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955U -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 Google Patents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955U
KR20170002955U KR2020160000773U KR20160000773U KR20170002955U KR 20170002955 U KR20170002955 U KR 20170002955U KR 2020160000773 U KR2020160000773 U KR 2020160000773U KR 20160000773 U KR20160000773 U KR 20160000773U KR 20170002955 U KR20170002955 U KR 201700029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connection part
sub
pip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7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563Y1 (ko
Inventor
전진화
Original Assignee
(주) 신한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한메탈 filed Critical (주) 신한메탈
Priority to KR20201600007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563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9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5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2Public or like main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4Domestic or like local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 F16L13/143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with a sealing element placed around the male part before crimping or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인수도관에서 공급되는 수돗물이 분기될 때 메인수도관의 압력이 고르게 작용하여 분기되는 분기 수도관에 수돗물이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상기 분기관은, 3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된 분기관몸체와; 수돗물이 공급되는 메인수도관과 연결될 수 있도록 분기관몸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분기관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메인연결부와; 서브수도관과 연결될 수 있도록 분기관몸체 일측에 분기관몸체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하는 서브연결부와; 서브연결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분기관몸체에 형성되는 분기연결부;로 구성되되, 상기 메인연결부에서 서브연결부로 전달되는 수돗물이 분기연결부가 형성된 분기관몸체에서 정체 현상이 발생되므로 분기관몸체로 유입되는 수돗물의 압력이 증가하여 분기연결부로 수돗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메인수도관의 직경 보다 서브수도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분기 수도관이 형성된 부분에 수돗물의 정체 구간을 형성하므로 분기 수도관 쪽으로 수돗물의 압력이 작용되어 물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메인수도관의 직경 보다 서브수도관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여 서브수도관으로 분기 수도관과 같이 일정한 압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수돗물의 분기기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T-branch structure for Water tolerance}
본 고안은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수도관에서 공급되는 수돗물이 분기될 때 메인수도관의 압력이 고르게 작용하여 수돗물이 분기 수도관으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수도관 설치 현장이나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배관의 연결 작업에서 금속재질의 주관 내에 이동하는 물의 흐름을 분기관 방향으로 바꾸어서 흐르게 하는 분기관을 연결하는 구성은 여러 형태로 제안되고 있다.
선행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0-08721호(2012.02.29. 공개), 연결턱을 구성한 분기관이 출원되어 있고, 실용신안등록 제20-0261551호, 상하 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가 등록되어 있으며, 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001997-54100호(1999.05.15. 공개) 분기관 이음쇠 제법이 알려졌다.
첫 번째 선행기술은,
주관에 분기관을 연결공에 연결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분기관 하단 접속부 끝에 저면 만곡부를 구성하고, 상기 하단 접속부와 플랜지를 받쳐주는 분기관 턱을 구성하여 상기 주관 연결공에 걸리도록 끼워서 받쳐지게 지지하여 용접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 한 것을 요지로 하고 있으며,
두 번째 선행기술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하수도관의 외주면에 천공된 분기홀을 통하여 유체가 일부 분기되도록 분기관이 접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하수도관의 외주면에 덮어 끼울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개의 체결구가 구비된 2개의 개구부가 절곡되어 대칭되게 형성되되, 외주면은 폴리에틸렌 접합밴드로 구성되고, 내주면은 지수막이 고무밴드로 구성된 접합 본체부의 외주면 상부 중앙에는 상단에 접합플랜지가 부착된 분기 연결관이 연통되어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분기홀과 분기 연결관 사이에는 지수막이 고무링과 원주면의 중앙 부위가 돌출된 연결구가 차례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상하수도관 외주면에 접합 본체부를 끼운 상태에서 개구부에 형성된 체결구에 체결 볼트가 삽입되어 결합됨을 요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 번째 선행기술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혹은 각종 기계장치 등에 연결과 그 밖의 급유, 급기 등의 공급로로서, 배치 설비되는 관경 20m/m 정도 이하의 비교적 세경으로 이루어진 금속배관에 의한 T자형 또는 십자형 등의 분기관 이음쇠의 제법에 관한 것이다.
주벽부에 분류공이 일체로 이루어진 상기 분류공부, 혹은 상호 대향되는 단부에 간격을 보호 유지하여 배설한 별체로 이루어진 주관과 상기 관격부를 주 측으로 분기 접속공을 천설 한 상기 주관보다 지름이 큰 단관으로 이루어진 이음쇠 본체의 상기 분기 접속공 부근에 지관을 맞붙인 상태에서, 지관의 맞붙는 측에 위치하는 상기 이음쇠 본체의 좌,우 장수방향의 일부 주벽부를 상기 지관의 맞붙는 부분을 남겨, 편평상의 압입 조임 가공을 실시하여 축경시키고, 상기 주관 및 지관의 외주면에 각각 밀합(密合)시킨 상태에서 밀합 면을 일괄 용착에 의해 구성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구성들은 번잡하여 작업의 번거로움과 불편이 따르며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비경제적인 문제점과 노출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외관이 미려하지 않다는 점이 단점으로 대두 되었으며, 특히 견고성의 결여로 장시간 사용시 누수 등의 문제점이 많은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기술들은 수돗물이 메인수도관에서 분기 수도관으로 수돗물의 분배가 이루어질 때 메인수도관으로 유입되는 수돗물의 압력이 분기관 쪽으로 전달되지 못하므로 수돗물의 분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메인수도관의 첫 부분 또는 끝 부분에 위치한 분기 수도관 또는 이들 모두에 수돗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 중간 부분에 위치한 분기 수도관으로 메인수도관의 압력이 제대로 작용하지 않아 중간 부분에 위치한 분기 수도관으로는 수돗물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메인수도관의 첫 부분은 수돗물을 일정거리까지 공급하기 위해 압력이 가장 강하기 때문에 메인수도관의 첫 부분에서는 압력이 지속되나, 끝 부분에서는 수돗물이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분기 수도관으로 압력이 작용되어 수돗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나 중간 부분에 위치한 분기 수도관은 첫 부분과 끝 부분에서 수돗물의 압력이 분사되어 중간 부분에 압력이 제대로 작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0-08721호(2012.02.29. 공개) 특허문헌 2: 실용신안등록 제20-0261551호(2002.01.24. 공고) 특허문헌 3: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001997-54100호(1999.05.15. 공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메인수도관에서 공급되는 수돗물이 분기될 때 메인수도관의 압력이 고르게 작용하여 분기되는 분기 수도관에 수돗물이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메인수도관의 크기와 분기되는 분기 수도관 및 분기 수도관을 지난 위치의 서브수도관이 각기 다른 직경으로 형성하여 메인수도관의 압력이 분기 수도관과 서브수도관에 고르게 적용되도록 한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은 3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된 분기관몸체와; 수돗물이 공급되는 메인수도관과 연결될 수 있도록 분기관몸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분기관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메인연결부와; 서브수도관과 연결될 수 있도록 분기관몸체 일측에 분기관몸체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하는 서브연결부와; 서브연결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분기관몸체에 형성되는 분기연결부;로 구성되되, 상기 메인연결부에서 서브연결부로 전달되는 수돗물이 분기연결부가 형성된 분기관몸체에서 정체 현상이 발생되어 분기관몸체로 유입되는 수돗물의 압력이 증가되므로 분기연결부로 수돗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는 일 방향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을 두 방향으로 분기시키고 분기되는 수돗물의 압력이 두 방향에 고르게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분기관몸체와, 수돗물이 공급되는 메인수도관과 연결될 수 있도록 분기관몸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분기관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메인연결부와, 서브수도관과 연결될 수 있도록 분기관몸체 일측에 분기관몸체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하는 서브연결부 및 서브연결부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분기관몸체에 형성되는 분기연결부로 구성되는 상기 분기관과; 메인수도관, 서브수도관 및 분기 수도관에 결합하는 메인연결부, 서브연결부 및 분기연결부의 압착시 메인연결부, 서브연결부 및 분기연결부와 부싱이 '○'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메인연결부, 서브연결부 및 분기연결부에 설치되는 고정링과; 메인연결부, 서브연결부 및 분기연결부와 메인수도관, 서브수도관 및 분기 수도관 사이의 수밀성을 갖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메인연결부, 서브연결부 및 분기연결부에 설치하는 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분기관몸체와 서브연결부 사이에는 분기연결부로 수돗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분기관몸체와 서브연결부보다 작은 직경의 압력발생부를 형성하고, 상기 압력발생부에 의해 분기관몸체 쪽에서 수돗물의 정체현상이 발생되므로 분기연결부 쪽으로 수돗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압력발생부는 분기관몸체 일측에서 서브연결부 쪽으로 직경이 점점 작이지는 경사구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구와 서브연결부 사이에 서브연결부보다 직경이 작은 압력발생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서브연결부와 분기연결부의 직경은 메인연결부 대비 65대 35의 비율로 형성하여 분기연결부로 수돗물의 압력이 작용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메인 연결부는 메인수도관에 압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메인설치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설치돌기는 부싱과 고정링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1부싱설치홈과 제1링설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서브연결부는 서브수도관에 압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서브설치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서브설치돌기는 부싱과 고정링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2부싱설치홈과 제2링설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경사부와 접속부에 의해 수돗물의 정체 현상이 각각 발생하여 메인연결부와 분기관몸체에서 압력이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메인연결부의 직경 보다 서브연결부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고, 또한 분기연결부가 형성된 부분에 수돗물의 정체 구간을 형성하므로 분기연결관 쪽으로 수돗물의 압력이 작용되어 수돗물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메인연결부의 직경 대비 서브연결부와 분기연결부를 65 대 35의 비율로 형상해 서브연결부와 분기연결부로 수돗물의 압력이 고르게 작용하여 수돗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돗물을 분기하여 공급하는 위치마다 본 고안의 수도관용 T자 분기관을 적용하므로 수도관 내에 일정한 압력이 고르게 유지되어 압력의 저하에 의한 수돗물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의 부싱 구성을 나타낸 일부 절결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가 수도관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에 설치되는 부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도 5의 분기관에 설치되는 부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도 6의 분기관에 설치되는 부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의 부싱 구성을 나타낸 일부 절결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가 수도관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분기관(100)은 메인수도관(10)과 서브수도관(20) 사이에 설치되어 수돗물을 분기할 수 있도록 분기 수도관(30)이 연결된다.
상기 분기관(100)은 일 방향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을 두 방향으로 분기시키고, 이때 분기되는 수돗물의 압력이 두 방향에 고르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기관(100)은 일 방향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을 두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분기관몸체(110)를 구성하고, 상기 분기관몸체(110)의 일측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연결부(120)와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를 각각 구성한다.
상기 메인연결부(120)에는 메인수도관(10)이 연결되어 압착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메인설치돌기(121)를 형성하며, 상기 메인설치돌기(121)에는 제1부싱설치홈(122)과 제1링설치홈(123)을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연결부(130)는 서브수도관(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에 서브설치돌기(131)를 형성하며, 상기 서브설치돌기(131)에는 제2부싱설치홈(132)과 제2링설치홈(13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분기연결부(140)에는 분기 수도관(30)이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에 분기설치돌기(141)를 형성하고, 상기 분기설치돌기(141)에는 제3부싱설치홈(142)과 제3링설치홈(143)을 형성한다.
상기 분기관몸체(100) 내측에서 수돗물의 정체 현상이 발생되도록 분기관몸체(100)와 서브연결부(130) 사이에 압력발생부(150)를 형성한다.
상기 압력발생부(150)는 분기관몸체(110) 일측에서 서브연결부(130) 쪽으로 직경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구(151)를 형성하고, 상기 분기관몸체(110) 내측에서 수돗물이 서브연결부(130)로 공급되도록 경사구(151)와 서브연결부(130) 사이에 압력발생구(152)를 형성한다.
상기 경사구(151)의 일측은 분기관몸체(111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서브연결부(130)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하여 분기관몸체(110) 내측에서 수돗물의 정체 현상이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력발생구(152)의 직경은 경사구(151)의 일측 끝단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서브연결부(1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링설치홈(123), 제2링설치홈(133) 및 제3링설치홈(143)에는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과 메인연결부(120)와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가 결합할 때 압착장치(미도시)에 의해 압착시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의 단면의 형상이 '○' 형상이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부싱(300) 본래의 형태를 유지되면서 수밀성을 가질 수 있도록 고정링(200)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1부싱설치홈(122), 제2부싱설치홈(132) 및 제3부싱설치홈(132)에는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과 메인연결부(120)와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 사이에서 수밀성을 갖도록 하여 수돗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싱(300)이 설치된다.
상기 부싱(300)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부싱설치홈(122), 제2부싱설치홈(132) 및 제3부싱설치홈(13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타원형의 부싱몸체(310)를 구성하고, 상기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에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가 압착에 의해 고정될 때 메인수도관(10)과 메인연결관(120) 사이, 서브수도관(20)과 서브연결부(130) 사이 및 분기 수도관(30)과 분기연결부(140) 사이에 위치하여 수밀성을 갖도록 부싱몸체(310)에 리브(32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부싱(300)이 상기 제1부싱설치홈(122), 제2부싱설치홈(132) 및 제3부싱설치홈(132)에 끼워진 상태에서 압착장치에 의해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의 압착이 이루어지면 타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부싱몸체(310)가 '○'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메인수도관(10)과 메인연결관(120) 사이, 서브수도관(20)과 서브연결부(130) 사이 및 분기 수도관(30)과 분기연결부(140) 사이의 수밀성을 증대시킨다.
상기 부싱은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 내지 7과 같이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에 설치되는 부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상기 제1부싱설치홈(122), 제2부싱설치홈(132) 및 제3부싱설치홈(132)에 끼워진 상태에서 압착장치에 의해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에 타원형의 부싱(300)이 설치된다.
상기 부싱(300)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압착시 단면이 원 형태로 형성되는 부싱몸체를 구성하고, 상기 부싱몸체(310) 내측 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면을 형성하며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면의 끝단에서 부싱몸체(310) 내측 면으로 30~45°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하는 리브(320)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의 측단의 압착시 탄발을 갖도록 형성하는 리브(320)가 형성된 부싱몸체(310)의 반대측에 탄성홈(311)을 형성한다.
상기 부싱(300)에 형성한 탄성홈(311)은 타원으로 형성한 부싱몸체(310)가 압착될 시에 탄성홈(311)을 중심으로 양측 방향으로 벌어지려는 탄성 작용에 의해 부싱몸체(310) 내주연에 형성한 리브(320)가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리부(320)의 90° 각도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부분에서도 탄발력이 작용되어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 외면에 리브(320)가 밀착되어 견고한 수밀이 이루어진다.
도 6은 도 5의 분기관에 설치되는 부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부싱(300)은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 측단의 압착시 '○'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타원으로 구성하여 제1부싱설치홈(122), 제2부싱설치홈(132) 및 제3부싱설치홈(132)에 설치되는 부싱몸체(310)를 구성하고, 상기 부싱몸체(310)의 내측 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끝단에서 부싱몸체(310) 내측 면으로 30~45°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하는 리브(320)를 형성하고, 상기 제1부싱설치홈(122), 제2부싱설치홈(132) 및 제3부싱설치홈(142)의 압착시 부싱(300)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수밀성이 증대되도록 부싱몸체(310) 내측에 설치되는 금속편(312)을 형성한다.
상기 부싱(300) 내측에 금속편(312)을 설치하므로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의 측단 압착시 금속편(312)에 의해 부싱몸체(31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 형상에 가깝게 형태를 유지하므로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와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 사이에 수밀성을 좋아진다.
또한, 상기 부싱몸체(310) 내측에 형성한 리브(320)가 일측은 90°로 직각이 되도록 이루어지고, 90°로 직각이 되게 면을 형성된 끝단 부분에서 부싱몸체(310) 쪽으로 30~45° 형태로 경사지게 면을 형성하므로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의 측단 압착시 90°로 직각이 되게 형성된 면이 접혀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접혀진 부분이 다시 펼쳐지려는 탄발에 의해 리브(320)가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 외주면에 밀착되어 수밀성이 증대된다.
즉, 부싱몸체(310)에 형성한 금속편(312)과 리브(320)의 탄발 작용이 복합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리브(320)에서 결합관(20) 외주면에 밀착이 견고한 것은 물론 부싱몸체(310)의 탄성이 소멸되어도 리브(320)가 계속하여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 외주연에 밀착되기 때문에 수밀성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도 6의 분기관에 설치되는 부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부싱(300)은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 측단의 압착시 '○'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타원이 일체로 형성되어 제1부싱설치홈(122), 제2부싱설치홈(132) 및 제3부싱설치홈(142)에 설치되는 부싱몸체(310)를 구성하고, 상기 부싱몸체(310)의 내측 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면을 형성하며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끝단에서 부싱몸체(310) 내측면으로 30~45°의 경사를 갖는 면을 형성하여 리브(320)를 구성하고,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의 제1부싱설치홈(122), 제2부싱설치홈(132) 및 제3부싱설치홈(142)에 설치되어 압착될 때 압착에 의한 탄성이 발생되도록 리브(320)가 형성된 일측과 리브(320)가 형성된 반대측의 타원형 부싱몸체(310)에 오목요홈(313)을 형성한다.
상기의 복수의 타원형 부싱몸체(310)를 가압하면,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부싱몸체(310)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타원형 부싱몸체(310)가 서로 벌어지려는 반발력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부싱몸체(310)에 형성한 리브(320)도 90° 각도로 형성된 면이 벌어지려는 탄발력이 발생되어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 외측 면에 밀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므로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과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 사이에서 견고한 수밀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부싱(300) 내측에 설치된 금속의 금속편(312)을 통해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의 단면이 '○'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지지하고, 동시에 부싱(300)을 지지하여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 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므로 부싱(300)이 고르게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 외주연에 밀착되어 수밀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부싱(300)에 형성한 리브(320), 탄성홈(311) 및 오목요홈(313)에 의해 벌어지려는 탄성력이 발생하고, 그리고 리브(320)가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 외주면에 접혀진 상태로 밀착되므로 90° 직각 형태로 이루어진 부분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 작용이 발생해 리브(320)는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의 외주연에 견고한 밀착이 이루어져 견고한 수밀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수도관용 T자 분기관을 수도관에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과 연결하기 전에 메인설치돌기(121), 서브설치돌기(131) 및 분기설치돌기(141)에 각각 형성한 제1부싱설치홈(122), 제2부싱설치홈(132) 및 제3부싱설치홈(142)에 고무재질의 부싱(300)을 설치하고, 상기 부싱(300)이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과 연결될 때 그 형태를 유지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제1링설치홈(123)과 제2링설치홈(133) 및 제3링설치홈(143)에 금속재질의 고정링(200)을 설치한다.
상기 고정링(200)은 부싱(300)의 형태를 잡아주는 것은 물론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메인설치돌기(121), 서브설치돌기(131) 및 분기설치돌기(141)를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에 압착하여 고정할 때 메인설치돌기(121), 서브설치돌기(131) 및 분기설치돌기(141)의 단면이 '○' 형상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압착이 이루어지고, 압착된 부분이 고르게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의 메인연결부(120) 내측으로 메인수도관(10)의 일측을 인입시키고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메인설치돌기(121)를 압착하여 메인설치돌기(121) 내측에 설치된 부싱(300)과 고정링(200)에 의해 메인설치돌기(121)와 메인수도관(10) 사이에서 수돗물이 누수되지 못하도록 수밀성을 형성한다.
또한, 서브연결부(130)에도 메인연결부(120)에 메인수도관(10)이 설치되는 것과 같이 서브수도관(20)을 서브연결부(130)의 내측으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서브연결관(130)과 서브수도관(20) 사이에 수밀성을 갖도록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압착 고정한다.
그리고 분기연결관(140)에도 분기 수도관(30)의 일측으로 인입시키고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분기연결관(140)의 분기설치돌기(141)를 분기 수도관(30)에 압착시켜 부싱(300)과 고정링(200)에 의해 분기연결관(140)과 분기 수도관(30) 사이에 수밀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T자 분기관(100)을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에 연결한 상태에서 수돗물을 메인수도관(10)으로 공급하면, 메인연결부(120)를 통해 분기관몸체(110)로 유입된다.
상기 분기관몸체(110)로 유입되는 수돗물은 압력발생부(150)의 경사구(151)가 직경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체현상이 발생하므로, 수돗물의 정체 현상이 발생하면서 압력이 발생하여 분기연결부(140)에 연결된 분기 수도관(30)으로 수돗물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수돗물의 정체 현상에 의해 분기 연결부(140)에 결합한 분기 수도관(30)으로 수돗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T자형 분기관에서 발생한 문제점 즉, 분기되는 수도관으로 수돗물의 압력이 고르게 작용되지 못하여 수돗물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분기관(100) 내측에서 수돗물의 정체 현상이 일어나도록 구성하여 수돗물이 분기되는 쪽으로 일정 압력이 작용하므로 분기연결부(140)와 연결된 분기 수도관(30)으로 수돗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공급되므로 '수돗물의 수압이 낮아 수돗물의 잘 안나온다. '등과 같은 민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메인수도관 20: 서브수도관
30: 분기 수도관 100: 분기관
110: 분기관몸체 120: 메인연결부
121: 메인설치돌기 122: 제1부싱설치홈
123: 제1링설치홈 130: 서브연결부
131: 서브설치돌기 132: 제2부싱설치홈
133: 제2링설치홈 140: 분기연결부
141: 분기설치돌기 142: 제3부싱설치홈
143: 제3링설치홈 150: 압력발생부
151: 경사구 152: 압력발생구
200: 고정링 300: 부싱
310: 부싱몸체 311: 탄성홈
312: 금속편 313: 오목요홈
320: 리브

Claims (10)

  1.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100)은,
    일 방향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을 두 방향으로 분기시키고 분기되는 수돗물의 압력이 두 방향에 고르게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분기관몸체(110)와;
    수돗물이 공급되는 메인수도관(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분기관몸체(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분기관몸체(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메인연결부(120)와;
    서브수도관(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분기관몸체(110) 일측에 분기관몸체(110)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하는 서브연결부(130)와;
    서브연결부(130)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분기관몸체(110)에 형성되는 분기연결부(140);로 구성되되,
    상기 메인연결부(120)에서 서브연결부(130)로 전달되는 수돗물이 분기연결부(140)가 형성된 분기관몸체(110) 내측에서 정체 현상이 발생되므로 분기관몸체(110)로 유입되는 수돗물의 압력이 증가해 분기연결부(140)로 수돗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2.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에 있어서,
    일 방향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을 두 방향으로 분기시키고 분기되는 수돗물의 압력이 두 방향에 고르게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분기관몸체(110)와, 수돗물이 공급되는 메인수도관(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분기관몸체(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분기관몸체(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메인연결부(120)와, 서브수도관(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분기관몸체(110) 일측에 분기관몸체(110)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하는 서브연결부(130) 및 서브연결부(130)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분기관몸체(110)에 형성되는 분기연결부(140)로 구성되는 상기 분기관(100)과;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에 결합하는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의 압착 시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와 부싱(300)이 '○'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에 설치되는 고정링(200)과;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와 메인수도관(10), 서브수도관(20) 및 분기 수도관(30) 사이의 수밀성을 갖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에 설치하는 부싱(3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몸체(110)와 서브연결부(130) 사이에는,
    수돗물의 정체현상이 발생하여 분기연결부(140) 쪽으로 수돗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분기관몸체(110)와 서브연결부(130)보다 작은 직경의 압력발생부(150)를 형성하고,
    상기 압력발생부(150)는,
    분기관몸체(110) 일측에서 서브연결부(130) 쪽으로 직경이 점점 작이지는 경사구(151)를 형성하며,
    상기 경사구(151)와 서브연결부(130) 사이에 서브연결부(130) 보다 직경이 작게 압력발생구(15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연결부(130)와 분기연결부(140)의 직경은,
    메인연결부(120) 대비 65대 35의 비율로 형성하여 분기연결부(140)로 수돗물의 압력이 작용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연결부(120)는,
    메인수도관(10)에 압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메인설치돌기(121)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설치돌기(121)는 부싱(300)과 고정링(2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1부싱설치홈(122)과 제1링설치홈(1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연결부(130)는,
    서브수도관(20)에 압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서브설치돌기(131)를 형성하고, 상기 서브설치돌기(131)는 부싱(300)과 고정링(2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2부싱설치홈(132)과 제2링설치홈(1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연결부(140)는,
    분기 수도관(30)에 압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분기설치돌기(141)를 형성하고, 상기 분기설치돌기(141)는 부싱(300)과 고정링(2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3부싱설치홈(142)과 제3링설치홈(1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300)은,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타원으로 구성하여 메인연결부(120), 서브연결부(130) 및 분기연결부(140)의 제1부싱설치홈(122), 제2부싱설치홈(132) 및 제3부싱설치홈(142)에 설치되는 패킹몸체(310)와;
    상기 패킹몸체(310)의 내측 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끝단에서 패킹몸체(310) 내측 면으로 30~45°의 경사를 갖도록 패킹몸체(310) 내측에 형성하는 리브(320)와;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탄발성을 갖도록 형성하는 리브(320)가 형성된 패킹몸체(310)의 반대측에 패킹몸체(310)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되는 탄성홈(311);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300)은,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타원으로 구성하여 관연결부(100)의 패킹설치홈(120)에 설치되는 패킹몸체(310)와;
    상기 패킹몸체(310)의 내측 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끝단에서 패킹몸체(310) 내측 면으로 30~45°의 경사를 갖도록 패킹몸체(310) 내측에 형성하는 리브(320)와;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패킹몸체(310)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수밀성이 증대되도록 패킹몸체(310) 내측에 설치되는 금속편(312);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300)은,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타원형이 일체로 형성되어 패킹설치홈(120)에 설치되는 패킹몸체(310)와;
    상기 패킹몸체(310)의 내측 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끝단에서 패킹몸체(310) 내측면으로 30~45°의 경사를 갖도록 패킹몸체(310) 내측에 형성하는 리브(320);
    관연결부(100)의 패킹설치홈(120)에 설치되어 압착될 때 압착에 의한 탄성이 발생되도록 리브(320)가 형성된 일측과 리브(320)가 형성된 반대측 복수의 타원형 패킹몸체(310)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요홈(313);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KR2020160000773U 2016-02-15 2016-02-15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KR200484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773U KR200484563Y1 (ko) 2016-02-15 2016-02-15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773U KR200484563Y1 (ko) 2016-02-15 2016-02-15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55U true KR20170002955U (ko) 2017-08-23
KR200484563Y1 KR200484563Y1 (ko) 2017-10-10

Family

ID=6040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773U KR200484563Y1 (ko) 2016-02-15 2016-02-15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5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0834A (zh) * 2022-08-05 2022-09-23 安徽巨泰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农机金属铸件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592U (ja) * 1991-12-10 1993-08-27 株式会社エム・エス・ジャパン 管継手構造
JPH0669526U (ja) * 1993-03-05 1994-09-30 日東工器株式会社 シ−ルリング
KR970054100U (ko) 1996-03-30 1997-10-13 광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 교환시기 검출장치
JPH10122372A (ja) * 1996-10-18 1998-05-15 Koken Sangyo Kk コンクリート製管路の継手用離脱防止パッキン環
KR200261551Y1 (ko) 2001-10-05 2002-01-24 (주)경동기술공사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
KR20100011308A (ko) * 2008-07-24 2010-02-03 이수홍 배관연결용 탄성링
KR101154480B1 (ko) * 2011-06-30 2012-06-13 (주)대진지피아이 다구경 배관연결관
WO2014008932A1 (en) * 2012-07-10 2014-01-16 King Industrial Limited. Press fitting and joint assembly with such a press fitting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592U (ja) * 1991-12-10 1993-08-27 株式会社エム・エス・ジャパン 管継手構造
JPH0669526U (ja) * 1993-03-05 1994-09-30 日東工器株式会社 シ−ルリング
KR970054100U (ko) 1996-03-30 1997-10-13 광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 교환시기 검출장치
JPH10122372A (ja) * 1996-10-18 1998-05-15 Koken Sangyo Kk コンクリート製管路の継手用離脱防止パッキン環
KR200261551Y1 (ko) 2001-10-05 2002-01-24 (주)경동기술공사 상하수도용 분기관 접합구조
KR20100011308A (ko) * 2008-07-24 2010-02-03 이수홍 배관연결용 탄성링
KR101154480B1 (ko) * 2011-06-30 2012-06-13 (주)대진지피아이 다구경 배관연결관
WO2014008932A1 (en) * 2012-07-10 2014-01-16 King Industrial Limited. Press fitting and joint assembly with such a press fit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0834A (zh) * 2022-08-05 2022-09-23 安徽巨泰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农机金属铸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563Y1 (ko)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600B2 (en) Permanent joint comprised of a fitting, a sleeve and a pipe, as well as fitting for fluid conduits and a sleeve for fluid conduit pipes
US10107428B2 (en) Clamp for connecting pipe and device for connecting pipe including the same
US11525533B2 (en) Pipe device having a bonded joint
EP3636976B1 (en) Pipe coupler having function of covering pipe
US20170241578A1 (en) Pipe connecting device
KR102028180B1 (ko) 파이프 구조체
KR200484563Y1 (ko)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KR20140085042A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1732065B1 (ko) 파이프 수밀용 패킹부재
KR101120145B1 (ko) 관 조인트
KR100944383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CN204459565U (zh) 快速接头
CN110462271B (zh) 管连接用接头
RU2701360C1 (ru) Уплотнительная прокладка, имеющая сквозную полость с поперечным сечением уменьшающегося размера, сопло, которое может быть соединено с указанной прокладкой, и распыляющий конец, содержащий указанное сопло, соединенное с указанной прокладкой
KR200409780Y1 (ko) 배관 연결구
KR200389186Y1 (ko) 배관이음구
KR200364167Y1 (ko) 체결형 가변각도 이음관
JP2002333087A (ja) 自在偏芯継手
KR100743487B1 (ko) 흄관용 연결관
KR200277305Y1 (ko) 파이프와 플렌지의 연결 구조
KR20150114316A (ko) 관로의 분기관 연결구
JP5566668B2 (ja) 管継手
KR200401637Y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20070100089A (ko) 유체이송관의 연결관 접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