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797A - 다중 자석 스피커 - Google Patents

다중 자석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797A
KR20100103797A KR1020107012947A KR20107012947A KR20100103797A KR 20100103797 A KR20100103797 A KR 20100103797A KR 1020107012947 A KR1020107012947 A KR 1020107012947A KR 20107012947 A KR20107012947 A KR 20107012947A KR 20100103797 A KR20100103797 A KR 20100103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gnets
magnetic
front plate
magnetic 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8427B1 (ko
Inventor
앤드류 홀트
더글라스 케이. 호그
마이클 에이. 캐나다
Original Assignee
하르만 인터내셔날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만 인터내셔날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하르만 인터내셔날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03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피커는 음을 생성하는 음성 코일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자석으로부터 증가된 자속을 제공한다. 스피커는 작은 프로파일과 감소된 중량의 패키지로 형성된다. 상기 스피커는 듀얼 폴, 제1 및 제2 자석, 제1 및 제2 전방 플레이트, 그리고 제1 및 제2 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은 제1 및 제2 자석의 극성이 동일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은 디스크 또는 링형일 수 있으며 상기 듀얼 폴의 플랜지에 커플링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갭은 제1 및 제2 자석의 내경과 듀얼 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은 상기 듀얼 폴과 상기 전방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갭 내에서 결합, 유도 및 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갭과 제2 갭 내에는 제1 및 제2 음성 코일의 적어도 일부가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다이어프램이 상기 제1 및 제2 음성 코일에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자석 스피커{MULTIPLE MAGNET LOUD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 방향으로 정렬된 극성의 다중 자석을 갖는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는 전기 에너지를 음향으로 변환하며, 통상 다이어프램, 자석 구조체 및 음성 코일을 포함한다. 자석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자석, 코어 캡 및 쉘 포트(shell pot)를 포함할 수 있다. 쉘 포트와 코어 캡은 자석에 의해 생성되는 자속을 공기 갭 내로 진행시켜 집속시킨다. 음성 코일은 다이어프램에 연결되고 공기 갭 내에 위치된다. 음성 코일 내에 전기 에너지가 흐르면, 공기 갭 내의 자속과 상호 작용하는 유도 자기장이 생성된다. 음성 코일은 자석 구조체에 의해 생성된 자속의 방향에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전류를 보낼 수 있어서 음성 코일 전류와 자속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음성 코일과 다이어프램, 그리고 가청음의 요동이 야기된다.
일부 스피커는 양방향으로 극성화된 직렬 자석을 가져서 제조가 더 복잡해질 수 있는 자석 구조체를 포함하기도 한다. 이러한 종류의 자석 구조체에 사용되는 자석은 조립 전에 자화될 수 있어서, 역시 제조가 더 복잡해질 수 있다. 다른 스피커는 높은 자속을 얻는 중실의(solid) 자석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는 바람직하지 않게 프로파일 패키지가 커지거나 및/또는 스피커 부피가 커질 수 있다. 일부 스피커는 작은 프로파일 패키지 및/또는 작은 부피를 가질 수 있지만 낮은 자속과 부정확한 음성 코일 이동을 가져와서 성능이 만족스럽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개선된 성능을 위해 증가된 자속과 정확한 음성 코일 이동을 제공하는 자석 구조체를 가지며 작은 프로파일 패키지와 작은 부피의 스피커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개선된 성능을 위해 증가된 자속과 정확한 음성 코일 이동을 제공하는 자석 구조체를 가지며 작은 프로파일 패키지와 작은 부피의 스피커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2채널(two-way) 스피커와 같은 다채널 스피커는 작은 프로파일과 감소된 중량의 패키지로 음을 생성하는 음성 코일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자석으로부터 증가된 자속을 제공한다. 일례에서, 상기 스피커는 듀얼 폴, 제1 및 제2 자석, 제1 및 제2 전방 플레이트, 그리고 제1 및 제2 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은 제1 및 제2 자석의 극성이 동일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은 디스크 또는 링형일 수 있으며 상기 듀얼 폴의 플랜지에 커플링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갭은 제1 및 제2 자석과 듀얼 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은 상기 듀얼 폴과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갭 내에서 결합, 유도 및 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갭과 제2 갭 내에는 제1 및 제2 음성 코일의 적어도 일부가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다이어프램이 상기 제1 및 제2 음성 코일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보다 정확한 음성 코일 이동을 제공할 수 있어서 성능의 개선을 가져온다.
다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되는 도면과 상세한 설명의 검토에 의해 당업자에게 분명하거나 분명해질 것이다. 이러한 모든 추가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고,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며, 후속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받도록 의도된 것이다.
시스템은 하기의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의 성분은 반드시 비율에 따를 필요는 없으며, 대신 발명의 원리를 예시할 때 강조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유사 참조 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대응하는 부분을 지시한다.
도 1은 스피커의 일 실시예의 자석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의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3 실시예의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4 실시예의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5 실시예의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실시예의 자석 구조체에 대한 자속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의 자석 구조체 중 제1 자석에 대한 자속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7의 실시예의 자석 구조체 중 제2 자석에 대한 자속을 도시한다.
도 10은 대안적 실시예의 자석 구조체에 대한 자속을 도시한다.
도 11은 스피커 제조 방법의 예를 예시한다.
도 1은 다채널(multi-way) 스피커의 일 실시예의 자석 구조체(100)의 단면도이다. 2채널 스피커가 예시되어 있지만, 1채널, 3채널 또는 다채널의 스피커도 가능하다. 자석 구조체(100)는 듀얼 폴(102), 제1 자석(104), 제1 전방 플레이트(106), 제2 자석(108), 제2 전방 플레이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 듀얼 폴(102)은 코어(112)와 플랜지(11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14)는 제1 자석(104)과 제2 자석(108) 사이에 배치되고 코어(112)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연장한다. 자석(104, 108)은 동일 방향으로 극성화되고, 네오디뮴, 페라이트 또는 기타 영구 자석 재료를 포함하는 영구 자석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석(104, 108)은 동일 방향으로 극성화되기 때문에 양측 자석 모두 자석 구조체(100)의 자속 결합에 기여할 수 있다. 자속은 자력의 크기의 척도이다. 듀얼 폴(102)과 전방 플레이트(106, 110)는 자석(104, 108)에 의해 생성된 자속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는 낮은 자기 저항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106, 110), 듀얼 폴(102), 제1 갭(120) 및 제2 갭(122)을 통해 자석(104, 108)에 의해 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자속 밀도는 자석(104, 108)에 의해 생성된 결합 자속에 기인하여 예컨대 제1 갭(120)에서 약 1.65T이고 제2 갭(122)에서 약 1.5T일 수 있다.
코어(112), 플랜지(114) 및 전방 플레이트(106, 110)는 듀얼 폴(102)을 통하고 갭(120, 122)을 통해 최적으로 자속 경로를 결합, 유도 및 집속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코어(112)의 외부는 코어(112)를 통해 자속 경로를 유도 및 집속할 수 있는 노치(124)를 포함한다. 또한, 플랜지(114)는 각각의 자석(104, 108)으로부터의 자속을 최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114)는 코어(112)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연장하며, 각형의 외측부를 가진다. 상기 각형의 외측부는 자속의 결합과 유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제1 전방 플레이트(106)는 외부에 대해 내부가 두꺼운 계단 형상을 가진다. 제2 전방 플레이트(110)는 내부가 외부에 비해 두꺼운 부분 쐐기 형상을 가진다. 자속은 다른 형상과 두께의 코어(112), 플랜지(114) 및 전방 플레이트(106, 110)를 사용하여 결합 및 유도될 수 있다. 듀얼 폴(102)과 전방 플레이트(106, 110)는 스틸, 합금 또는 기타 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낮은 자기 저항 자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자석(104)은 플랜지(114)의 제1 평면에 결합되고 제2 자석(108)은 플랜지(114)의 제1 평면에 대향하는 플랜지(114)의 제2 평면에 결합된다. 도 1에서, 제1 자석(104)과 제2 자석(108)은 플랜지(114)의 각형 외측부 너머로 측방으로 연장한다. 제1 전방 플레이트(106)는 플랜지(114)의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1 자석(104)의 표면에 결합된다. 제2 전방 플레이트(110)는 플랜지(11)의 제2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자석의 표면에 결합된다.
도 1에서 듀얼 폴(102)은 코어(112)의 내부면에 형성된 오리피스(116)를 포함한다. 상기 오리피스(116)는 부분 원추형, 대략적인 원통형, 부분 굴곡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116)는 자석 구조체(100)가 스피커에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오리피스(116)의 형상은 중공체, 중공체형, 튜브 장입형, 캐비티 코어를 포함하는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듀얼 폴(102)은 중실형으로서 오리피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코어(112), 플랜지(114), 자석(104, 108), 전방 플레이트(106, 110) 및 오리피스(116)를 포함하는 자석 구조체(100)는 대칭 축(118)에 대해 동심이면서 대칭일 수 있다. 자석 구조체(100)는 또한 비-동심이면서 비-대칭일 수 있다. 자석(104, 108)은 실질적으로 원형이거나 환형의 링 자석일 수 있고, 중실형이거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106, 110)은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환형일 수 있고, 중실형이거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듀얼 폴(102), 자석(104, 108) 및 전방 플레이트(106, 110)는 접착제, 접합제, 기계적 체결구 또는 기타 소정의 체결 기구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스피커(200)의 단면도이다. 스피커(200)는 도 1의 자석 구조체(100), 트위터 음성 코일(202), 트위터 돔(dome)(204), 중간 범위 음성 코일(206), 중간 범위 다이어프램(208), 제1 서스펜션(210)인 스파이더, 제2 서스펜션(212)인 서라운드를 포함한다. 음성 코일(202, 206), 돔(204), 및 다이어프램(208)은 중심축(214)에 대해 원통형으로 대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트위터 음성 코일(202), 트위터 돔(204) 및 중간 범위 음성 코일(206)은 대략 1인치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중간 범위 다이어프램(208)은 대략 4인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크기의 음성 코일(202, 206), 돔(204) 및 다이어프램(208)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원하는 성능과 기계적 필요 환경을 얻기 위해 전체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적절히 비율 조정될 수 있다. 트위터 음성 코일(202)은 제1 갭(120)에 위치될 수 있고 트위터 돔(204)에 결합될 수 있다. 중간 범위 음성 코일(206)은 제2 갭(122)에 위치될 수 있고 중간 범위 다이어프램(208)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서스펜션(210, 212)은 중간 범위 음성 코일(206)과 중간 범위 다이어프램(208)이 스피커(200)의 중심축(214)을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유사하게, 트위터 음성 코일(202)과 트위터 돔(204)도 중심축(214)을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음성 코일(202, 206)은 코일에 원통형으로 감기는 권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코일은 알루미늄, 구리, 플라스틱, 종이, 복합재 또는 기타 재료와 같은 소정의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권선은 구리, 알루미늄 또는 기타 적절한 도전 재료로 된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사용하여 음성 코일에 부착될 수 있다. 코일에 감기는 권선의 수는 스피커 크기와 원하는 스피커 성능 특성에 의존할 수 있다.
음성 코일(202, 206)은 갭(120, 122) 내에서 자석(104, 108)으로부터의 자속과 음성 코일(202, 206) 각각을 통해 흐르는 전류 사이에 상호 작용이 존재하면 작동중 축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다. 도 2에서, 음성 코일(202, 206)의 일부가 각각의 갭(120, 122) 내에 위치되어 있다. 각각의 갭(120, 122) 내의 자속은 자석 구조체(100)의 자기 회로를 통해 다른 갭(120, 122) 내의 자속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음성 코일(202, 206)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올 수 있다. 입력 오디오 신호는 증폭기, 크로스오버(crossover), 또는 기타 적절한 소스에 의해 제공되는 아날로그 전기 신호일 수 있다. 전류는 갭(120, 122) 내의 자속과 상호 작용하여 그 상호 작용에 응답하여, 음성 코일(202, 206)과 그 각각의 부착된 돔(204) 및 다이어프램(208)이 독립적으로 진동 및 발진할 수 있다. 가청음은 돔(204)과 다이어프램(208)에 의해 야기되는 공기의 독립적 이동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제2 실시예의 스피커(300)의 단면도이다. 스피커(300)는 자석 구조체(302), 트위터 음성 코일(304), 전도형의(inverted) 트위터 돔(306), 중간 범위 음성 코일(308), 중간 범위 다이어프램(310) 및 서스펜션(312)을 포함한다. 자석 구조체(302)는 듀얼 폴(314), 제1 및 제2 자석(316, 318), 제1 및 제2 전방 플레이트(320, 322)를 포함한다. 듀얼 폴(314)은 코어(324)와 플랜지(326)를 포함한다. 플랜지(326)는 제1 자석(316)과 제2 자석(318) 사이에 배치되고 코어(324)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연장한다. 도 1에 설명된 자석 구조체(100)와 유사하게, 자석(316, 318)은 동일 방향으로 극성화되기 때문에 양측 자석 모두 제1 및 제2 갭(330, 332) 내의 자석 구조체(302)의 자속 결합에 기여할 수 있다. 듀얼 폴(314)과 전방 플레이트(320, 322)는 자석(316, 318)에 의해 생성된 자속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는 낮은 자기 저항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320, 322), 듀얼 폴(314), 제1 갭(330) 및 제2 갭(332)을 통해 자석(316, 318)에 의해 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코어(324) 및 전방 플레이트(320, 322)는 듀얼 폴(314)을 통하고 갭(330, 332)을 통해 최적으로 자속 경로를 결합, 유도 및 집속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랜지(326), 자석(316, 318) 및 전방 플레이트(320, 322)는 오리피스(328)와 동심을 이루고 서로 동심이며, 축(334)에 대해 대칭을 이룬다. 플랜지(326)는 코어(324)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연장하며, 두꺼운 각형의 외측부에 비해 얇은 내부를 가진다. 제1 자석(316)은 플랜지(326)의 제1 평면에 결합되고 플랜지(326)의 각형 외측부를 지나 연장한다. 제2 자석(318)은 플랜지(326)의 제1 평면에 대향하는 플랜지(326)의 제2 평면에 결합된다. 제2 자석(318)도 플랜지(326)의 각형 외측부를 지나 연장한다. 제1 전방 플레이트(320)는 플랜지(326)의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1 자석(316)의 표면에 결합된다.
제1 전방 플레이트(320)는 만곡된 외부를 갖는 대략적으로 장방형인 형상을 갖는다. 제2 전방 플레이트(322)는 플랜지(326)의 제2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자석(318)의 표면에 결합된다. 제2 전방 플레이트(322)는 외부에 비해 내부가 두꺼운 부분 쐐기형 형상을 가진다. 다른 형상 및 두께의 코어(324), 플랜지(326) 및 전방 플레이트(320, 322)를 사용하여 자속의 결합 및 유도를 행할 수 있다. 듀얼 폴(314)은 코어(324)의 내부면에 형성된 오리피스(328)를 포함한다. 상기 오리피스(328)는 중심축(334)에 대해 대칭이다. 도 3에서, 상기 오리피스(328)는 개구형의 부분 원추형, 대략적인 원통형, 부분 굴곡형을 포함한다. 오리피스(328)는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자석 구조체(302)가 스피커에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자석(316, 318)은 대략 원형이거나 환형의 링 자석일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320, 322)도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환형일 수 있다.
트위터 음성 코일(304)은 제1 갭(330)에 위치될 수 있고, 전도형 트위터 돔(306)에 결합될 수 있다. 중간 범위 음성 코일(308)은 제2 갭(332)에 위치될 수 있고, 중간 범위 다이어프램(310)에 결합될 수 있다. 서스펜션(312)은 중간 범위 음성 코일(308)과 중간 범위 다이어프램(310)이 중심축(328)을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음성 코일(304, 308)은 자석(316, 318)로부터의 자속과 갭(330, 332) 내의 음성 코일(304, 308)을 통해 흐르는 전류 사이에 상호 작용이 존재할 때 작동 중 축방향 수직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자석(316, 318)으로부터의 자속은 갭(330, 332) 내에서 결합되고 실질적으로 유도되어 집속된다. 음성 코일(304, 308) 내의 전류는 갭(330, 332) 내의 자속과 상호 작용할 수 있고 그 상호 작용에 응답하여 음성 코일(304, 308)과 그것들 각각의 부착된 돔(306) 및 다이어프램(310)이 독립적으로 진동 및 발진될 수 있다. 가청음은 상기 돔(306)과 다이어프램(310)에 의해 야기되는 공기의 독립적 이동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제3 실시예의 스피커(400)의 단면도이다. 스피커(400)는 자석 구조체(402), 트위터 음성 코일(404), 트위터 돔(406), 중간 범위 음성 코일(408), 중간 범위 다이어프램(410) 및 서스펜션(412)을 포함한다. 자석 구조체(402)는 듀얼 폴(414), 제1 및 제2 자석(416, 418) 및 제1 및 제2 전방 플레이트(420, 422)를 포함한다. 듀얼 폴(414)은 코어(424)와 플랜지(426)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제1 및 제2 자석(416, 41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플랜지(426)는 코어(424)로부터 수직으로 멀리 연장할 수 있다. 자석(416, 418)은 동일 방향으로 극성화되므로 이들은 자석 구조체(402)의 자속 결합에 기여할 수 있다. 듀얼 폴(414)과 전방 플레이트(420, 422)는 자석(416, 418)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시키는 낮은 자기 저항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석(416, 418)에 의해 전방 플레이트(420, 422), 듀얼 폴(414), 제1 갭(430) 및 제2 갭(432)을 통해 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코어(424)와 전방 플레이트(420, 422)는 듀얼 폴(414)을 통하고 갭(430, 432)을 통해 자속 경로를 결합, 유도 및 집속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어(424)는 중심축(434)에 대해 대칭이고 실질적으로 중실형이고 원통형이다. 코어(424)의 상부 및 저부는 평면이다. 플랜지(426), 자석(416, 418) 및 전방 플레이트(420, 422)는 코어(424)와 동심을 이루고 서로 동심이며, 축(434)에 대해 대칭을 이룬다. 플랜지(426)는 코어(424)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연장하며, 두꺼운 각형의 외측부에 비해 얇은 내부를 가진다. 제1 자석(416)은 플랜지(426)의 제1 평면에 결합되고 플랜지(426)의 각형 외측부를 지나 연장한다. 제2 자석(418)은 플랜지(426)의 제1 평면에 대향하는 플랜지(426)의 제2 평면에 결합된다. 제2 자석(418)도 플랜지(426)의 각형 외측부를 지나 연장한다. 제1 전방 플레이트(420)는 플랜지(426)의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1 자석(416)의 표면에 결합된다. 제1 전방 플레이트(420)는 만곡된 외부를 갖는 대략적으로 장방형인 형상을 갖는다. 제2 전방 플레이트(422)는 플랜지(426)의 제2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자석(418)의 표면에 결합된다. 제2 전방 플레이트(422)는 외부에 비해 내부가 두꺼운 부분 쐐기형 형상을 가진다. 다른 형상 및 두께의 코어(424), 플랜지(426) 및 전방 플레이트(420, 422)를 사용하여 자속의 결합 및 유도를 행할 수 있다.
트위터 음성 코일(404)은 제1 갭(430)에 위치될 수 있고, 트위터 돔(406)에 결합될 수 있다. 중간 범위 음성 코일(408)은 제2 갭(432)에 위치될 수 있고, 중간 범위 다이어프램(410)에 결합될 수 있다. 서스펜션(412)은 중간 범위 음성 코일(408)과 중간 범위 다이어프램(410)이 스피커(400)의 중심축(434)을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음성 코일(404, 408)은 자석(416, 418)으로부터의 자속과 갭(430, 432) 내의 음성 코일(404, 408)을 통해 흐르는 전류 사이에 상호 작용이 존재할 때 작동 중 축방향 수직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자석(416, 418)으로부터의 자속은 결합되고 실질적으로 유도되어 갭(430, 432) 내에서 집속된다. 음성 코일(404, 408) 내의 전류는 갭(430, 432) 내의 자속과 상호 작용할 수 있고 그 상호 작용에 응답하여 음성 코일(404, 408)과 그것들 각각의 부착된 돔(406) 및 다이어프램(410)이 독립적으로 진동 및 발진될 수 있다. 가청음은 상기 돔(406)과 다이어프램(410)에 의해 야기되는 공기의 독립적 이동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제4 실시예의 스피커(500)의 단면도이다. 도 5의 스피커(500)는 자석 구조체(502), 트위터 음성 코일(504), 트위터 돔(506), 중간 범위 음성 코일(508), 중간 범위 다이어프램(510) 및 서스펜션(512)을 포함한다. 자석 구조체(502)는 듀얼 폴(514), 제1 및 제2 자석(516, 518) 및 제1 및 제2 전방 플레이트(520, 522)를 포함한다. 도 1에 설명된 자석 구조체(100)와 유사하게, 자석(516, 518)은 동일 방향으로 극성화되므로 이들은 자석 구조체(502)의 자속 결합에 기여할 수 있다. 듀얼 폴(514)은 코어(524)와 플랜지(526)를 포함한다. 플랜지(52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524)로부터 수직으로 멀리 연장할 수 있다. 듀얼 폴(514)은 모터 지지부(528)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는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자석(516, 518)은 플랜지(526)에 직접 결합될 수 있고, 전방 플레이트(520, 522)는 자석(516, 518) 각각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듀얼 폴(514), 자석(516, 518) 및 전방 플레이트(520, 522)를 포함하는 자석 구조체(502)는 대칭축(536)에 대해 원통형으로 대칭일 수 있다.
도 5에서 스피커(500)는 모터 지지부(528), 상부 샤시(530), 하부 샤시(532) 및 먼지 캡(534)도 포함한다. 자석 구조체(502)는 코어(524)에 형성된 오리피스 내로 끼워넣는 것에 의해 모터 지지부(52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자석 구조체(502), 모터 지지부(528), 트위터 음성 코일(504), 트위터 돔(506), 중간 범위 음성 코일(508), 중간 범위 다이어프램(510) 및 서스펜션(5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으며, 상부 샤시(530)와 하부 샤시(532) 내에 조립되어 스피커(500)를 형성할 수 있다. 먼지 캡(534)은 상부 샤시(530)의 상부에 배치되어 트위터 돔(506)을 먼지와 기타 오염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부 샤시(530)와 하부 샤시(532)는 알루미늄, 스틸, 플라스틱, 복합재 또는 기타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 지지부(528), 상부 샤시(530), 하부 샤시(532)는 특별한 용례와 환경에 대해 스피커(500)의 성분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소정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피커(500)는 증폭기, 크로스오버 또는 다른 소스로부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음성 코일(504, 508)로 연결되는 도전부(5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코어(524)와 전방 플레이트(520, 522)는 듀얼 폴(514)을 통한 자속 경로를 결합, 유도 및 집속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코어(524)의 오리피스는 축(536)에 대해 대칭이다. 오리피스는 부분 원추형, 대략적인 원통형 및 부분 굴곡형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524)의 외부는 코어(524)를 통한 자속 경로를 유도 및 집속할 수 있는 노치를 가진다. 플랜지(526), 자석(516, 518) 및 전방 플레이트(520, 522)는 오리피스와 동심이고 서로 동심이며, 축(536)에 대해 대칭이다. 플랜지(526)는 코어(524)로부터 수직으로 멀리 연장하며, 각형의 외측부를 갖는다. 제1 자석(516)은 플랜지(526)의 제1 평면에 결합되며, 플랜지(526)의 각형 외측부 너머로 연장한다. 제2 자석(518)은 플랜지(526)의 제1 평면에 대향하는 플랜지(526)의 제2 평면에 결합된다. 제2 자석(518)도 플랜지(526)의 각형 외측부를 지나 연장한다. 제1 전방 플레이트(520)는 플랜지(526)의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1 자석(516)의 표면에 결합된다. 제1 전방 플레이트(520)는 외부보다 내부가 두꺼운 계단 형상을 가진다. 제2 전방 플레이트(522)는 플랜지(526)의 제2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자석(518)의 표면에 결합된다. 제2 전방 플레이트(522)는 내부가 외부보다 두꺼운 부분 쐐기형 형상을 가진다. 다른 형상과 두께의 코어(524), 플랜지(526) 및 전방 플레이트(520, 522)를 사용하여 자속의 결합 및 유도를 행할 수 있다.
도 6은 제5 실시예의 스피커(600)의 단면도이다. 스피커(600)는 전술한 스피커와 유사한 구성의 하부 프로파일의 스피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에서 스피커(600)는 자석 구조체(602), 트위터 음성 코일(604), 전도형 트위터 돔(606), 중간 범위 음성 코일(608), 중간 범위 다이어프램(610) 및 서스펜션(612)을 포함한다. 자석 구조체(602)는 듀얼 폴(614), 제1 및 제2 자석(616, 618) 및 제1 및 제2 전방 플레이트(620, 622)를 포함한다. 자석(616, 618)은 동일 방향으로 극성화되므로 이들은 자석 구조체(602)의 자속 결합에 기여할 수 있다. 듀얼 폴(614)은 코어(624)와 플랜지(626)를 포함하고, 플랜지(626)는 코어(624)로부터 수직으로 멀리 연장할 수 있다. 자석(616, 618)은 플랜지(626)에 직접 결합될 수 있고, 전방 플레이트(620, 622)는 자석(616, 618) 각각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듀얼 폴(614), 자석(616, 618) 및 전방 플레이트(620, 622)를 포함하는 자석 구조체(602)는 대칭 축(634)에 대해 원통형으로 대칭일 수 있다.
도 6에서 스피커(600)는 상부 샤시(630)와 하부 샤시(632)를 역시 포함한다. 트위터 음성 코일(604), 전도형 트위터 돔(606), 중간 범위 음성 코일(608), 중간 범위 다이어프램(610) 및 서스펜션(6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으며, 상부 샤시(630)와 하부 샤시(632) 내에 조립되어 스피커(600)를 형성할 수 있다. 전도형 트위터 돔(606)은 스피커(600)의 높이를 더욱 줄여준다. 상부 샤시(630)와 하부 샤시(632)는 알루미늄, 스틸, 플라스틱, 복합재 또는 기타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샤시(630)와 하부 샤시(632)는 특별한 용례와 환경에 대해 스피커(600)의 성분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소정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서, 코어(624)와 전방 플레이트(620, 622)는 듀얼 폴(614)을 통한 자속 경로를 유도 및 집속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코어(624)는 중심축(634)에 대해 대칭이고, 실질적으로 중실형이고 원통형이다. 코어(624)의 상부 및 저부는 평면이다. 오리피스는 부분 원추형, 대략적인 원통형 및 부분 굴곡형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626), 자석(616, 618) 및 전방 플레이트(620, 622)는 코어(624)와 동심이고 서로 동심이며, 축(634)에 대해 대칭이다. 플랜지(626)는 코어(624)로부터 수직으로 멀리 연장하며, 대략 장방형 형상을 갖는다. 제1 자석(616)은 플랜지(626)의 제1 평면에 결합되며, 플랜지(626)의 각형 외측부 너머로 연장한다. 제2 자석(618)은 플랜지(626)의 제1 평면에 대향하는 플랜지(626)의 제2 평면에 결합된다. 제2 자석(618)도 플랜지(626)의 각형 외측부를 지나 연장한다. 제1 전방 플레이트(620)는 플랜지(626)의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1 자석(616)의 표면에 결합된다. 제1 전방 플레이트(620)는 외부보다 내부가 두꺼운 계단 형상을 가진다. 제2 전방 플레이트(622)는 플랜지(626)의 제2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자석(618)의 표면에 결합된다. 제2 전방 플레이트(622)는 내부가 외부보다 두꺼운 부분 쐐기형 형상을 가진다. 다른 형상과 두께의 코어(624), 플랜지(626) 및 전방 플레이트(620, 622)를 사용하여 자속의 결합 및 유도를 행할 수 있다.
도 1-6의 예시적인 스피커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들 각각의 듀얼 폴, 전방 플레이트 및 자석의 조합, 구성 및 배열에 기인하여 갭 내에 자속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자석은 도 1-6의 스피커에서 동일 방향으로 정렬된 극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각 자석에서 제공하는 자속은 결합 및 유도되어 갭 내에서 집속될 수 있다. 따라서, 갭 내의 음성 코일은 음성 코일의 이동이 보다 정확하도록 갭 내의 증가된 자속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스피커 성능의 개선을 가져올 것이다.
도 7은 도 1의 실시예의 자석 구조체(100)에 대한 자속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자석(104, 108)은 동일 방향으로 극성화되어 갭(120, 122) 내의 자석 각각의 자속의 집속을 유도, 결합 및 증가시킨다. 갭(120, 122) 외부의 영역(708)에서의 자속선(706)의 집속도에 비해 갭(120, 122) 내의 자속선(702, 704)의 집속도가 더 큰다. 더욱이, 자석(104, 108)에 기인한 자속선은 플랜지(110)와 전방 플레이트(106, 110)에서는 물론, 코어(112)에서 서로 결합된다. 코어(112), 플랜지(114) 및 전방 플레이트(106, 110)는 자석(104, 108)이 각각의 자속 제공성을 결합하고 자속이 갭(120, 122) 내에 실질적으로 집속되도록 배열 및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석 구조체(100)는 갭(120, 122) 내에 있는 2개의 음성 코일(도시 생략)을 구동시킬 수 있다. 자석 구조체(100)로부터 기인하는 갭(120, 122) 내의 자속 증가는 보다 정확한 음성 코일 이동과 향상된 스피커 성능을 허용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실시예의 자석 구조체(100)의 2개의 자석의 개별적인 자속 제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제2 자석(108)의 자속 제공없이 제1 자석(104)의 자속 제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듀얼 폴(102)의 전방 플레이트(106), 코어(112) 및 플랜지(114)가 갭(120) 내에 제1 자석(104)의 자속을 유도 및 집속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영역에서의 자속선(804)의 집속에 비해 갭(120) 내에서의 자속선(802)의 집속도가 높다. 도 8에서, 제2 자석(108)에 기인하지 않고 제1 자석(104)에 기인하는 자속의 방향은 플랜지(114)에서 대략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한다.
도 9는 제1 자석(104)의 자속 제공없이 제2 자석(108)의 자속 제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는 듀얼 폴(102)의 전방 플레이트(110), 코어(112) 및 플랜지(114)가 갭(122) 내에 제2 자석(108)의 자속을 유도 및 집속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영역에서의 자속선(904)의 집속에 비해 갭(122) 내에서의 자속선(902)의 집속도가 높다. 도 9에서, 제1 자석(104)에 기인하지 않고 제2 자석(108)에 기인하는 자속의 방향은 플랜지(114)에서 대략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한다.
그러므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04, 108)의 개별 자속은 각 자석을 별도로 조사시 플랜지(114)에서 양방향으로 흐른다. 그러나, 자석(104, 108)은 그들 각각의 자극이 동일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플랜지(114)의 대향 표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결합 자속은 제1 자석(104) 및 제2 자석(108) 각각에 대한 도 8 및 도 9의 개별 자속선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석(104, 108)으로부터 제공되는 자속은 결합, 유도 및 집속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갭(120, 122) 내에 증강된 자속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대안적 실시예의 자석 구조체(1000)의 자속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자석 구조체(1000)는 링 또는 환형 자석(1002), 중실의(solid) 자석(1004), 전방 플레이트(1006)와 코어 캡(1008) 및 쉘 포트(1010)를 포함한다. 쉘 포트(1010)는 코어(1012)와 연장부(1014)를 포함한다. 자석(1002, 1004)은 동일 방향으로 극성화되어 갭(1016, 1018) 내의 그들 자속의 집속을 증가시킨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갭(1016, 1018)의 외부의 영역(1026)에서의 자속선(1024)의 집속에 비해 갭(1016, 1018)에서의 자속선(1020, 1022)의 집속도가 높다. 더욱이, 자석(1002, 1004)으로부터의 자속선은 연장부(1014), 전방 플레이트(1006) 및 코어 캡(1008)에서는 물론 쉘 포트(1010)의 코어(1012)에서 서로 결합된다.
코어(1012), 연장부(1014), 전방 플레이트(1006) 및 코어 캡(1008)은 자석(1002, 1004)이 그 각각의 제공 자속을 결합하고 또한 자속이 실질적으로 갭(1116, 1118) 내에 유도 및 집속되도록 배열 및 구성된다. 자석 구조체(1000)는 갭(1116, 1118) 내에 위치된 2개의 음성 코일(도시 생략)을 구동시킬 수 있다. 자석 구조체(100)에 의해 갭(1116, 1118) 내에 증가된 자속은 음성 코일을 보다 정확하게 이동시키고 스피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의 자석 구조체(100)는 대형 스피커, 예를 들면 대략 16mm 직경의 트위터 드라이버와 대략 80mm 직경의 중간 범위 드라이버를 갖는 스피커에 사용될 수 있다. 자석 구조체(1000)를 사용하는 다른 예의 스피커는 대략 80-100mm 직경의 중간 범위 드라이버와 대략 200-300mm의 서브우퍼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다른 크기, 구성 및 조합의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6의 실시예의 스피커와 같은 스피커의 제조 방법(1100)의 예를 예시한다. 1102 단계에서 원하는 스피커의 오디오 특성, 재료 조건 및 물리적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특성은 파워 소비, 주파수 범위, 임피던스 및 기타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의 물리적 조건은 특정 용례, 환경 또는 제조 방법에 대한 부피 또는 크기의 요건을 포함할 수 있다. 1104 단계에서 듀얼 폴에 제1 및 제2 자성 재료를 결합시킨다. 듀얼 폴은 낮은 자기 저항의 자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성 재료는 듀얼 폴에 결합시 비-자화 상태이거나 이미 자화된 상태일 수 있다. 자성 재료가 초기에 비-자화 상태이면, 자성 재료를 듀얼 폴에 결합하는 것은 단순해진다. 초기 비-자화 상태인 자성 재료는 1104 단계에서의 결합 과정 중 서로 또는 듀얼 폴과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지 않을 것이다. 듀얼 폴은 대략 원통형의 코어와 코어의 외부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듀얼 폴은 자석을 플랜지 표면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석은 링 또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거나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자석은 접착제, 기계적 체결구, 용접 또는 기타 체결 수단에 의해 듀얼 폴 또는 듀얼 폴의 플랜지에 결합될 수 있다.
1106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성 재료에 제1 및 제2 전방 플레이트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는 링 또는 환형 형상을 가지거나 낮은 자기 저항 자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는 듀얼 폴, 자석 및 전방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갭 사이에 제1 및 제2 자석의 자속을 유도 및 집속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1108 단계에서, 다이어프램에 결합된 제1 및 제2 음성 코일을 갭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음성 코일은 자화된 제1 및 제2 자성 재료의 자속이 음성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와 상호 작용하여 음성 코일과 그것에 부착된 다이어프램을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음성 코일은 각각 트위터와 중간 범위 음성 코일이거나 또는 다른 종류의 음성 코일일 수 있다.
1114 단계에서, 자성 재료가 자화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자성 재료가 자화되고 그 극성이 동일 방향으로 정렬되면, 방법(1100)은 1112 단계로 계속될 수 있다. 자성 재료가 초기 자화되지 않으면, 방법(1100)은 1110 단계로 계속될 수 있다. 1110 단계에서, 제1 및 제2 자성 재료를 자석의 극성이 동일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자화시킬 수 있다. 1104 단계에서 제1 및 제2 자성 재료는 듀얼 폴에 결합되었고, 1106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성 재료에 제1 및 제2 전방 플레이트가 결합되었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자성 재료의 자화는 자석 구조체의 조립 후에 수행될 수 있다. 1110 단계에서의 제1 및 제2 자성 재료의 자화는 동시에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제1 및 제2 자석의 자화는 양측 자석이 각 자속을 갭 내에 결합시키고 갭 내에서 음성 코일의 이동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스피커는 1112 단계에서, 자화된 자성 재료, 음성 코일 및 다이어프램을 갖는 자석 구조체를 서스펜션, 배선 및 다른 성분과 함께, 샤시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많은 추가의 실시예 및 이행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예를 들면, 다른 구성, 배열 및 조합의 돔, 다이어프램, 코어 및/또는 트위터, 중간 범위 및/또는 서브우퍼 드라이버용 음성 코일을 설명된 모터 구조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의 측면을 제외하고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20)

  1. 자석 구조체를 포함하는 스피커로서,
    상기 자석 구조체는:
    코어, 제1 평면 및 제2 평면을 구비하는 듀얼 폴과;
    상기 제1 평면에 결합된 제1 자석과;
    상기 제2 평면에 결합된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은 상기 제1 자석의 극성이 상기 제2 자석의 극성과 동일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되는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면은 상기 제1 평면과 실질적으로 대향하며, 상기 제1 및 제2 평면은 상기 코어로부터 수직으로 멀리 연장하는 플랜지를 형성하는 자석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은 실질적으로 환형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듀얼 폴,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자석 구조체의 중심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심인 자석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에 결합된 제1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듀얼 폴 사이에 형성된 제1 갭과;
    상기 제2 자석에 결합된 제2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듀얼 폴 사이에 형성된 제2 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갭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의 자속을 결합, 유도 및 집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자석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환형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자석 구조체의 중심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심인 자석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에 결합되고 외부에 비해 두꺼운 내부를 갖는 계단 형상을 가지는 제1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자석에 결합되고 부분 쐐기형 형상을 갖는 제2 전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은 상기 듀얼 폴의 상기 제1 및 제2 평면을 지나 측방으로 연장하는 자석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코어의 내부면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자석 구조체를 스피커에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자석 구조체.
  8. 자석 구조체를 포함하는 스피커로서,
    상기 자석 구조체는:
    제1 극성과 제1 자속을 갖는 제1 자석과;
    상기 제1 극성과 동일 방향으로 정렬된 제2 극성과 제2 자속을 갖는 제2 자석과;
    상기 제1 및 제2 자석에 결합되고 코어를 구비하는 듀얼 폴을 포함하고,
    결합된 자속은 실질적으로 상기 듀얼 폴에서 흐르며, 상기 결합된 자속은 상기 제1 자속과 제2 자속을 포함하는 스피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폴은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은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자속이 실질적으로 상기 코어와 상기 플랜지 방향으로 흐르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코어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멀리 연장하는 자석 구조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은 상기 자석 구조체의 중심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심인 자석 구조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에 결합된 제1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듀얼 폴 사이에 형성된 제1 갭과;
    상기 제2 자석에 결합된 제2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듀얼 폴 사이에 형성된 제2 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갭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의 자속을 유도 및 집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자석 구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환형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자석 구조체의 중심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심인 자석 구조체.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에 결합되고 외부에 비해 두꺼운 내부를 갖는 계단 형상을 가지는 제1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자석에 결합되고 부분 쐐기형 형상을 갖는 제2 전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은 상기 듀얼 폴의 상기 제1 및 제2 평면을 지나 측방으로 연장하는 자석 구조체.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코어의 내부면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자석 구조체를 스피커에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자석 구조체.
  15. 스피커의 자석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코어, 제1 평면 및 제2 평면을 구비하는 듀얼 폴을 제공하고;
    상기 제1 평면에 제1 자성 재료를, 상기 제2 평면에 제2 자성 재료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자성 재료가 아직 자화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자성 재료의 극성이 상기 제2 자성 재료의 극성과 동일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자성 재료를 자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로부터 멀리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평면으로부터 형성되는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폴과, 실질적으로 환형인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1 및 제2 자성 재료를 상기 자석 구조체의 중심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심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재료에 제1 전방 플레이트를 결합하고;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듀얼 폴 사이에 제1 갭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자성 재료에 제2 전방 플레이트를 결합하고;
    상기 제2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듀얼 폴 사이에 제2 갭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갭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성 재료의 자속을 결합, 유도 및 집속하도록 배치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환형인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플레이트를 상기 자석 구조체의 중심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심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구조체를 스피커에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오리피스를 상기 코어의 내부면에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07012947A 2007-11-14 2008-11-13 다중 자석 스피커 KR101578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40,019 US8135162B2 (en) 2007-11-14 2007-11-14 Multiple magnet loudspeaker
US11/940,019 2007-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797A true KR20100103797A (ko) 2010-09-28
KR101578427B1 KR101578427B1 (ko) 2015-12-17

Family

ID=4030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947A KR101578427B1 (ko) 2007-11-14 2008-11-13 다중 자석 스피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35162B2 (ko)
EP (1) EP2220874A1 (ko)
JP (1) JP2011504053A (ko)
KR (1) KR101578427B1 (ko)
CN (2) CN101911720A (ko)
WO (1) WO20090648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0254B2 (en) * 2007-07-02 2012-05-01 Tracy Dennis A Low profile loudspeaker
FR2956273B1 (fr) * 2010-02-10 2012-03-09 Renault Sa Moteur magnetique de transducteur electrodynamique
US8891809B2 (en) * 2010-08-25 2014-11-1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Split magnet loudspeaker
JP2012124719A (ja) * 2010-12-08 2012-06-28 Alpine Electronics Inc 複合スピーカ
US20120275638A1 (en) * 2011-04-26 2012-11-01 Tzu-Chung Chang Sandwich-Type Woofer with Two Sound Wave Propagation Directions and a Magnetic-Looped Device Thereof
US9838794B2 (en) 2013-04-26 2017-12-05 Sound Solutions International Co., Ltd. Double coil speaker
US9100733B2 (en) 2013-06-05 2015-08-04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Multi-way coaxial loudspeaker with internal magnet motor and permanent magnet cylinder
US9036839B2 (en) 2013-06-05 2015-05-1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Multi-way coaxial loudspeaker with magnetic cylinder
GB2518660A (en) 2013-09-27 2015-04-01 Pss Belgium Nv Loudspeaker
US10643599B2 (en) 2017-06-29 2020-05-05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Acoustic lens for a transducer
WO2020033595A1 (en) 2018-08-07 2020-02-13 Pangissimo, LLC Modular speaker system
US10609488B1 (en) * 2018-09-28 2020-03-3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ual-coil (differential drive) tactile transduce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68B2 (ko) * 1973-02-21 1979-01-16
JPS5040125A (ko) * 1973-08-15 1975-04-12
JPS5516470Y2 (ko) * 1974-12-07 1980-04-17
JPS5451817A (en) * 1977-09-30 1979-04-24 Sony Corp Speaker
FR2503516B1 (fr) * 1981-04-01 1986-02-07 Klein Siegfried Haut-parleur electrodynamique omnidirectionnel pour les frequences basses et medium du spectre sonore
JPS5961299A (ja) 1982-09-29 1984-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カ
US4737992A (en) * 1985-11-15 1988-04-12 Bose Corporation Compact electroacoustical transducer with spider covering rear basket opening
US5040221A (en) * 1985-11-15 1991-08-13 Bose Corporation Compact electroacoustical transducing with flat conducting tinsel leads crimped to voice coil ends
US4979220A (en) * 1988-05-05 1990-12-18 Audiovox International Limited Integral body speaker with detachable terminal plate
JPH01288197A (ja) * 1988-05-16 1989-11-20 Foster Electric Co Ltd コアキシャルスピーカ
US5625701A (en) * 1993-08-05 1997-04-29 Bose Corporation Loudspeaker diaphragm attaching
JP2000152381A (ja) 1998-11-17 2000-05-30 Sony Corp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2000184482A (ja) * 1998-12-10 2000-06-30 Sony Corp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EP1410682B1 (en) * 2000-06-27 2017-02-08 Dr. G Licensing, LLC Low profile speaker and system
US6611606B2 (en) * 2000-06-27 2003-08-26 Godehard A. Guenther Compact high performance speaker
DE60136156D1 (de) * 2000-09-04 2008-1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autsprecher
GB0102780D0 (en) * 2001-02-03 2001-03-21 K H Technology Corp Loudspeaker assemblies
US7149323B2 (en) * 2001-02-13 2006-12-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peaker
DE60233105D1 (de) * 2001-06-11 2009-09-10 Panasonic Corp Lautsprecher
JP3971625B2 (ja) * 2002-02-25 2007-09-05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薄型スピー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120270B2 (en) * 2002-09-18 2006-10-10 Bose Corporation Audio device heat transferring
US6996247B2 (en) * 2002-11-05 2006-02-07 Step Technologies, Inc. Push-push multiple magnetic air gap transducer
US20040120543A1 (en) * 2002-12-23 2004-06-24 Galax Multimedia Co., Ltd. Structure improvement for speaker unit
US20040131223A1 (en) * 2003-01-06 2004-07-08 Stiles Enrique M. Electromagnetic transducer having a hybrid internal/external magnet motor geometry
FR2859864B1 (fr) 2003-09-15 2005-12-30 Cabasse Acoustic Ct Haut-parleur et enceinte acoustique correspondante
KR100651766B1 (ko) * 2004-10-18 2006-12-01 김성배 듀얼 마그넷을 구비한 자기회로 및 이를 이용한 스피커와진동발생장치
JP2006303717A (ja) * 2005-04-18 2006-11-02 Yamaha Corp マルチスピーカユニットおよび音響再生装置
US7684582B2 (en) * 2005-08-11 2010-03-23 Dei Headquarters, Inc. Electrodynamic acoustic transducer
US8249291B2 (en) * 2006-03-28 2012-08-2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Extended multiple gap motors for electromagnetic transduc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427B1 (ko) 2015-12-17
WO2009064833A1 (en) 2009-05-22
EP2220874A1 (en) 2010-08-25
US20090123005A1 (en) 2009-05-14
JP2011504053A (ja) 2011-01-27
CN101911720A (zh) 2010-12-08
US8135162B2 (en) 2012-03-13
CN106878884A (zh) 2017-06-20
CN106878884B (zh)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427B1 (ko) 다중 자석 스피커
US8891809B2 (en) Split magnet loudspeaker
US8649550B2 (en) Multi-magnet system and speaker using same
US7706563B2 (en) Concentric radial ring motor
US20070297639A1 (en) Multiple magnet loudspeaker
JP2008312056A (ja) 電気音響変換器
US7676053B2 (en) Electrodynamic loudspeaker
EP3448061B1 (en) Coaxial dual voice coil speaker
EP3448062A1 (en) Coaxial dual-voice-coil driver
JPH10304493A (ja) 電気−音響変換装置及び音響−電気変換装置
JP2009049762A (ja) スピーカ用磁気回路、およびスピーカ装置
JP2007318346A (ja) スピーカ装置の製造方法、スピーカ装置、およびスピーカ装置の組立治具
JPH09322294A (ja) トリプルコイルスピーカ
EP3952337A1 (en) Spea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peaker
JP5034845B2 (ja) スピーカユニットおよびスピーカ装置
JPH04329800A (ja) ホーン形ドライバー
JP2018152790A (ja) 磁気回路及びスピーカ装置
JP2009171186A (ja) スピーカ
JPH0477098A (ja) スピーカ
JPH04135096U (ja) スピー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