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715B1 -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715B1
KR102178715B1 KR1020200030507A KR20200030507A KR102178715B1 KR 102178715 B1 KR102178715 B1 KR 102178715B1 KR 1020200030507 A KR1020200030507 A KR 1020200030507A KR 20200030507 A KR20200030507 A KR 20200030507A KR 102178715 B1 KR102178715 B1 KR 102178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pansion
housing
ring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산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산애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산애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산애강
Priority to KR1020200030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7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09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telescopic or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corrug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2Joints for pipes being spaced apart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의 천장에 설치되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살수시키는 헤드가 고정되는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로서, 단부 외면에 판면이 복수로 절곡되어 외측으로 직경이 확장된 상태로 중첩됨으로써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신축배관과; 상기 걸림턱과 근접한 위치의 상기 신축배관의 외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오링과; 상기 신축배관의 단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중앙에 상기 신축배관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과 상기 걸림턱이 단부의 내면으로 삽입되도록 단부 내면에 수용홈이 함몰 형성된 관상의 하우징과; 상기 신축배관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외면에 체결되어 상기 오링을 가압하는 캡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를 제시함으로써, 내부 점검 및 수리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신축배관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유지 보수 비용 및 시공 비용 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JOINING STRUCTURE OF FLECXIBLE PIPE FOR FIREFIGHTING}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 고층화되고, 대형화됨에 따라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할 때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는 화재진압기구를 다양하게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화재진압기구가 점차적으로 실용화되고 대중화되면서 건물의 각층의 천정부위에서 고압의 물을 급수하여 살포하므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스프링쿨러가 의무적으로 건물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쿨러를 설치하기 위하여서는 천장의 내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주급수관을 설치하고, 이주급수관에 다수의 분지급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스프링쿨러를 결합하여 화재가 발생한 부분에 용수를 집중적으로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분지급수관과 스프링쿨러(Sprinkler)를 연결하여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플렉시블하게 구부려지고 금속재로 제작한 플렉시블조인트(Flexible Joint)가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조인트는 플렉시블하게 구부려지도록 하기 위하여 외주면을 나선형상으로 주름져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조인트의 일단부에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고정되는 레듀샤라고 하는 연결관이 있으며, 이 레듀샤를 플렉시블조인트의 일단부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연결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결장치는 레듀샤를 견고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파이프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조인트의 일단부를 확관하여 연결장치를 연결하는 구조의 경우에는 플렉시블조인트와 연결장치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상시에 플렉시블조인트와 연결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할 뿐만 아니라 내부의 점검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플렉시블조인트와 연결장치를 너트 조립 방식으로 연결하는 구조의 경우에는 너트의 체결력에 따라 누수가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너트를 고정하기 하기 위한 본트 접합 방식으로 인하여 손상이 발생시에 마찬가지로 플렉시블조인트와 연결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스프링클러의 헤드가 설치되는 높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높임과 동시에 스프링클러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건물의 배관 작업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내부의 천장에 설치되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살수시키는 헤드가 고정되는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로서, 단부 외면에 판면이 복수로 절곡되어 외측으로 직경이 확장된 상태로 중첩됨으로써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신축배관과; 상기 걸림턱과 근접한 위치의 상기 신축배관의 외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오링과; 상기 신축배관의 단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중앙에 상기 신축배관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과 상기 걸림턱이 단부의 내면으로 삽입되도록 단부 내면에 수용홈이 함몰 형성된 관상의 하우징과; 상기 신축배관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외면에 체결되어 상기 오링을 가압하는 캡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오링은 상기 걸림턱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턱 양측의 상기 신축배관 외면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링은 상기 걸림턱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턱의 좌측이나 우측 중 어느 한 곳의 상기 신축배관 외면에 단일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과 상기 오링 사이의 상기 신축배관 외면에는 고리 형상의 와셔링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내측 중앙 영역에는 상기 헤드를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연결시에 사용되는 접착재가 상기 신축배관 측으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 돌출 형성되는 접착재 유입 방지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캡부재의 내측 판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가 일정 깊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가 삽입되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은 상기 헤드의 단부가 걸리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헤드가 삽입되는 상기 하우징의 입구측 내면에는 상기 헤드를 초기 삽입시에 걸림을 방지하는 테이퍼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캡부재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신축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신축부재의 외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신축부재의 꺾임을 방지하는 꺾임방지부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재의 종단면이 정십이각 형상으로 갖도록 상기 캡부재의 외면은 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 점검 및 수리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신축배관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유지 보수 비용 및 시공 비용 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프링클러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건물의 배관 작업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과 캡부재를 합성수지와 같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화재시에 고온이 스프링클러 측으로 가해지더라도 하우징과 캡부재 사이에 온도 편차에 따른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긴밀하게 기밀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는 건물 내부의 천장에 설치되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살수시키는 헤드가 고정되는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로서, 단부 외면에 판면이 복수로 절곡되어 외측으로 직경이 확장된 상태로 중첩됨으로써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110)이 형성된 신축배관(100)과; 상기 걸림턱(110)과 근접한 위치의 상기 신축배관(100)의 외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오링(200)과; 상기 신축배관(100)의 단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중앙에 상기 신축배관(100)이 삽입되는 중공(310)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200)과 상기 걸림턱(110)이 단부의 내면으로 삽입되도록 단부 내면에 수용홈(320)이 함몰 형성된 관상의 하우징(300)과; 상기 신축배관(100)과 상기 하우징(300)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상기 하우징(300)의 상기 수용홈(320)이 형성된 외면에 체결되어 상기 오링(200)을 가압하는 캡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00)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캡부재(400)의 내측 판면에는 상기 하우징(300)의 단부가 일정 깊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캡부재(400)의 내측 판면이 상기 오링(200)과 접촉되어 상기 오링(200)을 상기 하우징(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압할 수 있는 삽입홈(410)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축부재(100)는 일정 길이와 직경을 갖는 관상의 부재로서 그 단부는 하우징(3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신축부재(100)의 단부에 하우징(300)의 배치되도록 하고 스프링클러의 헤드가 하우징(3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신축부재(100)는 스크링클러의 헤드가 배치되는 위치나 방향에 따라 원하는 방향 및 위치로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도록 신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재질이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신축부재(100)의 단부 영역 외면에는 하우징(300)이 신축부재(100)의 단부에 연결시에 기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링(20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오링(200)이 신축부재(100)의 단부 외면에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110)이 구비되어 있다.
걸림턱(110)은 신축부재(100)의 판면 자체를 복수로 절곡시키고 상호 중첩되도록 배치하여 신축부재(100)의 직경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확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이고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링(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축부재(100)의 단부 영역에 하우징(300)을 연결시에 신축부재(100)와 하우징(300) 사이의 틈으로 물이 유출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신축부재(100)의 외면과 하우징(300)의 내면 사이에 게재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오링(200)은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힘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함과 동시에 원형상의 단면이므로 신축부재(100)의 외면에 설치시에 오링(200)을 회전시키면서 구름 마찰이 발생되어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의 경우에 오링(200)은 상기 걸림턱(110)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턱(110) 양측의 상기 신축배관(100) 외면에 복수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오링(200)이 신축배관(100) 외면에 형성된 걸림턱(110)을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된 경우에는 이중으로 수분의 유출을 차단하기 때문에 기밀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의 경우에 오링(200)은 상기 걸림턱(110)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턱(110)의 좌측의 상기 신축배관(100) 외면에 단일개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오링(200)이 걸림턱(110) 좌측의 신축배관(100)의 외면에 단일개로 구비되는경우에는 신축배관(100)의 외면에 삽입되어 있는 캡부재(400)가 오링(200)과 접촉되도록 하여 초기 위치를 세팅한 상태에서 캡부재(400)를 하우징(300)의 외면에 체결하는 동작만으로도 신축배관(100)과 하우징(300)이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의 경우에 오링(200)은 상기 걸림턱(110)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턱(110)의 우측의 상기 신축배관(100) 외면에 단일개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오링(200)이 걸림턱(110) 우측의 신축배관(100)의 외면에 단일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신축배관(100)의 외면에 구비된 오링(200)이 하우징(300) 내면의 턱에 걸리도록 신축배관(100)을 하우징(300)의 내부로 삽입하여 초기 위치를 세팅한 상태에서 캡부재(400)를 하우징(300)의 외면에 체결하는 동작만으로도 신축배관(100)과 하우징(300)이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200)이 걸림턱(110)을 기준으로 좌측이나 우측에 단일개로 구비된 경우에는 신축배관(100)과 하우징(300)을 연결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5, 6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의 경우에는 걸림턱(110)과 오링(200) 사이의 신축배관(100) 외면에는 고리 형상의 와셔링(210)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걸림턱(110)과 오링(200) 사이의 신축배관(100) 외면에 와셔링(210)이 각각 설치된 경우에는 오링(200)이 설치된 후에 장시간이 경과하여 오링(200)을 교체시에 오링(200)이 걸림턱(110)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눌러붙지 않기 때문에 오링(200)의 교체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하우징(300)은 신축배관(100)의 단부 영역에 연결되어 스프링클러의 헤드가 하우징(300)의 단부에 체결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신축배관(100)과 스프링클러의 헤드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우징(300)은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며, 캡부재(4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화재시에 열기가 가해지더라도 하우징(300)과 캡부재(400) 동일하게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우징(300)의 내측 중앙 영역에는 상기 헤드를 하우징(300)의 단부에 연결시에 사용되는 접착재가 신축배관(100) 측으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 돌출 형성되는 접착재 유입 방지턱(330)이 구비되어 있다.
접착재 유입 방지턱(330)이 하우징(30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접착재가 신축배관(100) 측으로 유입됨을 방지하여 접착재가 신축배관(100)과 하우징(300) 사이로 침투하여 신축배관(100)과 하우징(300)이 상호 부착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가 삽입되는 하우징(300)의 내면은 상기 헤드의 단부가 걸리도록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헤드가 견고하게 하우징(300)과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가 삽입되는 하우징(300)의 입구측 내면에는 상기 헤드를 초기 삽입시에 걸림을 방지하는 테이퍼면(340)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신속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캡부재(400)는 하우징(300)의 단부 외면에 삽입되어 하우징(300)이 오링(200) 측으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300)이 신축배관(100)의 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300)의 단부와 접촉되는 캡부재(400)의 내측 판면에는 하우징(300)의 단부가 일정 깊이 삽입되는 삽입홈(410)이 함몰 형성됨으로써 캡부재(400)를 하우징(300)에 체결 완료시에 하우징(30)의 단부가 삽입홈(410)에 삽입되기 때문에 캡부재(400)의 유동이 발생함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신축부재(100)가 삽입되는 캡부재(400)의 중앙 영역에는 신축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신축부재(100)의 외면과 접촉됨으로써 신축부재(100)의 꺾임을 방지하는 꺾임방지부재(42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꺾임방지부재(420)는 캡부재(420) 내측으로도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신축부재(100)의 외면과 접촉되는 영역을 최대로 확보하여 시공시 외력에 의하여 신축부재(100)가 임의로 꺾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캡부재(400)의 종단면이 다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여 하우징(300)을 신축부재(100)의 단부에 연결시에 렌치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캡부재(400)를 조임시에 힘이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의 캡부재(400)의 경우에는 정십이각 형상으로 갖도록 캡부재(400)의 외면이 각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를 시공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신축부재(100)의 외면에 캡부재(400)를 삽입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신축부재(100)의 걸림턱(110)의 양측이나 일측에 오링(200)을 삽입하여 오링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우징(300)을 신축부재(100)의 단부에서 삽입하여 걸림턱(110)에 하우징(300)의 내부에 형성된 턱이 걸리도록 하고, 캡부재(400)를 하우징(300)의 단부에 체결함으로써 신축부재(100)의 단부에 하우징(300)의 설치가 완료되도록 한다.
그 후, 천정의 내부에 설치된 급수관과 신축부재(100)를 연결하여 급수관에서 신축부재(100) 측으로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후에, 천정의 패널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의 헤드를 설치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신축부재(100)의 굴곡을 조절한 후에 스프링클러의 헤드를 천정에 설치함으로써 시공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는 스프링클러의 헤드가 설치되는 높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높임과 동시에 스프링클러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건물의 배관 작업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신축배관 110 : 걸림턱
200 : 오링 210 : 와셔링
300 : 하우징 310 : 중공
320 : 수용홈 330 : 접착재 유입 방지턱
340 : 테이퍼면 400 : 캡부재
410 : 삽입홈 420 : 꺾임방지부재

Claims (10)

  1. 건물 내부의 천장에 설치되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살수시키는 헤드가 고정되는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로서,
    단부 외면에 판면이 복수로 절곡되어 외측으로 직경이 확장된 상태로 중첩됨으로써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110)이 형성된 신축배관(100)과;
    상기 걸림턱(110)과 근접한 위치의 상기 신축배관(100)의 외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오링(200)과;
    상기 신축배관(100)의 단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중앙에 상기 신축배관(100)이 삽입되는 중공(310)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200)과 상기 걸림턱(110)이 단부의 내면으로 삽입되도록 단부 내면에 수용홈(320)이 함몰 형성된 관상의 하우징(300)과;
    상기 신축배관(100)과 상기 하우징(300)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상기 하우징(300)의 상기 수용홈(320)이 형성된 외면에 체결되어 상기 오링(200)을 가압하는 캡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00)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캡부재(400)의 내측 판면에는 상기 하우징(300)의 단부가 일정 깊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캡부재(400)의 내측 판면이 상기 오링(200)과 접촉되어 상기 오링(200)을 상기 하우징(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압할 수 있는 삽입홈(410)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200)은 상기 걸림턱(110)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턱(110) 양측의 상기 신축배관(100) 외면에 복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200)은 상기 걸림턱(110)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턱(110)의 좌측이나 우측 중 어느 한 곳의 상기 신축배관(100) 외면에 단일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10)과 상기 오링(200) 사이의 상기 신축배관(100) 외면에는 고리 형상의 와셔링(2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 중앙 영역에는 상기 헤드를 상기 하우징(300)의 단부에 연결시에 사용되는 접착재가 상기 신축배관(100) 측으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 돌출 형성되는 접착재 유입 방지턱(3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가 삽입되는 상기 하우징(300)의 내면은 상기 헤드의 단부가 걸리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가 삽입되는 상기 하우징(300)의 입구측 내면에는 상기 헤드를 초기 삽입시에 걸림을 방지하는 테이퍼면(340)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배관(100)이 삽입되는 상기 캡부재(400)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신축배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신축배관(100)의 외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신축배관(100)의 꺾임을 방지하는 꺾임방지부재(42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400)의 종단면이 정십이각 형상으로 갖도록 상기 캡부재(400)의 외면은 각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KR1020200030507A 2020-03-12 2020-03-12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KR102178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507A KR102178715B1 (ko) 2020-03-12 2020-03-12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507A KR102178715B1 (ko) 2020-03-12 2020-03-12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715B1 true KR102178715B1 (ko) 2020-11-13

Family

ID=7339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507A KR102178715B1 (ko) 2020-03-12 2020-03-12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7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760Y1 (ko) * 2003-10-20 2004-01-24 주식회사 파세코 급수호스 꺾임 방지 구조
KR101154480B1 (ko) * 2011-06-30 2012-06-13 (주)대진지피아이 다구경 배관연결관
KR20170128761A (ko) * 2017-06-08 2017-11-23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개선된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KR20180030958A (ko) * 2016-08-29 2018-03-27 주식회사 정산애강 파이프 연결구
KR20190030147A (ko) * 2017-09-13 2019-03-21 김환영 소방용 스프링쿨러 신축 배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760Y1 (ko) * 2003-10-20 2004-01-24 주식회사 파세코 급수호스 꺾임 방지 구조
KR101154480B1 (ko) * 2011-06-30 2012-06-13 (주)대진지피아이 다구경 배관연결관
KR20180030958A (ko) * 2016-08-29 2018-03-27 주식회사 정산애강 파이프 연결구
KR20170128761A (ko) * 2017-06-08 2017-11-23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개선된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KR20190030147A (ko) * 2017-09-13 2019-03-21 김환영 소방용 스프링쿨러 신축 배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894B1 (ko)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 조립체
JP2007500324A (ja) フランジを用いた管継手装置
KR102178715B1 (ko)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KR20200008419A (ko) 건축물 화재진압 소방장치
KR102177888B1 (ko)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KR0118091Y1 (ko) 스프링쿨러용 플렉시블 조인트
KR101712144B1 (ko) 소방용 플렉시블 조인트
KR0117170Y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배관장치
KR101778100B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JP4671645B2 (ja) 離脱防止管継手
KR102155643B1 (ko)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KR101797894B1 (ko)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 조립체
KR20170129573A (ko) 배관 결속용 구조체
KR101917607B1 (ko) 소방용 배관
KR20190030147A (ko) 소방용 스프링쿨러 신축 배관 연결장치
KR20210002784A (ko) 티조인트를 이용한 배관연결구조
KR102666339B1 (ko) 무용접 플렉시블 조인트 장치
KR102153558B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JP6074539B1 (ja) 遮音カバーの取付け方法
KR101904290B1 (ko) 콜렛척 타입의 조립구조를 구비한 볼트러스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체결구조
KR102249360B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연결 소켓 조립체
JP2018183578A (ja) 消火設備用管継手
KR200335463Y1 (ko)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
KR102079010B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KR102041982B1 (ko) 스프링 클러의 헤드 몸체 연결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