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3587A -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 - Google Patents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3587A
KR20060093587A KR1020050014679A KR20050014679A KR20060093587A KR 20060093587 A KR20060093587 A KR 20060093587A KR 1020050014679 A KR1020050014679 A KR 1020050014679A KR 20050014679 A KR20050014679 A KR 20050014679A KR 20060093587 A KR20060093587 A KR 20060093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anch pipe
branch
ang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백
박영민
김기범
최성오
성시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4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3587A/ko
Publication of KR20060093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의 냉매 관로를 분지하기 위한 분지관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지관 결합체는,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의 단부로부터 분지된 제1분지관과; 상기 제1분지관이 분지된 주배관의 단부로부터 분지되어, 분지된 끝단부가 상기 제1분지관에 대하여 예각의 제1각을 이루는 제2분지관과; 내각이 상기 제1각에 대응되는 둔각의 제2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고, 일 단부가 상기 제2분지관에 연장되어 결합되는 결합관; 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2분지관과 이에 연결되는 결합관의 조합되는 각에 따라 결합관은 제1분지관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냉매 관로의 변환이 가능하게 되어 배관계에 소요되는 분지관의 종류를 일원화할 수 있고, 각도 변환을 위하여 양 단의 2회 용접작업이 소요되는 별도의 엘보우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에어컨, 배관, 분지관

Description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BRANCHING PIPE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도 1은 평행형 이음만이 제공되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분지관 결합체의 평면도,
도 2는 수직형 이음만이 제공되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분지관 결합체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지관 결합체의 결합관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결합관이 제2분지관에 결합되어 평행형 이음이 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3의 결합관이 제2분지관에 결합되어 수직형 이음이 된 것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분지관 결합체 111: 주배관
112: 제1분지관 113: 제2분지관
120: 결합관
본 발명은 에어컨의 냉매순환용 배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행형 분지가 필요한 배관계나 수직형 분지가 필요한 배관계에 따라 두 종류로 구분되는 각 부품을 따로 준비할 필요 없이 한 종류의 부품만으로 바로 에어컨 설치나 수리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실내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저온상태로 만들고 흡수된 열을 외부에 방출하는 공기조화장치로서, 사이클을 구성하도록 냉매(refrigerant)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어컨 시스템에 냉매가 순환할 수 있게 각종 배관과 이음새가 필요하게 된다.
만약, 설치되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수가 복수이거나, 개별기능을 가지는 부품을 배관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는 배관으로부터 냉매가 분지될 수 있게 분지관을 사용하게 되는데, 특히, 에어컨 설치공사의 신속을 기하고 하자를 줄이기 위하여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기보다는 기성 단품으로 출고되는 분지관 결합체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예로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분지관 결합체(10)는, 일 단부에 모배관(1)에 연결되기 위한 확관부(11a)가 형성된 주배관(11)과, 주배관(11)의 타 단부와 결합되어 주배관(11)으로부터 분지된 제1분지관(12)과, 제1분지관(12)이 분지된 주배관(11)의 단부로부터 평행하게 분지되고 두 번 절곡된 후 다시 끝단부가 제1분지관(12)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2분지관(13)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분지관(12)과 제2분지관(13)의 주배관(11)에 결합되는 단부의 반 대 단부에는 각각 확관부(12a)(13a)가 형성되어, 각각 연결배관(2)(3)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분지관 결합체(10)는 'T'형 분지관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유량의 균등한 분배를 받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오로지 평행형 분지가 필요한 배관계에서만 사용될 수밖에 없고, 분지되는 관로를 수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별도 용접작업이 필요한 엘보우(elbow)와 같은 부품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태의 분지관 결합체(20)는, 일 단부가 모배관(4)에 연결되는 주배관(21)과, 주배관(21)의 타 단부에 결합되어 이 주배관(21)으로부터 분지되어 다른 연결배관(5)에 연결되기 위한 제1분지관(22)과, 제1분지관(22)이 결합된 주배관(21)의 단부에 제1분지관(22)과 평행하게 분지된 후 제1분지관(22)에 대하여 90도 절곡되어 다른 연결배관(6)에 연결되는 단부측이 제1분지관(22)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제2분지관(23)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분지관(22)과 제2분지관(23)은 주배관(21)으로부터 유량의 균등한 분배를 받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일반적인 'T' 형 분지관처럼 수직으로 분지가 필요한 배관계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분지관 결합체(20)는 오로지 수직형 분지가 필요한 배관계에서만 바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분지되는 관로를 제1분지관(22)에 평행하게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즉, 종래의 분지관 결합체(10)(20)는 단일의 기능만을 가지는 것으로서, 다양한 분지 배관계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그만큼 분지 배관용 부품이 복잡하게 되 며, 에어컨 시공자로서는 이와 같은 분지관 결합체(10)(20)를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하므로, 현장작업에서의 유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컨 설치현장에서 임의의 방향에 대한 분지가 필요한 배관계 모두에 사용될 수 있도록 부품을 일원화할 수 있는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의 단부로부터 분지된 제1분지관과; 상기 제1분지관이 분지된 주배관의 단부로부터 분지되어, 분지된 끝단부가 상기 제1분지관에 대하여 예각의 제1각을 이루는 제2분지관과; 내각이 상기 제1각에 대응되는 둔각의 제2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고, 일 단부가 상기 제2분지관에 연장되어 결합되는 결합관; 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결합관을 상기 제2분지관에 대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결합관이 상기 제1분지관에 대하여 평행 또는 직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각은 45도이고, 상기 제2각은 135도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분지관 및 상기 제2분지관의 분지 개시부위는 각각 상기 주배관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된 것이 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제2분지관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관의 단부를 수용한 후 용접될 수 있도록 확관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부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지관 결합체의 분리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관이 제2분지관에 결합되어 평행형 이음이 된 것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결합관이 제2분지관에 결합되어 수직형 이음이 된 것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분지관 결합체(110)는, 모배관(101)에 연결되기 위한 주배관과(111)과, 이 주배관(111)의 단부로부터 분지되어 연결배관(102)에 연결되는 제1분지관(112)과, 주배관(111)으로부터 분지되어 끝단부가 제1분지관(112)에 대하여 예각의 제1각(α)을 이루는 제2분지관(113) 및, 일 단부가 이 제2분지관(113)에 연결되어 제2분지관(113) 내부를 흐르는 냉매의 관로 변환이 가능하게 형성된 결합관(120)을 구비한다.
특히, 결합관(120)은 절곡 형성되어 양 단부가 이루는 사이각이 상기 제1각(α)에 대응될 수 있는 둔각의 제2각(β)을 이룬다.
즉, 결합관(120)을 제2분지관(113)에 끼워 회전시킴에 따라, 결합관(120)의 후단부는 제1분지관(112)에 대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관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제1각(α)과 제2각(β)이 결정되며, 제2분지관(113)과 이에 연결되는 결합관(120)의 조합되는 각에 따라 제2분지관(113)으로부터 분지되어 나온 냉매는 제1분지관(112)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냉매 관로의 변환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관(120)의 후단부가 제1분지관(112)에 대하여 평행 및 직각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1각(α)은 45도이고, 제2각(β)은 135도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분지관(112) 및 제2분지관(113)의 분지 개시부위(115)는 주배관(111)으로부터 유로의 저항을 받지 않고 균등하게 유량을 분배받을 수 있도록 각각 주배관(111)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주배관(111)의 전단부와, 제1분지관(112)과 제2분지관(113)의 후단부에는 각각 모배관(101)과 다른 연결배관(102)(103)의 단부를 수용한 후 용접될 수 있도록 각각 확관부(111a)(112a)(113a)가 형성된다. 이 경우, 도시예와 달리, 확관되는 쪽은 각각 모배관(101)과 연결배관(102)(103)의 대응하는 단부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분지관 결합체(110)에 의하여, 에어컨의 설치 또는 수리현장에서 평행형 분지가 필요한 배관계라면,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관(120)의 전단부를 제2분지관(113)의 확관부(113a)에 끼운후 이 결합관(120)을 회전시켜 결합관(120)의 후단부가 제1분지관(112)에 대하여 평행하게 놓일 수 있도록 위치시킨후 한 번의 용접을 하여 평행형 이음이 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분지관(113)의 확관부(113a)와 결합관(120)의 사이에는 하나의 용접부위(130)가 생기게 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모배관(104)과 다른 연결배관들(105)(106)이 수직형 분지가 필요한 배관계라면, 결합관(120)의 전단부를 제2분지 관(113)의 확관부(113a)에 끼운후 이 결합관(120)을 회전시켜 제1분지관(112)에 대하여 결합관(120)의 후단부가 제1분지관(112)에 수직하게 놓일 수 있도록 위치시킨후 용접을 하여 수직형 이음으로 된 분지관 결합체(110)를 구성하여, 각각 모배관(104)과 연결배관(105)(106)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지관 결합체(110)의 사용례로서, 결합관(120)을 분리된 상태로 취급하여 설치현장에서 각 배관계에 맞게 용접하는 경우 외에도, 결합관(120)을 미리 제2분지관(113)에 평행 또는 수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용접시켜 출고함으로써, 현장에서 각도변환이 필요할 경우에만 용접부위를 가열하여 간단하게 각도를 변환시켜 사용하는 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미리 결합관(120)을 제2분지관(113)에 대하여 평행인 상태로 용접하여 출고하였다면, 에어컨 설치 현장에서는 평행형 분지가 필요한 배관계인 경우 그 상태로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직형 분지가 필요한 배관계인 경우 용접부위를 녹인후 각도를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공사에서 소요되는 용접작업을 대략 반 정도로 줄일 수 있게 되어 설치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에 의하면, 제2분지관(113)과 이에 연결되는 결합관(120)의 조합되는 각에 따라 제1분지관(112)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냉매 관로의 변환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에어컨 설치현장에서 평행형 분지가 필요한 배관계 및 수직형 분지가 필요한 배관계에 관계없이 결합관(120)을 연결하는 한 번의 용접작업으로 구현가능 하게 되므로 배관계에 소요되는 분지관의 종류를 일원화할 수 있다.
또한, 각도 변환을 위하여 양 단의 2회 용접작업이 소요되는 별도의 엘보우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 및 이에 연결가능한 각도변환용 중계관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

  1.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의 단부로부터 분지된 제1분지관과; 상기 제1분지관이 분지된 주배관의 단부로부터 분지되어, 분지된 끝단부가 상기 제1분지관에 대하여 예각의 제1각을 이루는 제2분지관과; 내각이 상기 제1각에 대응되는 둔각의 제2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고, 일 단부가 상기 제2분지관에 연장되어 결합되는 결합관; 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을 상기 제2분지관에 대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결합관이 상기 제1분지관에 대하여 평행 및 직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각은 45도이고, 상기 제2각은 135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지관 및 상기 제2분지관의 분지 개시부위는 각각 상기 주배관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
  4. 제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지관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관의 단부를 수용한 후 용접될 수 있도록 확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
KR1020050014679A 2005-02-22 2005-02-22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 KR20060093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679A KR20060093587A (ko) 2005-02-22 2005-02-22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679A KR20060093587A (ko) 2005-02-22 2005-02-22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587A true KR20060093587A (ko) 2006-08-25

Family

ID=37601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679A KR20060093587A (ko) 2005-02-22 2005-02-22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35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117B1 (ko) 2006-08-03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냉매관 및 그 제조 방법
WO2022213714A1 (zh) * 2021-04-06 2022-10-13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分歧管组件及空调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117B1 (ko) 2006-08-03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냉매관 및 그 제조 방법
WO2022213714A1 (zh) * 2021-04-06 2022-10-13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分歧管组件及空调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6956B1 (en) Branch pipe
CN202204212U (zh) 带铜铝接头的空调用换热器
CN101093038A (zh) 家用空调系统室内、外机组间的连接管路
KR20060093587A (ko) 에어컨의 분지관 결합체
US6935361B2 (en) Pipe, piping system, radiant heating system, and kit
JP2006266563A (ja) 空気調和機
KR100388362B1 (ko) 분기 조인트와 이를 이용한 배관의 접속방법
US6546898B1 (en) Hydronic heating system and kit
ATE317104T1 (de) Leitungsstruktur für wärmetauscher, leitungsverbindungsblock für wärmetauscher und wärmetauscher mit einem solchen verbindungsblock
CN104482581A (zh) 一种毛细管网与分集水器的连接装置及连接方法
CN208349910U (zh) 一种可提高蒸发器制冷效率的铜铝接头
JP2007509296A (ja) パイプ接続装置及び接続方法
JPH109599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341386Y1 (ko) 건축 설비용 냉난방관의 연결구
KR20080029817A (ko) 분기관 및 분기관을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CN216078706U (zh) 一种可快速连接并消除误差的水路管件及具有其的热泵机组
CN207455775U (zh) 一种全波纹连接管
JPH0243018Y2 (ko)
CN214037298U (zh) 一种三通管件
CN216618945U (zh) 管材与管件组合分流器
JPS62196566A (ja) マルチ方式空気調和機
CN221035201U (zh) 一种充氮工装
JPH031025A (ja) 多層階を対象とした冷暖房システムにおける配管方法
JP2003130496A (ja) 空気調和機
KR200280017Y1 (ko) 부분 주름진 동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604

Effective date: 2012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