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551Y1 -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551Y1
KR200261551Y1 KR2020010030336U KR20010030336U KR200261551Y1 KR 200261551 Y1 KR200261551 Y1 KR 200261551Y1 KR 2020010030336 U KR2020010030336 U KR 2020010030336U KR 20010030336 U KR20010030336 U KR 20010030336U KR 200261551 Y1 KR200261551 Y1 KR 200261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ircumferential surface
pipe
branch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도묵
Original Assignee
(주)경동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동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경동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10030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5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551Y1/ko

Links

Landscapes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수도용 분기관 이음부가 수압에 의하여 손상되어 상하수도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하수도관(30)의 원주면에 천공된 분기홀(31)을 통하여 유체가 일부 분기되도록 분기관이 접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하수도관(30)의 외주면을 덮어 끼울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개의 체결구(44)가 구비된 2개의 개구부(43)가 절곡되어 대칭되게 형성되되, 외주면은 폴리에틸렌 접합밴드(41)로 구성되고 내주면은 지수막이 고무밴드(42)로 구성된 접합 본체부(40)의 외주면 상부 중앙에는 상단에 접합플랜지(46)가 부착된 분기 연결관(45)이 연통되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분기홀(31)과 분기 연결관(45) 사이에는 지수막이 고무링(50)과 원주면의 중앙 부위가 돌출된 연결구(51)가 차례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상하수도관(30) 외주면에 접합 본체부(40)를 끼운 상태에서 개구부(43)에 형성된 체결구(44)에 체결 볼트(52)가 삽입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Sealing structure of diverging pipe for waterworks}
본 고안은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수도 매설관의 주된 하자 발생 위치인 분기관 이음부가 수압에 의하여 손상되어 상하수도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용 분기관은 상하수도관 내를 흐르는 유체의 일부를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하수관의 원주면 일부를 천공하여 분기 연결관과 연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에는 도 1의 종래의 상하수도용 분기관의 연결 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하고자하는 상하수도관(10)의 양단부에 유체의 흐름을 일부 바꾸고자 티관(11)을 그 사이에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상하수도관(10)을 통하여 유체가 흐르게 되면, 유체는 티관(11)에 도달하면서 다른 방향으로 나누어져 각각 흐르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분기관을 사용하면, 티관(11)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에 상하수도관(10)을 각각 결합하여 사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수단은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해야하는 관계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동시에 결합 부분이 결합상태나 내압, 그리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부식 등으로 인하여 흐르는 유체가 종종 누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 도 1에 도시된 분기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종래의 다른 상하수도용 분기관은 도 2의 분해 구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파이프(20)의 외주에 유체의 일부를 다른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21)에 결합되어 유체의 흐름을 타측으로 유도시키는 니플(22)이 구성되는데, 이 니플(22)의 하단부에는 패킹(23)이 하단부의 둘레면을 따라 밀착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니플(22)의 외구에, 파이프(20)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면형상을 하는 안장부(24)가 결합을 이루되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니플(22)을 결합하고 있는 안장부(24)를 파이프(20)에 안치하되, 리벳을 사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다른 분기관의 경우에도, 리벳 부위에 녹이 발생하여 부식으로 인한 파손이 자주 발생하고, 특히 파이프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수압에 의하여 리벳 부위가 헐거워져 누수에 의한 상하수도관의 파손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분기관 접합부재를 상하수도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유체의 수압에도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상하수도용 분기관의 연결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상하수도용 분기관의 분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부품의 분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상하수도관 31 : 분기홀
40 : 접합 본체부 41 : 폴리에틸렌 접합밴드
42 : 지수막이 고무밴드 43 : 개구부
44 : 체결구 45 : 분기 연결관
46 : 접합플랜지 50 : 지수막이 고무링
51 : 연결구 52 : 체결볼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하수도관(30)의 원주면에 천공된 분기홀(31)을 통하여 유체가 일부 분기되도록 분기관이 접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하수도관(30)의 외주면을 덮어 끼울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개의 체결구(44)가 구비된 2개의 개구부(43)가 절곡되어 대칭되게 형성되되, 외주면은 폴리에틸렌 접합밴드(41)로 구성되고 내주면은 지수막이 고무밴드(42)로 구성된 접합본체부(40)의 외주면 상부 중앙에는 상단에 접합플랜지(46)가 부착된 분기 연결관(45)이 연통되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분기홀(31)과 분기 연결관(45) 사이에는 지수막이 고무링(50)과 원주면의 중앙 부위가 돌출된 연결구(51)가 차례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상하수도관(30) 외주면에 접합 본체부(40)를 끼운 상태에서 개구부(43)에 형성된 체결구(44)에 체결 볼트(52)가 삽입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부품의 분해 구성도로서, 도면 중에서 30은 상하수도관, 31은 분기홀, 40은 접합 본체부, 41은 폴리에틸렌 접합밴드, 42는 지수막이 고무밴드, 43은 개구부, 44는 체결구, 45는 분기 연결관, 46은 접합플랜지, 50은 지수막이 고무링, 51은 연결구, 52는 체결볼트이다.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하수도관(30)의 원주면에 천공된 분기홀(31)을 통하여 유체가 일부 분기되도록 분기관이 접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분기홀(31)에 접합 본체부(40)의 외주면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된 분기 연결관(45)이 연결되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접합 본체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은 폴리에틸렌 접합밴드(41)로 구성되고 내주면은 지수막이 고무밴드(42)로 구성되며, 접합 본체부(40)의 내주면이 상기 상하수도관(30)의 외주면을 덮어 끼울 수 있도록 개구부(43)가 절곡되어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43)에는 다수개의 체결구(44)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체결구(44)에 체결볼트(52)가 체결됨으로써 접합 본체부(40)의 내주면이 원통형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접합 본체부(40) 외주면 상부 중앙에는 상단에 접합플랜지(46)가 부착된 분기 연결관(45)이 연통되어 일체로 설치된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접합 본체부(40)의 높이는 분기홀(31) 직경에 따라 조절되며, 분기 연결관(45)은 폴리에틸렌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하수도관(30)의 외주면에 접합 본체부(40)의 내주면이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먼저 상하수도관(30)에 형성된 분기홀(31)과 접합 본체부(40)에 연결된 분기 연결관(45) 사이에는 지수막이 고무링(50)이 삽입되고, 이 지수막이 고무링(50)의 상부에는 원주면의 중앙 부위가 돌출된 연결구(51)가 분기홀(31)과 분기 연결관(45)에 동시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수도관(30) 외주면에 접합 본체부(40)의 내주면이 결합된 상태에서, 접합 본체부(40)의 개구부(43)에 형성된 체결구(44)에 체결 볼트(52)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가 완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 순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하수도관(30)을 제작한 다음, 상하수도관(30)의 외주면 상부 중앙에 유체의 분기량에 따라 적당한 크기의 분기홀(31)을 천공하다.
다음으로, 상기 분기홀(31)의 상부에 지수막이 고무링(50)을 설치한 다음, 스테인레스로 형성된 연결구(51)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그 다음, 내주면이 지수막이 고무밴드(42)로 형성된 접합 본체부(40)를 상기 상하수도관(30)에 씌우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구(51)가 접합 본체부(40)에 연결 설치된 분기 연결관(45)에 삽입되도록 정렬한다.
마지막으로, 접합 본체부(40)의 개구부(43)에 형성된 체결구(44)에 체결볼트를 삽입한 후 조임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 시공을 완료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특징적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하수도관(30)의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일부가 분기홀(31)을 통하여 분기되는 과정에서 유체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된 연결구(51)와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된 분기 연결관(45)만을 접촉하면서 유출되므로 접촉부재의 산화 등에 의한 부식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또한 상기 분기홀(31)과 연결구(51) 사이에는 지수막이 고무링(50)이 삽입되고, 접합 본체부(40)의 내주면은 지수막이 고무밴드(42)로 형성되어 있어 상하수도관(30)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분기 과정에서 누수가 완전히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홀(31)을 포함하여 상하수도관(30) 외주면을 접합 본체부(40)가 완전하게 씌운 상태에서 체결볼트(52)로 개구부(43)를 견고하게 조임으로써 분기관 접합 부위의 파손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를 사용하면, 상하수도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와의 접촉 부위를 산화가 되지 않는 재질로 하여 부식이 방지되고, 분기구와 연결구 사이에 삽입된 지수막이 고무링과 접합 본체부 내주면의 지수막이 고무밴드에 의하여 누수가 완전히 차단되고, 상하수도관 외주면을 씌운 상태에서 개구부를 체결하므로 상하수도용 분기관의 안전을 확보하고, 하자를 최소화함으로써 유지관리비를 절감하고, 상하수의 누수현상을 예방하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하수도관(30)의 원주면에 천공된 분기홀(31)을 통하여 유체가 일부 분기되도록 분기관이 접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하수도관(30)의 외주면을 덮어 끼울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개의 체결구(44)가 구비된 2개의 개구부(43)가 절곡되어 대칭되게 형성되되, 외주면은 폴리에틸렌 접합밴드(41)로 구성되고 내주면은 지수막이 고무밴드(42)로 구성된 접합 본체부(40)의 외주면 상부 중앙에는 상단에 접합플랜지(46)가 부착된 분기 연결관(45)이 연통되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분기홀(31)과 분기 연결관(45) 사이에는 지수막이 고무링(50)과 원주면의 중앙 부위가 돌출된 연결구(51)가 차례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상하수도관(30) 외주면에 접합 본체부(40)를 끼운 상태에서 개구부(43)에 형성된 체결구(44)에 체결 볼트(52)가 삽입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
KR2020010030336U 2001-10-05 2001-10-05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 KR200261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36U KR200261551Y1 (ko) 2001-10-05 2001-10-05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36U KR200261551Y1 (ko) 2001-10-05 2001-10-05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551Y1 true KR200261551Y1 (ko) 2002-01-24

Family

ID=7310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336U KR200261551Y1 (ko) 2001-10-05 2001-10-05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5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955U (ko) 2016-02-15 2017-08-23 (주) 신한메탈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US11387045B2 (en) 2018-02-27 2022-07-12 Tdk Electronics Ag Multilayer component with external conta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955U (ko) 2016-02-15 2017-08-23 (주) 신한메탈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US11387045B2 (en) 2018-02-27 2022-07-12 Tdk Electronics Ag Multilayer component with external conta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9785A (en) Mechanical pipe outlet
US6588767B2 (en) Mat gasket for fluid conduits
KR200261551Y1 (ko)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
US6227234B1 (en) Tapping sleeve with a mechanical joint adaptor
KR100532193B1 (ko)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US6173967B1 (en) Gaskets for fluid conduits
KR100740166B1 (ko) 바이패스관의 구조
JP2009156463A (ja) ストッパーを利用した水道管の連結方法(Apipeconnectingmethodusestopper)
US6019398A (en) Tapping sleeve with a gland
KR100922595B1 (ko) 하수도 분기관 연결구조
US6360771B2 (en) Tapping sleeve with a mechanical joint adaptor
KR100488219B1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20080005671U (ko) 플랜지 누수 및 누유 방지용 가스켓
KR200439628Y1 (ko) 하수도 분기구
JP4660186B2 (ja) 継手保持部材及び継手保持部材と継手部材とからなる器具
CN206770822U (zh) 用于管道的连接结构
KR100522142B1 (ko) 지중 하수관 및 가지관의 결속구조
KR200347922Y1 (ko) 배관용 분기관
KR102454257B1 (ko) 하수관 연결구조체
JP4642537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流路処理装置
KR102447124B1 (ko) 하수관 결합구조체
KR200393539Y1 (ko)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KR200285533Y1 (ko) 배관용 분기관 연결 피팅
KR20040077996A (ko) 메카니컬 접합 및 kp메카니컬 접합의 접합관 이탈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