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686Y1 -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 - Google Patents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686Y1
KR200322686Y1 KR20-2003-0015184U KR20030015184U KR200322686Y1 KR 200322686 Y1 KR200322686 Y1 KR 200322686Y1 KR 20030015184 U KR20030015184 U KR 20030015184U KR 200322686 Y1 KR200322686 Y1 KR 2003226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fluid
pipe
supply pip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하
Original Assignee
이재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하 filed Critical 이재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6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6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3Y-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2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송되는 유체(fluid)를 분기시키기 위한 분기구에 관한 것으로, 주 공급관과 연결된 유입관에 분기소켓의 일단을 접합시킨 후 이 분기소켓의 타단에 제1 및 제2유출관을 각각 접합시키되, 상기 분기소켓에 매입되는 제1 및 제2유출관의 끝단에 안내부를 돌출되게 형성시킴으로써 유입된 유체가 분기소켓 내에서 와류를 형성한 후 상기 안내부에 의해 균등하게 분배되어 이송될 수 있으며, 설치방향의 선택이 용이하고, 배관의 접속작업이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 { Branch apparatus for supply pipe of fluid }
본 고안은 이송되는 유체(fluid)를 분기시키기 위한 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부에서의 완벽한 누설방지 및 균등분배, 그리고 용이한 방향선택 및 시공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에 관한 것이다.
가스 또는 유류와 같은 유체(fluid)가 이송되는 단일 관로상에서 두방향 이상으로 분기시키기 위해서는 분기구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분기구는 분기되는 관로마다 균등한 압력 및 유량으로 가스 또는 유류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래 분기구는 관 이음부속의 하나인 티(Tee)가 주로 사용되어 왔는 바, 주 공급관의 단부에 티를 부착한 후 티의 양측 접속단부에 유출관을 각각 설치하였다.
그런데, 상기 티는 모든 접속부가 암나사를 갖추고 있으므로 여기에 접속되는 관은 접속단부에 숫나사가 형성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관 접속단부의 숫나사는 티의 암나사에 부합되는 숫나사를 깍는 공구인 다이스로 나사를 깍게 되는데, 숫나사의 깍는 작업과 실재를 사용하는 티와 관의 체결은 상당한 시간을 요하는 데다 체결부에서의 누설에 대비한 철저한 방지조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티는 분기방향이 직각을 이루므로 유체의 균등한 분배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분기점이 많은 경우 주 공급관에서 멀리 떨어진 말단부에 설치된 유출관에는 유체의 유입량이나 압력이 현저하게 불균형을 이루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스 또는 유류와 같은 유체(fluid)의 누설을 방지하고, 분기점의 원근에 관계없이 유체의 분배가 균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향선택도 용이하며, 배관의 접속작업도 편리한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에 대한 결합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4a 및 도 4b,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의 접속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의 일실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유입관 4 : 분기소켓
6 : 제1유출관 8 : 제2유출관
22, 64, 84 : 접속부 24 : 유입공
30 : 주 공급관 42,44 : 분기공
46 : 분할부 62,82 : 안내부
100 : 플럭스 200 : 솔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주 공급관과 연결된 유입관에 분기소켓의 일단을 접합시킨 후 이 분기소켓의 타단에 제1 및 제2유출관을 각각 접합시키되, 상기 분기소켓에 매입되는 제1 및 제2유출관의 끝단에 안내부를 돌출되게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에 대한 결합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4a 및 도 4b,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에 대한 흐름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의 일실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상기 분기소켓(4)은 일단에는 유입관(2)이 접속되는 유입공(24)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두 개의 분기공(42)(44)이 형성된 것으로, 주 공급관(30)에서 유입관(2)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를 상기 분기공(42)(44)에 의해 분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두 개의 분기공(42)(44)에는 각각 제1유출관(6)과 제2유출관(8)이 접속되는데, 이 제1 및 제2유출관(6)(8)의 끝단 일측에는 도면에서 보이듯이, 안내부(82)를 형성시켜서 유체의 분배기능을 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82)를 형성시키는 방법은 유출관(6)(8)의 끝단에서 일정 거리로 이격된 부위를 직경의 절반지점까지 횡으로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내측으로 접어서 반대편 내벽에 밀착시킨 후 용접함으로써 완료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분기공(42)(44) 사이의 분할부(46)가 유입공(24)의 이등분점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유출관(6) 및 제2유출관(8)의 끝단에 형성된 각각의 안내부(62)(82)가 상기 분할부(46)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하되, 분할부(46)보다 돌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직진으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분기소켓(4) 내의 중앙에 형성된 분할부(46)와 안내부(62)(82)에 충돌한 후 와류가 형성된 다음 상기 안내부(62)(82)에 의해 와류가 균등하게 분배되어 제1 및 제2유출관(6)(8)으로 배출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유입관(2) 및 제1유출관(6), 제2유출관(8)의 타측 끝단에는 배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내경을 확장시킨 접속부(22)(64)(8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출관(8)은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에서는 기역자 형상으로 절곡시켜 형성시켰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형으로 변형시켜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유입관(2) 및 제1,제2유출관(6)(8), 분기소켓(4)과의 접속방법은 통상의 브레이징(Brazing)법에 의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2)의 끝단의 외면에 용제인 플럭스(Flux)(100)를 도포하고, 은분 15%와 동분 85%로 이루어진 솔더(Solder)(200)를 플럭스(100) 층에 살포하여 접착시킨다.
이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소켓(4)의 유입공(24)에 상기 유입관(2)의 끝단을 끼운다.
이때, 유입공(24)에 유입관(2)의 일단부가 끼워질때 유입공(24)의 내경보다 약간 더 두터운 솔더(200)의 겉층은 유입공(24)의 단부에 긁혀져 나간다.
이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공(24)의 사방을 다구식 가열기구(300)로 가열하면 솔더(200)가 용해되어 유입공(24)에 삽입된 유입관(2)을 접합하게 된다.
상기 분기소켓(4)의 분기공(42)(44)과 제1 및 제2유출관(6)(8)의 접속과정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브레이징(brazing)에 의해 용접시킨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본 고안의 분기구(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로 연결시켜서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는 분기점의 원근에 관계없이 이송되는 유체의 분배가 균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치방향의 선택이 용이하며, 배관의 접속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제공된다.

Claims (4)

  1. 분기구에 있어서,
    주 공급관(30)에 접합되는 내경이 확장된 접속부(22)를 갖는 유입관(2)과;
    그 일단에 유입관(2)이 접속되는 유입공(24)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두 개의 분기공(42)(44)이 형성되며, 양 분기공(42)(44)의 사이에는 분할부(46)가 형성되어 있는 분기소켓(4)과;
    상기 분기공(42)(44)에 삽입되는 그 일단에 안내부(62)(8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배관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내경이 확장된 접속부(64)(84)를 갖는 제1 및 제2유출관(6)(8)과;
    상기 유출관(6)(8)의 안내부(62)(82)는 유출관(6)(8)의 끝단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부위까지 직경의 절반지점에서 횡으로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내측으로 접어서 반대편 내벽에 밀착시킨 후 용접하여 구성된 것으로, 유입된 유체를 분배시켜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62)(82)는 분할부(46)보다 돌출되게 위치됨으로써 분기소켓(4) 내에서 유체의 와류를 형성하고, 이 와류를 분배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출관(8)은 기역자 형상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출관(8)은 크랭크 형으로 만곡지게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
KR20-2003-0015184U 2002-11-14 2003-05-16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 KR20032268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004 2002-11-14
KR20020034004 2002-1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686Y1 true KR200322686Y1 (ko) 2003-08-14

Family

ID=4933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184U KR200322686Y1 (ko) 2002-11-14 2003-05-16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68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133B1 (ko) 2008-04-25 2009-10-23 두리화학 주식회사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101321535B1 (ko) 2006-08-21 2013-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분지관
KR101809025B1 (ko) * 2016-12-19 2018-01-18 이재하 분지관 제조방법
CN115479173A (zh) * 2022-10-14 2022-12-16 含山瑞可金属有限公司 大规格分歧管
CN115479173B (zh) * 2022-10-14 2024-06-07 含山瑞可金属有限公司 大规格分歧管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535B1 (ko) 2006-08-21 2013-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분지관
KR100923133B1 (ko) 2008-04-25 2009-10-23 두리화학 주식회사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101809025B1 (ko) * 2016-12-19 2018-01-18 이재하 분지관 제조방법
CN115479173A (zh) * 2022-10-14 2022-12-16 含山瑞可金属有限公司 大规格分歧管
CN115479173B (zh) * 2022-10-14 2024-06-07 含山瑞可金属有限公司 大规格分歧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020B1 (ko) 튜브 커플링
US5056704A (en) Tube fitting having a saddle bead with conforming pilot
US20050067833A1 (en) Pipe coupling for joining pipes of varying diameters
KR200322686Y1 (ko) 유체의 공급관용 분기구
JP7489170B2 (ja) センサコネクタ付きスリーブ及び導管にセンサを取り付けるための方法
US6082781A (en) Pipe connecting device
US20090256348A1 (en) Multi-attachment fitting
KR101154480B1 (ko) 다구경 배관연결관
EP2762242B1 (en) Press-fitting
US20040256854A1 (en) Fitting for fluid conveyance
JPH039357B2 (ko)
CN204459565U (zh) 快速接头
TW201925659A (zh) 流體控制裝置及用於流體控制裝置之接頭
KR200389186Y1 (ko) 배관이음구
KR101694671B1 (ko) 입출구파이프를 포함한 열교환기 제조방법
KR20060028446A (ko) 티이음쇠
KR101694670B1 (ko) 열교환기용 입출구파이프 연결부재
KR200285533Y1 (ko) 배관용 분기관 연결 피팅
KR20080029817A (ko) 분기관 및 분기관을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KR102097661B1 (ko) 끼움 고정식 파이프 커넥터 장치
KR102308335B1 (ko) 유체 제어 디바이스 및 유체 제어 디바이스를 위한 커넥터
KR0128023Y1 (ko) 파이프용 분기관
JP2000234693A (ja) 不断水分岐工法
US201502475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a piping system
US20200191311A1 (en) Piping Conn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