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480B1 - 다구경 배관연결관 - Google Patents

다구경 배관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480B1
KR101154480B1 KR1020110064496A KR20110064496A KR101154480B1 KR 101154480 B1 KR101154480 B1 KR 101154480B1 KR 1020110064496 A KR1020110064496 A KR 1020110064496A KR 20110064496 A KR20110064496 A KR 20110064496A KR 101154480 B1 KR101154480 B1 KR 101154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let
branch
diameter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주
유경열
조문호
Original Assignee
(주)대진지피아이
주식회사 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진지피아이, 주식회사 고리 filed Critical (주)대진지피아이
Priority to KR1020110064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0Adhesive or cemented joints
    • F16L13/103Adhesiv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구경 배관연결관으로서, 1개의 인입구와 다수개의 배출구가 결합되어 있는 연결관으로, 각각 구경이 다른 다수개의 배관용 파이프를 연결하여 분기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내측에 걸림턱(12)이 형성되는 인입구(10)와 상기 인입구(1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내측에 걸림턱(22)이 형성되는 제1분기구(20)와 상기 인입구(10)와 제1분기구(20)의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에 걸림턱(32)이 형성되는 제2분기구(30) 및 상기 인입구(10)와 제1분기구(20)를 연결해주고, 일측에 제2분기구(30)가 결합되는 경사면(4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인입구(10)와 배관용파이프를 결합한 두께(T)와 제1분기구(20)와 배관용파이프를 결합한 두께(T) 및 제2분기구(30)와 배관용파이프를 결합한 두께(T)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다구경 배관연결관{MULTI HOLE PIPE CONNECTOR}
본 발명은 다구경 배관연결관으로서, 1개의 인입구와 다수개의 배출구가 결합되어 있는 연결관으로, 각각 구경이 다른 다수개의 배관용 파이프를 연결하여 분기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통상적인 배관연결관의 경우 배관연결을 위한 다수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배관연결관은 두 개의 배관용 파이프의 일측 단부를 내삽하는 형태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배관용 파이프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직선형태 또는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곡관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이러한 단순 연결관 이외에 분기를 위한 분기용 연결관도 사용되는데, 동일한 구경의 다수개의 배관을 각각 연결해주는 형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기용연결관의 경우 동일한 구경의 배관을 연결해주는 역할하기 때문에, 구경이 상이한 배관용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결합부재가 더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28446호(티이음쇠)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티이음쇠는 유입구와 배출구와 분기구를 갖는 티이음쇠로서, 유입구와 배출구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티이음쇠의 경우, 단순히 유입구와 배출구 및 분기구의 크기만을 다르게 형성하게 되어, 내용물이 고압으로 유동되어야 하는 경우, 그 압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배관용 파이프와 연결관 내측단부의 단차로 인하여 내용물의 유동에 방해가 되어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데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배관용 파이프와 연결관을 결합할 때, 접착제가 연결관의 내부로 과도하게 유입되어 시공 후, 접착제 잔여물이 연결관의 내부에 달라붙어 액체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또는 접착제 잔유물이 액체 섞여 배출되므로 위생상에도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관에 단차를 두지 않고 경사를 둠으로써 인입구와 다수개의 분기구가 결합되는 된 배관의 내경이 동일하도록 하여 인입구와 다수개의 분기구가 결합된 배관연결관이 결합되었을 때, 내경의 직경을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고압의 유체가 유입되어도 단차 등을 갖지 아니하므로 관 전체에 압력이 균일하게 전달되어 배관의 연결부가 파손되거나, 내용물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구경 배관연결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시 배관용 파이프를 결합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연결부위에 도한 접착제의 도포로 인하여 파이프를 연결관에 결합시 접착제가 배어나와 배관 내에 엉겨붙어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또는 접착제의 잔유물이 유체에 섞여나오는 것을 방지히기 위하여 연결되는 배관의 양쪽에 접착제 유입방지홈 및 접착제 유출방지홈을 갖는 배관연결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구경 배관연결관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측에 걸림턱(12)이 형성되는 인입구(10)와 상기 인입구(1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내측에 걸림턱(22)이 형성되는 제1분기구(20)와 상기 인입구(10)와 제1분기구(20)의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에 걸림턱(32)이 형성되는 제2분기구(30) 및 상기 인입구(10)와 제1분기구(20)를 연결해주고, 일측에 제2분기구(30)가 결합되는 경사면(4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인입구(10)와 배관용파이프를 결합한 두께(T)와 제1분기구(20)와 배관용파이프를 결합한 두께(T) 및 제2분기구(30)와 배관용파이프를 결합한 두께(T)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분기구(20)는 인입구(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10)와 제1분기구(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분기구(30)는 제1분기구(2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10)의 입구측 내주면에 접착제유출방지홈(11)과 제1분기구(20)의 입구측 내주면에 접착제유출방지홈(21) 및 제2분기구(30)의 입구측 내주면에 접착제유출방지홈(31)이 각각 더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10)의 걸림턱(12)의 일측에 접착제유입방지홈(13)과 제1분기구(20)의 걸림턱(22)의 일측에 접착제유입방지홈(23) 및 제2분기구(30)의 걸림턱(32)의 일측에 접착제유입방지홈(33)이 또한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입구(10)의 걸림턱(12)과 제1분기구(20)의 걸림턱(22) 및 제2분기구(30)의 걸림턱(32)의 두께는 배관용파이프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다구경 배관연결관을 제공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구경 배관연결관을 제공함으로써, 다수개의 배관용 파이프로 내용물을 분기할 때에 인입구로 공급되는 내용물이 고압으로 유입될 경우 연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며, 배관용 파이프를 결합하기 위해 도포되는 접착제가 연결관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유출되어 시공 후, 접착제 잔여물이 존재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구경 배관연결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구경 배관연결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구경 배관연결관의 사용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구경 배관연결관의 실시예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구경 배관연결관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구경 배관연결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구경 배관연결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구경 배관연결관의 사용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구경 배관연결관은 인입구(10)와 상기 인입구(10)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기구(20, 30)로 형성된다.
상기 분기구(20, 30)는 인입구(1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제1분기구(20)와 상기 제1분기구(20)와 인입구(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분기구(30)로 구성되는데, 상기 인입구(10)와 제1분기구(20) 및 제2분기구(30)의 내측에는 배관용파이프(2)가 내삽될 때, 일정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12, 22, 3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걸림턱(12, 22, 32)의 일측에는 접착제가 배관용파이프(2)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착제유입방지홈(13, 23, 33)이 형성된다. 이는 배관용파이프(2)의 일측단부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인입구(10) 또는 제1분기구(20) 및 제2분기구(30)에 내삽할 때, 접착제가 걸림턱(12, 22, 32)을 넘어 연결관 내부로 유입될 경우 접착제유입방지홈(13, 23, 33)에 담지됨으로써 시공 후 접착제 잔여물이 연결관 내부에 잔존하여 내용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입구(10)와 제1분기구(20) 및 제2분기구(30)의 입구측 내주면에 접착제유출방지홈(11, 21, 31)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접착제유출방지홈(11, 21, 31)에 배관용파이프(2)의 외주면에 일측에 도포된 접착제가 연결관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시공시 접착제를 도포한 배관용파이프(2)를 연결관의 내측으로 내삽하게 되면 연결관의 외부로 접착제가 유출되기도 하는데, 이럴경우 시공후 접착제 잔여물이 존재하여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제가 배관용파이프(2)의 외주면 및 인입구(10) 및 각각의 분기구(20, 30)의 내주면에 도포된 후 남는 경우 접착제유출방지홈(11, 21, 31)에 담지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접착제유입방지홈(13, 23, 33) 및 접착제유출방지홈(11, 21, 31)에 유입되는 접착제는 경화 후 수밀을 유지하는 링형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시공시 접착제가 부족하게 도포되어 인입구(10) 또는 제1분기구(20) 및 제2분기구(30)의 내주면이 밀착되지 않을 경우에도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인입구(10)와 제1분기구(20) 및 제2분기구(30)는 각각 배관용파이프(2)가 결합되었을 때, 그 두께가 일정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입구(10)에 배관용파이프(2)가 결합된 후 인입구(10)와 배관용파이프(2)의 두께를 합한 두께(T)는 제1분기구(20)와 배관용파이프(2)를 합한 두께(T) 및 제2분기구(30)와 배관용파이프(2)를 합한 두께(T)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10)와 제1분기구(20)는 그 직경이 상이함으로, 경사면(4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40)은 인입구(10)의 직경이 제1분기구(20)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인입구(10)에서 제1분기구(20) 방향으로 향할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사면(40)의 두께(T) 또한, 앞서 설명한 인입구(10)와 배관용파이프가 결합된 후의 두께(T)와 제1분기구(20)와 배관용파이프가 결합된 후의 두께(T) 및 제2분기구(30)와 배관용파이프가 결합된 후의 두께(T)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시공을 위해 배관용파이프(2)를 결합한 후에 연결관의 전체적인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고압의 내용물이 유동될 때, 연결관에 가해지는 압력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연결관의 특정부위에 압력이 편중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인입구(10)와 제1분기구(20) 및 제2분기구(30)의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턱(12, 22, 32)은 내삽되는 배관용파이프(2)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시공 후 배관용파이프(2)와 연결관의 내부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아 내용물이 유동될 때, 저항없이 이송되는 것이다.
이러한 형상 또한 고압의 내용물이 이송될 때, 연결관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항성을 감소시켜 시공 후 연결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보다 정밀한 이송을 요하는 배관망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구경 배관연결관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구경 배관연결관은 다수개의 배관으로 형성되는 배관망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관망은 다양한 직경의 배관용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로 수도배관망 또는 소방용수 등의 배관망을 말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직경의 배관용파이프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배관망은 다수개의 배관용파이프(2)를 각각 연결관(1)에 결합하여 배관망을 완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다구경 배관연결관의 인입구(10)에 대구경의 배관용파이프가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되고, 소구경의 분기구(20, 30)에 각각 직경이 상이한 배관용파이프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배관용파이프를 연결관을 이용하여 연동하여 다양한 배관망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 : 인입구 11 : 접착제유출방지홈
12 : 걸림턱 13 : 접착제유입방지홈
20 : 제1분기구 21 : 접착제유출방지홈
22 : 걸림턱 23 : 접착제유입방지홈
30 : 제2분기구 31 : 접착제유출방지홈
32 : 걸림턱 33 : 접착제유입방지홈
40 : 경사면

Claims (6)

  1. 내측에 걸림턱(12)이 형성되는 인입구(10)와 상기 인입구(1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내측에 걸림턱(22)이 형성되는 제1분기구(20), 상기 인입구(10)와 제1분기구(20)의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에 걸림턱(32)이 형성되는 제2분기구(30)가 결합된 다구경 배관연결관에 있어서,
    연결구의 외경에 경사를 두어 상기 인입구(10), 제1분기구(20) 및 제2분기구(30)와 배관용파이프가 결합한 부분이 동일한 두께(T)를 가지며, 또한, 상기 인입구(10), 제1분기구(20) 및 제2분기구(30)의 내주면에는 접착제 유출 방지홈(11), (21), (31) 및 접착제 유입방지홈(13), (23), (33)을 갖고,
    상기 제1분기구(20)는 인입구(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10)와 제1분기구(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분기구(30)는 제1분기구(2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구경 배관연결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구(10)의 걸림턱(12)과 제1분기구(20)의 걸림턱(22) 및 제2분기구(30)의 걸림턱(32)의 두께는 배관용파이프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구경 배관연결관.
KR1020110064496A 2011-06-30 2011-06-30 다구경 배관연결관 KR101154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496A KR101154480B1 (ko) 2011-06-30 2011-06-30 다구경 배관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496A KR101154480B1 (ko) 2011-06-30 2011-06-30 다구경 배관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480B1 true KR101154480B1 (ko) 2012-06-13

Family

ID=4660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496A KR101154480B1 (ko) 2011-06-30 2011-06-30 다구경 배관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4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955U (ko) * 2016-02-15 2017-08-23 (주) 신한메탈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KR20170004412U (ko) * 2016-06-20 2017-12-29 주식회사 디엠에스 플렉시블 배관 연결 시스템
KR102178715B1 (ko) * 2020-03-12 2020-11-13 주식회사 정산애강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KR102612949B1 (ko) 2023-04-11 2023-12-12 장순집 손쉬운 시공구조를 포함하는 배수관용 t소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348Y1 (ko) 2004-06-18 2004-09-16 김종한 조립형 이음관
KR20060123189A (ko) * 2003-11-25 2006-12-01 페트로 테크닉 리미티드 파이프와 벽 사이의 연결체
KR20090002986U (ko) * 2007-09-20 2009-03-25 강회구 가스관용 연결관의 이음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3189A (ko) * 2003-11-25 2006-12-01 페트로 테크닉 리미티드 파이프와 벽 사이의 연결체
KR200362348Y1 (ko) 2004-06-18 2004-09-16 김종한 조립형 이음관
KR20090002986U (ko) * 2007-09-20 2009-03-25 강회구 가스관용 연결관의 이음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955U (ko) * 2016-02-15 2017-08-23 (주) 신한메탈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KR200484563Y1 (ko) * 2016-02-15 2017-10-10 (주) 신한메탈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KR20170004412U (ko) * 2016-06-20 2017-12-29 주식회사 디엠에스 플렉시블 배관 연결 시스템
KR200487736Y1 (ko) * 2016-06-20 2018-10-29 주식회사 디엠에스 습식처리장치
KR102178715B1 (ko) * 2020-03-12 2020-11-13 주식회사 정산애강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KR102612949B1 (ko) 2023-04-11 2023-12-12 장순집 손쉬운 시공구조를 포함하는 배수관용 t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280Y1 (ko) 분기용 배관
KR101154480B1 (ko) 다구경 배관연결관
TWI570346B (zh) 用於管之夾緊接頭
US20050067833A1 (en) Pipe coupling for joining pipes of varying diameters
US9644351B2 (en) Inlet water pipe
WO2005052425A3 (en) Quick connect and quick disconnect plumbing apparatus
DK2592191T3 (en) PIPE CONNECTED ELEMENT
US20090256348A1 (en) Multi-attachment fitting
MX2023004741A (es) Acoplador de tubo con espiga con ranura para agente adhesivo.
US20160076688A1 (en) Tee fitting
CN216555895U (zh) 流体分配装置
GB2549903A (en) Method and assembly for transferring fluids between a first vessel and a second vessel
JP7225772B2 (ja) 液体移送装置
KR200322686Y1 (ko)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
KR101339840B1 (ko) 관 연결구
KR100831560B1 (ko) 배관용 관이음 장치
GB2535741A (en) Pipe coupling for multilayer pipes
KR102417758B1 (ko) 스크류 결합구조를 갖는 호스 커넥팅 어셈블리
CN215806504U (zh) 一种三功能恒温阀体
SK8633Y1 (sk) Spojovací mechanizmus
US201502475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a piping system
CN218494435U (zh) 一种能同时连接两条管道的接头装置
CN211037159U (zh) 一种建筑的水路管道系统
US11313474B2 (en) Adapter for connecting tubing with push-fit fittings
CN210318985U (zh) 一种低阻三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