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558B1 -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558B1
KR102153558B1 KR1020200011159A KR20200011159A KR102153558B1 KR 102153558 B1 KR102153558 B1 KR 102153558B1 KR 1020200011159 A KR1020200011159 A KR 1020200011159A KR 20200011159 A KR20200011159 A KR 20200011159A KR 102153558 B1 KR102153558 B1 KR 102153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contact plate
adapter
rings
install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성테크
Priority to KR1020200011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corrug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F16L35/005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에 관한 것으로, 금속 소재의 주름관과 CPVC 소재의 어댑터 간에 양호한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관은 주름관을 중심으로 일단부에 후레아 너트가 설치되고 타단부에 어댑터 모듈이 설치된다. 어댑터 모듈은 CPVC 소재의 어댑터, 복수의 오-링 및 밀착판을 포함한다. 어댑터의 설치구멍에 복수의 오-링이 개재된 주름관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밀착판이 원터치로 설치구멍에 삽입되어 복수의 오-링을 밀착하고 밀착한 상태로 설치구멍 내에 고정됨으로써, 밀착력이 향상된 복수의 오-링을 매개로 어댑터와 주름관 간에 양호한 기밀성을 제공하여 어댑터와 주름관의 계면을 통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Flexible joint pipe for sprinkler}
본 발명은 소방용 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클러가 설치되는 금속 배관과 CPVC(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소재의 부급수관을 연결하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sprinkler)는 실내에 설치되는 소화설비의 하나로서, 공급되는 물을 분산하여 뿌려주어 발화 초기에 화재를 소화하는 자동소화설비이다. 즉 스프링클러는 건물 내의 천장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물을 분무하여 소화에 도움을 주는 설비이다.
스프링클러는 천장에 다음과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용수를 공급하는 주급수관이 천장에 내부에 설치되고, 천장에 설치될 다수의 스플링클러로 각각 용수를 전달하는 다수의 부급수관이 주급수관에서 분기된다. 그리고 연결관은 부급수관과 스프링클러를 연결한다.
연결관으로는 부급수관과 스프링클러의 위치에 따라서 유연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금속재로 제조된 플렉서블 배관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플렉서블 배관은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주름진 주름관을 포함한다. 주름관의 일단부에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고정되는 레듀셔 나 엘보우를 연결하는 후레아 너트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주름관의 타단부에는 부급수관이 연결되는 어댑터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주름관으로는 금속배관이 사용되고, 부급수관으로는 CPVC 소재의 배관이 이용되고 있다. 소재가 상이한 주름관과 부급수관 사이의 누수를 억제하기 위해서, 어댑터로는 부급수관과 소재가 동일한 CPVC 소재의 어댑터가 이용되고 있다. 더불어 CPVC 어댑터가 연결되는 주름관의 타단부에 흐름방지부 또는 확관부를 형성하거나, 복수의 오-링을 개재하여 사용하는 구조가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어댑터와 부급수관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에 충분한 밀착력이 제공되지 못하기 때문에, 어댑터와 주름관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사례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93806호 (2019.06.27.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댑터와 주름관 사이에 개재된 오-링에 충분한 밀착력을 제공하여 어댑터와 주름관 사이를 통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에 반대되는 타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단부에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접힌 절첩부를 구비하는 주름관; 상기 주름관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스프링클러 헤드에 연결되는 레듀셔 나 엘보우를 결합시키는 후레아 너트; 및 상기 주름관의 타단부에 설치되며, CPVC 소재의 부급수관을 연결하는 어댑터 모듈;을 포함하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을 제공한다.
상기 어댑터 모듈은, 상기 주름관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설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치구멍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주름관의 타단부 및 오-링을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턱 위에 불연속적으로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CPVC 소재의 어댑터; 상기 주름관의 타단부의 외주면에 삽입되되, 상기 절첩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삽입되는 복수의 오-링; 및 상기 설치구멍을 통하여 상기 주름관 타단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원터치로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에 고정되어 상기 복수의 오-링에 대해 밀착력을 증가시켜 상기 어댑터와 상기 주름관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링 형상의 밀착판;을 포함한다.
상기 밀착판은, 외주면에서 안쪽으로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삽입홈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를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오-링을 밀착한 후 돌려서 상기 복수의 삽입홈 사이의 상부면이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복수의 오-링에 대한 밀착력을 증가시켜 상기 어댑터와 상기 주름관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한다.
상기 어댑터의 설치구멍은, 상기 주름관의 타단부, 상기 복수의 오-링 및 상기 밀착판이 삽입되는 제1 설치구멍과, 상기 제1 설치구멍의 바닥면에서 안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설치구멍에 삽입된 주름관이 삽입되어 돌출되는 제2 설치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설치구멍 외측의 상기 제1 설치구멍의 바닥면 부분이 상기 지지턱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턱 위의 상기 제1 설치구멍의 내측면에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는 상기 제1 설치구멍의 중심에 대해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밀착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밀착판의 상부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밀착판의 상부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판은, 상기 삽입홈의 길이보다 상기 삽입홈 사이의 길이가 더 길다.
상기 밀착판은, 상기 복수의 삽입홈 사이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면으로 이동한 상기 고정돌기의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홈은 상기 밀착판의 상부면에서 아래로 사각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관의 절첩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하나의 오-링이 개재된다. 상기 복수의 오-링은, 상기 절첩부와 상기 지지턱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오-링; 및 상기 절첩부와 상기 밀착판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오-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 아래에 끼워진 상기 밀착판과 상기 지지턱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및 제2 오-링에 밀착력이 작용하여 상기 주름관과 어댑터 간의 기밀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댑터의 설치구멍에 복수의 오-링이 삽입된 주름관의 일단부를 설치구멍의 지지턱에 걸어 지지한 상태에서, 설치구멍으로 링 형상의 밀착판을 삽입하여 오-링을 지지턱 쪽으로 밀착한 후 회전시켜 설치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밀착판을 고정함으로써, 오-링에 충분한 밀착력을 인가하여 어댑터와 주름관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어댑터와 주름관의 계면을 통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밀착판으로 오-링을 밀착한 후 회전시켜 오-링을 누르고 있는 밀착판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는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게 오-링을 매개로 한 어댑터와 주름관 사이에 양호한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밀착판 위에 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회전방지홈을 형성함으로써, 밀착판이 밀착하고 있는 오-링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오-링의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밀착판의 회전방지홈에 고정돌기가 삽입되면, 복수의 오-링에 의해 작용하는 밀착력에 의해 밀착판의 상부면에서 고정돌기 쪽으로 힘이 작용하고, 회전방지홈이 형성하는 턱에 고정돌기가 걸려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회전방지홈으로부터 고정돌기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밀착판이 복수의 오-링을 밀착하고 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누름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관에 있어서, 주름관의 타단부에 어댑터 모듈을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부분 절개 도면들로서,
도 5는 어댑터에 오-링이 개재된 주름관의 타단부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어댑터에 밀착판을 삽입하여 오-링을 누르는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밀착판을 회전시켜 고정돌기에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주름관에 확관부를 형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100; 이하 '플렉서블 배관'이라 함)은 부급수관(80)과 스프링클러 헤드에 연결되는 레듀셔 나 엘보우 사이에 설치되어,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스프링클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관(100)은 주름관(10), 후레아 너트(30) 및 어댑터 모듈(40)을 포함한다. 주름관(10)은 일단부(13)와, 일단부(13)에 반대되는 타단부(15)를 구비하고, 타단부(15)에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접힌 절첩부(17)를 구비한다. 후레아 너트(30)는 주름관(10)의 일단부(13)에 설치되며, 스프링클러에 연결되는 레듀셔 나 엘보우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어댑터 모듈(40)은 주름관(10)의 타단부(15)에 설치되며, CPVC 소재의 부급수관(80)을 연결한다.
여기서 주름관(10)은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제작되고, 양측 말단의 일정 길이를 제외하고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스프링클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주름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주름부(11)는 주름관(10)의 외주면을 나선형상으로 굴곡지게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주름관(10)의 타단부(15)로부터 어댑터 모듈(4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절첩부(17)가 주름관(10)의 타단부(15)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주름관(10)의 일단부(13)로부터 후레아 너트(3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절첩부가 주름관(10)의 일단부(13)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첩부(17)는 주름관(10)을 벌징(bulging)으로 부풀려 주름관(10)의 외주면으로 볼록하게 돌출시킨 후 접어서 형성한다. 절첩부(17)가 형성된 주름관(10)의 타단부(15)가 제1 설치구멍(51)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면서 지지턱(55)에 지지될 수 있도록, 절첩부(17)의 외경은 제1 설치구멍(51)의 내경과 제2 설치구멍(53)의 내경 사이의 길이를 갖는다.
어댑터 모듈(40)을 절첩부(17) 쪽으로 밀었을 때, 어댑터 모듈(40)이 주름부(11) 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확관부(19)가 주름부(11)를 향하는 어댑터 모듈(40)의 뒤쪽에 형성된다. 이러한 확관부(19)는 주름관(10)을 벌징으로 부풀려 주름관(10)의 외주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확관부(19)의 외경은 제2 설치구멍(53)의 내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어댑터 모듈(40)은 주름관(10)의 타단부(15)에 기밀하게 결합된다. 어댑터 모듈(40)의 설치구멍(51,53)에 부급수관(80)이 삽입되어 접착제를 매개로 접합된다.
이러한 어댑터 모듈(40)은 CPVC 소재의 어댑터(50), 복수의 오-링(61,63) 및 밀착판(70)을 포함한다. 어댑터(50)는 주름관(10)의 타단부(15)가 삽입되는 설치구멍(51,53)이 형성되어 있고, 설치구멍(51,53)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주름관(10)의 타단부(15) 및 오-링(61,63)을 지지하는 지지턱(55)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턱(55) 위에 불연속적으로 복수의 고정돌기(57)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오-링(61,63)은 주름관(10)의 타단부(15)의 외주면에 삽입되되, 절첩부(17)를 중심으로 양쪽에 삽입된다. 그리고 링 형상의 밀착판(70)이 설치구멍(51,53)을 통하여 주름관(10) 타단부(15)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원터치로 복수의 고정돌기(57)에 고정되어 복수의 오-링(61,63)에 대해 밀착력을 증가시켜 어댑터(50)와 주름관(10)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한다.
밀착판(70)은 외주면에서 안쪽으로 복수의 고정돌기(57)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75)이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삽입홈(75)을 통하여 복수의 고정돌기(57)를 통과하여 복수의 오-링(61,63)을 가압한 후 회전시켜 복수의 삽입홈(75) 사이의 상부면(73)이 복수의 고정돌기(57)에 의해 고정되어 복수의 오-링(61,63)에 대한 밀착력을 증가시켜 어댑터(50)와 주름관(10)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한다.
어댑터(50)는 중심을 관통하는 설치구멍(51,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설치구멍(51,53)으로 주름관(10)이 삽입되어 주름관(10)의 타단부(15)에 설치된다. 설치구멍(51,53)은 직렬로 연결된 제1 설치구멍(51)과 제2 설치구멍(53)을 포함한다. 제1 설치구멍(51)은 주름관(10)의 타단부(15), 복수의 오-링(61,63) 및 밀착판(70)이 삽입된다. 그리고 제2 설치구멍(53)은 제1 설치구멍(51)의 바닥면에서 안쪽으로 형성되며 제1 설치구멍(51)에 삽입된 주름관(10)이 삽입되어 돌출된다. 이때 제1 설치구멍(51)은 제2 설치구멍(53)의 내경보다는 큰 내경을 갖는다.
제2 설치구멍(53)이 형성되는 제1 설치구멍(51)의 바닥면이 지지턱(55)을 형성한다.
복수의 고정돌기(57)는 지지턱(55) 위쪽의 제1 설치구멍(51)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고정돌기(57)와 지지턱(55) 사이의 거리는, 고정돌기(57)와 지지턱(55) 사이에 개재되는 밀착판(70)에 의해 복수의 오-링(61,63)을 밀착하여 어댑터(50)와 주름관(10) 간의 충분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된다.
이러한 복수의 고정돌기(57)는 제1 설치구멍(51)의 중심에 대해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고정돌기(57)는 제1 설치구멍(51)의 축 방향에 수직한 내측면 둘레에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고정돌기(57)는 제1 설치구멍(51)의 중심에 대해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고정돌기(57)가 제1 설치구멍(51)의 중심에 대해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예를 개시하였다.
복수의 오-링(61,63)은 주름관(10)의 절첩부(17)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하나씩 삽입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오-링(61,63)은 절첩부(17)와 지지턱(55)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오-링(61)과, 절첩부(17)와 밀착판(70)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오-링(63)을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주름관(10)의 타단부(15)에 하나의 절첩부(17)가 형성되어, 절첩부(17)를 중심으로 양쪽에 하나씩 오-링(61,63)이 개재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주름관의 타단부에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절첩부가 형성된 경우, n개의 절첩부 사이에 (n+1)개의 오-링이 개재될 수 있다. 또는 주름관의 타단부에 하나의 절첩부가 형성되더라도, 절첩부(17)를 중심으로 적어도 한 쪽에 복수 개의 오-링이 개재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고정돌기(57) 아래에 끼워진 밀착판(70)과 지지턱(55)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오-링(61,63)에 충분한 밀착력을 작용하여, 주름관(10)과 어댑터(50) 간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밀착판(70)은 주름관(10) 타단부(15)의 외주면에 삽입된 복수의 오-링(61,63)을 지지턱(55) 쪽으로 눌러 복수의 오-링(61,63)이 어댑터(50)의 내측면과 주름관(10)의 외주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밀착판(70)은 CPVC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누름판(7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분에 관통구멍(74)이 형성된 링 형상의 판이다. 밀착판(70)은 하부면(71)과, 하부면(71)에 반대되는 상부면(73)을 포함한다. 밀착판(70)은 외주면에 복수의 삽입홈(75)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면(71)은 제2 오-링(63)에 접촉되어 지지턱(55) 쪽으로 밀착력을 작용한다. 상부면(73)에는 복수의 고정돌기(57)가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도 4는 도 1의 밀착판(7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관통구멍(74)은 주름관(10)의 외주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누름판(70)의 두께는 고정돌기(57) 아래에서 복수의 오-링(61,63)이 압착될 길이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삽입홈(75)은 외주면에서 안쪽으로 형성되되, 상부면(73)에서 하부면(71) 쪽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삽입홈(75)은 고정돌기(57)가 삽입되는 삽입부(76)를 포함한다. 삽입홈(75)은 고정돌기(57)가 밀착판(70)의 회전에 의해 밀착판(70)의 상부면(73)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부(76)에 연결되어 밀착판(70)의 상부면(73)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부(77)는 삽입부(76)를 중심으로 상부면(73)을 향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경사부는 삽입부를 중심으로 상부면을 향하여 시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경사부는 삽입부를 중심으로 상부면을 향하여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밀착판(70)의 상부면(73)에 고정돌기(57)가 위치할 수 있도록, 삽입홈(75)의 길이보다 삽입홈(75) 사이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밀착판(70)의 상부면(73)으로 이동한 고정돌기(57)가 상부면(73) 위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밀착판(70)은 복수의 삽입홈(75) 사이의 상부면(73)에 형성되어 상부면(73)으로 이동한 고정돌기(57)의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회전방지홈(79)이 형성되어 있다. 즉 밀착판(70)의 상부면(73)으로 이동한 고정돌기(57)가 밀착판(70)의 회전에 의해 삽입홈(75)을 통하여 빠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상부면(73)으로 이동한 고정돌기(57)를 고정할 수 있는 회전방지홈(79)이 상부면(73)에서 하부면(71) 쪽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홈(79)에 고정돌기(57)가 삽입되면, 복수의 오-링(61,63)에 의해 작용하는 밀착력에 의해 밀착판(70)의 상부면(73)에서 고정돌기(57) 쪽으로 힘이 작용하고, 회전방지홈(79)이 형성하는 턱에 고정돌기(57)가 걸려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회전방지홈(79)으로부터 고정돌기(57)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방지홈(79)은 밀착판(70)의 상부면(73)에서 아래로 사각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관(100)에 있어서, 주름관(10)의 타단부(15)에 어댑터 모듈(40)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5는 어댑터(50)에 오-링(61,63)이 개재된 주름관(10)의 타단부(15)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어댑터(50)에 밀착판(70)을 삽입하여 오-링(61,63)을 누르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밀착판(70)을 회전시켜 고정돌기(57)에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주름관(10)에 확관부(19)를 형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50)의 설치구멍(51,53)에 복수의 오-링(61,63)이 삽입된 주름관(10)의 타단부(15)를 삽입한다. 이때 주름관(10)의 타단부(15)에는 절첩부(17)가 형성되어 있고, 절첩부(17)를 중심으로 양쪽에 제1 및 제2 오-링(61,63)이 개재되어 있다. 주름관(10)은 일단부부터 어댑터(50)의 설치구멍(51,53)에 삽입하여 타단부(15)가 지지턱(55)에 걸릴 때까지 삽입한다. 즉 절첩부(17)가 제1 설치구멍(51)의 내경보다는 작고 제2 설치구멍(53)의 내경보다는 크기 때문에, 제1 및 제2 오-링(61,63)이 개재된 절첩부(17)가 제1 오-링(61)을 매개로 지지턱(55)에 걸리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오-링(61,63)은 주름관(10)의 타단 아래에 위치한다. 제1 오-링(61)이 어댑터(50)의 지지턱(55)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제2 오-링(63)은 고정돌기(57) 아래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판(70)을 제1 설치구멍(51)을 통하여 주름관(10) 타단부(15)의 외주면에 삽입한다. 제1 설치구멍(51)에 밀착판(70)을 삽입할 때, 밀착판(70)의 삽입홈(75)이 고정돌기(57)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후, 삽입홈(75)에 고정돌기(57)가 삽입시킨다. 즉 삽입홈(75)의 삽입부(76)에 고정돌기(57)를 삽입하되, 고정돌기(57)가 삽입부(76)에 연결된 경사부(77)에 위치할 수 있도록 삽입한다.
여기서 고정돌기(57)에 삽입된 밀착판(70)은 제2 오-링(63)을 눌러 주름관(10)의 타단부(15)를 밀착판(70)이 누르는 방향으로 후퇴시킨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오-링(61,63)이 밀착된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판(70)을 회전시켜 밀착판(70)이 고정돌기(57)의 하부면(71)에 끼워 고정시킨다. 즉 삽입홈(75)의 삽입부(76)에 삽입된 고정돌기(57)가 경사부(77)를 타고 밀착판(70)의 상부면(73)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밀착판(70)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착판(70)은 삽입부(76)에 대해서 경사부(77)가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밀착판(7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돌기(57)가 삽입부(76)에서 경사부(77)를 타고 밀착판(70)의 상부면(73)으로 이동하게 된다. 밀착판(70)은 회전에 의해 고정돌기(57) 아래로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오-링(61,63)을 좀 더 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고정돌기(57)는 밀착판(70)의 상부면(73)에 형성된 회전방지홈(79)에 삽입되어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로 인해 밀착판(70)은 제1 및 제2 오-링(61,63)을 밀착시켜 주름관(10)의 타단부(15)를 어댑터(50)의 지지턱(55)에 고정함으로써, 어댑터 모듈(40)을 주름관(10)의 타단부(15)에 기밀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판(70)을 이용하여 어댑터(50)를 주름관(10)의 타단부(15)에 기밀하게 고정한 이후에, 어댑터(50)가 주름부(11) 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주름부(11)를 향하는 어댑터(50)의 뒤쪽에 확관부(19)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50)의 설치구멍(51,53)에 복수의 오-링(61,63)이 삽입된 주름관(10)의 타단부(15)를 설치구멍(51,53)의 지지턱(55)에 걸어 지지한 상태에서, 설치구멍(51,53)으로 링 형상의 밀착판(70)을 삽입하여 오-링(61,63)을 지지턱(55) 쪽으로 밀착한 후 회전시켜 설치구멍(51,53)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57)에 밀착판(70)을 고정함으로써, 오-링(61,63)에 충분한 밀착력을 인가하여 어댑터(50)와 주름관(10)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어댑터(50)와 주름관(10)의 계면을 통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착판(70)으로 오-링(61,63)을 가압한 후 회전시켜 오-링(61,63)을 누르고 있는 밀착판(70)의 누름 상태를 유지하는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게 오-링(61,63)을 매개로 한 어댑터(50)와 주름관(10) 사이에 양호한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밀착판(70) 위에 고정돌기(57)가 삽입될 수 있는 회전방지홈(79)을 형성함으로써, 밀착판(70)이 압착하고 있는 오-링(61,63)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오-링(61,63)의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주름관 11 : 주름부
13 : 일단부 15 : 타단부
17 : 절첩부 19 : 확관부
30 : 후레아 너트 40 : 어댑터 모듈
50 : 어댑터 51, 53 : 설치구멍
51 : 제1 설치구멍 53 : 제2 설치구멍
55 : 지지턱 57 : 고정돌기
61,63 : 오-링 61 : 제1 오-링
63 : 제2 오-링 70 : 밀착판
71 : 하부면 73 : 상부면
74 : 관통구멍 75 : 삽입홈
76 : 삽입부 77 : 경사부
79 : 회전방지홈 80 : 부급수관
100 : 플렉서블 배관

Claims (9)

  1.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에 반대되는 타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단부에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접힌 절첩부를 구비하는 주름관;
    상기 주름관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스프링클러 헤드를 연결하기 위한 레듀셔 나 엘보우를 결합시키는 후레아 너트; 및
    상기 주름관의 타단부에 설치되며, CPVC 소재의 부급수관을 연결하는 어댑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 모듈은,
    상기 주름관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설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치구멍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주름관의 타단부 및 오-링을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턱 위에 불연속적으로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CPVC 소재의 어댑터;
    상기 주름관의 타단부의 외주면에 삽입되되, 상기 절첩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삽입되는 복수의 오-링; 및
    상기 설치구멍을 통하여 상기 주름관 타단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원터치로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에 고정되어 상기 복수의 오-링에 대해 밀착력을 증가시켜 상기 어댑터와 상기 주름관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링 형상의 밀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판은,
    외주면에서 안쪽으로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삽입홈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를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오-링을 상기 지지턱 쪽으로 밀착한 후 돌려서 상기 복수의 삽입홈 사이의 상부면이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복수의 오-링에 대한 밀착력을 증가시켜 상기 어댑터와 상기 주름관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설치구멍은,
    상기 주름관의 타단부, 상기 복수의 오-링 및 상기 밀착판이 삽입되는 제1 설치구멍과, 상기 제1 설치구멍의 바닥면에서 안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설치구멍에 삽입된 주름관이 삽입되어 돌출되는 제2 설치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설치구멍 외측의 상기 제1 설치구멍의 바닥면 부분이 상기 지지턱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턱 위의 상기 제1 설치구멍의 내측면에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는 상기 제1 설치구멍의 중심에 대해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밀착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밀착판의 상부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밀착판의 상부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은, 상기 삽입홈의 길이보다 상기 삽입홈 사이의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은, 상기 복수의 삽입홈 사이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면으로 이동한 상기 고정돌기의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홈은 상기 밀착판의 상부면에서 아래로 사각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의 절첩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하나의 오-링이 개재되며,
    상기 복수의 오-링은,
    상기 절첩부와 상기 지지턱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오-링; 및
    상기 절첩부와 상기 밀착판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 아래에 끼워진 상기 밀착판과 상기 지지턱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및 제2 오-링에 밀착력이 작용하여 상기 주름관과 어댑터 간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KR1020200011159A 2020-01-30 2020-01-30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KR102153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159A KR102153558B1 (ko) 2020-01-30 2020-01-30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159A KR102153558B1 (ko) 2020-01-30 2020-01-30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558B1 true KR102153558B1 (ko) 2020-09-08

Family

ID=7247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159A KR102153558B1 (ko) 2020-01-30 2020-01-30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5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999A (ko) * 2014-02-19 2015-08-27 임재희 스프링클러용 급수장치
KR101865460B1 (ko) * 2016-04-01 2018-06-07 임원일 패킹의 기밀성을 높인 신축배관
KR101993806B1 (ko) 2018-02-26 2019-06-27 이홍구 안정적 결합과 편심에 의한 휘어짐을 방지하는 신축배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999A (ko) * 2014-02-19 2015-08-27 임재희 스프링클러용 급수장치
KR101865460B1 (ko) * 2016-04-01 2018-06-07 임원일 패킹의 기밀성을 높인 신축배관
KR101993806B1 (ko) 2018-02-26 2019-06-27 이홍구 안정적 결합과 편심에 의한 휘어짐을 방지하는 신축배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600E1 (en) Flexible assembly for sprinklers
JP3962017B2 (ja) ケーブル差込用、管挿入用、またはそれと同様な用途用のシール
JP4088923B2 (ja) 波形のたわみ管用の管継手
KR20100024415A (ko) 방화부를 갖는 밀봉체
KR101780894B1 (ko)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 조립체
KR101865460B1 (ko) 패킹의 기밀성을 높인 신축배관
KR102153558B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KR102175879B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KR100988279B1 (ko) 방폭용 플렉시블 조인트 장치
KR102117915B1 (ko)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LT3292B (en) Device for essembling of pipework and using the same
KR101993806B1 (ko) 안정적 결합과 편심에 의한 휘어짐을 방지하는 신축배관
JP3205452U (ja) 管継手
KR101778100B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2178715B1 (ko) 소방용 신축배관 연결구조
KR20190030147A (ko) 소방용 스프링쿨러 신축 배관 연결장치
KR101797894B1 (ko)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 조립체
KR20200045807A (ko) 소방 레듀서 구조물
JPH10231969A (ja) 配管フランジ接続構造
US11666790B2 (en) Chemically joined sprinkler assembly and fitting with internal reservoir
JPH076911Y2 (ja) 消化設備用配管構造
JPH0568722A (ja) 管、ヘツダおよび配管構造
JP3019906U (ja) ホース接続装置
JP2018204646A (ja) 管継手
KR102214718B1 (ko) 클램프 결합 방식의 대형 파이프 이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