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9817A - 분기관 및 분기관을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분기관 및 분기관을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817A
KR20080029817A KR1020070095738A KR20070095738A KR20080029817A KR 20080029817 A KR20080029817 A KR 20080029817A KR 1020070095738 A KR1020070095738 A KR 1020070095738A KR 20070095738 A KR20070095738 A KR 20070095738A KR 20080029817 A KR20080029817 A KR 20080029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branch pipe
opening
jo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요시 키타노
마코토 오카바야시
히로키 아오시마
Original Assignee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9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0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in which the air treatment in the central station takes place by means of a heat-pump or by means of a reversible cycle

Abstract

과제
제조에 관련되는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분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버링 가공이 이루어진 개구부(2a)를 일단(2b)과 타단(2c) 사이에 갖는 출구관(2)과, 개구부(2a)에 접합되는 접합부(3a)를 단부(3b)에 갖는 입구관(3)을 분기관(1)이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분기관, 개구부, 일단, 타단, 출구관, 접합부, 입구관

Description

분기관 및 분기관을 이용한 공기조화장치{A divergent tube and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ing the divergent tube}
본 발명은 내부에 흐르는 유체를 분기(分岐)시키는 분기관 및 분기관을 이용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분기관이 후술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분기 이음매를 이용하여 3개의 배관을 결합한 것으로, 여기에 나타나는 분기 이음매는 각각의 배관과 납땜에 의해 접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일본국 특개평11-72189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분기관에서는, 각각의 배관이 분기 이음매와 접합되므로 분기관에 있어서의 접합 개소가 많고, 분기 이음매의 제조 코스트가 비싸서, 분기관의 제조와 관계된 코스트가 비싸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조에 관련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분기관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한 기술적 수단은, 청구항 1에 기재와 같이, 버링 가공이 이루어진 개구부를 일부에 갖는 제1 관과, 상기 개구부에 접합되는 접합부를 단부에 갖는 제2 관을 분기관이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2에 기재와 같이, 상기 접합부는 내주면에서 상기 개구부와 끼워 맞추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납땜에 의해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접합되는 연재부(延在部)를 구비하면 된다.
또, 청구항 3에 기재와 같이, 상기 접합부는 내주면에서 상기 개구부와 끼워 맞추는 원통부와, 상기 제1 관을 끼우듯이 상기 원통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납땜에 의해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접합되는 한 쌍의 연재부를 구비하면 된다.
또, 청구항 4에 기재와 같이, 적어도 1대 이상의 실외 열교환기와, 적어도 2대 이상의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 사이를 접 속하는 냉매관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분기관을 가지며, 상기 분기관에 의해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 된다.
또, 청구항 5에 기재와 같이, 공기조화장치는 가스 히트 펌프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면 된다.
청구항 1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2 관의 접합부가 제1 관의 개구부에 접합되어, 제1 관과 제2 관이 직접 접합되므로 분기관에 있어서의 접합 개소가 줄어든다. 또, 제1 관과 제2 관을 접합하기 위한 부재를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2개의 관만으로 분기관이 구성되므로 분기관에 있어서의 부품 점수도 줄어든다. 이상에 의해, 분기관의 제조에 관련되는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2 관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연재부(延在部)가 납땜에 의해 제1 관의 외주면에 접합되므로, 제1 관과 제2 관과의 접합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분기관에 있어서의 접합 개소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청구항 3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2 관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연재부가 납땜에 의해 제1 관의 외주면에 접합되므로, 제1 관과 제2 관과의 접합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분기관에 있어서의 접합 개소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청구항 4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의 분기관에 의해 분기됨으로써, 간편히 적어도 1대 이상의 실외 열교환기와 적어도 2대 이상의 실내 열교환기를 접속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기업, 시설 등에 사용되는 가스 히트 펌프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1에 의해 분기됨으로써 간편히 적어도 1대 이상의 실외 열교환기과 적어도 2대 이상의 실내 열교환기를 접속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기관(1)의 사시도이다. 분기관(1)은 출구관(2)(제1 관)과, 입구관(3)(제2 관)을 구비하고 있다. 분기관(1)은 입구관(3)에 있어서의 유체(예를 들면, 공기, 기름, 물 등)의 흐름을 출구관(2)에 의해 2개의 흐름으로 분기시키는 것이다. 출구관(2)은 개구부(2a)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부(2a)는 출구관(2)의 일부(출구관(2)에 있어서의 일단(2b)과 타단(2c)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a)에는, 특수한 버링 가공이 실시되어 관의 도중에서 원주모양으로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출구관(2)은, 일단(2b)과 타단(2c) 사이에서, 도 1에 나나내는 바와 같이 L자 모양, 또는 U자 모양으로 굴곡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입구관(3)은 접합부(3a)를 구비하고 있다. 접합부(3a)는 입구관(3)에 있어서의 단부(3b)에 형성되어 있다. 입구관(3)의 접합부(3a)는 출구관(2)의 개구부(2a)에 납땜에 의해 접합된다(도 2 참조). 이 접합부(3a)는 원통부(3c)와, 연재부(3d)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부(3c)는 그 내주면에서 출구관(2)의 개구부(2a)와 끼워 맞춘다. 연재부(3d)는 공지의 플레어 가공에 의해 원통부(3c)의 단부에 형성된다. 연재부(3d)는 원통부(3c)의 단부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납땜에 의 해 출구관(2)의 외주면에 접합된다.
출구관(2) 및 입구관(3)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경이 다른 복수의 부위를 갖고 있다. 이들 부위는 필요에 따라 절단 가능하며, 이에 의해 출구관(2) 및 입구관(3)에는 여러 가지 내경의 관(직관)이 접속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분기관(1)에 의하면, 입구관(3)의 접합부(3a)가 출구관(2)의 개구부(2a)에 접합되어 입구관(3)과 출구관(2)이 직접 접합되므로, 분기관(1)에 있어서의 접합 개소가 줄어든다. 또, 입구관(3)과 출구관(2)을 접합하기 위한 부재를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2개의 관만으로 분기관(1)이 구성되므로, 분기관(1)에 있어서의 부품 점수도 줄어든다. 이상에 의해, 분기관(1)의 제조와 관련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입구관(3)에 있어서의 접합부(3a)의 연재부(3d)가 납땜에 의해 출구관(2)의 외주면에 접합되므로, 입구관(3)과 출구관(2)과의 접합 면적(땜납의 습윤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분기관(1)에 있어서의 접합 개소의 신뢰성(강도, 내압성, 기밀성)이 향상한다.
또, 출구관(2)의 개구부(2a)에는 버링 가공이 실시되어 있으므로, 입구관(3)의 접합부(3a)와 출구관(2)의 개구부(2a)(출구관(2)의 외주면)를 납땜에 의해 접합할 때에, 땜납이 개구부(2a)를 통하여 출구관(2)의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분기관(11)은 출구관(12)(제1 관)과 입구관(13)(제2 관)을 구비하고 있다. 출 구관(12)는 개구부(12a)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부(12a)는 출구관(12)에 있어서의 일단(12b)과 타단(12c)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2a)에는 공지의 버링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출구관(12)은 일단(12b)과 타단(12c) 사이에서 L자 모양(도 4 도시)이나 U자 모양으로 구부려진다.
입구관(13)은 접합부(13a)를 구비하고 있다. 접합부(13a)는 입구관(13)에 있어서의 단부(13b)에 형성되어 있다. 입구관(13)의 접합부(13a)는, 출구관(12)의 개구부(12a)에 납땜에 의해 접합된다. 접합부(13a)는 원통부(13c)와 한 쌍의 연재부(13d)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부(13c)는 그 내주면에서 출구관(12)의 개구부(12a)와 끼워 맞춘다. 연재부(13d)는 원통부(13c)의 단부를 U자 모양으로 커트함으로써 형성된다. 연재부(13d)는 출구관(12)을 끼우듯이 원통부(13c)의 단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납땜에 의해 출구관(12)의 외주면에 접합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기관(11)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제3 실시형태에서는,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관(13)의 단부(13e)를 원통 모양으로 하여, 원통형의 단부(13e)를 출구관의 개구부(12a)에 접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접합 방법을 취함으로써, 제2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 의하면, 본 실시형태의 분기관(11)에서는, 입구관(13)의 접합부(13a)가 출구관(12)의 개구부(12a)에 접합되어 입구관(13)과 출구관(12)이 직접 접합되므로, 분기관(11)에 있어서의 접합 개소가 줄어들게 된다. 또, 입구관(13)과 출구관(12)을 접합하기 위한 접합 부재를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2개의 관 만으로 분기관(11)이 구성되므로 분기관(11)에 있어서의 부품점수도 삭감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분기관(11)의 제조에 관련되는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입구관(13)에 있어서의 접합부(13a)의 연재부(13d)가 납땜에 의해 출구관(12)의 외주면에 접합되므로, 입구관(13)과 출구관(12)과의 접합 면적(땜납의 습윤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분기관(11)에 있어서의 접합 개소의 신뢰성(강도, 내압성, 기밀성)이 향상한다.
또, 출구관(12)의 개구부(12a)에는 버링 가공이 실시되어 있으므로, 입구관(13)의 접합부(13a)와 출구관(12)의 개구부(12a)(출구관(12)의 외주면)를 납땜에 의해 접합할 때에, 땜납이 개구부(12a)를 통하여 출구관(12)의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기재된 분기관(1) 또는 분기관(11)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의 실외 열교환기(17)와 실내 열교환기(16) 사이를 접속하는 냉매관(15)에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냉매관(15)은 결합용 직관(直管)(14)에 분기관(1) 혹은 분기관(11)을 접속하여 분기하고 있다. 이 경우, 분기관(1) 혹은 분기관(11)의 크기, 길이를 일정하게 하여, 결합용 직관(14)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분기관(1) 혹은 분기관(11) 자신이 냉매관(15)으로 되어 직접, 복수의 실외 열교환기와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를 간편히 접속해도 된다. 이 경우, 더욱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기관(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기관(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출구관(2) 및 입구관(3)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기관(11)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기관(11)의 사시도이며, (a)는 접합전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접합후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분기관을, 공기조화기의 실외 열교환기와 실내 열교환기와의 접속에 이용한 경우의 모식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분기관 2: 출구관(제1 관) 2a: 개구부 2b: 일단 2c: 타단
3: 입구관(제2 관) 3a: 접합부 3b: 단부 3c: 원통부
3d: 연재부 11: 분기관 12: 출구관(제1 관) 12a: 개구부
12b: 일단 12c: 타단 13: 입구관(제2 관) 13a: 접합부
13b: 단부 13c: 원통부 13d: 연재부 14: 결합용 직관
15: 냉매관 16: 실내 열교환기 17: 실외 열교환기

Claims (5)

  1. 버링 가공이 이루어진 개구부를 일부에 갖는 제1 관과,
    상기 개구부에 접합되는 접합부를 단부에 갖는 제2 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내주면에서 상기 개구부와 끼워 맞추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납땜에 의해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접합되는 연재부(延在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내주면에서 상기 개구부와 끼워 맞추는 원통부와, 상기 제1 관을 끼우듯이 상기 원통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납땜에 의해 상기 제1 관의 외주면에 접합되는 한 쌍의 연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4. 적어도 1대 이상의 실외 열교환기와,
    적어도 2대 이상의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 사이를 접속하는 냉매관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분기관을 가지며, 상기 분기관에 의해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가스 히트 펌프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070095738A 2006-09-29 2007-09-20 분기관 및 분기관을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KR200800298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67539 2006-09-29
JPJP-P-2006-00267539 2006-09-29
JPJP-P-2007-00198471 2007-07-31
JP2007198471A JP2008106933A (ja) 2006-09-29 2007-07-31 分岐管及び及び分岐管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817A true KR20080029817A (ko) 2008-04-03

Family

ID=3944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738A KR20080029817A (ko) 2006-09-29 2007-09-20 분기관 및 분기관을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8106933A (ko)
KR (1) KR200800298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4310A (zh) * 2013-04-07 2013-08-07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家用空调用的钢衬铜分流器
JP6766084B2 (ja) * 2018-01-22 2020-10-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の設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06933A (ja)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6956B1 (en) Branch pipe
CN101294646B (zh) 导管连接套及具有该连接套的空调机
CN208579665U (zh) 热交换器以及具备该热交换器的空调机
US7237808B2 (en) Tube and pipe fittings
JP2001235080A (ja) 二重管用継手
CN101454604A (zh) 配管接头
JP6548729B2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20080029817A (ko) 분기관 및 분기관을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JP5972565B2 (ja) 二重管の継手構造
WO2022156545A1 (zh) 集气管组件
JP2009168127A (ja) 二重管継手構造
JP2007177848A (ja) 配管
KR20160117376A (ko) 입출구파이프를 포함한 열교환기 제조방법
KR101694671B1 (ko) 입출구파이프를 포함한 열교환기 제조방법
KR101694670B1 (ko) 열교환기용 입출구파이프 연결부재
JP2008057860A (ja) 熱交換器
US200802835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copper tubes
JP2011099620A (ja) 熱交換器
JP2003156291A (ja) 熱交換器
JP6336152B2 (ja) 二重管熱交換器の製造方法
CN101663547A (zh) 分支管装置
GB2407351A (en) Tubing connection kit and method
CN210687403U (zh) 转换接头及主管道与分管道的连接结构
JP6860112B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60093587A (ko)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