 몸체부의 관통 구멍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형성된 상기 벤딩부의 사이로 용접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밴드의 상기 몸체부의 길이의 1/2 지점에 형성된 추가의 관통 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된 상기 체결부 중에서 한쪽 단부의 체결부가 다른쪽 단부의 체결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쪽 단부의 체결부는 중앙에 형성된 상기 체결 구멍 외에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체결 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
  8. 삭제
  9. 삭제
KR1020170077104A 2017-06-19 2017-06-19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 KR101837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104A KR101837948B1 (ko) 2017-06-19 2017-06-19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
PCT/KR2017/012438 WO2018236002A1 (ko) 2017-06-19 2017-11-03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104A KR101837948B1 (ko) 2017-06-19 2017-06-19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565A KR20170078565A (ko) 2017-07-07
KR101837948B1 true KR101837948B1 (ko) 2018-03-13

Family

ID=59353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104A KR101837948B1 (ko) 2017-06-19 2017-06-19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7948B1 (ko)
WO (1) WO201823600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9955B2 (ja) * 2007-12-19 2010-12-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状接続部材と継手部材との接続構造
KR101262540B1 (ko) * 2011-09-05 2013-05-08 이대우 농업용 용수관의 분기관 결합부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467B2 (ja) * 1993-02-18 2001-06-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分岐管継手
JP5503624B2 (ja) * 2011-11-16 2014-05-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樹脂補強管の接続部の補強構造、補強方法、および補強部材
KR20170001438U (ko) * 2015-10-14 2017-04-24 김미선 분기관 접속구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밴드 형태 배관 파이프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9955B2 (ja) * 2007-12-19 2010-12-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状接続部材と継手部材との接続構造
KR101262540B1 (ko) * 2011-09-05 2013-05-08 이대우 농업용 용수관의 분기관 결합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565A (ko) 2017-07-07
WO2018236002A1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1049B2 (en) Pipe coupling system and method
CN102076915B (zh) 分离式龙头
US4494780A (en) Liquid piping saddle assembly connecting a branch pipe to a main pipe
DE102006010244B3 (de) Kraftstoffverteiler
KR101837948B1 (ko) 분기관 고정용 새들 조립체
CN111237573A (zh) 塑料管道的连接装置
US8167221B2 (en) Sprinkler housing having a side inlet to reduce stress concentrations thereat
US20080284162A1 (en) Pipe coupling
DE102017006715B4 (de) Vorrichtung zur Bildung einer Lagerung
DE3300963A1 (de) Klemmschelle fuer eine muffendichtung fuer rohrleitungen
US20200018435A1 (en) Pipeline plug
CN213271536U (zh) 三通管道紧固装置及紧固装置
US7987946B2 (en) Tropicalized petroleum sector cut-off valve gear box system and decontamination method for gear boxes
KR20110053038A (ko)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랜지를 구비한 합성수지 상하수도관
DE69914641T2 (de) Losflansch
CN209130349U (zh) 分体式可曲挠接头
DE29924006U1 (de) Rohr bzw. Rohrsystem für Rohrleitungsverteiler, Heizkreisverteiler, Kesselverteiler u.dgl.
EP1701083A2 (en) System for joining tubular bodies
RU2619292C2 (ru) Дождевальная машина (варианты)
RU119434U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соединение и трубопровод, полученный с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JP6482380B2 (ja) 流体管の分岐部構造
CN107687157A (zh) 一种模块化浮式防船撞装置
CN203375074U (zh) Hdpe主管上增设支管的三通接头及其连接结构
US7497485B2 (en) Band device of joining pipe for preventing from leakage
KR200261551Y1 (ko)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